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39521B1 - 복합형 탄성부직포를 이용한 마스크팩시트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복합형 탄성부직포를 이용한 마스크팩시트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39521B1
KR102239521B1 KR1020190146136A KR20190146136A KR102239521B1 KR 102239521 B1 KR102239521 B1 KR 102239521B1 KR 1020190146136 A KR1020190146136 A KR 1020190146136A KR 20190146136 A KR20190146136 A KR 20190146136A KR 102239521 B1 KR102239521 B1 KR 1022395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sk pack
belt
nonwoven fabric
conveyor belt
roll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461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대원
Original Assignee
김대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대원 filed Critical 김대원
Priority to KR10201901461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3952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395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3952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1/0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 D04H1/4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 D04H1/44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the fleeces or layers being consolidated by mechanical means, e.g. by rolling
    • D04H1/46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the fleeces or layers being consolidated by mechanical means, e.g. by rolling by needling or like operations to cause entanglement of fibres
    • D04H1/492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the fleeces or layers being consolidated by mechanical means, e.g. by rolling by needling or like operations to cause entanglement of fibres by fluid jet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4/00Other cosmetic or toiletry articles, e.g. for hairdressers' rooms
    • A45D44/002Masks for cosmetic treatment of the face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1/0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 D04H1/4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 D04H1/42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certain kinds of fibres insofar as this use has no preponderant influence on the consolidation of the fleece
    • D04H1/425Cellulose serie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1/0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 D04H1/4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 D04H1/42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certain kinds of fibres insofar as this use has no preponderant influence on the consolidation of the fleece
    • D04H1/4326Condensation or reaction polymers
    • D04H1/435Polyester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1/0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 D04H1/4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 D04H1/44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the fleeces or layers being consolidated by mechanical means, e.g. by rolling
    • D04H1/46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the fleeces or layers being consolidated by mechanical means, e.g. by rolling by needling or like operations to cause entanglement of fibres
    • D04H1/498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the fleeces or layers being consolidated by mechanical means, e.g. by rolling by needling or like operations to cause entanglement of fibres entanglement of layered web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Respiratory Apparatuses And Protective Means (AREA)
  • Nonwoven Fabrics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마스크팩시트를 제조하되, 마스크팩시트의 기능성, 즉 형태안정성과 탄력성, 밀착성, 보습성과 함께 투명성이 우수한 마스크팩시트를 얻고, 상기 마스크팩시트를 재단하여 마스크팩을 얻고, 상기 마스크팩에 피부미용조성액을 흡착시켜 양질의 마스크팩제품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본 발명은 형태안정성과 탄력성을 갖는 폴리에스터섬유로 된 부직포를 지지층으로 하고, 양면에 밀착성과 투명성 및 보습성을 갖는 셀룰로오스섬유부직포로 된 표면층과 이면층을 접합시켜 복합형 탄성부직포, 즉 마스크팩시트를 얻고, 상기 마스크팩시트를 재단하여 기능성을 만족하는 마스크팩을 제조하고, 상기 마스크팩에 피부미용조성액을 흡착시켜 피부미용의 목적으로 사용케 하는 것이다.
상기에서 폴리에스터섬유부직포로 구성되는 지지층의 경우 얇게 제조된 부직포 상에 엠보싱가공을 하여 형태안정성을 높이면서, 통기성과 함께 기공층을 형성시켜 흡수성과 보습성이 증진되게 할 수도 있다.

Description

복합형 탄성부직포를 이용한 마스크팩시트의 제조방법{Manufacturing method of mask pack sheet using composite elastic non-woven fabric}
본 발명은 형태안정성과 탄력성을 갖는 얇은 폴리에스터섬유부직포 양면에 우수한 밀착성과 투명성, 내구성 및 보습성을 갖는 셀룰로오스섬유부직포를 접합시켜 복합형 탄성부직포, 즉 마스크팩시트를 얻고, 상기 마스크팩시트를 재단하여 형태안정성과 탄력성, 밀착성, 투명성 및 보습성이 우수한 양질의 마스크팩을 얻고, 상기 마스크팩에 피부미용조성액을 함침시켜 피부미용의 목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피부미용을 위한 마스크팩은 마스크팩에 피부미용조성물을 함침시켜 제조하게 되며, 피부미용을 위하여서는 마스크팩을 얼굴에 붙인 다음 일정시간 유지시킴으로서 피부미용조성물이 피부에 흡수되어 맑고 건강한 피부를 유지하는데 도움이 되게 하는 것이다.
피부미용조성물이 흡착되는 마스크팩은 마스크팩시트를 얼굴형상에 맞게 재단하여 사용하게 되며, 상기 마스크팩 시트는 부직포, 면포, 편직물 등 여러소재의 제품들이 제공되고 있다.
마스크팩에 관한 선행기술을 검토하여 보면, 특허등록 제10-1195105호 "경편을 이용한 마스크팩용 원자재 및 그 제조방법"(특허문헌 1)과, 특허등록 제10-1602331호 "레이스시트를 이용한 하이드로겔 마스크팩"(특허문헌 2)과, 공개특허 제10-2016-0109422호"은 나노입자가 포함된 마스크팩"(특허문헌 3)과, 실용신안등록 제20-0416534호 "마스크팩"(특허문헌 4) 등이 제공된바 있다.
상기 특허문헌 1의 기술내용을 검토하여 보면, 경편(經編)을 이용한 마스크팩용 원자재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세섬도의 고급원사를 트리코트지로 제편하여 마스크팩용 원자재로 사용케 함으로서, 마사지액인 겔(gel)과의 융합성이 우수하면서 피부에 접촉되는 느낌과 밀착력이 탁월한 마스크팩을 제공할 뿐 아니라, 절단된 편포의 단부가 말리는 현상이 없도록 하여 작업성이 우수한 양질의 원자재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특허문헌 2의 기술내용은, 레이스 시트를 이용한 하이드로겔 마스크팩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망사로 이루어진 바닥 조직부 및 상기 망사의 구멍이 채워진 무늬 조직부로 구성되며, 상기 무늬 조직부의 두께는 상기 바닥 조직부의 두께보다 두꺼운 레이스 시트; 및 상기 레이스 시트 상에 형성된 하이드로겔층을 포함하는, 레이스 시트를 이용한 하이드로겔 마스크팩에 관한 것이다.
또한 특허문헌 3의 기술내용은 은 나노입자가 부직포인 마스크 본체의 내면에 포함되어 있어서, 피부 미백효과 및 살균효과가 우수하며, 은 나노입자가 화장액 내에 뭉쳐진 상태가 아니라 마스크 본체의 내면에 형성된 코팅층 내에 균일하게 분포되어 있어서 피부 미백효과 및 살균효과가 얼굴 전체에 걸쳐 골고루 발현되게 한다는 것이다.
특허문헌 4의 기술내용을 검토하여 보면, 마스크팩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마스크팩을 사용할 때 피부에 접촉하지 아니하는 면이 은으로 코팅된 수지필름사로 이루어진 직조물을 채용함으로써, 양쪽 모두에 내용물이 있고, 마스크 팩의 피부와 접촉하는 팩 면을 은으로 내부 코팅하여 다루기 편하게 하고 무게를 주어서 얼굴에서 한쪽으로 몰리거나 쏠리는 현상을 제거하였으며 두들겨서 마사지를 하거나 손으로 다루기 편하게 한 것이다.
상기 특허문헌 1 및 특허문헌 2의 경우 마스크팩 본체는 재단하는 마스크팩 시트가 편기로 제편한 편직물을 소재로 한 것이고, 특허문헌 3의 경우 부직포시트를 재단하여 마스크팩 본체를 제작한 것이고, 특허문헌 4의 경우에는 직기로 제직한 직물시트를 재단하여 마스크팩 본체를 제작한 것이다.
상기 특허문헌 1 내지 특허문헌 4의 경우에도 사용되는 시트의 소재가 편직물, 부직포 및 직물로서 마스크팩 본체 제작시 소재 특성에 맞는 적절한 기능성을 기대할 수는 있겠으나, 형태안정성과 유연성, 밀착성 및 보습성 등과 같은 조건이 요구되는 이상적인 마스크팩 본체의 기능성을 충족시키기에는 미흡한 점이 있는 것이었다.
이러한 단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본 발명자가 특허 제10-1887950호 "거즈형 부직포를 이용한 마스크팩본체의 제조방법"(특허문헌 5)으로 등록한 것이 있다.
상기 특허문헌 5의 기술내용을 검토하여 보면, 형태안정성과 유연성을 갖는 거즈와, 우수한 밀착성과 보습성을 갖는 얇은 면섬유부직포를 워터펀칭으로 접합시켜 마스크팩시트, 즉 거즈형 부직포를 얻고, 상기 거즈형 부직포를 재단하여, 마스크팩을 제조하고, 상기 마스크팩에 피부미용조성액을 함침시켜 사용케 하는 것이다.
상기 특허문헌 5에서 얻어진 마스크팩의 경우 거즈가 갖는 유연성과 얇은 면섬유부직포가 갖는 밀착성과 보습성에 의해 양질의 마스크팩을 얻을 수 있다는 장점이 있으나, 내부에 위치하는 거즈의 경우 탄력성이 부족하고, 면섬유부직포의 경우 밀착성과 보습성이 우수하나, 광택성과 내구성이 취약한 단점이 있는 것이었다.
특허등록 제10-1195105호 "경편을 이용한 마스크팩용 원자재 및 그 제조방법" 특허등록 제10-1602331호 "레이스시트를 이용한 하이드로겔 마스크팩" 공개특허 제10-2016-0109422호"은 나노입자가 포함된 마스크팩" 실용신안등록 제20-0416534호 "마스크팩" 특허 제10-1887950호 "거즈형 부직포를 이용한 마스크팩본체의 제조방법"
본 발명은 마스크팩시트를 제조하되, 마스크팩시트의 기능성, 즉 형태안정성과 탄력성, 밀착성, 보습성과 함께 투명성이 우수한 마스크팩시트를 얻고, 상기 마스크팩시트를 재단하여 마스크팩을 얻고, 상기 마스크팩에 피부미용조성액을 흡착시켜 양질의 마스크팩제품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본 발명은 형태안정성과 탄력성을 갖는 폴리에스터섬유로 된 부직포를 지지층으로 하고, 양면에 밀착성과 투명성 및 보습성을 갖는 셀룰로오스섬유부직포로 된 표면층과 이면층을 접합시켜 복합형 탄성부직포, 즉 마스크팩시트를 얻고, 상기 마스크팩시트를 재단하여 기능성을 만족하는 마스크팩을 제조하고, 상기 마스크팩에 피부미용조성액을 흡착시켜 피부미용의 목적으로 사용케 하는 것이다.
상기에서 폴리에스터섬유부직포로 구성되는 지지층의 경우 얇게 제조된 부직포 상에 엠보싱가공을 하여 형태안정성을 높이면서, 통기성과 함께 기공층을 형성시켜 흡수성과 보습성이 증진되게 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형태안정성과 탄력성을 갖는 폴리에스터섬유로 된 부직포를 지지층으로 하고, 양면에 밀착성과 투명성 및 보습성을 갖는 셀룰로오스섬유부직포로 된 표면층과 이면층을 접합시켜 복합형 탄성부직포, 즉 마스크팩시트를 얻고, 상기 마스크팩시트를 재단하여 기능성을 만족하는 마스크팩을 제조하고, 상기 마스크팩에 피부미용조성액을 흡착시켜 피부미용의 목적으로 사용케 함으로서, 양질의 마스크팩을 제공할 수 있게 되는 등의 효과가 있는 것이다.
도 1 : 본 발명 마스크팩시트의 예시도
도 2 : 본 발명 마스크팩시트의 분해도
도 3 : 본 바명 마스크팩시트를 재딘하여 제조한 마스크팩의 일예시도
도 4 : 본 발명 마스크팩시트 제조장치의 개략구성도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도면에 따라 상세히 설명한다.
일반적으로 폴리에스터섬유는 탄력성이 우수하고, 구김회복도가 높아 형태안정성이 우수하고, 또한 단섬유로 제조할 경우 다른 섬유들과의 혼합성이 우수한 소재이나, 흡습성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
셀룰로오스섬유의 경우 목재펄프로부터 섬유분자를 추출하여 얻어진 천연소재로서, 흡습성과 밀착성, 보습성이 우수하고, 피부미용액을 흡착할 경우, 반투명형태로 변하는 성질이 있으나, 흡습시 강도 및 형태안정성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형태안정성과 탄력성이 우수한 폴리에스테섬유의 장점과, 흡습성, 밀착성, 보습성 및 흡착시 반투명으로 변화하는 셀룰로오스섬유의 장점은 이용하되, 폴리에스섬유의 단점인 흡습성과, 셀룰로오스섬유의 단점인 강도저하 및 부족한 형태안정성은 상호보완하여 물성이 우수한 복합형 탄성부직포, 즉 마스크팩시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형태안정성과 탄력성이 우수한 폴리에스터섬유부직포를 지지층(20)으로 하고, 지지층(20) 표면과 이면에, 흡습성, 밀착성, 보습성 및 수분흡착시 반투명으로 변하는 성질을 갖는 셀룰로오스섬유를 접합시킨 표면층(30) 및 이면층(30')으로 구성된 복합형 탄성부직포, 즉 마스크팩시트(10)를 제조하는 것이다.
상기 마스크팩시트(10) 제조시 지지층(20)에 접합되는 셀룰로오스섬유를 양면에 접합하지 않고 일측면에만 접합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폴리에스터섬유부직포, 즉 지지층(20)을 구성하는 폴리에스터섬유의 조건은 섬도 0.4~0.7데니어, 섬유장 3~6㎜조건의 극세폴리에스터섬유를 사용하여, 통상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부직포 제조장치를 이용하여 폴리에스터섬유부직포(21)를 제조한다.
상기에서 제조된 폴리에스터섬유부직포(21), 즉 지지층(20)을 엠보싱가공을 통하여 엠보싱처리할 경우, 폴리에스터섬유부직포(21)의 결속력을 높일 수 있고, 표면과 이면에 셀룰로오스섬유(31)로 된 표면층(30)과 이면층(30') 형성시 미세한 공간이 형성되므로 흡습성과 보습성을 증진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적용되는 셀룰로오스섬유의 조건은 섬도 0.4~0.7데니어, 섬유장 3~6㎜조건의 극세셀룰로오스섬유를 사용하여 지지층(20) 표면과 이면에 접합되는 표면층(30)과 이면층(30')을 형성시킨다.
지지층(20) 표면과 이면에 접합되는 표면층(30)과 이면층(30')의 접합수단은 여러형태가 제시될 수 있으나, 발명에서는 습식워터펀칭을 통하여 접합되게 하였다.
지지층(20) 양면에 극세셀룰로오스섬유부직포(31)로 된 표면층(30)과 이면층(30')이 접합된 마스크팩시트(10)의 중량은 40~60g/㎡이고, 두께는 0.3~0.4㎜이고, 지지층(20)을 구성하는 폴리에스터섬유와 표면층(30) 및 이면층(30')을 구성하는 셀룰로오스섬유의 혼입비율은 45~55중량% : 45~55중량%의 비율로 구성한다.
상기에서 제조된 마스크팩시트(10)의 중량이 40g/㎡이하이면 두께가 얇아지게 되어 취급이 불편할 뿐 아니라, 탄성지지력과 흡착력이 떨어지게 되고, 60g/㎡이상이면 필요이상으로 두꺼워질 뿐아니라 유연성과 투명성이 떨어지게 되므로 바람직하지 않다.
또한 발명의 마스크팩시트(10)에서 지지층(20)을 구성하는 폴리에스터섬유의 혼입비율이 45중량%이하이면 형태안정성과 탄력성이 떨어지게 되고, 55중량%이상이면 형태안정성과 탄력성은 향상시킬 수 있겠으나, 상대적으로 극세셀룰로오스섬유의 혼입비율이 줄어들기 때문에 흡습성과 보습성이 저하되어 에센스(피부미용조성액)의 함침비율이 떨어지게 되므로 바람직하지 않다.
상기에서와 같이 제조된 마스크팩시트(10)를 재단하고 가공하여, 도 3에서와 같은 마스크팩(10')을 얻는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제공하고자 하는 복합형 탄성부직포를 이용한 마스크팩시트(10)의 최적조건은, 섬도 0.4~0.7데니어, 섬유장 3~6㎜조건의 극세폴리에스터섬유와 셀룰로오스섬유를 이용하여 지지층(20)과 표면층(30) 및 이면층(30')을 구성하고, 제조된 마스크팩시트(10)의 중량은 40~60g/㎡, 두께는 0.3~0.4㎜이고, 폴리에스터섬유와 셀룰로오스섬유의 혼입비율은 45~55중량% : 45~55중량%의 비율로 구성되게 함으로서, 폴리에스터섬유로 된 지지층(20)이 형태안정성과 탄력성을 부여하고, 셀룰로오스섬유로 된 표면층(30)과 이면층(30')이 흡습성과 밀착성, 보습성 및 투명성을 유지시켜 기능성이 우수한 마스크팩시트(10)를 제공하게 된다.
상기에서와 같이 구성된 마스크팩시트(10)의 제조는 여러 수단이 제시될 수 있겠으나, 발명에서는 아래와 같은 수단을 채택하였으며 제조방법을 아래에서 설명한다.
도 4는 마스크팩시트를 제조하기 위한 마스크팩시트 제조장치(100)의 개략구성도이다.
전방에 폴리에스터섬유부직포(21)가 권취된 송출롤러(110)가 설치되고, 송출롤러(110)에서 인출된 폴리에스터섬유부직포(21)는 후방에 위치한 권취롤러(120)에서 권취된다.
송출롤러(110) 후방에는 1차가이드롤러(131)를 따라 회전하는 1차컨베이어벨트(130)가 설치되고, 상기 1차컨베이어벨트(130) 직상부에는 웹성형벨트(140)를 설치하여 전방에 위치하는 진공흡착롤러(143)와 하부가이드(141)롤러와, 상부가이드롤러(142)를 따라 삼각형상으로 회전되게 한다.
이때 웹조성벨트(140)를 회전시키는 진공흡착롤러(143)와 하부가이드롤러(141)는, 1차컨베이어벨트(130)의 1차가이드롤러(131) 직상부에 나란히 근접되게 위치하고 있어, 1차컨베이어벨트(130)와 웹조성벨트(140)가 서로 근접한 상태에서 화살표(A)방향으로 이동하는 접합구간(B)이 유지된다.
웹조성벨트(140)를 구성하는 상부가이드롤러(142) 직상부에는 섬유원료저장탱크(150)가 설치되며, 상기 섬유원료저장탱크(150) 내에는 맑은 물과 극세셀룰로오스섬유가 혼합된 슬러리(151)가 채워지며, 맑은 물과 극세셀룰로오스섬유가 혼합된 슬러리(151) 중의 극세셀룰로오스섬유의 혼입농도는 0.3~0.5%정도 혼입되게 한다.
1차컨베이어벨트(130)와 웹조성벨트(140) 사이에 형성된 접합구간(B)에는 1차워터펀칭기(160)가 설치되며, 상기 1차워터펀칭기(160)를 구성하는 1차워터펀칭헤드(161)는 웹조성벨트(140) 상부에 설치되고, 1차흡수탱크(162)는 1차컨베이어벨트(130) 아랫쪽에 나란히 위치된다.
1차컨베이어벨트(130) 후방에는 5~8대의 2차컨베이어벨트(170)를 설치하되, 상기 2차컨베이어벨트(170)는 2차가이드롤러(171)에 의해 화살표(A)방향으로 회전한다.
2차컨베이어벨트(170)에는 2차워터펀칭기(180)를 설치하되, 2차워터펀칭헤드(181)는 2차컨베이어벨트(170) 상부에 위치하고, 2차흡수탱크(182)는 2차컨베이어벨트(170) 아랫쪽에 위치한다.
2차컨베이어벨트(170) 후방에는 건조실(190)을 설치하고, 건조실(190) 후방에는 가압롤러(192)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한 구성의 마스크팩시트 제조장치(100)를 이용한 마스크팩시트(10)의 제조과정을 설명한다.
송출롤러(110)에 권취된 폴리에스터섬유부직포(21)를 인출하여 1차컨베이어벨트(130)과 웹조성벨트(140) 사이로 통과시킨 다음, 2차컨베이어벨트(170)와, 건조실(190)과, 가압롤러(192)를 경유, 권취롤러(120)에 권취시킨다.
상기한 상태에서 마스크팩시트 제조장치(100)를 작동시키면 1차컨베이어벨트(130)와, 웹조성벨트(140)와, 2차컨베이어벨트(170)와, 가압롤러(192)가 회전하면서, 송출롤러(110)에 권취된 폴리에스터섬유부직포(21)가 풀리면서 권취롤러(120)에 권취된다.
동시에 웹조성벨트(140) 상부에 위치한 섬유원료저장탱크(150)에 채워진 액상의 슬러리(151)를 웹조성벨트(140) 상부에 공급시킨다.
상기에서와 같이 맑은 물에 극세셀룰로오스섬유가 질량농도 0.3~0.5% 정도로 혼입된 액상의 슬러리(151)를 웹조성벨트(140) 상부에 공급시키면 슬러리(151)를 구성하는 물은 웹조성벨트(140) 아래로 흘러내린 다음 별도 처리되고, 극세셀룰로오스섬유는 웹조성벨트(140) 상에 부직포형태로 잔류하게 된다.
극세셀룰로오스섬유가 웹조성벨트(140)에 잔류된 상태에서 회전하여 1차컨베이어벨트(130) 직상부에 위치하는 접합구간(B)으로 이동하게 되고, 상기 접합구간(B)에 설치된 1차워터펀칭기(160)의 워터펀칭헤드(161)로부터 분사되는 분사수가 웹조성벨트(140) 상부에서 분사되면 분사수에 의해 웹조성벨트(140)에 잔류하던 극세셀룰로오스섬유는 폴리에스터섬유부직포(21)로 이동하게 된다.
이때 분사수에 의해 폴리에스터섬유부직포(21)로 이동된 극세셀룰로오스섬유 중 일부는 폴리에스터섬유부직포(21) 상면에 위치하나, 일부는 폴리에스터섬유부직포(21)를 통과하여 아랫쪽에 위치된다.
사용된 분사수는 1차흡수탱크(162)로 유입되어 처리된다.
1차워터펀칭기(160)를 통하여 극세셀룰로오스섬유가 폴리에스터섬유부직포(21)로 옮겨진 상태에서 화살표(A)방향으로 이동하면서 2차컨베이어벨트(170)로 이동하여 5~8대로 구성된 2차워터펀칭기(180)를 지나면서 2차워터펀칭헤드(181)로부터 분사되는 분사수에 의해 극세셀룰로오스섬유는 폴리에스터섬유부직포(21)와 더욱 견고한 결속이 이루어지게 된다.
사용된 분사수는 2차흡수탱크(182)로 유입되어 처리된다.
복수대의 2차워터펀칭기(180)를 지나면서 극세셀룰로오스섬유가 폴리에스터섬유부직포(21) 상면에 셀룰로오스섬유부직포(31) 형태로 결속된 마스크팩시트(10)가 얻어지게 되고, 상기 마스크팩시트(10)는 건조실(190)을 지나면서 상면에 위치한 극세셀룰로오스섬유가 폴리에스터섬유부직포(21)와 밀착되면서 건조되고, 건조된 마스크팩시트(10)는 가압롤러(192)를 지나면서 압착되어 평활하게 처리된 다음 권취롤러(120)에 권취된다.
상기 과정을 통하여 폴리에스터섬유부직포(21) 표면에 셀룰로오스섬유가 부직포형태로 접합이 완료되면, 권취롤러(120)에 권취된 마스크팩시트(10)를 다시 도 4의 마스크팩시트 제조장치(100)에 투입하여, 폴리에스터섬유부직포(21)의 표면에 셀룰로오스섬유로 된 표면층(30)을 형성시킨 구성과 동일한 방법으로, 폴리에스터섬유부직포(21) 이면에 셀룰로오스섬유를 접합시켜 이면층(30')을 형성시켜, 폴리에스터섬유부직포(21)로 된 지지층(20) 표면과 이면에, 셀룰로오스섬유로 된 표면층(30)과 이면층(30')이 일체형으로 접합된 마스크팩시트(10)가 제조되고, 제조된 마스크팩시트(10)는 권취롤러(120)에 권취된다.
권취롤러(120)에 권취된 마스크팩시트(10)를 재단하여 원하는 형태의 마스크팩(10')을 얻는다.
상기에서 얻어진 마스크팩시트(10)의 중량은 40~60g/㎡정도이고, 두께는 0.3~0.4㎜의 조건으로 제조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마스크팩시트(10)는 섬도 0.4~0.7데니어, 섬유장 3~6㎜조건의 폴리에스터섬유로 폴리에스터섬유부직포(21)를 얻고, 상기 폴리에스터섬유부직포(21) 표면과 이면에, 섬도 0.4~0.7데니어, 섬유장 3~6㎜ 조건의 극세셀룰로오스섬유가 셀룰로오스섬유부직포(31)형태로 접합되어 있어, 마스크팩시트(20)를 재단하여 제조한 마스크팩(10')에 피부미용조성액, 즉 에센스를 함침시키면 셀룰로오스섬유부직포(31)를 구성하는 극세셀룰로오스섬유가 에센스를 흡착하여 하이드로겔과 같이 도톰하게 부풀어올라 투명하면서 매끄러운 촉감을 부여하고, 수분지속력이 우수하여 장시간 촉촉한 상태로 유지되며, 특히 내부에 위치한 폴리에스터섬유부직포(21)가 표면과 이면에 위치한 극세셀룰로오스섬유부직포(31)를 탄력있게 지지하면서 형태안정성과 탄력성을 유지하게 된다.
(10)--마스크팩시트 (10')--마스크팩
(20)--지지층 (21)--폴리에스터섬유부직포
(30)--표면층 (30')--이면층
(31)--셀룰로오스섬유부직포 (100)--마스크팩 제조장치
(110)--송출롤러 (120)--권취롤러
(130)--1차컨베이어벨트 (140)--웹조성벨트
(151)--슬러리 (150)--섬유원료저장탱크
(160)--1차워터펀칭기 (170)--2차컨베이어벨트
(180)--2차워터펀칭기 (190)--건조실

Claims (2)

  1. 삭제
  2. 전방에 폴리에스터섬유부직포가 권취된 송출롤러가 설치되고, 송출롤러에서 인출된 폴리에스터섬유부직포는 후방에 위치한 권취롤러에서 권취되고, 송출롤러 후방에는 1차가이드롤러를 따라 회전하는 1차컨베이어벨트가 설치되고, 상기 1차컨베이어벨트 직상부에는 웹성형벨트를 설치하여 전방에 위치하는 진공흡착롤러와, 하부가이드롤러와, 상부가이드롤러를 따라 삼각형상으로 회전되게 하고, 웹조성벨트를 회전시키는 진공흡착롤러와 하부가이드롤러는, 1차컨베이어벨트의 1차가이드롤러 직상부에 나란히 근접되게 설치하여, 1차컨베이어벨트와 웹조성벨트가 서로 근접한 상태에서 화살표(A)방향으로 이동하는 접합구간을 구성하고, 웹조성벨트를 구성하는 상부가이드롤러 직상부에는 섬유원료저장탱크가 설치되며, 상기 섬유원료저장탱크 내에는 맑은 물과 극세셀룰로오스섬유가 혼합된 슬러리가 채워지며, 맑은 물과 극세셀룰로오스섬유가 혼합된 슬러리 중의 극세셀룰로오스섬유의 질량농도는 0.3~0.5% 혼입되게 하고, 1차컨베이어벨트와 웹조성벨트 사이에 형성된 접합구간에는 1차워터펀칭기가 설치되며, 상기 1차워터펀칭기를 구성하는 1차워터펀칭헤드는 웹조성벨트 상부에 설치되고, 1차흡수탱크는 1차컨베이어벨트 아랫쪽에 나란히 위치하며, 1차컨베이어벨트 후방에는 5~8대의 2차컨베이어벨트를 설치하되, 상기 2차컨베이어벨트는 2차가이드롤러에 의해 화살표(A)방향으로 회전되게 하고, 2차컨베이어벨트에는 2차워터펀칭기를 설치하되, 2차워터펀칭헤드는 2차컨베이어벨트 상부에 위치하고, 2차흡수탱크는 2차컨베이어벨트 아랫쪽에 위치하고, 2차컨베이어벨트 후방에는 건조실을 설치하고, 건조실 후방에는 가압롤러가 설치되게 함으로서, 마스크팩시트 제조장치를 작동시키면 1차컨베이어벨트와, 웹조성벨트와, 2차컨베이어벨트와, 가압롤러가 회전하면서, 송출롤러에 권취된 폴리에스터섬유부직포가 풀리면서 권취롤러에 권취되고, 동시에 웹조성벨트 상부에 위치한 섬유원료저장탱크에 채워진 액상의 슬러리를 웹조성벨트 상부에 공급시키고, 액상의 슬러리를 웹조성벨트 상부에 공급시키면 슬러리를 구성하는 물은 웹조성벨트 아래로 흘러내린 다음 별도 처리되고, 극세셀룰로오스섬유는 웹조성벨트 상에 부직포형태로 잔류되게 하고, 극세셀룰로오스섬유가 웹조성벨트에 잔류된 상태에서 회전하여 1차컨베이어벨트 직상부에 위치하는 접합구간으로 이동하게 되고, 상기 접합구간에 설치된 1차워터펀칭기의 워터펀칭헤드로부터 분사되는 분사수가 웹조성벨트 상부에서 분사되면 분사수에 의해 웹조성벨트에 잔류하던 극세셀룰로오스섬유는 폴리에스터섬유부직포로 이동되게 하고, 1차워터펀칭기를 통하여 극세셀룰로오스섬유가 폴리에스터섬유부직포로 옮겨진 상태에서 화살표(A)방향으로 이동하고, 2차컨베이어벨트로 이동하여 5~8대로 구성된 2차워터펀칭기를 지나면서 2차워터펀칭헤드로부터 분사되는 분사수에 의해 셀룰로오스섬유가 폴리에스터섬유부직포와 더욱 견고한 결속이 이루어지게 하고, 복수대의 2차워터펀칭기를 지나면서 극세셀룰로오스섬유가 폴리에스터섬유부직포 상면에 부직포형태로 접합되어 표면층이 형성된 마스크팩시트가 얻어지게 되고, 상기 마스크팩시트는 건조실을 지나면서 상면에 위치한 극세셀룰로오스가 폴리에스터섬유부직포와 밀착되어 건조되고, 건조된 마스크팩시트는 가압롤러를 지나면서 압착되어 평활하게 처리된 다음 권취롤러에 권취되게 하고, 권취롤러에 권취된 마스크팩시트를 다시 마스크팩시트 제조장치에 투입하여, 폴리에스터섬유부직포의 표면에 셀룰로오스섬유로 된 표면층을 형성시킨 구성과 동일한 방법으로, 폴리에스터섬유부직포 이면에 셀룰로오스섬유를 접합시켜 이면층이 형성되게 함으로서, 폴리에스터섬유부직포로 된 지지층 표면과 이면에 셀룰로오스섬유가 부직포형태로 접합된 표면층과 이면층이 일체형으로 접합된 마스크팩시트가 제조되고, 제조된 마스크팩시트는 권취롤러에 권취되게 하여 제조함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형 탄성부직포를 이용한 마스크팩시트의 제조방법.
KR1020190146136A 2019-11-14 2019-11-14 복합형 탄성부직포를 이용한 마스크팩시트의 제조방법 KR10223952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46136A KR102239521B1 (ko) 2019-11-14 2019-11-14 복합형 탄성부직포를 이용한 마스크팩시트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46136A KR102239521B1 (ko) 2019-11-14 2019-11-14 복합형 탄성부직포를 이용한 마스크팩시트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39521B1 true KR102239521B1 (ko) 2021-04-12

Family

ID=754397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46136A KR102239521B1 (ko) 2019-11-14 2019-11-14 복합형 탄성부직포를 이용한 마스크팩시트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39521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16534Y1 (ko) 2006-02-21 2006-05-16 주식회사 태평양의료기 마스크팩
KR101195105B1 (ko) 2012-05-18 2012-10-29 주식회사 제닉 경편을 이용한 마스크팩용 원자재 및 그 제조방법
KR101602331B1 (ko) 2013-09-16 2016-03-11 주식회사 제닉 레이스 시트를 이용한 하이드로겔 마스크팩
KR20160109422A (ko) 2015-03-11 2016-09-21 김효영 은 나노입자가 포함된 마스크팩
KR101887950B1 (ko) 2017-01-24 2018-08-13 주식회사 천우글로텍스 거즈형 부직포를 이용한 마스크팩 본체의 제조방법
KR101902546B1 (ko) * 2017-08-30 2018-09-28 김대원 마스크팩용 복합부직포시트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16534Y1 (ko) 2006-02-21 2006-05-16 주식회사 태평양의료기 마스크팩
KR101195105B1 (ko) 2012-05-18 2012-10-29 주식회사 제닉 경편을 이용한 마스크팩용 원자재 및 그 제조방법
KR101602331B1 (ko) 2013-09-16 2016-03-11 주식회사 제닉 레이스 시트를 이용한 하이드로겔 마스크팩
KR20160109422A (ko) 2015-03-11 2016-09-21 김효영 은 나노입자가 포함된 마스크팩
KR101887950B1 (ko) 2017-01-24 2018-08-13 주식회사 천우글로텍스 거즈형 부직포를 이용한 마스크팩 본체의 제조방법
KR101902546B1 (ko) * 2017-08-30 2018-09-28 김대원 마스크팩용 복합부직포시트의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081512A (en) Method of producing apertured nonwoven fabric
US3978257A (en) Internally adhesively bonded fibrous web
KR101887950B1 (ko) 거즈형 부직포를 이용한 마스크팩 본체의 제조방법
ES2679397T3 (es) Material en forma de hoja depositada por vía húmeda de una composición de material microfibrilado
US6183847B1 (en) Coating selective zones of thin webs to change the pervious character thereof
US3575749A (en) Method for making fibrous sheets or webs
US3081514A (en) Foraminous nonwoven fabric
US3047444A (en) Non-woven fabric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US6796010B2 (en) Method for the production of nonwoven webs, the cohesion of which is obtained by means of fluid jets
EP0531096B1 (en) Composite fabrics
TW201033427A (en) Permeable belt for nonwovens production
US2986780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forming patterned webs
GB1453447A (en) Nonwoven thermoplastic fabric
HU222423B1 (hu) Nedvszívó betét
CN103938368A (zh) 一种具有单向导水功能的水刺非织造材料及其制备方法和应用
KR101976155B1 (ko) 마스크팩용 혼섬부직포
CN104562440B (zh) 一面吸水一面防水锁水微泡面膜无纺布及制造方法
CN106048888A (zh) 含有天然纤维的多层无胶复合无纺布及其制备方法和应用
US4012281A (en) Wet laid laminat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JPS599177B2 (ja) キユウシユウセイヒヨウメンザイリヨウオヨビソノ セイホウ
CN104562443A (zh) 一面吸水渗透一面防水锁水贴肤无纺布及制造方法
US3104998A (en) Non-woven fabrics
KR102239521B1 (ko) 복합형 탄성부직포를 이용한 마스크팩시트의 제조방법
KR101902546B1 (ko) 마스크팩용 복합부직포시트의 제조방법
US2905568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anufacturing an absorbent produc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