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56025B1 - 내장컵을 결합한 병뚜껑 - Google Patents

내장컵을 결합한 병뚜껑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56025B1
KR101056025B1 KR1020080135618A KR20080135618A KR101056025B1 KR 101056025 B1 KR101056025 B1 KR 101056025B1 KR 1020080135618 A KR1020080135618 A KR 1020080135618A KR 20080135618 A KR20080135618 A KR 20080135618A KR 101056025 B1 KR101056025 B1 KR 10105602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ttle cap
cup
bottle
cylindrical member
cylindric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356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77619A (ko
Inventor
박찬정
현정석
강정훈
김민주
박지영
홍연재
Original Assignee
제주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제주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제주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0801356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56025B1/ko
Publication of KR201000776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7761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560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5602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1/00Caps, e.g. crown caps or crown seals, i.e. members having parts arranged for engagement with the external periphery of a neck or wall defining a pouring opening or discharge aperture; Protective cap-like covers for closure members, e.g. decorative covers of metal foil or paper
    • B65D41/02Caps or cap-like covers without lines of weakness, tearing strips, tags, or like opening or removal devices
    • B65D41/26Caps or cap-like covers serving as, or incorporating, drinking or measuring vess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1/00Nestable, stackable or joinable containers; Containers of variable capacity
    • B65D21/08Containers of variable capacity
    • B65D21/086Collapsible or telescopic contain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내장컵을 결합한 병뚜껑에 관한 것으로, 병의 상부 둘레에 형성된 나사상의 병입구와 결합될 수 있도록 나사부를 형성하고 외부에서 회전시켜 개폐할 수 있도록 된 병마개부, 상기 병마개부 내부에 내장되는 적어도 2개 이상의 경사진 원통부재들로서, 상기 병마개부가 상기 병의 상부 둘레에서 분리될 때 병마개부로부터 여러 단으로 확장되어 컵 모양으로 형성되는 포개진 컵형성부재, 및 상기 컵형성부재에서 가장 큰 직경을 가지는 원통부재의 외벽을 감싸는 동시에 상기 병마개부의 내주면에 밀착하도록 상기 병마개부에 결합되어 상기 경사진 원통부재들이 흘러내리지 않도록 방지하는 지지 포스트를 구비하는 지지부재를 포함하며, 병뚜껑을 개방한 후에는 상기 병뚜껑 안에 내장된 컵을 확장하여 용이하게 사용하고 다시 보관하는 경우에는 포개진 형태로 컵을 병뚜껑 내부로 수납하여 내장할 수 있다.
내장컵, 지지부재, 원통부재, 돌출부, 요홈부, 병뚜껑

Description

내장컵을 결합한 병뚜껑{Bottle cap combined with nested cups}
본 발명은 내장컵을 결합한 병뚜껑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다수개의 컵부재를 내장하고 고정하여 병마개를 형성하고 상기 내장된 다수개의 컵부재를 바깥쪽으로 인출하여 컵으로 사용할 수 있는 내장컵을 결합한 병뚜껑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컵이란 액체를 담아서 보관하면서 용이하게 복용 또는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용기로서 대개는 실내에서 사용하기 적합하도록 만들어지는 것이지만, 문명의 발달과 더불어 편리한 사용을 위하여 경량의 컵으로서 들고 다니기 편리한 구조의 컵들인 종이 또는 수지제의 컵이 등장하면서 실외에서의 사용도 점점 증가하고 있다.
그런데, 술, 음료수나 코프시럽과 같이 한꺼번에 모두 마시기 어려운 음료나 액상시럽은 작은 컵이 필요하다.
음료수 등을 마시기 위해 일회용 종이컵을 별도로 제공받아야 하고 코프시럽은 구매를 할 때 플라스틱 컵을 별도로 받아야 한다.
그러나, 병의 보관이나 사용의 편이성, 이동성을 위해서는 병을 컵과 함께 가지고 다니기에는 불편하다.
특히, 등산 또는 낚시등 야외로 외출을 나갈 경우에는 술병 또는 음료수병과 함께 내용물을 따라 마실 수 있도록 별도의 컵을 준비하게 되는 데, 이때 사용되는 컵으로 주로 유리 또는 플라스틱컵 및 일회용 종이컵 등이 많이 사용된다.
그러나, 유리컵의 경우에는 휴대하여야 할 물건의 부피 및 무게를 증가시키게 되므로 휴대가 불편하게 되고, 종이컵은 무게에는 크게 영향을 미치지 않으나 부피 증가의 원인이 되고, 특히, 휴대시 찌그러짐이 발생하여 보관이 용이하지 않으며, 일회용품의 낭비는 별도의 비용이 소요될 뿐만 아니라, 폐기시 쓰레기가 과다하게 배출되는 문제를 갖고 있는 것이다.
또한, 기존의 커피를 담는 일회용 컵의 경우 커피를 마시기 위해 뚜껑을 완전히 개방하여 음용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으며 때로는 뚜껑 개폐시에 내용물이 쏟아지거나 흘러내리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이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 병뚜껑 안에 포개진 형태의 컵이 내장되고, 상기 포개진 형태의 컵이 펴지지 않도록 저지하는 기둥 또는 받침대가 병뚜껑에 형성되어 병뚜껑을 개방하기 전에는 병뚜껑으로서 보관을 용이하게 하고, 병뚜껑을 개방한 후에는 상기 병뚜껑 안에 내장된 컵을 확장하여 용이하게 사용하고 다시 보관하는 경우에는 포개진 형태로 컵을 병뚜껑 내부로 수납하여 내장시킬 수 있도록 한 내장컵을 결합한 병뚜껑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병뚜껑 안에 포개진 형태의 컵이 내장되었다가 접철된 컵이 확장됨에 따라서 컵의 내용물에 대한 용량 확인을 위해 확장되어 높이가 가변되는 컵의 내벽에 눈금이 형성된 내장컵을 결합한 병뚜껑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내장컵을 결합한 병뚜껑은, 병의 상부 둘레에 결합하는 병뚜껑에 있어서, 상기 병의 상부 둘레에 형성된 나사상의 병입구와 결합될 수 있도록 나사부를 형성하고 외부에서 회전시켜 개폐할 수 있도록 된 병마개부, 상기 병마개부 내부에 내장되는 적어도 2개 이상의 경사진 원통부재들로서, 상기 병마개부가 상기 병의 상부 둘레에서 분리될 때 병마개부로부터 여러 단으로 확장되어 컵 모양으로 형성되는 포개진 컵형성부재, 및 상기 컵형성부재에서 가장 큰 직경을 가지는 원통부재의 외벽을 감싸는 동시에 상기 병마 개부의 내주면에 밀착하도록 상기 병마개부에 결합되어 상기 경사진 원통부재들이 흘러내리지 않도록 방지하는 지지 포스트를 구비하는 지지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컵형성부재를 형성하는 다수의 원통부재들 중 가장 반경이 가장 작은 원통부재가 내부에 위치하고, 순차로 반경이 큰 원통부재가 상기 반경이 작은 원통부재의 외주면에 이웃하면서 포개어지고, 상기 반경이 작은 원통부재의 하단의 외주면의 둘레는 이웃하는 원통부재의 상단의 내주면의 둘레보다 크도록 하여 상기 원통부재들이 연장되는 경우에는 이웃하는 원통부재끼리 억지끼움 방식으로 밀착하여 컵모양을 형성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내장컵을 결합한 병뚜껑에 있어서, 상기 지지포스트의 하단에는 상기 지지포스트와 함께 상기 컵형성부재에 포함되는 원통부재들이 상기 병마개부에 내장되도록 지지판이 부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내장컵을 결합한 병뚜껑에 있어서, 상기 컵형성부재에 포함되는 원통부재들을 지지하는 병뚜껑 받침이 상기 병마개부가 결합되는 상기 병의 나사부 아래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내장컵을 결합한 병뚜껑에 있어서, 상기 컵형성부재에 포함되는 원통부재들의 내주면에는 눈금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내장컵을 결합한 병뚜껑은 병의 상부 둘레에 결합하는 병뚜껑에 있어서, 상기 병의 상부 둘레에 형성된 나사상의 병입구와 결합될 수 있도록 나사부를 형성하고 외부에서 회전시켜 개폐할 수 있도록 된 병마개부, 상기 병마개부 내부에 내장되는 적어도 2개 이상의 경사진 원통부재들로서, 상기 병마개부가 상기 병의 상부 둘레에서 분리될 때 병마개부로부터 여러 단으로 확장되어 컵 모양으로 형성되는 포개진 컵형성부재, 상기 병마개부의 외주면과 상기 원통부재들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반구형상의 돌출부, 및 상기 반구형상의 돌출부에 대응하여 결합되도록 상기 원통부재들의 내주면에 형성된 반구형상의 요홈부를 포함하며, 상기 컵형성부재를 형성하는 다수의 원통부재들 중 가장 반경이 가장 작은 원통부재가 내부에 위치하고, 순차로 반경이 큰 원통부재가 상기 반경이 작은 원통부재의 외주면에 이웃하면서 포개어지고, 상기 반경이 작은 원통부재 하단의 외주면의 둘레는 이웃하는 원통부재 상단의 내주면의 둘레보다 크도록 하여 상기 원통부재들이 연장되는 경우에는 이웃하는 원통부재끼리 억지끼움 방식으로 밀착하여 컵모양을 형성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내장컵을 결합한 병뚜껑에 있어서, 상기 병마개부의 외주면에 형성된 돌출부와, 상기 원통부재의 외주면에 형성된 돌출부와 상기 원통부재의 내주면에 형성된 요홈부는 비대칭적인 위치에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내장컵을 결합한 병뚜껑에 있어서, 상기 병마개부의 외주면에 형성된 돌출부와, 상기 원통부재에 형성된 돌출부와 요홈부는 대칭적인 위치에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내장컵을 결합한 병뚜껑에 있어서, 상기 컵형성부재에 포함되는 원통부재들을 지지하는 병뚜껑 받침이 상기 병마개부가 결합되는 상기 병 의 나사부 아래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내장컵을 결합한 병뚜껑에 있어서, 상기 컵형성부재에 포함되는 원통부재들의 내주면에는 눈금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내장컵을 결합한 병뚜껑에 따르면, 컵이 포개진 형태이기 때문에 병의 크기와 모양에 영향을 받지 않으면서도, 병뚜껑을 개방한 후에는 상기 병뚜껑 안에 내장된 컵을 확장하여 용이하게 사용하고 다시 보관하는 경우에는 포개진 형태로 컵을 병뚜껑 내부로 수납하여 내장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컵이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여 청결한 위생 상태를 유지할 수 있으며, 병뚜껑의 재활용성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내장컵을 결합한 병뚜껑은 정확한 용량을 표시할 수 있어 다양한 용도로 사용가능하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에 대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내장컵을 결합한 병뚜껑의 분해도이고,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내장컵을 결합한 병뚜껑에서 내장컵을 펼친 상태도이다.
도1, 도2를 참조하면, 병(40)의 상부 둘레에 형성된 나사상의 병입구와 결합될 수 있도록 나사부를 형성한 병마개(12)를 구비하고 외부에서 회전시켜 개폐할 수 있도록 된 병마개부(10), 상기 병마개부(10) 내부에 내장되는 적어도 2개 이상의 경사진 원통부재(21, 22)들로서, 상기 병마개부(10)가 상기 병의 상부 둘레에서 분리될 때 병마개부(10)로부터 여러 단으로 확장되어 컵 모양으로 형성되는 포개진 컵형성부재(20), 상기 컵형성부재(20)에서 가장 큰 직경을 가지는 원통부재(22)의 외벽을 감싸는 동시에 상기 병마개부(10)의 내주면에 밀착하도록 상기 병마개부(10)에 결합되어 상기 경사진 원통부재(21, 22)들이 흘러내리지 않도록 방지하는 지지부재(30)를 포함한다.
도2에서, 상기 컵형성부재(20)를 형성하는 다수의 원통부재들 중 가장 반경이 가장 작은 원통부재(21)는 내부에 위치하고, 순차로 반경이 큰 원통부재(22)가 상기 반경이 작은 원통부재의 외주면에 이웃하면서 포개어지고, 상기 반경이 작은 원통부재(21)의 하단의 외주면의 둘레는 이웃하는 원통부재(22)의 상단의 내주면의 둘레보다 크도록 하여 상기 원통부재들이 연장되는 경우에는 이웃하는 원통부재끼리 억지끼움 방식으로 밀착하여 컵모양을 형성하도록 한 것이다.
도1은, 뚜껑을 병과 분리시킨 모습과 뚜껑의 안쪽, 뚜껑과 병 사이의 지지부재를 도시하고 있다.
도1을 살펴보면, 상기 지지부재(30)는 가장 큰 직경을 가지는 원통부재의 외벽을 감싸는 동시에 상기 병마개부(10)의 내주면에 밀착하도록 상기 병마개부에 결합되어 상기 경사진 원통부재들이 흘러내리지 않도록 방지하는 지지 포스트(32)와 지지판(31)을 구비하고 있다.
병뚜껑으로 병에 결합된 상태에서는 컵이 포개져 있어서 없는 것처럼 보이다가 컵을 사용할 때 양쪽을 고정시킨 지지포스트(32)를 빼어내서 컵을 꺼내어 사용할 수 있도록 해준다.
뚜껑을 개봉한 후에도 뚜껑을 컵으로 사용하지 않을 때는 컵을 다시 포개어서 상기 병마개부(10) 속으로 내장하고, 지지부재(30)를 상기 병마개부(10)에 삽입 결합시키면, 지지포스트(32)와 지지판(31)이 함께 컵의 원통부재들이 밖으로 흘러내리지 못하도록 저지하게 된다.
이를 위해서, 상기 지지포스트(32)는 컵의 가장 바깥쪽 원통부재 외주면과 병마개부(10)의 내주면 사이에서 밀착할 수 있도록 밖으로 경사를 이루며 지지판(31)에 연결된다.
도2는 컵을 사용하기 위해서 포개졌던 컵을 펼친 상태이다. 도2에서, 포개진 컵은 위와 아래가 뚫린 2개의 원통부재로 이루어진다. 상기 2개의 원통부재는 고정되어 있지 않아 움직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원통부재는 경사를 이루기 위해 상단부쪽의 원의 넓이가 하단부쪽의 원의 넓이보다 넓다.
가장 내부의 원통부재(21)는 병에 닿는 부분으로 병마개(12)로 형성되어 병마개부재(10)의 바닥에 고정되어 있다.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내장컵을 결합한 병뚜껑이 병에 결합된 상태의 단면도이다.
가장 안쪽은 뚜껑 잠금을 위한 나선형 모양의 홈이 있는 일반 병마개(12)의 안쪽 모습을 가진다. 원통부재(20)의 두께는 최대 1mm로 하고 경사도는 5∼10°사이로 한다.
이때, 원통부재의 두께를 두껍게 하면 병마개부(10)의 전체 너비가 커지고 각도를 작게 하면 뚜껑의 높이가 매우 높아지게 된다.
또한, 경사도 10°일 때 원통부재의 넓이를 고려하면, 안쪽 원통과 1/2 지점에서 바깥쪽 원통부재와 겹치게 된다. 겹치는 지점은 원통부재의 두께와 원통부재 간의 간격에 따라 조정이 가능하다.
도4는 도3의 내장컵 모양을 펼친 상태의 단면도이다. 원통부재들을 뚜껑의 바깥쪽으로 추출한 모습이며 컵이 이루어지는 모양을 나타내고 있다. 도면에서는 원통 두께를 1mm로 가정하였으나 더 얇은 원통도 가능하다. 컵의 재질은 페트병 재질인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가 적합하며 이 재질의 경우 두께는 1mm를 넘지 않는다.
도5는 병뚜껑 안의 포개진 컵이 흘러내리지 못하는 병뚜껑 받침을 병에 형성한 경우이다.
즉, 병목에 받침대(42)를 마련하는 방식으로 도1에서의 지지포스트를 부착하는 지지판이 필요 없는 경우이다.
도1과 도2의 병은 병의 재질이 유리 또는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페트병 재질)에 영향을 받지 않으나, 이 경우는 유리병 보다는 페트병에 보다 적합하다. 뚜껑 내부 모양은 이전 도면들에서 설명한 바와 같다.
도6, 도7, 도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내장컵을 결합한 병뚜껑의 단면도이다.
도6, 도7, 도8을 참조하면, 병의 상부 둘레에 형성된 나사상의 병입구와 결합될 수 있도록 나사부를 형성하고 외부에서 회전시켜 개폐할 수 있도록 된 병마개 부(10), 상기 병마개부(10) 내부에 내장되는 적어도 2개 이상의 경사진 원통부재들(21, 22)로서, 상기 병마개부가 상기 병의 상부 둘레에서 분리될 때 병마개부로부터 여러 단으로 확장되어 컵 모양으로 형성되는 포개진 컵형성부재(20), 상기 병마개(12)의 외주면과 상기 원통부재들(21, 22)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반구형상의 돌출부(55), 및 상기 반구형상의 돌출부(65)에 대응하여 결합되도록 상기 원통부재들의 내주면에 형성된 반구형상의 요홈부(24)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컵형성부재(20)를 형성하는 다수의 원통부재들 중 가장 반경이 가장 작은 원통부재(21)는 내부에 위치하고, 순차로 반경이 큰 원통부재(22, 23)가 상기 반경이 작은 원통부재의 외주면에 이웃하면서 포개어지고, 상기 반경이 작은 원통부재(21)의 하단의 외주면의 둘레는 이웃하는 원통부재(22)의 상단의 내주면의 둘레보다 크도록 하여 상기 원통부재들이 연장되는 경우에는 이웃하는 원통부재끼리 억지끼움 방식으로 밀착하여 컵모양을 형성하도록 한 것이다.
도6에서, 병마개(12)의 외주면에 형성된 반구형상의 돌출부(55)는 왼쪽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컵이 포개진 상태에서는 원통부재(21, 22) 사이의 틈새 공간에 놓여진 상태가 되었다가, 상기 원통부재(21, 22)를 추출하여 컵형상으로 연장될 때에는 상기 병마개(12)에 인접한 원통부재(21)가 연장되다 상기 병마개에 형성된 돌출부(55)는 상기 원통부재(21)에 형성된 요홈부(65)에 들어가 안착되면서 원통부재(21)의 이동이 제한된다.
또한, 상기 원통부재(21)에 인접한 원통부재(22)의 연장의 경우에도 동일하게 상기 원통부재(22)가 원통부재(21)를 따라서 이동하다가 상기 원통부재(22)의 내주면에 형성된 요홈부(65)가 상기 원통부재(21)의 외주면에 형성된 돌출부(55)를 만나면 상기 돌출부(55)와 요홈부(65)가 서로 결합되면서 원통부재(22)의 이동이 제한된다.
반구형상의 돌출부와 요홈부의 다른 역할은 컵이 흘러내리지 못하도록 방지해 주어 안전하게 컵을 펼쳐 사용하게 된다.
도6에서는 상기 돌출부와 요홈부를 엇갈려 배치시킨 형태이고, 도7에서는 돌출부와 요홈부를 비대칭적인 위치 즉, 한쪽(왼쪽)에만 형성시킨 경우이고, 도8은 돌출부와 요홈부를 좌우에 각각 형성시켜서 대칭적인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9는 본 발명의 병뚜껑에서 컵의 내부면에 눈금이 형성된 내장컵을 도시한다.
도9에서, 상기 컵형성부재(20)에 포함되는 원통부재들(21, 22, 23)의 내주면에 눈금이 형성되어 있다.
도9는 컵 안쪽의 눈금을 나타내는 컵의 내부도인데, 컵의 높이 자체가 눈금의 역할을 하게 한다. 컵을 완전히 펼친 후, 안쪽 컵에 연속적으로 눈금을 측정하여 둔다. 컵의 양쪽에 그려주어 컵이 제대로 펼쳐졌는지 확인할 수 있다.
도9를 참조하면, 코프시럽과 같은 액체의 부피를 정하기 위해 포개진 컵의 크기를 가변할 수 있는 병뚜껑으로서 컵의 안쪽에 눈금을 그려 용량을 나타내어 주고, 그 용량에 맞도록 원통부재를 연장시킴으로써, 정확한 용량의 내용물을 담을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기재된 구체적인 실시예에 대해서만 상세히 설명되었지 만 본 발명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내장컵을 결합한 병뚜껑의 분해도이고,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내장컵을 결합한 병뚜껑에서 내장컵을 펼친 상태도이다.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내장컵을 결합한 병뚜껑이 병에 결합된 상태의 단면도이다.
도4는 도3의 내장컵 모양을 펼친 상태의 단면도이다.
도5는 병뚜껑 안의 포개진 컵이 흘러내리지 못하는 병뚜껑 받침을 병에 형성한 경우이다.
도6, 도7, 도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내장컵을 결합한 병뚜껑의 단면도이다.
도9는 본 발명의 병뚜껑에서 컵의 내부면에 눈금이 형성된 내장컵을 도시한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병마개부 12 : 병마개
20 : 컵형성부재 21, 22, 23 : 원통부재
30 : 지지부재 31 : 지지판
32 : 지지포스트 40 : 병
42 : 받침대 55 : 돌출부
65 : 요홈부

Claims (9)

  1. 병의 상부 둘레에 결합하는 병뚜껑에 있어서,
    상기 병의 상부 둘레에 형성된 나사상의 병입구와 결합될 수 있도록 나사부를 형성하는 병마개를 안에 구비하고 외부에서 회전시켜 개폐할 수 있도록 된 병마개부;
    상기 병마개부 내부에 내장되는 적어도 2개 이상의 경사진 원통부재들로서, 상기 병마개부가 상기 병의 상부 둘레에서 분리될 때 병마개부로부터 여러 단으로 확장되어 컵 모양으로 형성되는 포개진 컵형성부재; 및
    상기 컵형성부재에서 가장 큰 직경을 가지는 원통부재의 외벽을 감싸는 동시에 상기 병마개부의 내주면에 밀착하도록 상기 병마개부에 결합되어 상기 경사진 원통부재들이 흘러내리지 않도록 방지하는 지지 포스트와, 상기 지지포스트의 하단에는 상기 지지포스트와 함께 상기 원통부재들이 상기 병마개부에 내장되도록 부착된 지지판을 구비하는 지지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컵형성부재를 형성하는 다수의 원통부재들 중 가장 반경이 가장 작은 원통부재가 내부에 위치하고, 순차로 반경이 큰 원통부재가 상기 반경이 작은 원통부재의 외주면에 이웃하면서 포개어지고, 상기 반경이 작은 원통부재의 하단의 외주면의 둘레는 이웃하는 원통부재의 상단의 내주면의 둘레보다 크도록 하여 상기 원통부재들이 연장되는 경우에는 이웃하는 원통부재끼리 억지끼움 방식으로 밀착하여 컵모양을 형성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장컵을 결합한 병뚜껑.
  2. 삭제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컵형성부재에 포함되는 원통부재들의 내주면에는 눈금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장컵을 결합한 병뚜껑.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KR1020080135618A 2008-12-29 2008-12-29 내장컵을 결합한 병뚜껑 KR10105602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35618A KR101056025B1 (ko) 2008-12-29 2008-12-29 내장컵을 결합한 병뚜껑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35618A KR101056025B1 (ko) 2008-12-29 2008-12-29 내장컵을 결합한 병뚜껑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60252A Division KR101068274B1 (ko) 2011-06-21 2011-06-21 내장컵을 결합한 병뚜껑을 가진 병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77619A KR20100077619A (ko) 2010-07-08
KR101056025B1 true KR101056025B1 (ko) 2011-08-10

Family

ID=426389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35618A KR101056025B1 (ko) 2008-12-29 2008-12-29 내장컵을 결합한 병뚜껑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5602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18305A (ko) 2014-06-09 2017-02-17 주식회사 케이오씨솔루션 새로운 티올화합물과 이를 포함하는 중합성 조성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6217755A1 (de) * 2016-09-16 2018-03-22 Henkel Ag & Co. Kgaa Flasche mit Dosierkappe und Dosierkappe mit flexibler Seitenwand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60018Y1 (ko) * 2001-02-24 2002-01-10 김양주 접철식 컵 겸용 병마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60018Y1 (ko) * 2001-02-24 2002-01-10 김양주 접철식 컵 겸용 병마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18305A (ko) 2014-06-09 2017-02-17 주식회사 케이오씨솔루션 새로운 티올화합물과 이를 포함하는 중합성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77619A (ko) 2010-07-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S2689479T3 (es) Recipiente de resina
US20090166314A1 (en) Plastic bottle
US7243808B2 (en) Plastic container with horizontally oriented panels
US7748552B2 (en) Plastic container with horizontally oriented panels
CA2908135C (en) Double-walled container
US7806298B2 (en) Multi-compartment dispensing container
US20130032592A1 (en) Leak proof collapsible cup
US20090114617A1 (en) Plastic bottle
US20110024311A1 (en) Liquid container with storage compartment
ES2236339T3 (es) Respiradore que comprende un revestimiento permeable al aire.
US11490713B2 (en) Collapsible drinking cup
KR101056025B1 (ko) 내장컵을 결합한 병뚜껑
JP2014213906A (ja) 二重容器
KR101068274B1 (ko) 내장컵을 결합한 병뚜껑을 가진 병
ES2334704T3 (es) Dispositivo de cierre.
JP2009154959A (ja) プラスチックボトル
JP2020193020A (ja) 二重容器、プリフォーム組立体、プリフォーム組立体の製造方法及び二重容器の製造方法
CN105793161A (zh) 具有偏置型水平肋和面板的耐真空容器
JP3055120B2 (ja) 詰替式容器
KR101843468B1 (ko) 차 음용을 위한 글라스 및 보틀 전환형 텀블러
KR102096186B1 (ko) 조립식 음료수병
KR20130060836A (ko) 음료수 용기에 꽂아서 사용하도록 하기 위한 빨대기구
KR200438455Y1 (ko) 휴대용 다단식 컵
JP3084603U (ja) 携帯用飲料容器
KR102356558B1 (ko) 음료병의 약품 수용캡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