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32461A - 레이스 시트를 이용한 하이드로겔 마스크팩 - Google Patents

레이스 시트를 이용한 하이드로겔 마스크팩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32461A
KR20150032461A KR20140105812A KR20140105812A KR20150032461A KR 20150032461 A KR20150032461 A KR 20150032461A KR 20140105812 A KR20140105812 A KR 20140105812A KR 20140105812 A KR20140105812 A KR 20140105812A KR 20150032461 A KR20150032461 A KR 2015003246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sk pack
hydrogel
hydrogel mask
group
lace she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401058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02331B1 (ko
Inventor
유현오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제닉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53025593&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20150032461(A)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제닉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제닉
Priority to CN201410468273.9A priority Critical patent/CN104434544A/zh
Publication of KR201500324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3246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023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0233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4/00Other cosmetic or toiletry articles, e.g. for hairdressers' rooms
    • A45D44/002Masks for cosmetic treatment of the face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4/00Other cosmetic or toiletry articles, e.g. for hairdressers' rooms
    • A45D44/22Face shaping devices, e.g. chin straps; Wrinkle removers, e.g. stretching the skin

Landscapes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레이스 시트를 이용한 하이드로겔 마스크팩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망사로 이루어진 바닥 조직부 및 상기 망사의 구멍이 채워진 무늬 조직부로 구성되며, 상기 무늬 조직부의 두께는 상기 바닥 조직부의 두께보다 두꺼운 레이스 시트; 및 상기 레이스 시트 상에 형성된 하이드로겔층을 포함하는, 레이스 시트를 이용한 하이드로겔 마스크팩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레이스 시트를 이용한 하이드로겔 마스크팩{HYDROGEL MASK PACK USING LACE SHEET}
본 발명은 레이스 시트를 이용한 하이드로겔 마스크팩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밀착력 및 부착성이 우수하여 마스크팩 조성물의 피부 적용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지지층과 하이드로겔층의 밀림 현상이 억제되는 마스크팩용 레이스 시트를 이용한 하이드로겔 마스크팩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피부 미용을 위한 마스크팩 조성물의 지지체로 사용되는 시트로는 부직포 또는 순면 등의 직물을 이용하고 있으며, 통상적인 마스크팩은 이와 같은 지지체 상에 기능성이 있다고 알려진 여러 가지 성분들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함침하여 제조되고 있다.
피부에 대한 보습, 피부 보호 작용, 피부 활성화 등을 목적으로 하여 만들어진 피부 미용 성분들은 피부에 대한 진정 작용, 피부 트러블 예방, 거친 피부의 회복 등과 같은 효능을 부여하여 사용자가 맑고 건강한 피부를 유지하도록 도움을 줄 수 있다.
마스크팩에 관한 공지 기술로는, 실용신안등록 제20-416534호 "마스크팩"(특허문헌 1), 실용신안등록 제20-441977호 "마스크팩"(특허문헌 2), 특허 제10-1296105호 "하이드로겔화된 부직포,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마스크팩"(특허문헌 3) 등이 공개되어 있다.
상기 특허문헌 1의 기술내용을 검토하여 보면, 마스크팩을 사용할 때 피부에 접촉하지 않는 면에 은으로 코팅된 수지필름사로 이루어진 직조물을 채용함으로써, 양쪽 모두에 내용물이 있고, 마스크팩이 피부와 접촉하는 팩 면을 은으로 내부 코팅하여 다루기 편하게 하고, 무게를 주어 얼굴에서 한쪽으로 몰리거나 쏠리는 현상을 제거하였으며, 마사지를 하거나 손으로 다루기가 편한 장점이 있다.
특허문헌 2의 기술내용을 검토하여 보면, 화장수와 같은 팩 재료를 시트지에 함침하며, 얼굴 부위 팩부분과 목 부위 팩부분을 포함는 일체의 형태로 제조하고, 부분 절개부를 형성하도록 구성하여 얼굴과 목 부분에 동시에 팩을 적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특허문헌 3의 기술내용을 검토하여 보면, 부직포 전체를 하이드로겔 수용액에 함침시켜 하이드로겔화 된 부직포를 얻으며, 상기 하이드로겔화 된 부직포 마스크팩은 부직포이면서도 하이드로겔에 의해 피부에 대한 밀착력이 우수하고, 종래 하이드로겔화 된 마스크팩과 같이 늘어나지 않기 때문에 얼굴 등에 고정시키기가 용이한 것으로 기재하고 있다.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은 상기 공지 기술의 경우 마스크 팩의 지지를 위해 사용된 소재가 직조물 또는 부직포로 제조된 것들이기 때문에, 다양한 디자인의 표현이 어렵고, 얼굴과의 밀착력이 높지 않을 뿐 아니라, 피부를 당겨주는 느낌, 밀착성 및 부착성이 부족한 문제가 있다.
이에 본 발명의 한 측면은 부착성, 신축성 및 피부 밀착력이 우수한, 레이스 시트를 이용한 하이드로겔 마스크팩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견지에 의하면, 망사로 이루어진 바닥 조직부 및 상기 망사의 구멍이 채워진 무늬 조직부로 구성되며, 상기 무늬 조직부의 두께는 상기 바닥 조직부의 두께보다 두꺼운 레이스 시트; 및 상기 레이스 시트 상에 형성된 하이드로겔층을 포함하는, 레이스 시트를 이용한 하이드로겔 마스크팩이 제공된다.
상기 바닥 조직부는 20 내지 100D 굵기의 섬유를 이용하여 제조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무늬 조직부는 40 내지 400D 굵기의 섬유를 이용하여 제조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무늬 조직부의 두께는 상기 바닥 조직부 두께의 1배 초과 내지 3배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바닥 조직부와 무늬 조직부의 면적은 1:0.1 내지 1:1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바닥 조직부 및 무늬 조직부는 각각 독립적으로 폴리우레탄, TPE(thermoplastic elastomer), 나일론, 폴리에스테르, 비스코스레이온, 아크릴, 폴리올레핀, 초고분자량 폴리에틸렌(UHMW-PE), 폴리락트산(PLA), 폴리카프로락톤(PCL), 폴리글리콜산(PGA), 폴리-L-락틱산(PLLA), 폴리비닐알콜(PVA), 폴리하이드록시부티레이트(PHB), 폴리하이드록시벨러레이트 (PHV), 폴리언하이드라이드(Polyanhydride), 폴리오르도에스테르(Polyorthoesters), 폴리이미노카르보네이트(Polyiminocarbonate), 키토산 및 라텍스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섬유로 제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레이스 시트는 신장율이 10 내지 30%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하이드로겔층은 100 내지 10000 cps의 점도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하이드로겔층은 갈락토만난, 클루코만난, 구아껌, 로카스트 빈 껌 및 플루로닉으로 구성된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최소 1종의 물에 용해가능한 다당류 고분자인 가지형 겔화 고분자 0.1-10중량%; 아가, 알긴, 카라기난, 잔탄 및 겔란으로 구성된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최소 1종의 다당류의 전해질 고분자인 전해형 겔화 고분자 0.1-10중량%; 피부유효성분 0.1-10중량%; 다가알코올 1-20중량%; 기능성 첨가제 0.01-10중량% 및 잔부의 물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피부유효성분은 레티놀, 레티닐팔미테이트, 레티닐 아세테이트, 레티노인산, 코엔자임 큐텐, 엘라스틴, 콜라겐, 히알루론산, 세라마이드, 콜라겐, 카페인, 키토산, 아스코르빈산, 아스코르빌글루코사이드, 알파비사볼롤, 토코페롤, 토코페롤아세테이트, 알부틴, 니아신아마이드, 아데노신, 레티놀아세테이트, 비타민 A, D, E, 및 천연추출물로 이루어지는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천연 추출물은 알로에, 녹차, 인삼, 홍삼, 진주, 목초액, 솔잎, 은행잎, 프로폴리스, 뽕잎, 누에, 달팽이 점액, 카카두플럼, 카무카무, 야사이야자, 스쿠알란, 캐비어, 브로콜리, 블루베리, 위치하젤, 아세로라, 클로렐라, 망고스틴, 구아바, 산수유, 당근, 카페인, 하마멜리스, 스피룰리나, 연어알, 감태, 자이언트켈프, 곤포, 마치현, 파래, 우뭇가사리, 뽕 나무 뿌리, 라즈베리, 산딸기, 톳, 모자반, 에델바이스, 카모마일, 라벤더, 페퍼민트, 유칼립투스, 레몬밤, 오레가노, 티트리, 황금, 어성초, 산자나무 및 유자로 이루어지는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다가알코올은 글리세린, 에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디프로필렌글리콜 및 부틸렌글리콜로 이루어지는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기능성 첨가제는 방부제, 증점제, 향료, 보습제, 계면활성제 및 오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의하면, 레이스 시트를 이용한 하이드로겔 마스크팩이 제공되며, 본 발명은 하이드로겔층의 지지를 위하여 레이스 시트를 이용함으로써, 하이드로겔 코팅시 지지체와 하이드로겔층의 밀림 현상이 억제되고, 향상된 신축성, 부착성 및 피부밀착성을 획득할 수 있으며, 나아가 다양한 디자인의 선택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하이드로겔 마스크팩에 이용될 수 있는 레이스 시트의 일 예를 나타낸 사진이다.
도 2(a) 내지 (c)는 본 발명에 따른 하이드로겔 마스크팩의 일 제조예를 나타낸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를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 형태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하 설명하는 실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레이스 시트를 이용한 하이드로겔 마스크팩이 제공된다. 보다 상세하게, 본 발명은 망사로 이루어진 바닥 조직부 및 상기 망사의 구멍이 채워진 무늬 조직부로 구성되며, 상기 무늬 조직부의 두께는 상기 바닥 조직부의 두께보다 두꺼운 레이스 시트; 및 상기 레이스 시트 상에 형성된 하이드로겔층을 포함하여 형성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하이드로겔 마스크팩에 이용될 수 있는 레이스 시트(10)의 일 예를 나타낸 것으로, 망사로 이루어진 바닥 조직부(20)와 상기 망사의 구멍이 채워진 무늬 조직부(30)로 구성되며, 상기 무늬 조직부의 두께는 상기 바닥 조직부의 두께보다 두꺼운 레이스 시트(10)를 나타낸 것으로, 그 결과 얇은 바닥 조직부에 의해 유연성, 피부 밀착성 및 부착성을 보유하면서도, 무늬 조직부에 의해 하이드로겔층과의 밀림 현상이 방지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의 하이드로겔 마스크팩에 사용되는 레이스 시트는 상술한 바와 같이 유연성이 있는 바닥 조직부를 포함하면서 레이스 시트의 적어도 일부에는 망사의 구멍이 채워진 무늬 조직부를 포함하며, 상기 무늬 조직부의 두께는 상기 바닥 조직부의 두께보다 두꺼운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무늬 조직부의 두께는 상기 바닥 조직부 두께의 1배 초과 내지 3배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며, 한편 상기 무늬 조직부의 두께가 상기 바닥 조직부 두께의 3배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하이드로겔층의 지지 역할을 하는 레이스 시트의 두께 편차가 과도해지므로 오히려 하이드로겔층과의 밀착성이 저하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무늬 조직부 두께와 상기 바닥 조직부 두께를 조절하기 위하여 각각 동일한 굵기의 섬유를 사용하되, 무늬 조직부 부분을 수차례 거듭 매거나, 꼬거나, 엮거나 또는 얽어서 조직을 두껍게 할 수 있고, 또는 다른 방법으로 동일한 굵기의 섬유를 사용하되, 무늬 조직부를 형성하는 경우 여러 올로 엮인 복합 섬유를 사용할 수 있으며, 또 다른 방법으로는 다른 굵기를 갖는 섬유를 이용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 상기 바닥 조직부는 20 내지 100D 굵기의 섬유를 이용하여 제조하고, 상기 무늬 조직부는 40 내지 400D 굵기의 섬유를 이용하여 제조함으로써 바닥 조직부가 상대적으로 두껍게 형성되어 입체감이 부여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바닥 조직부를 형성하는 섬유의 굵기가 20D(데니어) 미만인 경우에는 그 결과 형성되는 바닥 조직부의 두께가 너무 얇아지므로, 내구성이 저하되고, 취급에 어려움이 발생할 수 있으며, 상기 바닥 조직부를 형성하는 섬유의 굵기가 100D(데니어)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전체적인 바닥 조직부의 두께가 너무 두꺼워지므로, 유연성이 저하됨에 따라, 피부밀착성 및 부착성이 저하되는 경향이 있다.
한편, 상기 무늬 조직부를 형성하는 섬유의 굵기가 40D(데니어) 미만인 경우에는 무늬의 입체감 표현이 미흡해지는 경향이 있으며, 상기 무늬 조직부를 형성하는 섬유의 굵기가 400D(데니어)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바닥 조직부와의 두께 차이가 과도해지며, 촉감 및 밀착력이 저하되는 경향이 있으므로, 바람직하지 않다.
이때, 상기 레이스 시트의 두께는 0.01 내지 5mm인 것이 바람직하며, 0.05 내지 2mm 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레이스 시트의 두께가 0.01mm 미만인 경우 두께가 과도하게 얇아지기 때문에 제조 과정 및 유통 과정에서 쉽게 찢어지거나, 하이드로겔층이 충분히 코팅 또는 지지되지 못하여 이에 포함된 피부미용 성분이 피부에 충분히 전달되지 못할 수 있으며, 두께가 5mm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지지체인 레이스 시트가 두껍고 뻣뻣하게 제조되어 피부에 대한 밀착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이때 상기 레이스 시트의 두께는 레이스 시트 중 무늬 조직부와 바닥조직부의 총두께, 즉 레이스 시트의 두께 중 가장 두꺼운 두께를 측정한 값을 의미하는 것이다.
상기 바닥 조직부와 무늬 조직부의 면적은 1:0.1 내지 1:1인 것이 바람직하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면적은 1:0.2 내지 1:0.8인 것이다. 무늬 조직부의 면적 비율이 바닥 조직부를 기준으로 0.1 미만인 경우에는 지지력이 약한 바닥 조직부가 과도하게 넓은 면적을 차지하게 되므로 레이스 시트의 하이드로겔층 지지 역할이 불충분하게 수행될 수 있으며, 내구성이 저하되고, 취급에 어려움이 발생할 수 있다. 한편, 바닥 조직부이 비하여 무늬 조직부의 면적이 1:1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유연성이 저하되고, 피부밀착성 및 부착성이 저하될 수 있다.
상기 바닥 조직부 및 무늬 조직부는 각각 독립적으로 폴리우레탄, TPE(thermoplastic elastomer), 나일론, 폴리에스테르, 비스코스레이온, 아크릴, 폴리올레핀, 초고분자량 폴리에틸렌(UHMW-PE), 폴리락트산(PLA), 폴리카프로락톤(PCL), 폴리글리콜산(PGA), 폴리-L-락틱산(PLLA), 폴리비닐알콜(PVA), 폴리하이드록시부티레이트(PHB), 폴리하이드록시벨러레이트 (PHV), 폴리언하이드라이드(Polyanhydride), 폴리오르도에스테르(Polyorthoesters), 폴리이미노카르보네이트(Polyiminocarbonate), 키토산 및 라텍스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섬유로 제조될 수 있으며, 상기 바닥 조직부 및 무늬 조직부는 동일하거나 또는 상이한 섬유로 제조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 상기 아크릴은 랜실(Lanseal)일 수 있으며, 상기 올레핀은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 및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상기 레이스 시트는 신장율이 10-30%인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신장율이 10% 미만인 경우에는 신축성이 떨어져서 본 발명의 마스크 팩이 피부의 굴곡에 맞춰 밀착되디 어렵고, 피부를 당겨주는 효과인 리프트업 유지 효과 및 부착성이 충분하지 않을 수 있으며, 신장율이 30%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겔 코팅 시 레이스가 밀리면서 코팅 두께가 균일하게 유지되지 못하고, 표면이 울퉁불퉁해지며, 성형 후 모양도 수축되는 등 안정적이지 못한 경향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라 제편된 레이스 시트의 신장 회복율은 85%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신장률이 85% 미만인 경우에는 하이드로겔 마스크팩이 구겨지는 경향이 발생할 수 있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레이스 시트를 이용한 하이드로겔 마스크팩을 구성하는 레이스 시트는 본 발명과 같이 상기 레이스 시트 상에 하이드로겔층이 형성되어 제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만, 무늬 조직부의 경우 바닥 조직부에 비하여 두꺼운 두께를 보유하므로, 무늬 조직부에는 일부 하이드로겔이 함침된 형태로 포함될 수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상기 하이드로겔층은 100 내지 10000 cps의 점도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500 내지 5000 cps의 점도를 갖는 것이다. 상기 하이드로겔층의 점도가 100 cps 미만인 경우에는 하이드로겔의 유동성이 크므로 시트 형태의 유지가 어려운 문제가 있으며, 10000 cps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피부에 대한 밀착성이 저하되는 경향이 있다.
한편, 상기 하이드로겔층은 상술한 바와 같은 점도를 갖는 것이면 특히 제한되지 않으나, 예를 들어 상기 하이드로겔층은 갈락토만난, 클루코만난, 구아껌, 로카스트 빈 껌 및 플루로닉으로 구성된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최소 1종의 물에 용해가능한 다당류 고분자인 가지형 겔화 고분자 0.1-10중량%; 아가, 알긴, 카라기난, 잔탄 및 겔란으로 구성된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최소 1종의 다당류의 전해질 고분자인 전해형 겔화 고분자 0.1-10중량%; 피부유효성분 0.1-10중량%; 다가알코올 1-20중량%; 기능성 첨가제 0.01-10중량% 및 잔부의 물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피부유효성분은 레티놀, 레티닐팔미테이트, 레티닐 아세테이트, 레티노인산, 코엔자임 큐텐, 엘라스틴, 콜라겐, 히알루론산, 세라마이드, 콜라겐, 카페인, 키토산, 아스코르빈산, 아스코르빌글루코사이드, 알파비사볼롤, 토코페롤, 토코페롤아세테이트, 알부틴, 니아신아마이드, 아데노신, 레티놀아세테이트, 비타민 A, D, E, 및 천연추출물로 이루어지는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일 수 있으며, 이 때 상기 천연 추출물은 알로에, 녹차, 인삼, 홍삼, 진주, 목초액, 솔잎, 은행잎, 프로폴리스, 뽕잎, 누에, 달팽이 점액, 카카두플럼, 카무카무, 야사이야자, 스쿠알란, 캐비어, 브로콜리, 블루베리, 위치하젤, 아세로라, 클로렐라, 망고스틴, 구아바, 산수유, 당근, 카페인, 하마멜리스, 스피룰리나, 연어알, 감태, 자이언트켈프, 곤포, 마치현, 파래, 우뭇가사리, 뽕 나무 뿌리, 라즈베리, 산딸기, 톳, 모자반, 에델바이스, 카모마일, 라벤더, 페퍼민트, 유칼립투스, 레몬밤, 오레가노, 티트리, 황금, 어성초, 산자나무 및 유자로 이루어지는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일 수 있으며, 다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다가알코올은 글리세린, 에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디프로필렌글리콜 및 부틸렌글리콜로 이루어지는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일 수 있으며, 다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기능성 첨가제는 방부제, 증점제, 향료, 보습제, 계면활성제 및 오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일 수 있으며, 다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방부제로서는 메틸파라벤, 프로필파라벤과 같은 파라벤류, 페녹시에탄올, 1,2-헥산디올, 카프릴하이드록사믹액시드, 에틸헥실글리세린 등이 사용될 수 있고, 계면활성제로는 예를 들어, 글리세릴스테아레이트, 레시틴, 소르비탄스테아레이트, 소르비탄세스퀴올리에이트, 소르비탄올리에이트, 소르비탄팔미테이트, C14-22 알코올/C12-20 알킬글로코사이드, 스테아릴알콜/스테아릴글루코사이드, 폴리소르베이트 60, PEG-100 스테아레이트, 글리세릴스테아레이트, PEG-4 올리에이트,소르비탄올리에이트,폴리글리세릴-3 메틸글로코오스티스테아레이트 등이 사용될 수 있으며, 상기 보습제로서는 글리세린, 에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디프로필렌글리콜, 부틸렌글리콜, 소듐히알루로네이트, 베타인, 트레할로스, 젖산나트륨, 솔비톨 등이 사용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사용될 수 있는 레이스 시트의 형태, 모양 등은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다양한 색상으로 제조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사용될 수 있는 레이스 시트는 통상의 기술자에게 알려진 어떠한 레이스 제조방법으로 제한 없이 제조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랏셀편기로 제편한 레이스지를 재단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보다 상세하게는 랏셀편기에 장착된 컴퓨터 자카드에 입력된 디자인으로 제편이 이루어질 수 있으나, 반드시 컴퓨터 자카드가 장착된 랏셀편기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일반 랏셀편기, 즉 패턴체인 또는 체인드럼을 이용하여 디자인이 제편되도록 하는 장치에 의해 제조된 것일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망사로 구성되는 바닥조직부의 제편을 위한 빔, 즉 실이 감겨진 도구를 랏셀편기 뒷쪽에 설치하고, 무늬조직부 제편을 위한 빔을 랏셀편기 앞쪽에 설치하여 제편이 이루어지게 할 수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이 제편된 레이스 시트 지지체는 계면활성제 용액으로 전처리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전처리된 레이스 시트는 유연성이 증가하며, 그 결과 피부 밀착성이 증가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레이스 시트의 전처리에 사용될 수 있는 계면활성제 용액에 포함되는계면활성제는 음이온성 계면활성제, 양이온성 계면활성제, 및 쯔비터이온성 계면활성제(switterionic detergent)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소듐 도데실 설페이트(SDS), 리튬 도데실 설페이트(LDS), 트리톤, 트윈(Tween), CHAPS, CTAB, DTAB, TDTAB, CPC, 콜산(cholic acid), 및 옥틸-D-글루코사이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일 수 있으며, 상기 계면활성제 용액은 이와 같은 계면활성제를 0.1 내지 5 중량%의 함량으로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계면활성제 용액은 수용액인 것이 바람직하며, 물과 알코올을 혼합한 혼합 용액이 사용될 수 있고, 상기 계면활성제 용액 내의 계면활성제의 함량이 0.1 중량% 미만인 경우에는 전처리 효과가 미미한 문제가 있으며, 5 중량&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세척되지 않은 잔류 계면활성제가 피부에 부작용을 일으키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계면활성제 용액으로 전처리 한 상기 레이스 시트는 레이스 시트를 상기 계면활성제 용액 내에 함침하여 전처리하고, 물로 세척한 후, 건조하여 하이드로겔 마스크팩의 지지체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건조는 자연 건조, 열풍 건조 등에 의해 수행될 수 있으며, 건조 방식이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상기 레이스 시트 상에 하이드로겔층을 형성하는 당해 기술분야에 알려진 어떠한 방법을 사용할 수 있으며, 특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상기 레이스 시트 상에 도포 내지 코팅하는 과정을 통해 하이드로겔층을 형성할 수 있으며,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예시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실시예 1
상온에서 3L 가열 용기에 교반하면서 먼저 글리세린 170g, 카라기난 6g, 및 로카스트빈검 20g을 혼합하고, 여기에 글리세린 30g에 메틸파라벤 0.8g과 프로필파라벤 0.3g을 용해시킨 용액을 첨가하여 혼합액을 만들고 혼합액에 탈이온수 740g을 투입하여 온도를 85℃로 상승시켜 겔 용액을 제조하였다. 온도 85℃를 유지시키면서 겔용액에 순차적으로 히알루론산 20g, 콜라겐 5.7g, 레티놀 2g, 소르비탄스테아레이트 1.5g, 및 진주추출물 3.7g을 첨가하여 하이드로겔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이때 상기 하이드로겔 조성물의 점도는 1000cps로 측정되었다. 상기 점도는 75℃에서 Brookfield Viscometer DV-Ⅱ Pro 점도계로 측정하였다.
상기와 같이 제조된 하이드로겔 용액을 신장(탄성)율이 10%, 신장회복율이 85%, 바닥조직부 20D, 무늬조직부 40D, 바닥 조직부와 무늬조직부의 면적이 1: 0.5인, 나일론 레이스 상에 코팅하고, 원하는 모양으로 성형하여 마스크팩을 제조하였다. 이때, 상기 나일론 레이스 지지체는 0.2% 트리톤 계면활성제로 전처리하고 수세한 후 건조시킨 것이다.
이때, 상기 신장(탄성)율은 JIS L 1096 방법, 신장회복율은 KS K 0352 방법으로 측정하였다.
실시예 2
신장탄성율이 20%, 신장회복율이 90%, 바닥조직부 20D, 무늬조직부 150D, 바닥 대 무늬 조직부 면적이 1:0.8인, 폴리에스테르 레이스 상에 코팅한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제조하였다.
실시예 3
신장탄성율이 10%, 신장회복율이 92%, 바닥조직부 30D, 무늬조직부 75D, 바닥 대 무늬조직부 면적이 1: 0.5인, 폴리에스테르 레이스 상에 코팅한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제조하였다.
실시예 4
신장탄성율이 20%이며, 신장회복율이 88%, 바닥조직부 30D, 무늬조직부 75D인, 폴리에스테르 레이스 상에 코팅한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제조하였다.
실시예 5
신장탄성율이 30%이며, 신장회복율이 94%, 바닥조직부 10D, 무늬조직부 75D인, 랜실 레이스 상에 코팅한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제조하였다.
실시예 6-10
본 발명에 의한 실시예 6-10의 마스크팩은 하기 표 1의 조건에 따라 제조하였다. 하기 표에서 명시되지 않은 부분은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제조하였다.
실시예 6 실시예 7 실시예 8 실시예 9 실시예 10
지지체 섬유 레이온 아크릴 폴리락트산 키토산 폴리글리콜산
신장(탄성)율 10% 10% 15% 10% 20%
신장회복율 85% 90% 95% 80% 90%
A 바닥조직부 (D) 20D 50D 30D 20D 50D
B 무늬조직부 (D) 100D 50D 80D 50D 100D
A:B의 면적비율 1:0.5 1:0.8 1:0.2 1:0.5 1:0.6
비교예 1-4
상기 실시예 1의 방법에 따라 하이드로겔 용액을 동일하게 제조하였으나, 레이스 지지체는 아래 표 2의 조건와 같이 제편하여 하이드로겔 용액을 코팅하여 비교예 1-4의 마스크팩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1 비교예 2 비교예 3 비교예 4
지지체섬유 나일론 폴리에틸렌 나일론 폴리에틸렌
신장(탄성)율 0.5% 50% 0.8% 35%
신장회복율 80% 82% 77% 75%
바닥조직부 (D) 20D 50D 20D 150D
무늬조직부 (D) 20D 20D 450D 20D
비교예 5
계면활성제 용액으로 전처리하지 않은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마스크팩을 제조하였다.
시험예 1: 피부밀착성 및 부착성 관능 테스트
20-30대 여성 30명을 대상으로 상기 실시예 1, 4, 8 및 10, 그리고 비교예 1 및 5에 따라 제조된 마스크팩을 얼굴에 부착한 후, 밀착감, 부착성, 사용감(촉감, 수분감)에 대한 기호도를 9점 척도법으로 평가하여 그 평균값을 하기 표 3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1 실시예 4 실시예 8 실시예 10 비교예 1 비교예 5
밀착성 7.2 8.5 8.2 8.1 3.2 2.5
부착성(흘러내림 정도) 8.2 8.7 8.5 8.0 1.2 1.5
사용감 7.8 8.6 8.4 8.0 3.5 2.7
상기 표 3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의해 제조된 마스크팩의 경우 우수한 밀착성, 부착성 및 사용감을 갖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한편, 도 2(a) 내지 도 2(c)는 각각 상기 실시예 1, 3 및 5에서 제조된 본 발명의 마스크팩의 사진으로, 피부 밀착성이 우수하고 다양한 디자인 및 색감의 적용이 가능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은 당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할 것이다.
10: 레이스 시트
20: 바닥 조직부
30: 무늬 조직부

Claims (15)

  1. 망사로 이루어진 바닥 조직부 및 상기 망사의 구멍이 채워진 무늬 조직부로 구성되며, 상기 무늬 조직부의 두께는 상기 바닥 조직부의 두께보다 두꺼운 레이스 시트; 및
    상기 레이스 시트 상에 형성된 하이드로겔층
    을 포함하는, 레이스 시트를 이용한 하이드로겔 마스크팩.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 조직부는 20 내지 40D 굵기의 섬유를 이용하여 제조된, 레이스 시트를 이용한 하이드로겔 마스크팩.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무늬 조직부는 40 내지 200D 굵기의 섬유를 이용하여 제조된, 레이스 시트를 이용한 하이드로겔 마스크팩.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무늬 조직부의 두께는 상기 바닥 조직부 두께의 1배 초과 내지 3배 이하인, 레이스 시트를 이용한 하이드로겔 마스크팩.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 조직부와 무늬 조직부의 면적은 1:0.1 내지 1:1인, 레이스 시트를 이용한 하이드로겔 마스크팩.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 조직부 및 무늬 조직부는 각각 독립적으로 폴리우레탄, TPE(thermoplastic elastomer), 나일론, 폴리에스테르, 비스코스레이온, 랜실(Lanseal),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 폴리락트산(PLA) 및 라텍스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섬유로 제조되는, 레이스 시트를 이용한 하이드로겔 마스크팩.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레이스 시트는 신도가 10 내지 30%인, 레이스 시트를 이용한 하이드로겔 마스크팩.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이드로겔층은 100 내지 10000 cps의 점도를 갖는, 레이스 시트를 이용한 하이드로겔 마스크팩.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이드로겔층은 갈락토만난, 클루코만난, 구아껌, 로카스트 빈 껌 및 플루로닉으로 구성된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최소 1종의 물에 용해가능한 다당류 고분자인 가지형 겔화 고분자 0.1-10중량%; 아가, 알긴, 카라기난, 잔탄 및 겔란으로 구성된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최소 1종의 다당류의 전해질 고분자인 전해형 겔화 고분자 0.1-10중량%; 피부유효성분 0.1-10중량%; 다가알코올 1-20중량%; 기능성 첨가제 0.01-10중량% 및 잔부의 물을 포함하는, 레이스 시트를 이용한 하이드로겔 마스크팩.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피부유효성분은 레티놀, 레티닐팔미테이트, 레티닐 아세테이트, 레티노인산, 코엔자임 큐텐, 엘라스틴, 콜라겐, 히알루론산, 세라마이드, 콜라겐, 카페인, 키토산, 아스코르빈산, 아스코르빌글루코사이드, 알파비사볼롤, 토코페롤, 토코페롤아세테이트, 알부틴, 니아신아마이드, 아데노신, 레티놀아세테이트, 비타민 A, D, E, 및 천연추출물로 이루어지는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인, 레이스 시트를 이용한 하이드로겔 마스크팩.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천연 추출물은 알로에, 녹차, 인삼, 홍삼, 진주, 목초액, 솔잎, 은행잎, 프로폴리스, 뽕잎, 누에, 달팽이 점액, 카카두플럼, 카무카무, 야사이야자, 스쿠알란, 캐비어, 브로콜리, 블루베리, 위치하젤, 아세로라, 클로렐라, 망고스틴, 구아바, 산수유, 당근, 카페인, 하마멜리스, 스피룰리나, 연어알, 감태, 자이언트켈프, 곤포, 마치현, 파래, 우뭇가사리, 뽕 나무 뿌리, 라즈베리, 산딸기, 톳, 모자반, 에델바이스, 카모마일, 라벤더, 페퍼민트, 유칼립투스, 레몬밤, 오레가노, 티트리, 황금, 어성초, 산자나무 및 유자로 이루어지는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인, 레이스 시트를 이용한 하이드로겔 마스크팩.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가알코올은 글리세린, 에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디프로필렌글리콜 및 부틸렌글리콜로 이루어지는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인, 레이스 시트를 이용한 하이드로겔 마스크팩.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능성 첨가제는 방부제, 증점제, 향료, 보습제, 계면활성제 및 오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인, 레이스 시트를 이용한 하이드로겔 마스크팩.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레이스 시트는 계면활성제 용액으로 전처리 된 레이스 시트인, 레이스 시트를 이용한 하이드로겔 마스크팩.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계면활성제 용액은 음이온성 계면활성제, 양이온성 계면활성제, 및 쯔비터이온성 계면활성제(switterionic detergent)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계면활성제를 0.1 내지 5 중량%의 함량으로 포함하는, 레이스 시트를 이용한 하이드로겔 마스크팩.
KR1020140105812A 2013-09-16 2014-08-14 레이스 시트를 이용한 하이드로겔 마스크팩 KR10160233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410468273.9A CN104434544A (zh) 2013-09-16 2014-09-15 利用蕾丝片材的凝胶面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10841 2013-09-16
KR20130110841 2013-09-1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32461A true KR20150032461A (ko) 2015-03-26
KR101602331B1 KR101602331B1 (ko) 2016-03-11

Family

ID=530255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05812A KR101602331B1 (ko) 2013-09-16 2014-08-14 레이스 시트를 이용한 하이드로겔 마스크팩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02331B1 (ko)

Cited B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17129B1 (ko) * 2015-04-09 2015-05-04 (주)부광 피부 미용 마스크팩 시트용 이형지의 제조방법 및 그에 따른 마스크팩 시트용 이형지
KR101579419B1 (ko) * 2015-04-02 2015-12-23 주식회사 제닉 마스크 팩용 베이스 시트 및 이를 이용한 마스크 팩
WO2016159477A1 (ko) * 2015-04-02 2016-10-06 주식회사 제닉 마스크 팩용 베이스 시트 및 이를 이용한 마스크 팩
WO2016167629A1 (ko) * 2015-04-16 2016-10-20 한국화장품 주식회사 가면 형상의 화장용 시트 마스크
KR20160003814U (ko) * 2015-04-27 2016-11-04 정연호 문양이 인쇄된 화장용 마스크
KR101700935B1 (ko) * 2016-05-20 2017-01-31 최종인 면라셀-스판 피부미용 마스크
KR101723183B1 (ko) * 2016-11-17 2017-04-05 주식회사 케이티에이치아시아 피부 온도 감응형 하이드로 오일 겔의 제조방법
WO2018012732A1 (ko) * 2016-07-12 2018-01-18 에이치앤비 주식회사 마스크팩 및 그 제조방법
KR20180001611U (ko) * 2016-11-22 2018-05-30 주식회사 베라카코스메틱스 에센스 아이 마스크 팩
KR101866175B1 (ko) * 2015-10-15 2018-06-11 주식회사 제닉 미용용 팩 시트의 제조 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팩 시트
CN108992374A (zh) * 2018-08-06 2018-12-14 广州睿森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含卡卡杜李提取物的美白抗敏组合物、护肤基质、精华液及其制备方法
WO2019235727A1 (ko) * 2018-06-07 2019-12-12 주식회사 에스엔비아 히알루론산 필름의 제조방법
KR20200032474A (ko) 2018-09-18 2020-03-26 한국콜마주식회사 건조식물체를 포함하는 하이드로겔 팩
US20200121723A1 (en) * 2017-06-30 2020-04-23 Exocobio Inc. Use of composition comprising exosome derived from adipose-derived stem cell as effective ingredient in ameliorating dermatitis
KR20220049697A (ko) * 2020-10-15 2022-04-22 (주)진우바이오 히알루론산염 망사 필름 및 이의 제조방법
CN115595719A (zh) * 2022-10-25 2023-01-13 福建东龙针纺有限公司(Cn) 一种含有聚乳酸纤维的蕾丝花边面料及其编织方法
KR20230039091A (ko) 2021-09-13 2023-03-21 김덕환 미용팩 시트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87950B1 (ko) 2017-01-24 2018-08-13 주식회사 천우글로텍스 거즈형 부직포를 이용한 마스크팩 본체의 제조방법
KR102161425B1 (ko) 2019-01-22 2020-10-05 김대원 극세레이온섬유와 탄성메쉬원단을 이용한 마스크팩시트의 제조장치
KR101986566B1 (ko) 2019-04-08 2019-06-10 (주)엠에스알코리아 부직포와 탄성재봉사를 이용한 리프팅용 마스크팩
KR102049873B1 (ko) 2019-06-20 2020-01-08 김동춘 불규칙한 그물 구조를 가지는 시트,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마스크 팩
KR102244606B1 (ko) 2019-07-04 2021-04-23 이상훈 접합수단을 이용한 리프팅용 마스크팩의 제조방법
KR102239521B1 (ko) 2019-11-14 2021-04-12 김대원 복합형 탄성부직포를 이용한 마스크팩시트의 제조방법
KR102086410B1 (ko) 2020-01-20 2020-03-09 김기환 마스크팩 제조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17556A (ko) * 2003-08-14 2005-02-22 주식회사 제닉 온도 감응성 상태변화 하이드로겔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JP2010209486A (ja) * 2009-03-09 2010-09-24 Shiseido Co Ltd 化粧料含浸マスク用シート及びこのシートを使用した化粧料含浸マスク
KR20110060571A (ko) * 2009-11-30 2011-06-08 김숙현 천연분말 한지 하이드로젤 마스크 팩
KR101195105B1 (ko) * 2012-05-18 2012-10-29 주식회사 제닉 경편을 이용한 마스크팩용 원자재 및 그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17556A (ko) * 2003-08-14 2005-02-22 주식회사 제닉 온도 감응성 상태변화 하이드로겔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JP2010209486A (ja) * 2009-03-09 2010-09-24 Shiseido Co Ltd 化粧料含浸マスク用シート及びこのシートを使用した化粧料含浸マスク
KR20110060571A (ko) * 2009-11-30 2011-06-08 김숙현 천연분말 한지 하이드로젤 마스크 팩
KR101195105B1 (ko) * 2012-05-18 2012-10-29 주식회사 제닉 경편을 이용한 마스크팩용 원자재 및 그 제조방법

Cited By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79419B1 (ko) * 2015-04-02 2015-12-23 주식회사 제닉 마스크 팩용 베이스 시트 및 이를 이용한 마스크 팩
WO2016159477A1 (ko) * 2015-04-02 2016-10-06 주식회사 제닉 마스크 팩용 베이스 시트 및 이를 이용한 마스크 팩
KR101517129B1 (ko) * 2015-04-09 2015-05-04 (주)부광 피부 미용 마스크팩 시트용 이형지의 제조방법 및 그에 따른 마스크팩 시트용 이형지
WO2016167629A1 (ko) * 2015-04-16 2016-10-20 한국화장품 주식회사 가면 형상의 화장용 시트 마스크
KR20160003814U (ko) * 2015-04-27 2016-11-04 정연호 문양이 인쇄된 화장용 마스크
KR101866175B1 (ko) * 2015-10-15 2018-06-11 주식회사 제닉 미용용 팩 시트의 제조 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팩 시트
KR101700935B1 (ko) * 2016-05-20 2017-01-31 최종인 면라셀-스판 피부미용 마스크
WO2017200330A1 (ko) * 2016-05-20 2017-11-23 최종인 면라셀-스판 피부미용 마스크
WO2018012732A1 (ko) * 2016-07-12 2018-01-18 에이치앤비 주식회사 마스크팩 및 그 제조방법
KR101723183B1 (ko) * 2016-11-17 2017-04-05 주식회사 케이티에이치아시아 피부 온도 감응형 하이드로 오일 겔의 제조방법
KR20180001611U (ko) * 2016-11-22 2018-05-30 주식회사 베라카코스메틱스 에센스 아이 마스크 팩
US20200121723A1 (en) * 2017-06-30 2020-04-23 Exocobio Inc. Use of composition comprising exosome derived from adipose-derived stem cell as effective ingredient in ameliorating dermatitis
US11612621B2 (en) * 2017-06-30 2023-03-28 Exocobio Inc. Use of composition comprising exosome derived from adipose-derived stem cell as effective ingredient in ameliorating dermatitis
WO2019235727A1 (ko) * 2018-06-07 2019-12-12 주식회사 에스엔비아 히알루론산 필름의 제조방법
CN108992374A (zh) * 2018-08-06 2018-12-14 广州睿森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含卡卡杜李提取物的美白抗敏组合物、护肤基质、精华液及其制备方法
KR20200032474A (ko) 2018-09-18 2020-03-26 한국콜마주식회사 건조식물체를 포함하는 하이드로겔 팩
KR20220049697A (ko) * 2020-10-15 2022-04-22 (주)진우바이오 히알루론산염 망사 필름 및 이의 제조방법
KR20230039091A (ko) 2021-09-13 2023-03-21 김덕환 미용팩 시트 제조방법
CN115595719A (zh) * 2022-10-25 2023-01-13 福建东龙针纺有限公司(Cn) 一种含有聚乳酸纤维的蕾丝花边面料及其编织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02331B1 (ko) 2016-03-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02331B1 (ko) 레이스 시트를 이용한 하이드로겔 마스크팩
CN104434544A (zh) 利用蕾丝片材的凝胶面膜
Qin Medical textile materials
JP6587608B2 (ja) 化粧料含浸皮膚被覆シート用不織布およびその製造方法
CN110177536B (zh) 具有可溶性膜的阻隔贴片和改善皮肤外观的方法
CN111698984B (zh) 制备具有可溶性膜的阻隔贴片的方法
CN110167391B (zh) 具有可溶性膜的阻隔贴片
BRPI1005658A2 (pt) máscara transparente para tratamento facial
CA2585398A1 (en) Treatment articles capable of conforming to an underlying shape
WO2014191962A2 (en) Cosmetic kit
CN106714641A (zh) 擦拭片
JP2015148023A (ja) ウェットシート用不織布、ウェットワイピングシート、および液体含浸皮膚被覆シート
KR101372799B1 (ko) 전도성 팩 및 이의 사용방법
KR101858451B1 (ko) 건식 시트형 마스크 팩용 조성물 및 건식 시트형 마스크 팩의 제조방법
CN108135785A (zh) 美容面膜纸
CN108135786A (zh) 发泡膜的阻隔贴片和改善皮肤外观的方法
CN108135787A (zh) 发泡膜的阻隔贴片以及改善皮肤外观的方法
KR20150082792A (ko) 천연 유래 성분으로 구성된 메쉬 및 이를 지지체로 이용한 하이드로겔 마스크
CN108136230A (zh) 发泡膜的阻隔贴片和改善皮肤外观的方法
JP2016037674A (ja) 薬液含浸用シート及びこれを用いたフェイスマスク
KR101743916B1 (ko) 화장용 마스크팩
JP5392377B2 (ja) 肌装着用シートおよびその装着方法
KR101825684B1 (ko) 미세홀이 형성된 마스크팩
KR102110141B1 (ko) 건조식물체를 포함하는 하이드로겔 팩
JP6193846B2 (ja) パッ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1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10

Year of fee payment: 5

J204 Request for invalidation trial [patent]
J121 Written withdrawal of request for tri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