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57505A - 형상 기억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적층 필름, 그 제조방법 및 용도, 및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필름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형상 기억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적층 필름, 그 제조방법 및 용도, 및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필름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57505A
KR20050057505A KR1020057004812A KR20057004812A KR20050057505A KR 20050057505 A KR20050057505 A KR 20050057505A KR 1020057004812 A KR1020057004812 A KR 1020057004812A KR 20057004812 A KR20057004812 A KR 20057004812A KR 20050057505 A KR20050057505 A KR 2005005750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m
polybutylene terephthalate
shape
temperature
lamina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70048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11359B1 (ko
Inventor
세이지 까가와
Original Assignee
세이지 까가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02275939A external-priority patent/JP2004106492A/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3001534A external-priority patent/JP4077730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3001533A external-priority patent/JP4077729B2/ja
Application filed by 세이지 까가와 filed Critical 세이지 까가와
Publication of KR200500575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5750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113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11359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es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03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extruded material at extrusion
    • B29C48/07Flat, e.g. panels
    • B29C48/08Flat, e.g. panels flexible, e.g. fil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03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extruded material at extrusion
    • B29C48/09Articles with cross-sections having partially or fully enclosed cavities, e.g. pipes or channels
    • B29C48/10Articles with cross-sections having partially or fully enclosed cavities, e.g. pipes or channels flexible, e.g. blown foi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16Articles comprising two or more components, e.g. co-extruded layers
    • B29C48/18Articles comprising two or more components, e.g. co-extruded layers the components being lay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25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8/88Thermal treatment of the stream of extruded material, e.g. cooling
    • B29C48/91Heating, e.g. for cross link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25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8/88Thermal treatment of the stream of extruded material, e.g. cooling
    • B29C48/911Cooling
    • B29C48/9115Cooling of hollow articles
    • B29C48/912Cooling of hollow articles of tubular films
    • B29C48/9125Cooling of hollow articles of tubular films internal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25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8/88Thermal treatment of the stream of extruded material, e.g. cooling
    • B29C48/911Cooling
    • B29C48/9115Cooling of hollow articles
    • B29C48/912Cooling of hollow articles of tubular films
    • B29C48/913Cooling of hollow articles of tubular films external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25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8/88Thermal treatment of the stream of extruded material, e.g. cooling
    • B29C48/911Cooling
    • B29C48/9135Cooling of flat articles, e.g. using specially adapted supporting means
    • B29C48/914Cooling of flat articles, e.g. using specially adapted supporting means cooling dru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25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8/88Thermal treatment of the stream of extruded material, e.g. cooling
    • B29C48/911Cooling
    • B29C48/9135Cooling of flat articles, e.g. using specially adapted supporting means
    • B29C48/915Cooling of flat articles, e.g. using specially adapted supporting means with means for improving the adhesion to the supporting means
    • B29C48/917Cooling of flat articles, e.g. using specially adapted supporting means with means for improving the adhesion to the supporting means by applying pressurised gas to the surface of the flat art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25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8/88Thermal treatment of the stream of extruded material, e.g. cooling
    • B29C48/911Cooling
    • B29C48/9135Cooling of flat articles, e.g. using specially adapted supporting means
    • B29C48/9175Cooling of flat articles, e.g. using specially adapted supporting means by interposing a fluid layer between the supporting means and the flat art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25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8/88Thermal treatment of the stream of extruded material, e.g. cooling
    • B29C48/918Thermal treatment of the stream of extruded material, e.g. cooling characterized by differential heating or cool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25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8/88Thermal treatment of the stream of extruded material, e.g. cooling
    • B29C48/918Thermal treatment of the stream of extruded material, e.g. cooling characterized by differential heating or cooling
    • B29C48/9185Thermal treatment of the stream of extruded material, e.g. cooling characterized by differential heating or cooling in the direction of the stream of the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25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8/92Measuring, controlling or regul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55/00Shaping by stretching, e.g. drawing through a die; Apparatus therefor
    • B29C55/28Shaping by stretching, e.g. drawing through a die; Apparatus therefor of blown tubular films, e.g. by infl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1/00Shaping by liberation of internal stresses; Making preforms having internal stresses; Apparatus therefor
    • B29C61/06Making preforms having internal stresses, e.g. plastic memory
    • B29C61/0608Making preforms having internal stresses, e.g. plastic memory characterised by the configuration or structure of the preforms
    • B29C61/0616Making preforms having internal stresses, e.g. plastic memory characterised by the configuration or structure of the preforms layered or partially layered preforms, e.g. preforms with layers of adhesive or sealing composi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27/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27/1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paper or cardboar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7/00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 B32B37/14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the properties of the layers
    • B32B37/16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the properties of the layers with all layers existing as coherent layers before laminating
    • B32B37/20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the properties of the layers with all layers existing as coherent layers before laminating involving the assembly of continuous webs only
    • B32B37/203One or more of the layers being plasti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8/00Ancillary operations in connection with laminating processes
    • B32B38/18Handling of layers or the laminate
    • B32B38/1866Handling of layers or the laminate conforming the layers or laminate to a convex or concave profi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35/00Heating, cooling or curing, e.g. crosslinking or vulcanising; Apparatus therefor
    • B29C35/16Cooling
    • B29C2035/1658Cooling using ga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2948/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extrusion moulding
    • B29C2948/92Measuring, controlling or regulating
    • B29C2948/92009Measured parameter
    • B29C2948/92114Dimensions
    • B29C2948/92152Thickne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2948/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extrusion moulding
    • B29C2948/92Measuring, controlling or regulating
    • B29C2948/92009Measured parameter
    • B29C2948/92228Content, e.g. percentage of humidity, volatiles, contaminants or degass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2948/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extrusion moulding
    • B29C2948/92Measuring, controlling or regulating
    • B29C2948/92323Location or phase of measurement
    • B29C2948/92361Extrusion unit
    • B29C2948/9238Feeding, melting, plasticising or pumping zones, e.g. the melt itsel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2948/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extrusion moulding
    • B29C2948/92Measuring, controlling or regulating
    • B29C2948/92323Location or phase of measurement
    • B29C2948/92447Moulded art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2948/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extrusion moulding
    • B29C2948/92Measuring, controlling or regulating
    • B29C2948/92504Controlled parameter
    • B29C2948/92514Press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2948/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extrusion moulding
    • B29C2948/92Measuring, controlling or regulating
    • B29C2948/92504Controlled parameter
    • B29C2948/92523Force; Tens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2948/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extrusion moulding
    • B29C2948/92Measuring, controlling or regulating
    • B29C2948/92504Controlled parameter
    • B29C2948/92571Position, e.g. linear or angula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2948/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extrusion moulding
    • B29C2948/92Measuring, controlling or regulating
    • B29C2948/92504Controlled parameter
    • B29C2948/9258Velocit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2948/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extrusion moulding
    • B29C2948/92Measuring, controlling or regulating
    • B29C2948/92504Controlled parameter
    • B29C2948/9258Velocity
    • B29C2948/926Flow or feed rat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2948/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extrusion moulding
    • B29C2948/92Measuring, controlling or regulating
    • B29C2948/92504Controlled parameter
    • B29C2948/92704Temperat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2948/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extrusion moulding
    • B29C2948/92Measuring, controlling or regulating
    • B29C2948/92504Controlled parameter
    • B29C2948/92809Particular value claim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2948/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extrusion moulding
    • B29C2948/92Measuring, controlling or regulating
    • B29C2948/92819Location or phase of control
    • B29C2948/92933Conveying, transporting or storage of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2948/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extrusion moulding
    • B29C2948/92Measuring, controlling or regulating
    • B29C2948/92819Location or phase of control
    • B29C2948/92971Fluids, e.g. for temperature control or of environ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001Combinations of extrusion moulding with other shaping operations
    • B29C48/0012Combinations of extrusion moulding with other shaping operations combined with shaping by internal pressure generated in the material, e.g. foam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001Combinations of extrusion moulding with other shaping operations
    • B29C48/0018Combinations of extrusion moulding with other shaping operations combined with shaping by orienting, stretching or shrinking, e.g. film blow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001Combinations of extrusion moulding with other shaping operations
    • B29C48/0019Combinations of extrusion moulding with other shaping operations combined with shaping by flattening, folding or ben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25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8/88Thermal treatment of the stream of extruded material, e.g. cooling
    • B29C48/90Thermal treatment of the stream of extruded material, e.g. cooling with calibration or sizing, i.e. combined with fixing or setting of the final dimensions of the extruded article
    • B29C48/901Thermal treatment of the stream of extruded material, e.g. cooling with calibration or sizing, i.e. combined with fixing or setting of the final dimensions of the extruded article of hollow bod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25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8/88Thermal treatment of the stream of extruded material, e.g. cooling
    • B29C48/919Thermal treatment of the stream of extruded material, e.g. cooling using a bath, e.g. extruding into an open bath to coagulate or cool the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023/00Use of polyalkenes or derivatives thereof as moulding material
    • B29K2023/04Polymers of ethylene
    • B29K2023/06PE, i.e. polyethylen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023/00Use of polyalkenes or derivatives thereof as moulding material
    • B29K2023/04Polymers of ethylene
    • B29K2023/06PE, i.e. polyethylene
    • B29K2023/0608PE, i.e. polyethylene characterised by its density
    • B29K2023/0625LLDPE, i.e. linear low density polyethylen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023/00Use of polyalkenes or derivatives thereof as moulding material
    • B29K2023/04Polymers of ethylene
    • B29K2023/06PE, i.e. polyethylene
    • B29K2023/0608PE, i.e. polyethylene characterised by its density
    • B29K2023/0641MDPE, i.e. medium density polyethylen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023/00Use of polyalkenes or derivatives thereof as moulding material
    • B29K2023/04Polymers of ethylene
    • B29K2023/08Copolymers of ethylene
    • B29K2023/083EVA, i.e. ethylene vinyl acetate copolym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023/00Use of polyalkenes or derivatives thereof as moulding material
    • B29K2023/10Polymers of propylene
    • B29K2023/12PP, i.e. polypropylen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025/00Use of polymers of vinyl-aromatic compounds or derivatives thereof as moulding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067/00Use of polyesters or derivatives thereof, as moulding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067/00Use of polyesters or derivatives thereof, as moulding material
    • B29K2067/006PBT, i.e. polybutylene terephthalat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105/00Condition, form or state of moulded material or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 B29K2105/04Condition, form or state of moulded material or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cellular or porou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L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B29C, RELATING TO PARTICULAR ARTICLES
    • B29L2007/00Flat articles, e.g. films or sheets
    • B29L2007/008Wide strips, e.g. films, web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L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B29C, RELATING TO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00Other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56Stoppers or lids for bottles, jars, or the like, e.g. closu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67/00Polyesters, e.g. PET, i.e. polyethylene terephthalat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435/00Closures, end caps, stopp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439/00Containers; Recepta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553/00Packaging equipment or accessori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7/00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 B32B37/12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using adhesi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7/00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 B32B37/14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the properties of the layers
    • B32B37/15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the properties of the layers with at least one layer being manufactured and immediately laminated before reaching its stable state, e.g. in which a layer is extruded and laminated while in semi-molten state
    • B32B37/153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the properties of the layers with at least one layer being manufactured and immediately laminated before reaching its stable state, e.g. in which a layer is extruded and laminated while in semi-molten state at least one layer is extruded and immediately laminated while in semi-molten stat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13Hollow or container type article [e.g., tube, vase, etc.]
    • Y10T428/1352Polymer or resin containing [i.e., natural or synthetic]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15Sheet, web, or layer weakened to permit separation through thicknes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Wrappers (AREA)
  • Shaping By String And By Release Of Stress In Plastics And The Like (AREA)
  • Manufacture Of Macromolecular Shaped Articles (AREA)
  • Processing And Handling Of Plastics And Other Materials For Molding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1)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필름과 제3 필름 또는 필름 적층체를 접착하여 얻어진 적층 필름을, 제1 형상으로 유지시키면서, 상기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의 유리 전이 온도 이하의 온도(T1)에서 부형 처리하고, (2) 얻어진 부형 적층 필름을, 상기 유리 전이 온도보다 높은 온도(T2)에서 제2 형상으로 변형 가공한 다음, (3) 상기 유리 전이 온도 이하의 온도(T3)으로 냉각시킴으로써 얻어지는, 우수한 형상 기억성과 내열 치수 안정성을 갖는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적층 필름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형상 기억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적층 필름, 그 제조 방법 및 용도, 및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필름의 제조 방법 {SHAPE-MEMORY LAMINATED POLYBUTYLENE TEREPHTHALATE FILM, PRODUCTION PROCESS AND USE THEREOF, AND PROCESS FOR PRODUCTION OF POLYBUTYLENE TEREPHTHALATE FILM}
본 발명은, 포장재로서 유용한 형상 기억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적층 필름 및 그 제조 방법과 용도, 막 두께의 균일성 및 내열수축성이 우수한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필름의 제조 방법, 및 이인열성(易引裂性)이나 비틀림성이 우수하고, 포장재 등으로서 유용한 기능성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필름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즉석 식품용 용기의 개구부를 밀봉하는 덮개 재료로서, 예를 들면, 즉석 라면용 용기의 경우, 용이한 박리성, 실런트 필름, 알루미늄박, 및 종이의 순으로 적층된 것이 알려져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알루미늄박층을 갖는 덮개 재료는 수증기 등에 대한 배리어성(barrier property), 열 등에 대한 치수 안정성, 충전기적성(용기에 내용물을 충전하고, 밀봉할 때에 덮개 재료가 컬링(culring)되지 않은 채로 있는 성질), 차광성 등이 우수하다. 또한, 알루미늄박층을 갖는 덮개 재료를 용기로부터 거의 중심부까지 벗겨 들어 올리면, 들어 올린 상태로 유지되는 성질(데드 홀드성)을 갖는다. 이러한 데드 홀드 성질에 의해, 예를 들면, 즉석 라면 등에서는 덮개를 벗겨 반개(半開)한 상태에서 열탕을 쉽게 부을 수 있고, 열탕을 부은 다음에 덮개를 다시 밀봉하여, 즉석 라면을 먹을 수 있는 상태가 될 때까지 유지시킨 후, 상기 덮개를 재개봉하여 먹을 수 있다.
그러나, 전술한 바와 같은 알루미늄박을 갖는 덮개 재료를 사용 후에 소각 처리하는 경우, 상기 알루미늄박이 소각로 안에서 잉곳(ingot)으로 엉켜서 소각로를 손상시키거나, 또는 소각로의 손상으로 인해 소각 효율이 저하된다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환경 보호 차원에서, 전술한 바와 같은 알루미늄박을 갖는 덮개 재료를 될 수 있는 한 사용하지 않은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컵라면과 같은 즉석 식품의 경우에는 식품 안전성을 고려할 때, 용기 내에 금속계 이물이 혼입되지 않은 채로 있는지를 검사해야 하지만, 상기 알루미늄박을 갖는 덮개를 가열 밀봉한 후에는 금속 탐지기를 이용한 검지(檢知)가 불가능하기 때문에, 현재로서는 덮개를 가열 밀봉하기 이전에 금속계 이물의 혼입 여부를 검사하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덮개로서 알루미늄박을 이용하는 경우, 덮개가 무거워진다는 문제도 있다.
알루미늄박을 포함하지 않는 덮개 재료로서, 예를 들면, 종이층/접착 수지층/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필름층/쉽게 박리되는 수지층을 순차로 포함하는 적층 필름이 제안된 바 있다. 상기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필름은 수증기 배리어성, 열에 대한 치수 안정성, 충전기적성(充塡機適性)(컬링이 발생하지 않는 것) 등의 특성을 갖는다. 그러나, PET 필름은 요강도(腰强度)가 크기 때문에, 덮개를 개봉한 상태로 유지하는 성질(데드 홀드성)이 부족하다. 따라서, 이러한 적층 필름을 포함하는 덮개는 개봉 후에 손쉽게 덮이므로, 열탕을 붓기 어렵다는 문제가 있다.
한편, 즉석 라면용 용기 등에 이용되는 덮개 재료를 구성하는 적층 필름은, 용기를 밀봉할 때 컬링되지 않는 성질, 및 용기에서 덮개를 벗겼을 때에는 컬링 상태를 유지하는 성질(데드 홀드성)을 가져야 할 필요가 있다. 통상적으로 덮개 재료는 용기에 가열 밀봉되기 때문에, 가열 밀봉되기 전에는 컬링되지 않고, 가열 접착 시에는 열에 의해 컬링되는 형상 기억성이 있다면 대단히 유용하다.
그러나, 이 같은 형상 기억성을 갖는 적층 필름으로 이루어진 포장 재료는 지금까지 알려진 바가 없다. 일반적으로, 형상 기억성을 갖는 수지는 유리 전이점을 전후하여 탄성률 변화가 크다. 예를 들어, 형상 기억 기구에 있어서, (1) 먼저, 임의의 형상 M으로 성형하고, 상기 형상 M의 상태로 가열하여 결정화(결정 부분이 맞물림), 또는 분자간 가교에 의해서 고정점을 발생시켜 형상을 기억시키고, (2) 유리 전이점 이상에서 상기 가열 온도 미만인 온도로 외력을 가하여 형상 N으로 변형시켜, 상기 상태에서 유리 전이점 미만인 온도로 함으로써 형상 N으로 고정하면, (3) 유리 전이점 이상으로 가열함으로써, 외력을 가하지 않고도 형상 M으로 회복한다. 전술한 PET는 형상 기억성을 갖지만, 유리 전이 온도가 약 70∼80℃이기 때문에 형상을 회복하는 데 필요한 온도가 지나치게 높다.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PBT)는 유리 전이 온도가 약 20∼45℃이기 때문에, 포장재로서 사용할 수 있다면, 실용적인 온도에서 형상 기억성을 이용할 수 있게 된다. 예를 들면, 일본 특개평2-123129호에는 PBT과 지방족 폴리락톤의 블록 공중합체로 이루어진 형상 기억성 수지에 대해 기재되어 있다. 또한, 일본 특개평2-269735호에는 결정 융해 엔트로피가 3 cal/g 이하가 되도록, 제3 성분을 공중합한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로 이루어진 형상 기억성 공중합 폴리에스테르 성형체에 대해 기재되어 있다. 그리고, 일본 특개평2-240135호에는 PBT과 폴리에틸렌글리콜의 블록 공중합체로 이루어진 형상 기억성 수지에 대해 기재되어 있다. 그러나 전술한 문헌에 따르면, 각각의 형상 기억성 수지는 모두 PBT계 형상 기억성 수지를 필름화한 것이 아니다.
또한, 일본 특공평7-33048호에는 고유 점도가 1.0 이상인 PBT 수지의 압출 수지 온도가 하기 식을 만족하도록 인플레이션 성형법에 의해 필름화하는 방법이 제안되어 있다:
(식)
융점(℃)<압출 수지 온도(℃)<융점-26+53×고유 점도(℃)
그러나, 전술한 방법에서는 블로우-업(blow-up) 비, 압출 수지 온도, 및 압출 수지 압력 요소의 조합이 최적화 되어있지 않으며, 전술한 방법에 따라 얻은 PBT 필름은 열 수축률이 비교적 크다.
포장재의 기능과 관련하여, PBT 필름은 가스 배리어성이나 보향성(保香性)이 우수하기 때문에, 이인열성, 비틀림성 등의 기능을 부여할 수 있다면 바람직하다. 이인열성 폴리에스테르 필름으로서, 일본 특개2002-80705호에는 80∼95 질량%의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 및 20∼5 질량%의 변성 PBT(변성 PBT)로 이루어진 2축 연신 폴리에스테르 필름에 대해 기재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2축 연신 폴리에스테르 필름은 이인열성이 불충분하다.
또한, 일본 특개평5-104618호에는 양호한 비틀림성을 갖는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제조 방법으로서, 폴리에스테르 수지층(A)의 적어도 한쪽 면에, (A)의 융점보다 10℃ 이상 높은 융점을 갖는 수지(B)를 상기 필름 전체의 두께에 대해 (B)가 5∼60%의 두께가 되도록 적층하여, 1축 연신한 후에 (A)의 융점보다 10℃ 낮은 온도 이상, (B)의 융점 미만인 온도로 열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이 기재되어 있다. 그러나, 전술한 양호한 비틀림성을 갖는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제조 방법에 따르면, 제조 공정이 번거롭기 때문에 많은 비용이 소모된다는 문제가 있었다.
도 1은 형상 기억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PBT) 적층 필름의 층 구성의 일례를 도시한 단면도.
도 2는 형상 기억 PBT 적층 필름의 층 구성의 다른 일례를 도시한 단면도.
도 3은 형상 기억 PBT 적층 필름의 층 구성의 다른 일례를 도시한 단면도.
도 4는 형상 기억 PBT 적층 필름의 층 구성의 다른 일례를 도시한 단면도.
도 5는 형상 기억 PBT 적층 필름의 층 구성의 다른 일례를 도시한 단면도.
도 6은 형상 기억 PBT 적층 필름의 층 구성의 다른 일례를 도시한 단면도.
도 7은 형상 기억 PBT 적층 필름을 제조하기 위한 장치의 일례를 도시한 개략도.
도 8은 형상 기억 PBT 적층 필름을 제조하기 위한 다른 장치를 도시한 개략도.
도 9는 형상 기억 PBT 적층 필름을 제조하기 위한 또, 다른 장치를 도시한 개략도.
도 10은 형상 기억 PBT 적층 필름을 제조하기 위한 다른 장치를 도시한 개략도.
도 11은 형상 기억 PBT 적층 필름을 제조하기 위한 또 다른 장치를 도시한 개략도.
도 12는 본 발명의 덮개가 부착된 용기를 제조하기 위한 장치의 일례를 도시한 개략도.
도 13은 주입을 위해, 본 발명의 형상 기억 PBT 적층 필름을 포함하는 덮개를 개봉한 즉석 식품용 용기를 도시한 사시도.
도 14는 주입을 위해, 본 발명의 형상 기억 PBT 적층 필름을 포함하는 덮개를 부분적으로 파단시켜 개봉한 즉석 식품용 용기를 도시한 사시도.
도 15는 본 발명의 덮개가 부착된 용기를 반고체상 식품용 용기로서 이용한 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16은 도 15의 덮개가 부착된 용기를 개봉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17은 식품용 트레이에 이용된 형상 기억 PBT 적층 필름이 형상을 회복하는 모양을 도시한 개략도.
도 18은 인플레이션 성형법에 의해 PBT 필름을 제조하는 방법에서의 공정을 도시한 개략도.
도 19는 버블을 냉각하는 장치의 일례를 도시한 개략적 측면도.
도 20(a)는 정류판의 일례를 도시한 평면도.
도 20(b)는 정류판의 다른 예를 도시한 평면도.
도 20(c)는 정류판의 또 다른 예를 도시한 평면도.
도 21은 가습 공기를 공급하는 시스템을 도시한 개략도.
도 22는 1축 연신법에 의해 PBT 필름을 제조하는 공정의 예를 도시한 개략도.
도 23은 1축 연신법에 의해 PBT 필름을 제조하는 공정의 다른 예를 도시한 개략도.
도 24는 1축 연신법에 의해 PBT 필름을 제조하는 공정의 또 다른 예를 도시한 개략도.
도 25는 필름의 진행 방향으로 선형 흔적을 형성하는 장치의 일례를 도시한 개략도.
도 26은 도 25에 도시한 장치에 있어서, 필름이 패턴 롤과 슬라이딩 접촉하는 면에 압축 공기를 분출하는 상태를 도시한 부분 확대도.
도 27은 도 25에 도시한 장치에 있어서, 필름이 패턴 롤과 슬라이딩 접촉하는 상태를 도시한 부분 확대 횡단면도.
도 28(a)는 노즐의 일례를 도시한 정면도 및 우측면도.
도 28(b)는 노즐의 다른 예를 도시한 정면도 및 우측면도.
도 28(c)는 후드를 갖는 노즐을 이용하여 패턴 롤에 압축 공기를 분출하는 상태를 도시한 개략도.
도 29는 필름의 진행 방향으로 선형 흔적을 형성하는 장치의 다른 예를 도시한 개략적 측면도.
도 30은 필름의 진행 방향에 대해 경사진 선형 흔적을 형성하는 장치의 일례를 도시한 사시도.
도 31(a)는 도 30에 도시한 장치에 있어서, 필름이 패턴 엔들리스 벨트와 슬라이딩 접촉하는 상태를 도시한 부분 확대 평면도.
도 31(b)는 도 31(a)에 있어서 D 방향에서 본 개략적인 단면도.
도 32는 필름의 진행 방향에 대하여 경사진 선형 흔적을 형성하는 장치의 다른 예를 도시한 개략도.
도 33은 도 32에 도시한 장치에 있어서, 필름이 롤 트레이와 슬라이딩 접촉하는 상태를 도시한 부분 확대 평면도.
도 34(a)는 필름의 진행 방향에 대하여 경사진 선형 흔적을 형성하는 장치의 다른 예를 도시한 부분 확대 평면도.
도 34(b)는 도 34(a)에 있어서 E 방향에서 본 개략도.
도 35는 필름의 진행 방향에 대하여 폭 방향의 선형 흔적을 형성하는 장치의 일례를 도시한 부분 확대 평면도.
도 36은 필름의 진행 방향에 대하여 폭 방향의 선형 흔적을 형성하는 장치의 다른 예를 도시한 부분 확대 평면도.
도 37은 필름의 진행 방향에 대하여 폭 방향의 선형 흔적을 형성하는 장치의 다른 예를 도시한 부분 확대 평면도.
도 38(a)는 필름의 진행 방향에 대하여 폭 방향의 선형 흔적을 형성하는 장치의 다른 예를 도시한 부분 확대 평면도.
도 38(b)는 도 38(a)에 있어서 F 방향에서 본 개략도.
따라서, 본 발명은, 우수한 형상 기억성과 내열 치수 안정성을 갖는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적층 필름, 그 제조 방법, 및 그 용도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박막이면서 막 두께의 균일성 및 내열수축성이 우수한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필름을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이인열성이 우수한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필름을 제공하는 것이다.
아울러,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비틀림성이 우수하고, 저비용으로 제조할 수 있는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필름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감안하여 예의 연구의 결과, 본 발명자는 이하의 것을 발견하였다.
(A) (1) 상기 PBT 필름과 제3 필름 또는 필름 적층체를 적층하여 이루어진 적층 필름을, 제1 형상으로 유지시키면서, PBT 필름의 유리 전이 온도(Tg) 이하의 온도(T1)에서 부형 처리(賦形處理)하고, (2) 얻어진 부형 적층체를, Tg보다 높은 온도(T2)에서 제2 형상으로 변형 가공하여, (3) Tg 이하의 온도(T3)로 냉각시킴으로써, 우수한 형상 기억성과 내열 치수 안정성을 갖는 PBT 적층 필름을 얻을 수 있다.
(B) (1) (ⅰ) 상기 PBT 필름과 제3 필름 또는 필름 적층체와의 적층 필름을 미리 제조하고, 이것을 제1 형상으로 유지시키면서 Tg보다 높고 융점보다 낮은 온도(T4)에서 부형 처리하거나, 또는 (ⅱ) 상기 PBT 필름을 제1 형상으로 유지시키면서 상기 온도 T4에서 부형 처리한 다음, 제3 필름 또는 필름 적층체와 적층함으로써 제1 형상을 갖는 적층 필름을 제조하고, (2) 얻어진 부형 적층체를 상기 Tg 이하의 온도(T5)로 냉각시켜, 제1 형상으로 고정한 다음, (3) 상기 부형 적층체를, 상기 Tg보다 높은 온도∼상기 온도 T4 미만인 온도(T6)에서 제2 형상으로 변형 가공한 다음, (4) 상기 Tg 이하의 온도(T7)로 냉각하여 제2 형상으로 고정함으로써, 우수한 형상 기억성과 내열 치수 안정성을 갖는 PBT 적층 필름을 얻을 수 있다.
(C)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PBT) 수지를 공랭(空冷) 인플레이션 성형법에 의해 필름화하는 PBT 필름의 제조 방법으로서, 환형 다이(die) 부근에 설치된 제1 냉각 링에서 가습 공기를 분출시켜, 버블의 네크부를 냉각시키고, 블로우-업(blow-up) 비를 1.5∼2.8로 하고, 압출 수지 온도를 210∼250℃로 하고, 압출 수지 압력을 9.8∼13.7 ㎫(100∼140 ㎏f/㎠)로 함으로써, 박막이면서 막 두께의 균일성 및 내열수축성이 우수한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필름을 제조할 수 있다.
(D)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필름의 적어도 한쪽 면에 실질적으로 평행한 복수 개의 선형 흔적을 전면에 걸쳐 형성함으로써, 임의의 부위에서 상기 선형 흔적을 따라 실질적으로 직선적으로 찢을 수 있는 직선적 이열성(易裂性)을 부여할 수 있다.
(E)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필름에, 복수 개의 미세한 관통공 및/또는 미관통공(未貫通孔)을 균일하게 형성함으로써, 이열성 및 비틀림성을 부여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발명에 기초하여 완성된 것이다.
즉, 본 발명의 형상 기억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적층 필름은, (1)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필름; 및 (2)종이 시트, 제2 수지 필름, 및 금속박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으로 이루어진 제3 필름 또는 필름 적층체를 포함하며, 정해진 온도역(溫度域)에서 제1 형상을 기억시킨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형상 기억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적층 필름은, 상기 정해진 온도역과 다른 제2 온도역에서 제2 형상으로 변형 가공되더라도, 상기 제1 형상을 기억시킨 온도 이상의 온도에 노출되는 경우에는 실질적으로 상기 제1 형상으로 되돌아간다.
상기 형상 기억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적층 필름의 바람직한 예로서는, 상기 제1 형상으로 되돌아가는 온도가 상기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의 Tg 이하이다. 또한, 상기 제1 형상으로 되돌아가는 온도는 35℃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형상 기억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적층 필름이 상기 제1 형상으로 되돌아가는 온도는 상기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의 Tg보다 높고 융점보다 낮다. 또한, 상기 제1 형상으로 되돌아가는 온도는 75∼100℃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제1 형상은 컬(curl) 형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제2 형상은 거의 평탄한 형상 또는 반대 컬 형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필름의 적어도 한쪽 면에 실질적으로 평행한 복수 개의 선형 흔적을 전면에 걸쳐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형상 기억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적층 필름을 상기 선형 흔적을 따라 실질적으로 직선적으로 찢을 수 있다. 상기 선형 흔적의 깊이는 상기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필름층 두께의 1∼40%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선형 흔적의 깊이는 0.1∼10 ㎛이고, 상기 선형 흔적의 폭은 0.1∼10 ㎛이며, 상기 선형 흔적 간의 간격은 10∼200 ㎛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필름의 적어도 한쪽 면에 세라믹 또는 금속을 증착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형상 기억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적층 필름의 바람직한 층 구성을 예시하면, 순차로, 상기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필름, 상기 종이 시트, 및 실런트 필름(sealant film)을 포함하는 것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형상 기억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적층 필름의 바람직한 층 구성의 다른 예로서, 순차로, 상기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필름, 상기 종이 시트, 및 강성(剛性) 필름, 및 실런트 필름을 포함하는 것을 들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형상 기억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적층 필름의 바람직한 층 구성의 또, 다른 예로서, 순차로, 상기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필름, 강성 필름, 및 실런트 필름을 포함하는 것을 들 수 있다. 아울러, 상기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필름의 상기 종이 시트측 면, 또는 상기 강성 필름의 상기 실런트 필름측 면에 차광성 잉크층 설치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형상 기억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적층 필름은 포장재로서 유용하며, 특히 용기용 덮개를 구성하는 포장재로서 유용하다.
본 발명의 제1 형상 기억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적층 필름의 제조 방법은, (a)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필름; 및 (b) 종이 시트, 제2 수지 필름, 및 금속박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으로 이루어진 제3 필름 또는 필름 적층체를 갖는 형상 기억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적층 필름의 제조 방법으로서, (1) 상기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필름, 및 제3 필름 또는 필름 적층체가 적층된 적층 필름을 제1 형상으로 유지시키면서, 상기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의 유리 전이 온도 이하의 온도(T1)에서 부형 처리(賦形處理)하는 단계, (2) 얻어진 부형 적층 필름을 상기 유리 전이 온도보다 높은 온도(T2)에서 제2 형상으로 변형 가공하는 단계, 및 (3) 상기 유리 전이 온도 이하의 온도(T3)로 냉각함으로써, 상기 제2 형상으로 고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제1 형상은 컬 형상이며, 상기 제2 형상은 거의 평탄한 형상 또는 반대 컬 형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필름과 상기 제3 필름 또는 필름 적층체를 접착하여 얻은 적층 필름을 롤로 반송(搬送)하여, 상기 롤의 주면(周面)을 따라 상기 온도 T1에서 처리함으로써, 컬 형상을 부형한 적층 필름을 제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온도 T2에서의 변형 가공을 30∼60초 동안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온도 T1은 35℃ 이하이고, 상기 온도 T2는 45℃보다 높고 65℃ 이하이며, 상기 온도 T3는 15∼25℃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온도 T1은 15∼25℃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컬 형상을 부형한 적층 필름을 상기 온도 T3로 냉각시킨 다음, 그 반대 컬 방향으로 권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필름에 4 ㎏f/m폭 이상의 장력을 가하면서, 상기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필름과 상기 제3 필름 또는 필름 적층체를 접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장력이 10∼20 ㎏f/m폭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제2 형상 기억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적층 필름의 제조 방법은, (a)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필름; 및 (b) 종이 시트, 제2 수지 필름, 및 금속박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으로 이루어진 제3 필름 또는 필름 적층체를 포함하는 형상 기억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적층 필름의 제조 방법으로서, (1) (ⅰ) 상기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필름을 제1 형상으로 유지시키면서 상기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의 유리 전이 온도보다 높고 융점보다 낮은 온도(T4)에서 부형 처리한 다음, 부형 처리된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필름을 상기 제3 필름 또는 필름 적층체와 적층하거나, 또는 (ⅱ) 상기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필름과 상기 제3 필름 또는 필름 적층체와의 적층 필름을 미리 제조한 다음, 상기 적층 필름을 제1 형상으로 유지시키면서 상기 온도 T4에서 부형 처리함으로써, 상기 제1 형상을 갖는 부형 적층 필름을 제조하는 단계; (2) 상기 부형 적층 필름을 상기 유리 전이 온도 이하의 온도(T5)로 냉각시킴으로써, 상기 제1 형상으로 고정하는 단계; (3) 상기 부형 적층 필름을, 상기 유리 전이 온도보다 높고 상기 온도 T4보다 낮은 온도(T6)에서 제2 형상으로 변형 가공하는 단계; 및 (4) 상기 부형 적층 필름을, 상기 유리 전이 온도 이하의 온도(T7)로 냉각시킴으로써, 상기 제2 형상으로 고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제1 형상은 컬 형상이며, 상기 제2 형상은 거의 평탄한 형상 또는 반대 컬 형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온도 T4는 75∼100℃이고, 상기 온도 T5는 40℃ 이하며, 상기 온도 T6는 45∼65℃이고, 상기 온도 T7은 4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부형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필름과 상기 제3 필름 또는 필름 적층체와의 접착에 의해 상기 부형 적층 필름을 제조하는 경우, 상기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필름을 한 쌍의 가열 롤의 한쪽 주면에 접촉시키면서 반송하여, 상기 가열 롤의 주면을 따라 상기 온도 T4에서 가열 처리함으로써, 상기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필름에 컬 형상을 부여한 다음, 상기 컬링성을 갖는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필름과 상기 제3 필름 또는 필름 적층체를, 상기 한 쌍의 가열 롤 사이를 통과시켜 연속적으로 접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필름과 상기 제3 필름 또는 필름 적층체를 접착하여 얻어진 상기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적층 필름을 부형 처리하는 경우, 상기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적층 필름을 가열 롤로 반송하여, 상기 가열 롤의 주면을 따라 상기 온도 T4에서 처리함으로써, 컬 형상을 부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상기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필름에 4 ㎏f/m폭 이상의 장력을 가하면서, 상기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필름과 상기 제3 필름 또는 필름 적층체를 접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장력은 10∼20 ㎏f/m폭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컬 형상을 부형한 적층 필름을 상기 온도 T5로 냉각시킨 다음, 그 반대 컬 방향으로 감고, 상기 온도 T6 이하의 온도 및 상기 온도 T7에서 처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형상 기억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적층 필름을 포함하는 덮개를 구비한 용기의 제조 방법은, 상기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의 유리 전이 온도보다 높은 온도(T8)에서, 상기 형상 기억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적층 필름을 평탄하게 유지시키면서 어닐링(annealing)한 다음, 얻어진 거의 평탄한 형상 기억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적층 필름을 덮개 재료 밀봉 수단을 이용하여 펀칭 가공함과 동시에 가열 접착하여, 상기 형상 기억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적층 필름을 포함하는 덮개를 용기에 밀착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어닐링 공정을 30∼60초 동안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온도 T8은 80∼120℃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필름의 제조 방법은,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수지를 공랭(空冷) 인플레이션 성형법에 의해 필름화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필름의 제조 방법으로서, 환형 다이(die) 부근에 설치된 제1 냉각 링에서 가습 공기를 분출시켜 버블의 네크부를 냉각시키고, 블로우 업(blow-up) 비를 1.5∼2.8로 하고, 압출 수지의 온도를 210∼250℃로 하고, 압출 수지의 압력을 9.8∼13.7 ㎫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버블의 프로스트 라인보다 약간 상방에 설치된 제2 냉각 링에서 분출되는 냉각 공기에 의해, 상기 버블을 더 냉각시키는 동시에, 상기 제1 냉각 링과 상기 제2 냉각 링의 사이에 설치된 원통형 네트의 주위 온도를 일정하게 냉각시킴으로써, 상기 제1 냉각 링 및 상기 제2 냉각 링에 의한 버블의 냉각 온도를 안정화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네트의 하부에 설치된 냉각 공기 분출 장치에서 분출되는 가습 공기를, 상기 원통형 네트의 외면을 따라 블로잉(blowing)함으로써, 상기 네트의 주위를 냉각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2 냉각 링의 약간 상방에 설치된 제3 냉각 링을 이용하여 상기 버블을 더 냉각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제2 냉각 링 및 상기 제3 냉각 링의 냉각 공기로서 가습 공기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가습 공기의 온도는 15∼25℃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직선적 이열성(易裂性)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필름은 상기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필름의 적어도 한쪽 면에 실질적으로 평행한 선형 흔적이 전면에 걸쳐 형성되어 있고, 임의의 부위로부터 상기 선형 흔적을 따라 실질적으로 직선적으로 찢을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선형 흔적의 깊이는 상기 필름 두께의 1∼40%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선형 흔적의 깊이는 0.1∼10 ㎛이고, 상기 선형 흔적의 폭은 0.1∼10 ㎛이며, 상기 선형 흔적 간 간격은 10∼200 ㎛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직선적 이열성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필름은 단층 필름 또는 적층 필름 중 어느 형태를 취할 수 있다. 상기 직선적 이열성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필름을 적층 필름으로 하는 경우, 상기 선형 흔적을 갖는 필름으로 이루어진 적어도 하나의 층, 및 열 실링성 필름으로 이루어진 층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직선적 이열성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필름은 세라믹 또는 금속이 증착되어 있을 수도 있으며, 전술한 바와 같은 증착에 의해 가스 배리어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직선적 이열성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필름으로 이루어지는 포장재 및 포장 봉지는 이열성을 요하는 용도에 적절히 이용된다.
또한, 본 발명의 다공성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필름은 복수 개의 미세한 관통공 및/또는 미관통공이 균일하게 형성되어 있어, 이열성 및 비틀림성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미세 구멍은 평균 개구 직경이 0.5∼100 ㎛이고, 밀도가 약 500개/㎠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다공성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필름을 포함하는 포장재는 비틀림성을 요하는 용도에 적절히 이용된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선의 형태)
[1] 형상 기억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적층 필름의 층 구성
본 발명의 형상 기억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PBT) 적층 필름은, (a) PBT 필름층; 및 (b) 종이 시트, 제2 수지 필름, 및 금속박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이하, 간단히 "제3 필름 또는 필름 적층체"라고 칭함)을 포함한다.
(1)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필름
상기 PBT 필름은 기본적으로, 1,4-부탄디올과 테레프탈산으로 이루어진 포화 폴리에스테르 필름이다. 상기 PBT 필름은 내열수축성 등의 물성을 해치지 않는 범위에서, 1,4-부탄디올 이외의 디올 성분, 또는 테레프탈산 이외의 카르복시산 성분을 공중합 성분으로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디올 성분을 예시하면, 에틸렌글리콜, 디에틸렌글리콜, 네오펜틸글리콜, 1,4-사이클로헥산메탄올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상기 디카르복시산 성분을 예시하면, 이소프탈산, 세바신산(sebacic acid), 아디프산, 아젤라산, 숙신산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PBT 필름을 구성하는 PBT 수지를 구체적으로 예시하면, 도오레(주)로부터 상품명 "토레콘"으로 시판되고 있는 호모 PBT 수지를 들 수 있다.
상기 PBT 수지는 PBT만으로 이루어진 경우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효과를 저해하지 않은 범위에서 목적에 따라 제2의 열가소성 수지를 함유할 수도 있다. 상기 PBT 수지에 함유될 수 있는 제2 수지를 예시하면,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 폴리에틸렌 나프탈레이트(PEN) 등의 폴리에스테르; 폴리페닐렌설파이드(PPS); 폴리아미드(PA); 폴리이미드(PI); 폴리아미드이미드(PAI); 폴리에테르설폰(PES); 폴리에테르에테르케톤(PEEK);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우레탄; 플루오르 수지;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등의 폴리올레핀; 폴리염화비닐; 탄성체(elastomer)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PBT 수지가 제2 수지를 함유하는 경우, 상기 제2 수지의 비율은 PBT 수지 전체를 100 질량%로 할 때, 5∼20 질량%인 것이 바람직하고, 5∼15 질량%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며, 5∼10 질량%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따라서, 별도의 언급이 없는 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 "PBT 수지"는 PBT 단체(單體), 및 PBT+다른 수지의 조성물 모두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해야 한다.
상기 PBT 필름은 형상 기억 PBT 적층 필름의 용도에 따라서, 가소제, 산화 방지제나 자외선 흡수제 등의 안정제, 대전 방지제, 계면활성제, 염료나 안료 등의 착색제, 유동성 개선을 위한 윤활재, 결정화 촉진제(핵제), 무기 충전재 등도 적절히 함유할 수 있다.
또한, 상기 PBT 필름의 두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나, 실용적으로는 약 5∼50 ㎛로 하는 것이 적절하다. 상기 PBT 필름의 두께를 약 5 ㎛ 미만으로 하는 것은 기술적으로 곤란하여, 높은 비용이 소요된다. 또한, 상기 PBT 필름의 두께를 약 50 ㎛보다 두껍게 하는 경우에는 필름 가격이 높아지기 때문에, 얻어지는 형상 기억 PBT 적층 필름의 용도가 제한된다.
상기 PBT 필름의 제조 방법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인플레이션 성형법 또는 캐스트법을 이용하여 제조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후술할 인플레이션 성형법 또는 캐스트법 중 어느 한 방법에 따라서 제조된 것이다.
(2) 제3 필름 또는 필름 적층체
(a) 종이 시트
형상 기억 PBT 적층 필름을 즉석 식품용 용기의 덮개로서 적용하는 경우, 상기 적층 필름이, 데드 홀드성 부여층으로서 종이 시트로 이루어진 층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이용되는 종이 시트의 종이 종류는 제한되지 않으며, 합성지도 포함된다. 상기 종이 시트의 두께는 약 60∼110 g/㎡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약 75∼90 g/㎡으로 한다. 상기 종이 시트의 두께가 약 60 g/㎡ 미만인 경우에는, 상기 종이 시트의 허리 부분이 지나치게 약하여, 충분한 데드 홀드성을 부여할 수 없다. 한편, 상기 종이 시트의 두께가 약 110 g/㎡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고비용이 소요될 뿐, 데드 홀드성의 향상은 나타나지 않는다.
(b) 실런트 필름
본 발명의 형상 기억 PBT 적층 필름을 즉석 식품용 용기의 덮개로서 적용하는 경우, 용기 본체의 상단 플랜지부에 열 밀봉되는 실런트 필름을 형성한다. 상기 실런트 필름은 폴리에틸렌 필름, 무연신 폴리프로필렌 필름, 아이오노머 수지 필름, 폴리스티렌 필름 등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덮개를 용기 본체로부터 용이하게 박리할 수 있도록, 상기 실런트 필름이 쉽게 박리되는 성질(easy-peeling property)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실런트 필름은 비교적 약한 열 접착성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는 열 밀봉용 재료로서 공지된 핫멜트(hot melt)를 이용할 수도 있다.
상기 실런트 필름으로서, 예를 들면, 종이 시트측 폴리에틸렌 베이스 필름과, 용기 본체의 상단 플랜지부측의 저분자량 폴리에틸렌 필름의 적층 필름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폴리에틸렌 베이스 필름의 두께는 약 10∼40 ㎛이 바람직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약 20∼30 ㎛이다. 또한, 상기 저분자량 폴리에틸렌 필름의 두께는 약 5∼20 ㎛이 바람직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약 7∼15 ㎛이다. 상기 적층 폴리에틸렌 필름을 예시하면, 760FD(도오레 합성 필름(주) 제조)로서 시판되고 있는 것을 들 수 있다. 또한, 상기 실런트 필름으로서, 에틸렌-아세트산비닐 공중합체(EVA)와 폴리에틸렌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필름을 사용할 수도 있다. 상기 혼합물로 이루어진 필름에 있어서, 상기 폴리에틸렌으로서는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LLDPE)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혼합물로 이루어진 필름의 두께는 약 10∼40 ㎛이 바람직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약 20∼30 ㎛이다. 또한, 상기 핫멜트층의 두께는 10∼50 ㎛이 바람직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20∼40 ㎛이다.
아울러, 상기 실런트 필름으로서, 일본 특원 2002-183197호에 기재된 것을 사용할 수도 있다. 일본 특원 2002-183197호에 기재된 실런트 필름은 에틸렌과 탄소수 3∼18의 α-올레핀을 공중합하여 얻어지며, 밀도(JIS K6922)가 0.870∼0.910 g/㎤이고, MFR(JIS K6921,190℃, 2.16 ㎏ 하중)이 1∼100 g/10분인 직쇄형 에틸렌ㆍα-올레핀 공중합체 및 폴리스티렌을 포함하는 수지 조성물로 이루어진 것이다. 상기 실런트 필름을 이용함으로써, 용기 본체의 밀봉면이 폴리에틸렌 또는 폴리스티렌 중 어느 것이라도, 본 발명의 덮개를 열 밀봉함으로써 밀봉성과 용이한 개봉성을 모두 갖춘 멀티 실런트층을 형성할 수 있다.
(c) 강성 필름
본 발명에서는 형상 기억 PBT 적층 필름의 강성을 증대시키기 위해, 상기 적층 필름에 강성 필름을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이용되는 강성 필름을 예시하면, PET 필름, 2축 연신 폴리프로필렌 필름(OPP 필름), 나일론 필름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PET 필름으로서, 1축 배향 또는 배향도가 다른 2축 배향의 PET 필름은 상기 형상 기억 PBT 적층 필름에 이열성이 필요한 경우에 유리하게 이용된다. 상기 1축 배향 또는 배향도가 다른 2축 배향의 PET 필름으로서 예를 들면, "엠블렛트 PC"(유니티카(주) 제조)가 있다.
(d) 차광성 잉크층
상기 형상 기억 PBT 적층 필름에 차광성이 필요한 경우, 차광성 잉크층 또는 금속박층을 형성한다. 본 발명에 이용되는 차광성 잉크를 예시하면, 카본 블랙과 같은 흑색 또는 어두운 색의 안료 또는 염료를 포함하는 잉크를 들 수 있고,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적층 필름에 상기 차광성 잉크층을 형성하는 경우, 소각 처리 시의 환경에 대한 악영향을 피할 수 있으며, 아울러, 상기 형상 기억 PBT 적층 필름을 즉석 식품용 용기의 덮개로서 적용하는 경우에, 밀봉 후에 금속 탐지기를 이용하여 금속계 이물을 탐지할 수 있다. 이로써, 즉석 식품의 안전성을 한층 더 높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금속 탐지기를 이용할 수 있기 때문에 검사 비용을 현저하게 저감할 수 있다. 또한, 금속박층을 갖는 형상 기억 PBT 적층 필름을 즉석 식품용 용기의 덮개로서 이용하는 경우, 상기 금속박으로서 알루미늄박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같은 알루미늄박층을 적용함으로써, 우수한 차광성 이외에도 가스 배리어성 및 보향성을 얻을 수 있다.
상기 차광성 잉크층의 두께는 잉크 중의 흑색 안료 또는 염료의 농도에 의존하지만, 일반적으로 자외선 및 가시광선을 충분히 차단할 수 있는 정도면 된다. 또한, 상기 알루미늄박의 두께는 3∼15 ㎛인 것이 바람직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7∼12 ㎛이다.
(3) 층 구성의 일례
도 1∼도 4는 형상 기억 PBT 적층 필름을 즉석 식품용 용기의 덮개용 포장재로서 이용하는 경우의 층 구성을 도시한 것이다. 도 1에 도시한 적층 필름(1)은, 기본 구성으로서 PBT 필름층(2), 종이 시트(3), 및 실런트 필름(4)을 갖는 층 구성을 나타낸다. 상기 PBT 필름층(2)과 종이 시트(3)의 사이에는 접착제층(6)과 압출 라미네이션된 폴리에틸렌층(Ⅰ)(5)으로 이루어진 접착층(I)이 형성되어 있고, 종이 시트(3)와 실런트 필름(4)의 사이에는 접착제층(6')과 압출 라미네이션된 폴리에틸렌층(Ⅱ)(5')으로 이루어진 접착층(Ⅱ)이 형성되어 있다. 도 1에 도시한 층 구성예의 경우, PBT 필름(2) 및 접착층(Ⅰ)(5 및 6)으로 이루어진 외측층과, 접착층(Ⅱ)(5' 및 6') 및 실런트 필름(4)으로 이루어진 내측층의 층 두께비가 외측층/내측층=100/35∼100/100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PBT 필름(2)의 컬링성 및 데드 홀드성을 유효하게 할 수 있다. 여기서, "외측" 및 "내측"이란, 형상 기억 PBT 적층 필름을 즉석 식품용 용기 등의 덮개로서 이용하는 경우에 있어서, 용기에 대한 외측 및 내측을 의미한다.
도 2는, 형상 기억 PBT 적층 필름의 강성을 증대시키기 위해서 종이 시트(3)와 실런트 필름(4)의 사이에 강성 필름(7)을 형성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또한, 도 2에서 5"는 압출 라미네이션된 폴리에틸렌층(Ⅲ)을 나타내고, 6"은 접착제층( Ⅲ)을 나타낸다.
도 3은, 양호한 차광성을 부여하기 위해서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층(7)의 내측면에 차광성 잉크층(8)을 형성한 예를 나타낸다. 차광성 잉크층(8)은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 필름에 미리 인쇄해 두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차광성 잉크층(8)을 PBT 필름층(2)의 내측에 형성하거나, 또는 종이 시트(3)의 한쪽 면(예를 들면. 종이 시트(3)의 내측)에 형성할 수 있다. 도 4에 도시한 적층 필름은 차광성을 부여하는 층으로서, 금속박층(9)을 갖는다.
도 5 및 도 6은, 형상 기억 PBT 적층 필름을, 젤리, 푸딩 등의 반고체상 식품을 수용하는 용기의 덮개용 포장재로서 이용하는 경우의 층 구성을 도시한 것이다. 도 5에 도시한 적층 필름은 기본 구성으로서, PBT 필름층(2), 강성 필름(7), 및 실런트 필름(4)을 갖는다. PBT 필름층(2)과 강성 필름(7)의 사이에는 접착제층(예를 들면. 핫멜트층)(6)이 형성되어 있고, 종이 시트(3)와 실런트 필름(4)의 사이에는 접착제층(예를 들면, 핫멜트층)(6')이 형성되어 있다. 도 6은 양호한 차광성을 부여하기 위해서 강성 필름(7)의 내측면에 차광성 잉크층(8)을 형성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반고체상 식품을 수용하는 용기에 사용되는 덮개는 즉석 식품용 용기에 이용되는 덮개에 요구되는 주입 후의 재밀봉성이 요구되지 않기 때문에, 데드 홀드성이 강한 종이 시트나 알루미늄박을 갖지 않는 것이 많다. 단, PBT 필름과 폴리에틸렌 필름의 2층만을 접착하여 적층 필름을 구성하는 경우에는, PBT 필름이 제1 형상으로 회복시키고자 해도, 폴리에틸렌 필름에 변형이 쉽게 흡수되기 때문에, 형상 회복성이 불충분하게 될 우려가 있다. 따라서, PBT 필름층과 폴리에틸렌 필름층을 갖는 형상 기억 PBT 적층 필름을 제조하는 경우에는 PBT 필름층과 폴리에틸렌 필름층의 사이에 상기 강성 필름층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2] 형상 기억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적층 필름의 제조 방법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형상 기억 PBT 적층 필름의 제조 방법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1) 제1 제조 방법
형상 기억 PBT 적층 필름의 제1의 제조 방법은, (a) 상기 PBT 필름, 및 제3 필름 또는 필름 적층체가 적층된 적층 필름을 제1 형상으로 유지시키면서, 상기 PBT의 Tg 이하의 온도(T1)에서 부형 처리하는 단계, (2) 얻어진 부형 적층 필름을 상기 Tg보다 높은 온도(T2)에서 제2 형상으로 변형 가공하는 단계, 및 (3) 상기 Tg 이하의 온도(T3)로 냉각시킴으로써, 상기 제2 형상으로 고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하, 제1 형상을 컬 형상으로, 제2 형상을 평탄한 형상으로 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도 7은 형상 기억 PBT 적층 필름을 제조하기 위한 장치의 일례를 도시한 개략적 측면도이다. 상기 PBT 필름 원판을 감은 릴(20)로부터 되감은 PBT 필름(2)은 가이드 롤(100)을 거쳐, 그라비어 롤(101, 101)에 의해 한쪽 면에 접착제(예를 들면, 핫멜트)(6)가 도포되어, 건조로(102)에서 상기 접착제층을 건조한다. 그런 다음, 압력 조정 롤(103)을 거쳐, 다이(104)로부터 압출한 용융 폴리에틸렌(5)을 사이에 두고, 릴(12)로부터 되감은 제3 필름 또는 필름 적층체(13)를 접착제층에 포개면서 냉각 롤(105)과 고무 롤(105')의 사이를 통과시킨다(압출 라미네이션). 전술한 바와 같이 하여 얻은 적층 필름을, 냉간 가공 롤(106)로 반송하면서, PBT의 Tg 이하의 온도 T1에서 부형 처리한다. 이러한 부형 처리에 의해 상기 적층 필름의 PBT 필름층에 컬링성을 부여할 수 있다. 컬 형상을 부형한 적층 필름(컬링성 적층 필름)(10)을 히터(108)를 이용하여 Tg보다 높은 온도 T2에서 급속하게 어닐링하면서, 2개의 닙 롤(닙 롤)(107, 107')로 평탄하게 변형 가공한 다음, 냉각 롤(109)과 접촉시킴으로써, 상기 Tg 이하의 온도 T3로 냉각시킨다. 이렇게 함으로써, 상기 적층 필름을 평탄한 형상으로 고정할 수 있다. 그런 다음, 상기 컬링성 적층 필름을, 릴을 이용하여 그 반대 컬 방향으로 권취하여, 와인딩 필름(11)(형상 기억 PBT 적층 필름(1))으로 한다. 본 명세서에서, 컬링성이란, 형상 기억 PBT 적층 필름(1)을 뒤로 젖혔을 때에 그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데드 홀드성과는 달리, 컬 형상을 부형한 온도 이상의 온도에 형상 기억 PBT 적층 필름(1)을 노출시킴으로써, 컬 형상을 부형한 후에 부여된 제2 형상(평탄한 형상, 반대 컬 형상 등)에서 컬 형상으로 회복할 수 있는(형상 기억 PBT 적층 필름(1)을 뒤로 젖힐 수 있는) 성질을 의미한다.
냉간 가공 온도 T1은 반드시 PBT의 Tg 이하의 온도이어야 하며, 바람직하게는 35℃ 이하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15∼25℃이다. 상기 어닐링 공정을 수행한 이후의 컬링성 적층 필름(10)을 냉각시키는 온도 T3는 반드시 상기 Tg 이하의 온도라야 하지만, 15∼25℃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PBT 필름은 일반적으로 약 20∼45℃의 Tg를 갖는다. Tg는 JIS K7121에 따라 측정할 수 있다.
Tg보다 높은 온도 T2에서, 컬링성 적층 필름을 평탄하게 변형 가공하는 어닐링 처리는, 냉간 가공에 의해 부여한 컬링성을 잃지 않을 정도로 행할 필요가 있다. 이 때문에 온도 T2는 45℃보다 높고 65℃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이 온도범위까지 급속히 가열한 다음에 변형 가공하고, 30∼60초간 어닐링한다. 2개의 닙 롤 사이(107, 107')에서 평탄하게 유지하기 위해서 거는 장력은 5∼10 ㎏f/m폭으로 한다. 또한 온도 T2에서의 어닐링 처리 후, 온도 T3로 급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7에서는, 히터(108, 108)에 의해 컬링성 적층 필름(10)의 양면에서 가열하고 있지만, 컬링성 적층 필름(10)의 PBT 필름층측에만 히터(108)를 설치할 수도 있다. 히터(108)로부터 나오는 가열 공기를, 노즐을 이용하여 컬링성 적층 필름(10)의 PBT 필름층에 블로잉할 수도 있다.
도 7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컬링성 적층 필름(10)을 온도 T3까지 냉각한 후, 그의 반대 컬 방향으로(제3 필름 또는 필름 적층체층을 내측으로 하여) 권취하지만, 냉간 가공에 의해 부여한 컬링성을 잃지 않고, 또한 컬 형상의 회복을 최대한 억제하기 위해서, 권취 온도 및 권취한 상태로 보관하는 온도는 T1 부근의 온도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써 형상 기억 PBT 적층 필름(1)을 평탄한 상태로 유지할 수 있기 때문에, 와인딩 필름(11)(형상 기억 PBT 적층 필름(1))을 되감았을 때의 컬링성 적층 필름(10)은 거의 평탄하다.
형상 기억 PBT 적층 필름을 즉석 식품용 용기나 반고체상 식품용 용기의 덮개에 이용하는 경우, PBT 필름에 적층하는 제3 필름 또는 필름 적층체는, 형상 기억 PBT 적층 필름이 상기 [1](3)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층 구성이 되도록, 미리 제작해 둔다. 제3 필름 또는 필름 적층체(13)는, 압출 라미네이션법 또는 드라인 라미네이션법 중 어느 방법으로든 형성해도 되지만, 압출 라미네이션법에 의해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냉간 가공롤(106)에 적층 필름을 감는 방법에 관해서는,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적층 필름의 감김 방향과 풀림 방향이 이루는 각도 θ1을 45∼60°의 범위가 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써 PBT 필름(2)에 충분한 컬링성을 부여할 수 있다. 각도 θ1을 원하는 값으로 하기 위해서는, 냉간 가공롤(106)과 압력 조정롤(103')의 위치 관계를 적절하게 조정하면 된다. 냉간 가공롤(106)의 직경은 20∼80 ㎝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써 PBT 필름(2)에 충분한 컬링성을 부여할 수 있다. 통상 냉간 가공롤(106)의 주속(周速)은 30∼100m/분으로 한다.
PBT 필름(2)과 제3 필름 또는 필름 적층체(13)를 냉각롤(105), 고무롤(105')의 사이를 통해서 접착할 때, 압력 조정롤(103)에 의해, PBT 필름(2)에 통상 4 ㎏f/m폭 이상의 장력을 걸면서 행한다. 특히 PBT 필름(2)에 10∼20 ㎏f/m폭의 장력을 부여함으로써, PBT 필름(2)을 탄성신축 가능한 신장률로, 길이 방향으로 연신하면서 제3 필름 또는 필름 적층체(13)에 접착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PBT 필름(2)에 탄성 복원력을 유지시킨 신장 상태에서 제3 필름 또는 필름 적층체(13)에 접착할 수 있다. 탄성 복원력을 유지한 신장 상태란, PBT 필름(2)의 연신을 고정하는 힘을 해제했을 때, PBT 필름(2)이 원래 형상으로 수축하려고 하는 힘을 유지하고 있는 상태를 말한다. 이로 인하여 형상 기억 PBT 적층 필름(1)의 컬링성을 한층 향상할 수 있다. 탄성신축 가능한 신장률이란, 일반적으로 연신에 의해 PBT 필름에 외관상 주름이 생기지 않을 정도로 약 1∼3% 늘린 신장률이다.
도 7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PBT 필름(2)의 한쪽 면에만 제3 필름 또는 필름 적층체(13)를 접착하지만, PBT 필름(2)의 양면에 제3 필름 또는 필름 적층체(13)를 접착한 뒤에, 컬링성을 부여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8은, 형상 기억 PBT 적층 필름을 제조하는 장치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개략적 측면도이다. 또, 도 7에 나타내는 실시예와 동일한 부재 또는 부분에는 동일한 참조 번호가 부여되어 있다. 이 예에서는, PBT 필름(2)과 제3 필름 또는 필름 적층체(13)를, 드라인 라미네이션법에 의해 접착하는 것 이외에는 도 7에 나타내는 예와 동일하다. 접착제층이 설치된 PBT 필름(2)은, 압력 조정롤(103)을 거쳐, 제3 필름 또는 필름 적층체(13)를 접착제층에 중첩하면서 한 쌍의 가열 롤(110, 110) 사이로 통과한다. 단, 강한 접착강도를 요하는 경우는, 도 7에 나타내는 압출 라미네이션법에 의해 PBT 필름(2)과 제3 필름 또는 필름 적층체(13)를 접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에, 형상 기억 PBT 적층 필름의 제1 형상으로서 트레이 형상, 제2 형상으로서 평탄한 형상으로 하는 경우의 예를 설명한다. 도 9는, 이러한 형상 기억 PBT 적층 필름을 제조하는 장치의 일례를 나타낸다. 또한, 도 7에 나타내는 실시예와 동일한 부재 또는 부분에는 동일한 참조 번호가 부여되어 있다. 우선, PBT 필름과 제3 필름 또는 필름 적층체를 압출 라미네이션법 또는 드라인 라미네이션법에 의해 접착하고, PBT 필름의 한쪽 면 또는 양면에 제3 필름 또는 필름 적층체를 가진 적층 필름을 형성한다. 얻어진 적층 필름(14)을, 압력 조정롤(103, 103)로 송출하여, 트레이 형상을 부여하는 가압주형(111)을 누르면서 상기 온도 T1로 냉간 가공하여, 가압주형(111)의 외형을 따른 모양을 단속적(斷續的)으로 부여한다. 얻어진 부형 적층 필름(15)을, 한 쌍의 어닐링용 롤(112, 112) 사이로 통과시켜, 상기 온도 T2에서 어닐링함으로써 거의 평탄화하고, 계속해서 냉각 장치(113, 113)에 의해 상기 온도 T3까지 냉각한다. 거의 평탄화된 변형적층 필름(15)을, 릴(16)로부터 되감은 코트용 필름(17)과 적층화하면서, 가압주형(111)과 동형의 권취롤(114)로 권취하여 와인딩 필름으로 한다. 이것에 의해 가압주형(111)의 외형에 따른 변형은 잠재화되어 겉보기 변형이 없는 적층 필름이 된다. PBT 필름(2)에 가압주형(111)을 누르면서 행하는 온도 T1에서의 냉간 가공은 10∼60초 행하면 된다. 또한, 도 9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트레이형의 가압주형(111)을 이용하고 있지만, 적당한 형상 기억시키고자 하는 형상의 가압주형을 이용할 수 있다.
(2) 제2의 제조 방법
형상 기억 PBT 적층 필름의 제2의 제조 방법은, (a)(i) 상기 PBT 필름과 제3 필름 또는 필름 적층체의 적층 필름을 미리 제작하여, 이것을 제1 형상으로 유지하면서 Tg보다 높고 융점 미만인 온도 T4에서 부형 처리하거나, (ii)상기 PBT 필름을 제1 형상으로 유지하면서 상기 온도 T4에서 부형 처리한 후 제3 필름 또는 필름 적층체와 적층함으로써 제1 형상을 가진 적층 필름을 제작하고, (b) 얻어진 부형 적층 필름을 Tg 이하의 온도 T5까지 냉각하여 제1 형상으로 고정하여, (c) 계속해서 상기 부형 적층 필름을, Tg보다 높고 온도 T4 미만인 온도 T6에서 제2 형상으로 변형 가공한 후, (d) Tg 이하의 온도 T7까지 냉각하여 제2 형상으로 고정하는 공정을 포함한다.
PBT 수지의 Tg는 22∼45℃과 실온에 가깝게, Tg 이상으로의 가열, Tg 미만으로의 냉각 조작이 용이하다. 또한 융점이 약 230℃로 높기 때문에, Tg에서 융점까지의 온도 범위가 넓고, 온도 T4와 온도 T5의 차이를 크게 할 수 있다. 그러므로 상기 (A∼D)의 조작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이하, 제1 형상으로서 컬 형상, 제2 형상으로서 평탄한 형상으로 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도 10은, 형상 기억 PBT 적층 필름을 제2의 제조 방법에 의해 제조하는 장치의 일례를 나타낸다. 이 예에서는 미리 컬링성을 부여한 부형 PBT 필름에 제3 필름 또는 필름 적층체를 접착한다. PBT 필름(2)의 일면에 접착제(6)를 도포하고, 건조로(102)에서 접착제층을 건조하는 단계까지의 공정은, 도 7에 나타내는 예와 동일하다.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접착제층을 건조한 후의 PBT 필름(2)을 압력 조정롤(103)로 송출하여, 접착층을 갖지 않은 면을 접촉면으로 하고, 부형용 가열 롤(115)로 반송하면서 상기 온도 T4로 처리함으로써 컬링성을 부여한다. 그 후, 제3 필름 또는 필름 적층체(13)를 PBT 필름(2)의 접착층에 중첩시키면서, 가열 롤(115)과, 그것에 접촉하는 롤(115') 사이를 통과시킴으로써 양자를 접착한다. 얻어진 컬링성 적층 필름(10)을, 냉각롤(109)과 접촉시킴으로써 상기 Tg 이하의 온도 T5까지 냉각하고, 계속해서 반대 컬 방향으로 릴에 의해 권취하여, 와인딩 필름(11)으로 한다. 얻어진 와인딩 필름(11)을, 상기 Tg보다 높고 온도 T4 미만인 온도 T6로 가열 처리하고, 계속해서 상기 Tg 이하의 온도 T7까지 냉각함으로써 형상 기억 PBT 적층 필름(1)을 얻는다. 와인딩 필름(11)으로 한 다음, 온도 T6에서 가열 처리하고, 계속해서 온도 T7까지 냉각함으로써 상기 적층 필름의 컬 형상을 잠재화하여, 겉보기상 거의 평탄한 적층 필름으로 한다. 와인딩 필름(11)을 가열 또는 냉각하는 수단에 한정은 없고, 예를 들면 조(槽) 중에 와인딩 필름(11)을 넣고, 조의 주위를 히터로 가열하거나, 냉각 장치로 냉각하거나 하는 방법을 들 수 있다.
가열 롤(115)에서의 가열 온도 T4는, PBT의 Tg보다 높고 융점보다 낮은 온도인 것을 필수로 하지만, 75∼100℃인 것이 바람직하고, 90∼100℃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냉각롤(109)에서의 냉각 온도 T5는 상기 Tg 이하의 온도인 것이 필수적이지만, 4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컬링성 적층 필름(10)의 냉각은, 냉각롤(109)을 이용하는 대신에 냉각 공기를 이용할 수도 있다. 와인딩 필름(11)의 가열 온도 T6는, 상기 Tg보다 높고 온도 T4 미만인 것을 필수로 하지만, 45∼65℃인 것이 바람직하고, 45∼50℃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온도 T6에서의 가열 처리는, 약 24시간 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와인딩 필름(11)을 가열 처리한 후의 냉각 온도 T7은 상기 Tg 이하인 것을 필수로 하지만, 4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도 10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제2 형상으로서 거의 평탄한 형상으로 하기 위해서, 컬링성 적층 필름의 반대 컬 방향으로(제3 필름 또는 필름 적층체층을 내측으로 하여) 권취하지만, 이것에 의해 필름을 효율적으로 평탄화할 수 있다.
가열 롤(115)에 대한 PBT 필름(2)의 감는 방법에 관해서는, 도 10에 나타내는 PBT 필름(112)의 감김 방향과 풀림 방향이 이루는 각도 θ2를 45∼60°의 범위가 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에 의해 PBT 필름(2)에 충분한 컬링성을 부여할 수 있다. 각도 θ2를 원하는 값으로 하기 위해서는, 가열 롤(115)과 압력 조정롤(103, 103)의 위치 관계를 적절하게 조정하면 된다. 가열 롤(115)의 직경은 60∼80 ㎝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에 의해 PBT 필름(2)에 충분한 컬링성을 부여할 수 있다. 통상 가열 롤(115)의 주속은 30∼100m/분으로 한다.
상기 (1)로 제1의 제조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PBT 필름(2)과 제3 필름 또는 필름 적층체(13)를 가열 롤(115)과 접촉롤(115')의 사이를 통과시킴으로써 접착할 때, 한 쌍의 압력 조정롤(103, 103)에 의해, PBT 필름(2)에 통상 4 ㎏f/m폭 이상의 장력을 걸면서 행한다. 제1의 제조 방법과 같이, PBT 필름(2)에 10∼20 ㎏f/m폭의 장력을 거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1은, 형상 기억 PBT 적층 필름을 제2의 제조 방법에 의해 제조하는 장치의 다른 예를 나타낸다. 또, 도 7에 나타내는 실시예와 동일한 부재 또는 부분에는 동일한 참조 번호가 부여되어 있다. 이 예에서는, PBT 필름을 포함하는 적층 필름을 미리 제작한 후, 그 PBT 필름층에 컬링성을 부여한다. PBT 필름(2)과 제3 필름 또는 필름 적층체(13)를 한 쌍의 가열 롤(110, 110)에 의해 접착할 때까지의 공정은, 도 8에 나타내는 예와 동일하다. 얻어진 적층 필름을, 가열 롤(115)로 반송하면서 PBT의 Tg보다 높고 융점보다 낮은 온도 T4로 부형한다. 이것에 의해 적층 필름의 PBT 필름층에 컬링성을 부여할 수 있다. 얻어진 컬링성 적층 필름(10)을, 냉각롤(109)과 접촉시킴으로써 상기 Tg 이하의 온도 T5까지 냉각하고, 계속해서 반대 컬 방향으로 릴에 의해 권취하여, 와인딩 필름(11)으로 한다. 얻어진 와인딩 필름(11)을,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Tg보다 높고 온도 T4 미만인 온도 T6로 가열 처리하고, 계속해서 상기 Tg 이하의 온도 T7까지 냉각함으로써 형상 기억 PBT 적층 필름(1)을 얻는다.
도 11에 나타내는 실시예에 있어서, 온도 T4∼T7에 관한 요건은 도 10에 나타내는 실시예와 동일하다. 적층 필름(10)의 감김 방향과 풀림 방향이 이루는 각도 θ3는 45∼60°의 범위인 것이 바람직하다. 도 11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PBT 필름(2)의 한쪽 면에만 제3 필름 또는 필름 적층체(13)를 접착하지만, PBT 필름(2)의 양면에 제3 필름 또는 필름 적층체(13)를 접착한 뒤에, 형상 기억성을 부여하는 것도 가능하다.
제2의 제조 방법에 의해서도, 제1 형상으로서 트레이 형상으로 하여, 제2 형상으로서 평탄한 형상으로 만든 형상 기억 PBT 적층 필름을 제조할 수 있다. 그 경우의 제조 장치는 도 9에 나타내는 것과 동일할 수도 있으므로, 도 9에 의해 설명한다. 우선 PBT 필름과 제3 필름 또는 필름 적층체를 접착하여, PBT 필름의 한쪽 면 또는 양면에 제3 필름 또는 필름 적층체를 가진 PBT 적층 필름을 제작한다. 얻어진 적층 필름(14)은, 한 쌍의 압력 조정롤(103, 103)을 거쳐, 트레이 형상을 부여하는 가압주형(111)을 누르면서 PBT의 Tg보다 높고 융점보다 낮은 온도 T4로 가열 처리하고, 가압주형(111)의 외형에 따른 모양을 단속적으로 부여한다. 얻어진 부형 적층 필름(15)을, 가압주형(111)의 후단에 설치한 냉각용 트레이형 가압주형 또는 냉각 공기와 접촉시켜 상기 Tg 이하의 온도 T5까지 냉각하고, 계속해서 한 쌍의 가열 롤(112, 112) 사이로 통과시킴으로써, 상기 Tg보다 높고 온도 T4 미만인 온도 T6로 가열 처리하고, 계속해서 냉각 장치(113, 113)에 의해 상기 Tg 이하의 온도 T7까지 냉각함으로써 평탄화한다. 적층 필름(14)에 가압주형(111)을 누르면서 행하는 온도 T4에서의 가열 처리는, 10∼60초 행하면 된다.
[3] 형상 기억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적층 필름
상기 제1의 방법에 의해 얻어지는 형상 기억 PBT 적층 필름은, T1 이상의 온도에서 형상 회복능에 의해 실질적으로 제1 형상을 회복한다. PBT 필름이, 상기 어닐링 및 냉각 공정에서 제2 형상으로 고정되어도 T1 이상의 온도에서 제1 형상을 회복하는 이유는 명확하지 않지만, 예를 들면 온도 T1에서의 냉간 가공으로 고분자 사슬의 맞물림에 뒤틀림이 유지되고, 이 뒤틀림의 대부분은 온도 T2에서의 단시간 어닐링으로는 완화되지 않기 때문에, T1 이상의 온도에서 제1 형상을 회복한다고 생각된다.
상기 제2의 방법에 의해 얻어지는 형상 기억 PBT 적층 필름은, T4 이상의 온도에서 형상 회복능에 의해 실질적으로 제1 형상을 회복한다. PBT 필름이, 상기 가열변형 가공 및 냉각 공정에서 제2 형상으로 고정되더라도, T4 이상의 온도에서 제1 형상을 회복하는 이유는 명확하지 않지만, 예를 들면 온도 T4 이상에서는 고무형 영역이기 때문에 용이하게 가열 부형 처리되고, 온도 T5에서는 유리형 영역이기 때문에 변형이 고정되어, 온도 T6에서의 가열변형 가공으로 온도 T4에서의 변형의 일부가 완화되어 제2 형상이 되지만, 대부분의 분자 사슬의 배향은 변화되지 않기 때문에, T4 이상의 온도에서 제1 형상을 회복한다고 생각된다.
제1 형상을 회복하는 형상 회복능을 가진 형상 기억 PBT 적층 필름은 각종 포장재로서 유용하다. 특히 상기 [2]에서 설명한 방법에 의해 제조되는 컬 형상을 기억한 형상 기억 PBT 적층 필름은, 알루미늄박 등의 금속을 이용하지 않더라도 덮개를 충분히 컬시킬 수 있기 때문에, 즉석 식품용 용기의 덮개에 이용하는 포장재로서 적절하다. 즉석 식품용 용기를 제조할 때는, 형상 기억 PBT 적층 필름을 덮개재 밀봉 장치에 의해 펀칭 가공하여, 얻어진 덮개를 즉시 용기에 가열 밀봉한다. 가열 밀봉 시에는, 덮개의 실링부가 덮개재 밀봉 장치의 밀봉 헤드에 의해 통상 120∼160℃로 가열되지만, 그 때 덮개의 실링부 이외의 부분에도 열이 가해지기 때문에, 덮개는 T1 또는 T4 이상의 온도 조건 하에서 처리된다. 그러므로 덮개는 컬 형상을 회복하여, 용기에 밀봉되어 있는 동안에는 평탄하지만, 용기로부터 박리됨으로써 컬 형상을 나타낸다. 특히 전술한 바와 같이 PBT 필름의 탄성 복원력을 유지한 신장 상태에서 종이 시트에 접착하면, 컬링성이 한층 향상된다.
[4] 형상 기억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적층 필름제 덮개를 구비한 용기의 제조 방법
이하 형상 기억 PBT 적층 필름제 덮개를 구비한 용기의 제조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상기 [2]에 기재된 방법에 의해 얻어지는 형상 기억 PBT 적층 필름(1)은, 그 제조 공정에 있어서 겉보기상 거의 평탄해지고, 또, 와인딩 필름(11)으로서 보관되어 있기 때문에, 이것을 감아낼 때에는 겉보기상 거의 평탄하다. 그러나 형상 회복 온도가 비교적 낮은 경우, 보관이 장기간에 걸치는 경우, 여름 철의 고온기에 실온에 노출된 경우 등에는, 보관 시에 서서히 컬 형상이 회복되거나, 보관 시의 권취에 의해 형상 기억에 의한 컬 형상과는 반대측으로 휘는 경향이 있는 경우가 있다.
형상 기억 PBT 적층 필름제 덮개를 구비한 용기는, 컬 형상을 기억시킨 형상 기억 PBT 적층 필름을 펀칭 가공하여, 용기에 가열 밀봉함으로써 제조하지만, 형상 기억 PBT 적층 필름을 감아낼 때 거의 평탄하지 않으면, 용기에의 가열 밀봉을 할 수 없거나, 할 수 있더라도 덮개가 휜 불량품이 되어 버린다. 따라서 덮개가 부착된 용기를 제조함에 있어서, 감아냈을 때 평탄하지 않은 형상 기억 PBT 적층 필름을, 가열 밀봉하기 직전에 거의 평탄하게 한다.
도 12는, 형상 기억 PBT 적층 필름제 덮개를 구비한 용기를 제조하는 장치의 일례를 나타내는 개략측면도이다. 와인딩 필름(11)으로부터 감아낸 형상 기억 PBT 적층 필름(1)을, 히터(117, 117)를 이용하여, PBT의 Tg를 넘는 온도 T8에서, 2개의 닙 롤(116, 116') 사이에서 평탄하게 유지하면서 어닐링하여, 겉보기상 거의 평탄하게 한다. 거의 평탄해진 형상 기억 PBT 적층 필름(1)을, 밀봉 헤드(121)가 상하 운동하는 덮개재 밀봉 장치(120)에 의해 펀칭 가공하여, 즉시 용기(140)에 가열 밀봉한다. 또, 필요에 따라 용기 내에 불활성 가스를 불어 넣을 수 있다.
단, 온도 T8에서의 어닐링은 형상 기억 PBT 적층 필름이 기억하고 있는 컬링성을 잃지 않을 정도로 행한다. 이로 인하여 온도 T8는 80∼120℃인 것이 바람직하고, 90∼100℃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형상 기억 PBT 적층 필름을 온도 T8까지 급속히 가열하고, 평탄하게 유지한 다음 30∼60초간 어닐링한다. 2개의 닙 롤 사이(116, 116')에서 평탄하게 유지하기 위해서 거는 장력은 5∼10 ㎏f/m폭으로 한다. 통상 형상 기억 PBT 적층 필름(1)의 주행 속도는 30∼100 m/분으로 한다. 도 12에서는, 히터(117, 117)에 의해 형상 기억 PBT 적층 필름(1)의 양면에서 가열하고 있지만, 형상 기억 PBT 적층 필름(1)이 한쪽 면에만 PBT 필름층을 가진 경우, 그 PBT 필름층측에만 히터(117)를 설치할 수도 있다. 히터(117)로부터 나오는 가열 공기를, 노즐을 이용하여 형상 기억 PBT 적층 필름(1)의 PBT 필름층에 블로잉해도 된다.
덮개의 펀칭 가공과 용기(140)에의 가열 밀봉은 간헐적으로 행하기 때문에, 형상 기억 PBT 적층 필름(1)이 가이드 롤(119)과 접촉 롤(122)의 사이에서 휘지 않고, 일정한 장력으로 유지되도록,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하 운동 가능한 휨방지용 롤(118)을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도 12에 있어서, (18)은 덮개를 펀칭한 후의 형상 기억 PBT 적층 필름(1)으로 이루어지는 와인딩 필름을 나타낸다.
가열 밀봉 시에는, 덮개의 실링부가 덮개재 밀봉 장치의 밀봉 헤드(121)에 의해 통상 120∼160℃로 가열되지만, 그 때 덮개의 실링부 이외의 부분에도 열이 가해지기 때문에, 덮개는 T1 또는 T4 이상의 온도 조건 하에서 처리된다. 그러므로 덮개는 컬 형상을 회복하여, 용기에 밀봉되어 있은 사이는 평탄하지만, 용기로부터 박리함으로써 컬 형상을 나타낸다.
[5] 식품용 용기
상기 [4]에서 설명한 제조 방법에 의해 얻어지는 용기의 덮개는, 용기로부터 박리함으로써 형상 기억에 의한 컬 형상을 나타낸다. 예를 들면, 형상 기억 PBT 적층 필름을, 즉석 식품용 용기의 덮개에 적용하는 경우,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덮개(1)의 탭부(130)를 가지고 덮개(1)를 용기 본체(140)로부터 마크(131)까지 박리하면, 개봉에 의해 생긴 플랩부는, 알루미늄층을 갖지 않더라도 충분히 컬링된 채로 유지된다. 특히 전술한 바와 같이 PBT 필름의 탄성 복원력을 유지한 신장 상태로 종이 시트에 접착되어 있으면, 컬링성이 한층 향상된다. 형상 기억 PBT 적층 필름을, 즉석 식품용 용기의 덮개에 적용하는 경우, 그 층 구성으로서는 상기 [1](3)에서 설명한 도 1∼도 4에 나타내는 것이 바람직하다.
후술하는 선형 흔적을 형성한 PBT 필름층을 가진 형상 기억 PBT 적층 필름을 즉석 식품용 용기의 덮개에 적용한 경우,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단면(132, 132)을 탭부(130)의 양측에 설치함으로써, 덮개(1)를 용이하게 부분 개봉할 수 있다. 덮개(1)의 탭부(130)를 손가락으로 잡아 덮개(1)의 반대측으로 잡아당기면, 단면(132, 132)으로부터 덮개(1)는 직선적으로 찢어지고, 덮개(1)에 개구부(133)가 나온다. 인열에 의해 생긴 플랩부(134)는 충분히 컬링된 채로 유지된다. 따라서 그대로 열탕을 개구부(133)에 주입하면 된다.
열탕을 주입한 후, 플랩부(134)를 원래의 위치로 되돌리면, 플랩부(134)의 편측 또는 양측의 외측 에지에 종이의 요철 파단부(134a, 134a)가 있으므로, 그것이 개구부(133)의 종이의 요철(133a, 133a)의 파단부와 맞물려, 플랩부(134)는 일어나지 않게 된다. 또, 이 경우 개구부(133)의 면적이 종래의 전면 개봉식의 개구부보다 작을 뿐 아니라, 플랩부(134)가 개구부(133)에 걸린 상태로 있으므로, 용기 본체(140)를 잘못하여 전도시키더라도, 열탕이 새는 양은 저감된다. 또, 도 14에 있어서 (150)은 건조 국수를 나타낸다.
용기 본체(140)는, 예를 들면 종이, 발포 스티롤 등의 합성 수지에 의해 형성할 수 있다. 종이로 만든 용기 본체의 경우, 소각이 용이할 뿐 아니라, 소각 시에 환경에 악영향을 미치는 가스가 발생되지 않는 이점이 있다. 또한 발포 스티롤제 용기 본체의 경우, 보온성이 우수하다고 하는 이점이 있다. 용기 본체(140)의 형상은 도시된 것에 한정되지 않고, 내용물의 종류에 따라서 여러 가지로 변경할 수 있다.
도 15 및 도 16은, 형상 기억 PBT 적층 필름을, 젤리, 푸린 등의 반고체상 식품을 수용하는 용기의 덮개에 이용한 예를 나타낸다. 형상 기억 PBT 적층 필름을, 반고체상 식품용 용기의 덮개에 적용하는 경우, 그 층 구성으로는 상기 [1](3)에서 설명한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것이 대표적이다. 도 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밀봉 상태에 있어서, 용기(140)에 밀봉되어 있는 덮개(1)는 평탄하다. 그러나 덮개(1)는 용기(140)에 가열 밀봉될 때 컬 형상을 회복하고 있으므로(단, 겉보기상으로는 평탄함), 종이 시트나 알루미늄박을 갖지 않은 형상 기억 PBT 적층 필름으로 이루어지는 덮개(1)는, 용기(140)로부터 박리됨으로써, 도 16에 나타낸 바와 같이 형상 기억에 의해서 강하게 컬링된다. 용기 본체(140)는, 예를 들면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 등의 합성 수지로 형성할 수 있다. 용기 본체(140)의 형상은 도시한 것에 한정되지 않고, 내용물의 종류에 따라서 여러 가지 변경할 수 있다. 이러한 강한 컬링성을 가진 덮개는, 커피밀크 등의 포션 팩용 덮개 등의 용도에도 적절하다.
상기 [2]에서 설명한 트레이 형상을 기억시킨 형상 기억 PBT 적층 필름을, 평탄한 채로 각 트레이 형상 단위 길이로 절단함으로써, 식품용 트레이로서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1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얻어진 식품용 트레이(123)에 즉석 냉동식품(124)을 얹은 후, 포장용 필름(125)에 의해 포장하여, 포장상품(126)으로 한다. 도 17에 도시한 바와 같이, 포장상품(126)은 먹기 위해서 전자레인지(127) 등에 의하여 가열하지만, 이 때 온도 T1 또는 T4 이상의 온도로 적절한 시간가열 처리함으로써, 식품용 트레이(123)는 가압주형(111)에 의해 형성된 트레이 형상을 회복한다. 이와 같이 형상 기억 PBT 적층 필름을 식품용 트레이(123)에 적용하면, 포장상품(126)의 상태에서는 거의 평탄하기 때문에 용적이 작고, 수송이나 진열에 편리하며, 가열 처리에 의해 트레이 형상을 회복하여, 먹기 쉬운 상태로 만들 수 있는 편리함이 있다.
식품용 트레이(123)의 포장용 필름(125)에는, 후술하는 방법에 의해, 적어도 일면에 다수의 실질적으로 평행한 선형 흔적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에 의해 포장용 필름(125)은, 그 배향성에 관계없이 한 방향으의 직선적 이열성을 가지고, 임의의 부위로부터 선형 흔적을 따라 직선적으로 찢을 수 있다. 따라서 먹을 때, 포장용 필름(125)을 용이하게 부분 개봉할 수 있다. 이러한 선형 흔적은, 필름을 관통하지 않기 때문에, 포장용 필름(125)은 선형 흔적 형성 후에도 가스 배리어성이 우수하다.
[6]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필름의 제조 방법
본 발명의 형상 기억 PBT 적층 필름에 사용하는 PBT 필름으로는, 이하에 설명하는 인플레이션 성형법 또는 1축 연신법에 의해 제조된 것이 바람직하다. 이들 제조 방법에 의해 얻어지는 PBT 필름을 이용함으로써, 부여한 형상을 안정적으로 회복할 수 있는 형상 기억 PBT 적층 필름이 얻어진다.
(1) 원료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수지
원료 PBT 수지에 관해서는 상기 [1](1)에서 설명한 바와 같기 때문에 설명을 생략한다.
(2) 인플레이션 성형법
도 18은, PBT 필름을 인플레이션 성형법에 의해 제조하는 방법의 공정을 나타낸다. 압출기(212)에 장착된 환형 다이(201)로부터 압출된 튜브형 필름은, 내부에 공기가 주입되어 서서히 소정 폭의 필름으로 팽창되고, 인취기 닙 롤(213)에 삽입되어 인출되고, 권취 릴(214)에 의해 권취된다.
PBT 필름을 제조하는 데에는, 우선 PBT 수지 및 원하는 첨가제 등의 혼련을, 240∼260℃의 수지 온도에서 행한다. 혼련 온도가 260℃보다 높으면, 수지의 열적 열화가 진행될 우려가 있다. 이 때문에, 2축 압출기와 같은 압출기 속에서 혼련을 행하는 경우, 발열되지 않는 스크류 구조를 가진 것, 또는 적당한 냉각 장치를 가진 것을 사용한다. 또, 혼련 온도의 하한이 240℃ 미만이 되면, 압출량이 불안정해지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다.
인플레이션용 환형 다이(201)로부터 압출하는 수지 온도는 210∼250℃로 한다. 환형 다이(201)로부터 압출하는 수지의 온도가 250℃를 넘으면, 제1 냉각 링(202)에 의해 버블(207)을 충분히 냉각할 수 없다. 바람직하게는, 환형 다이(201)로부터 압출하는 수지 온도는 220∼230℃이다. 또한 인플레이션용 환형 다이(201)로부터 압출하는 수지압력은 9.8∼13.7 ㎫(100∼140 ㎏f/㎠)이다. 압출 수지의 압력은 9.8∼11.8 ㎫(100∼120 ㎏f/㎠)인 것이 바람직하다. 인플레이션용 환형 다이(201)의 직경은 120∼300 ㎜인 것이 바람직하다.
환형 다이(201)로부터 압출된 버블(207)은, 냉각 장치에 의해, 냉각되면서 MD 방향뿐 아니라 TD 방향으로도 연신된다. 이것을 도 19에 개략적으로 나타낸다.
도 19에 있어서, 버블 냉각 장치는, 환형 다이(201)의 부근에 설치된 제1 냉각 링(202)과, 제1 냉각 링(202)의 상방으로 설치된 제2 냉각 링(203)과, 제2 냉각 링(203)의 약간 상방으로 설치된 제3 냉각 링(204)과, 제1 냉각 링(202)과 제2 냉각 링(203)의 사이에 설치된 원통형의 네트(205)와, 네트(205)의 하부에 설치된 냉각 공기 분출 장치(206)를 가진다.
이상과 같은 구성의 장치에 있어서, 각 냉각 링의 배치는 공냉 인플레이션법에 의해 형성되는 버블(207)의 온도 컨트롤에 의해 결정되기 때문에, 이하에 버블(207)의 형상 및 온도 분포에 대하여 설명한다.
다이(201)의 환형 오리피스(211)로부터 용융된 PBT 수지 또는 PBT 수지 조성물을 압출하여, 버블(207)을 형성하는데, 압출된 직후의 버블(207)은, 용융 장력이 낮기 때문에 미세 직경 모양이 되어, 이른바 네크부(271)를 형성한다. 네크부(271)에 있어서, 버블(207)은 주로 MD 방향으로 연신된다. 다음에 버블(207)은 급격히 팽창하여, 소정의 버블 직경으로 된다. 이 팽창부(272)에 있어서, 버블(207)은 MD 방향뿐 아니라 TD 방향으로도 연신된다. 팽창부(272)의 거의 상방 부근에 프로스트 라인(274)이 있어, 여기서 PBT 수지 조성물은 냉각 고화 상태가 된다. 프로스트 라인(274)보다 상방의 버블 영역(273)에 설치된 제2 냉각 링(203) 및 제3 냉각 링(204)으로, 버블(207)은 추가로 냉각된다.
이러한 공냉 인플레이션법에 의해 PBT 필름을 얻기 위해서는, 버블(207)의 각 부의 온도를 이하와 같이 컨트롤한다.
(a) 환형 다이(201)로부터 압출 직후의 온도는 170℃ 이하.
(b) 네크부(271)에서는 130℃ 이하까지 냉각.
(c) 프로스트 라인(274)에서는 100℃ 이하까지 냉각.
(d) 제2 냉각 링(203)에 의해 80℃ 이하까지 냉각.
상기 조건(a)에 관해서는, 전술한 바와 같지만, 조건(b)에 관해서는, 네크부(271)에서 130℃ 이하까지 냉각하지 않으면, 다음 팽창부(272)로 TD 방향의 연신을 충분히 달성할 수 없다. 즉, 네크부(271)에서 130℃ 이하까지 냉각되지 않으면, 팽창부(272)에서 충분한 용융 장력을 갖지 못하고, MD 방향의 연신이 주가 된다.
또, 이러한 온도 조건을 충족시키기 위해서는, 블로우-업 비를 1.5∼2.8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블로우-업 비를 2.0∼2.8로 한다.
조건(c)에 대해, 프로스트 라인(274)에서의 버블 온도를 100℃ 이하까지 낮춤으로써, 버블(207)의 냉간 연신을 달성할 수 있다. 이로 인하여 프로스트 라인(274)에 있어서 버블 온도가 100℃보다 높으면, 팽창부(272)에 있어서 버블(207)의 MD 방향 및 TD 방향의 양쪽에서의 연신이 불충분하다.
조건(d)에 관해서는, 프로스트 라인(274)의 상방으로 버블(207)을 80℃ 이하로 냉각함으로써, 균일한 얇은 버블(207)의 형성을 안정화할 수 있다. 제2 냉각 링(203)을 설치하지 않고, 프로스트 라인(274) 상방의 버블(207)의 온도를 80℃보다 높은 상태로 유지하면, 불균일한 연신이 일어날 우려가 있으므로 버블(207) 전체가 불안정해진다.
제2 냉각 링에 의한 냉각 후, 추가로 조건(e)로서, 제3 냉각 링(204)에 의해 50℃ 이하까지 냉각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 냉각 링(203)만으로 버블(207)을 완전히 냉각하려고 하면, 불균일인 냉각이 생길 우려가 있다. 제3 냉각 링(204)에 의해 30∼40℃까지 냉각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들 제2 냉각 링(203) 및 제3 냉각 링(204)에 의해, 그보다 상방의 버블(207)에서는 연신이 일어나지 않는다.
이상과 같은 버블(207)의 온도 컨트롤을 행하기 위해서, 제1 냉각 링(202), 제2 냉각 링(203), 제3 냉각 링(204), 네트(205) 및 냉각 공기 분출 장치(206)의 배치는 이하와 같다.
(A) 제1 냉각 링(202)
환형 다이(201)의 바로 근처에 설치하고, 네크부(271)의 온도가 130℃까지 저하되도록, 냉각 공기를 분출한다. 이에 따라, 팽창부(272) 이후의 프로스트 라인(274)에 있어서, 버블(207)의 온도는 100℃ 이하가 된다.
(B) 제2 냉각 링(203)
환형 다이(201)의 구경의 5∼10배의 거리 H1만 환형 다이(201)의 상방 위치에 배치하고, 버블(207)의 온도가 80℃ 이하가 되도록 냉각 공기를 분출한다.
(C) 제3 냉각 링(204)
환형 다이(201)의 구경의 0.5∼5.0배의 거리 H2만 제2 냉각 링(203)보다 상방의 위치에 배치하고, 버블(207)의 온도가 50℃ 이하가 되도록 냉각 공기를 분출한다.
(D) 네트(205)
원통형의 형상을 가지고, 제1 냉각 링(202)과 제2 냉각 링(203)의 사이에 위치하여, 버블(207)을 포위한다. 후술하는 냉각 공기 분출 장치(206)에 의해 냉각되어, 제1 냉각 링(202) 및 제2 냉각 링(203)에 의한 냉각이 외부의 환경 영역(기온, 온도 등)의 영향을 받지 않고 항상 동일 조건으로 행해짐으로써, 버블(207)의 온도가 전술한 조건(b)∼(d)로 유지되도록 버블(207) 주위의 온도를 균일하게 유지한다.
(E) 냉각 공기 분출 장치(206)
네트(205)의 하부 외측에 설치되고, 네트(205)의 하단부를 따라 원형으로 냉각 공기 분출구를 가지며, 네트(205)의 주위의 온도가 30∼40℃, 바람직하게는 30∼35℃의 범위 내에서 안정된 온도가 되도록 냉각 공기를 경사진 상방으로 분출한다. 경사진 상방으로 내뿜어진 냉각 공기는, 네트(205)을 따라 불어 올라가서 네트 전체를 냉각한다(도 19의 화살표).
이상의 방법에 있어서, 제1 냉각 링(202)으로부터 버블(207)에 분사하는 냉각 공기로서는, 가습 공기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가습 공기는 냉수에 의해 가습 냉각한 공기이며, 거의 포화 상태의 수분을 함유하고, 단순한 냉각 공기보다 약 5℃ 만큼 냉각 효과가 크다. 또한 제2 및 제3 냉각 링(203, 204)으로부터 버블(207)에 분사하는 냉각 공기로서도, 냉각 효율의 관점에서 가습 공기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안정된 냉각 효과가 얻어지지 않으면, 버블(207)이 불안정해지기 때문에, 냉각 공기의 온도 및 습도는 될 수 있는 한 변화되지 않도록 컨트롤한다.
또한 냉각 공기 분출 장치(206)로부터 네트(205)에 분사하는 냉각 공기는, 전술한 제1∼제3 냉각 링(202∼204)의 경우와 같이, 가습 공기를 사용할 수도 있고, 보통의 실내 공기를 원하는 온도로 조정한 것을 사용할 수도 있다.
도 21은 가습 공기를 공급하는 시스템을 나타낸다. 블로워 B에서 공급된 공기는, 냉수기 R 및 냉수 리사이클 펌프 P를 구비한 가습기(15)로 가습 냉각되어, 제1∼제3 냉각 링 (202∼204) 및 냉각 공기 분출 장치(206)에 각각 공급된다.
또, 네트(205)로서는, 나일론, 폴리프로필렌, 폴리에스테르 등의 플라스틱제인 것이나, 스테인리스강, 구리, 황동, 니켈 등의 금속제인 것 등을 이용할 수 있지만, 그물코가 5∼20 메쉬인 것이 바람직하고, 특히 8∼10 메쉬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 도 19에 도시한 바와 같이, 네트(205)의 외측에서, 버블 영역(273)을 포위하도록 격벽(220)을 설치할 수도 있다. 격벽(220)을 설치함으로써, 버블 영역(273)을 외부 분위기(기온, 온도 등)의 영향으로부터 차단할 수 있기 때문에, 제1 냉각 링(202), 제2 냉각 링(203), 제3 냉각 링(204) 및 냉각 공기 분출 장치(206)에 의한 냉각이 항상 동일한 조건으로 행해짐으로써 버블(207)의 온도를 전술한 상기 조건(b)∼(d)으로 유지되도록 버블(207) 주위의 온도를 균일하게 유지할 수 있다.
격벽(220)의 재질에 특별히 제한은 없지만, 격벽(220)으로 포위된 버블 영역(273)이 관찰될 수 있도록 아크릴 수지인 것이 바람직하다. 버블 영역(273)을 사방에서 둘러쌀 수 있으면 격벽(220)의 형상에 특별히 제한은 없고, 예를 들면 원통형 구조인 것이나, 직방체형 구조인 것을 들 수 있고, 원통형 구조인 것이 바람직하다.
필요에 따라, 격벽(220)의 내측에 가열 수단(230)을 설치할 수도 있다. 가열 수단(230)으로서, 예를 들면 막대형이나 리본형의 전기 히터를 들 수 있다. 막대형의 전기 히터는, 복수개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격벽(220)의 내면에 알루미늄박을 붙여, 열 방사를 차단할 수 있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필요에 따라 격벽(220)의 하부(냉각 공기 분출 장치(206)의 바로 위)에, 실온 정도의 냉풍을 불어 올리는 수단을 설치할 수도 있다. 이것에 의해 격벽(220) 내측의 온도 조정이 용이해질 뿐 아니라, 격벽(220) 내측의 공기 유량의 조정도 용이하게 된다.
도 19에 도시한 바와 같이, 격벽(220)의 상부에 냉각 공기 배출구(221)를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냉각 공기 배출구(221)를 설치함으로써, 제1 냉각 링(202), 제2 냉각 링(203), 제3 냉각 링(204) 및 냉각 공기 분출 장치(206)로부터 분출한 냉각 공기를 정류할 수 있다. 이로 인하여 냉각 공기에 의한 버블(207)의 횡 방향 진동을 방지할 수 있다. 냉각 공기 배출구(230)는 2개 이상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2∼4개 설치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도 19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격벽(220)의 측면(222)의 상부에 냉각 공기 배출구(221)를 설치하고 있지만, 격벽(220)의 상면(223)에 설치할 수도 있다. 단 냉각 공기 배출구(221)의 수 및 구경은, 격벽(220)에 의한 보온성이 손상되지 않을 정도로 한다.
도 19에 도시한 바와 같이, 격벽(220)의 내측 상부에 링 모양의 정류판(240)을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정류판(240)을 설치함으로써, 제1 냉각 링(202), 제2 냉각 링(203), 제3 냉각 링(204) 및 냉각 공기 분출 장치(206)로부터 분출된 냉각 공기를 정류하는 능력이 향상되어, 버블(207)의 횡 방향 진동 방지성이 한층 향상된다. 도 1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정류판(240)은 원통형 네트(205)의 근방으로부터 격벽(220)의 내측면 근방까지 연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정류판(220)의 구조에 제한은 없고, 도 19 및 도 20(a)에 도시한 바와 같은 한 방향으로 정렬한 판재에 의해 구획된 구조인 것, 도 20(b)에 도시한 바와 같은 격자형으로 구획된 구조인 것, 도 20(c)에 도시한 바와 같은 다수의 원형 구멍이 설치된 펀칭 플레이트형인 것, 네트형인 것 등을 들 수 있다. 정류판(240)의 개공율은 40∼60%인 것이 바람직하다. 정류판(240)을 구성하는 재료에 특별히 제한은 없고, 알루미늄, 합성 수지 등을 들 수 있다. 정류판(240)의 설치 매수에도 특별히 제한은 없지만, 통상은 1매 설치하면 된다.
PBT 수지의 인플레이션법에 의한 제막은 이상의 요건을 유지함으로써 가능하고, 다른 조건은 인플레이션 방식의 일반적인 조건이 적용할 수 있다. 즉 크로스 헤드 다이를 이용하여, 상방 또는 하방으로 튜브형 용융 PBT 수지를 압출하고, 단부를 핀치롤로 끼워 그 속에 공기를 주입하고 소정의 사이즈로 부풀리면서 연속적으로 권취하고, 이 사이 다이를 회전 또는 반전하여 두께 편차를 방지할 수도 있다.
이상과 같이 하여 제조된 PBT 필름의 열수축률의 값은 200℃까지 거의 0%이며, 200℃까지 실질적으로 열수축되지 않는다. 이로 인하여 가열 밀봉, 인쇄 등의 2차 가공에 있어서 필름 치수의 변화가 적다. 또한 연신은 가열 및 비가열의 양쪽에 있어서 가능하고, 예를 들면 약 130℃에 있어서 3.2배 정도로 용이하게 연신할 수 있고, 유백색으로부터 반투명의 연신 필름이 얻어진다. 비가열로 연신한 경우에는, 투명한 필름이 얻어진다. 이상 설명한 제조 방법에 의해, 두께 10 ㎛ 이상, 필름폭 400∼1200mm의 PBT 필름의 제조가 가능하다.
이상 설명한 제조 방법에 의하면, 항상 버블의 각 부(압출 직후, 네크부, 팽창부, 프로스트 라인)가 각각 원하는 온도로 유지되기 때문에, 품질이 항상 균일하다. 또, 냉각 속도를 크게 할 수 있기 때문에 고속으로 막을 제조할 수 있다.
(3) 1축 연신법
도 22는, 1축 연신법에 의한 PBT 필름의 제조 공정을 나타낸다. 시트용 다이(T 다이)(307)로부터 압출된 용융 수지(305)가, 가열 캐스팅롤(301)로 인출되고, 서서히 냉각됨으로써 결정화 시트(306)가 형성된다. 얻어진 결정화 시트(306)는, 가열 캐스팅롤(301)과 이것에 평행하게 설치된 제2의 롤(302)의 사이에서 연신됨으로써 연신 필름이 된다.
(a) 결정화 시트 형성 공정
우선 PBT 수지와, 상기 [1](1)에서 설명한 첨가제, 다른 수지 등을 용융 혼련하여, 용융 수지(305)를 조제한다. 용융 혼련의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통상은 2축 압출기 속에서 균일하게 혼련함으로써 행한다. 혼련 온도는 230∼260℃인 것이 바람직하다. 혼련 온도가 260℃보다 높으면, 수지의 열적 열화가 진행될 우려가 있다. 이로 인하여 2축 압출기와 같은 압출기 속에서 혼련을 행하는 경우, 발열하지 않는 스크류 구조를 가진 것, 또는 적당한 냉각 장치를 가진 것을 사용한다. 또, 혼련 온도의 하한이 230℃ 미만이 되면, 압출량이 불안정해지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다.
용융 혼련한 용융 수지(305)를 직접 또는 별도의 압출기를 통하거나, 또는 일단 냉각하여 펠릿화한 후 다시 압출기를 통하여 시트용 다이(307)로부터 압출한다. 시트용 다이(307)의 갭은 통상 5mm 이하로 한다. 시트용 다이(307)로부터 압출하는 수지 온도는 210∼250℃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220∼230℃로 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이렇게 하여 시트용 다이(307)로부터 압출한 용융 수지(305)를, 가열 캐스팅롤(301)로 인출하고, 서서히 냉각함으로써 결정화 시트(306)를 형성한다. 결정화 시트(306)를 형성함으로써 연신에 대한 가공성이 향상되기 때문에, 고연신화뿐 아니라 박막화가 용이해진다. 가열 캐스팅롤(301)과 접촉하기 전에, 압출된 용융 수지(305)의 온도가 200℃ 이하로 저하되지 않도록, 시트용 다이(307)와 가열 캐스팅롤(301) 사이의 거리를 20 ㎝ 이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가열 캐스팅롤(301)은 150∼200℃로 온도 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가열 캐스팅롤(301)의 온도가 200℃를 넘으면, 용융 장력이 낮아지기 때문에 결정화 시트(306)의 형성이 곤란하게 된다. 한 쪽 가열 캐스팅롤(301)의 온도를 150℃ 미만으로 하면, 얻어지는 결정화 시트(306)의 결정화도가 낮아지기 때문에, 후속 연신에 대한 가공성이 저하된다.
결정화 시트(306)의 두께를 50∼100 ㎛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에 의해 후속 연신 공정에 의한 박막화가 용이하게 된다. 결정화 시트(306)의 두께를 50∼100 ㎛으로 하고, 또한 결정화 시트(306) 형성 시의 네크인 현상(다이로부터 압출되고, 캐스트된 시트가 다이의 유효 폭보다 좁아지는 현상)을 억제하는 데에는, 가열 캐스팅롤(301)의 주속을 5∼15m/분으로 한다. 가열 캐스팅롤(1)의 외경은 35∼70 ㎝인 것이 바람직하다.
(b) 연신 공정
(i) 1차 연신
이어서, 도 2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얻어진 결정화 시트(306)를 가열 캐스팅롤(301)과 제2의 롤(302)의 사이에서, 양롤의 주속 차이를 이용하여, 기계 방향으로 연신한다(1차 연신). 이 때, 가열 캐스팅롤(301)을 상기 (a)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150∼200℃로 온도 조정하는 동시에, 가열 캐스팅롤(301)과 제2의 롤(302)의 롤 사이 거리(양롤 사이의 공통 접선간 거리)를 10 ㎝ 이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조건으로 1차 연신을 행함으로써, 결정화 시트(306)가 연신되는 영역(연신 영역)을 비교적 좁게 할 수 있고, 또한 연신 영역의 온도를 130∼150℃로 할 수 있다. 연신 영역의 온도를 130∼150℃로 함으로써, 용융 장력을 비교적 고배율의 연신에 알맞은 범위로 할 수 있기 때문에, 막 두께 얼룩이 적은 균일한 연신이 가능하게 된다. 또, 연신 영역을 좁게 함으로써, 네크인 현상의 억제 효과가 향상된다. 또, 연신 영역의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해서, 열선 히터 등을 이용하여 양롤 사이의 필름을 가열할 수도 있다. 또, 도 22에 있어서, (309)는 가이드 롤을 나타내고, (308)은 권취 릴을 나타낸다.
연신 배율은 결정화 시트(306)의 두께에 따라 다르지만, 1.5배 이상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2∼4배로 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연신 배율을 높일수록 투명성이 향상된다. 가열 캐스팅롤(301)과 제2의 롤(302)의 주속비를 적절하게 설정함으로써, 원하는 배율로 연신할 수 있다. 제2의 롤(302)의 외경에 특별히 제한은 없고, 가열 캐스팅롤(301)과 동일하게 35∼70 ㎝로 하면 된다.
1차 연신 후, 후술하는 재연신(2차 연신)도 행할 경우에는, 제2의 롤(302)을 100∼150℃로 온도 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 쪽 연신 공정으로서 1차 연신만을 행하는 경우에는, 제2의 롤(302)을 40℃ 이하로 온도 조정함으로써, 1차 연신을 실시한 필름에 대하여 냉각 고정 처리를 실시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냉각 고정 처리란, PBT의 Tg(20∼45℃) 이하의 온도로 필름을 처리하는 것을 의미한다. 냉각 고정 처리를 실시함으로써, 연신된 상태를 안정화할 수 있다. 또한 냉각 고정 처리를 더욱 길게 하고 싶은 경우에는, 도 2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2의 롤(302)과 평행하게 제3의 롤(303)을 설치하고, 이것을 40℃ 이하로 온도 조정하는 동시에 제2의 롤(302)과 동일 주속으로 회전시켜, 1차 연신을 실시한 필름을 인출하도록 하면 된다. 또, 도 23에 있어서, 도 22에 나타내는 제조 장치와 동일한 부분에는 동일한 참조 번호가 부여되어 있다. 제3의 롤(303)의 외경은, 제2의 롤(302)과 동일하게 35∼70 ㎝로 하면 된다. 또한, 도 23에 있어서, (310)는 닙 롤을 나타낸다.
제3의 롤(303)에 의해 냉각 고정 처리를 행하는 경우, 제2의 롤(302)을 PBT의 Tg모다 높고 융점 -50℃보다 낮은 온도 조정할 수도 있으며, 이것에 의해 필름의 열수축률이 한층 낮아진다.
(ii) 2차 연신
1차 연신에 의해 얻어진 연신 필름을 추가로 기계 방향으로 연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2차 연신). 2차 연신에 의해 투명성이 더욱 향상되는 동시에, 더욱 박막화할 수 있다. 2차 연신도 행하는 경우, 도 23에 나타내는 제2의 롤(302)과 제3의 롤(303)의 사이에 주속 차이를 두고 기계 방향으로 연신한다. 이 때, 제2의 롤(302)을 100∼150℃로 온도 조정하는 동시에, 제2의 롤(302)과 제3의 롤(303)의 롤사이 거리를 10 ㎝ 이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롤 사이 거리를 10 ㎝ 이하로 함으로써, 네크인 현상을 억제할 수 있다는 것은, 상기 (i)에서 설명한 바와 같다.
2차 연신을 행한 후, 후술하는 재연신(3차 연신)도 행할 경우에는, 제3의 롤(303)을 40∼100℃로 온도 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3차 연신을 행하지 않는 경우에는, 제3의 롤(303)을 40℃ 이하로 온도 조정함으로써, 2차 연신을 실시한 필름에 대하여 냉각 고정 처리를 실시할 수 있다. 또한 냉각 고정 처리를 더욱 오래하고자 할 경우에는, 도 2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3의 롤(303)과 평행하게 제4의 롤(304)을 설치하고, 이것을 40℃ 이하로 온도 조정하는 동시에 제3의 롤(303)과 동일 주속으로 회전시켜, 2차 연신을 실시한 필름을 인출하도록 하면 된다. 또, 도 24에 있어서, 도 22에 나타내는 제조 장치와 동일한 부분에는 동일한 참조 번호가 부여되어 있다. 제4의 롤(304)의 외경은, 제3의 롤(303)과 동일하게 35∼70 ㎝로 하면 된다.
또, 제4의 롤(304)에 의해 냉각 고정 처리를 행하는 경우, 필름의 열수축률을 더욱 저하시키기 위해서 제3의 롤(303)을 PBT의 Tg보다 높고 융점보다 낮은 -50℃ 이하로 온도 조정할 수도 있다.
(iii) 3차 연신
2차 연신에 의해 얻어진 연신 필름을 추가로 기계 방향으로 연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3차 연신). 3차 연신도 행하는 경우, 도 24에 나타내는 제3의 롤(303)과 제4의 롤(304)의 사이에 주속 차이를 두고, 기계 방향으로 연신한다. 이 때, 제3의 롤(303)을 40∼100℃로 온도 조정하는 동시에, 상기 (i)에서 설명한 것과 동일 이유에 의해 제3의 롤(303)과 제4의 롤(304)의 롤 사이 거리를 10 ㎝ 이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냉간 연신을 실시함으로써, 필름의 투명성을 한층 향상할 수 있다. 또한 제4의 롤(304)은 40℃ 이하로 온도 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이것에 의해 3차 연신을 실시한 필름에 대하여 냉각 고정 처리를 실시할 수 있다.
(iv) 횡 연신
상기 (i)∼(iii) 중 어느 하나의 방법으로 제조된 PBT 필름에 대하여, 계속해서 TD(폭 방향)로의 횡 연신을 실시할 수 있다. 횡 연신을 행하는 방법으로는, 텐터법 등의 공지된 방법을 적용하면 된다.
(v) 열 처리
이상과 같이 하여 제조된 PBT 필름은 우수한 치수 안정성을 갖지만, 열수축률을 한층 향상시키기 위해서 추가로 열 처리를 실시할 수도 있다. 열 처리 방법으로는, 열고정 처리 또는 열수축 처리 중 어느 하나를 사용할 수도 있다. 이들 열 처리는, PBT의 Tg보다 높고 융점보다 낮은 -50℃ 이하에서 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열고정 처리는, 텐터 방식, 롤 방식 또는 압연 방식에 의해 행한다. 또한 열수축 처리는, 텐터 방식, 롤 방식 또는 압연 방식에 의해 행하거나, 또는 벨트 컨베이어 또는 플로팅을 이용하여 행할 수도 있다. 열고정 처리 및 열수축 처리를 조합하여 행할 수도 있다.
이상과 같이 하여 제조된 PBT 필름은, 반투명 내지 투명하며, 종래의 1축 연신 필름과 비교하여, 막 두께의 균일성이 우수하고 열수축률이 낮다. 구체적으로는, 평균막 두께 8∼20 ㎛의 필름의 막 두께 차이는 1∼2 ㎛이며, 열수축률은 MD(기계 방향) 0.1% 이하, TD(폭 방향) 0.2% 이하이다[본 명세서에 있어서, 막 두께 차이란, PBT 필름의 폭 방향에서의 중심부 및 양단부의 두께를 각각 2점씩 합계 6점 측정하고, 그 중 최대치와 최소치의 차이를 산출한 값이다. 이 값이 작은 쪽이 양호한 결과로 된다. 또한 열수축률이란, PBT 필름을 150℃에서 10분간 폭로했을 때의 MD 및 TD의 수축률을 각각 측정한 값이다]. 이로 인하여 얼룩이 적은 인쇄층이나 금속 증착층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가열 밀봉, 인쇄 등의 2차 가공에 있어서 필름 치수의 변화가 적다.
이상 설명한 제조 방법에 의하면, 항상 가열 캐스팅롤 및 제1 ∼제4의 롤이 각각 원하는 온도로 유지되기 때문에, 품질이 항상 균일하다. 또, 미연신 필름의 제작에 있어서 일단 냉각하지 않기 때문에, 고속 제막이 가능하다.
[7] 필름에 대한 선형 흔적 형성
형상 기억 PBT 적층 필름에 직선적 이열성을 부여하기 위해서, PBT 필름, 강성 필름 및 실런트 필름 중 중 적어도 하나의 전체면에 대하여, 이하에 설명하는 방법에 의해 다수의 실질적으로 평행한 선형 흔적을 형성해 두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에 의해 형상 기억 PBT 적층 필름을 용이하게 직선적으로 찢을 수 있기 때문에, 예를 들면 형상 기억 PBT 적층 필름을 즉석 식품용 용기의 덮개용 포장재로서 이용한 경우에 덮개를 부분 개봉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러한 선형 흔적은, 특히 PBT 필름에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선형 흔적은, 연속 주행하는 필름을, 다수의 미세한 돌기를 가진 선형 흔적 형성 수단에 슬라이드시킴으로써 형성할 수 있다. 이하, 선형 흔적의 형성 방법을,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1) 필름에 진행 방향의 선형 흔적을 형성하는 경우
도 25는, 필름(401)의 진행 방향으로 선형 흔적을 형성하는 장치의 일례를 나타낸다. 도 25는 표면에 다수가 미세한 돌기를 가진 롤(이하 "패턴 롤"이라 함)(402)를 선형 흔적 형성 수단으로서 이용하여, 필름 압착 수단으로서 공기를 내뿜을 수 있는 노즐(403)을 이용한 예를 나타낸다. 필름 원판을 감은 릴(411)로부터 되감은 필름(401)을, 닙 롤(412)을 거쳐, 패턴 롤(402)에 슬라이드시킴으로써 선형 흔적을 형성하고, 얻어진 직선적 이열성 필름은 닙 롤(413), 가이드 롤(414, 415)을 경유하여, 권취 릴(416)에 의해 권취한다.
패턴 롤(402)은, 도 26에 나타낸 바와 같이 그 회전축이 필름(401)의 폭 방향과 평행이 되도록 정위치에 고정되어 있고, 축선 방향 길이가 필름(401)의 폭보다 길고, 필름(401)의 폭 전체가 패턴 롤에 슬라이딩 접촉하도록 되어 있다.
장력 조정롤로서 닙 롤(412, 413)을 패턴 롤(402)의 전후로 설치함으로써 패턴 롤(402)을 주행하는 필름(401)에 장력을 부여하게 되어 있다. 또, 도 26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필름(401)이 패턴 롤(402)에 슬라이딩 접촉하는 위치에 있어서, 패턴 롤(402)의 반대측에서 노즐(403)에 의해 소정의 풍압을 수반한 공기를 불어줌으로써, 필름(401)이 패턴 롤(402)에 슬라이딩 접촉하는 면(이하 특별한 언급이 없는 한 "롤 미끄럼 접합면"이라 지칭함)에 균일한 접촉력을 걸 수 있다. 이것에 의해 필름면에 균일한 선형 흔적을 형성할 수 있다. 노즐(403)을 이용하여 패턴 롤(402)에 필름(401)을 가압함으로써, 롤 미끄럼 접합면에서의 필름(401)의 두께 얼룩에 의한 접촉 불균일성을 완화할 수 있다.
패턴 롤(402)은, 필름(401)의 진행 속도보다 느린 주속으로, 필름(401)의 진행 방향과 역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에 의해 필름 주름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 동시에, 선형 흔적의 형성에 따라 발생하는 절삭 부스러기가 패턴 롤(402)의 표면에 모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기 때문에, 적절한 길이 및 깊이의 선형 흔적을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필름(401)의 진행 속도는 10∼500m/분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패턴 롤(402)의 주속(필름(401)의 진행 방향과 역방향으로 회전시키는 속도)은 1∼50m/분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패턴 롤(402)로서는, 예를 들면 특개 2002-59487호 기재의 것을 이용할 수 있다. 이것은 금속제 롤 본체의 표면에 다수의 모스 경도 5 이상의 미립자를 전착법에 의하거나, 또는 유기계 또는 무기계의 결합제에 의해 부착시킨 구조를 가진다. 금속제 롤 본체는, 예를 들면 철, 철합금 등으로 형성된다. 금속제 롤 본체의 표면을 니켈도금 층 또는 크롬도금 층에 의해 피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모스 경도 5 이상의 미립자로는, 예를 들면 텅스텐카바이드 등의 초경합금 입자, 탄화 규소 입자, 탄화붕소 입자, 사파이어 입자, 입방정 질화붕소(CBN) 입자, 천연 또는 합성 다이아몬드 미립자 등을 들 수 있다. 특히 경도, 강도 등이 큰 합성 다이아몬드 미립자가 바람직하다. 미립자의 입경은 형성하는 선형 흔적의 깊이 또는 폭에 따라서 적절하게 선택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미립자의 입경은 10∼100 ㎛이고 입경의 편차가 5%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롤 본체의 표면에 미립자를 부착시키는 정도는, 형성하는 선형 흔적끼리의 간격이 원하는 정도가 되도록, 적절하게 선택한다. 균일한 선형 흔적을 얻기 위해, 미립자는 롤 본체 표면에 50% 이상 부착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패턴 롤(402)의 구체적인 예로는, 철제의 롤 본체 표면에 다수의 합성 다이아몬드 미립자가 50% 이상의 면적율로 니켈계 전착층을 통하여 결합·고정되어 있는 것을 들 수 있다. 패턴 롤(402)의 외경은 2∼20 ㎝인 것이 바람직하고, 3∼10 ㎝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패턴 롤(402)로서는, 금속제 롤 본체의 표면에 금속제 바늘이 미소 간격으로 종횡으로 규칙적으로 매립되어 있는 침상 돌기형 롤을 이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선형 흔적 형성 수단으로서, 패턴 롤(402) 이외에, 플레이트형 본체의 표면에, 상기와 같은 모스 경도가 5 이상의 미립자를 표면에 다수 가진 패턴 플레이트를 사용할 수도 있다.
도 27은, 필름(401)이 패턴 롤(402)과 슬라이딩 접촉하여, 선형 흔적이 형성되는 모양을 나타낸다. 예를 들면, 패턴 롤(402)의 표면 상의 미립자(404) 중 적어도 하나의 미립자의 각부가 롤 미끄럼 접합면에 깊이 베어 가지만, 전술한 바와 같이 필름(401)의 진행 속도는 패턴 롤(402)이 역회전하는 주속보다 빠르기 때문에, 깊이 벤 미립자(404)의 각부가 롤 미끄럼 접합면에서 멀어질 때까지 한 줄의 긴 선형 흔적이 형성된다.
공기분사 수단으로는, 도 28(a)에 나타낸 바와 같이 띠형의 분출구(431)를 가진 노즐(도 25∼26에 나타내는 것과 같은 것) 대신, 도 28(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복수의 분출구(431)를 가진 노즐을 사용할 수도 있다. 또한 도 28(c)에 나타낸 바와 같이 후드(432)를 가진 노즐을 이용하여 패턴 롤(402)을 덮는 모양으로 압축공기를 내뿜으면, 분출구(431)로부터 내뿜는 압축공기가, 필름(401)과 패턴 롤(402)이 슬라이딩 접촉하는 위치에 도달할 때까지 확산되기 어렵기 때문에, 롤 미끄럼 접합면에서의 필름(401)과 패턴 롤(402)의 접촉력을 한층 균일하게 할 수 있다. 이러한 공기분사 수단에 의해 내뿜는 압축공기 흐름의 압력은, 4.9∼490 kPa(0.05∼5 ㎏f/㎠)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에 의해 롤 미끄럼 접합면에서의 필름(401)과 패턴 롤(402)의 접촉력을 균일하게 할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한 압축공기 흐름의 압력은 9.8∼196 kPa(0.1∼2 ㎏f/㎠)이다. 또한 분출구(431)로부터 롤 미끄럼 접합면까지의 거리는 10∼50 ㎝인 것이 바람직하다. 압축공기는, 적어도 롤 미끄럼 접합면을 커버하는 범위에 균일하게 접촉하면 된다. 그러나, 필요 이상 블로워 또는 노즐의 분출구(431)를 크게 하면, 적절한 풍압을 얻기 위해서 요하는 압축공기의 양이 많아지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다.
정위치에 고정한 패턴 롤(402)에 대한 필름(401)의 거는 방법에 관해서는, 도 28(c)에 나타내는 필름(401)의 감김 방향과 감아 풀림 방향이 이루는 각도 θ를 60∼170°의 범위가 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에 의해 선형 흔적의 길이 및 깊이를 조정하기 쉽게 된다. 각도 θ는 90∼150°의 범위가 되도록 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각도 θ를 원하는 값으로 하기 위해서는, 패턴 롤(402)의 높이 위치를 변경하는 등에 의하여, 패턴 롤(402)과 닙 롤(412, 413)의 위치 관계를 적절하게 조정하면 된다. 또, 패턴 롤(402)에 대한 필름(401)의 거는 방법 및 외경에 따라서, 닙 롤(412, 413)에 의해 필름(401)에 부여하는 장력과 노즐(403)에 의해 부여하는 풍압을 적절하게 조정하여, 원하는 길이 및 깊이의 선형 흔적이 얻어지도록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닙 롤(412, 413)에 의해 필름에 거는 장력(폭당의 장력)에 관해서는, 0.01∼5 ㎏f/㎝ 폭의 범위가 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공기분사 수단 대신에 롤 미끄럼 접합면의 반대측의 면에 브러쉬를 슬라이드시킴으로써, 롤 미끄럼 접합면에 균일한 접촉력을 걸 수 있다. 브러쉬의 털 재료는, 브러쉬와 필름(401)의 미끄럼 접합면(이하, 특별한 언급이 없는 한 "브러쉬 미끄럼 접합면"이라 지칭함)에 있어서, 필름(401)의 진행 속도보다 느린 속도로, 필름(401)의 진행 방향과 역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브러쉬로서, 도 29에 도시한 바와 같이, 브러쉬 축(회전축)의 주위에 방사상으로 다수의 털 재료를 배치한 회전 롤 브러쉬(405)를 이용하여, 그 회전축이 필름(401)의 폭 방향과 평행이 되도록 정위치에 고정하고, 축선 방향 길이를 필름(401)의 폭보다 길게 하여, 필름(401)의 폭 전체가 브러쉬에 슬라이딩 접촉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회전 롤 브러쉬(405)의 외경은, 5∼10 ㎝인 것이 바람직하다. 회전 롤 브러쉬(405)의 털 재료(451)에 관해서, 굴곡(屈曲) 회복율은 70%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직경은 0.1∼1.8 ㎜인 것이 바람직하고, 길이는 1∼5 ㎝인 것이 바람직하다. 회전 롤 브러쉬(405)의 털 재료(451)의 브러쉬 미끄럼 접합면에서의 밀도는 100∼500가닥/㎠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굴곡 회복율"이란, 길이 약 26 ㎝의 털 재료 섬유를 교차시킨 2개 1조의 체인형의 루프를 만들어, 상방 루프를 멈춤쇠에 고정하고, 하방 루프에 하중(털 재료 섬유의 섬도[데니어]의 1/2의 하중[g]의 추)를 3분간 부하함으로써, 루프의 교차점에서 형성된 한 쌍의 솔잎형으로 굴곡된 샘플을, 길이 약 3 ㎝로 잘라내어 수득하고, 60분간 방치한 후 측정한 오픈 각도(θ4)로부터, 식: θ4/180×100(%)에 따라서 계산한 것이다. 털 재료(451)의 선단(先端)의 형상으로 특별히 제한은 없지만, 대체로 U자 형상 또는 테이퍼 형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털 재료(451)의 재질에도 특별히 제한은 없지만, 폴리프로필렌, 나일론, 아크릴, 폴리에틸렌 등의 합성 수지가 바람직하다.
회전 롤 브러쉬(405)는, 브러쉬 미끄럼 접합면에서의 압력이 1∼490 kPa( 0.01∼5 ㎏f/㎠)가 되도록 필름(401)에 슬라이딩 접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회전 롤 브러쉬(405)의 주속(필름(401)의 진행 방향과 역방향으로 회전시키는 속도)은, 1∼50 m/분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선형 흔적의 길이 및 깊이는, 원하는 직선적 이열성의 정도를 만족하도록, 필름(401)의 주행 속도, 패턴 롤(402)의 주속, 다이아몬드 미립자(404)의 입경, 패턴 롤의 외경, 노즐(403)의 풍압, 회전 롤 브러쉬(405)의 압력, 닙 롤(412, 413)에 의해 부여하는 장력 등을 적절하게 설정함으로써 조정한다.
(2) 필름에 경사진 선형 흔적을 형성하는 경우
도 30은, 필름(401)의 진행 방향에 대하여 경사진 선형 흔적을 형성하는 장치의 일례를 나타낸다. 도 25과 동일한 부재 또는 부분에는 동일한 참조 번호가 부여되어 있다. 도 30에 나타내는 장치는, 선형 흔적 형성 수단으로서 다수의 작은 패턴 롤(421)을 접속한 패턴 엔들리스 벨트(pattern endless belt)(406)를 구비한 동시에, 필름 압착 수단으로서 엔들리스 벨트에 다수의 털 재료(471)를 배치한 엔들리스 브러쉬(407)를 구비하고 있다. 도 31(a)는, 도 30에 나타내는 장치에 있어서, 패턴 엔들리스 벨트(406)를 필름(401)의 폭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모양을 나타내는 부분 확대 평면도이며, 도 31(b)는 도 31(a)에 있어서 D 방향으로부터 본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패턴 엔들리스 벨트(406)를 도 31(a) 및 31(b)와 같이 필름(401)의 폭 방향으로 회전시키고, 작은 패턴 롤(421)을 연속적으로 필름(401)에 슬라이드시킴으로써, 필름(401)의 진행 방향에 대하여 경사진 선형 흔적을 형성할 수 있다. 패턴 엔들리스 벨트(406)를 구성하는 패턴 롤(421)의 수를 증가시키고, 패턴 롤(421)의 밀도를 높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작은 패턴 롤(421)의 축선 방향 길이 및 외경은 5∼10 ㎝인 것이 바람직하다.
경사 방향의 선형 흔적의 필름 진행 방향에 대한 각도는, 패턴 엔들리스 벨트(406)의 주속과 필름(401)의 주행 속도를 적절하게 조정함으로써 변경할 수 있다. 통상 패턴 엔들리스 벨트(406)의 주속을 1∼100m/분으로 한다. 작은 패턴 롤(421)은, 롤 미끄럼 접합면에 있어서 패턴 엔들리스 벨트(406)의 진행 방향에 대하여 반대 방향으로 회전시킨다. 그 주속은, 상기 (1)에서 설명한 패턴 롤(402)의 경우와 동일하게 1∼50m/분이다.
엔들리스 브러쉬(407)는, 그 털 재료(471)가 필름(401)에 슬라이딩 접촉하면서 이동하는 방향과, 패턴 엔들리스 벨트(406)가 필름(401)에 슬라이딩 접촉하면서 이동하는 방향이 역이 되도록 회전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회전방향에 관해서, 엔들리스 브러쉬(407) 및 패턴 엔들리스 벨트(406)를 동일하게 한다. 엔들리스 브러쉬(407)의 털 재료(471)의 길이는 4∼8 ㎝인 것이 바람직하다. 엔들리스 브러쉬(407)의 털 재료(471)의 굴곡 회복율, 직경, 브러쉬 미끄럼 접합면에서의 밀도, 선단 형상 및 재질에 관한 바람직한 요건은, 상기 (1)에서 설명한 회전 롤 브러쉬(405)의 경우와 동일하다. 엔들리스 브러쉬(407)의 브러쉬 미끄럼 접합면에서의 압력은, 상기 (1)에서 설명한 회전 롤 브러쉬(405)의 경우와 동일하게 1∼490 kPa(0.01∼5 ㎏f/㎠)이다. 엔들리스 브러쉬(407)를 필름(401)에 슬라이드시키는 압력은, 높이 조절 핸들(473)을 회전하여, 엔들리스 브러쉬(407)의 상하 위치를 적절하게 설정함으로써 조절할 수 있다. 엔들리스 브러쉬(407)의 주속은, 1∼50m/분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엔들리스 브러쉬(407)의 주속은, 모터(474)의 회전 속도를 적절하게 설정함으로써 조절할 수 있다.
패턴 엔들리스 벨트(406) 및 엔들리스 브러쉬(407)는, 진행 방향 길이를 필름(401)의 폭보다 길게 하여, 필름(401)의 폭 전체가 패턴 엔들리스 벨트(406) 및 엔들리스 브러쉬(407)에 슬라이딩 접촉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32는, 필름(401)의 진행 방향에 대하여 경사진 선형 흔적을 형성하는 장치의 다른 예를 나타낸다. 도 25과 동일한 부재 또는 부분에는 동일한 참조 번호가 부여되어 있다. 도 32에 나타내는 장치는, 선형 흔적 형성 수단으로서, 도 3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다수의 작은 패턴 롤(422a)이 가이드 레일(481a)(지지체)에 병렬로 장착되어 이루어지는 롤 트레인(408a), 및 다수의 작은 패턴 롤(422b)이 가이드 레일(481b)(지지체)에 병렬로 장착되어 이루어지는 롤 트레인(408b)을 구비하고 있다.
패턴 롤(422a, 422b)를 지지하는 지지축(491a, 491b)는 승강 가능하며, 또한 롤 트레인(408a, 408b)은 각각 가이드 레일(481a, 481b)을 따라 필름(401)의 폭 방향으로 직선적으로 이동할 수 있다. 승강 자재의 지지축(491a, 491b) 및 가이드 레일(481a, 481b)로 이루어지는 가이드 수단에 의해, 롤 트레인(408a, 408b)은 필름(401)의 폭 방향과 독립적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로 인하여 롤 트레인(408a, 408b)을 필름(401)의 일단측에서 타단측으로 필름(401)과 슬라이드시키면서 이동시키고, 타단측으로 이동이 끝난 후에 필름(401)으로부터 이격하여 원래의 위치까지 되돌아가는 사이클을 반복하고, 그 때 필름(401)의 폭 전체에 어느 하나의 롤 트레인이 항상 슬라이딩 접촉하도록 롤 트레인(408a, 408b)의 이동을 제어함으로써, 필름의 진행 방향에 대하여 경사진 선형 흔적을 형성할 수 있다. 가이드 수단으로는, 지지축(491a, 491b)을 가이드 레일(481a, 481b)에 대하여 승강하지 않도록 하는 대신에, 가이드 레일(481a, 481b)을 승강 가능하게 하는 구성이 될 수도 있다.
패턴 롤(422a, 422b)의 축선 방향 길이 및 외경은 5∼10 ㎝ 정도이면 된다. 패턴 롤(422a, 422b)의 패턴 롤끼리의 간극은, 적어도 패턴 롤의 롤 폭보다 좁게 하여, 패턴 롤의 밀도를 높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롤 트레인(408a, 408b)의 각각의 길이는 필름(401)의 폭보다 길게 한다.
도 32에 나타내는 장치에는, 필름 압착 수단으로서, 도 30에 나타내는 장치가 가진 것과 동일한 엔들리스 브러쉬(407a, 407b)가, 필름(401)을 끼우고 롤 트레인(408a, 408b)에 대하여 각각 평행하게 설치되어 있다. 단, 엔들리스 브러쉬(407a, 407b)를 지지하는 지지 부재(472, 472)는 승강 자재이다. 이로 인하여 엔들리스 브러쉬(407a)가 롤 트레인(408a)과 동시에 필름(401)에 슬라이딩 접촉하도록, 그 승강을 제어하고, 또한 엔들리스 브러쉬(407b)가 롤 트레인(408b)과 동시에 필름(401)에 슬라이딩 접촉하도록, 그 승강을 제어함으로써, 롤 미끄럼 접합면에 항상 일정한 접촉력을 부여할 수 있다.
엔들리스 브러쉬(407a, 407b)는, 그 털 재료가 필름(401)에 슬라이딩 접촉하면서 이동하는 방향과, 롤 트레인(408a, 408b)이 필름(401)에 슬라이딩 접촉하면서 이동하는 방향이 반대가 되도록 회전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엔들리스 브러쉬(407a, 407b)의 털 재료의 굴곡 회복율, 직경, 길이, 브러쉬 미끄럼 접합면에서의 밀도, 선단 형상 및 재질에 관한 바람직한 요건, 및 엔들리스 브러쉬(407a, 407b)의 브러쉬 미끄럼 접합면에서의 압력, 엔들리스 브러쉬(407a, 407b)의 주속은, 도 30에 나타내는 장치가 가진 엔들리스 브러쉬(407)의 경우와 동일하다.
경사 방향의 선형 흔적의 필름 진행 방향에 대한 각도는, 롤 트레인(408a, 408b)을 슬라이드시키는 속도와 필름(401)의 주행 속도를 적절하게 조정함으로써 변경 가능하다. 또한 패턴 롤(422a, 422b)은, 롤 미끄럼 접합면에 있어서 롤 트레인(408a, 408b)의 진행에 대하여 반대 방향으로 회전시킨다. 그 주속은, 상기 (1)에서 설명한 패턴 롤(402)의 경우와 동일하면 된다.
도 34(a) 및 도 34(b)는 필름(401)의 진행 방향에 대하여 경사진 선형 흔적을 형성하는 장치의 다른 예를 나타낸다. 이 예에서는, 축선 방향 길이가 필름(401)의 폭보다 긴 2개의 패턴 롤(423a, 423b)을 필름(401)의 진행 방향에서 전후로 평행하게 설치되어 있다. 패턴 롤(423a, 423b)의 축선 방향 길이는 필름(401) 폭의 2배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패턴 롤(423a, 423b)을 지지하는 지지축(492a, 492b)는 승강 가능하며, 또한 패턴 롤(423a, 423b)은 각각 가이드 레일(482a, 482b)을 따라 필름(401)의 폭 방향으로 직선적으로 이동할 수 있다. 승강 자재의 (492a, 492b) 및 가이드 레일(482a, 482b)로 이루어지는 가이드 수단에 의해, 패턴 롤(423a, 423b)은 필름(401)의 폭 방향에 독립적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로 인하여 패턴 롤(423a, 423b)을 필름(401)의 일단측에서 타단측에 필름(401)과 슬라이드시키면서 이동시키고, 타단측으로 이동이 끝난 후에 필름(401)으로부터 이격하여 원래의 위치까지 되돌아가는 사이클을 반복하고, 그 때 필름(401)의 폭 전체에 어느 하나의 패턴 롤이 항상 슬라이딩 접촉하도록 패턴 롤(423a, 423b)의 이동을 제어함으로써, 필름의 진행 방향에 대하여 경사진 선형 흔적을 형성할 수 있다. 경사 방향의 선형 흔적의 필름 진행 방향에 대한 각도는, 패턴 롤(423a, 423b)을 슬라이드시키는 속도와 필름(401)의 주행 속도를 적절하게 조정함으로써 변경할 수 있다.
도 34에 나타내는 장치에는, 필름 압착 수단으로서, 도 32에 나타내는 장치가 가진 것과 동일하게 승강 자재의 엔들리스 브러쉬(407a, 407b)가, 필름(401)을 끼우고 패턴 롤(423a, 423b)에 대하여 각각 평행하게 설치되어 있다.
또, 도 30∼도 34에 나타내는 장치에서는, 필름 압착 수단으로서 엔들리스 브러쉬를 구비하고 있지만, 상기 (1)에서 설명한 공기 분사 수단을 갖출 수도 있다.
(3) 필름에 폭 방향의 선형 흔적을 형성하는 경우
도 35는, 필름(401)에 폭 방향의 선형 흔적을 형성하는 장치의 일례를 나타낸다. 도 30과 동일한 부재 또는 부분에는 동일한 참조 번호가 부여되어 있다. 도 35에 나타내는 장치는, 패턴 엔들리스 벨트(406)가, 필름의 진행 방향에 대하여 경사지게 설치되어 있는 것 이외에는, 도 30 및 도 31에 나타내는 장치와 동일하다(엔들리스 브러쉬는 도시되지 않음). 도 35에 나타내는 구성의 장치를 이용하여, 필름(401)의 진행 속도, 필름(401)의 진행 방향에 대한 패턴 엔들리스 벨트(406)의 각도, 패턴 엔들리스 벨트(406)의 주속 등의 운전 조건을 적절하게 설정함으로써, 필름(401)의 폭 방향에 대한 선형 흔적을 형성할 수 있다.
도 36은, 필름(401)에 폭 방향의 선형 흔적을 형성하는 장치의 다른 예를 나타낸다. 이 예에서는, 다수의 작은 패턴 롤(421a)을 접속한 패턴 엔들리스 벨트(406a), 및 다수의 작은 패턴 롤(421b)을 접속한 패턴 엔들리스 벨트(406b)가, 필름(401)의 중심선(417)을 대칭축으로 하여 대칭적이면서 필름의 진행 방향에 대하여 경사지게 설치되어 있다. 필름 압착 수단으로서, 도 30에 나타내는 장치에 관해서 설명한 것과 동일한 엔들리스 브러쉬를, 필름(401)을 끼우고 패턴 엔들리스 벨트(406a, 406b)와 각각 평행하게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도시되지 않음).
도 36에 나타내는 구성의 장치를 이용하여, 필름(401)의 진행 속도, 필름(401)의 중심선(417)에 대한 패턴 엔들리스 벨트(406a, 406b)의 각도, 패턴 엔들리스 벨트(406a, 406b)의 주속 등의 운전 조건을 적절하게 설정함으로써, 필름(401)의 폭 방향에의 선형 흔적을 형성할 수 있다.
도 37은, 필름(401)의 폭 방향에 선형 흔적을 형성하는 장치의 다른 예를 나타낸다. 도 37에 나타내는 장치는, 도 33에 나타내는 롤 트레인(408a, 408b)이, 필름(401)의 폭 방향에 대하여 경사지게 설치되어 있는 것 이외에는, 도 33에 나타내는 장치와 동일하다(엔들리스 브러쉬는 도시하지 않음). 도 37에 나타내는 구성의 장치를 이용하여, 필름(401)의 진행 속도, 필름(401)의 진행 방향에 대한 롤 트레인(408a, 408b)의 각도, 롤 트레인(408a, 408b)의 슬라이딩 접촉 속도 등의 운전조건을 적절하게 설정함으로써, 필름(401)의 폭 방향에 대한 선형 흔적을 형성할 수 있다.
도 38(a) 및 도 38(b)은, 필름(401)의 폭 방향에 선형 흔적을 형성하는 장치의 다른 예를 나타낸다. 도 38(b)은 도 38(a)에 나타내는 장치의 좌측면을 나타낸다(도 38(a)에서의 F 방향에서 본 도면임). 이 예에서는, 필름(401)의 진행 방향에 대하여 경사진 축선 방향을 가진 2개의 패턴 롤(424a, 424b)을 구비하고 있다. 패턴 롤(424a, 424b)의 축선 방향 길이는 적어도 필름(401) 폭의 2배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패턴 롤(424a, 424b)을 지지하는 지지축(493a) 및(493b)는 승강 가능하며, 또한 패턴 롤(424a, 424b)는 각각 가이드 레일(483a, 483b)을 따라 필름(401)의 중심선(417)에 대하여 소정의 각도를 유지하면서 직선적으로 이동할 수 있다. 승강 가능한 (493a, 493b) 및 가이드 레일(483a, 483b)로 이루어지는 가이드 수단에 의해, 패턴 롤(424a, 424b)은 필름(401)의 중심선(417)에 대하여 소정의 각도를 유지하면서 독립적으로 이동할 수 있다. 축선 방향 길이로 대하여, 패턴 롤(424b)은 패턴 롤(424a)보다 길기 때문에, 패턴 롤(424a, 424b)은 서로 역방향에의 진행 시에 엇갈리는 것이 가능하다. 이로 인하여 패턴 롤(424a, 424b)을 필름(401)의 일단측에서 타단측에 필름(401)과 슬라이드시키면서 이동시키고, 타단측으로 이동이 끝난 후에 필름(401)으로부터 이격하여 원래의 위치까지 되돌아가는 사이클을 반복하고, 그 때 필름(401)의 폭 전체에 어느 하나의 패턴 롤이 항상 슬라이딩 접촉하도록 패턴 롤(424a, 424b)의 이동을 제어함으로써, 필름의 진행 방향에 대하여 폭 방향의 선형 흔적을 형성할 수 있다.
필름 압착 수단으로서, 도 38(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승강 자재이고 또한 직선이동 가능한 지지축(452a, 452b)에 각각 지지된 회전 롤 브러쉬(405a, 405b)를 설치하고, 패턴 롤(483a, 483b)의 필름(401)과의 롤 미끄럼 접합면의 이동에 맞춰 이동시키도록 한다. 또한 축선 방향 길이로 대하여, 회전 롤 브러쉬(405a, 405b)의 한 쪽을 다른 쪽보다 길게 함으로써 회전 롤 브러쉬(405a, 405b)는 서로 역방향에의 진행 시에 엇갈리는 것이 가능하다. 이것에 의해 패턴 롤(483a 또는 483b)의 필름(401)과의 롤 미끄럼 접합면에 대하여, 항상 접촉력을 가지게 할 수 있다. 회전 롤 브러쉬(405a, 405b)의 털 재료(451)의 굴곡 회복율, 직경, 길이, 브러쉬 미끄럼 접합면에서의 밀도, 선단 형상 및 재질에 관한 바람직한 요건은, 상기 (1)에서 설명한 회전 롤 브러쉬(405)의 경우와 동일하다.
또, 도 35∼도 38에 나타내는 장치로는, 운전 조건 등의 설정을 적절하게 변경함으로써, 필름(401)의 진행 방향에 대하여 경사진 선형 흔적을 형성할 수도 있다. 또한 도 35∼도 38에 나타내는 장치에 관해서는, 필름 압착 수단으로서, 엔들리스 브러쉬를 구비한 것을 설명했지만, 상기 (1)에서 설명한 공기분사 수단을 구비할 수도 있다.
이상 설명한 방법에 의해 제조되는 직선적 이열성을 가진 필름에 있어서, 상기 선형 흔적의 깊이는 필름 두께의 1∼40%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에 의해 필름강도와 양호한 직선적 이열성을 양립할 수 있다. 선형 흔적은, 그 깊이가 0.1∼10㎛인 것이 바람직하고, 그 폭이 0.1∼10 ㎛인 것이 바람직하고, 선형 흔적끼리의 간격은 10∼200 ㎛인 것이 바람직하다.
[8] 필름에의 미세 구멍 가공
형상 기억 PBT 적층 필름에 직선적 이열성을 부여하기 위해서, PBT 필름, 강성 필름 및 실런트 필름 중 적어도 하나의 전체면에 미세한 관통공을 형성할 수도 있다. 미세한 관통공은, 특히 실런트 필름에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미세 구멍은 0.5∼100 ㎛의 평균 개구 직경을 가지고, 또한 분포 밀도는 약 500개/㎠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미세 구멍의 분포 밀도가 약 500개/㎠ 미만이면, 이열성이 불충분하다. 또, 미세 구멍 밀도의 상한은 기술적으로 가능한 한 얼마든지 가능하고,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필름에 미세 구멍을 형성하는 데에는, 예를 들면 일본국 특허 제2071842호나 특개 2002-059487호에 개시된 방법을 채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일본국 특허 제2071842호에 개시된 방법을 이용하면, 날카로운 각부(角部)를 가진 다수의 모스 경도 5 이상의 입자가 표면에 부착한 제1 롤(상기 [7]에서 설명한 패턴 롤(402)과 동일한 것)과, 표면이 평활한 제2 롤의 사이에 필름을 통과시키는 동시에, 각 롤 사이를 통과하는 필름에 대한 가압력을 각 롤과 접촉하는 필름면 전체에 걸쳐 균일하게 되도록 조절함으로써, 제1 롤 표면의 다수의 입자가 날카로운 각부에서 필름에 상기 미세 구멍을 다수 형성할 수 있다. 제2 롤로서는, 예를 들면 철계 롤, 표면에 Ni 도금, Cr 도금 등을 실시한 철계 롤, 스테인리스강계 롤, 특수강 롤 등을 이용할 수 있다.
[9] 세라믹 또는 금속의 증착
형상 기억 PBT 적층 필름의 가스 배리어성 향상을 목적으로서, PBT 필름에는 금속, 세라믹 등을 증착하거나, 수지를 코팅하거나 할 수 있다. 증착하는 세라믹의 구체적인 예로서 실리카, 알루미나 등을 들 수 있다. 금속, 세라믹 등의 증착은, 공지된 방법에 의해 행할 수 있다.
[10] 기능성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필름
(1) 직선적 이열성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필름
본 발명의 직선적 이열성 PBT 필름은, 상기 [7]에서 설명한 방법에 따라서 PBT 필름의 적어도 일면에 다수의 실질적으로 평행한 선형 흔적이 형성된 것이다. 이로 인하여 원료 필름의 배향성에 관계없이 한 방향에 대한 직선적 이열성을 가지고, 임의의 부위로부터 선형 흔적을 따라 직선적으로 찢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직선적 이열성 PBT 필름을 이용하여 포장 봉지를 제조하면, 일정한 폭을 유지하면서 테이퍼가 없는 띠형으로 개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직선적 이열성 PBT 필름은 선형 흔적이 관통되지 않기 때문에, 가스 배리어성이 우수하다.
직선적 이열성 PBT 필름의 제조에 이용하는 PBT 필름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상기 [6]에서 설명한 제조 방법에 의해 얻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6]에서 설명한 제조 방법에 의해 얻어지는 PBT 필름은, 열수축률이 작기 때문에, 증착층을 형성한 경우에, 증착층이 안정하다.
직선적 이열성 PBT 필름의 선형 흔적의 깊이는 필름 두께의 1∼40%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에 의해 필름 강도와 양호한 직선적 이열성을 양립할 수 있다. 선형 흔적은, 그 깊이가 0.1∼10 ㎛인 것이 바람직하고, 그 폭이 0.1∼10 ㎛인 것이 바람직하고, 선형 흔적끼리의 간격은 10∼200 ㎛인 것이 바람직하다.
직선적 이열성 PBT 필름의 두께는 약 5∼50 ㎛인 것이 바람직하고, 약 10∼20 ㎛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예를 들면 약 12 ㎛이다. 약 5∼50 ㎛의 두께이면, 충분한 보향성 및 가스 배리어성을 가질 뿐 아니라, 광택성 및 인쇄 특성도 양호하다.
또한 직선적 이열성 PBT 필름에 금속, 세라믹 등을 증착하거나, 수지를 코팅하거나 할 수 있다. 구체적인 예로서 실리카, 알루미나 등을 증착할 수 있다. 이러한 세라믹을 증착함으로써, 직선적 이열성 PBT 필름의 가스 배리어성이 향상된다. 금속, 세라믹 등의 증착은, 공지된 방법에 의해 행할 수 있다. 금속, 세라믹 등은 필름의 선형 흔적 형성면 또는 비형성면 중 어느 쪽에나 증착할 수 있다.
또한 직선적 이열성 PBT 필름은, 범용 폴리올레핀 및 특수 폴리올레핀으로 이루어지는 층을 구비한 적층 필름으로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저밀도 폴리에틸렌(LDPE), 중밀도 폴리에틸렌(MDPE), 고밀도 폴리에틸렌(HDPE), 무연신 폴리프로필렌(CPP), 직쇄상 저밀도 폴리에틸렌(L-LDPE), 초저밀도 폴리에틸렌(VLDPE), 에틸렌·아세트산비닐 공중합체(EVA), 에틸렌·아크릴산 공중합체(EAA), 에틸렌·메타아크릴산 공중합체(EMAA), 에틸렌·에틸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EEA), 에틸렌·메틸메타크릴레이트 공중합체(EMMA), 에틸렌·아크릴산메틸 공중합체(EMA), 아이오노머(IO) 등이다. 또, 방습성, 가스 배리어성을 높일 목적으로 중간층에 알루미늄박, 실리카 증착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필름, 알루미나 증착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필름 등을 구비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적층 필름으로 하는 경우는, PBT 필름에 후술하는 선형 흔적을 형성하는 가공을 실시한 후, 제3 필름 또는 필름 적층체층과 적층시키거나, 또는 상기 중간층을 통하여 제3 필름 또는 필름 적층체층과 적층시킴으로써 제조할 수도 있다. 적층화는, 각 층의 사이에 접착층을 설치하여 압출 라미네이션에 의해 행한다. 접착층으로는 폴리에틸렌층이 바람직하다.
필름의 진행 방향(길이 방향)에 선형 흔적을 형성한 직선적 이열성 PBT 필름의 용도로는, 스틱형 과자용 포장 봉지가 있다. 본 발명의 길이 방향의 선형 흔적을 가진 직선적 이열성 PBT 필름을 이용함으로써, 일정한 폭을 유지하면서 테이퍼가 없는 띠형으로 개봉할 수 있기 때문에, 과자가 부서지지 않는다. 또, 초밥 등의 OPP 필름을 이용한 포장은, 개봉 폭에 맞춰 컷 테이프(테어 테이프)가 맞붙여 있지만, 본 발명의 길이 방향으로 선형 흔적을 형성한 직선적 이열성 PBT 필름은, 개구 폭을 유지하여 개봉할 수 있기 때문에, 테어 테이프를 필요로 하지 않는다.
필름의 진행 방향에 대하여 경사진 선형 흔적을 형성한 직선적 이열성 PBT 필름의 용도로는, 분말상의 약용, 도시락용 조미료용 등의 포장 봉지가 있다. 본 발명의 경사 방향의 선형 흔적을 가진 직선적 이열성 PBT 필름을 이용함으로써, 포장 봉지의 각부를 용이하게 경사지게 찢을 수 있다.
필름의 폭 방향(횡 방향)에 선형 흔적을 형성한 직선적 이열성 PBT 필름의 용도로는, 분말상 인스턴트 푸드의 스틱형 포장 봉지가 있다. 본 발명의 횡 방향의 선형 흔적을 가진 직선적 이열성 PBT 필름을 이용함으로써, 수요가 증대되고 있는 스틱형 포장 봉지를 저비용으로 제조할 수 있다.
직선적 이열성 PBT 필름에는, 상기 [8] 기재의 방법에 따라서, 추가로 복수 개의 미세한 관통공 및/또는 미관통공을 균일하게 형성할 수 있다. 상기 구멍에 의해 직선적 이열성이 더욱 향상될 뿐만 아니라, 선형 흔적 방향 이외의 방향으로도 이열성을 부여할 수 있다.
(2) 다공성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필름
본 발명의 다공성 PBT 필름은, 상기 [8] 기재의 방법에 따라서, PBT 필름에 다수의 미세한 관통공 및/또는 미관통공을 균일하게 형성한 것이다. 이로 인하여 본 발명의 다공성 PBT 필름은, 비틀림 유지성이 높고, 비틀릴 때의 찢어짐도 발생하지 않고, 비틀림성이 양호하다. 미세 구멍은 0.5∼100 ㎛의 평균 개구 직경을 가지고, 또한 밀도는 약 500개/㎠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미세 구멍의 밀도가 약 500개/㎠ 미만이면, 비틀림 유지성이 불충분하다.
다공성 PBT 필름의 제조에 이용하는 PBT 필름에 특별히 한정은 없지만, 상기 [6]에서 설명한 제조 방법에 의해 얻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다공성 PBT 필름은 PBT 필름의 우수한 특성인 내열성, 보향성(保香性), 내수성 등을 상실하지 않고 실용적인 특성을 유지하며, 양호한 이열성과 비틀림성을 구비한 포장재로서 유용하다. 단, 본 발명의 다공성 PBT 필름을 포함하는 포장재에 가스 배리어성이 요구되는 경우에는 미세 구멍이 뚫려 있지 않은 것을 이용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취지를 변경하지 않는 한, 여러 가지 변경을 가할 수 있다.
이하의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에 대해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들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실시예 1
2종의 PBT 수지(상품명: "토레콘 1209X01" 및 "토레콘 1200S". 모두 도오레(주)제)를 사용하고, 다이 립의 외경 150 ㎜의 다이를 장착하여, 압출 수지 온도를 230℃로 하고, 압출 수지 압력을 11.8 ㎫(120 ㎏f/㎠)로 하고, 블로우-업 비 1.5∼2.5로 관형 필름을 압출, 제1∼제3의 냉각 링 및 냉각 공기 분출 장치로부터 가습 공기를 분출시켜 냉각하면서 인출하여 필름을 얻었다. 얻어진 필름의 물성을 이하 의 방법으로 측정했다.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평균 두께: 다이얼 게이지에 의해 측정.
평균 중량: 10×10 ㎝의 직사각형 시험편의 중량을 정밀 저울에 의해 측정.
인장 파단 강도: 폭 10 ㎜ 직사각형 시험편의 인장 파단 강도를 ASTM D882에 준거하여 측정.
인장 파단 신장률: 폭 10 ㎜ 직사각형 시험편의 인장 파단 신장률을 ASTM D882에 준거하여 측정.
열수축률: 필름을 100℃, 130℃, 160℃, 175℃, 200℃에서 각 10분간 폭로했을 때의 기계 방향(MD), 수직 방향(TD)의 수축률을 각각 측정했다.
[표 1]
표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조 방법에 의해 얻어진 PBT 필름은, 200℃로 가열되더라도 열수축률이 거의 0이며, 내열수축성이 대단히 우수하다.

Claims (57)

  1.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필름; 및 종이 시트, 제2 수지 필름, 및 금속박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으로 이루어진 제3 필름 또는 필름 적층체를 포함하며, 정해진 온도역(溫度域)에서 제1 형상을 기억시킨, 형상 기억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적층 필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정해진 온도역과 다른 온도역에서 제2 형상으로 변형 가공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형상 기억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적층 필름.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형상을 기억시킨 온도 이상의 온도에 노출됨으로써, 실질적으로 상기 제2 형상에서 상기 제1 형상으로 되돌아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형상 기억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적층 필름.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형상으로 되돌아가는 온도가 상기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의 유리 전이 온도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형상 기억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적층 필름.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형상으로 되돌아가는 온도가 35℃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형상 기억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적층 필름.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형상으로 되돌아가는 온도가, 상기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의 유리 전이 온도보다 높고 융점보다 낮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형상 기억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적층 필름.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형상으로 되돌아가는 온도가 75∼10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형상 기억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적층 필름.
  8. 제2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형상은 컬(curl) 형상이고,
    상기 제2 형상은 거의 평탄한 형상 또는 반대 컬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형상 기억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적층 필름.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필름의 적어도 한쪽 면에 실질적으로 평행한 복수 개의 선형 흔적이 전면에 걸쳐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선형 흔적을 따라 임의의 부위로부터 실질적으로 직선적으로 찢을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형상 기억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적층 필름.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선형 흔적의 깊이가 상기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필름 두께의 1∼4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형상 기억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적층 필름.
  11. 제9항 또는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선형 흔적의 깊이는 0.1∼10 ㎛이고, 상기 선형 흔적의 폭은 0.1∼10 ㎛이며, 상기 선형 흔적 간 간격은 10∼200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형상 기억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적층 필름.
  12. 제9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필름의 적어도 한쪽 면에 세라믹 또는 금속이 증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형상 기억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적층 필름.
  13.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필름, 상기 종이 시트, 및 실런트 필름(sealant film)의 순으로 층이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형상 기억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적층 필름.
  14.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필름, 상기 종이 시트, 강성(剛性) 필름, 및 실런트 필름의 순으로 층이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형상 기억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적층 필름.
  15.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필름, 강성 필름, 및 실런트 필름의 순으로 층이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형상 기억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적층 필름.
  16. 제13항 내지 제1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필름의 상기 종이 시트측 면, 또는 상기 강성 필름의 상기 실런트 필름측 면에 차광성 잉크층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형상 기억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적층 필름.
  17. 제1항 내지 제16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형상 기억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적층 필름을 포함하는 포장재.
  18. 제1항 내지 제16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형상 기억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적층 필름을 포함하는 용기용 덮개.
  19. 형상 기억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적층 필름의 제조 방법으로서,
    상기 적층 필름이 (a)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필름; 및 (b) 종이 시트, 제2 수지 필름, 및 금속박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으로 이루어진 제3 필름 또는 필름 적층체를 포함하고,
    (1) 상기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필름, 및 제3 필름 또는 필름 적층체가 적층된 적층 필름을 제1 형상으로 유지시키면서, 상기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의 유리 전이 온도 이하의 온도(T1)에서 부형 처리(賦形處理)하는 단계, (2) 얻어진 부형 적층 필름을 상기 유리 전이 온도보다 높은 온도(T2)에서 제2 형상으로 변형 가공하는 단계, 및 (3) 상기 유리 전이 온도 이하의 온도(T3)로 냉각함으로써, 상기 제2 형상으로 고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형상 기억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적층 필름의 제조 방법.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형상은 컬 형상이고, 상기 제2 형상은 거의 평탄한 형상 또는 반대 컬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형상 기억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적층 필름의 제조 방법.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필름과 상기 제3 필름 또는 필름 적층체가 접착된 적층 필름을 롤로 반송(搬送)하고, 상기 롤의 주면(周面)을 따라 상기 온도 T1에서 처리함으로써, 컬 형상을 부형한 적층 필름을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형상 기억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적층 필름의 제조 방법.
  22. 제19항 내지 제2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온도 T2에서의 변형 가공을 30∼60초 동안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형상 기억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적층 필름의 제조 방법.
  23. 제19항 내지 제2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온도 T1은 35℃ 이하이고, 상기 온도 T2는 45℃ 보다 높은 온도∼65℃ 이하이며, 상기 온도 T3는 15∼25℃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형상 기억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적층 필름의 제조 방법.
  24. 제19항 내지 제2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온도 T1이 15∼25℃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형상 기억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적층 필름의 제조 방법.
  25. 제20항 내지 제2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컬 형상을 부형한 적층 필름을 상기 온도 T3로 냉각시킨 다음, 그 반대 컬 방향으로 권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형상 기억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적층 필름의 제조 방법.
  26. 제19항 내지 제2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필름과 상기 제3 필름 또는 필름 적층체를 접착할 때, 상기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필름에 4 ㎏f/m폭 이상의 장력을 가하면서, 상기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필름을 상기 제3 필름 또는 필름 적층체에 접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형상 기억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적층 필름의 제조 방법.
  27.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장력이 10∼20 ㎏f/m폭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형상 기억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적층 필름의 제조 방법.
  28. 형상 기억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적층 필름의 제조 방법으로서,
    상기 형상 기억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적층 필름이 a)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필름; 및 (b) 종이 시트, 제2 수지 필름, 및 금속박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으로 이루어진 제3 필름 또는 필름 적층체를 포함하고,
    (1) (ⅰ) 상기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필름을 제1 형상으로 유지시키면서 상기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의 유리 전이 온도보다 높고 융점보다 낮은 온도(T4)에서 부형 처리한 다음, 부형 처리된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필름을 상기 제3 필름 또는 필름 적층체와 적층하거나, 또는
    (ⅱ) 상기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필름과 상기 제3 필름 또는 필름 적층체와의 적층 필름을 미리 제조한 다음, 상기 적층 필름을 제1 형상으로 유지시키면서 상기 온도 T4에서 부형 처리함으로써, 상기 제1 형상을 갖는 부형 적층 필름을 제조하는 단계,
    (2) 상기 부형 적층 필름을 상기 유리 전이 온도 이하의 온도(T5)로 냉각시킴으로써, 상기 제1 형상으로 고정하는 단계,
    (3) 상기 부형 적층 필름을, 상기 유리 전이 온도보다 높고 상기 온도 T4보다 낮은 온도(T6)에서 제2 형상으로 변형 가공하는 단계, 및
    (4) 상기 부형 적층 필름을, 상기 유리 전이 온도 이하의 온도(T7)로 냉각시킴으로써, 상기 제2 형상으로 고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형상 기억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적층 필름의 제조 방법.
  29.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형상은 컬 형상이고, 상기 제2 형상은 거의 평탄한 형상 또는 반대 컬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형상 기억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적층 필름의 제조 방법.
  30. 제28항 또는 제29항에 있어서,
    상기 온도 T4는 75∼100℃이고, 상기 온도 T5는 40℃ 이하이고, 상기 온도 T6는 45∼65℃이며, 상기 온도 T7은 40℃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형상 기억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적층 필름의 제조 방법.
  31. 제29항 또는 제30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필름을 한 쌍의 가열 롤의 한쪽 주면에 접촉시키면서 반송하여, 상기 가열 롤의 주면을 따라 상기 온도 T4에서 가열 처리함으로써, 상기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필름에 컬 형상을 부여한 다음, 상기 컬링성을 갖는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필름과 상기 제3 필름 또는 필름 적층체를, 상기 한 쌍의 가열 롤 사이를 통과시켜 연속적으로 접착함으로써, 컬 형상을 부형한 적층 필름을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형상 기억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적층 필름의 제조 방법.
  32. 제29항 또는 제30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적층 필름을 가열 롤로 반송하여, 상기 가열 롤의 주면을 따라 상기 온도 T4에서 처리함으로써, 컬 형상을 부형한 적층 필름을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형상 기억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적층 필름의 제조 방법.
  33. 제28항 내지 제3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필름과 상기 제3 필름 또는 필름 적층체를 접착할 때, 상기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필름에 4 ㎏f/m폭 이상의 장력을 가하면서, 상기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필름을 상기 제3 필름 또는 필름 적층체에 접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형상 기억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적층 필름의 제조 방법.
  34. 제33항에 있어서,
    상기 장력이 10∼20 ㎏f/m폭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형상 기억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적층 필름의 제조 방법.
  35. 제29항 내지 제34항에 있어서,
    상기 컬 형상을 부형한 적층 필름을 상기 온도 T5로 냉각시켜, 그 반대 컬 방향으로 권취한 다음, 상기 온도 T6 이하 및 상기 온도 T7에서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형상 기억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적층 필름의 제조 방법.
  36. 제1항 내지 제16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형상 기억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적층 필름을 포함하는 덮개를 용기에 가열 접착하여, 상기 덮개를 구비한 용기의 제조 방법으로서,
    상기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의 유리 전이 온도보다 높은 온도(T8)에서, 상기 형상 기억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적층 필름을 평탄하게 유지시키면서 어닐링(annealing)한 다음, 얻어진 거의 평탄한 형상 기억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적층 필름을 덮개 재료 밀봉 수단을 이용하여 펀칭 가공하고 가열 접착하여, 상기 형상 기억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적층 필름을 포함하는 덮개를 용기에 밀착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제조 방법.
  37. 제36항에 있어서,
    상기 어닐링 공정을 30∼60초 동안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8. 제36항 또는 제37항에 있어서,
    상기 온도 T8이 80∼12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9.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수지를 공랭(空冷) 인플레이션 성형법에 의해 필름화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필름의 제조 방법으로서,
    환형 다이(die) 부근에 설치된 제1 냉각 링에서 가습 공기를 분출시켜 버블의 네크부를 냉각시키고, 블로우 업(blow-up) 비를 1.5∼2.8로 하고, 압출 수지의 온도를 210∼250℃로 하고, 압출 수지의 압력을 9.8∼13.7 ㎫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필름의 제조 방법.
  40. 제39항에 있어서,
    상기 버블의 프로스트 라인보다 약간 상방에 설치된 제2 냉각 링에서 분출되는 냉각 공기에 의해, 상기 버블을 더 냉각시키는 동시에, 상기 제1 냉각 링과 상기 제2 냉각 링의 사이에 설치된 원통형 네트의 주위 온도를 일정하게 냉각시킴으로써, 상기 제1 냉각 링 및 상기 제2 냉각 링에 의한 버블의 냉각 온도를 안정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필름의 제조 방법.
  41. 제39항 또는 제40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의 하부에 설치된 냉각 공기 분출 장치에서 분출되는 가습 공기를, 상기 원통형 네트의 외면을 따라 블로잉(blowing)함으로써, 상기 네트의 주위를 냉각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필름의 제조 방법.
  42. 제39항 내지 제4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냉각 링의 약간 상방에 설치된 제3 냉각 링을 이용하여 상기 버블을 더 냉각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필름의 제조 방법.
  43. 제39항 내지 제4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냉각 링 및 상기 제3 냉각 링의 냉각 공기로서 가습 공기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필름의 제조 방법.
  44. 제39항 내지 제4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가습 공기의 온도가 15∼25℃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필름의 제조 방법.
  45.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필름의 적어도 한쪽 면에 실질적으로 평행한 복수개의 선형 흔적이 전면에 걸쳐 형성되어 있고, 임의의 부위로부터 상기 선형 흔적을 따라 실질적으로 직선적으로 찢을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선적 이열성(易裂性)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필름.
  46. 제45항에 있어서,
    상기 선형 흔적의 깊이가 상기 필름 두께의 1∼4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선적 이열성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필름.
  47. 제45항 또는 제46항에 있어서,
    상기 선형 흔적의 깊이가 0.1∼10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선적 이열성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필름.
  48. 제45항 내지 제4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선형 흔적의 폭이 0.1∼10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선적 이열성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필름.
  49. 제45항 내지 제4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선형 흔적 간 간격이 10∼200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선적 이열성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필름.
  50. 제45항 내지 제4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복수 개의 미세한 관통공 및/또는 미관통공(未貫通空)이 균일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선적 이열성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필름.
  51. 제45항 내지 제5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직선적 이열성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필름이 단층 필름 또는 적층 필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선적 이열성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필름.
  52. 제51항에 있어서,
    상기 적층 필름이, 상기 선형 흔적을 갖는 필름으로 이루어진 1개 이상의 층, 및 실런트 필름으로 이루어진 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선적 이열성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필름.
  53. 제45항 내지 제5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세라믹 또는 금속이 증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선적 이열성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필름.
  54. 제45항 내지 제53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직선적 이열성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필름을 포함하는 포장재.
  55. 복수 개의 미세한 관통공 및/또는 미관통공이 균일하게 형성되어 있으며, 비틀림성을 갖는 다공성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필름.
  56. 제55항에 있어서,
    상기 미세한 관통공 및/또는 미관통공은 평균 개구 직경이 0.5∼100 ㎛이고, 밀도가 500개/㎠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공성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필름.
  57. 제55항 또는 제56항 기재의 다공성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필름을 포함하는 포장재.
KR1020057004812A 2002-09-20 2003-09-22 형상 기억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적층 필름, 그 제조방법 및 용도, 및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필름의 제조방법 KR10101135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2-00275939 2002-09-20
JP2002275939A JP2004106492A (ja) 2002-09-20 2002-09-20 ポリブチレンテレフタレートフィルムの製造方法、並びに機能性ポリブチレンテレフタレートフィルム及び用途
JPJP-P-2003-00001534 2003-01-07
JP2003001534A JP4077730B2 (ja) 2003-01-07 2003-01-07 形状記憶ポリブチレンテレフタレートフィルム積層体製蓋体を備えた容器の製造方法及び係る蓋体付き容器
JP2003001533A JP4077729B2 (ja) 2003-01-07 2003-01-07 形状記憶ポリブチレンテレフタレートフィルム積層体の製造方法及び係る形状記憶ポリブチレンテレフタレートフィルム積層体とその用途
JPJP-P-2003-00001533 2003-01-0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57505A true KR20050057505A (ko) 2005-06-16
KR101011359B1 KR101011359B1 (ko) 2011-01-28

Family

ID=320340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7004812A KR101011359B1 (ko) 2002-09-20 2003-09-22 형상 기억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적층 필름, 그 제조방법 및 용도, 및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필름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20060051540A1 (ko)
EP (1) EP1547767A4 (ko)
KR (1) KR101011359B1 (ko)
AU (1) AU2003264554A1 (ko)
BR (1) BR0314130A (ko)
CA (1) CA2499491A1 (ko)
TW (1) TW200531985A (ko)
WO (1) WO200402657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60145016A1 (en) * 2004-12-30 2006-07-06 The Boeing Company Mating of spacecraft components using shape memory materials
US20080027199A1 (en) 2006-07-28 2008-01-31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Shape memory polymer articles with a microstructured surface
US7951319B2 (en) * 2006-07-28 2011-05-31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Methods for changing the shape of a surface of a shape memory polymer article
US20110178247A1 (en) * 2008-09-17 2011-07-21 Cornerstone Research Group, Inc Extrudable shape memory polymer
US7919640B2 (en) * 2008-12-30 2011-04-05 Fina Technology, Inc. Synthesis with metal methacrylates as comonomers
US20100168357A1 (en) * 2008-12-30 2010-07-01 Fina Technology, Inc. Branched Ionomers with Metal Methacrylates as Comonomers
US20130012635A1 (en) * 2011-07-08 2013-01-10 Baker Hughes Incorporated Cured thermoplastic polymer for shape memory material and articles formed therefrom
US9120898B2 (en) 2011-07-08 2015-09-01 Baker Hughes Incorporated Method of curing thermoplastic polymer for shape memory material
US8939222B2 (en) 2011-09-12 2015-01-27 Baker Hughes Incorporated Shaped memory polyphenylene sulfide (PPS) for downhole packer applications
US8829119B2 (en) 2011-09-27 2014-09-09 Baker Hughes Incorporated Polyarylene compositions for downhole applications, methods of manufacture, and uses thereof
DE11788360T1 (de) * 2011-11-22 2016-09-08 Danapak Flexibles A/S Blech, Verfahren zu seiner Herstellung und Verwendung des Blechs als Deckel für Verpackungen
US8604157B2 (en) 2011-11-23 2013-12-10 Baker Hughes Incorporated Crosslinked blends of polyphenylene sulfide and polyphenylsulfone for downhole applications, methods of manufacture, and uses thereof
US9144925B2 (en) 2012-01-04 2015-09-29 Baker Hughes Incorporated Shape memory polyphenylene sulfide manufacturing, process, and composition
JP2015520045A (ja) * 2012-04-20 2015-07-16 ケース ウエスタン リザーブ ユニバーシティ 複合形状記憶材料
US20140023746A1 (en) 2012-07-17 2014-01-23 Rich Products Corporation Dough Packaging and Method for Dough Processing
US9707642B2 (en) 2012-12-07 2017-07-18 Baker Hughes Incorporated Toughened solder for downhole applications, methods of manufacture thereof and articles comprising the same
EP2777919B1 (de) 2013-03-12 2022-06-22 Ems-Chemie Ag Verfahren zur kontinuierlichen Herstellung von Laminaten aus Faserbändchen und deren Verwendung
JP6252747B2 (ja) * 2013-11-22 2017-12-27 ポップリベット・ファスナー株式会社 接合装置及び接合方法
JP6277490B2 (ja) * 2014-02-10 2018-02-14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塗膜物の製造装置
DE102014119206B4 (de) * 2014-12-19 2018-12-27 Windmöller & Hölscher Kg Verfahren und Messvorrichtung für die Überwachung der Dehnfähigkeit bei der Herstellung von Stretchfolie in einem Gießfolienverfahren und Folienmaschine
CN106379011B (zh) * 2016-09-05 2019-07-26 四川大学 一种高分子基多层形状记忆材料的制备方法
US11690847B2 (en) 2016-11-30 2023-07-04 Case Western Reserve University Combinations of 15-PGDH inhibitors with corticosteroids and/or TNF inhibitors and uses thereof
CN107044139A (zh) * 2016-12-21 2017-08-15 四川迈铁龙科技有限公司 自粘型止水带及生产方法
WO2018145080A1 (en) 2017-02-06 2018-08-09 Case Western Reserve University Compositions and methods of modulating short-chain dehydrogenase activity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33048B2 (ja) * 1987-04-08 1995-04-12 ポリプラスチックス株式会社 ポリブチレンテレフタレ−ト樹脂フイルムの製造法
US5324564A (en) * 1988-03-29 1994-06-28 Raychem Corporation Wrap-around heat-recoverable sealing article
ZA91924B (en) * 1990-02-26 1992-10-28 Colgate Palmolive Co Collapsible laminated tube for dentifrice
JPH0760833A (ja) * 1993-08-23 1995-03-07 Mitsubishi Chem Corp インフレーション樹脂フィルムの成形方法
JP3336722B2 (ja) * 1994-01-26 2002-10-21 東洋紡績株式会社 熱収縮性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JPH07299857A (ja) * 1994-04-29 1995-11-14 Daicel Chem Ind Ltd 易引裂き性フィルム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H11138726A (ja) * 1997-11-05 1999-05-25 Sekisui Chem Co Ltd 熱収縮性フィルム
DE60031523T2 (de) * 1999-09-10 2007-06-06 Ishida Co., Ltd. Beutel für nahrungsmittel, verfahren zum verpacken und verwendung eines mehrschichtfilms für beutel
JP2002030206A (ja) * 2000-07-18 2002-01-31 Polyplastics Co ポリエステル樹脂組成物
JP2002059487A (ja) * 2000-08-14 2002-02-26 Seiji Kagawa 多孔質フィルムの製造装置
US20060057405A1 (en) * 2002-09-20 2006-03-16 Seiji Kagawa Method and apparatus for producing polybutylene terephthalate film, and shape-memory polybutylene terephthalate laminate fil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A2499491A1 (en) 2004-04-01
EP1547767A1 (en) 2005-06-29
TW200531985A (en) 2005-10-01
BR0314130A (pt) 2005-06-28
EP1547767A4 (en) 2008-06-11
US20060051540A1 (en) 2006-03-09
WO2004026577A1 (ja) 2004-04-01
KR101011359B1 (ko) 2011-01-28
AU2003264554A1 (en) 2004-04-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11359B1 (ko) 형상 기억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적층 필름, 그 제조방법 및 용도, 및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필름의 제조방법
US5891537A (en) Stretch label
KR101011358B1 (ko)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필름의 제조 방법 및 제조장치, 및 형상 기억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적층 필름
CN100439098C (zh) 形状记忆聚对苯二甲酸丁二醇酯层叠薄膜及其制造方法及用途以及聚对苯二甲酸丁二醇酯薄膜的制造方法
JP5130495B2 (ja) ポリプロピレン系積層フィルム及びそれを用いた包装体
US20050247960A1 (en) Method for fabricating multi-layer film for vacuum packaging and multi-layer film fabricated by the method
JP4650019B2 (ja) ポリプロピレン系積層フィルム及びそれを用いた包装体
WO2008018528A1 (fr) Emballage
JP4428690B2 (ja) ポリブチレンテレフタレートフィルムの製造方法及び製造装置、並びに形状記憶ポリブチレンテレフタレート積層フィルム
JP5009768B2 (ja) ポリプロピレン系積層フィルム及びそれを用いた包装体
JP5839216B2 (ja) インモールド用ラベル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6187886A (ja) デッドホールド性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及びその用途
JP6519720B2 (ja) 白色熱収縮性ポリエステル系フィルム
JP4077744B2 (ja) ポリブチレンテレフタレートフィルムの製造方法及びその製造装置並びにそのポリブチレンテレフタレートフィルム
JP2005254811A (ja) ポリブチレンテレフタレートを必須成分とする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を用いた紙容器用積層材と紙容器用被エンボス積層材及びそれらの製造方法、並びにその被エンボス積層材を用いた紙容器
JP4077729B2 (ja) 形状記憶ポリブチレンテレフタレートフィルム積層体の製造方法及び係る形状記憶ポリブチレンテレフタレートフィルム積層体とその用途
JP4077730B2 (ja) 形状記憶ポリブチレンテレフタレートフィルム積層体製蓋体を備えた容器の製造方法及び係る蓋体付き容器
TW200829483A (en) Packaging body
JP7194925B2 (ja) 二軸延伸ポリブチレンテレフタレートフィルムを含む真空成形用又は真空圧空成形用包材
JP2024036915A (ja) 簡易再封可能な包装体
JP2004114661A (ja) 形状記憶ポリブチレンテレフタレートフィルム積層体の製造方法及び係る積層体とその用途
JPH07191607A (ja) ストレッチラベル
JP2005255190A (ja) 積層フィルムからなる蓋材及びこれを用いてなる包装容器
JPH07178802A (ja) ラベ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24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