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31925A - 내연 기관에서의 크랭크샤프프의 베어링 구조 - Google Patents

내연 기관에서의 크랭크샤프프의 베어링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31925A
KR20050031925A KR1020040076446A KR20040076446A KR20050031925A KR 20050031925 A KR20050031925 A KR 20050031925A KR 1020040076446 A KR1020040076446 A KR 1020040076446A KR 20040076446 A KR20040076446 A KR 20040076446A KR 20050031925 A KR20050031925 A KR 2005003192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rankshaft
crankcase
bearing
push plug
bearing struc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764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49419B1 (ko
Inventor
간베다카시
요코야마히데미
오바유
기하라데루오
다카하시아키라
Original Assignee
혼다 기켄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03339416A external-priority patent/JP3993547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3339418A external-priority patent/JP4145763B2/ja
Application filed by 혼다 기켄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혼다 기켄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500319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3192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494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49419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FCYLINDERS, PISTONS OR CASINGS, FOR COMBUSTION ENGINES; ARRANGEMENTS OF SEALINGS IN COMBUSTION ENGINES
    • F02F7/00Casings, e.g. crankcases or frames
    • F02F7/0043Arrangements of mechanical drive elements
    • F02F7/0053Crankshaft bearings fitted in the crankcas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BINTERNAL-COMBUSTION PISTON ENGINES;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 F02B67/00Engines characterised by the arrangement of auxiliary apparatus not being otherwise provided for, e.g. the apparatus having different functions; Driving auxiliary apparatus from eng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2B67/04Engines characterised by the arrangement of auxiliary apparatus not being otherwise provided for, e.g. the apparatus having different functions; Driving auxiliary apparatus from eng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f mechanically-driven auxiliary apparatus
    • F02B67/06Engines characterised by the arrangement of auxiliary apparatus not being otherwise provided for, e.g. the apparatus having different functions; Driving auxiliary apparatus from eng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f mechanically-driven auxiliary apparatus driven by means of chains, belts, or like endless memb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25/00Bearings for exclusively rotary movement adjustable for wear or play
    • F16C25/06Ball or roller bearings
    • F16C25/08Ball or roller bearings self-adjust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9/00Bearings for crankshafts or connecting-rods; Attachment of connecting-rods
    • F16C9/02Crankshaft bear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Shafts, Cranks, Connecting Bars, And Related Bearings (AREA)
  • Cylinder Crankcases Of Internal Combustion Engines (AREA)
  • Rolling Contact Bearings (AREA)

Abstract

롤링 베어링을 통해 크랭크케이스에 크랭크샤프트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내연 기관에서의 크랭크샤프트의 베어링 구조는, 롤링 베어링의 외부 레이스와, 크랭크케이스의 베어링 구멍 사이에 발생하는 반경 방향의 덜거덕거림을 흡수하는 덜거덕거림 흡수수단을 포함한다. 덜거덕거림 흡수수단은, 크랭크샤프트의 축선에 대해 수직방향으로 상기 볼 베어링의 외부 레이스를 가압하는 푸쉬 플러그를 포함한다. 이 푸쉬 플러그는 실린더와 크랭크샤프트 사이에서 크랭크샤프트에 평행하게 배열된다. 볼 베어링의 외부 레이스는 크랭크케이스의 베어링 구멍의 폭발압력을 수용하는 일측을 향해 탄성 가압된다. 그 결과, 상기 "덜거덕거림"에 기인하는 타음의 발생은 높은 폭발압력을 갖는 내연 기관 엔진에 관해서도 상당히 감소될 수 있다.

Description

내연 기관에서의 크랭크샤프프의 베어링 구조{BEARING STRUCTURE OF CRANK SHAFT IN INTERNAL COMBUSTION ENGINE}
본 발명은 크랭크케이스에 크랭크샤프트를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베어링의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오토바이용 등의 단기통 내연 기관에서는, 크랭크케이스의 베어링 구멍에 한 쌍의 롤링 베어링을 통해 크랭크샤프트를 회전 가능하게 피봇 지지하고, 이 크랭크샤프트의 크랭크 핀에 커넥팅 로드를 통해 실린더 보어에 슬라이딩결합되는 피스톤을 연결하고, 피스톤에 인가하는 폭발 압력을 크랭크샤프트로부터 쌍의 롤링 베어링을 통해 크랭크케이스에 의해 수용하도록 되어 있다. 이 경우에, 상기 쌍을 이루는 롤링 베어링의 외부 레이스(outer race) 및 내부 레이스(inner race)는, 크랭크케이스의 베어링 구멍 및 크랭크샤프트의 저널축부에 각각 압입 끼워맞춤되어 베어링 구멍과 저널축부 사이의 덜거덕거림(play)에 기인하는 타음(打音)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 방식으로, 원하는 베어링 기능을 유지하여 크랭크샤프트의, 매끄럽고 경쾌한 회전을 보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런데, 상술한 바와 같이, 쌍을 이루는 좌우의 롤링 베어링을, 전술한 크랭크샤프트 및 크랭크케이스 모두에 압입 끼워맞춤하면, 크랭크샤프트의 크랭크케이스에 대한 장착이나 장착 후의 유지 보수 등이 힘들어진다는 과제가 발생한다.
그래서, 종래에는, 이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크랭크샤프트를 크랭크케이스에 장착할 때에는, 크랭크케이스에 크랭크샤프트를 장착하기 전에, 미리 우측 크랭크케이스 반체에 우측 롤링 베어링의 외부 레이스를 압입 끼워맞춰 두는 동시에, 크랭크샤프트의 좌측의 저널축부에 좌측 롤링 베어링의 내부 레이스를 압입 끼워맞춰 놓는다. 또, 크랭크샤프트를 장착할 때에는, 크랭크샤프트의 우측 저널축부를, 우측 롤링 베어링의 내부 레이스(그 외부 레이스는 이미 우측 크랭크케이스 반체에 압입 끼워맞춤됨)에 압입 끼워맞춰진다. 이어서, 크랭크샤프트의 좌측 저널축부에 이미 내부 레이스가 압입 끼워맞춰져 있는 좌측 롤링 베어링의 외부 레이스를, 좌측의 크랭크케이스 반체에 헐겁게 끼우도록(여유를 두고 끼워맞추도록) 하여, 크랭크샤프트의 크랭크케이스에 장착을 하기 쉽게 하는 동시에 그 후의 유지 보수도 하기 쉽게 하고 있다.
그러나, 이런 동작의 경우, 좌측의 롤링 베어링의 외부 레이스와, 크랭크케이스의 베어링 구멍과의 사이에 반경방향으로 다소의 덜거덕거림이 발생하는 현상을 피할 수 없다. 따라서, 내연 기관의 운전시에 기술한 덜거덕거림에 기인하여 타음을 발생시킬 뿐 아니라, 원하는 베어링 기능을 얻을 수 없다는 문제가 있었다.
그래서, 일본국 특개 2003-83080호 공보에 개시된 것에서는, 한 쌍의 볼 베어링 중 어느 한쪽(좌측)의 외부 레이스의 외측면을, 경사 가압면을 갖는 푸쉬 플러그에 의해 그 축방향으로 가압함으로써, 상기 "덜거덕거림"을 흡수하도록 한 것이 제안되고 있다.
그러나, 상기 일본국 특개 2003-83080호 공보에 개시된 기술에서는, 상기 푸쉬 플러그와 실린더 사이에 개재된 크랭크샤프트를 구비한 실린더의 대향측에 전술한 푸쉬 플러그가 배열되며, 즉, 크랭크케이스의 베어링 구멍의 실린더측을 향해 롤링 베어링의 외부 레이스를 가압하기 위해 푸쉬 플러그가 크랭크케이스측에 배열되고(폭발압력이 피스톤에 인가하는 방향에 따른 대향측), 즉, 푸쉬방향은 피스톤에 인가하는 폭발 하중의 방향과 대향한다. 따라서, 푸쉬 플러그에 의한 덜거덕거림의 흡수가 불충분하게 되어, 큰 폭발력을 발생하는 고출력 내연기관에서는, 롤링 베어링의 외부 레이스가 실린더에 대향하는 크랭크케이스의 베어링 구멍의 측면을 타격하여 타음 감소 효과가 충분하게 달성될 수 없다는 문제점을 유발한다.
또, 상기 일본국 특개 2003-83080호 공보(본 출원의 도 10에 도시함)에 개시된 종래 장치에서는, 푸쉬 플러그의 장착 중간에, 자유 신장상태에서의 코일스프링에 의해 외향으로 가압된 푸쉬 플레이트가 위치 결정부재에서 해제되므로, 푸쉬 플러그의 위치가 결정되지 않으므로 작업자가 손으로 코일 스프링을 압축하거나 푸쉬 플레이트를 가압하는 동안 푸쉬 플러그를 장착하므로 장착이 어렵고 번거롭다는 문제점을 유발한다.
본 발명은 이러한 실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크랭크샤프트를 지지하는 롤링 베어링의 외부 레이스가, 실린더에 대향하는 크랭크케이스의 베어링 구멍의 일측을 가압함으로써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신규의 내연 기관에서의 크랭크샤프트의 베어링 구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청구항 1에서, 실린더 블록과 이 실린더 블록에 일체로 연결된 크랭크케이스를 구비하는 내연기관에서의 크랭크샤프트의 베어링 구조에 있어서, 상호 체결방식으로 커넥팅로드에 의해 실린더 블록의 실린더에 미끄럼가능하게 고정된 피스톤으로 연결된 크랭크샤프트가 롤링 베어링에 의해 크랭크케이스의 베어링 구멍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고, 이 베어링 구조는, 롤링 베어링과 베어링 구멍 사이에 반경방향의 덜거덕거림(play)을 방지하는 덜거덕거림 흡수수단을 설치하고, 상기 덜거덕거림 흡수수단은 롤링 베어링의 외부 레이스를 크랭크샤프트의 축선에 수직방향으로 가압하는 푸쉬 플러그(push plug)를 포함하고, 상기 푸쉬 플러그가 실린더와 크랭크샤프트 사이의 크랭크샤프트에 평행하게 배열되며, 롤링 베어링의 외부 레이스가 폭발압력을 수용하는 크랭크케이스의 베어링 구멍의 일측을 향해 탄성 가압되는 내연 기관에서의 크랭크샤프트의 베어링 구조에 관한 것이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청구항 2에서, 상기 푸쉬 플러그를 갖는 덜거덕거림 흡수수단은, 상기 실린더의 실린더 중심 축선보다도 크랭크샤프트의 회전방향 전방측으로 편향(offset)하도록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청구항 3에서, 크랭크샤프트가 롤링 베어링에 의해 크랭크 케이스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는 내연기관에서의 크랭크샤프트의 베어링 구조에 있어서, 덜거덕거림 흡수수단이 롤링 베어링의 외부 레이스와 크랭크 케이스 사이에 개재되며, 롤링 베어링의 외부 레이스와 크랭크 케이스의 베어링 구멍 사이에 발생하는 반경방향의 덜거덕거림이 상기 덜거덕거림 흡수수단에 의해 흡수되고, 상기 덜거덕거림 흡수수단은, 크랭크 케이스에 이동가능하게 장착되고 크랭크샤프트의 반경방향으로 롤링 베어링의 외부 레이스를 가압하는 푸쉬 플러그와, 볼트에 의해 크랭크케이스에 고정된 스프링 세트 플레이트와, 푸쉬 플러그와 스프링 세트 플레이트 사이에 개재되는 동시에 외부 레이스를 향해 푸쉬 플러그를 탄성가압하는 스프링부재를 구비하며, 상기 스프링 세트 플레이트는 크랭크케이스를 향해 절곡된 절곡부를 포함하고 이 절곡부는, 상기 스프링부재가 자유 신장상태에 있고 상기 스프링 세트 플레이트가 일시 정지상태에 있을 때, 크랭크케이스에 형성된 위치 결정부에 맞물림되어, 상기 스프링 세트 플레이트를 위치 결정할 수 있는 내연 기관에서의 크랭크샤프트의 베어링 구조에 관한 것이다.
또한,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청구항 4에서, 외면에서 외향으로 돌출하는 보스부가 크랭크케이스에 일체로 형성되고, 이 보스부에 상기 푸쉬 플러그가 이동가능하게 장착되고, 오목부가 상기 보스부를 대면하는 상태에서 상기 스프링 세트 플레이트의 중간부에 상기 스프링부재의 자유단을 수용하는 오목부가 형성되며, 상기 스프링 세트 플레이트의 장착 완료 상태에서 상기 보스부와 오목부가 서로 끼워맞춤되는 내연기관에서의 크랭크샤프트의 베어링 구조에 관한 것이다.
또한,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청구항 5에서, 크랭크케이스의 외방으로부터 상기 스프링 세트 플레이트를 수용하기 위해서, 크랭크케이스에 형성된 위치결정부는 외면을 향해 개방하는 포크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첨부 도면에 나타낸 본 발명의 실시예에 기초하여 이하에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먼저 도 1, 도 2에 있어서, OHC형 4사이클 단기통 내연 기관(E)은, 실린더 블록(CB)과, 실린더 블록(CB)의 데크면 상에 고정되는 실린더 헤드(CH)와, 실린더 헤드(CH)의 하부에 고정되는, (좌우) 2분할의 크랭크케이스(CC)와, 실린더 헤드(CH)를 보호하기 위해 상기 실린더 헤드(CH)의 상면에 장착되는 헤드 커버(HC)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실린더 블록(CB)의 중앙부에 설치한, 실린더 슬리브(2)를 갖는 실린더(1)에는, 피스톤(3)이 슬라이딩 가능하게 끼워맞춰져 있다. 이 피스톤(3)의 정상면에 대향하여 실린더 헤드(CH)에는 연소실(4)이 형성된다. 피스톤(3)의 피스톤 핀에는, 커넥팅 로드(5)의 소 단부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이 커넥팅 로드(5)의 대 단부는, 크랭크샤프트(6)의 크랭크 핀(7)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크랭크케이스(CC)에는, 후술하는 좌우의 롤링 베어링(BB, BR)을 통해 크랭크샤프트(6)가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상기 크랭크케이스(CC)는, 철 또는 알루미늄 등의 경합금의 주조에 의해 형성되어, 좌측 크랭크케이스 반체(10)와 우측 크랭크케이스 반체(11)를, 다수의 볼트(14)에 의해 일체로 결합하여 구성된다. 좌측 크랭크케이스 반체(10)의 개구 외면에는 좌측 커버(12)가 피복되어 볼트(15)에 의해 외면에 고정되고, 또 우측 크랭크케이스 반체(11)의 개구 외면에는 우측 커버(13)가 피복되어 볼트(16)에 의해 외면에 고정된다. 좌우측 크랭크케이스 반체(10, 11)에는, 서로 간격을 두고 대면하는 좌우 저널벽(10j, 11j)이 각각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그들 좌우 저널벽(10j, 11j)에는, 동일 축선 상에 좌우 베어링 구멍(18, 19)(좌측 베어링 구멍(18)은, 우측 베어링 구멍(19)보다도 큰 직경)이 각각 개구되어, 이들 좌우 베어링구멍(18, 19)의 베어링면은, 크랭크케이스의 주조시에 주입되는 Fe제의 주조 링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좌우 베어링구멍(18, 19)에는, 좌우측 롤링 베어링(BB, BR)을 통해 크랭크샤프트(6)의 좌우 저널축부(6jl, 6jr)가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도 4에 명료히 나타낸 바와 같이, 좌측 롤링 베어링(BB)은 볼 베어링에 의해 구성되고, 또 우측 롤링 베어링(BR)은 롤러 베어링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상기 좌측 롤링 베어링, 즉 볼 베어링(BB)의 내부 레이스(22)는, 크랭크샤프트(6)의 좌측 저널축부(6jl)에 압입 끼워맞춰지고, 동시에 볼 베어링(BB)의 외부 레이스(23)는 좌측 저널벽(10j)의 베어링구멍(18)에 헐겁게 끼워(반경방향으로 약간의 덜거덕거림)진다. 이 볼베어링(BB)의 외부 레이스(23)는, 그 내부 레이스(22)보다도 축방향 외측(실린더 축선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고, 이 연장부(23e)의 내주면에는, 후술하는 "이동 억제 수단(S)"을 구성하는 단면 오목형상의 걸어맞춤 홈(41)이 형성되고, 이 걸어맞춤 홈(41)에 이동 억제 부재(40)의 후크부(40f)가 착탈 가능하게 걸어맞춰진다.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걸어맞춤 홈(41)과 후크부(40f)의 사이에는, 그 후크부(40f)에 대해 외부 레이스(23)가, 그 축방향으로의 약간의 이동을 허용할 수 있도록, 그들의 사이에 미세 간극이 형성되어 있다.
또, 상기 우측 롤링 베어링, 즉 롤러 베어링(BR)의 내부 레이스(26)는, 크랭크샤프트(6)의 우측 저널축부(6jr)에 삽입되고, 또 롤러 베어링(BR)의 외부 레이스(27)는 우측 저널벽(11j)의 베어링 구멍(19)에 압입 끼워맞춰진다. 또한, 내부 레이스(26)를 크랭크샤프트(6)의 우측 저널축부(6jr)에 삽입한 후, 이 내부 레이스(26)의, 크랭크샤프트(6)의 우측 저널축부(6jr)에 대한 고정은, 기어열(62), 원심 필터(63)(도 1 참조)와 함께 크랭크샤프트(6)의 축단으로부터 너트에 의해 함께 체결함으로써 행해진다.
도 1,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크랭크샤프트(6)와 실린더(1)의 사이에 상기 볼 베어링(BB)의 상부 외측에 가깝게 해서 덜거덕거림 흡수수단(A)이 배열되는 상태에서, 좌측 크랭크케이스 반체(10)의 좌측 저널벽(10j)에는, 이 볼 베어링(BB)의 외부 레이스(23)와 베어링 구멍(18) 사이의 반경방향의 "덜거덕거림"을 흡수하기 위한 "덜거덕거림 흡수수단(A)"이 크랭크샤프트(6)의 축선 방향을 따라 설치된다.
상기 "덜거덕거림 흡수수단(A)"은, 도 3, 도 4, 도 6에 명료하게 나타낸 바와 같이, 푸쉬 플러그(30)와, 코일 스프링(31)과, 스프링 세트 플레이트(32)로 구성되어 있다. 푸쉬 플러그(30)는, 바닥이 있는 중공 원통형상으로 형성되고, 그 바닥이 있는 측단벽의 코너부에 경사면(30s)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 푸쉬 플러그(30)는, 좌측 저널벽(10j)의 볼 베어링(BB)에 관해 비스듬한 상방의 보스부(34)에 형성한, 크랭크샤프트(6)의 축선 방향(실린더 축선과 직교 방향)으로 축선을 갖는 원통구멍(35) 내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끼워맞춰져 있다.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볼 베어링(BB)의 외부 레이스(23)의 단면 원호형상의 코너부(23c)는, 상기 원통구멍(35) 내측에 돌입하고 있고, 이 코너(23c)에 상기 푸쉬 플러그(30)의 경사면(30s)이 맞닿는다. 상기 코일 스프링(31)은, 푸쉬 플러그(30) 내에 수용되고, 그 외단은 푸쉬 플러그(30)의 개구 단면보다도 외측으로 돌출된다. 상기 스프링 세트 플레이트(32)는, 크랭크샤프트(6)의 반경방향으로 가늘고 길게 형성되어 있고, 볼트구멍(33)을 개구한 기부(32b)와, 내면에 스프링받이용의 오목부(d)를 갖는 중간부(32n)와, 내측으로 절곡한 절곡부(b)를 갖는 자유단부(32f)로 이루어지며, 상기 기부(32b)는, 좌측 크랭크케이스 반체(10)의 외면에 부착 볼트(38)에 의해 볼트 고정되고, 그 중간부(32n)에 수용된 스프링받이용 오목부(d)는 상기 코일 스프링(31)의 외단을 수용하고, 또한 상기 자유단(32f)은, 중간부(32n)보다도 폭이 좁게 형성되어, 좌측 크랭크케이스 반체에 일체로 형성한 측면에서 볼 때 갈매기형상(도 2참조)으로, 단면 갈고리형상의 위치결정부(36)(도 5 참조)에 걸어맞춰져, 스프링 세트 플레이트(32)의 회전이 멈춰져 위치결정이 이루어지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덜거덕거림 흡수수단(A)"을 좌측 크랭크케이스 반체(10)에 장착함에 있어서는,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스프링 세트 플레이트(32)를 좌측 크랭크케이스 반체(10)에 부착 볼트(38)에 의해 느슨하게 임시 고정하고, 자유길이의 코일 스프링(31)의 단부를, 중간부(32n)의 스프링받이용 오목부(d)로 수용한 상태로, 스프링 세트 플레이트(32)의 자유단(32f)의 절곡부(b)를, 좌측 저널벽(10j)의, 갈고리형상 위치결정부(36)에 걸어맞춤으로써, 스프링 세트 플레이트(32)를 회전 멈춤시켜 위치 결정할 수 있다. 따라서, 작업자는 코일 스프링(31)을 압축하거나, 스프링 세트 플레이트(32)를 회전하지 않도록 손으로 가압하는 등의 번거로운 조작을 하지 않더라도, "덜거덕거림 흡수수단(A)"을 장착할 수 있다. 그리고, 부착 볼트(38)를 다 체결하면, 도 8 쇄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덜거덕거림 흡수수단(A)"의 장착을 완료한다. 이 장착 완료 상태에서, 좌측 크랭크케이스 반체(10)의 보스부(34)와, 스프링 세트 플레이트(32)의 중간부(32n)의 오목부(d)를 서로 끼워맞춰, 그들을 크랭크케이스(10)의 외면에 컴팩트하게 설치할 수 있어, 크랭크케이스(10)의 외면으로부터 돌출하는 부분이 없고, "덜거덕거림 흡수수단(A)"의 부분적인 돌출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상술한 바와 같이, "덜거덕거림 흡수수단(A)"의 장착은, 좌측 크랭크케이스 반체(10)의 외측에서 행할 수 있으므로, 그 장착 작업성이 대단히 좋다.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덜거덕거림 흡수수단(A)"의 장착 완료 상태에서, 스프링 세트 플레이트(32)는 코일 스프링(31)을 통해 푸쉬 플러그(30)를 내측으로 가압하고, 이 푸쉬 플러그(30)의 경사면(30s)에 의해 볼 베어링(BB)의 외부 레이스(23)를, 비스듬한 하방의 가압력(F)에 의해 가압한다. 이 가압력(F)의 연직 방향의 분력(Fr), 즉 크랭크샤프트(6)의 반경방향의 분력(Fr)에 의해, 상기 외부 레이스(23)를 반경방향으로 가압하고, 이 가압력에 의해 외부 레이스(23)의 외주면과 베어링구멍(18) 사이의 반경방향의 상기 "덜거덕거림"을 흡수, 또는 제거할 수 있어, 피스톤(3)에 가해지는 폭발력 등에 의한 크랭크샤프트(6)의 반경방향의 하중에 대해 크랭크샤프트(6)를 덜거덕거림 없이 정확하게 지지할 수 있어, 타음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덜거덕거림 흡수수단(A)"이, 볼 베어링(BB)에 인가하는 가압력이 작용하는 방향은, 피스톤(3)이 받는 최대 압력(폭발 압력)이 작용하는 방향과 대략 일치하도록 되어 있다. 즉, 이 내연 기관에 있어서, 최대 폭발 압력을 받는 피스톤의 위치는, 이 피스톤이 상사점보다 약간 뒤쳐진 위치일 때이므로,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덜거덕거림 흡수수단(A)"은, 크랭크샤프트(6)의 축선 방향에서 볼 때, 실린더 축선(L-L)보다도 크랭크샤프트(6)의 회전 방향(도 2 화살표 R방향, 반시계방향)측으로 약간 편향된 위치에서, 그 실린더 축선(L-L)에 따른 방향으로 설치되어 있고, 이에 의해 "덜거덕거림 흡수수단(A)"이 볼 베어링(BB)에 가압하는 가압력의 방향을, 크랭크샤프트(6)가 피스톤(3)으로부터 받는 최대 압력의 방향과 대략 일치시킬 수 있어, 볼 베어링(BB)에 의한, 크랭크샤프트(6)의 지지가 정확하게 이루어진다.
그런데, 상기 "덜거덕거림 흡수수단(A)"의 푸쉬 플러그(30)가 실린더(1)와 크랭크샤프트(6) 사이의 크랭크 샤프트(6)에 평행하게 배열되고 볼 베어링(BB)을 탄성 가압하여, 폭발 압력을 수용하는 크랭크케이스(10)의 베어링 구멍(18)의 측면을 볼 베어링(BB)이 가압한다. 따라서, 내연기관의 폭발 연소와 함게 볼 베어링(BB)을 따라 반경방향의 과도한 하중이 작용할 때, 크랭크케이스(10)의 베어링 구멍(18)과 외부 레이스(23) 사이의 "덜거덕거림"이 확실하게 흡수되어, 큰 폭발 압력을 갖는 고출력 내연기관에서도 상기 "덜거덕거림"에 기인하는 타음의 발생을 상당히 감소할 수 있다. 또, 크랭크샤프트(6)에 평행하게 푸쉬 플러그(30)를 배열함으로써, 푸쉬 플러그(30)의 푸쉬력이 볼 베어링(BB)의 외부 레이스(23)에 효과적으로 작용할 뿐만 아니라, 푸쉬 플러그(30)를 갖는 "덜거덕거림 흡수수단(A)"을 크랭크케이스(10)에 장착은 크랭크케이스(10) 외부로부터 용이하게 실행될 수 있다.
또, 상기 푸쉬 플러그(30)가 볼 베어링(BB)에 인가하는 푸쉬력의 작용 방향은 피스톤(3)을 수용하는 최대 압력(폭발압력)의 작용방향과 실질적으로 일치한다. 즉, 내연기관에서, 최대폭발압력을 수용하는 피스톤(3)의 위치는 상사점에서 약간 지연된 위치이므로,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덜거덕거림 흡수수단(A)"은 크랭크샤프트(6)의 축방향에서 볼 때 실린더 축선 L-L에서 크랭크샤프트(6) 회전방향(도 2에서 화살표 R방향, 반시계방향)에 약간 편향된 위치에 놓여지고 실린더 축선 L-L을 따른 방향으로 놓여진다. 따라서, "덜거덕거림 흡수수단(A)"이 인가하는 방향이 크랭크샤프트(6)가 피스톤(3)을 수용하는 최대 압력의 방향으로 정렬된 볼 베어링(BB)에 인가하는 푸쉬력의 방향으로 인가되며, 볼 베어링(BB)의 외부 레이스(23)에 작용하는 푸쉬력이 베어링(BB)과 베어링 구멍(18) 사이의 "덜거덕거림" 흡수 하중으로서 효과적으로 효율적으로 기능하도록 한다.
그런데,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덜거덕거림 흡수수단(A)"의 푸쉬 플러그(30)에 의한 외부 레이스(23)에 인가된 푸쉬력(F)에 의해, 수평 방향, 즉 크랭크 샤프트(6)의 축방향의 분력(Fs)이 발생하기 때문에, 이 분력(Fs)에 의해, 외부 레이스(23)에는 축방향의 스러스트력이 어쩔수 없이 발생하여, 이 스러스트력은, 볼 베어링(BB)의 외부 레이스(23)를 축방향으로 이동시키는 힘으로서 작용한다.
그리고, 이 실시예에서는, 이하에 기술하는 "이동 억제 수단(S)"에 의해, 그 스러스트력을 수용해 외부 레이스(23)의 축방향의 이동을 억제할 수 있다.
이어서, "이동 억제 수단(S)"에 관해 설명하는데, 이것은 다수(이 실시예에서 3개)의 이동 억제 부재(40)와, 이 이동 억제 부재(40)의 후크부(40f)가 느슨하게 걸어맞춰지는, 볼 베어링(BB)의 외부 레이스(23)의 내주면에 형성되는 걸어맞춤 홈(41)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상기 이동 억제 부재(40)는,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가늘고 긴 판형상으로 형성되어, 그 선단부에 단면 C자형상으로 굴곡한 후크부(40f)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도 2,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3개의 이동 억제 부재(40)는, 좌측 크랭크케이스 반체(10)의 외측에서, 둘레방향으로 대략 등간격을 두고 방사상으로 배치되어 있고, 그들의 외단은, 볼 베어링(BB)과 동심원 상에서 부착 볼트(43)에 의해 좌측 크랭크케이스 반체의 외면에 고정된다. 3개의 이동 억제 부재(40)는, 볼 베어링(BB)의 중심으로 지향되고, 그 내단에 형성된 후크부(40f)는, 볼 베어링(BB)의 외부 레이스 내면을 향해 굴곡하고 있고, 그 내면에 형성한 걸어맞춤 홈(41)에 각각 걸어맞춰져 있다. 각 후크부(40f)와 걸어맞춤 홈(41)의 사이에는, 그들의 축방향으로 약간의 미세 간극이 형성된다. 후크부(40f)와 걸어맞춤 홈(41)의 걸어맞춤에 의해, 볼 베어링(BB)의 외부 레이스(23)의 축방향의 이동을 억제할 수 있다. 그 결과 상기 스러스트력을 우측의 볼 베어링으로 받을(상기 특허 문헌 1의 것) 필요가 없어져, 이 실시예처럼, 우측의 롤링 베어링으로, 반경이 작은 (볼 베어링(BB)에 비해) 롤러 베어링(BR)을 채용할 수 있다. 또, 도 2,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3개의 이동 억제 부재(40)는, 볼 베어링(BB)의 둘레방향으로 등간격을 두고 3개소에 설치하면, 볼 베어링(BB)의 경사를 확실히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이동 억제 수단(S)"은, 좌측 크랭크케이스 반체(10)의 외면에 고정되는 이동 억제 부재(40)와, 볼 베어링(BB)의 외부 레이스(23)의 내주면에 형성한 걸어맞춤 홈(41)에 의해 구성되기 때문에, 그 구조가 간단하고, 이것을 좌측 크랭크케이스 반체(10)의 "이동 억제 수단(S)"에 장착할 때, 이 좌측 크랭크케이스 반체(10)의 노치 등의 부착 형상을 형성할 필요가 없어, 좌측 크랭크케이스 반체(10)의 강도를 손상하지 않는다. 또, 이 "이동 억제 수단(S)"은, 좌측 크랭크케이스 반체(10)의 외측에서 장착할 수 있기 때문에, 그 장착이 용이하고, 또한 그 장착시에 특별한 설비나 지그를 필요로 하지 않는다.
도 1,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크랭크샤프트(6)의 볼 베어링(BB)의 외측에는, 동작밸브 캠축(50)의 시간조절 구동용 구동 스프로켓 휠(51)이 고정되고, 이 구동 스프로켓 휠(51)은 무단(無端)형상의 체인(52)을 통해, 실린더 헤드(CH)에 회전 가능하게 축지지되는 동작밸브 캠축(50)에 고정되는 피동 스프로켓 휠(53)에 연동되어 있다. 크랭크샤프트(6)의 회전은, 구동 스프로켓 휠(51), 무단형상 체인(52) 및 피동 스프로켓 휠(53)을 통해 동작밸브 캠축(50)에 전달된다. 크랭크샤프트(6) 아래에, 좌측 크랭크케이스 반체(10)에는, 상기 체인(52)의 탈락을 방지하기 위한, 체인 탈락 방지 플레이트(54)가 다수의 볼트(55)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이 체인 탈락 방지 플레이트(54)는,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구동 스프로켓 휠(51)에 감기는 체인(52)의 원호형상 하면에 근접하여 대향하는 원호형상 부분을 갖고, 이 원호형상 부분에 의해 상기 체인(52)의 탈락을 방지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도 1, 도 2에 있어서, 크랭크샤프트(6)의 좌측 단부에는, ACG의 외부 로우터(60)를 고정한 플라이 휠(61)이 고정되고, 또 우측 단부에는 미션, 밸런서 등에 연동되는 기어열(62), 및 원심 오일 필터(63)가 고정된다.
다음에 이 실시예의 작용에 대해 설명한다.
지금, 내연 기관(E)이 운전되면, 크랭크케이스(6)에 볼 베어링(BB) 및 롤러 베어링(BR)을 통해 지지되는 크랭크샤프트(6)가 회전 구동된다. 이런 동작에서, 볼 베어링(BB)의 외부 레이스(23)와, 좌측 크랭크케이스 반체(10)의 베어링구멍(18) 사이에 발생하는 반경방향의 "덜거덕거림"은, 상기 "덜거덕거림 흡수수단(A)"에 의해 흡수할 수 있다. 특히, 실린더(1)와 크랭크샤프트(6) 사이에 크랭크샤프트(6)에 평행하게 푸쉬 플러그(30)가 배열되고 볼 베어링(BB)의 외부 레이스(23)가 폭발력을 수용하는 좌우 크랭크케이스 반체(10)의 베어링 구멍(18)의 측면에 가압되도록 볼 베어링(BB)의 외부 레이스(23)를 탄성 가압하고, 내연기관의 폭발 연소에 의해 반경방향의 하중이 볼 베어링(BB)이 작용할 때, 베어링(BB)의 외부 레이스(23)와 좌측 크랭크케이스 반체(10)의 베어링 구멍(18) 사이의 "덜거덕거림"이 확실하게 흡수될 수 있다. 따라서, 고폭발압력을 갖는 고출력 내연기관에 관해서 상기 "덜거덕거림"에 기인하는 타음의 발생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또, 상기 "덜거덕거림 흡수수단(A)"의 부착에 의해, 불가피하게 발생하는 볼 베어링(BB)의 외부 레이스(23)의 축방향의 이동은, 상기 "이동 억제 수단(S)"에 의해 억제할 수 있으므로, 크랭크샤프트(6)를 지지하는 롤링 베어링 쌍 중, 그 한쪽을 롤러 베어링(볼 베어링보다도 작은 직경이고 고 강성)으로 이용할 수 있어, 내연 기관(E)의 컴팩트화가 가능해진다.
즉, 내연기관(E)이 운전될 때, 볼 베어링(BB)과 롤러 베어링(BR)에 의해 크랭크케이스(6)에 지지되는 크랭크샤프트(6)가 회전 구동된다. 이런 동작의 경우, 볼 베어링(BB)의 외부 레이스(23)와 좌측 크랭크케이스 반체(10)의 베어링 구멍(18) 사이에 발생된 반경방향의 "덜거덕거림"은 상기 "덜거덕거림 흡수수단(A)"에 의해 흡수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덜거덕거림"에 기인한 타음의 발생을 원천적으로 방지할 수 있고, 동시에, 상기 베어링(BB, BR)을 이용하여 크랭크샤프트(6)를 적절하게 지지함으로써 크랭크샤프트(6)의 매끄럽고 경쾌한 회전을 보장한다.
또, 상기 "덜거덕거림 흡수수단(A)"의 장착에 의해 불가피하게 나타나는 축방향의 볼 베어링(BB)의 외부 레이스(23)의 이동은 상기 "이동 억제 수단(S)"에 의해 억제될 수 있으므로, (볼 베어링의 직경보다 작은 반경을 갖고 고강성을 갖는) 롤러 베어링을 이용하여 크랭크샤프트(6)를 지지하는 롤링 베어링의 쌍 중 하나를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내연기관(E)을 컴팩트하게 구성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 설명했으나, 본 발명은 그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범위 내에서 여러가지 실시예가 가능하다.
예를 들면, 상기 좌측의 볼 베어링을 대신하여 롤러 베어링, 그 밖의 롤링 베어링을 사용해도 되고, 또 상기 우측의 롤러 베어링을 대신하여 니들 베어링, 그 밖의 롤링 베어링을 사용해도 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내에 각종 변화와 변형이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당분야 당업자에게 명백하기 때문에,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를 지시하면서, 상세한 설명과 특정 실시예는 단지 예시로 주어지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본 발명의 청구항 1에 의하면, 롤링 베어링의 외부 레이스를 크랭크샤프트의 축선에 수직방향으로 가압하는 푸쉬 플러그(push plug)가 실린더와 크랭크샤프트 사이의 크랭크샤프트에 평행하게 배열되며, 롤링 베어링의 외부 레이스는 폭발력을 수용하는 크랭크케이스의 베어링 구멍의 일측을 향해 외부 레이스를 탄성 가압한다. 따라서, 내연기관의 폭발연소에 의해 롤링 베어링에 반경방향의 하중이 작용할 때, 롤링 베어링의 외부 레이스와 크랭크케이스의 베어링 구멍 사이의 "덜거덕거림"을 확실하게 흡수할 수 있으므로, 높은 폭발압력을 나타내는 고출력 내연기관에서도 전술한 "덜거덕거림"에 기인하는 타음의 발생이 상당히 절감될 수 있다. 또, 크랭크샤프트에 평행하게 푸쉬 플러그를 배열함으로써, 푸쉬 플러그의 가압력이 롤링 베어링의 외부 레이스에 효과적으로 작용할 뿐만 아니라 크랭크케이스에 푸쉬 플러그를 갖는 "덜거덕거림 흡수수단"의 장착이 크랭크케이스의 외부로부터 용이하게 실행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청구항 2에 의하면, 상기 푸쉬 플러그에 의해 롤링 베어링의 외부 레이스에 인가된 가압력의 작용방향은 피스톤을 수용하는 최대압력(폭발압력)의 작용방향으로 실질적으로 정렬될 수 있으므로, 롤링 베어링의 외부 레이스에 작용하는 가압력이 롤링 베어링과 베어링 사이의 "덜거덕거림" 흡수하중으로서 효과적으로 작용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청구항 3에 의하면, 푸쉬 플러그, 스프링부재 및 스프링 세트 플레이트로 구성되는 "덜거덕거림 흡수수단"을 크랭크케이스에 장착시, 상기 스프링부재가 자유 신장상태를 유지하는 상태에서, 즉 스프링 하중이 인가되지 않는 상태에서 스프링 세트 플레이트가 유지될 수 있다. 따라서, 작업자는 스프링부재를 압축하거나 스프링 세트 플레이트를 가압하지 않고 "덜거덕거림 흡수수단"을 크랭크케이스에 장착할 수 있으므로, 장착 작업성이 상당히 향상될 수 있다. 또, 스프링 세트 플레이트는 크랭크 케이스측을 향해 절곡된 절곡부를 포함하므로, 크랭크케이스에서 스프링 세트 플레이트를 상당히 돌출하지 않고 절곡부를 크랭크케이스측의 위치결정부에 수용할 수 있으므로 장착시 "덜거덕거림 흡수수단"이 점유하는 공간이 절감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청구항 4에 의하면, "덜거덕거림 흡수수단"의 장착이 완료된 상태에서 크랭크케이스에 형성된 보스부와 스프링 세트 플레이트의 오목부가 서로 끼워맞춤되므로, 크랭크케이스의 외면에 "덜거덕거림 흡수수단"을 수용하여 크랭크케이스에서 상당히 돌출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청구항 5에 의하면, 크랭크케이스에 관해서 스프링 세트 플레이트를 위치결정하는 조작이 용이하다.
도 1은 본 발명 크랭크샤프트의 베어링 구조를 구비한 내연 기관의 주요부 종단 측면도,
도 2는 도 1의 2-2선에 따른 단면도,
도 3은 도 1의 3-3선에 따른 확대 단면도,
도 4는 도 3의 4-4선에 따른 단면도,
도 5는 도 3의 5-5선에 따른 확대 단면도,
도 6은 푸쉬 플러그의 사시도,
도 7은 이동 억제 부재의 사시도,
도 8은 덜거덕거림 흡수수단의 장착시의 상태를 나타낸 작용도,
도 9는 크랭크샤프트를 크랭크케이스에 장착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
도 10은 종래 덜거덕거림 흡수수단의 장착시의 상태를 도시하는 작용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6 : 크랭크샤프트 10 : 크랭크케이스(좌측 크랭크케이스 반체)
18 : 베어링구멍 23 : 외부 레이스
30 : 푸쉬 플러그 31 : 스프링부재(코일스프링)
32 : 스프링 세트 플레이트
34 : 보스부 36 : 위치결정부재
A : 덜거덕거림 흡수수단 BB : 롤링 베어링(볼 베어링)
S : 이동 억제 수단

Claims (20)

  1. 실린더 블록과 이 실린더 블록에 일체로 연결된 크랭크케이스를 구비하는 내연기관에서의 크랭크샤프트의 베어링 구조에 있어서, 상호 체결방식으로 커넥팅로드에 의해 실린더 블록의 실린더에 미끄럼가능하게 고정된 피스톤으로 연결된 크랭크샤프트가 롤링 베어링에 의해 크랭크케이스의 베어링 구멍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고, 이 베어링 구조는,
    롤링 베어링과 베어링 구멍 사이에 반경방향의 덜거덕거림(play)을 방지하는 덜거덕거림 흡수수단을 설치하고,
    상기 덜거덕거림 흡수수단은 롤링 베어링의 외부 레이스를 크랭크샤프트의 축선에 수직방향으로 가압하는 푸쉬 플러그(push plug)를 포함하고,
    상기 푸쉬 플러그가 실린더와 크랭크샤프트 사이의 크랭크샤프트에 평행하게 배열되며,
    롤링 베어링의 외부 레이스가 폭발압력을 수용하는 크랭크케이스의 베어링 구멍의 일측을 향해 탄성 가압되는 내연 기관에서의 크랭크샤프트의 베어링 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푸쉬 플러그를 갖는 덜거덕거림 흡수수단은, 상기 실린더의 실린더 중심 축선보다도 크랭크샤프트의 회전방향 전방측으로 편향(offset)하도록 배열되는 내연 기관에서의 크랭크샤프트의 베어링 구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덜거덕거림 흡수수단은,
    크랭크 케이스에 이동가능하게 장착되고 크랭크샤프트의 반경방향으로 롤링 베어링의 외부 레이스를 가압하는 푸쉬 플러그와,
    볼트에 의해 크랭크케이스에 고정된 스프링 세트 플레이트와,
    푸쉬 플러그와 스프링 세트 플레이트 사이에 개재되는 동시에 외부 레이스를 향해 푸쉬 플러그를 탄성가압하는 스프링부재를 구비하며,
    상기 스프링 세트 플레이트는 크랭크케이스를 향해 절곡된 절곡부를 포함하고 이 절곡부는, 상기 스프링부재가 자유 신장상태에 있고 상기 스프링 세트 플레이트가 일시 정지상태에 있을 때, 크랭크케이스에 형성된 위치 결정부에 맞물림되어, 상기 스프링 세트 플레이트를 위치 결정할 수 있는 내연 기관에서의 크랭크샤프트의 베어링 구조.
  4. 제3항에 있어서, 외면에서 외향으로 돌출하는 보스부가 크랭크케이스에 일체로 형성되고, 이 보스부에 상기 푸쉬 플러그가 이동가능하게 장착되고, 오목부가 상기 보스부를 대면하는 상태에서 상기 스프링 세트 플레이트의 중간부에 상기 스프링부재의 자유단을 수용하는 오목부가 형성되며, 상기 스프링 세트 플레이트의 장착 완료 상태에서 상기 보스부와 오목부가 서로 끼워맞춤되는 내연기관에서의 크랭크샤프트의 베어링 구조.
  5. 제3항에 있어서, 크랭크케이스의 외방으로부터 상기 스프링 세트 플레이트를 수용하기 위해서, 크랭크케이스에 형성된 위치결정부는 외면을 향해 개방하는 포크형상으로 형성되는 내연기관에서의 크랭크샤프트의 베어링 구조.
  6. 제4항에 있어서, 크랭크케이스의 외방으로부터 상기 스프링 세트 플레이트를 수용하기 위해서, 크랭크케이스에 형성된 위치결정부는 외면을 향해 개방하는 포크형상으로 형성되는 내연기관에서의 크랭크샤프트의 베어링 구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푸쉬 플러그가 바닥이 있는 중공 원통형상으로 형성되며, 바닥측 단벽의 코너부에 형성된 경사면을 갖는 내연기관에서의 크랭크샤프트의 베어링 구조.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푸쉬 플러그가 저어널 벽의 롤링 베어링에 관해서 경사한 상부 위치에 놓여진 보스부에 형성된 원통형 구멍 내측으로 미끄럼가능하게 고정되는 내연기관에서의 크랭크샤프트의 베어링 구조.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푸쉬 플러그의 코너부에 형성된 경사면이 롤링 베어링의 외부 레이스를 가압하는 내연기관에서의 크랭크샤프트의 베어링 구조.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푸쉬 플러그는 축방향과 반경방향으로 모두 롤링 베어링에 힘을 인가하는 내연기관에서의 크랭크샤프트의 베어링 구조.
  11. 크랭크샤프트가 롤링 베어링에 의해 크랭크케이스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된 내연기관에서의 크랭크샤프트의 베어링 구조에 있어서, 이 베어링 구조는,
    롤러 베어링을 유지하는 크랭크케이스의 베어링 구멍과,
    롤링 베어링의 외부 레이스와 크랭크케이스 사이에 개재된 덜거덕거림 흡수수단을 구비하며, 롤링 베어링의 외부 레이스와 크랭크 케이스의 베어링 구멍 사이에 발생되는 반경방향의 덜거덕거림이 상기 덜거덕거림 흡수수단으로 흡수되고,
    상기 덜거덕거림 흡수수단은 크랭크케이스에 이동가능하게 장착된 푸쉬 플러그를 포함하고 크랭크샤프트의 반경방향으로 롤링 베어링의 외부 레이스를 가압하고,
    상기 푸쉬 플러그는 실린더와 크랭크샤프트 사이의 크랭크샤프트에 평행하게 배열되며,
    롤링 베어링의 외부 레이스가 폭발압력을 수용하는 크랭크케이스의 베어링 구멍의 일측을 향해 탄성가압되는 내연기관에서의 크랭크샤프트의 베어링 구조.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푸쉬 플러그를 갖는 덜거덕거림 흡수수단은, 상기 실린더의 실린더 중심 축선보다도 크랭크샤프트의 회전방향 전방측으로 편향(offset)하도록 배열되는 내연 기관에서의 크랭크샤프트의 베어링 구조.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덜거덕거림 흡수수단은,
    크랭크 케이스에 이동가능하게 장착되고 크랭크샤프트의 반경방향으로 롤링 베어링의 외부 레이스를 가압하는 푸쉬 플러그와,
    볼트에 의해 크랭크케이스에 고정된 스프링 세트 플레이트와,
    푸쉬 플러그와 스프링 세트 플레이트 사이에 개재되는 동시에 외부 레이스를 향해 푸쉬 플러그를 탄성가압하는 스프링부재를 구비하며,
    상기 스프링 세트 플레이트는 크랭크케이스를 향해 절곡된 절곡부를 포함하고 이 절곡부는, 상기 스프링부재가 자유 신장상태에 있고 상기 스프링 세트 플레이트가 일시 정지상태에 있을 때, 크랭크케이스에 형성된 위치 결정부에 맞물림되어, 상기 스프링 세트 플레이트를 위치 결정할 수 있는 내연 기관에서의 크랭크샤프트의 베어링 구조.
  14. 제13항에 있어서, 외면에서 외향으로 돌출하는 보스부가 크랭크케이스에 일체로 형성되고, 이 보스부에 상기 푸쉬 플러그가 이동가능하게 장착되고, 오목부가 상기 보스부를 대면하는 상태에서 상기 스프링 세트 플레이트의 중간부에 상기 스프링부재의 자유단을 수용하는 오목부가 형성되며, 상기 스프링 세트 플레이트의 장착 완료 상태에서 상기 보스부와 오목부가 서로 끼워맞춤되는 내연기관에서의 크랭크샤프트의 베어링 구조.
  15. 제13항에 있어서, 크랭크케이스의 외방으로부터 상기 스프링 세트 플레이트를 수용하기 위해서, 크랭크케이스에 형성된 위치결정부는 외면을 향해 개방하는 포크형상으로 형성되는 내연기관에서의 크랭크샤프트의 베어링 구조.
  16. 제14항에 있어서, 크랭크케이스의 외방으로부터 상기 스프링 세트 플레이트를 수용하기 위해서, 크랭크케이스에 형성된 위치결정부는 외면을 향해 개방하는 포크형상으로 형성되는 내연기관에서의 크랭크샤프트의 베어링 구조.
  17.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푸쉬 플러그가 바닥이 있는 중공 원통형상으로 형성되며, 바닥측 단벽의 코너부에 형성된 경사면을 갖는 내연기관에서의 크랭크샤프트의 베어링 구조.
  18.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푸쉬 플러그가 저어널 벽의 롤링 베어링에 관해서 경사한 상부 위치에 놓여진 보스부에 형성된 원통형 구멍 내측으로 미끄럼가능하게 고정되는 내연기관에서의 크랭크샤프트의 베어링 구조.
  19.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푸쉬 플러그의 코너부에 형성된 경사면이 롤링 베어링의 외부 레이스를 가압하는 내연기관에서의 크랭크샤프트의 베어링 구조.
  20.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푸쉬 플러그는 축방향과 반경방향으로 모두 롤링 베어링에 힘을 인가하는 내연기관에서의 크랭크샤프트의 베어링 구조.
KR1020040076446A 2003-09-30 2004-09-23 내연 기관에서의 크랭크샤프트의 베어링 구조 KR10064941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3339416A JP3993547B2 (ja) 2003-09-30 2003-09-30 内燃機関におけるクランクシャフトの軸受構造
JPJP-P-2003-00339416 2003-09-30
JPJP-P-2003-00339418 2003-09-30
JP2003339418A JP4145763B2 (ja) 2003-09-30 2003-09-30 内燃機関におけるクランクシャフトの軸受構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31925A true KR20050031925A (ko) 2005-04-06
KR100649419B1 KR100649419B1 (ko) 2006-11-28

Family

ID=344253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76446A KR100649419B1 (ko) 2003-09-30 2004-09-23 내연 기관에서의 크랭크샤프트의 베어링 구조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7051696B2 (ko)
KR (1) KR100649419B1 (ko)
CN (1) CN100335802C (ko)
BR (1) BRPI0404268B1 (ko)
MX (1) MXPA04009377A (ko)
TW (1) TWI275701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116959B2 (ja) * 2003-09-30 2008-07-09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内燃機関におけるクランクシャフトの軸受構造
PL1775484T5 (pl) * 2005-10-13 2016-06-30 Schaeffler Technologies Ag Ułożyskowanie promieniowe
JP4736778B2 (ja) * 2005-12-16 2011-07-27 日産自動車株式会社 内燃機関及びそのクランク軸受構造
JP5074369B2 (ja) * 2008-09-25 2012-11-14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内燃機関のカムチェーンテンショナピボット取付構造
US7984704B1 (en) * 2010-04-21 2011-07-26 Tier David H Crankcase sidewall for supporting a crankshaft
US9664138B2 (en) 2010-12-29 2017-05-30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Cylinder block
DE102012005932B4 (de) * 2012-03-26 2018-07-12 Thyssenkrupp Presta Aktiengesellschaft Lageranordnung
JP6175557B2 (ja) * 2014-03-28 2017-08-02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変速機
TWI573931B (zh) * 2014-08-08 2017-03-11 Kwang Yang Motor Co Auxiliary mechanism for engine crankshaft
CN105332817B (zh) * 2014-08-14 2019-04-23 光阳工业股份有限公司 用于引擎曲轴的辅助机构
CN105626302B (zh) * 2014-11-07 2018-04-27 光阳工业股份有限公司 引擎曲轴的间隙消除机构
JP6497591B2 (ja) * 2015-12-16 2019-04-10 Smc株式会社 位置検出装置
WO2018015899A1 (en) * 2016-07-22 2018-01-25 Tvs Motor Company Limited System to arrest bearing assembly position at high engine temperatures
DE102016122845A1 (de) * 2016-11-28 2018-05-30 Tq-Systems Gmbh Harmonisches Pinring-Getriebe, Drehmomentmessvorrichtung und Freilaufanordnung
CN214787687U (zh) * 2020-11-20 2021-11-19 浙江春风动力股份有限公司 一种发动机换挡装置及采用该换挡装置的摩托车发动机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595101A (en) * 1969-07-11 1971-07-27 Gaso Pump And Burner Mfg Co Reciprocating pump having improved crankshaft bearing arrangement
AT392132B (de) * 1987-11-03 1991-01-25 Steyr Daimler Puch Ag Verbindung der kurbelwelle einer schalldicht gekapselten brennkraftmaschine mit der koaxialen antriebswelle der ausserhalb der kapsel angeordneten hilfseinrichtungen
DE4330565C1 (de) * 1993-09-09 1994-08-18 Porsche Ag Kurbelwellenlager
JP3943660B2 (ja) * 1997-06-25 2007-07-11 三菱重工業株式会社 空冷4サイクル汎用エンジン
JP4245224B2 (ja) * 1999-04-23 2009-03-25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動弁駆動装置
JP2000345854A (ja) * 1999-06-04 2000-12-12 Honda Motor Co Ltd クランクシャフトの支持構造
JP3831176B2 (ja) * 2000-05-10 2006-10-11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内燃機関のクランク軸保持構造
JP3531741B2 (ja) 2001-09-12 2004-05-31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カムチェーンの脱落防止構造
JP3999617B2 (ja) * 2002-09-27 2007-10-31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クランクシャフトの支持構造
DE10255913B4 (de) * 2002-11-29 2005-07-28 Timken Gmbh Vorrichtung zum Dämpfen von Drehschwingunge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MXPA04009377A (es) 2005-04-04
US7051696B2 (en) 2006-05-30
TWI275701B (en) 2007-03-11
US20050078895A1 (en) 2005-04-14
KR100649419B1 (ko) 2006-11-28
CN1603644A (zh) 2005-04-06
CN100335802C (zh) 2007-09-05
TW200519288A (en) 2005-06-16
BRPI0404268A (pt) 2005-05-24
BRPI0404268B1 (pt) 2016-03-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49419B1 (ko) 내연 기관에서의 크랭크샤프트의 베어링 구조
KR100649420B1 (ko) 내연 기관에서의 크랭크 샤프트의 베어링 구조
US7143734B1 (en) Compensator assembly for a motorcycle engine
JP2001520859A (ja) 電動機
JP3993547B2 (ja) 内燃機関におけるクランクシャフトの軸受構造
KR20040028512A (ko) 내연기관의 캠 체인 탈락 방지 구조
JP4145763B2 (ja) 内燃機関におけるクランクシャフトの軸受構造
JP2010007484A (ja) バランスシャフトを備えた内燃機関
KR100847948B1 (ko) 캠 체인 탈락방지 플레이트
JP2005098399A (ja) ビスカスダンパ
CA2114245C (en) Starter input shaft
KR100443190B1 (ko) 엔진의 크랭크 샤프트 지지 구조
JP4082109B2 (ja) 内燃機関の組立式カムシャフト
JP4480975B2 (ja) ギアの組付け構造
JP3985485B2 (ja) シリンダブロックのバランサ取付構造
GB2544738A (en) Oil sump assembly for an engine
JP4915402B2 (ja) 内燃機関始動装置の組付方法
JP4213377B2 (ja) 自動テンショナ
KR100401878B1 (ko) 차량용 타이밍체인의 소음저감구조
KR20050044021A (ko) 엔진용 아이들기어 결합 구조
JPH0953431A (ja) エンジン補機の駆動装置
JP2015007405A (ja) エンジンおよび車両
JPH08121540A (ja) エンジンのバランサドライブギヤ取付構造
KR20000007720U (ko) 분사시기 진동방지장치를 갖춘 디젤엔진 자동타이머의 타이머스프링부
JPH0814256B2 (ja) 内燃機関の防振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1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1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22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