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17382B1 - 스쿠터용 등받이 - Google Patents

스쿠터용 등받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17382B1
KR101917382B1 KR1020180042375A KR20180042375A KR101917382B1 KR 101917382 B1 KR101917382 B1 KR 101917382B1 KR 1020180042375 A KR1020180042375 A KR 1020180042375A KR 20180042375 A KR20180042375 A KR 20180042375A KR 101917382 B1 KR101917382 B1 KR 10191738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seat
arm
pivot arm
switc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423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상엽
Original Assignee
임상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상엽 filed Critical 임상엽
Priority to KR10201800423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1738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173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17382B1/ko
Priority to PCT/KR2019/002189 priority patent/WO2019198928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JCYCLE SADDLES OR SEATS; AUXILIARY DEVICE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TO CY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ARTICLE CARRIERS OR CYCLE PROTECTORS
    • B62J1/00Saddles or other seats for cycles; Arrangement thereof; Component parts
    • B62J1/28Other additional equipment, e.g. back-rests for childre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utomatic Cycles, And Cycles In General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필요에 따라 펴거나 접을 수 있도록 된 새로운 구조의 스쿠터용 등받이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스쿠터용 등받이는, 상기 본체(A)의 양측에 전후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결합된 회동아암(30)과, 상기 회동아암(30)이 후방으로 회동되었을 때 상기 시트(B)의 중간부 상측에 위치되도록 상기 회동아암(30)의 단부에 결합된 등받이판(40)으로 구성됨으로, 상기 회동아암(30)을 전후방향으로 회동시켜 등받이를 펴거나 접을 수 있음으로, 사용이 매우 편리한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스쿠터용 등받이{back of a chair for scooter}
본 발명은 필요에 따라 펴거나 접을 수 있도록 된 새로운 구조의 스쿠터용 등받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스쿠터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체(A)와, 상기 본체(A)에 구비된 시트(B)와, 상기 본체(A)의 전후방에 구비된 전후방휠(C,D)과, 상기 본체(A)에 구비되며 상기 전방휠(C)에 연결되어 전방휠(C)을 조향하는 조향핸들(E)과, 상기 본체(A)에 구비되며 상기 후방휠(D)에 연결되어 후방휠(D)을 구동하는 엔진(F)으로 구성된다.
상기 본체(A)는 강도가 높은 금속프레임의 외측에 합성수지재질의 카울을 결합하여 구성된 것으로, 중간부에는 운전자가 발을 올려놓을 수 있도록 된 플로어(11)가 구비되고, 상기 플로어(11)의 후방에는 상기 시트(B)가 설치되는 지지부(12)가 상측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시트(B)는 전후방향으로 길게 연장되어 2인이 시트(B)의 상면 전후측에 각각 착석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운전자는 상기 시트(B)에 앉고 상기 플로어(11)에 발을 올려놓은 상태에서, 운전을 할 수 있다.
그런데, 이러한 스쿠터는 2인이 앉을 수 있도록 시트(B)가 전후방향으로 길게 연장됨으로, 운전자 한 명만 시트(B)에 앉을 경우, 시트(B)에 앉은 운전자가 허리를 기댈 수 없으며, 이에 따라, 장시간 운전을 할 경우, 허리통증을 느낄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시트(B)의 중간부에 운전자의 허리를 받칠 수 있도록 된 등받이가 구비된 스쿠터가 개발되기도 하였으나, 이러한 경우, 시트(B)에 2명이 착석할 경우, 후측에 앉은 사람이 등받이에 걸려 불편함을 느끼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새로운 방법이 필요하게 되었다.
한편, 이러한 스쿠터의 지지부(12)의 상면에는 다양한 물건을 수납할 수 있도록 수납공간(13)이 하측으로 오목하게 형성되며, 상기 시트(B)는 상기 수납공간(13)의 상부를 덮도록 상기 지지부(12)의 상단에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시트(B)는 하측면 전단부에 구비된 힌지부재에 의해 상기 지지부(12)의 상단에 전방으로 회동가능하게 결합된다.
또한, 상기 시트(B)의 하측면 전단부에는 고정고리(21)가 구비되고, 상기 지지부(12)에는 상기 고정고리(21)와 결합되어 시트(B)가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하는 잠금장치(14)가 구비되며, 상기 본체(A)에는 상기 조향핸들(E)의 둘레부에 위치되는 상기 잠금장치(14)의 작동을 제어하는 잠금해제스위치(15)가 구비된다.
따라서, 운전자가 상기 잠금해제스위치(15)를 조작하면, 상기 잠금장치(14)가 작동되어 고정고리(21)의 고정을 해제되어, 운전자가 시트(B)를 도 1에 점선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전방으로 회동시켜 상기 수납공간(13)이 드러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시트(B)를 후방으로 회동시킨 후 아래쪽으로 누르면, 상기 시트(B)의 고정고리(21)가 잠금장치(14)에 결합되어 시트(B)가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하게 된다.
등록특허 10-0551749호,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필요에 따라 펴거나 접을 수 있도록 된 새로운 구조의 스쿠터용 등받이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본체(A)와, 상기 본체(A)에 구비된 시트(B)와, 상기 본체(A)의 전후방에 구비된 전후방휠(C,D)과, 상기 본체(A)에 구비되며 상기 전방휠(C)에 연결되어 전방휠(C)을 조향하는 조향핸들(E)과, 상기 본체(A)에 구비되며 상기 후방휠(D)에 연결되어 후방휠(D)을 구동하는 엔진(F)을 포함하는 스쿠터에 구비되는 것으로, 상기 본체(A)의 양측에 전후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결합된 회동아암(30)과, 상기 회동아암(30)이 후방으로 회동되었을 때 상기 시트(B)의 중간부 상측에 위치되도록 상기 회동아암(30)의 단부에 결합된 등받이판(4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쿠터용 등받이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본체(A)에 구비되며 상기 회동아암(30)에 연결되어 상기 회동아암(30)이 전방 또는 후방으로 회동되었을 때 상기 회동아암(30)이 회동되지 않도록 고정하는 고정수단(50)과, 상기 본체(A)의 일측에 구비되며 상기 고정수단(50)에 연결되어 운전자의 조작에 따라 상기 고정수단(50)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스위치(6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쿠터용 등받이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회동아암(30)은 길이조절가능하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쿠터용 등받이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본체(A)에는 상측으로 돌출된 지지부(12)가 형성되고, 상기 지지부(12)의 상면에는 수납공간(13)이 하측으로 오목하게 형성되며, 상기 시트(B)는 하측면 전단부에 구비된 힌지부재에 의해 상기 지지부(12)의 상단에 상기 수납공간(13)의 상부를 덮으면서 전방으로 회동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지지부(12)에는 상기 시트(B)에 구비된 고정고리(21)와 결합되어 시트(B)가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하는 잠금장치(14)가 구비되며, 상기 본체(A)에는 상기 조향핸들(E)의 둘레부에 위치되는 상기 잠금장치(14)의 작동을 제어하는 잠금해제스위치(15)가 구비되고, 상기 회동아암(30)의 기단부에 연결되어 상기 회동아암(30)을 전후방향으로 회동시키는 회동구동수단(70)과, 본체(A)의 일측에 구비된 구동조작스위치(80)와, 상기 지지부(12)에 구비되어 상기 시트(B)가 상기 수납공간(13)의 상부를 덮도록 상기 잠금장치(14)에 고정되면 이를 감지하는 개폐감지수단(90)과, 상기 구동조작스위치(80)와 잠금해제스위치(15) 및 개폐감지수단(90)의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잠금장치(14)와 회동구동수단(70)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수단(100)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수단(100)은 운전자가 상기 구동조작스위치(80)를 조작하여 상기 회동아암(30)이 후방으로 회동되도록 한 상태에서, 상기 잠금해제스위치(15)를 조작하여 상기 시트(B)의 고정을 해제하면 상기 회동구동수단(70)을 구동시켜 상기 회동아암(30)과 등받이판(40)이 전방으로 미리 정해진 각도만큼 회동되도록 하여 운전자가 상기 시트(B)를 전방으로 회동시킬 수 있도록 하고, 운전자가 상기 시트(B)를 후방으로 회동시켜 상기 수납공간(13)의 상부를 덮도록 잠금장치(14)에 고정시키면, 상기 개폐감지수단(90)의 신호를 수신하여 이를 확인한 후 상기 회동구동수단(70)을 구동시켜 회동아암(30)과 등받이판(40)을 후방으로 회동시키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쿠터용 등받이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른 스쿠터용 등받이는, 상기 본체(A)의 양측에 전후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결합된 회동아암(30)과, 상기 회동아암(30)이 후방으로 회동되었을 때 상기 시트(B)의 중간부 상측에 위치되도록 상기 회동아암(30)의 단부에 결합된 등받이판(40)으로 구성됨으로, 상기 회동아암(30)을 전후방향으로 회동시켜 등받이를 펴거나 접을 수 있음으로, 사용이 매우 편리한 장점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스쿠터를 도시한 측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스쿠터용 등받이를 도시한 측면도,
도 3은 도 2의 G-G선 단면을 도시한 정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스쿠터용 등받이의 작용을 도시한 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스쿠터용 등받이의 변형예를 도시한 측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스쿠터용 등받이의 제2 실시예를 도시한 측면도,
도 7은 도 6의 H-H선 단면을 도시한 정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스쿠터용 등받이의 제2 실시예의 회로구성도,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스쿠터용 등받이의 제2 실시예의 작용을 도시한 참고도이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 내지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스쿠터용 등받이를 도시한 것으로, 상기 스쿠터는 본체(A)와, 상기 본체(A)에 구비된 시트(B)와, 상기 본체(A)의 전후방에 구비된 전후방휠(C,D)과, 상기 본체(A)에 구비되며 상기 전방휠(C)에 연결되어 전방휠(C)을 조향하는 조향핸들(E)과, 상기 본체(A)에 구비되며 상기 후방휠(D)에 연결되어 후방휠(D)을 구동하는 엔진(F)으로 구성된 것은 종래와 동일하다.
이때, 상기 본체(A)는 강도가 높은 금속프레임의 외측에 합성수지재질의 카울을 결합하여 구성된 것으로, 중간부에는 운전자가 발을 올려놓을 수 있도록 된 플로어(11)가 구비되고, 상기 플로어(11)의 후방에는 상기 시트(B)가 설치되는 지지부(12)가 상측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며, 지지부(12)의 상면에는 다양한 물건을 수납할 수 있도록 수납공간(13)이 하측으로 오목하게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시트(B)는 전후방향으로 길게 연장되어 2인이 시트(B)의 상면 전후측에 각각 착석할 수 있도록 구성되며, 하측면 전단부에 구비된 힌지부재에 의해, 상기 지지부(12)의 상단에 상기 수납공간(13)의 상부를 덮은 상태에서 전방으로 회동가능하게 결합된다.
또한, 상기 시트(B)의 하측면 전단부에는 고정고리(21)가 구비되고, 상기 지지부(12)의 하단에는 상기 고정고리(21)와 결합되어 시트(B)가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하는 잠금장치(14)가 구비되며, 상기 본체(A)에는 상기 조향핸들(E)의 둘레부에 위치되는 상기 잠금장치(14)의 작동을 제어하는 잠금해제스위치(15)가 구비되어, 운전자가 상기 잠금해제스위치(15)를 조작하여 잠금장치(14)의 잠금을 해제한 후, 상기 시트(B)를 전방으로 회동시켜 상기 수납공간(13)이 드러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스쿠터용 등받이는 상기 본체(A)의 양측에 전후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결합된 회동아암(30)과, 상기 회동아암(30)의 단부에 결합된 등받이판(40)과, 상기 본체(A)에 구비되며 상기 회동아암(30)에 연결된 고정수단(50)과, 상기 본체(A)의 일측에 구비되며 상기 고정수단(50)에 연결되어 운전자의 조작에 따라 상기 고정수단(50)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스위치(60)로 구성된다.
이를 자세히 설명하면, 상기 회동아암(30)은 강도가 높은 금속바를 벤딩하여 구성된 것으로,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단부는 인접방향으로 절곡되어, 상기 본체(A)의 지지부(12) 양측에 형성된 결합공(16)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등받이판(40)은 금속재의 프레임에 쿠션재질과 커버를 결합하여 구성된 것으로, 상기 회동아암(30)의 상단에 결합된다.
이때, 상기 등받이판(40)은 상기 회동아암(30)이 후방으로 회동되었을 때, 시트(B)의 중간부 상측에 위치되도록 구비된다.
따라서, 운전자가 상기 회동아암(30)을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후방으로 회동시키면 상기 등받이판(40)이 상기 시트(B)의 중간부 상측에 위치되어 운전자의 등을 지지할 수 있으며,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회동아암(30)을 전방으로 회동시키면 등받이판(40)이 상기 지지부(12)의 전방에 근접되도록 접히게 된다.
상기 고정수단(50)은 상기 잠금해제스위치(15)로부터 입력되는 제어신호에 의해 작동제어되는 것으로,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회동아암(30)이 후방으로 회동되었을 때, 또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회동아암(30)이 전방으로 회동되었을 때, 상기 회동아암(30)이 회동되지 않도록 고정하도록 구성되며, 운전자가 상기 제어스위치(60)를 조작하여 전기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회동아암(30)의 고정을 해제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고정수단(50)은 다양한 종류의 것이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음으로, 이에 대한 더 이상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제어스위치(60)는 일반적인 푸쉬스위치를 이용하는 것으로, 상기 잠금해제스위치(15)에 근접되도록 상기 본체(A)의 일측에 구비된다.
따라서, 운전자가 등받이를 사용하고자 할 때는 상기 제어스위치(60)를 조작하여 고정수단(50)에 의한 회동아암(30)의 고정을 해제하고, 상기 회동아암(30)을 후방으로 회동시키면, 상기 등받이판(40)이 시트(B)의 중간부에 위치된다.
그리고, 등받이를 사용하지 않을 때는 상기 제어스위치(60)를 조작하여 고정수단(50)의 고정을 해제하고, 상기 회동아암(30)을 전방으로 회동시키면, 상기 등받이판(40)이 상기 지지부(12)의 전방에 위치되도록 접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시트(B)를 전방으로 회동시켜 수납공간(13)이 드러나도록 하기 위해서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회동아암(30)을 전방으로 회동시켜 등받이를 접은 상태에서, 운전자가 상기 잠금해제스위치(15)를 조작하여 잠금장치(14)의 잠금을 해제한 후, 상기 시트(B)를 전방으로 회동시켜 상기 수납공간(13)이 드러나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스쿠터용 등받이는, 상기 본체(A)의 양측에 전후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결합된 회동아암(30)과, 상기 회동아암(30)이 후방으로 회동되었을 때 상기 시트(B)의 중간부 상측에 위치되도록 상기 회동아암(30)의 단부에 결합된 등받이판(40)으로 구성됨으로, 상기 회동아암(30)을 전후방향으로 회동시켜 등받이를 펴거나 접을 수 있음으로, 사용이 매우 편리한 장점이 있다.
특히, 상기 본체(A)에는 상기 회동아암(30)에 연결되어 상기 회동아암(30)이 전방 또는 후방으로 회동되었을 때 상기 회동아암(30)이 회동되지 않도록 고정하는 고정수단(50)이 구비되고, 상기 고정수단(50)에는 상기 본체(A)의 일측에 구비되며 운전자의 조작에 따라 상기 고정수단(50)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스위치(60)가 연결되어, 상기 회동아암(30)이 전후방향으로 회동된 상태에서 회동아암(30)이 전후방향으로 회동되지 않는다.
따라서, 상기 회동아암(30)이 전방 또는 후방으로 회동된 상태에서 스쿠터를 운행할 때 발생되는 진동에 의해, 의도하지 않게 회동아암(30)이 후방 또는 전방으로 회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실시예의 경우, 상기 회동아암(30)은 금속바를 벤딩하여 구성된 것을 예시하였으나, 상기 회동아암(30)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텔레스코픽방식으로 길이조절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회동아암(30)은 하단이 상기 본체(A)의 양측에 전후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고정되며 둘레면에는 길이방향으로 이격된 복수개의 결합공(31a)이 형성된 고정부(31)와, 상기 고정부(31)에 슬라이드가능하게 결합된 조절부(32)와, 상기 조절부(32)에 출몰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고정부(31)에 형성된 결합공(31a) 중에서 어느 하나에 선택적으로 결합되는 고정부재(33)와, 상기 고정부재(33)에 연결되어 고정부재(33)가 조절부(32)의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가압하는 스프링(34)으로 구성된다.
이와 같이 회동아암(30)이 길이조절가능하게 결합된 스쿠터용 등받이는 운전자가 상기 회동아암(30)의 길이를 조절하면, 상기 등받이판(40)의 위치가 전후방향으로 조절됨으로, 운전자가 자신의 운전습관에 맞게 등받이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어서, 사용이 더욱 편리한 장점이 있다.
도 6 내지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스쿠터용 등받이의 제2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전술한 제1 실시예의 고정수단(50)과 제어스위치(60)의 구조는 생략되며, 상기 회동아암(30)의 기단부에 연결되어 상기 회동아암(30)을 전후방향으로 회동시키는 회동구동수단(70)과, 본체(A)의 일측에 구비된 구동조작스위치(80)와, 상기 지지부(12)에 구비되어 상기 시트(B)가 상기 수납공간(13)의 상부를 덮도록 상기 잠금장치(14)에 고정되면 이를 감지하는 개폐감지수단(90)과, 상기 구동조작스위치(80)와 잠금해제스위치(15) 및 개폐감지수단(90)의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잠금장치(14)와 회동구동수단(70)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수단(100)이 더 구비된다.
상기 회동구동수단(70)은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본체(A)의 내부에 구비된 브라켓(17)에 고정되며 상기 회동아암(30)의 기단부에 연결되어 구동에 따라 상기 회동아암(30)을 전후방향으로 정해진 각도만큼 회동시키는 구동모터를 이용한다.
상기 구동조작스위치(80)는 운전자가 노브를 측방향으로 회전시켜 제어신호를 입력할 수 있도록 된 회전식스위치를 이용하는 것으로, 상기 잠금해제스위치(15)에 근접되도록 상기 본체(A)의 일측에 구비된다.
상기 개폐감지수단(90)은 상기 지지부(12)의 상단에 구비되며 상측으로 돌출된 푸쉬버튼이 구비된 리미트스위치를 이용하는 것으로, 상기 시트(B)가 후방으로 회동되어 상기 수납공간(13)의 상부를 덮도록 상기 잠금장치(14)에 고정되면 상기 푸쉬버튼이 하측으로 눌려, 시트(B)가 잠금장치(14)에 고정된 것을 감지하여, 상기 제어수단(100)으로 신호를 출력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제어수단(100)은 상기 구동조작스위치(80)의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회동구동수단(70)의 작동을 제어함으로써, 상기 회동아암(30)이 전방 또는 후방으로 회동되도록 한다.
예를 들어, 운전자가 상기 구동조작스위치(80)의 노브를 좌측으로 회동시키면, 상기 제어수단(100)은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회동구동수단(70)을 정회전시킴으로써,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회동아암(30)을 전방으로 회동시켜 등받이를 접고, 운전자가 상기 구동조작스위치(80)의 노브를 우측으로 회동시키면, 상기 제어수단(100)은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회동구동수단(70)을 역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회동아암(30)을 후방으로 회동시켜 등받이를 편다.
그리고, 상기 제어수단(100)은 상기 회동아암(30)이 후방으로 회동되도록 한 상태에서, 상기 잠금해제스위치(15)와 상기 개폐감지수단(90)의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회동구동수단(70)의 작동을 제어하여 회동아암(30)을 전후방향으로 회동시킴으로써, 운전자가 손쉽게 시트(B)를 전방으로 회동시킬 수 있도록 한다.
즉,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회동아암(30)이 후방으로 회동되도록 한 상태에서, 운전자가 상기 시트(B)를 전방으로 회동시켜 수납공간(13)이 드러나도록 하기 위해, 상기 잠금해제스위치(15)를 조작하여 상기 시트(B)의 고정을 해제하면, 상기 제어수단(100)은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회동구동수단(70)을 구동시켜 상기 회동아암(30)과 등받이판(40)이 전방으로 미리 정해진 각도만큼 회동되도록 한다.
따라서,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운전자가 상기 시트(B)를 전방으로 회동시켜 상기 수납공간(13)이 드러나도록 할 때, 시트(B)가 상기 등받이에 간섭되지 않도록 한다.
그리고,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운전자가 상기 시트(B)를 후방으로 회동시켜 상기 시트(B)가 잠금장치(14)에 의해 고정되도록 하면, 상기 제어수단(100)은 상기 개폐감지수단(90)의 신호를 수신하여 이를 확인하고, 상기 회동구동수단(70)을 구동시켜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회동아암(30)과 등받이판(40)을 후방으로 회동시켜 등받이가 상기 시트(B)의 상측에 위치되도록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스쿠터용 등받이는 상기 회동아암(30)의 기단부에 연결되어 상기 회동아암(30)을 전후방향으로 회동시키는 회동구동수단(70)과, 본체(A)의 일측에 구비된 구동조작스위치(80)와, 상기 지지부(12)에 구비되어 상기 시트(B)가 상기 수납공간(13)의 상부를 덮도록 상기 잠금장치(14)에 고정되면 이를 감지하는 개폐감지수단(90)과, 상기 구동조작스위치(80)와 잠금해제스위치(15) 및 개폐감지수단(90)의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잠금장치(14)와 회동구동수단(70)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수단(100)이 더 구비되고, 상기 제어수단(100)은 운전자가 상기 구동조작스위치(80)를 조작하여 상기 회동아암(30)이 후방으로 회동되도록 한 상태에서, 상기 잠금해제스위치(15)를 조작하여 상기 시트(B)의 고정을 해제하면 상기 회동구동수단(70)을 구동시켜 상기 회동아암(30)과 등받이판(40)이 전방으로 미리 정해진 각도만큼 회동되도록 함으로써, 운전자가 상기 시트(B)를 전방으로 회동킬 때, 시트(B)가 등받이판(40)에 걸리지 않도록 한다.
또한, 운전자가 상기 시트(B)를 후방으로 회동시켜 상기 수납공간(13)의 상부를 덮도록 잠금장치(14)에 고정시키면, 상기 개폐감지수단(90)의 신호를 수신하여 이를 확인한 후 상기 회동구동수단(70)을 구동시켜 회동아암(30)과 등받이판(40)을 후방으로 회동시킨다.
따라서, 상기 회동아암(30)이 후방으로 회동되도록 한 상태에서, 운전자가 시트(B)를 전방으로 회동시켜 수납공간(13)을 개방하는 것이 매우 용이해지는 장점이 있다.
30. 회동아암 40. 등받이판

Claims (4)

  1. 본체(A)와,
    상기 본체(A)에 구비된 시트(B)와,
    상기 본체(A)의 전후방에 구비된 전후방휠(C,D)과,
    상기 본체(A)에 구비되며 상기 전방휠(C)에 연결되어 전방휠(C)을 조향하는 조향핸들(E)과,
    상기 본체(A)에 구비되며 상기 후방휠(D)에 연결되어 후방휠(D)을 구동하는 엔진(F)을 포함하는 스쿠터에 구비되는 것으로,
    상기 본체(A)의 양측에 전후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결합된 회동아암(30)과,
    상기 회동아암(30)이 후방으로 회동되었을 때 상기 시트(B)의 중간부 상측에 위치되도록 상기 회동아암(30)의 단부에 결합된 등받이판(40)을 포함하고,
    상기 본체(A)에는 상측으로 돌출된 지지부(12)가 형성되고,
    상기 지지부(12)의 상면에는 수납공간(13)이 하측으로 오목하게 형성되며,
    상기 시트(B)는 하측면 전단부에 구비된 힌지부재에 의해 상기 지지부(12)의 상단에 상기 수납공간(13)의 상부를 덮으면서 전방으로 회동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지지부(12)에는 상기 시트(B)에 구비된 고정고리(21)와 결합되어 시트(B)가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하는 잠금장치(14)가 구비되며,
    상기 본체(A)에는 상기 조향핸들(E)의 둘레부에 위치되는 상기 잠금장치(14)의 작동을 제어하는 잠금해제스위치(15)가 구비되고,
    상기 회동아암(30)의 기단부에 연결되어 상기 회동아암(30)을 전후방향으로 회동시키는 회동구동수단(70)과,
    본체(A)의 일측에 구비된 구동조작스위치(80)와,
    상기 지지부(12)에 구비되어 상기 시트(B)가 상기 수납공간(13)의 상부를 덮도록 상기 잠금장치(14)에 고정되면 이를 감지하는 개폐감지수단(90)과,
    상기 구동조작스위치(80)와 잠금해제스위치(15) 및 개폐감지수단(90)의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잠금장치(14)와 회동구동수단(70)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수단(100)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수단(100)은 운전자가 상기 구동조작스위치(80)를 조작하여 상기 회동아암(30)이 후방으로 회동되도록 한 상태에서, 상기 잠금해제스위치(15)를 조작하여 상기 시트(B)의 고정을 해제하면 상기 회동구동수단(70)을 구동시켜 상기 회동아암(30)과 등받이판(40)이 전방으로 미리 정해진 각도만큼 회동되도록 하여 운전자가 상기 시트(B)를 전방으로 회동킬 수 있도록 하고, 운전자가 상기 시트(B)를 후방으로 회동시켜 상기 수납공간(13)의 상부를 덮도록 잠금장치(14)에 고정시키면, 상기 개폐감지수단(90)의 신호를 수신하여 이를 확인한 후 상기 회동구동수단(70)을 구동시켜 회동아암(30)과 등받이판(40)을 후방으로 회동시키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쿠터용 등받이.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A)에 구비되며 상기 회동아암(30)에 연결되어 상기 회동아암(30)이 전방 또는 후방으로 회동되었을 때 상기 회동아암(30)이 회동되지 않도록 고정하는 고정수단(50)과,
    상기 본체(A)의 일측에 구비되며 상기 고정수단(50)에 연결되어 운전자의 조작에 따라 상기 고정수단(50)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스위치(6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쿠터용 등받이.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회동아암(30)은 길이조절가능하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쿠터용 등받이.
  4. 삭제
KR1020180042375A 2018-04-11 2018-04-11 스쿠터용 등받이 KR101917382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42375A KR101917382B1 (ko) 2018-04-11 2018-04-11 스쿠터용 등받이
PCT/KR2019/002189 WO2019198928A1 (ko) 2018-04-11 2019-02-22 스쿠터용 등받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42375A KR101917382B1 (ko) 2018-04-11 2018-04-11 스쿠터용 등받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17382B1 true KR101917382B1 (ko) 2018-11-09

Family

ID=644264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42375A KR101917382B1 (ko) 2018-04-11 2018-04-11 스쿠터용 등받이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917382B1 (ko)
WO (1) WO2019198928A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84110B1 (ko) * 2003-10-15 2006-05-30 혼다 기켄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스쿠터형 차량용 리모콘 장치
JP2009234405A (ja) 2008-03-27 2009-10-15 Honda Motor Co Ltd 車両用シート装置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10002087Y1 (en) * 1980-11-29 1981-11-17 Jae Kyung Park Supporter for auto-cycle bockbone
KR890007309Y1 (ko) * 1986-08-29 1989-10-25 한양석 손잡이가 부설된 오토바이의 짐받이겸용 등받이
KR20010104776A (ko) * 2001-11-07 2001-11-28 오석민 짐받이로의 변환구조를 갖는 오토바이용 보조 시트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84110B1 (ko) * 2003-10-15 2006-05-30 혼다 기켄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스쿠터형 차량용 리모콘 장치
JP2009234405A (ja) 2008-03-27 2009-10-15 Honda Motor Co Ltd 車両用シート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9198928A1 (ko) 2019-10-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433646B2 (ja) 車両用アシストグリップ
KR101013902B1 (ko) 자동차용 암레스트의 폭 조절장치
JP4575233B2 (ja) 椅子
US7093897B2 (en) Automobile vehicle seat adaptable to accommodate a child
KR101917382B1 (ko) 스쿠터용 등받이
KR101952082B1 (ko) 좌판 전방높이 조절구가 설치된 좌판 슬라이딩 접이식 의자
JPH0948271A (ja) 自動車用シート昇降装置
JP4904655B2 (ja) シート装置
FR2859420A1 (fr) Cockpit d'un vehicule automobile avec un volant et avec un siege reglable
JPH0542916Y2 (ko)
JP4422169B2 (ja) 車いす兼用歩行器
JP2000289505A (ja) 車両用シート
JPH07315088A (ja) 車両用シート
JP5640558B2 (ja) リクライニング装置
JPH07125614A (ja) 車両の運転姿勢調整装置
JP4021162B2 (ja) ランバーサポート機能付き椅子
JP3380162B2 (ja) 腰掛用足掛装置
JP2004033503A (ja) 立ち上がり補助機構付きチェア
JPH1118873A (ja) シート取付形フットレスト
JPH024819Y2 (ko)
JPH0545266Y2 (ko)
KR0140302Y1 (ko) 자동으로 절첩되는 자동차의 발받침대
JPH077224Y2 (ja) 車両の足載せ装置
JPH10315828A (ja) 車両用シート装置
JPS6122028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