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74912A - 공기 조화 장치 - Google Patents

공기 조화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74912A
KR20050074912A KR1020050003082A KR20050003082A KR20050074912A KR 20050074912 A KR20050074912 A KR 20050074912A KR 1020050003082 A KR1020050003082 A KR 1020050003082A KR 20050003082 A KR20050003082 A KR 20050003082A KR 20050074912 A KR20050074912 A KR 2005007491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door unit
mode
outdoor unit
transmission signal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030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02974B1 (ko
Inventor
우나기다히로아끼
마쯔모또고오이찌
도비유끼오
Original Assignee
산요덴키가부시키가이샤
산요 에어컨디셔너즈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산요덴키가부시키가이샤, 산요 에어컨디셔너즈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산요덴키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500749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7491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029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02974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BDISPOSAL OF SOLID WAS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09B2101/00Type of solid waste
    • B09B2101/02Gases or liquids enclosed in discarded articles, e.g. aerosol cans or cooling systems of refrigera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5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user interfaces or communication
    • F24F11/56Remote contro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3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purposes related to the operation of the system, e.g. for safety or monitor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8/00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 B02C18/06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with rotating knives
    • B02C18/16Details
    • B02C18/18Knives; Mountings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BDISPOSAL OF SOLID WAS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09B3/00Destroying solid waste or transforming solid waste into something useful or harmle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0PRESSES
    • B30BPRESSES IN GENERAL
    • B30B9/00Press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urposes
    • B30B9/02Press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urposes for squeezing-out liquid from liquid-containing material, e.g. juice from fruits, oil from oil-containing materi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Air Conditioning Control Dev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과제는 EEPROM 등의 불휘발성의 기억 장치를 이용하지 않고, 전원 복귀 후에 멀티 접속의 공기 조화 장치를 원활하게 운전 복귀시킨다.
공기 조화 장치의 리모트 컨트롤러(2, 3)는 전지에 의해 동작 전원이 백업되어 있고, 지시된 운전 모드를 포함하는 정기 송신 신호를 소정 소정 시간 간격으로 송신한다. 또한, 운전 복귀 수단은 전원 복귀 후에 실내기(A, B)의 정지 상태로 리모트 컨트롤러로부터 정기 송신 신호를 수신하면, 지시된 운전 모드가 메뉴얼 모드의 경우에는 실외기(1) 및 대응하는 실내기의 운전을 1회째의 정기 송신 신호로 재개시키고, 한편 지시된 운전 모드가 자동 모드의 경우에는 2회째의 정기 송신 신호로 실외기 및 대응하는 실내기의 운전을 재개시킨다.

Description

공기 조화 장치{AIR CONDITIONER}
본 발명은 공기 조화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실외기에 복수의 실내기가 접속되어 있는 공기 조화 장치에 있어서의 정전 후의 운전 복귀 수단에 관한 것이다.
종래, 룸 에어컨 등의 공기 조화 장치는 도6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리모트 컨트롤러로부터 운전 신호가 출력되어 운전을 개시한 후에 순간적인 정전이 발생한 경우에는, 전원이 복귀되어도 공기 조화 장치 본체의 마이크로 컴퓨터가 정전에 의해 초기화되어 있기 때문에, 그 이후는 정지한 상태를 유지하고 있다. 그러나, 전기 사정이 악화된 지역에서는 빈번하게 정전이 발생하기 때문에, 전원이 복귀되었을 때에는 자동적으로 공기 조화 장치의 운전이 복귀되는 것이 요구되고 있다. 그리고, 전원 복귀시에 자동적으로 운전이 복귀되는 공기 조화 장치는, 예를 들어 특허 문헌 1이나 특허 문헌 2에 기재되어 있다.
특허 문헌 1의 공기 조화 장치에서는 운전 상황을 EEPROM 등의 불휘발성의 기억 장치에 항상 기억시켜 두고, 이 기억 내용을 기초로 하여 전원 복귀시에 자동적으로 운전을 재개시키고 있다. 그러나, EEPROM 등의 불휘발성의 기억 장치는 고가인 동시에, 기억의 재기록 횟수에 한계가 있어 운전 상황을 순차 기억시키면, 공기 조화 장치의 내용연수가 되기 전에, 데이터의 재기록이 불가능해져 교환할 필요가 있다. 한편, 운전 상황을 기억시키는 빈도를 낮게 하면, 정전시에 기억하고 있는 운전 상황의 내용이 매우 오래되어 정전 직전의 운전 상황과 크게 다를 우려가 있다.
또한, 특허 문헌 2의 공기 조화 장치에서는 리모트 컨트롤러로부터의 운전 모드의 송신에 의해, 운전을 복귀시키고 있다. 확실하게, 1대의 실외기에 1대의 실내기가 접속되어 있는(즉, 싱글 접속) 경우에는, 원활하게 운전 복귀가 실행된다. 그런데, 도5에 도시한 바와 같이 1대의 실외기(1)에 복수의 실내기(A, B)가 접속되어 있는(즉, 멀티 접속) 경우가 있다. 그리고, 공기 조화 장치의 운전 모드에는 실내기(A, B)에 난방 운전, 냉방 운전 및 제습 운전 등을 지시하는 메뉴얼 모드와 자동 운전(운전 개시 시의 실온이나 외기 온도를 기초로 하여 자동적으로 운전 모드를 설정하여 운전하는 운전)을 지시하는 자동 모드가 있다. 실외기(1)는, 난방 운전할 때에는 냉동 사이클의 냉매를 실외기용 열 교환기로부터 압축기의 차례로 실내기에 이송하는 가열 운전 모드가 되고, 한편 냉방 운전 및 제습 운전할 때에는 냉동 사이클의 냉매를 압축기로부터 실외기용 열 교환기의 차례로 실내기에 이송하는 냉각 운전 모드가 된다. 따라서, 멀티 접속인 경우에는 한 쪽의 실내기(A)가 냉방 운전하고 있을 때에, 다른 쪽의 실내기(B)를 메뉴얼 모드로 난방 운전시키고자 하면, 냉각 운전 모드의 실외기(1)를 운전 모드가 다른 가열 운전 모드로 할 필요가 있고, 다른 모드로서 경보를 발생시키는 동시에 실내기(B)의 운전 개시를 거부한다. 또한, 실내기(A)가 냉방 운전하고 있을 때에 다른 쪽의 실내기(B)를 자동 운전으로 하면, 실내기(B)의 마이크로 컴퓨터는 실온이나 외기 온도 등을 기초로 하여 가장 적절한 운전 모드를 선택한다. 그리고, 가장 적절한 운전 모드가 냉방 운전인 경우에는 실외기(1)의 운전 모드는 일치하고 있고, 실내기(B)는 냉방 운전을 개시한다. 한편, 가장 적절한 운전 모드가 난방 운전인 경우에는 실외기(1)의 운전 모드는 달라지게되어 다른 모드가 되기 때문에, 실내기(B)의 마이크로 컴퓨터는 다른 모드라고 판정하여 실외기(1)는 냉각 운전 모드를 유지하는 동시에, 실내기(B)는 난방 운전이 아니라 제습 운전을 개시한다.
이 멀티 접속의 공기 조화 장치에 있어서, 특허 문헌 2의 기재와 같이 리모트 컨트롤러(2, 3)로부터의 운전 모드의 송신에 의해, 운전을 복귀시키는 것을 검토한다. 전원 복귀시에, 예를 들어 실내기(B)의 리모트 컨트롤러(3)가 자동 모드 이며, 한편 실내기(A)의 리모트 컨트롤러(2)가 냉방 운전의 메뉴얼 모드인 경우가 있다. 그리고, 실내기(B)의 리모트 컨트롤러(3)로부터의 신호가 실내기(A)의 리모트 컨트롤러(2)의 신호보다도 빨리 수신되면, 자동 모드의 실내기(B)의 가장 적절한 운전 모드가 난방 운전인 경우에는, 실외기(1)의 운전이 가열 운전 모드로 재개한다. 그 후 실내기(A)가 냉방 운전의 신호를 수신하면, 실외기(1)를 가열 운전 모드와 다른 냉각 운전 모드로 할 필요가 있고, 다른 모드가 되어 경보를 발생시키는 동시에 실내기(A)의 운전 개시를 거부한다. 그로 인해, 실내기(A)의 운전을 재개할 수 없게 된다. 이와 같이, 전원 복귀 후의 운전 복귀를 원활하게 행해질 수 없는 경우가 있다.
[특허 문헌 1] 일본 특허 공개 제2001-241740호 공보
[특허 문헌 2] 일본 특허 공개 평7-225045호 공보
이와 같이 해결하고자 하는 문제점은 EEPROM 등의 불휘발성의 기억 장치를 이용하면, 공기 조화 장치의 내용연수가 되기 전에 데이터의 재기록이 불가능해져 교환할 필요가 있는 점이며, 또한 리모트 컨트롤러로부터의 운전 모드의 송신에 의해 운전을 복귀시키면, 멀티 접속인 경우에는 원활하게 운전을 복귀하지 못할 우려가 있는 점이다.
본 출원의 청구항 1에 기재된 발명의 공기 조화 장치는 실외기(1)에 복수의 실내기(A, B)가 접속되고, 각 실내기에 대응하여 각각 리모트 컨트롤러(2,3)가 설치되고, 이 리모트 컨트롤러가 조작되어 난방 운전, 냉방 운전 및 제습 운전 등을 지시하는 메뉴얼 모드 또는 자동 운전을 지시하는 자동 모드의 운전이 조작 명령 신호로서 리모트 컨트롤러로부터 실내기에 송신되어 실내기 및 실외기가 운전을 개시한다. 그리고, 이 공기 조화 장치는 정전에 의한 실내기나 실외기의 운전 정지 후에 있어서의 전원 복귀시에 실내기나 실외기의 운전을 복귀시키는 운전 복귀 수단을 구비하여 있고, 상기 리모트 컨트롤러는 전지에 의해 동작 전원이 백업되어 있고, 상기 조작 명령 신호의 송신 후 지시된 운전 모드를 포함하는 정기 송신 신호를 소정 시간 간격으로 송신하고, 또한 상기 운전 복귀 수단은 전원 복귀 후에 상기 실내기의 정지 상태로 리모트 컨트롤러로부터 정기 송신 신호를 수신하면, 지시된 운전 모드가 메뉴얼 모드인 경우에는 실외기 및 대응하는 실내기의 운전을 1회째의 정기 송신 신호로 재개시키고, 한편 지시된 운전 모드가 자동 모드인 경우에는 2회째 또는 3회째 이후의 정기 송신 신호로 실외기 및 대응하는 실내기의 운전을 재개시킨다.
본 출원의 청구항 2에 기재된 발명의 공기 조화 장치는, 리모트 컨트롤러가 조작되어 난방 운전, 냉방 운전 및 제습 운전 등을 지시하는 메뉴얼 모드 또는 자동 운전을 지시하는 자동 모드의 운전이 조작 명령 신호로서 리모트 컨트롤러로부터 실내기에 송신되어 실내기 및 실외기가 운전을 개시한다. 그리고, 이 공기 조화 장치는 정전에 의한 실내기나 실외기의 운전 정지 후에 있어서의 전원 복귀시에 실내기나 실외기의 운전을 복귀시키는 운전 복귀 수단을 구비하여 있고, 상기 리모트 컨트롤러는 전지에 의해 동작 전원이 백업되어 있고, 상기 조작 명령 신호의 송신 후 지시된 운전 모드를 포함하는 정기 송신 신호를 소정 시간 간격으로 송신하고, 또한 상기 운전 복귀 수단은 전원 복귀 후에 상기 실내기의 정지 상태로 리모트 컨트롤러로부터 정기 송신 신호를 수신하면, 싱글 접속인 경우에는 실외기 및 실내기의 운전을 1회째의 정기 송신 신호로 재개시키고, 멀티 접속으로 또한 지시된 운전 모드가 메뉴얼 모드인 경우에는 실외기 및 대응하는 실내기의 운전을 1회째의 정기 송신 신호로 재개시키고, 또한 멀티 접속으로 지시된 운전 모드가 자동 모드인 경우에는 2회째 또는 3회째 이후의 정기 송신 신호로 실외기 및 대응하는 실내기의 운전을 재개시킨다.
청구항 3에 기재된 공기 조화 장치는, 청구항 1 또는 2에 기재된 공기 조화 장치에 있어서, 상기 운전 복귀 수단이 1회째의 정기 송신 신호를 수신한 경우에 실외기가 이미 운전하고 있을 때에는, 지시된 운전 모드에 상관없이 1회째의 정기 송신 신호로 대응하는 실내기의 운전을 재개시킨다.
멀티 접속의 공기 조화 장치에 있어서, EEPROM 등의 불휘발성의 기억 장치를 이용하는 일 없이 전원 복귀 후에 운전을 원활하게 복귀한다는 목적을, 자동 모드인 경우에는 2회째 또는 3회째 이후의 정기 송신 신호로 운전을 재개시키고, 메뉴얼 모드의 운전 복귀를 자동 모드의 운전 복귀보다도 우선시킴으로써, 운전 복귀시에 다른 모드가 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실현하였다.
[제1 실시예]
다음에, 본 발명에 있어서의 공기 조화 장치의 일실시예에 대해, 도1 내지 도6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1은 본 발명에 있어서의 공기 조화 장치의 제어용 회로도이다. 도2는 리모트 컨트롤러의 송신의 흐름도이다. 도3은 운전 복귀의 흐름도이다. 도4는 운전 복귀의 변형예의 흐름도이다. 도5는 멀티 접속의 공기 조화 장치의 개략도이다. 도6은 공기 조화 장치의 타임차트로, (a)가 운전 복귀가 없는 경우의 도면, (b)가 도3의 흐름도에 대응하는 도면, (c)가 도4의 흐름도에 대응하는 도면이다. 또, 도1에 있어서, 실내기(B)의 도시는 생략되어 있다.
우선 처음에, 멀티 접속의 공기 조화 장치의 전체 구성을 설명한다.
도1 및 도5에 있어서, 공기 조화 장치는 실외기(1), 이 실외기(1)에 접속된 복수의 실내기(A, B) 및 각 실내기(A, B)에 대응하여 설치되어 있는 무선식의 리모트 컨트롤러(2, 3)를 구비하고 있다. 실내기(A, B)는 일반적으로는 별도의 방에 설치되고, 실외기(1)는 옥외에 설치된다. 실외기(1)는 냉매를 압축하는 압축기(6), 열 교환기(도시하지 않음), 냉매의 순환 유로를 절환하는 냉매 유로 절환 밸브(7) 및 제어 장치로서의 마이크로 컴퓨터(8) 등을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마이크로 컴퓨터(8)로부터의 명령으로 압축기(6)를 가동하는 동시에, 냉매 유로 절환 밸브(7)를 절환함으로써, 냉동 사이클의 냉매를 실외기용 열 교환기(도시하지 않음)로부터 압축기(6)의 차례로 실내기(A, B)에 공급하는 가열 운전 모드가 되거나, 또한 냉동 사이클의 냉매를 압축기(6)로부터 실외기용 열 교환기의 차례로 실내기(A, B)에 공급하는 냉각 운전 모드가 되거나 한다.
각 실내기(A, B)는 열 교환기(도시하지 않음), 송풍기(11), 부저(12), 수신부(13), 루버(도시하지 않음) 및 제어 장치로서의 마이크로 컴퓨터(14) 등을 구비하고 있고, 마이크로 컴퓨터(14)로부터의 명령으로 송풍기(11), 부저(12) 및 루버 등이 작동된다. 각 실내기(A, B)의 마이크로 컴퓨터(14)는 실외기(1)의 마이크로 컴퓨터(8)에 신호선(15)으로 접속되어 있다. 또한, 각 리모트 컨트롤러(2, 3)는 실온 센서(16), 조작부(17), 송신부(18) 및 제어 장치로서의 마이크로 컴퓨터(19) 등을 구비하고 있다. 또, 실외기(1) 및 실내기(A, B)는 전력선으로부터 급전되어 있고, 한편 리모트 컨트롤러(2, 3)는 건전지 등의 전지로 작동하고 있다(즉, 전지에 의해 동작 전원이 백업되어 있음). 그로 인해, 실외기(1) 및 실내기(A, B)의 전원인 전력선으로부터의 급전이 정지(즉, 정전)되어도, 리모트 컨트롤러(2, 3)의 작동에는 영향이 없다.
다음에, 리모트 컨트롤러(2, 3)의 실내기(A, B)로의 송신의 흐름을, 도2의 흐름도를 기초로 하여 설명한다.
스텝 1에 있어서, 리모트 컨트롤러(2, 3)의 제어 장치로서의 마이크로 컴퓨터(19)는 리모트 컨트롤러(2, 3)의 조작부(17)가 조작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있다. 그리고, 조작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스텝 4로 행하고, 조작에 의해 운전 명령이 지시된 경우에는 스텝 2로 행하고, 또한 조작에 의해 정지 명령이 지시된 경우에는 스텝 6으로 행한다.
마지막으로, 리모트 컨트롤러(2, 3)가 조작되어 있지 않은 경우를 상정하면, 스텝 1로부터 스텝 4로 행하고, 스텝 4에 있어서 마이크로 컴퓨터(19)는 정기 송신 타임이 되었는지 여부를 판단(상세한 것은 후술함)하고 있지만, 정기 송신 타임이 아니므로 스텝 1로 복귀한다. 이렇게 하여, 리모트 컨트롤러(2, 3)가 조작되기까지 대기하고 있다.
또한, 스텝 1에 있어서 리모트 컨트롤러(2, 3)가 조작되고, 이 조작에 의해 난방 운전, 냉방 운전 및 제습 운전 등을 지시하는 메뉴얼 모드 또는, 자동 운전( 운전 개시시의 실온이나 외기 온도를 기초로 하여 자동적으로 운전 모드나 설정 온도를 설정하여 운전하는 운전)을 지시하는 자동 모드의 운전이 지시된 경우에는, 마이크로 컴퓨터(19)의 메모리부에 지시된 운전 모드를 기억시키고, 스텝 1로부터 스텝 2로 행한다. 스텝 2에 있어서, 마이크로 컴퓨터(19)의 메모리부의 운전 플래그를 세워 운전 중인 것을 메모리부에 기억하여 스텝 3으로 행한다. 스텝 3에 있어서, 리모트 컨트롤러(2, 3)의 송신부(18)로부터 실내기(A, B)의 수신부(13)에 조작 명령 신호를 송신한다. 실내기(A, B)의 마이크로 컴퓨터(14)는 수신부(13)를 통해 조작 명령 신호를 수신하면, 지시된 운전 모드로 실내기(A, B) 및 실외기(1)의 운전을 개시시키는 동시에 부저(12)를 작동시켜 부저음을 발생시킨다. 조작 명령 신호는 부저 신호, 운전 중 신호(즉, 운전 플래그가 있는 신호), 조작부(17)에 의해 설정된 설정 온도, 실온 센서(16)가 검출된 실온 및 지시된 운전 모드 등의 정보를 갖고 있는 동시에 부저 신호 및 운전 중 신호의 양자를 가짐으로써, 조작에 의한 운전 개시를 위한 신호인 것을 알 수 있게 되어 있다. 또한, 조작 명령 신호의 송신 후 마이크로 컴퓨터(19)는 정기 송신 타임용에 경과 시간의 계측을 개시한다. 그리고, 스텝 4로 행한다.
스텝 4에 있어서, 마이크로 컴퓨터(19)는 정기 송신 타임(예를 들어, 5분)이 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있고, 정기 송신 타임이 된 경우에는 스텝 5로 행하고, 또한 정기 송신 타임이 아닌 경우에는 스텝 1로 행한다. 따라서, 조작 명령 신호의 송신 후 정기 송신 타임이 될 때까지 스텝 4로부터 스텝 1로 행하고, 이어서 스텝 1로부터 스텝 4로 행하는 것을 반복하여 대기하고 있고, 정기 송신 타임이 되면 스텝 5로 행한다.
그리고, 스텝 5에 있어서 마이크로 컴퓨터(19)는 리모트 컨트롤러(2, 3)의 송신부(18)로부터, 실내기(A, B)의 수신부(13)에 정기 송신 신호를 송신한다. 이어서, 마이크로 컴퓨터(19)는 정기 송신 타임용의 타이머를 리셋하고, 다시 정기 송신 타임을 위한 경과 시간의 계측을 개시하여 스텝 1로 복귀하고 있다. 정기 송신 신호는 조작 명령 신호와 마찬가지로, 운전 중 신호, 설정 온도, 실온 및 지시된 운전 모드 등의 정보를 갖고 있지만 부저 신호를 갖지 않음으로써, 조작에 의한 운전 개시를 위한 신호인 조작 명령 신호가 아닌 것을 알 수 있게 되어 있다. 이렇게 하여, 정기 송신 신호는 정기적(즉, 정기 송신 타임마다)으로 송신되고, 실내기(A, B)에 실온 등의 정보를 정기적으로 제공하는 정기 송신의 기능을 구비하고 있는 동시에, 정전 후의 운전 재개를 위한 신호로서 기능을 갖고 있다.
그 후 리모트 컨트롤러(2, 3)가 조작되고, 이 조작에 의해 운전의 정지가 지시된 경우에는 스텝 1로부터 스텝 6으로 행한다. 그리고, 스텝 6에 있어서 마이크로 컴퓨터(19)의 메모리부의 운전 플래그를 해제하여 스텝 7로 행한다.
스텝 7에 있어서, 리모트 컨트롤러(2, 3)의 송신부(18)로부터, 실내기(A, B)의 수신부(13)에 정지 명령 신호(즉, 운전 플래그가 없는 신호)를 송신하는 동시에, 정기 송신 타임용의 타이머를 리셋한다. 그리고, 스텝 1로 복귀한다.
다음에, 실내기(A) 및 실외기(1)의 전원 복귀 후의 운전 복귀의 흐름을, 도3의 흐름도를 기초로 하여 설명한다. 또, 실내기(B)의 운전 복귀의 흐름은 실내기(A)의 흐름과 동일하다
전원 복귀시에는 실내기(A, B) 및 실외기(1)는 정지하고 있다. 또, 실내기(A, B)의 마이크로 컴퓨터(14) 및 실외기(1)의 마이크로 컴퓨터(8)는 전원 복귀시에 초기화되고, 지금까지의 운전 상태의 데이터는 소멸되어 있다. 또한, 리모트 컨트롤러(2, 3)로부터는 정기 송신 신호가 정기적으로(5분 간격으로) 송신되고, 실내기(A, B)의 수신부(13)가 수신하고 있다.
그리고, 실내기(A)의 제어 장치로서의 마이크로 컴퓨터(14)는 스텝 21 및 스텝 22에서, 운전 복귀를 행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있다. 스텝 21에 있어서, 실내기(A)의 마이크로 컴퓨터(14)는 실내기(A)가 정지 중인지 여부를 판단하고, 운전 중인 경우에는 전원 복귀시가 아니므로, 스텝 21로 복귀하여 운전 복귀의 흐름에는 들어 가지 않는다. 한편, 실내기(A)가 정지되어 있는 경우에는 스텝 22로 행한다.
스텝 22에 있어서, 마이크로 컴퓨터(14)는 수신부(13)가 정기 송신 신호를 수신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있다. 정기 송신 신호를 수신하지 않은 경우에는, 정상적으로 정지하고 있으므로 스텝 21로 복귀하고, 운전 복귀의 흐름에는 들어 가지 않는다. 한편, 정기 송신 신호를 수신한 경우에는 운전 복귀의 흐름에 들어 가 스텝 23으로 행한다.
스텝 23에 있어서, 실내기(A)의 마이크로 컴퓨터(14)는 실외기(1)의 마이크로 컴퓨터(8)에 멀티 접속이 싱글 접속을 조회하고, 싱글 접속인 경우에는 스텝 24로 행하고, 실내기(A) 및 실외기(1)의 운전을 정기 송신 신호의 데이터를 기초로 하여 재개한다. 한편, 멀티 접속인 경우에는 스텝 25로 행한다.
스텝 25에 있어서, 마이크로 컴퓨터(14)는 정기 송신 신호의 운전 모드가 자동 모드인지 메뉴얼 모드인지를 판단하고, 자동 모드인 경우에는 스텝 28로 행하고, 메뉴얼 모드인 경우에는 스텝 26으로 행한다.
스텝 26에 있어서, 마이크로 컴퓨터(14)는 지시된 메뉴얼 모드(난방 운전, 제습 운전 또는 냉방 운전 등)가 실외기(1)의 운전 모드(가열 운전 모드 또는 냉각 운전 모드)와 일치하고 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또, 실외기(1)의 운전이 정지되어 있는 경우(즉, 운전 모드가 아직 지정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일치하고 있다고 판단하고 있다. 그리고, 일치하고 있는 경우[예를 들어, 실내기(A)가 난방 운전이고, 실외기(1)가 가열 운전 모드인 경우]에는 스텝 24로 행하여 실내기(A) 및 실외기(1)의 운전을 재개한다. 또, 실외기(1)가 이미 운전 중인 경우에는 운전을 유지한다. 한편, 지시된 메뉴얼 모드가 실외기(1)의 운전 모드와 다른 경우[예를 들어, 실내기(A)가 난방 운전이고, 실외기(1)가 냉각 운전 모드인 경우]에는 다른 모드라고 판단하여 스텝 27로 행하고, 부저(12)를 작동시켜 경보를 발하는 동시에 정지한 상태를 유지시킨다.
한편, 스텝 25에 있어서 마이크로 컴퓨터(14)가 자동 모드라고 판단된 경우에는 스텝 28로 행하고, 스텝 28에 있어서 마이크로 컴퓨터(14)의 수신 횟수용의 카운터를 참조하여 정기 송신 신호의 수신 횟수가 몇 회째인지를 판단한다. 처음은 1회째이므로, 스텝 29로 행하고 수신 횟수용의 카운터를 카운터 업(즉, 1 가산)하여 2회째로 하고, 스텝 21로 복귀한다. 그리고, 정기 송신 타임(본 실시예에서는 5분) 후, 스텝 22에서 정기 송신 신호를 수신하고, 다시 스텝 28로 행한다.
그리고, 스텝 28에 있어서 마이크로 컴퓨터(14)의 수신 횟수용의 카운터를 참조하여, 정기 송신 신호의 수신 횟수가 2회째라고 판단되어 스텝 30으로 행한다. 스텝 30에 있어서, 실내기(A) 및 실외기(1)의 운전을 재개한다. 또, 실외기(1)가 이미 운전 중인 경우에는 운전을 유지한다.
실외기(1) 및 실내기(A, B)의 운전의 타임차트를 도6의 (b)를 기초로 하여 설명한다. 또, 이 도6의 (b)의 예에서는 실내기(A)의 리모트 컨트롤러(2)는 메뉴얼 모드로 실내기(B)의 리모트 컨트롤러(3)는 자동 모드로 조작된다.
리모트 컨트롤러(2)가 조작되어 리모트 컨트롤러(2)의 송신부(18)로부터 운전 명령으로서 메뉴얼 모드의 조작 명령 신호가 송신되면, 실외기(1) 및 리모트 컨트롤러(2)에 대응하는 실내기(A)가 운전을 개시한다. 그 후 리모트 컨트롤러(2)의 송신부(18)로부터는 정기 송신 타임마다 정기 송신으로서 정기 송신 신호가 송신된다.
또한, 리모트 컨트롤러(2)의 조작 후 리모트 컨트롤러(3)가 조작되어 리모트 컨트롤러(3)의 송신부(18)로부터 운전 명령으로서 자동 모드의 조작 명령 신호가 송신되면, 리모트 컨트롤러(3)에 대응하는 실내기(B)가 운전을 개시한다. 그 후 리모트 컨트롤러(3)의 송신부(18)로부터는 정기 송신 타임마다 정기 송신으로서 정기 송신 신호가 송신된다.
그리고, 정전이 발생되면 실외기(1) 및 실내기(A, B)는 운전을 정지한다. 메뉴얼 모드의 실내기(A)는 전원 복귀 후 1회째의 정기 송신으로 복귀한다. 그 때 동시에 실외기(1)의 운전도 복귀한다. 또한, 자동 모드의 실내기(B)는 전원 복귀 후 2회째의 정기 송신으로 복귀한다. 이 때, 정기 송신 신호가 실외기(1)와 다른 모드가 되는 조건이라도, 자동 모드인 실내기(B)는 실외기(1)에 맞춘 모드로 변경되어 운전을 개시하도록 되어 있다. 그 후 리모트 컨트롤러(2, 3)가 각각 조작되어 리모트 컨트롤러(2, 3)의 송신부(18)로부터 각각 정지 명령이 송신되면, 실내기(A, B) 및 실외기(1)의 운전이 정지된다.
이렇게 하여, 메뉴얼 모드의 실내기(A)를 1회째의 정기 송신으로 복귀시키고, 한편 자동 모드의 실내기(B)를 2회째의 정기 송신으로 복귀시키고 있고, 메뉴얼 모드의 실내기(A)가 자동 모드의 실내기(B)보다도 먼저 복귀하고 있으므로, 다른 모드 정지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다음에, 실내기(A) 및 실외기(1)의 전원 복귀 후 운전 복귀의 흐름의 변형예를, 도4의 흐름도를 기초로 하여 설명한다. 또, 실내기(B)의 운전 복귀의 흐름은 실내기(A)의 흐름과 동일하다
도4의 흐름도는, 스텝 28과 스텝 29 사이에 스텝 28-1이 마련되어 있는 것 이외는, 도3의 흐름도와 동일하다
스텝 20으로부터 스텝 28까지는 도3의 흐름도와 동일하기 때문에 설명은 생략한다. 그리고, 실내기(A)에 대응하는 리모트 컨트롤러(2)의 운전 모드가 자동 모드이며, 또한 전원 복귀 후 1회째의 정기 송신의 정기 송신 신호의 수신으로, 스텝 28로부터 스텝 28로 행한다. 스텝 28-1에 있어서, 실내기(A)의 마이크로 컴퓨터(14)는 실외기(1)의 마이크로 컴퓨터(8)에 실외기(1)가 운전 중인지 여부를 조회한다. 그리고, 실외기(1)가 운전 중인 경우에는 실내기(B)가 메뉴얼 모드로 복귀되어 있다고 판정하여 스텝 30으로 행하고, 스텝 30에 있어서 실내기(A)의 운전을 재개시킨다. 한편, 스텝 28-1에 있어서 실외기(1)가 정지 중인 경우에는 스텝 29로 행한다.
이 도4의 변형예의 실외기(1) 및 실내기(A, B)의 운전 타임차트를 도6의 (c)를 기초로 하여 설명한다. 또, 이 도6의 (c)의 예에서는 실내기(A)의 리모트 컨트롤러(2)는 자동 모드로, 실내기(B)의 리모트 컨트롤러(3)는 메뉴얼 모드로 조작된다.
리모트 컨트롤러(2)가 조작되고, 리모트 컨트롤러(2)의 송신부(18)로부터 운전 명령으로서 자동 모드의 조작 명령 신호가 송신되면, 실외기(1) 및 리모트 컨트롤러(2)에 대응하는 실내기(A)가 운전을 개시한다. 그 후 리모트 컨트롤러(2)의 송신부(18)로부터는 정기 송신 타임마다 정기 송신으로서 정기 송신 신호가 송신된다.
또한, 리모트 컨트롤러(2)의 조작 후 리모트 컨트롤러(3)가 조작되고, 리모트 컨트롤러(3)의 송신부(18)로부터 운전 명령으로서 메뉴얼 모드의 조작 명령 신호가 송신되면, 리모트 컨트롤러(3)에 대응하는 실내기(B)가 운전을 개시한다. 그 후 리모트 컨트롤러(3)의 송신부(18)로부터는 정기 송신 타임마다 정기 송신으로서 정기 송신 신호가 송신된다.
그리고, 정전이 발생되면 실외기(1) 및 실내기(A, B)는 운전을 정지한다. 메뉴얼 모드의 실내기(B)는 전원 복귀 후 1회째의 정기 송신으로 복귀한다. 그 때 동시에 실외기(1)의 운전도 복귀한다. 또한, 자동 모드의 실내기(A)는 1회째의 정기 송신시에 실외기(1)가 운전 중이기 때문에, 이 1회째의 정기 송신시에 복귀한다. 이 때, 정기 송신 신호가 실외기(1)와 다른 모드가 되는 조건이라도, 자동 모드인 실내기(A)는 실외기(1)에 맞춘 모드로 변경되어 운전이 개시된다. 또, 도3의 실시예에서는 자동 모드의 실내기(A)는 파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2회째의 정기 송신시에 복귀한다. 그 후 리모트 컨트롤러(2, 3)가 각각 조작되어 리모트 컨트롤러(2, 3)의 송신부(18)로부터 각각 정지 명령이 송신되면, 실내기(A, B) 및 실외기(1)의 운전이 정지된다.
이렇게 하여, 자동 모드의 실내기(A)를 전원 복귀 후 1회째의 정기 송신시에 실외기(1)가 운전 중이면 복귀시키고 있으므로, 파선으로 나타내는 2회째의 정기 송신으로 복귀시키는 경우보다도 신속하게 복귀시킬 수 있다.
이렇게 하여, 제어 수단은 복수의 마이크로 컴퓨터(8, 19, 14)로 구성되어 있는 동시에 운전 복귀 수단을 포함하고 있고, 이 운전 복귀 수단은 마이크로 컴퓨터(14) 및 마이크로 컴퓨터(8)로 구성되는 동시에, 전원 복귀 후에 실내기의 정지 상태에서 리모트 컨트롤러로부터 정기 송신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 수단과, 지시된 운전 모드가 메뉴얼 모드인지 자동 모드인지를 판정하는 지시 운전 모드 판정 수단과, 이 지시 운전 모드 판정 수단의 판정이 메뉴얼 모드인 경우에는 실외기 및 대응하는 실내기의 운전을 1회째의 정기 송신 신호로 재개시키는 메뉴얼 모드 복귀 수단과, 상기 지시 운전 모드 판정 수단의 판정이 자동 모드인 경우에는 2회째의 정기 송신 신호로 실외기 및 대응하는 실내기의 운전을 재개시키는 자동 모드 복귀 수단 등을 구비하고 있다.
이와 마찬가지로, 제어 수단은 상기 수단 이외로도 실행되는 각 공정에 대응하여 각 공정을 실행하는 수단을 구비하고 있다. 예를 들어, 리모트 컨트롤러(2, 3)의 제어 장치로서의 마이크로 컴퓨터(19)는 조작부(17)가 조작되어 운전 모드가 지시되면, 그 조작 명령 신호를 송신부(18)로부터 송신하는 조작 명령 신호 출력 수단과, 조작 명령 신호의 송신 후 지시된 운전 모드를 정기 송신 신호로서 소정 시간 간격으로 송신하는 정기 송신 수단 등을 구비하고 있다.
또한, 운전 복귀 수단이 1회째의 정기 송신 신호를 수신하였을 때에 실외기가 운전하고 있는지 여부를 판정하는 실외기 운전 판정 수단 및 이 실외기 운전 판정 수단이 1회째의 정기 송신 신호일 때에 실외기가 운전하고 있다고 판정된 경우에, 지시된 운전 모드에 상관없이 1회째의 정기 송신 신호로 대응하는 실내기의 운전을 재개시키는 실외기 운전시 재개 수단을 더욱 구비하고 있는 경우가 있다.
그리고, 운전 복귀 수단이 싱글 접속인지 멀티 접속인지를 판정하는 멀티 접속 판정 수단 및 싱글 접속인 경우에는 1회째의 정기 송신 신호를 수신하였을 때에 운전을 재개하는 싱글 접속 복귀 수단을 더욱 구비하고 있는 경우가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서술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요지의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의 변경을 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변경예를 하기에 예시한다.
① 실외기(1)에 접속되는 실내기(A, B)의 개수는 복수이면 좋고, 3대 이상이라도 가능하다.
② 정기 송신 신호의 송신 간격은 적절하게 변경 가능하고, 예를 들어 5분 이외의 3분이나 4분 등으로도 가능하다.
③ 각 흐름도의 스텝의 순서는 적절하게 변경 가능하다. 예를 들어, 스텝 22나 스텝 23은 스텝 21 전이라도 가능하다.
④ 운전 복귀 수단을 갖는 제어 수단은 복수의 마이크로 컴퓨터(8, 19, 14)로 구성되어 있지만, 그 개수나 배치 등은 적절하게 변경 가능하다.
⑤ 스텝 23은 반드시 필요하지 않다. 단, 공기 조화 장치를 멀티 접속 및 싱글 접속의 양자에 범용적으로 사용할 때에는, 스텝 23을 마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실외기에 복수의 실내기가 접속되어 있는 멀티 접속의 공기 조화 장치에 있어서, 한 쪽의 실내기가 난방 운전, 냉방 운전 및 제습 운전 등을 지시하는 메뉴얼 모드이고, 다른 쪽의 실내기가 자동 운전을 지시하는 자동 모드인 경우라도, 전원복귀시에는 원활하게 운전을 재개할 수 있다. 따라서, 멀티 접속의 공기 조화 장치에 적용하는 것이 가장 적합하다. 또한, 싱글 접속이라 판정하였을 때에는 1회째의 정기 송신 신호로 운전을 복귀함으로써, 싱글 접속의 공기 조화 장치라도 사용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전지에 의해 동작 전원이 백업되어 있는 리모트 컨트롤러가 지시된 운전 모드를 포함하는 정기 송신 신호를 소정 시간 간격으로 송신하고 있는 동시에, 운전 복귀 수단이 정기 송신 신호가 메뉴얼 모드인 경우에는 전원 복귀 후 1회째의 정기 송신 신호로 운전을 재개하고, 자동 모드인 경우에는 전원 복귀 후의 2회째 또는 3회째 이후의 정기 송신 신호로 운전을 재개하고 있다. 따라서, 메뉴얼 모드의 운전 복귀가 자동 모드의 운전 복귀보다도 우선하기 때문에, 운전 복귀시에 다른 모드가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 결과, 전원 복귀 후의 운전 복귀를 원활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1회째의 정기 송신 신호를 수신한 경우에 실외기가 운전하고 있을 때에는, 지시된 운전 모드에 상관없이 1회째의 정기 송신 신호로 대응하는 실내기의 운전을 재개시키고 있기 때문에, 다른 실내기가 메뉴얼 모드로 먼저 복귀하고, 그에 수반하여 실외기가 복귀되어 있을 때에는, 자동 모드라도 1회째의 정기 송신 신호로 신속하게 복귀시킬 수 있다.
도1은 본 발명에 있어서의 공기 조화 장치의 제어용 회로도.
도2는 리모트 컨트롤러의 송신의 흐름도.
도3은 운전 복귀의 흐름도.
도4는 운전 복귀의 변형예의 흐름도.
도5는 멀티 접속의 공기 조화 장치의 개략도.
도6은 공기 조화 장치의 타임차트로, (a)가 운전 복귀가 없는 경우의 도면, (b)가 도3의 흐름도에 대응하는 도면, (c)가 도4의 흐름도에 대응하는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실외기
A.B : 실내기
2,3 : 리모트 컨트롤러

Claims (3)

  1. 실외기에 복수의 실내기가 접속되고, 각 실내기에 대응하여 각각 리모트 컨트롤러가 설치되고, 이 리모트 컨트롤러가 조작되어 난방 운전, 냉방 운전 및 제습 운전 등을 지시하는 메뉴얼 모드 또는 자동 운전을 지시하는 자동 모드의 운전이 조작 명령 신호로서 리모트 컨트롤러로부터 실내기에 송신되어 실내기 및 실외기가 운전을 개시하는 공기 조화 장치에 있어서,
    정전에 의한 실내기나 실외기의 운전 정지 후에 있어서의 전원 복귀시에 실내기나 실외기의 운전을 복귀시키는 운전 복귀 수단을 구비하여 있고,
    상기 리모트 컨트롤러는 전지에 의해 동작 전원이 백업되어 있고, 상기 조작 명령 신호의 송신 후 지시된 운전 모드를 포함하는 정기 송신 신호를 소정 시간 간격으로 송신하고 있고,
    또한, 상기 운전 복귀 수단은 전원 복귀 후에 상기 실내기의 정지 상태로 리모트 컨트롤러로부터 정기 송신 신호를 수신하면, 지시된 운전 모드가 메뉴얼 모드인 경우에는 실외기 및 대응하는 실내기의 운전을 1회째의 정기 송신 신호로 재개시키고, 한편 지시된 운전 모드가 자동 모드인 경우에는 2회째 또는 3회째 이후의 정기 송신 신호로 실외기 및 대응하는 실내기의 운전을 재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조화 장치.
  2. 리모트 컨트롤러가 조작되어 난방 운전, 냉방 운전 및 제습 운전 등을 지시하는 메뉴얼 모드 또는 자동 운전을 지시하는 자동 모드의 운전이 조작 명령 신호로서 리모트 컨트롤러로부터 실내기에 송신되어 실내기 및 실외기가 운전을 개시하는 공기 조화 장치에 있어서,
    정전에 의한 실내기나 실외기의 운전 정지 후에 있어서의 전원 복귀시에 실내기나 실외기의 운전을 복귀시키는 운전 복귀 수단을 구비하여 있고,
    상기 리모트 컨트롤러는 전지에 의해 동작 전원이 백업되어 있고, 상기 조작 명령 신호의 송신 후 지시된 운전 모드를 포함하는 정기 송신 신호를 소정 시간 간격으로 송신하고 있고,
    또한, 상기 운전 복귀 수단은 전원 복귀 후에 상기 실내기의 정지 상태로 리모트 컨트롤러로부터 정기 송신 신호를 수신하면, 싱글 접속인 경우에는 실외기 및 실내기의 운전을 1회째의 정기 송신 신호로 재개시키고, 멀티 접속으로 또한 지시된 운전 모드가 메뉴얼 모드인 경우에는 실외기 및 대응하는 실내기의 운전을 1회째의 정기 송신 신호로 재개시키고, 또한 멀티 접속으로 지시된 운전 모드가 자동 모드인 경우에는 2회째 또는 3회째 이후의 정기 송신 신호로 실외기 및 대응하는 실내기의 운전을 재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조화 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운전 복귀 수단이 1회째의 정기 송신 신호를 수신한 경우에, 실외기가 이미 운전하고 있을 때에는 지시된 운전 모드에 상관없이 1회째의 정기 송신 신호로 대응하는 실내기의 운전을 재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조화 장치.
KR1020050003082A 2004-01-14 2005-01-13 공기 조화 장치 KR10060297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4006648A JP4297793B2 (ja) 2004-01-14 2004-01-14 空気調和装置
JPJP-P-2004-00006648 2004-01-1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74912A true KR20050074912A (ko) 2005-07-19
KR100602974B1 KR100602974B1 (ko) 2006-07-20

Family

ID=346168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03082A KR100602974B1 (ko) 2004-01-14 2005-01-13 공기 조화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EP (1) EP1555490B1 (ko)
JP (1) JP4297793B2 (ko)
KR (1) KR100602974B1 (ko)
CN (1) CN1301388C (ko)
DE (1) DE602005000160T2 (ko)
ES (1) ES2275240T3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03571B1 (ko) * 2006-10-10 2008-02-15 엘지전자 주식회사 멀티 에어컨의 운전제어장치 및 방법
CN113669859A (zh) * 2020-05-15 2021-11-19 上海三菱电机·上菱空调机电器有限公司 空调系统、空调系统的控制方法及计算机可读取介质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135759B2 (ja) * 2006-10-16 2008-08-20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空気調和装置の設定システム
CN103245009A (zh) * 2013-05-23 2013-08-14 江苏奇异点网络有限公司 一种多功能空气调节系统
JP6301121B2 (ja) * 2013-12-10 2018-03-28 三菱重工サーマルシステムズ株式会社 空調システム及び空調システムの制御方法
CN110901337B (zh) * 2019-11-28 2023-05-09 深圳市汇川技术股份有限公司 二合一驱动器保护方法、系统、设备以及存储介质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225145A (ja) * 1990-01-30 1991-10-04 Mitsubishi Electric Corp 空気調和機の制御装置
JPH0448143A (ja) * 1990-06-15 1992-02-18 Hitachi Ltd 空気調和機の制御方法
JPH05312375A (ja) * 1992-05-14 1993-11-22 Hitachi Ltd 空気調和機の制御装置
JPH07332774A (ja) * 1994-06-10 1995-12-22 Hitachi Ltd 空気調和装置
US5818347A (en) * 1995-12-26 1998-10-06 Carrier Corporation Identification of HVAC systems in a communication network
JPH10122635A (ja) * 1996-10-17 1998-05-15 Toshiba Corp 空気調和機
JPH11248235A (ja) * 1998-03-06 1999-09-14 Sanyo Electric Co Ltd 空気調和システム
KR100275385B1 (ko) * 1998-07-01 2000-12-15 안정권 축사용 공기조화 장치.
KR20010089906A (ko) * 1998-12-08 2001-10-15 구자홍 공기조화기의 운전제어방법
EP1074797B1 (en) * 1999-02-16 2005-12-28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Operation control method for air conditioning system and air conditioning system
JP3815172B2 (ja) * 2000-03-01 2006-08-30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多室形空気調和機
JP2001289484A (ja) * 2000-04-05 2001-10-19 Hitachi Ltd 空気調和機
JP3535148B2 (ja) * 2003-05-27 2004-06-07 東芝キヤリア株式会社 空気調和機
JP3535149B2 (ja) * 2003-05-27 2004-06-07 東芝キヤリア株式会社 空気調和機
KR100575696B1 (ko) 2004-11-03 2006-05-03 엘지전자 주식회사 비상전원공급부를 구비한 멀티형 공기조화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03571B1 (ko) * 2006-10-10 2008-02-15 엘지전자 주식회사 멀티 에어컨의 운전제어장치 및 방법
CN113669859A (zh) * 2020-05-15 2021-11-19 上海三菱电机·上菱空调机电器有限公司 空调系统、空调系统的控制方法及计算机可读取介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4297793B2 (ja) 2009-07-15
DE602005000160T2 (de) 2007-08-16
KR100602974B1 (ko) 2006-07-20
ES2275240T3 (es) 2007-06-01
JP2005201494A (ja) 2005-07-28
EP1555490A1 (en) 2005-07-20
CN1641280A (zh) 2005-07-20
EP1555490B1 (en) 2006-10-11
CN1301388C (zh) 2007-02-21
DE602005000160D1 (de) 2006-11-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02974B1 (ko) 공기 조화 장치
US8437877B2 (en) System recovery in a heating, ventilation and air conditioning network
EP1074797B1 (en) Operation control method for air conditioning system and air conditioning system
JP4007402B2 (ja) 空気調和機の室外機及びその制御方法
JP2007221397A (ja) リモコン受信回路を備えた電子機器
EP1314934B1 (en) Air conditioner
JP2005241045A (ja) 空気調和装置
CA2791973A1 (en) Remote control system for a room air conditioner and/or heat pump
JP3815172B2 (ja) 多室形空気調和機
JPH09113011A (ja) 内外分離型空気調和装置
JP2003106621A (ja) 浴室空調システム
EP1707891B1 (en) Air conditioner and shelter
JP2006194523A (ja) 空気調和システム、遠隔操作装置及び空気調和機
US5513796A (en) Dual control device of an air conditioner
WO2020170415A1 (ja) 空調システム及び管理装置
KR20000055135A (ko) 공기조화기의 운전제어 장치 및 방법
JP7321337B2 (ja) 空調制御システム、制御プログラムの更新方法、プログラム及び空調機
JP3535148B2 (ja) 空気調和機
JP5241071B2 (ja) 冷凍空調装置
JPH01181031A (ja) 空気調和装置
JP2004324898A (ja) 多室形空気調和機
JP5518130B2 (ja) 冷凍空調装置
JPH07225045A (ja) 空気調和機
CN117537454A (zh) 空调器的通信方式确定方法、控制器、空调器及存储介质
JP2001174033A (ja) 空気調和機の制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621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