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12981A - 신장식용기 - Google Patents

신장식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12981A
KR20000012981A KR1019980031590A KR19980031590A KR20000012981A KR 20000012981 A KR20000012981 A KR 20000012981A KR 1019980031590 A KR1019980031590 A KR 1019980031590A KR 19980031590 A KR19980031590 A KR 19980031590A KR 20000012981 A KR20000012981 A KR 2000001298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synthetic resin
folded
shape
inver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315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게구찌
이동현
Original Assignee
이동현
스기오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동현, 스기오까 filed Critical 이동현
Priority to KR10199800315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00012981A/ko
Publication of KR200000129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12981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1/00Nestable, stackable or joinable containers; Containers of variable capacity
    • B65D21/08Containers of variable capacity
    • B65D21/086Collapsible or telescopic containers

Abstract

본 발명은 사용시에 접어구부려진 용기벽면을 신장해서 소정의 용기형상되도록한 신장식합성수지용기이고 용기사용시, 특히 뜨거운물등의 사용시에 보다 견고한 강도, 확실한 강성을 갖춘 용기의 구조를 제공한다.
저면부11부터 세워진 용기벽면 12에 접어구부려진 반전부15가 있고 반전부 상하에 설치한 하측 접히는 부분21 및 상측접히는 부분22를 사이에 두고 상방으로 반전, 신장시켜 소정의 용기형상 10A가 되도록한 합성수지용기10으로 전기 합성수지용기는 합성수지발포층 31이 있는 단일의 쉬트형상 30의 성형품에 의해 구성되어 있는 동시에 이 쉬트형상의 용기내면층10i 되는 면에는 열수축필름층 35가 형성된다.

Description

신장식용기
본 발명은 신장식합성수지용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접어구부려진 용기벽면을 사용시 용기를 신장시켜 소정의 용기형상이 되도록한 신장식합성수지 용기의 개량구조에 관한 것이다. 예를 들어, 컵모양의 즉석면등의 분야에서 식기를 겸한 그릇 또는 컵 형상의 포장용용기로 즉석식품이 수용되여 판매되고 있다. 이 용기는 경량, 단열등의 기능성있기 때문에 발포합성수지의 성형품이 많이 사용되고 있다.
그런데 종래의 이종류의 용기는 그릇 또는 컵으로써의 최종형상으로 성형되어 있으므로 운송, 보관상 매우 부피가 크다라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그리고 매장등에 디스플레이시에는 몇단으로 쌓아올려서 진열되어 있지만 매장의 면적에는 한계가 있어서 많이 진열할수가 없다. 그래서 상품재고가 적거나 또는 납기가 신속하지 않을경우에는 구매자의 심리상 구입의욕이 감퇴하고, 판매촉진상 바람직하지 않다. 이같은 상황에 비쳐 본출원인은 1997년에 특허출원 제25518호로 신장식용기의 구조를 제안했다. 이 구조로 만들어진 포장용용기는 용기벽면에 접히는 부분을 사이에 두고 접어구부려진 반전부가 있어, 사용시 반전부를 상방으로 반전하면 신장되어 소정의 용기형상으로 만들어진다. 이같은 신장식용기에 있어서는 용기의 벽면의 높이가 저감되여 최종으로 성형된 보통용기와 비교해 운송, 보관상 매우 유리할 뿐만 아니라 매장등에 디스플레이시는 보다 많은 상품을 겹쳐 진열할수 있도록 되어서, 판매촉진상 큰이익이 있다. 그런데 신장식용기의 구조에 있어서는 반전부가 신장될때 용기벽면의 강도, 강성 견고한것이 요구된다.
앞에서 기술했던 것처럼 신장식 용기담긴즉석식품에 사용될 경우에는 그대로 뜨거운 물을 사용할수 있기때문에 사용상 안전하다는 점을 갖고 있다.
본 발명은 전기보다 조금더 발전적으로 만들어진 것으로써 사용시 접어 구부려진 용기벽면을 신장해 소정의 용기형상이 되도록 한 신장식합성수지용기로써 용기사용시 특히 뜨거운물등의 사용시에 보다 강한 강도, 견고한 강성을 갖춘 용기의 구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제1도는 본 발명의 신장식합성수지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제2도는 제1도는 중앙종단면도이다.
제3도는 제2의 신장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제4도는 제3도의 벽면부의 확대단면도이다.
제5도는 본 발명구조를 나타낸 요부의 모식단면도이다.
제6도는 열수축시에 요부의 모식단면도이다.
도7은 본 발명의 제조공정을 나타낸 성형품의 개략단면도이다.
*주요 도면부호의 설명*
10 신장식합성수지용기 11 저면부
12 용기벽면 15 반전부
21 하측접히는 부분 22 상측접히는 부분
30 쉬트형상 31 합성수지발포층
35 열수축필름층
본 발명은 저면부로 부터 세워진 용기벽면에 접어구부려진 반전부가 있고 반전부 상하에 만들어진 하측 접히는 부분 및 상측접히는 부분을 사이에 두고 상방으로 반전, 신장시켜 소정의 용기형상이 형태를 만들도록 한 신장식합성수지용기이고, 전기 합성수지용기는 합성수지발포층이 있는 단일의 쉬트형상의 성형품으로 구성되었고, 쉬트형상이 용기내면측이 되는 면에는 열수축 필름층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장식합성수지용기이다.
실시예
이하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1는 본 발명의 신장식합성수지용기의 하나의 실제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2는 도1의 중앙종단면도, 도3은 도2의 신장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4는 도3의 벽면부의 확대단면도, 도5는 본 발명구조를 나타낸 주요부의 모식단면도, 도6는 열수축시에 있어 주요부의 모식단면도, 도7는 신장식합성수지용기의 제조공정을 나타낸 성형품의 계략단면도이다.
도1또는 도3에 나타낸 실시예의 신장식합성수지용기10은 즉석면용의 포장용용기이고, 저면부11부터 세워진 용기벽면12의 원주방향 일부에 접어구부려진 반전부15가 있고, 사용시에는 도3 처럼 반전부15 상하에 만들어진 하측접히는 부분21 및 상측 접히는 부분 22을 사이에두고 상방으로 반전, 신장시켜 소정의 용기형상 10A가 되도록 하는 것이다.
도시(圖示)의 예로는 용기벽면 12의 반전부 15는 저면부11에 근접되어 형성되였었지만 1997년 특허출원 제255518호 공보기재처럼, 용기벽면의 중간부에 만들어도 좋다. 그리고 도시(圖示)의 부호 16은 반전부15의 반전을 쉽게하기 위해 보조적으로 접히는 부분, 17은 도 16과 같이 반전을 쉽게하기 위하여 방사상의 형태이다. 이 합성수지용기10은 도 4에 나타난것처럼 경량성 및 단열성을 고려해 합성수지발포층31이 있는 단일의 쉬트형상30의 성형품 30P에 의해 구성이고 또 쉬트형상의 용기내면측 10i가 되는 면에는 열수축필름층 35가 형성되여 있다.
합성수지발포층31으로는 두께2-3㎜ 발포폴리스칠렌수지가 이 종류의 식품용용기로써 적합하게 사용된다.
열수축필름층 35는 알려져 있듯이 폴리에칠렌필름 폴리프로필렌필름, 폴리스치렌필름, 폴리에스테르필름등이 사용된다.
이것들의 합성수지발포층 31 및 열수축필름층 35는 적층 일체화된 단일의 쉬트형상 30으로 형성된다. 또 쉬트 형상30은 용기외면측의 장식과 인쇄를 위하여 필요에 따라 그 외의 필름층을 형성할수있다.
이 합성수지용기10의 성형은 도7 개략도의 표시한것과 같이 (A)의 단일 쉬트형상30을 (B)처럼 진공성형(플러그 어씨스트를 포함)에 의해 소정의 용기형상이 성형된다. 이때 접히는 부분21,22을 사이에 두고 반전부15도 형성된다.
단일 쉬트형상30으로부터 성형된 용기형상의 성형품30P는 (A)의 K선에서 절단되어 개별적으로 분리된 후 도7의(C)와 같이 저면부11이 위가 되도록 상하반대로 하여 도에 표시되지 않은 압압구에 의해 반전부15를 접히는 부분 21,22로부터 용기안쪽으로 접어 눌러 구부려 신장식용기10이된다.
또 도7의(C)도의 용기 10은 도1 및 도2의 상하가 역으로 되어있다.
다음으로 이 발명의 신장식용기10은 작용에 대해서 설명한다.
전술한 것과 같이 이 발명의 신장식용기 10은 접어구부려진 반전부15를 사용시 상하에 만들어진 하측접히는 부분 21 및 상측 접히는 부분22를 사이에 두고 상방으로 반전하여 신장하는 것에 의해 소정의 용기형상10A가 된다.
벽면부12에 형성된 반전부15는 원주방향으로 연속되는 경향이 있어 상부가 대경이되고 경사면이기 때문에 반전부15가 일단 반전된 후에는 쉽게 복원되지않고 벽면부 12의 기능을 한다.
이 발명구조는 쉬트형상30이 용기내면층 10i되는 면에 열수축필름층35가 형성되여있기 때문에 용기형상 10A가 되고, 용기내측에 뜨거운물을 부었을 경우 열수축필름35는 그열에 의해서 수축작용을 한다.
도5 및 도6은 상측 접히는 부분22에 의한 확대모식도이다. 전술한것 처럼 이 용기는 단일쉬트형상30의 성형품30P으로 되여 있기때문에 접히는 부분22에 합성수지발포층31은 도의 5처럼 기포S가 압축된 부분31A로 되여 있다. 뜨거운 물에 의해 열수축필름 35가 도6화살표E 부분까지 수축하면 접히는 부분22의 압축부분31A는 뜨거운 물에 인장되고 압축부분31A의 압축된 기포S는 크게되어 부분 31B의 합성수지발포층 31의 단면적이 늘고 그 결과 접히는 부분 22의 강도가 강해져 견고하게 된다.
위와 같은 열수축필름층 35의 수축에 의해 합성수지발포층 31의 단면적 증가는 성형시에 기포가 압축된 부분에서 생긴다. 실시례에서는 보조 접히는 부분 16 또는 방사상 상태17도 같은 모양이 생긴다.
또 용기외면측 접히는 부분 21에도 어느정도의 위와 같은 현상이 생긴다고 생각된다. 실시례에서 열수축필름층 35를 용기내면측에만 설치하였지만 열수축필름층 35를 용기내외의 양면에 만들어도 좋다.
이상 도(圖)로설명한 것와 같이 발명구조는 접어 구부려진 용기벽면을 사용시에 신장해서 소정의 용기형상이 되도록 한 신장식합성수지용기이며, 합성수지발포층을 갖는 단일쉬트형상의 성형품으로 구성되였고, 쉬트형상의 용기내면측이 되는 면에는 열수축필름층이 형성되여있기 때문에 용기사용시 특히 뜨거운물등의 사용시에 보다 견고한 강도, 확실한 강성을 갖춘 용기가 될 수 있다.
이 발명구조는 사용시에 뜨거운물이 사용되는 용기담긴즉석식품등에 안전성면에서 가장 효과적으로 얻을수 있다.

Claims (1)

  1. 저면부(11)로 부터 세워진 용기벽면(12)에 접어구부려진 반전부(15)를 갖고 그 반전부의 상하에 만들어진 하측 접히는 부분(21)및 상측접히는 부분(22)의 사이에 두고 상방으로 반전, 신장시켜 소정의 용기형상이(10A)되도록한 합성수지용기(10)이고, 전기 합성수지용기는 합성수지발포층(31)이 있는 단일쉬트형상(30)의 성형품으로 구성되고, 쉬트형상의 용기내면측(10i)이 되는 면에는 열수축필름층(35)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장식합성수지 용기의 구조이다.
KR1019980031590A 1998-08-04 1998-08-04 신장식용기 KR2000001298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31590A KR20000012981A (ko) 1998-08-04 1998-08-04 신장식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31590A KR20000012981A (ko) 1998-08-04 1998-08-04 신장식용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12981A true KR20000012981A (ko) 2000-03-06

Family

ID=195463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31590A KR20000012981A (ko) 1998-08-04 1998-08-04 신장식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00012981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96825B1 (ko) 2003-12-16 2009-05-12 다아트 인더스트리즈 인코포레이팃드 접을 수 있는 용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96825B1 (ko) 2003-12-16 2009-05-12 다아트 인더스트리즈 인코포레이팃드 접을 수 있는 용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727632B2 (ja) プラスチックフランジ付き容器およびそうした容器を備える食品パック
US20170050800A1 (en) Container
US4284205A (en) Foldable cup
FI69803C (fi) Kaerl
BR102013007688A2 (pt) Recipiente colapsável e método de produzir um recipiente colapsável
WO2012077594A1 (ja) 包装容器の製造法及び包装容器
JP5748643B2 (ja) 包装容器の製造法及び包装容器
US3338723A (en) Sliced bacon package and tray employed therein
SI25660A (sl) Raztegljiva embalaža in embalažna posoda, postopek njene uporabe in postopek njene izdelave
JP3051331B2 (ja) 伸張式容器
RU2752667C1 (ru) Пластмассовая емкость, имеющая широкое отверстие, запечатываемое гибкой верхней крышкой, и способ изготовления
JP3027141B2 (ja) 伸張式合成樹脂容器の構造
KR20000012981A (ko) 신장식용기
EP0262047B1 (fr) Contenant étanche notamment pour produits alimentaires et son procédé d'obtention
JP3901865B2 (ja) 食品用の断熱容器
KR101414529B1 (ko) 지기 찬합
US7178672B2 (en) Erect package
JP3210564B2 (ja) 容器入り即席食品の構造
JP3131449U (ja) 容器蓋及び包装用容器
KR20060132754A (ko) 접이식 사발
JP2021522125A (ja) 包装容器
JP2021017245A (ja) 包装用容器
CN217436305U (zh) 锅具包装
KR19990002008A (ko) 신장식 용기
RU2733176C1 (ru) Картонная упаковка и способ сборк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