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59310B1 - 각질 제거용 화장료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패드 - Google Patents

각질 제거용 화장료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패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59310B1
KR101759310B1 KR1020170022163A KR20170022163A KR101759310B1 KR 101759310 B1 KR101759310 B1 KR 101759310B1 KR 1020170022163 A KR1020170022163 A KR 1020170022163A KR 20170022163 A KR20170022163 A KR 20170022163A KR 101759310 B1 KR101759310 B1 KR 10175931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d
cosmetic composition
glycerin
skin
moisturiz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221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영규
Original Assignee
김영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영규 filed Critical 김영규
Priority to KR10201700221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5931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593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5931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208Tissues; Wipes; Patch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4Alcoho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4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 A61K8/42Ami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of animal origin
    • A61K8/98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of animal origin of species other than mammals or bir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2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the composition as a whole
    • A61K2800/28Rubbing or scrubbing compositions; Peeling or abrasive compositions; Containing exfolian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Bird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Zoology (AREA)
  • Dermat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각질 제거용 화장료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패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패드 본체(1)와, 상기 패드 본체(1)에 함침된 각질 제거용 화장료 조성물을 포함하되, 상기 각질 제거용 화장료 조성물은, 정제수, 글라이콜릭애씨드, 디프로필렌글라이콜, 소듐하이드록사이드, 1,2-헥산디올, 누에고치추출물, 알로에베라잎추출물, 캐모마일추출물, 오렌지껍질오일, 티트리잎오일, 소듐피씨에이, 판테놀, 소듐하이알루로네이트, 글리세린, 폴리글리세릴-10라우레이트, 폴리글리세릴-10미리스테이트, 프로필렌글라이콜, 부틸렌글라이콜, 펜틸렌글라이콜, 카프릴릴글라이콜, 에칠헥실글리세린 및 디소듐이디티에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피부 자극 없이 간단한 방법으로 각질을 제거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각질 관리와 보습 관리를 동시에 할 수 있어 사용 편의성을 제공한다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각질 제거용 화장료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패드{Cosmetic composition for removing callus and Pad for removing callus ccomprising thereof}
본 발명은 각질 제거용 화장료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패드에 관한 것이다.
고운 피부를 갖고자 하는 것은 모든 여성들의 한결같은 소망으로, 고운 피부라 함은 윤기가 있고 맑으며, 탄력 있는 피부를 말한다. 인간의 피부는 노화가 진행됨에 따라 탄력과 윤기를 잃어가며 각질화되어 거칠어지는 일련의 과정을 거쳐 미세한 잔주름이 생기게 되고, 결국은 피부 노화가 진행된다는 것은 주지의 사실이다.
각질은 우리 몸의 피부를 감싸고 있으며, 피부 속 수분의 증발과, 외부로부터 이물질의 침입을 막아주는 역할을 한다. 그러나 이런 각질도 과다하게 쌓이면 피부결은 거칠어지고, 피부 톤(tone)도 탁해진다. 또한, 피부의 영양성분을 받아들이는데 방해가 된다. 특히 가을, 겨울철에는 피부가 건조하여 피부는 더욱 거칠어지고, 각질이 두껍게 쌓이고, 갈라질 수 있다.
따라서, 각질을 제거하기 위하여 상용화된 스크럽(scrub) 제품을 이용하여 주 1 내지 2회 정기적으로 피부의 불필요한 각질을 제거해주는 세심한 관리를 필요로 한다. 특히 추운 겨울철에는 실내에서의 생활이 늘어나는데다가 난방으로 인해 실내는 건조해져서 피부의 수분을 빼앗아가기 때문에 피부는 건조함을 느끼게 되고, 그렇게 되면 피부의 가려움증이 생길 수 있는데, 심한 경우 피부에 미세한 균열이 생기기도 한다. 이렇게 되면 그 틈으로 유해한 균이 침입하여 피부 질환을 일으킬 수 있기 때문에 각질에 대한 관리가 필요한 것이다.
현재 피부의 각질을 제거하는 방법으로는 화학적인 방법과 물리적인 방법으로 나눌 수 있다.
먼저, 물리적 방법은 각질을 제거하기 위한 살구씨 분말과 같이 작은 알갱이가 들어 있는 스크럽제 화장품을 사용하여 피부에 일정량을 펴서 바른 후, 필링 패드를 사용하여 닦아내면서 피부 각질이 알갱이에 의해 연마되는 방법이다. 그러나 이러한 물리적 방법은 각질을 제거함과 동시에 피부를 자극하여 민감한 피부를 가진 여성들에게는 피부 질환이 발생할 수 있다는 단점이 있다. 이러한 종래 기술로는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035140호 등이 있다.
그리고 화학적인 방법은 단백질 분해 효소와 같이 수분과 온도를 적절히 작용시켜 각질 세포 사이에 존재하는 교소체(desmosome)를 분해시켜 제거하는 방법과 알파-히드록시산이나 베타-히드록시산 등과 같은 유기산을 사용하는 방법이 있다. 그러나 이러한 화학적 방법 역시 피부 자극이 유도되며, 각질 제거 후 별도의 보습관리를 해줘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이러한 종래 기술로는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849100호 등이 있다.
KR 10-1035140 B1 KR 10-0849100 B1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피부 칙칙함의 원인이 되는 피부 표면의 불필요한 각질을 자극 없이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각질 제거용 화장료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패드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각질 제거와 함께 다량의 수분을 공급해줌으로써, 별도의 보습관리가 필요치 않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각질 제거용 화장료 조성물은, 정제수, 글라이콜릭애씨드(Glycolic Acid), 디프로필렌글라이콜(Dipropylene Glycol), 소듐하이드록사이드(Sodium Hydroxide), 1,2-헥산디올(1,2-Hexanediol), 누에고치추출물, 알로에베라잎추출물(Aloe Barbadensis Leaf Extract), 캐모마일추출물, 오렌지껍질오일(Citrus Aurantium Dulcis(Orange) Peel Oil), 티트리잎오일(Melaleuca Alternifolia (Tea Tree) Leaf Oil), 소듐피씨에이(Sodium PCA), 판테놀(Panthenol), 소듐하이알루로네이트(Sodium Hyaluronate), 글리세린(Glycerin), 폴리글리세릴-10라우레이트(Polyglyceryl-10 Laurate), 폴리글리세릴-10미리스테이트(Polyglyceryl-10Myristate), 프로필렌글라이콜(Propylene Glycol), 부틸렌글라이콜(Butylene Glycol), 펜틸렌글라이콜(Pentylene Glycol), 카프릴릴글라이콜(Caprylyl Glycol), 에칠헥실글리세린(Ethylhexylglycerin) 및 디소듐이디티에이(Disodium EDTA)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화장료 조성물을 포함하는 각질 제거용 패드는, 패드 본체와, 상기 패드 본체에 함침된 상기 각질 제거용 화장료 조성물을 포함하는 특징으로 한다.
상기 패드 본체는, 엠보싱 표면을 가지는 각질 제거용 패드와, 상기 각질 제거용 패드의 하부에 적층되고, 평평한 표면을 가지는 보습용 패드를 포함하고, 상기 각질 제거용 패드에 상기 각질 제거용 화장료 조성물이 함침되고, 상기 보습용 패드에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이 함침되며, 상기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은 동충하초 추출물, 자작나무 수액 및 식물성 뮤신 추출물을 포함하고, 상기 식물성 뮤신은 마로부터 추출된 것임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각질 제거용 패드와 상기 보습용 패드의 사이에는 삽입되는 합성수지 시트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피부 자극 없이 간단한 방법으로 각질을 제거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각질 관리와 보습 관리를 동시에 할 수 있어 사용 편의성을 제공한다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각질 제거용 패드의 평면도.
도 2는 도 1의 단면도.
도 3은 도 1의 각질 제거용 패드를 케이스에 수납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각질 제거용 패드의 단면도.
도 5는 도 4에 합성수지 시트를 추가로 개재한 상태를 나타낸 각질 제거용 패드의 단면도.
도 6은 도 5의 각질 제거용 패드를 케이스에 수납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이하, 본 발명을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각질 제거용 화장료 조성물은, 피부 자극이 되는 성분을 최대한 배제하고, 각질 제거 및 보습 효과가 우수하도록 한 것이다.
이를 위한 각질 제거용 화장료 조성물은, 정제수, 글라이콜릭애씨드(Glycolic Acid), 디프로필렌글라이콜(Dipropylene Glycol), 소듐하이드록사이드(Sodium Hydroxide), 1,2-헥산디올(1,2-Hexanediol), 누에고치추출물, 알로에베라잎추출물(Aloe Barbadensis Leaf Extract), 캐모마일추출물, 오렌지껍질오일(Citrus Aurantium Dulcis(Orange) Peel Oil), 티트리잎오일(Melaleuca Alternifolia (Tea Tree) Leaf Oil), 소듐피씨에이(Sodium PCA), 판테놀(Panthenol), 소듐하이알루로네이트(Sodium Hyaluronate), 글리세린(Glycerin), 폴리글리세릴-10라우레이트(Polyglyceryl-10 Laurate), 폴리글리세릴-10미리스테이트(Polyglyceryl-10Myristate), 프로필렌글라이콜(Propylene Glycol), 부틸렌글라이콜(Butylene Glycol), 펜틸렌글라이콜(Pentylene Glycol), 카프릴릴글라이콜(Caprylyl Glycol), 에칠헥실글리세린(Ethylhexylglycerin), 디소듐이디티에이(Disodium EDTA)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조성물의 성분을 차례로 설명하면, 먼저 상기 글라이콜릭애씨드(Glycolic Acid)는 사탕수수, 사탕무에서 추출하여 정제한 유기산 성분으로, 각질 제거 효과가 뛰어난 성분이다. 즉, 표피 위에 축적된 각질을 부드럽게 제거하고, 모공 관리를 통해 피부톤을 환하고 깨끗하게 가꾸는데 도움을 준다. 상기 글라이콜릭애씨드는 상기 각질 제거용 화장료 조성물 내 0.1~10중량%의 범위로 포함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디프로필렌글라이콜(Dipropylene Glycol)은 탁월한 보습 기능으로 피부 속 수분을 유지시켜 촉촉한 피부로 관리하여 주는데, 상기 글라이콜릭애씨드의 침투를 돕는 역할도 한다. 상기 디프로필렌글라이콜은 각질 제거용 화장료 조성물 내 0.1~1중량%의 범위로 포함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소듐하이드록사이드(Sodium Hydroxide)는 pH 조정제로서 사용되는바, 각질 제거용 화장료 조성물 내 0.01~0.5중량%의 범위로 포함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1,2-헥산디올(1,2-Hexanediol)은 알파-리포산, 디오스게닌, 글루코사민 등으로 이루어져 있는 유기화합물로서, 산화방지, 보습의 기능을 하며, 화장료 조성물을 안정화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1,2-헥산디올은 상기 각질 제거용 화장료 조성물 내 0.1~2중량%의 범위로 포함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누에추출물은 인간의 피부 조직과 가장 가까운 누에의 단백질 성분인 세레신을 함유하여 피부 표면에 보호막을 형성하여 수분 보존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사용된다. 상기 누에추출물은 상기 각질 제거용 화장료 조성물 내 0.01~0.1중량%의 범위로 포함됨이 적절한 보습과 지나친 피부자극을 주지 않는 면에서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누에 추출물은 누에고치를 물 또는 용매를 이용하여 추출한 추출물을 의미하며, 구체적으로는 누에고치를 5~20중량배의 물에 넣고 50~70℃로 4~20시간 동안 가온 추출하여 여과한 것이나, 또는 5~10중량배의 에탄올, 메탄올, 아세톤, 에틸아세테이트, 포화노말부탄올, 클로로포름, 메틸렌클로라이드, 또는 이들의 혼합용매에 누에고치를 넣고 상온에서 추출하여 여과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알로에베라잎추출물(Aloe Barbadensis Leaf Extract)은 알로에베라의 잎에서 추출하여 얻은 성분으로, 비타민 A, C, D, E, B12, 아미노산, 알로에신 등 약 300여가지의 다양한 성분을 함유하고 있다. 보습 효과 및 피부 진정 효과가 우수하여 각질 제거로 인한 피부자극을 완화시켜 준다. 상기 알로에베라잎추출물은 상기 각질 제거용 화장료 조성물 내 0.01~1중량%의 범위로 포함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캐모마일추출물은 캐모마일의 꽃 및 잎에서 추출하여 얻은 성분으로, 민감하고 예민한 피부의 긴장을 풀어주고 편안하게 진정시키는데 도움을 주며, 문제성 피부의 관리에 도움을 준다. 따라서, 각질이 제거된 피부를 진정시켜주며, 표면을 매끄럽게 정리해주는 역할을 한다. 상기 캐모마일추출물은 상기 각질 제거용 화장료 조성물 내 0.01~1중량%의 범위로 포함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오렌지껍질오일(Citrus Aurantium Dulcis(Orange) Peel Oil)은 오렌지 열매의 신선한 껍질을 압착하여 얻은 오일 성분으로, 각질이 제거된 피부의 진정 관리에 도움을 준다. 상기 오렌지껍질오일은 상기 각질 제거용 화장료 조성물 내 0.01~1중량%의 범위로 포함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티트리잎오일(Melaleuca Alternifolia (Tea Tree) Leaf Oil)은 피부 진정에 도움을 주며, 각질 제거를 통해 과다 분비되는 피지량을 조절해준다. 상기 티트리잎오일은 상기 각질 제거용 화장료 조성물 내 0.01~1중량%의 범위로 포함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소듐피씨에이(Sodium PCA)는 피롤리돈카복실릭애씨드(PCA)의 소듐염 성분으로, 피부를 보호하고, 보습제 역할을 하여 건조함을 방지함으로써 촉촉한 피부를 유지하는데 도움을 준다. 상기 소듐피씨에이는 상기 각질 제거용 화장료 조성물 내 0.1~2중량%의 범위로 포함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판테놀(Panthenol)은 판토텐산의 알코올 유도체로, D-판테놀과 L-판테놀이 있다. 그리고 DL-판테놀은 D-판테놀과 L-판테놀을 50%씩 혼합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판테놀의 종류를 제한하지 않는다. 상기 판테놀은 피부에 수분을 공급해주는 것으로, 상기 각질 제거용 화장료 조성물 내 0.1~1중량%의 범위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소듐하이알루로네이트(Sodium Hyaluronate)는 피부에 일정량 존재하는 천연 보습 인자(NMF)로 인체에 무해한 성분이다. 아울러, 자체적인 수분함량이 일반 수분인자의 6000배에 달하여, 주변의 수분을 끌어당겨 수분증발 현상을 막아주며, 얇고 투명한 수분 보습막을 생성하여 외부로부터 가해지는 자극을 감소시켜 주는 것으로, 상기 각질 제거용 화장료 조성물 내 0.1~3중량%의 범위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글리세린(Glycerin)은 동식물계에 널리 분포하는 지방족 삼가 알코올 성분으로, 공기로부터 수분을 흡수하는 수분결합 능력과 수분을 고정하는 능력이 있으며 화장품의 퍼짐성을 좋게 해주는 성분이다. 따라서, 수분 밸런스를 유지시켜 보습력을 향상시키고, 피부에 보호막을 형성한다. 상기 글리세린은 상기 각질 제거용 화장료 조성물 내 1~10중량%의 범위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폴리글리세릴-10라우레이트(Polyglyceryl-10 Laurate)는 유화제로서도 사용되며, 피부가 가진 보습 상태를 유지하는데 도움을 주고 피부 촉감을 좋게 해주는 역할을 한다. 상기 폴리글리세릴-10라우레이트는 상기 각질 제거용 화장료 조성물 내 0.1~3중량%의 범위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폴리글리세릴-10미리스테이트(Polyglyceryl-10Myristate)는 계면활성제 및 유화제로서 사용되는 것으로, 상기 각질 제거용 화장료 조성물 내 0.1~3중량%의 범위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프로필렌글라이콜(Propylene Glycol)은 피부 침투력이 우수하여 유효성분의 침투를 용이하게 하며, 보습제로서의 역할도 한다. 상기 프로필렌글라이콜은 상기 각질 제거용 화장료 조성물 내 0.01~0.1중량%의 범위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부틸렌글라이콜(Butylene Glycol)은 발효시킨 사탕수수에서 추출한 지방산에 나온 물질로 만든 성분으로, 피부에 수분을 공급해주는 역할을 한다. 상기 부틸렌글라이콜은 상기 각질 제거용 화장료 조성물 내 0.01~1중량%의 범위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펜틸렌글라이콜(Pentylene Glycol) 역시 보습제로서의 역할을 하며, 제품의 안정화 기능을 보완하기 위해 사용된다. 상기 펜틸렌글라이콜은 상기 각질 제거용 화장료 조성물 내 0.01~1중량%의 범위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카프릴릴글라이콜(Caprylyl Glycol)은 코코넛오일에서 추출하여 얻을 수 있는 성분으로, 보습력을 유지시켜 주며, 피부 유연성을 높여 피부결을 부드럽게 개선시킨다. 또한, 화장품 조성물의 안정도를 유지시킨다. 상기 카프릴릴글라이콜 상기 각질 제거용 화장료 조성물 내 0.01~1중량%의 범위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에칠헥실글리세린(Ethylhexylglycerin)은 피부컨디셔닝은 물론, 방부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 상기 각질 제거용 화장료 조성물 내 0.01~10중량%의 범위 포함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디소듐이디티에이(Disodium EDTA)는 금속이온과 결합하여 이들이 촉매작용을 하지 못하도록 방지하는 역할로서, 화장품 제조 시 사용되는 성분과 제조공정에서 혼입될 가능성이 높은 금속 이온의 활성을 차단하여 화장품의 품질저하, 산패 등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유효 성분들의 효과적인 피부 흡수를 돕는 촉진제의 역할을 한다. 상기 디소듐이디티에이는 상기 각질 제거용 화장료 조성물 내 0.01~0.5중량%의 범위로 포함됨이 바람직하다.
마지막으로, 상기 정제수는 화장료 조성물의 용매로서, 상기 각질 제거용 화장료 조성물의 잔량을 차지한다.
상기와 같이 조성된 화장료 조성물은 피부에 자극을 주지 않으면서도, 각질을 효과적으로 제거해줌은 물론, 보습 및 피부진정 효과 역시 우수하다는 장점이 있다.
이러한 화장료 조성물은 그대로 피부에 도포하여 사용할 수도 있지만, 각질 제거용 패드에 적용되어 사용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한바, 패드를 통해 녹여낸 각질을 제거하고, 모공을 보다 깨끗하게 정리해주기 위함이다.
상기 각질 제거용 패드는 도 1 및 도 2에서와 같이, 패드 본체(1)와, 상기 패드 본체(1)에 함침된 상기 각질 제거용 화장료 조성물(2)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패드 본체(1)는 통상 사용되는 화장용 솜을 사용할 수 있는바, 그 재질은 100% 순면을 사용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화장용 솜, 즉 패드 본체(1)는 그 형태를 제한하지 않으며, 상기 화장용 솜은 통상 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충분히 공지되었으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상기 패드 본체(1)는 표면이 메시 소재로 마무리될 수도 있고 통상의 솜 섬유로 구성될 수도 있는 것으로, 공지된 패드(1)의 형태라면 이를 제한하지 않는다. 다만, 용이한 각질의 제거를 위하여 패드 본체(1)의 일면 또는 양면 모두에 엠보싱면이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패드 본체(1)에 함침되는 화장료 조성물은 앞서 설명된 각질 제거용 화장료 조성물로서, 상기 패드 본체(1)에 상기 각질 제거용 화장료 조성물(2)을 분사 또는 주입하거나, 상기 각질 제거용 화장료 조성물에 상기 패드 본체(1)를 침지시키는 간단한 방법으로 상기 패드 본체(1) 내 함침시킬 수 있다. 이때, 상기 각질 제거용 화장료 조성물(2)의 함침량은 제한하지 않는다.
이러한 각질 제거용 패드(A)는 도 3에서와 같이 별도의 케이스(C) 내 차례로 적층하여 포장하는바, 사용시 각질 제거용 패드(A)를 하나씩 꺼내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구성된 각질 제거용 패드(A)는 각질 관리는 물론, 보습 관리가 동시에 이루어져 사용 편의성을 제공한다는 장점이 있다.
한편, 상기 패드 본체(1)는 도 4에서와 같이, 엠보싱 표면을 가지는 각질 제거용 패드(11)와, 상기 각질 제거용 패드(11)의 하부에 적층되고, 평평한 표면을 가지는 보습용 패드(12)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각질 제거용 패드(11)와 보습용 패드(12)는 공지된 열압착 등의 방법에 의해 상호 적층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각질 제거용 패드(11)에는 상기 각질 제거용 화장료 조성물(2)이 함침되지만, 상기 보습용 패드(12)에는 별도의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3)이 함침됨이 바람직한데, 상기 각질 제거용 패드(11)를 통해 각질을 제거하고, 모공을 청소해주며, 보습을 제공하고, 상기 보습용 패드(12)를 통해 다시 한번 보습 및 영양을 제공하여 항염, 미백, 피부톤 정리 등의 피부관리를 해주기 위함이다.
이때, 상기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3)로는 다양한 공지된 화장료 조성물을 적용할 수 있지만, 가장 바람직하게는 동충하초 추출물, 자작나무 수액 및 식물성 뮤신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적용하는 것이다.
상기 동충하초 추출물은 강력한 보습, 항염, 탄력증강 및 주름개선의 기능을 갖는 것으로, 사용자의 피부를 건강하게 유지해주는 효과를 갖는다. 상기 동충하초 추출물은 통상 공지된 다양한 방법을 통해 제조할 수 있는바, 예시적으로 동충하초를 0.5~3mm의 입자 크기로 분쇄하는 단계와, 상기 분쇄된 분쇄물을 50~70℃의 온도 및 300~350bar의 압력하에서 초임계 이산화탄소로 초임계 추출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제조함으로써, 그 추출효율을 증대시킬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자작나무 수액은 땅속에서 나무의 줄기를 통하여 잎으로 올라가는 액을 말하는 것으로, 상기 자작나무 수액은 우수한 보습은 물론, 미백효과를 갖는다. 상기 자작나무 수액은 낮과 밤의 기온차가 10 내지 15℃일 때 나무의 증산작용으로 수액 채취가 가장 용이하며, 시기적으로는 지역, 위치, 기상 상태에 따라 차이가 있을 수 있으나 4월 20일(곡우) 전후 10일이다. 상기 자작나무 수액은 일반적으로 자작나무 직경 10cm당 연간 약 7.5L를 채취할 수 있는데, 상기 자작나무 수액의 채취 방법은 지상 30cm 정도 나무줄기를 V자형으로 자르고 홈을 내어 채취하는 사구법과, 지상 30cm 정도 나무줄기에 지름 1.2cm 깊이 1.5cm 깊이의 천공을 낸 후 호스를 연결하여 채취하는 천공법이 있다. 본 발명에서는 어떠한 방법이라도 무관하다.
그리고 식물성 뮤신 추출물은 세포 독성이 없으며, 수분유지 기능 및 콜라겐 합성능력이 뛰어나, 본 발명에 적용시 우수한 피부 보호 및 재생 효과를 부여한다.
본 발명에서는 식물성 뮤신 추출물로서 마로부터 추출된 것을 사용함이 바람직하다. 예시적으로, 마를 분쇄한 후 여과하고, 상기 여과물을 침전시켜 상등액을 수득한 후, 이를 다시 여과하여 식물성 뮤신 추출물을 수득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수득한 식물성 뮤신 추출물에 락토바실러스속의 유산균을 접종하여 발효시킨 발효 식물성 뮤신 추출물을 사용할 수도 있는 것이다.
즉, 본 발명의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3) 동충하초 추출물, 자작나무 수액 및 식물성 뮤신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바, 그 함량은 동충하초 추출물 1~30중량%, 자작나무 수액 1~30중량%, 식물성 뮤신 추출물 1~10중량%임이 바람직하고, 잔량은 공지의 화장료 조성물에 사용되는 첨가제나 정제수 중 1종 이상일 수 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각질 제거용 패드(11)와 보습용 패드(12)를 따로 구성할 경우, 엠보싱면을 갖는 각질 제거용 패드(11)를 이용하여 피부결 대로 닦아내면, 상기 패드(11) 내 함침된 각질 제거용 화장료 조성물(2)을 통해 피부 각질이 효과적으로 제거되고, 모공이 깨끗해지며, 다량의 수분이 공급된다. 그리고 다시 평평한 면을 갖는 보습용 패드(12)로 피부결을 정리해주면, 보습용 패드(12) 내 함침된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3)이 보습, 피부노화방지 및 미백의 효과를 부여해주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본체 패드(1) 내 화장료 조성물을 함침할 시, 상기 각질 제거용 화장료 조성물(2)과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3)이 서로 혼합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도 5와 같이, 상기 각질 제거용 패드(11)와 보습용 패드(12) 사이에 합성수지 시트(4)가 추가로 개재될 수 있다. 즉, 상기 합성수지 시트(4)가 개재됨으로써, 함침된 상기 각질 제거용 화장료 조성물(2)과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3)이 서로 다른 패드에까지 침투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때, 상기 합성수지 시트(4)로는 PE 또는 PP 재질의 것을 이용할 수 있으며, 그 두께는 제한하지 않는다.
그리고 이러한 각질 제거용 패드(A)의 제조를 위해서는 상기 각 패드(11)(12)에 각 조성물(2)(3)을 분사하거나 주입하는 방법을 이용할 수 있는바, 그 방법을 제한하지 않는다.
또한, 상기 각질 제거용 패드(A)는, 케이스(C) 내 수납 시 각질 제거 및 보습용 조성물(2)(3) 간의 혼합을 방지하기 위해, 도 6과 같이, 하나의 각질 제거용 패드(A)와 다른 하나의 각질 제거용 패드(A) 사이에 별도의 합성수지 시트(4)가 삽입되도록 적층하는 바, 가장 위에 위치하는 각질 제거용 패드(A)를 케이스(C)로부터 꺼내 사용하면 다음으로 합성수지 시트(4)가 위치되고, 다음 사용시 상기 합성수지 시트(4)를 제거하고 각질 제거용 패드(A)를 꺼내 사용하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해 상세히 설명한다.
(실시예 1)
글라이콜릭애씨드(Glycolic Acid) 1중량%, 디프로필렌글라이콜(Dipropylene Glycol) 0.1중량%, 소듐하이드록사이드(Sodium Hydroxide) 0.05중량%, 1,2-헥산디올(1,2-Hexanediol) 1중량%, 누에고치추출물 0.05중량%, 알로에베라잎추출물(Aloe Barbadensis Leaf Extract) 0.1중량%, 캐모마일추출물 0.1중량%, 오렌지껍질오일(Citrus Aurantium Dulcis(Orange) Peel Oil) 0.1중량%, 티트리잎오일(Melaleuca Alternifolia (Tea Tree) Leaf Oil) 0.1중량%, 소듐피씨에이(Sodium PCA) 0.5중량%, 판테놀(Panthenol) 0.5중량%, 소듐하이알루로네이트(Sodium Hyaluronate) 1중량%, 글리세린(Glycerin) 5중량%, 폴리글리세릴-10라우레이트(Polyglyceryl-10 Laurate) 0.5중량%, 폴리글리세릴-10미리스테이트(Polyglyceryl-10Myristate) 0.5중량%, 프로필렌글라이콜(Propylene Glycol) 0.05중량%, 부틸렌글라이콜(Butylene Glycol) 0.5중량%, 펜틸렌글라이콜(Pentylene Glycol) 0.1중량%, 카프릴릴글라이콜(Caprylyl Glycol) 0.1중량%, 에칠헥실글리세린(Ethylhexylglycerin) 5중량%, 디소듐이디티에이(Disodium EDTA) 0.1중량% 및 잔량의 정제수로 되는 화장료 조성물을 통상의 방법에 따라 제조하였다.
그리고 상기 화장료 조성물을 일면에 엠보싱이 형성된 순면 재질의 패드 본체에 함침시켰다. 상기 함침은 화장솜을 상기 화장료 조성물에 30초간 침지시키는 방법을 이용하였다.
(실시예 2)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되,
일면에 엠보싱이 형성된 순면 재질의 패드 본체와, 엠보싱이 양면 모두 형성되지 않은 순면 재질의 패드 본체를 적층시켰다. 이때, 그 가장자리는 열압착을 실시하여 상호 접착되도록 하였다.
그리고 상기 엠보싱이 형성된 패드 본체에는 실시예 1의 화장료 조성물 3ml를 주사기로 주입하고, 엠보싱이 형성되지 않은패드 본체에는 동충하초 추출물 20중량%, 자작나무 수액 20중량%, 식물성 뮤신 추출물 5중량% 및 잔량의 정제수로 되는 화장료 조성물 3ml를 주입하였다.
이때, 상기 동충하초 추출물은 다음과 같이 제조하였다. 동충하초 500g을 0.5mm의 입자 크기로 분쇄하였다. 그리고 그 동충하초를 초임계 추출조에 투입한 다음, 추출조에 이산화탄소를 공급하여 압력이 300bar가 되도록 하였다. 이때, 보조용매로서 물을 전체 용매 중 10부피%가 되도록 공급하였다. 그리고 그 온도는 50℃가 되도록 승온하고, 이를 60분간 유지하였다. 다음으로, 이산화탄소를 재공급하면서 추출물을 방출하였다. 방출된 추출물은 상압으로 감압됨으로써, 이산화탄소는 대기중으로 방출되고 유효성분의 추출물은 포집기 내로 물과 함께 회수되었다.
그리고 상기 식물성 뮤신 추출물은 다음과 같이 제조하였다. 먼저, 참마를 준비하여 깨끗이 세척하고, 껍질을 제거하였다. 껍질이 제거된 참마 500g에 물 2.5ℓ를 가하고 교반기로 800rpm에서 30분간 교반하여 분쇄하였다. 그 후, 300mesh의 여과지를 이용하여 1차 여과하고, 이를 원심분리(5,000rpm, 15분, 25℃)하여 상등액을 수득하고, 500mesh의 여과지로 2차 여과하였다. 그리고 최종 여과물을 -50℃ 조건에서 20시간 동결건조하여 제조하였다.
(실시예 3)
실시예 2와 동일하게 실시하되,
상기 엠보싱이 형성된 순면 재질의 패드 본체와, 엠보싱이 양면 모두 형성되지 않은 순면 재질의 패드 본체 사이에 합성수지 시트를 개재하여 열압착하였다.
(시험예 1)
평소 각질이 많다고 응답한 20-40대 성인 여성 30명(그룹당 10명)을 대상으로, 상기한 실시예 1, 2, 3을 12주간 얼굴의 왼쪽에만 1일 1회 사용토록 한 후, 각질 제거, 보습, 탄력개선, 미백, 항염(여드름 완화) 효과와 전체적인 만족도를 오른쪽과 비교하여 9점 척도로 평가토록 하였다. 오른쪽 얼굴은 각질 제거를 하지 않았으며, 각질 제거 후 얼굴 전체에 평소 사용하던 화장품을 그대로 사용토록 하였다.
평가는 오른쪽 얼굴의 보습, 탄력, 항염, 만족도를 기준(4.5점)으로 하여 1점은 매우 악화됨, 9점은 매우 개선됨으로 평가하였다. 그리고 그 결과를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구분 각질 제거 보습 탄력개선 미백 항염 전체적인 만족도
실시예 1 7.5 7.3 6.5 5.5 5.0 6.8
실시예 2 8.2 8.2 7.2 7.2 7.3 7.9
실시예 3 8.5 8.5 7.5 7.8 7.4 8.2
상기 표 1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들 모두 각질 제거, 보습, 탄력개선, 미백, 항염 및 전체적인 만족도가 우수함을 확인하였다. 아울러, 각질 제거용 패드(11)와 보습용 패드(12)로 구성한 실시예 2, 3이 각질 제거용 패드(11)만으로 구성한 실시예 1에 비해 전 항목에서 만족도가 높음을 확인하였다.
이상,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예를 사용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특정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습득한 자라면,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도 많은 수정과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
1: 패드 본체 2: 각질 제거용 화장료 조성물
3: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4: 합성수지 시트
11: 각질 제거용 패드 12: 보습용 패드

Claims (4)

  1. 정제수, 글라이콜릭애씨드(Glycolic Acid), 디프로필렌글라이콜(Dipropylene Glycol), 소듐하이드록사이드(Sodium Hydroxide), 1,2-헥산디올(1,2-Hexanediol), 누에고치추출물, 알로에베라잎추출물(Aloe Barbadensis Leaf Extract), 캐모마일추출물, 오렌지껍질오일(Citrus Aurantium Dulcis(Orange) Peel Oil), 티트리잎오일(Melaleuca Alternifolia (Tea Tree) Leaf Oil), 소듐피씨에이(Sodium PCA), 판테놀(Panthenol), 소듐하이알루로네이트(Sodium Hyaluronate), 글리세린(Glycerin), 폴리글리세릴-10라우레이트(Polyglyceryl-10 Laurate), 폴리글리세릴-10미리스테이트(Polyglyceryl-10Myristate), 프로필렌글라이콜(Propylene Glycol), 부틸렌글라이콜(Butylene Glycol), 펜틸렌글라이콜(Pentylene Glycol), 카프릴릴글라이콜(Caprylyl Glycol), 에칠헥실글리세린(Ethylhexylglycerin) 및 디소듐이디티에이(Disodium EDTA)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각질 제거용 화장료 조성물.
  2. 패드 본체(1)와,
    상기 패드 본체(1)에 함침된 제1항의 각질 제거용 화장료 조성물(2)을 포함하는 특징으로 하는 각질 제거용 패드.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패드 본체(1)는,
    엠보싱 표면을 가지는 각질 제거용 패드(11)와,
    상기 각질 제거용 패드(11)의 하부에 적층되고, 평평한 표면을 가지는 보습용 패드(12)를 포함하고,
    상기 각질 제거용 패드(11)에 제1항의 각질 제거용 화장료 조성물(2)이 함침되고,
    상기 보습용 패드(12)에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3)이 함침되며,
    상기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3)은 동충하초 추출물, 자작나무 수액 및 식물성 뮤신 추출물을 포함하고, 상기 식물성 뮤신은 마로부터 추출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각질 제거용 패드.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각질 제거용 패드(11)와 상기 보습용 패드(12)의 사이에는 삽입되는 합성수지 시트(4)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각질 제거용 패드.
KR1020170022163A 2017-02-20 2017-02-20 각질 제거용 화장료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패드 KR10175931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22163A KR101759310B1 (ko) 2017-02-20 2017-02-20 각질 제거용 화장료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패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22163A KR101759310B1 (ko) 2017-02-20 2017-02-20 각질 제거용 화장료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패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59310B1 true KR101759310B1 (ko) 2017-07-31

Family

ID=594191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22163A KR101759310B1 (ko) 2017-02-20 2017-02-20 각질 제거용 화장료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패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59310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669834A (zh) * 2017-09-20 2018-02-09 四川香龙丹医药科技有限公司 一种治疗小儿及孕、哺期妇女皮肤病的外用药物组合物
CN108685786A (zh) * 2018-07-10 2018-10-23 广州兰寇化妆品有限公司 保湿护肤组合物以及保湿护肤水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68069B1 (ko) 2012-08-14 2013-05-29 주식회사 에버코스 자가로 발포된 거품이 잘 배출되고, 피부자극이 최소화된 티백 타입의 클렌징 패드
KR101514184B1 (ko) 2014-06-24 2015-05-04 주식회사 농협홍삼 자가발포 스크럽클렌징폼 제조방법 및 그 조성물을 포함하는 휴대용 클렌징 패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68069B1 (ko) 2012-08-14 2013-05-29 주식회사 에버코스 자가로 발포된 거품이 잘 배출되고, 피부자극이 최소화된 티백 타입의 클렌징 패드
KR101514184B1 (ko) 2014-06-24 2015-05-04 주식회사 농협홍삼 자가발포 스크럽클렌징폼 제조방법 및 그 조성물을 포함하는 휴대용 클렌징 패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669834A (zh) * 2017-09-20 2018-02-09 四川香龙丹医药科技有限公司 一种治疗小儿及孕、哺期妇女皮肤病的外用药物组合物
CN108685786A (zh) * 2018-07-10 2018-10-23 广州兰寇化妆品有限公司 保湿护肤组合物以及保湿护肤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39013B1 (ko) 모자반 추출물, 청각 추출물 및 참미역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909980B1 (ko) 보습 복합물을 함유하는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KR101571387B1 (ko) 용설란잎 복합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255283B1 (ko) 해양식물 추출혼합물을 포함하는 복합혼합물을 함유한 마스크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마스크팩
KR101759310B1 (ko) 각질 제거용 화장료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패드
KR20110110995A (ko) 초정 광천수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마스크 팩
KR101221183B1 (ko) 한방꽃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외용제 조성물
CN111603426A (zh) 一种补水保湿面膜及其制备方法
KR20180118409A (ko) 에르고티오네인을 포함하는 영양크림 및 그 제조방법
KR102236236B1 (ko) 천연 추출물을 포함하는 두피 개선용 조성물
KR102181279B1 (ko) 피부 노화 예방, 피부 주름 개선, 유연 증진, 및 탄력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US20060263325A1 (en) Compositions comprising soy products and organic salts of certain metals
KR101415992B1 (ko) 생약 추출물을 함유한 모근 강화 및 두피 상태 개선용조성물
KR20190054232A (ko) 탈모방지 및 발모촉진용 헤어샴푸 조성물과 이의 제조방법
KR101773115B1 (ko) 탈염 용암해수 및 천연 복합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JP7338842B2 (ja) しわ改善用組成物およびしわ改善用皮膚化粧料
KR100955085B1 (ko) 솔잎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보습용 조성물의 제조방법
KR101922600B1 (ko) 천연 파란색 식물 복합추출물의 유효 성분을 포함하는 피부 보습 및 컬러테라피용 화장료 조성물
KR102325648B1 (ko) 피부 노화 방지 및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아이패치
KR101236348B1 (ko) 팩조성물
KR101269993B1 (ko)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JP2019151562A (ja) 頭皮、頭髪用ヘアケアセット及び育毛剤
CN100548268C (zh) 含有刺玫瑰果肉的护肤品
KR100794519B1 (ko) 새싹 복합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901859B1 (ko) 모자반 추출물, 청각 추출물 및 참미역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