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51716A - 가변식 그립 구조 - Google Patents
가변식 그립 구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50051716A KR20050051716A KR1020057006979A KR20057006979A KR20050051716A KR 20050051716 A KR20050051716 A KR 20050051716A KR 1020057006979 A KR1020057006979 A KR 1020057006979A KR 20057006979 A KR20057006979 A KR 20057006979A KR 20050051716 A KR20050051716 A KR 20050051716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haft
- grip structure
- elastic member
- structure according
- variable grip
- Prior art date
Link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24/00—Mechanisms for selecting, projecting, retracting or locking writing units
- B43K24/02—Mechanisms for selecting, projecting, retracting or locking writing units for locking a single writing unit in only fully projected or retracted positions
- B43K24/08—Mechanisms for selecting, projecting, retracting or locking writing units for locking a single writing unit in only fully projected or retracted positions operated by push-buttons
- B43K24/084—Mechanisms for selecting, projecting, retracting or locking writing units for locking a single writing unit in only fully projected or retracted positions operated by push-buttons with saw-like or analogous cam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23/00—Holders or connectors for writing implements; Means for protecting the writing-points
- B43K23/008—Holders comprising finger grip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G—HANDLES FOR HAND IMPLEMENTS
- B25G1/00—Handle construc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3/00—Nib hold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ens And Brushes (AREA)
- Toys (AREA)
- Fishing Rods (AREA)
- Passenger Equipment (AREA)
- Manipulator (AREA)
- Mechanical Pencils And Projecting And Retracting Systems Therefor, And Multi-System Writing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탄성 부재와 그 탄성 부재를 고정하는 축체를 상대적으로 회전 가능하게 하는 동시에, 그 상대적인 회전 동작을 유지시키는 수단을 설치한다. 이 구성에 의해 그 축체와 탄성 부재와의 상대적인 회전에 의해, 파지하는 여러 측의 손의 크기나 원하는 형상에 맞출 수 있는 동시에, 그 형상을 유지시켜 둘 수 있고 또한 한층 더 효과적으로 적절한 경도를 선택ㆍ유지할 수 있다. 더구나, 이들은 비교적 간단한 부품 구성에 의해서 이룰 수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탄성 부재로 이루어지는 파지 부분을 갖는 그립 구조에 관한 것이다. 그 그립을 갖는 것의 한 예로서는, 샤프 펜슬이나 볼펜, 수정 펜 등의 필기 도구, 커터나 조각도, 드라이버 등의 공구류, PDA(퍼스널ㆍ디지털ㆍ어시스턴스)나 전자 수첩에 사용되는 입력 펜, 자전거의 핸들 등을 들 수 있다.
종래부터 전술한 그립 구조에 있어서의 파지의 양호성에 관한 추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그 한 예가 파지 부분의 경도나 표면 상태, 형상 등을 고안하는 연구ㆍ개발이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탄성 부재로 이루어지는 파지 부분은 축통에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파지하는 손의 크기나 취향 등 파지하는 측의 요망을 만족시키기에는 한계가 있었다.
그 과제를 해결하는 발명으로서, 사용자의 손가락 형상에 맞추어 그립을 형성하는 방법이 채택되었다[일본 특허 공개 2001-001681호 공보(청구항 1, 도 1) 참조]. 그러나, 인상재(印象材)나 암형을 필요로 하여 비싼 물건이 되어 버리고, 또한, 성형하기 위한 작업이 번거로울 뿐만 아니라, 사용자 개인에게 있어서는 양호한 것인 그 사람(사용자) 전용의 필기 도구가 되어 버린다.
그래서, 축통을 회전시킴으로써 파지 부분을 부분적으로 볼록하게 나오게 하거나 오므라들게 하는 발명이 이루어졌다[일본 특허 공개 2000-313193호 공보(청구항 1, 도 1, 도 2) 참조].
그러나, 상기 특허 문헌 2는 파지 부분을 직경 방향으로 볼록하게 나오게 하거나 오므라들게 할 수는 있지만 아직 개발의 여지가 남아 있다. 즉, 이 특허 문헌 2에 있어서는, 원주 방향으로 균일하게 볼록하게 나오거나 오므라들기 때문에 특정한 손가락에 불쾌감을 주게 된다. 즉, 통상, 필기 도구는 엄지손가락, 집게손가락, 중지의 3개의 손가락으로 파지를 한다. 여기서, 엄지손가락을 메인으로 하여 상기 파지 부분을 볼록하게 나오게(또는, 오목하게 들어가게) 조정하여 버리면 집게손가락과 중지에 불쾌감이 생기게 된다.
또한, 어느 한 쪽에서 파지 부분의 경도(딱딱함, 부드러움)에 관해서도 여러 가지 요구가 있어, 경도를 주체로 하는 사용자는 자기에게 맞는 원하는 경도의 제품을 구입하기 때문에 그것 또한 그 사람(사용자) 전용의 필기 도구가 되어 버린다.
도 1은 본 발명의 가변식 그립 구조를 필기 도구에 채용한 예를 도시하는 외관도.
도 2는 도 1의 그립 구조의 작동을 도시하는 외관도.
도 3은 도 2의 주요부 사시도.
도 4는 도 1의 종단면도.
도 5는 파지부와 전축의 고정 방법의 변형예를 도시하는 단면도.
도 6은 도 4의 A-A 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
도 7은 도 4의 B-B 선을 따라 취한 단면을 화살표 방향으로 본 도면.
도 8은 회전 유지 수단의 변형예를 도시하는 주요부 종단면도.
도 9는 회전 유지 수단의 다른 변형예를 도시하는 주요부 종단면도.
도 10은 도 9의 C-C 선을 따라 취한 단면을 화살표 방향으로 본 도면.
도 11은 회전 유지 수단의 다른 변형예를 도시하는 종단면도.
도 12는 도 11의 주요부 분해 사시도.
도 13은 파지부의 변형예를 도시하는 외관도.
도 14는 도 13의 작동전의 예를 도시하는 횡단면도.
도 15는 파지부의 다른 변형예의 작동을 도시하는 외관도.
도 16은 도 15의 D-D 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
도 17은 파지부의 다른 변형예의 작동을 도시하는 주요부 외관 사시도.
도 18은 파지부와 축체의 고정 수단에 있어서의 변형예를 도시하는 종단면도.
도 19는 도 18의 E-E 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
도 20은 도 18의 F-F 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
도 21은 도 18의 주요부 분해 사시도.
도 22는 파지부와 축체의 고정 수단에 있어서의 변형예를 도시하는 종단면도.
도 23은 도 22의 G-G 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
도 24는 도 22의 주요부 분해 사시도.
도 25는 파지부와 축체의 고정 수단에 있어서의 변형예를 도시하는 주요부 분해 사시도.
본 발명은 탄성 부재와 그 탄성 부재를 고정하는 축체(軸體)를 상대적으로 회전 가능하게 하는 동시에, 그 상대적인 회전 동작을 유지시키는 수단을 설치한 것을 요지로 하고, 파지하는 여러 측이 최적의 파지감을 느끼는 상태를 선택 가능하게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탄성 부재와 그 탄성 부재를 고정하는 축체를 상대적으로 회전 가능하게 하는 동시에, 그 상대적인 회전 동작을 유지시키는 수단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식 그립 구조이다.
상기 구조에 있어서, 상기 탄성 부재의 단면 형상을 이형(異形) 형상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구조에 있어서, 상기 탄성 부재의 외면의 길이 방향에 슬릿 혹은 홈을 형성한 구조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상기 구조에 있어서, 상기 탄성 부재의 경도를 부분적으로 다르게 한 구조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상기 구조에 있어서, 상기 탄성 부재의 표면 거칠기를 부분적으로 다르게 한 구조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상기 구조에 있어서, 상기 탄성 부재를 기재와 비(非)기재부로 구성함과 동시에, 그 비기재부를 기재에 부분적으로 마련하고, 또한, 비기재부의 경도를 기재의 경도보다도 딱딱하게 한 구조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게다가, 상기 구조에 있어서, 상기 탄성 부재를 축체에 고정하는 고정 수단으로서, 상기 탄성부재의 양끝 내면 혹은 외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결합부를 형성하고, 그 결합부와 맞물리는 결합 수용부를 상기 파지 부분의 전방에 위치하는 전방 부재와 파지 부분의 후방에 위치하는 후방 부재 중 적어도 한 쪽에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상기 구조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 및 결합 수용부의 단면 형상을 T자형으로 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구조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 및 결합 수용부의 구성을 구멍과 그 구멍에 맞물리는 돌기로 한 구조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상기 구조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 및 결합 수용부를 상기 축체의 길이 방향에 대하여 대략 평행한 방향으로 형성된 구조로 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구조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 및 결합 수용부를 그립의 전단면 혹은 후단면의 적어도 한 쪽에 형성한 구조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상기 구조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 및 결합 수용부를 상기 축체의 길이 방향에 대하여 수직 방향으로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 상기 구조에 있어서, 상기 그립의 내면에 걸림부를 형성하여 그 걸림부를 복수의 축통 사이에 끼워 고정한 구조로 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구조에 있어서, 상기 탄성 부재를 길이 방향으로 압축한 상태로 상기 전방 부재와 후방 부재 사이에 끼워 고정한 구조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상기 구조에 있어서, 상기 상대적으로 회전하는 전방 부재와 후방 부재의 어느 한 쪽 부재의 내측에 탄성체로 이루어지는 링형 부재를 개재시킨 구조로 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구조에 있어서, 상기 상대적으로 회전하는 전방 부재와 후방 부재를 접촉시킴과 동시에, 그 접촉부에 서로가 걸리고 벗겨지는[계탈(係脫)하는] 리브를 형성한 구조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상기 구조에 있어서, 상기 상대적으로 회전하는 전방 부재와 후방 부재를 상호 압박되는 구조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 상기 구조에 있어서, 상기 상대적으로 회전하는 전방 부재와 후방 부재의 내면 혹은 외면에 서로가 걸리고 벗겨지는 리브를 형성한 구조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상기 구조에 있어서, 상기 상대적으로 회전하는 전방 부재와 후방 부재의 회전 방향에 대한 규제를 하는 규제부를 설치할 수도 있다.
게다가, 본 발명은 필기 도구의 통형상 본체를 구성하는 전축과 후축 사이에 대략 원통형의 탄성 부재를 직렬형으로 결합시켜 파지 본체로 하고,
상기 탄성 부재의 전단은 상기 전축의 후단에 고정하고,
상기 탄성 부재의 후단은 상기 후축의 전단에 고착하고, 또한
상기 직렬형으로 결합된 파지 본체 내에는 상기 전축과 상기 후축을 상대적으로 회전 가능하게 하는 동시에 소정의 회전 위치에서 걸릴 수 있도록 한 회전 기구를 구비하여 이루어진 필기 도구의 가변식 그립 구조이다.
본 발명의 가변식 그립 구조에 있어서, 회전 변형되는 파지부에는 오목부와 볼록부가 비틀린 상태로 형성되어 그 비틀린 오목부에 각 손가락을 각각 위치시킬 수 있다. 그리고, 그 비트는 각도는 사용자 각각이 취향에 따라서 조정할 수 있고. 또한, 비틀리는 것에 따라 파지부가 신축하기 때문에 그 파지부의 비틀린 각도에 의해서 경도를 변화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를 도시하고, 그 도면에 기초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4에 본 발명의 제1 실시예를 도시하고 설명한다. 도 1은 탄성 부재와 축체의 상대적 회전이 없는 경우의 외관도이다. 도면 부호 1은 연질인 탄성 부재로 이루어지는 파지부이며, 그 파지부(1)는 중공부(1c)를 형성하고 있고, 또한, 그 파지부(1)의 전단측(도면 중 아래쪽)은 전축(전방 부재)(2)과 회전 불가능하게 고정되어 있다. 한편, 파지부(1)의 후단측(도면 중 상측)도 중축(후방 부재)(3)과 회전 불가능하게 고정되어 있다. 그 후축(4)은 연결 부재(7)를 통해 전축(2)과 회전 불가능하게 고정되어 있지만, 중축(3)과는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그 중축(3)과 후축(4)을 손가락 등으로 잡고 상대적으로 회전시키면 전축(2)이 연결 부재(7)(도 4)를 매개로 하여 후축(4)과 같이 회전한다. 이에 의해서, 파지부(1)는 비틀어지는 상태로 회전 변형한다(도 2). 또한, 상기 전축(2)과 중축(3)을 손가락으로 잡고 상대적으로 회전시키더라도 파지부(1)는 회전 변형하기 때문에 상기한 조작과 같이 반드시 연결 부재(7)로 전축(2)과 후축(4)을 연결시키지 않아도 된다.
도 4, 도 5를 기초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파지부(1)의 전방 내측에는 복수의 홈(1a)이 형성되고, 상기 전축(2)의 후방에 형성된 복수의 돌기(2a)에 결합된다. 이에 의해서 파지부(1)의 일단(전방)과 전축(2)이 회전 불가능하게 고정되어 있다. 또한, 파지부(1)의 후방 내측에도 마찬가지로 복수의 홈(1a)이 형성되어 중축(3)의 외측에 형성한 복수의 돌기(2a)에 결합되어, 파지부(1)의 타단(후방)과 중축(3)이 회전 불가능하게 고정되어 있다. 또한, 상기 파지부(1)와 전축(2) 및 중축(3)의 고정은 파지부(1)의 양끝에 형성한 홈(혹은 돌기)(la)과, 그 홈(1a)과 결합하는 전축(2) 및 중축(3)에 형성한 돌기(혹은 홈)(2a)에 한정되지 않고, 예컨대, 접착제나 열융착, 초음파 용착에 의한 고정, 혹은 코오킹이나 압입 등의 고정 수단을 채용해도 된다.
또한, 상기 복수의 돌기나 홈에 한정되지 않고 여러 가지의 예가 적용 가능하다. 그 변형예를 도 6에 도시하고 설명한다. 파지부(1)의 전단 내측에는 복수의 T자형 홈(1b)이 형성되어 있고, 이 T자형 홈(1b)에 상기 전축(2)의 후방에 형성된 복수의 T자형 돌기(2b)가 삽입된 상태로 결합하고 있다. 즉, 파지부(1)의 전방 부분과 전축(2)은 회전 불가능하게 고정되어 있는 것이다. 또한, T자형이란 횡단면으로 축심보다 먼 부분에 넓은 폭의 홈부(1b1)[혹은 전축(2)의 돌기(2b1)]가 형성되어 있고, 축심의 가까운 부분에 좁은 폭의 홈부(1b2)[혹은 전축(2)의 돌기(2b2)]가 형성된 구성을 말한다. 이와 같이, 파지부(1)와 전축(2)의 결합 수단을 T자형으로 함으로써 상대적인 회전에 따르는 파지부(1)의 단부면에 있어서의 상기 전축(2)과의 연결부의 변형을 극력 적게 할 수 있고, 그리고, 전축(2)에 대한 파지부(1)의 탈락이 방지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축체의 내부에 출몰 가능한 볼펜(6)을 개재시킨 출몰식 필기 도구로 했지만, 샤프 펜슬이나 고형 수정 도구 등을 개재시키더라도 좋다. 또한, 상기 중축(3)과 연결 부재(7) 사이에는 간극(16)이 형성되어 있고, 그 간극(16)에는 연질 부재로 이루어져 단면 형상이 직사각형이나 원, 타원인 링(8)이 개재되어 있어, 상기 중축(3)과 연결 부재(7)의 상대적인 회전에 대하여 마찰 저항력을 부여하고 있다. 즉, 회전하는 방향으로 마찰 저항력을 부여함으로써 중축(3)과 파지부(1)를 상대적으로 회전시켰을 때의 그 파지부(1)의 복원 작용을 저지하고 있는 것이다. 즉, 이 링(8)이 그립이 비틀어졌을 때에 발생하는 복원 작용을 저지하고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중축(3)의 후단부에서 링(8)이 위치하는 내면은 그 링(8)이 위치하는 부분으로부터 상기 후단부를 향하여 약간 확대 개방하는 원추부로 되어 있다. 링(8)을 연결부(7)에 조립하여 계속해서 중축(3)을 전방에서 장착할 때의 그 장착 과정에서의 링(8)과 중축(3) 내면과의 마찰 저항을 극력 적게 함으로써 상기 링(8)의 비틀어짐 등을 방지하고 있는 것이다.
또한, 본 예에 있어서의 상기 출몰 기구는 캠 통(9)이나 회전자(10), 미끄럼 이동자(11), 그 미끄럼 이동자(11)에 고정되어 있는 노크 부재(11a), 캠 스프링(12), 전방 스프링(13) 등으로 구성되는 소위 디비트 캠 기구(회전 캠 기구)를 채용하고 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예컨대, 그립 조작에 의한 출몰 기구라도 좋고, 또한, 회전 조출 기구라도 좋다. 그리고, 더구나 출몰 기구를 갖지 않는 예컨대, 필기부를 덮는 캡이 장착된 필기 도구 등이라도 좋다. 이 출몰 기구는 예컨대 후단 노크 등에 의한 노크 작동에 의해서 필기 선단부를 출몰 가능하게 한 구조에 있어서 주지의 사항이기 때문에 도 4에 도시하고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파지부(1)의 표면에는 오목부(1d)가 형성되어 있고, 그 오목부(1d)에는 비교적 표면이 매끄러운 고무형 도료로 이루어지는 도장이 실시되어 있지만, 이 오목부(1d)를 별도의 부재로 성형하여 파지부(1)에 부분적으로 매립해도 좋다. 또한, 상기 오목부(비기재부)(1d)와 그 오목부(1d) 이외의 부분(기재)을 2색 성형 등의 수단에 의해서 일체적으로 성형해도 좋다. 이 때, 쌍방의 경도는 동일하게 하지만 색은 다르게 해도 좋고, 또한, 쌍방의 경도를 다르게 하는 등으로 해도 좋지만, 경도를 다르게 할 때는 오목부(1d)의 경도를 높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는, 손가락이 접촉하는 오목부(1d)를 쇼어 경도 50도∼70도로 하고, 그 밖의 부분을 쇼어 경도 20도∼50도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파지부(1)의 재질로서는 실리콘 고무나 니트릴부타디엔 고무, 천연 고무, 스티렌 고무, 스티렌 부타디엔 고무, 부타디엔 고무, 클로로프렌 고무, 우레탄 고무 등을 대표적인 예로서 들 수 있지만, 이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여러 가지 재질을 적절하게 선택 가능하다.
또한, 상기 경도로 바꾸고, 각각의 표면 거칠기를 다르게 해도 좋다. 이것은 전술과 같이 도장에 의해서 다르게 해도 좋고, 2색 성형 등의 수단에 의해서 다르게 해도 좋다. 구체적으로는 오목부(1d)의 표면 즉, 각 손가락이 접촉하는 부분을 비교적 거친면의 형상으로 하고, 그 밖의 부분을 비교적 매끄러운 표면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미끄럼 멈춤 효과가 향상되어 보다 파지감의 향상이 기대된다.
또한,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중축(3)의 내주면에는 부분적으로 원호형의 회전 걸림홈(3a)이 형성되어 있고, 그 회전 걸림홈(3a)에는 연결 부재(7)의 외주면의 일부에 형성한 원호형의 돌기(7a)가 결합되어 있다. 이들, 회전 걸림홈(3a)과 돌기(7a)의 접촉, 결합에 의해서 상기 중축(3)과 후축(4)[파지부(1)]의 지나친 회전이 방지되어 파지부(1)에 가해질 필요 이상의 회전 변형 응력이 방지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중축(3)과 후축(4)의 상대적인 회전에 있어서 한 방향으로 약 90도 회전시키면 상기 연결 부재(7)의 돌기(7a)가 중축(3)의 회전 걸림홈(3a)의 단부(端部)에 접촉하여 상기한 상대적인 회전이 규제되지만, 이 회전각도(범위)는 적절하게 설정 가능하다.
다음에, 상기 중축(3)과 연결 부재(7)의 상대적인 회전에 대하여 마찰 저항력을 부여하는 변형예를 도 8에 도시하고 설명한다. 상기 중축(3)의 내주면에는 내측 단차(3b)가 형성되어 있다. 한편, 상기 연결 부재(7)의 외주면에는 외측 단차(7b)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들 내측 단차(3b)와 외측 단차(7b) 사이에 끼워 넣어지도록, 단면이 원형의 연질 부재로 이루어지는 링(8)이 압착되어 있다. 이 링(8)이 압착됨에 따라 중축(3)과 연결 부재(7)의 상대적인 회전에 마찰 저항이 부여되는 것이다. 또한, 전술한 예나 본 예에 있어서의 링(8)의 재질로서는 실리콘 고무나 니트릴 부타디엔 고무, 천연 고무, 스티렌 고무, 스티렌 부타디엔 고무, 부타디엔 고무, 클로로프렌 고무, 우레탄 고무 등 고무형 탄성체를 들 수 있지만, 폴리에틸렌이나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등의 연질 수지 재질이라도 좋다.
도 9, 도 10에 도시하는 예는 상기 중축(3)과 연결 부재(7)의 상대적인 회전에 대하여 마찰 저항력을 부여하는 다른 변형예이다. 상기 중축(3)의 내주면에는 복수의 리브(3c)가 형성되어 있다. 한편, 연결 부재(7)의 외주면에는 상기 리브(3c)와 걸리고 벗겨지면서 타고 넘기 가능한 결합 리브(7c)가 형성되어 있다. 이들 리브(3c) 및 결합 리브(7c)의 결합에 의해서 상기 파지부(1)의 복원력에 의한 회전 변형이 유지된다.
그러나, 파지부(1)를 회전 변형시켰을 때, 그 파지부(1)는 길이 방향으로도 신장되기 때문에 그 실질적인 경도가 높아지게 되는 동시에, 그 신장을 복원시키고자 하는 응력도 발생한다. 이에 의해서, 전축(2)[중축(3)]과 파지부(1)의 접합부에 간극이 발생하여 버리는 경우가 있다. 이 간극을 방지하기 위해서 각 축과 파지부를 접착이나 열 융착에 의해서 고정해도 좋다. 또한, 파지부(1)를 축통(1)의 장착 부분보다도 길게 형성하여, 이것에 의해서 길이 방향으로 압축한 상태로 파지부(1)를 중축(3)에 장착해도 좋다.
도 11, 도 12에 도시하는 예는 전축(14)과 후축(15)을 회전 가능하게 연결한 예이다. 즉, 전술한 예의 연결 부재(7)를 사용하지 않고, 제작비용의 저감을 꾀한 것이다. 이하에서 상세하게 서술한다. 상기 파지부(1)의 후단은 후축(15)의 중간부에 고정되어 있고, 한편, 파지부(1)의 전단은 전축(14)의 전방부에 고정되어 있다. 전축(14)과 후축(15)을 상대적으로 회전시키면 파지부(1)에 비틀림이 발생하는 것이다. 또한, 본 예에 있어서도, 후축(15)과 전축(14)의 상대적인 회전에 대하여 마찰 저항력을 부여하는 수단이 배치되어 있다. 즉, 후축(15)의 후단부와 전축(14)의 전단부에는 서로가 접촉 가능한 리브(14a, 15a)가 방사상으로 복수 형성되어 있다. 또한, 후축(15)과 전축(14)은 상기 리브(14a)와 리브(15a)의 접촉 작용이 유지되도록 항상 압박되고 있다. 그 압박력은 각각의 축을 고정하고 있는 파지부(1)가 그 각각의 축을 가까이 끌어당기는 것에 의해 이루어진다. 즉, 본 실시예에서는, 파지부(1)를 자연 길이보다도 신장시킨 상태로 후축(15)과 전축(14)에 고정하고 있다. 그 때문에 파지부(1)가 수축하고자 하는 응력이 발생하고 있기 때문에 후축(15)과 전축(14)을 끌어당기는 것과 같은 작용이 발생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압박력을 별도의 부재, 예컨대, 코일 스프링 등의 탄발 부재로 작용시키도록 해도 좋다. 이와 같은 구성의 것에 있어서, 후축(15)과 전축(14)을 상대적으로 회전시키면 각각의 리브(14a, 15a)가 서로를 타고 넘어, 그에 따라서 파지부(1)가 회전 변형하고, 또한, 상기 타고 넘어가는 것이 완료한 시점에서는 그 변형된 형상이 유지된다.
도면 부호 14b, 15b는 T자형 돌기로서 그 T자형 돌기(14b, 15b)는 상기 예와 같이 파지부(1)에 형성된 T자형 홈부[예컨대, 도 4 및 도 6에 도시한 T자 형부(2b)]에 삽입되어 맞물린다.
이상의 예에서는 파지부(1)에 오목형 원호로 이루어지는 오목부(1d)를 형성하여 적절히 회전 변형했을 때에 오목부(1d)가 파지하는 손가락에 꼭 맞기 쉽도록 하고 있지만, 그 구체적인 파지부의 형상은 적절하게 선택 가능하다. 예컨대, 도 13 내지 도 15에 도시하는 예이다. 파지부(1)가 회전 변형되지 않는 상태(도 14 참조)에서는 대략 육각형 기둥의 세로 방향으로 연장되는 스트라이프형을 하고 있지만, 회전 변형하면 나선형의 스트라이프로 변형한다(도 13 참조). 그리고, 그 스트라이프형으로 변형한 파지부(1)에는 볼록부(1e)와 오목부(1d)가 형성된다.
또, 도 15, 도 16에 도시하는 형상도 좋다. 회전 변형되지 않는 상태에서는 단면이 대략 원통 형상을 유지하는 파지부(1)이다. 회전 변형하면 중앙부가 편평한 형상[편평부(1f)]으로 변화된다(도 15, 도 16 참조).
또한, 도 17에 도시하는 예도 채용할 수 있다. 회전 변형되지 않는 상태에서는 세로 방향으로 다수의 홈부(1g)가 형성된 파지부(1)이다. 회전 변형시킴으로써 홈부(1g)가 나선형으로 회전 변형한다.
이상, 여러 가지의 예를 들어 설명했지만, 어느 예에 있어서도 적절히 회전 변형시킴으로써 파지하는 사람의 취향에 따르면서도 보다 알맞은 파지부의 형상을 용이하게 얻을 수 있다.
다음에, 도 18 내지 도 21을 참조하여 상기 파지부와 축을 고정시키는 고정 수단에 있어서의 여러 가지의 변형예를 도시하여 설명한다. 축통은 후방 축통(17)과 중간 축통(18) 및 전방 축통(19)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후방 축통(17)과 중간 축통(18)은 그립(20)의 걸림 단차부(20d)가 사이에 끼여 고정된 상태로 회전 불가능한 동시에, 길이 방향으로 탈락 불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또, 상기 중간 축통(18)과 전방 축통(19)은 축통의 중심 축선을 회전 중심으로 하여 상대적으로 회전 가능하지만 길이 방향으로는 착탈 불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상기 전방 축통(19)의 전방에는 복수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하는 대략 부분 원호형의 단면을 갖는 돌기(19a)가 형성되어, 그립(20)의 전방 내측에 형성된 거의 동일 형상의 단면을 갖는 구멍(20a)에 각각 삽입되어 있다. 이들 돌기(19a)나 구멍(20a)은 본 예에서는 방사상의 4 군데에 형성되어 있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3 군데나 5 군데 혹은 1 군데에라도 좋지만, 4 군데 정도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돌기(19a)의 선단에는 테이퍼면(19e)이 형성되어 있어, 구멍(20a)에 삽입하기 쉬운 것으로 되어 있다. 또한, 전방 축통(19)의 전단에는 선단 금속 부재(21)가 부착되어 있는 데, 그 선단 금속 부재(21)는 나사 기구에 의해서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한편, 상기 후방 축통(17)의 전방에는 축통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하는 복수의 단면이 긴고리 형상 혹은 대략 부분 원호형의 돌기(17a)가 형성되어 있고, 그립(20)의 후단면(20f)에 형성된 상기 돌기(20a)와 거의 동일한 형상의 단면의 구멍(20b)에 각각 삽입되어 있다. 상기 중간 축통(18)의 후방에는 직경 축소부(18g)가 마련되어 있고, 그 직경 축소부(18g)에는 후방 평탄부(18e)가 대향한 2 군데에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직경 축소부(18g)의 원호상 측면에는 직경 축소부(18g)보다 대직경의 돌기부(18c)가 마련되어 있다. 또한, 중간 축통(18)과 직경 축소부(18g)의 연결 접속 부분에는 대직경의 외경부(18f)가 형성되어 있고, 그 외경부(18f)를 형성함으로써 걸림 단차부(18b)가 형성된다. 또한, 후방 축통(17)의 전방 내측에는 상기 중간 축통(18)에 형성한 평탄부(18e)에 대응한 평탄면(17c)과, 돌기부(18c)에 대응한 대직경부(17d)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그립(20)의 내측 후방에는 직경 축소부가 형성되어 있고, 그 직경 축소부를 형성하는 것에 따라 걸림 단차부(20d)가 형성된다.
그리고, 이들 구성에 의해서 중간 축통(18)과 후방 축통(17)은 이들 각각의 평탄부(18e)와 평탄부(17c)의 결합에 의해 회전 불가능한 한편, 상기 중간 축통(18)의 대직경 돌기부(18c)와 그것에 대응하는 후축의 대직경부(17d)의 결합에 의해 축통의 길이 방향에 대하여 탈락 불가능하게 결합된다. 그와 더불어 중간 축통(18)의 걸림 단차부(18b)와 후방 축통(17)의 선단면(17b) 사이에는 그립(20)의 내측 걸림 단차부(20d)와 후단면(20f)이 끼워 고정되어 그립(20)의 후방도 중간 축통(18)[및 후방 축통(17)]에 대하여 회전 불가능하고, 또한 길이 방향에 대하여 탈락 불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전방 축통(19)의 후방 외면에는 직경 축소부(19f)가 형성되어 있고, 그 직경 축소부(19f)에는 길이 방향으로 연장하는 단면이 원호형의 돌기(19b)가 전체 둘레에 복수 형성되어 있다. 한편, 중간 축통(18)의 전방 내면에는 단면이 원호형의 홈(18a)이 내면 전체 둘레에 또한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전방 축통(19)의 돌기(19b)와 중간 축통(18)의 홈(18a)의 개수는 같은 개수로서 각각의 돌기(19b)와 홈(18a)이 맞물리게 된다. 도면 부호 19c는 상기 중간 축통(18)과 전방 축통(19)을 연결시키는 결합 단차부이다.
상기한 구성에 의해서 전방 축통(19)과 중간 축통(18)을 상대적으로 회전시키면 돌기(19b)가 홈(8a)을 타고 넘으면서 회전한다. 이 때, 회전에 의해 변형된 그립(20)은 복원하려고 하지만, 돌기(19b)와 홈(18a)의 결합력이 상기 복원력보다도 크기 때문에 상기 그립의 회전 변형 형상이 유지된다. 게다가, 전방 축통(19)의 돌기(19b) 후방에는 회전 규제부(19d)가 설치되어 있고, 그 회전 규제부(19d)는 중간 축통(18)의 홈(18a) 후방에 마련된 회전 규제부에 접촉할 수 있게 되어 있다. 즉, 전방 축통(19)과 중간 축통(18)의 상대적인 회전 각도를 규제함으로써, 그립(20)의 현저한 회전 변형이 규제되어 파손 등이 방지된다.
또한, 그립(20)이 회전 변형하는 과정에서도, 그립(20)이 그 회전 변형을 복원하려고 하지만, 그립(20)의 구멍(20a)과 전방 축통(19)의 돌기(19a)에 의한 결합과, 전술한 그립(20)의 후방과 중간 축통(18)과 후방 축통(17)의 결합에 의해서 상기 회전 변형 형상이 유지된다.
변형예를 도 22 내지 도 24에 도시하고 설명한다. 그립(20) 후방의 후방 축통(17)에 덮어지는 직경 축소부(20g)의 측면에는 축통의 길이 방향과 대략 직교하는 복수의 구멍(20c)이 형성되어 있고, 한편 상기 중간 축통(18)의 후방에는 상기 구멍(20c)에 끼워 넣어진 상태로 맞물리는 돌기(18d)가 형성되어 있다. 즉, 중간 축통(18)은 그립(20)의 구멍(20c)에 걸어 맞춘 상태로 후방 후축(17)과 회전 불가능하게, 또한, 길이 방향으로 탈락 불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또한, 중간 축통(18)의 걸림 단차부(18b)와 후방 축통(17)의 선단면(17c) 사이에는 그립(20)의 후방 내측에 형성된 걸림 단차부(20d) 및 그립(20)의 후방 외측 걸림 단차부(20h)가 끼여 고정되어 있다. 상기 구성 이외는 전술한 예와 마찬가지이기 때문에 도면에 참조 부호를 병기하기만 하고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다른 변형예를 도 25에 도시하고 설명한다. 그립(20)의 후방 내면에는 전방 내면과 마찬가지로 축통의 길이 방향과 대략 평행하게 연장한 복수의 구멍(20e)이 형성되어 있고, 그 구멍(20e)은 상기 중간 축통(18)의 후방에 형성한 복수의 돌기에 맞물린다. 상기 구성 이외는 전술한 예와 마찬가지이기 때문에 그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본 예에 있어서의 그립(20)의 복수 구멍(20e)은 그 후방측에서 폐쇄되어 있지만, 성형성을 고려하여 후단이 개방 상태, 즉, 관통한 구멍으로 해도 좋다.
본 발명은 이상에서 도시한 구조 및 그 작용에 의해서 전술의 과제를 해소하여 우수한 가변식 그립 구조로 할 수 있는 것이다. 즉, 탄성 부재와 그 탄성 부재를 고정하는 축체를 상대적으로 회전 가능하게 하는 동시에, 그 상대적인 회전 동작을 유지시키는 수단을 설치했기 때문에 그 축체와 탄성 부재와의 상대적인 회전에 의해, 파지하는 여러 측의 손의 크기나 원하는 형상에 맞출 수 있는 동시에, 그 형상을 유지시킬 수 있고, 또한 한층 더 효과적으로 적절한 경도를 선택ㆍ유지할 수 있다. 더구나, 이들은 비교적 간단한 부품 구성에 의해서 이룰 수 있다.
Claims (20)
- 탄성 부재와 그 탄성 부재를 고정하는 축체를 상대적으로 회전 가능하게 하는 동시에, 그 상대적인 회전 동작을 유지시키는 수단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식 그립 구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부재의 단면 형상을 이형(異形) 형상으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식 그립 구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부재의 외면의 길이 방향으로 슬릿 혹은 홈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식 그립 구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부재의 경도를 부분적으로 다르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식 그립 구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부재의 표면 거칠기를 부분적으로 다르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식 그립 구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부재를 기재와 비(非)기재부로 구성함과 동시에, 그 비기재부를 기재에 부분적으로 마련하고 또한 비기재부의 경도를 기재의 경도보다도 딱딱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식 그립 구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부재를 축체에 고정하는 고정 수단으로서, 상기 탄성 부재의 양끝 내면 혹은 외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결합부를 형성하고, 그 결합부와 맞물리는 결합 수용부를, 상기 파지 부분의 전방에 위치하는 전방 부재와 파지 부분의 후방에 위치하는 후방 부재 중 적어도 한 쪽에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식 그립 구조.
-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 및 결합 수용부의 단면 형상을 T자형으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식 그립 구조.
-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 및 결합 수용부의 구성을 구멍과 그 구멍에 맞물리는 돌기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식 그립 구조.
-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 및 결합 수용부를 상기 축체의 길이 방향에 대하여 대략 평행한 방향으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식 그립 구조.
-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 및 결합 수용부를 그립의 전단면 혹은 후단면의 적어도 한 쪽에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식 그립 구조.
-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 및 결합 수용부를 상기 축체의 길이 방향에 대하여 수직 방향으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식 그립 구조.
- 제1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그립의 내면에 걸림부를 형성하여, 그 걸림부를 복수의 축통 사이에 끼워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식 그립 구조.
-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부재를 길이 방향으로 압축한 상태로 상기 전방 부재와 후방 부재 사이에 끼워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식 그립 구조.
-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상대적으로 회전하는 전방 부재와 후방 부재 중 어느 한 쪽 부재의 내측에 탄성체로 이루어지는 링형 부재를 개재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식 그립 구조.
-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상대적으로 회전하는 전방 부재와 후방 부재를 접촉시킴과 동시에, 그 접촉부에 서로가 걸리고 벗겨지는 리브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식 그립 구조.
-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상대적으로 회전하는 전방 부재와 후방 부재를 상호 압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식 그립 구조.
-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상대적으로 회전하는 전방 부재와 후방 부재의 내면 혹은 외면에 서로가 걸리고 벗겨지는 리브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식 그립 구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대적으로 회전하는 전방 부재와 후방 부재의 회전 방향에 대한 규제를 행하는 규제부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식 그립 구조.
- 필기 도구의 통형상 본체를 구성하는 전축과 후축 사이에 대략 원통형의 탄성 부재를 직렬형으로 결합시켜 파지 본체로 하고,상기 탄성 부재의 전단은 상기 전축의 후단에 고정되고,상기 탄성 부재의 후단은 상기 후축의 전단에 고착되고, 또한상기 직렬형으로 결합된 파지 본체 내에는 상기 전축과 상기 후축을 상대적으로 회전 가능하게 하는 동시에 소정의 회전 위치에서 걸릴 수 있도록 한 회전 기구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필기 도구의 가변식 그립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2002308332A JP2004142191A (ja) | 2002-10-23 | 2002-10-23 | 可変式グリップ構造 |
JPJP-P-2002-00308332 | 2002-10-23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50051716A true KR20050051716A (ko) | 2005-06-01 |
Family
ID=321709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57006979A KR20050051716A (ko) | 2002-10-23 | 2003-10-21 | 가변식 그립 구조 |
Country Status (11)
Country | Link |
---|---|
US (1) | US7540679B2 (ko) |
EP (1) | EP1557290A4 (ko) |
JP (1) | JP2004142191A (ko) |
KR (1) | KR20050051716A (ko) |
CN (1) | CN100402316C (ko) |
AU (1) | AU2003301543A1 (ko) |
BR (1) | BR0315501A (ko) |
CA (1) | CA2499705A1 (ko) |
MX (1) | MXPA05004337A (ko) |
TW (1) | TW200410840A (ko) |
WO (1) | WO2004037552A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20060062628A1 (en) * | 2004-09-20 | 2006-03-23 | Ken Kostecki | Deformable grip for a writing implement |
JP4555657B2 (ja) * | 2004-10-15 | 2010-10-06 | ミクロ株式会社 | 筆記具 |
CN100427326C (zh) * | 2005-09-26 | 2008-10-22 | 贝发集团股份有限公司 | 一种笔杆 |
US7708903B2 (en) | 2005-11-01 | 2010-05-04 | E.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 Compositions comprising fluoroolefins and uses thereof |
US20070154253A1 (en) * | 2006-01-03 | 2007-07-05 | Kotobuki & Co., Ltd. | Writing instrument |
JP5134405B2 (ja) * | 2008-03-17 | 2013-01-30 | アスベル株式会社 | 電子レンジ用調理容器 |
JP5551539B2 (ja) * | 2010-07-29 | 2014-07-16 | 三菱鉛筆株式会社 | 筆記具 |
FR2995246B1 (fr) * | 2012-09-11 | 2014-09-05 | Bic Soc | Instrument d'ecriture ergonomique et versatile |
US20140253519A1 (en) * | 2013-03-08 | 2014-09-11 | Michael David | Expandable diameter stylus |
US9304610B2 (en) * | 2013-05-20 | 2016-04-05 | Lenovo (Singapore) Pte. Ltd. | Expanding pen for information handling device |
US10073544B2 (en) * | 2015-10-14 | 2018-09-11 |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 Stylus with adjustable grip diameter |
USD797497S1 (en) * | 2016-01-27 | 2017-09-19 | Runway Blue, Llc | Container with lid |
US10185409B2 (en) | 2016-03-15 | 2019-01-22 |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 Stylus with an adjustable dimension |
JP6707375B2 (ja) * | 2016-03-22 | 2020-06-10 | 株式会社パイロットコーポレーション | 筆記具 |
US20180229538A1 (en) * | 2017-02-15 | 2018-08-16 | Perry Kaye | Methods and Apparatuses for Pigment Application and Removal |
US10754447B2 (en) * | 2018-01-10 | 2020-08-25 |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 Stylus capsule |
US10870196B2 (en) * | 2018-07-18 | 2020-12-22 | Ideal Industries, Inc. | Tool having an auto-adjusting handle |
TWI720386B (zh) * | 2018-12-14 | 2021-03-01 | 林亞勳 | 動態矯正握筆姿勢的書寫工具 |
US10406849B1 (en) * | 2019-02-07 | 2019-09-10 | Khaled A. M. A. A. Al-Khulaifi | Training pen for writing |
EP4288294A1 (en) * | 2021-02-08 | 2023-12-13 | WeCool Toys Inc. | Uv-light drawing activity |
JP2023042360A (ja) * | 2021-09-14 | 2023-03-27 | セーラー万年筆株式会社 | 筆記具及びペン先部品 |
EP4424472A1 (en) * | 2023-03-01 | 2024-09-04 | Husqvarna AB | Tool |
Family Cites Families (1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S4516087Y1 (ko) * | 1965-08-16 | 1970-07-04 | ||
JPS4851434A (ko) | 1971-10-30 | 1973-07-19 | ||
US3730238A (en) * | 1971-09-21 | 1973-05-01 | R Butler | Friction type screwdriver |
JPS4851434U (ko) * | 1971-10-19 | 1973-07-04 | ||
JPS5976378A (ja) | 1982-10-25 | 1984-05-01 | 日本鋼管株式会社 | 二重殻タンクの施工法 |
JPS5976378U (ja) * | 1982-11-15 | 1984-05-23 | 大塚工機株式会社 | 握り部の軸径が変わる筆記具 |
JP2607456B2 (ja) | 1984-05-14 | 1997-05-07 | 株式会社東芝 | 磁気記録用磁性粉及びその製造方法 |
US5056945A (en) * | 1990-09-04 | 1991-10-15 | W. T. Rogers Company | Writing instrument grip |
US5263275A (en) * | 1992-04-10 | 1993-11-23 | Berkley, Inc. | Variable circumference rod handle |
JP2607456Y2 (ja) * | 1993-05-31 | 2001-09-04 | ぺんてる株式会社 | 筆記具における把持部構造 |
US5564316A (en) * | 1994-03-07 | 1996-10-15 | Sram Corporation | Nubbed grip for rotatable bicycle gear shifter |
JP3756563B2 (ja) * | 1995-12-19 | 2006-03-15 | ぺんてる株式会社 | 筆記具のグリップ |
US6146038A (en) * | 1999-04-22 | 2000-11-14 | A.T.X. International, Inc. | Variable contour grip |
JP2000355185A (ja) * | 1999-06-14 | 2000-12-26 | Pentel Corp | 筆記具のグリップ |
JP4350210B2 (ja) | 1999-06-22 | 2009-10-21 | 好雅 小島 | 筆記具およびその製造方法 |
US6533483B2 (en) * | 2000-11-14 | 2003-03-18 | Avery Dennison Corporation | Multi-media writing instruments and methods for their use |
-
2002
- 2002-10-23 JP JP2002308332A patent/JP2004142191A/ja active Pending
-
2003
- 2003-10-21 US US10/531,924 patent/US7540679B2/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03-10-21 CA CA002499705A patent/CA2499705A1/en not_active Abandoned
- 2003-10-21 CN CNB2003801020572A patent/CN100402316C/zh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03-10-21 AU AU2003301543A patent/AU2003301543A1/en not_active Abandoned
- 2003-10-21 WO PCT/JP2003/013413 patent/WO2004037552A1/ja active Application Filing
- 2003-10-21 EP EP03756717A patent/EP1557290A4/en not_active Withdrawn
- 2003-10-21 MX MXPA05004337A patent/MXPA05004337A/es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 2003-10-21 BR BR0315501-3A patent/BR0315501A/pt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 2003-10-21 KR KR1020057006979A patent/KR20050051716A/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 2003-10-22 TW TW092129325A patent/TW200410840A/zh unknow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EP1557290A4 (en) | 2007-12-26 |
US20060045604A1 (en) | 2006-03-02 |
EP1557290A1 (en) | 2005-07-27 |
CN1708411A (zh) | 2005-12-14 |
CN100402316C (zh) | 2008-07-16 |
JP2004142191A (ja) | 2004-05-20 |
MXPA05004337A (es) | 2005-11-04 |
BR0315501A (pt) | 2005-08-23 |
WO2004037552A1 (ja) | 2004-05-06 |
TW200410840A (en) | 2004-07-01 |
US7540679B2 (en) | 2009-06-02 |
CA2499705A1 (en) | 2004-05-06 |
AU2003301543A8 (en) | 2004-05-13 |
AU2003301543A1 (en) | 2004-05-13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20050051716A (ko) | 가변식 그립 구조 | |
US20050180805A1 (en) | Stick-shaped cosmetic material feeding container | |
USH1050H (en) | Writing instrument | |
JP5025979B2 (ja) | 筆記具 | |
JP2014205242A (ja) | 筆記具 | |
JP4676905B2 (ja) | 筆記具 | |
JP5840395B2 (ja) | 筆記具の軸筒 | |
JP6159559B2 (ja) | 筆記具 | |
JP4851278B2 (ja) | 筆記具 | |
JP7054369B2 (ja) | 筆記具 | |
US8678691B2 (en) | Writing implement | |
JP6866186B2 (ja) | グリップ取付構造 | |
JP4873730B2 (ja) | 筆記具 | |
EP1894742A1 (en) | Shaft tube of writing implement having holding auxiliary device | |
JP2007144701A (ja) | 筆記具の軸筒 | |
JP4636585B2 (ja) | グリップ付き軸筒 | |
JP7565779B2 (ja) | 筆記具、および筆記具の把持部材 | |
WO2014168195A1 (ja) | 筆記具 | |
CA2492182C (en) | Structure of writing tool | |
JP6027384B2 (ja) | 筆記具の軸筒 | |
JP6219906B2 (ja) | 筆記具の軸筒 | |
JP3341439B2 (ja) | 筆記具における把持部構造 | |
JP2014205239A (ja) | 筆記具 | |
JP2014205241A (ja) | 筆記具 | |
WO2014168196A1 (ja) | 筆記具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WITN |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