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36730A - 스쿠터형 차량용 리모콘 장치 - Google Patents

스쿠터형 차량용 리모콘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36730A
KR20050036730A KR1020040081472A KR20040081472A KR20050036730A KR 20050036730 A KR20050036730 A KR 20050036730A KR 1020040081472 A KR1020040081472 A KR 1020040081472A KR 20040081472 A KR20040081472 A KR 20040081472A KR 20050036730 A KR20050036730 A KR 2005003673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t
disposed
handle
storage
lo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814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84110B1 (ko
Inventor
곤노다케시
가메미즈후미노리
Original Assignee
혼다 기켄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혼다 기켄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혼다 기켄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500367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3673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841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84110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HCYCLE STANDS; SUPPORTS OR HOLDERS FOR PARKING OR STORING CYCLES; APPLIANCES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ZED USE OR THEFT OF CYCLES; LOCKS INTEGRAL WITH CYCLES; DEVICES FOR LEARNING TO RIDE CYCLES
    • B62H5/00Appliances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cycles; Locks integral with cy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JCYCLE SADDLES OR SEATS; AUXILIARY DEVICE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TO CY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ARTICLE CARRIERS OR CYCLE PROTECTORS
    • B62J1/00Saddles or other seats for cycles; Arrangement thereof; Component parts
    • B62J1/12Box-shaped seats; Bench-type seats, e.g. dual or twin sea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JCYCLE SADDLES OR SEATS; AUXILIARY DEVICE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TO CY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ARTICLE CARRIERS OR CYCLE PROTECTORS
    • B62J9/00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e.g. panniers or saddle bags
    • B62J9/10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e.g. panniers or saddle bags integrated with the cycle
    • B62J9/14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e.g. panniers or saddle bags integrated with the cycle under the sadd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KCYCLES; CYCLE FRAMES; CYCLE STEERING DEVICES; RIDER-OPERATED TERMINAL CONTROL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CYCLE AXLE SUSPENSIONS; CYCLE SIDE-CARS, FORECARS, OR THE LIKE
    • B62K2202/00Motorised scoot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70/00Locks
    • Y10T70/50Special application
    • Y10T70/5889For automotive vehicles
    • Y10T70/5973Remote contro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utomatic Cycles, And Cycles In General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 송신기로부터의 ID 신호를 수신함에 따라서 적어도 엔진의 시동 조작 및 핸들 록 해제 조작을 가능하게 한 손잡이를 갖는 핸들 록 모듈을 구비하여, 승차용 시트에 탄 운전수의 다리부 전방을 덮는 레그 실드에 상기 손잡이가 배치되는 스쿠터형 차량용 리모콘 장치에 있어서, 휴대 송신기가 없더라도, 장난 방지를 도모하면서, 긴급 잠금 해제용의 메카니컬 키를 이용하여 스쿠터형 차량을 주행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핸들 록 모듈(211)의 좌우 중 어느 한쪽에서 레그 실드(158)에 덮개 부재(215)로 폐쇄할 수 있는 수납 오목부(214)가 형성되어, 휴대 송신기를 필요로 하지 않으면서 적어도 엔진의 시동 및 핸들 록 해제를 가능하게 하기 위한 긴급 잠금 해제용 키 실린더 자물쇠(236)가 그 키 구멍을 수납 오목부(214)의 내측면을 향하게 하도록 하여 레그 실드(158)내에 배치된다.

Description

스쿠터형 차량용 리모콘 장치{REMOTE CONTROL SYSTEM FOR SCOOTER-TYPE VEHICLE}
본 발명은 차량 사용자가 휴대한 정규의 휴대 송신기로부터의 ID 신호를 수신함에 따라서 적어도 엔진의 시동 조작 및 핸들 록 해제 조작을 가능하게 한 손잡이를 갖는 핸들 록 모듈을 구비하여, 승차용 시트에 탄 운전수의 다리부 전방을 덮는 레그 실드에 상기 손잡이가 배치되는 스쿠터형 차량용 리모콘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스쿠터형 차량의 리모콘 장치는 예를 들면 특허문헌 1 등으로 이미 알려져 있다.
[특허문헌 1] 특허 공개 2001-278154호 공보
이러한 리모콘 장치에서는 차량 사용자가 휴대하는 정규의 휴대 송신기로부터의 ID 신호 수신에 의해서 핸들 록 모듈의 손잡이를 조작하는 것이 가능해지는 것이지만, 차량 사용자가 휴대 송신기를 분실하거나, 휴대 송신기의 전지수명에 의해서 송신이 불가능해지는 경우에 대처하여 긴급 잠금 해제용의 메카니컬 키에 의한 긴급 잠금 해제 조작을 할 수 있도록 해 두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그 경우 긴급 잠금 해제용 키 실린더 자물쇠의 키 구멍에 대한 장난 방지의 관점에서 키 구멍이 눈에 띄지 않는 장소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이러한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휴대 송신기가 없더라도 장난 방지를 도모하면서, 긴급 잠금 해제용의 메카니컬 키를 이용하여 스쿠터형 차량을 주행시킬 수 있도록 한 스쿠터형 차량용 리모콘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청구항 1에 기재한 발명은 차량 사용자가 휴대한 정규의 휴대 송신기로부터의 ID 신호를 수신함에 따라서 적어도 엔진의 시동 조작 및 핸들 록 해제 조작을 가능하게 한 손잡이를 갖는 핸들 록 모듈을 구비하여, 승차용 시트에 탄 운전수의 다리부 전방을 덮는 레그 실드에 상기 손잡이가 배치되는 스쿠터형 차량용 리모콘 장치에 있어서, 상기 핸들 록 모듈의 좌우 중 어느 한 쪽에서 상기 레그 실드에 해당 레그 실드에 형성되는 수납 오목부가 레그 실드에 힌지 결합되는 덮개 부재로 개폐 가능하게 덮어져 이루어지는 물품 수납부가 설치되고, 상기 휴대 송신기를 필요로 하지 않으면서 적어도 엔진의 시동 및 핸들 록 해제를 가능하게 하기 위한 긴급 잠금 해제용 키 실린더 자물쇠가 그 키 구멍을 상기 수납 오목부의 내측면을 향하게 하도록 하여 상기 레그 실드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청구항 2에 기재한 발명은 청구항 1에 기재한 발명의 구성에 덧붙여, 상기 승차용 시트는 해당 승차용 시트의 아래쪽에 배치되는 수납 박스를 개방할 수 있도록 한 개폐 가능한 전방부 시트와, 해당 전방부 시트의 후방에 배치되는 후방부 시트를 가지고 텐덤형으로 구성되어, 상기 전방부 시트를 폐쇄 상태로 유지하는 시트 캣치 상태 및 상기 전방부 시트의 개폐 조작을 가능하게 하는 시트 캣치 해제 상태를 전환하는 시트 캣쳐에 연결되는 링크 기구가 상기 정규의 휴대 송신기로부터의 신호 수신시의 조작에 따라서 작동하는 시트 록 액추에이터에 연결되는 동시에, 상기 긴급 잠금 해제용 키 실린더 자물쇠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형태를 첨부의 도면에 도시한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기초로 하여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21은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를 도시하는 것으로, 도 1은 스쿠터형 차량의 좌측면도, 도 2는 연료 탱크 및 라디에이터를 부착한 상태에서의 차체 프레임의 사시도, 도 3은 승차용 시트 및 차체 커버를 제거한 상태에서의 스쿠터형 차량의 전후 방향 중간부 좌측면도, 도 4는 수납 박스를 제거한 상태에서의 도 3의 화살표 4 방향에서 본 도면, 도 5는 스쿠터형 차량의 후방부의 확대 종단 측면도, 도 6은 유닛 스윙 엔진 및 후륜의 상대 배치를 도시한 도면, 도 7은 스쿠터형 차량의 후방부 우측면도, 도 8은 수납 박스의 후방부 부근의 종단면도, 도 9는 도 8의 화살표 9 방향에서 본 도면, 도 10은 도 1의 선 10-10을 따라 취한 확대 단면도, 도 11은 전방부 시트를 개방한 상태에서의 도 5의 주요부 확대도, 도 12는 도 11의 화살표 12 방향에서 본 도면, 도 13은 도 1의 화살표 13 방향에서 본 확대도, 도 14는 도 13의 선 14-14를 따라 취한 개략적인 단면도, 도 15는 도 13의 선 15-15를 따라 취한 단면도, 도 16은 도 15의 선 16-16을 따라 취한 단면도, 도 17은 도 13의 선 17-17을 따라 취한 단면도, 도 18은 도 13의 18-18선 단면도, 도 19는 리모콘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20은 수신 유닛의 분해사시도, 도 21은 시트록의 긴급 잠금 해제 시스템의 개략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우선 도 1에 있어서, 자동이륜차인 스쿠터형 차량의 차체 프레임(F)은 전륜(WF)을 피봇 지지하는 프론트 포크(25) 및 해당 프론트 포크(25)에 연결되는 조향 핸들(26)을 조향 가능하게 지지하는 헤드 파이프(27)를 전단에 구비하는 것으로, 후륜(WR)을 후단에서 지지하는 유닛 스윙 엔진(UE)이 차체 프레임(F)의 전후 방향 중간부에서 상하 요동 가능하게 지승되고, 유닛 스윙 엔진(UE)보다도 전방에서 차체 프레임(F)에는 측면에서 보아 상하로 길게 형성되는 연료 탱크(28)와, 해당 연료 탱크(28)보다도 후방에 배치되는 라디에이터(29)가 탑재된다. 또한, 차체 프레임(F)에는 상기 유닛 스윙 엔진(UE)을 상측으로부터 덮도록 수납 박스(30)가 부착되어 있고, 이 수납 박스(30)상에 전방부 시트(32) 및 후방부 시트(33)를 가지고 탠덤형으로 구성되는 승차용 시트(31)가 배치된다. 또한, 차체 프레임(F), 상기 유닛 스윙 엔진(UE)의 전방부, 연료 탱크(28), 라디에이터(29) 및 수납 박스(30)를 덮는 합성 수지제의 차체 커버(34)가 차체 프레임(F)에 부착된다.
도 2 및 도 3을 더불어 참조하면, 차체 프레임(F)은 상기 헤드 파이프(27)와, 해당 헤드 파이프(27)에 연달아 설치되어 후방 하향으로 연장되는 좌우 한 쌍의 상측 다운 프레임(37…)과, 이들 상측 다운 프레임(37…)보다도 하측에서 헤드 파이프(27)에 연달아 설치되어 후방 하향으로 연장되는 경사부(38a…)의 후단에 수평부(38b…)가 일체로 연달아 설치되어 이루어지는 동시에 상기 상측 다운 프레임(37…)의 후단부에 후단이 용접되는 좌우 한 쌍의 하측 다운 프레임(38, 38)과, 상기 양 상측 다운 프레임(37…)의 중간부에서 후방 상향으로 연장되는 좌우 한 쌍의 시트 레일(39, 39)과, 상측 다운 프레임(37…)의 후방부 및 시트 레일(39…)의 후방부 사이를 연결하는 좌우 한 쌍의 리어 프레임(40, 40)과, 상측 다운 프레임(37…), 하측 다운 프레임(38…) 및 리어 프레임(40…)의 바깥쪽에 배치되어 전후로 연장되는 좌우 한 쌍의 서포트 프레임(41, 41)을 구비한다.
양 서포트 프레임(41…)은 차체 커버(34)가 그 좌우에 구비하는 스텝 플로어(159…)을 하측에서 지지하는 것으로, 양 서포트 프레임(41…)의 전단은 하측 다운 프레임(38…)의 경사부(38a…)의 하부에 결합되고, 또한 양 서포트 프레임(41…)의 후단은 리어 프레임(40…)의 중간부에 결합된다.
도 4 내지 도 6을 더불어 참조하면, 유닛 스윙 엔진(UE)은 실린더 축선을 거의 수평으로 한 수냉식의 엔진(E)과, 해당 엔진(E)의 출력을 전달 벨트 및 풀리에 의해서 무단계로 변속하여 후륜(WR)에 전달하는 벨트식의 무단변속기(M)로 구성되어 있고, 해당 무단변속기(M)는 변속용의 전동 모터(42)의 작동에 따라서 크랭크 샤프트측의 가동 풀리를 구동하여 변속비를 무단계로 변화시키는 것이다.
상기 무단변속기(M)의 변속기 케이스(43)는 상기 엔진(E)의 크랭크 케이스(44)의 좌측에 엔진(E)에서 좌측으로 돌출하도록 연달아 설치되고, 후륜(WR)의 좌측까지 연장되어 설치된다. 또한, 상기 크랭크 케이스(44)의 우측에는 스윙 아암(48)의 전단부가 결합되어 있고, 후륜(WR)은 변속기 케이스(43)의 후단부 및 스윙 아암(48)의 후단부 사이에 피봇 지지된다.
그런데, 변속용의 상기 전동 모터(42)는 무단변속기(M)보다도 전방에서 엔진(E)의 실린더(45)의 좌측에 배치되는 것으로, 회전 축선을 차체 폭 방향을 향하게 하여 상기 변속기 케이스(43)의 전방 돌출부(43a)에 부착된다. 또한, 전동 모터(42)는 차체 커버(34)가 구비하는 좌우 한 쌍의 패신져 스텝(162…) 중 좌측의 패신져 스텝(162)보다도 아래쪽에 배치되는 것으로, 또한 차체 프레임(F)의 일부를 구성하는 양 서포트 프레임(41…) 중 좌측의 서포트 프레임(41)보다도 측면에서 보아 아래쪽으로 위치하도록 배치된다.
차체 프레임(F)의 시트 레일(39…) 및 리어 프레임(40…)의 중간부 사이에는 브래킷(49, 49)이 설치되고, 엔진(E)의 크랭크 케이스(44)의 상면에는 한 쌍의 지지 돌기부(44a, 44a)가 돌출 설치된다. 링크(50)는 차체 폭 방향으로 연장되는 링크 통부(50a)와, 해당 링크 통부(50a)의 양끝에 동축으로 또한 일체로 설치되는 원통형의 지지 통부(50b, 50b)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양 지지 돌기부(44a, 44a) 및 상기 링크 통부(50a)가 볼트인 연결축(51)에서 연결된다. 또한, 링크(50)의 양끝의 지지 통부(50b, 50b)는 상기 연결축(51)과 평행인 지지축(52, 52)을 통해 상기 브래킷(49, 49)에 회동 가능하게 지승된다. 즉, 유닛 스윙 엔진(UE)은 상기 양 지지축(52, 52)의 축선 주위에 요동 가능하게 하여 차체 프레임(F)에 지승된다.
그런데, 상기 엔진(E) 및 차체 프레임(F) 사이에는 텐션 로드(53)가 설치되는 것으로, 이 텐션 로드(53)의 양끝에는 링형의 연결부(53a, 53b)가 설치된다. 그렇게 하여 텐션 로드(53)의 일단의 연결부(53a)는 차체 프레임(F) 중 우측의 시트 레일(39) 및 리어 프레임(40)에 설치되는 부착부(54)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텐션 로드(53)의 타단의 연결부(53b)는 크랭크 케이스(44)를 링크(50)에 연결하는 연결축(51)의 우단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다.
그렇게 하여 상기 부착부(54)는 우측의 시트 레일(39)의 전방부로부터 후방 하향으로 비스듬하게 후방으로 연장되는 지지통(55)과, 후방을 향해서 개방된 대략 U자형으로 하여 상기 지지통(55)의 후단에 고착되는 브래킷(56)과, 우측의 리어 프레임(40) 및 브래킷(56)사이를 연결하는 연결통(57)을 구비하는 것으로, 텐션 로드(53)의 일단의 연결부(53a)는 브래킷(56) 및 연결통(57)에 삽입 관통되도록 차체 프레임(F)에 고정되는 볼트(58)에 의해 부착부(54)에 회동 가능하게 지승된다.
또한, 차체 프레임(F)의 양시트 레일(39…)의 후단에는 아래쪽으로 수직 하강하는 지지판(61, 61)이 고착되어 있고, 양 지지판(61, 61)사이에 가설되는 부착부로서 지지 파이프(62)에 설치된 한 쌍의 브래킷(63, 63)에 리어 쿠션(64, 64)의 상단부가 연결되고, 양 리어 쿠션(64, 64)의 하단부는 변속기 케이스(43)의 후단부 및 스윙 아암(48)의 후단부에 연결된다.
양 상측 다운 프레임(37…)의 후단즉 하단에는 브래킷(65…)이 부착되어 있고, 양 브래킷(65…)에 메인 스탠드(66)가 회동 가능하게 지지된다. 그렇게 하여, 메인 스탠드(66)를 기립시키면 도 1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후륜(WR)을 뜨게 하여 스쿠터형 차량을 자립시킬 수 있고, 스쿠터형 차량의 주행시에는 후륜(WR)을 접지시키도록 메인 스탠드(66)를 저장하면 좋다.
엔진(E)의 실린더 헤드(46)의 상면에는 해당 실린더 헤드(46)로부터 후방측을 향해서 만곡한 흡기관(67)을 통해 스로틀 보디(68)의 하류단이 접속되어 있고, 해당 스로틀 보디(68)의 상류단은 유닛 스윙 엔진(UE)의 무단변속기(M)의 상측에 배치되는 에어클리너(69)에 상기 링크(50)의 링크 통부(50a)의 상측을 통하는 접속관(70)을 통해 접속된다.
흡기관(67)에는 연료 분사 밸브(74)가 부착된다. 또한, 스로틀 보디(68)에는 엔진(E)의 점화 시기 및 상기 연료 분사 밸브(74)의 연료 분사량을 제어하기 위한 컨트롤러(75)를 수납한 제어 박스(76)가 부착된다.
상기 실린더 헤드의 하면에는 배기관(77)이 접속되어 있고, 해당 배기관(77)은 도 7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스윙 아암(48)의 우측에 배치된 배기 머플러(78)에 접속된다.
그런데, 스윙 아암(48)은 그 측면에서 보아 후단측이 좁은 대략 삼각형이 되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스윙 아암(48)의 전방부의 상하 2개소가 볼트(79, 79)에 의해 엔진(E)의 크랭크 케이스(44)에 체결되고, 스윙 아암(48)의 후방부에서 후륜(WR)의 차축(80)이 지승되어, 해당 차축(80)보다도 후방에서 스윙 아암(48)의 후단에 리어 쿠션(64)의 하단이 연결된다.
이 스윙 아암(48)의 대략 중앙부에는 개구부(81)가 설치되어 있고, 후륜(WR)의 허브(82)에 부착되는 브레이크 디스크(83)를 갖춘 디스크 브레이크인 리어 브레이크(84)의 브레이크 캐리퍼(85)가 상기 개구부(81)내에 배치된다. 그렇게 하여 스윙 아암(48)에는 캐리퍼 브래킷(86)이 고착되어 있고, 상기 브레이크 캐리퍼(85)는 해당 캐리퍼 브래킷(86)에 고정된다.
또한, 상기 개구부(81)는 그 상하폭이 후방을 향할수록 좁아지도록 형성되어 있고, 해당 개구부(81)의 후방부에 배치되는 상기 브레이크 캐리퍼(85)는 개구부(81)의 후방에서 스윙 아암(48)에 고착되는 캐리퍼 브래킷(86)에 고정된다.
또한, 후륜(WR)의 허브(82)에는 주차 브레이크용의 드럼 브레이크(87)가 장착되어 있고, 해당 드럼 브레이크(87)를 브레이크 작동시키기 위한 레버(88)는 스윙 아암(48)의 외측에 배치되어 있고, 레버(88)의 기단이 고착되는 회동축(89)은 스윙 아암(48)을 회동 가능하게 관통하여 드럼 브레이크(87)내에 돌입된다. 한편, 스윙 아암(48)의 하부에는 브레이크 케이블(90)이 구비되는 외측 케이블(91)의 단부가 지지되어, 외측 케이블(91)의 단부로부터 돌출한 내측 케이블(92)의 단부가 상기 레버(88)의 선단부에 연결된다.
스윙 아암(48)에는 3가지의 지지 보스(48a, 48b, 48c)가 바깥쪽으로 뚫고 나오도록 일체로 돌출 설치되어 있고, 이들 지지 보스(48a∼48c)에 볼트(93…)에 의해 체결되는 배기 머플러(78)가 상기 개구부(81)내에 배치되는 브레이크 캐리퍼(85)를 바깥쪽에서 덮도록 스윙 아암(48)의 바깥쪽에 배치된다. 또한, 각 지지 보스(48a∼48c) 중 지지 보스(48a, 48b) 사이에 브레이크 캐리퍼(85)가 배치되어 있고, 이들 지지 보스(48a, 48b)에 의해서 브레이크 캐리퍼(85)를 보호할 수 있다.
또한, 배기 머플러(78)의 하부는 상기 지지 보스(48a∼48c) 중 배기 머플러(78)보다도 하측에서 후륜(WR)의 차축(80)의 전후 양측에 배치된다. 즉, 배기 머플러(78)의 하부는 차축(80)의 전후 양측의 2개소에서 스윙 아암(48)에 체결되는 것으로, 이들의 체결부를 연결하는 직선(L) 및 배기 머플러(78)사이에 상기 차축(80) 및 리어 쿠션(64)의 스윙 아암(48)에 대한 체결부가 배치된다.
그런데, 배기 머플러(78)에 대한 배기관(77)의 접속부의 근방에는 엔진(E)이 구비하는 크랭크 케이스(44)내의 오일 레벨을 검출하도록 크랭크 케이스(44)의 하부에 배치되는 레벨 게이지(94)가 배치되어 있고, 배기 머플러(78)에 대한 접속부 부근에서 배기관(77)에는 레벨 게이지(94)와의 간섭을 피하기 위해서 상측에 볼록하게 만곡한 만곡부(77a)가 형성된다.
엔진(E)을 향해서 연료를 분사하는 연료 분사 밸브(74)에는 연료 탱크(28)로부터 연료가 공급되는 것으로, 이 연료 탱크(28)는 차체 프레임(F) 중 좌우 한 쌍의 상측 다운 프레임(37…) 및 좌우 한 쌍의 하측 다운 프레임(38…)으로 둘러싸이는 동시에 전륜(WF)의 직후가 되는 스페이스에 배치되고, 게다가 헤드 파이프(27)의 하부 후방에서 상기 양 하측 다운 프레임(38…)의 하부에 걸쳐 상하로 연장되도록 형성된다.
그렇게 하여, 양 하측 다운 프레임(38…)의 경사부(38a…)에는 연료 탱크(28)의 상부를 체결하기 위한 부착판(95…)이 용접되고, 양 하측 다운 프레임(38…)의 수평부(38b…)에는 연료 탱크(28)의 하부를 체결하기 위한 부착판(96…)이 용접된다.
연료 탱크(28)내의 하부에는 펌프 유닛(97)이 수납되는 것으로, 이 펌프 유닛(97)은 연료 탱크(28)의 하부 배면에 설치된 부착 구멍(98)으로부터 연료 탱크(28)내에 삽입되도록 상기 연료 탱크(28)의 배면측에서 연료 탱크(28)에 부착된다.
게다가 상기 펌프 유닛(97)은 그 회전 축선이 전방 하향으로 경사진 자세로 연료 탱크(28)에 부착되는 것으로, 연료 탱크(28)내의 연료를 빨아들이도록 상기 펌프 유닛(97)에 부설되는 연료 필터(99)가 연료 탱크(28)내의 최하부에 배치된다. 또한, 연료 탱크(28)내의 연료량에 따라서 승강하는 플로트(101)가 펌프 유닛(97)으로부터 연장되어 있고, 이 플로트(101)에 의해서 검출되는 연료잔량은 상기 스로틀 보디(68)에 부착된 제어 박스(76)내의 컨트롤러(75)에 송신된다.
라디에이터 팬(35)을 갖는 라디에이터(29)는 연료 탱크(28)로부터 후방에 간격을 둔 위치에 배치되는 것으로, 이 라디에이터(29)는 차체 프레임(F)의 양 하측 다운 프레임(38…)의 수평부(38b…)의 후방부, 및 차체 프레임(F)의 양 상측 다운 프레임(37…)의 후방부 사이에 설치되는 지지 프레임(100)으로 지지된다.
상기 라디에이터(29)에 연속해 있는 리저버 탱크(104)는 차체 커버(34)가 구비하는 좌우 한 쌍의 스텝 플로어(159…) 중 우측의 스텝 플로어(159)의 아래쪽으로 배치되어 있고, 이 리저버 탱크(104)에 연속해 있는 호스(105)가 상측으로 연장되어, 캡(106)으로 개폐 가능한 급수구(107)를 형성하는 급수구 형성 부재(108)에 상기 호스(105)의 상단이 접속된다.
또한, 상기 급수구 형성 부재(108)는 차체 프레임(F)과, 차체 프레임(F)에 요동 가능하게 지승되는 유닛 스윙 엔진(UE)과의 사이에 설치되는 텐션 로드(53)의 차체 프레임(F)측에 대한 부착부(54)에 지지된다. 즉, 우측의 시트 레일(39)의 전방부로부터 후방 하향으로 경사지게 후방으로 연장되어 상기 부착부(54)의 일부를 구성하는 지지통(55)에 상기 급수구 형성 부재(108)가 지지된다.
도 8 및 도 9를 더불어 참조하면, 수납 박스(30)는 차체 프레임(F)의 양 상측 다운 프레임(37…)의 후방부, 양 시트 레일(39…) 및 양 리어 프레임(40…)사이에 배치되는 것으로, 이 수납 박스(30)는 상단을 개방한 박스 본체(110)와, 해당 박스 본체(110)의 후방부를 상측으로부터 덮도록 박스 본체(110)에 결합되는 상면 커버(111)로 이루어져, 승차용 시트(31)의 아래쪽에 해당 승차용 시트(31)의 전단 하측에서 리어 쿠션(64…)의 상부 근방까지 연장되도록 배치된다.
수납 박스(30)를 차체 프레임(F)에 지지하기 위해서 차체 프레임(F)의 한 쌍의 시트 레일(39…)의 중간부에는 전방부 지지 부재(112…)가 각각 용접되고, 상기 양시트 레일(39…)의 후방부에는 전후로 긴 후방부 지지 부재(113…)가 각각 용접된다. 한편, 수납 박스(30)의 박스 본체(110)의 양측 상부에는 상기 전방부 지지 부재(112…)상에 실리는 전방부 부착부(110a…)와, 상기 후방부 지지 부재(113…)의 길이 방향 중간부에 실리는 후방부 부착부(110b…)가 설치되어 있고, 전방부 부착부(110a…)가 전방부 지지 부재(112…)에 볼트(114…)에 의해 각각 체결되는 동시에, 후방부 부착부(110b…)가 후방부 지지 부재(113…)에 볼트(115…)에 의해 각각 체결된다.
수납 박스(30)의 저벽, 즉 박스 본체(110)의 저벽에는 헬멧(H1)을 수납할 수 있도록 전방부 시트(32)의 아래쪽으로 배치되는 전방부 헬멧 수납부(119)와, 헬멧(H2)을 수납할 수 있도록 후방부 시트(33)의 아래쪽으로 배치되는 후방부 헬멧 수납부(120)와, 전방부 헬멧 수납부(119) 및 후방부 헬멧 수납부(120)사이에 배치되는 거의 평탄한 얕은 바닥부(110c)가 형성되는 것으로, 전방부 및 후방부 헬멧 수납부(119, 120)는 아래쪽을 향해서 팽창된 형상으로 형성된다. 또한, 수납 박스(30)의 상면 커버(111)의 앞 가장자리는 상기 후방부 헬멧 수납부(120)에 대한 헬멧(H2)의 수납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서 상면에서 보면 후방으로 팽창된 원호형이 되도록 형성된다. 또한, 상면 커버(111)의 전방부에 대응하는 부분에서 박스 본체(110)의 내측면에는 수납 박스(30)내를 비추는 조명구(116)가 부착되어 있다.
수납 박스(30)의 상기 얕은 바닥부(110c)의 아래쪽에는 스로틀 보디(68) 및 연료 분사 밸브(74)가 상단 위치를 거의 동일하게 하여 배치되는 동시에, 리저버 탱크(104)의 급수구(107)가 배치되고, 급수구(107)의 상측으로 상기 얕은 바닥부(110c)에는 제1 유지 보수 리드(117)가 개폐 가능하게 부착된다.
수납 박스(30)의 후방부에는 차체 프레임(F)의 후방부에 대한 리어 쿠션(64…)의 상부의 부착부인 지지 파이프(62) 및 후방부 시트(33)의 후단보다도 후방으로 팽출한 후방부 팽출부(121)가 설치되어 있고, 이 후방부 팽출부(121)는 후방부 시트(33)의 주위에 배치되는 글러브 레일(118)의 후단과 거의 동일 위치까지 후방으로 팽출된다. 또한, 후방부 팽출부(121)의 후방부 중앙에는 상면에서 보아 좌우의 테일라이트 유닛(123, 123)사이에 들어가는 협소 부분(121a)이 설치된다.
상기 후방부 팽출부(121)의 하부는 차체 프레임(F)의 후방부에 대한 상기 리어 쿠션(64…)의 상부의 부착부인 지지 파이프(62)보다도 아래쪽으로 배치되는 것으로, 이것에 따라 상기 리어 쿠션(64)의 상부의 차체 프레임(F)에 대한 부착부에 대응한 융기부(110d)가 수납 박스(30), 즉 박스 본체(110)의 저벽을 부분적으로 융기시키도록 형성되고, 후방부 헬멧 수납부(120)와의 사이에 상기 융기부(110d)를 개재시킨 포켓부(124)가 후방부 팽출부(121)내에 형성된다.
승차용 시트(31)의 후방부 시트(33)는 상기 수납 박스(30)의 상면 커버(111)의 전방부측을 덮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해당 후방부 시트(33)의 앞 가장자리는 상면 커버(111)의 앞 가장자리에 대응하여 상면에서 보면 후방으로 팽창된 원호형이 되도록 형성된다.
도 10에 있어서 후방부 시트(33)는 상기 수납 박스(30)의 상면 커버(111)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것으로, 상면 커버(111)의 전방부 양측에는 측방으로 돌출한 받침판부(111a…)가 일체로 설치되고, 이들 받침판부(111a…)에는 탄성재로 이루어지는 탄성링(125…)이 각각 장착된다. 한편, 후방부 시트(33)의 바닥판(33a)에는 상기 탄성링(125…)을 탄성 결합시키는 환상 오목부(126a…)를 외주에 갖는 맞물림 돌기(126…)가 일체로 돌출 설치되어 있고, 맞물림 돌기(126…)에 맞물리는 탄성링(125…)을 환상 오목부(126a…)에 탄성 결합함으로써 후방부 시트(33)가 상기 상면 커버(111)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된다.
상기 상면 커버(111)의 상면에는 무단형으로 연속해 있는 사각형상의 제1 리브(127)가 돌출 설치되고, 이 제1 리브(127)로 둘러싸이도록 상면 커버(111)의 상면에 후방부 시트(33)의 탈착에 따라서 이용 가능한 수납 스페이스(128)가 형성된다. 또한, 후방부 시트(33)의 바닥판(33a)에서는 제1 리브(127)를 둘러싸 무단형으로 연속해 있는 제2 리브(129)가 수직 하강되어, 제1 및 제2 리브(127, 129)에 의해 상기 수납 스페이스(128)를 둘러싸는 미로 구조가 구성된다.
글러브 레일(118)은 후방부 시트(33)의 양측에 배치되어 전후로 연장되는 파지부(118a, 118a)와, 이들 파지부(118a…)의 후단사이를 연결하는 연결부(118b)를 일체로 갖는 금속제인 것으로, 상기 양 파지부(118a)의 전방부는 차체 프레임(F)의 시트 레일(39…)의 후방부에 용접되어 있는 후방부 지지 부재(113…)에 해당 후방부 지지 부재(113…)에 대한 수납 박스(30)의 체결부를 전후로부터 끼우는 2개소에서 볼트(134…)에 의해 각각 체결된다.
상기 연결부(118b)는 수납 박스(30)의 후방부 팽출부(121)의 상부로부터 상측에 간격을 둔 위치에 배치되는 동시에 후방부 시트(33)의 상면과 거의 동일 높이가 되도록 상기 양 파지부(118a…)의 후단에 일체로 연달아 설치되어 있고, 이 연결부(118b)에 후방부 시트(33)상에 탄 패신져의 허리부를 후방에서 유지하는 등받침(135)이 착탈 가능하게 부착된다.
즉, 등받침(135)의 바닥판(136)에는 상기 글러브 레일(118)의 연결부(118b)상에 접촉하는 복수의 각부(136a…)가 일체로 돌출 설치된다. 또한, 각 각부(136a…)에는 글러브 레일(118)의 연결부(118b)에 삽입 관통되는 볼트(137…)가 꽂아 설치되어 있고, 연결부(118b)의 하면에 결합하는 너트(138…)를 각 볼트(137…)에 나사 결합하여 조임으로써 등받침(135)이 글러브 레일(118)의 후방부 상면, 즉 연결부(118b)의 상면에 착탈 가능하게 부착된다.
또한, 상기 등받침(135)은 측면에서 보면 전방 하향의 전방부 경사면(135a) 및 후방 하향의 후방부 경사면(135b)을 상면에 가지고 대략 유선형상으로 형성되는 동시에 상면에서 보면 폭이 후방을 향하여 점차 좁아지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글러브 레일(118)과 등받침(135)은 상면에서 보면 거의 모든 부분에서 중복된다.
승차용 시트(31)의 전방부 시트(32)는 해당 전방부 시트(32)를 탄 드라이버의 허리부를 후방에서 유지하도록 상측으로 융기한 등받침부(32a)를 후방부에 일체로 구비하여, 수납 박스(30) 중 상면 커버(111)로 덮어지지 않는 전방부 개구부를 상측으로부터 덮도록 수납 박스(30)상에 배치되어 있고, 전방부 시트(32)의 전단부는 수납 박스(30)의 전단에 힌지 핀(139)을 통해 연결된다. 즉, 전방부 시트(32)의 전단부는 상하로 개폐 가능하게 수납 박스(30)에 지승된다.
전방부 시트(32)의 바닥판(140)의 후방부에는 대략 U자형의 스트라이커(141)가 부착되어 있고, 후방부 시트(33)의 폭 방향 중앙부에 대응하는 위치에서 수납 박스(30)의 상면 커버(111)의 전방부 및 후방부 시트(32, 33)의 전방부 사이에는, 상기 스트라이커(141)를 잡아 전방부 시트(32)를 폐쇄 상태로 유지하는 시트 캣치 상태에서 스트라이커(141)의 파지를 해제하여 전방부 시트(32)의 개폐 작동을 가능하게 하는 시트 캣치 해제 상태로 전환 가능한 시트 캣쳐(142)가 배치되고, 이 시트 캣쳐(142)는 상측으로 개방된 상태로 있는 전방부 시트(32)를 강하시켜 수납 박스(30)의 전방부 개구부를 폐쇄했을 때에 상기 스트라이커(141)에 결합하여 시트 캣치 상태가 되며, 또한 전동 케이블(143)의 견인 작동에 의해 시트 캣치 상태로부터 시트 캣치 해제 상태로 바뀌도록 구성된다.
상기 시트 캣쳐(142)는 글러브 레일(118)의 양 파지부(118a…)의 전단 사이에 설치되는 금속제의 가교판(144)에 설치되어 있고, 이 가교판(144)은 상기 양 파지부(118a…)의 전단으로부터 상면 커버(111) 및 후방부 시트(33)사이에 들어가 상면 커버(111)의 전방부 상면을 따르도록 형성된다.
또한, 후방부 시트(33)에 있어서의 폭 방향 중앙의 전방부에는 상기 스트라이커(141)를 삽입 탈착 가능하게 삽입되는 노치(145)(도 12 참조)를 갖는 커버(146)가 전방부 시트(32)의 개방 상태로 상기 시트 캣쳐(142)를 상측으로부터 덮도록 부착된다.
도 11 및 도 12를 더불어 참조하면, 연료 탱크(28)는 수납 박스(30)의 전방에 배치되는 것으로, 수납 박스(30)의 전단 하부에는 연료 탱크(28)의 하부 부근까지 전방으로 팽출한 전방부 팽출부(122)가 연료 탱크(28) 및 라디에이터(29)사이에 배치되도록 설치되고, 전방부 팽출부(122)에는 전장품인 배터리(147)가 수납된다. 즉, 배터리(147)는 연료 탱크(28) 및 라디에이터(29)사이에 배치된다.
또한, 전방부 팽출부(122)에는 상기 배터리(147) 이외에도 전장품(148, 149, 150) 등이 수납되어 있다.
수납 박스(30)의 박스 본체(110)의 저벽에는 상기 전방부 팽출부(122) 및 전방부 헬멧 수납부(119)사이를 구획하는 제2 유지 보수 리드(151)가 개폐 가능하게 부착되고, 전방부 시트(32)를 개방한 상태로 제2 유지 보수 리드(151)를 개방하는 것에 의해 전방부 팽출부(122)내의 상기 배터리(147) 및 전장품(148∼150)의 유지 보수를 행할 수 있다.
또한, 전방부 시트(32)의 전방부 및 수납 박스(30)의 전방부 사이에는 전방부 시트(32)를 가벼운 힘으로 개방할 수 있도록 하는 동시에 전방부 시트(32)를 폐쇄할 때에는 폐쇄 속도를 완만하게 하도록 전방부 시트(32)의 개폐 작동을 보조하는 댐퍼 로드(152)가 설치되는 것으로, 이 댐퍼 로드(152)의 하부는 상기 전방부 팽출부(122)내에 수납되고, 상기 제2 유지 보수 리드(151)에는 전방부 시트(32)의 개폐에 따른 상기 댐퍼 로드(152)의 변위를 허용하도록 댐퍼 로드(152)를 삽입 관통시키는 슬릿(153)이 설치된다.
다시 도 1에 있어서 차체 커버(34)는 헤드 파이프(27)의 전방부 및 전륜(WF)의 상부를 덮는 프론트 커버(156)와, 해당 프론트 커버(156)의 좌우 양측에 접합되는 좌우 한 쌍의 프론트 사이드 커버(157…)와, 전방부 시트(32)에 탄 운전수의 다리부 전방을 덮는 동시에 헤드 파이프(27)를 후방측으로부터 덮도록 상기 양 프론트 사이드 커버(157…)에 접합되는 레그 실드(158)와, 레그 실드(158)에 연속해 있어 후방으로 연장되는 동시에 그 하단부에서 스텝 플로어(159…)를 형성하는 좌우 한 쌍의 플로어 센터 커버(160…)와, 상기 스텝 플로어(159…)의 밖 가장자리로부터 아래쪽으로 각각 수직 하강되는 좌우 한 쌍의 플로어 사이드 커버(161…)와, 상기 스텝 플로어(159…)의 후방부에 각각 설치되는 좌우 한 쌍의 패신져 스텝(162…)과, 승차용 시트(31)의 양측 아래쪽으로 배치되는 동시에 상기 플로어 사이드 커버(161…)에 연달아 설치되어 후방으로 연장되는 좌우 한 쌍의 보디 사이드 커버(163…)와, 보디 사이드 커버(163…)의 뒤쪽 하부에 연달아 설치되는 리어 하부 커버(164)와, 수납 박스(30)의 후방부 팽출부(121) 및 글러브 레일(118)의 후방부 사이에 배치되는 리어 상부 커버(165)와, 좌우 한 쌍의 테일라이트 유닛(123…)사이에 배치되는 동시에 수납 박스(30)의 후방부 팽출부(121)의 협소 부분(121a)을 후방에서 덮도록 리어 상부 커버(165)에 연속해 있는 리어 센터 커버(166)를 구비한다.
레그 실드(158)의 일부 및 좌우 한 쌍의 플로어 센터 커버(160)에 의해 양스텝 플로어(159…)사이에서 상측으로 융기한 플로어 터널부(167)가 헤드 파이프(27)의 후방에서 승차용 시트(31)의 전단 아래쪽으로 걸어 배치되는 동시에 연료 탱크(28) 및 라디에이터(29)의 상측에 위치하도록 형성되고, 이 플로어 터널부(167)에는 연료 탱크(28)의 상단에 마련된 급유캡(168)을 열어 연료 탱크(28)에 급유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서 급유용 리드(169)가 개폐 가능하게 부착되고, 전방부 시트(32)의 수납 박스(30)에 대한 힌지부를 덮는 힌지 커버(170)가 플로어 터널부(167)의 후단에 접합된다.
프론트 커버(156)의 전방부 양측과, 좌우 한 쌍의 프론트 사이드 커버(157…)의 전방부와의 사이에는 헤드라이트(171…)이 각각 배치되고, 헤드라이트(171…)의 하측에서 양 프론트 사이드 커버(157…)의 전방부에는 윙커(172…)가 각각 배치된다. 또한, 프론트 커버(156), 양 프론트 사이드 커버(157…) 및 레그 실드(158)의 상부에는 계기류를 배치하기 위한 패널(173)이 접합되어 있고, 이 패널(173)의 전방부에는 상측으로 융기하도록 미터 바이저(173a)가 일체로 설치된다. 또한, 미터 바이저(173a)의 전방에는 윈드 실드(174)가 배치된다.
전륜(WF)을 상측으로부터 덮는 프론트 펜더(175)는 프론트 포크(25)에 지지되어 있고, 조향 핸들(26)에는 좌우 한 쌍의 백미러(176…)와, 오디오 조작용 스위치 케이스(177)와, 각 등기구 등의 조작용 스위치 케이스(178) 등이 부착된다.
좌우 한 쌍의 플로어 센터 커버(160…) 중 좌측의 플로어 센터 커버(160)에 있어서, 패신져 스텝(162)의 전방 위치에는 엔진(E)이 구비하는 점화 플러그(179)의 유지 보수를 행하기 위한 플러그 유지 보수용 리드(180)가 개폐 가능하게 부착된다.
후륜(WR)을 후방에서 덮는 리어 펜더(181)에는 라이센스 플레이트(182), 리플렉터(183) 및 라이센스 라이트(184)가 부착되어 있고, 이 리어 펜더(181)는 좌우 한 쌍의 테일라이트 유닛(123…), 차체 커버(34)의 일부를 구성하는 커버 부재인 리어 상부 커버(165) 및 리어 센터 커버(166)와 동시에 수납 박스(30)의 후방부 팽출부(121)에 부착된다.
또한 리어 펜더(181)의 전방에서 수납 박스(30)의 박스 본체(110)의 하면에는 도 5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리어 펜더로서의 기능을 다하는 한 쌍의 돌출조(110e…)가 후륜(WR)의 좌우 양측에 배치되도록 돌출 설치된다.
도 13 내지 도 16에 있어서 레그 실드(158)에는 제1 및 제2 물품 수납부(191, 192)가 좌우에 분리 배치되어 있고, 제1 물품 수납부(191)는 레그 실드(158)로부터 인출하여 제거 가능한 수납 케이스(193)을 구비하며, 인출식으로 구성된다.
수납 케이스(193)는 예를 들면 합성 수지에 의해 상부를 개방한 구형의 상자형으로 형성되는 케이스 본체(194)의 외단에 화장 커버(195)가 고착되어 이루어진다. 또한, 레그 실드(158)에는 수납 케이스(193)를 삽입 탈착시키는 구형의 개구부(196)가 형성되는 동시에, 개구부(196)에 연속해 있어 구형의 통형상으로 형성되는 저장벽(197)이 일체로 연달아 설치되어, 저장벽(197)의 내단은 단벽(197a)에서 폐쇄된다.
케이스 본체(194)의 양측 하부에는 전후로 연장되는 가동 레일(198, 198)이 각각 고정되어 있고, 이들 가동 레일(198…)의 상단에는 아래쪽으로 개방된 대략 U자형으로 형성되는 지지부(198a, 198a)가 일체로 형성된다. 한편, 저장벽(197)의 양 내측면에는 상기 가동 레일(198…)에 대응하여 전후로 연장되는 고정 레일(200, 200)이 고정되어 있고, 이들 고정 레일(200…)의 길이 방향으로 간격을 둔 복수 개소, 예컨대 2개소에는 상기 가동 레일(198…)의 지지부(198a…)를 싣는 롤러(199, 199…)가 각각 피봇 지지된다. 이에 따라, 수납 케이스(193)는 해당 수납 케이스(193)의 화장 커버(195)를 레그 실드(158)의 배면에 거의 동일면에 연속해 있게 하도록 한 저장 위치와, 상기 저장벽(197)으로부터 대부분을 인출한 인출 위치와의 사이에서 슬라이드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여 개구부(196)로부터 저장벽(197)내에 삽입되는 것으로, 수납 케이스(193)의 전체를 레그 실드(158)로부터 인출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수납 케이스(193)는 그 저장 위치에서는 헤드 파이프(27)를 그 좌측으로부터 덮도록 형성되어 있다.
그런데, 상기 저장벽(197)의 단벽(197a)에는 수납 케이스(193)를 레그 실드(158)로부터 인출했을 때에 상기 단벽(197a)의 전방에 위치하는 헤드라이트(171)의 벌브(171a)를 바꾸는 등의 유지 보수 작업을 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 유지 보수용 창(201)이 설치되어 있고, 이 창(201)은 착탈 가능한 덮개(202)로 덮힌다.
또한, 저장벽(197)의 상면에는 오디오용 앰프(203)를 싣는 지지 플레임(204)이 부착되어 있고, 그 앰프(203)에 연속해 있는 커넥터(205)가, 수납 케이스(193)내에 수납되는 MP3, CD, MD 플레이어 등의 포터블 음원에 접속 가능하다. 또한, 수납 케이스(193)를 저장 위치 및 인출 위치사이에서 슬라이드시킬 때에 상기 지지 플레임(204)이 수납 케이스(193)와 간섭하는 것을 피하기 위해서 수납 케이스(193)의 케이스 본체(194)의 내단에는 상기 지지 플레임(204)에 대응한 노치(206)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앰프(203)를 수납 케이스(193)내에 고정 배치하더라도 좋고, 그 경우 지지 플레임(204)이 불필요해지기 때문에 케이스 본체(194)의 내단에 상기 노치(206)를 형성하는 것은 불필요해진다.
수납 케이스(193)의 외단측에는 차체 폭 방향 내측으로 돌출하는 돌출부(193a)가 설치되어 있고, 저장벽(197)에도 수납 케이스(193)를 저장 위치에 저장했을 때에 상기 돌출부(193a)를 수납하는 오목부(197b)가 헤드 파이프(27)에 그 후방측에서 대향하도록 형성된다.
상기 수납 케이스(193) 및 레그 실드(158)사이에는 해당 수납 케이스(193)의 전면을 향하게 한 키 구멍(207)으로부터의 키 조작에 따라서, 상기 레그 실드(158)에 대한 수납 케이스(193)의 연결 및 연결 해제를 전환 가능하게 한 시정 기구(208)가 설치되는 것으로, 이 시정 기구(208)는 키 구멍(207)으로부터의 키 조작에 의해서 작동하는 실린더 자물쇠(209)가 저장벽(197)의 오목부(197b)에 대한 결합 연결 및 결합 해제를 전환하도록 상기 수납 케이스(193)의 돌출부(193a)에 설치되어 이루어지는 것으로, 시정 기구(208)는 헤드 파이프(27)에 그 후방에서 대향하는 위치에 배치된다.
제1 물품 수납부(191)와의 반대측에서 헤드 파이프(27)의 근방에는, 조향 핸들(26)의 조향 조작을 불가능하게 할 수 있는 핸들 록 모듈(211)이 배치되어 있고, 핸들 록 모듈(211)을 제1 물품 수납부(191)와의 사이에 끼우도록 제2 물품 수납부(192)가 배치된다.
도 17에 있어서 핸들 록 모듈(211)은 제1 및 제2 물품 수납부(191, 192)사이에서 레그 실드(158)의 배면을 향하게 한 손잡이(212)를 소정의 조건하에서 조작함에 따라서, 조향 핸들(26)의 조향 조작을 가능하게 하는 동시에 엔진(E)의 시동을 가능하게 하는 것으로, 이 핸들 록 모듈(211)의 하측에서 레그 실드(158)의 배면에는 소정의 조건하에서의 조작에 의해서 승차용 시트(31) 중 전방부 시트(32)의 개방 조작을 가능하게 하기 위한 시트 잠금 해제 스위치(213)가 배치된다.
도 18에 있어서 제2 물품 수납부(192)는 레그 실드(158)에 형성되는 수납 오목부(214)가 레그 실드(158)에 힌지 결합되는 덮개 부재(215)로 개폐 가능하게 덮어져 이루어지는 것으로, 수납 오목부(214)는 제1 물품 수납부(191)의 수납 케이스(193)보다도 작고, 또한 전단을 향할수록 약간 좁아지도록 형성된다.
상기 덮개 부재(215)는 도 18의 쇄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아래쪽으로 회동하여 수납 오목부(214)를 개방하는 개방 위치와, 도 18의 실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수납 오목부(214)를 폐쇄하는 폐쇄 위치와의 사이에서 회동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여 레그 실드(158)에 추축(216)을 통해 힌지 결합되는 것으로, 덮개 부재(215)에는 회동 조작을 가능하게 하는 핸들 부분(215a)이 회동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다.
또한, 상기 덮개 부재(215)의 하측에서 레그 실드(158)에는 후륜(WR)의 드럼 브레이크(87)에 연속해 있는 브레이크 케이블(90)을 조작하기 위한 파킹 브레이크 레버(217)가 회동 조작 가능하게 피봇 지지되고, 이 파킹 브레이크 레버(217)의 조작에 따라서 작동하는 파킹 브레이크 기구(218)로부터 브레이크 케이블(90)이 연장된다.
도 19에 있어서 상기 스로틀 보디(68)에 부착된 제어 박스(76)에 수납되는 컨트롤러(75), 상기 핸들 록 모듈(211) 및 상기 시트 잠금 해제 스위치(213)는 리모콘 시스템의 일부를 구성하는 것으로, 핸들 록 모듈(211)은 손잡이(212)로 회동 조작 가능한 동시에 회동 조작시에는 조향 핸들(26)의 헤드 파이프(27)에 대한 록 상태를 해제하는 실린더 자물쇠(220)와, 해당 실린더 자물쇠(220)의 회동을 불가능하게 할 수 있는 록 솔레노이드(221)와, 상기 실린더 자물쇠(220)의 회동에 따라서 스위칭 작동하는 메인 스위치(222)와, 메인 스위치(222)로부터의 신호가 입력되는 제어 유닛(223)을 구비하는 것이고, 상기 록 솔레노이드(221)는 제어 유닛(223)으로 제어된다.
제어 유닛(223)은 차량 사용자가 휴대하는 정규의 휴대 송신기(226)로부터의 ID 신호 송신을 재촉하는 신호를 송신하도록 송신 안테나(225)를 제어하는 것이며, 또한 상기 휴대 송신기(226)의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 유닛(227)의 신호 수신 결과가 제어 유닛(223)에 입력된다. 그렇게 하여 제어 유닛(223)은 휴대 송신기(226)로부터 송신된 ID 신호가 소정의 신호인 것을 확인했을 때에 손잡이(212)에 의한 실린더 자물쇠(220)의 회동 조작을 허용하도록 상기 록 솔레노이드(221)를 작동시킨다.
또한, 제어 유닛(223)은 휴대 송신기(226)로부터 송신된 ID 신호가 소정의 신호인 것을 확인했을 때에는 시트 잠금 해제 스위치(213)의 조작에 따라서 시트 록 액추에이터(228)를 작동시키는 동시에, 메인 스위치(222)의 도통에 따라서 컨트롤러(75)에 의한 엔진(E)의 운전 제어를 가능하게 한다.
상기 수신 유닛(227)은 수납 박스(30)내 혹은 승차용 시트(31)내에 배치되어 있고, 이 실시예에서는 수납 박스(30)의 얕은 바닥부(110c)의 일부를 아래쪽으로 오목하게 한 수신 유닛 수납부(110f)가 수납 박스(30)에 설치되고, 그 수신 유닛 수납부(110f)에 수신 유닛(227)이 수납된다. 또한, 상기 얕은 바닥부(110c)에는 수납 박스(30)의 아래쪽으로 배치되는 엔진(E)에 관련된 유지 보수를 행하기 위한 제1 유지 보수 리드(117)가 개폐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고, 상기 수신 유닛(227)은 제1 유지 보수 리드(117)의 일부에서 덮이도록 상기 수신 유닛 수납부(110f)에 수납되어 있다.
도 20에 있어서 상기 수신 유닛(227)은 한 면에 안테나(230, 230…)가 배치되는 동시에 다른 면에 수신 회로(231)가 설치되는 기판(229)이 커플러부(232a)를 일체로 구비하는 케이스(232)내에 수용되어 이루어지는 것이다.
한편, 송신 안테나(225)는 상기 핸들 록 모듈(211)에서 이격된 위치에 배치되는 것으로, 이 실시예에서는 차량의 폭 방향 중심선상에서 핸들 록 모듈(211)의 상측, 예를 들면 차체 커버(34)의 일부를 구성하는 패널(173)의 바로 아래에 배치된다.
도 21에서 시트 캣쳐(142)에 연속해 있는 전동 케이블(143)은 링크 기구(234)가 구비하는 링크(233)의 일단에 연결되어 있고, 링크(233)의 타단에는 시트 록 액추에이터(228)가 그 시트 록 액추에이터(228)의 작동에 의해서 상기 전동 케이블(143)을 견인하도록 상기 링크(233)를 회동시키게 케이블(235)을 통해 연결된다.
제2 물품 수납부(192)의 수납 오목부(214)의 핸들 록 모듈(211)측의 내측면에는 휴대 송신기(226)를 필요로 하지 않으면서 적어도 엔진(E)의 시동 및 핸들 록 해제를 가능하게 하도록 레그 실드(158)내에 배치되는 긴급 잠금 해제용 실린더 자물쇠(236)의 키 구멍(238)이 배치된다.
상기 긴급 잠금 해제용 실린더 자물쇠(236)는 상기 키 구멍(238)에 삽입한 긴급 잠금 해제용 메카니컬 키의 조작에 의해 회동하는 회동 레버(236a)를 갖춘 것으로, 이 회동 레버(236a)는 케이블(237)을 통해 상기 링크(233)의 타단측에 연결된다.
그렇게 하여 긴급 잠금 해제용 실린더 자물쇠(236)를 잠금 해제 조작하면 상기 링크(233)는 상기 전동 케이블(143)을 견인하도록 상기 링크(233)를 회동시키는 것으로, 시트 록 액추에이터(228)의 작동 및 긴급 잠금 해제용 실린더 자물쇠(236)의 잠금 해제 조작 중 어느 것에 의해서도 링크(233)는 전동 케이블(143)을 견인하도록 회동하여, 이것에 따라 시트 캣쳐(142)는 시트 캣치 상태로부터 시트 캣치 해제 상태로 바뀐다.
그렇게 하여 시트 캣쳐(142)가 시트 캣치 해제 상태가 됨에 따라서 전방부 시트(32)를 개방 조작하여, 수납 박스(30)내에 배치되는 소정의 부품을 조작함으로써 제어 유닛(223)은 정규의 휴대 송신기(226)로부터의 ID 신호 수신시와 마찬가지인 제어 상태가 되어, 스쿠터형 차량을 조향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다음에 이 실시예의 작용에 관해서 설명하면, 탠덤형의 승차용 시트(31)가 구비하는 전방부 시트(32)의 아래쪽으로 배치되는 전방부 헬멧 수납부(119) 및 상기 승차용 시트(31)가 구비하는 후방부 시트(33)의 아래쪽으로 배치되는 후방부 헬멧 수납부(120)를 갖는 수납 박스(30)의 후방부에, 후방부 시트(33)의 후단 및 차체 프레임(F)의 후방부에 대한 리어 쿠션(64)의 상부의 부착부인 지지 파이프(62)보다도 후방으로 팽출한 후방부 팽출부(121)가 설치되기 때문에, 승차용 시트(31)의 후단보다도 후방으로 연장되는 골프채 등의 긴 물건을 수납 박스(30)내에 수납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고 수납 박스(30)의 용적을 증대할 수 있다. 또한, 수납 박스(30)의 후방부에 헬멧 이외의 소품을 수납하는 것도 가능해져, 공구 등의 사용 빈도가 적은 것을 수납 박스(30)의 후방부에 적합하게 수납할 수 있다.
또한, 후방부 팽출부(121)가 후방부 시트(33)의 주위에 배치되는 글러브 레일(118)의 후단과 거의 동일 위치까지 후방으로 팽출되기 때문에, 수납 박스(30)의 용량을 보다 증대시킬 수 있는 동시에, 수납 박스(30)의 후방부를 글러브 레일(118)로 보호할 수 있다.
또한, 후방부 팽출부(121)의 후방부에는 상면에서 보아 좌우의 테일라이트 유닛(123, 123)사이에 들어가는 협소 부분(121a)이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좌우 한 쌍의 테일라이트 유닛(123…)사이에 생기는 스페이스를 유효하게 이용하여 수납 박스(30)의 용량을 증대할 수 있어, 테일라이트 유닛(123…)의 벌브 교환을 위한 스페이스를 형성하기 쉬워진다.
그런데, 수납 박스(30)는 후방부 시트(33)의 아래쪽으로 배치되는 상면 커버(111)를 갖는 것으로, 상면 커버(111)의 상면에 후방부 시트(33)의 탈착에 따라서 이용 가능한 수납 스페이스(128)가 형성되기 때문에 수납 박스(30)내 이외에 소품을 수납하는 스페이스를 부품 갯수의 증대 및 구조의 복잡화를 피하면서 확보할 수 있다. 게다가, 상기 수납 스페이스(128)가 상면 커버(111)에 세워져 설치되어 무단형으로 연속해 있는 제1 리브(127)내에 형성되고, 제1 리브(127)와 협동하여 미로 구조를 형성하도록 무단형으로 연속해 있는 제2 리브(129)가 후방부 시트(33)의 바닥판(33a)에서 수직 하강되기 때문에 수납 스페이스(128)에 주위에서 빗물이나 먼지 등이 침입하는 것을 간단한 구조로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면 커버(111)의 전방부에 대응하는 부분에서 수납 박스(30)의 내측면에는 수납 박스(30)내를 비추는 조명구(116)가 부착되어 있고, 상면 커버(111)가 설치됨으로써 어두워지는 경향이 있는 수납 박스(30)의 후방부내를 수납 박스(30)의 후방부에 수납되는 것에 방해되는 일없이 유효하게 비출 수 있고, 게다가 상면 커버(111)의 전방부에 대응하는 부분에서 수납 박스(30)의 내측면은 눈에 띄기 쉽고, 조명구(116)의 벌브 끊어짐 등도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다.
또한, 후방부 팽출부(121)에는 해당 후방부 팽출부(121)를 덮는 리어 상부 커버(165) 및 리어 센터 커버(166)와, 좌우 한 쌍의 테일라이트 유닛(123…)과, 리어 펜더(181)가 부착되기 때문에 테일라이트 유닛(123…)의 배선을 벗기는 것만으로 수납 박스(30)의 후방부 주변에 배치되는 복수의 부재를 한번에 제거하는 것이 가능하고, 유지 보수성을 우수한 것으로 할 수 있다.
수납 박스(30)는 전방부 헬멧 수납부(119) 및 후방부 헬멧 수납부(120)사이에 배치되는 얕은 바닥부(110c)를 구비하고, 상기 얕은 바닥부(110c)의 아래쪽에 컨트롤러(75)를 수납한 제어 박스(76)가 부설되는 스로틀 보디(68)와, 연료 분사 밸브(74)가 상단 위치를 거의 동일하게 하여 배치된다. 따라서, 전방부 및 후방부 헬멧 수납부(119, 120)사이의 얕은 바닥부(110c)를 편평하게 형성함으로써 포켓으로서 유효하게 활용할 수 있고, 게다가 얕은 바닥부(110c)의 하측의 스페이스에 엔진(E)의 흡기계의 일부를 유효하게 배치할 수 있다.
상기 후방부 팽출부(121)의 하부는, 수납 박스(30)의 저벽을 부분적으로 상측에 융기시켜 이루어지는 융기부(110d)를 후방부 헬멧 수납부(120)와의 사이에 개재시킨 포켓부(124)를 후방부 팽출부(121)내에 형성하도록 상기 차체 프레임(F)의 후방부에 대한 리어 쿠션(64)의 상부의 부착부보다도 아래쪽으로 배치되는 것으로, 후방부 헬멧 수납부(120)와 후방부 헬멧 수납부(120)보다도 후방의 포켓부(124)를 융기부(110d)에서 구획하도록 하여 사용성의 향상을 도모하는 동시에 후방의 포켓부(124)에 수납한 소품이 전후로 이동하는 것을 융기부(110d)에 의해서 저지할 수 있다.
또한, 측면에서 보아 상하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연료 탱크(28)가 수납 박스(30)의 전방에 배치되어, 수납 박스(30)의 전단 하부에는 연료 탱크(28)의 하부 부근까지 전방으로 팽출한 전방부 팽출부(122)가 설치되기 때문에, 수납 박스(30)의 전방부를 깊게 형성하여 긴 물건의 수납을 용이하게 하는 동시에, 수납 박스(30)의 용량을 증대할 수 있다.
또한, 전방부 팽출부(122)에는 배터리(147)나 다른 전장품(148∼150)이 수납되기 때문에 헬멧(H1) 등의 수납에 방해되지 않도록, 배터리(147) 및 전장품(148∼150)을 수납 박스(30)내에 수납할 수 있다.
또한, 전방부 팽출부(122)내 및 전방부 헬멧 수납부(119)사이를 구획하는 제2 유지 보수 리드(151)가 수납 박스(30)에 개폐 가능하게 부착되는 것에 의해, 전방부 팽출부(122)내에 수납되는 것과, 전방부 헬멧 수납부(119)에 수납되는 헬멧(H1)이 서로 접촉하여 흠이 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전방부 시트(32)의 개폐 작동을 보조하도록 상하로 연장되는 댐퍼 로드(152)의 하부가 전방부 팽출부(122)내에 수납되기 때문에 수납 박스(30)의 외측에 댐퍼 로드(152)를 배치하는 스페이스를 확보할 필요가 없고, 게다가 전방부 시트(32)의 개방시에 수납 박스(30)에 물건을 넣는 데 방해되지 않도록 댐퍼 로드(152)가 외부에 노출하는 것을 극력 회피하여, 외관성 및 겉모양을 높일 수 있다.
연료 탱크(28) 및 라디에이터(29)는 차체 프레임(F)을 덮는 차체 커버(34)의 일부에서 형성되는 플로어 터널부(167)의 아래쪽으로 배치되는 것이지만, 차체 프레임(F)은 헤드 파이프(27)와, 해당 헤드 파이프(27)로부터 후방 하향으로 연장되는 좌우 한 쌍의 상측 다운 프레임(37…)과, 이들 상측 다운 프레임(37…)의 헤드 파이프(27)에 대한 연결부보다도 하측에서 상기 헤드 파이프(27)로부터 후방 하향으로 연장되는 경사부(38a…)를 갖는 좌우 한 쌍의 하측 다운 프레임(38…)을 구비하고 있고, 헤드 파이프(27)의 하부 후방에서 상기 양 하측 다운 프레임(38…)의 하부에 걸쳐 상하로 연장되는 연료 탱크(28)가 상기 양 상측 다운 프레임(37…) 및 상기 양 하측 다운 프레임(38…)으로 둘러싸이는 동시에 전륜(WF)의 바로 뒤가 되는 스페이스에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상하로 긴 연료 탱크(28)를 전륜(WF)의 직후에 배치함으로써 헤드 파이프(27)의 하부에 대응하는 부분이 무효 공간이 되는 것을 회피하여, 플로어 터널부(167)의 하측의 스페이스를 유효하게 이용한 부품 배치가 가능해지고, 게다가 중량이 비교적 무거워지는 연료 탱크(28)를 전륜(WF)에 가까이 하는 것으로 전륜(WF)의 분포 하중을 높여 선회성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상하로 긴 연료 탱크(28)는 연료 잔량이 적은 상태로 잔량 높이를 비교적 높게 할 수 있기 때문에 연료 탱크(28)에 이 실시예와 같이 펌프 유닛(97)이 부설되어 있는 경우에는 펌프의 흡입이 유리해진다.
또한, 연료 탱크(28)의 후방에 라디에이터(29)가 배치되어 있고, 라디에이터(29) 및 연료 탱크(28)사이에 배터리(147)가 배치되기 때문에 연료 탱크(28)를 세로로 길게 하는 것에 의해 연료 탱크(28)의 후방 스페이스를 비교적 넓게 설정하는 것이 가능하고, 중량물인 배터리(147)를 차체의 전후 방향 중심으로 배치하여 조종성의 향상에 기여할 수 있는 동시에, 방열하는 라디에이터(29) 및 연료 탱크(28)사이에 배터리(147)를 배치함으로써 라디에이터(29)로부터의 열에 의한 영향이 연료 탱크(28)에 미치는 것을 회피할 수 있다.
연료 탱크(28)내의 하부에 수납 배치되는 펌프 유닛(97)은 연료 탱크(28)의 배면측에서 해당 연료 탱크(28)에 부착되기 때문에, 노면의 단차의 영향을 받지 않도록 펌프 유닛(97)을 연료 탱크(28)에 부착할 수 있다.
또한, 펌프 유닛(97)이 그 회전 축선을 전방 하향으로 경사지게 한 자세로 연료 탱크(28)에 부착되기 때문에, 펌프 유닛(97)의 흡입구를 연료 탱크(28)의 하부에 극력 근접시키도록 연료 탱크(28)내에서의 연료의 사잔량을 극력 적게 할 수 있다.
또한, 라디에이터(29)의 리저버 탱크(104)가 차체 커버(34)의 일부를 구성하는 스텝 플로어(159)의 아래쪽에 배치되어 있고, 승차용 시트(31)의 아래쪽에 배치되는 수납 박스(30)의 저벽에 착탈 가능하게 부착되는 제1 유지 보수 리드(117)의 아래쪽에 리저버 탱크(104)의 급수구가 배치된다. 따라서, 연료 탱크(28)의 후방에 라디에이터(29)가 배치되는 것에 의해서 승차용 시트(31)의 하부에 라디에이터 탱크(104)의 급수구(107)를 향하게 하기 쉽고, 리저버 탱크(104)의 바로 위쪽에 있는 스텝 플로어(159) 등에 급수구를 향하게 하는 것보다도 높게 급수구(107)를 배치하여, 급수 작업성을 양호하게 할 수 있다.
또한, 급수구(107)를 형성하는 급수구 형성 부재(108)가 차체 프레임(F)과, 차체 프레임(F)에 요동 가능하게 지승되는 유닛 스윙 엔진(UE)과의 사이에 설치되는 텐션 로드(53)의 차체 프레임(F)측에 대한 부착부(54)에 지지되기 때문에, 급수구 형성 부재(108)를 지지하기 위한 특별한 고안을 하는 것을 필요로 하지 않으면서, 차체 프레임(F)에서 급수구 형성 부재(108)를 지지할 수 있다.
또한, 연료 탱크(28)로부터의 연료는 연료 분사 밸브(74)에 공급되는 것으로, 연료 잔량이 적은 상태로 잔량 높이를 비교적 높게 하는 연료 탱크(28)에 압박되는 펌프 유닛(97)을 이용하여, 연료 탱크(28)내의 연료를 연료 분사 밸브(74)에 효과적으로 공급할 수 있다.
후륜(WR)의 우측에 배치되어 해당 후륜(WR)을 지지하는 스윙 아암(48)은 측면에서 보아 대략 삼각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리어 브레이크(84)의 브레이크 캐리퍼(85)가 스윙 아암(48)에 지지되는 것이지만, 스윙 아암(48)의 대략 중앙부에는 개구부(81)가 설치되어 있고, 브레이크 캐리퍼(85)가 그 개구부(81)내에 배치되기 때문에 브레이크 캐리퍼(85)를 비교적 낮은 위치에 배치하여 스쿠터형 차량의 저중심화를 도모하는 것이 가능하고, 또한 브레이크 캐리퍼(85)의 주위를 스윙 아암(48)으로 둘러싸도록 했기 때문에 측면에서 보아 스윙 아암(48)의 상하 방향의 실질적인 폭을 확보하여, 세로 방향 및 트위스트 강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스윙 아암(48)의 바깥쪽에 브레이크 캐리퍼(85)를 바깥쪽에서 덮도록 배기 머플러(78)가 배치되기 때문에 외관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개구부(81)는 그 상하폭이 후방을 향할수록 좁게 이루어지도록 형성되어, 해당 개구부(81)의 후방부내에 배치되는 브레이크 캐리퍼(85)가 개구부(81)보다도 후방에서 스윙 아암(48)에 지지되어 있기 때문에, 스윙 아암(48)의 강성이 높은 부분에서 브레이크 캐리퍼(85)를 지지하도록 브레이크 캐리퍼(85)의 부착 강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배기 머플러(78)의 하부가 후륜(WR)의 차축(80)을 전후 양측에서 끼우는 2개소에서 스윙 아암(48)에 체결되어, 이들의 체결부 사이를 연결하는 직선(L)과 배기 머플러(78)와의 사이에 상기 차축(80)과 스윙 아암(48) 및 차체 프레임(F) 사이에 설치되는 리어 쿠션(64)의 스윙 아암(48)에 대한 체결부가 배치되기 때문에, 스윙 아암(48)에 대한 배기 머플러(78) 및 리어 쿠션(64)의 부착을 용이하게 하는 동시에, 차축(80) 및 각 체결부를 스쿠터형 차량의 측면 상측으로부터 보이지 않게 하여, 외관성을 높일 수 있다.
엔진(E) 및 후륜(WR) 사이에 개설되는 무단변속기(M)의 변속비를 변화시키는 전동 모터(42)는 차체 커버(34)가 구비하는 스텝 플로어(159)의 후방부에 설치되는 패신져 스텝(162)의 아래쪽에 배치되어 있고, 전동 모터(42)를 비교적 낮은 위치에 배치함으로써 스쿠터형 차량의 저중심화에 기여할 수 있다.
또한, 무단변속기(M)는 실린더(45)의 축선을 거의 수평으로 한 엔진(E)과 동시에 유닛 스윙 엔진(UE)을 구성하는 벨트식인 것으로, 전동 모터(42)가 무단변속기(M)보다도 전방에서 실린더(45)의 측방에 배치되기 때문에, 엔진(E)의 실린더(45) 및 무단변속기(M)에서 전동 모터(42)를 보호할 수 있다. 또한, 차체 프레임(F)에는 스텝 플로어(159)를 하측에서 지지하는 서포트 프레임(41)이 설치되어 있고, 전동 모터(42)는 서포트 프레임(41)보다도 아래쪽에 배치되기 때문에, 고강성의 서포트 프레임(41)에 의해서 전동 모터(42)를 보다 효과적으로 보호할 수 있다.
또한, 전동 모터(42)가 그 회전 축선을 차체 폭 방향을 향하게 하여 배치되기 때문에 엔진(E)이 구비하는 실린더(45)의 측방에 무단변속기(M)의 외측면에서 바깥쪽으로 돌출하는 일이 없도록 전동 모터(42)를 배치할 수 있다.
차체 프레임(F)의 후방부에 글러브 레일(118)이 부착되고, 승차용 시트(31)가 구비하는 후방부 시트(33)의 후방에 측면에서 보면 전방 하향의 전방부 경사면(135a) 및 후방 하향의 후방부 경사면(135b)을 상면에 가지고 대략 유선형상으로 형성되는 동시에 글러브 레일(118)의 후방부 상면에 부착되는 등받침(135)이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등받침(135)의 상면중 전방 하향의 전방부 경사면(135a)에서 후방부 시트(33)상의 동승자의 허리부를 확실히 유지할 수 있고, 게다가 측면에서 보면 대략 유선형이기 때문에 등받침(135)의 외관성을 높이는 동시에 공력성능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으며, 또한 등받침(135)의 상면 중 후방 하향의 후방부 경사면(135b)을 활용할 수 있기 때문에 후방부 시트(33)로부터 후방으로 밀려나오는 짐을 등받침(135)상에 실을 수 있다.
또한, 등받침(135)이 그 상면에서 보면 폭이 후방을 향하여 점차 좁아지도록 형성되기 때문에 등받침(135)을 콤팩트하게 형성하여 차체 커버(34)의 형상과 더불어 디자인의 협조성을 확보할 수 있는 동시에, 공력성능을 보다 높일 수 있다.
또한, 글러브 레일(118)의 후방부 상면은 후방부 시트(33)의 상면과 거의 동일 높이로 설정되어, 해당 글러브 레일(118)의 후방부 상면에 등받침(135)이 착탈 가능하게 부착되기 때문에 후방부 시트(33)에 의해 많은 짐을 싣고 싶을 때에는 등받침(135)을 제거한 후 글러브 레일(118)의 후방부 상면을 유효하게 이용하여 짐을 실을 수 있다.
차체 커버(34)가 구비하는 레그 실드(158)에는 레그 실드(158)로부터 인출하여 제거 가능한 수납 케이스(193)를 가지고 인출식으로 구성되는 제1 물품 수납부(191)와, 레그 실드(158)에 형성되는 수납 오목부(214)가 레그 실드(158)에 힌지 결합되는 덮개 부재(215)로 개폐 가능하게 덮혀 이루어지는 제2 물품 수납부(192)가 좌우에 분리 배치되어 있고, 비교적 넓은 레그 실드(158)의 스페이스를 유효하게 이용하여 물품을 레그 실드(158)에 수납할 수 있다. 또한, 수납 케이스(193)가 수납 오목부(214)보다도 크게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비교적 대량의 물품을 제1 물품 수납부(191)에 수납할 수 있는 것이지만, 인출식이기 때문에 덮개를 열었을 때에 수납 케이스(193) 내부의 물품이 밖으로 나오는 일이 없고, 수납 케이스(193)내 가득하게 물품을 수납할 수 있다. 또한, 수납 케이스(193)를 레그 실드(158)로부터 제거하면, 레그 실드(158)에 비교적 큰 개구부(196)를 열 수 있어, 이것에 따라 제1 물품 수납부(191)보다도 전방에 배치되는 헤드라이트(171)의 벌브(171a) 등의 유지 보수를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제1 물품 수납부(191)의 수납 케이스(193) 및 레그 실드(158)사이에는 해당 수납 케이스(193)의 전면을 향하게 한 키 구멍(207)으로부터의 키 조작에 따라서 레그 실드(158)에 대한 수납 케이스(193)의 연결 및 연결 해제를 전환 가능하게 한 시정 기구(208)가 설치되어 있고, 시정 기구(208)의 키 구멍(207)에 키를 삽입하여 조작함으로써 수납 케이스(193)의 인출 조작이 가능해지기 때문에, 제1 물품 수납부(191)에 수납한 물품의 도난 방지를 도모하는 동시에, 키를 손잡이로서 수납 케이스(193)를 끄집어낼 수 있기 때문에 수납 케이스(193)에 손잡이를 설치하는 것이 불필요해져, 보다 많은 물품을 제1 물품 수납부(191)에 수납할 수 있다.
또한, 수납 케이스(193)는 그 저장 상태에서는 헤드 파이프(27)를 그 좌우 한쪽에서 덮도록 형성되어, 헤드 파이프(27)에 그 후방에서 대향하는 위치에 상기 시정 기구(208)가 배치되기 때문에 헤드 파이브(27)의 후방의 스페이스에 시정 기구(208)를 유효하게 배치함으로써 수납 케이스(193)의 수납 용량을 보다 크게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제1 물품 수납부(191)와는 반대측으로 상기 헤드 파이프(27)의 근방에는 조향 핸들(26)의 조향 조작을 불가능하게 할 수 있는 핸들 록 모듈(211)이 배치되어, 해당 핸들 록 모듈(211)을 제1 물품 수납부(191)와의 사이에 끼우도록 제2 물품 수납부(192)가 배치되기 때문에 레그 실드(158)에 제1 물품 수납부(191), 핸들 록 모듈(211) 및 제2 물품 수납부(192)를 모두 배치하도록, 비교적 넓은 레그 실드(158)의 스페이스를 보다 유효하게 활용할 수 있다.
또한, 송신 안테나(225)가 핸들 록 모듈(211)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배치되기 때문에 송신 안테나(225)의 배치상의 자유도를 높일 수 있다.
또한 수신 유닛(227)이 수납 박스(30)내 혹은 승차용 시트(31)내에 배치되는 것으로, 이 실시예에서는 수납 박스(30)내에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수신 유닛(227)을 합성 수지로 이루어지는 피복재로 피복하는 것을 필요로 하지 않으면서, 진흙, 먼지, 물 및 외력 등에 대응한 수신 유닛(227)의 내환경성을 확보하는 것이 가능하고, 따라서 수신 유닛(227)의 재조정을 필요로 하지 않으면서 방수성도 확보할 수 있다.
게다가 수신 유닛(227)은 한 면에 안테나(230, 230…)가 배치되는 동시에 다른 면에 수신 회로(231)가 설치되는 기판(229)이 케이스(232)내에 수용되어 이루어지는 것으로, 수신 유닛(227)을 콤팩트하게 구성하여 수납 박스(30)내에서 수신 유닛(227)을 배치하는 데 필요한 스페이스를 극력 작게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수납 박스(30)의 저벽에는 해당 수납 박스(30)의 아래쪽에 배치되는 엔진(E)에 관련된 유지 보수를 행하기 위한 제1 유지 보수 리드(117)가 개폐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고, 수신 유닛(227)이 제1 유지 보수 리드(117)의 일부에서 덮히도록 수납 박스(30)내에 배치되기 때문에 수납 박스(30)내에 수납되는 물품과의 간섭을 방지하면서, 유지 보수를 행하는 데 적합한 위치에 수신 유닛(227)을 배치할 수 있다.
또한, 휴대 송신기(226)를 필요로 하지 않으면서 적어도 엔진(E)의 시동 및 핸들 록 해제를 가능하게 하는 긴급 잠금 해제용 실린더 자물쇠(236)가 레그 실드(158)내에 배치되어 있고, 차량 사용자가 휴대 송신기(226)를 분실하거나, 휴대 송신기(226)의 전지수명이 다하더라도 긴급 잠금 해제용 실린더 자물쇠(236)를 긴급 잠금 해제용 메카니컬 키로 조작함으로써 스쿠터형 차량을 주행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핸들 록 모듈(211)의 우측으로 레그 실드(158)에는 제2 물품 수납부(192)가 설치되어 있고, 긴급 잠금 해제용 실린더 자물쇠(236)의 키 구멍(238)은 제2 물품 수납부(192)의 수납 오목부(214)의 내측면을 향하는 것으로, 통상시에 수납 오목부(214)는 덮개 부재(215)로 폐쇄되어 있기 때문에 키 구멍(238)을 눈에 띄지 않는 장소에 배치하여, 긴급 잠금 해제용 실린더 자물쇠(236)의 키 구멍(238)을 가지고 장난치는 것을 극력 회피할 수 있다.
또한, 수납 박스(30)를 개방할 수 있는 전방부 시트(32)를 폐쇄 상태로 유지하는 시트 캣치 상태 및 전방부 시트(32)의 개폐 조작을 가능하게 하는 시트 캣치 해제 상태를 전환하는 시트 캣쳐(142)에 연결되는 링크 기구(234)가 정규 휴대 송신기(226)로부터의 신호 수신시의 조작에 따라서 작동하는 시트 록 액추에이터(228)에 연결되는 동시에 긴급 잠금 해제용 실린더 자물쇠(236)에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시트 캣쳐(142)를 작동시키는 링크 기구(234)를 휴대 송신기(226)가 유효한 경우와, 긴급 해제용 키 실린더 자물쇠(236)를 이용하는 경우에 공용하도록 하여 부품 갯수를 저감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을 일탈하지 않고 여러 가지의 설계 변경을 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청구항 1에 기재한 발명에 따르면 차량 사용자가 휴대 송신기를 분실하거나, 휴대 송신기의 전지수명이 다하더라도 긴급 잠금 해제용 키 실린더 자물쇠를 긴급 잠금 해제용의 메카니컬 키로 조작함으로써 스쿠터형 차량을 주행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긴급 잠금 해제용 키 실린더 자물쇠의 키 구멍은 통상은 덮개 부재로 폐쇄되어 있는 수납 오목부의 내측면을 향하여 배치되어 있고, 눈에 띄지 않는 장소에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긴급 잠금 해제용 키 실린더 자물쇠의 키 구멍을 가지고 장난치는 것을 극력 회피할 수 있다.
또한, 청구항 2에 기재한 발명에 따르면 시트 캣쳐를 작동시키는 링크 기구를 휴대 송신기가 유효한 경우와, 긴급 해제용 키 실린더 자물쇠를 이용하는 경우에서 공용하도록 하여 부품 갯수를 저감할 수 있다.
도 1은 스쿠터형 차량의 좌측면도이다.
도 2는 연료 탱크 및 라디에이터를 부착한 상태에서의 차체 프레임의 사시도이다.
도 3은 승차용 시트 및 차체 커버를 제거한 상태에서의 스쿠터형 차량의 전후 방향 중간부 좌측면도이다.
도 4는 수납 박스를 제거한 상태에서의 도 3의 화살표 4 방향에서 본 도면이다.
도 5는 스쿠터형 차량의 후방부의 확대 종단 측면도이다.
도 6은 유닛 스윙 엔진 및 후륜의 상대 배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스쿠터형 차량의 후방부 우측면도이다.
도 8은 수납 박스의 후방부 부근의 종단면도이다.
도 9는 도 8의 화살표 9 방향에서 본 도면이다.
도 10은 도 1의 선 10-10을 따라 취한 확대 단면도이다.
도 11은 전방부 시트를 개방한 상태에서의 도 5의 주요부 확대도이다.
도 12는 도 11의 화살표 12 방향에서 본 도면이다.
도 13은 도 1의 화살표 13 방향에서 본 확대도이다.
도 14는 도 13의 선 14-14를 따라 취한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15는 도 13의 선 15-15를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도 16은 도 15의 선 16-16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도 17은 도 13의 선 17-17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도 18은 도 13의 선 18-18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도 19는 리모콘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0은 수신 유닛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1은 시트 록의 긴급 잠금 해제 시스템의 개략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31: 승차용 시트
32: 전방부 시트
33: 후방부 시트
142: 시트 캣쳐
158: 레그 실드
192: 물품 수납부
211: 핸들 록 모듈
212: 손잡이
214: 수납 오목부
215: 덮개 부재
226: 휴대 송신기
228: 시트 록 액추에이터
234: 링크 기구
236: 긴급 잠금 해제용 키 실린더 자물쇠
238: 키 구멍
E: 엔진

Claims (2)

  1. 차량 사용자가 휴대한 정규의 휴대 송신기(226)로부터의 ID 신호를 수신함에 따라서 적어도 엔진(E)의 시동 조작 및 핸들 록 해제 조작을 가능하게 한 손잡이(212)를 갖는 핸들 록 모듈(211)을 구비하여, 승차용 시트(31)에 탄 운전수의 다리부 전방을 덮는 레그 실드(158)에 상기 손잡이(212)가 배치되는 스쿠터형 차량용 리모콘 장치에 있어서,
    상기 핸들 록 모듈(211)의 좌우 중 어느 한 쪽에서 상기 레그 실드(158)에 해당 레그 실드(158)에 형성되는 수납 오목부(214)가 레그 실드(158)에 힌지 결합되는 덮개 부재(215)로 개폐 가능하게 덮어져 이루어지는 물품 수납부(192)가 설치되고, 상기 휴대 송신기(226)를 필요로 하지 않으면서 적어도 엔진(E)의 시동 및 핸들 록 해제를 가능하게 하기 위한 긴급 잠금 해제용 키 실린더 자물쇠(236)가 그 키 구멍(238)을 상기 수납 오목부(214)의 내측면을 향하게 하도록 하여 상기 레그 실드(158)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쿠터형 차량용 리모콘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승차용 시트(31)는 해당 승차용 시트(31)의 아래쪽에 배치되는 수납 박스(30)를 개방할 수 있도록 한 개폐 가능한 전방부 시트(32)와, 해당 전방부 시트(32)의 후방에 배치되는 후방부 시트(33)를 가지고 텐덤형으로 구성되어, 상기 전방부 시트(32)를 폐쇄 상태로 유지하는 시트 캣치 상태 및 상기 전방부 시트(32)의 개폐 조작을 가능하게 하는 시트 캣치 해제 상태를 전환하는 시트 캣쳐(142)에 연결되는 링크 기구(234)가 상기 정규의 휴대 송신기(226)로부터의 신호 수신시의 조작에 따라서 작동하는 시트 록 액추에이터(228)에 연결되는 동시에, 상기 긴급 잠금 해제용 키 실린더 자물쇠(236)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쿠터형 차량용 리모콘 장치.
KR1020040081472A 2003-10-15 2004-10-12 스쿠터형 차량용 리모콘 장치 KR10058411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3-00355490 2003-10-15
JP2003355490A JP4176610B2 (ja) 2003-10-15 2003-10-15 スクータ型車両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36730A true KR20050036730A (ko) 2005-04-20
KR100584110B1 KR100584110B1 (ko) 2006-05-30

Family

ID=343735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81472A KR100584110B1 (ko) 2003-10-15 2004-10-12 스쿠터형 차량용 리모콘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7298241B2 (ko)
EP (1) EP1524177B1 (ko)
JP (1) JP4176610B2 (ko)
KR (1) KR100584110B1 (ko)
CN (1) CN100335339C (ko)
DE (1) DE602004030983D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5135035A (ja) * 2014-01-20 2015-07-27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自動二輪車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176610B2 (ja) * 2003-10-15 2008-11-05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スクータ型車両
JP4451140B2 (ja) * 2004-01-20 2010-04-14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車両におけるロック解除操作部材配設構造
JP4835239B2 (ja) 2006-04-06 2011-12-14 スズキ株式会社 自動二輪車
ITRM20070191A1 (it) 2006-04-06 2007-10-07 Suzuki Motor Corp Electronic authentication system for motorcycle
JP4836255B2 (ja) * 2006-09-29 2011-12-14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灯体のメンテナンス構造
JP5007194B2 (ja) * 2007-01-09 2012-08-22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自動二輪車における音響装置の取付け構造
JP4928976B2 (ja) * 2007-02-21 2012-05-09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車両のキーシリンダ配設構造
JP5244379B2 (ja) * 2007-03-16 2013-07-24 ヤマハ発動機株式会社 自動二輪車
JP5164402B2 (ja) 2007-03-16 2013-03-21 ヤマハ発動機株式会社 自動二輪車
JP5020672B2 (ja) 2007-03-27 2012-09-05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小型車両
JP2009056950A (ja) * 2007-08-31 2009-03-19 Honda Motor Co Ltd リフレクタ支持構造
JP5086220B2 (ja) * 2008-09-30 2012-11-28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車両の収納ボックス施錠装置
TW201024151A (en) * 2008-12-22 2010-07-01 Kwang Yang Motor Co Retaining device for main switch lock head
IT1397541B1 (it) * 2010-01-14 2013-01-16 Zadi S P A Dispositivo di bloccaggio, in particolare di tipo "push-push".
JP5520733B2 (ja) * 2010-07-28 2014-06-11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鞍乗り型車両
JP5913030B2 (ja) * 2012-03-22 2016-04-27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鞍乗り型車両の収納構造
US9415821B2 (en) * 2013-05-31 2016-08-16 Honda Motor Co., Ltd. Article storage structure for automatic two-wheeled vehicles
JP6034272B2 (ja) * 2013-09-30 2016-11-30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車両の緊急解錠装置
JP6360460B2 (ja) * 2015-06-19 2018-07-18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リッド支持構造
JP6414992B2 (ja) * 2016-09-29 2018-10-31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車両の後輪ブレーキ装置
JP6984223B2 (ja) * 2017-08-09 2021-12-17 スズキ株式会社 鞍乗型車両のシート支持構造
US11649000B2 (en) * 2017-09-29 2023-05-16 Honda Motor Co., Ltd. Saddled electric vehicle
KR101917382B1 (ko) * 2018-04-11 2018-11-09 임상엽 스쿠터용 등받이
JP6936829B2 (ja) * 2019-04-05 2021-09-22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鞍乗型車両

Family Cites Families (2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170389U (ko) * 1986-04-21 1987-10-29
DE4019478A1 (de) * 1989-06-20 1991-01-10 Honda Motor Co Ltd Elektrische spannungsversorgungs-kontrolleinheit fuer ein kraftfahrzeug
JP2905258B2 (ja) * 1990-04-28 1999-06-14 株式会社アルファ 二輪車用ハンドルロック装置
US5563387A (en) * 1994-05-04 1996-10-08 Fort Lock Corporation Motorcycle ignition switch lock
JPH07309270A (ja) * 1994-05-18 1995-11-28 Suzuki Motor Corp スクータ型車両の盗難防止構造
JP2849903B2 (ja) * 1994-11-04 1999-01-27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ハンドルロック装置
JP3319673B2 (ja) * 1995-06-29 2002-09-03 ヤマハ発動機株式会社 スクータ型自動二輪車の収納装置
JPH11198878A (ja) * 1998-01-16 1999-07-27 Honda Motor Co Ltd スクータ型車両の物入れ装置
JPH11208548A (ja) * 1998-01-30 1999-08-03 Yamaha Motor Co Ltd スクータ型自動二輪車のシート開閉構造
GB2340642B (en) * 1998-08-18 2002-12-31 Rover Group A security system
US6237710B1 (en) * 1998-10-26 2001-05-29 Yamaha Hatsudoki Kabushiki Kaisha Locking arrangement for motorcycle
JP4176895B2 (ja) * 1999-02-01 2008-11-05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自動二・三輪車の前部収納構造
US6272890B1 (en) * 1999-08-27 2001-08-14 Fred Michael Huston Fork lock cover for motorcycle mounted with tape and method
JP2001187592A (ja) * 1999-12-28 2001-07-10 Moriyama Manufacturing Co Ltd 自動二輪車における電気部品操作装置
JP4163839B2 (ja) * 2000-02-08 2008-10-08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車両用コミニュケーション装置
JP3737332B2 (ja) * 2000-03-14 2006-01-18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スクータ型車両の物品収納構造
JP2001278154A (ja) 2000-03-31 2001-10-10 Yamaha Motor Co Ltd 自動二輪車のリモコン装置
JP4191361B2 (ja) * 2000-03-31 2008-12-03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リモコン式トランクを備えた鞍乗型車両
DE10018727A1 (de) * 2000-04-15 2001-10-18 Bayerische Motoren Werke Ag Fernbedienbares Zündlenkschloß für Motorräder
JP2002235474A (ja) * 2001-02-09 2002-08-23 Kawasaki Heavy Ind Ltd 自動二輪車のシートロック装置
JP3923284B2 (ja) * 2001-07-05 2007-05-30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二輪車におけるリモコンロック操作システム
US7071819B2 (en) * 2001-07-05 2006-07-04 Honda Giken Kogyo Kabushiki Kaisha Remote control lock operation system for vehicles
JP3871931B2 (ja) * 2001-12-27 2007-01-24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小型車両用物品収納構造
JP4042954B2 (ja) * 2002-01-15 2008-02-06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車両における開閉リッドロック装置
JP4097132B2 (ja) * 2002-09-26 2008-06-11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自動二輪車における盗難防止装置
US6793110B2 (en) * 2002-12-19 2004-09-21 William R. Hamilton Motorcycle saddlebag assembly
JP4332010B2 (ja) * 2003-10-10 2009-09-16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スクータ型車両の物品収納構造
JP4176610B2 (ja) * 2003-10-15 2008-11-05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スクータ型車両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5135035A (ja) * 2014-01-20 2015-07-27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自動二輪車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50099264A1 (en) 2005-05-12
CN1607140A (zh) 2005-04-20
US7298241B2 (en) 2007-11-20
EP1524177A2 (en) 2005-04-20
JP2005119421A (ja) 2005-05-12
EP1524177A3 (en) 2007-10-03
CN100335339C (zh) 2007-09-05
JP4176610B2 (ja) 2008-11-05
DE602004030983D1 (de) 2011-02-24
EP1524177B1 (en) 2011-01-12
KR100584110B1 (ko) 2006-05-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84110B1 (ko) 스쿠터형 차량용 리모콘 장치
JP4381768B2 (ja) 自動二輪車の収納装置
JP4332010B2 (ja) スクータ型車両の物品収納構造
KR100702930B1 (ko) 경차량용 리모트 컨트롤 장치
JP4252876B2 (ja) 自動二輪車
KR100657372B1 (ko) 차량에 있어서의 잠금 해제 조작 부재 배치 구조
JP4119344B2 (ja) 自動二輪車
KR100657373B1 (ko) 차량에서의 잠금 해제 조작기의 배치 구조
KR20050036731A (ko) 경차량용 리모콘 장치
JP4145766B2 (ja) スクータ型車両
JP4414189B2 (ja) 自動二輪車
JP4681017B2 (ja) スクータ型自動二輪車
JP2008201412A5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1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21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