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61326A - 접는 용기 - Google Patents

접는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61326A
KR20050061326A KR1020040105941A KR20040105941A KR20050061326A KR 20050061326 A KR20050061326 A KR 20050061326A KR 1020040105941 A KR1020040105941 A KR 1020040105941A KR 20040105941 A KR20040105941 A KR 20040105941A KR 20050061326 A KR20050061326 A KR 2005006132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wall
base
upper ring
fold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1059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896825B1 (ko
Inventor
쿠수마데이빗
카드피터엠.
루고헥터재비어배리어
Original Assignee
다아트 인더스트리즈 인코포레이팃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US10/735,724 external-priority patent/US7654402B2/en
Application filed by 다아트 인더스트리즈 인코포레이팃드 filed Critical 다아트 인더스트리즈 인코포레이팃드
Publication of KR200500613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6132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968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96825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1/00Nestable, stackable or joinable containers; Containers of variable capacity
    • B65D21/08Containers of variable capacity
    • B65D21/086Collapsible or telescopic conta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in one piece, e.g. by casting metallic material, by moulding plastics, by blowing vitreous material, by throwing ceramic material, by moulding pulped fibrous material, by deep-drawing operations performed on sheet material
    • B65D1/32Containers adapted to be temporarily deformed by external pressure to expel cont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in one piece, e.g. by casting metallic material, by moulding plastics, by blowing vitreous material, by throwing ceramic material, by moulding pulped fibrous material, by deep-drawing operations performed on sheet material
    • B65D1/40Details of walls
    • B65D1/42Reinforcing or strengthening parts or members
    • B65D1/44Corrug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by interconnecting or uniting two or more rigid, or substantially rigid, components made wholly or mainly of metal
    • B65D7/12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by interconnecting or uniting two or more rigid, or substantially rigid, components made wholly or mainly of metal characterised by wall construction or by connections between walls
    • B65D7/24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by interconnecting or uniting two or more rigid, or substantially rigid, components made wholly or mainly of metal characterised by wall construction or by connections between walls collapsible, e.g. with all parts detachab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In One Piece (AREA)
  • Rigid Containers With Two Or More Constituent Elements (AREA)
  • Making Paper Articles (AREA)
  • Folding Of Thin Sheet-Like Materials, Special Discharging Devices, And Others (AREA)
  • Auxiliary Devices For And Details Of Packaging Control (AREA)
  • Filling Or Discharging Of Gas Storage Vessels (AREA)

Abstract

접는 용기는 경사진 다수개의 접는 부분을 가지며, 각각의 벽 부분은 수직선에 대해 경사지게 연장하고 인접한 벽 부분 사이의 가요성 부분들은 펴진 용기의 제1 개방 위치와 접은 용기가 접히는 제2 위치 사이로 벽 부분들을 유연하게 이동시키며, 완전히 펴진 용기와 접힌 용기 모두에서 그리고 선택된 가요성 부분이 개방 위치에 있는 어떤 중간 위치에서도 벽 부분들의 이동을 저지한다.

Description

접는 용기{COLLAPSIBLE CONTAINER}
본 발명은 음식 및 음식이 아닌 제품 모두를 보관하는 여러가지 목적에 통상 사용되는 사출 성형 플라스틱 용기에 관한 것으로, 이러한 용기는 적당한 밀폐부 또는 뚜껑을 갖게 된다. 특히, 본 발명은 종래의 단지와 같은 단단한 구조를 가지기 보다는 용기가 빈 상태에서는 보관이 편하도록 접히는 형태의 용기에 관한 것이다.
컵, 단지 및 유사한 용기들은 이 분야에 잘 알려져 있고 여러가지 형태를 갖는다. 이러한 용기들 중에는 접는 컵이나 유리잔도 있는데, 유리잔은 완전히 펴진 위치와 접힌 위치 사이에서 서로에 대해 미끄러지는 망원경식으로 적층된 환상의 벽 부분을 가지게 형성된다. 이러한 벽 부분은 일체로 형성되어 있지 않아서 서로에 대해 미끄러지며 실제로 누수에 대한 가능성이 있어 일회용 음료 용기 이외의 용도는 없다. 본 발명에 관한 다른 형태의 접는 용기는 1995년 8월 8일자로 피시맨에 허여된 미국 특허 제5,439,128호에 도시되어 있다. 피시맨의 용기에는, 벽 부분이 일체로 성형되고 용기 벽을 제공하도록 교대로 적층된 일련의 수직한 부분과 경사진 부분으로 이루어진다. 이들 부분들은 그 사이의 경사 접합부에서 벽 부분들이 접히는 얇은 필름 힌지들에 의해서 일체로 연결된다. 피시맨의 벽 부분들을 하향으로 접고 펴려면 벽 부분들이 접는 동작을 위해 굽혀져야 한다. 이러한 벽 부분들이 스스로 굽혀지며 필름 힌지에서 접히려면 최소한 피시맨의 특허 도3에 도시되는 일정한 경우에만 중요하고 이렇게 하기 위해서는 각각의 경사진 벽 부분에 큰 중앙 릴리프 홈들을 필요로 하는데, 이것은 벽 부분들을 근본적으로 약화시킨다. 중요한 것은 피시맨의 용기가 접힐 때, 교대로 위치한 수직 벽 부분들이 바닥 벽에 대해서 그 수직 배향을 유지해야 한다는 것이다. 이러한 피시맨의 용기는 접힌 위치에서 사출 성형되기에는 적합하지 않고 성형 제품과 사출 공정의 큰 경제성으로 인한 상업적 장점도 없다.
본 발명의 주 목적은 개방 또는 펴진 위치에서 실질적으로 견고한 리셉터클을 형성하고 적당한 뚜껑이나 밀폐부가 스냅 고정되어 예컨대, 적당한 식료품이나 유사물을 위한 방수 보관 용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용기는 매우 편리하며 피크닉, 일할 때 점심을 가지고 가는 사람들의 점심 및 일회용 보관이 필요한 기타 경우와 같은 "끊임없이 움직이는" 음식에 특별히 휴대하기 좋은 방법을 제공한다. 용기의 접힘성, 특히 빈 용기에 찌꺼기를 담도록 뚜껑이 설치되어도 최소의 높이로 대략 완전히 소형으로 접히면 사용된 용기를 청소하고 재사용하기 위해 "누런 봉투", 배낭, 피크닉 바구니 또는 유사물에 편리하게 보관하거나 포장된다.
본 발명의 주 목적에 덧붙여, 본 발명의 하나의 목적은 금형 장치와 방법에 있어서 최대의 경제성을 이루며 접은 위치에서 용기를 성형하는 방법을 제공하며 소형이고 비교적 견고한 자립 위치로 완전히 펴지는 성형 제품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용기의 중요한 특징은 용적을 변화시키도록 한번에 한 섹터씩, 차례로 열리고 동시에 어떤 접혀진 위치에서도 그 스스로를 유지하게 접히는 특성이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은 접은 위치에서 종래의 접시와 같이 적층되어 접시 세척기 속에서 세척될 수 있는 용기, 사용시에는 개방하여 보관되고 보관시에는 닫혀서 보관되는 용기 그리고 선적 상자 및 가정에서 보관할 때 최대의 포장 사용 공간을 제공하는 용기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용기를 개선하고 실용화 하기 위해서는, 스냅 고정되는 밀폐부를 수용하는 견고한 상부 링과 대략 강성인 기저부 사이에 연장되는 용기의 주변 벽은 용기의 내부에 대하여 교대로 내부 및 외부로 향하는 고정된 환상의 정점 형성 연결부에서 인접한 벽 부분과 연결되는 일련의 대체로 견고한 환상의 주변으로 연속하는 벽 부분들을 가진다. 이러한 벽 부분들은 그 사이에 비교적 유연한 환상의 부분들을 지닌다. 용기의 펴진 위치 또는 개방 위치에서, 벽 부분들은 용기의 내부와 수직선에 대하여 교대로 내부 및 외부로 경사지고 이들은 기저부로부터 상부 링까지 상부로 연속하며 각각의 벽 부분은 일반적으로 기저부보다 직경상 또는 외주상으로 점차로 커진다. 따라서, 펴진 용기에서 형성된 형상은 역 절두 원추형이 되고 벽 부분들은 기저부로부터 근본적으로 외부로 계단져 있다. 이로 인해 벽 부분은 직접 아래 방향으로 펴져서 기저부와 동심으로 둘러싸는 관계가 되고, 상부 링은 펴졌다 접힌 벽 부분을 둘러싼다.
벽 부분들을 서로에 대해서 실제로 접을 때 벽 부분 사이의 정점부에 위치한 가요성 부분에서 접히며, 각각의 벽 부분들은 바로 인접한 벽 부분과 연결되며 가요성 부분의 두께는 그 측면에서 벽 부분의 두께보다 얇다. 두꺼운 벽 부분들은 가요성 부분보다 견고하고 실질적으로 유연성도 크게 제한 받는다. 용기의 펴진 상태에서, 얇은 부분은 두꺼운 벽 부분의 활 모양의 연속부를 형성하고 90도 이상의 원호를 형성하며 용기를 접는 동안에 물리적으로 중심으로 이동할 때까지는 용기 벽의 전체의 높이에 대해 벽 부분에 대한 상당한 정도의 견고성을 제공한다. 상부 링과 기저부를 서로에 대해 접도록 큰 물리적인 힘이 가해지면, 벽 부분사이의 가요성 부분들은 가요성 힌지와 같은 방식으로 접는 방향으로 측방으로 굽혀지고, 이러한 가요성으로 인해 실제로 용기가 접히게 하며 동시에 벽 부분들이 서로에 대하여 접혀질 때 측방으로 굽혀지거나 또는 이동하려는 것이 최소화된다. 얇은 부분에 의해서 형성된 각각의 가요성 부분은 인접한 두꺼운 벽 부분에 의해서 그 각각의 모서리를 따라 구획된다. 일단 가요성 부분의 원호가 90도 이하로 감소하게 중앙으로 이동하면, 가요성 부분의 이동에 대한 근본적인 저항은 없어지며, 접힌 부분은 90도 미만의 돔 형상으로 된다. 접은 상태에서 편 상태로 또는 반대로 이동하려면, 각각의 가요성 부분은 그 안정된 위치에 넘어 다른 위치로 이동할 때 까지 약간 비틀리거나 변형된다.
본 발명에 따라서 접혀져 성형된 용기는 마주보는 견고한 벽 부분들이 수직선으로부터 각도 8°내지 40°범위로 벌어지는 2개의 벽에 의해서 형성된 일반적으로 삼각형의 사이 공간을 제공한다. 그러나, 다음에서 분명해지는 이유로 양호한 범위는 약 10°부터 16°까지 이다.
접은 위치에서부터 용기를 펴려면 상부 링이 기저부로부터 상부로 수직하게 이동하도록 기저부를 하향하게 밀거나 당겨야 한다. 가요성 부분들이 펴지고 90도 이상의 원호로 이동하면 벽은 견고해지고 실제로 용기를 펴진 위치로 고정시킨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 목적 및 장점들은 다음의 본 발명의 구성과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알게 된다.
도면에서는, 도1 내지 도11의 실시예의 부호는 2자리 수로 붙여진다. 도12 내지 도22의 실시예의 부호는 앞에 숫자 1을 덧붙여 같은 번호가 붙여진다.
도면을 특별히 참조하면, 접는 용기(10)는 기저부(12), 상부 링(14) 및 그 사이에 연장하는 접는 벽(16)을 구비한다. 기저부(12)는 바닥(18)과 주변의 수직한 기저벽(20)을 가지는 대략 견고한 부재이다. 기저부는 평평하며 차후에 설명되는 용기의 팽창에 도움되게 돔과 같은 적당한 구조의 중앙의 약간 상부로 연장하는 누름부 또는 융기부(24)를 가진다. 또한 기저부는 바닥(18)에 달린 일련의 작은 발 제공 노브(26) 또는 도시되지 않은 연속 발 리브를 가진다.
상부 링(14)은 연속적인 또는 환상의 링 벽(28)과 링 벽(28)위에 대략 중간 높이의 주변 수평 외부 플랜지(30)를 가진다. 상부 링(14)은 기저부(12)와 마찬가지로 대략 견고하며 기저부(12)보다 큰 직경의 또는 원형이 아닌 단면적을 가져서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기의 접힌 위치에서 그 사이에 접힌 용기 벽을 수용하기에 충분할 정도로 외부에서 기저부를 둘러싼다. 상부 링 플랜지(30)는 상부 링에 별도의 측방 강성을 제공하며 내용물이 채워지면 단지로서 취급되는 편리한 수단이다. 또한, 링 플랜지(30)는 접힌 단지가 펼쳐질 때 사용자가 기저부와 상부 링을 서로에 대해 수직하게 힘으로 펴도록 엄지 손가락으로 기저부의 돔형 누름부(24)를 누르며 동시에 이러한 플랜지(30) 주위와 밑을 쉽게 손가락으로 집게 해 준다. 누름부(24)에 압력을 가하지 않으면, 특히 큰 단지일 때는 압력이 바닥 둘레의 기저 벽(20)에 바로 인접한 바닥(18) 주위에 압력이 가해진다. 필요하면 도1 및 도2를 보면 알 수 있듯이, 링 플랜지(30)는 파지 핸들(32)을 제공하도록 외경상으로 마주보게 약간 외부로 돌출되거나 확대될 수 있다.
기저부와 상부 링은 벽과는 별도의 부품으로 성형하는 것이 좋으며, 이는 벽 부분에 비해서 이러한 부품들에 실질적으로 보다 큰 강성을 주고 다른 정도의 강성과 가요성을 가지는 폴리머를 사용하여 실제의 펴고 접는 작동이 이루어진다.
용기 측벽(16)은 일련의 환상 또는 주변으로 연속하는 벽 부분(34)으로 이루어지며, 최하부의 부분은 여러부품 성형중에 자생적으로 기저부(12)의 벽(20)을 둘러싸고 긴밀히 접착되고 기저 바닥보다 약간 위에 있는 지지 견부(21) 위에 안치된다.
도5a의 실시예에서는, 최하부 또는 하부가 그 위의 나머지 부분보다 약간 낮은 위치에서 상부로 돌출하는 얇은 기저부(22)와 일체로 연결되며, 이러한 구성은 용기가 접힐 때 최하의 벽 부분과 기저부 사이에 가요성 부분을 제공한다.
기저부에 최하의 부분이 결합하는 부분으로부터 상부에는 벽 부분(34)이 용기의 내부와 수직에 대하여 내부와 외부로 교대로 경사지게 되고, 각각의 부분은 그 윗 부분과 부호 (36) 및 (38)로 표시되는 경사진 연결부를 형성하는 각각의 교대의 외향 및 내향의 정점부에서 바로 위의 부분과 연결된다.
도5를 참조하면, 최상의 부분 상부(34)는 상기의 최하의 부분에서 제시되는 방법과 같이 링 벽(28)의 하부에 수납되고 확실하게 고정되는 상향의 칼라(37)에 가요성 부분에 의해서 연결된다. 도5a 및 도6a의 실시예에서는, 최상의 부분(34)이 상부 링(14)의 하부 모서리부에 일체로 또는 확실하게 둘레가 연결된다.
개방된 용기를 고려하면 각각의 교대의 경사진 벽 부분은 소정의 두께를 가지며 벽 부분(34)에 연결되는 가요성 부분(40)에 비해 제한된 가요성을 가진다. 가요성 부분(40)은 벽 부분(34)보다 비교적 얇고 도5a의 기저부의 연장부(22)와는 두께가 대체로 동일하다. 가요성 부분(40)은 일반적으로 각각의 벽 부분과 그에 인접한 벽 부분 사이의 경사진 연결부(36 또는 38)를 제공한다. 주시하여 보면, 이러한 얇은 두께의 부분(40)의 높이는 벽 부분(34)의 높이보다 대체로 작다. 이러한 가요성 부분(40)은 도5를 다시 참조하면 용기의 펴진 또는 개방된 위치에서 외부로 경사진 벽 부분(34)에 대해 그 하부의 상응하는 벽 부분(34)의 내면과 연속면을 형성하고, 내부로 경사진 벽 부분에 대해서도 상응한 벽 부분의 외면과 연속면을 형성한다. 이렇게 성형하면, 이러한 가요성 부분(40)의 각각의 측면에 대한 두꺼운 벽 부분과 그 경사각이 근본적으로 접는 방향을 정의하며, 특히 도8에 제시된 연속적인 접는 방법으로 참조된다. 또한, 접기 전에, 가요성 부분(40)과 인접한 부분들 사이의 이러한 부분(40)의 배치는 어느 정도의 중심 안정성을 제공하여 벽(16)의 고르지 못한 접기를 방지한다. 이러한 안정성은 상부 링과 기저부를 서로에 대하여 수직으로 밀어대는 충분한 수직력을 가할 때만 극복될 수 있고 가요성 부분(40)의 중심 이동과 이 부분을 접는 위치로 "스냅 작동"으로 접는 것이 가능하다. 접는 동작의 초기에는, 각각의 관련된 가요성 부분(40)은 접는 위치로 이동하는 오버 센터 위치로 이동하기까지는 약간 변형된다. 이러한 방법으로, 용기가 그속에 내용물이 있을 때 우연히 스스로 닫히거나 접히는 경향이 최소화된다.
도면에서 알 수 있듯이, 용기의 접은 위치에서 인접한 부분(34)은 마주 대향하는 V자형 또는 삼각형 개구를 형성한다. 각각의 개구의 중심선은 접힌 용기의 수평면에 대체적으로 수직하다. 이러한 구조는 사출 금형이 성형된 제품을 분리 배출하는데 크게 도움을 준다.
인접한 접힌 부분(34) 사이의 벌어지는 각도는 8°내지 40°범위의 전체가 가능하며, 10°내지 16°범위가 좋다. 각도 10°는 개방 위치의 용기의 강성과 용기를 접거나 펴는데 필요한 힘 사이의 바람직한 균형을 이루는데 최적이다. 또한, 이러한 각도는 실제로 금형으로부터 성형된 제품을 일관되게 배출하는데 최소의 각도로 고려된다. 알고 있듯이, 이러한 각도가 증가하면 개방 용기의 강성은 감소한다.
도7 내지 도9를 참조하면, 필요시에는 용기를 개방시키고 접는데 각각의 가요성 부분을 한번에 전체로 스냅 위치시키기보다는 벽 부분(34)에 단계별 또는 래치트 효과 또는 계단 효과를 주게 힘을 가하며, 용기 주위에 연속적으로 또는 용기를 회전하거나 힘을 가하는 것이 편리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도9는 특히 적은 용량이 요구될 때 부분적으로 접거나 펴진 용기를 도시한다. 이러한 위치에서는, 용기는 도3의 개방된 용기가 상부 링이 용기의 모든 위치에서 안정된 완전한 용도에 비해서 뚜껑(42)을 가지고 음식물 및 유사한 것을 부분적으로 수납하게 한다.
도3을 참조하면, 벽 부분을 외부로 단계별로 기저부로부터 상부 링까지 상부로 펴면 개방된 용기는 일반적으로 역 절두형 원추 형태를 이루는 것을 알 수 있다.
도7 내지 도9를 다시 참조하면, 용기가 수직으로 접힐 때 가요성 부분(40)은 인접부 사이에서 대체로 돔 형상으로 접힌다. 따라서, 인접한 벽 부분들은 이들의 두꺼운 높이부가 서로에 대하여 대체로 동심으로 나란하게 접히고 인접한 벽 부분사이의 각도가 대체로 10°내지 16°가 되며, 벽 부분들은 측면에서 일직선상으로 배치되고 기저부를 기저벽(20)과 상부 링 벽(28) 사이에서 둘러싼다. 이러한 것은 도6의 확대 상세 단면도에 잘 도시된다.
도3, 도9 및 도10을 참조하면, 밀폐부(42)가 용기의 어떠한 위치에서도 적당히 상부 링(14)에 스냅 고정되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렇게 하기 위해서는, 주변 플랜지(30) 위의 상부 링 벽(28)의 상부가 약간 외부로 경사져서 뚜껑의 하부로 향한 둘레 홈 속에 수납된다. 용기의 어떤 위치에서든 접힌 벽 부분들이 견고한 상부 링(14)에 내부에서 동심으로 위치하기 때문에, 밀폐부(42)는 개방된 용기, 부분적으로 펴진 용기 및 소형으로 보관되는 위치인 접은 용기에 대해서도 적당한 덮개로 사용됨을 알 수 있다.
앞에서부터 알 수 있듯이, 용기를 사용하기 전에 개방하려면 사람들은 상부 링의 주변 플랜지(30) 주위에 손가락을 대고 하나 또는 두개의 손가락을 기저부 바닥(18)의 중앙으로부터 상부로 돌출된 바닥의 누름 융기부(24)에 아래 방향으로 힘을 가하면 된다. 아니면, 주연부 주변에서 바닥 자체에 연속적으로 힘을 가할 수 있다. 또한, 누름부(24)나 바닥(18)을 직접 누르는 것보다, 도11을 참조하면 횡단 바(44)는 바닥(18)의 저면에서 누름부에 의해서 형성된 오목한 요부 또는 홈을 가로지르게 제공될 수 도 있다. 이러한 횡단 바(44)는 사용자가 손가락으로 용기 바닥을 직접 당겨서 상부 링에 대하여 바닥을 하부로 이동시켜 벽 부분을 펴도록 파지될 수 있다.
도6을 다시 참조하면, 최하의 접는 벽 부분(34)은 기저 벽, 나머지 벽 부분 및 상부 링에 대해 바닥과 그 위의 지지발에 의해 제공되는 지지 평면보다 약간 높게 제한하는 나머지 벽 부분과 상부 링의 하향 접기의 제한부로서 사용되어 펴거나 접혔을 때 용기가 더 얇은 가용성 부분들이 아니고 기저부와 기저부의 발 위에 지지됨을 알 수 있다.
도12 내지 도22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조하면, 이러한 실시예의 기본적인 부분들은 앞의 실시예와 거의 중복되며 따라서, 앞에 숫자1을 덧붙여 동일한 부호로 표시된다. 용기(110)는 기저부(112), 상부 링(114) 및 교대의 견고한 벽 부분(134)와 가요성 부분(140)으로 된 접는 벽(116)으로 구성된다.
용기(110)는 제1 실시예와 같이, 전술된 바와 같이 펴지고 접히며 접은 위치에서 실제로 용기를 성형하여 구성된다. 따라서, 벽 부분(134)은 접힌 위치에서 벽 부분 사이의 각도가 8°내지 40°범위에서 가능하지만, 10°내지 16°범위도 좋고, 최적으로 10°인 마주보는 V형 개구를 제공한다. 각각의 V형 개구는 접힌 용기의 수평면에 수직하게 벌어지는 벽 부분(134)에 의해서 정의되는 정점으로부터 연장하는 중심선을 가진다. 용기의 펴진 또는 개방된 위치에서 벽 부분(134)들은 서로에 대해 90°보다 크게, 그리고 기저부에 대해 직각으로 정의되는 수직선에 대해 경사져 있다.
벽 부분(134)의 접기와 펴기 작동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각각의 벽 부분(134)은 그 모서리를 따라서 경사져서 벽 부분(134)과 인접한 가요성 부분(140)사이에 점진적인 전이부를 부호(135)로 제공한다. 이것이 도5 및 도6에 도시된 제1 실시예의 급격한 전이부와 다른 것이다.
제1 실시예에서와 같이, 가요성 부분(140)들이 용기의 개방 위치에서 도16의 외부로 경사진 벽 부분(134)에 대해서 상응하는 벽 부분(134)의 내부면의 연속성을 제공한다. 이와 유사하게, 가요성 부분(140)들은 내부로 경사진 벽 부분(134)에 대해서 상응하는 벽 부분(134)의 외부면의 연속성을 제공한다. 이러한 관계는 도8에서와 같이 앞에서 언급했듯이 도19에 제시된 접는 방법을 고려한 접는 동작의 방향을 근본적으로 제공한다.
도16 및 도17을 참조하면, 바닥 벽 부분(124)이 그 위의 벽 부분보다 높이가 크며, 주변의 수직한 기저벽(120)의 전체 높이로 연장하는 것을 볼 수 있다. 이러한 최하의 벽 부분(134)의 하단부는 기저부(112)의 바닥(118) 하부로 굽혀져 수납 홈(119) 속에 결합하며, 따라서 용기의 지지 평면의 일부가 된다. 알 수 있듯이, 용기 벽의 하부와 기저부 사이에 겹치는 면적이 증가하면 이들 사이의 결합부가 개선된다.
상부 링에 용기 벽을 부착하는 것이 최상의 벽 부분(134)에 최상의 가요성 부분(140)에 의해 연결된 측방의 칼라(137)에 의해서 이루어진다. 칼라(137)는 그 외부 모서리에 상향의 고정 비드(139)를 가지며, 칼라(137)와 비드(139)는 모두 환상의 링 벽(128)의 상응한 고정 요부 속에 수납된다. 상부 링(112)은 전술된 링(14)과 같이 일체로 환상으로 외부로 돌출하는 링 플랜지(130)를 가지며 링 플랜지는 상부 링에 측면 강성을 부여하고 단지를 조정하고 처리하는데 편리한 수단을 제공한다. 플랜지를 파지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일체의 파지 비드(131)가 플랜지(130)의 외부 모서리 둘레에 제공된다.
이러한 실시예의 차이점이 도12에 도시되며 용기(110)의 여러 부분이 도시된다. 이러한 도면들과 제1 실시예의 도면들을 비교하면, 기저부(112)는 대략 커진 중앙의 상부로 돌출된 누름부 또는 융기부(124)를 가진다. 이것은 특히 개방 압력이 가해질 수 있는 면적을 증가시켜 용기를 취급하기 편하게 하며 동시에 평평한 바닥(118)을 더욱 강하게 한다. 도22를 참조하면, 하부 누름부(124)도 앞의 횡단 바(44)에서 고려된 바와 같이 횡단 바(144)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제1 실시예에서 언급했듯이, 적당한 뚜껑(142)이 상부 링(114)에 스냅 고정되게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뚜껑은 동심적으로 접히는 벽 부분을 가지는 용기를 펴고 접는데 있어 완전히 개방되거나 완전히 접히거나 부분적으로 펴지는 어떠한 용기에 대해서 적당한 덮개를 제공한다.
도21을 참조하면, 하부로 접혀진 벽 부분(134)과 특히 하부로 향한 가요성 부분(140)들은 기저 바닥 및/또는 지지 발에 의해서 정의되는 지지 평면 약간 위에서 유지되어 보다 안정된 지지를 제공하고 대략 얇은 가요성 부분이 지지면과 접촉하지 않게 하는 것을 알 수 있다.
언급된 용기는 가요성 부분의 "네트워크"를 이용하는 구성으로 설계된다. 이것은 스프링과 같이 펴지고 접히는 어코디언 형태가 아니라는 것이다. 이와는 달리, 평평한 보관 용기가 "대각"의 원리를 기초하여 펴지고 접힌다.
공지의 펴지는 용기들에서는, 용기가 일반적으로 개방 또는 펴진 상태에서 성형된다. 따라서, 이러한 용기들은 펴지는 것이 자연스러운 상태이고 이러한 용기들은 어떤 위치에 있기보다는 펴지려고 한다. 사람들이 이러한 용기들을 접으려고 또는 펴려고 하면, 용기는 열리려고 반발하며 이것이 자연스런 상태로 돌아가려는 것이다. 본 발명의 용기는 용기가 평평한 또는 접은 위치로 성형되는 경우가 아니다. 이것은 용기가 처음부터 닫힌 구조를 유지하려는 그 최초의 자연 상태를 의미한다. 많은 접철부는 가요성 부분의 네트워크속에 있다. 도시된 실시예에는, 독립적으로 작동하는 3개의 세트 가요성 부분이 제공된다(필요하면 용량을 더욱 증가시킬 수 있다). 도9에 도시되듯이, 각기 독립적으로 작동 가능한 가요성 부분은 제2의 '자연스런' 또는 멈춤 상태를 가지며 접철부가 나머지 접철부와 무관하게 펴진 상태로 유지된다. 본 발명의 구성에 있어서, 용기의 접는 작동과 펴는 작동 모두가 접철부가 독립적으로 조정되게 한다. 용기를 접고 펴는데 능동적인 작동이 요구된다. 이것을 "대각"의 원리로 부를 수 있다. 닫은 위치에서의 접는 각도는 접철부가 접힌 상태로 유지시키며, 개방 위치에서의 접는 각도는 접철부를 펴진 상태로 유지시킨다. 닫은 위치에서 개방 위치로 또는 반대로 이동하도록 가요성 부분은 이러한 대각을 극복하고 다른 위치의 구조로 바뀔 때까지 약간 비틀어지고 변형된다. 이러한 작동은 가요성 부분들의 직경이 변하지 않기 때문이다. 여기에는 접철부의 중간 위치가 없다. 펴지거나 접히고 비틀어지는(한 쪽이 펴지고 다른 쪽이 접히는) 것이다. 예를 들면, 이러한 구조에서는 사용 용량을 유지하면서 반만 펴는 별개의 구조는 불가능하다. 앞에서 언급했듯이, 가요성 부분을 쉽게 조정하는 하나의 방법은 용기를 '래치트' 시키는 것이며 한번에 한 쪽은 부분적으로 또는 완전히 펴지게 된다.
본 발명의 접는 용기는 양호한 실시예에서 기저부, 상부 링 및 접는 벽을 가지는 '개별 특성'을 구비하는 수지 중합체와 같은 성형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설명되었다. 예를 들면, 양호한 성형 방법에서 '개별 특성'은 기저부, 상부 링 및 접는 벽을 다단계로 성형하는 성형 장치를 사용하여 이루어지고, 여러가지 정도의 강성 및/또는 견고함을 가지는 중합체를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기저부, 상부 링 및 접는 벽의 여러가지 색상과 투명도를 선택할 수 있다.
도5a 및 도6a의 실시예와 연관된 언급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용기는 하나의 성형 공정으로 하나의 구조물로 성형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기저부와 링에 대한 접는 벽의 상대적인 강성과 일반적으로 보다 유연한 강성의 언급된 차이는 몇몇 부분의 적당한 두께를 선택하여 하나의 성형 공정으로 이루어 질 수 있다. 이것은 성형 장치를 제공하여 가능하며 성형품은 기저부, 상부 링 및 벽에 대한 여러가지 강성을 가지는 중합체와 성형품 내부의 선택된 면적을 가지게 이루어진다.
접은 위치에서 벽 부분을 사출 성형하기에 적당한 금형은 금형 분할부에 의해서 반송되고 서로에 대해 접히는 벽 부분의 수에 상응하는 다수개의 동심의 환상 분할 삼각형 또는 V형 금형 부품들을 가진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상기에 언급한 것은 본 발명의 원리를 고려한 것이다. 변경 실시예 및 변형이 이 분야의 기술자에게 이루어 질 수 있어서 상기에 도시되고 설명된 구조와 방법에 본 발명을 제한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 오히려, 모든 적당한 변형 및 균등물이 청구된 본 발명의 범위에 있음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의 독특한 구조는 용기를 닫힌 또는 접은 위치에서는 평평하게 유지시키고 어떤 개방 또는 부분적으로 개방된 위치에서는 펴진 상태를 유지시키게 한다. 가요성 부분의 2개의 '자연스런' 상태로 인하여, 용기는 평평하게 접힐 때는 닫힌 상태를 유지하고, 펴졌을 때는 개방된 상태를 유지한다. 네트워크에서 가요성 부분의 독립적인 작동으로, 용기는 일정한 부분 용량으로 개방될 수 있는데, 이는 용기가 이러한 부분적 개방된 구조로 유지되려 하기 때문이다. 이것이 냉장고와 같은 보관 공간과 세척할 때 접시 세척기의 공간을 최대화하고 최적화하는데 있어서 특히 가치가 있는 것이다.
도1은 개방 또는 펴진 위치에서 본 발명의 용기를 도시하는 상부 사시도.
도2는 완전히 접은 용기를 도시하는 상부 사시도.
도3은 펴진 용기의 횡단면도.
도4는 접은 용기의 횡단면도.
도5는 도3의 A 부분 확대도.
도5a는 변경된 구성을 도시하는 도5와 유사한 도면.
도6은 도4의 B 부분 확대도.
도6a는 변경된 구성을 도시하는 도6과 유사한 도면.
도7, 도8 및 도9는 비틀거나 연속적으로 래치트하여 벽 부분을 열거나 닫는 하나의 방법을 도시하는 순서도.
도10은 도4와 유사한 횡단면도로서 밀폐부가 접은 용기에 스냅 고정된 도면.
도11은 당김 바가 제공된 기저부의 변경된 누름부를 도시하는 상세 단면도.
도12 내지 도22는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며 도1 내지 도11에 상응한 순서도.
<도면의 주요 부호에 대한 설명>
10: 접는 용기
12: 기저부
14: 상부 링
16: 접는 벽
18: 바닥
20: 기저벽
24: 누름부
26: 노브
28: 링 벽
30: 상부 링 플랜지
32: 파지 핸들

Claims (20)

  1. 기저부와, 상부 링과 상기 기저부와 상부 링에 주위가 고정되고 그 사이에서 펴지는 벽을 구비하는 접는 용기로서,
    상기 용기는 상부 링이 상기 기저부로부터 상부로 멀어져 용기 내부를 형성하는 펴진 위치와 상부 링이 기저부를 외부로 간격져 기저부에 동심 관계로 둘러싸는 접은 위치 사이에서 조절 가능하며, 상기 벽은 용기의 펴진 위치에서 용기 내부에 대하여 교대로 외부와 내부로 경사지는 다수개의 상부로 연장하는 주변 연속부를 가지며, 상기 용기의 접은 위치에서는 서로에 대하여 접히며 기저부와 상부 링 사이에서 일반적으로 동심으로 수납되고 기저부를 둘러싸며 상기 상부 링에 의해서 차례로 둘러 쌓이는 접는 용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벽은 용기의 접은 위치에서 인접한 벽에 8° 내지 40°범위의 각도로 벌어지는 접는 용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벽들은 상기 접은 위치에서 인접한 벽에 대해 10° 내지 16°범위의 각도를 가지는 접는 용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벽들은 접은 위치에서 인접한 벽에 대해 10°의 각도를 가지는 접는 용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인접한 벽들은 접은 위치에서 마주보는 V형 개구를 형성하고 상기 각각의 개구는 기저부에 대해 수직한 중심선을 지니는 접는 용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벽은 상기 기저부에 결합되는 최하의 벽 부분, 상기 상부 링에 결합되는 상기 최하의 벽 부분 및 최하 및 최상의 벽 부분 사이에 위치하는 중간 벽 부분을 구비하며, 최하의 벽 부분으로부터 상기 최상의 벽 부분까지의 상기 벽들은 상기 기저부보다 점차로 커지는 주변 둘레의 면적을 연속적으로 한정하는 접는 용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벽은 상기 용기의 상기 펴진 위치에서 인접한 벽으로부터 둔각으로 연장하는 접는 용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인접한 벽들을 연결하는 가요성 부분을 더 포함하는 접는 용기.
  9. 제8항에 있어서, 용기의 펴진 위치에서 연결된 벽들에 의해서 형성된 둔각은 기저부로부터 상부로 용기 내부에 대하여 내부와 외부로 마주보며 측방으로 경사져서 일련의 내향 각도와 외향 각도를 정의하며, 이러한 일련의 각도는 기저부로부터 상부로 연속해서 바로 밑에 있는 각도로부터 외부로 오프셋되어 상향 및 하향하는 벽이 마련되는 접는 용기.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최하의 벽 부분은 상기 기저부를 둘러싸고 이에 고정되는 접는 용기.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기저부는 지지 평면을 정의하는 바닥면을 가지며, 용기의 접은 위치에서 상기 접힌 벽들은 상기 정의된 지지 평면 위에 위치하는 접는 용기.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최하의 벽 부분은 상기 지지 평면 내에서 기저 바닥면을 따라 부분적으로 연장하는 접는 용기.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기저부는 바닥과, 상부 링에 대해 기저부를 하향 이동시켜 용기 벽이 펴지게 힘을 가하기에 적당한 면적부를 제공하는 중앙의 상부로 연장하는 누름부를 구비하는 접는 용기.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링은 힘이 누름부에 가해질 때 상부 링을 파지하는 수단을 제공하는 주변 외부 연장 플랜지를 가지는 접는 용기.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링은 주변 수직벽을 가지며, 상기 외부 연장 플랜지는 상기 링 벽 주위를 둘러싸고, 상기 하나의 가요성 부분에 의해서 최상의 벽 부분에 결합하는 일반적으로 견고한 칼라는 상부로 향하는 고정 비드를 가지며, 상기 상부 링은 용기 벽을 상기 상부 링에 고정하도록 상기 칼라와 고정 비드를 수납하는 하부로 향하는 요부를 그속에 형성하는 접는 용기.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링 플랜지는 외부 둘레와 그로부터 일체인 하향하는 파지 비드를 구비하는 접는 용기.
  17.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누름부는 상기 기저 바닥에 하부로 열린 오목한 요부와, 상기 기저부를 상부 링에 대해 손으로 하부로 당기도록 상기 요홈을 가로질러 고정되는 손으로 잡는 당김 바를 제공하는 접는 용기.
  1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링은 상부로 연장하는 링 벽과, 상부 링 위에 위치될 수 있고, 상기 용기의 펴진 위치와 접은 위치 모두에서 상기 링 벽에 해체 가능하게 고정되는 별도의 밀폐부를 구비하는 접는 용기.
  1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은 위치에서, 인접한 벽들은 마주보는 V형 개구를 형성하며, 각각의 개구는 기저부에 대해 수직한 중심선을 가지는 접는 용기.
  2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은 위치에서 성형되는 접는 용기.
KR1020040105941A 2003-12-16 2004-12-15 접을 수 있는 용기 KR10089682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0/735,724 2003-12-16
US10/735,724 US7654402B2 (en) 2003-12-16 2003-12-16 Collapsible container
US10/899,314 US20050127074A1 (en) 2003-12-16 2004-07-27 Collapsible container
US10/899,314 2004-07-27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06036A Division KR100963338B1 (ko) 2003-12-16 2009-01-23 접을 수 있는 용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61326A true KR20050061326A (ko) 2005-06-22
KR100896825B1 KR100896825B1 (ko) 2009-05-12

Family

ID=345271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105941A KR100896825B1 (ko) 2003-12-16 2004-12-15 접을 수 있는 용기

Country Status (21)

Country Link
EP (1) EP1544118B1 (ko)
JP (1) JP3929460B2 (ko)
KR (1) KR100896825B1 (ko)
CN (1) CN1325337C (ko)
AR (1) AR046899A1 (ko)
AT (1) ATE378263T1 (ko)
BR (1) BRPI0405339A (ko)
CA (1) CA2488313C (ko)
CZ (1) CZ20041210A3 (ko)
DE (1) DE602004010045T2 (ko)
DK (1) DK1544118T3 (ko)
ES (1) ES2297329T3 (ko)
HR (1) HRP20041163A2 (ko)
IL (1) IL165341A (ko)
IS (1) IS7553A (ko)
MX (1) MXPA04012450A (ko)
NO (1) NO327919B1 (ko)
NZ (1) NZ547597A (ko)
PL (1) PL204425B1 (ko)
RU (1) RU2311327C2 (ko)
SG (1) SG112955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7450Y1 (ko) * 2013-02-25 2013-06-17 최종하 부피 가변형 컵
KR101283860B1 (ko) * 2009-01-29 2013-07-08 가부시키가이샤 요시노 고교쇼 저벽 되접힘 용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SE530562C2 (sv) * 2006-11-08 2008-07-08 Ecolean Res & Dev As Anordning och metod för placering av förpackningar av kollapsande slag i en distributionsenhet
US8215230B2 (en) 2008-12-05 2012-07-10 Progressive International Corporation Collapsible salad spinner
DE102009019461A1 (de) 2009-05-04 2010-11-11 Future Haushaltsprodukte Gmbh Faltbares topfförmiges Gefäß
JP5847372B2 (ja) * 2009-09-30 2016-01-20 小林製薬株式会社 押出容器
JP5517551B2 (ja) * 2009-10-09 2014-06-11 株式会社堀場製作所 蛍光x線分析用試料セル
TW201143672A (en) * 2010-06-01 2011-12-16 Ricco Engineering Internat Inc Foldable water kettle and handholding structure of kettle
JP5525990B2 (ja) * 2010-10-08 2014-06-18 株式会社ダイヤコーポレーション ゴルフティー
JP2012246044A (ja) * 2011-05-31 2012-12-13 Isefuji:Kk 折り畳み式バケツ
JP5887091B2 (ja) * 2011-10-04 2016-03-16 ダイセルパックシステムズ株式会社 折り畳み式容器とその製造方法並びに容器の耐久性改善方法
DE102011115688B4 (de) 2011-10-06 2014-04-10 Arman Emami Faltbarer Behälter
US8887942B2 (en) * 2012-01-18 2014-11-18 HumanGear, Inc. Collapsible cup assembly with a container lid
DE102012101080B4 (de) 2012-02-09 2014-12-31 Leifheit Ag Faltbarer Behälter
DE102012106891B3 (de) 2012-07-30 2013-12-12 Leifheit Ag Faltbarer Behälter
WO2015185719A1 (en) * 2014-06-06 2015-12-10 The Cookware Company Ltd. Smart cookware accessories
GB2530800A (en) * 2014-10-03 2016-04-06 Tiddler Inc Llp Improved container
KR102319998B1 (ko) * 2015-01-22 2021-11-01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볼륨 가변형 도가니를 구비한 증착원
CN104773353A (zh) * 2015-04-16 2015-07-15 佛山东承汇科技控股有限公司 一种可变容积的一次性碗杯
CN106859567B (zh) * 2017-03-07 2020-02-07 佛山市顺德区美的洗涤电器制造有限公司 家用电器、用于洗碗机的碗篮及收纳装置
EP3687433A1 (en) * 2017-09-27 2020-08-05 Microtek Medical, Inc. Surgical drape for thermal treatment basin
US20190119000A1 (en) * 2017-10-20 2019-04-25 Sam Tung Tsui Collapsible Shape-Retaining Containers
CN108033096A (zh) * 2017-12-19 2018-05-15 佛山市鼎翘五金有限公司 体积可调节的家用储物盒
CN110834787A (zh) * 2018-08-17 2020-02-25 段睿纮 折叠容器的支撑结构
CN111802774B (zh) * 2019-04-11 2023-04-07 国誉商业(上海)有限公司 收纳盒
CN210913326U (zh) * 2019-08-16 2020-07-03 嘉兴捷顺旅游制品有限公司 可折叠容器
US10669067B1 (en) * 2019-10-08 2020-06-02 Romance Coach On the Go, LLC Toiletry organizer
KR200493585Y1 (ko) * 2020-03-11 2021-04-28 최영진 높이 조절이 가능한 조리 용기
JP7339670B2 (ja) 2020-06-12 2023-09-06 株式会社グルマンディーズ 携帯電子端末保持具
CN112267096A (zh) * 2020-10-26 2021-01-26 天长市石峰玻璃有限公司 一种可提高镀膜均匀度的镀膜装置
KR102267549B1 (ko) 2020-11-03 2021-06-21 김선 휴대가 간편한 포켓 텀블러
CN116441150B (zh) * 2023-06-20 2023-09-01 浙江久正工程检测有限公司 一种细筛设备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1124843A (fr) * 1955-05-20 1956-10-18 Seau pliant
US3220544A (en) * 1963-04-26 1965-11-30 Walter C Lovell Packaging and novel container employed therewith
US5417337A (en) * 1991-11-12 1995-05-23 Robbins, Iii; Edward S. Reusable and re-collapsible container and associated cap
CH685989A5 (de) * 1992-05-12 1995-11-30 Erfis Ag Zusammenfaltbares Gebilde, insbesondere Beholtnis.
EP0719708B1 (en) * 1994-12-30 1998-06-03 The Procter & Gamble Company Collapsible scoop
JP3051331B2 (ja) * 1995-11-30 2000-06-12 パンケミカル株式会社 伸張式容器
JPH10167277A (ja) * 1996-12-13 1998-06-23 Sakai Bika Kogyo Kk 液体食品用小容器
KR20000012981A (ko) 1998-08-04 2000-03-06 이동현 신장식용기
JP2003335318A (ja) 2002-05-13 2003-11-25 Fukuoka Marumoto Kk 包装用容器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83860B1 (ko) * 2009-01-29 2013-07-08 가부시키가이샤 요시노 고교쇼 저벽 되접힘 용기
US8925767B2 (en) 2009-01-29 2015-01-06 Yoshino Kogyosho Co., Ltd. Container with folded-back bottom wall
KR200467450Y1 (ko) * 2013-02-25 2013-06-17 최종하 부피 가변형 컵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NO327919B1 (no) 2009-10-19
JP3929460B2 (ja) 2007-06-13
CN1325337C (zh) 2007-07-11
DK1544118T3 (da) 2008-03-25
PL204425B1 (pl) 2010-01-29
HRP20041163A2 (en) 2005-12-31
CA2488313C (en) 2012-04-10
RU2311327C2 (ru) 2007-11-27
DE602004010045D1 (de) 2007-12-27
SG112955A1 (en) 2005-07-28
CZ20041210A3 (cs) 2006-03-15
JP2005200104A (ja) 2005-07-28
BRPI0405339A (pt) 2005-08-30
AR046899A1 (es) 2005-12-28
IL165341A0 (en) 2006-01-15
MXPA04012450A (es) 2005-07-12
CA2488313A1 (en) 2005-06-16
NZ547597A (en) 2008-02-29
CN1636833A (zh) 2005-07-13
ES2297329T3 (es) 2008-05-01
DE602004010045T2 (de) 2008-09-04
AU2004235603A1 (en) 2005-06-30
IS7553A (is) 2005-06-17
KR100896825B1 (ko) 2009-05-12
EP1544118B1 (en) 2007-11-14
PL371759A1 (en) 2005-06-27
RU2004136801A (ru) 2006-05-27
NO20045122L (no) 2005-04-18
EP1544118A1 (en) 2005-06-22
IL165341A (en) 2010-05-31
ATE378263T1 (de) 2007-11-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50061326A (ko) 접는 용기
KR100963338B1 (ko) 접을 수 있는 용기
EP2653064B1 (en) Collapsible container
EP0590782B1 (en) Container for viscous products
US8025176B2 (en) Plastic container including a grip feature
CN106794920A (zh) 容器
US5295609A (en) Container with integral straw
WO2008018908A1 (en) Plastic container
WO2016051208A1 (en) Collapsible plastic container and methods for forming the same
EP1448453B1 (en) Container closure
CN216003697U (zh) 一种用于包装容器的盖体
KR100749826B1 (ko) 밀폐용기
KR200302326Y1 (ko) 즉석음식 포장용 용기
GB2496364A (en) Nested containers for foodstuffs
KR20050090169A (ko) 접이식 용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1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2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1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1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12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