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90169A - 접이식 용기 - Google Patents

접이식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90169A
KR20050090169A KR1020040015414A KR20040015414A KR20050090169A KR 20050090169 A KR20050090169 A KR 20050090169A KR 1020040015414 A KR1020040015414 A KR 1020040015414A KR 20040015414 A KR20040015414 A KR 20040015414A KR 20050090169 A KR20050090169 A KR 2005009016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container
foldable container
valleys
ring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154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동기
Original Assignee
이동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동기 filed Critical 이동기
Priority to KR10200400154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50090169A/ko
Publication of KR200500901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90169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21/00Attachments for beds, e.g. sheet holders, bed-cover holders; Ventilating, cooling or heating means in connection with bedsteads or mattresses
    • A47C21/04Devices for ventilating, cooling or heating
    • A47C21/048Devices for ventilating, cooling or heating for heating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21/00Attachments for beds, e.g. sheet holders, bed-cover holders; Ventilating, cooling or heating means in connection with bedsteads or mattresses
    • A47C21/04Devices for ventilating, cooling or heating
    • A47C21/042Devices for ventilating, cooling or heating for ventilating or cooling
    • A47C21/046Devices for ventilating, cooling or heating for ventilating or cooling without active means, e.g. with openings or heat conducto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27/00Spring, stuffed or fluid mattresses or cushions specially adapted for chairs, beds or sofas
    • A47C27/002Mattress or cushion tickings or cov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27/00Spring, stuffed or fluid mattresses or cushions specially adapted for chairs, beds or sofas
    • A47C27/04Spring, stuffed or fluid mattresses or cushions specially adapted for chairs, beds or sofas with spring inlays
    • A47C27/05Spring, stuffed or fluid mattresses or cushions specially adapted for chairs, beds or sofas with spring inlays with padding material, e.g. foamed material, in top, bottom, or side lay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27/00Spring, stuffed or fluid mattresses or cushions specially adapted for chairs, beds or sofas
    • A47C27/12Spring, stuffed or fluid mattresses or cushions specially adapted for chairs, beds or sofas with fibrous inlays, e.g. made of wool, of cotton
    • A47C27/127Spring, stuffed or fluid mattresses or cushions specially adapted for chairs, beds or sofas with fibrous inlays, e.g. made of wool, of cotton with reinforcement sheets, grid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27/00Spring, stuffed or fluid mattresses or cushions specially adapted for chairs, beds or sofas
    • A47C27/14Spring, stuffed or fluid mattresses or cushions specially adapted for chairs, beds or sofas with foamed material inlays
    • A47C27/142Spring, stuffed or fluid mattresses or cushions specially adapted for chairs, beds or sofas with foamed material inlays with projections, depressions or cavities
    • A47C27/144Spring, stuffed or fluid mattresses or cushions specially adapted for chairs, beds or sofas with foamed material inlays with projections, depressions or cavities inside the mattress or cush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KNON-ELECTRIC LIGHT SOURCES USING LUMINESCENCE; LIGHT SOURCES USING ELECTROCHEMILUMINESCENCE; LIGHT SOURCES USING CHARGES OF COMBUSTIBLE MATERIAL; LIGHT SOURCE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AS LIGHT-GENERATING ELEMENTS;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K2/00Non-electric light sources using luminescence; Light sources using electrochemiluminescenc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3/00Hot-water central heating systems
    • F24D3/12Tube and panel arrangements for ceiling, wall, or underfloor heating
    • F24D3/16Tube and panel arrangements for ceiling, wall, or underfloor heating mounted on, or adjacent to, a ceiling, wall or flo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5/00Hot-air central heating systems; Exhaust gas central heating systems
    • F24D5/02Hot-air central heating systems; Exhaust gas central heating systems operating with discharge of hot air into the space or area to be heat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Pack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접이식 용기에 관한 것으로, 접이식 용기에 있어서, 열 가소성 합성수지류로 두께가 0.1∼1.0mm이고, 복수의 산과 골이 형성되어 접거나 펼 수 있는 폴더 형태이며, 산과 골이 이어지는 하단면의 길이가 산과 골이 이어지는 상단면의 길이보다 크거나 작게 구성되고, 상단에서 하단으로 0∼10°의 경사각을 갖는 본체; 상기 본체의 상단에 형성되어 표딱지를 접합하는 링 플레이트; 상기 본체의 하단이 밀폐 처리되고, 본체의 직립과 연신을 위한 받침대를 포함하여 연신 및 축소가 가능한 형태를 갖는 것이다.

Description

접이식 용기{Fold Type Vessel}
본 발명은 접이식 용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접어서 포갤 수 있고, 펼쳐서 늘릴 수 있으며 기체나 고체 또는 액체의 내용물을 포함하는 접이식 용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 접이식 용기는 적재 공간확보 및 물류비용 등의 이유로 그 부피를 줄이기 위하여 창안되었다. 즉 접이식 용기는 용기의 본체부를 절첩할 수 있도록 주름을 형성하여 적재시에는 접어서 부피를 작게 하고, 사용시에는 연신시켜 용기로서의 기능을 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와 같은 종래의 접이식 용기로 국내실용신안공개 제85-7046호(내용물이 수장된 일회용 컵)는 컵동체 사이에 자바라가 형성되어 컵동체 내에 내용물이 수장된 밀폐 뚜껑이 구성된 것으로, 이는 컵이 축소되는 범위가 작고, 내측에 별도의 밀폐 뚜껑이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위생 및 기밀성이 떨어지고, 내용물의 충진 후에 밀폐작업이 용이하지 못한 단점이 있다.
국내실용신안공개 제87-9462호(일회용 컵)는 상하 결속이 가능한 상부 받침판과 하부 받침판 사이에 횡주름을 형성하고 내측에 커피 또는 분말쥬스가 수장되도록 구성된 것으로, 이는 밀봉 제작시에 상부 받침판과 하부 받침판의 상하단을 각각 요철(凹凸)로 결합하여 제작의 곤란성과 취급 중에 부주의로 컵이 연신될 수 있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국내실용신안공개 제93-6151호(일회용 컵)는 파지부분과 바닥면 사이에 파형굴곡부를 형성하여 바닥면이 파지부분의 내측으로 융기되도록 구성된 것으로, 밀봉상태에서 내용물을 수용하기가 곤란한 형태이다.
또한, 국내실용신안공개 제98-55626호(컵이 구비된 일회용 커피믹스)는 신축가능한 자바라 형태의 컵 내에 커피믹스를 수용하고, 상부에 저으개를 밀봉한 것으로, 컵의 전체에 걸쳐 자바라 형태이다. 이는 축소된 부피는 최소화될 수 있으나 내용물의 수용범위가 불분명한 문제가 있다.
이와 같은 종래의 일회용 컵의 경우에는 부피를 줄이기 위하여 접이가 가능한 자바라 형태로 구성된 것이 대부분이지만, 밀봉시나 폐기시에 부피의 축소 비율이 작거나 별도의 접합부재 등을 적용한 경우가 있었다.
더욱이 종래의 일회용 컵 등에 형성된 자바라의 형태는 접혀진 상태에서는 펼쳐지려는 탄성력을 갖고, 펼쳐진 상태에서는 접혀지려는 복원력이 작용하게 된다.
따라서, 컵에 액체를 수용하였을 경우에 컵에 형성된 자바라 형태의 불안정성으로 인하여 컵을 파지하고 있거나 세워 두었을 경우에 컵으로부터 액체가 유출될 가능성이 큰 문제가 있었다. 또한, 일회용 컵의 규제가 강화되고 있는 시점에서 일회용으로 한 번 사용한 후에 버려지므로 환경오염에 심각한 문제가 되고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사용자가 수동으로 연신 및 축소할 수 있도록 하고, 밀봉되어 접혀진 상태에서 분말을 함입하고도 최소화된 축소공간을 확보하며, 여러 번 사용할 수 있는 접이식 구조를 갖는 접이식 용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 목적이다.
또한, 본 발명은 용기를 수동으로 연신시킬 때에 받침대의 형상을 손으로 잡기 용이할 뿐만 아니라, 용기가 자립할 수 있는 형태로 형성하고, 용기를 일체형으로 성형이 가능한 형태로 제작하며, 용기에 수용된 액체가 외부로 용이하게 유출되지 않도록 뚜껑을 적용함으로서, 특히 잘 섞여지지 않는 내용물이나 거품이 많이 나는 음료 등을 수용할 수 있는 형태를 갖도록 한 것이다.
본 발명 상기의 목적을 위하여, 접이식 용기에 있어서, 열 가소성 합성수지류로 두께가 0.1∼1.0mm이고, 복수의 산과 골이 형성되어 접거나 펼 수 있는 폴더 형태이며, 산과 골이 이어지는 하단면의 길이가 산과 골이 이어지는 상단면의 길이보다 크거나 작게 구성되고, 상단에서 하단으로 0∼10°의 경사각을 갖는 본체; 상기 본체의 상단에 형성되어 표딱지를 접합하는 링 플레이트; 상기 본체의 하단이 밀폐 처리되고, 본체의 직립과 연신을 위한 받침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접이식 용기를 제공함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로서 접이식 용기의 사시도이고, 도 2는 접이식 용기의 측면도이다.
먼저, 본 발명의 접이식 용기는 자바라 형태의 본체가 자동으로 연신되지 않고, 사용자가 수동으로 연신 및 축소시킬 수 있는 구조 및 형태를 갖는 것으로, 내용물의 수용공간 확보와 축소범위를 최소화시켜 물류비용을 절감한 것이다.
이러한 구조 및 형태를 갖는 본 발명의 접이식 용기로서 본체(30)는 그 재질은 열을 가하여 성형한 뒤에도 다시 열을 가하면 형태를 변형시킬 수 있는 폴리에틸렌(Poliethylene PE), 폴리프로필렌(Polipropylene, PP), 폴리염화비닐수지(Polyvinyl chloride, PVC), 폴리우레탄(Polyurethane),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 폴리스틸렌(Polistylene, PS), 내충격성 폴리스틸렌(High-impact Polistylene, HIPS) 등의 열 가소성 합성수지류로 내열, 내한, 내충격성 및 재활용이 가능한 것이 적용된다. 본체(30)의 두께는 0.1∼1.0mm 이내이고, 바람직하게는 0.2∼0.3mm이다. 본체(30)의 형태는 복수의 산(m)과 골(n)이 형성되어 접거나 펼 수 있는 폴더 형태로서, 산(m)과 골(n)이 이어지는 하단면(t)의 길이가 산(m)과 골(n)이 이어지는 상단면(s)의 길이보다 작게(s>t)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산(m)과 골(n)이 이어지는 하단면(t)의 길이가 산(m)과 골(n)이 이어지는 상단면(s)의 길이보다 크게(s<t) 구성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본체(30)가 자동으로 연신되지 않도록 하는 구조로, 접힘성을 향상시키고, 펼쳤을 때에 복원성을 억제시키고 최소화시키기 때문이다. 즉 상단면과 하단면의 길이가 동일할 경우에는 복원력이 발생하기 때문이다.
그리고 본체(30)는 전체적으로 상광하협(上廣下狹)의 구조로 상단에서 하단으로 0∼10°, 바람직하게는 6°의 경사각을 갖는 것이 좋다. 이는 사용자가 용기를 자연스럽게 파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자립된 상태에서 안정성을 유지할 수 있는 각도이다. 그리고 필요에 따라 상단과 하단 사이가 수직으로 이루어진 형태, 즉 경사각이 0°이어도 좋다.
링 플레이트(20)는 상기 본체(30)의 상단에 형성되어 표딱지 등을 접합하는 부분으로, 링 플레이트(20)는 본체(30)의 폴더구조가 외부의 압력으로부터 찌그러지는 것을 방지하고 본체(30)의 형태를 유지시킬 수 있도록 강성을 가지며, 사용자가 음료를 음용하기 위하여 입을 갖다대는 부분이므로 본체(30)의 두께보다 다소 두껍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받침대(40)는 상기 본체(30)의 하단이 밀폐 처리되고, 본체(30)의 직립과 연신을 위한 부분이다. 받침대(40)는 본체(30)와 연결되는 부분에서 아래쪽으로 넓어지는 구조로 안정된 자립을 위한 형태이다. 받침대(40)는 사용자가 손으로 잡고 용기(10)를 펴거나 압축하기 용이한 구조를 갖는다.
도 3은 본 발명의 접이식 용기가 압축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으로, 본체(30)의 폴더가 접혀져 압축된 상태이다. 도 4a는 받침대(40)의 단면을 나타낸 것으로, 본체(30)와 받침대(40)가 일체로 연결된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4b의 받침대 구조는 받침대(42)의 바닥면이 본체(30)의 내측으로 함몰되어 공간부가 형성된 것을 나타낸 것이다. 이러한 받침대의 구조는 적용범위에 따라 선택적으로 달라질 수 있다.
도 5는 용기(10)의 상단에 구비된 링 플레이트(22)의 외주연을 아래로 절곡시킨 상태를 나타낸 변형된 예로, 절곡되는 각도는 둔각인 것이 바람직하다.
도 6은 용기(10)의 본체(30) 상단과 외주연이 절곡된 링 플레이트(22) 사이에 소정 길이를 갖는 원통형의 실린더(24) 구조를 갖는 변형된 예로, 용기(10) 내에 내용물의 양이 많을 경우에 적용이 가능한 것이다.
도 7은 도 6의 변형된 예로부터 링 플레이트(20)의 상단에 밀폐형 뚜껑(50)이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것으로, 밀폐용 뚜껑(50)은 상단에 잠금식 캡(52)이 적용된 것이다. 접이식 용기에 밀폐식 뚜껑(50)이 적용된 경우는 내용물로서 물에 잘 용해되지 않아 흔들어서 섞어야 하는 것이거나 거품이 많이 나는 것을 경우에 적용되고, 특히 휴대가 가능하도록 한 것이다. 밀폐식 뚜껑(50)은 링 플레이트(20)에 접하여 접합되거나 탈착이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 8은 도 5의 변형된 예로부터 링 플레이트(22)의 상단에 밀폐형 뚜껑(50)이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것으로, 밀폐용 뚜껑(50)은 상단에 개폐식 캡(54)이 적용된 것이다. 밀폐식 뚜껑(50)은 링 플레이트(22)에 접하여 뚜껑(50)의 하단이 링 플레이트(22)에 결합 및 분리가 될 수 있도록 탈착이 가능한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특히 개폐식 캡(54)은 간단하게 캡(54)을 여닫음으로서 음료를 음용할 수 있는 구조로, 휴대가 가능하도록 한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접이식 용기는 내용물의 종류에 따라 일회용 컵으로도 사용할 수 있지만, 휴대용으로 또는 반영구적인 용도로도 사용할 수 있을 것이다.
더욱이 접이식 용기의 본체의 폴더 구조는 수동으로 연신 및 축소시킬 수 있도록 되어있어 자립 상태 및 현재 상태 유지 능력이 뛰어난 것이라 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접이식 용기는 제조를 위한 금형을 통하여 한번에 압착 성형이 가능한 장점도 있다.
상술한 실시예에 의한 본 발명의 접이식 용기는 접었다 펼 수 있는 구조의 본체와, 본체의 상단에 형상을 유지해주는 링 플레이트, 그리고 본체를 지지하는 받침대가 일체로 이루어진 형태로서, 내용물이 수용된 상태에서 포장된 상태에서는 적재 및 운반에 따른 물류비용을 절감할 수 있고, 재활용 또는 쓰레기로 폐기될 때에는 본체의 폴더를 압축하여 축소시키므로 부피를 최소화시킬 수 있으며, 사용시에는 폴더를 연신시켜 용기 또는 컵으로서의 기능을 할 수 있다. 그리고 용기에 내용물이 뜨거운 음료인 경우에는 손에 용기의 접촉면적이 적어 사용상 편리성이 향상된 것이다.
더욱이 뚜껑을 적용한 경우에는 내용물의 혼합을 용이하게 할 뿐만 아니라 휴대용으로 사용이 가능한 효과를 갖는 것인 바, 상술한 실시예에만 한정되지 않고, 당업자가 용이하게 변경 또는 치환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로서 접이식 용기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접이식 용기의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접이식 용기를 압축한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
도 4a 및 도 4b는 접이식 용기의 받침대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
도 5 및 도 6은 접이식 용기의 변형례로서 링 플레이트의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
도 7 및 도 8은 접이식 용기의 다른 실시예로서 밀폐식 뚜껑이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설명 ♣
10: 용기 20, 22: 링 플레이트
30: 본체 40, 42: 받침대
50: 밀폐식 뚜껑 52, 54: 캡

Claims (5)

  1. 접이식 용기에 있어서,
    열 가소성 합성수지류로 두께가 0.1∼1.0mm이고, 복수의 산과 골이 형성되어 접거나 펼 수 있는 폴더 형태이며, 산과 골이 이어지는 하단면의 길이가 산과 골이 이어지는 상단면의 길이보다 크거나 작게 구성되고, 상단에서 하단으로 0∼10°의 경사각을 갖는 본체;
    상기 본체의 상단에 형성되어 표딱지를 접합하는 링 플레이트;
    상기 본체의 하단이 밀폐 처리되고, 본체의 직립과 연신을 위한 받침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용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링 플레이트의 외주가 하단으로 절곡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용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주연부의 상단에 밀폐용 뚜껑이 더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용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뚜껑의 상단에 개폐식 캡 또는 잠금식 캡이 적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용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대의 하부가 본체의 내측으로 함몰된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용기.
KR1020040015414A 2004-03-08 2004-03-08 접이식 용기 KR2005009016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15414A KR20050090169A (ko) 2004-03-08 2004-03-08 접이식 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15414A KR20050090169A (ko) 2004-03-08 2004-03-08 접이식 용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90169A true KR20050090169A (ko) 2005-09-13

Family

ID=372722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15414A KR20050090169A (ko) 2004-03-08 2004-03-08 접이식 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50090169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85490A (ko) 2015-01-08 2016-07-18 강나리 휴대용 접는 컵
KR20190074191A (ko) 2018-08-20 2019-06-27 김동현 높이 조절 부분을 가진 컵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251877U (ko) * 1975-10-13 1977-04-13
JPH0858757A (ja) * 1994-08-18 1996-03-05 Kazuhiro Tamaki ボトル
JPH08230882A (ja) * 1995-02-22 1996-09-10 Suzuyuki Kaneishi 折り畳み式容器
EP0733557A1 (en) * 1994-10-11 1996-09-25 MAZDA, Masayosi Bellows-shape container
JP2003128157A (ja) * 2001-10-17 2003-05-08 Bando Trading Co Ltd 食品用容器および容器入り食品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251877U (ko) * 1975-10-13 1977-04-13
JPH0858757A (ja) * 1994-08-18 1996-03-05 Kazuhiro Tamaki ボトル
EP0733557A1 (en) * 1994-10-11 1996-09-25 MAZDA, Masayosi Bellows-shape container
JPH08230882A (ja) * 1995-02-22 1996-09-10 Suzuyuki Kaneishi 折り畳み式容器
JP2003128157A (ja) * 2001-10-17 2003-05-08 Bando Trading Co Ltd 食品用容器および容器入り食品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85490A (ko) 2015-01-08 2016-07-18 강나리 휴대용 접는 컵
KR20190074191A (ko) 2018-08-20 2019-06-27 김동현 높이 조절 부분을 가진 컵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925055A (en) Container with unitary bladder and associated dispenser cap
US4805799A (en) Container with unitary bladder
CN107949524B (zh) 可重复使用的杯子
US20230159222A1 (en) Collapsible shape-retaining containers
US20050127073A1 (en) Collapsible container
EP1544118B1 (en) Collapsible container
EP0618143B1 (en) Refill container
KR20140022330A (ko) 연질의 접철부가 있는 이종물질 수용장치
KR20050090169A (ko) 접이식 용기
JP3309119B2 (ja) 詰め替え用容器
JP2021008310A (ja) 容器
KR200479110Y1 (ko) 혼합용 뚜껑조립체
TWI298699B (ko)
CN212333422U (zh) 一种粉末包装容器
KR200422328Y1 (ko) 에어배출 누름버튼과 에어공 이중 밀폐구조를 구비한음료용기
CN109823682A (zh) 一种设有固态或液态物料储存结构的瓶盖
CN218369342U (zh) 一种包装瓶
KR20030009023A (ko) 접철가능한 음료수 병
JP3286715B2 (ja) 詰め替え用容器及びその製造方法
JPH10278932A (ja) 液体封入用容器
CN217375363U (zh) 化工产品包装桶
CN216003702U (zh) 瓶盖及具有其的饮料瓶
KR200260219Y1 (ko) 접철가능한 음료수 병
CN111483692A (zh) 一种粉末包装容器
KR200302326Y1 (ko) 즉석음식 포장용 용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