KR20050102045A - 건설 기계 - Google Patents

건설 기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102045A
KR20050102045A KR1020040109236A KR20040109236A KR20050102045A KR 20050102045 A KR20050102045 A KR 20050102045A KR 1020040109236 A KR1020040109236 A KR 1020040109236A KR 20040109236 A KR20040109236 A KR 20040109236A KR 20050102045 A KR20050102045 A KR 2005010204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ustproof net
cover
heat exchanger
engine
side co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1092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29822B1 (ko
Inventor
이리노데루오
이시이하지메
Original Assignee
히다찌 겐끼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히다찌 겐끼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히다찌 겐끼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501020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10204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298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29822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08Superstructures; Supports for superstructures
    • E02F9/0858Arrangement of component parts installed on superstruc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electric components, fenders, air-conditioning units
    • E02F9/0866Engine compartment, e.g. heat exchangers, exhaust filters, cooling devices, silencers, mufflers, position of hydraulic pumps in the engine compart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1/00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cooling of propulsion units
    • B60K11/02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cooling of propulsion units with liquid cooling
    • B60K11/04Arrangement or mounting of radiators, radiator shutters, or radiator blin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PCOOLING OF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COOLING OF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01P11/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1P1/00 - F01P9/00
    • F01P11/12Filtering, cooling, or silencing cooling-ai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5FLUID-PRESSURE ACTUATORS; HYDRAULICS OR PNEUMATICS IN GENERAL
    • F15BSYSTEMS ACTING BY MEANS OF FLUIDS IN GENERAL; FLUID-PRESSURE ACTUATORS, e.g. SERVOMOTORS; DETAILS OF FLUID-PRESSURE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15B21/00Common features of fluid actuator systems; Fluid-pressure actuator systems or details thereof, not covered by any other group of this subclass
    • F15B21/04Special measures taken in connection with the properties of the fluid
    • F15B21/042Controlling the temperature of the flui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40Special vehicles
    • B60Y2200/41Construction vehicles, e.g. graders, excavators
    • B60Y2200/412Excava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Transportation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Component Parts Of Construction Machinery (AREA)
  • Cooling, Air Intake And Gas Exhaust, And Fuel Tank Arrangements In Propulsion Unit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과제는 방진 네트의 오염을 점검하는 작업 및 오염된 방진 네트를 청소하는 작업 등을 행할 때의 작업성을 높이는 것이다.
우측 상측면 커버(20)의 외측면(20A)에 설치한 오목 함몰부(20B)에 볼트(25)를 이용하여 상측 방진 네트(22)를 착탈 가능하게 부착하는 동시에, 우측 하측면 커버(21)의 외측면(21A)에 설치한 오목 함몰부(21B)에 볼트(29)를 이용하여 하측 방진 네트(26)를 착탈 가능하게 부착한다. 이에 의해, 상측 방진 네트(22) 및 하측 방진 네트(26)의 오염 정도를 우측 상측면 커버(20) 및 우측 하측면 커버(21)의 외측으로부터 쉽게 점검할 수 있다. 또한, 우측 상측면 커버(20)로부터 상측 방진 네트(22)만을 떼어 낼 수 있고, 우측 하측면 커버(21)로부터 하측 방진 네트(26)만을 떼어 낼 수 있으므로, 오염된 상측 방진 네트(22) 및 하측 방진 네트(26)를 청소할 때의 작업성을 높일 수 있다.

Description

건설 기계 {CONSTRUCTION MACHINE}
본 발명은 예를 들어, 유압 셔블 등의 건설 기계에 관한 것으로, 특히 라디에이터 및 오일 쿨러 등의 열교환기를 구비한 건설 기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유압 셔블 및 유압 크레인 등의 건설 기계는 자가 주행 가능한 하부 주행체와, 상기 하부 주행체 상에 선회 가능하게 설치된 상부 선회체와, 상기 상부 선회체에 굽힙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작업 장치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부 선회체는 통상 지지 구조체를 이루는 선회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에 설치된 엔진 및 상기 엔진에 의해 구동되는 유압 펌프를 포함하는 유압 기기와, 엔진의 냉각수 및/또는 유압 기기의 작동유를 냉각하는 열교환기와, 엔진, 유압 기기 및 열교환기를 외측으로부터 덮는 외장 커버와, 열교환기에 공급되는 냉각풍에 섞인 먼지를 포착하는 방진 네트를 구비하고 있다.
여기서 열교환기는, 통상 엔진의 냉각수의 열을 냉각풍으로 방출함으로써 상기 냉각수를 냉각하는 라디에이터, 유압 기기에 공급되는 작동유의 열을 냉각풍으로 방출함으로써 상기 작동유를 냉각하는 오일 쿨러 등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한편, 방진 네트는 열교환기에 공급되는 냉각풍에 혼입된 먼지를 포착함으로써, 이들 먼지가 라디에이터 등에 부착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다. 따라서, 방진 네트는 냉각풍의 흐름 방향으로부터 보아 열교환기보다도 상류측에 위치하여 외장 커버 내에 설치되어 있다(예를 들어, 특허 문헌 1 참조).
[특허 문헌 1]
일본 특허 공개 제2001-12246호 공보
그러나, 상술한 종래 기술에 의한 방진 네트는 라디에이터 등과 함께 외장 커버 내에 배치되어 있다. 이로 인해, 먼지 등을 포착함으로써 방진 네트의 오염 정도를 점검하는 점검 작업, 오염된 방진 네트를 떼어 내어 청소하는 청소 작업 등을 행하는 경우에는 일단 외장 커버를 개방할 필요가 있어, 이들 방진 네트에 대한 점검 작업 및 청소 작업 등을 행할 때의 작업성이 저하된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상부 선회체의 후단부의 선회 반경을 작게 한, 이른바 후방 초소(超小) 선회식 유압 셔블에 있어서는, 상부 선회체의 후방 단부에 설치되는 카운터 웨이트가 가능한 한 엔진이나 열교환기에 접근하여 설치되어 있다. 이로 인해, 방진 네트는 열교환기의 주위가 좁은 공간 내에 배치되게 되어, 이 좁은 공간 내에서 방진 네트를 열교환기에 대해 부착 및 제거시의 작업성이 나빠지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에 비추어 이루어진 것으로, 방진 네트의 오염을 점검하는 작업 및 오염된 방진 네트를 청소하는 작업 등을 행할 때의 작업성을 높일 수 있도록 한 건설 기계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지지 구조체를 이루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에 설치된 엔진 및 엔진에 의해 구동되는 유압 펌프를 포함하는 유압 기기와, 엔진의 냉각수 및/또는 유압 기기의 작동유를 냉각하는 열교환기와, 엔진, 유압 기기 및 열교환기를 덮는 외장 커버와, 열교환기에 공급되는 냉각풍에 섞인 먼지를 포착하는 방진 네트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건설 기계에 적용된다.
그리고, 청구항 1의 발명의 특징은 외장 커버 중 열교환기와 대면하는 위치에는 냉각풍을 흡입하는 흡기구를 설치하여, 방진 네트는 흡기구를 외장 커버의 외측으로부터 착탈 가능하게 덮는 구성으로 한 데 있다.
청구항 2의 발명은 외장 커버의 외측면에는 열교환기를 향해 내측으로 움푹 패인 오목 함몰부를 형성하고, 흡기구는 상기 오목 함몰부에 뚫어 설치하고, 방진 네트는 흡기구를 덮은 상태에서 상기 오목 함몰부에 부착하는 구성으로 한 데 있다.
청구항 3의 발명은 흡기구는 외장 커버의 복수 부위에 설치하고, 방진 네트는 이들 복수 부위의 흡기구를 개별적으로 덮는 복수의 방진 네트에 의해 구성한 데 있다.
청구항 4의 발명은 방진 네트는 외장 커버에 대해 볼트 또는 부착 핀을 이용하여 착탈 가능하게 부착하는 구성으로 한 데 있다.
이하, 본 발명에 관한 건설 기계의 실시 형태를, 유압 셔블에 적용한 경우를 예로 들어 도1 내지 도8을 참조하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면 중 부호 1은 유압 셔블로, 유압 셔블(1)은 자가 주행 가능한 바퀴 장착식 하부 주행체(2)와, 하부 주행체(2) 상에 선회 가능하게 탑재된 상부 선회체(3)와, 상부 선회체(3)의 전방부측으로 굽힘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작업 장치(4)에 의해 대략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부 선회체(3)는 지지 구조체를 이루는 선회 프레임(5)과, 선회 프레임(5) 상에 설치되어 오퍼레이터가 착석하는 운전석(6)과, 상기 운전석을 상방으로부터 덮는 캐노피(7)와, 선회 프레임(5)의 후단부에 설치되어 작업 장치(4)와의 중량 밸런스를 잡는 카운터 웨이트(8)와, 후술하는 엔진(9), 유압 펌프(10), 열교환기(11), 외장 커버(16) 등에 의해 대략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부 선회체(3)는 그 선회 반경을 작게 하기 위해 상방으로부터 보아 대략 원형으로 형성되고, 카운터 웨이트(8)는 가능한 한 엔진(9)에 접근하여 배치되어 있다. 이로 인해, 외장 커버(16) 내에는 엔진(9), 열교환기(11) 등의 각종 기기류가 서로 접근한 상태에서 콤팩트하게 수용되어 있다.
또한, 선회 프레임(5)은 두꺼운 강판 등을 이용하여 형성된 바닥판(5A)과, 바닥판(5A) 상에 세워 설치되어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좌우 세로판(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대략 구성되고, 좌우 세로판 중 바닥판(5A)으로부터 돌출된 부위는 작업 장치(4)를 지지하는 작업 장치 지지 브래킷(5B)으로 되어 있다. 또한, 도3 및 도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바닥판(5A)의 후방부측에는 후술하는 라디에이터(12)를 지지하는 라디에이터 지지대(5C)가 설치되어 있다.
부호 9는 카운터 웨이트(8)의 전방측에 위치하여 선회 프레임(5) 상에 설치된 엔진으로, 엔진(9)은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는 횡치 상태로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엔진(9)은 후술하는 유압 펌프(10)를 구동하는 동시에, 후술하는 냉각 팬(14)을 회전 구동하는 것이다.
부호 10은 엔진(9)의 좌단부측에 설치된 유압 기기로서의 유압 펌프로, 유압 펌프(10)는 엔진(9)에 의해 구동됨으로써 하부 주행체(2)에 설치된 주행용 유압 모터(도시하지 않음), 상부 선회체(3)에 설치된 선회용 유압 모터(도시하지 않음), 작업 장치(4)에 설치된 유압 실린더 등의 유압 셔블(1)에 탑재된 각종 유압 액튜에이터에 작동유(압유)를 공급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유압 기기는 상술한 유압 펌프(10) 및 각종 유압 액튜에이터 외에, 방향 제어 밸브, 작동유 탱크, 유압 배관 등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다.
부호 11은 엔진(9)의 우단부측에 위치하여 선회 프레임(5) 상에 설치된 열교환기로, 열교환기(11)는 후술하는 라디에이터(12) 및 오일 쿨러(13) 등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부호 12는 엔진 냉각수를 냉각하는 라디에이터로, 라디에이터(12)는 도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선회 프레임(5)의 후방부측에 설치된 라디에이터 지지대(5C) 상에 지지되어 있다. 여기서, 라디에이터(12)는 라디에이터 지지대(5C)에 고정되고 나서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프레임(12A)과, 프레임(12A)에 보유 지지되어 엔진 냉각수가 유통하는 유통관 및 다수의 방열 핀을 갖는 방열부(12B)와, 방열부(12B)의 상방에 배치되어 방열부(12B)의 유통관에 연통된 상부 탱크(12C)와, 방열부(12B)의 하방에 배치되어 방열부(12B)의 유통관에 연통된 하부 탱크(12D)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라디에이터(12)의 상부 탱크(12C)와 하부 탱크(12D)는 엔진(9)의 워터 재킷(도시하지 않음)에 접속되고, 라디에이터(12)는 엔진(9)에 의해 가열된 엔진 냉각수의 열을 방열부(12B)에서 열교환하여 냉각풍으로 방출함으로써 이 엔진 냉각수를 냉각하는 것이다.
부호 13은 라디에이터(12)와 함께 열교환기(11)를 구성하는 오일 쿨러로, 오일 쿨러(13)는 예를 들어 라디에이터(12)의 프레임(12A)에 부착됨으로써, 후술하는 냉각 팬(14)에 의한 냉각풍의 흐름 방향(도4 중 화살표 F 방향)으로부터 보아 라디에이터(12)의 상류측에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오일 쿨러(13)는 유압 셔블(1)에 탑재된 각종 유압 액튜에이터로부터 작동유 탱크로 복귀되는 작동유의 열을 열교환하여 냉각풍으로 방출함으로써 이 작동유를 냉각하는 것이다.
부호 14는 라디에이터(12)와 대면하여 설치된 흡입식 냉각 팬으로, 냉각 팬(14)은 엔진(9)에 의해 회전 구동됨으로써 도4 중에 화살표 F로 나타낸 바와 같이, 후술하는 상측 흡기구(20E) 및 하측 흡기구(21E)를 통해 외장 커버(16) 내로 외기를 흡입하고, 이 외기를 냉각풍으로서 열교환기(11)로 공급하는 것이다.
부호 15는 엔진(9)과 라디에이터(12) 사이에 설치된 팬 덮개이며, 팬 덮개(15)는 냉각 팬(14)을 외주측으로부터 덮고 있다. 그리고, 팬 덮개(15)는 냉각 팬(14)에 의해 외장 커버(16) 내로 흡입되는 냉각풍을 오일 쿨러(13) 및 라디에이터(12)를 통과하도록 안내하는 것이다.
부호 16은 카운터 웨이트(8)의 전방측에 위치하여 운전석(6)의 주위에 설치된 외장 커버로, 외장 커버(16)는 서포트 부재 등(도시하지 않음)을 거쳐서 선회 프레임(5)에 고정되고, 상술한 엔진(9), 유압 펌프(10), 열교환기(11) 등을 카운터 웨이트(8)와 함께 외측으로부터 덮는 것이다.
그리고, 외장 커버(16)는 도1 내지 도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카운터 웨이트(8)의 상하 방향의 중간 부위에 배치되고, 카운터 웨이트(8)에 형성된 엔진(9) 등에 대한 점검용 개구부(도시하지 않음)를 개폐 가능하게 덮는 엔진 커버(17)와, 카운터 웨이트(8)의 좌단부측으로부터 전방으로 연장되고 엔진(9) 등을 좌측쪽으로부터 덮는 좌측면 커버(18)와, 카운터 웨이트의 우단부측으로부터 전방으로 연장되고 연료 탱크 및 작동유 탱크 등(모두 도시하지 않음)을 상방으로부터 덮는 탱크 커버(19)와, 탱크 커버(19)의 하측에 위치하여 열교환기(11)와 대면하면서 카운터 웨이트(8)의 우단부측으로부터 전방으로 연장되고 열교환기(11) 등을 우측쪽으로부터 덮는 우측 상측면 커버(20)와, 상기 우측 상측면 커버(20)의 하측에 위치하여 열교환기(11)와 대면하고 우측 상측면 커버(20)와 함께 열교환기(11) 등을 우측쪽으로부터 덮는 우측 하측면 커버(21)에 의해 대략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우측 상측면 커버(20)는 도3 및 도6 등에 도시한 바와 같이, 원호형으로 만곡하면서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띠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우측 상측면 커버(20) 중 전후 방향의 중간 부위로부터 후방부측[카운터 웨이트(8)측]에 걸친 부위는 선회 프레임(5)의 바닥판(5A)으로부터 비스듬히 상향으로 연장되어 열교환기(11)와 대면하고 있다. 또한, 우측 상측면 커버(20) 중 열교환기(11)와는 반대측에 위치하는 외측면(20A)에는 후술하는 오목 함몰부(20B)와 흡기구(20E)가 설치되어 있다.
부호 20B는 우측 상측면 커버(20)의 외측면(20A)에 설치된 대략 사각 형상의 오목 함몰부로, 오목 함몰부(20B)는 도4 내지 도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우측 상측면 커버(20) 중 열교환기(11)와 대면하는 후방부측의 외측면(20A)을 열교환기(11)를 향해 내측으로 움푹 패이게 함으로써 형성되어 있다. 이에 의해, 오목 함몰부(20B)의 바닥면(외측면)(20C)은 우측 상측면 커버(20)의 외측면(20A)으로부터 깊이 치수(A)만큼 열교환기(11)측으로 움푹 패인 단 낮춤면을 구성하고 있다(도5 참조). 또한, 오목 함몰부(20B)의 구석부에는 후술하는 볼트(25)가 나사 삽입되는 복수의 암나사부(너트)(20D, 20D, …)가 일체적으로 설치되어 있다.
부호 20E는 우측 상측면 커버(20)의 오목 함몰부(20B)에 형성된 상측 흡기구로, 상측 흡기구(20E)는 상하 방향으로 격자형으로 배치된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슬릿에 의해 형성되어 열교환기(11)와 대면하고 있다. 여기서, 상측 흡기구(20E)는 엔진(9)에 의해 냉각 팬(14)이 회전함으로써, 외장 커버(16) 내로 외기(냉각풍)를 흡입하고, 이 냉각풍을 도4 중에 화살표 F로 나타낸 바와 같이 열교환기(11) 및 엔진(9) 등을 향해 유통시키는 것이다. 그리고, 이 상측 흡기구(20E)는 후술하는 상측 방진 네트(22)에 의해 우측 상측면 커버(20)의 외측으로부터 덮이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한편, 우측 하측면 커버(21)는 우측 상측면 커버(20)의 후방부측과 선회 프레임(5)의 바닥판(5A) 사이에 배치되고, 도3 및 도7 등에 도시한 바와 같이 원호형으로 만곡하면서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삼각 형상으로 형성되어 열교환기(11)와 대면하고 있다. 그리고, 우측 하측면 커버(21) 중 열교환기(11)와는 반대측에 위치하는 외측면(21A)에는 후술하는 오목 함몰부(21B)와 흡기구(21E)가 설치되어 있다.
부호 21B는 우측 하측면 커버(21)의 외측면(21A)에 설치된 대략 삼각 형상의 오목 함몰부로, 오목 함몰부(21B)는 도4, 도5 및 도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우측 하측면 커버(21)의 외측면(21A)을 열교환기(11)를 향해 내측으로 움푹 패이게 함으로써 형성되어 있다. 이에 의해, 오목 함몰부(21B)의 바닥면(외측면)(21C)은 우측 하측면 커버(21)의 외측면(21A)으로부터 깊이 치수(B)만큼 열교환기(11)측으로 움푹 패인 단 낮춤면을 구성하고 있다(도5 참조). 또한, 오목 함몰부(21B)의 구석부에는 후술하는 볼트(29)가 나사 삽입되는 복수의 암나사부(너트)(21D, 21D, …)가 일체적으로 설치되어 있다.
부호 21E는 우측 하측면 커버(21)의 오목 함몰부(21B)에 형성된 하측 흡기구로, 하측 흡기구(21E)는 상하 방향으로 격자형으로 배치된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슬릿에 의해 형성되어 열교환기(11)와 대면하고 있다. 여기서, 하측 흡기구(21E)는 엔진(9)에 의해 냉각 팬(14)이 회전함으로써 도4 중에 화살표 F로 나타낸 바와 같이, 외장 커버(16) 내에 냉각풍을 흡입하여 열교환기(11) 및 엔진(9) 등을 향해 유통시키는 것이다. 그리고, 이 하측 흡기구(21E)는 후술하는 하측 방진 네트(26)에 의해 우측 하측면 커버(21)의 외측으로부터 덮이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부호 22는 우측 상측면 커버(20)의 외측면(20A)에 착탈 가능하게 부착된 상측 방진 네트로, 상측 방진 네트(22)는 도4 내지 도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우측 상측면 커버(20)의 오목 함몰부(20B)에 대응하는 사각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측 흡기구(20E)를 외측으로부터 덮은 상태에서 상기 오목 함몰부(20B)에 부착되어 있다. 그리고, 상측 방진 네트(22)는 상측 흡기구(20E)를 통해 외장 커버(16) 내에 냉각풍이 흡입될 때에 이 냉각풍에 혼입된 먼지를 포착하는 것이다.
여기서, 상측 방진 네트(22)는 예를 들어 금속 재료 및 수지 재료 등으로 이루어지는 선재를 짜 넣음으로써 형성된 네트(23)와, 강판재 등을 이용하여 우측 상측면 커버(20)의 오목 함몰부(20B)에 대응하는 사각형의 프레임 형상으로 형성되고, 네트(23)의 외주연부를 지지하는 네트 지지 프레임(24)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네트 지지 프레임(24)의 구석부에는 오목 함몰부(20B)에 설치한 각 암나사부(20D)에 대응하는 복수의 볼트 삽통 구멍(24A, 24A, …)이 마련되고, 이들 각 볼트 삽통 구멍(24A)에 삽입 관통한 볼트(25)를 오목 함몰부(20B)의 각 암나사부(20D)에 나사 삽입함으로써 상측 방진 네트(22)는 오목 함몰부(20B)의 바닥면(20C)에 착탈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다.
이에 의해, 먼지 등을 포착함으로써 상측 방진 네트(22)의 오염 정도를 우측 상측면 커버(20)에 부착한 상태로 쉽게 점검할 수 있고, 또한 상측 방진 네트(22)가 오염되었을 때에는 우측 상측면 커버(20)를 선회 프레임(5)에 부착한 상태로 상측 방진 네트(22)만을 우측 상측면 커버(20)로부터 떼어 내어 쉽게 청소할 수 있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또한, 오목 함몰부(20B)의 바닥면(20C)은 도5에 도시한 바와 같은 우측 상측면 커버(20)의 외측면(20A)으로부터 깊이 치수(A)만큼 열교환기(11)측으로 움푹 패인 단 낮춤면을 구성하고 있으므로, 상측 방진 네트(22)를 오목 함몰부(20B) 내에 수용할 수 있어, 상측 방진 네트(22)를 유압 셔블(1)의 주위에 존재하는 장해물 등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부호 26은 우측 하측면 커버(21)의 외측면(21A)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된 하측 방진 네트로, 하측 방진 네트(26)는 도4, 도5 및 도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우측 하측면 커버(21)의 오목 함몰부(21B)에 대응하는 삼각 형상으로 형성되고, 하측 흡기구(21E)를 덮은 상태에서 오목 함몰부(21B)에 부착되어 있다. 그리고, 하측 방진 네트(26)는 하측 흡기구(21E)를 통해 외장 커버(16) 내에 냉각풍이 흡입될 때에 이 냉각풍에 혼입된 먼지를 포착하는 것이다.
여기서, 하측 방진 네트(26)는 상측 방진 네트(22)와 마찬가지로 네트(27)와 우측 하측면 커버(21)의 오목 함몰부(21B)에 대응하는 삼각형의 프레임 형상으로 형성되고, 네트(27)의 외주연부를 지지하는 네트 지지 프레임(28)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네트 지지 프레임(28)의 구석부에는 오목 함몰부(21B)에 설치한 각 암나사부(21D)에 대응하는 복수의 볼트 삽통 구멍(28A, 28A, …)이 마련되고, 이들 각 볼트 삽통 구멍(28A)에 삽입 관통한 볼트(29)를 오목 함몰부(21B)의 각 암나사부(21D)에 나사 삽입함으로써, 하측 방진 네트(26)는 오목 함몰부(21B)의 바닥면(21C)에 착탈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다.
이에 의해, 하측 방진 네트(26)의 오염 정도를 우측 하측면 커버(21)에 부착한 상태에서 쉽게 점검할 수 있고, 또한 하측 방진 네트(26)가 오염되었을 때에는 우측 하측면 커버(21)를 선회 프레임(5)에 부착한 상태에서 하측 방진 네트(26)만을 우측 하측면 커버(21)로부터 떼어 내어, 쉽게 청소할 수 있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또한, 오목 함몰부(21B)의 바닥면(21C)은 도5에 도시한 바와 같은 우측 하측면 커버(21)의 외측면(21A)으로부터 깊이 치수(B)만큼 열교환기(11)측으로 움푹 패인 단 낮춤면을 구성하고 있으므로, 하측 방진 네트(26)를 오목 함몰부(21B) 내에 수용할 수 있어 하측 방진 네트(26)를 유압 셔블(1)의 주위에 존재하는 장해물 등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유압 셔블(1)은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갖는 것으로, 이 유압 셔블(1)은 하부 주행체(2)에 의해 작업 현장까지 자가 주행한 후 상부 선회체(3)를 선회시키면서 작업 장치(4)를 굽힘 이동시킴으로써, 작업 장치(4)를 이용하여 토사의 굴삭 작업 등을 행한다.
그리고, 이 유압 셔블(1)의 가동시에 엔진(9)이 작동하여 냉각 팬(14)이 회전하면, 도4 중에 화살표 F로 나타낸 바와 같이 우측 상측면 커버(20)에 부착된 상측 방진 네트(22), 상측 흡기구(20E), 및 우측 하측면 커버(21)에 부착된 하측 방진 네트(26) 및 하측 흡기구(21E) 등을 통해 외장 커버(16) 내로 외기가 흡입되고, 이 외기가 냉각풍이 되어 열교환기(11)를 구성하는 라디에이터(12) 및 오일 쿨러(13)로 공급된다.
이에 의해, 라디에이터(12)는 엔진(9)과의 사이에서 순환하는 엔진 냉각수의 열을 방열부(12B)에서 열교환하여 냉각풍으로 방출함으로써 이 엔진 냉각수를 냉각한다. 또한, 오일 쿨러(13)는 유압 액튜에이터로부터 작동유 탱크로 환류하는 작동유의 열을 열교환하여 냉각풍으로 방출함으로써 이 작동유를 냉각한다.
이 때, 상측 방진 네트(22)와 하측 방진 네트(26)는 냉각 팬(14)에 의해 외장 커버(16) 내로 흡입되는 냉각풍(외기)에 혼입된 먼지를 포착하여, 이들 먼지가 라디에이터(12) 및 오일 쿨러(13) 등에 부착되는 것을 억제한다.
여기서, 상측 방진 네트(22) 및 하측 방진 네트(26)는 냉각풍에 섞인 먼지를 포착함으로써 오염 및 막힘 등을 발생시키므로, 오염 정도를 점검하면서 필요에 따라서 청소 작업을 행해야만 한다.
이에 대해, 본 실시 형태에 의한 유압 셔블(1)은 상측 방진 네트(22)가 우측 상측면 커버(20)의 외측면(20A)에 설치한 오목 함몰부(20B)에 볼트(25)를 이용하여 착탈 가능하게 부착되고, 하측 방진 네트(26)가 우측 하측면 커버(21)의 외측면(21A)에 설치한 오목 함몰부(21B)에 볼트(29)를 이용하여 착탈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다.
따라서, 상측 방진 네트(22)의 오염 정도는 이를 우측 상측면 커버(20)에 부착한 상태에서 외측으로부터 쉽게 점검할 수 있고, 하측 방진 네트(26)의 오염 정도는 이를 우측 하측면 커버(21)에 부착한 상태에서 외측으로부터 쉽게 점검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우측 상측면 커버(20) 및 우측 하측면 커버(21)를 선회 프레임(5)으로부터 떼어 내는 번잡한 작업을 행하는 일 없이, 상측 방진 네트(22) 및 하측 방진 네트(26)의 오염 정도를 외측으로부터 쉽게 점검할 수 있어, 이 점검 작업의 작업성을 높일 수 있다.
그리고, 상측 방진 네트(22)가 포착한 먼지 등에 의해 오염된 경우에는 선회 프레임(5)에 부착된 우측 상측면 커버(20)로부터 볼트(25)를 빼내는 것만으로, 상측 방진 네트(22)만을 우측 상측면 커버(20)로부터 용이하게 떼어 낼 수 있어, 떼어 낸 상측 방진 네트(22)를 신속하게 청소할 수 있다. 또한, 하측 방진 네트(26)가 오염된 경우에는, 선회 프레임(5)에 부착된 우측 하측면 커버(21)로부터 볼트(29)를 빼내는 것만으로, 하측 방진 네트(26)만을 우측 하측면 커버(21)로부터 쉽게 떼어 낼 수 있어, 떼어 낸 하측 방진 네트(26)를 신속하게 청소할 수 있다.
그리고, 청소한 상측 방진 네트(22)는 볼트(25)를 이용하여 쉽게 우측 상측면 커버(20)의 오목 함몰부(20B)에 부착할 수 있어, 청소한 하측 방진 네트(26)는 볼트(29)를 이용하여 쉽게 우측 하측면 커버(21)의 오목 함몰부(21B)에 부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오염된 상측 방진 네트(22) 및 하측 방진 네트(26)를 청소하는 경우에, 우측 상측면 커버(20) 및 우측 하측면 커버(21)를 떼어 내는 번잡한 작업을 행하는 일 없이, 상측 방진 네트(22) 및 하측 방진 네트(26)만을 쉽게 떼어 내어 청소할 수 있고, 또한 청소한 상측 방진 네트(22) 및 하측 방진 네트(26)만을 우측 상측면 커버(20) 및 우측 하측면 커버(21)에 부착할 수 있으므로, 이들 상측 방진 네트(22) 및 하측 방진 네트(26)를 청소할 때의 작업성을 높일 수 있다.
그리고, 청소 작업을 쉽게 행할 수 있는만큼, 상측 방진 네트(22) 및 하측 방진 네트(26)에 대한 청소가 빈번히 행해지므로, 상측 방진 네트(22) 및 하측 방진 네트(26)의 막힘 등을 억제하여 이들을 항상 청정한 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 이 결과, 외장 커버(16) 내에 대량의 냉각풍을 흡입하여 오일 쿨러(13) 및 라디에이터(12) 등에 공급하고, 작동유 및 엔진 냉각수 등을 효율적으로 냉각할 수 있으므로 유압 셔블(1)의 신뢰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상측 방진 네트(22)는 우측 상측면 커버(20)의 외측면(20A)으로부터 깊이 치수(A)만큼 열교환기(11)측으로 움푹 패인 오목 함몰부(20B)의 바닥면(20C)에 부착됨으로써 이 오목 함몰부(20B) 내에 수용되고, 하측 방진 네트(26)는 우측 하측면 커버(21)의 외측면(21A)으로부터 깊이 치수(B)만큼 열교환기(11)측으로 움푹 패인 오목 함몰부(21B)의 바닥면(21C)에 부착됨으로써 이 오목 함몰부(21B) 내에 수용되어 있다. 이에 의해, 상측 방진 네트(22) 및 하측 방진 네트(26)가 유압 셔블(1)의 주위에 존재하는 장해물 등에 간섭하는 것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어, 이들 각 방진 네트(22, 26)를 보호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외장 커버(16) 중 열교환기(11)와 대면하는 부위를 우측 상측면 커버(20)와 우측 하측면 커버(21)로 2중으로 분할하여, 우측 상측면 커버(20)에 상측 흡기구(20E)를 설치하는 동시에 우측 하측면 커버(21)에 하측 흡기구(21E)를 설치하고, 이들 상측 흡기구(20E)와 하측 흡기구(21E)를 상측 방진 네트(22)와 하측 방진 네트(26)에 의해 개별적으로 덮는 구성으로 하고 있다.
이에 의해, 상측 방진 네트(22)와 하측 방진 네트(26)를 그 오염 정도에 따라서 개별적으로 청소할 수 있어, 이들 상측 방진 네트(22) 및 하측 방진 네트(26)에 대한 청소 작업의 작업성을 한층 높일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실시 형태에서는 상측 방진 네트(22)를 우측 상측면 커버(20)에 착탈 가능하게 부착하기 위해, 우측 상측면 커버(20)의 암나사부(20D)에 나사 삽입되는 볼트(25)를 이용한 경우를 예시하고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어 도8에 도시한 변형예와 같이 볼트(25) 대신에 부착 핀(31)을 이용하는 구성으로 해도 좋다.
이 경우, 부착 핀(31)은 수지 재료 등의 가요성 재료를 이용하여 형성되고, 절결부(31A)에 의해 직경 방향으로 확장 수축 가능해진 대략 구형의 결합부(31B)를 갖고 있다. 그리고, 부착 핀(31)은 상측 방진 네트(22)의 네트 지지 프레임(24)과 우측 상측면 커버(20)의 오목 함몰부(20B)와 직경 축소시킨 결합부(31B)를 삽입 관통하여, 이 결합부(31B)가 우측 상측면 커버(20)의 내측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직경 확장함으로써, 상측 방진 네트(22)를 우측 상측면 커버(20)에 부착하는 것이다. 이에 의해, 상측 방진 네트(22)의 부착 및 제거 작업을 한층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그리고, 이 부착 핀(31)은 하측 방진 네트(26)를 우측 하측면 커버(21)에 부착하기 위해서도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실시 형태에서는 외장 커버(16) 중 열교환기(11)와 대면하는 부위에 우측 상측면 커버(20)와 우측 하측면 커버(21)를 배치하고, 우측 상측면 커버(20)에 설치한 상측 흡기구(20E)를 상측 방진 네트(22)에 의해 덮고, 우측 하측면 커버(21)에 설치한 하측 흡기구(21E)를 하측 방진 네트(26)에 의해 덮는 구성으로 하고 있다.
그러나, 이는 외관의 심미성(디자인성)을 높이는 것을 고려한 구성으로,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예를 들어 열교환기(11)와 대면하는 부위에 1매의 우측면 커버를 배치하고, 이 1매의 우측면 커버에 상하 흡기구를 설치하고, 이들 상하 흡기구를 상하 방진 네트에 의해 개별적으로 덮는 구성으로 해도 좋다. 또한, 흡기구를 상하로 분할하는 구성 대신에 1매의 우측면 커버에 큰 1개의 흡기구를 설치하고, 이 1개의 흡기구를 1개의 방진 네트로 외측으로부터 덮는 구성으로 해도 좋다.
또한, 상술한 실시 형태에서는 운전석(6)을 상방으로부터 덮는 캐노피(7)를 구비한 캐노피식 유압 셔블(1)을 예시하고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운전실을 구획하는 캡을 구비한 캡식 유압 셔블에도 적용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실시 형태에서는 건설 기계로서 바퀴 장착식 유압 셔블을 예로 들어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어 휠식 유압 셔블, 휠 로더 등의 다른 건설 기계에도 적용할 수 있다.
청구항 1의 발명에 따르면, 외장 커버의 흡기구를 통해 열교환기로 냉각풍이 흡입될 때에, 외장 커버의 외측면에 부착된 방진 네트에 의해 냉각풍에 섞인 혼입된 먼지를 포착할 수 있다. 이 경우, 방진 네트는 흡기구를 외장 커버의 외측으로부터 착탈 가능하게 덮고 있으므로, 방진 네트의 오염 정도를 점검하는 작업을 외장 커버의 외측으로부터 쉽게 행할 수 있다. 또한, 외장 커버를 프레임측에 부착한 상태에서 이 외장 커버의 외측으로부터 쉽게 방진 네트만을 떼어 낼 수 있으므로, 오염된 방진 네트를 떼어 내어 청소하는 작업을 쉽게 행할 수 있다.
청구항 2의 발명에 따르면, 외장 커버의 외측면에 열교환기를 향해 내측으로 움푹 패인 오목 함몰부를 형성하고, 이 오목 함몰부에 방진 네트를 부착하는 구성으로 하였으므로, 외장 커버의 외측면(표면)으로부터 1단 낮춘 오목 함몰부 내에 방진 네트를 배치할 수 있다. 이에 의해, 방진 네트가 외장 커버의 외측면으로부터 돌출되는 것을 확실하게 억제할 수 있어, 상기 방진 네트가 건설 기계의 주위에 존재하는 장해물 등에 간섭하여 손상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청구항 3의 발명에 따르면, 흡기구를 외장 커버의 복수 부위에 설치하고, 이들 복수 부위의 흡기구를 복수의 방진 네트에 의해 각각 개별적으로 덮는 구성으로 하였으므로, 복수의 방진 네트를 그 오염 정도에 따라서 개별적으로 청소할 수 있어, 이들 각 방진 네트에 대한 청소 작업의 작업성을 높일 수 있다.
청구항 4의 발명에 따르면, 볼트 또는 부착 핀을 이용하여 외장 커버에 방진 네트를 부착하였으므로, 청소시에 방진 네트를 외장 커버로부터 떼어 내는 작업 및 청소한 방진 네트를 외장 커버에 부착하는 작업을 쉽게 행할 수 있다.
도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유압 셔블을 도시한 정면도.
도2는 유압 셔블을 상방으로부터 본 평면도.
도3은 도1 중의 열교환기, 우측 상측면 커버, 상측 방진 네트, 우측 하측면 커버, 하측 방진 네트 등을 확대하여 도시한 확대 정면도.
도4는 열교환기, 우측 상측면 커버, 상측 방진 네트, 우측 하측면 커버, 하측 방진 네트 등을 도3 중의 화살표 IV-IV 방향으로부터 본 단면도.
도5는 도4 중의 a부를 확대하여 도시한 주요부 확대 단면도.
도6은 우측 상측면 커버 및 상측 방진 네트를 단일 부재로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7은 우측 하측면 커버 및 하측 방진 네트를 단일 부재로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8은 상측 방진 네트 및 하측 방진 네트를 부착 핀을 이용하여 부착한 변형예를 나타낸 도5와 동일한 주요부 확대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5 : 선회 프레임(프레임)
9 : 엔진
10 : 유압 펌프(유압 기기)
11 : 열교환기
12 : 라디에이터
13 : 오일 쿨러
14 : 냉각 팬
16 : 외장 커버
20 : 우측 상측면 커버
20A, 21A : 외측면
20B, 21B : 오목 함몰부
20E : 상측 흡기구
21 : 우측 하측면 커버
21E : 하측 흡기구
22 : 상측 방진 네트
26 : 하측 방진 네트
25, 29 : 볼트
31 : 부착 핀

Claims (4)

  1. 지지 구조체를 이루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에 설치된 엔진 및 엔진에 의해 구동되는 유압 펌프를 포함하는 유압 기기와, 상기 엔진의 냉각수 및/또는 유압 기기의 작동유를 냉각하는 열교환기와, 상기 엔진, 유압 기기 및 열교환기를 덮는 외장 커버와, 상기 열교환기에 공급되는 냉각풍에 섞인 먼지를 포착하는 방진 네트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건설 기계에 있어서,
    상기 외장 커버 중 열교환기와 대면하는 위치에는 냉각풍을 흡입하는 흡기구를 설치하고, 상기 방진 네트는 흡기구를 외장 커버의 외측으로부터 착탈 가능하게 덮는 구성으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 기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장 커버의 외측면에는 열교환기를 향해 내측으로 움푹 패인 오목 함몰부를 형성하고, 상기 흡기구는 오목 함몰부에 뚫어 설치하고, 상기 방진 네트는 흡기구를 덮은 상태에서 오목 함몰부에 부착하는 구성으로 하여 이루어지는 건설 기계.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흡기구는 외장 커버의 복수 부위에 설치하고, 상기 방진 네트는 이들 복수 부위의 흡기구를 개별적으로 덮는 복수의 방진 네트에 의해 구성되어 이루어지는 건설 기계.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방진 네트는 외장 커버에 대해 볼트 또는 부착 핀을 이용하여 착탈 가능하게 부착하는 구성으로 하여 이루어지는 건설 기계.
KR1020040109236A 2004-04-20 2004-12-21 건설 기계 KR10062982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4124586A JP4550476B2 (ja) 2004-04-20 2004-04-20 建設機械
JPJP-P-2004-00124586 2004-04-2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02045A true KR20050102045A (ko) 2005-10-25
KR100629822B1 KR100629822B1 (ko) 2006-09-29

Family

ID=353460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109236A KR100629822B1 (ko) 2004-04-20 2004-12-21 건설 기계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4550476B2 (ko)
KR (1) KR100629822B1 (ko)
CN (1) CN100408767C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763561B2 (ja) * 2005-11-10 2011-08-31 日立建機株式会社 建設機械
JP4343900B2 (ja) * 2005-12-26 2009-10-14 日立建機株式会社 建設機械
JP4270239B2 (ja) * 2006-08-11 2009-05-27 コベルコ建機株式会社 建設機械
JP4710781B2 (ja) * 2006-09-29 2011-06-29 コベルコ建機株式会社 フィルタの取付構造及びこれを備えた建設機械
JP4703538B2 (ja) * 2006-10-31 2011-06-15 日立建機株式会社 浚渫船
JP5083903B2 (ja) * 2008-08-13 2012-11-28 キャタピラー エス エー アール エル ドアパネル
JP5459485B2 (ja) * 2010-01-25 2014-04-02 コベルコ建機株式会社 建設機械のガードパネル
CN102505725A (zh) * 2011-10-24 2012-06-20 徐州徐工挖掘机械有限公司 一种用于挖掘机的发动机安装固定结构
JP5700569B2 (ja) * 2012-05-11 2015-04-15 日立建機株式会社 ミニショベル
JP6058448B2 (ja) * 2013-03-28 2017-01-11 住友建機株式会社 建設機械
JP6338821B2 (ja) * 2013-03-28 2018-06-06 住友建機株式会社 建設機械
JP6305753B2 (ja) * 2013-12-17 2018-04-04 住友建機株式会社 建設機械の防塵ネット取付構造
JP2015140633A (ja) * 2014-01-30 2015-08-03 コベルコ建機株式会社 建設機械
JP6690856B2 (ja) * 2016-03-15 2020-04-28 株式会社クボタ 防塵部材を備えた作業機
JP6662218B2 (ja) * 2016-06-29 2020-03-11 コベルコ建機株式会社 作業機械
CN110409535B (zh) * 2019-06-28 2022-02-11 三一重机有限公司 防尘网组件、舱门及工程机械
CN110965600B (zh) * 2019-11-04 2021-10-22 福建北仑建设发展有限公司 一种带有防护结构的隧道挖掘设备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119428U (ko) * 1986-01-22 1987-07-29
JPH1178987A (ja) * 1997-09-05 1999-03-23 Kanzaki Kokyukoki Mfg Co Ltd トラクタの原動部構造
JPH1182055A (ja) * 1997-09-10 1999-03-26 Hitachi Constr Mach Co Ltd 建設機械のエンジンルームカバー
JP3508844B2 (ja) * 2000-03-30 2004-03-22 コベルコ建機株式会社 建設機械の冷却風通風部構造
JP4077239B2 (ja) * 2002-05-01 2008-04-16 日立建機株式会社 建設機械の熱交換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5307521A (ja) 2005-11-04
CN100408767C (zh) 2008-08-06
KR100629822B1 (ko) 2006-09-29
CN1690318A (zh) 2005-11-02
JP4550476B2 (ja) 2010-09-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29822B1 (ko) 건설 기계
EP1903149B1 (en) Construction machine
JP6454142B2 (ja) 建設機械
US8006991B2 (en) Construction machine
JP4643511B2 (ja) 建設機械
JP6488218B2 (ja) 作業機
JP2014080828A (ja) 建設機械
JP6012760B2 (ja) 建設機械
JP2006242077A (ja) 建設機械の熱交換装置
US9988790B2 (en) Working machine
JP4430467B2 (ja) 建設機械の冷却装置
JP6913660B2 (ja) 建設機械
JP5484917B2 (ja) 建設機械
JP6912420B2 (ja) 建設機械
JP4287845B2 (ja) 建設機械
JP5456492B2 (ja) 建設機械
JP4885787B2 (ja) 建設機械
JP6063338B2 (ja) 建設機械
JP2004251246A (ja) 建設機械
JP5699066B2 (ja) 建設機械
JP2020157895A (ja) 作業車両
JP4061063B2 (ja) 建設機械
JP2019027197A (ja) 建設機械
JP2003155932A (ja) 建設機械
JP2008111280A (ja) 浚渫船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0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0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0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19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18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23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04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29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