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52300B1 - 쌀 마스크 팩 시트 및 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쌀 마스크 팩 시트 및 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52300B1
KR102152300B1 KR1020180042903A KR20180042903A KR102152300B1 KR 102152300 B1 KR102152300 B1 KR 102152300B1 KR 1020180042903 A KR1020180042903 A KR 1020180042903A KR 20180042903 A KR20180042903 A KR 20180042903A KR 102152300 B1 KR102152300 B1 KR 1021523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parts
rice
extract
mask pa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429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59187A (ko
Inventor
이종필
이병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뼛黴보俟?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뼛黴보俟?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뼛黴보俟?
Publication of KR201900591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5918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523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5230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94Liliopsida [mono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4/00Other cosmetic or toiletry articles, e.g. for hairdressers' rooms
    • A45D44/002Masks for cosmetic treatment of the face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4/00Other cosmetic or toiletry articles, e.g. for hairdressers' rooms
    • A45D44/22Face shaping devices, e.g. chin straps; Wrinkle removers, e.g. stretching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212Face mask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4Dispersions; Emulsions
    • A61K8/042Ge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73Polysacchari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73Polysaccharides
    • A61K8/732Starch; Amylose; Amylopectin;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Birds (AREA)
  • Myc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Botany (AREA)
  • Biotech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rmat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개시는 비스코자임 및 셀룰라아제를 포함하는 효소로 처리된 100 중량부의 쌀가루, 40 내지 60 중량부의 변성전분, 200 내지 400 중량부의 물, 5 내지 20 중량부의 겔화 고분자, 및 5 내지 20 중량부의 기능성 첨가제를 포함하는 쌀 마스크 팩 시트 및 비스코자임 및 셀룰라아제를 포함하는 효소로 처리된 쌀가루를 준비하는 단계; 떡 반죽을 제조하는 단계; 폴리머 겔을 제조하는 단계; 화장수를 제조하는 단계; 마스크 팩 시트 페이스트를 제조하는 단계; 및 성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쌀 마스크 팩 시트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쌀 마스크 팩 시트 및 이의 제조방법 {RICE MASK PACK SHEET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본 개시는 쌀 마스크 팩 시트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인간의 피부는 식생활의 변화 또는 주변환경의 변화로 인하여 다양한 형태의 피부질환을 일으키기도 하고, 나이가 들어감에 따른 노화현상을 일으키기도 한다. 피부의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다양한 화장료 조성물, 미용팩용 조성물, 피부노화 예방기술 등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특히 피부질환으로서 아토피 피부염, 기미, 여드름, 습진, 각종 가려움증을 치료하거나 피부의 보습효과 및 혈액순환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많은 기능성 조성물이 개발되었다.
한편, 다양한 피부의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 사용하는 미용팩 중 피부에 도포시 효과를 높이기 위해 동물성 단백질인 계란, 꿀과 같은 천연물질, 피부영양제를 첨가한 젤, 야채, 곡물, 과일, 한약재 등을 이용한 미용팩 등이 있다.
그러나 이러한 미용팩들의 경우, 자체의 제형이나 성분 효능도 중요하지만 피부는 외부의 이물질 침투에 대한 방어작용 외에, 경우에 따라서 물질을 흡수하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은 화학 성분의 사용으로 인해 뒤따르는 부작용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기존에 개발 및 유통중인 마스크 팩은 부직포, 겔화물을 이용한 마스크 팩, 초산균을 이용한 마스크 팩 등이 있고, 20-30년 전부터 이를 이용한 제조방법에 대한 특허를 바탕으로 상품화가 이루어지고 있다.
부직포는 마스크 팩 소재중에 지금까지 꾸준히 많이 이용되는 널리 알려진 소재이다. 그러나 부직포는 마스크 팩 소재중에 가격이 싸면서, 성형이 간단하며, 두께조절이 가능한 장점이 있지만 보수성이 약하여 미용수가 흘러내리고, 얼굴에 밀착력이 떨어지며, 또한 합성소재라는 인식 때문에 소비자들이 선호도가 차츰 떨어지고 있는 실정이다.
겔화물을 이용한 마스크 팩은 주로 식품원료로 이용되는 젤리제조용 원료로 제조되며 겔 마스크 팩으로 불리고 있다. 이러한 겔 마스크 팩은 한천, 젤라틴, 구아검, 펙틴, 로가스트빈검 기타 고분자 점성제로 구성되어 있다. 종래의 겔상 미용 마스크는 식물추출물, 지방류 등을 혼합 교반하면서 가온온도 80-100℃ 의 범위로 가열한 후 냉각하여 성형하여 포장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이 겔 마스크 팩들의 제조방법과 유사하다 (한국특허등록 제 10-0506543호). 그러나 이러한 제조방법은 미용제 조성물이 가온 온도에 의해 유효성분들의 파괴가 많다는 것이 단점으로 부각되고 있다. 특히 콜라겐 등은 온도가 높으면 젤라틴으로 변성하여 그 효과가 없어진다.
초산균을 이용한 마스크 팩은 아세토박터속 균주의 정치배양을 통해 얻은 겔 상태에서 미용제 조성물을 첨가하여 제조된다. 이 예가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0405776호에 기술되어 있다. 그러나 초산균을 이용한 마스크 팩은 그 겔 자체의 고유의 냄새 제거에 한계가 있으며, 미생물배양을 통하여 제조되었으므로, 제조과정 및 보존에 대하여 미생물 오염에 취약하다.
이러한 단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곡류 페이퍼 시트를 활용한 피부 밀착력 및 부착력이 우수한 피부 부착용 지지체 (한국 등록특허 제10-1421669호)가 개발되었으나, 이들 곡류 페이퍼 시트는 미용액의 침적 및 흡수능이 떨어지고, 장기간 보관시 쉽게 파손되는 등의 많은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또한, 이러한 단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식물성 전분을 이용한 마스크 팩이 등장하기에 이르렀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199967호). 식물성 전분을 이용한 마스크 팩의 경우에는, 식물성 전분이 종래의 부직포와 같이 피부에 자극을 주지 않고, 피부에 안전하며, 제조시 저렴한 생산성을 가지고 있다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식물성 전분을 이용한 마스크 팩은 식물성 전분이 일정량의 수분을 계속적으로 보유할 수 없는 단점이 있다. 이는 상기 식물성 전분이 공기에 노출될 경우, 그 표면으로부터 수분이 빠져나와 건조되므로, 건조된 표면 부위의 수분 함량과 그 내부의 수분 함량이 서로 달라져서, 외부의 충격에 쉽게 파손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식물성 전분을 이용한 마스크 팩은 일반적으로 건조된 식물성 전분의 시트와 미용액(에센스)으로 구성되어 있었다. 이것은 평시에는 건조된 시트와 미용액을 별도로 보관하지만, 사용시에는 상기 시트를 상기 미용액에 적시거나 침지시킨 다음, 일정한 시간 (2분 내지 3분 정도)을 기다렸다가, 상기 미용액이 어느 정도 침투된 시트를 얼굴이나 피부에 갖다 대고 사용한다. 그러나, 미용액을 시트에 침지시킨 뒤에 최상의 시트 상태가 만들어지는 시간을 조절하기가 쉽지 않다. 미용액의 침투 시간이 짧으면 시트가 뻣뻣하고, 침투 시간이 너무 길면 시트가 흐물거려서 피부에 부착하는 것이 어렵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506543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405776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421669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199967호
이에 본 개시에서는 상술한 문제점을 예의 검토한 결과, 쌀가루를 효소처리하고 변성전분과 특정비율로 혼합시키면 함수율이 높고 인장 강도가 높은 쌀 마스크 팩 시트를 제조할 수 있다는 것을 발견하였고, 본 개시는 이러한 발견에 기초하여 완성되었다.
따라서, 본 개시의 하나의 관점은 쌀 마스크 팩 시트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개시의 또 다른 관점은 쌀 마스크 팩 시트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하나의 관점을 달성하기 위한 본 개시의 일 구체예에 따른 쌀 마스크 팩 시트는 비스코자임 및 셀룰라아제를 포함하는 효소로 처리된 100 중량부의 쌀가루, 40 내지 60 중량부의 변성전분, 200 내지 400 중량부의 물, 5 내지 20 중량부의 겔화 고분자, 및 5 내지 20 중량부의 기능성 첨가제를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 구체예에 따르면, 상기 변성전분은 디스타치포스페이트 또는 하이드록시프로필 스타치 포스페이트일 수 있다.
예시적 구체예에 따르면, 상기 겔화 고분자는 구아검, 아가검, 잔탄검, 카라기난검, 타마린드검, 및 프로필렌글라이콜 알지네이트로 이루어진 군에서 하나 이상 선택될 수 있다.
예시적 구체예에 따르면, 상기 기능성 첨가제는 콜라겐, 말토덱스트린, 펜타소듐트리포스페이트, 트레할로스, 폴리덱스트로오스, 세라마이드, 글리세린, 알부틴, 레시틴, 히아루론산, 1,2-헥산디올, 하이드록시아세토페논, 소듐설페이트, 카프릴릴글라이콜, 동물 오일, 식물 추출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하나 이상 선택될 수 있다.
예시적 구체예에 따르면, 상기 식물 추출물은 금은화 추출물, 작약 추출물, 고삼 추출물, 황금 추출물, 붉나무 추출물, 녹차 추출물, 복숭아나무잎 추출물, 은행잎 추출물, 황백 추출물, 생강 추출물, 마늘 추출물, 쑥 추출물, 대왕송잎 추출물, 삼백초 추출물, 및 프로폴리스 추출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하나 이상 선택될 수 있다.
예시적 구체예에 따르면, 상기 비스코자임 및 셀룰라아제를 포함하는 효소로 처리된 쌀가루는 100 중량부의 쌀가루 및 0.2 내지 5 중량부의 비스코자임 및 셀룰라아제를 포함하는 효소를 혼합한 후, 20 ℃ 내지 50 ℃에서 숙성시켜 제조된 것일 수 있다.
상기 또 다른 관점을 달성하기 위한 쌀 마스크 팩 시트의 제조방법은 비스코자임 및 셀룰라아제를 포함하는 효소로 처리된 쌀가루를 준비하는 단계;
상기 비스코자임 및 셀룰라아제를 포함하는 효소로 처리된 100 중량부의 쌀가루, 40 내지 60 중량부의 변성전분 및 150 내지 250 중량부의 물을 혼합하고, 90 내지 95 ℃의 온도에서 교반하여 떡 반죽을 제조하는 단계;
물 100 중량부 및 구아검, 아가검, 잔탄검, 카라기난검, 타마린드검, 및 프로필렌글라이콜 알지네이트로 이루어진 군에서 하나 이상 선택한 겔화 고분자 1 내지 10 중량부를 혼합하여 폴리머 겔을 제조하는 단계;
물 100 중량부 및 콜라겐, 말토덱스트린, 펜타소듐트리포스페이트, 트레할로스, 폴리덱스트로오스, 세라마이드, 글리세린, 알부틴, 레시틴, 히아루론산, 1,2-헥산디올, 하이드록시아세토페논, 소듐설페이트, 카프릴릴글라이콜, 동물 오일, 식물 오일, 및 식물 추출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하나 이상 선택된 유효성분 5 내지 20 중량부를 혼합하여 화장수를 제조하는 단계;
상기 떡 반죽 100 중량부에 400 내지 600 중량부의 폴리머 겔을 투입하고 교반한 후에, 상기 화장수를 200 내지 400 중량부를 투입하고 교반하여 마스크 팩 시트 페이스트를 제조하는 단계; 및
상기 마스크 팩 시트 페이스트를 소정의 형상으로 성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 구체예에 따르면, 상기 비스코자임 및 셀룰라아제를 포함하는 효소로 처리된 쌀가루를 준비하는 단계는
쌀가루 100 중량부 및 비스코자임 및 셀룰라아제를 포함하는 효소 0.2 내지 5 중량부를 혼합한 후, 20 ℃ 내지 50 ℃에서 숙성시키는 쌀가루를 비스코자임 및 셀룰라아제를 포함하는 효소로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 구체예에 따르면, 상기 변성전분은 디스타치포스페이트 또는 하이드록시프로필 스타치 포스페이트일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구체예에 따른 쌀 마스크 팩 시트는 높은 함수율 및 높은 인장 강도를 가질 수 있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구체예에 따라 제조된 마스크 팩 시트의 사진이다.
도 2는 본 개시의 일 구체예에 따라 제조된 마스크 팩 시트의 인장 강도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본 개시를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전에,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되어서는 아니되며, 본 개시를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의 구성은 본 개시의 바람직한 하나의 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하,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개시를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개시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아울러, 본 개시를 설명함에 있어서, 본 개시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관련된 공지기술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쌀가루의 효소 처리>
쌀에는 전분, 펩티드, 글루시드, 셀룰로오스, 및 각종 미네랄 등이 다량으로 함유되어 있으며, 쌀눈에는 올레인산, 리놀산 및 레시틴 등 불포화 지방산과 비타민이 함유되어 있고, 쌀의 주성분은 전분으로 약 70%가 함유되어 있다. 쌀에 포함된 전분은 물을 흡수하는 경우 점착력을 부여할 수 있다. 또한, 쌀은 피부에 친화적인 것으로, 알레르기나 피부 자극 문제를 일으키지 않으면서, 피부 미백 효과, 쿨링 효과 및 항염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전분이라 함은 쌀을 비롯하여 옥수수, 감자 고구마, 밀, 메밀 등의 곡물을 곱게 갈아서 가루로 만든 후, 물에 침지하여 가라앉는 비중차에 의하여 전분층을 따로 분리 건조한 제품이다. 곡물의 종류에 따라 약간의 차이는 있지만 곡물가루 1kg에 대해 약 600~800g의 전분을 얻을 수 있다.
식물들은 보통 β전분의 형태로 전분을 저장하는데, 이는 쌀이나 밀의 낟알 등에서 볼 수 있는 형태이며 구조적으로는 아밀로오스와 아밀로펙틴 사슬이 밀접하게 결합되어 있으며, 때문에 딱딱하고 단단하며 소화되기 어려운 특성을 가지고 있다. 이 β전분에 물을 넣고 가열하거나 수소결합을 파괴하면 사슬 구조가 끊어지며, 사슬 사이로 물이 들어가 불규칙하게 팽창된 구조를 가지는 α전분이 된다. 이 과정을 전분의 α화 혹은 호화 (糊化, gelatinization)라고 부르며 이 α형태의 전분은 밥, 빵과 같은 음식 등을 구성하는 주 성분이다. 또한, 부피가 증가하고 사슬구조가 끊어져 표면적이 넓어진 α전분은 아밀라아제 등의 효소에도 잘 반응하게 된다.
호화 전분, 즉 α전분을 실온에 방치할 때 차차 굳어져서 β전분으로 되돌아 가는 현상을 노화(老化, retrogradation) 또는 β화라 한다. 호화 상태에서 불규칙적인 배열을 하고 있던 졸 상태의 전분 입자들이 온도가 낮아지면 전분 분자의 운동이 줄어들어 결정화되어 반 결정 상태의 침전을 형성하므로 겔 상태의 미셀 구조로 다시 돌아가게 된다. 떡이나 밥, 빵이 굳어지는 것은 전분의 노화현상 때문이다. 노화는 전분의 호화, 즉 α화의 반대 현상이라고 볼 수 있으며, 일단 노화된 전분은 이것을 재차 용액상태로 분산시킬 수는 없다.
쌀가루는 호화가 되었을 경우 불규칙한 표면을 가지며 이로 인해 표면적이 넓어져 수분 유출이 가속화되어 빨리 마르는 현상이 생길 수 있다. 금속염 (예를 들어, 염화나트륨)을 쌀가루에 첨가하면 호화된 쌀가루의 노화현상을 촉진하는 원인을 제공하여 마스크 팩 시트 제품의 제형 유지에 아주 불리하게 작용할 수 있다.
한편, 전분을 함유한 쌀가루는 호화가 되면서 바로 노화 현상이 시작될 수 있다. 상온 (2℃~30℃)에서, 산성 하에서 또는 첨가되는 원료물질 (예, 염)에 따라 노화 현상이 급속도로 진행되어 본래의 기능이 상실될 수 있다. 따라서 금속염을 포함하고, 젖은 상태로 마스크 팩 시트를 유지할 경우 급속한 수분 증발과 함께 노화로 인하여 제품의 기능이 상실되기 때문에 보관 및 유통이 무척 어려울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구체예에 따르면, 쌀가루는 쌀을 1차로 곱게 갈아서 이를 정제하고 거르고 건조하여 가루 형태로 제조될 수 있다. 또는 시중에서 INCI 명칭인 Oryza Sative (Rice) Powder으로 거래되는 쌀가루를 구입하여 사용할 수 있다. 그 다음에, 2차로 쌀가루를 효소처리하여 입자의 사슬구조를 최소 단위로 끊어준다. 이러한 과정을 거치면, 쌀가루는 호화된 후에도 쌀의 특성은 갖고 있으면서도, 분자의 규칙적인 배열로 인하여 건조 속도가 지연되는 특성을 가질 수 있다.
일 구체예에 있어서 효소는 비스코자임, 셀룰라아제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효소가 비스코자임 및 셀룰라아제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경우, 비스코자임 대 셀룰라아제의 혼합 중량비는 1 : 0.1~10, 1 : 0.5~5, 또는 1 : 1~2일 수 있다. 비스코자임 1 중량부에 대하여 셀룰라아제의 중량부가 0.1 보다 작으면 비스코자임의 입체구조적 상호 장해로 인하여 쌀가루에 함유된 섬유소가 전혀 분해가 되지 않아 혼합물이 호화 후에도 불구하고 입자형태로 따로 분리될 우려가 있고, 10보다 크면 셀룰라아제의 입체구조적 상호장해 현상이 생겨 쌀가루 내의 전분질이 부분적으로 분해되어, 혼합물의 호화시 비균질 호액이 되어, 제품으로 생산된 팩 시트가 쉽게 찢어지는 현상을 초래할 수 있다.
일 구체예에 있어서, 효소처리 단계는 쌀가루 대 비스코자임 및 셀룰라아제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효소를 중량비로 100 : 1~10, 구체적으로는 100 : 2~7, 보다 구체적으로는 100 : 3~6으로 혼합하고, 30~60℃의 온도에서, 1~12시간, 구체적으로는 3~10시간, 보다 구체적으로는 6~8시간 동안 숙성시킴으로써 수행될 수 있다.
쌀가루 100 중량부에 대하여, 쌀가루 대 비스코자임 및 셀룰라아제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효소의 중량부가 1 보다 작으면 쌀의 숙성이 불충분하여 입자의 크기가 불규칙하고 물리적 특성이 일반적 쌀가루와 다를바 없고, 10보다 크면 쌀의 과숙성으로 인해 호화시 점성이 없어져 떡 반죽을 할 수가 없다.
본 개시에서 사용된 중량부란 중량비를 의미한다. 예를 들어, 1 중량부의 A에 대하여 2 중량부의 B가 혼합된다는 것은, A 및 B 이외에 다른 성분을 추가로 혼합시켜도 혼합물 내에서 A:B의 중량비는 1:2를 유지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떡 반죽을 제조하는 공정>
효소처리된 쌀가루 100 중량부에 대하여, 30 내지 60 중량부, 구체적으로는 40 내지 50 중량부의 변성전분 및 150 내지 250 중량부, 구체적으로는 180 내지 200 중량부의 물을 혼합하고, 90 내지 95℃, 구체적으로는 92 내지 94℃ 의 온도에서 교반하여 떡 반죽을 제조할 수 있다.
쌀가루 100 중량부에 대하여 변성전분의 양이 30 중량부 보다 작으면 전분의 미셸 구조에 위치할 쌀 입자가 상대적으로 많아져 수분보유 능력은 뛰어나나, 팩의 조직력이 약해져 형상유지에 불리하여 보관에 있어서 팩의 변형이 쉽게 일어날 수 있고, 60 중량부 보다 크면 전분의 강한 점성으로 인해 팩 제조시 끈적임을 유발하여 작업에 어려움을 줄 수 있다.
쌀가루 100 중량부에 대하여 물의 양이 150 중량부 보다 작으면 떡반죽 제조가 곤란하고, 떡반죽 제조 후 화장수의 흡수가 용이하지 않아 원하는 특성을 얻을 수 없다. 쌀가루 100 중량부에 대하여 물의 양이 250 중량부 보다 크면 떡반죽은 쉽게 할수 있으나 쌀과 전분의 입자간 거리가 넓어져 조직을 형성하기가 어려울 뿐만 아니라 미셸구조가 필요 이상으로 커져 제품 제조시 화장수의 보존능력을 떨어뜨려 수분의 빠른 용출현상을 유발할 수 있다.
온도가 90℃보다 작으면 쌀가루 및 변성전분의 불완전 호화로 인해 노화 및 베타화가 촉진되며, 이는 마스크 팩 사용시 쌀가루 및 전분의 잔존물이 얼굴에 묻어나게 할 수 있고, 95℃보다 크면 쌀가루 및 변성전분이 열에 의해 가수분해되어, 당화 (이당 혹은 단당) 현상을 유발시켜 떡 반죽의 형성이 어려워질 수 있다.
본 개시에서 별도로 한정하지 않는 한 물은 정제수이다.
전분은 다양한 제품에 적용이 되지만, 노화현상, 온도 및 pH에 대한 안정성 등이 상품화에 있어서 문제점으로 작용한다. 이러한 단점을 물리화학적으로 보완하여 만든 제품이 변성전분이다. 변성전분은 전분사슬의 가교결합으로 인해 호액의 흐름성이 뛰어나 부드러운 촉감을 나타내며 그 복잡한 사슬구조는 노화를 지연시키고 냉동, 해동 및 pH의 안정성에 있어서 상당히 뛰어난 특성을 가질 수 있다.
하나의 구체예에 있어서, 변성전분은 디스타치포스페이트 또는 하이드록시프로필 스타치 포스페이트일 수 있다.
<폴리머 겔을 제조하는 공정>
물 100 중량부 및 구아검, 아가검, 잔탄검, 카라기난검, 타마린드검, 및 프로필렌글라이콜 알지네이트로 이루어진 군에서 하나 이상 선택한 겔화 고분자 1 내지 10 중량부, 구체적으로 2 내지 8 중량부, 보다 구체적으로 4 내지 6 중량부를 혼합여 폴리머 겔을 제조할 수 있다.
폴리머 겔은 하기에서 설명되는 유효성분을 마스크 팩스트에 고정시키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겔화 고분자가 1 중량부 보다 작으면 물과 겔화고분자의 층분리 현상이 생겨 제조시의 물리적 조건에서 유효성분을 고정시키기가 어렵고, 10 중량부 보다 크면 층분리 및 유효성분의 고정에 도움이 되나, 겔화 하는데 많은 어려움이 있다.
<화장수를 제조하는 단계>
물 100 중량부 및 콜라겐, 말토덱스트린, 펜타소듐트리포스페이트, 트레할로스, 폴리덱스트로오스, 세라마이드, 글리세린, 알부틴, 레시틴, 히아루론산, 1,2-헥산디올, 하이드록시아세토페논, 소듐설페이트, 카프릴릴글라이콜, 동물 오일, 식물 오일, 및 식물 추출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하나 이상 선택된 유효성분 5 내지 20 중량부, 구체적으로는 10 내지 15 중량부를 혼합하여 화장수를 제조할 수 있다.
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유효성분이 5 중량부 보다 작으면 필요로 하는 효과가 미약하고, 20 중량부 보다 크면 유효성분 전달 효과는 크나, 피부가 필요로 하는 성분의 흡수는 일정하므로 필요이상의 투입은 제조시 원가부담이 크다.
하나의 구체예에 있어서, 상기 식물 추출물은 모공 축소 및 피부 보호를 위하여, 금은화 추출물, 작약 추출물, 고삼 추출물, 황금 추출물, 붉나무 추출물, 녹차 추출물, 복숭아나무잎 추출물, 및 은행잎 추출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하나 이상 선택된 유효성분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구체예에 있어서, 상기 식물 추출물은 항균 및 항염 작용이 있는 황백 추출물, 생강 추출물, 마늘 추출물, 쑥 추출물, 대왕송잎 추출물, 삼백초 추출물, 및 프로폴리스 추출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하나 이상 선택된 유효성분을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구체예에 있어서, 상기 식물 추출물은 각질 연화 및 투명피부 유지 기능이 있는 오렌지 추출물, 레몬 추출물 및 사과 추출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하나 이상 선택된 유효성분을 포함할 수 있다.
<마스크 팩 시트 페이스트를 제조하는 단계>
떡 반죽 100 중량부에 폴리머 겔 400 내지 600 중량부, 구체적으로는 450 내지 500 중량를 투입하고 90 ℃ 이하에서 혼합시킨다. 완전히 혼합되도록 스핀들을 15~30분 동안 고속 (약 900 ~1,100rpm)으로 사용하여 교반할 수 있다. 그 다음, 유효성분이 포함된 화장수 200 내지 400 중량부, 구체적으로는 250 내지 300 중량부를 투입하고 80 ℃ 이하에서, 예를 들어 250~350 rpm의 스핀들 하에서, 교반하여 마스크 팩 시트 페이스트를 제조할 수 있다.
본 개시에 따르면, 떡 반죽을 제조하는 공정, 폴리머 겔을 제조하는 공정, 및 화장수를 제조하는 공정을 별도로 수행한 후에, 각 공정에서 제조된 생산물을 혼합하여 마스크 팩 시트 페이스트를 제조함으로써, 마스크 팩 시트 페이스트의 제조공정 시간을 단축할 수 있고, 또한, 여러 유효 성분들을 조합하여 다품종의 마스크 팩 시트 페이스트를 제조할 수도 있다.
<성형 공정 및 포장 공정>
마스크 팩 시트 페이스트를 2장의 보호용 필름 상하층의 중간에 페이스트를 정량공급 (10~100g/piece)한다. 이를 프레스 장치로 이송후 1번 프레스 장치를 이용하여 넓게 폄과 동시에 냉각하고 (1~50℃) 얼굴 등 목적에 맞는 크기로 부착할 수 있는 특정한 모양의 목형칼 (톰슨칼)에 대고 2번 프레스 장치를 이용하여 상하 보호필름과 같이 커팅하여 개개의 마스크 팩 시트 성형물을 제조할 수 있다. 제조된 마스크 팩 시트 성형물을 파우치 팩에 넣고 실링하여 포장을 완성한다.
본 개시에 따른 마스크 팩 시트는 유효성분 중 정제수 부분은 공기접촉으로 인해 증발이 유도되나 유효성분은 피부에 직접 닿아 그 성분을 서서히 분출하여 피부에 도움을 주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또한, 파우치 팩 내부의 시트는 상하 보호필름으로 인해 유효성분의 지속적 분출이 억제되고, 동시에 유통중에 발생할 수 있는 변형으로부터 보호될 수 있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구체예에 따라 제조된 마스크 팩 시트의 사진이다.
본 개시에 따른 마스크 팩 시트는 일반적인 부직포 마스크 팩 시트처럼 단일한 한 장으로 구성된 마스크 팩 시트이다. 제조에 사용한 쌀가루와 변성전분은 마스크 팩 시트의 기능에 필요한 유효성분의 지속적인 공급, 시트의 건조지연 그리고 젖은 상태에서의 장기 보관이 가능하도록 특수 가공처리된 원료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개시의 마스크 팩 시트가 놓여진 종이가 마스크 팩 시트가 함유하고 있는 수분에 의해 젖어있는 것을 볼 수 있다. 종래의 식물성 전분 (또는 쌀가루)으로 만들어진 마스크 팩 시트는 반드시 건조과정을 거치고 하부에 보조시트를 붙여 수분을 공급하는 방식인 반면, 본 개시의 마스크 팩 시트는 젖은 상태에서 장기간 보관되고, 사용시 파우치에 들어있는 한 장 (단상)의 시트를 바로 부착하는 방식이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개시를 좀 더 구체적으로 살펴보지만, 하기 예에 본 개시의 범주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쌀가루 약 429g에 효소 (비스코자임 : 셀룰라아제 = 1:1 혼합 중량비) 약 13g을 혼합하고 약 35℃에서 약 6시간 동안 숙성시켰다. 디스타치포스페이트 221g 및 정제수 1.35ℓ를 첨가하여 잘 섞은 후 중탕으로 95℃까지 가온하고 15분 이상 혼합하여 완전히 익혀(알파화하여) 떡 반죽을 제조하였다. 구아검 350g을 정제수 10ℓ에 첨가하여 균질한 혼합액의 폴리머 겔을 제조하였다. 정제수 5.5ℓ에 760g의 유효 성분(세라마이드 360g, 녹차 추출물 40g, 방부효과를 갖는 1,2-헥산디올 360g)을 첨가하여 균질 상태의 화장수를 제조하였다. 준비된 떡 반죽에 폴리머겔을 서서히 투입하여 서로 완전히 섞일때까지 15분이상 스핀들을 약 1,000rpm으로 교반하고 약 90℃에서 유지하였다. 여기에 유효성분을 함유한 화장수를 투입하고 약 80℃에서 스핀들 속도를 약 300rpm에서 약 10분간 유지하여, 마스크 팩 시트 페이스트를 제조하였다. 마스크 팩 시트 페이스트를 2장의 보호용 필름 상하층의 중간에 페이스트를 약 20g 정량공급하였다. 이를 프레스 장치로 이송후 1번 프레스 장치를 이용하여 넓게 폄과 동시에 약 50℃로 냉각하고 얼굴 모양의 톰슨칼에 대고 2번 프레스 장치를 이용하여 상하 보호필름과 같이 커팅하여 마스크 팩 시트 성형물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1
쌀가루를 효소 (비스코자임 : 셀룰라아제 = 1:1 혼합 중량비)로 처리하지 않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의 방법으로 마스크 팩 시트 성형물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2
디스타치포스페이트 대신에 같은 양의 일반 옥수수 전분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의 방법으로 마스크 팩 시트 성형물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3
디스타치포스페이트를 100g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의 방법으로 마스크 팩 시트 성형물을 제조하였다.
시험예 1.
마스크 팩 시트의 수분 감소율 분석
실시예 1 및 비교예 1 내지 5에 따라 제조된 마스크 팩 시트의 수분 감소율을 분석하기 위해서, 제조한 마스크 팩 시트를 1.3 cm × 1.3 cm 크기로 절단하고, 평량 접시에 넣고 건조전 무게를 측정하고, 12시간 동안 자연 건조 후에 건조 무게를 측정하였다. 마스크 팩 시트의 수분 감소율을 하기 식 1을 이용하여 산출하였고, 결과를 표 1에 나타내었다.
[식 1]
Figure 112018036698881-pat00001
실시예 1 비교예 1 비교예 2 비교예 3
수분 감소율 (%) 5 20 24 15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실시예 1은 비교예들보다 시간이 경과해도 수분이 적게 감소한 것을 알 수 있다. 이는 본 개시에 따른 마스크 팩 시트는 수분 보유력이 우수하여, 수분을 서서히 방출시킨다는 것을 나타낸다. 또한, 비교예 3은 쌀가루 100 중량부에 대하여 변성전분의 혼합 중량비가 40 중량부 보다 작은 경우, 마스크 팩 시트의 수분 보유력이 현저히 감소한다는 것을 나타낸다.
시험예 2.
마스크 팩 시트의 인장 강도 측정
실시예 1에 따라 제조된 마스크 팩 시트의 인장 강도를 측정하기 위해서, 제조한 마스크 팩 시트를 10mm×20mm의 크기로 절단하고, 절단된 시편을 브룩필드 CT3 텍스처 분석기 (Brookfield CT3 Texture Analyzer)를 사용하였다. 그 결과를 표 2 및 도 2에 나타내었다.
샘플 번호 피크 하중 [g]
샘플 1 61.50
샘플 2 70.50
샘플 3 64.50
브룩필드 CT3 텍스처 분석기 시험 조건
- 트리거 하중 (Trigger load) : 5g
- 변형 (deformation) : 60mm
- 시험 속도 (Test speed) : 2.0 mm/s
- 더블 그립 악세사리 (Double Grip Accessory)
이상 본 개시를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개시를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개시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 분야의 통상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그 변형이나 개량할 수 있음이 명백하다.
본 개시의 단순한 변형이나 변경은 모두 본 개시의 영역에 속하는 것으로 본 개시의 구체적인 보호 범위는 하기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명확해질 것이다.

Claims (9)

  1. 비스코자임 및 셀룰라아제를 포함하는 효소로 처리된 100 중량부의 쌀가루, 30 내지 60 중량부의 변성전분, 200 내지 400 중량부의 물, 5 내지 20 중량부의 겔화 고분자, 및 5 내지 20 중량부의 기능성 첨가제를 포함하고, 비스코자임 대 셀룰라아제의 혼합 중량비는 1 : 0.1~10인 쌀 마스크 팩 시트.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변성전분은 디스타치포스페이트 또는 하이드록시프로필 스타치 포스페이트인 쌀 마스크 팩 시트.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겔화 고분자는 구아검, 아가검, 잔탄검, 카라기난검, 타마린드검, 및 프로필렌글라이콜 알지네이트로 이루어진 군에서 하나 이상 선택되는 쌀 마스크 팩 시트.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기능성 첨가제는 콜라겐, 말토덱스트린, 펜타소듐트리포스페이트, 트레할로스, 폴리덱스트로오스, 세라마이드, 글리세린, 알부틴, 레시틴, 히아루론산, 1,2-헥산디올, 하이드록시아세토페논, 소듐설페이트, 카프릴릴글라이콜, 동물 오일, 식물 추출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하나 이상 선택되는 쌀 마스크 팩 시트.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비스코자임 및 셀룰라아제를 포함하는 효소로 처리된 쌀가루는 100 중량부의 쌀가루 및 0.2 내지 5 중량부의 비스코자임 및 셀룰라아제를 포함하는 효소를 혼합하여 제조된 쌀 마스크 팩 시트.
  6. 비스코자임 및 셀룰라아제를 포함하는 효소로 처리된 쌀가루를 준비하는 단계;
    상기 비스코자임 및 셀룰라아제를 포함하는 효소로 처리된 100 중량부의 쌀가루, 30 내지 60 중량부의 변성전분 및 150 내지 250 중량부의 물을 혼합하고, 90 내지 95 ℃의 온도에서 교반하여 떡 반죽을 제조하는 단계, 여기서 비스코자임 대 셀룰라아제의 혼합 중량비는 1 : 0.1~10임;
    물 100 중량부 및 구아검, 아가검, 잔탄검, 카라기난검, 타마린드검, 및 프로필렌글라이콜 알지네이트로 이루어진 군에서 하나 이상 선택한 겔화 고분자 1 내지 10 중량부를 혼합하여 폴리머 겔을 제조하는 단계;
    물 100 중량부 및 콜라겐, 말토덱스트린, 펜타소듐트리포스페이트, 트레할로스, 폴리덱스트로오스, 세라마이드, 글리세린, 알부틴, 레시틴, 히아루론산, 1,2-헥산디올, 하이드록시아세토페논, 소듐설페이트, 카프릴릴글라이콜, 동물 오일, 식물 오일, 및 식물 추출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하나 이상 선택된 유효성분 5 내지 20 중량부를 혼합하여 화장수를 제조하는 단계;
    상기 떡 반죽 100 중량부에 400 내지 600 중량부의 폴리머 겔을 투입하고 교반한 후에, 상기 화장수를 200 내지 400 중량부를 투입하고 교반하여 마스크 팩 시트 페이스트를 제조하는 단계; 및
    상기 마스크 팩 시트 페이스트를 소정의 형상으로 성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쌀 마스크 팩 시트의 제조방법.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식물 추출물은 금은화 추출물, 작약 추출물, 고삼 추출물, 황금 추출물, 붉나무 추출물, 녹차 추출물, 복숭아나무잎 추출물, 은행잎 추출물, 황백 추출물, 생강 추출물, 마늘 추출물, 쑥 추출물, 대왕송잎 추출물, 삼백초 추출물, 및 프로폴리스 추출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하나 이상 선택되는 쌀 마스크 팩 시트의 제조방법.
  8.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비스코자임 및 셀룰라아제를 포함하는 효소로 처리된 쌀가루를 준비하는 단계는 쌀가루 100 중량부 및 비스코자임 및 셀룰라아제를 포함하는 효소 0.2 내지 5 중량부를 혼합한 후, 20 ℃ 내지 50 ℃에서 숙성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쌀 마스크 팩 시트의 제조방법.
  9.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변성전분은 디스타치포스페이트 또는 하이드록시프로필 스타치 포스페이트인 쌀 마스크 팩 시트의 제조방법.
KR1020180042903A 2017-11-22 2018-04-12 쌀 마스크 팩 시트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15230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56715 2017-11-22
KR20170156715 2017-11-2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59187A KR20190059187A (ko) 2019-05-30
KR102152300B1 true KR102152300B1 (ko) 2020-09-04

Family

ID=666756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42903A KR102152300B1 (ko) 2017-11-22 2018-04-12 쌀 마스크 팩 시트 및 이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5230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755355A (zh) * 2019-08-06 2020-02-07 江苏蜂奥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蜂胶牙膏及其制备方法
KR102521038B1 (ko) * 2022-08-18 2023-04-11 조준 화장품 제조용 조성물, 화장품 제조방법 및 화장품 제조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89639B1 (ko) * 2016-10-06 2017-01-02 주식회사 아르맹 피부 리프팅 및 필링 효과를 갖는 마스크 팩, 상기 마스크 팩의 포장 방법 및 상기 마스크 팩을 이용한 스킨 케어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05776B1 (ko) 2000-05-08 2003-11-15 주식회사 엔바이오테크놀러지 미생물 셀룰로오스를 주성분으로 포함하는 웨트 시이트제조방법 및 그 용도 개발
KR100506543B1 (ko) 2003-08-14 2005-08-05 주식회사 제닉 온도 감응성 상태변화 하이드로겔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1199967B1 (ko) 2011-12-23 2012-11-12 주식회사 한생화장품 식물성 전분 시트
KR101467903B1 (ko) * 2011-12-29 2014-12-10 (주)에스티알바이오텍 흑미의 담자균류균사 발효 및 생물전환공정을 통해 생산된 면역증강제
KR101421669B1 (ko) * 2012-07-10 2014-07-22 (주)엔코스 곡류 페이퍼 시트를 이용한 피부 부착용 지지체
KR101753848B1 (ko) * 2015-03-27 2017-07-04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미강 효소 분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산화, 피부미백 및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1716475B1 (ko) * 2015-06-09 2017-03-16 (주)뷰티화장품 미강, 카올린 및 벤토나이트를 포함하는 필-오프 팩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89639B1 (ko) * 2016-10-06 2017-01-02 주식회사 아르맹 피부 리프팅 및 필링 효과를 갖는 마스크 팩, 상기 마스크 팩의 포장 방법 및 상기 마스크 팩을 이용한 스킨 케어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59187A (ko) 2019-05-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amachandra et al. Processing of Aloe vera leaf gel: a review
KR101357575B1 (ko) 유연성이 우수한 시트 마스크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시트 마스크의 제조방법
KR101012289B1 (ko) 시트리스 하이드로겔 페이스 마스크 및 그 제조방법
CN105853292A (zh) 一种精华液、制备方法及应用
KR20070041675A (ko) 캡슐 피막용 조성물, 캡슐 피막, 및 이를 이용한 캡슐제
KR102152300B1 (ko) 쌀 마스크 팩 시트 및 이의 제조방법
CN104958241A (zh) 一种保湿中药面膜产品及其制备方法
KR101873336B1 (ko) 해조류의 유효성분을 포함하는 하이드로겔 팩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하이드로겔 팩
JP2023138656A (ja) 発泡性皮膚外用剤
JP4203322B2 (ja) プルラン高含有成形物とその製造方法並びにその用途
CN104940109A (zh) 基于贝壳的天然海洋面膜及其制备方法
CN114667129B (zh) 用于护理角蛋白材料的套装
KR101731023B1 (ko) 천연 소재의 건식 화장료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천연 소재 화장팩
ES2841449T3 (es) Apósito o parche adhesivo con alta carga de minerales
CN105616323A (zh) 一种滋养护肤的蚕丝海绵制品及其制备方法
CN111450039A (zh) 一种温和无刺激的保湿抗衰老眼霜及其制备方法
JP5805522B2 (ja) 粉粒状複合体及び創傷被覆材
CN112023110B (zh) 一类基于竹荪蛋提取物的活性抑菌敷料
JP2015214537A (ja) 発泡性皮膚外用剤
DE60029533T2 (de) Thermoplastisch geformter Körper aus Trehalose, Verfahren und Anwendungen davon
JP2002186457A (ja) ケール加工物を含む美容健康食品
CN112545965A (zh) 一种含鹿茸活性物质的保湿美容面膜、制备方法及应用
KR20190119404A (ko) 피부용 쌀눈시트마스크팩 및 그 제조방법
CN111714404A (zh) 祛痘组合物及其制备方法和应用
CN111269467A (zh) 一种长白楤木根提取物壳聚糖复合膜及其制备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