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88135A - 직물을 동시에 처리하는 장치와 방법 - Google Patents

직물을 동시에 처리하는 장치와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88135A
KR20050088135A KR1020057011709A KR20057011709A KR20050088135A KR 20050088135 A KR20050088135 A KR 20050088135A KR 1020057011709 A KR1020057011709 A KR 1020057011709A KR 20057011709 A KR20057011709 A KR 20057011709A KR 20050088135 A KR20050088135 A KR 2005008813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bric
area
mask
treatment
hea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70117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야니끄 레이
미셸 깔론느
마르끄 쥬느보이
아그네 쎄르피용
Original Assignee
사라 리 코오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사라 리 코오포레이션 filed Critical 사라 리 코오포레이션
Publication of KR200500881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88135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HAPPLIANCES OR METHODS FOR MAKING CLOTHES, e.g. FOR DRESS-MAKING OR FOR TAILOR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41H43/00Other methods, machines or appliances
    • A41H43/02Handling garment parts or blanks, e.g. feeding, piling, separating or reversing
    • A41H43/0228Separating from pile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HAPPLIANCES OR METHODS FOR MAKING CLOTHES, e.g. FOR DRESS-MAKING OR FOR TAILOR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41H43/00Other methods, machines or appliances
    • A41H43/02Handling garment parts or blanks, e.g. feeding, piling, separating or reversing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CCORSETS; BRASSIERES
    • A41C5/00Machines, appliances, or methods for manufacturing corsets or brassier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Treatment Of Fiber Materials (AREA)
  • Chemical Or Physical Treatment Of Fibers (AREA)
  • Corsets Or Brassieres (AREA)
  • Tyre Mould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적어도 하나의 제1표면과 이 제1표면에 인접한 하나의 제2표면을 구비하는 유연하고 다공성인 직물(6)을 처리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 이러한 처리는 제1표면이 아닌 제2표면에서 이루어지고, 상기 제1표면에 상응한 형상을 갖고서 구멍이 없으며 이동가능한 마스크(18)를 구비하여 상기 직물(6)을 놓도록 된 출발영역 및 도달영역과, 처리수단을 구비한 처리영역 및, 출발영역과 처리영역 및 도달영역 사이로 이동할 수 있으며 상기 마스크(18)에 상응한 형상을 가진 흡입플레이트(30)를 갖춘 픽업헤드를 구비하고 있다.

Description

직물을 동시에 처리하는 장치와 방법{MANIPULATION AND TREATMENT METHOD AND DEVICE FOR SIMULTANEOUS TRANSFORMATION OF PIECES OF TEXTILES}
본 발명은 직물, 독점적이지는 않지만 특히 예컨대 브래지어와 같은 여성 속옷에 사용되는 유형의 직물을 처리하는 장치와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질적으로 여성 속옷에 사용되는 것과 같이 섬세하고 다공성이 매우 큰 직물이 관련될 때 직물섬유는 통상적으로 유연하기 때문에, 제조공정을 자동화하기가 매우 복잡한바, 장치가 절단 또는 재봉과 같은 처리부의 앞에서 바로 정밀하고 재연가능하게 직물을 집어올리고 배치하는 것과, 처리하는 동안 적소에 이 직물을 보유지지하는 것이 매우 어렵다.
이러함에도 불구하고, 직물을 처리하는 다양한 방법과 장치가 제안되었는데, 일반적으로 이러한 처리는 정밀함이 떨어지고, 이동하고 집어올리는 것이 제한되며, 어떤 경우에는 직물을 완전히 자동화된 공정으로 처리할 수 있었으나 이는 비교적 작고 상당히 딱딱하며 다공성이 크지 않은 섬유에 관련된 것이었다.
리바이 스트라우스(Levi Strauss)의 미국 특허 제5535997호에는, 더미의 상부직물 한끝을 들어올려 컨베이어벨트 위로 이송할 수 있는 흡입디스크를 이용하여서 상기 더미로부터 데님섬유를 떼어내는 공정이 설명되어 있다. 분명히 이러한 방법은 여성 속옷에 사용되는 매우 가볍고 다공성이 매우 큰 직물에서는 불가능하다.
미국 특허 제5238237호는 흡입테이블에 다공성 직물을 보유지지하고, 상기 흡입테이블보다 큰 흡입력을 가진 공압장치 또는 바느질장치를 이용하여 직물을 집어올리는 것을 설명하고 있다.
사라 리(Sara Lee)의 미국 특허 제5165355호 및 동 제5040475호에는, 직물의 더미로부터 하나의 직물을 집어올려 다른 공정으로 멀리 보내는 공압시스템을 이용하여서, 타이츠를 제조하도록 된 직물을 위한 복잡한 처리장치가 설명되고 있다.
더 패시픽 던롭(The Pacific Dunlop)의 미국 특허 제4896618호도, 주름을 잡고 편 후에 재봉부로 직물을 이송하는 다양한 장치에 상기 직물을 올려놓기 위해서, 팬티를 제조하도록 된 직물을 위한 탄성스트립을 집어올리는 흡입수단의 사용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이러한 방법은 흡입에 의해 집어올려질 수 있고 더구나 상이한 형상 및 크기로 용이하게 적용될 수 없는 탄성스트립을 필요로 하기 때문에, 아주 특수하고 단일한 유형의 의복에만 한정된다.
미국 특허 제4756261호는 보다 흥미로운데, 이는 직물이 예컨대 재봉되는 것과 같이 처리될 작업부에 도달할 때까지 정확한 방위로 직물을 설정하고 이를 집어올리며 상기 방위를 유지한 채로 로봇아암을 이용하여 이송시키는 것에 대한 정보를 제공한다. 상기 로봇아암에는 직물을 집어올려 이동시키기 위해서 특수하게 적용된 구멍들을 통해 매우 정확한 진공작용(대략 0.2기압)을 가하는 흡입플레이트를 갖춘 파지헤드가 설치되어 있다. 전술된 미국 특허 제5535997호의 경우에서와 같이, 이 때문에 셔츠나 바지의 주머니로 되는 데님섬유를 들어올리고 이송시키는 것은 이루어질 수 있지만, 여성 속옷을 위해 사용되는 것과 같은 다공성이 매우 큰 직물에 대해서는 이 장치를 사용할 수 없다.
미국 특허 제4498404호에 동일한 관찰이 적용될 수 있는데, 음(-)압 또는 양(+)압을 가할 수 있는 압력수단에 연결되고서 그 위에 직물이 놓일 수 있는 구멍이 뚫린 테이블과, 흡입플레이트를 갖추어서 다른 제2직물을 집어올려 제1직물의 상부에 놓은 다음 재봉부로 이들 두 겹쳐진 직물을 이송시키는 조정아암을 설명하고 있다.
결국 상기한 모든 특허는, 아주 가볍고 매우 유연한 직물과 때에 따라서는 레이스로 제조되는 여성 속옷의 경우가 아닌 데님옷의 경우일 때, 직물이 다공성이 크지 않은 한 흡입플레이트를 이용하여 직물을 처리하는 것이 이루어질 수 있음을 나타내고 있다.
이들 섬유에 대해서, 예컨대 프랑스 특허 제2820290호에 기술된 바와 같이 다른 접근방법이 시도되었는 바, 상기 특허는 고온 캘린더가공(hot calendering)을 이용하여 예컨대 실리콘으로 코팅된 종이와 같은 지지시트에다 직물을 부착함으로써 일시적으로 딱딱하게 하는 방법을 이용해서 매우 유연한 직물을 절단하는 방법을 설명하고 있다. 또한, 예컨대 딱딱하게 하는 제품의 용탕에 직물을 통과시키거나 얼림으로써 고정시키는, 직물을 일시적으로 딱딱하게 하는 다른 방법도 제안되었다. 이 모든 경우에는, 비용이 추가되고서 일시적으로 딱딱하게 된 것을 제거해 야 하는 단계 때문에 이중으로 되는 보완단계를 추가하는 것이 수반된다. 더구나, 상기 딱딱하게 하는 방법은 여성 속옷에 사용될 수 있는 레이스와 같은 아주 섬세한 섬유에 대해 나쁜 영향이 없지 않아서, 이들 방법은 이 분야에 실제로 적합하지 않다.
그러므로, 실제 만족스러운 방법이 발견되지 않았기 때문에 여성 속옷과 같은 가벼운 직물의 제조에는 여전히 수작업이 필요하고 이에 따라 비싸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장치를 이용한 설비의 측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장치의 출발영역에 있는 추출트레이의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추출트레이에 놓인 브래지어 예비형성체의 위치를 나타낸 상세도이다.
도 4는 조정로봇아암의 끝에 있는 흡입플레이트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2에 도시된 추출트레이 위의 예비형성체를 집어올리도록 위치된 흡입플레이트를 위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6은 추출트레이에서 만곡부를 형성하도록 위치된 예비형성체의 단면을 도시한 개략도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직물, 특히 여성 속옷에 사용되는 유형의 직물을 처리하는 자동화된 장치를 제공함으로써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는 데에 있다.
본 발명은 적어도 하나의 제1표면과 이 제1표면에 인접한 제2표면을 구비하는 유연하고 다공성인 직물을 처리하는 방법을 통해 이 목적을 성취하는바, 이러한 처리는 제1표면이 아닌 제2표면에서 이루어지고, 상기 방법은 직물이 출발영역에 놓이는 단계와; 흡입플레이트를 구비하고서 이동가능한 픽업헤드가 직물 위로 보내어지는 단계; 처리수단을 구비한 처리영역으로 픽업헤드가 직물을 이송하는 단계; 제2표면에 처리가 이루어지고 직물이 여전히 픽업헤드에 의해 보유지지되되, 제2표면을 처리하는 데에 필요한 처리수단과 직물 사이의 상대운동이 픽업헤드의 위치 또는 처리수단의 위치를 변경시킴으로써 일어나는 단계; 픽업헤드가 직물을 처리영역으로부터 이동시켜 도달영역으로 보내고 직물을 놓는 단계 및; 직물이 도달영역으로부터 제거되는 단계;로 구성되는데,
이 방법은 제1표면에 상응한 형상을 갖고서 구멍이 없으며 이동가능한 마스크가 이미 출발영역의 적소에 설치되어 있고; 마스크에 상응한 형상의 흡입플레이트를 갖추고서 이동가능한 픽업헤드가 직물 위에 위치되며; 상기 처리수단을 구비한 처리영역으로 픽업헤드가 직물과 마스크를 이동시키고; 제2표면에 처리가 이루어지고 직물과 마스크가 여전히 픽업헤드에 의해 보유지지되며; 픽업헤드가 처리영역으로부터 직물과 마스크를 이동시켜 도달영역으로 보내고 이들을 거기에 놓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이동가능한 마스크로 인해, 심지어 레이스와 같은 다공성이 큰 섬유에서 직물을 집어올릴 수 있게 된다. 이 마스크는 픽업헤드의 흡입작용과 상호작용하여 제1표면을 보유지지할 수 있게 한다. 마스크는 제1표면에 인접한 제2표면에서의 예컨대 절단이나 재봉과 같은 처리를 방해하지 않는다. 마스크와 제1표면 사이 그리고 마스크와 흡입플레이트 사이의 상응한 형상에 의해, 제1표면의 형상은 제2표면의 형상에 전체적으로 포함되거나 이와 동일하게 되어, 한편으로 마스크는 제1표면의 경계를 지나 삐져 나오지 않고 제2표면에 적용될 처리를 방해하지 않으며, 다른 한편으로는 흡입플레이트(또는 적어도 그 활성흡입부)가 마스크의 경계 내에서 직물에 적용되고, 이 때문에 "비어있는 공간"으로 마스크의 경계 밖에서 흡입이 일어나지 않고 동시에 마스크를 들어올림으로써 직물을 상승시켜 이송할 수 있다.
마스크는 그 다공성에 관계없이 섬유의 접착을 극대화시키고, 작업표면의 임의의 흡입효과를 방지하며, 처리된 제품의 더럽힘을 피할 수 있는 장점을 제공한다.
바람직하기로, 제1표면은 내부면이고 제2표면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제1표면을 둘러싸는 경계면이다. 어떤 직물은 바람직하기로 제1표면이 별개의 여러 부분들로 구성되고서 역시 별개의 부품들로 구성된 흡입플레이트에 의해 집어올려지는 것이 가능하다.
바람직하기로, 도달영역은 출발영역과 같거나, 적어도 다른 출발영역으로 이용되어 처리작업 후 해제된 마스크가 다음 사이클의 이어지는 공정에 이용될 수 있는 영역으로 된다.
또한, 본 발명은 전술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을 실행하는 데에 적용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 이 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제1표면과 이 제1표면에 인접한 하나의 제2표면을 구비하는 유연하고 다공성인 직물을 처리하는 데에 이용되며, 이러한 처리는 제1표면이 아닌 제2표면에서 이루어지고, 상기 장치는 직물을 배치하기 위한 출발영역 및 도달영역과, 처리수단을 구비한 처리영역 및, 출발영역과 처리영역 및 도달영역 사이로 이동할 수 있는 흡입플레이트를 갖춘 픽업헤드를 구비하되,
상기 출발영역은 제1표면에 상응한 형상을 갖고서 구멍이 없으며 이동가능한 마스크를 구비하고, 이동가능한 픽업헤드가 이 마스크에 상응한 형상을 가진 흡입플레이트를 갖추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바람직하기로, 출발영역 또는 도달영역은 공간에 의해 분리된 2개의 절반트레이로 형성된 상부면을 갖추어, 직물의 크기변화에 따라 보정하는 만곡부에 의해 직물을 위치시킬 수 있다.
바람직하기로, 출발영역 또는 도달영역은 적어도 하나의, 바람직하기로는 2개의 추출트레이를 구비하여, 작업자 또는 장치가 바람직하기로 폐쇄될 수 있는 실제 처리영역 외부에 직물을 준비할 수 있게 한다.
바람직하기로, 픽업헤드는 2개의 별도의 부품으로 구성된 흡입플레이트를 구비한다.
바람직하기로, 픽업헤드는 직물을 처리하는 데에 필요한 모든 운동을 이행할 수 있는 다축로봇에 의해 이동된다.
본 발명에 따른 장치는 처리되는 직물의 임의의 변화에 대해 큰 유연성과 적용가능성을 갖고 있음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추출트레이와 픽업헤드는 처리될 직물의 유형에 따라 특정하게 되도록 쉽게 변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장점과 특징은 첨부도면을 참조로 하여 아래의 설명으로부터 명확하게 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개략도를 도시하는바, 폐쇄될 수 있는 캐빈(1)의 내부에 6개의 프로그램가능한 축을 갖춘 처리로봇(2)을 구비하고, 여기에 조인트(5)에 관절이음된 아암(3)이 픽업헤드(4)를 갖고 있다. 이 픽업헤드(4)는 이동하여 추출트레이(7) 위에 배치된 브래지어 예비형성체(6)를 발견하고 집어올려 처리수단(9)으로 처리하기 위해 작업대(8)로 이송한 다음, 처리 후 동일한 추출트레이(7)로 되돌려보낸다. 작업대는 픽업헤드(4)가 브래지어 예비형성체(6)를 보내게 될 연속적인 처리를 위한 다중작업부의 수에 따라 여럿으로 될 수 있다. 특히 이들은 예컨대 원하는 형상으로 정확히 예비형성체(6)의 경계(10)를 절단할 수 있는 초음파디스크를 이용하는 절단부로 될 수 있다.
바람직하기로 마스크 적재시간을 제공하기 위해서, 적어도 2개의 추출트레이(7)가 나란히 또는 겹쳐서 놓이게 되어, 작업자가 한쪽 트레이에 올려놓을 수 있는 한편, 다른쪽 트레이에는 로봇에 의해 내려놓거나 다시 올려놓을 수 있다. 각각의 추출트레이(7)는, 도 1에서 실선으로 표시된 바와 같이 직물의 출발영역과 도달영역 모두를 구성하는 그 상부면(11)이 전체적으로 캐빈(1)의 내부에 위치되고 로봇(2)으로 접근할 수 있는 폐쇄위치와 더불어, 도 1에서 점선으로 표시되고서 그 상부면(11)이 캐빈(1)의 외부에 있어 올려놓거나 내려놓기 위해 작업자 또는 외부로봇으로 접근할 수 있는 개방위치를 취할 수 있다. 추출트레이(7)는 미끄럼시스템에 장착되고, 손잡이(12)를 이용하여 빼낼 수 있다. 그 상부면(11)은 2개의 절반트레이(13)로 구성되어 있는데, 추출트레이(7)의 중간축(XX)에 대해 대칭이고, 중앙의 지지횡단바아(15)에 의해 중간이 점유된 공간(12)으로 분리되어 있다. 절반트레이(13)와 중앙의 지지횡단바아의 정확한 위치는 처리될 직물에 따라 트레이에서 변경될 수 있으며, 추출트레이(7)의 상부프레임(17)에 나사(16)와 같은 수단을 이용하여 고정될 수 있다.
예컨대 아주 미세한 중공부(19,19',19")에 의해 형성된 작은 만입부로 그 구획이 절반트레이(13)에 표시된 추출트레이는 동시에 다수의 예비형성체(6,6',6")를 받아들일 수 있다. 각각의 만입부는 카드보드 또는 플라스틱과 같은 비교적 반강체이면서 구멍이 없는 재료로 형성된 동일한 형상의 마스크(18,18',18")가 정확히 위치될 수 있게 하여서, 절반트레이(13)의 나머지 부분과 같은 표면과 밀접히 접촉되게 된다. 이들 마스크(18,18',18")는 그 상응한 만입부에 고정시키지 않고서 간단히 놓일 수 있다. 반강체라는 용어는 무엇보다도 마스크(18)가 어떤 경도를 갖고 있어 용이하게 처리될 수 있으면서, 여전히 그 평탄한 양상을 유지하여 작업대(8)로 쉽게 미끄럼이동될 수 있게 해야 하는 것을 나타낸다. 마스크(18)와 흡입플레이트 사이에 끼워져 집어 올려진 예비형성체(6)를 상승시키기 위해서 강성이 반드시 필요한 것은 아니다. 반대로, 마스크가 삽입된 보닝(boning)과 같이 예비형성체(6)에 부조로 어떤 부분에 완전히 적용되도록 하는 데에는 유연성이 유용하다.
브래지어 예비형성체(6)가 작업자에 의해 추출트레이(7)의 적소에 놓일 때, 이 위치에 구비된 2개의 마스크(18)를 덮어씌우게 된다. 이 단계에서, 예비형성체(6)는 예컨대 미리 결정된 정확한 방위로 놓이게 하고 이 특정한 방위에 적당한 공정을 위해 안내하는 기준으로 사용되는 보닝(20)이 미리 삽입된 편평한 직물로 이루어진다. 이를 성취하기 위해서, 캐빈의 앞에는 개방된 추출트레이(7)의 상부면에 예컨대 직각인 선들(23,24)과 같은 광선을 투사하는 레이저비임(22)을 위한 투사수단(21)이 설치되어 있다. 직각인 선(24)과 트레이의 축(XX)과 일치하는 선(23)은 작업자에게 안내부로 작용하여, 보닝(20)에 대해 미리 결정된 위치에 예비형성체를 위치시키는데, 보닝은 선(23)에 대해 대칭이면서 선(24)에 대해 접하도록 위치된다. 이 위치에서, 예비형성체(6)는 그 일부(27:직물의 처리되지 않은 제1표면을 구성하는)에 의해 마스크(18)를 덮어씌우되, 한편으로 선단(25:직물의 이전에 처리된 제2표면을 구성하는)을 따라 삐져 나오며, 다른 한편으로 마스크에 위치되지 않은 전체 중앙부(26)를 차지하고 있다. 이들 모든 부분(25,26) 또는 단지 가장자리의 선단(25)은 예컨대 절단 또는 재봉작업으로 나중에 처리될 수 있다.
처리될 직물의 유형에 따라 상기 중앙부(26)는 도시된 바와 같이 평탄하게 남아 있을 수 있거나, 2개의 절반트레이(13)와 중앙의 지지횡단바아(15) 사이에 구비된 공간(14)의 만곡부에 부분적으로 빠져 남아 있을 수 있다. 예비형성체(6)가 중간의 공간(14)에서 만곡부(34)를 형성하도록, 단지 절반트레이(13)들로 지지된 것으로 도시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앙의 지지횡단바아(15)가 제거될 수도 있다. 이 만곡부(34)는 특히 제어하기가 항상 쉽지 않은 크기 및 형상변화를 일으키는 열처리(예컨대 열접착)와 같은 예비형성체의 제조 및 초기의 처리동안 상이한 원인으로 일어날 수 있는 예비형성체(6)의 크기변화와 관계된다는 점 때문에 바람직한데, 만곡부(34)로 인해 예비형성체(6)의 측부는 추출트레이(7)의 신중하게 표시된 부분에 놓이게 되고, 픽업헤드(4)에 의해 집어올려지면 미리 선택된 정확한 처리를 받게 된다.
로봇의 픽업헤드(4)는 이 로봇의 아암(3)의 끝에 부착된 중앙아암(31)으로 이동되는 2개의 대칭적인 흡입플레이트(30)를 구비하여, 정확한 중간간격이 조절가능한 고정시스템(32)을 이용하여 조절될 수 있다. 흡입플레이트(30)의 형상은 실제로 마스크(18)의 형상과 동일하고, 이 경우에는 가늘고 긴 삼각형에 가깝다. 경계 주위의 흡입구멍(32)의 열로 형성된 흡입플레이트(30)의 활성부는 마스크(18,18',18")에 따른 형상을 형성한다. 흡입구멍(32)은 로봇의 아암(3)의 이동을 따르는 유연한 호스(33)를 통해 도면에 도시되지 않은 진공시스템에 연결된다.
이 장치의 작동은 다음과 같은 방식으로 이루어진다.
마스크를 씌우는 시간동안, 로봇(2)은 이전 예비형성체(6)의 묶음을 처리하는 한편, 작업자 또는 장치가 개방된 추출트레이(7) 위에, 그 중공부(19,19',19")에 정확히 배치된 마스크 위에다 레이저안내용 선들(23,24)을 이용하여 정확히 3개의 예비형성체(6,6',6")를 놓는다. 추출트레이(7)는 그 후에 폐쇄된다.
로봇(2)이 폐쇄된 추출트레이(7) 위에 있는 제1예비형성체(6)에 도달하여, 먼저 이 제1예비형성체(6)의 마스크(18) 위로 정확히 그 헤드의 흡입플레이트(30)를 위치시킨다. 이어서, 흡입작용이 이루어지는 바(이 경우에, 흡입구멍(31)을 차단하는 밀봉된 마스크로 인해 실질적으로 누출이 없기 때문에, 약한 흡입작용으로 된다), 제1예비형성체(6)는 마스크와 흡입플레이트 사이에 샌드위치되어 집어올려져서, 임의의 처리부로 이송될 수 있으며, 전체 공정동안 픽업헤드(4)에 의해 계속적으로 적소에 보유지지되게 된다. 로봇의 이동은 직물이 적당한 방식으로 처리수단(9)에 있도록 하기 위해 처리수단(9)의 이동과 상호작용한다. 필요하면, 로봇(2)은 흡입작용으로 보유지지되지 않는 제1예비형성체(6)의 부분, 특히 마스크의 경계 밖의 가장자리의 선단(25)에 관성력을 통한 예정된 이동을 일으키기 위해서 집어올려진 예비형성체를 재빨리 이동시킬 수 있어, 처리수단(9) 아래에 용이하게 위치되게 한다. 그 후에, 여전히 픽업헤드(4)와 마스크(18)에 의해 적소에 보유지지된 제1예비형성체(6)는 처리수단(9)으로 나아가는데, 마스크(18:작업면의 재료에 비해 낮은 마찰도를 가진 재료로 형성된) 때문에 처리수단(9)의 작업대(8) 위로 어떤 어려움 없이 더렵혀지지 않고서 미끄럼 이동될 수 있다. 바람직하기로, 모든 폐기물(예컨대 절단작업에서 나온)은 즉시 흡입되어 처리수단(9)으로부터 배출된다. 다음으로, 로봇은 추출트레이(7) 위에 처리된 예비형성체를 되돌려놓고 다음 예비형성체 쪽으로 이동한다.
처리된 예비형성체는 작업자 또는 다른 로봇에 의해 추출트레이(7)로부터 제거되는데, 마스크(18)는 중공부에 남아 있거나, 픽업로봇이 사용된다면 다른 마스크가 추출트레이(7)의 중공부에 놓이게 된다.
그 후에, 처리된 예비형성체는 최종 제품을 완성하기 위해, 예컨대 컵의 열성형과 어깨끈의 부착 등과 같은 뒤의 최종 제조단계로 나아간다.

Claims (9)

  1. 적어도 하나의 제1표면(27)과 이 제1표면(27)에 인접한 제2표면(25)을 구비하는 유연하고 다공성인 직물(6)을 처리하되, 이러한 처리는 제1표면(27)이 아닌 제2표면(25)에서 이루어지고,
    상기 직물(6)이 출발영역(11)에 놓이는 단계와; 흡입플레이트(30)를 구비하고서 이동가능한 픽업헤드(4)가 직물(6) 위로 보내어지는 단계; 처리수단(9)을 구비한 처리영역(8)으로 픽업헤드(4)가 직물(6)을 이송하는 단계; 상기 제2표면(25)에 처리가 이루어지고 직물(6)이 여전히 픽업헤드(4)에 의해 보유지지되되, 제2표면(25)을 처리하는 데에 필요한 처리수단(9)과 직물(6) 사이의 상대운동이 픽업헤드(4)의 이동 또는 처리수단(9)의 이동으로 일어나는 단계; 상기 픽업헤드(4)가 직물(6)을 처리영역(8)으로부터 집어올려 도달영역(11)으로 보내고 직물을 놓는 단계 및; 직물(6)이 도달영역(11)으로부터 제거되는 단계;로 구성되는 직물의 처리방법에 있어서,
    이 방법은 제1표면(27)에 상응한 형상을 갖고서 구멍이 없으며 이동가능한 마스크(18)가 이미 출발영역(11)에 위치되어 있고; 상기 마스크(18)와 상응한 형상의 흡입플레이트(30)를 갖추고서 이동가능한 픽업헤드(4)가 직물(6) 위로 이동하며; 상기 처리수단(9)을 구비한 처리영역(8)으로 픽업헤드(4)가 직물(6)과 마스크(18)를 이동시키고; 상기 제2표면(25)에 처리가 이루어지고 직물(6)과 마스크(18)가 여전히 픽업헤드(4)에 의해 적소에 보유지지되며; 상기 픽업헤드(4)가 처리영역(8)으로부터 직물(6)과 마스크(18)를 집어올려 도달영역(11)으로 보내고 이들을 거기에 놓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물의 처리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표면(27)은 내부면이고, 상기 제2표면(25)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제1표면(27)을 둘러싸는 가장자리 선단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물의 처리방법.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도달영역(11)은 다음 싸이클 동안 출발영역(11)으로 이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물의 처리방법.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는 절단가공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물의 처리방법.
  5. 적어도 하나의 제1표면(27)과 이 제1표면(27)에 인접한 하나의 제2표면(25)을 구비하는 유연하고 다공성인 직물(6)을 처리하되, 이러한 처리는 제1표면(27)이 아닌 제2표면(25)에서 이루어지고,
    상기 직물(6)을 놓기 위한 출발영역(11) 및 도달영역(11)과, 처리수단(9)을 구비한 처리영역(8) 및, 출발영역(11)과 처리영역(8) 및 도달영역(11) 사이로 이동할 수 있는 흡입플레이트(30)를 갖춘 픽업헤드(4)를 구비한 직물의 처리장치에 있어서,
    상기 출발영역(11)은 제1표면(27)에 상응한 형상을 갖고서 구멍이 없으며 이동가능한 마스크(18)를 구비하고,
    상기 이동가능한 픽업헤드(4)가 이 마스크(18)에 상응한 형상을 가진 흡입플레이트(30)를 갖추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물의 처리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출발영역 또는 도달영역(11)은 공간(12)으로 분리된 2개의 절반트레이(13)로 구성된 상부면을 갖추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물의 처리장치.
  7. 제5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출발영역 또는 도달영역(11)은 적어도 하나의 추출트레이(7)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물의 처리장치.
  8. 제5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픽업헤드(4)는 2개의 별도의 부품으로 구성된 흡입플레이트(30)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물의 처리장치.
  9. 제5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픽업헤드(4)는 다축로봇(2)으로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물의 처리장치.
KR1020057011709A 2002-12-30 2003-12-29 직물을 동시에 처리하는 장치와 방법 KR20050088135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R02/16869 2002-12-30
FR0216869A FR2849353B1 (fr) 2002-12-30 2002-12-30 Procede et dispositif de manipulation et de traitement pour transformation simultanee de pieces textile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88135A true KR20050088135A (ko) 2005-09-01

Family

ID=324802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7011709A KR20050088135A (ko) 2002-12-30 2003-12-29 직물을 동시에 처리하는 장치와 방법

Country Status (11)

Country Link
US (1) US8060998B2 (ko)
EP (1) EP1589841B1 (ko)
JP (1) JP2006512489A (ko)
KR (1) KR20050088135A (ko)
CN (1) CN1731940A (ko)
AT (1) ATE416640T1 (ko)
AU (1) AU2003303613A1 (ko)
CA (1) CA2512093C (ko)
DE (1) DE60325274D1 (ko)
FR (1) FR2849353B1 (ko)
WO (1) WO2004060092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96958B1 (ko) * 2020-04-29 2021-01-04 (주)이로운 마스크 조립체의 제조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870682B1 (fr) * 2004-05-28 2006-09-01 Lee Sara Corp Procede et dispositif de traitement, notamment de decoupe, de piece textile souple en forme, en particulier de soutien-gorge
US20120072004A1 (en) * 2005-12-23 2012-03-22 Jorge Lopez-Carrasco Picado Automatic mould stripping system
ES2293810B1 (es) * 2005-12-23 2009-02-01 Airbus España, S.L. Sistema de desmoldeo automatico.
DE102007057225B4 (de) * 2007-11-28 2009-10-22 Bremer Werk für Montagesysteme GmbH Vorrichtung zum pneumatischen Aufnehmen eines flächigen Gegenstands
NL1036870C2 (nl) * 2009-04-17 2010-10-19 Ten Cate Itex B V Inrichting voor het door middel van weven vervaardigen van een vezelmat.
ES2470840B1 (es) * 2012-11-23 2015-03-31 Industrias Deltavigo S.L. Sistema de manipulación de tejidos porosos
CN104223551B (zh) * 2014-09-25 2016-01-20 杰克缝纫机股份有限公司 布料分离装置
CN104674537B (zh) * 2015-03-27 2017-02-01 苏州大学 一种复杂形状织物的空间裁剪装置及方法
JP6854592B2 (ja) * 2016-04-28 2021-04-07 Juki株式会社 縫製システム
US11331812B2 (en) 2019-10-09 2022-05-17 Michel St-Amand Robotic manipulation of fabric pieces using a dropping-roller-type picker
CN112841777A (zh) * 2021-01-22 2021-05-28 仙桃市宏伟无纺布制品有限公司 医用防护服及其制备方法

Family Cites Families (2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996385A (en) * 1932-03-15 1935-04-02 Pittsburgh Plate Glass Co Clamp for glass
US3036537A (en) * 1957-04-09 1962-05-29 Marcus I Breier Materials handling method
US3117815A (en) * 1963-02-07 1964-01-14 Vacuum Concrete Corp Of Americ Vacuum lifter
US3289860A (en) * 1964-06-09 1966-12-06 Dean Res Corp System for handling stacked sheets
US3531107A (en) * 1967-02-28 1970-09-29 Ivanhoe Research Corp Methods and apparatus for automatically registering fabric workpieces
US3539216A (en) * 1968-01-11 1970-11-10 Sprague Electric Co Pickup device
US3588091A (en) * 1968-11-08 1971-06-28 Stone Mfg Co Apparatus and method for picking up and transporting cloth pieces from a stack
CH536770A (de) * 1971-04-23 1973-05-15 Vidosa S A Vorrichtung zum Entstapeln von Blechfolien und/oder Blechtafeln
US3788505A (en) * 1971-09-16 1974-01-29 J Kirsch Method for vacuum pick-up of porous materials
US3879031A (en) * 1973-07-23 1975-04-22 Chippewa Paper Products Compan Sheet feeding apparatus
IL66381A0 (en) 1982-07-23 1982-11-30 Beta Eng & Dev Ltd Automatic sewing apparatus
WO1984002451A1 (en) * 1982-12-29 1984-07-05 Reichert Karl Gmbh Process for machining and/or handling flat material
US4756261A (en) 1985-05-06 1988-07-12 The Shenkar College Of Textile Technology And Fashion Automatic sewing system and method
DE3763395D1 (de) * 1986-11-10 1990-08-02 Haas Laser Systems Ag Verfahren zum transportieren von perforierten plattenfoermigen objekten.
EG18225A (en) 1986-12-30 1992-09-30 Pacifique Dunlop Limited Improvement in or relating to the handling of limp fabric
DE3811634A1 (de) * 1988-04-07 1989-10-26 Basf Ag Verfahren zum aufnehmen einzelner flaechiger gebilde
US5238237A (en) 1988-10-04 1993-08-24 Cegelec Projects Limited Sheet handling apparatus
US5040475A (en) 1989-01-28 1991-08-20 Sara Lee Corporation Material handling system
DE3915975A1 (de) * 1989-05-17 1990-11-29 Gerhard Berlinger Verfahren zum herstellen von textilstuecken
US5165355A (en) 1991-03-26 1992-11-24 Sara Lee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handling hosiery blanks
DE4124164A1 (de) * 1991-07-20 1993-01-21 Duerkopp Adler Ag Verfahren und naehautomat zum annaehen einer patte an einem naehgutteil
DE4225008C1 (ko) * 1991-08-14 1993-03-18 Moll, Philipp, 5100 Aachen, De
US5535997A (en) 1993-06-10 1996-07-16 Levi Strauss & Co. Fabric piece automatic feeder with suction cup picker and twisted-belt flipper
US5603274A (en) * 1994-02-15 1997-02-18 Mim Industries, Inc. Clamping device for a sewing machine
GB9516418D0 (en) * 1995-08-10 1995-10-11 Lomir Engineering Ltd Sheet material feeding apparatus
ITFI980125A1 (it) * 1998-05-26 1999-11-26 Matec Spa Metodo e dispositivo per applicare un tassello a manufatti tessili come collant e simili
FR2820290A1 (fr) * 2001-02-08 2002-08-09 Evelyne Altounian Procede de decoupe de pieces dans un tissu, et procede d'assemblage de ces pieces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96958B1 (ko) * 2020-04-29 2021-01-04 (주)이로운 마스크 조립체의 제조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A2512093C (en) 2012-11-13
FR2849353B1 (fr) 2005-02-25
WO2004060092A1 (fr) 2004-07-22
AU2003303613A1 (en) 2004-07-29
CA2512093A1 (en) 2004-07-22
FR2849353A1 (fr) 2004-07-02
EP1589841B1 (fr) 2008-12-10
DE60325274D1 (de) 2009-01-22
CN1731940A (zh) 2006-02-08
US20070033778A1 (en) 2007-02-15
JP2006512489A (ja) 2006-04-13
EP1589841A1 (fr) 2005-11-02
ATE416640T1 (de) 2008-12-15
US8060998B2 (en) 2011-11-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50088135A (ko) 직물을 동시에 처리하는 장치와 방법
EP0801627B1 (en) Contact lens inverting apparatus and method
EP0679746A3 (en) Device for handling knitted products manufactured on circular stocking knitting machines
JPH03284933A (ja) 加熱部及び成形部を備えた成形品製造装置
JP4653928B2 (ja) 特にガラスシートであるシート状の材料を加工する自動機械
US20080256769A1 (en) Method and Device for Treating, Especially Cutting, a Shaped Flexible Textile, Especially a Bra
JP2000017563A (ja) 繊維製品の取扱い、特に製品を靴下製作機械に装着するための方法と装置
EP0218609B1 (en) Handling limp fabric
US4896618A (en) Handling of limp fabric
KR100328270B1 (ko) 접목묘목제조장치
EP4116477A1 (en) Device for reversing the elastic edge of tubular textile articles, machine comprising the device and method
CN112388170A (zh) 一种自动化打黑上下料设备
CN113574220B (zh) 裤子处理装置及相应的裤架
JP3597263B2 (ja) 接ぎ木苗の製造方法及び製造装置
WO2023198278A1 (en) Method for manufacturing an orthodontic appliance in the form of an aligner
JP3556308B2 (ja) 接ぎ木苗用種子の播種方法及びその装置
JPH02199031A (ja) 自動吹成形装置
CN116034001A (zh) 拾取装置
CN118102866A (zh) 用于加工植物的方法和设备
CN115135589A (zh) 用于提供制造夹持喷嘴的装置、系统和方法
TW202110320A (zh) 用於繁殖植物的裝置及方法
JPH04503228A (ja) 可撓性シート状素材の処理
JPH0346261B2 (ko)
CS257384B1 (en) Gripping apparatus of stacking manipulator for stacking the garment parts out of working machines namely pressing machines
ITFI970252A1 (it) Un'apparecchiatura per il controllo di calzemaglie mediante forme ad angolo diedr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