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67549B1 - 휴대가 간편한 포켓 텀블러 - Google Patents

휴대가 간편한 포켓 텀블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67549B1
KR102267549B1 KR1020200145406A KR20200145406A KR102267549B1 KR 102267549 B1 KR102267549 B1 KR 102267549B1 KR 1020200145406 A KR1020200145406 A KR 1020200145406A KR 20200145406 A KR20200145406 A KR 20200145406A KR 102267549 B1 KR102267549 B1 KR 10226754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umbler
tubular body
container
inner container
fold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454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선
Original Assignee
김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선 filed Critical 김선
Priority to KR10202001454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6754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675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67549B1/ko
Priority to PCT/KR2021/015373 priority patent/WO2022097998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7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85/7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edible or potable liquids, semiliquids, or plastic or pasty materi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1/00Nestable, stackable or joinable containers; Containers of variable capacity
    • B65D21/08Containers of variable capacity
    • B65D21/086Collapsible or telescopic conta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7/00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 B65D47/0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 B65D47/20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comprising hand-operated members for controlling discharge
    • B65D47/26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comprising hand-operated members for controlling discharge with slide valves, i.e. valves that open and close a passageway by sliding over a port, e.g. formed with slidable spouts
    • B65D47/261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comprising hand-operated members for controlling discharge with slide valves, i.e. valves that open and close a passageway by sliding over a port, e.g. formed with slidable spouts having a rotational or helicoidal movement
    • B65D47/265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comprising hand-operated members for controlling discharge with slide valves, i.e. valves that open and close a passageway by sliding over a port, e.g. formed with slidable spouts having a rotational or helicoidal movement between planar pa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7/00Packages formed by enclosing articles or materials in preformed containers, e.g. boxes, cartons, sacks or bags
    • B65D77/04Articles or materials enclosed in two or more containers disposed one within another
    • B65D77/048Articles or materials enclosed in two or more containers disposed one within another the inner and outer containers being rigid and the outer container being of curved cross-section, e.g. cylindrical
    • B65D77/0486Articles or materials enclosed in two or more containers disposed one within another the inner and outer containers being rigid and the outer container being of curved cross-section, e.g. cylindrical the inner container being coaxially disposed within the outer contain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etail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용 텀블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상부에 뚜껑이 구비되고 내부용기와 외부용기로 분리된 몸체를 형성한 텀블러를 포함하되,
상기 내부용기는 인체에 무해한 연질 실리콘재로 형성하고, 상기 외부용기는 다단으로 연결되어 길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된 관체형몸체와, 상기 다단으로 연결된 외부용기의 관체형몸체 내면에는 결합수단이 형성되어 접을 수 있도록 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외부용기의 관체형몸체를 접으면 실리콘재로 이루어진 내부용기가 접히면서 길이가 축소되도록 함으로 별도의 보관 주머니에 넣어 보관할 수 있으며, 또는 이동시 휴대한 작은 백이나 호주머니에 넣어 보관할 수 있도록 함으로 여행, 등산, 이동시 휴대가 간편한 포켓 텀블러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휴대가 간편한 포켓 텀블러{Pocket tumbler for easy portability}
본 발명은 휴대용 텀블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텀블러를 다단의 스테인레스 관체형몸체로 이루어진 외부용기와, 비철금속재 또는 합성수지로 이루어진 다단의 관체형몸체 내부에 위치하여 물 등의 내용물을 담을 수 있도록 한 연질의 내부용기를 형성하여 담겨진 내용물을 음용한 후에는 다단으로 이루어진 관체형몸체를 상하로 접으면 동시에 내부의 연질의 내부용기가 함께 접혀 텀블러의 길이를 축소하여 포켓 또는 휴대용가방에 간편하게 보관 및 휴대할 수 있도록 한 휴대가 간편한 포켓 텀블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텀블러는 휴대하면서 물 또는 차를 마실 수 있도록 한 휴대용 음료 보관용기이다.
여행할 때, 등산할 때, 이동할 때 등에 텀블러를 사용하면 어디서나 물 또는 음료를 휴대하여 마실 수 있다는 장점이 있지만 크기가 크기 때문에 휴대가 불편할 때가 많다. 즉 가방을 잘 들고 다니지 않는 남성들이나 크기가 작은 백을 가지고 다니는 여성들은 이러한 크기의 단점으로 인해 텀블러가 필요함에도 불구하고 텀블러를 사용하는 것을 주저하는 경우가 있다.
이 분야의 선행기술을 살펴보면, 공개특허공보 제10-2013-0118814호(공개일자 2013년 10월 30일)의 접을 수 있는 용기(이하 선행기술1 이라 한다)는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의 부분을 포함하여 접을 수 있는 용기이며, 상기 다수의 부분은 견고한 상부 링, 견고한 기부, 상부 링과 기부 사이에 배치되는 하나 이상의 견고한 중간 링 및 기부, 상부 링 및 하나 이상의 중간 링에 원주 방향으로 고정되는 유연한 벽을 포함하고, 상기 접을 수 있는 용기는 상부 링이 기부로부터 상방으로 이격되고 용기 내부를 형성하는 펴진 위치와, 상부 링이 기부의 바깥쪽으로 이격되고 실질적으로 동심의 관계에서 기부를 둘러싸는 접힌 위치 사이에서 조절 가능한 구성이 개시되었다.
또 다른 선행기술로서, 등록특허공보 제10-0896825호(등록일자 2009년 04월 30일)의 접을 수 있는 용기(이하 선행기술2 라 한다)는 서로 각도를 이루며 각각 수직선에 대한 각도를 이루며 연장하는 복수의 접는 부분과, 인접하는 접는 부분들 사이에 위치하며 펴진 용기의 제1 개방 위치와 접혀진 용기에서 서로 포개어지는 제2 위치 사이에서 상기 접는 부분들을 유연하게 이동시키는 굴곡 부분들을 포함하는 구성이 개시되었다.
상기 선행기술1과 2는 접을 수 있는 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선행기술1은 용기의 몸체에 다수의 중간 링을 설치하고, 중간 링과 중간 링 사이에 주름을 갖는 벽부분이 형성되어 필요시 하단부를 상부로 밀어서 접을 수 있도록 한 구성이며,
선행기술2는 용기의 벽부분에 다수의 접는 벽이 형성되어 상하부를 누르면 용기가 접힐 수 있도록 된 구성임을 알 수 있다.
상기 선행기술1과 2는 용기의 몸체를 접어 부피와 길이를 축소시킬 수 있는 것이나 음료를 보관시 용기의 몸체가 내구성이 없어 휴대하는 텀블러에는 적합하지 않은 문제점이 있다.
즉, 텀블러는 물, 커피, 차, 미숫가루 등을 담아 휴대하면서 수시로 음용할 수 있어야 하나 선행기술 1은 음식물이 있는 상태에서는 중간 링과 중간 링 사이에 형성된 벽부분의 주름에 의해 변형이 발생되어 휴대용 텀블러로 사용하기에는 적합 하지 않은 문제점이 있으며, 선행기술 2는 용기 몸체에 접는 벽이 형성되어 이 역시 변형이 발생될 수 있는 문제점으로 인하여 내구성이 떨어져 휴대하면서 수시로 음용해야 하는 텀블러로는 적합하지 않은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3-0118814호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896825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텀블러를 내부용기와 외부용기로 분리하여 형성하되 내부용기는 실리콘과 같은 연질소재를 사용하고, 외부용기는 다단으로 접힐 수 있도록 스테인레스 또는 합성수지 소재로 형성하여 사용자가 내용물이 있는 상태에서는 내구성을 갖고, 내용물이 없는 상태에서는 다단으로 접을 수 있도록 하여 언제 어디서나 휴대가 간편하도록 한 텀블러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상부에 뚜껑이 구비되고 내부용기와 외부용기로 몸체를 형성한 텀블러를 포함하되,
상기 내부용기는 인체에 무해한 연질소재로 형성하고, 상기 외부용기는 다단으로 연결되어 길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된 관체형몸체와;
상기 다단으로 연결된 외부용기의 관체형몸체 내면에는 결합수단이 형성되어 접을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외부용기를 형성하는 다단의 관체형몸체는 스테인레스 또는 합성수지로 이루어지고 내면의 결합수단이 스크류로 이루어지며 스크류 상하단에는 스톱퍼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외부용기를 형성하는 다수의 관체형몸체는 내면 양측에 가이드홈이 형성되어 다단의 관체형몸체를 접을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내부용기는 실리콘재로 이루어지며 다단의 관체형몸체를 접을 때 원활하게 접히도록 몸체에 접힘홈이 원주면을 따라 가로세로 다수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외부용기를 형성하는 관체형몸체는 최상단에 위치하는 관체형몸체 내부에 하단의 관체형몸체와 내부용기가 인입되어 접히도록 수납가이드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뚜껑은 상판과 하판으로 이루어지며 하판에는 직경이 다른 2개의 입구를 형성하고 상판에는 하판에 형성된 2개의 입구 직경보다 더 큰 직경을 갖는 입구를 형성하여 축손잡이를 이용하여 하판에 형성된 입구를 선택적으로 개폐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외부용기를 형성하는 관체형몸체는 최하단에 위치하는 관체형몸체 하단내면에 형성된 끼움홈에 돌림축을 갖는 내부용기 하부테두리가 끼워져 내부용기가 접힐 때 꼬이는 것을 돌림축을 돌려 풀어줄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된 본 발명은 내용물을 음용한 후에는 다단으로 이루어진 스테인레스의 관체형몸체를 접으면 동시에 내부의 실리콘재 내부용기가 함께 접혀 텀블러의 길이를 축소함으로서 포켓(별도 주머니) 또는 휴대용가방에 보관할 수 있도록 한 휴대가 간편한 포켓 텀블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텀블러는 외부용기를 다단으로 이루어진 관체형몸체로 형성하고 내부용기는 분리결합되도록 하여 파손시 교체할 수 있도록 하는 동시에 세척시 뒤집어서 닦을 수 있도록 인체에 무해한 연질소재의 실리콘재 등으로 이루어진 것으로, 외부용기의 관체형몸체를 접으면 연질재로 이루어진 내부용기가 접히면서 길이가 축소되도록 함으로 별도의 보관 주머니에 넣어 보관할 수 있으며, 또는 이동시 휴대한 작은 백에 넣어 보관할 수 있도록 함으로 여행, 등산, 이동시 텀블러의 사용을 간편하고 자유롭게 할 수 있도록 한 휴대가 간편한 포켓 텀블러에 관한 것이다.
도1은 종래의 접을 수 있는 용기에 있어서 몸체를 펼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2는 종래의 또다른 접을 수 있는 용기에 있어서 몸체를 펼쳐 사용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3은 본 발명의 텀블러 분해사시도.
도4는 본 발명에 따른 텀블러가 다단으로 이루어진 외부용기의 최상단 첫번째 관체형몸체를 나타낸 사시도.
도5는 본 발명의 텀블러 외형을 색채로 나타낸 예시도.
도6은 본 발명의 텀블러 내부구조를 나타낸 예시도.
도7은 본 발명의 텀블러를 접었을 때를 나타낸 외형도.
도8은 본 발명에 따른 텀블러를 사용할 때 전체 길이를 결합한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
도9는 본 발명의 연질소재로 이루어진 내부용기를 나타낸 단면도.
도10은 본 발명의 텀블러를 보관할 수 있도록 접은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11은 본 발명에 따른 내부용기의 돌림축과 하부테두리를 나타낸 저면 사시도.
도12는 본 발명에 따른 텀블러의 외부용기가 접힐 때 내부용기가 함께 접힐 수 있도록 다수의 접힘홈을 형성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1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로서 텀블러 외부용기의 관체형몸체 내면에 가이드홈이 형성하여 상하로 접을 수 있도록 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14는 본 발명에 따른 텀블러의 최상단 첫번째 관체형몸체 내부에 소정의 공간을 갖는 수납가이드를 형성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이하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3은 본 발명의 텀블러 분해사시도이고, 도4는 본 발명에 따른 텀블러가 다단으로 이루어진 외부용기의 관체형몸체를 나타낸 사시도로서, 상부에 뚜껑(30)이 구비되고 내부용기(20)와 외부용기(11)로 몸체를 형성한 텀블러(10)를 구성한다.
상기 내부용기(20)는 인체에 무해한 연질 실리콘재로 형성하고, 상기 외부용기(11)는 다단으로 이루어져 길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다단으로 연결된 관체형몸체(12)를 형성한다.
상기 다단으로 연결된 관체형몸체(12) 내면에는 결합수단(13)이 형성되어 텀블러(10)의 길이를 접었다 늘렸다 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외부용기(11)를 이루는 다단의 관체형몸체(12)는 두께가 얇은 스테인레스 또는 합성수지로 이루어지고 내면의 결합수단(13)이 스크류로 이루어지며 스크류 상하단에는 스톱퍼(14)가 형성된다.
상기 텀블러(10)의 외부용기(11)를 형성하는 관체형몸체(12)는 다단으로 이루어지되, 뚜껑(30)과 결합되는 최상단의 관체형몸체(12) 하단부에 연속적으로 연결되는 관체형몸체(12)는 하부로 내려갈수록 내경이 작게 형성되어 텀블러(10)를 접을 때 최하단에 위치한 관체형몸체(12)가 상단에 연결된 관체형몸체(12) 내부로 각각 순차적으로 끼워지도록하여 접을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상기 텀블러(10)를 사용 후 접을 때는 최하단에 위치한 관체형몸체(12)를 회전시키면 가이드돌기(16)가 내면의 결합수단(13)에 결합된 상태에서 볼트 너트 결합방식으로 상부로 이동되어 하단에 위치한 관체형몸체(12)가 상부에 연결된 관체형몸체(12) 내부로 인입된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각각의 관체형몸체(12)를 회전시켜 최상단에 위치한 관체형몸체(12) 내부에 인입시켜 외부용기(11)를 접을 수 있게 된다.
상기 텀블러(10) 외부용기(11)의 관체형몸체(12) 내면에 형성된 결합수단(13)은 스크류로 이루어지고, 각 하단에 위치한 관체형몸체(12)의 외면 가이드돌기(16)가 스크류를 따라 상부로 이동되면서 하부에 위치한 관체형몸체(12)가 상부에 위치한 관체형몸체(12)의 내부로 끼워지게 된다.
이때 관체형몸체(12)의 내면에 형성된 스크류 선단부와 하단부에는 스톱퍼(14)가 형성되어 선단부의 스톱퍼(14)는 텀블러(10)를 접었을 때 더이상 상승되는 것을 방지하게 되고 스크류 하단부의 스톱퍼(14)는 텀블러(10)를 원상복귀시키기 위하여 늘렸을 때 더이상 하강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또한 내부용기(20)는 연질소재의 실리콘재 등으로 이루어지며, 외부용기(11)와 내부용기(20)는 분리결합되는 구조로 이루어지며 내부용기(20)는 변형시 교체할 수도 있고, 분리하여 뒤집어서 세척할 수 있다.
상기 뚜껑(30)과 결합되는 최상단 관체형몸체(12)의 상단 외면에는 복수의 끼움돌기(15)가 형성되고, 내부용기(20) 상단 상부테두리(21') 외주면에는 끼움구멍(23)이 형성되어 외부용기(11)와 내부용기(20)를 결합시 내부용기(20)의 상단 끼움구멍(23)이 외부용기(11)의 최상단 관체형몸체(12) 상단 외주면에 형성된 끼움돌기(15)에 끼워져 결합된다.
상기 내부용기(20)와 다단으로 이루어진 외부용기(11)가 결합된 상단에는 뚜껑(30)이 설치되어, 상기 뚜껑(30)은 상판(31)과 하판(32)이 중첩된 구조로 이루어지고, 상기 하판(32) 일측면에는 서로 다른 크기를 갖는 음용입구(30-1)(30-2)가 2개 형성되고 그 상면에 위치한 상판(31) 일측에는 하판(32)에 형성된 2개의 음용구(30-1)(30-2) 직경보다 더 큰 직경을 갖는 음용입구(30-3)가 형성되어 하판(32)에 형성된 2개의 음용입구(30-1)(30-2) 중 하나의 음용입구와 일치되도록 개구하거나 폐쇄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뚜껑(30)의 상판(31)과 하판(32)은 중앙부에서 축상결합구구멍(26)에 결합되고 축 상단과 연결된 상판(31)의 상면에는 축손잡이(33)가 형성되어 상판(31)을 회전시켜 음용입구를 개폐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텀블러(10)는 뚜껑(30)의 하판(31)에 2개의 음용입구(30-1)(30-2)를 형성하되 음용입구 중 하나는 빨대를 끼워 음료를 마실 수 있도록 작은 구멍의 음용입구(30-2)로 형성하고 다른 하나는 입을 대고 직접 마실 수 있도록 큰 구멍의 음용입구(30-1)로 형성된다.
도5는 본 발명의 텀블러 외형을 나타낸 예시도이고, 도6은 본 발명의 텀블러 내부구조를 나타낸 예시도이며, 도7은 본 발명의 텀블러를 접었을 때를 나타낸 외형도를 나타낸 것으로서, 상기 도5 내지 도7은 본 발명의 텀블러의 이해를 돕기 위해 색채로 관체형몸체를 구별하여 도시한 것이다.
상기 도5는 본 발명의 텀블로(10)로서 상부에 뚜껑(30)이 형성되고 그 하단에 외부용기(11)를 구성하는 관체형몸체(12)가 다단으로 연결된 것을 나타낸 것이다.
상기 다단으로 이루어진 외부용기(11)는 최하단의 관체형몸체(12)에서 상부에 위치한 관체형몸체(12)로 순차적으로 회전시켜 텀블러(10)를 접을 수 있게 된다.
상기 도6은 본 발명의 텀블러 내부구조를 예시한 것으로서 상부에 뚜껑(30)이 위치하고 그 하부에는 용기의 몸체를 이루는 스테인레스재의 외부용기(11)와 실리콘재의 내부용기(20)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서는 편의상 외부용기(11)를 스테인레스재로 하고 내부용기(20)는 실리콘재로 설명하고 있으나, 외부용기(11)와 내부용기(20)는 식품위생법에 문제가 되지 않는 재질이면 어느 재질이나 관계없는 것으로 어느 하나의 재질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도7은 본 발명의 텀블러를 사용한 후 포켓 또는 휴대용 백에 보관하기 위해 접은 상태의 외형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도8은 본 발명에 따른 텀블러를 사용할 때 전체 길이를 결합한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9는 본 발명의 연질소재로 이루어진 내부용기를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10은 본 발명의 텀블러를 보관할 수 있도록 접은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의 텀블러(10)는 뚜껑(30)과, 스테인레스재의 외부몸체(11)와 실리콘재의 내부용기(20)로 이루어지며 사용시에는 도8과 같이 외부용기(11)를 구성하는 각각의 관체형몸체(12) 외면에 형성된 가이드돌기(16)가 상부에 위치하는 관체형몸체(12)의 내면에 형성된 결합수단(13)의 하단에 형성된 스톱퍼(14) 위치에 결합되어 텀블러(10)는 전체적으로 음료를 담을 수 있는 용기를 형성한다.
상기 텀블러(10)의 내부용기(20)는 인체에 무해하고 온도에 변화가 없는 실리콘재를 사용하여 형성한 것으로 도9와 같은 형상을 갖는다.
상기 내부용기(20)는 상단에 절곡부로 형성된 상부테두리(21')가 외부용기(11)와 결합시 최상단에 위치한 관체형몸체(12)의 상단 테두리를 감싼 형태로 끼움돌기(15)와 끼움구멍(23)이 결합된다.
또한 상기 내부용기(20)는 하단 바닥부 외주면에 플랜지와 같은 하부테두리(21)를 형성하여 외부용기(11) 최하단에 위치하는 관체형몸체(12)의 단부 내면에 형성된 하부테두리끼움홈(17)에 끼워져 결합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내부용기(20)의 하단 바닥부 외주면에 형성된 하부테두리(21) 내측 바닥면에는 보강패널(22)이 설치되어 음료를 담았을 때 내부용기(20)의 바닥면이 저부로 처지는 것을 방지한다.
이와 같이된 본 발명은 텀블러(10)를 세척시 뚜껑(30)을 개방한 후 최하단에 위치한 관체형몸체(12)의 하단내측 하부테두리끼움홈(17)에 내부용기(20)의 하부테두리(21)를 이탈시킨 후 최상단에 위치한 관체형몸체(12)의 상단 테두리를 감싸고 있는 상부테두리(21')를 벗겨 내면 외부용기(11)와 내부용기(20)를 간단 용이하게 세척할 수 있다.
또한 세척 후 결합시에는 내부용기(20)의 하부테두리(21)를 외부용기(11)의 최하단에 위치한 관체형몸체(12)의 하단내측 하부테두리끼움홈(17)에 끼운후 상단부는 외부용기(11)의 최상단에 위치한 관체형몸체(12) 상단부의 돌출부분에 상부테두리(21')를 감싸도록 씌우면 내부용기(20)와 외부용기(11)를 결합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내부용기(20)는 연질형태의 실리콘재로 이루어져 관체형몸체(12) 하단 내측 하부테두리끼움홈(17)과 상단 상부테두리(21')에 씌울 때 어려움 없이 용이하게 결합할 수 있다.
이때 내부용기(20)의 하단 플랜지형태의 하부테두리(21) 내측 바닥에는 보강패널(22)이 설치되어 있어 내용물을 담았을 때 처지거나 플랜지 형태의 하부테두리(21)가 관체형몸체(12) 하단 내측의 하부테두리끼움홈(17)에서 분리되지 않게 된다.
또한 내부용기(20)의 상부테두리(21')는 최상단부에 위치한 관체형몸체(12)의 상단테두리를 감싼 형태로 결합됨으로 뚜껑(30)을 결합시 수밀패킹역할을 한다.
본 발명의 도10은 텀블러 내부의 음료를 다 마신 후 텀블러를 보관할 수 있도록 접은 상태를 나타낸 것으로서 실리콘재의 내부용기(20)는 최하단부에 위치한 외부용기(11)의 관체형몸체(12)를 상부로 순차적으로 접으면 내부용기(20)는 접히면서 도10과 같이 이루어진다.
상기 도10과 같이 텀블러(10)가 접히면 사용자는 텀블러(10)를 별도의 주머니에 넣어 보관하거나 휴대용 백에 넣어 간편하게 보관 및 휴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외부용기(11)를 다단으로 형성하여 접을 수 있도록 함으로 여성 등이 작은 백을 가지고 다닌다 하더라도 휴대보관이 간편 용이하게 보관할 수 있으며, 특히 남성의 경우 텀블러(10)를 접어 호주머니 등에 간단하게 휴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11은 본 발명에 따른 내부용기의 돌림축과 하부테두리를 나타낸 저면 사시도로서, 본 발명의 텀블러를 접을 때 외부용기의 관체형몸체(12)를 내부에 형성된 결합수단(13)을 이용하여 회전시키면서 접게되면 내부용기(20)는 부드러운 연질로 이루어져 순차적으로 접힐 수도 있지만 꽈배기와 같이 꼬이면서 접힐 경우 이를 방지하기 위해 내부용기(20) 저면에 형성된 돌림축(24)를 꼬여진 반대방향으로 돌리면서 접으면 내부용기(20)가 비틀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즉 내부용기(20)의 하단 하부테두리(21)는 플랜지와 같이 외주면으로 돌출된 형상으로 이루어져 외부용기(11)의 최하단 관체형몸체(12)의 내주면 형성된 하부테두리끼움홈(16)에 끼워져 임으로 회전되도록 하면 사용자가 텀블러를 접을 때 내부용기가 꼬이면 돌림축(24)를 잡고 꼬여진 반대방향으로 돌리면 풀어진다.
도12는 본 발명에 따른 텀블러의 외부용기가 접힐 때 내부용기가 함께 접힐 수 있도록 다수의 접힘홈을 형성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로서, 텀블러(10)의 내부용기(20)는 부드러운 연질재질의 실리콘재로 이루어져 외부용기(11)의 관체형몸체(12)를 하단에서부터 회전시켜 접으면 각각 관체형몸체(12)는 최상단 한개의 관체형몸체(12) 내에 모두 접히게 된다. 이때 내부용기(20)의 접힘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외부용기(11)의 관체형몸체(12)와 관체형몸체(12)가 연결되는 위치의 내부용기(20) 외주면에 다수의 접힘홈(25)을 형성한 것이다.
상기 접힘홈(25)은 반홈, 브이홈, 반사각홈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접힘홈(25)은 내부용기 외주면에 가로, 세로, 나선형으로 형성되어 외부용기를 접을 때 내부용기의 접힘이 용이하도록 한 것이다.
도1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로서 텀블러 외부용기의 관체형몸체 내면에 가이드홈이 형성하여 상하로 접을 수 있도록 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로서, 상기 도3 내지 도8에서 다단으로 이루어진 관체형몸체(12) 내면에 스크류 형태의 결합수단(13)을 형성하여 관체형몸체(12)와 관체형몸체(12)를 나사결합 방식으로 접을 수 있도록 한 것이나, 도13에서는 다단으로 이루어지는 관체형몸체(12) 내면 양측 수직선상에 가이드홈(40)을 형성하여 하단에 위치한 관체형몸체(12) 외면의 가이드돌기(15)가 상부에 위치한 관체형몸체(12) 내면에 형성된 가이드홈(40)에 끼워져 승하강되면서 접거나 길이를 늘릴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본 발명의 관체형몸체(12) 내면에 형성된 결합수단(13)과, 하단에 위치한 관체형몸체(12)의 외면에 형성된 가이드돌기(16)의 결합은 제작시 결합시켜 임의로 외부용기(11)의 관체형몸체(12)와 관체형몸체(12)를 분리할 수 없도록 한다.
도14는 본 발명에 따른 텀블러의 최상단 첫 번째 관체형몸체 내부에 소정의 공간을 갖는 수납가이드를 형성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로서, 본 발명의 텀블러를 접을때 별도의 내부용기 끼임 방지 수납가이드(50)를 형성하여 하단의 관체형몸체(12)와 내부용기(20)가 순차적으로 접히면서 들어갈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상기 내부용기 끼임 방지 수납가이드(50)는 소정의 공간부를 형성하여 두께가 얇게 형성된 관체형몸체(12)와 내부용기(20)가 용이하게 인입되도록 한다.
이와 같이된 본 발명은 제작시 외부용기(11)를 구성하는 관체형몸체(12)의 높이에 따라서 접었을 때 뚜껑포함 5㎝∼10㎝의 크기로 접을 수 있으며, 길이를 신장시켰을 경우 20㎝∼30㎝의 길이로 제작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외부용기(11)를 다단의 스테인레스재로 이루어진 관체형몸체(12)로 형성하고 내부용기(20)는 실리콘재로 형성함으로 사용시 내부용기가 오염이나 변형이 생기면 내부용기(20)만을 분리하여 세척하거나 교체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 위생적인 동시에 경제적인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뚜껑(30)은 플라스틱재이고 외부용기(11)는 비철금속재로 이루어진 스테인레스 등의 재질을 사용함으로 폐기시 외부용기(11)와 내부용기(20)를 분리 배출함으로 재활용이 가능하고 환경오염을 방지하는 친환경적인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텀블러는 스테인레스와 실리콘재를 이용함으로 내한성과 내열성, 내화학성을 가지므로 내부용기에 담겨지는 내용물을 안전하게 보관 및 음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10:텀블러 11:외부용기
12:관체형몸체 13:결합수단
14:스톱퍼 15:끼움돌기
16:가이드돌기 17:하부테두리끼움홈
20:내부용기
21:하부테두리 21':상부테두리
22:보강패널 23:끼움구멍
24:돌림축 25:접힘홈
26:축상결합구멍
30:뚜껑
30-1, 30-2, 30-3:음용입구 31:상판
32:하판 33:축손잡이
40:가이드홈 50:수납가이드

Claims (8)

  1. 상부에 뚜껑이 구비되고 내부용기와 외부용기로 몸체를 형성한 텀블러를 포함하되,
    상기 내부용기는 인체에 무해한 연질 실리콘재로 형성하고, 상기 외부용기는 다단으로 연결되어 길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된 관체형몸체와;
    상기 다단으로 연결된 외부용기의 관체형몸체 내면에는 결합수단이 형성되어 접을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가 간편한 포켓 텀블러에 있어서,
    상기 외부용기를 형성하는 다단의 관체형몸체는 스테인레스 또는 합성수지로 이루어지고 내면의 결합수단이 스크류로 이루어지며 스크류 상하단에는 스톱퍼가 형성되고 외면 가이드돌기가 스크류를 따라 이동하며,
    상기 외부용기를 형성하는 관체형몸체는 최상단에 위치하는 관체형몸체 내부에 하단의 관체형몸체와 내부용기가 인입되어 접히도록 수납가이드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가 간편한 포켓 텀블러.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용기는 실리콘재로 이루어지며 다단의 관체형몸체를 접을 때 원활하게 접히도록 몸체 외주면에 접힘홈이 원주면을 따라 가로, 세로, 나선형으로 다수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가 간편한 포켓 텀블러.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뚜껑은 상판과 하판으로 이루어지며 하판에는 직경이 다른 2개의 음용입구를 형성하고 상판에는 하판에 형성된 2개의 음용입구 직경보다 더 큰 직경을 갖는 음용입구를 형성하여 축손잡이를 이용하여 하판에 형성된 입구를 선택적으로 개폐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가 간편한 포켓 텀블러.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텀블러를 형성하는 내부용기와 외부용기는 실리콘재의 내부용기 상부테두리가 외부용기의 최상부에 위치한 관체형몸체 상단부를 절곡 감싸도록 결합하고, 최하단부에 위치한 관체형몸체의 하단 내측 하부테두리끼움홈에 내부용기 하부테두리가 결합되도록 하여 세척 및 교환시 분리결합 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가 간편한 포켓 텀블러.
  7. 삭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용기를 형성하는 관체형몸체는 최하단에 위치하는 관체형몸체 하단내면에 형성된 하부테두리끼움홈에 돌림축를 갖는 내부용기 하부테두리가 끼워져 내부용기가 접힐 때 꼬이는 것을 돌림축를 돌려 풀어줄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가 간편한 포켓 텀블러.
KR1020200145406A 2020-11-03 2020-11-03 휴대가 간편한 포켓 텀블러 KR102267549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45406A KR102267549B1 (ko) 2020-11-03 2020-11-03 휴대가 간편한 포켓 텀블러
PCT/KR2021/015373 WO2022097998A1 (ko) 2020-11-03 2021-10-29 휴대가 간편한 포켓 텀블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45406A KR102267549B1 (ko) 2020-11-03 2020-11-03 휴대가 간편한 포켓 텀블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67549B1 true KR102267549B1 (ko) 2021-06-21

Family

ID=765997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45406A KR102267549B1 (ko) 2020-11-03 2020-11-03 휴대가 간편한 포켓 텀블러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267549B1 (ko)
WO (1) WO2022097998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097998A1 (ko) * 2020-11-03 2022-05-12 김선 휴대가 간편한 포켓 텀블러
KR20240063382A (ko) 2022-11-03 2024-05-10 이정미 손잡이로 개폐되는 텀블러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342950A (ja) * 1998-05-28 1999-12-14 Inaba Denki Sangyo Co Ltd プラスチックボトル
KR200257563Y1 (ko) * 1999-05-11 2001-12-24 한영희 휴대용 용기
US20080142519A1 (en) * 2006-12-18 2008-06-19 Bob Chou Rotating type cup lid
KR100896825B1 (ko) 2003-12-16 2009-05-12 다아트 인더스트리즈 인코포레이팃드 접을 수 있는 용기
WO2013117748A1 (de) * 2012-02-09 2013-08-15 Leifheit Ag Faltbarer behälter mit abnehmbarem deckel
KR20130118814A (ko) 2012-04-20 2013-10-30 다아트 인더스트리즈 인코포레이팃드 접을 수 있는 용기
US20150014273A1 (en) * 2011-09-12 2015-01-15 Efrain Otero Bottle with retcheting base and inner bladder
KR20150074605A (ko) * 2013-12-24 2015-07-02 순천향대학교 산학협력단 접이식 텀블러
US20150291309A1 (en) * 2010-04-12 2015-10-15 Rob Roy McGregor Collapsible container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67549B1 (ko) * 2020-11-03 2021-06-21 김선 휴대가 간편한 포켓 텀블러

Patent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342950A (ja) * 1998-05-28 1999-12-14 Inaba Denki Sangyo Co Ltd プラスチックボトル
KR200257563Y1 (ko) * 1999-05-11 2001-12-24 한영희 휴대용 용기
KR100896825B1 (ko) 2003-12-16 2009-05-12 다아트 인더스트리즈 인코포레이팃드 접을 수 있는 용기
US20080142519A1 (en) * 2006-12-18 2008-06-19 Bob Chou Rotating type cup lid
US20150291309A1 (en) * 2010-04-12 2015-10-15 Rob Roy McGregor Collapsible container
US20150014273A1 (en) * 2011-09-12 2015-01-15 Efrain Otero Bottle with retcheting base and inner bladder
WO2013117748A1 (de) * 2012-02-09 2013-08-15 Leifheit Ag Faltbarer behälter mit abnehmbarem deckel
KR20130118814A (ko) 2012-04-20 2013-10-30 다아트 인더스트리즈 인코포레이팃드 접을 수 있는 용기
KR20150074605A (ko) * 2013-12-24 2015-07-02 순천향대학교 산학협력단 접이식 텀블러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097998A1 (ko) * 2020-11-03 2022-05-12 김선 휴대가 간편한 포켓 텀블러
KR20240063382A (ko) 2022-11-03 2024-05-10 이정미 손잡이로 개폐되는 텀블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2097998A1 (ko) 2022-05-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560257B2 (en) Collapsible shape-retaining containers
KR102267549B1 (ko) 휴대가 간편한 포켓 텀블러
US20160309930A1 (en) Expandable drinking cup assembly with lid and straw
US11026527B2 (en) Collapsible cup
US20130075393A1 (en) Collapsible bottle
US10196169B2 (en) Collapsible household containers
ES2297329T3 (es) Recipiente plegable.
US9044082B2 (en) Collapsible container
TWI339178B (en) Collapsible container
US10556724B2 (en) Container
KR102184934B1 (ko) 휴대용 텀블러
US3774804A (en) Straw-forming structure for a beverage container
KR101601725B1 (ko) 휴대용 주름 용기
CN106800133B (zh) 一种转动打开的盖子
US7661525B1 (en) Collapsible pill cup with timer
KR20190060088A (ko) 위생용 뚜껑
KR20130060836A (ko) 음료수 용기에 꽂아서 사용하도록 하기 위한 빨대기구
KR101056025B1 (ko) 내장컵을 결합한 병뚜껑
WO2003013977A1 (en) Drink can lid with straw folded therein
TWM573609U (zh) Container with straw function
US20240092535A1 (en) Beverage container with a straw storage compartment
US11889914B2 (en) Collapsible container
KR101068274B1 (ko) 내장컵을 결합한 병뚜껑을 가진 병
KR200429845Y1 (ko) 병 따개가 내설된 휴대용 컵 보관 용기
KR200286566Y1 (ko) 투시부가 형성된 2중 구조를 가지는 병뚜껑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