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26473A - 질화갈륨계 화합물 반도체장치 - Google Patents

질화갈륨계 화합물 반도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26473A
KR20050026473A KR1020057000163A KR20057000163A KR20050026473A KR 20050026473 A KR20050026473 A KR 20050026473A KR 1020057000163 A KR1020057000163 A KR 1020057000163A KR 20057000163 A KR20057000163 A KR 20057000163A KR 20050026473 A KR20050026473 A KR 2005002647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light emitting
alingan
less
composition ratio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70001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02271B1 (ko
Inventor
시로 사카이
스가하라토모야
Original Assignee
나이트라이드 세마이컨덕터스 코포레이션,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나이트라이드 세마이컨덕터스 코포레이션, 리미티드 filed Critical 나이트라이드 세마이컨덕터스 코포레이션,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0500264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2647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022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02271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33/00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specially adapted for light emiss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 H01L33/02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specially adapted for light emiss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semiconductor bodies
    • H01L33/26Materials of the light emitting region
    • H01L33/30Materials of the light emitting region containing only elements of Group III and Group V of the Periodic Table
    • H01L33/32Materials of the light emitting region containing only elements of Group III and Group V of the Periodic Table containing nitroge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82NANOTECHNOLOGY
    • B82YSPECIFIC USES OR APPLICATIONS OF NANOSTRUCTURES; MEASUREMENT OR ANALYSIS OF NANOSTRUCTURES; MANUFACTURE OR TREATMENT OF NANOSTRUCTURES
    • B82Y20/00Nanooptics, e.g. quantum optics or photonic crysta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33/00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specially adapted for light emiss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 H01L33/02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specially adapted for light emiss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semiconductor bodies
    • H01L33/04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specially adapted for light emiss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semiconductor bodies with a quantum effect structure or superlattice, e.g. tunnel junction
    • H01L33/06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specially adapted for light emiss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semiconductor bodies with a quantum effect structure or superlattice, e.g. tunnel junction within the light emitting region, e.g. quantum confinement structure or tunnel barri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Nanotechn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phys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Led Devices (AREA)

Abstract

주로 파장 375㎚ 이하에서 발광하는 LED를 개시한다. LED는 기판(10)상에 GaN층(16), n-클래드층(20), AlInGaN 버퍼층(22), 발광층(24), p-클래드층(26), p전극(30), n전극(32)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발광층(24)은, InGaN 웰층과 AlInGaN 배리어층을 적층한 다층 양자 웰(MQW)구조이다. 양자 웰구조에 의해 InGaN 웰층의 실효적인 밴드 갭을 확대시켜서 발광파장을 단파장화한다. 또, 발광층(24)의 하부층에 AlInGaN 버퍼층(22)을 사용함으로써 전자를 효율적으로 발광층(24)에 주입하여, 발광효율을 증대시킨다.

Description

질화갈륨계 화합물 반도체장치{GALLIUM NITRIDE-BASED COMPOUND SEMICONDUCTOR DEVICE}
본 발명은 질화갈륨(GaN)계 화합물 반도체장치, 특히 약 375㎚ 이하의 파장대에서 주로 발광하는 발광소자의 구조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InGaN을 발광층으로 한 파장 375㎚∼600㎚대의 LED가 개발되어 있다. InxGa1-xN은, In조성x를 변화시킴으로써 발광파장이 변화한다. 즉, In조성x가 증대할수록 발광파장이 장파장쪽으로 이동하고, x=0인 경우(GaN)의 363㎚에서 x=1인 경우(InN)의 600㎚까지 변화한다.
한편, 최근에는 파장 375㎚ 이하의 단파장 또는 자외선(UV) LED의 개발이 성행하고 있다. 이와 같은 단파장 LED는, 가령, 형광체와 조합시킨 백색광원이나 살균작용을 이용한 응용이 가능하게 되는 등, 그 수요는 상당히 크다. 그러나, InGaN을 발광층으로 한 LED에서는, 발광파장이 375㎚ 이하가 되면 In조성x가 매우 작아지고, In조성 변동(fluctuation)이 감소해서 발광효율이 현저히 저하해 버린다. 또, 파장 363㎚ 이하의 발광은, InGaN을 발광층으로 하는 한 원리적으로 불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LED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도 1에 있어서의 발광층의 상세 구성도이다.
도 3은 배리어층 내에 흐르는 TMA의 유량과 출력 파워의 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도이다.
도 4는 버퍼층 내에 흐르는 TMA의 유량과 출력 파워의 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도이다.
본 발명은 주로 파장 375㎚ 이하에서도 발광효율이 우수한 GaN계 화합물 반도체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기판 상에 형성된 GaN계 발광층을 갖는 질화갈륨계 화합물 반도체장치에 있어서, 상기 발광층은 InGaN 웰층과 AlInGaN 배리어층을 적층한 다층 양자 웰(MQW)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lInGaN 배리어층의 밴드 갭은 InGaN 밴드 갭보다 넓고, InGaN 웰층의 실효적 밴드 갭이 확대되어 발광파장이 단파장된다. 또, AlInGaN을 배리어층으로서 사용함으로써, InGaN 웰층과의 격자 부정합이 작아지고, 왜곡을 저감시켜 발광효율을 향상시킨다.
상기 InGaN 웰층의 In조성비는, 가령 5% 이상 15% 이하로 할 수 있다. 상기 InGaN 웰층의 두께는, 가령 1㎚ 이상 2㎚ 이하로 할 수 있다.
또, 상기 AlInGaN 배리어층의 Al조성비는, 가령 14% 이상 40% 이하로 할 수 있다. AlInGaN 배리어층의 In조성비는, 가령 0.1% 이상 5% 이하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추가로, 상기 발광층에 인접한 AlInGaN 배리어층을 가져도 된다. 발광층에 인접해서 AlInGaN 버퍼층을 형성함으로써, 캐리어를 효율적으로 발광층에 주입해서 발광효율을 향상시킨다.
상기 AlInGaN 버퍼층의 Al조성비는, 가령 0.5% 이상 40% 이하로 할 수 있다. AlInGaN 버퍼층의 In 조성비는, 가령 0.1% 이상 5% 이하로 할 수 있다.
이하, 도면에 의거해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반도체장치로서 발광소자, 특히 LED로 예를 들어 설명한다.
도 1에는 본 실시예에 있어서의 LED의 조성을 나타내고 있다. 사파이어 등의 기판(10) 위에 순서대로, SiN 버퍼층(12), 저온(LT) 성장 버퍼층(14), 언도프 GaN층(16)이 형성된다. 이들은, 전위를 저감시키기 위한 층이다. 언도프 GaN층(16) 위에는 동작전압을 낮추기 위한 n-GaN층(18)이 형성된다. n-GaN층(18) 위에, n-클래드층(20)으로서 GaN과 AlGaN을 교대로 적층한 (n-GaN/n-AlGaN)의 SLS(Strained Layer Superlattice: 왜곡 초격자)층이 형성된다. 그리고, n-클래드층(20) 위에, AlInGaN 버퍼층(22) 및 발광층(24)이 형성된다. 발광층(24)은 후술하는 바와 같이, InGaN 웰층과 AlInGaN 배리어층을 적층한 다층 양자 웰(MQW)로 이루어진다. 발광층(24) 위에 p-클래드층(26)으로서 GaN과 AlGaN을 적층한 (p-GaN/p-AlGaN)의 SLS층이 형성된다. 즉, 본 실시예의 LED는, AlInGaN 버퍼층(22)과 MQW 발광층(24)을 n-클래드층(20) 및 p-클래드층(26)에 끼워 넣은 구성이다. p-클래드층(26) 위에는 동작전압을 낮추기 위한 p-GaN층(28)이 형성되고, 추가로, p-GaN층(28) 위에 p전극(30)이 형성된다. 한편, n-GaN층(18)의 일부를 노출시키며, 그 위에는 n전극(32)이 형성된다. 각 층은 MOCVD장치를 사용하며, MOCVD법으로 성장된다.
종래에 있어서는, 발광층(24)으로서 InGaN 등이 사용되고 있으나,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발광층(24)으로서 InGaN 웰층과 AlInGaN 배리어층을 교대로 적층한 다층 양자 웰(MQW)이 사용되고 있고, 추가로 발광층(24)을 n-클래드층(20) 및 p-클래드층(26)에 끼워 넣을 때에, 발광층(24)에 인접시켜서 AlInGaN 버퍼층(22)이 형성되어 있다.
이하, 발광층(24) 및 버퍼층(22)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2에는, 도 1에 있어서의 발광층(24)의 구성이 도시되어 있다. 발광층(24)은, InGaN 웰층(24b)과 AlxInyGa1-x-yN 배리어층(24)을 교대로 적층하여 구성된다. 여기에서, 0<x<1. 0<y<1이다. InGaN 웰층(24b)의 두께는, 가령 1.5㎚이고, AlInGaN 배리어층(24a)의 두께는, 가령 12㎚이다. 반복 층수는, 가령 7쌍(14층)이다. AlInGaN 배리어층(24a)의 밴드 갭은 InGaN 웰층(24b)의 밴드 갭보다도 넓다. p전극(30) 및 n전극(32)에 순방향 바이어스를 인가하면, InGaN 웰층(24b)에서 전자와 정공이 결합해서 발광한다. InGaN 단층에서는 원리적으로 파장 363㎚ 이하의 발광은 불가능하지만, 웰층과 배리어층을 교대로 적층한 MQW로 함으로써, InGaN 웰층(24b)의 실효적 밴드 갭이 확대된다. 실효 밴드 갭의 확대에 의해, 파장 363㎚ 이하에서의 발광이 가능하게 된다. 발광영역인 InGaN 웰층(24b)은 In조성이 비교적 크고(가령, In조성x=10%), In조성 변동도 크기 때문에 발광효율이 높다. 즉, 조성에 공간적인 변동이 있으면, 캐리어가 국부적으로 존재하는 국재화(局在化)가 일어나서, 가령 InGaN 내에 전위가 발생하고 있어도 발광효율은 저하되기 어렵다.
또, AlxInyGa1-x-yN 배리어층(24a)도 In을 포함하기 때문에(y>0), In조성 변동이 생기고, 웰층(24b)과 마찬가지의 이유로 케리어의 국재화가 생겨서, 전위의 존재에도 불구하고 발광효율의 저하가 억제된다. 배리어층(24a)으로서 In을 포함하지 않는 AlGaN 배리어층을 사용한 경우와 비교하면, AlInGaN에서는 InGaN 웰층(24b)과의 격자 부정합이 작아져서, 격자 부정합 전위가 생기기 어려워서 결정성이 높다고 하는 장점이 있다. 또, 전위가 발생하지 않는 경우에 있어서도, AlInGaN에서는 웰층(24b)과 배리어층(24a)에서 생기는 왜곡이 작아진다. 이 층들을 c면 성장시키고, 면내에 압축 또는 인장응력이 인가된 경우, 육방정(hexagonal) 질화물 반도체는 압전성에 의해 c축 방향으로 전계(電界)가 발생한다. 이 전계는, 웰층(24b) 내에 주입된 전자 정공쌍을 역방향으로 이동시키고, 그들 파동함수의 공간중첩을 작게 해서 재결합률을 작게 해버린다. 즉, 웰층(24b)에 왜곡이 있으면, 발광효율은 저하된다. 이와 같은 효과(양자 제한 슈타르크 효과(Stark effect))는, 특히 웰층(24b)이 넓은 경우에 현저히 발생하지만, 웰층(24b)이 좁은 경우라도 다소의 영향은 있을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배리어층(24a)으로서 AlInGaN을 사용해서 격자 부정합을 작게 하여, 웰층(24b)의 왜곡을 억제하고 있기 때문에, 양자 제한 슈타르크 효과에 의한 발광효과의 저하도 억제된다.
이와 같이, 발광층(24)에 있어서 InGaN 웰층(24b)을 얇게, AlInGaN 배리어층(24a)의 밴드 갭을 넓게 함으로써, 양자효과에 의해 InGaN 웰층(24b)의 실효적인 밴드 갭을 넓혀서 발광파장 360㎚ 이하를 달성할 수 있다. 이 점에서, 가령 InGan이 아니라, AlInGaN을 발광층으로서 사용하는 파장 380㎚ 이하의 LED와는 본질적으로 다르다.
InGaN을 발광층으로 하는 LED의 경우, InGaN층의 두께가 2㎚ 이하로 되면, 발광효율이 저하되어 버린다. 이것은, 웰층에 갇힌 전자와 정공의 파동함수가 배리어의 내(웰의 바깥)로 스며 나와서, 배리어 내에서의 재결합의 기여가 커져 버리기 때문이다. 본 실시예에서도 양자효과를 발생시키기 위해 InGaN 웰층(24b)은 2㎚ 이하(가령, 1.5㎚)로 얇게 하는 것이 필요하지만, 본 실시예의 발광층(24)은 InGaN 박막을 발광층으로 한 경우에 생기는 발광효과의 저하는 생기지 않는다. 그 이유는 배리어층(24a)으로서 AlInGaN을 사용하고 있기 때문에, 상술한 바와 같이 InGaN 웰층(24b)의 밴드 갭이 실효적으로 확대되어, 파동함수의 배리어층(24a)으로의 스며 나옴이 작아져 있기 때문이다.
또, 배리어층(24a)인 AlInGaN은 Al을 포함하기 때문에, 그 성장온도는 InGaN의 성장온도(650℃∼750℃)보다 높은 온도(가령, 800℃)로 할 필요가 있다. 이와 같이 750℃ 이상의 온도로 성장시킴으로써, 배리어층(24a)의 결정성도 높아진다
한편, 버퍼층(22)은 AlInGaN으로 구성된다. 버퍼층(22)은 Al을 포함하기 때문에, 밴드 갭이 넓어져서, InGaN인 웰층(24b)보다도 넓어진다. 이 층(22)에 의해 웰층(24b)으로의 전자의 주입효율이 향상되고, 반대로 정공이 버퍼층(22)으로 흘러 들어가는 양을 작게 해서, 전자·정공을 효율적으로 웰층(24b) 내에 가둔다. 버퍼층(22)의 Al조성은, 가령 40% 정도로 설정할 수 있다.
이하,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LED의 제조방법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실시예의 LED는 이하의 프로세스를 거쳐서 제조된다. 즉, 상압 MOCVD장치로, 사파이어 c면 기판(10)을 반응관 내의 서셉터(susceptor)에 올려놓고, 1100℃로 수소분위기 중에서 10분간 열처리한다. 그 후, 온도를 500℃까지 낮춘다. 모노 메틸 시레인가스와 암모니아가스를 가스 도입관으로부터 100초간 흘려보내, 기판(10) 위에 불연속적으로(또는 섬 모양으로) SiN 버퍼층(12)을 성장시킨다. 다음에, 같은 온도에서 두께 25㎚의 GaN 버퍼층(LT 버퍼층)(14)을 트리 메틸 갈륨 및 암모니아가스를 가스 도입관으로부터 공급해서 성장시킨다. 그리고, 온도를 1075℃까지 올리고, 다시 트리 메틸 갈륨 및 암모니아가스를 공급해서 두께 2㎛의 언도프 GaN층(16)을 성장시키고, 다음에 모노 메틸 시레인가스를 가한 Si도프 n-GaN층(n전극층)(18)을 1.0㎛ 성장시킨다. n-GaN층(18) 내의 캐리어 밀도는 대략 5×1018cm-3이다.
다음에, 동일 온도에서 Si도프 n-Al0.1Ga0.9N(2㎚)/Si도프 n-GaN(2㎚)를 50쌍 성장시켜서 SLS구조로 하고, n-클래드층(20)을 성장시킨다. Al의 원료로서는 트리 메틸 알루미늄(TMA)이 사용되고 있다. n-클래드층(20)의 평균 전자 밀도는 5×1018cm-3이다. 그 후, 온도를 800℃ 정도까지 낮춰서 언도프 Al0.05In 0.01Ga0.94N 버퍼층(22)을 성장시킨다. 버퍼층(22)의 두께는 36㎚이다. 성장온도가 800℃로 낮기 때문에, 그 저항률은 높아진다. AlInGaN 버퍼층(22)을 성장시킨 후, 같은 800℃로 언도프 In0.1Ga0.9N(1.5㎚)/언도프 Al0.2In0.1Ga0.7N(95㎚)을 7쌍 성장시켜서 MQW 발광층(24)을 성장시킨다. 발광층(24)의 총 두께는 95㎚이다.
그 후, 온도를 975℃까지 올려서 Mg도프 p-Al0.1Ga0.9N(2㎚)/Mg도프 p-GaN(1㎚)를 50주기 성장시켜서 SLS구조의 p-클래드층(26)을 성장시키고, 추가로, 두께 20㎚의 p-GaN층(p전극층)(28)을 성장시킨다. SLS의 p-클래드층(26) 및 p-GaN층(28) 내의 정공 농도는 각각 5×1017cm-3, 3×1018cm-3이다.
표 1에 각 층의 구조, 조성, 막두께, 성장온도를 나타낸다.
표 1
명칭 구조 조성 막두께 성장온도
p전극층 p+-GaN 20㎚ 975℃
p클래드층 p-(GaN 1㎚/AlGaN 2㎚)50 SLS Al:∼10% 150㎚ 975℃
발광층(웰층/배리어층) InGaN 1.5㎚/AlInGaN 12㎚7MQW 웰(In:∼10%)장벽(In:1%, Al:∼20%) 95㎚ 800℃
버퍼층 Si-AlInGaN 36㎚ In:1%, Al:∼5% 36㎚ 800℃
n클래드층 n-(GaN 2㎚/AlGaN 2㎚)50 SLS Al:∼10% 200㎚ 1075℃
n전극층 n-GaN 1㎛ 1075℃
언도프 GaN층 u-GaN 2㎛ 1075℃
저온성장 버퍼층 LT-GaN 25㎚ 500℃
SiN 버퍼층 SiN 500℃
기판 사파이어
또, 상기의 표에 있어서의 각 수치는 예시이며, 다른 조합도 가능하다. 가령, n-클래드층(20)으로서 Si도프 n-Al0.1Ga0.9N(1.6㎚)/Si도프 n-GaN(1.6㎚)를 50쌍 성장시켜서 SLS구조로 하고, 버퍼층(22)으로서 Al0.4In0.01Ga0.59N을 20㎚ 형성하고, 발광층(24)으로서 In0.05Ga0.95N 양자 웰층(1.5㎚)/Al0.4In0.01Ga 0.59N 배리어층(10㎚)을 3쌍 성장시키고, p-클래드층(26)으로서 Mg도프 GaN(0.76㎚)/Al0.13Ga0.87N(1.5㎚)를 50쌍 형성해도 된다. 또, 각 층을 성장시킬 때의 성장온도도 예시이며, 가령 버퍼층(22)이나 발광층(24)을 840℃로 성장시켜도 된다.
이상과 같이 해서 각 층을 순서대로 성장시킨 후, 웨이퍼를 MOCVD 장치로부터 꺼내서, Ni(10㎚), Au(10㎚)를 순서대로 진공증착해서 표면에 형성하고, 5%의 산소를 포함하는 질소가스 분위기 중에서, 520℃로 열처리하여 증착금속막을 p투명전극(30)으로 한다. 그 후, 전면에 포토레지스트를 도포하고, n전극형성을 위한 에칭을 포토레지스트를 마스크로서 사용한다. 에칭에 의해 노출된 n-GaN층(18) 위에 Ti(5㎚), Al(5㎚)를 진공증착하고, 질소가스 중에서, 450℃로 3분간 열처리해서 n전극(32)을 형성한다. p전극(30) 및 n전극(32)의 일부에 와이어 본딩용의 두께 500㎚의 금패드를 형성하고, 기판(10)의 표면을 100㎛까지 연마해서 스크라이버(scriber)로 칩을 잘라내고, 마운트해서 LED 디바이스가 얻어진다.
이상과 같이 해서 제작된 LED 디바이스를 적분구(積分球) 속에 넣고, 전류를 주입하여 LED 디바이스로부터 출사(出謝)된 전체 광출력을 측정하였다. 광출력은 주입전류 20㎃일 때 대략 1.6㎽이었다. 발광파장은, 2인치 직경의 웨이퍼면 내에서 다소 편차는 있었지만, 360㎚±5㎚의 범위였다.
다음에, 발광층(24)에 있어서의 AlInGaN 배리어층(24a)의 밴드 갭의 영향을 확인하기 위해, 배리어층(24a)의 성장 내로 흐르는 각종 가스 중에서, TMA(트리 메틸 알루미늄)의 유량만을 변화시켜서 LED 디바이스를 제작하고, 제작된 LED의 발광효율을 조사하였다.
도 3에 그 결과를 나타내었다. 횡축은 배리어층(24a)의 성장 중의 TMA유량(플로 레이트: sccm)으로, 용기로 흘러 들어가는 가스의 유량을 상대값으로 나타낸 것이다. 종축은 발광강도의 상대값으로, 적분구를 사용해서 측정한 값의 대략 1/4이다. TMA 유량을 7sccm에서 10sccm으로 증가시키면, 발광효율은 2.6배가 된다. 이 상태에서 성장시킨 배리어층(24a)의 조성은, In조성비가 약 1%, Al조성비가 약 20%이다. Al조성비는 TMA 유량에 거의 비례하기 때문에, 배리어층(24a)의 Al조성비는 14%(20×7sccm/10sccm)보다 큰 것이 발광효율의 관점에서 바람직하다. 한편, Al조성비가 크면, 전류주입이 행해지기 어려워지고, 동작전압도 높아진다. 따라서, 배리어층(24a)의 Al조성비는 그 하한이 발광효율로부터 규정되고, 상한은 동작전압으로부터 규정되며, 구체적으로는 14% 이상 40% 이하가 바람직하고, 16% 이상 40%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다.
또, 배리어층(24a)의 In조성비에 대해서는, In조성비가 증대함과 동시에 밴드 갭이 좁아지게 되므로, In조성비는 작은 편이 바람직하지만, In조성비가 제로인 경우에는 발광효율이 격감한다. 이것은, In조성 변동이 배리어층(24a) 내에서 생겨서, 발광효율 개선에 기여하고 있기 때문이라고 생각된다. 따라서, 배리어층(24a)의 In조성비는 그 하한이 조성 변동량으로부터 규정되고, 상한이 밴드 갭으로부터 규정되며, 구체적으로는 0.1% 이상 5% 이하가 바람직하고, 0.1% 이상 3%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다. 배리어층(24a)의 조성의 일례로는, Al의 조성비를 40%, In의 조성비를 1%로 한 Al0.4In0.01Ga0.59N이 있다.
한편, 웰층(24b)의 In조성비가 너무 작으면, In조성 변동이 작아져서 발광효율이 저하되고, In조성비가 너무 크면, 발광파장이 장파장쪽으로 이동해버린다. 따라서, 최적의 In조성비는 요구되는 발광파장과 웰층(24b)의 두께에 의존해서 결정된다. 가령, 발광파장이 360㎚인 경우에는, 5% 이상 15% 이하가 바람직하고, 5% 이상 13%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다. 웰층(24b)의 조성의 일례로는, In의 조성비를 5%로 한 In0.05Ga0.95N이 있다. 두께에 관해서는, 양자효과를 출현시킬 수 있는 1㎚ 이상 2㎚ 이하가 바람직하고, 1.3㎚ 이상 1.8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다. 웰층(24b)의 두께를 3㎚ 이상으로 하면, 발광파장은 400㎚가 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웰층(24b) 및 배리어층(24a)의 성장온도는, 상술한 바와 같이 750℃ 이상이 바람직하고, 770℃ 이상(가령, 800℃)이 보다 바람직하다.
다음에, 발광층(24)에 있어서의 배리어층(24a)의 성장 내에 흐르는 TMA의 유량을 10sccm으로 고정하고, AlInGaN 버퍼층(22) 성장 내에 흐르는 TMA를 변화시켜서 발광효율의 변화를 측정하였다.
도 4에 그 결과를 나타내었다. 도면에서, 횡축은 TMA 유량(플로 레이트)으로, 상대값이다. 종축은 출력 파워의 상대값이다. TMA 유량을 증대시키면, 버퍼층(22)에 있어서의 Al조성비가 증대된다. TMA 유량을 제로에서 3sccm으로 증대시키면, 발광강도가 2.7배가 된다. 추가로, TMA 유량을 10sccm까지 증가시키면, 발광강도는 반대로 저하된다. TMA가 제로인 경우에 발광강도가 약한 것은, 버퍼층(22)의 밴드 갭이 좁기 때문(Al조성비가 0이기 때문)에 전자가 버퍼층(22)으로부터 발광층(24)으로 유효하게 주입되지 않기 때문에, 또는 정공이 버퍼층(22) 내로 흘러 나가서 정공을 웰층(24b) 내에 가두는 것이 불충분하기 때문이라고 생각된다. 한편, Al 조성비가 너무 커서, 발광효율이 저하되는 것은, 결정성이 저하되기 때문에, 그리고 그 층의 밴드 갭이 너무 넓어져서, n-클래드층(20)으로부터 전자가 주입되기 어려워지기 때문이라고 생각된다.
따라서, AlInGaN 버퍼층(22)의 Al조성비는 0.5% 이상 400% 이하가 바람직하고, 1% 이상 40%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다. AlInGaN 버퍼층(22)의 In조성비에 대해서는, In조성비가 제로인 경우에 발광효율이 격감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것은, In조성의 변동이 버퍼층(22)내에서 일어나서, 발광효율의 개선에 기여하고 있기 때문이라고 생각된다. 따라서, AlInGaN 버퍼층(22)의 In조성비는 0.1% 이상 5% 이하가 바람직하고, 0.1% 이상 3%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다. AlInGaN 버퍼층(22)의 조성의 일례로는, Al조성비를 40%, In조성비를 1%로 한 Al0.4In0.01Ga0.59N이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발광층(24)으로서 소정의 조성범위의 InGaN 웰층과 AlInGaN 배리어층을 교대로 적층해서 이루어지는 다층 양자 웰구조를 사용하고 InGaN의 실효적 밴드 갭을 확대해서 340㎚∼375㎚의 발광을 가능하게 하고, 또, 배리어층으로서 AlInGaN을 사용함으로써 발광효율을 향상시키고, 추가로 발광층에 인접해서 소정의 조성범위의 AlInGaN 버퍼층(22)을 형성함으로써 캐리어를 효율적으로 주입하여 발광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본 실시예에서는 SiN 버퍼층(12)을 형성하고 있지만, 전위를 억제하기 위한 것으로, 필요에 따라서는 SiN 버퍼층(12)을 형성하지 않아도 된다.
또, SiN 버퍼층(12)과 저온(LT) 성장 버퍼층(14)을 저온성장의 GaNP 버퍼층으로 치환하는 것도 가능하다.

Claims (11)

  1. 기판 상에 형성된 GaN계 발광층을 갖는 질화갈륨계 화합물 반도체장치에 있어서,
    상기 발광층은, InGaN 웰층과 AlInGaN 버퍼층을 적층한 다층 양자 웰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질화갈륨계 화합물 반도체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InGaN 웰층의 In조성비는 5% 이상 15%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질화갈륨계 화합물 반도체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InGaN 웰층의 In조성비는 5% 이상 13%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질화갈륨계 화합물 반도체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InGaN 웰층의 두께는 1㎚ 이상 2㎚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질화갈륨계 화합물 반도체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InGaN 웰층의 두께는 1.3㎚ 이상 1.8㎚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질화갈륨계 화합물 반도체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AlInGaN 배리어층의 Al조성비는 14% 이상 40% 이하이고, In조성비는 0.1% 이상 5%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질화갈륨계 화합물 반도체장치.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AlInGaN 배리어층의 Al조성비는 16% 이상 40% 이하이고, In조성비는 0.1% 이상 3%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질화갈륨계 화합물 반도체장치.
  8. 제 1항에 있어서,
    추가로, 상기 발광층에 인접한 AlInGaN 버퍼층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질화갈륨계 화합물 반도체장치.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AlInGaN 버퍼층의 Al조성비는 0.5% 이상 40% 이하이고, In조성비는 0.1% 이상 5%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질화갈륨계 화합물 반도체장치.
  10.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AlInGaN 버퍼층의 Al조성비는 1% 이상 40% 이하이고, In조성비는 0.1% 이상 3%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질화갈륨계 화합물 반도체장치.
  11.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InGaN 웰층 및 AlInGaN 배리어층은, 750℃ 이상에서 형성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질화갈륨계 화합물 반도체장치.
KR1020057000163A 2002-07-16 2003-07-01 질화갈륨계 화합물 반도체장치 KR10100227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2206581 2002-07-16
JPJP-P-2002-00206581 2002-07-1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26473A true KR20050026473A (ko) 2005-03-15
KR101002271B1 KR101002271B1 (ko) 2010-12-20

Family

ID=301128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7000163A KR101002271B1 (ko) 2002-07-16 2003-07-01 질화갈륨계 화합물 반도체장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7700940B2 (ko)
EP (1) EP1536486A4 (ko)
JP (1) JP4234101B2 (ko)
KR (1) KR101002271B1 (ko)
CN (1) CN100521260C (ko)
TW (1) TWI292629B (ko)
WO (1) WO2004008551A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09228B1 (ko) * 2006-11-20 2008-03-05 삼성전기주식회사 질화물 반도체 발광소자
US8704208B2 (en) 2007-10-08 2014-04-22 Lg Innotek Co., Ltd. Semiconductor light emitting devi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KR101459763B1 (ko) * 2008-01-15 2014-11-12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반도체 발광소자 및 그 제조방법
US8907322B2 (en) 2010-06-18 2014-12-09 Sensor Electronic Technology, Inc. Deep ultraviolet light emitting diode
US8927959B2 (en) 2010-06-18 2015-01-06 Sensor Electronic Technology, Inc. Deep ultraviolet light emitting diode
US9806226B2 (en) 2010-06-18 2017-10-31 Sensor Electronic Technology, Inc. Deep ultraviolet light emitting diode
US10263145B2 (en) 2015-05-29 2019-04-16 Lg Innotek Co., Ltd. Ultraviolet light emitting devic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34055B1 (ko) * 2003-07-18 2011-05-12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발광 다이오드 및 그 제조방법
KR100513923B1 (ko) * 2004-08-13 2005-09-08 재단법인서울대학교산학협력재단 질화물 반도체층을 성장시키는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질화물 반도체 발광소자
DE102005048196B4 (de) * 2005-07-29 2023-01-26 OSRAM Opto Semiconductors Gesellschaft mit beschränkter Haftung Strahlungsemittierender Halbleiterchip
JP4997621B2 (ja) * 2005-09-05 2012-08-08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半導体発光素子およびそれを用いた照明装置
US7462884B2 (en) * 2005-10-31 2008-12-09 Nichia Corporation Nitride semiconductor device
GB2432715A (en) * 2005-11-25 2007-05-30 Sharp Kk Nitride semiconductor light emitting devices
CN1996625A (zh) * 2006-01-06 2007-07-11 大连路明科技集团有限公司 GaN基光电子器件及其制法
JP2007201195A (ja) * 2006-01-26 2007-08-09 Sumitomo Electric Ind Ltd 窒化物半導体発光素子
RU2306634C1 (ru) * 2006-08-08 2007-09-20 Закрытое Акционерное Общество "Светлана - Оптоэлектроника" Полупроводниковая светоизлучающая гетероструктура
KR101459752B1 (ko) 2007-06-22 2014-11-13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반도체 발광소자 및 그 제조방법
JP2010537408A (ja) * 2007-08-14 2010-12-02 ナイテック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マイクロピクセル紫外発光ダイオード
DE102008028036A1 (de) * 2008-02-29 2009-09-03 Osram Opto Semiconductors Gmbh Optoelektronischer Halbleiterkörper mit Tunnelübergang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solchen
EP2325899A4 (en) * 2008-08-29 2015-04-29 Toshiba Kk SEMICONDUCTOR DEVICE
US20110316033A1 (en) * 2009-03-05 2011-12-29 Koito Manufacturing Co., Ltd. Light emitting module, method of manufacturing the light emitting module, and lamp unit
CN101521258B (zh) * 2009-03-27 2013-07-31 华灿光电股份有限公司 一种提高发光二极管外量子效率的方法
JP5306254B2 (ja) * 2010-02-12 2013-10-02 株式会社東芝 半導体発光素子
US8362458B2 (en) 2010-12-27 2013-01-29 Industrial Technology Research Institute Nitirde semiconductor light emitting diode
CN102097555A (zh) * 2011-01-14 2011-06-15 武汉迪源光电科技有限公司 一种二极管外延结构
US8358673B2 (en) * 2011-02-17 2013-01-22 Corning Incorporated Strain balanced laser diode
JP2013008803A (ja) * 2011-06-23 2013-01-10 Toyoda Gosei Co Ltd Iii族窒化物半導体発光素子の製造方法
KR20140063703A (ko) 2011-08-17 2014-05-27 램고스, 인크. 산화물 반도체 기판 상의 수직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 및 그 제조 방법
JP2013106550A (ja) * 2011-11-18 2013-06-06 Sharp Corp 植物育成用照明装置
CN103137824A (zh) * 2011-11-29 2013-06-05 昆山开威电子有限公司 一种白光led器件及其无金线封装方法
JP5874593B2 (ja) * 2011-12-23 2016-03-02 豊田合成株式会社 Iii族窒化物半導体発光素子とその製造方法
US8927984B2 (en) 2012-01-17 2015-01-06 Ramgoss, Inc. Rotated channel semiconductor field effect transistor
CN102544281A (zh) * 2012-01-20 2012-07-04 厦门市三安光电科技有限公司 具有多层势垒结构的氮化镓基发光二极管
DE102012104671B4 (de) 2012-05-30 2020-03-05 Osram Opto Semiconductors Gmbh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r aktiven Zone für einen optoelektronischen Halbleiterchip
KR101961303B1 (ko) * 2012-05-30 2019-03-25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발광소자 패키지 및 조명시스템
JP6001446B2 (ja) * 2012-12-28 2016-10-05 株式会社東芝 半導体発光素子及びその製造方法
CN105144345B (zh) * 2013-03-15 2018-05-08 晶体公司 与赝配电子和光电器件的平面接触
WO2014168339A1 (ko) * 2013-04-12 2014-10-16 서울바이오시스 주식회사 자외선 발광 소자
US9112077B1 (en) 2014-04-28 2015-08-18 Industrial Technology Research Institute Semiconductor structure
KR102212561B1 (ko) * 2014-08-11 2021-02-08 삼성전자주식회사 반도체 발광 소자 및 반도체 발광 소자 패키지
TWI568016B (zh) * 2014-12-23 2017-01-21 錼創科技股份有限公司 半導體發光元件
CN106571416B (zh) * 2016-11-04 2019-09-10 华灿光电(浙江)有限公司 一种发光二极管外延片及其制造方法
US10141477B1 (en) * 2017-07-28 2018-11-27 Lumileds Llc Strained AlGaInP layers for efficient electron and hole blocking in light emitting devices
US11322650B2 (en) 2017-07-28 2022-05-03 Lumileds Llc Strained AlGaInP layers for efficient electron and hole blocking in light emitting devices
FR3091005B1 (fr) * 2018-12-21 2021-01-29 Soitec Silicon On Insulator Substrat de croissance et procede de fabrication d’un tel substrat
CN109830578B (zh) * 2019-02-18 2020-06-09 湘能华磊光电股份有限公司 一种led外延结构的生长方法
CN113451459B (zh) * 2020-11-02 2022-05-13 重庆康佳光电技术研究院有限公司 发光二极管、外延结构及其制作方法
CN113451455B (zh) * 2020-11-26 2022-05-03 重庆康佳光电技术研究院有限公司 Led外延的制备方法及led外延结构与led芯片
JP7488410B1 (ja) 2023-05-09 2024-05-21 日機装株式会社 窒化物半導体発光素子の光出力予測方法及び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51074A (en) * 1911-04-25 1913-01-21 Sheridan Iron Works Bookbinding-machine.
GB2226698B (en) * 1988-11-15 1992-05-20 Kokusai Denshin Denwa Co Ltd A light emitting semiconductor device
SE501635C2 (sv) * 1993-08-20 1995-04-03 Asea Brown Boveri Förfarande och anordning för utsändande av ljus med integrerad excitationskälla
US5684309A (en) * 1996-07-11 1997-11-04 North Carolina State University Stacked quantum well aluminum indium gallium nitride light emitting diodes
JP3716395B2 (ja) 1996-08-02 2005-11-16 富士通株式会社 半導体発光素子
JPH10270756A (ja) * 1997-03-27 1998-10-09 Sanyo Electric Co Ltd 窒化ガリウム系化合物半導体装置
JPH10303458A (ja) * 1997-04-24 1998-11-13 Toyoda Gosei Co Ltd 窒化ガリウム系化合物半導体素子
JP3468082B2 (ja) 1998-02-26 2003-11-17 日亜化学工業株式会社 窒化物半導体素子
JPH11243251A (ja) 1998-02-26 1999-09-07 Toshiba Corp 半導体レーザ装置
JP3519990B2 (ja) 1998-12-09 2004-04-19 三洋電機株式会社 発光素子及びその製造方法
JP3487251B2 (ja) * 1999-03-04 2004-01-13 日亜化学工業株式会社 窒化物半導体レーザ素子
JP3285341B2 (ja) 2000-06-01 2002-05-27 士郎 酒井 窒化ガリウム系化合物半導体の製造方法
TW472400B (en) * 2000-06-23 2002-01-11 United Epitaxy Co Ltd Method for roughing semiconductor device surface to increase the external quantum efficiency
US6800876B2 (en) * 2001-01-16 2004-10-05 Cree, Inc. Group III nitride LED with undoped cladding layer (5000.137)
US6489636B1 (en) * 2001-03-29 2002-12-03 Lumileds Lighting U.S., Llc Indium gallium nitride smoothing structures for III-nitride devices
JP3645233B2 (ja) * 2001-06-07 2005-05-11 日本電信電話株式会社 半導体素子
US6822272B2 (en) * 2001-07-09 2004-11-23 Nichia Corporation Multilayered reflective membrane and gallium nitride-based light emitting element
TWI271877B (en) * 2002-06-04 2007-01-21 Nitride Semiconductors Co Ltd Gallium nitride compound semiconductor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Cited B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09228B1 (ko) * 2006-11-20 2008-03-05 삼성전기주식회사 질화물 반도체 발광소자
US8927961B2 (en) 2007-10-08 2015-01-06 Lg Innotek Co., Ltd. Semiconductor light emitting devi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KR101438808B1 (ko) * 2007-10-08 2014-09-05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반도체 발광소자 및 그 제조방법
US8829490B2 (en) 2007-10-08 2014-09-09 Lg Innotek Co., Ltd. Semiconductor light emitting devi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US8704208B2 (en) 2007-10-08 2014-04-22 Lg Innotek Co., Ltd. Semiconductor light emitting devi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KR101459763B1 (ko) * 2008-01-15 2014-11-12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반도체 발광소자 및 그 제조방법
US8907322B2 (en) 2010-06-18 2014-12-09 Sensor Electronic Technology, Inc. Deep ultraviolet light emitting diode
US8927959B2 (en) 2010-06-18 2015-01-06 Sensor Electronic Technology, Inc. Deep ultraviolet light emitting diode
KR101480733B1 (ko) * 2010-06-18 2015-01-09 센서 일렉트로닉 테크놀로지, 인크 심 자외선 발광 다이오드
US9184339B2 (en) 2010-06-18 2015-11-10 Sensor Electronic Technology, Inc. Deep ultraviolet light emitting diode
US9437774B2 (en) 2010-06-18 2016-09-06 Sensor Electronic Technology, Inc. Deep ultraviolet light emitting diode
US9806226B2 (en) 2010-06-18 2017-10-31 Sensor Electronic Technology, Inc. Deep ultraviolet light emitting diode
US10224456B2 (en) 2010-06-18 2019-03-05 Sensor Electronic Technology, Inc. Deep ultraviolet light emitting diode
US10263145B2 (en) 2015-05-29 2019-04-16 Lg Innotek Co., Ltd. Ultraviolet light emitting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7700940B2 (en) 2010-04-20
JPWO2004008551A1 (ja) 2005-11-17
TWI292629B (en) 2008-01-11
JP4234101B2 (ja) 2009-03-04
CN100521260C (zh) 2009-07-29
EP1536486A1 (en) 2005-06-01
CN1669158A (zh) 2005-09-14
EP1536486A4 (en) 2006-11-08
KR101002271B1 (ko) 2010-12-20
US20050236642A1 (en) 2005-10-27
TW200405591A (en) 2004-04-01
WO2004008551A1 (ja) 2004-01-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02271B1 (ko) 질화갈륨계 화합물 반도체장치
EP1619729B1 (en) Gallium nitride based light-emitting device
US9166102B2 (en) Group III nitride semiconductor light-emitting device including a superlatice layer
JP3374737B2 (ja) 窒化物半導体素子
JP5549338B2 (ja) 紫外光放射用窒素化合物半導体ledおよびその製造方法
WO2014178248A1 (ja) 窒化物半導体発光素子
Mukai et al. Nitride light-emitting diodes
WO2014061692A1 (ja) 窒化物半導体発光素子
JP6128138B2 (ja) 半導体発光素子
JP2008288532A (ja) 窒化物系半導体装置
JP2017017265A (ja) 発光装置
KR100737339B1 (ko) 3족 질화물 반도체 발광소자 및 그 제조방법
KR100643262B1 (ko) 질화갈륨계 발광장치
JPH10144960A (ja) p型窒化物半導体の製造方法及び窒化物半導体素子
JPH10290047A (ja) 窒化物半導体素子
JP2010103429A (ja) 窒化ガリウム系発光装置の製造方法
JP2005317823A (ja) 窒化ガリウム系発光装置
JP2005311119A (ja) 窒化ガリウム系発光装置
KR101144523B1 (ko) 반도체 발광소자 및 그 제조방법
Mukai et al. GaN-based light-emitting diodes suitable for white light
KR100723177B1 (ko) InGaN 질화물층 형성방법 및 다중양자우물구조의활성층 형성방법
KR100963973B1 (ko) 질화물계 발광소자 및 그의 제조방법
JP2000294829A (ja) 半導体積層構造とそれを備えた半導体素子及び結晶成長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1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18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