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78217A - 전자 키이 시스템용 휴대 장치 - Google Patents

전자 키이 시스템용 휴대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78217A
KR20050078217A KR1020050007813A KR20050007813A KR20050078217A KR 20050078217 A KR20050078217 A KR 20050078217A KR 1020050007813 A KR1020050007813 A KR 1020050007813A KR 20050007813 A KR20050007813 A KR 20050007813A KR 20050078217 A KR20050078217 A KR 2005007821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rtable device
housing
emergency key
rotating member
main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078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59643B1 (ko
Inventor
시무라도끼오
나까가와미쯔루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덴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덴소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덴소
Publication of KR200500782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7821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596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59643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9/00Keys; Accessorie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20Means to switch the anti-theft system on or off
    • B60R25/24Means to switch the anti-theft system on or off using electronic identifiers containing a code not memorised by the us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01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operating on vehicle systems or fittings, e.g. on doors, seats or windscreens
    • B60R25/04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operating on vehicle systems or fittings, e.g. on doors, seats or windscreens operating on the propulsion system, e.g. engine or drive motor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9/00Keys; Accessories therefor
    • E05B19/0082Keys or shanks being removably stored in a larger object, e.g. a remote control or a key fob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9/00Electric permutation locks; Circuits therefor ; Mechanical aspects of electronic locks; Mechanical keys therefo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70/00Locks
    • Y10T70/50Special application
    • Y10T70/5889For automotive vehicles
    • Y10T70/5956Steering mechanism with switch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70/00Locks
    • Y10T70/50Special application
    • Y10T70/5889For automotive vehicles
    • Y10T70/5973Remote control
    • Y10T70/5978With switch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70/00Locks
    • Y10T70/70Operating mechanism
    • Y10T70/7441Key
    • Y10T70/778Operating elements
    • Y10T70/7791Keys
    • Y10T70/7876Bow or head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70/00Locks
    • Y10T70/80Parts, attachments, accessories and adjuncts
    • Y10T70/8432For key-operated mechanism
    • Y10T70/8676Key hold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70/00Locks
    • Y10T70/80Parts, attachments, accessories and adjuncts
    • Y10T70/8432For key-operated mechanism
    • Y10T70/8676Key holders
    • Y10T70/8757Releasable catch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전자 키이 시스템의 휴대 장치의 본체는 본체의 하우징에 유지하는 비상 키이를 제거 가능하게 유지하기 위한 로크 기구를 포함한다. 로크 기구는 회전 부재 및 비틀림 코일 스프링을 포함한다. 회전 부재는 본체 상에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며, 회전 부재의 제1 단부가 회전축에 수직한 방향으로 본체의 내측으로 압박되면, 회전 부재의 제2 단부는 본체의 외측으로 상승된다. 스프링은 본체 외측으로 제1 단부에 일정한 힘을 가한다. 제2 단부에는 하우징에 유지되는 키이의 전방 단부의 구멍에 끼워지도록 구성되는 돌기가 형성된다. 키이가 하우징에 유지되는 상태에서, 돌기는 구멍에서 분리되고 제1 단부를 압박하면 키이가 밖으로 당겨질 수 있다.

Description

전자 키이 시스템용 휴대 장치{PORTABLE DEVICE FOR ELECTRONIC KEY SYSTEM}
본 발명은 사용자가 소지하는 전자 키이 시스템용 휴대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지된 전자 키이 시스템은 사용자의 휴대 장치와 전자 장치 간의 무선 통신에 의해 사용자의 ID를 점검해서 도어를 로킹/언로킹(잠금/잠금 해제)하는 보안 기능을 수행한다. 특히, 휴대 장치와 차량 장착 전자 장치 간의 ID 점검에 기초해서 엔진을 시동시키는 자동차용 전자 키이 시스템은 도난 방지 효과를 개선하는 실용적 용도가 있다.
이런 유형의 전자 키이 시스템에서, 휴대 장치의 배터리 동력 고갈에 대비해서 기계적 키이(키이 판)을 제공하는 비상 키이가 휴대 장치의 본체에 형성된 하우징에 수용된다.
또한, 종래의 전자 키이 시스템의 휴대 장치에서, 로크 기구는 비상 키이가 본체에 형성되는 하우징에서 쉽게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본체에 구성된다.
도8a 및 도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예컨대 휴대 장치(101)의 본체(103)는 수동 활주식 슬라이드 부재(105) 및 소정 방향으로 슬라이드 부재(105)를 압박하도록 구성되는 스프링(107)을 갖는 로크 기구를 포함한다. 스프링(107)에서 이격되어 슬라이드 부재(105)의 측면 상에 형성되는 돌기(105a)는 본체(103)의 하우징(109)에 삽입되는 비상 키이(111)의 체결 홈(111a)에 끼워진다. 이런 방식으로, 비상 키이(111)는 하우징(109)에서 이탈되는 것이 방지된다. 이런 구성예에서, 슬라이드 부재(105)가 스프링(107)의 압박력에 대항해서 (즉, 도8a 및 도8b에서 좌측 방향으로) 활주하고 슬라이드 부재(105)의 돌기(105a)는 체결 홈(111a)에서 이탈됨으로써, 비상 키이(111)는 본체(103)의 하우징(109)에서 밖으로 당겨질 수 있다. 도8a는 휴대 장치(101)의 정면도이고, 도8b는 휴대 장치의 좌측면도이다[일본 특허 공보 제2002-32284(도3) 참조].
상술한 바와 같이, 종래의 휴대 장치(101)에서 비상 키이(111)의 장착 또는 탈착 작업[상세하게는, 체결 홈(111a)에 돌기(105a)를 끼우고 제거하는 작업]은 전체 슬라이드 부재(105)를 활주시킴으로써 수행될 수 있다. 이 경우, 슬라이드 부재(105)를 활주시키기 위한 공간이 휴대 장치(101)의 본체(103) 상에 형성된다. 이를 위해서, 전체 슬라이드 부재(105)가 활주된다는 사실로 인해 큰 공간이 요구됨으로써, 휴대 장치의 소형화를 가로막는 장애가 되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전자 키이 시스템을 소형화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제조되는 본 발명의 제1 태양에 따르는 전자 키이 시스템의 휴대 장치에서, 휴대 장치의 본체에 형성되는 하우징에 삽입되어 수용되는 비상 키이에는 비상 키이의 키이 홈(keyway) 이외에 홈 및 구멍 중 선택된 어느 하나를 구성하는 체결부가 형성된다.
상세하게는, 하우징에 삽입되는 비상 키이를 제거 가능하게 유지하는 휴대 장치의 본체에 포함된 로크 기구는 휴대 장치의 본체 상에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회전 부재를 포함하며 회전 부재는 회전 부재의 제1 단부가 휴대 장치의 본체의 내측으로 압박됨로써 휴대 장치의 본체의 외측으로 상승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회전축보다 제2 단부에 인접한 회전 부재의 부분에는 하우징 내로 연장되어 하우징 내에 유지되는 비상 키이의 체결부에 끼워지도록 구성되는 돌기가 형성된다.
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제1 태양에 따르면, 전자 키이 시스템용 휴대 장치가 마련되며, 휴대 장치에서 비상 키이는 다음 단계에 따라 하우징에 수용될 수 있다.
우선, 회전 부재가 회전 부재의 제1 단부에 의해 휴대 장치 본체 내측으로 압박된다. 다음으로, 회전 부재의 제2 단부는 휴대 장치의 본체의 외측으로 상승된다.
이런 조건 하에서, 비상 키이는 삽입 구멍을 거쳐 소정 위치(즉, 돌기가 체결부에 끼워질 수 있는 위치) 내로 삽입되고 회전 부재의 제2 단부는 내측으로 압박된다. 이어서, 돌기가 비상 키이의 체결부 내에 끼워지고 비상 키이는 하우징에서 유지될 수 있다.
이렇게 하우징에 유지되는 비상 키이는 끼움 상태를 결합 해제함으로써 하우징에서 밖으로 인출될 수 있다. 상세하게는, 회전 부재의 제1 단부는 내측으로 압박된다. 그 후, 제2 단부가 휴대 장치 본체의 외측으로 상승됨으로써, 돌기와 체결부는 서로 결합 해제된다. 이런 식으로, 비상 키이는 하우징에서 밖으로 인출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제1 태양에 따르는 휴대 장치에서, 휴대 장치 본체(따라서, 휴대 장치)는 소형화될 수 있다.
상세하게는, 종래의 휴대 장치(101)에서, 전체 슬라이드 부재(105)를 소정 길이만큼 활주시킬 수 있는 크기의 공간은 하우징(109)에 무관하게 본체(103)에 형성되어야만 한다. 이에 비해, 본 발명의 제1 태양에 따르는 휴대 장치에서는, 단지 하우징 내로 삽입되는 비상 키이와 돌기가 서로 접촉하지 않고 유지될 수 있도록 하는 범위까지 휴대 장치 본체 내로 회전 부재의 제1 단부를 진입시킬 수 있는 크기의 공간이 요구된다.
다음으로, 제1 태양의 휴대 장치의 구조를 갖는 본 발명의 제2 태양에 따르는 휴대 장치에서, 돌기는 그 높이가 비상 키이 삽입 구멍에 인접한 하우징의 단부로부터 돌기의 최고 지점까지 점차 증가하도록 구성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 태양에 따르는 휴대 장치에서, 회전 부재의 제1 단부는 하우징에 비상 키이를 수용하기 전에 압박될 필요가 없다.
상세하게는, 초기에 회전 부재의 제2 단부가 휴대 장치 본체의 외측으로 아직 상승되지 않았을 때, 비상 키이는 하우징의 삽입 구멍 내로 삽입된다. 비상 키이의 전방 단부는 회전 부재의 돌기(보다 상세하게는, 삽입 구멍에 인접한 돌기의 단부)와 접촉하게 된다. 비상 키이를 더욱 삽입하면, 돌기가 비상 키이에 의해 휴대 장치 본체의 외측으로 점차 들어올려짐으로써 휴대 장치 본체의 외측으로 회전 부재의 제2 단부를 점차 상승시킨다.
따라서, 비상 키이는 단순히 소정 위치로 비상 키이를 삽입하고 휴대 장치의 본체의 외측으로 상승된 회전 부재의 제2 단부를 휴대 장치의 외측에서 원위치로 (즉, 회전 부재의 제2 단부가 휴대 장치 본체의 외측으로 상승되는 상태로) 압박하고 비상 키이의 체결부에 돌기를 끼움으로써 하우징에 수용될 수 있다.
이런 방식으로, 하우징에 비상 키이를 수용하는 작업은 단순화될 수 있다.
다음으로, 제1 태양 및 제2 태양에 따르는 휴대 장치의 구조를 갖는 본 발명의 제3 태양에 따르는 휴대 장치에서, 로크 기구는 회전 부재의 제2 단부가 휴대 장치의 본체의 외측으로 상승된 상태에 있는 회전 부재에 휴대 장치의 본체의 외측으로 상승되기 전 상태로 제2 단부를 복원시키기 위한 힘을 가하기 위한 압박 부재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3 태양에 따르는 휴대 장치에서, 회전 부재의 돌기는 휴대 장치 본체의 외측으로 상승되는 회전 부재의 제2 단부를 뒤로 밀지 않고도 비상 키이의 체결부에 끼워질 수 있으며, 따라서 비상 키이는 하우징에 쉽게 수용될 수 있다.
다음으로, 제1 태양 내지 제3 태양 중 어느 한 태양에 따르는 휴대 장치의 구조를 갖는 본 발명의 제4 태양에 따르는 휴대 장치에서, 체결부는 비상 키이의 전방 단부에 인접해서 형성된다. 회전축은 비상 키이가 하우징 내로 또는 하우징 밖으로 활주되는 방향에 수직하게 정렬되며, 회전 부재의 제2 단부는 비상 키이가 삽입되는 하우징의 삽입 구멍에 보다 인접해서 정렬된다.
본 발명의 제4 태양에 따르는 휴대 장치에서, 회전 부재의 돌기가 비상 키이의 체결부에 끼워진 상태에서 사용자가 하우징에서 비상 키이를 밖으로 당기고자 하면, 회전축에 수직한 힘이 회전축 상에 작용되기 때문에, 비상 키이는 회전축과 회전 부재 상에 보다 작은 충격을 가하게 된다.
이와 관련하여, 제4 태양에 따르는 휴대 장치와 같이, 제5 태양에 따르는 휴대 장치에서, 회전축은 바람직하게는 본체의 내측에서 하우징 내에 유지되는 비상 키이의 종방향 중심축과 비상 키이의 종방향 중심축에서 휴대 장치의 내측 중 선택되는 어느 한 곳에 위치된다.
상세하게는, 회전 부재의 돌기가 비상 키이의 체결부에 끼워져 있는 동안 사용자가 하우징에서 비상 키이를 밖으로 인출하고자 하는 경우, 힘은 비상 키이의 체결부로부터 돌기를 분리하는 방향(즉, 제2 단부가 휴대 장치 본체의 외측으로 회전되는 방향)으로 회전 부재에 인가되지 않으며, 따라서 비상 키이가 쉽게 이탈되는 것이 방지된다.
다음으로, 제4 태양 또는 제5 태양에 따르는 휴대 장치의 구조를 갖는 본 발명의 제6 태양에서, 하우징은 휴대 장치 본체의 두 개의 대향하는 외벽 및 이들 두 개의 대향하는 외벽 사이의 제3 외벽(이하, 중앙 외벽으로 지칭함)을 포함하는 세 개의 측벽에 의해 한정되고 회전 부재는 중앙 외벽 상에 정렬된다. 즉, 제6 태양에 따르는 휴대 장치에서, 하우징은 휴대 장치 본체의 측면에 정렬된다.
제6 태양에 따르는 휴대 장치에서, (마이크로컴퓨터, 통신 회로 및 그 밖의 회로와 같은) 필수 구성 유닛은 휴대 장치 본체에 미리 효율적으로 정렬됨으로써, 휴대 장치 본체(따라서, 휴대 장치)의 크기를 더욱 소형화시킨다.
본 발명의 제7 태양에 따르는 휴대 장치에서, 제6 태양에 따르는 전자 키이 시스템의 휴대 장치의 비상 키이의 키이 홈은 비상 키이의 종방향 요홈을 형성한다.
휴대 장치 본체는 두 개의 외벽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제1 부분과 다른 외벽 및 회전 부재를 포함하는 제2 부분으로 분해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또한, 제2 부분의 회전 부재를 갖는 외벽과 하우징의 다른 벽을 구성하는 휴대 장치 본체의 벽 중 적어도 하나에는 하우징 내로 연장되는 돌출부가 형성된다. 비상 키이가 하우징에 유지되는 상태에서, 이 돌출부는 비상 키이의 키이 홈에 끼워진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7 태양에 따르는 휴대 장치에서, 비상 키이가 하우징에 유지된 상태에서 휴대 장치 본체가 제1 부분 및 제1 부분보다 낮은 제2 부분을 포함하는 두 부분으로 분해되면, 분해되기에 앞서 회전 부재의 돌기가 비상 키이의 체결부에 끼워질 뿐만 아니라 돌출부는 비상 키이의 키이 홈에 끼워진다. 따라서, 비상 키이가 제2 부분에서 쉽게 이탈되는 것이 방지된다. 또한, 휴대 장치 본체가 분해될 때, 체결부가 회전 부재의 돌기와 끼워진 상태에서 비상 키이가 제2 부분에서 튀어나와서 회전 부재에 손상을 입히는 것이 방지된다.
휴대 장치 본체를 두 부분으로 분해함으로써 중앙 외벽이 제1 부분과 제2 부분으로 분리되는 경우, 제2 부분의 중앙 외벽은 회전 부재를 갖는 제2 부분의 외벽 부분에 대응한다. 한편, 휴대 장치 본체가 분해될 때 중앙 외벽이 분리되지 않는 경우(즉, 전체 중앙 외벽이 제2 부분에 포함되는 경우), 중앙 외벽은 회전 부재를 갖는 제2 부분의 외벽 부분에 대응한다.
본 발명은 첨부 도면과 함께 후술하는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설명으로부터 보다 완전히 이해될 수 있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전자 키이 시스템의 휴대 장치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본 실시예에 따르는 휴대 장치는 사용자가 소지한 콤팩트한 전자 유닛과 차량 장착 전자 유닛 사이의 무선 통신에 의해 ID가 점검되고 그 점검 결과에 기초해서 차량 도어가 로킹/언로킹되거나 엔진 시동이 허용되는 이모빌라이저(immobilizer) 시스템으로 이중 기능을 하는 스마트 키이(smart key) 시스템에서 사용자의 전자 키이 유닛으로서 사용된다.
도1a 및 도1b는 본 실시예에 따르는 휴대 장치(1)의 구성을 도시한다. 도1a는 휴대 장치(1)의 정면도이고 도1b는 휴대 장치(1)의 우측면도이다.
휴대 장치(1)는 차량 장착 전자 유닛의 통신 회로와의 ID 점검을 위한 무선 통신을 위해 안테나, 송수신 회로 및 마이크로컴퓨터를 포함하는 ID 점검 통신 처리 유닛과, ID 점검 통신 처리 유닛을 작동시키기 위한 배터리와, 배터리 전원이 고갈되는 경우 차량 장착 전자 유닛의 송수신기 회로와의 전자기 유도식 무선 통신에 의한 ID 점검 작업을 수행하기 위한 자동 무선기를 내부에 수용하는 수지로 제조된 사실상 평형사변형의 본체(3)(이하, 휴대 장치 본체로도 지칭함)를 포함한다. 이들 내부 전자 회로는 일반적인 것이며 따라서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다. 다음의 설명에서, 본체(3)의 외벽은 전방벽(3a)으로 지칭되는 전방 외벽과 도1a의 전방벽(3a)에서 이격되어 휴대 장치(1)의 다른 측면 상에 형성되는 후방벽(3b)으로 지칭되는 외벽으로 분리된다.
본체(3)는 전방벽(3a), 후방벽(3b), 도1a의 우측면 상의 외벽(3c)(이하, 중앙 외벽) 및 본체(3)에 형성되는 중앙 외벽(3c)의 길이에 평행한 내벽(3d)을 포함하는 측벽들에 의해 한정되는 하우징(5)을 갖는다. 정상 조건 하에서, 배터리 전원이 고갈되는 경우 사용될 기계적 비상 키이(7)가 하우징(5)에 삽입되어서 유지된다.
또한, 본체(3)는 하우징(5) 내에 비상 키이(7)를 제거 가능하게 유지하기 위한 로크 기구(9)를 구성하는 회전 부재(21)를 포함한다.
비상 키이(7)는 휴대 장치(1)의 배터리 전원이 고갈되는 경우 도어를 로킹/언로킹하기 위해 차량 도어의 키이 실린더에 삽입됨으로써 사용된다.
이하, 도2a 내지 도4d를 참조하여 휴대 장치(1)의 구성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2a 내지 도2g는 휴대 장치(1)의 각 부분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3a 내지 도3e는 로크 기구(9)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4a 내지 도4d는 본체(3) 상에 로크 기구(9)를 장착하는 단계를 도시한 도면이다.
우선, 도2a 내지 도2d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3)는 전방벽(3a)을 갖는 제1 부분(P)과 후방벽(3b)을 갖는 제2 부분(S)으로 분해될 수 있다. 도2a는 제1 부분(P)의 정면도이고 도2b는 제1 부분(P)의 우측면도이다. 도2c는 제2 부분(S)의 정면도이고 도2d는 제2 부분(S)의 우측면도이다.
본체(3)의 전방벽(3a) 및 후방벽(3b) 이외의 각각 네 개의 외벽은 제1 부분(P) 및 제2 부분(S)으로 분리될 수 있다. 예컨대, 도2b 및 도2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앙 외벽(3c)은 그 길이를 따라서 제1 부분(P) 및 제2 부분(S)으로 분리될 수 있다. 따라서, 제2 부분(S) 상에 제1 부분(P)을 장착함으로써 네 개의 외벽이 형성된다.
도2b 및 도2d의 단면도의 하부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부분(P)은 제1 부분(P) 및 제2 부분(S)을 일체로 유지하기 위한 복수개의 끼움부(k1)을 포함하고, 제2 부분(S)은 다시 제1 부분(P)의 끼움부(k1) 상에 끼워지는 복수개의 끼움부(k2)를 포함한다. 도2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부분(S)의 각각의 끼움부(k2)는 내벽(3d)과, 중앙 외벽(3c) 이외의 외벽 상에 정렬된다. 도2b에는 비록 일부가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제1 부분(P)의 끼움부(k1)는 제2 부분(S)의 끼움부(k2)의 위치에 대응하는 위치에 정렬된다.
본체에 수직하게 본체(3)의 내측으로 연장되고 본체의 저부로부터 전방 단부쪽으로 세 단계로 감소되는 직경을 갖는 원통형 돌기(11)가 도2c 및 도2d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비상 키이(7)를 위한 삽입 구멍(5a)에서 이격되어 하우징(5)의 측에 본체(3)의 후방벽(3b) 상에 형성된다.
또한, 공간(13)이 하우징(5)에서 이격되어 돌기(11)의 측면 상에 형성된다.
본체(3)의 내벽(3d)에는 삽입 구멍(5a)에 인접한 하우징(5)의 측면 상에 하우징(5)쪽으로 연장되는 돌출부(15)가 형성된다. 돌출부(15)에는 비상 키이가 하우징(5) 내에 유지될 때 비상 키이(7)에 형성되는 키이 홈(19)(도2e)에 끼워진다.
또한, 돌기(11)의 저부보다 리세스된 요홈(16)이 본체(3)의 후방벽(3b) 상에서 공간(13)에 인접해서 돌기(11)의 저부 상에 형성된다.
도2e 및 도2f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비상 키이(7)는 금속으로 된 장형 키이 판(7a)[하우징(5) 내에 수용되는 부분)와, 비상 키이(7)를 작동시킬 때 사용되는 수지로 제조된 그립부(7b)를 포함한다. 도2e는 비상 키이(7)의 정면도이고 도2f는 비상 키이(7)의 우측면도이다.
비상 키이(7)의 키이 판(7a)의 두 개의 표면(도2e에서 좌측면 및 우측면) 각각에는 도2f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립부(7b)에서 키이 판(7a)의 길이에 평행하게 비상 키이(7)의 전방 단부[즉, 그립부(7b)에서 이격된 비상 키이(7)의 단부] 근처까지 소정 길이에 걸쳐 연장되는 주름진 요홈이 형성된다. 또한, 델타(delta) 형상으로 리세스된 키이 홈(19)은 그 근처에서 전방 단부쪽으로 확장된다. 델타 형상부에는 키이 판(7a)을 관통하는 (체결부에 대응하는) 구멍(17)이 형성된다. 비상 키이(7)의 키이 홈(19)의 주름진 부분은 차량마다 다르게 형성된다.
로크 기구(9)는 도2g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삽입 구멍(5a)에서 이격되어 하우징(5)의 측면 상에 정렬된다. 도2g에서, 로크 기구(9)는 도2a 내지 도2f까지 확대된 형상으로 도시된다. 빗금진 단면은 후술하는 비틀림 코일 스프링(23)을 나타낸다.
로크 기구(9)는 본체(3)의 돌기(11)의 기부 원통부(11a) 및 중심 원통부(11b)[이하, 모두 회전축(11)으로도 지칭함] 상에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장형 회전 부재(21)를 포함함으로써, 하우징(5)에 삽입되는 비상 키이(7)가 하우징(5) 내에 유지된다.
본체(3)의 내측으로 압박될 때 회전축(11)보다 공간(13)에 인접한 회전 부재(21)의 하나의 종방향 단부[이하, 제1 단부(21a)]는 본체(3)의 공간(13) 내로 진입하고, 동시에 본체(3)의 외측으로 제2 단부(21b)[즉, 회전축(11)보다 하우징(5)에 인접한 단부]를 상승시킨다.
하우징(5) 내로 연장되고 하우징(5) 내에 유지되는 비상 키이(7)의 구멍(17)에 끼워지도록 구성되는 돌기(21c)가 제2 단부(21b)에 인접한 회전 부재(21)의 측면 상에 형성된다. 돌기(21c)에는 회전 부재(21)가 본체(3) 상에 장착된 동안 삽입 구멍(5a)에 인접한 하우징(5)의 단부로부터 돌기(21c)의 최고 지점쪽으로 점차 증가되는 높이부가 형성된다.
또한, 도3a 및 도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 부재(21)의 중심부에는 본체(3)의 돌기(11) 상에 회전 부재(21)를 장착하기 위한 구멍(22)이 형성된다. 구멍(22)은 본체(3)의 돌기(11)의 기부 원통부(11a) 및 중심 원통부(11b) 상에서 헐겁게 끼워지도록 형성된다.
또한, 도3b 및 도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단부(21a)에 인접한 구멍(22)의 측면과 제2 단부(21b)에 인접한 구멍(22)의 측면에는 각각 회전 부재(21)로부터 연장되는 돌기(21d, 21e)가 형성된다. 회전 부재(21)의 제1 단부(21a)에 인접한 돌기(21d)는 본체(3)의 요홈(16)에 끼워져서 회전 부재(21)의 회전시 요홈(16) 내에서 이동하도록 구성된다. 한편, 제2 단부(21b)에 인접한 돌기(21e)는 하우징(5)에 끼워져서 회전 부재(21)의 회전시 하우징(5) 내에서 이동하도록 구성된다.
도3a, 도3b 및 도3c는 각각 회전 부재(21)의 정면도, 우측면도 및 이면도이다.
로크 기구(9)는 휴대 장치 본체(3)의 외측으로 압박된 상태로 회전 부재(12)의 제1 단부(21a)를 유지하기 위해 도3d 및 도3e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비틀림 코일 스프링(23)(청구항 제2항의 압박 부재에 대응함)을 포함한다. 도3d는 본체(3) 상에 장착되기 전의 비틀림 코일 스프링(23)을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3e는 비틀림 코일 스프링(23)의 우측면도이다.
이 로크 기구(9)는 다음 단계를 수행함으로써 조립된다.
도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아무것도 장착되지 않은 상태에서 시작해서, 회전 부재(21)는 돌기(11)가 회전 부재(21)의 구멍(22)을 통해 삽입되도록 본체(3)의 돌기(11) 상에 장착된다. 그 후, 본체(3)의 돌기(11)의 기부 원통부(11a) 및 중심 원통부(11b)가 회전 부재(21)의 구멍(22) 내에 헐겁게 끼워진다. 따라서, 회전 부재(21)는 본체(3)의 돌기(11) 상에서 지지되고 돌기(11)의 중심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다. 회전 부재(21)의 제2 단부(21b)가 본체(3)의 내측으로 회전하는 경우, 제1 단부(21a)에 인접한 회전 부재(21)의 측면 상의 돌기(21d)는 소정 위치에서 본체(3)의 요홈(16)의 단부에 의해 포획된다. 동시에, 제2 단부(21b)에 인접한 돌기(21e)가 본체(3)의 내벽(3d)과 접촉함으로써, 하우징(5)에서 떨어진 상태로 제2 단부(21b)를 유지한다.
도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비틀림 코일 스프링(23)의 코일부(23a)가 본체(3)의 돌기(11)의 중심 원통부(11b)에 도달하도록 삽입되고, 동시에 비틀림 코일 스프링(23)의 단부들 중 하나를 공간(13)에 인접한 제1 단부(21a)의 표면에 접촉시키고 다른 단부는 공간(13)에 인접한 내벽(3d)의 표면에 접촉시킨다. 그 결과, 비틀림 코일 스프링(23)은 회전 부재(21)의 제1 단부(21a)에 상술한 힘을 인가한다.
도4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와셔(25)가 본체(3)의 돌기(11)의 전방 단부에 인접한 원통부(11c) 상에 장착되고 와셔(25)를 넘어 연장되는 원통부(11c)는 열에 의해 용융되어 와셔(25)에 융착된다. 그 결과, 도2g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와셔(25)는 본체(3)에 고착되어 조립됨으로써, 본체(3)가 두 부분으로 분해되는 경우, 회전 부재(21)와 비틀림 코일 스프링(23)이 본체(3)[또는 상세하게는 제2 부분(S)]로부터 용이하게 이탈되는 것이 방지된다.
다음으로, 도5a 및 도5b를 참조해서 상술한 구성을 갖는 휴대 장치(1)의 하우징(5)에 비상 키이(7)를 유지하는 단계들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5a는 비상 키이(7)가 하우징(5)에 완전히 유지되기 직전 상태를 도시하며, 도5b는 비상 키이(7)가 하우징(5)에 유지된 상태를 도시한다.
우선, 비상 키이(7)가 하우징(5)의 삽입 구멍(5a)(도2c)을 거쳐 삽입된다. 비상 키이(7)의 전방 단부는 회전 부재(21)의 돌기(21c)[보다 상세하게는, 삽입 구멍(5a)에 인접한 돌기(21c)의 전방 단부]와 접촉하게 된다.
도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비상 키이(7)를 더욱 삽입함으로써, 돌기(21c)는 본체(3)의 외측으로 상승되고 회전 부재(21)의 제2 단부(21b)는 본체(3)의 외측으로 상승한다.
비상 키이(7)를 더 삽입한 후, 비상 키이(7)의 구멍(17)이 회전 부재(21)의 돌기(21c)에 도달할 때, 회전 부재(21)는 비틀림 코일 스프링(23)의 압박력에 의해 원위치[즉, 회전 부재(21)의 회전 이전 상태]로 복원된다.
상세하게는, 하우징(5) 내로 비상 키이(7)를 삽입함으로써 비상 키이(7)의 전방 단부가 회전 부재(21)의 돌기(21c)와 접촉하게 되는 순간, 회전 부재(21)는 비틀림 코일 스프링(23)의 압박력을 받으며 자동으로 회전된다. 하우징(5) 내로 비상 키이(7)를 깊이 삽입함으로써 비상 키이(7)의 구멍(17)이 회전 부재(21)의 돌기(21c)에 도달하는 순간, 회전 부재(21)는 비틀림 코일 스프링(23)의 압박력에 의해 반대 방향으로 자동 회전된다. 그 결과, 회전 부재(21)의 돌기(21c)는 비상 키이(7)의 구멍(17)에 끼워지고, 이로써 비상 키이(7)는 하우징(5) 내에서 유지된다.
다음으로, 도6a 및 도6b를 참조하여 하우징(5)에서 비상 키이(7)를 밖으로 인출하는 단계들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6a는 비상 키이(7)의 구멍(17)이 회전 부재(21)의 돌기(21c)로부터 분리되는 상태를 도시하고, 도6b는 비상 키이(7)가 하우징(5) 밖으로 인출된 상태를 도시한다.
우선, 회전 부재(21)의 제1 단부(21a)가 본체(3)의 내측으로 압박된다. 도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단부(21b)는 본체(3)의 외측으로 상승하고 비상 키이(7)의 구멍(17) 및 돌기(21c)은 서로 분리된다.
회전 부재(21)의 제1 단부(21a)가 도6b의 화살표 Y1에 의해 도시된 바와 같이 압박된 상태로 유지되는 동안, 비상 키이(7)의 그립부(7b)는 본체(3)로부터 외측으로 인출된다. 따라서, 비상 키이(7)는 하우징(5) 밖으로 당겨질 수 있다.
일단 회전 부재(21)의 제1 단부(21a)에 대한 압박이 중단되면, 회전 부재(21)는 비틀림 코일 스프링(23)의 압박력에 의해 원위치[즉, 회전 부재(21)의 제1 단부(21a)가 밀리기 전 상태)로 복원된다.
상술한 실시예에 따르는 휴대 장치(1)에서, 비상 키이(7)는 하우징(5) 외에도, 하우징(5) 내로 삽입된 비상 키이(7)가 돌기(21c)와 접촉하지 않는 정도까지 회전 부재(21)의 제1 단부(21a)가 진입하게 되는 공간[즉, 공간(13)]의 유용성에 의해 간단히 하우징(5) 내에 제거 가능하게 유지될 수 있다. 그 결과, 본체(3)[따라서, 휴대 장치(1)]는 소형화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는 휴대 장치(1)에서, 하우징(5) 및 공간(13)은 회전축(11)을 사이에 두고 본체(3)[즉, 본체(3)의 내벽(3d)보다 중심에 인접한 외벽(3c)의 측면)와 나란히 서로 정렬된다. 따라서, 본체(3) 상에 미리 장착되는 전자 회로들은 효율적으로 정렬될 수 있고, 그 결과 더욱 소형화될 수 있다.
회전 부재(21)의 돌기(21c)가 비상 키이(7)의 구멍(17) 내에 끼워진 상태에서, 사용자가 하우징(5)에서 비상 키이(7)를 밖으로 인출하려 하면, 회전축(11)에 수직한 방향의 힘이 회전축(11) 상에 작용되고, 따라서 비상 키이(7)에 의해 회전축(11) 및 회전 부재(21)에 인가되는 충격력은 감소된다.
한편, 하우징(5) 내에 비상 키이(7)를 수용할 때, 비상 키이(7)를 단순히 삽입하면 회전 부재(21)는 비상 키이가 돌기(21c) 상에 끼워질 때까지 자동으로 회전하게 된다. 따라서, 비상 키이(7)를 수용하는 작업은 단순화된다.
비상 키이(7)가 하우징(5) 내에 수용된 후, 회전 부재(21)는 계속 비틀림 코일 스프링(23)의 압박력을 이용하여 비상 키이(7)를 유지하고, 따라서 비상 키이(7)는 하우징(5)에서 쉽게 이탈되지 않는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르는 휴대 장치(1)에서, 회전축(11)의 중심은 하우징(5)에 수용된 비상 키이(7)의 종방향 중심축과 정렬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회전 부재(21)의 돌기(21c)가 비상 키이(7)의 구멍(17)에 끼워진 상태로 하우징(5)에서 비상 키이(7)를 밖으로 인출하고자 하는 경우, 비상 키이(7)는 비상 키이(7)의 구멍(17)에서 돌기(21c)를 분리하는 방향으로 회전 부재(21)에 회전 작용력(이하, 대향 방향으로 작용되는 내부 작용력과 대조해서 외부 작용력으로 지칭함)을 인가하지 못한다. 따라서, 비상 키이(7)는 이탈되는 것이 적극적으로 방지된다.
배터리 전원이 고갈될 경우, 배터리는 본체(3)의 제2 부분(S)이 제1 부분(P) 아래로 오도록 제1 부분(P) 및 제2 부분(S)으로 본체(3)를 분해함으로써 교체될 수 있다.
비상 키이(7)가 하우징(5)에 유지되는 상태에서 본체(3)가 상술한 바와 같이 분리되면, 한편으로 회전 부재(21)의 돌기(21c)는 비상 키이(7)의 구멍(17)에 끼워지고 다른 한편으로 돌출부(15)는 비상 키이(7)의 키이 홈(19)[보다 상세하게는, 키이 판(7a)의 길이에 평행하게 키이 홈(19)의 리세스된 부분)에 끼워진다. 따라서, 비상 키이(7)가 제2 부분(S)에서 용이하게 이탈되는 것이 방지된다. 또한, 본체(3)를 분리할 시, 회전 부재(21)의 돌기(21c)가 구멍(17)에 끼워진 상태에서 비상 키이(7)가 제2 부분(S)에서 밖으로 튀어나오는 기회는 적어지고, 따라서 비상 키이(7)의 동작에 의해 회전 부재(21)가 손상되는 일은 적어진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대해 설명하였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본 발명은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예컨대, 회전축(11)의 중심은 하우징(5)에 수용된 비상 키이(7)의 종방향 중심축에서 벗어나 본체(3)의 외측에 위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가 하우징(5)에서 비상 키이(7)를 밖으로 당기고자 할 때, 상술한 외부 작용력이 회전 부재(21)에 대해 생성된다. 이런 불편은 외부 작용력보다 큰 압박력[회전 부재(21)의 제1 단부(21a)를 원위치로 복원시키는 힘)을 생성하는 비틀림 코일 스프링(23)을 제공함으로서 제거된다.
본 실시예에 따르는 휴대 장치(1)는 도7에 도시된 휴대 장치(1a)와 같이 변경될 수 있다. 도7은 비상 키이(7)가 하우징(5)에 유지된 상태에서 휴대 장치(1a)의 회전 부재(21)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7에서, 도1 내지 도6b의 구성 요소와 동일한 구성 요소는 각각 동일한 인용 부호에 의해 지시되며, 따라서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7의 일점 쇄선은 하우징(5)에 유지되는 비상 키이(7)의 종방향 중심축을 지시하는 가성선(L)이다.
휴대 장치(1a)에서, 회전축(11)의 중심은 가성선(L)에서 본체(3)의 내측에 정렬된다.
이런 구성에서, 사용자가 하우징(5) 밖으로 비상 키이(7)를 당기고자 하면 회전 부재(21)에 내부 작용력을 가함으로써 비상 키이(7)가 이탈되는 것이 보다 적극적으로 방지된다. 내부 작용력이 클수록 회전축(11)은 가상선(L)에서 보다 본체(3)의 내측에 위치된다. 따라서, 휴대 장치(1a)에서 내부 작용력은 상술한 실시예에 따르는 휴대 장치(1)의 내부 작용력보다 증가될 수 있다. 따라서, 휴대 장치(1a)에서, 내부 작용력은 증가될 수 있으며 상술한 실시예에 따르는 휴대 장치(1) 보다 유리하게 비상 키이(7)가 이탈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그러나, 회전축(11)의 중심이 하우징(5)에 유지되는 비상 키이(7)의 종방향 중심축과 정렬되는 상술한 실시예에 따르는 휴대 장치(1)의 구성은 본체(3)의 소형화라는 면에서 보다 유리하다.
본체(3)의 공간(13) 내로 압박되기 전 상태로 회전 부재(21)의 제1 단부(21a)를 복원시키기 위해 회전 부재에 힘을 가하는 압박 부재는 비틀림 코일 스프링(23)에 제한되지 않으며 원위치로 회전 부재(21)를 복원시키기 위해 회전 부재(21)에 힘을 가할 수 있는 임의의 구조의 임의의 부재일 수 있다.
하우징(5) 내에 삽입되는 비상 키이(7)가 제거 가능하게 유지될 수만 있다면 회전 부재(21)는 본체(3) 상에 임의의 방식으로 정렬될 수 있다. 예컨대, 회전 부재(21)는 본체(3)의 전방벽(3a) 상에 정렬될 수 있다.
이 경우, 회전축(11)은 비상 키이(7)가 하우징(5) 내로 또는 하우징(5) 밖으로 종방향 활주하는 방향에 평행하게 구성될 수 있다. 그러나, 회전축(11)의 길이가 활주 방향에 수직한 본 실시예에 따르는 휴대 장치(1)의 구성은 비상 키이(7)가 회전축(11) 및 회전 부재(21)에 주는 충격을 줄이는 데 보다 유리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본체(3)의 돌기(11)를 열로 용융시킴으로써 회전 부재(21)가 본체(3)로부터 이탈되는 것이 방지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 방법에 제한되지 않으며, 본체(3)의 돌기(11)의 전방 단부에 나사부가 형성되고 나사가 나사부 상에 장착됨으로써 회전 부재(21)가 본체(3)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방법을 이용할 수 있다.
또한, 회전축(11)은 휴대 장치 본체(3)가 아닌 회전 부재(21) 상에 형성될 수 있다.
휴대 장치 본체(3)는 사실상 평행사변형을 포함하는 임의의 다양한 형상을 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차량용 전자 키이 시스템에서 그리고 하우징을 포함하는 다양한 분야의 전자 키이 시스템에서 다양한 용도로 적용된다.
상기에서 본 발명은 설명을 위해 선택된 특정 실시예를 참조해서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기본 개념 및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다양한 변경이 기술 분야의 당업자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음은 명백하다.
상술한 바로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는 전자 키이 시스템의 휴대 장치는 소형화될 수 있다는 효과를 갖는다.
도1a 및 도1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휴대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2a 내지 도2g는 휴대 장치의 본체, 비상 키이 및 로크 기구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3a 내지 도3e는 로크 기구를 도시한 도면.
도4a 내지 도4d는 본체 상에 로크 기구를 장착하는 단계를 도시한 도면.
도5a 및 도5b는 하우징에 비상 키이를 수용하는 단계를 도시한 도면.
도6a 및 도6b는 하우징에서 비상 키이를 밖으로 당기는 단계를 도시한 도면.
도7은 변경예에 따르는 휴대 장치를 도시한 개략도.
도8a 및 도8b는 종래의 전자 키이 시스템의 휴대 장치를 도시한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휴대 장치
3 : 본체
3a : 전방벽
3b : 후방벽
3c : 중앙 외벽
5 : 하우징
7 : 비상 키이
9 : 로크 기구
11 : 돌기
13 : 공간
15 : 돌출부
16 : 요홈
19 : 키이 홈
21 : 회전 부재

Claims (7)

  1. 전자 키이 시스템의 휴대 장치이며,
    상기 휴대 장치의 본체에 형성된 하우징에 삽입되어 수용되는 비상 키이에는 비상 키이의 키이 홈 이외에 홈 및 구멍 중 선택된 어느 하나를 구성하는 체결부가 형성되며,
    하우징에 삽입되는 비상 키이를 제거 가능하게 유지하는 휴대 장치의 본체에 포함된 로크 기구는 휴대 장치의 본체 상에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회전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회전 부재는 회전 부재의 제1 단부가 휴대 장치의 본체의 내측으로 압박됨으로써 휴대 장치의 본체의 외측으로 상승하도록 구성되며,
    회전축보다 제2 단부에 인접한 회전 부재의 부분에는 하우징 내로 연장되고 하우징 내에 유지되는 비상 키이의 체결부에 끼워지도록 구성되는 돌기가 형성되는 전자 키이 시스템의 휴대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는 그 높이가 비상 키이 삽입 구멍에 인접한 하우징의 단부로부터 돌기의 최고 지점까지 점진적으로 증가하도록 구성되는 전자 키이 시스템의 휴대 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로크 기구는 회전 부재의 제2 단부가 휴대 장치의 본체의 외측으로 상승된 상태의 회전 부재에 휴대 장치의 본체의 외측으로 상승되기 전 상태로 제2 단부를 복원시키기 위한 힘을 가하기 위한 압박 부재를 포함하는 전자 키이 시스템의 휴대 장치.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체결부는 비상 키이의 전방 단부에 인접해서 형성되며, 회전축은 비상 키이가 하우징 내로 또는 하우징 밖으로 활주되는 방향에 수직하게 설치되며, 회전 부재의 제2 단부는 비상 키이가 삽입되는 하우징의 삽입 구멍에 보다 인접해서 설치되는 전자 키이 시스템의 휴대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회전축은 본체의 내측에서 하우징 내에 유지되는 비상 키이의 종방향 중심축과 비상 키이의 종방향 중심축에서 휴대 장치의 내측 중 어느 하나 상에 위치되는 전자 키이 시스템의 휴대 장치.
  6. 제4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하우징은 휴대 장치 본체의 두 개의 대향하는 외벽 및 이들 두 개의 대향하는 외벽 사이의 제3 외벽(중앙 외벽)을 포함하는 세 개의 측벽에 의해 한정되며, 회전 부재는 중앙 외벽 상에 설치되는 전자 키이 시스템의 휴대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비상 키이의 키이 홈은 종방향 요홈으로서 형성되며, 휴대 장치의 본체는 두 개의 대향된 외벽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제1 부분과 두 개의 대향된 외벽 중 다른 하나 및 회전 부재를 포함하는 제2 부분으로 분해될 수 있도록 형성되며, 회전 부재를 갖는 제2 부분의 외벽 및 하우징의 다른 측벽으로서 휴대 장치의 본체에 형성된 벽부 중 적어도 하나에는 하우징 내로 연장되는 돌출부가 형성되며, 상기 돌출부는 하우징에 유지되는 비상 키이의 키이 홈에 끼워지는 전자 키이 시스템의 휴대 장치.
KR1020050007813A 2004-01-30 2005-01-28 전자 키이 시스템용 휴대 장치 KR10065964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4-00023880 2004-01-30
JP2004023880A JP4643152B2 (ja) 2004-01-30 2004-01-30 電子キーシステムの携帯機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78217A true KR20050078217A (ko) 2005-08-04
KR100659643B1 KR100659643B1 (ko) 2006-12-21

Family

ID=348057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07813A KR100659643B1 (ko) 2004-01-30 2005-01-28 전자 키이 시스템용 휴대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7448238B2 (ko)
JP (1) JP4643152B2 (ko)
KR (1) KR100659643B1 (ko)
CN (1) CN100345468C (ko)
DE (1) DE102005002764B4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357931B4 (de) * 2003-12-11 2006-09-07 Daimlerchrysler Ag Elektronischer Schlüssel
JP2005290905A (ja) * 2004-04-02 2005-10-20 Tokai Rika Co Ltd 携帯機のケース構造
US9963908B2 (en) 2004-09-10 2018-05-08 Hy-Ko Products Company Data key and method of using same
ATE386993T1 (de) * 2004-09-10 2008-03-15 Hy Ko Products Co System zur hochfrequenzidentifikation (rfid) für herstellung, verteilung und verkauf von schlüsseln
JP4548205B2 (ja) * 2005-04-27 2010-09-22 株式会社デンソー ワイヤレス送受信機及びその製造方法
JP4695463B2 (ja) * 2005-09-01 2011-06-08 株式会社東海理化電機製作所 携帯機
JP4658764B2 (ja) * 2005-10-05 2011-03-23 株式会社東海理化電機製作所 シリンダ錠、キー、及び携帯機
JP4620610B2 (ja) * 2006-02-28 2011-01-26 株式会社アルファ 電子キー装置
JP2007277919A (ja) * 2006-04-06 2007-10-25 Tokai Rika Co Ltd キー装置
JP4980853B2 (ja) * 2006-11-10 2012-07-18 株式会社アルファ 電動ステアリングロック装置
WO2008067276A1 (en) * 2006-11-27 2008-06-05 Continental Automotive Systems Us, Inc. Key fob assembly
JP4953244B2 (ja) * 2007-03-21 2012-06-13 オムロンオートモーティブエレクトロニクス株式会社 携帯機
DE102007034481A1 (de) * 2007-07-20 2009-01-22 Huf Hülsbeck & Fürst Gmbh & Co. Kg Verriegelungsvorrichtung mit Arretierungsteil
KR100921048B1 (ko) * 2007-12-15 2009-10-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스마트키 시스템을 탑재한 차량의 변속레버 잠금장치
KR100966470B1 (ko) * 2008-07-14 2010-06-28 콘티넨탈 오토모티브 시스템 주식회사 차량 엔진 시동 시스템용 무선 전자송수신기
JP4489135B1 (ja) * 2008-12-26 2010-06-23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携帯電子機器
JP4743669B2 (ja) * 2009-03-16 2011-08-10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電子キー
US8171764B2 (en) * 2009-03-26 2012-05-08 Panasonic Corporation Electronic lock
US20110019342A1 (en) * 2009-07-27 2011-01-27 Justin Moore Remote control
US8548645B2 (en) * 2009-08-17 2013-10-01 Donna Long Two step keyless start system
JP5168602B2 (ja) * 2010-08-02 2013-03-21 株式会社デンソー 携帯型無線キー
JP2012046931A (ja) * 2010-08-26 2012-03-08 Denso Corp 車両用スマートキーシステムの携帯機
JP2014111857A (ja) * 2011-03-31 2014-06-19 Panasonic Corp 電子キー
JP5557829B2 (ja) * 2011-12-07 2014-07-23 オムロンオートモーティブエレクトロニクス株式会社 車両用携帯機
FR3010282B1 (fr) * 2013-09-09 2016-06-10 Valeo Securite Habitacle Boitier de cle
USD773406S1 (en) * 2015-02-03 2016-12-06 Lg Electronics Inc. Smart key for automobiles
DE102015117632A1 (de) * 2015-10-16 2017-04-20 Huf Hülsbeck & Fürst Gmbh & Co. Kg Kraftfahrzeugschlüssel
JP6536487B2 (ja) * 2016-05-31 2019-07-03 株式会社デンソー 電子キー
IT201600129819A1 (it) * 2016-12-22 2018-06-22 Giobert Spa Dispositivo di avviamento per veicolo
JP2018162646A (ja) * 2017-03-27 2018-10-18 アルプス電気株式会社 鍵装置
CN109469408A (zh) * 2017-09-08 2019-03-15 法雷奥汽车内部控制(深圳)有限公司 用于机动车辆的钥匙组件
KR101853765B1 (ko) 2017-11-23 2018-05-02 콘티넨탈 오토모티브 게엠베하 차량용 스마트키
KR101853764B1 (ko) * 2017-11-23 2018-05-02 콘티넨탈 오토모티브 게엠베하 파손 방지형 카드키
KR101853763B1 (ko) 2017-11-24 2018-05-02 콘티넨탈 오토모티브 게엠베하 카드형 스마트키
CN110670953A (zh) * 2019-10-26 2020-01-10 重庆长安汽车股份有限公司 一种汽车钥匙

Family Cites Families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885957A (en) * 1929-08-15 1932-11-01 Singleton Roscoe Elwood Automatic key case
US2566118A (en) * 1948-01-07 1951-08-28 Harold R Corwin Carrying case, more particularly for keys
US2694244A (en) * 1953-08-26 1954-11-16 Nicholas J Nolan Key retainer
DE1812126U (de) * 1960-04-01 1960-05-25 Continental Gummi Werke Ag Etui fuer autoschluessel.
US3579750A (en) * 1968-10-15 1971-05-25 Volkswagen Ag Lock for safety belts
JPS519218B1 (ko) * 1969-11-24 1976-03-25
DE2047054A1 (de) * 1970-09-24 1972-03-30 Voss Kg J Lenkschloß, insbesondere für Kraftfahrzeuge
US4464679A (en) 1981-07-06 1984-08-07 Rca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operating a microprocessor in synchronism with a video signal
US4569215A (en) * 1984-05-25 1986-02-11 Rena Taslitt Extendable key operator
DE4444913C2 (de) 1993-12-18 1999-12-16 Marquardt Gmbh Schlüssel
DE19505190A1 (de) * 1995-02-16 1996-08-22 Marquardt Gmbh Elektronischer Schlüssel
FR2794161B1 (fr) * 1999-05-28 2001-08-10 Siemens Automotive Sa Clef electronique pour vehicule automobile
JP3545646B2 (ja) * 1999-06-11 2004-07-21 株式会社アルファ ロック装置
JP3545647B2 (ja) * 1999-06-11 2004-07-21 株式会社アルファ 電子キイ構造
DE19943498C2 (de) * 1999-09-10 2002-03-07 Kiekert Ag Fahrzeugschlüssel für fernbedienbare Fahrzeugschliesssysteme
DE19964314C2 (de) * 1999-11-24 2003-07-10 Huf Huelsbeck & Fuerst Gmbh Schlüssel, insbesondere für Kfz
DE19958819C1 (de) * 1999-12-07 2001-05-10 Valeo Gmbh & Co Schliessyst Kg Flachschüssel
JP2002322841A (ja) 2001-04-24 2002-11-08 Tokai Rika Co Ltd 電子キー
JP3954823B2 (ja) 2001-09-17 2007-08-08 アルプス電気株式会社 キーレスエントリー装置の携帯機
JP2003113683A (ja) 2001-10-03 2003-04-18 Alps Electric Co Ltd リモコン装置のメカキー取付構造
DE10228616A1 (de) 2002-06-26 2004-01-15 Leopold Kostal Gmbh & Co Kg Elektronischer Schlüssel
US6672118B1 (en) * 2002-07-08 2004-01-06 Edward E. Wright Apparatus and method for retaining key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4643152B2 (ja) 2011-03-02
CN1649475A (zh) 2005-08-03
DE102005002764B4 (de) 2018-02-22
JP2005213932A (ja) 2005-08-11
US7448238B2 (en) 2008-11-11
CN100345468C (zh) 2007-10-24
DE102005002764A1 (de) 2005-08-18
US20050166650A1 (en) 2005-08-04
KR100659643B1 (ko) 2006-12-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59643B1 (ko) 전자 키이 시스템용 휴대 장치
US7370501B2 (en) Key unit
CN102555990B (zh) 点火开关的操作限制装置
EP2982548B1 (en) Steering lock device
JP6169999B2 (ja) 携帯用装置およびその組立方法
JP4087655B2 (ja) メカキーを収容した携帯機
CN212074267U (zh) 电池结构及具有其的电动车
CN109949510B (zh) 移动电源租借设备和租借系统
JP4658729B2 (ja) 携帯機
KR20100079685A (ko) 스마트키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JP2003113683A (ja) リモコン装置のメカキー取付構造
JP4302555B2 (ja) キー装置
CN218375876U (zh) 一种智能无源锁控锁具
JP5465560B2 (ja) キー錠用操作ノブ及びこれを備えたキー錠装置
KR100818223B1 (ko) 전자인증시스템과 연동되는 스티어링 로크장치 및 그 제작방법
JP2007002499A (ja) 電子符号錠用キー
CN110714660A (zh) 一种电子锁的双开结构及具有其的电子锁
KR100722497B1 (ko) 차량의 시동키 겸용 무선도어락
CN220285499U (zh) 一种智能锁
CN219931893U (zh) 头盔锁、车篮及车辆
CN211572970U (zh) 一种电子锁的双开结构及具有其的电子锁
CN211287102U (zh) 锁具及收纳装置
JP2009127403A (ja) キー装置
JP4600229B2 (ja) 施錠装置
JP2007291624A (ja) 電子キーシステムの携帯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2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06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05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04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05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01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