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17556A - 온도 감응성 상태변화 하이드로겔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온도 감응성 상태변화 하이드로겔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17556A
KR20050017556A KR1020030056557A KR20030056557A KR20050017556A KR 20050017556 A KR20050017556 A KR 20050017556A KR 1020030056557 A KR1020030056557 A KR 1020030056557A KR 20030056557 A KR20030056557 A KR 20030056557A KR 20050017556 A KR20050017556 A KR 2005001755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hydrogel
skin
hydrogel composition
com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565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06543B1 (ko
Inventor
손태원
김영훈
유현오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제닉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36168657&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20050017556(A)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제닉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제닉
Priority to KR10-2003-00565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06543B1/ko
Priority to US10/719,935 priority patent/US20050037079A1/en
Priority to CNB2004800233788A priority patent/CN100467011C/zh
Priority to EP04774311.7A priority patent/EP1653921B1/en
Priority to JP2006523132A priority patent/JP4959328B2/ja
Priority to RU2006107928/15A priority patent/RU2320318C2/ru
Priority to PCT/KR2004/002034 priority patent/WO2005016305A1/en
Priority to US10/567,483 priority patent/US8663664B2/en
Publication of KR200500175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17556A/ko
Publication of KR1005065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0654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4Dispersions; Emulsions
    • A61K8/042Ge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208Tissues; Wipes; Patch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4Alcohols
    • A61K8/345Alcohols containing more than one hydroxy group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73Polysacchari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73Polysaccharides
    • A61K8/736Chitin; Chitosan;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06Ointments; Bases therefor; Other semi-solid forms, e.g. creams, sticks, ge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70Web, sheet or filament bases ; Films; Fibres of the matrix type containing drug
    • A61K9/7007Drug-containing films, membranes or shee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2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the composition as a whole
    • A61K2800/24Thermal properti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54Polymers characterized by specific structures/properti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59Mixtures
    • A61K2800/594Mixtures of polyme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pidemiology (AREA)
  • Bird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Dermatology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Cosmetics (AREA)
  • Medicinal Prepar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온도 감응성 상태변화 하이드로겔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가지형 겔화 고분자 1-10중량%, 전해형 겔화 고분자 0.5-5중량%, 친화성 증진제 0.5-5중량%, 천연생체물질 1-10중량%, 다가알코올 3-30중량%, 기능첨가제 1-10중량% 및 물 30-93중량%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10∼50℃ 의 온도에서 하이드로겔이 유동상태로 변화하는 온도 감응성 상태변화 하이드로겔 조성물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하이드로겔 조성물은 피부와 접촉시 체온에 의하여 유동상태로 변화되어 흐름성을 갖게 되며, 하이드로겔 내에 함유되어 있는 미용제 또는 약물이 피부에 고르게 피복되고 신속하게 침투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온도 감응성 상태변화 하이드로겔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Temperature Sensitive State-Changing Hydrogel Composition and Method for their Preparation}
본 발명은 온도 감응성 상태변화 하이드로겔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온도에 따라 상태가 겔상태에 유동상태로 변화하며 피부미용에 효과적으로 적용될 수 있는 온도 감응성 상태변화 하이드로겔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태변화 하이드로겔 조성물은 다량의 물을 함유하고 있는 겔상태의 하이드로겔이 온도변화에 의하여 적정온도에서 갑자기 유동상태의 유동체로 변화하는 특성을 갖는 물질을 의미한다.
최근 화장품, 스킨케어, 피부미용, 피부치료 등의 분야에서 하이드로겔을 이용한 피부관리가 다양하게 적용되고 있다. 하이드로겔은 약품조절방출(controlled release of drugs)을 위한 기지체로서 사용되기에 적합한 물질로 잘 알려져 있다(N. A. Pappas ed., "Hydrogels in Medicine and Pharmacy, Vol. 11; Polymers", CRC Press, Inc., 1987). 이는 하이드로겔을 기지체로 사용하여 그 속에 프로게스테론과 같은 호르몬을 함유시켜서 호르몬이 서서히 방출되어 몸 안으로 전달되는 호르몬의 양을 조절하는 약물전달체로서 이용되는 것이다. 사카이 등의 미국특허번호 제5,344,655호에 의하면 셀룰로즈 유도체 같은 수용성 고분자를 함유한 하이드로겔 기지를 사용하여 피부를 통하여 약물을 전달하는 기술이 공개되어 있다. 폭스 등의 미국특허번호 제5,405,366호에 의하면 광가교가 가능한 수용성 고분자를 함유하는 접착성 하이드로겔을 만들어 경피 약물전달시스템(transdermal drug delivery system)에 사용하는 기술이 알려져 있다. 제브너 등의 미국특허번호 제4,593,053호에 의하면 피부에 친화적이고 압력감응 하이드로겔을 만들어 사용하는 것을 공개하고 있다. 약물의 경피전달(transdemal delivery of drugs)은 프로게스테론, 프로게스틴, 에스트로겐, 테스토스테론 등 호르몬을 피부를 통하여 체내로 전달하는 것으로 피부에 부착된 하이드로겔에서부터 서서히 조절된 양만큼만 방출되어 경피를 통하여 체내로 전달되는 고도의 투약 기술이다. 슈밀러 등의 미국특허번호 제6,214,374에 의하면 피부에 차단되지 않고 효과적인 약물의 경피전달을 위한 하이드로겔의 조성, 방법 및 그 장치를 공개하고 있다. 베르너 등의 미국특허번호 제5,064,654호에 의하면 약물의 경피전달을 위한 접착성 하이드로겔의 조성을 공개하고 있다. 사포타 등의 미국특허번호 제4,942,158호에 의하면 약물의 경피전달을 증진시키기 위하여 침투증진제가 첨가된 하이드로겔의 조성을 공개하고 있다. 또한, 롤프 등의 미국특허번호 제6,361,790호 및 제 6,406,712호에 의하면 하이드로겔을 이용한 드레싱, 패치 등의 피부적용 방법을 공개하고 있다.
위와 같은 종래의 기술은 모두 하이드로겔을 피부에 적용하고 있으나 겔상태 그대로 유지하면서 기지체인 하이드로겔 속에 함유되어 있는 약물이 피부쪽으로 서서히 방출되도록 조절하는 기능만을 갖고 있는 것에 불과하다.
한편, 하이드로겔이 겔상태를 그대로 유지한 상태에서 피부에 약물전달을 조절하는 것은 약물이 피부에 침투하는 데에 상대적으로 장시간이 요구되고 하이드로겔이 피부에 접촉되는 제한된 부분에 한해서 약물이 전달되는 피할 수 없는 약점이 있다. 이를 극복하기 위하여 종래의 기술에서는 하이드로겔에 침투증진제를 첨가하거나 피부친화적 조성의 하이드로겔을 만들어 적용시키는 것이 전부였다.
일반적으로 피부미용을 위해서 화장품을 적용할 때는 피부상처를 치료할 때와는 다르게 적용부위에 장시간 보호구(protection device)를 붙여줄 수 없으며, 단시간 동안만 보호구를 붙인 후에 곧바로 제거하여야 한다. 이러한 피부미용에서 그 효과를 증진시키기 위하여 하이드로겔이 이용되며, 피부에 효과적으로 적용되기 위하여 쉬트 또는 팻치 형태로 만들어져 사용된다. 비록 이러한 하이드로겔 제품을 사용한다하더라도 하이드로겔이 겔상태를 그대로 유지하고 있는 한 피부와의 친화성에 한계가 있어서 미용제가 하이드로겔에서부터 피부로 전달되는 데 만족할 만한 양과 속도를 가질 수 없다.
하이드로겔과 피부 사이의 친화성은 하이드로겔 내에 함유되어 있는 미용제 또는 약물이 피부로 전달되는 데 결정적으로 영향을 미치게 된다. 즉, 그 친화성이 크면 하이드로겔에서 부터 피부로 미용제 또는 약물의 전달이 용이하고 신속하게 일어날 수 있으나 친화성이 작으면 그 전달이 충분하지 못하고 느리게 된다.
또한 피부미용을 위하여 미용제를 함유한 하이드로겔을 이용할 경우에는 하이드로겔을 피부에 붙인 후 치료용 약물을 사용하는 경우보다 상대적으로 단시간 이내에 제거해야 하므로 미용제가 신속히 피부속으로 전달될 필요성이 크게 요구된다. 즉, 피부미용시 피부에 적용한 하이드로겔은 그 속에 함유되어 있는 미용제가 다량 신속하게 하이드로겔에서 부터 피부로 전달될 수 있어야 한다. 이와 같은 특성을 만족시키기 위해서는 하이드로겔이 종래의 것에 비하여 미용제가 피부 속으로 신속하고 고르게 전달되는 특징을 가져야 하며, 그 특성을 만족시킬 수 있는 신규의 하이드로겔이 요구된다.
이에 본 발명은 하이드로겔 조성물을 이용하여 미용제가 피부 속으로 신속하고 고르게 전달되도록 할 목적으로 하이드로겔이 피부와 접촉한 후 체온에 의하여 유동상태로 변화되어 흐름성을 갖게 되며, 흐름성을 갖는 하이드로겔 조성물이 피부에 고르게 피복되고 신속하게 침투되도록 기능을 갖는 온도감응성 상태변화 하이드로겔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피부에 고르게 피복되고 신속하게 침투되도록 기능을 갖는 온도감응성 상태변화 하이드로겔의 제조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견지에 의하면,
가지형 겔화 고분자 1-10중량%, 전해형 겔화 고분자 0.5-5중량%, 피부친화성 증진제 0.5-5중량%, 천연생체물질 1-10중량%, 다가알코올 3-30중량%, 기능첨가제 1-10중량% 및 물 30-93중량%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10∼50℃의 온도에서 하이드로겔이 유동상태로 변화하는 온도 감응성 상태변화 하이드로겔 조성물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견지에 의하면,
상온에서 갈락토만난, 클루코만난, 구아껌, 로카스트 빈 껌 및 플루로닉으로 구성된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가지형 겔화 고분자 1-10중량%, 아가, 알긴, 카라기난, 잔탄 및 겔란으로 구성된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전해형 겔화 고분자 0.5-5중량%, 키토산, 키토산 유도체, 프로테오글루칸, 엘라스틴, 콜라겐 및 히알루로닉산으로 구성된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기능첨가제 1-10중량% 및 다가알코올 3-30중량%를 혼합하고, 여기에 물 30-93중량%를 첨가한 다음 이를 45-95℃로 상승시켜 겔 용액을 제조하는 단계; 및
상기 겔 용액을 45-95℃로 유지시키면서 알로에, 녹차, 인삼, 목초액, 솔잎, 은행잎, 프로폴리스, 뽕잎 또는 누에로 부터 추출된 천연생체물질 1-10중량% 및 메틸파라벤, 프로필파라벤, 코직산, α-히드록시산 및 레티놀로 구성된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피부친화성 증진제 0.5-5중량%를 순차적으로 첨가한 다음 이를 상온으로 냉각시키는 단계;
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온도감응성 상태변화 하이드로겔 조성물 제조방법이 제공된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온도감응성 상태변화 하이드로겔 조성물은 10-50℃에서, 바람직하게는, 체온 부근의 온도범위(30∼40℃)에서 겔상태가 유동상태로 변하여 피부와 하이드로겔 사이의 친화성이 이상적으로 향상되고 또 첨가되어 있는 친화성 증진제의 작용에 의해 하이드로겔 조성물에서부터 피부로 미용제 또는 약물이 다량으로 신속하게 전달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는 상대적으로 짧은 적용시간만 허용되는 피부미용 분야에 있어서 하이드로겔을 이용하는 이상적이고 효율적인 방법을 고안하고 그 고안에 적합한 신규의 온도감응성 상태변화 하이드로겔 조성물을 제공하는 목적을 달성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온도감응성 상태변화 하이드로겔 조성물은 화장품을 함유한 하이드로겔 쉬트 또는 팻치가 피부에 적용되어 밀착되었을 때 하이드로겔의 겔상태가 체온에 의하여 유동상태로 변화하여 흐름성이 있는 하이드로겔 조성물과 피부사이의 친화성을 최적으로 향상시켜서 미용제가 피부로 잘 전달되게 하는 특성이 있으며, 또, 하이드로겔 조성물 속에 미용제의 피부 전달을 증진시키는 천연 친화성 증진제가 함유되어 있어서 만족할 만한 양의 미용제가 신속하게 경피속으로 전달(transdermal delivery of cosmetics)될 수 있는 특징을 갖는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에서는 하이드로겔이 온도변화에 감응하여 특정 온도범위에서 겔상태가 급격하게 유동상태로 변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규의 하이드로겔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온도감응성 상태변화 하이드로겔(state-changing hydrogel)은 고상인 겔 상태(gel state)가 온도 상승에 의하여 액상인 유동상태(liquid state)로 변화하는 물리적 특성을 가지고 있다. 특히, 피부미용의 용도로 사용될 때에 본 발명의 하이드로겔 쉬트 또는 팻치 형태의 제품을 피부에 부착시키면 체온에 의하여 온도가 상승하여 겔상태의 하이드로겔이 유동상태로 상태변화를 일으켜서 흐름성이 있는 하이드로겔 조성물로 변화하게 되며, 이는 피부에 자동적으로 밀착, 침투되면서 피부와의 친화성이 크게 향상시키는 특징을 갖고 있는 것이다.
위와 같은 특징을 갖기 위하여 본 발명의 상태변화 하이드로겔 조성물에는 곁가지 고분자와 전해질 고분자로 조성된 겔형성 물질이 포함되며 이와 더불어 인체피부와 친화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친화성 증진제와 천연생체물질이 함유된다. 또한, 하이드로겔이 피부에 적용되었을 때 체온에 의하여 유동상태로 변화한 하이드로겔 조성물이 피부에 밀착되고 침투될 수 있도록 흐름성을 부여하는 다가 알콜과 기능성 물질인 기능첨가제가 함유된다.
본 발명의 하이드로겔 조성물은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가지형 겔화 고분자 1-10중량%, 전해형 겔화 고분자 0.5-5중량%, 피부친화성 증진제 0.5-5중량%, 천연생체물질 1-10중량%, 다가알코올 3-30중량%, 기능첨가제 1-10중량% 및 물 30-93중량%로 조성된다.
본 발명자들은 상기 각 성분들이 이러한 범위로 함유되어 하이드로겔 조성물을 형성하는 경우에, 피부에 적용시 체온에 의해 하이드로겔 조성물이 유동상태로 변화하는 특성을 가지고 이에 따라 하이드로겔 조성물 속에 함유되어 있는 성분들이 피부에 고르고 신속하게 밀착되고 침투되는 것을 발견하였다.
본 발명의 하이드로겔 조성물에 있어서, 겔 형성물질로서 가지형 겔화 고분자 및 전해형 겔화 고분자가 사용되며, 여기서, 상기 전해형 겔화 고분자는 본 발명의 조성물이 겔 상태로 유지되도록 하는 역할을 하며, 일부 경우에 있어서 본 발명의 조성물이 평상시의 상온에서(약 20℃내외), 바람직하게는 0-30℃의 온도에서 겔상태로 유지되도록 하는 역할을 하며, 그리고 가지형 겔화 고분자는 온도상승시, 즉 10-50℃, 바람직하게는 체온부근으로 약 30-40℃에서, 고상의 하이드로겔이 액상의 유동상태로 변하게 하는 역할을 한다. 이와 관련하여, 도 2에 두 종류의 겔화 고분자로 구성되는 겔의 모식도를 나타내었다. 여기서 (가)는 겔상태의 고분자쇄 모형을 나타낸 것으로서 전해형 겔화 고분자의 전기적 결합과 가지형 겔화 고분자의 물리적 결합이 함께 존재하고 있는 것을 보여주고 있으며, (나)는 유동상태의 고분자쇄 모형을 나타낸 것으로서 전해형 겔화 고분자의 전기적 결합을 유지하고 있으나 가지형 겔화 고분자의 물리적 결합은 존재하지 않음을 보여준다.
본 발명에 유용한 가지형 겔화 고분자로는 물에 용해될 수 있는 다당류 고분자로서 갈락토만난, 글루코만난, 구아껌, 로카스트 빈 껌, 플루로닉 등을 들 수 있으며, 그리고 본 발명에 유용한 전해형 겔화 고분자로는 다당류 전해질 고분자로서 아가, 알긴, 카라기난, 잔탄(xanthan), 겔란 등을 들 수 있다. 이때, 상기 가지형 겔화 고분자 및 전해형 겔화 고분자는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각각 1-10중량% 및 0.5-5중량%로 함유되며, 만일 이러한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겔이 형성되지 않거나 온도를 상승시켜도 겔상태가 유동상태로 변화하는 현상이 일어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피부친화성 증진제는 인체피부와의 친화성을 향상시켜주어 하이드로겔 조성물에서부터 피부로 미용제 또는 약물이 다량으로 신속하게 전달되도록 하는 역할을 하는 물질로서 이들의 예는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지만, 키토산, 프로테오글리칸(proteoglycans), 키토산 유도체, 엘라스틴, 콜라겐, 히알루로닉산 등의 다당류 또는 단백질로서 물에 용해될 수 있는 것이 유용하며, 그 함량은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0.5-5중량%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피부친화성 증진제는 그 함량이 너무 적은 경우에는 그 효과가 미미하며, 함량이 너무 많은 경우에는 온도를 상승시켜도 겔상태가 유동상태로 변화하지 않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상기 천연생체물질은 인체피부와 친화성을 향상시켜주는 역할을 하는 물질로서 식물, 동물 또는 광물로부터 추출한 천연물이며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지만 알로에, 녹차, 인삼, 목초액, 솔잎, 프로폴리스, 은행잎, 누에 또는 뽕잎 등의 추출물이 유용하며, 그 함량은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1-10중량%이다. 이러한 천연생체물질은 그 함량이 너무 적은 경우, 그 효과가 미미하며 너무 많은 경우에는 온도를 상승시켜도 겔상태가 유동상태로 변화하지 않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상기 다가 알코올은 본 발명의 하이드로겔 조성물이 피부에 밀착되고 침투될 수 있도록 하는 물질로서 수용성 액상으로서 프로필렌글리콜, 글리세린 등이 유용하며, 그 함량은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3-30중량%이다. 이러한 다가 알코올은 그 함량이 너무 적은 경우, 온도를 상승시켜도 겔상태가 유동상태로 변화하지 않으며 그리고 너무 많은 경우에는 겔이 형성되지 않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상기 기능첨가제는 하이드로겔에 안정성과 기능성을 부여할 수 있는 첨가제로서 메틸파라벤, 프로필파라벤, 코직산, α-히드록시산, 이미다졸리디닐우레아, 트윈80 및 레티놀 등이 유용하다. 이러한 기능첨가제는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1-10중량% 포함되며, 만일 그 함량이 너무 적은 경우, 보관 안정성이 저하되어 장기간 보존 유지되지 않으며 그리고 너무 많은 경우에는 온도를 상승시켜도 겔상태가 유동상태로 변화하지 않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물은 하이드로겔 조성물의 주성분으로서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30-93중량%로 포함되며, 그 함량이 너무 적은 경우, 온도를 상승시켜도 겔상태가 유동상태로 변화하지 않으며 그리고 너무 많은 경우에는 겔 형성이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하이드로겔 조성물은 0-10℃이하의 온도에서는 겔 상태로 존재하며, 10∼50℃ 사이에서 겔상태가 유동상태로 변화하는 특성을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의 하이드로겔 조성물은 각 성분의 양 변화에 따라, 0-30℃에서 또는 상온에서 겔 상태로 존재할 수 있으며, 20-40℃에서 유동상태로 존재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하이드로겔 조성물은 온도에 따라 민감하게 상태가 변화가는 특성을 가져, 피부에 적용시 하이드로겔 조성물 속에 함유되어 있는 모든 피부 미용제들이 피부에 고르고 신속하게 밀착되고 침투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하이드로겔 조성물은 다음과 같은 방법을 통해 제조될 수 있다.
우선 다가 알콜에 가지형 겔화 고분자와 전해형 겔화 고분자를 혼합하여 고분자혼합액과 또, 다가알콜에 기능첨가제를 용해시킨 기능용액을 만들고 이 두 액을 혼합한 기본 혼합액을 제조한다. 그 다음, 상기 기본 혼합액을 탈이온수와 혼합하고 가열하여 온도 45℃ 내지 95℃ 사이로 유지시키면서 친화성 증진제 및 천연생체물질를 순서대로 혼합 시켜서 유동상태의 하이드로겔 조성물을 제조한다. 이때 혼합되는 각 성분의 양은 본 발명의 하이드로겔 조성물에 대하여 앞서 설명한 바와 같다. 마찬가지로 이때 혼합되는 각 성분의 유용한 예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다.
또한, 본 발명의 하이드로겔 조성물은 쉬트 또는 팻치형태로 제조되어 피부미용에 적용될 수 있다. 예를들어, 본 발명의 하이드로겔 조성물을 피부미용에 적용하기 위하여 30℃이상의 온도에서, 바람직하게는 45-95℃의 온도에서 유동상태의 하이드로겔 조성물을 쉬트 또는 팻치로 성형하고 상온으로 냉각시켜 겔상태의 하이드로겔을 제조한다. 도 3에 본 발명의 하이드로겔 조성물을 이용하여 레이온 망목직물을 심지로 넣어 피부미용에 적용가능한 하이드로겔 쉬트로 제조한 모식도를 나타내었다. 도 3에서 (가)는 레이온 망목직물을 나타내고 (나)는 본 발명의 하이드로겔 조성물을 나타낸다.
본 발명의 하이드로겔 쉬트 또는 팻치는 피부에 적용되었을 때 하이드로겔이 체온에 의하여 겔상태에서 유동상태로 상태변화를 일으켜 흐름성이 있는 유동체로 변화하게 된다. 본 발명의 상태변화 하이드로겔은 피부와 접촉하게 되면 체온에 의하여 유동상태로 변화하여 흐름성이 있는 하이드로겔 조성물로 변화되며, 이는 피부에 자동적으로 밀착, 침투되면서 피부와의 친화성이 크게 향상되고, 그로 인하여 피부미용 효과가 종래의 하이드로겔을 사용하는 것보다 향상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일부분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고 있으나 본 발명의 범주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상온에서 3ℓ가열용기에 교반하면서 먼저 글리세린 170g, 카라기난 6g 및 로카스트 빈 껌 20g을 혼합하고, 여기에 글리세린 30g에 메틸파라벤 0.8g과 프로필파라벤 0.3g을 용해시킨 용액을 첨가하여 혼합액을 만들고 혼합액에 탈이온수 740g을 투입하여 온도를 85℃로 상승시켜서 겔용액을 제조하였다. 온도 85℃를 유지시키면서 겔용액에 순차적으로 알로에 추출물 20g, 콜라겐 5g, 이미다졸리디닐우레아 2g, 트윈80 1.5g 및 키토산액 3.7g을 첨가하여 하이드로겔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이 하이드로겔 조성물을 온도변화에 따라 점도를 측정하여 그 결과를 도 1에 나타내었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하이드로겔 조성물은 온도가 상승함에 따라 점도가 현저히 감소되어 유동상태로 변화함을 알 수 있다.
이러한 하이드로겔 조성물을 80℃에서 레이온 망목 직물을 심지로 넣고 쉬트로 성형하여 상온으로 냉각시키면 상태변화 하이드로겔 쉬트가 제조되며, 이는 피부미용을 위한 미용제의조절방출에 의한 피부전달용으로 활용될 수 있는 제품이다. 또한, 일반적인 하이드로겔을 피부에 적용시켰을때 피복도는 40∼70%인데 반해, 본 발명의 하이드로겔은 온도변화에 따라 유동성을 가지고 있어서 100%의 피복도를 가지고, 성분이동속도(migration rate of ingredient)가 빨라 하이드로겔의 표피흡수를 향상시킨 제품이다.
본 발명의 하이드로겔 조성물은 피부미용에 매우 효과적으로 적용이 가능할 뿐 아니라 피부치료에 있어서도 신속한 약물전달이 요구되고 친화적인 밀착소재가 요구될 때 효과적으로 적용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하이드로겔은 하이드로겔에서부터 피부로 미용제가 전달되는 경피전달(trandermal cosmetic delivery)에 의한 피부미용에 효과적으로 활용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하이드로겔 조성물의 온도변화에 따른 점도변화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하이드로겔이 두 종류의 겔화 고분자로 구성되는 것을 나타내는 모식도이며, 여기서 (가)는 겔상태의 고분자쇄 모형을 나타낸 것으로서 전해형 겔화 고분자의 전기적 결합과 가지형 겔화 고분자의 물리적 결합이 함께 존재하고 있는 것을 보여주고 있으며, (나)는 유동상태의 고분자쇄 모형을 나타낸 것으로서 전해형 겔화 고분자의 전기적 결합을 유지하고 있으나 가지형 겔화 고분자의 물리적 결합은 존재하지 않음을 보여주고 있으며, 그리고
도 3은 본 발명의 하이드로겔 조성물을 이용하여 제조된 피부미용에 적용가능한 하이드로겔 쉬트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며, 여기서 (가)는 심지로 사용된 레이온 망목 직물을 나타내며, 그리고 (나)는 본 발명의 하이드로겔을 나타낸다.

Claims (8)

  1.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가지형 겔화 고분자 1-10중량%, 전해형 겔화 고분자 0.5-5중량%, 피부친화성 증진제 0.5-5중량%, 천연생체물질 1-10중량%, 다가알코올 3-30중량%, 기능첨가제 1-10중량% 및 물 30-93중량%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10∼50℃의 온도에서 하이드로겔이 유동상태로 변화하는 온도 감응성 상태변화 하이드로겔 조성물.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가지형 겔화 고분자는 갈락토만난, 클루코만난, 구아껌, 로카스트 빈 껌 및 플루로닉으로 구성된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최소 1종의 물에 용해가능한 다당류 고분자임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드로겔 조성물.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해형 겔화 고분자는 아가, 알긴, 카라기난, 잔탄 및 겔란으로 구성된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최소 1종의 다당류의 전해질 고분자임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드로겔 조성물.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피부친화성 증진제는 키토산, 키토산 유도체, 프로테오글루칸, 엘라스틴, 콜라겐 및 히알루로닉산으로 구성된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최소 1종의 다당류 또는 단백질임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드로겔 조성물.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천연생체물질은 알로에, 녹차, 인삼, 목초액, 솔잎, 은행잎, 프로폴리스, 뽕잎 또는 누에로 부터 추출된 식물, 동물 또는 광물의 천연추출물임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드로겔 조성물.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다가알코올은 수용성 액상의 프로필렌글리콜 또는 글리세린임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드로겔 조성물.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기능첨가제는 하이드로겔에 안정성 또는 미용기능성을 부여할 수 있는 첨가제로서 메틸파라벤, 프로필파라벤, 코직산, α-히드록시산, 이미다졸리디닐우레아, 트윈 80 또는 레티놀임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드로겔 조성물.
  8. 상온에서 갈락토만난, 클루코만난, 구아껌, 로카스트 빈 껌 및 플루로닉으로 구성된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가지형 겔화 고분자 1-10중량%, 아가, 알긴, 카라기난, 잔탄 및 겔란으로 구성된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전해형 겔화 고분자 0.5-5중량%, 키토산, 키토산 유도체, 프로테오글루칸, 엘라스틴, 콜라겐 및 히알루로닉산으로 구성된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기능첨가제 1-10중량% 및 다가알코올 3-30중량%를 혼합하고, 여기에 물 30-93중량%를 첨가한 다음 이를 45-95℃로 상승시켜 겔 용액을 제조하는 단계; 및
    상기 겔 용액을 45-95℃로 유지시키면서 알로에, 녹차, 인삼, 목초액, 솔잎, 은행잎, 프로폴리스, 뽕잎 또는 누에로 부터 추출된 천연생체물질 1-10중량% 및 메틸파라벤, 프로필파라벤, 코직산, α-히드록시산 및 레티놀로 구성된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피부친화성 증진제 0.5-5중량%를 순차적으로 첨가한 다음 이를 상온으로 냉각시키는 단계;
    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드로겔 조성물 제조방법.
KR10-2003-0056557A 2003-08-14 2003-08-14 온도 감응성 상태변화 하이드로겔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0506543B1 (ko)

Priority Applications (8)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56557A KR100506543B1 (ko) 2003-08-14 2003-08-14 온도 감응성 상태변화 하이드로겔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US10/719,935 US20050037079A1 (en) 2003-08-14 2003-11-21 Temperature sensitive state-changing hydrogel composition and method for preparation
JP2006523132A JP4959328B2 (ja) 2003-08-14 2004-08-13 温度感応性状態変化ハイドロゲル組成物及びその製造方法
EP04774311.7A EP1653921B1 (en) 2003-08-14 2004-08-13 Temperature sensitive state-changing hydrogel composition and method for their preparation
CNB2004800233788A CN100467011C (zh) 2003-08-14 2004-08-13 对温度敏感的状态改变型水凝胶组合物及其生产方法
RU2006107928/15A RU2320318C2 (ru) 2003-08-14 2004-08-13 Чувствительная к температуре изменяющая состояние композиция гидрогеля и способ для ее получения
PCT/KR2004/002034 WO2005016305A1 (en) 2003-08-14 2004-08-13 Temperature sensitive state-changing hydrogel composition and method for their preparation
US10/567,483 US8663664B2 (en) 2003-08-14 2004-09-13 Temperature sensitive state-changing hydrogel composition and method for their preparati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56557A KR100506543B1 (ko) 2003-08-14 2003-08-14 온도 감응성 상태변화 하이드로겔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17556A true KR20050017556A (ko) 2005-02-22
KR100506543B1 KR100506543B1 (ko) 2005-08-05

Family

ID=361686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56557A KR100506543B1 (ko) 2003-08-14 2003-08-14 온도 감응성 상태변화 하이드로겔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2) US20050037079A1 (ko)
EP (1) EP1653921B1 (ko)
JP (1) JP4959328B2 (ko)
KR (1) KR100506543B1 (ko)
CN (1) CN100467011C (ko)
RU (1) RU2320318C2 (ko)
WO (1) WO2005016305A1 (ko)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48712B1 (ko) * 2007-03-30 2008-07-28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광가교 가능한 온도 감응성 수화겔 조성물 및 이의제조방법
KR101313430B1 (ko) * 2012-10-15 2013-10-01 주식회사 케이티에이치아시아 피부온도 감응형 하이드로겔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1339622B1 (ko) * 2012-11-13 2013-12-09 유창석 피부온도 감응형 하이드로겔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1367105B1 (ko) * 2011-10-04 2014-02-26 주식회사 제닉 마스크 기재용 하이드로겔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하이드로겔의 제조방법
KR101367608B1 (ko) * 2011-10-11 2014-03-05 주식회사 제닉 에멀젼화된 하이드로겔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453191B1 (ko) * 2013-01-25 2014-10-22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온도 감응성 화장료 조성물
KR101502912B1 (ko) * 2013-09-06 2015-03-16 재단법인대구경북과학기술원 온도 감응성 졸-겔 전이 수화겔을 이용한 마스크 팩
KR20150032461A (ko) * 2013-09-16 2015-03-26 주식회사 제닉 레이스 시트를 이용한 하이드로겔 마스크팩
KR20180026973A (ko) * 2016-09-05 2018-03-14 이은주 자외선 차단 및 피부온도 유지용 패치
KR20190046610A (ko) * 2017-10-26 2019-05-07 성원기 수가용성 젤 시트 및 그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06543B1 (ko) * 2003-08-14 2005-08-05 주식회사 제닉 온도 감응성 상태변화 하이드로겔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US7896879B2 (en) * 2004-07-29 2011-03-01 Vertos Medical, Inc. Spinal ligament modification
US20070027464A1 (en) 2005-07-29 2007-02-01 X-Sten, Corp. Device for resecting spinal tissue
US8784336B2 (en) 2005-08-24 2014-07-22 C. R. Bard, Inc. Stylet apparatuses and methods of manufacture
US20070123890A1 (en) * 2005-11-04 2007-05-31 X-Sten, Corp. Tissue retrieval devices and methods
US7942830B2 (en) 2006-05-09 2011-05-17 Vertos Medical, Inc. Ipsilateral approach to minimally invasive ligament decompression procedure
USD620593S1 (en) 2006-07-31 2010-07-27 Vertos Medical, Inc. Tissue excision device
US7794407B2 (en) 2006-10-23 2010-09-14 Bard Access Systems, Inc. Method of locating the tip of a central venous catheter
US8388546B2 (en) 2006-10-23 2013-03-05 Bard Access Systems, Inc. Method of locating the tip of a central venous catheter
US20080221383A1 (en) * 2007-02-12 2008-09-11 Vertos Medical, Inc. Tissue excision devices and methods
DE102007039229A1 (de) * 2007-08-20 2009-02-26 Ics Innovative Care Systems Andernach Gmbh Wasser- und wirkstoffhaltiges Gel
JP5653573B2 (ja) * 2007-09-20 2015-01-14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ゲルシートおよびそれを用いたシート状化粧料
JP2009073764A (ja) * 2007-09-20 2009-04-09 Fujifilm Corp 生体用粘着ゲルシートおよびそれを用いたシート状化粧料
WO2009038030A1 (en) * 2007-09-20 2009-03-26 Fujifilm Corporation Gel sheet and sheet-like cosmetic material using the same
US20090110656A1 (en) * 2007-10-31 2009-04-30 Lemke Sarah A Skin cooling composition
US20090118709A1 (en) * 2007-11-06 2009-05-07 Vertos Medical, Inc. A Delaware Corporation Tissue Excision Tool, Kits and Methods of Using the Same
US10524691B2 (en) 2007-11-26 2020-01-07 C. R. Bard, Inc. Needle assembly including an aligned magnetic element
US9649048B2 (en) 2007-11-26 2017-05-16 C. R. Bard, Inc. Systems and methods for breaching a sterile field for intravascular placement of a catheter
WO2009070616A2 (en) 2007-11-26 2009-06-04 C. R. Bard, Inc. Integrated system for intravascular placement of a catheter
US8849382B2 (en) 2007-11-26 2014-09-30 C. R. Bard, Inc. Apparatus and display methods relating to intravascular placement of a catheter
US9521961B2 (en) 2007-11-26 2016-12-20 C. R. Bard, Inc. Systems and methods for guiding a medical instrument
US10449330B2 (en) 2007-11-26 2019-10-22 C. R. Bard, Inc. Magnetic element-equipped needle assemblies
US8781555B2 (en) 2007-11-26 2014-07-15 C. R. Bard, Inc. System for placement of a catheter including a signal-generating stylet
US10751509B2 (en) 2007-11-26 2020-08-25 C. R. Bard, Inc. Iconic representations for guidance of an indwelling medical device
CL2008000156A1 (es) * 2008-01-18 2008-08-01 Igloo Zone Chile S A Gel estable hidrofilo en base a un polimero para aplicacion topica porque comprende quitosano disuelto en un solvente; proceso para obtener el gel para uso topico antes mencionado; uso del gel.
US8478382B2 (en) 2008-02-11 2013-07-02 C. R. Bard, Inc. Systems and methods for positioning a catheter
KR101104901B1 (ko) * 2008-05-23 2012-01-12 김영곤 능동 약물 방출형 서모 로드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제조된 서모 로드
US9901714B2 (en) 2008-08-22 2018-02-27 C. R. Bard, Inc. Catheter assembly including ECG sensor and magnetic assemblies
US8437833B2 (en) 2008-10-07 2013-05-07 Bard Access Systems, Inc. Percutaneous magnetic gastrostomy
USD619252S1 (en) 2008-10-23 2010-07-06 Vertos Medical, Inc. Tissue modification device
USD610259S1 (en) 2008-10-23 2010-02-16 Vertos Medical, Inc. Tissue modification device
USD621939S1 (en) 2008-10-23 2010-08-17 Vertos Medical, Inc. Tissue modification device
USD619253S1 (en) 2008-10-23 2010-07-06 Vertos Medical, Inc. Tissue modification device
USD611146S1 (en) 2008-10-23 2010-03-02 Vertos Medical, Inc. Tissue modification device
KR101729139B1 (ko) * 2008-11-28 2017-05-08 (주)아모레퍼시픽 천연성분 함유 하이드로겔 패드
WO2010144922A1 (en) 2009-06-12 2010-12-16 Romedex International Srl Catheter tip positioning method
US9532724B2 (en) 2009-06-12 2017-01-03 Bard Access Systems, Inc. Apparatus and method for catheter navigation using endovascular energy mapping
EP2464407A4 (en) 2009-08-10 2014-04-02 Bard Access Systems Inc DEVICES AND METHODS FOR ENDOVASCULAR ELECTROGRAPHY
CN102665541B (zh) 2009-09-29 2016-01-13 C·R·巴德股份有限公司 与用于导管的血管内放置的设备一起使用的探针
WO2011044421A1 (en) 2009-10-08 2011-04-14 C. R. Bard, Inc. Spacers for use with an ultrasound probe
BR112012019354B1 (pt) 2010-02-02 2021-09-08 C.R.Bard, Inc Método para localização de um dispositivo médico implantável
EP2575611B1 (en) 2010-05-28 2021-03-03 C. R. Bard, Inc. Apparatus for use with needle insertion guidance system
EP2575610B1 (en) 2010-05-28 2022-10-05 C. R. Bard, Inc. Insertion guidance system for needles and medical components
CA2806353A1 (en) 2010-08-09 2012-02-16 C.R. Bard Inc. Support and cover structures for an ultrasound probe head
WO2012024577A2 (en) 2010-08-20 2012-02-23 C.R. Bard, Inc. Reconfirmation of ecg-assisted catheter tip placement
CN103189009B (zh) 2010-10-29 2016-09-07 C·R·巴德股份有限公司 医疗设备的生物阻抗辅助放置
BR112013030348A2 (pt) 2011-07-06 2017-08-01 Bard Inc C R método para determinação de um comprimento de um componente médico para uso com um sistema de aquisição de imagem por ultrassom incluindo uma sonda; método para determinação de um comprimento de uma agulha por um sistema de orientação de agulha; e sistema de determinação de comprimento de agulha para um dispositivo de aquisição de imagem por ultrassom incluindo uma sonda de ultrassom
USD724745S1 (en) 2011-08-09 2015-03-17 C. R. Bard, Inc. Cap for an ultrasound probe
USD699359S1 (en) 2011-08-09 2014-02-11 C. R. Bard, Inc. Ultrasound probe head
US9211107B2 (en) 2011-11-07 2015-12-15 C. R. Bard, Inc. Ruggedized ultrasound hydrogel insert
US9616154B2 (en) * 2012-02-08 2017-04-11 Toray Industries, Inc. Stimuli-responsive material and medical material
EP2861153A4 (en) 2012-06-15 2016-10-19 Bard Inc C R APPARATUS AND METHODS FOR DETECTION OF A REMOVABLE CAP ON AN ULTRASONIC PROBE
KR101462390B1 (ko) * 2012-06-27 2014-11-17 코스맥스 주식회사 피부온도 감응성 하이드로겔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1467313B1 (ko) * 2013-03-26 2014-12-01 (주)메디웨이코리아 천연고분자를 이용한 스킨 벨벳 조성물, 이를 이용한 스킨 벨벳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스킨 벨벳
CN104434544A (zh) * 2013-09-16 2015-03-25 詹尼克公司 利用蕾丝片材的凝胶面膜
US10433700B2 (en) 2013-11-27 2019-10-08 Kimberly-Clark Worldwide, Inc. Multi-purpose tough stain removal articles
EP3073910B1 (en) 2014-02-06 2020-07-15 C.R. Bard, Inc. Systems for guidance and placement of an intravascular device
KR101602049B1 (ko) 2014-08-11 2016-03-09 주식회사 래디안 이중 하이드로겔 마스크팩의 제조방법
US10973584B2 (en) 2015-01-19 2021-04-13 Bard Access Systems, Inc. Device and method for vascular access
US10349890B2 (en) 2015-06-26 2019-07-16 C. R. Bard, Inc. Connector interface for ECG-based catheter positioning system
CN105287354B (zh) * 2015-11-02 2018-05-18 嘉文丽(福建)化妆品有限公司 一种无需添加面膜精华液的面膜材料的制备方法
AU2015416289B2 (en) * 2015-11-30 2022-02-03 Kimberly-Clark Worldwide, Inc. Structures containing thermo-sensitive gels
KR101768707B1 (ko) 2015-12-29 2017-08-16 주식회사 케이티에이치아시아 피부 온도 감응형 기능성 하이드로 겔을 이용한 생리통 완화용 패치 및 그 제조방법
KR101768709B1 (ko) 2015-12-30 2017-08-16 주식회사 케이티에이치아시아 피부 온도 감응형 기능성 하이드로 겔을 이용한 종아리 부종 완화용 패치 및 그 제조방법
KR101768708B1 (ko) 2015-12-30 2017-08-16 주식회사 케이티에이치아시아 피부 온도 감응형 기능성 하이드로 겔을 이용한 숙취 완화용 패치 및 그 제조방법
US11000207B2 (en) 2016-01-29 2021-05-11 C. R. Bard, Inc. Multiple coil system for tracking a medical device
KR101861555B1 (ko) 2016-12-21 2018-05-29 주식회사코리아코스팩 지지체가 없는 온도 감응형 3중 하이드로겔 마스크팩
KR102152300B1 (ko) 2017-11-22 2020-09-04 주식회사 에?뼛黴보俟? 쌀 마스크 팩 시트 및 이의 제조방법
CN108478485A (zh) * 2018-05-04 2018-09-04 邵立坤 一种温敏型水凝胶面膜及其制备方法
TWI690332B (zh) * 2018-09-20 2020-04-11 國立清華大學 複合水膠及其製備方法
KR102066799B1 (ko) * 2018-09-21 2020-01-15 중앙대학교 산학협력단 온도감응성 물 펌프 시스템
CN112867443B (zh) 2018-10-16 2024-04-26 巴德阿克塞斯系统股份有限公司 用于建立电连接的安全装备连接系统及其方法
KR102062093B1 (ko) * 2018-10-19 2020-01-03 숭실대학교 산학협력단 다층 및 다중구획된 자가변환 마스크팩 및 이의 제조방법
RU2732241C1 (ru) * 2020-05-06 2020-09-14 Общество с ограниченной ответственностью "ГельПласт" Биодеградируемая лечебно-профилактическая гидрогелевая пластина и способ её получения (варианты)
CN112029118B (zh) * 2020-08-27 2023-05-12 新疆赛诺凯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木醋液-碳气凝胶复合水凝胶膜及其制备方法和应用

Family Cites Families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291025A (en) * 1980-04-11 1981-09-22 Laclede Professional Products, Inc. Agar gel topical dressing
US4517216A (en) * 1984-03-05 1985-05-14 Merck & Co., Inc. Gellan gum/gelatin blends
JPS60246314A (ja) 1984-05-21 1985-12-06 Mitsubishi Acetate Co Ltd ゲルプレ−ト
US4593053A (en) 1984-12-07 1986-06-03 Medtronic, Inc. Hydrophilic pressure sensitive biomedical adhesive composition
JPS62123112A (ja) * 1985-11-22 1987-06-04 Sunstar Inc 軟膏基剤
JPS63104914A (ja) 1986-10-23 1988-05-10 Mitsubishi Kasei Corp 皮膚用製剤
US5064654A (en) 1989-01-11 1991-11-12 Ciba-Geigy Corporation Mixed solvent mutually enhanced transdermal therapeutic system
US4942158A (en) 1988-10-13 1990-07-17 Eastman Kodak Transdermal steroid penetrant compositions and methods utilizing isopropanol and isobutanol
JP2761936B2 (ja) 1989-08-24 1998-06-04 株式会社コーセー パック剤
JP3046346B2 (ja) 1990-03-12 2000-05-29 昭和電工株式会社 外用剤基剤又は補助剤とそれを含有する人又は動物の外用剤
US5804213A (en) 1991-10-09 1998-09-08 Lectec Corporation Biologically active aqueous gel wound dressing
JPH07501103A (ja) 1991-11-12 1995-02-02 ネペラ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長い使用寿命をもつ接着性ヒドロゲルおよびその調製法
US5536263A (en) 1994-03-30 1996-07-16 Lectec Corporation Non-occulusive adhesive patch for applying medication to the skin
US5840338A (en) * 1994-07-18 1998-11-24 Roos; Eric J. Loading of biologically active solutes into polymer gels
JP4279361B2 (ja) 1995-04-21 2009-06-17 小林製薬株式会社 皮膚貼付用含水ゲル基剤
US5958420A (en) * 1997-03-13 1999-09-28 Nortrade Medical, Inc. Treatment of burns, cuts, and abrasions of the skin
US6107537A (en) * 1997-09-10 2000-08-22 The Procter & Gamble Company Disposable absorbent articles providing a skin condition benefit
US7658942B2 (en) * 2000-04-12 2010-02-09 The Procter & Gamble Company Cosmetic devices
US6773713B2 (en) * 2001-02-23 2004-08-10 University Of Massachusetts Injection molding of living tissues
GB0107655D0 (en) * 2001-03-27 2001-05-16 Bristol Myers Squibb Co Wound dressing
JP2003113036A (ja) 2001-10-03 2003-04-18 Shiseido Co Ltd ゲル状組成物
JP2005515180A (ja) * 2001-11-13 2005-05-26 ザ プロクター アンド ギャンブル カンパニー 阻害物質で安定化させた酵素を含有する局所適用組成物
US6664301B1 (en) * 2002-02-20 2003-12-16 Robert D. Kross Method for using glycol additives to texturally modify natural gum hydrogels
KR100506543B1 (ko) 2003-08-14 2005-08-05 주식회사 제닉 온도 감응성 상태변화 하이드로겔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48712B1 (ko) * 2007-03-30 2008-07-28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광가교 가능한 온도 감응성 수화겔 조성물 및 이의제조방법
KR101367105B1 (ko) * 2011-10-04 2014-02-26 주식회사 제닉 마스크 기재용 하이드로겔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하이드로겔의 제조방법
KR101367608B1 (ko) * 2011-10-11 2014-03-05 주식회사 제닉 에멀젼화된 하이드로겔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313430B1 (ko) * 2012-10-15 2013-10-01 주식회사 케이티에이치아시아 피부온도 감응형 하이드로겔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1339622B1 (ko) * 2012-11-13 2013-12-09 유창석 피부온도 감응형 하이드로겔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1453191B1 (ko) * 2013-01-25 2014-10-22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온도 감응성 화장료 조성물
KR101502912B1 (ko) * 2013-09-06 2015-03-16 재단법인대구경북과학기술원 온도 감응성 졸-겔 전이 수화겔을 이용한 마스크 팩
KR20150032461A (ko) * 2013-09-16 2015-03-26 주식회사 제닉 레이스 시트를 이용한 하이드로겔 마스크팩
KR20180026973A (ko) * 2016-09-05 2018-03-14 이은주 자외선 차단 및 피부온도 유지용 패치
KR20190046610A (ko) * 2017-10-26 2019-05-07 성원기 수가용성 젤 시트 및 그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653921B1 (en) 2015-11-18
US8663664B2 (en) 2014-03-04
US20050037079A1 (en) 2005-02-17
KR100506543B1 (ko) 2005-08-05
JP2007502269A (ja) 2007-02-08
US20070280974A1 (en) 2007-12-06
CN100467011C (zh) 2009-03-11
WO2005016305A1 (en) 2005-02-24
RU2320318C2 (ru) 2008-03-27
JP4959328B2 (ja) 2012-06-20
EP1653921A1 (en) 2006-05-10
RU2006107928A (ru) 2007-09-20
CN1835734A (zh) 2006-09-20
EP1653921A4 (en) 2010-12-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06543B1 (ko) 온도 감응성 상태변화 하이드로겔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1774342B1 (ko) 하이드로겔 마스크팩 조성물, 이를 통해 제조된 하이드로겔 마스크팩 및 이의 제조방법
CN101926833B (zh) 水凝胶贴剂及其制备方法
CN1946429B (zh) 贴剂
CN105848640A (zh) 包含聚己内酯聚合物的局部用凝胶组合物以及用于增强有益剂的局部施用的方法
WO2010143196A1 (en) Novel synergistic transparent / translucent hydrogel composition; method of preparing it and a sheet / film made thereform
KR101768710B1 (ko) 주름개선 기능성을 갖는 속눈썹 연장시술용 패치 제조방법
CN105407870A (zh) 有机凝胶组合物及其制备的有机凝胶面膜
CN113827499A (zh) 化妆用凝胶薄膜及其制备方法
JP6778220B2 (ja) メラニンに関連する疾患の治療及び予防におけるイガイ接着タンパク質製品の適用
CN107693381A (zh) 一种含有柔性纳米脂质体的巴布贴面膜
CN103211753B (zh) 一种凝胶剂基质
CN115006265A (zh) 一种分离式凝胶面膜
US20110190401A1 (en) Depolymerized polysaccharide-based hydrogel adhesive and methods of use thereof
KR20190067020A (ko) 점착성 하이드로겔 조성물
EP0948363A1 (de) Extrem flexibles, dermal oder transdermal wirkendes pflaster und verfahren zu seiner herstellung
KR101130993B1 (ko) 펄프를 포함하는 상변화 하이드로겔
KR20100085411A (ko) 상변화 미용겔 조성물
CN109316628A (zh) 一种凝胶及其制备方法和应用
Viyoch et al. Formulation and development of a patch containing tamarind fruit extract by using the blended chitosan–starch as a rate‐controlling matrix
CN101274118B (zh) 夹合自粘贴载药膜的理疗电极片及其制备方法
KR100970922B1 (ko) 체온에서 상전이가 가능한 피부탄력, 보습 및 약물침투를 증진시키는 패치조성물
CN1269206A (zh) 风湿骨痛贴膏巴布剂制作方法
CN105213677A (zh) 一种用于表面麻醉的中药膜及其制备方法
KR20190069241A (ko) 점착성 하이드로겔 시트의 제조벙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J204 Request for invalidation trial [patent]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090616

Effective date: 20100817

J2X1 Appeal (before the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INVALIDATION

J302 Written judgement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JUDGMENT (PATENT COURT)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100917

Effective date: 20110908

J2X2 Appeal (before the supreme court)

Free format text: APPEAL BEFORE THE SUPREME COURT FOR INVALIDATION

J204 Request for invalidation trial [patent]
J206 Request for trial to confirm the scope of a patent right
J303 Written judgement (supreme court)

Free format text: JUDGMENT (SUPREME COURT)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110926

Effective date: 20120112

J121 Written withdrawal of request for trial
J121 Written withdrawal of request for trial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2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26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25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13

Year of fee payment: 19

J206 Request for trial to confirm the scope of a patent right
J121 Written withdrawal of request for tri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