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27938A - 렌즈 경통 및 광학 기기 - Google Patents

렌즈 경통 및 광학 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27938A
KR20050027938A KR1020040073603A KR20040073603A KR20050027938A KR 20050027938 A KR20050027938 A KR 20050027938A KR 1020040073603 A KR1020040073603 A KR 1020040073603A KR 20040073603 A KR20040073603 A KR 20040073603A KR 20050027938 A KR20050027938 A KR 2005002793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ns
frame
lens frame
group
optical axi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736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94043B1 (ko
Inventor
고야마다까시
Original Assignee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filed Critical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500279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2793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940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94043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7/0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 G02B7/02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 G02B7/023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permitting adjustment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3/00Optical objectives specially designed for the purposes specified below
    • G02B13/001Miniaturised objectives for electronic devices, e.g. portable telephones, webcams, PDAs, small digital cameras
    • G02B13/0015Miniaturised objectives for electronic devices, e.g. portable telephones, webcams, PDAs, small digital cameras characterised by the lens design
    • G02B13/002Miniaturised objectives for electronic devices, e.g. portable telephones, webcams, PDAs, small digital cameras characterised by the lens design having at least one aspherical surface
    • G02B13/0035Miniaturised objectives for electronic devices, e.g. portable telephones, webcams, PDAs, small digital cameras characterised by the lens design having at least one aspherical surface having three lens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7/0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 G02B7/02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 G02B7/04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with mechanism for focusing or varying magnification
    • G02B7/1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with mechanism for focusing or varying magnification by relative axial movement of several lenses, e.g. of varifocal objective le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2Bodies
    • G03B17/12Bodies with means for supporting objectives, supplementary lenses, filters, masks, or turret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3/00Focusing arrangements of general interest for cameras, projectors or printers
    • G03B3/10Power-operated focusing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5/00Adjustment of optical system relative to image or object surface other than for focusing
    • G03B5/04Vertical adjustment of lens; Rising front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Lens Barrel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과제는 렌즈의 광학 조정을 용이하면서 또한 저비용으로 행할 수 있는 렌즈 경통 및 그 렌즈 경통을 구비한 광학 기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렌즈 경통에 있어서는, 1군 보유 지지 프레임(3)의 압박 아암(35) 및 접촉부(52)로 이루어지는 협지부에 의해 1군 렌즈 프레임(2)의 돌조(22)를 탄성적으로 협지하는 구성을 갖는다. 이로 인해, 이 접촉력에 의해 1군 렌즈 프레임(2)이 1군 보유 지지 프레임(3)에 대해 덜걱거리는 일도 없어, 1군 렌즈 프레임(2)을 회전시키는 간이한 조작에 의해 그 광축 방향의 위치를 3단계로 조정할 수 있다. 이 접촉력은 1군 렌즈 프레임(2)과 1군 보유 지지 프레임(3)의 끼워 맞춤부의 형상에 의해 실현되므로, 1군 렌즈 프레임(2)을 고정하기 위한 부품을 별도로 준비할 필요도 없어, 렌즈 경통의 제1 렌즈(1)의 광학 조정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는 동시에, 공간 절약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별도 부품이 필요하지 않으므로 렌즈 경통을 조립한 광학 기기를 저비용으로 제조할 수 있다.

Description

렌즈 경통 및 광학 기기{LENS BARREL AND OPTICAL APPARATUS}
본 발명은 광축 방향의 렌즈의 진퇴 기구를 갖는 렌즈 경통 및 그 렌즈 경통을 구비한 광학 기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 카메라 등의 광학 기기의 렌즈 경통에 있어서의 줌이나 포커스 등을 위해 복수의 렌즈의 간격을 조정하는 기구로서는, 렌즈 프레임에 스페이서를 끼워 미세 조정하는 것이나, 헬리코이드 나사에 의해 렌즈 프레임을 광축 방향으로 진퇴시키는 것이 일반적이었다.
그러나, 전자의 기구에서는 조정용 스페이서를 최적의 것으로 교체 조립하기 위한 렌즈 프레임의 탈착에 많은 공정수가 필요하다. 또한, 후자의 기구에서는 헬리코이드 나사의 덜걱거림에 의해 광학 기기의 여러 기능에 악영향을 발생시킬 우려가 있는 등의 문제가 있었다.
이러한 가운데, 예를 들어 렌즈를 지지하는 보유 지지 프레임의 기준면을 계단형으로 형성하고, 렌즈 프레임을 자축 주위로 회전시킴으로써 사용하는 기준면을 바꾸어 렌즈의 광축 방향의 위치를 조정하는 것이 제안되어 있다(예를 들어 특허 문헌 1).
이 기술에서는 렌즈 프레임의 후방부에 설치된 돌기를 보유 지지 프레임 중 어느 한 계단면에 부딪치게 함으로써 최적의 광학 조정 상태를 실현하고 있고, 그 광학 조정이 행해진 후, 렌즈 프레임을 보유 지지 프레임에 접착 등에 의해 고정하고 있다.
[특허 문헌 1]
일본 특허 공개 제2002-350702호 공보
그러나, 상기 특허 문헌에 기재된 기술은 광학 조정이 한창일 때에 렌즈를 기준면에 보유 지지할 수 없으므로, 조정 시에 렌즈가 부유해 버리는 문제가 있었다. 이 경우, 렌즈 프레임을 기준면에 압박하는 기구를 금속 등으로 이루어지는 별도 부품으로서 별도 설치하는 것도 생각할 수 있지만, 부품 개수가 증가하여 비용이나 설치 공간 상의 문제가 발생해 버린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점에 비추어 이루어진 것으로, 렌즈의 광학 조정을 용이하면서 또한 저비용으로 행할 수 있는 렌즈 경통 및 그 렌즈 경통을 구비한 광학 기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렌즈를 보유 지지하는 렌즈 프레임과, 상기 렌즈 프레임을 보유 지지하는 보유 지지 프레임과, 상기 렌즈 프레임과 상기 보유 지지 프레임을 그 탄성력에 의해 광축 방향으로 소정의 접촉력을 갖게 한 상태에서 끼워 맞춤시키고, 상기 렌즈 프레임을 그 끼워 맞춤 상태를 유지하면서 자축 주위로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보유 지지 프레임에 있어서의 상기 렌즈 프레임의 광축 방향의 위치를 복수 위치로 조정할 수 있도록 구성된 조정 기구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즈 경통이 제공된다.
이와 같은 렌즈 경통에 따르면, 조정 기구가 보유 지지 프레임과 렌즈 프레임의 끼워 맞춤부 형상에 의해 실현되고 있고, 렌즈 프레임은 자축 주위로 회전하게 되면, 그 끼워 맞춤부의 형상에 따라서 보유 지지 프레임에 대해 광축 방향으로 이동한다. 그 때, 보유 지지 프레임과 렌즈 프레임 사이에는 소정의 접촉력이 작용하고 있으므로, 렌즈 프레임을 안정된 끼워 맞춤 상태에서 그 광축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고, 외력에 의해 지지하는 일 없이 그 광학 방향의 원하는 위치에서 이를 정지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조정 기구를 렌즈 프레임 및 보유 지지 프레임 중 어느 한 쪽에 주위 설치되고, 그 광축 방향의 위치가 주위 방향에 따라서 변화하는 계지부와, 렌즈 프레임 및 보유 지지 프레임의 다른 쪽에 설치되고, 상기 계지부를 광축 방향의 양측으로부터 소정의 탄성력으로 협지하는 협지부에 의해 구성할 수 있다. 이 협지부는 계지부에 대해 광축 방향 중 적어도 한 쪽에 배치된 부분이 가요성을 갖고, 그 탄성 반력에 의해 계지부에 소정의 접촉력을 부여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형태를 도면을 기초로 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실시 형태는 본 발명을 디지털 스틸 카메라의 렌즈 경통에 적용한 것이다. 도1은 본 실시 형태의 렌즈 경통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의 렌즈 경통은 제1 렌즈(1), 1군 렌즈 프레임(2), 1군 보유 지지 프레임(3), 2군 유닛(4), 캠 고리(5), 직진 안내 고리(6), 고정 고리(7), 회전 고리(8), 후방부 경통(9), 제2 렌즈(10), 3군 유닛(11) 등의 복수의 부품을 그 광축 방향(일점 쇄선)으로 부착하여 구성되어 있다. 또한, 이들 각 부품의 용도 및 기능에 대해서는 이미 알려진 바와 같으므로, 그 설명에 대해서는 생략한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서는 편의상 도1에 있어서의 광축 방향을 기준으로 도면 중 하방을 전방, 도면 중 상방을 후방으로 표현하는 경우가 있다.
다음에, 본 발명의 주요부인 렌즈 프레임과 보유 지지 프레임의 조립 부착 구조에 대해, 1군 렌즈 프레임(2)과 1군 보유 지지 프레임(3)의 관계를 예로 설명한다. 도2는 제1 렌즈(1)를 장착한 상태의 1군 렌즈 프레임(2)을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도3은 1군 렌즈 프레임(2)의 주요부의 구조를 경사측방으로부터 본 사시도이다. 또한, 도4는 1군 보유 지지 프레임(3)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2 및 도3에 도시한 바와 같이, 1군 렌즈 프레임(2)은 폴리카보네이트 유리를 30 % 함유하는 수지재를 사출 성형(일체 성형)하여 구성되고, 내주에 제1 렌즈(1)를 끼워 맞춤 장착하여 보유 지지하는 원통형의 본체(21)를 갖고, 그 외주면에는 일정한 높이로 주위 방향으로 연장되는 3개의 띠형의 돌조(22)(계지부)가 등간격으로 주위 설치되어 있다. 인접하는 돌조(22) 사이에 형성되는 슬릿부(23)는 1군 렌즈 프레임(2)을 1군 보유 지지 프레임(3)에 조립 부착할 때에, 후술하는 1군 보유 지지 프레임(3)의 협지부의 통과 경로가 된다.
이 돌조(22)는 도3에 명료하게 도시된 바와 같이 그 광축 방향의 위치가 3단계로 변화하는 계단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즉, 돌조(22)는 1군 보유 지지 프레임(3)의 후술하는 협지부에 최초로 접촉하는 도입부(40), 그 후 1군 렌즈 프레임(2)을 자축 주위로 회전시킴으로써 그 협지부에 순차 접촉하는 제1 접촉부(41), 제2 접촉부(42), 제3 접촉부(43)를 갖는다. 도입부(40) 및 각 접촉부는 광축 방향에 일정한 폭을 갖는 직사각형을 이루고, 그 전후에는 광축에 수직인 접촉면을 갖는다. 각 접촉부의 전방측 접촉면에는 후술하는 1군 보유 지지 프레임(3)의 협지부를 계지시키는 계지 홈(44)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광축 방향 후방으로부터 전방에 걸쳐서 도입부(40), 제1 접촉부(41), 제2 접촉부(42), 제3 접촉부(43)가 이 순서로 위치하도록 배치되고, 인접하는 도입부(40) 및 각 접촉부 사이가 광축에 대해 경사면을 이루는 가교부(45)에 의해 접속되어 있다.
또한, 본체(21)의 전방면측에는 내주측에 개방된 홈형의 접착 저장부(25)가 주위 방향에 등간격(120도 간격)으로 설치되어 있고, 제1 렌즈(1)를 조립 부착한 후에 접착제를 부여함으로써, 제1 렌즈(1)를 1군 렌즈 프레임(2)에 접착 고정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도4에 도시한 바와 같이, 1군 보유 지지 프레임(3)은 폴리카보네이트 유리를 30 % 함유하는 수지재를 사출 성형(일체 성형)하여 구성되고, 원통형의 본체(31)를 갖고 그 전단부 주연으로부터 내경 방향으로 소정량 연장 돌출시켜 원환 형상으로 형성된 전방 벽부(32)를 갖는다. 이 전방 벽부(32)의 내측 선단부 모서리에 의해 1군 렌즈 프레임(2)의 돌조(22)를 포함하는 최외경과 대략 동일 직경의 원형 삽입 통과 구멍(33)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전방 벽부(32)에는 120도 간격으로 내부 방향으로 개방된 한 쌍의 슬릿(34)이 형성되고, 그 한 쌍의 슬릿(34) 사이에는 광축에 수직인 내경 방향으로 연장 돌출되는 압박 아암(35)이 설치되어 있다. 이 압박 아암(35)은 그 선단부가 원형 삽입 통과 구멍(33) 내로 소정량 돌출되고, 전후 방향의 가요성을 갖는다.
또한, 전방 벽부(32)의 내주연으로부터는 그 압박 아암(35)에 대응하는 위치를 제외하고 일단 후방으로 연장 돌출된 후, 그 후단부에서 내경 방향으로 연장 돌출되어 구성된 지지부(51)가 형성되어 있다. 각 지지부(51)의 상기 슬릿(34)의 근방에는 전방으로 돌출된 접촉부(52)가 설치되어 있고, 그 접촉부(52)의 전방면이 광축에 수직인 기준면을 형성한다. 이 접촉부(52)와 압박 아암(35)에 의해 1군 렌즈 프레임(2)의 각 접촉부에 접촉하면서 이를 협지하는 협지부가 구성된다. 또한, 전방 벽부(32)의 접촉부(52)에 대응하는 위치에는 그 전방면에 개방된 홈형의 접착 저장부(53)가 설치되어 있고, 1군 렌즈 프레임(2)을 조립 부착한 후에 접착제를 부여함으로써 1군 렌즈 프레임(2)을 접착 고정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다음에, 본 실시 형태의 렌즈 경통의 조립 부착 방법 및 그 렌즈의 조정 방법에 대해 도1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렌즈 경통의 조립 부착에 있어서는, 우선 1군 렌즈 프레임(2)의 후방부 고정부에 제2 렌즈(10)를 접착 고정하고, 계속해서 제1 렌즈(1)를 제2 렌즈(10)의 반사 코어를 기준으로 센터링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제1 렌즈(1)의 외경이 1군 렌즈 프레임(2)의 내경보다도 0.4 ㎜정도 작게 구성되고, 1군 렌즈 프레임(2) 내에서 ±0.2 ㎜ 정도의 시프트 센터링을 할 수 있게 되어 있다. 그리고, 센터링이 완료되면, 1군 렌즈 프레임(2)의 접착 저장부(25)에 접착제를 도포하여 제1 렌즈(1)를 고정한다.
계속해서, 상기 1군 보유 지지 프레임(3), 2군 유닛(4), 캠 고리(5), 직진 안내 고리(6), 고정 고리(7), 회전 고리(8), 후방부 경통(9) 및 3군 유닛(11)의 부품을 조립하여 1군 렌즈 프레임(2)에 수용되는 유닛 이외의 경통 부분을 완성시키고, 그 후 1군 보유 지지 프레임(3)에 대해 1군 렌즈 프레임(2)을 조립 부착하여 고정한다.
다음에, 1군 렌즈 프레임(2)의 1군 보유 지지 프레임(3)에의 고정 구조 및 고정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도5는 1군 렌즈 프레임(2)과 1군 보유 지지 프레임(3)을 조립 부착한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도6은 렌즈 위치의 조정 기구의 구성 및 조정 방법의 개략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또한, 도6에 있어서는, 도면 중 상측이 전방, 하측이 후방을 각각 나타내고 있다.
1군 렌즈 프레임(2)을 1군 보유 지지 프레임(3)에 조립 부착할 때에는, 우선 1군 렌즈 프레임(2)을 그 슬릿부(23)의 위치를 1군 보유 지지 프레임(3)의 압박 아암(35)의 위치에 맞추도록 하여 1군 보유 지지 프레임(3)측에 압입한다. 그리고, 1군 렌즈 프레임(2)의 돌조(22)의 후방측 접촉면이 1군 보유 지지 프레임(3)의 접촉부(52)의 기준면에 접촉하면, 1군 렌즈 프레임(2)을 광축을 중심으로 하여 도5에 있어서의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이 때, 도6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우선 1군 렌즈 프레임(2)의 돌조(22)의 도입부(40)가 압박 아암(35)에 도달하여 다시 1군 렌즈 프레임(2)을 회전시키면, 도6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압박 아암(35)이 가교부(45)를 거쳐서 제1 접촉부(41)를 타고 올라, 돌조(22)가 압박 아암(35)과 접촉부(52)에 의해 구성되는 협지부에 협지된다. 이 때, 1군 렌즈 프레임(2)은 1군 보유 지지 프레임(3)에 대해 광축 방향 후방으로 이동한다.
그리고, 도6의 (b)의 상태로부터 다시 1군 렌즈 프레임(2)을 회전시키면 도6의 (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압박 아암(35)이 가교부(45)를 거쳐서 제2 접촉부(42)를 타고 오르고, 다시 1군 렌즈 프레임(2)을 회전시키면 도6의 (d)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압박 아암(35)이 가교부(45)를 거쳐서 제3 접촉부(43)를 타고 오른다. 그 동안, 1군 렌즈 프레임(2)은 1군 보유 지지 프레임(3)에 대해 광축 방향 후방으로 순차 이동한다.
이상의 동작을 반대로 행함으로써, 1군 렌즈 프레임(2)을 1군 보유 지지 프레임(3)에 대해 광축 방향 전방으로 순차 이동시킬 수도 있다. 이와 같이 하여, 1군 보유 지지 프레임(3)에 대한 1군 렌즈 프레임(2)의 위치를 원하는 위치로 조정할 수 있고, 그 결과, 렌즈 경통 내에 있어서의 제1 렌즈(1)의 위치를 조정할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도6의 (e)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압박 아암(35)과 접촉부(52)에 의한 협지부가 돌조(22)의 중앙 위치에 있을 때[즉, 제1 접촉부(41)와 제2 접촉부(42)를 걸친 상태가 될 때]를 설계 상의 정규의 조정 위치(O)로 설정하고 있다. 그리고, 조립 부착 오차 등에 의해 1군 렌즈 프레임(2)의 위치가 어긋났을 때에는, 이를 회전시킴으로써 광축 방향 전방(+) 또는 광축 방향 후방(-)으로 이동시킬 수 있게 되어 있다.
또한, 돌조(22)는 광축 방향의 폭이 항상 일정해지도록 구성되고, 도6의 (e)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접촉부(41)의 전방면과 도입부(40)의 후방면과의 간격, 제2 접촉부(42)의 전방면과 제1 접촉부(41)의 후방면과의 간격, 제3 접촉부(43)의 전방면과 제2 접촉부(42)의 후방면과의 간격이 각각 일정 간격(h)으로 지지되어 있다. 한편, 압박 아암(35)과 접촉부(52)의 간격은 외력이 가해지지 않는 상황에 있어서 간격(h)보다 점점 작아지고 있다. 이로 인해, 압박 아암(35)과 접촉부(52) 사이에 돌조(22)가 개재 장착되어 1군 렌즈 프레임(2)이 광축 방향으로 이동하는 동안은 압박 아암(35)이 광축 방향으로 소정량 탄성 변형하고, 그 반력(접촉력)에 의해 돌조(22)가 덜걱거리는 일 없이 확실히 보유 지지된다. 또한, 간격(h)이 항상 일정해지도록 구성되어 있으므로, 압박 아암(35)에 의한 1군 렌즈 프레임(2)에의 가압력이 크게 변화하는 일이 없다. 이로 인해, 1군 렌즈 프레임(2)의 위치 조정량이 커도 압박 아암(35)의 휨이 조정 정밀도에 영향을 주는 일도 없다.
그리고, 도5에 도시한 바와 같이, 1군 렌즈 프레임(2)을 1군 보유 지지 프레임(3)에 조립 부착한 상태에서 제1 렌즈(1)와 제2 렌즈(10)의 간격이 설계치와 같은지 여부를 확인하는 플랜지백의 검사를 행한다. 이 때 검사에 합격하면, 접착 저장부(53)에 접착제를 충전함으로써, 1군 렌즈 프레임(2)과 1군 보유 지지 프레임(3)을 접착 고정한다. 불합격이면, 상술한 바와 같이 1군 렌즈 프레임(2)의 1군 보유 지지 프레임(3)에 대한 광학 방향의 위치 조정을 행한다.
이상에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의 렌즈 경통에 따르면, 압박 아암(35) 및 접촉부(52)로 이루어지는 협지부와 돌조(22) 사이의 접촉력에 의해 1군 렌즈 프레임(2)이 1군 보유 지지 프레임(3)에 대해 덜걱거리는 일도 없고, 1군 렌즈 프레임(2)을 회전시키는 간이한 조작에 의해 그 광축 방향의 위치를 3단계로 조정할 수 있다. 이 접촉력은 1군 렌즈 프레임(2)과 1군 보유 지지 프레임(3)의 끼워 맞춤부의 형상에 의해 실현되므로, 1군 렌즈 프레임(2)을 고정하기 위한 부품을 별도로 준비할 필요도 없고, 렌즈 경통의 제1 렌즈(1)의 광학 조정을 쉽게 행할 수 있는 동시에, 공간 절약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별도로 부품이 필요하지 않으므로, 렌즈 경통을 조립한 광학 기기를 저비용으로 제조할 수 있다. 또한, 압박 아암(35)의 휨량이 일정하므로, 1군 렌즈 프레임(2)의 위치 조정시에 그 휨이 지장을 주는 경우도 없다.
이상, 본 발명의 적합한 실시 형태에 대해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그 특정한 실시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정신 범위 내에서의 변화 변형이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예를 들어,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1군 렌즈 프레임(2)의 1군 보유 지지 프레임(3)에 대한 조정 위치를 3단계로 설정한 예를 나타냈지만, 2 단계 또는 4 단계 이상으로 설정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돌조(22)를 광축 방향의 위치가 복수단으로 변화하도록 계단형의 연속 형상으로 구성한 예를 나타냈지만, 압박 아암(35)과 접촉부(52)에 의한 협지 동작에 지장이 없는 범위이면 돌조(22)를 불연속으로 형성할 수도 있다.
또한, 돌조(22)를 계단형이 아닌 연속적인 경사면과 같이 구성하고, 광축 방향의 위치가 원활하게 변화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1군 렌즈 프레임(2)의 광축 방향의 위치를 미세 조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돌조(22)를 1군 렌즈 프레임(2)측에 설치하여 압박 아암(35)과 접촉부(52)에 의한 협지부를 1군 보유 지지 프레임(3)측에 설치한 예를 나타냈지만, 반대로 돌조(22)를 1군 보유 지지 프레임(3)측에 설치하여 압박 아암(35)과 접촉부(52)에 의한 협지부를 1군 렌즈 프레임(2)측에 설치하도록 해도 좋다.
또한,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본 발명의 렌즈 경통을 1군 렌즈 프레임(2)과 1군 보유 지지 프레임(3)의 관계에 적용한 예를 나타냈지만, 다른 렌즈 프레임 및 보유 지지 프레임으로 이루어지는 렌즈군에도 적용할 수 있는 것은 물론이다.
또한, 본 발명의 렌즈 경통은 디지털 스틸 카메라에 한정되지 않고, 그 밖의 카메라 등의 촬영 장치나 확대경 등의 관찰 장치 등에 적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렌즈를 장착한 렌즈 프레임을 보유 지지 프레임에 고정하여 광축 방향의 위치 조정을 하는 광학 기기에 적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렌즈 경통에 따르면, 렌즈 프레임과 보유 지지 프레임 사이의 접촉력에 의해 렌즈 프레임이 보유 지지 프레임에 대해 부유하는 일도 없고, 렌즈 프레임을 회전시키는 간이한 조작에 의해 그 광축 방향의 위치를 복수 위치로 조정할 수 있다. 이 접촉력은 보유 지지 프레임과 렌즈 프레임과의 끼워 맞춤부의 형상에 의해 실현되므로, 렌즈 프레임을 고정하기 위한 부품을 별도로 준비할 필요도 없다. 이로 인해, 렌즈 경통의 렌즈의 광학 조정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는 동시에, 공간 절약화를 도모할 수 있다. 그 결과, 그 렌즈 경통을 조립한 광학 기기를 저비용으로 제공할 수 있다.
도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관한 렌즈 경통을 도시하는 분해 사시도.
도2는 렌즈 경통을 구성하는 렌즈 프레임을 도시하는 사시도.
도3은 렌즈 프레임의 주요부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4는 렌즈 경통을 구성하는 보유 지지 프레임을 도시하는 사시도.
도5는 렌즈 프레임과 보유 지지 프레임을 부착한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6은 렌즈 위치의 조정 기구의 구성 및 조정 방법의 개략을 나타내는 설명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제1 렌즈
3 : 1군 보유 지지 프레임
10 : 제2 렌즈
22 : 돌조
23 : 슬릿부
35 : 압박 아암
40 : 도입부
44 : 계지 홈
45 : 가교부
52 : 접촉부

Claims (7)

  1. 렌즈를 보유 지지하는 렌즈 프레임과,
    상기 렌즈 프레임을 보유 지지하는 보유 지지 프레임과,
    상기 렌즈 프레임과 상기 보유 지지 프레임을 그 탄성력에 의해 광축 방향으로 소정의 접촉력을 갖게 한 상태에서 끼워 맞춤시키고, 상기 렌즈 프레임을 그 끼워 맞춤 상태를 유지하면서 자축 주위로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보유 지지 프레임에 있어서의 상기 렌즈 프레임의 광축 방향의 위치를 복수 위치로 조정할 수 있도록 구성된 조정 기구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즈 경통.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정 기구는,
    상기 렌즈 프레임 및 상기 보유 지지 프레임 중 어느 한 쪽에 주위 설치되어 그 광축 방향의 위치가 주위 방향에 따라서 변화하는 계지부와,
    상기 렌즈 프레임 및 상기 보유 지지 프레임의 다른 쪽에 설치되어 상기 계지부를 광축 방향의 양측으로부터 소정의 탄성력으로 협지하는 협지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즈 경통.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계지부는 광축 방향의 위치가 복수단으로 변화하도록 계단형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즈 경통.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계지부는 상기 렌즈 프레임과 상기 보유 지지 프레임의 접촉면이 경사면으로 이루어지고, 그 광축 방향의 위치가 주위 방향에 따라서 원활하게 변화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즈 경통.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협지부는 상기 렌즈 프레임 또는 상기 보유 지지 프레임에 일체로 성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즈 경통.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조정 기구에 의한 조정 범위에 있어서 상기 협지부에 의해 협지되는 상기 계지부의 간격이 일정해지도록 상기 계지부의 형상이 설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즈 경통.
  7. 청구항 1에 기재된 렌즈 경통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 기기.
KR1020040073603A 2003-09-16 2004-09-15 렌즈 경통 및 광학 기기 KR10109404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3323446A JP4517611B2 (ja) 2003-09-16 2003-09-16 レンズ鏡筒及び光学機器
JPJP-P-2003-00323446 2003-09-1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27938A true KR20050027938A (ko) 2005-03-21
KR101094043B1 KR101094043B1 (ko) 2011-12-19

Family

ID=344545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73603A KR101094043B1 (ko) 2003-09-16 2004-09-15 렌즈 경통 및 광학 기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7127161B2 (ko)
JP (1) JP4517611B2 (ko)
KR (1) KR101094043B1 (ko)
CN (1) CN1322346C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05022594A1 (de) * 2004-05-18 2006-01-19 Citizen Electronics Co., Ltd., Fujiyoshida Bildgebende Vorrichtung
JP2006243385A (ja) * 2005-03-03 2006-09-14 Fujinon Corp カメラ
JP2007121734A (ja) * 2005-10-28 2007-05-17 Sony Corp レンズ鏡筒および撮像装置
JP5035966B2 (ja) * 2007-03-27 2012-09-26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レンズ鏡筒
JP2009175209A (ja) * 2008-01-22 2009-08-06 Tamron Co Ltd レンズユニット、レンズ装置および撮像装置
JP4577584B2 (ja) * 2008-01-23 2010-11-10 ソニー株式会社 レンズ鏡筒及び撮像ユニット
JP2012123320A (ja) * 2010-12-10 2012-06-28 Hoya Corp レンズ調整機構
JP5850409B2 (ja) * 2012-07-25 2016-02-03 株式会社デンソーウェーブ 光学的情報読取装置
JP6148947B2 (ja) * 2013-09-19 2017-06-14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撮像モジュール及びその製造方法
JP6529362B2 (ja) * 2015-06-26 2019-06-12 日本電産コパル株式会社 レンズ鏡筒、撮像ユニット及び撮像装置
JP6704287B2 (ja) * 2016-05-12 2020-06-03 株式会社nittoh レンズ鏡筒
CN110539175A (zh) * 2019-09-17 2019-12-06 格力电器(石家庄)有限公司 一种铜管加工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911372B1 (de) * 1969-03-06 1971-01-21 Balda Werke Photographische Justierbares Objektiv
JPS6365011U (ko) * 1986-10-15 1988-04-28
US4848884A (en) * 1987-02-05 1989-07-18 Ricoh Company, Ltd. Variable focusing lens barrel
US4873542A (en) * 1987-09-04 1989-10-10 Konica Corporation Auto-focus camera
JPH053952Y2 (ko) * 1987-11-13 1993-01-29
JPH0390513U (ko) * 1989-12-28 1991-09-13
JP2565919Y2 (ja) * 1991-01-23 1998-03-25 旭光学工業株式会社 レンズ駆動バネ装置
JPH08194145A (ja) * 1995-01-17 1996-07-30 Asahi Optical Co Ltd レンズ支持装置
CN1069974C (zh) * 1995-02-08 2001-08-22 佳能株式会社 透镜筒
JP3584297B2 (ja) * 1995-12-22 2004-11-04 株式会社ニコン クリック装置
JP3676509B2 (ja) * 1996-08-27 2005-07-27 ペンタックス株式会社 ズームレンズ鏡筒及びそのバックフォーカス調整方法
JP2001215385A (ja) * 2000-02-01 2001-08-10 Asahi Optical Co Ltd 直進レンズのカム駆動機構
JP4731725B2 (ja) * 2001-05-30 2011-07-27 キヤノン株式会社 レンズ鏡筒および光学機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5091620A (ja) 2005-04-07
US7127161B2 (en) 2006-10-24
JP4517611B2 (ja) 2010-08-04
US20050089321A1 (en) 2005-04-28
CN1322346C (zh) 2007-06-20
KR101094043B1 (ko) 2011-12-19
CN1598636A (zh) 2005-03-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289282B2 (en) Lens barrel for holding lens
KR101094043B1 (ko) 렌즈 경통 및 광학 기기
US20050271375A1 (en) Imaging apparatus
JP5031510B2 (ja) レンズユニット、レンズユニットの組立方法、撮像モジュールおよび撮像機器
JPH04166904A (ja) レンズ保持鏡筒
JPH08194145A (ja) レンズ支持装置
US4514039A (en) Lens mounting
JP3841761B2 (ja) 撮影レンズ及び該撮影レンズを用いた光学機器
KR950006462B1 (ko) 렌즈배럴
JP3193405B2 (ja) レンズの光軸方向位置調整装置
US6392826B2 (en) Lens barrel
JP5129700B2 (ja) 撮像装置および光学機器
JPH0743582A (ja) レンズ鏡筒
JPS60256109A (ja) レンズ保持枠
CN110858021B (zh) 透镜单元
JP4471743B2 (ja) レンズユニット、鏡胴ユニットおよびカメラ
CN117250713A (zh) 镜筒
JP2020008707A (ja) レンズ鏡筒
KR20050086842A (ko) 렌즈경통 및 촬상장치
JP2003279823A (ja) チルト調芯機構
JPH08240759A (ja) 光学系鏡筒
JP2024073990A (ja) レンズ鏡筒
JP7129852B2 (ja) レンズユニット
JP3197316B2 (ja) レンズ鏡筒
JP2704349B2 (ja) レンズ保持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