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86410B1 - 마스크팩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마스크팩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86410B1
KR102086410B1 KR1020200007331A KR20200007331A KR102086410B1 KR 102086410 B1 KR102086410 B1 KR 102086410B1 KR 1020200007331 A KR1020200007331 A KR 1020200007331A KR 20200007331 A KR20200007331 A KR 20200007331A KR 102086410 B1 KR102086410 B1 KR 10208641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act
skin
base sheet
cypress
porous b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073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기환
윤상덕
이형광
Original Assignee
김기환
윤상덕
이형광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기환, 윤상덕, 이형광 filed Critical 김기환
Priority to KR10202000073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8641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864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8641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4/00Other cosmetic or toiletry articles, e.g. for hairdressers' rooms
    • A45D44/002Masks for cosmetic treatment of the fac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212Face mask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06Alga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55Gymnosperms [Coniferophyta]
    • A61K8/9761Cupressaceae [Cypress family], e.g. juniper or cypres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94Liliopsida [mono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1/0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 D04H1/4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 D04H1/44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the fleeces or layers being consolidated by mechanical means, e.g. by rolling
    • D04H1/46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the fleeces or layers being consolidated by mechanical means, e.g. by rolling by needling or like operations to cause entanglement of fibres
    • D04H1/492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the fleeces or layers being consolidated by mechanical means, e.g. by rolling by needling or like operations to cause entanglement of fibres by fluid jet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1/0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 D04H1/4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 D04H1/54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by welding together the fibres, e.g. by partially melting or dissolving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5D
    • A45D2200/10Details of applicators
    • A45D2200/1009Applicators comprising a pad, tissue, sponge, or the like
    • A45D2200/1036Applicators comprising a pad, tissue, sponge, or the like containing a cosmetic substance, e.g. impregnated with liquid or containing a soluble solid substanc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80Process related aspects concerning the preparation of the cosmetic composition or the storage or application thereof
    • A61K2800/85Products or compounds obtained by fermentation, e.g. yoghurt, beer, wine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Birds (AREA)
  • Biotechnology (AREA)
  • Myc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Botany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Dermat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마스크팩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A) 다공성 베이스시트를 구비하는 단계; (B) 상기 다공성 베이스시트의 일면으로 도포하여 사용하기 위한 미용액을 제조하되, 편백수와 점증제 및 피부유효성분을 포함하는 미용액을 제조하는 단계; (C) 상기 미용액을 다공성 베이스시트 상에 도포하는 단계; (D) 상기 미용액이 반고체 상태가 될 때까지 건조하거나 미용액이 도포된 다공성 베이스 시트를 가압하여 다공성 베이스시트 상에 겔 상태의 피부개선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A)단계에서는, (a) 피톤치드 성분을 방출하는 나무에서 추출한 셀룰로오스로 이루어진 제1필라멘트섬유를 구비하는 단계; (b) 폴리우레탄, 폴리에스테르, 폴리에스테르-에테르 중에서 선택된 1종으로 이루어진 제2필라멘트섬유를 구비하는 단계; (c) 0.01~10㎛ 입자 크기를 갖는 화산석분말, 탄소나노튜브, 은분말의 기능성입자 중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을 구비하되, 원적외선 조사 또는 마이크로파 조사를 통해 열처리하는 단계; (d) 상기 제1필라멘트섬유와 제2필라멘트섬유 및 기능성입자를 사용하여 부직 섬유집합체로 제조하는 단계; (e) 상기 부직 섬유집합체를 수압처리 또는 열처리하여 섬유 상호간을 결합하는 단계;로 다공성 베이스시트를 제조하며, 상기 피톤치드를 방출하는 나무는 소나무, 전나무, 가문비나무, 구상나무, 편백나무, 유칼립투스나무, 측백나무, 화백나무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이고, 상기 제1필라멘트섬유 : 제2필라멘트섬유 : 화산석분말 = 1~2 : 1~2 : 0.1~0.3의 중량비로 사용되며, 상기 다공성 베이스시트는 0.1~0.3mm의 두께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피부유효성분을 갖는 겔 상태의 피부개선층에 대해 피부 측 접촉시 침투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피부개선층이 갖는 피부유효성분을 통해 피부개선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으며, 마스크팩에 대한 피부 부착성 및 밀착력을 높일 수 있고 용이한 사용을 가능하게 하는 장점을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마스크팩 제조방법{METHOD FOR MANUFACTURING MASK PACK}
본 발명은 마스크팩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피부유효성분을 갖는 겔 상태의 피부개선층에 대해 피부 측 접촉시 침투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함은 물론 피부개선층이 갖는 피부유효성분을 통해 피부개선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마스크팩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오늘날 현대인들에게 있어서 외모는 개인이 가지고 있는 이미지를 대표하는 중요한 요소로 판단 및 작용하고 있으며, 이를 위해 피부 관리에 대한 관심도가 높아지고 있을 뿐만 아니라 시간과 비용을 투자하고 있다.
외모 중에서 얼굴 등을 비롯해 외부에 지속적으로 노출되는 피부는 환경적 요인이나 스트레스 등 다양한 요인으로 피부의 과민반응, 염증반응, 피부 탄력저하 및 수분손실 등이 발생되고, 이는 피부의 노화를 일으키게 된다. 또한 멜라닌 형성세포(melanocyte)의 생성으로 피부 노화를 가속화하게 된다.
이러한 피부문제를 개선하기 위하여 항산화제를 포함한 다양한 연구가 수행되고 있고, 화장품의 사용으로 인해 발생되는 아토피 피부염, 피부 트러블, 알러지 등에 대한 연구도 활발히 진행되고 있으며, 잔주름 개선 등의 피부개선을 위한 연구도 많이 수행되고 있다.
또한, 최근에는 미세먼지 등의 다양한 환경적인 요인들에 의해 남녀노소 관계없이 모두가 피부에 대한 관리의 중요성을 인지하고 있으며, 피부 관리를 위해 기능성 화장품 사용과 더불어 팩이나 마사지 관리 및 피부과 시술 등이 일반화되는 추세에 있으며, 특히 현대인들의 바쁜 생활패턴에 접목하여 출시되고 저렴한 비용과 간편성을 갖춘 마스크팩에 대한 관심도 및 선호도가 높아지고 있다.
이와 같이, 저렴한 피부 관리 및 간편성의 장점에 의해 선호도가 높은 마스크팩은 보습제나 미백제 등과 같은 피부에 유용한 여러 영양성분을 포함하는 미용액이 함침되게 구비하고 이를 얼굴에 부착하여 피부에 수분 및 영양 등을 공급하여줄 수 있게 하는 미용제품이다.
상기 마스크팩은 주로 부직포나 하이드로겔 타입의 마스크팩 등이 제작 및 출시되고 있으며, 부직포 시트 또는 하이드로겔 시트에 에센스 등의 미용액을 함침시킨 것으로서, 보통 파우치에 미용액을 충진하여 포장된 형태로 시판되고 있다.
하지만, 종래 출시되고 있는 마스크팩은 사용되는 미용액에 있어 많은 양이 정제수로 이루어지고 있고, 영양성분의 함량은 극히 미미한 수준으로 존재한다 할 것이며, 마스크팩을 얼굴에 부착하여 착용시 미용액이 흘러내리거나 쉽게 건조되고 피부와의 밀착력이 떨어지는 문제점 등 사용상의 불편함이 존재하며, 심지어는 얼굴에 부착 자체가 용이하지 못한 제품들도 존재한다.
또한, 최근에 다양한 영양성분 등을 공급 및 피부 개선효과를 위한 기능성 제품들도 출시되고 있으나, 이 역시 기능성이 크게 향상되지 않는 문제점을 안고 있어, 이를 개선함과 더불어 사용자의 피부에 효율적으로 영양성분을 공급할 수 있고 사용이 간편하면서 착용감이 우수한 마스크팩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으며, 피부 개선 및 피부 트리블 진정효과를 위해 천연물질에 대한 소비자들의 관심이 증대되고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2047871호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2062093호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602331호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 및 이를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피부유효성분을 갖는 겔 상태의 피부개선층에 대해 피부 측 접촉시 침투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함은 물론 피부개선층이 갖는 피부유효성분을 통해 피부개선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마스크팩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마스크팩에 대한 피부 부착성 및 밀착력을 높일 수 있도록 하며, 피톤치드 등의 천연물질에 의한 작용력으로 항균성과 살균력 및 삼림욕 효과를 발휘할 수 있도록 한 마스크팩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베이스시트 상에 함유되는 피부유효성분에 대해 함유효율을 높일 수 있도록 한 마스크팩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마스크팩 제조방법는, (A) 다공성 베이스시트를 구비하는 단계; (B) 상기 다공성 베이스시트의 일면으로 도포하여 사용하기 위한 미용액을 제조하되, 편백수와 점증제 및 피부유효성분을 포함하는 미용액을 제조하는 단계; (C) 상기 미용액을 다공성 베이스시트 상에 도포하는 단계; (D) 상기 미용액이 반고체 상태가 될 때까지 건조하거나 미용액이 도포된 다공성 베이스 시트를 가압하여 다공성 베이스시트 상에 겔 상태의 피부개선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A)단계에서는, (a) 피톤치드 성분을 방출하는 나무에서 추출한 셀룰로오스로 이루어진 제1필라멘트섬유를 구비하는 단계; (b) 폴리우레탄, 폴리에스테르, 폴리에스테르-에테르 중에서 선택된 1종으로 이루어진 제2필라멘트섬유를 구비하는 단계; (c) 0.01~10㎛ 입자 크기를 갖는 화산석분말, 탄소나노튜브분말, 은분말의 기능성입자 중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을 구비하되, 원적외선 조사 또는 마이크로파 조사를 통해 열처리하는 단계; (d) 상기 제1필라멘트섬유와 제2필라멘트섬유 및 기능성입자를 사용하여 부직 섬유집합체로 제조하는 단계; (e) 상기 부직 섬유집합체를 수압처리 또는 열처리하여 섬유 상호간을 결합하는 단계;로 다공성 베이스시트를 제조하며, 상기 피톤치드를 방출하는 나무는 소나무, 전나무, 가문비나무, 구상나무, 편백나무, 유칼립투스나무, 측백나무, 화백나무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이고, 상기 제1필라멘트섬유 : 제2필라멘트섬유 : 화산석분말 = 1~2 : 1~2 : 0.1~0.3의 중량비로 사용되며, 상기 다공성 베이스시트는 0.1~0.3mm의 두께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에서, 상기 (A)단계 이전에 실시하되, 상기 다공성 베이스시트의 타면이 부착되며, 사용자의 안면을 3차원으로 스캔한 데이터를 기반으로 3차원 프린팅되어 사용자의 안면에 대응되는 3차원 형상으로 형성시킨 3차원 마스크부를 구비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D)단계까지 마친 상태에서 다공성 베이스시트를 3차원 마스크부에 부착하여 구성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A)단계와 (B)단계의 사이에는, 상기 다공성 베이스시트의 일면에 발수성재료를 도포하거나 발수성시트를 합지하여 미용액유출방지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개재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B)단계에서는, 상기 편백수 100중량부에 대하여 점증제 1~20중량부, 피부유효성분 5~80중량부로 조성하되, 100~20000cps의 점도를 유지하도록 미용액을 제조하며; 상기 피부유효성분은, 다시마 발효액, 곰보배추추출물, 에션셜오일, 새싹보리추출물, 갈산-키토올리고당, 오수유열매추출물, 베르베닌추출물, 손바닥선인장추출물, 잔대뿌리추출물, 차가버섯추출물, 검은콩추출물, 보습강화제, 미백제 중에서 선택된 2종 이상의 혼합조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편백수는, 정제수에 편백오일을 첨가하여 희석하되, 5~30% 농도로 편백오일을 혼합한 구성이며; 상기 편백오일은 피톤치드 성분을 방출하는 소나무, 전나무, 가문비나무, 구상나무, 편백나무, 유칼립투스나무, 측백나무, 화백나무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피톤치드 함유 나무잎으로부터 추출해낸 추출액으로서, (a) 상기 피톤치드 함유 나무잎을 분쇄하는 단계; (b) 상기 분쇄한 피톤치드 함유 나무잎 100g당 증류수 3~5L를 추출탱크에 투입하는 단계; (c) 상기 추출탱크에 디에틸에테르 10~20ml와 펜탄 10~20ml의 용매를 첨가한 후 80~90℃의 온도에서 편백오일을 추출해내는 단계; (d) 상기 추출된 편백오일을 감압농축기에 투입하고, 40~45℃의 온도에서 감압 농축 처리하는 단계; (e) 상기 감압 농축시킨 편백오일에 대해 여과기를 통해 여과 처리하는 단계;로 제조한 것일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다시마 발효액은, (a) 꿀 10g당 발효균주로서 유산균(Lactobacillus brevis) 또는 효모(Saccharomyces bayanus) 5~10g을 30~40℃의 정제수 0.5~1L에 투입하여 혼합함으로써 발효시료를 구비하는 단계; (b) 상기 발효시료를 다시마추출액 또는 다시마분말에 투입하여 접종하되, 발효시료 10ml당 다시마추출액 10~20ml 또는 다시마분말 5~10g을 투입하는 단계; (c) 상기 (b)단계를 마친 결과물에 정제수를 첨가하여 10~15브릭스 농도로 조절한 후, 배양용기에 담아 분주 처리하는 단계; (d) 상기 배양용기에 분주 처리한 상태에서 30~35℃의 온도로 10~15일 동안 정치 배양하여 다시마 발효액을 획득하는 단계; (e) 상기 다시마 발효액을 여과기를 통해 여과 처리하는 단계;로 제조한 것일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손바닥선인장 추출물은, (a) 손바닥선인장을 구비하여 분말화하는 단계; (b) 상기 손바닥선인장분말 100g당 90~95% 농도의 주정용 알코올 2~3L에 침지 처리하되, 35~40℃의 온도에서 5~10시간 동안 침지시켜 추출액을 추출해내는 단계; (c) 상기 추출액을 감압농축기에 투입하고, 35~40℃의 온도에서 감압 농축 처리하는 단계; (d) 상기 감압 농축시킨 추출액을 여과기를 통해 여과 처리하는 단계;로 제조한 것일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보습강화제는, 김치에서 분리한 유산균(Weissella helenica)을 비정제당인 원당과 효모(Saccharomyces bayanus)를 기질로 배양하여 제조한 세포외다당체(expolysaccharide)를 사용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미백제는, 뽕잎추출물 1~2 : 오디추출물 5~8 : 쑥추출물 10~12의 중량비에 의한 혼합조성으로 이루어진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피부유효성분을 갖는 겔 상태의 피부개선층에 대해 피부 측 접촉시 침투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피부개선층이 갖는 피부유효성분을 통해 피부개선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는 유용한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마스크팩에 대한 피부 부착성 및 밀착력을 높일 수 있으며, 피톤치드 등의 천연물질에 의한 작용력으로 항균성과 살균력 및 삼림욕 효과를 제공할 수 있는 마스크팩을 제조하여 공급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다공성 베이스시트 상에 함유되는 피부유효성분에 대해 베이스시트 측 함유효율을 높일 수 있으며, 겔 상태에 있는 피부개선층에 대해 피부 접촉시 유용하게 액화시켜 사용 및 피부에 침투시킬 수 있는 유용한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다공성 베이스시트 측 피톤치드 성분 함유 및 화산석분말 등의 기능성입자 사용을 통해 단순 영양성분층의 구성에 비해 피부개선효과를 더욱 증진시킬 수 있는 마스크팩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팩 제조방법을 나타낸 개략적 제조 공정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팩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되는 마스크팩을 나타낸 일 예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팩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되는 마스크팩을 나타낸 단면 구성도이다.
본 발명에 대해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으며, 이와 같은 상세한 설명을 통해서 본 발명의 목적과 구성 및 그에 따른 특징들을 보다 잘 이해할 수 있게 될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팩 제조방법은 도 1 내지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베이스시트 구비단계(S10), 피부미용액 유출방지층 형성단계(S20), 피부미용액 제조단계(S30), 피부미용액 도포단계(S40), 건조 또는 가압단계(S50), 및 포장단계(S60)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베이스시트 구비단계(S10)는 피부 개선에 사용하기 위한 피부유효성분을 유용하게 함유토록 하는 다공성 베이스시트(110)를 구비하는 단계이다.
이때, 상기 다공성 베이스시트(110)는 피톤치드 방출에 의한 항균성과 살균력 및 쾌적함에 의한 삼림욕 효과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함과 더불어 원적외선 및 음이온 방출효과에 의한 피부미용액의 액화 유도 및 피부 침투효율을 높일 수 있도록 하며, 마스크팩에 대한 피부 부착성 및 밀착력을 높일 수 있도록 다공성을 갖는 부직포의 형태로 제조된다.
상기 베이스시트 구비단계(S10)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1) 피톤치드 성분을 방출하는 나무에서 추출한 셀룰로오스로 이루어진 제1필라멘트섬유를 구비한다.
이때, 상기 제1필라멘트섬유를 통해서는 테르펜 등 피톤치드 성분에 의해 항균, 항바이러스, 항염증, 살균, 방부, 진정작용 등의 기능을 발휘할 수 있으며, 피톤치드 향에 의해 향테라피효과는 물론 상쾌함을 제공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피톤치드를 방출하는 나무는 소나무, 전나무, 가문비나무, 구상나무, 편백나무, 유칼립투스나무, 측백나무, 화백나무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일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제1필라멘트 섬유는 8분할사, 16분할사, 32분할사 등으로 제조될 수 있으며, 섬도 1.5~3 데니어가 바람직하다.
2) 폴리우레탄, 폴리에스테르, 폴리에스테르-에테르 중에서 선택된 1종으로 이루어진 제2필라멘트섬유를 구비한다.
이때, 상기 제2필라멘트섬유는 신축성을 갖게 함으로써 마스크팩에 대한 사용 편의성은 물론 피부 측 부착성 및 밀착력을 좋게 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제2필라멘트섬유에는 나일론이나 면 등이 첨가될 수 있다 할 것이다.
여기에서, 상기 제2필라멘트 섬유는 8분할사, 16분할사, 32분할사 등으로 제조될 수 있으며, 섬도 1.5~3 데니어가 바람직하다.
3) 화산석분말, 탄소나노튜브, 은분말의 기능성입자 중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을 구비하되, 기능성입자에 기능성을 증대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원적외선 조사 또는 마이크로파 조사를 통해 열처리한다.
이때, 상기 기능성입자는 0.01~10㎛ 입자 크기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에서, 상기 화산석(volcanic rock)분말은 가볍고 다공성 조직에 의해 통기성을 가지며 원적외선 및 음이온 방출 작용을 한다.
또한, 상기 화산석분말은 항균효과, 항곰팡이효과, 중금속 흡착 및 분해 등의 기능성 작용을 하며, 특히 변질이나 변색 등의 성질 변화 없다.
그리고, 상기 화산석분말은 원적외선의 방출을 통해 복사열을 제공하는 것으로서, 겔 상태로 존재하는 피부미용액에 대해 피부 접촉시 피부가 갖는 자체 온열과 더불어 원적외선 복사열로 액화를 유도하는 작용을 하며, 피부 측 침투효과를 높이는데 기여할 수 있다.
상기 탄소나노튜브분말과 은분말 또한 항균성과 살균력을 제공할 수 있으면서 열 발생에 의해 겔 상태로 존재하는 피부미용액에 대해 피부 접촉시 자연스럽게 액화를 유도하는 작용을 한다.
4) 상기 제1필라멘트섬유와 제2필라멘트섬유 및 기능성입자를 사용하여 부직 섬유집합체로 제조한다.
이때, 상기 제1필라멘트섬유 : 제2필라멘트섬유 : 기능성입자 = 1~2 : 1~2 : 0.1~0.3의 중량비로 사용함이 바람직하다.
여기에서, 기능성입자로는 화산석분말을 사용함이 더욱 바람직하다.
여기에서는 멜트블로운(meltblown), 스펀본드(spunbond), 스펀레이스, 열융착 방법 등의 일반적인 부직섬유 집합체 제조방식을 이용하여 다양하게 제조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상기 부직 섬유집합체를 일반적인 공지의 수압처리 또는 열처리하여 섬유 상호간을 결합함으로써 다공성 베이스시트(110)를 제조한다.
이때, 수압 처리는 고압의 워터젯을 통해 물을 분사하여 물리적인 외압을 가함으로써 섬유 상호간을 결합되게 한다.
상기 다공성 베이스시트는 0.1~0.3mm의 두께로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여기에서, 상기 다공성 베이스시트(110)는 원형, 타원형, 삼각형, 사각형, 사다리꼴, 마름모형, 육각형 등을 비롯하여 아주 다양한 형상 및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피부미용액 유출방지층 형성단계(S20)는 필수적인 구성단계라기 보다는 부가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부가적 단계라 할 수 있으며, 본 벌명에서의 제조공정상 상기 베이스시트 구비단계(S10)와 피부미용액 제조단계(S30)의 사이에 개재하는 형태로 실시할 수 있다.
즉, 상기 피부미용액 유출방지층 형성단계(S20)는 상기 다공성 베이스시트(110)의 일면에 발수성재료를 도포하거나 발수성시트를 합지하여 미용액유출방지층(120)을 형성하는 단계이다.
이때, 상기 발수성재료는 불소계 소재를 적용함이 바람직하다.
여기에서, 상기 미용액유출방지층(120)은 상기 다공성 베이스시트(110) 측 일면에 박막의 두께로 도포 또는 박막의 발수성시트를 합지함에 의해 다공성 베이시트(110)가 기본적으로 가져야 할 신축성을 저해하지 않도록 처리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피부미용액 제조단계(S30)는 상기 다공성 베이스시트(110) 상으로 도포하기 위한 피부미용액을 제조하되, 편백수와 점증제 및 피부유효성분을 포함하는 유형의 피부미용액을 제조하는 단계이다.
상기 편백수는 정제수에 편백오일을 첨가하여 희석하되 5~30% 농도로 편백오일을 혼합한 구성이며, 상기 편백오일은 피톤치드 성분을 방출하는 소나무, 전나무, 가문비나무, 구상나무, 편백나무, 유칼립투스나무, 측백나무, 화백나무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피톤치드 함유 나무잎으로부터 추출해낸 추출액으로 정의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편백오일은 상술한 피톤치드 함유 나무잎을 분쇄하고, 상기 분쇄한 피톤치드 함유 나무잎 100g당 증류수 3~5L를 추출탱크에 투입하고, 상기 추출탱크에 디에틸에테르 10~20ml와 펜탄 10~20ml의 용매를 첨가한 후 80~90℃의 온도에서 편백오일을 추출해내고, 상기 추출된 편백오일을 감압농축기에 투입하되 40~45℃의 온도에서 감압 농축 처리하며, 상기 감압 농축시킨 편백오일에 대해 여과기를 통해 여과 처리하는 단계를 거쳐 제조할 수 있다.
상기 점증제로는 잔탄검, 구아검, 로커스트빈검, 아라비아검, 겔란검, 카라야검, 타라검, 트라가칸타검, 셀룰로오스검, 아카시아검, 로카스트빈검, 및 이들의 조합들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적어도 1종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피부유효성분은 상기 피부유효성분은, 다시마발효액, 곰보배추추출물, 에션셜오일, 새싹보리추출물, 갈산-키토올리고당, 오수유열매추출물, 베르베닌추출물, 손바닥선인장추출물, 잔대뿌리추출물, 차가버섯추출물, 검은콩추출물, 보습강화제, 미백제 중에서 선택된 2종 이상의 혼합조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다사마발효액은 꿀과 발효군주를 다시마추출액이나 다시마분말에 첨가하여 발효시킴으로써 다시마를 이용한 피부보습효과를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서, 아래와 같이 제조하여 사용할 수 있다.
1) 꿀 10g당 발효균주로서 유산균(Lactobacillus brevis) 또는 효모(Saccharomyces bayanus) 5~10g을 30~40℃의 정제수 0.5~1L에 투입하여 혼합함으로써 발효시료를 구비한다.
2) 상기 발효시료를 다시마추출액 또는 다시마분말에 투입하여 접종하되, 발효시료 10ml당 다시마추출액 10~20ml 또는 다시마분말 5~10g을 투입한다.
3) 상기 2)단계를 마친 결과물에 정제수를 첨가하여 10~15브릭스 농도로 조절한 후, 배양용기에 담아 분주 처리한다.
4) 상기 배양용기에 분주 처리한 상태에서 30~35℃의 온도로 10~15일 동안 정치 배양하여 다시마발효액을 획득한다.
5) 상기 다시마발효액을 여과기를 통해 여과 처리한다.
여기에서, 곰보배추추출물, 새싹보리추출물, 오수유열매추출물, 잔대뿌리추출물, 차가버섯추출물은 각각 100g당 80% 에탄올 5~6L로 하여 40~50℃ 온도에서 3~5시간 동안 추출한 후, 감압농축장치를 이용하여 30~40℃에서 감압 농축 처리 후, 여과기를 통해 여과 처리할 수 있다.
상기 곰보배추출물을 통해서는 테르펜 함유물질로서 항염작용과 중금속 해독 및 항알러지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새싹보리추출물을 통해서는 아이소오리엔틴 성분을 함유하는 것으로서, 피부 미백 및 주름 개선에 사용할 수 있으며, 엘라스테이즈 및 타이로시네이즈 생성 억제하는 기능을 발휘할 수 있다.
상기 오수유열매추출물을 통해서는 탄닌성분을 함유하는 것으로서, 살균과 항균 및 항바이러스, 피부진균 억제작용, 함염증 작용을 한다.
상기 잔대뿌리추출물, 차가버섯추출물은 각각 테르펜 성분을 함유하는 것으로서, 항균과 항염증 작용을 한다.
또한, 상기 검은콩추출물은 이소플로본 성분을 함유하는 것으로서, 피부노화를 방지하는데 사용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손바닥선인장추출물은 후라보노이드 성분을 갖는 것으로서, 피부 주름을 개선하는데 사용할 수 있으며, 후라보노이드 계열 중 택시폴린(taxifolin) 성분을 통해 항산화와 항균 및 소염작용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손바닥선인장추출물은, 손바닥선인장을 구비하여 분말화하고, 상기 손바닥선인장분말 100g당 90~95% 농도의 주정용 알코올 2~3L에 침지 처리하되 35~40℃의 온도에서 5~10시간 동안 침지시켜 추출액을 추출해내고, 상기 추출액을 감압농축기에 투입하되 35~40℃의 온도에서 감압 농축 처리하며, 상기 감압 농축시킨 추출액을 여과기를 통해 여과 처리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갈산-키토올리고당은 천연 다당류인 키토산의 수용성화를 위해 1~10kDa으로 저분자화시켜 키토올리고당을 제조한 후, 이렇게 제조된 키토올리고당에 항산화 효과를 갖는 갈산을 합성하여 제조한 것으로서, 항산화기능과 더불어 피부조직 보호 및 염증반응 차단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보습강화제는 김치에서 분리한 유산균(Weissella helenica)을 비정제당인 원당과 효모(Saccharomyces bayanus)를 기질로 배양하여 제조한 세포외다당체(expolysaccharide)를 사용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미백제는 미백작용과 더불어 항산화기능을 최대한 발휘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서, 뽕잎추출물 1~2 : 오디추출물 5~8 : 쑥추출물 10~12의 중량비에 의한 혼합조성으로 이루어지게 할 수 있다.
상기 뽕잎추출물, 오디추출물, 쑥추출물은 각각 100g당 80% 에탄올 5~6L로 하여 40~50℃ 온도에서 3~5시간 동안 추출한 후, 감압농축장치를 이용하여 30~40℃에서 감압 농축 처리 후, 여과기를 통해 여과 처리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뽕잎추출물은 항산화효과, 피부재생, 염증의 진행 및 억제, 멜라닌 생성억제 등의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여기에서, 오디추출물은 항산화 및 항염증 등의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쑥추출물은 항산화, 보습 및 미백 등의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피부미용액 제조단계(S30)는 상기 편백수 100중량부에 대하여 점증제 1~20중량부, 피부유효성분 5~80중량부로 조성하여 제조할 수 있으며, 100~20000cps의 점도를 유지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상기 피부미용액 제조단계(S30)에서는 상술하게 나열한 피부유효성분 재료들 중에서 2종 이상을 선택 사용함으로써 보습기능, 피부주름개선기능, 피부진정기능, 노화방지기능 등을 비롯하여 다양한 마스크팩 제품으로 제조할 수 있다 할 것이다.
상기 피부미용액 도포단계(S40)는 상기 피부미용액 제조단계(S30)를 통해 제조되는 피부유효성분을 갖는 피부미용액을 다공성 베이스시트(110) 상에 도포하는 단계이다.
상기 건조 또는 가압단계(S50)는 상기와 같이 다공성 베이스시트(110) 상에 도포한 피부미용액이 반고체 상태가 될 때까지 건조 처리하거나 피부미용액이 도포된 다공성 베이스시트를 가압하여 다공성 베이스시트 상에 겔 상태의 피부개선층(130)을 형성하는 단계이다.
이에 따라, 이와 같은 상술한 제조공정에 의해 피부유효성분을 갖는 겔 상태의 피부개선층을 제공할 수 있으며, 마스크팩의 사용시 피부 측 접촉에 따른 피부유효성분에 대한 침투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고, 이와 더불어 피부개선층이 갖는 피부유효성분을 통해 피부개선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는 마스크팩을 제조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본 발명에 따른 마스크팩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되는 마스크팩에 대해 보습효과 및 피부 트러블 진정효과를 테스트하였으며, 그 결과를 아래 표 1에 나타내었다.
(시험예1)
소나무에서 추출한 셀룰로오스로 이루어진 제1필라멘트섬유를 구비하고, 폴리우레탄에 의한 제2필라멘트섬유를 구비하고, 1㎛ 입자 크기의 화산석분말을 원적외선 조사하여 구비하며, 제1필라멘트섬유 : 제2필라멘트섬유 : 화산석분말 = 1 : 1 : 0.2의 중량비로 사용하여 부직 섬유집합체로 제조 후 수압처리함으로써 0.3mm두께를 갖는 다공성 베이스시트를 구비한다.
정제수에 편백나무에서 추출한 편백오일을 10% 농도로 혼합한 편백수 100중량부에 대하여 잔탄검 5중량부, 피부유효성분 20중량부로 조성하되 5000cps의 점도를 갖는 피부미용액을 제조하였으며, 이때 피부유효성분은 다시마 발효액 : 곰보배추추출물 = 1 : 0.2로 첨가하였다.
이렇게 제조한 피부미용액을 상기한 다공성 베이스시트에 도포한 후, 피부미용액이 반고체 상태가 될 때까지 자연 건조시켜 마스크팩을 제조하였으며, 5cm×5cm 크기로 절단하여 여성평가자 10명에게 테스트하였다.
테스트 평가는 5점 척도법을 사용하여 여성평가자 10명의 점수를 평균치로 나타내었다.
이때, 비교군으로 사용하기 위해, 시중에서 유통되는 A사 제품의 보습용 마스크팩을 사용하여 함께 테스트하였다.
구분 시험예1(본발명) 비교군(A사 제품)
보습효과 4.8 3.6
피부 진정효과 4.6 3.5
모공 개선효과 4.5 3.5
피부 상용성 4.6 3.5
표 1에서 보여주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해 제조되는 시험예 1이 시중에 유통되는 제품(비교군)에 비하여 보습 효과 및 피부 상용성 측면에서 보다 우수한 평가를 받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시험예 2)
더불어, 상기한 시험예 1에서 제조한 마스크팩에 대해 상기와 동일한 여성평가자 10명을 대상으로 하여 피부 밀착성 및 부착성을 테스트하였으며, 그 결과를 아래 표 2에 나타내었다.
이 역시 테스트 평가는 5점 척도법을 사용하여 여성평가자 10명의 점수를 평균치로 나타내었다.
구분 시험예2(본발명) 비교군(A사 제품)
밀착성 4.7 3.6
부착성(흘러내림 정도) 4.6 3.4
표 2에서 보여주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해 제조되는 제품이 시중에 유통되는 제품(비교군)에 비하여 보다 우수한 평가를 받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상기 베이스시트 구비단계(S10) 이전에, 3차원 마스크 구비단계를 선행하여 실시할 수 있다.
즉, 3차원 마스크 구비단계는 상기 다공성 베이스시트(110)의 타면을 부착하여 사용하도록 구비되며, 특히 사용자의 안면을 3차원으로 스캔한 데이터를 기반으로 3차원 프린팅되어 사용자의 안면에 대응되는 3차원 형상으로 형성시킨 3차원 마스크부를 구비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3차원 마스크에는 상기 건조 또는 가압단계까지 마친 상태에서 피부개선층(130)을 갖는 다공성 베이스시트(110)를 부착하여 사용하면 되며, 이를 통해 개별 맞춤형 마스크 팩을 제공할 수도 있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상기 포장단계(S60)를 통해 포장하여 마스크팩 제품을 완성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 것에 불과하고 이러한 실시예에 극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할 것이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청구범위 내에서 이 기술분야의 당해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수정과 변형 또는 단계의 치환 등이 이루어질 수 있다 할 것이며, 이는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에 속한다 할 것이다.
S10: 베이스시트 구비단계
S20: 피부미용액 유출방지층 형성단계
S30: 피부미용액 제조단계
S40: 피부미용액 도포단계
S50: 건조 또는 가압단계
S60: 포장단계

Claims (9)

  1. (A) 다공성 베이스시트를 구비하는 단계;
    (B) 상기 다공성 베이스시트의 일면으로 도포하여 사용하기 위한 미용액을 제조하되, 편백수와 점증제 및 피부유효성분을 포함하는 미용액을 제조하는 단계;
    (C) 상기 미용액을 다공성 베이스시트 상에 도포하는 단계;
    (D) 상기 미용액이 반고체 상태가 될 때까지 건조하거나 미용액이 도포된 다공성 베이스 시트를 가압하여 다공성 베이스시트 상에 겔 상태의 피부개선층을 형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며,
    상기 (A)단계에서는,
    (a) 피톤치드 성분을 방출하는 나무에서 추출한 셀룰로오스로 이루어진 제1필라멘트섬유를 구비하는 단계;
    (b) 폴리우레탄, 폴리에스테르, 폴리에스테르-에테르 중에서 선택된 1종으로 이루어진 제2필라멘트섬유를 구비하는 단계;
    (c) 0.01~10㎛ 입자 크기를 갖는 화산석분말, 탄소나노튜브분말, 은분말의 기능성입자 중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을 구비하되, 원적외선 조사 또는 마이크로파 조사를 통해 열처리하는 단계;
    (d) 상기 제1필라멘트섬유와 제2필라멘트섬유 및 기능성입자를 사용하여 부직 섬유집합체로 제조하는 단계;
    (e) 상기 부직 섬유집합체를 수압처리 또는 열처리하여 섬유 상호간을 결합하는 단계; 로 다공성 베이스시트를 제조하며,
    상기 피톤치드를 방출하는 나무는 소나무, 전나무, 가문비나무, 구상나무, 편백나무, 유칼립투스나무, 측백나무, 화백나무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이고,
    상기 제1필라멘트섬유 : 제2필라멘트섬유 : 화산석분말 = 1~2 : 1~2 : 0.1~0.3의 중량비로 사용되며,
    상기 다공성 베이스시트는 0.1~0.3mm의 두께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크팩 제조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A)단계 이전에 실시하되, 상기 다공성 베이스시트의 타면이 부착되며, 사용자의 안면을 3차원으로 스캔한 데이터를 기반으로 3차원 프린팅되어 사용자의 안면에 대응되는 3차원 형상으로 형성시킨 3차원 마스크부를 구비하는 단계; 더 포함하며,
    상기 (D)단계까지 마친 상태에서 다공성 베이스시트를 3차원 마스크부에 부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크팩 제조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A)단계와 (B)단계의 사이에는,
    상기 다공성 베이스시트의 일면에 발수성재료를 도포하거나 발수성시트를 합지하여 미용액유출방지층을 형성하는 단계; 를 개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크팩 제조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B)단계에서는,
    상기 편백수 100중량부에 대하여 점증제 1~20중량부, 피부유효성분 5~80중량부로 조성하되, 100~20000cps의 점도를 유지하도록 미용액을 제조하며;
    상기 피부유효성분은,
    다시마 발효액, 곰보배추추출물, 에션셜오일, 새싹보리추출물, 갈산-키토올리고당, 오수유열매추출물, 베르베닌추출물, 손바닥선인장추출물, 잔대뿌리추출물, 차가버섯추출물, 검은콩추출물, 보습강화제, 미백제 중에서 선택된 2종 이상의 혼합조성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크팩 제조방법.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편백수는,
    정제수에 편백오일을 첨가하여 희석하되, 5~30% 농도로 편백오일을 혼합한 구성이며;
    상기 편백오일은 피톤치드 성분을 방출하는 소나무, 전나무, 가문비나무, 구상나무, 편백나무, 유칼립투스나무, 측백나무, 화백나무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피톤치드 함유 나무잎으로부터 추출해낸 추출액으로서,
    (a) 상기 피톤치드 함유 나무잎을 분쇄하는 단계;
    (b) 상기 분쇄한 피톤치드 함유 나무잎 100g당 증류수 3~5L를 추출탱크에 투입하는 단계;
    (c) 상기 추출탱크에 디에틸에테르 10~20ml와 펜탄 10~20ml의 용매를 첨가한 후 80~90℃의 온도에서 편백오일을 추출해내는 단계;
    (d) 상기 추출된 편백오일을 감압농축기에 투입하고, 40~45℃의 온도에서 감압 농축 처리하는 단계;
    (e) 상기 감압 농축시킨 편백오일에 대해 여과기를 통해 여과 처리하는 단계; 로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크팩 제조방법.
  6.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다시마 발효액은,
    (a) 꿀 10g당 발효균주로서 유산균(Lactobacillus brevis) 또는 효모(Saccharomyces bayanus) 5~10g을 30~40℃의 정제수 0.5~1L에 투입하여 혼합함으로써 발효시료를 구비하는 단계;
    (b) 상기 발효시료를 다시마추출액 또는 다시마분말에 투입하여 접종하되, 발효시료 10ml당 다시마추출액 10~20ml 또는 다시마분말 5~10g을 투입하는 단계;
    (c) 상기 (b)단계를 마친 결과물에 정제수를 첨가하여 10~15브릭스 농도로 조절한 후, 배양용기에 담아 분주 처리하는 단계;
    (d) 상기 배양용기에 분주 처리한 상태에서 30~35℃의 온도로 10~15일 동안 정치 배양하여 다시마 발효액을 획득하는 단계;
    (e) 상기 다시마 발효액을 여과기를 통해 여과 처리하는 단계; 로 제조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크팩 제조방법.
  7.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손바닥선인장 추출물은,
    (a) 손바닥선인장을 구비하여 분말화하는 단계;
    (b) 상기 손바닥선인장분말 100g당 90~95% 농도의 주정용 알코올 2~3L에 침지 처리하되, 35~40℃의 온도에서 5~10시간 동안 침지시켜 추출액을 추출해내는 단계;
    (c) 상기 추출액을 감압농축기에 투입하고, 35~40℃의 온도에서 감압 농축 처리하는 단계;
    (d) 상기 감압 농축시킨 추출액을 여과기를 통해 여과 처리하는 단계; 로 제조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크팩 제조방법.
  8.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보습강화제는,
    김치에서 분리한 유산균(Weissella helenica)을 비정제당인 원당과 효모(Saccharomyces bayanus)를 기질로 배양하여 제조한 세포외다당체(expolysaccharide)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크팩 제조방법.
  9.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미백제는,
    뽕잎추출물 1~2 : 오디추출물 5~8 : 쑥추출물 10~12의 중량비에 의한 혼합조성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크팩 제조방법.
KR1020200007331A 2020-01-20 2020-01-20 마스크팩 제조방법 KR10208641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07331A KR102086410B1 (ko) 2020-01-20 2020-01-20 마스크팩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07331A KR102086410B1 (ko) 2020-01-20 2020-01-20 마스크팩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86410B1 true KR102086410B1 (ko) 2020-03-09

Family

ID=698019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07331A KR102086410B1 (ko) 2020-01-20 2020-01-20 마스크팩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86410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55861B1 (ko) 2020-05-08 2020-09-15 김용식 마스크 제조 장비
KR102240484B1 (ko) * 2020-06-30 2021-04-16 오창렬 마스크존을 케어하는 분리형 투웨이 마스크팩 및 이의 제조방법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424Y1 (ko) * 2005-07-27 2005-11-08 박성진 천연 광물질을 이용한 마스크 팩
KR20160024737A (ko) * 2015-04-21 2016-03-07 (주)화니핀코리아 마스크 팩
KR101602331B1 (ko) 2013-09-16 2016-03-11 주식회사 제닉 레이스 시트를 이용한 하이드로겔 마스크팩
KR101689639B1 (ko) * 2016-10-06 2017-01-02 주식회사 아르맹 피부 리프팅 및 필링 효과를 갖는 마스크 팩, 상기 마스크 팩의 포장 방법 및 상기 마스크 팩을 이용한 스킨 케어 방법
KR20170029132A (ko) * 2015-09-07 2017-03-15 광주여자대학교 산학협력단 편백 에센셜 오일을 포함하는 화장료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화장료
KR102047871B1 (ko) 2019-03-06 2019-11-22 스킨트리(주) 전기전도성을 가지는 기능성 마스크팩 시트의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마스크팩 시트
KR102062093B1 (ko) 2018-10-19 2020-01-03 숭실대학교 산학협력단 다층 및 다중구획된 자가변환 마스크팩 및 이의 제조방법
KR20200002323A (ko) * 2018-06-29 2020-01-08 코오롱인더스트리 주식회사 부직 섬유 집합체 및 이의 제조방법, 이를 포함하는 마스크팩 시트 및 이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424Y1 (ko) * 2005-07-27 2005-11-08 박성진 천연 광물질을 이용한 마스크 팩
KR101602331B1 (ko) 2013-09-16 2016-03-11 주식회사 제닉 레이스 시트를 이용한 하이드로겔 마스크팩
KR20160024737A (ko) * 2015-04-21 2016-03-07 (주)화니핀코리아 마스크 팩
KR20170029132A (ko) * 2015-09-07 2017-03-15 광주여자대학교 산학협력단 편백 에센셜 오일을 포함하는 화장료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화장료
KR101689639B1 (ko) * 2016-10-06 2017-01-02 주식회사 아르맹 피부 리프팅 및 필링 효과를 갖는 마스크 팩, 상기 마스크 팩의 포장 방법 및 상기 마스크 팩을 이용한 스킨 케어 방법
KR20200002323A (ko) * 2018-06-29 2020-01-08 코오롱인더스트리 주식회사 부직 섬유 집합체 및 이의 제조방법, 이를 포함하는 마스크팩 시트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062093B1 (ko) 2018-10-19 2020-01-03 숭실대학교 산학협력단 다층 및 다중구획된 자가변환 마스크팩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047871B1 (ko) 2019-03-06 2019-11-22 스킨트리(주) 전기전도성을 가지는 기능성 마스크팩 시트의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마스크팩 시트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55861B1 (ko) 2020-05-08 2020-09-15 김용식 마스크 제조 장비
KR102240484B1 (ko) * 2020-06-30 2021-04-16 오창렬 마스크존을 케어하는 분리형 투웨이 마스크팩 및 이의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86410B1 (ko) 마스크팩 제조방법
CN104382799A (zh) 一种具有抗皱紧致和美颜保湿功效的护肤品
CN101744757A (zh) 含天然有机成分的无防腐保湿紧肤化妆品
KR101867308B1 (ko) 수국 발효물을 함유하는 피부자극완화 및 피부염증 완화용 화장료 조성물
KR101375137B1 (ko) 황금 추출물의 붉은덕다리버섯 균사체 발효물을 함유하는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KR101677362B1 (ko) 상황버섯 추출물의 발효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090085306A (ko) 해양심층수를 이용한 용매추출법 및 그 추출물, 및 이추출물이 포집된 나노입자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CN105362129B (zh) 一种含艾叶提取液的面膜液及其制备方法
CN108078854A (zh) 一种保湿修复手霜及其制备方法
KR101681638B1 (ko) 단삼, 청대 및 희첨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생약 추출물을 이용하여 발효시킨 바이오셀룰로오스(Biocellulose)를 적용한 화장용 마스크팩 시트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181279B1 (ko) 피부 노화 예방, 피부 주름 개선, 유연 증진, 및 탄력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1307969B1 (ko) 과일 및 흑초의 혼합 발효액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650565B1 (ko) 청량감을 갖는 물티슈
KR101774408B1 (ko) 피부 주름 개선용 노인용 화장료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마스크팩 시트
KR101759310B1 (ko) 각질 제거용 화장료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패드
KR101849711B1 (ko) 구주아욱 추출물 또는 자작나무 수액을 함유하는 피부 항상성 유지 및 노화 예방용 화장료 조성물
KR102124556B1 (ko) 청보리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미백 화장품 및 이의 제조 방법
CN104414901A (zh) 睡莲花青素抗氧化面贴膜
CN104546613A (zh) 矿植物纳米面膜
KR102405422B1 (ko) 미생물 발효액을 포함하고, 피부 보습성 및 미백활성이 향상된 마스크 팩 조성물
KR101726854B1 (ko) 산양삼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보습용 미스트 조성물
KR101655235B1 (ko) 천연 원재료 추출물을 이용한 화장품 제조방법 및 이를 적용한 실버화장품
KR102572172B1 (ko) 점액성이 우수한 스킨케어 에센스 화장품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596697B1 (ko) 바위솔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품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
KR102446103B1 (ko) 복합 추출물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두피 및 모발용 화장료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