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31023B1 - 천연 소재의 건식 화장료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천연 소재 화장팩 - Google Patents

천연 소재의 건식 화장료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천연 소재 화장팩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31023B1
KR101731023B1 KR1020140095957A KR20140095957A KR101731023B1 KR 101731023 B1 KR101731023 B1 KR 101731023B1 KR 1020140095957 A KR1020140095957 A KR 1020140095957A KR 20140095957 A KR20140095957 A KR 20140095957A KR 101731023 B1 KR101731023 B1 KR 10173102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arch
cosmetic composition
natural
dry
we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959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14199A (ko
Inventor
백문기
김광수
석정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삼양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삼양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삼양사
Priority to KR10201400959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31023B1/ko
Publication of KR201600141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1419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310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3102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06Organic compounds, e.g. natural or synthetic hydrocarbons, polyolefins, mineral oil, petrolatum or ozokerite
    • A61K47/26Carbohydrates, e.g. sugar alcohols, amino sugars, nucleic acids, mono-, di- or oligo-saccharides; Derivatives thereof, e.g. polysorbates, sorbitan fatty acid esters or glycyrrhiz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30Macromolecular organic or inorganic compounds, e.g. inorganic polyphosphates
    • A61K47/36Polysaccharides; Derivatives thereof, e.g. gums, starch, alginate, dextrin, hyaluronic acid, chitosan, inulin, agar or pect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 A61K2236/10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starting material
    • A61K2236/17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starting material involving drying, e.g. sun-drying or wilti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pidemi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Botany (AREA)
  • Biotechnology (AREA)
  • Bird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Dermatology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Biochemist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천연 소재의 건식 화장료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천연 소재 화장팩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천연 소재 건조물을 유효 성분으로 하고, 여기에 고흡수성 전분 및 흡습성 당류를 추가함으로써, 천연 소재를 유효성분으로 하면서도 보존기간을 향상시켜 제품의 변색과 변질 등을 최소화하여 장기간 안정성을 유지할 수 있으며, 사용시 물 등의 액체 매질과 혼합하여 손쉽게 피부 도포성 및 외관이 우수한 젤 형태로 만들 수 있고, 피부에 적용시 우수한 보습효과, 유연효과, 및 피부톤 및 투명도 개선효과를 제공할 수 있는 천연 소재의 건식 화장료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팩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천연 소재의 건식 화장료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천연 소재 화장팩{Dry-type cosmetic composition of natural material and cosmetic pack of natural material comprising the same}
본 발명은 천연 소재의 건식 화장료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천연 소재 화장팩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천연 소재 건조물을 유효 성분으로 하고, 여기에 고흡수성 전분 및 흡습성 당류를 추가함으로써, 천연 소재를 유효성분으로 하면서도 보존기간을 향상시켜 제품의 변색과 변질 등을 최소화하여 장기간 안정성을 유지할 수 있으며, 사용시 물 등의 액체 매질과 혼합하여 손쉽게 피부 도포성 및 외관이 우수한 젤 형태로 만들 수 있고, 피부에 적용시 우수한 보습효과, 유연효과, 및 피부톤 및 투명도 개선효과를 제공할 수 있는 천연 소재의 건식 화장료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팩에 관한 것이다.
피부가 계절, 환경, 나이, 자외선 등의 내외적 요인에 영향을 받게 되면, 각질층의 기본기능인 수분 유지나 피부 보호 기능이 저하되고, 이는 피부 수분 손실을 증가시켜 피부를 거칠고 건조하게 만들어, 피부 상태를 악화시키거나 노화를 촉진시키는 원인이 된다. 따라서, 건강한 피부 상태를 유지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보습 화장품을 활용하여 피부에 충분한 보습을 공급하고 유지해주며, 피부 근원 기능을 강화하여 피부 수분 손실을 억제시키는 등이 방법이 필요하다.
팩 화장품은 피부 위에 보습막을 형성하여 외부로의 수분 증발을 억제하고 일시적으로 풍성한 수분 공급 효과를 주어 피부를 촉촉하고 부드럽게 해주며, 다양한 천연 소재 유래 유효성분을 오래도록 피부에 전달해주는 특징을 가지고 있어 최근에 팩 화장품에 대한 관심이 더욱 높아지고 있다.
이와 함께 내추럴 및 오가닉 등의 자연주의 트렌드와 함께 가공되지 않은 천연 소재 화장품에 대한 소비자의 관심이 매우 높아지면서, 다양한 천연 소재의 장점을 이용하여 피부에 유용한 효과를 주는 제품들이 많이 선보이고 있다(예컨대, 한국공개특허 제10-2008-0033668호 및 제10-2013-0050175호 등). 일반 가정에서도 율무, 오이, 달걀, 꿀, 우유 등 천연 소재를 이용하여 팩을 직접 만들어 피부관리에 사용하는 등 일상생활에서도 널리 천연팩이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트렌드를 반영하듯 최근에는 천연 소재를 함유한 팩 화장품이 시중에 다양하게 출시되고 있으나, 대다수의 천연 팩 화장품들은 물을 함유한 젤 또는 크림 타입의 제형 특성으로 인해, 천연 소재 고유의 경시적인 산화 또는 가수분해 현상을 유발하여 장기간 보관시 변색, 변취 등 변질 현상을 유발하고 제형의 안정성이 저해되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이런 현상을 보완하기 위해 분말형 천연팩 제품이 출시되어 있으나, 물과 혼합시 점도가 낮아 피부에 도포시 얇게 도포되거나 흘러내리는 등 사용에 불편함을 주는 문제가 있으며, 이를 보완하기 위해 천연검류를 적용하여 점도를 부여한 분말팩 제품의 경우는 물과 혼합시 제대로 분산되지 않고 검 성분이 뭉치는 현상으로 인해 이 또한 사용에 불편함을 주는 문제가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천연 소재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면서도 장기 보관 안정성이 우수하여 변색, 변취 등의 문제를 최소화할 수 있는 동시에, 팩으로 만들어 사용시 피부 도포성이 우수한 건식 화장료 조성물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기술의 문제점들을 해결하고자 한 것으로서, 유효 성분으로서 천연 소재를 포함하면서도 제품의 변색과 변질 등을 최소화하여 장기간 안정성을 유지할 수 있으며, 사용시 물 등의 액체 매질과 혼합하여 손쉽게 피부 도포성 및 외관이 우수한 젤 형태로 만들 수 있고, 피부에 적용시 우수한 보습효과, 유연효과, 및 피부톤 및 투명도 개선효과를 제공할 수 있는 천연 소재의 건식 화장료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천연 소재 화장팩을 제공하는 것을 기술적 과제로 한다.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고자 본 발명은, 조성물 총 100중량부를 기준으로, (A) 유효 성분으로서 천연 소재 건조물 0.1 내지 90중량부, (B) 고흡수성 전분 1 내지 20중량부, 및 (C) 흡습성 당류 5 내지 90중량부를 포함하는, 천연 소재의 건식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천연 소재의 건식 화장료 조성물 및 액체 매질을 포함하는, 천연 소재 화장팩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건식 화장료 조성물은 천연 소재 성분을 함유하고도 장기간 성분의 변화 없이 안정성을 유지할 수 있어 제품의 변색과 변질 등을 최소화하고, 물 등의 액체 매질과 혼합하여 손쉽게 피부 도포성 및 외관이 우수한 젤 형태로 만들 수 있어 소비자가 편리하게 피부관리에 이용할 수 있으며, 피부에 적용시 우수한 보습효과, 유연효과, 및 피부톤 및 투명도 개선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다양한 천연 소재의 건식 화장료 조성물들(도면 좌측)과, 이를 물과 혼합하여 만든 화장팩 제형들(도면 우측)에 대한 사진이다.
도 2는 시험예 4에서 수행된 피부 수분량 측정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3은 시험예 4에서 수행된 피부 수분 손실량 측정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건식 화장료 조성물은 (A) 유효 성분으로서 천연 소재 건조물을 포함한다.
상기 천연 소재 건조물로는 화장료 분야에서 유효성분으로서 사용가능한 것들(예컨대, 과일, 야채, 허브, 한방재료, 씨앗 및 이들 재료의 원래 식물)의 건조물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본 발명에 있어서 ‘천연 소재 건조물’이란, 상기한 것들은 물론 그 외에 피부에 유용한 효과를 주는 것으로서 화장료 분야에서 허용 가능한 자연 유래의 건조 재료를 모두 포함하는 개념이다. 이러한 천연 소재로부터 본 발명의 유효성분인 천연 소재 건조물을 만드는 방법에는 특별한 제한이 없으며. 예컨대, 원료 천연 소재 자체 또는 그 추출물을 자연건조, 열풍건조, 냉풍건조, 증기건조, 진공건조, 진공동결건조, 저온진공건조 등과 같은 방식을 이용하여 건조한 후, 그 결과물을 분쇄, 파쇄, 미분화, 과립화 등을 통해 입자의 크기를 작게 함으로써 천연 소재 건조물을 제조할 수 있다. 제조된 천연 소재 분말의 입자 크기에는 특별한 제한이 없으며, 예컨대, 10~3,000㎛ 범위 내에서 사용 용도에 따라 적절히 조절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천연재료 원물의 건조물(즉, 재료 모양 그대로인 건조물)의 사용도 가능하다.
본 발명의 건식 화장료 조성물은, 조성물 총 100중량부를 기준으로, 상기 천연 소재 건조물을 0.1 내지 90중량부 포함하며, 바람직하게는 0.5 내지 80중량부, 보다 바람직하게는 1 내지 60중량부 포함한다. 조성물 총 100중량부당 천연 소재 건조물의 함량이 0.1중량부 미만이면 피부 개선 효과가 적어지는 문제점이 있으며, 90중량부를 초과하면 건식 조성물의 액체 매질 내 분산성이 나빠져 화장팩 형성시 건조물이 뭉치게 되고 피부 도포성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건식 화장료 조성물은 (B) 고흡수성 전분을 포함한다.
상기 고흡수성 전분으로는, 중량비로 10배 내지 500배의 물 흡수율을 나타내는(즉, 전분 1g 당 물 10g 내지 500g을 흡수하는) 전분이 바람직하며, 50배 내지 400배의 물 흡수율을 나타내는(즉, 전분 1g 당 물 50g 내지 400g을 흡수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고흡수성 전분의 흡수능력이 상기 수준보다 너무 낮으면 건식 조성물과 액체 매질의 혼합시 점도 형성이 제대로 되지 않아 흘러내리는 문제점이 있을 수 있고, 반대로 그 흡수능력이 상기 수준보다 지나치게 높으면 점도가 너무 높아져 피부 도포성이 나빠지는 단점(즉, 피부에 잘 펴 발리지 않음)이 있을 수 있다.
본 발명에서 ‘고흡수성 전분’이란 일반 원료 전분을 물리적, 화학적 또는 생물학적으로 처리하여 변성시킨 변성전분으로서 중량비로 10배 내지 500배의 물 흡수율을 나타내는(즉, 전분 1g 당 물 10g 내지 500g을 흡수하는) 화장료에 사용 가능한 전분을 의미한다. 상기 고흡수성 전분으로는, 원료 전분을 물리적, 화학적 또는 생물학적으로 처리하여 변성시킨 변성전분으로서 상기한 수준의 물 흡수율을 나타내는 것이 바람직하게 사용될 수 있다.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나, 상기 원료 전분의 구체적인 예로는 옥수수, 찰옥수수, 타피오카, 감자, 고구마, 쌀 및 찹쌀을 포함하는 모든 곡물 또는 근경의 전분을 들 수 있고, 상기 물리적, 화학적 또는 생물학적 처리의 구체적인 예로는 열처리, 산처리, 알칼리처리, 효소처리, 알킬화, 아세틸화, 에스테르화, 에테르화, 인산화, 가교화, 알파화 등을 들 수 있으며, 상기 변성전분의 형태로는 알킬화 전분, 아세틸화 전분, 에스테르화 전분, 에테르화 전분, 인산화 전분, 가교 전분, 알파화 전분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변성전분의 염형태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가능한 고흡수성 전분에 포함된다. 이러한 고흡수성 전분은 친수성을 향상시킨 변성전분류로서, 화장팩 형성을 위하여 액체 매질(예컨대, 물)과 혼합시 빠르게 수화되어 적절한 점도를 형성함으로써 피부 도포에 적합한 화장팩 성상을 형성하는 역할을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체예에 따르면, 상기 고흡수성 전분으로서 가교형 소듐 폴리아크릴산 전분, 소듐 카르복시메틸 전분, 하이드록시프로필 전분, 하이드록시프로필 인산 전분, 하이드록시프로필 산화 전분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변성전분이 사용될 수 있다.
분말 또는 건조상태에서 상기 고흡수성 전분의 입자 크기는 1~200μm인 것이 바람직하고, 10~150μm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고흡수성 전분의 입자 크기가 상기 수준보다 지나치게 작으면 입자의 가루날림이 심해 사용시 번거롭고 사용에 불편한 문제가 있을 수 있고, 반대로 상기 수준보다 지나치게 크면 액체 매질(예: 물)과 혼합 후 성상이 거칠고 울퉁불퉁하게 형성되어 외관상 좋지 않으며 피부 도포시 거북한 사용감을 주는 단점이 있을 수 있다.
본 발명의 건식 화장료 조성물은, 조성물 총 100중량부를 기준으로, 상기 고흡수성 전분을 1 내지 20중량부 포함하며, 바람직하게는 3 내지 15중량부, 보다 바람직하게는 5 내지 15중량부 포함한다. 조성물 총 100중량부당 고흡수성 전분의 함량이 1중량부 미만이면 화장팩 형성시 적절한 점도 형성이 되지 않아 흘러내리는 문제점이 있으며, 20중량부를 초과하면 점도가 너무 높아져 피부 도포성이 나빠지는 단점(즉, 피부에 잘 펴 발리지 않음)이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체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건식 화장료 조성물 내의 (A) 천연 소재 건조물 : (B) 고흡수성 전분의 중량비가 1 : 0.5 내지 1 : 16일 때, 우수한 피부 개선 효과를 얻는 동시에 화장팩의 성상 및 피부 도포성도 우수해지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건식 화장료 조성물은 (C) 흡습성 당류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흡습성 당류’는 분말형태의 흡습성 기능을 갖는 화장료에 사용하는 당류로서, 액체 매질과의 배합시 높은 흡습성을 갖는 특성으로 인해 피부 보습력 향상에 도움을 주며, 고흡수성 전분의 수화 과정을 빠르게 하여 신속한 점도를 형성하며, 천연 소재 건조물의 용해성을 향상시키는 기능을 하는 화장료 소재를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 가능한 흡습성 당류로는 단당류, 다당류(올리고당 포함), 당알코올류 또는 이들의 혼합물 등을 들 수 있으며, 보다 구체적으로는 폴리글리시톨, 말티톨, 이노시톨, 솔비톨, 만니톨, 자일리톨, 에리스리톨, 글루코스, 프락토올리고당, 베타인, 트레할로스, 라피노오스, 프룩토즈, 덱스트린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것을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폴리글리시톨, 말티톨, 이노시톨, 솔비톨, 만니톨, 자일리톨, 에리스리톨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당알코올류가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건식 화장료 조성물은, 조성물 총 100중량부를 기준으로, 상기 흡습성 당류를 5 내지 90중량부 포함하며,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90중량부, 보다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80중량부 포함한다. 조성물 총 100중량부당 흡습성 당류의 함량이 5중량부 미만이면 피부 보습 향상 효과가 적고 고흡수성 전분의 수화시간을 향상시키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으며, 90중량부를 초과하면 용해성이 낮아져 서로 뭉치거나 풀리지 않아 피부 도포성이 나빠지는 단점(즉, 피부에 잘 펴 발리지 않음)이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체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건식 화장료 조성물 내의 (A) 천연 소재 건조물 : (C) 흡습성 당류의 중량비가 1 : 0.02 내지 1 : 20일 때, 우수한 피부 개선 효과를 얻는 동시에 화장팩의 성상 및 피부 도포성도 우수해지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건식 화장료 조성물에는, 상기한 성분들 이외에, 예컨대, 비타민류 및 그 유도체, 히아루론산, 콜라겐, 알란토인, 코엔자임큐텐, 디메칠설폰, 아미노산류, 알부틴, 아데노신 등과 같이 화장료 조성물에 통상 사용 가능한 하나 이상의 성분이 추가로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천연 소재의 건식 화장료 조성물 및 액체 매질을 포함하는, 천연 소재 화장팩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천연 소재 화장팩에 있어서, 상기 액체 매질로는 화장료 분야에서 허용 가능한 어떠한 액체 매질도 사용가능하며, 예를 들어, 정제수, 유제품, 차 등의 수성 매질을 단독으로 또는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천연 소재 화장팩에 있어서, 상기 건식 화장료 조성물과 액체 매질의 혼합비는 건식 화장료 조성물 : 액체 매질의 중량비로 3 : 1 내지 1 : 20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2 : 1 내지 1 : 15, 더욱 바람직하게는 1 : 1 내지 1 : 10,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1 : 2 내지 1 : 7의 비율일 수 있다. 건식 화장료 조성물의 중량 비율이 액체 매질에 비하여 상기 수준 보다 지나치게 높으면 건식 화장료가 뭉치고 분산이 잘 안 되는 문제가 있을 수 있고, 반대로 건식 화장료 조성물의 상대적 비율이 상기 수준 보다 지나치게 낮으면 결과 화장팩이 너무 묽어져서 피부에서 흘러내리는 등 사용편의성이 감소하는 문제가 있을 수 있다.
이하, 실시예 및 비교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나,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결코 아니다.
[ 실시예 ]
실시예 1~3 및 비교예 1~3
하기 표 1의 조성에 따라 실시예 1~3 및 비교예 1~3의 건식 화장료 조성물을 각각 제조하였다. 각 실시예 및 비교예의 원료성분들을 칭량한 후, 헨셀믹서를 이용하여 저속으로 1~5분간 교반하여 각 성분을 고르게 분산시켜 분말형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Figure 112014071306567-pat00001
시험예 1: 화장료 조성물의 점도 형성 및 용해성 평가
상기 제조된 실시예 1~3 및 비교예 1~3의 건식 화장료 조성물 각 5g을 정제수 20g과 혼합하여 젤 성상의 팩을 제조한 후, 그 물성 및 용해성을 평가하여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Figure 112014071306567-pat00002
상기 표 2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화장팩으로 제조시 실시예 1~3의 건식 화장료 조성물은 모두 적절한 점도를 용이하게 형성하였고, 건조물의 용해성 또한 양호하였으며, 피부에 도포시 우수한 사용감을 나타내었다. 반면 비교예 1~3의 건식 화장료 조성물은 모두 피부 도포성(발림성)이 불량하였으며, 종합 평가 결과 부적합 것으로 판명되었다.
실시예 4~6 및 비교예 4~6
하기 표 3의 조성에 따라 실시예 4~6 및 비교예 4~6의 건식 화장료 조성물을 각각 제조하였다. 흡습성 당류(폴리글리시톨 분말), 고흡수성 전분(가교형 소듐 카르복시메틸 전분) 및 천연 소재 건조물(장미 꽃잎 건조 분말)로는 상기 실시예 1~3 및 비교예 1~3에서 사용된 것과 동일한 성분들을 사용하였다. 비교예 4는 흡습성 당류 대신 점토 성분인 카올린을 사용하였으며, 비교예 5는 고흡수성 전분 대신 점도 형성제로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천연 검류인 잔탄검을 사용하였다. 비교예 6은 천연 소재 건조물 대신 액상 천연 소재로서 장미 꽃잎 액상 추출물(Cosmetochem 사(스위스) 로부터 구입)을 사용하였다. 건식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은 상기 실시예 1~3 및 비교예 1~3과 동일하였다.
Figure 112014071306567-pat00003
시험예 2: 화장료 조성물의 점도 형성 및 용해성 평가
상기 제조된 실시예 4~6 및 비교예 4~5의 건식 화장료 조성물 각 5g을 정제수 20g과 혼합하여 젤 성상의 팩을 제조한 후, 그 물성 및 용해성을 평가하여 하기 표 4에 나타내었다. 점도는 Viscometer RVT(Brookfield)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Figure 112014071306567-pat00004
상기 표 4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화장팩으로 제조시 실시예 4~6의 건식 화장료 조성물은 모두 외관이 투명한 젤로서 우수하였고, 적절한 점도를 형성하여 사용이 편리하였으며, 건조물의 용해성 또한 양호하였고, 피부에 도포시 우수한 사용감을 나타내었다. 반면, 보편적인 분말팩류 성분인 고령토(카올린)를 사용한 비교예 4는 불투명한 성상을 나타내어 외관이 좋지 못하였으며 분말이 뭉치는 현상으로 인해 점도가 너무 낮게 형성되거나 피부에 도포시 심한 가루날림으로 사용성이 저하되는 단점을 나타내었다. 또한, 비교예 2와 같이 보편적인 천연 증점 성분인 잔탄검을 사용한 비교예 5 역시 불투명한 성상을 나타내어 외관이 좋지 못하였으며, 점도가 너무 높게 형성되어 사용성이 저하되는 현상을 나타내었다.
시험예 3: 화장료 조성물의 제형 안정성 확인
상기 제조된 실시예 4~6 및 비교예 6의 화장료 조성물에 대하여, 실온(25℃), 4℃ 및 45℃로 일정하게 유지되는 실내, 냉장고 및 항온수조에서 불투명 초자 용기에 담아 12주 동안 보관 후, 육안으로 변색 및 성상 변화를 관찰하고, 후각으로 변취를 확인하여 제형의 안정성을 확인하였다. 그 결과는 하기 표 5와 같다.
Figure 112014071306567-pat00005
상기 표 5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천연 소재를 건조물 형태로 함유한 실시예 4~6의 화장료 조성물은 모두 실온, 4℃ 및 45℃ 온도 조건하에서 변색, 변취 및 성상의 변화가 전혀 없이 안정하였던 반면, 천연 소재를 액상 추출물 형태로 함유한 비교예 6은 장기간 보관시 실험 온도 조건 모두에서 산화 및 가수분해 현상에 의해 갈변 및 변취 현상을 유발하여 제형 안정성이 저하되었다.
시험예 4: 화장료 조성물의 피부 보습력 향상 효과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의 피부 보습력 개선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실험을 실시하였다. 피부 질환이 없는 20대 내지 40대 성인 남녀 30명을 대상으로 실시예 4~6 및 비교예 4~5의 화장료 조성물을 정제수와 1:5 중량비율로 혼합하여 피부에 도포하고, 피부 보습력 변화를 비교하였다. 항온, 항습조건(24~26℃, 상대 습도 40~50%)에서 15분 동안 대기시킨 후, 도포 전, 도포 후 및 0, 2, 4, 6, 8시간이 경과한 후에 코네오미터(Corneometer, C+K사, 독일)를 이용하여 피부수분량을 평가하였고, 테와미터(Tewameter, C+K사, 독일)를 이용하여 수분증발억제량(TEWL, TransEpidermal Water Loss)을 평가하였다. 평가 결과를 각각 도 2 및 도 3에 나타내었다.
도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실시예 4~6의 조성물을 피부에 도포한 경우의 피부 수분량이 비교예 4~5의 조성물을 도포한 경우에 비해 더 높게 유지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도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실시예 4~6의 조성물을 피부에 도포한 경우의 피부 수분 손실량이 비교예 4~5의 조성물을 도포한 경우보다 더 낮게 유지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즉, 실시예 4~6의 조성물의 피부 보습력 향상 효과가 비교예 4~5의 조성물에 비하여 우수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시험예 5: 화장료 조성물의 피부 투명도 개선 효과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의 피부 투명도 개선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실험을 실시하였다. 피부 질환이 없는 20대 내지 40대 성인 남녀 30명을 대상으로 실시예 5~6 및 비교예 4의 화장료 조성물을 정제수와 1:5 중량비율로 혼합하여 피부에 도포하여 사용한 직후, 피부톤 개선 효과를 설문 조사를 통해 본인이 주관적으로 판단하게 하였다. 그 결과를 표 6에 나타내었다.
Figure 112014071306567-pat00006
상기 표 6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실시예 5~6의 조성물을 피부에 사용한 후에 피부톤 개선 효과에 대한 만족도가 비교예 4에 비하여 현저히 높았다.
다양한 천연 소재 건조물을 활용한 화장료 조성물 및 화장팩 제조예
하기 표 7에 나타낸 다양한 천연 소재 건조물을 활용하여 화장료 조성물 및 화장팩을 추가로 제조하였다. 천연 원료의 종류를 상이하게 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5와 동일한 조성 및 방법을 사용하였다. 도매시장에서 구입한 천연 원료를 정제수로 세척한 후, 40℃에서 1~2시간 열풍 건조기를 이용하여 건조하고, 건조된 천연 원료를 분쇄기를 이용하여 일정한 크기(50 ㎛ 또는 2000㎛)로 분쇄하여 분말화하거나, 천연 원료 원물을 그대로 사용하여 각각의 천연 소재 건조물을 제조하였다. 원료성분들을 칭량한 후, 헨셀믹서를 이용하여 저속으로 1~5분간 교반하여 각 성분을 고르게 분산시켜 건식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또한, 제조된 건식 화장료 조성물 각 5g을 정제수 20g과 혼합하여 젤 성상의 팩을 제조하였다. 제조된 다양한 건식 화장료 조성물 및 그 화장팩을 도 1에 나타내었다(도 1에서, 좌측 사진의 건식 화장료 조성물의 각 위치에 대응하는 화장팩을 우측 사진에 각각 나타내었다).
Figure 112014071306567-pat00007

Claims (18)

  1. 조성물 총 100중량부를 기준으로, (A) 유효 성분으로서 천연 소재 건조물 1 내지 60중량부, (B) 고흡수성 전분 1 내지 20중량부, 및 (C) 흡습성 당류 20 내지 80중량부를 포함하고, 상기 고흡수성 전분의 입자 크기가 10~150 μm이고,
    상기 흡습성 당류가 폴리글리시톨, 말티톨, 이노시톨, 솔비톨, 만니톨, 자일리톨, 에리스리톨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고,
    (A) 천연 소재 건조물 : (B) 고흡수성 전분의 중량비가 1 : 1 내지 1 : 3인, 천연 소재의 건식 분말형 화장료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천연 소재 건조물이 과일, 야채, 허브, 한방재료, 씨앗 및 이들 재료의 원래 식물 또는 이들의 조합인 원료 천연 소재 자체 또는 그 추출물의 건조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연 소재의 건식 분말형 화장료 조성물.
  3. 제2항에 있어서, 건조물이 자연건조, 열풍건조, 냉풍건조, 증기건조, 진공건조, 진공동결건조 또는 저온진공건조에 의하여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연 소재의 건식 분말형 화장료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고흡수성 전분이 중량비로 10배 내지 500배의 물 흡수율을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연 소재의 건식 분말형 화장료 조성물.
  5. 제4항에 있어서, 고흡수성 전분이 원료 전분을 물리적, 화학적 또는 생물학적으로 처리하여 변성시킨 변성전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연 소재의 건식 분말형 화장료 조성물.
  6. 제5항에 있어서, 원료 전분이 옥수수, 찰옥수수, 타피오카, 감자, 고구마, 쌀 또는 찹쌀의 전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연 소재의 건식 분말형 화장료 조성물.
  7. 제5항에 있어서, 물리적, 화학적 또는 생물학적 처리가 산처리, 알칼리처리, 효소처리, 알킬화, 아세틸화, 에스테르화, 에테르화, 인산화, 가교화 또는 알파화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연 소재의 건식 분말형 화장료 조성물.
  8. 제5항에 있어서, 변성전분의 형태가 알킬화 전분, 아세틸화 전분, 에스테르화 전분, 에테르화 전분, 인산화 전분, 가교 전분 또는 알파화 전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연 소재의 건식 분말형 화장료 조성물.
  9. 제1항에 있어서, 고흡수성 전분이 가교형 소듐 폴리아크릴산 전분, 소듐 카르복시메틸 전분, 하이드록시프로필 전분, 하이드록시프로필 인산 전분, 하이드록시프로필 산화 전분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변성전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연 소재의 건식 분말형 화장료 조성물.
  10. 제1항에 있어서, (A) 천연 소재 건조물 : (C) 흡습성 당류의 중량비가 1 : 0.02 내지 1 : 2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연 소재의 건식 분말형 화장료 조성물.
  11. 제1항에 있어서, 비타민류 및 그 유도체, 히아루론산, 콜라겐, 알란토인, 코엔자임큐텐, 디메칠설폰, 아미노산류, 알부틴 및 아데노신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성분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연 소재의 건식 분말형 화장료 조성물.
  12.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천연 소재의 건식 분말형 화장료 조성물 및 액체 매질을 포함하는, 천연 소재 화장팩.
  13. 제12항에 있어서, 액체 매질이 정제수, 유제품, 차 또는 이들의 혼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연 소재 화장팩.
  14. 제12항에 있어서, 건식 분말형 화장료 조성물 : 액체 매질의 혼합비가 중량비로 3 : 1 내지 1 : 2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연 소재 화장팩.
  15. 삭제
  16. 삭제
  17. 삭제
  18. 삭제
KR1020140095957A 2014-07-28 2014-07-28 천연 소재의 건식 화장료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천연 소재 화장팩 KR10173102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95957A KR101731023B1 (ko) 2014-07-28 2014-07-28 천연 소재의 건식 화장료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천연 소재 화장팩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95957A KR101731023B1 (ko) 2014-07-28 2014-07-28 천연 소재의 건식 화장료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천연 소재 화장팩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14199A KR20160014199A (ko) 2016-02-11
KR101731023B1 true KR101731023B1 (ko) 2017-05-12

Family

ID=553514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95957A KR101731023B1 (ko) 2014-07-28 2014-07-28 천연 소재의 건식 화장료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천연 소재 화장팩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3102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01272A (ko) * 2019-06-27 2021-01-06 숭실대학교산학협력단 팩용 분말 조성물 및 이를 제조하는 방법, 분말 조성물을 이용한 셔벗 형태의 미용팩용 마이크로겔, 및 그의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S2663574B1 (es) * 2016-10-13 2019-01-21 Laboratorios Cinfa S A Combinacion con funcion regenerativa de la funcion barrera de la piel
KR101724262B1 (ko) * 2016-10-13 2017-04-07 주식회사 웰니스 마스크팩 제조장치
CN109223634A (zh) * 2018-09-27 2019-01-18 广州航美化妆品有限公司 清润保湿美白面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01272A (ko) * 2019-06-27 2021-01-06 숭실대학교산학협력단 팩용 분말 조성물 및 이를 제조하는 방법, 분말 조성물을 이용한 셔벗 형태의 미용팩용 마이크로겔, 및 그의 제조방법
KR102259135B1 (ko) 2019-06-27 2021-05-31 숭실대학교산학협력단 팩용 분말 조성물 및 이를 제조하는 방법, 분말 조성물을 이용한 셔벗 형태의 미용팩용 마이크로겔, 및 그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14199A (ko) 2016-02-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31023B1 (ko) 천연 소재의 건식 화장료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천연 소재 화장팩
ES2374212T3 (es) Producto cosmético absorbente de sudor y procedimiento para su preparación.
CN109010243A (zh) 一种保湿精华液
CN105380924B (zh) 一种壳寡糖胶囊剂及其制备方法
CN108578253A (zh) 一种具有良好液晶结构的保湿膏霜及其制备方法
KR20130105787A (ko) 유동성 액체 조성물
CN108524374A (zh) 一种针对多种口腔问题的牙膏及其制造方法和应用
JP6646993B2 (ja) 発泡性皮膚外用剤
CN105899544A (zh) 透明质酸和/或其盐及其制造方法、以及包含该透明质酸和/或其盐的食品、化妆品和药品
CN102366395A (zh) 一种包含皮肤调理剂和水溶性硅蜡的化妆水组合物及其制备方法
CN105722555A (zh) 口部护理组合物
Alobo et al. Physical, functional and chemical properties of Grewia venusta (ururu) mucilage extract.
US6664301B1 (en) Method for using glycol additives to texturally modify natural gum hydrogels
KR102152300B1 (ko) 쌀 마스크 팩 시트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366940B1 (ko) 슬러쉬 제형의 워시오프 팩 제조용 과립 파우더 팩 화장료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슬러쉬 제형의 워시오프 팩
KR20140130830A (ko) 천연물을 포함하는 세정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JPS60115506A (ja) パック剤
JPS617208A (ja) 植物粉末を主成分としたパツク剤又はピ−リング剤
CN107485598A (zh) 一种自增稠珍珠化妆水及其制备方法
KR102129355B1 (ko) 팩 조성물
TW201414428A (zh) 溶膠狀低熱量食品原料及其製造方法以及容納於包裝容器體的溶膠狀低熱量食品原料
Marsin et al. Prepar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purple sweet potato starch-based edible film with optimized mixing temperature
CN113546028A (zh) 一种天然蜂蜜蜂王浆润唇膏
CN107233217A (zh) 一种含有表面活性剂的冻干制剂及其洗护产品
JP2015149948A (ja) 糖含有粉末組成物及びそ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04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