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67450Y1 - 부피 가변형 컵 - Google Patents

부피 가변형 컵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67450Y1
KR200467450Y1 KR2020130001435U KR20130001435U KR200467450Y1 KR 200467450 Y1 KR200467450 Y1 KR 200467450Y1 KR 2020130001435 U KR2020130001435 U KR 2020130001435U KR 20130001435 U KR20130001435 U KR 20130001435U KR 200467450 Y1 KR200467450 Y1 KR 20046745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olume
cup
cup body
variable
volume vari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3000143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종하
Original Assignee
최종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종하 filed Critical 최종하
Priority to KR202013000143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6745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6745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67450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FTRAVELLING OR CAMP EQUIPMENT: SACKS OR PACKS CARRIED ON THE BODY
    • A45F3/00Travelling or camp articles; Sacks or packs carried on the body
    • A45F3/16Water-bottles; Mess-tins; Cups
    • A45F3/20Water-bottles; Mess-tins; Cups of flexible material; Collapsible or stackable cup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9/00Table service
    • A47G19/22Drinking vessels or saucers used for table servic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9/00Table service
    • A47G19/22Drinking vessels or saucers used for table service
    • A47G19/2205Drinking glasses or vessel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FTRAVELLING OR CAMP EQUIPMENT: SACKS OR PACKS CARRIED ON THE BODY
    • A45F3/00Travelling or camp articles; Sacks or packs carried on the body
    • A45F3/16Water-bottles; Mess-tins; Cups
    • A45F3/20Water-bottles; Mess-tins; Cups of flexible material; Collapsible or stackable cups
    • A45F2003/205Collapsible or foldable cup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9/00Table service
    • A47G19/22Drinking vessels or saucers used for table service
    • A47G2019/2277Drinking vessels or saucers used for table service collapsible

Landscapes

  • Table Devices Or Equipment (AREA)
  • Detail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부피 가변형 컵에 관한 것으로서, 컵 본체; 및 상기 컵 본체의 입구 영역의 개폐하는 컵 뚜껑을 포함하며, 상기 컵 본체는, 실리콘 또는 고무 재질로 마련되며, 상기 컵 본체의 길이 방향을 따라 압착되어 납작해지거나 원상태로 복원이 가능한 부피 가변부; 및 상기 부피 가변부와 연결되되 상기 컵 본체의 입구 테두리를 형성하며, 상기 부피 가변부보다는 견고한 재질로 마련되어 상기 컵 본체의 입구 테두리에 대한 형상을 유지시키는 형상 유지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부피 가변형 컵{VARIABLE VOLUME TYPE CUP}
본 고안은, 부피 가변형 컵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부피가 용이하게 가변될 수 있음은 물론 간단한 방법으로 제조가 가능한 부피 가변형 컵에 관한 것이다.
흔히 잔이라고도 불리는 컵은 커피컵, 티컵, 맥주를 위한 저그(jug), 우유나 주스를 위한 유리컵 등 그 종류가 다양하다.
커피컵과 티컵은 보통 사기로 제작되되 손잡이가 있다. 맥주를 위한 저그는 유리로 만들되 손잡이가 있는 것이 일반적이고 우유나 주스를 위한 유리컵은 유리로 만들되 손잡이가 없는 것이 일반적이다.
커피는 뜨거울 때 맛이 있기 때문에 커피컵은 되도록 천천히 식게 위가 약간 좁고 깊게 제작된다. 티컵은 위가 약간 넓게 만들어져 있는데, 예컨대 홍차는 약간 식은 것이 맛이 좋기 때문이다.
이처럼 현재 사용되고 있는 일반적인 컵은 그 대부분이 사기나 유리로 만들어지는 것이 보통이며, 경우에 따라서는 플라스틱이나 금속 등으로 제조되기도 한다.
하지만, 이와 같은 재질로 컵을 만들게 되면 컵의 부피가 가변될 수 없다. 예컨대, 휴대할 때는 부피를 줄여놓고 사용할 때에만 부피를 늘려 사용하도록 하는 등의 부피 가변이 전혀 이루어지지 않는다.
이에, 대한민국특허청 출원번호 제10-1997-0000537호, 대한민국특허청 출원번호 제10-2000-0004779호, 대한민국특허청 출원번호 제20-2003-0002419호, 대한민국특허청 출원번호 제20-2004-0010377호 등에는 부피가 가변될 수 있도록, 주름부를 가지는 컵들이 개시된 바 있다.
하지만, 상기 문헌들을 비롯하여 현재까지 알려지고 있는 종래기술들의 경우, 단순 혹은 개념적인 아이디어성 기술에 지나지 않으며, 실제 제조하여 판매하기 까지는 많은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이유 때문에 사업성은 거의 없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으므로 실질적으로 효율이 우수하면서도 제조가 용이하여 실제 제조 판매가 가능한 부피 가변형 컵에 대한 구조 개발이 요구된다.
대한민국특허청 출원번호 제10-1997-0000537호 대한민국특허청 출원번호 제10-2000-0004779호 대한민국특허청 출원번호 제20-2003-0002419호 대한민국특허청 출원번호 제20-2004-0010377호
본 고안의 목적은, 부피가 용이하게 가변될 수 있음은 물론 간단한 방법으로 제조가 가능한 부피 가변형 컵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컵 본체; 및 상기 컵 본체의 입구 영역의 개폐하는 컵 뚜껑을 포함하며, 상기 컵 본체는, 실리콘 또는 고무 재질로 마련되며, 상기 컵 본체의 길이 방향을 따라 압착되어 납작해지거나 원상태로 복원이 가능한 부피 가변부; 및 상기 부피 가변부와 연결되되 상기 컵 본체의 입구 테두리를 형성하며, 상기 부피 가변부보다는 견고한 재질로 마련되어 상기 컵 본체의 입구 테두리에 대한 형상을 유지시키는 형상 유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피 가변형 컵에 의해 달성된다.
상기 형상 유지부는 폴리프로필렌(PP, polypropylene) 재질로 마련될 수 있으며, 상기 부피 가변부와 상기 형상 유지부는 이중사출에 의해 일체로 성형될 수 있다.
상기 부피 가변부는 수직 구간과 경사 구간이 반복되는 계단식 구조를 가질 수 있으며, 상기 형상 유지부는 상기 부피 가변부와 연결되는 직선형 연결부와, 상기 직선형 연결부의 단부에 형성되는 확장형 플랜지부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컵 뚜껑은 폴리에틸렌(PE, polyethylene) 재질로 마련될 수 있다.
상기 부피 가변부와 상기 형상 유지부의 색상 또는 표면패턴은 서로 상이할 수 있으며, 상기 부피 가변부의 하단부는 상측을 향해 오목한 오목부를 형성할 수 있으며, 상기 오목부 내에는 상기 컵 본체의 길이 방향을 따라 압착되어 납작해진 상기 부피 가변부를 원상태로 복원시키기 위해 잡아 뽑기 위한 손잡이를 형성하는 손잡이 돌기가 형성되되 상기 오목부의 깊이보다는 짧게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부피 가변부의 하단부에는 상기 부피 가변부와 이중사출에 의해 일체로 형성되되 폴리프로필렌(PP, polypropylene) 재질로 마련되어 상기 부피 가변부의 하단부 강도를 보강하는 강도 보강부가 마련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르면, 부피가 용이하게 가변될 수 있음은 물론 간단한 방법으로 제조가 가능한 효과가 있다.
특히, 본 고안에 따르면, 종래와 달리 단순 혹은 개념적인 아이디어성 기술에서 벗어나 비용 대비 저렴하게 제조할 수 있음은 물론 단위 시간당 생산성을 높일 수 있어 사업성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부피 가변형 컵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서 컵 본체를 길이 방향을 따라 압착하여 납작해지도록 한 상태의 도면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컵 본체의 정면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부피 가변형 컵에서 컵 본체의 정면도이다.
도 6은 본 고안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부피 가변형 컵에서 컵 본체의 정면도이다.
도 7은 본 고안의 제4 실시예에 따른 부피 가변형 컵에서 컵 본체의 정면도이다.
도 8은 본 고안의 제5 실시예에 따른 부피 가변형 컵에서 컵 본체의 정면도이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부피 가변형 컵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도 2에서 컵 본체를 길이 방향을 따라 압착하여 납작해지도록 한 상태의 도면, 그리고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컵 본체의 정면도이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부피 가변형 컵은 부피가 용이하게 가변될 수 있음은 물론 간단한 방법으로 제조가 가능하여 실용성이 높은 것으로서, 컵 본체(110)와, 컵 본체(110)의 입구 영역을 개폐하는 컵 뚜껑(140)을 포함한다.
컵 본체(110)는 물이나 주스, 혹은 음료를 담는 부분이다. 본 실시예의 경우, 컵 본체(110)가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그 폭이 점진적으로 좁아지는 원추형 구조를 가지고 있다.
하지만, 컵 본체(110)는 사각 단면이나 삼각 단면의 형상을 가질 수도 있으므로 도시된 형상에 본 고안의 권리범위가 제한되지 않는다.
컵 본체(110)는 부피 가변부(120)와 형상 유지부(130)라는 두 개의 파트(part)로 이루어진다.
물론, 부피 가변부(120)와 형상 유지부(130)는 기능적인 측면에서 구별한 것일 뿐이며, 실제 부피 가변부(120)와 형상 유지부(130)는 이중사출에 의한 일체형 구조물을 이룬다. 이들에 대해 자세히 살펴본다.
부피 가변부(120)는 도 3처럼 컵 본체(1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압착되어 납작해지거나 도 2처럼 원상태로 복원이 가능한 부분이다. 따라서 부피 가변부(120)는 실리콘 또는 고무 재질로 마련될 수 있다.
이처럼 부피 가변부(120)가 실리콘 또는 고무 재질로 제작되기 때문에, 컵 본체(1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압착시키면 도 3처럼 컵 본체(110)가 납작해지면서 부피가 축소되고, 반대로 잡아 뽑으면 도 2처럼 컵 본체(110)가 원상태로 복원될 수 있다.
이처럼 부피가 가변될 경우, 보관이나 취급에 유리함은 물론 소비자에게 색다른 호기심을 유발시킬 수 있어 제품으로서의 가치 향상에 기여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부피 가변부(120)는 수직 구간(A)과 경사 구간(B)이 반복되는 계단식 구조를 갖는다. 따라서 부피 가변부(120)가 납작해지거나 원상태로 복원되는 동작이 매우 자연스럽게 수행될 수 있다.
다만, 컵 본체(110)는 전체가 부피 가변부(120)로 적용되면 형상이 쉽게 변형될 수 있기 때문에 내용물(음료)이 쉽게 유출될 수 있고, 입으로 마시기도 어려울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손으로 파지하기도 어려울 수 있다. 이를 보완하기 위해 형상 유지부(130)가 마련된다.
형상 유지부(130)는 부피 가변부(120)와 연결되되 컵 본체(110)의 입구 테두리를 형성한다.
이러한 형상 유지부(130)는 부피 가변부(120)보다는 견고한 재질로 마련되어 컵 본체(110)의 입구 테두리에 대한 형상을 유지시키는 역할을 한다.
부피 가변부(120)가 실리콘 또는 고무 재질로 적용되는 것에 비해 형상 유지부(130)는 폴리프로필렌(PP, polypropylene) 재질로 마련될 수 있다.
참고로, 폴리프로필렌은 대표적인 열가소성 수지의 고체로 프로필렌을 중합함으로써 제조된다. 인장강도, 충격강도 및 표면강도가 우수하고, 내열, 내약품성이 좋아 포대용백, 필름, 섬유, 자동차와 전기전자부품, 컨테이너, 일용품 등의 원료로 폭넓게 사용되고 있다.
이와 같은 폴리프로필렌 재질을 선택하여 형상 유지부(130)를 제조할 경우, 부피 가변부(120)와 형상 유지부(130)의 재질이 서로 상이하다는 점을 감안하여 본 실시예의 경우, 부피 가변부(120)와 형상 유지부(130)를 이중사출에 의해 일체로 성형하고 있다.
이처럼 이중사출로서 부피 가변부(120)와 형상 유지부(130)를 일체로 제조하는 경우, 원하는 기능을 모두 구현할 수 있음은 물론 제조가 편리하여 대량 생산을 이끌어내기에 충분하다.
형상 유지부(130)는 부피 가변부(120)와 연결되는 직선형 연결부(131)와, 직선형 연결부(131)의 단부에 형성되는 확장형 플랜지부(132)를 포함할 수 있다.
확장형 플랜지부(132) 영역을 입에 대고 음용할 수 있어 편리하다. 만약, 손잡이가 필요하다면 부피 가변부(120) 영역에 손잡이 등을 더 만들면 된다.
컵 뚜껑(140)은 컵 본체(110)의 입구 영역을 개폐하는 역할을 한다. 본 실시예에서 컵 뚜껑(140)은 폴리에틸렌(PE, polyethylene) 재질로 마련될 수 있다.
폴리에틸렌은 에틸렌의 중합으로 생기는 사슬 모양의 고분자 화합물이다. 중합법에 따라 여러 가지가 생성되는데, 밀도에 따라 저밀도 폴리에틸렌과 고밀도 폴리에틸렌으로 구별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은 구조를 갖는 본 실시예에 따르면, 형상 유지부(130)로 인해 그 형상이 유지되면서도 실리콘 또는 고무 재질의 부피 가변부(120)로 인해 부피가 용이하게 가변될 수 있어 사용상의 편의성이 증대됨은 물론 간단한 방법으로 제조가 가능한 효과가 있다.
특히, 본 실시예에 따르면, 종래와 달리 단순 혹은 개념적인 아이디어성 기술에서 벗어나 비용 대비 저렴하게 제조할 수 있음은 물론 단위 시간당 생산성을 높일 수 있어 사업성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게 된다.
도 5는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부피 가변형 컵에서 컵 본체의 정면도이다.
본 실시예의 경우에도 컵 본체(210)는 부피 가변부(220)와 형상 유지부(230)라는 두 개의 파트(part)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에서 부피 가변부(220)와 형상 유지부(230)의 색상 또는 표면패턴은 서로 상이할 수 있다. 이처럼 부피 가변부(220)와 형상 유지부(230)의 색상 또는 표면패턴이 서로 상이할 경우, 부피가 가변되는 부분과 형상이 유지되는 부분이 외부에서도 쉽게 구별될 수 있어 또 다른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본 실시예가 적용되더라도 부피가 용이하게 가변될 수 있어 사용상의 편의성이 증대됨은 물론 간단한 방법으로 제조가 가능한 효과가 있다.
도 6은 본 고안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부피 가변형 컵에서 컵 본체의 정면도이다.
본 실시예의 경우에도 컵 본체(310)는 부피 가변부(320)와 형상 유지부(330)라는 두 개의 파트(part)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에서 부피 가변부(320)의 하단부는 상측을 향해 오목한 오목부(321)를 형성한다.
이처럼 부피 가변부(320)의 하단부에 오목부(321)가 형성되면, 부피 가변부(320)를 납작하게 압착시켰을 경우, 상부에서 오목부(321) 영역을 누르면 다시 원상태로 복원되기가 수월한 이점이 있을 것이다.
본 실시예가 적용되더라도 부피가 용이하게 가변될 수 있어 사용상의 편의성이 증대됨은 물론 간단한 방법으로 제조가 가능한 효과가 있다.
도 7은 본 고안의 제4 실시예에 따른 부피 가변형 컵에서 컵 본체의 정면도이다.
본 실시예의 경우에도 컵 본체(410)는 부피 가변부(420)와 형상 유지부(430)라는 두 개의 파트(part)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부피 가변부(420)의 하단부에 오목부(421)가 형성되고 있다.
이와 같은 구조에서 오목부(421) 내에는 컵 본체(4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압착되어 납작해진 부피 가변부(420)를 원상태로 복원시키기 위해 잡아 뽑기 위한 손잡이를 형성하는 손잡이 돌기(422)가 형성된다. 손잡이 돌기(422)로 인해 납작해진 컵 본체(410)를 조작하여 다시 원상태로 만드는데 유리하다.
이때, 손잡이 돌기(422)의 돌출 길이가 너무 길면 컵 본체(410)가 세워질 수 없으므로 손잡이 돌기(422)는 오목부(421)의 깊이보다는 짧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본 실시예가 적용되더라도 부피가 용이하게 가변될 수 있어 사용상의 편의성이 증대됨은 물론 간단한 방법으로 제조가 가능한 효과가 있다.
도 8은 본 고안의 제5 실시예에 따른 부피 가변형 컵에서 컵 본체의 정면도이다.
본 실시예의 경우에도 컵 본체(510)는 부피 가변부(520)와 형상 유지부(530)라는 두 개의 파트(part)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다만, 본 실시예의 경우, 부피 가변부(520)의 하단부에는 부피 가변부(520)와 이중사출에 의해 일체로 형성되되 폴리프로필렌(PP, polypropylene) 재질로 마련되어 부피 가변부(520)의 하단부 강도를 보강하는 강도 보강부(525)가 더 마련된다.
이와 같을 경우, 강도 보강부(525)와 형상 유지부(530)로 인해 컵 본체(510)의 외형이 견고하게 유지될 수 있어 유리한 효과를 이끌어낼 수 있다.
본 실시예가 적용되더라도 부피가 용이하게 가변될 수 있어 사용상의 편의성이 증대됨은 물론 간단한 방법으로 제조가 가능한 효과가 있다.
한편, 본 고안의 각 실시예에서 컵 뚜껑(140)에는 배출포트(미도시)가 더 구비될 수 있으며, 이 배출포트에는 포트 뚜껑(미도시)이 연장 형성되어 포트 뚜껑을 열고 배출포트를 통해 내부의 음료 등을 마실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고안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고안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110 : 컵 본체 120 : 부피 가변부
130 : 형상 유지부 131 : 직선형 연결부
132 : 확장형 플랜지부 140 : 컵 뚜껑

Claims (4)

  1. 컵 본체; 및
    상기 컵 본체의 입구 영역의 개폐하는 컵 뚜껑을 포함하며,
    상기 컵 본체는,
    실리콘 또는 고무 재질로 마련되며, 상기 컵 본체의 길이 방향을 따라 압착되어 납작해지거나 원상태로 복원이 가능한 부피 가변부; 및
    상기 부피 가변부와 연결되되 상기 컵 본체의 입구 테두리를 형성하며, 상기 부피 가변부보다는 견고한 재질로 마련되어 상기 컵 본체의 입구 테두리에 대한 형상을 유지시키는 형상 유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부피 가변부와 상기 형상 유지부의 색상 또는 표면패턴은 서로 상이하며,
    상기 부피 가변부의 하단부는 상측을 향해 오목한 오목부를 형성하며,
    상기 오목부 내에는 상기 컵 본체의 길이 방향을 따라 압착되어 납작해진 상기 부피 가변부를 원상태로 복원시키기 위해 잡아 뽑기 위한 손잡이를 형성하는 손잡이 돌기가 형성되되 상기 오목부의 깊이보다는 짧게 형성되며,
    상기 부피 가변부의 하단부에는 상기 부피 가변부와 이중사출에 의해 일체로 형성되되 폴리프로필렌(PP, polypropylene) 재질로 마련되어 상기 부피 가변부의 하단부 강도를 보강하는 강도 보강부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피 가변형 컵.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형상 유지부는 폴리프로필렌(PP, polypropylene) 재질로 마련되며,
    상기 부피 가변부와 상기 형상 유지부는 이중사출에 의해 일체로 성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피 가변형 컵.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부피 가변부는 수직 구간과 경사 구간이 반복되는 계단식 구조를 가지며,
    상기 형상 유지부는 상기 부피 가변부와 연결되는 직선형 연결부와, 상기 직선형 연결부의 단부에 형성되는 확장형 플랜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컵 뚜껑은 폴리에틸렌(PE, polyethylene) 재질로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피 가변형 컵.
  4. 삭제
KR2020130001435U 2013-02-25 2013-02-25 부피 가변형 컵 KR20046745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30001435U KR200467450Y1 (ko) 2013-02-25 2013-02-25 부피 가변형 컵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30001435U KR200467450Y1 (ko) 2013-02-25 2013-02-25 부피 가변형 컵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67450Y1 true KR200467450Y1 (ko) 2013-06-17

Family

ID=513897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30001435U KR200467450Y1 (ko) 2013-02-25 2013-02-25 부피 가변형 컵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67450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74191A (ko) 2018-08-20 2019-06-27 김동현 높이 조절 부분을 가진 컵
KR200493585Y1 (ko) * 2020-03-11 2021-04-28 최영진 높이 조절이 가능한 조리 용기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20642U (ko) * 1999-05-11 2000-12-05 한영희 휴대용 용기
KR20050061326A (ko) * 2003-12-16 2005-06-22 다아트 인더스트리즈 인코포레이팃드 접는 용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20642U (ko) * 1999-05-11 2000-12-05 한영희 휴대용 용기
KR20050061326A (ko) * 2003-12-16 2005-06-22 다아트 인더스트리즈 인코포레이팃드 접는 용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74191A (ko) 2018-08-20 2019-06-27 김동현 높이 조절 부분을 가진 컵
KR200493585Y1 (ko) * 2020-03-11 2021-04-28 최영진 높이 조절이 가능한 조리 용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783349B2 (en) Mountable food container
JP2022506324A (ja) 紙およびプラスチック容器のスナップ嵌め構造
EP2346739B1 (en) Container and preform with an integrated spout
EP1157943A2 (en) Heat-insulating container
CN106061859B (zh) 用于闭合容器的瓶口的盖子和制造所述盖子的方法
US11203468B2 (en) Pouring spout of container
WO2009146433A1 (en) Coffee cup lid
KR200467450Y1 (ko) 부피 가변형 컵
US20220289438A1 (en) Lid for a container
USD601426S1 (en) Nestable plastic container
KR102019018B1 (ko) 테이크아웃 음료컵용 뚜껑
CN110099853A (zh) 树脂制容器
US11472609B2 (en) Spout unit, lid assembly comprising the spout unit, beverage container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pout unit
KR200471398Y1 (ko) 휴대용 차(茶) 용기
US20150282653A1 (en) Beverage Container
CN211212466U (zh) 一种盖子
WO2020088408A1 (zh) 一种纸塑容器的盖子与盒的扣合结构
KR101014931B1 (ko) 음료수 용기
CN210618971U (zh) 一种防漏塑料杯
CN217185718U (zh) 用于烹饪器具的面盖和烹饪器具
CN209871229U (zh) 一次性包装盒
CN206579979U (zh) 包装用容器
WO2021057912A1 (zh) 一种盖子及其制备方法
CN209889425U (zh) 一次性包装袋
CN213664690U (zh) 一种防溢水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