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93585Y1 - 높이 조절이 가능한 조리 용기 - Google Patents

높이 조절이 가능한 조리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93585Y1
KR200493585Y1 KR2020200000832U KR20200000832U KR200493585Y1 KR 200493585 Y1 KR200493585 Y1 KR 200493585Y1 KR 2020200000832 U KR2020200000832 U KR 2020200000832U KR 20200000832 U KR20200000832 U KR 20200000832U KR 200493585 Y1 KR200493585 Y1 KR 20049358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sket
cooking
handle
legs
he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20000083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영진
Original Assignee
최영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영진 filed Critical 최영진
Priority to KR202020000083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358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358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3585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02Construction of cooking-vessels; Methods or processes of manufacturing specially adapted for cooking-vesse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1Vessels uniquely adapted for baking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623Small-size cooking ovens, i.e. defining an at least partially closed cooking cavity
    • A47J37/0664Accesso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okers (AREA)

Abstract

본 고안에 따른 조리 용기는 에어 프라이어, 전자레인지, 오븐 등 각종 조리 기구를 이용한 조리에 사용할 수 있는 용기로서, 내부 공간에 조리재료가 수용되는 바스켓, 및 바스켓의 상단 서로 마주 보는 위치에서 상측으로 구비되는 한쌍의 손잡이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특히, 바스켓에는 바닥 방향으로 접힐 수 있도록 복수 개의 주름이 형성된다. 본 고안에 따르면, 단순히 접고 펴는 방식으로 조리 용기의 몸체 높이를 쉽게 조절할 수 있다. 조리 기구의 높이가 낮더라도 적응적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요리에 따라서도 바스켓의 높이를 적절히 변경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사용 후에는 접어 보관할 수 있으므로, 공간을 더욱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손잡이의 높이도 조절 가능하므로, 조리 환경에 따라 더욱 편리하고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다.

Description

높이 조절이 가능한 조리 용기{ Height Adjustable Cooking Vessel }
본 고안은 조리 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에어 프라이어, 전자레인지, 오븐 등 각종 조리 기구를 이용한 조리에 사용할 수 있고, 필요에 따라 그 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조리 용기에 관한 것이다.
에어 프라이어, 전자레인지, 오븐 등 다양한 조리 기구들이 사용되고 있으며, 이러한 조리 기구들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식재료를 조리 용기에 담아 조리 기구에 넣어야 한다.
대부분의 조리 기구는 조리가 이루어지는 동안 그 내부에 강한 열이 발생하므로, 식재료를 담는 조리 용기는 그러한 열을 감당할 수 있는 소재로 구성되어야 한다.
또한, 조리 용기는 전자레인지 등 히터 방식이 아닌 특별한 방식을 사용할 때는 그러한 환경에도 견딜 수 있어야 한다.
한편, 각종 조리 기구는 그 종류뿐 아니라 용량의 차이로 인해 그 내부 공간의 높이가 서로 상이하다.
그런데 종래의 조리 용기는 그 높이가 일정하여 내부 공간의 높이가 그보다 낮은 조리 기구에는 사용할 수 없는 문제가 있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각종 조리 기구에 공통으로 사용할 수 있으면서, 필요에 따라 몸체의 높이 조절이 가능한 조리 용기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따른 높이 조절이 가능한 조리 용기는, 내부 공간에 조리재료가 수용되는 바스켓; 및 상기 바스켓의 상단 서로 마주 보는 위치에서 상측으로 구비되는 한쌍의 손잡이를 포함하며, 상기 바스켓에는 바닥 방향으로 접힐 수 있도록 복수 개의 주름이 형성된다.
상기 주름의 개수는 2개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조리 용기는 상기 바스켓을 완전히 접었을 때, 상기 바스켓의 상단과 이로부터 가장 가까운 제1 주름 사이의 측면, 제1 주름과 제2 주름 사이의 측면, 및 제2 주름과 상기 바스켓의 바닥 사이의 측면이 서로 완전히 겹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바스켓의 상단에는 서로 마주 보는 위치에서 각각 외측으로 연장되는 한쌍의 손잡이 지지부가 형성될 수 있다. 한쌍의 손잡이 지지부 각각에는 일정 간격으로 이격된 두 개의 체결 홀이 형성된다.
상기 손잡이는 'ㄷ'자 모양으로 형성되어, 두 다리가 상기 손잡이 지지부에 형성된 체결 홀에 삽입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손잡이의 두 다리 말단에는 상기 체결 홀에 걸릴 수 있도록 스토퍼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손잡이의 두 다리에는 말단으로부터의 거리가 서로 다른 하나 이상의 보조 스토퍼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손잡이 지지부는 상기 손잡이의 두 다리에 형성된 스토퍼를 일정한 힘을 주어 상기 체결 홀로 억지 끼워 넣거나 빼낼 수 있는 소재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조리 용기는, 상기 바스켓의 내부에 탈착 가능하게 설치되어 조리재료를 올려놓을 수 있도록 하는 접시 부재; 및 상기 바스켓의 상부를 덮는 뚜껑 부재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접시 부재는 복수 개의 구멍이 형성되고, 아랫면에는 상기 바스켓의 바닥으로부터 일정 간격만큼 이격시키기 위한 돌출부가 형성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르면, 단순히 접고 펴는 방식으로 조리 용기의 몸체 높이를 쉽게 조절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각종 조리 기구의 높이가 낮더라도 적응적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요리에 따라서도 바스켓의 높이를 적절히 변경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사용 후에는 접어 보관할 수 있으므로, 공간을 더욱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조리 용기를 잡는 손잡이의 높이도 조절 가능하므로, 조리 환경에 따라 더욱 편리하고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다.
바스켓의 내부에 설치되어 조리재료를 올려놓을 수 있는 접시 부재에는 다수의 구멍이 형성되어 조리 시 발생하는 기름을 밑으로 빼낼 수 있고, 탈착 가능하기 때문에 조리 후 편리하게 세척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른 조리 용기는 실리콘 소재로 구성하여 에어 프라이어, 전자레인지, 오븐 등 각종 조리 기구에 공통으로 이용할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조리 용기에 관한 일 실시예,
도 2는 뚜껑 부재가 덮인 실시예,
도 3은 조리 용기를 완전히 접은 상태의 예,
도 4는 완전히 접힌 조리 용기의 단면도,
도 5는 접시 부재가 포함된 실시예,
도 6은 조리 용기의 또 다른 실시예에 관한 분해 사시도이다.
본 고안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서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고안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고안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고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고안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도 1을 참조하자면, 본 고안에 따른 조리 용기(100)는 내부 공간에 조리재료가 수용되는 바스켓(110), 및 바스켓(110)의 상단 서로 마주 보는 위치에 구비되는 한쌍의 손잡이(1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바스켓(110)은 조리 용기(100)의 몸체를 이루는 것으로서, 조리재료가 수용되는 내부 공간을 제공한다. 횡단면이 원형인 예로 설명하지만, 바스켓(110)의 형태는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바스켓(110)은 다양한 소재로 구성될 수 있다. 다양한 조리 기구에 공통으로 사용되는 특성, 및 높이 조절을 위해 접히는 구조적 특성 등을 고려할 때, 실리콘 재질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둘 이상의 소재가 함께 사용될 수도 있다.
조리 용기(100)는 바스켓(110)의 내부 공간에 탈착 가능하게 설치되어, 조리재료를 올려 놓을 수 있도록 하는 접시 부재(13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접시 부재(130)에는 다수의 구멍이 형성될 수 있다. 그러면, 조리 시 발생하는 기름을 밑으로 빼낼 수 있다.
접시 부재(130)에 형성되는 구멍의 형태, 크기, 개수, 위치 등은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으며,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는다.
구멍을 통해 기름 등을 빼내기 위하여, 접시 부재(130)의 아랫면에는 조리재료가 놓이는 표면을 바스켓(110)의 바닥으로부터 일정 거리만큼 이격시키기 위한 돌출부가 구비될 수 있다.
도 5에는 접시 부재(130)의 하부 중심부를 가로질러 형성되는 돌출부(131-1)의 예가 나타나 있지만, 돌출부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자면, 조리 용기(100)는 바스켓(110)의 상부를 덮는 뚜껑 부재(14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접시 부재(130)와 뚜껑 부재(140)는 다양한 조리 기구에 공통으로 사용하기 위하여 실리콘 재질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특히, 바스켓(110)은 바닥 방향으로 접힐 수 있도록 상단으로부터의 거리가 서로 다른 복수 개의 주름(110-1, 110-2)이 형성된다. 주름(110-1, 110-2)은 바스켓(110)의 가로 둘레를 따라 형성될 수 있다. 높이에 따라 2개의 주름(110-1, 110-2)이 형성된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도 3과 도 4에 나타낸 예와 같이, 주름 구조는 상/하로 인접한 면끼리 서로 완전히 겹쳐질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바스켓(110)을 완전히 접었을 때, 바스켓(110)의 상단과 이로부터 가장 가까운 제1 주름(110-1) 사이의 측면(110-5), 제1 주름(110-1)과 제2 주름(110-2) 사이의 측면(110-6), 및 제2 주름(110-2)과 바스켓(110)의 바닥 사이의 측면(110-7)이 서로 완전히 겹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각 주름 간격은 필요에 따라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하나의 예로서, 완전히 접혔을 때 각 측면이 서로 대략 유사한 높이를 가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러면, 각 주름이 완전히 접혔을 때 바스켓(110)의 높이는 접히기 전의 약 1/3 정도가 될 것이다. 도 4는 바스켓(110)이 각 주름(110-1, 110-2)에서 완전히 접힌 상태가 단면으로 나타나 있다.
조리 용기(100)의 손잡이(120)는 상측으로 형성되며, 손잡이(120)는 손잡이 지지부(111)에 착탈식으로 체결될 수 있다.
손잡이 지지부(111)는 바스켓(110)의 상단에 서로 마주 보는 위치에 형성되며, 각각 바스켓(110)의 상단에서 외측으로 연장된다. 각 손잡이 지지부(111)에는 일정 간격을 두고 두 개의 체결 홀이 형성된다.
손잡이(120)는 'ㄷ'자 모양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두 다리가 손잡이 지지부(111)에 형성된 체결 홀에 삽입된다. 손잡이(120)의 두 다리의 말단에는 체결 홀에 걸릴 수 있도록 스토퍼(121)가 구비되어 있어서, 손잡이(120)가 손잡이 지지부(111)에 걸리게 된다.
손잡이(120)의 착탈은 손잡이(120)의 두 다리에 형성된 스토퍼(121)를 일정한 힘을 주어 체결 홀로 억지로 끼워 넣거나, 체결 홀로부터 억지로 빼내는 방식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손잡이 지지부(111)는 손잡이(120)의 두 다리에 형성된 스토퍼(121)를 일정한 힘을 주어 체결 홀로 억지 끼워 넣거나 빼낼 수 있는 소재로 구성될 수 있다. 구체적인 예로서, 손잡이 지지부(111)는 실리콘 소재로 구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손잡이(120)의 두 다리에는 말단으로부터의 거리가 서로 다른 하나 이상의 보조 스토퍼(122, 123)가 더 구비될 수 있다.
그러면, 손잡이 지지부(111)의 체결 홀에 끼워지는 스토퍼를 달리함으로써, 손잡이(120)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2개의 보조 스토퍼가 구비되어 있지만, 보조 스토퍼가 형성되는 위치, 형태, 크기, 개수 등은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다.
도 6은 조리 용기(100)의 분해 사시도에 관한 예를 보인 것으로서, 조리재료가 놓이는 접시 부재(130)의 표면에는 돌기가 형성될 수 있다. 호의 형태로 형성된 예가 나타나 있지만, 돌기는 다양한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조리재료가 놓이는 표면을 바스켓(110)의 바닥으로부터 일정 거리만큼 이격시키기 위한 돌출부(131-2)가, 접시 부재(130)의 하면 가장자리 부근에서 아래로 돌출되는 형태로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접시 부재(130)에 형성되는 구멍과 돌출부(131-1, 131-2)는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는 것으로서,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에서는 본 고안을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청구범위에 의해 마련되는 본 고안의 기술적 특징이나 분야를 이탈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본 고안이 다양하게 개조 및 변화될 수 있다는 것은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한 것이다.
100: 조리 용기
110: 바스켓
110-1, 110-2: 주름
111: 손잡이 지지부
120: 손잡이
121: 스토퍼
122, 123: 보조 스토퍼
130: 접시 부재
131-1, 131-2: 돌출부
140: 뚜껑 부재

Claims (6)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내부 공간에 조리재료가 수용되는 바스켓; 및
    상기 바스켓의 상단 서로 마주 보는 위치에서 상측으로 구비되는 한쌍의 손잡이를 포함하고,
    상기 바스켓에는 바닥 방향으로 접힐 수 있도록 복수 개의 주름이 형성되며,
    상기 바스켓의 상단에는 서로 마주 보는 위치에서 각각 외측으로 연장되고, 일정 간격 이격된 두 개의 체결 홀이 형성된, 한쌍의 손잡이 지지부가 형성되고,
    상기 손잡이는 'ㄷ'자 모양으로 형성되어, 두 다리가 상기 손잡이 지지부에 형성된 체결 홀에 삽입되며,
    상기 손잡이의 두 다리 말단에는 상기 체결 홀에 걸릴 수 있도록 스토퍼가 구비된 것이고,
    상기 손잡이의 두 다리에는 말단으로부터의 거리가 서로 다른 하나 이상의 보조 스토퍼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이 조절이 가능한 조리 용기.
  5. 내부 공간에 조리재료가 수용되는 바스켓; 및
    상기 바스켓의 상단 서로 마주 보는 위치에서 상측으로 구비되는 한쌍의 손잡이를 포함하고,
    상기 바스켓에는 바닥 방향으로 접힐 수 있도록 복수 개의 주름이 형성되며,
    상기 바스켓의 상단에는 서로 마주 보는 위치에서 각각 외측으로 연장되고, 일정 간격 이격된 두 개의 체결 홀이 형성된, 한쌍의 손잡이 지지부가 형성되고,
    상기 손잡이는 'ㄷ'자 모양으로 형성되어, 두 다리가 상기 손잡이 지지부에 형성된 체결 홀에 삽입되며,
    상기 손잡이의 두 다리 말단에는 상기 체결 홀에 걸릴 수 있도록 스토퍼가 구비된 것이고,
    상기 손잡이 지지부는 상기 손잡이의 두 다리에 형성된 스토퍼를 일정한 힘을 주어 상기 체결 홀로 억지 끼워 넣거나 빼낼 수 있는 소재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이 조절이 가능한 조리 용기.
  6. 삭제
KR2020200000832U 2020-03-11 2020-03-11 높이 조절이 가능한 조리 용기 KR20049358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00000832U KR200493585Y1 (ko) 2020-03-11 2020-03-11 높이 조절이 가능한 조리 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00000832U KR200493585Y1 (ko) 2020-03-11 2020-03-11 높이 조절이 가능한 조리 용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93585Y1 true KR200493585Y1 (ko) 2021-04-28

Family

ID=757339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200000832U KR200493585Y1 (ko) 2020-03-11 2020-03-11 높이 조절이 가능한 조리 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93585Y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02989U (ko) * 2007-09-21 2009-03-25 김형진 전자레인지용 음식 조리기
KR100896825B1 (ko) * 2003-12-16 2009-05-12 다아트 인더스트리즈 인코포레이팃드 접을 수 있는 용기
KR20090067255A (ko) * 2007-12-21 2009-06-25 문인철 분리형 손잡이를 갖는 조리용기
KR200467450Y1 (ko) * 2013-02-25 2013-06-17 최종하 부피 가변형 컵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96825B1 (ko) * 2003-12-16 2009-05-12 다아트 인더스트리즈 인코포레이팃드 접을 수 있는 용기
KR20090002989U (ko) * 2007-09-21 2009-03-25 김형진 전자레인지용 음식 조리기
KR20090067255A (ko) * 2007-12-21 2009-06-25 문인철 분리형 손잡이를 갖는 조리용기
KR200467450Y1 (ko) * 2013-02-25 2013-06-17 최종하 부피 가변형 컵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503062A (en) Wire support and inner rack for thin aluminum roasting pan
CA2272814C (en) Roasting rack and pan/cover assembly
US20160374505A1 (en) Cooking splatter protection device
US11464352B2 (en) Food steamer and rack system
US3972318A (en) Utensil for oven cooking
US6705210B2 (en) Chafing dish with utility handles
US10130213B2 (en) Cooking splatter protection device
US4291616A (en) Roaster tray
CA2776091C (en) Pan with handles
US20170071406A1 (en) Method of Cooking Utilizing a Splatter Shield
US6167799B1 (en) Tamale and vegetable steaming device
US20080296303A1 (en) Domed splatter screen with a fitted rim
US4971216A (en) Disposable cooking utensil
US20030167932A1 (en) Stackable and configurable colander apparatus
US20180078088A1 (en) Baking apparatus
US20220265086A1 (en) Apparatus for cooking bacon and the like inside microwave ovens
US20060027575A1 (en) Splatter guard
US3427955A (en) Broiler pan
US6029652A (en) Cover hood for frying or cooking utensils
US10258192B1 (en) Cooking utensil
KR200493585Y1 (ko) 높이 조절이 가능한 조리 용기
EP2941155A2 (en) Overboil ring apparatus and cooking and heating system
US20080083340A1 (en) Roaster
US5992675A (en) Splatter screen
US6448542B2 (en) Microwave cooking rack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