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66940B1 - 슬러쉬 제형의 워시오프 팩 제조용 과립 파우더 팩 화장료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슬러쉬 제형의 워시오프 팩 - Google Patents

슬러쉬 제형의 워시오프 팩 제조용 과립 파우더 팩 화장료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슬러쉬 제형의 워시오프 팩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66940B1
KR101366940B1 KR1020110064166A KR20110064166A KR101366940B1 KR 101366940 B1 KR101366940 B1 KR 101366940B1 KR 1020110064166 A KR1020110064166 A KR 1020110064166A KR 20110064166 A KR20110064166 A KR 20110064166A KR 101366940 B1 KR101366940 B1 KR 10136694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ck
cosmetic composition
starch
skin
we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641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03107A (ko
Inventor
김재영
이유선
김성래
이건국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코리아나화장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코리아나화장품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코리아나화장품
Priority to KR10201100641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66940B1/ko
Publication of KR201300031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0310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669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6694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216Solid or semisolid for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82Theaceae (Tea family), e.g. camelli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216Solid or semisolid forms
    • A61K8/022Powders; Compacted Powders
    • A61K8/0225Granulated powd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4Alcoho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73Polysaccharides
    • A61K8/732Starch; Amylose; Amylopectin;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Epidemiology (AREA)
  • Bird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Botan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techn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Dermat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솔비톨 혹은 당알코올류; 소듐 카르복시메틸 스타치 혹은 전분 혹은 전분유도체; 사포닌 혹은 기포제 역할을 하는 계면활성제를 함유하는 슬러쉬 제형의 워시오프 팩 제조용 과립 파우더 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본 조성물은 물, 과일즙, 차 등에 개거나 혼합 후 흔들어 사용하여 쉽게 과립이 풀려 뭉침 없이 슬러쉬 성상의 제형을 만들 수 있으며 이러한 제형의 워시오프 팩은 피부 도포시 도톰한 밀착감과 피부에 즉각적인 수분공급, 피부 진정, 쿨링효과가 우수하다.

Description

슬러쉬 제형의 워시오프 팩 제조용 과립 파우더 팩 화장료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슬러쉬 제형의 워시오프 팩 {Granular cosmetic pack composition for slush type wash-off pack and slush type wash-off pack using it}
본 발명은 팩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용도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슬러쉬 제형의 워시오프 팩을 제조하기 위한 과립 파우더 팩 화장료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슬러쉬 제형의 워시오프 팩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과립 파우더 팩 화장료 조성물을
(a) 물, 또는 (b) 1종 또는 2종 이상의 과일 또는 채소 쥬스, 또는 (c) 녹차, 둥글레차 혹은 얼그레이차와 같은 차와 1:2 ~ 1:20의 혼합 비율로 하여 슬러쉬 제형의 워시오프 팩을 제조하고, 이를 피부에 도포함으로써 피부 보습, 피부 진정 및 피부 냉각 효과를 부여하는 화장방법에 관한 것이다.
팩은 오래전부터 사용되어 온 화장품의 하나로 얼굴뿐만 아니라, 목, 어깨, 팔, 다리 등의 부분용이나 전신에도 사용된다.
팩은 수분, 보습제, 에몰리엔트제와 도포한 팩의 폐쇄효과에 의해 피하에서 올라오는 수분으로 보습이 유지되고 유연해진다. 또 팩의 흡착작용과 동시에 건조 박리시에 피부표면의 오염을 제거하므로 우수한 청정 작용이 있다. 팩은 피막제나 분말의 건조과정에서는 피부에 적당한 긴장을 주고, 건조 후 일시적으로 피부 온도를 높여 혈행을 원활하게 한다.
팩은 크게 필오프 타입, 워시오프 타입, 도포타입으로 분류된다. 각각의 팩에 대한 제품형태와 특징을 알아보면, 먼저 필오프 타입으로는 젤리상이 있는데 이 제품형태는 투명 또는 반투명의 젤리상으로, 도포 건조 후 투명한 피막을 형성한다. 피막박리 후는 보습유연효과, 청정효과를 나타낸다. 페이스트상의 제품형태는 불투명페이스트상, 분말, 유성분, 보습제를 비교적 많이 배합할 수 있으므로 건조시 피막형성, 박리 후는 충분한 촉촉한 느낌을 준다. 분말상 제품형태는 분말주제를 사용시 물 등으로 균일하게 녹이고 도포한다. 물의 증발 잠열에 의해 차고 산뜻하고 긴장감도 강하고 여름철용이다.
워시오프 타입 팩으로 크림상 제품형태는 보통 O/W형 유화타입의 크림이며 도포하기 쉽게 하기 위하여 경도를 낮게 하는 것과 사용 후 충분한 촉촉한 감을 부여하므로 보습량이 많다. 점토상 제품형태는 점토광물을 함유한 분말을 물+에탄올+보습제의 수상에 혼합, 건조 후 떼어내는 것은 어렵고, 물로 씻어내는 것이 대부분이다. 젤리상 제품형태는 투명 또는 반투명의 젤리상으로 수용성고분자의 배합에 의해 젤리상으로 한다. 피막제 양이 적으므로 떼어내거나 물로 씻어 사용한다. 에어졸(포 상태)의 제품형태는 포상의 제품을 냉각하면 사용한 거즈에 기화열을 빼앗기 때문에 피부표면에 따끔따끔하고 얼얼한 단점이 있다.
도포타입 팩으로 부직포겔 도포타입은 겔의 성질에 따라 사용성이 좌우되나, 새로운 타입의 팩으로서 주목된다. 사용법도 간단하고, 다른 기초화장품과의 조합효과도 높다. 부직포 함침타입의 제품형태는 부직포에 화장수, 에센스를 함침시킨 것으로 차고 상쾌하다.
하지만, 기존의 팩들 살펴보면 먼저 필오프 타입의 팩은 팩을 떼어낼 때 피부에 자극을 주는 단점이 있다.
워시오프 타입의 크림상, 점토상, 젤리상, 에어졸 형태의 제품이 있지만 피부 도포시 무거운 사용감을 주고 제형의 성상을 위해 보습성분이 일정량 이상 첨가되기 힘들며, 모공관리와 각질, 피지 제거에 대한 효능에 포커스가 맞춰져 있기 때문에 충분한 보습과 진정, 쿨링 효과에 한계가 있으며 제품을 장기간 보관시 제형의 변질이 일어날 수 있는 단점이 있다.
도포타입의 팩의 경우에는 간편성에 있어서는 장점이 있으나 얼굴에 시트를 덮고 있어야 하기 때문에 활동성이 용이하지 못하고 사람에 따라 시트 사이즈가 잘 맞지 않는 경우가 발생하는 단점이 있다. 또 부직포와 같은 재질이 미생물이 번식하기 좋은 환경이기 때문에 많은 양의 방부제가 투입되게 되어 피부에 좋지 않은 영향을 줄 수 있는 단점이 있다.
여름철 과도한 땀 분비와 에어컨에 의해 피부 건조가 심하기 때문에 수분공급이 반듯이 필요하다. 더욱이 여름철 수분 공급에 소홀하신 분들은 다가오는 가을철, 겨울철 피부 결이 거칠어지고 푸석푸석해지는 경향을 보이기 때문에 여름철 수분공급은 매우 중요하다.
또 여름철에는 과도한 UV 노출로 인해 선번이나 피부의 노화가 쉽게 일어나기 때문에 야외 활동 후 집에 와서는 반드시 피부 진정과 쿨링을 시켜줘야 한다. 이러한 이유들 때문에 여름철에는 수분과 진정 효과와 관련된 팩 소비가 늘어가는 수세이다.
본 발명의 주된 목적은 크림상, 점토상, 젤리상, 에어졸 형태로 되어있는 종래의 워시오프 타입의 팩 제형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는 슬러쉬 제형의 워시오프 팩 제조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데에 있다.
상기한 목적을 해소하기 위한 본 발명자의 연구에서 솔리톨, 전분 또는 전분 유도체, 기포제, 보습성분 등을 배합한 과립형태의 팩 화장료 조성물을 완성하고, 이를 슬러쉬 제형의 워시오프 팩으로 만들면 도포시 가볍고 밀착력이 우수하고 지속적인 보습작용과 쿨링 효과(피부온도 냉각)를 통해 피부 진정 효과를 제공하며, 사용시마다 직접 용이하게 팩 제형을 만들 수 있어 제품의 신선도를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는 사실을 발견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된 것이다. .
그러므로 본 발명에 의하면 팩 화장료 조성물에 있어서, (a) 당알코올류 30~70 중량%; (b) 전분 혹은 전분유도체 20~50 중량%; 및 (c) 기포제 역할을 하는 계면활성제 0.1~10 중량%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러쉬 제형의 워시오프 팩 제조용 과립 파우더 팩 화장료 조성물이 제공된다.
바람직하게 본 발명에 의하면 마이카, 합성 마이카, 탈크, 세리사이트 또는 광물류를 조성물 총중량기준으로 0.1~20 중량%로 추가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러쉬 제형의 워시오프 팩 제조용 과립 파우더 팩 화장료 조성물이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한 과립 파우더 팩 화장료 조성물을 이용한 슬러쉬 제형의 워시오프 팩이 제공된다.
바람직하게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과립 파우더 팩 화장료 조성물에 물이 1:2~1:20(화장료 조성물 : 물)의 중량비로 혼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러쉬 제형의 워시오프 팩이 제공된다.
바람직하게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과립 파우더 팩 화장료 조성물에 과일 및 채소를 믹서로 간 쥬스가 1:2~1:20(화장료 조성물 : 쥬스)의 중량비로 혼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러쉬 제형의 워시오프 팩이 제공된다.
바람직하게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과립 파우더 팩 화장료 조성물에 녹차, 둥글레차 또는 얼그레이차가 1:2~1:20(화장료 조성물 : 차)의 중량비로 혼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러쉬 제형의 워시오프 팩이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른 슬러쉬 제형의 워시오프 팩은, 사용감에 있어 피부 밀착력이 우수하고 제형에서 미세기포로 인해 가벼운 느낌을 주는 장점이 있다. 기존의 워시오프 팩 제형과 달리 실제 슬러쉬와 유사한 제형 성상을 통해 차별화된 제형은 주고 있으며 이러한 성상을 통해 지속적인 수분 공급과 쿨링 효과를 통해 피부 진정 효과를 주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또한 사용시마다 직접 만들어 쓸 수 있는 과립형 파우더이기 때문에 제품의 신선도가 높은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서 실시예에 사용된 소듐카르복시메틸스타치가 정제수를 함유하기 전과 함유 후의 단면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모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 16을 이용하여 제조한 슬러쉬 제형의 워시오프 팩의 사진들이다.
이하,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는 팩 제형의 화장료 조성물은 과립화 함으로써 사용성을 개선한 것으로서,
(a) 당알코올류, (b) 전분 또는 전분 유도체, 및 (c) 기포제 역할을 하는 계면활성제를 함유한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에서 솔비톨은 사과, 복숭아, 마가목 등의 과즙에서 함유된 당알코올로서 백색, 무취의 고체이다 포도당을 환원하여 만든다. 화장료에서 보습성이 저습도에서 발휘되므로 선호되고 있으며 크림, 유액, 치약 등에 사용된다.
본 발명에서 솔비톨 파우더를 배합하게 되면 보습과 제형 형성에 도움을 준다.
당알코올류는 과립 파우더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30~70 중량%로 함유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솔비톨 파우더의 중량이 30 중량% 보다 적은 경우에는 조성물을 이루는 전분이 물에서 잘 풀리지 않으며 70 중량% 보다 많은 경우에는 과립 파우더를 물에 혼합했을 때 점도가 너무 낮아 피부에 도포시 흘러내리는 단점이 있었고 피부에 도포시 솔비톨 재결정화가 일어나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에서 과립화를 위하여 사용한 전분 혹은 전분 유도체는 피부 밀착력이 우수하고 수분 흡수량이 높은 것으로 포도당을 기본 구조로 하여 긴 사슬 모양의 아밀로오즈와 가지처럼 연결된 아밀로펙틴의 두 타입이 복합적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식품, 섬유, 화장품 등에서 여러 가지 형태로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는 원료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과립화를 위하여 사용할 수 있는 전분 유도체는 부분 α화 전분, 소듐카르복시메틸스타치, 히드록시프로필스타치, 전분 에스테르, 전분 에테르, 가교전분 등 본 발명에 해당되는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전분 유도체 성분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전분 또는 전분 유도체는 과립 파우더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20~50 중량%로 함유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전분의 중량이 20 중량% 미만인 경우는 점도가 낮아 제형이 흘러내리는 문제가 있고, 50 중량%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점도가 너무 높아 물에 혼합시 전분이 풀리지 않고 오랜 시간 혼합하여 사용하더라도 피부에 펴 발리지 않는 단점이 있다.
솔비톨은 사과, 복숭아, 마가목 등의 과즙에서 함유된 당알코올로서 백색, 무취의 고체이다 포도당을 환원하여 만든다. 화장료에서 보습성이 저습도에서 발휘되므로 선호되고 있으며 크림, 유액, 치약 등에 사용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솔비톨 파우더를 배합하여 보습과 제형 형성에 도움을 주고, 과립 파우더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30~70 중량%로 함유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솔비톨 파우더의 중량이 30 중량% 보다 적은 경우에는 전분이 물에서 잘 풀리지 않으며 70 중량% 보다 많은 경우에는 과립 파우더를 물에 혼합했을 때 점도가 너무 낮아 피부에 도포시 흘러내리는 단점이 있었고 피부에 도포시 솔비톨 재결정화가 일어나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에서 사포닌과 같은 기포제 역할을 하는 계면활성제는 제형에 미세기포를 형성시켜 피부 도포시 가벼운 사용감을 준다.
사포닌(Saponin)은 식물의 뿌리, 줄기, 잎, 껍질 씨 등에 있는데, 강심제나 이뇨제로서 강한 작용이 있어 옛날부터 한방약으로 사용되어 왔다. 어느 것이나 세포에 대해서는 표면 활성제로서 작용하여, 세포막의 구조를 파괴하거나, 물질의 투과성을 높이기도 한다. 이 밖에 스테아린, 알코올, 페놀 등과는 난용성인 분자화합물을 형성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과립형 워시오프 팩의 보습력과 피부 밀착성 향상, 슬러쉬와 같은 독특한 제형을 얻기 위해 사포닌을 과립 파우더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해서 0.1~10 중량%로 배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사포닌의 함량이 0.1 중량% 보다 적은 경우에는 보습력과 피부 밀착성에 영향을 주지 않았고, 슬러쉬와 같은 독특한 제형이 만들어지지 않았으며 10 중량%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과립 파우더를 물에 풀었을 때 기포가 너무 많이 발생하여 팩 제품을 피부에 도포하기 어려운 점이 있었다.
또한, 본 발명에서, 과립형 파우더가 물에서 잘 혼합하여 섞이게 하기 위해 마이카 또는 합성 마이카, 탈크, 세리사이트 또는 광물류를 추가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합성 마이카로는 합성 플루오르플로고파이트(SYNTHETIC FLURPHLOGOPITE)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SYNTHETIC FLURPHLOGOPITE은 화강암 중에 석영 및 장석과 함께 혼재하는 중요한 조암광물의 하나로서 화장품에는 색조 제품에 널리 쓰이고 있는 화장품 원료이다. 본 발명에서 SYNTHETIC FLURPHLOGOPITE 또는 합성 마이카는 과립 파우더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해서 0.1~20 중량%로 함유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SYNTHETIC FLURPHLOGOPITE 또는 합성 마이카가 0.1 중량% 보다 적은 경우 과립 파우더가 물에 잘 풀리지 않고 파우더끼리 덩어리지는 단점이 있으며, 20 중량%를 초과한 경우에는 피부 도포시 흰색의 백탁현상이 일어나는 단점이 있었다.
또한, 본 발명에서, 피부 개선 효과를 높이기 위해 피부유용성분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사용 가능한 피부 유용성분으로는 올리고 지지에프(Oligo GGF), 베타인(betaine, 트레할로스(Trehalose) 등의 보습성분과 크랜베리, 스트로베리, 블랙커런트 등의 과일 추출물과 오이, 당근, 파프리카 등의 야채 추출물을 비롯한 각종 식물에서 추출한 화장품 성분이 있으나 반드시 기재된 성분이 아니더라도 피부에 유용한 효과를 주는 어떠한 성분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과립 파우더 화장료 조성물을 이루는 슬러쉬 형태의 워시오프 팩은 실제 사용시 상기 과립 파우더 화장료 조성물을 (a) 물, 또는 (b) 1종 또는 2종 이상의 과일 또는 채소 쥬스, 또는 (c) 녹차, 둥글레차 혹은 얼그레이차와 같은 차와 1:2 ~ 1:20의 혼합 비율로 하여 제조하여 피부에 도포해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과립 파우더 화장료 조성물을 상기와 같은 수분 성분들과 혼합하면 과립 파우더가 뭉침 없이 손쉽게 풀려 슬러쉬 성상의 팩이 제조되게 되며, 이렇게 제조한 슬러쉬 형태의 워시오프 팩을 피부에 도포하게 되면 도톰한 밀착감과 함께 피부에 즉각적인 수분공급을 통해 보습 효과를 나타내고, 피부 진정 및 피부 쿨링 효과가 뛰어나다. 또한, 본 발명의 과립 파우더 팩 화장료 조성물은 사용시에 물 등과 혼합하여 사용하기 때문에 물에 미리 혼합되어져 있는 기존의 팩 조성물에 비해 제품의 신선도가 높은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보습제와 전분 또는 전분 유도체 등을 포함하고 있는 과립 파우더 화장료 조성물을 (a) 물, 또는 (b) 1종 또는 2종 이상의 과일 또는 채소 쥬스, 또는 (c) 녹차, 둥글레차 혹은 얼그레이차와 같은 차와 1:2 ~ 1:20의 혼합 비율로 하여 제조한 슬러쉬 제형의 워시오프 팩을 제공한다.
이하, 실시예 및 실험예를 들어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효과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그러나 이들 실시예는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이 이들 실시예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험예 1] 과립 파우더 팩 화장료 조성물 제조
하기 표 1에 기재된 원료 및 조성으로 과립 파우더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소듐카르복시메틸스타치를 실시예의 조성으로 성분 1~5를 평량한 후 과립기에 넣고 5~10분 혼합하여 과립 파우더 팩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함량의 단위는 중량%이다.
하기 표 1에 기재된 원료 및 조성으로 실시예 1과 같은 방식으로 과립 파우더 팩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하기 표 1에 기재된 원료 및 조성으로 실시예 1과 같은 방식으로 과립 파우더 팩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하기 표 1에 기재된 원료 및 조성으로 실시예 1과 같은 방식으로 과립 파우더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하기 표 1에 기재된 원료 및 조성으로 실시예 1과 같은 방식으로 과립 파우더 팩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하기 표 1에 기재된 원료 및 조성으로 실시예 1과 같은 방식으로 과립 파우더 팩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번호 성 분 실시예1 실시예2 실시예3 실시예4 실시예5 실시예6
1 솔비톨 30 30 30 30 30 30
2 소듐카르복시메틸스타치 1 10 20 35 50 65
3 합성플루오르 플로고파이트 1 1 1 1 1 1
4 사포닌 3 3 3 3 3 3
5 보습제(트레할로스)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실험예 2] 과립 파우더 팩 화장료 조성물의 점도 및 사용성 품평
상기 실험예 1에서 제조한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6의 과립 파우더 팩 화장료 조성물 각 10g을 정제수 70g과 혼합하여 워시오프 타입 팩을 제조하고 피부에 직접 도포하여 점도와 사용성에 대해 품평하였다. 그 결과는 표2에 제시된다.
화장료
조성물
실시예1
실시예2
실시예3
실시예4
실시예5
실시예6
정제수와 혼합시
상용성
우수 우수 보통 보통 보통 불량
(뭉침, 풀리지 않음)
점도 묽음 묽음 조금 묽음 보통 조금 높음 높음
발림성 얇게 발림 얇게 발림 양호 우수
(도톰, 매끈)
양호
(도톰)
불량
(피부 밀착 나쁨)
종합평가 X X O O O X
상기 표 2에서 소듐카르복시메틸스타치의 중량%을 실시예1~6과 같이 다양하게 하여 정제수와 혼합하여 워시오프 팩을 제조한 결과 소듐카르복시메틸스타치의 중량%를 20~50 중량%의 경우 정제수에 풀리는 정도가 양호하였고 점도와 발림성도 양호한 반면 소듐카르복시메틸스타치의 중량%가 20 중량% 미만에서는 묽은 점도와 얇게 발리는 단점을 보였으며 50 중량%을 초과한 경우에는 정제수에 잘 풀리지 않고 점도와 발림성이 모두 나쁜 결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실험예 3] 과립 파우더 팩 화장료 조성물 제조
하기 표3에 기재된 원료 및 조성으로 과립 파우더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솔비톨의 함량을 실시예 7의 조성으로 제조하고, 또 합성 플루오르플로고파이트의 함량을 실시예 7의 조성으로 제조하였으며, 화장료 제조방법은 실험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하였다. 함량의 단위는 중량%이다.
하기 표3에 기재된 원료 및 조성으로 과립 파우더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솔비톨의 함량을 실시예 8의 조성으로 제조하고, 또 합성 플루오르플로고파이트의 함량을 실시예 8의 조성으로 제조하였으며, 화장료 제조방법은 실험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하였다. 함량의 단위는 중량%이다.
하기 표3에 기재된 원료 및 조성으로 과립 파우더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솔비톨의 함량을 실시예 9의 조성으로 제조하고, 또 합성 플루오르플로고파이트의 함량을 실시예 9의 조성으로 제조하였으며, 화장료 제조방법은 실험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하였다. 함량의 단위는 중량%이다.
하기 표3에 기재된 원료 및 조성으로 과립 파우더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솔비톨의 함량을 실시예 10의 조성으로 제조하고, 또 합성 플루오르플로고파이트의 함량을 실시예 10의 조성으로 제조하였으며, 화장료 제조방법은 실험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하였다. 함량의 단위는 중량%이다.
번호 성 분 실시예7 실시예8 실시예9 실시예10
1 솔비톨 20 30 50 80
2 소듐카르복시메틸스타치 20 20 20 20
3 합성플루오르
플로고파이트
1 1 1 1
4 사포닌 3 3 3 3
5 보습제(트레할로스) 적량 적량 적량 적량
하기 표4에 기재된 원료 및 조성으로 과립 파우더 팩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솔비톨의 함량을 실시예 11의 조성으로 제조하고, 또 합성 플루오르플로고파이트의 함량을 실시예 11의 조성으로 제조하였으며, 화장료 제조방법은 실험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하였다. 함량의 단위는 중량%이다.
하기 표 4에 기재된 원료 및 조성으로 과립 파우더 팩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솔비톨의 함량을 실시예 12의 조성으로 제조하고, 또 합성 플루오르플로고파이트의 함량을 실시예 12의 조성으로 제조하였으며, 화장료 제조방법은 실험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하였다. 함량의 단위는 중량%이다.
하기 표 4에 기재된 원료 및 조성으로 과립 파우더 팩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솔비톨의 함량을 실시예 13의 조성으로 제조하고, 또 합성 플루오르플로고파이트의 함량을 실시예 13의 조성으로 제조하였으며, 화장료 제조방법은 실험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하였다. 함량의 단위는 중량%이다.
하기 표 4에 기재된 원료 및 조성으로 과립 파우더 팩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솔비톨의 함량을 실시예 14의 조성으로 제조하고, 또 합성 플루오르플로고파이트의 함량을 실시예 14의 조성으로 제조하였으며, 화장료 제조방법은 실험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하였다. 함량의 단위는 중량%이다.
번호 성 분 실시예11 실시예12 실시예13 실시예14
1 솔비톨 30 30 30 30
2 소듐카르복시메틸스타치 20 20 20 20
3 합성 플루오르플로고파이트 0.1 5 10 20
4 사포닌 3 3 3 3
5 보습제(트레할로스)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실험예 4] 과립 파우더 팩 화장료 조성물의 점도 및 사용성 품평
상기 실험예 3에서 제조한 실시예 7~14의 화장료 조성물 각 10g을 정제수 70g과 혼합하여 워시오프 타입 팩을 제조하고 피부에 직접 도포하여 점도와 사용성에 대해 품평하였다. 그 결과는 표 5에 제시된다.
화장료조성물 실시예7
실시예8
실시예9
실시예10
실시예11
실시예12
실시예13
실시예14
정제수와 혼합시
상용성
불량 우수 우수 우수 불량 보통 보통 우수
점도 높음 보통 보통 묽음 높음 보통 낮음 낮음
발림성 두껍다 양호 양호 얇다 불량 양호 양호 불량
(백탁)
종합평가 X O X O X
상기 표5에서 솔비톨의 중량이 30 중량% 미만인 경우는 전분이 물에서 잘 풀리지 않으며 70 중량%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과립 파우더를 물에 혼합했을 때 점도가 너무 낮아 피부에 도포시 흘러내리는 단점이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 합성플루오르 플로고파이트의 0.1 중량% 미만인 경우 과립 파우더가 물에 잘 풀리지 않고 파우더끼리 덩어리지는 단점이 있었으며, 20 중량%를 초과한 경우에는 피부 도포시 흰색의 백탁현상이 일어나는 단점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험예 5] 과립 파우더 팩 화장료 조성물 제조
하기 표 6에 기재된 원료 및 조성으로 사포닌 함량을 실시예 15와 같이 첨가하여 과립 파우더 팩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제조방법은 실험예 1과 동일하게 하였으며, 함량의 단위는 중량%이다.
하기 표 6에 기재된 원료 및 조성으로 사포닌 함량을 실시예 16과 같이 첨가하여 과립 파우더 팩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제조방법은 실험예 1과 동일하게 하였으며, 함량의 단위는 중량%이다.
하기 표 6에 기재된 원료 및 조성으로 사포닌 함량을 실시예 17과 같이 첨가하여 과립 파우더 팩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제조방법은 실험예 1과 동일하게 하였으며, 함량의 단위는 중량%이다.
하기 표 6에 기재된 원료 및 조성으로 사포닌 함량을 실시예 18과 같이 첨가하여 과립 파우더 팩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제조방법은 실험예 1과 동일하게 하였으며, 함량의 단위는 중량%이다.
번호 성 분 실시예15 실시예16 실시예17 실시예18
1 솔비톨 50 50 50 50
2 소듐카르복시메틸스타치 20 20 20 20
3 합성 플루오르플로고파이트 5 5 5 5
4 사포닌 0.1 3 5 10
5 보습제(트레할로스)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실험예 6] 과립 파우더 팩 화장료 조성물의 점도 및 사용성 품평
상기에서 제조한 실시예7~14의 각 10g을 정제수 70g과 혼합하여 워시오프 타입 팩을 제조하고 피부에 직접 도포하여 점도와 사용성에 대해 품평하였으며, 그 결과를 표7에 나타내었다.
화장료
조성물
실시예15
실시예16
실시예17
실시예18
기포량 부족 우수 조금 많음 많음
피부
미착성
떨어짐 우수 우수 보통
종합평가 X O
상기 표 7에서 사포닌의 중량이 0.1 중량% 미만인 경우에는 기포량과 피부 밀착성이 떨어짐을 알 수 있고, 슬러쉬 제형이 만들어지지 않았으며 10 중량%를 초과한 경우에는 과립 파우더를 물에 풀었을 때 기포가 너무 많이 발생하여 팩 제품을 피부에 도포하기 어렵다는 점을 알 수 있다.
[실험예 7] 과립 파우더 팩 화장료 조성물의 정제수와 혼합비율 평가
상기 표 6에서 제형이 가장 우수하다고 판단된 실시예 16의 과립 파우더 팩 화장료 조성물을 하기 표 8과 같이 정제수와의 혼합비율을 다양하게 하여 팩을 제조한 뒤 점도와 정제수 혼합 정도에 대해 품평하였다. 그 결과는 표 8에 제시된다. 혼합비율은 과립 파우더 화장료 조성물 대 정제수의 중량% 비율이다.
조성물/정제수 1 : 1 1 : 2 1 : 7 1 : 10 1 : 20
점도 높음 양호 양호 양호 낮음
정제수에
풀리는 정도
불량 보통 보통 보통 우수
종합평가 X O O O
상기 표 8에서 보습제와 전분 또는 전분 유도체 등을 포함하고 있는 과립 파우더 화장료 조성물과 물의 혼합 비율은 1:2 ~ 1:20인 것이 슬러쉬 같은 제형을 제조하는데 바람직하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험예 8] 과립 파우더 팩 화장료 조성물의 비교실험
하기 표 9에서 실시예 16의 화장료 조성물의 조성 및 함량에 대해 비교실험을 실시하였다.
실시예 16의 각 조성에 대한 비교예 1~6을 제조하였다. 또한, 에리스리톨(Erythritol), 만니톨(Mannitol)을 이용하여 비교예 1~2의 과립 파우더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여기서 Erythritol과 Mannitol은 솔비톨과 유사한 당알코올 성분으로 화장품 원료로 사용되고 있다. 비교예 3은 히드록시프로필스타치, 비교예 4는 ZEA Marys(corn) starch, 비교예 5는 corn starch modified을 이용하여 과립 파우더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히드록시프로필스타치, ZEA Marys(corn) starch, corn starch modified는 소듐카르복시메틸스타치와 유사한 전분 혹은 전분유도체이기에 사용하였다. 또 비교예 6은 사포닌과 유사한 기능을 가진 소듐 라우로일 아스파테이트(Sodium Lauroyl aspartate)를 사용하였다.
번호 성 분 실시예16 비교예1 비교예2 비교예3 비교예4 비교예5 비교예6
1 솔비톨 50 50 50 50 50
2 Erythritol 50
3 만니톨 50
4 소듐카르복시메틸스타치 20 20 20 20
5 히드록시프로필스타치 20
6 ZEA Marys(corn) starch 20
7 corn starch modified 20
8 합성플루오르 플로고파이트 5 5 5 5 5 5 5
9 사포닌 3 3 3 3 3 3
10 Sodium Lauroyl aspartate 3
11 보습제(트레할로스)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실험예 9] 과립 파우더 팩 화장료 조성물의 점도 및 사용성 품평
상기 표 9에서 제조한 실시예 16, 비교예 1~6의 과립 파우더 팩 화장료 조성물을 정제수와 1:7(과립 파우더 화장료 조성물 : 정제수 중량% 비율)로 혼합하여 슬러쉬 제형의 워시오프 타입 팩의 제조가 용이하게 되는지 확인하고 피부 발림성 등도 실험하여 품평하였다. 그 결과는 표10에 제시된다.
화장료조성물 실시예16
비교예1
비교예2
비교예3
비교예4
비교예5 비교예6
점도 양호 보통 보통 보통 매우 높음 높음 양호
정제수와 혼합시 상용도 우수 조금 뭉침 조금 뭉침 뭉침 뭉침 보통 보통
슬러쉬 제형 정도(기포) 우수 보통 보통 조금 불량 조금 불량 조금 불량 조금 불량
발림성 보통 얇게 발림 얇게 발림 얇게 발림 불량 불량 보통
종합평가 O
상기 표 10의 결과를 통해 과립 파우더 팩 화장료 조성물을 정제수와 혼합하여 슬러쉬 제형의 워시오프 팩을 제조하기에는 실시예 16이 가장 적합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험예 10] 과립 파우더 팩 화장료 조성물을 이용한 슬러쉬 제형의 워시오프 팩의 보습력 개선효과
<10-1>피부 전도도 평가
소듐카르복시메틸스타치, 솔비톨, 사포닌을 함유하는 화장료의 피부 보습력 개선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실험을 실시하였다. 피부 질 질환이 없는 20~40대 70명을 대상으로 1조 당 10명씩 7개 조로 나누고, 본 발명의 소듐카르복시메틸스타치, 솔비톨, 사포닌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실시예16)을 정제수와 1:7의 비율로 혼합하여 슬러쉬 타입의 워시오프 팩을 제조하였고, 비교예1~6을 정제수와 1:7의 비율로 혼합하여 워시오프 팩을 대조처방예로 하여 1주일에 3회씩 1개월간 얼굴에 도포하여 사용하도록 했다.
미리 도포 시작 전 항온, 항습 조건(24도, 습도40%)에서 corneometer(CM820 courage Khazaka electronic GmbH, Germany)를 이용하여 피부 전도도를 측정하여 기본 값을 삼고, 1주, 2주, 4주 경과 후의 피부 전도도를 측정하여 그 증가율을 평가하였다. 그 결과는 표11에 제시된다.
시료 1주 후 2주 후 4주 후
실시예16 55 60 59
비교예1 35 37 42
비교예2 40 43 44
비교예3 37 40 39
비교예4 36 39 45
비교예5 46 50 49
비교예6 43 45 46
상기 표 11의 결과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라 소듐카르복시메틸스타치, 솔비톨, 사포닌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실시 예 16의 경우 비교예 1~6에 비하여 피부 전도도 증가율이 매우 우수하였다.
일반적으로 피부 전도도는 피부 수분량에 비례하므로, 상기의 결과로부터 본 발명에 소듐카르복시메틸스타치, 솔비톨, 사포닌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실시예16)을 이용한 슬러쉬 제형의 워시오프 팩이 비교예 1~6의 화장료 조성물을 이용한 워시오프 팩에 비해 피부 수분 함량도 높게 유지한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과립 파우더 화장료 조성물(실시예 16)을 이용한 슬러쉬 제형의 워시오프 팩은 피부 보습력 개선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다.
<10-2>피부수분량 평가
상기 실시예 16 화장료 조성물을 정제수와 1:7의 비율로 혼합하여 만든 슬러쉬 타입의 워시오프 팩과 비교예 1~6 화장료 조성물을 정제수1:7의 비율로 혼합하여 만든 워시오프 팩에 대한 임상 보습 효과를 다음과 같이 측정하였다. 설문 조사를 통하여 피부가 건조하다고 느끼는 건강한 성인 남녀 20명을 선정한 후 상박을 10개 사이트로 나눈 후 각 시료를 1일 2회씩 4주간 도포하게 하였다. 보습 효과는 실사용 시험 시작 후부터 매 2주간, 그리고 종류 후의 개선 효과를 코르네오미터(Corneometer CM 820; Corage Khazaka, Germany)를 이용하여 평가하였다. 그 결과는 표 12에 제시된다.
구분 TEWL(g/h/㎡)
초기값 사용 2주 후 사용 4주 후
실시예16 33.1 48.6 58.8
비교예1 33.2 47.5 51.5
비교예2 33.0 47.9 52.3
비교예3 33.0 46.2 49.5
비교예4 33.3 48.5 53.2
비교예5 33.2 48.4 51.1
비교예6 33.1 48.9 49.2
상기 표 12에 나타난 바와 같이, 기기 측정에 의한 피부 보습력 개선 효과 평가 결과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는 슬러쉬 제형 워시오프 팩(실시예 16)는 슬러쉬 제형이 아닌 비교예 1~6에 비하여 피부 보습력 개선 효과가 매우 우수하였다. 특히, 사용 2주 후 및 사용 4주 후 보습력 개선효과를 측정한 결과도 마찬가지로, 본 발명의 과립 파우더 화장료 조성물(실시예 16)을 이용한 슬러쉬 제형의 워시오프 팩은 피부 보습력 개선 효과가 개선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험예 11] 과립 파우더 화장료 조성물을 이용한 슬러쉬 제형의 워시오프 팩의 피부 온도 냉각효과
상기 실시예 16의 화장료 조성물을 정제수와 1:7의 비율로 혼합하여 만든 슬러쉬 타입의 워시오프 팩과 비교예 1~6의 화장료 조성물을 정제수 1:7의 비율로 혼합하여 만든 워시오프 팩에 대한 피부 냉각효과를 측정하였다. 피검자는 측정전 항온항습실에서 1시간 동안 휴식을 취한 후, 한쪽 볼에는 실시예 16, 비교예 1~6의 워시오프 팩을 부착하고 다른 한쪽 볼에는 미부착하였다. 20분이 경과한 시점에서 서모미터(Thermo-meter)를 이용하여 피부 온도를 측정하였다 측정 결과는 표 13에 제시된다.
팩 미도포(℃) 팩 도포(℃) 온도변화(℃)
실시예16 36.9 30.5 6.4
비교예1 36.5 33.7 2.8
비교예2 36.8 34.1 2.7
비교예3 36.9 34.2 2.7
비교예4 37.1 33.5 3.6
비교예5 37.2 33.8 3.4
비교예6 36.4 34.1 2.3
상기 표 13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 16의 슬러쉬 제형의 워시오프 팩을 도포한 경우에 피부 온도가 약 5.1℃ 정도 떨어졌고, 이 효과는 20분 이후에도 유지되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러나 비교예의 워시오프 팩들은 온도변화가 2~3℃ 내외로서 본 발명의 팩(실시예 6)이 비교예 들에 비해 피부 온도 냉각효과가 월등히 뛰어났다. 이러한 결과로부터, 본 발명에 따르는 실시예 16에 따른 과립 파우더 화장료 조성물을 이용한 슬러쉬 제형의 워시오프 팩은 피부의 열을 냉각시키는 효과가 있으며 이로 인해 피부의 진정효과를 가져오는데 도움을 준다는 점을 확인할 수 있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특정한 부분을 상세히 기술하였는바, 당 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이러한 구체적인 기술은 단지 바람직한 구현예일 뿐이며, 이에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는 것이 아닌 점은 명백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질적인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과 그의 등가물에 의하여 정의된다고 할 것이다.

Claims (5)

  1. 과립 파우더 팩 화장료 조성물에 있어서, 화장료 조성물 총중량 기준으로
    (a) 당알코올류로서 솔비톨, 에리스리톨 또는 만니톨 30~70 중량%;
    (b) 전분 또는 전분유도체 20~50 중량%; 및
    (c) 기포제 역할을 하는 계면활성제로서 사포닌 또는 소디움 라우로일 아스파레이트(Sodium Lauroyl aspartate) 0.1~10 중량%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러쉬 제형의 워시오프 팩 제조용 과립 파우더 팩 화장료 조성물.
  2. 제 1항에 있어서, 마이카, 합성 플루오르플로고파이트, 탈크, 또는 세리사이트를 조성물 총중량기준으로 0.1~20 중량%로 추가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러쉬 제형의 워시오프 팩 제조용 과립 파우더 팩 화장료 조성물.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분 유도체는 부분 a화 전분, 소듐카르복시메틸스타치, 히드록시프로필스타치, 전분 에스테르, 전분 에테르 및 가교전분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러쉬 제형의 워시오프 팩 제조용 과립 파우더 팩 화장료 조성물.
  4.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의 과립 파우더 팩 화장료 조성물(a)을 물, 과일쥬스, 채소쥬스, 녹차, 둥글레차 또는 얼그레이차(b)와 1:2 ~ 1:20의 중량비(a:b)로 혼합하여 제조한 슬러쉬 제형의 워시오프 팩.
  5.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의 과립 파우더 팩 화장료 조성물(a)을 물, 과일쥬스, 채소쥬스, 녹차, 둥글레차 또는 얼그레이차(b)와 1:2 ~ 1:20의 중량비(a:b)로 혼합하여 슬러쉬 제형의 워시오프 팩을 제조하고, 이를 피부에 도포함으로써 피부 보습, 피부 진정 및 피부 냉각 효과를 부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방법.
KR1020110064166A 2011-06-30 2011-06-30 슬러쉬 제형의 워시오프 팩 제조용 과립 파우더 팩 화장료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슬러쉬 제형의 워시오프 팩 KR10136694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64166A KR101366940B1 (ko) 2011-06-30 2011-06-30 슬러쉬 제형의 워시오프 팩 제조용 과립 파우더 팩 화장료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슬러쉬 제형의 워시오프 팩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64166A KR101366940B1 (ko) 2011-06-30 2011-06-30 슬러쉬 제형의 워시오프 팩 제조용 과립 파우더 팩 화장료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슬러쉬 제형의 워시오프 팩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3107A KR20130003107A (ko) 2013-01-09
KR101366940B1 true KR101366940B1 (ko) 2014-02-25

Family

ID=478354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64166A KR101366940B1 (ko) 2011-06-30 2011-06-30 슬러쉬 제형의 워시오프 팩 제조용 과립 파우더 팩 화장료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슬러쉬 제형의 워시오프 팩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66940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11941B1 (ko) 2019-09-23 2021-02-03 코스맥스 주식회사 에리스리톨과 디실록산을 포함하는 냉감제용 화장료 조성물
KR20220054257A (ko) * 2020-05-20 2022-05-02 주식회사 지엠건모 폼 시트형 세정제품의 제조방법 및 그를 이용한 휴대용 세정제품
KR102579369B1 (ko) 2022-12-28 2023-09-15 리봄화장품 주식회사 소듐카보머와 카올린, 옥수수 전분을 함유하는 피부 쿨링 기능이 구비된 워시오프 팩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16878B1 (ko) * 2004-12-24 2005-09-22 박중호 솔비톨을 함유하는 피부미용용 황토분말 및 이의 제조방법
KR20070110731A (ko) * 2006-05-15 2007-11-20 (주)아모레퍼시픽 과립형 팩 제형의 화장료 조성물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16878B1 (ko) * 2004-12-24 2005-09-22 박중호 솔비톨을 함유하는 피부미용용 황토분말 및 이의 제조방법
KR20070110731A (ko) * 2006-05-15 2007-11-20 (주)아모레퍼시픽 과립형 팩 제형의 화장료 조성물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11941B1 (ko) 2019-09-23 2021-02-03 코스맥스 주식회사 에리스리톨과 디실록산을 포함하는 냉감제용 화장료 조성물
KR20220054257A (ko) * 2020-05-20 2022-05-02 주식회사 지엠건모 폼 시트형 세정제품의 제조방법 및 그를 이용한 휴대용 세정제품
KR102454511B1 (ko) * 2020-05-20 2022-10-14 주식회사 지엠건모 폼 시트형 세정제품의 제조방법 및 그를 이용한 휴대용 세정제품
KR102579369B1 (ko) 2022-12-28 2023-09-15 리봄화장품 주식회사 소듐카보머와 카올린, 옥수수 전분을 함유하는 피부 쿨링 기능이 구비된 워시오프 팩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3107A (ko) 2013-01-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54305B1 (ko) 즉석 쿨링 마스크 팩의 제조방법 및 쿨링 마스크팩 조성물
CN106214515A (zh) 一种含油保湿化妆水及其制备方法
JP2023138656A (ja) 発泡性皮膚外用剤
CN103385848A (zh) 一种化妆水及其制备方法和应用
CN111773122A (zh) 一种具有滋润功效的发热面膜及其制备方法
KR102342905B1 (ko) 고마쥬 타입 각질제거용 수분산 스틱형 화장료 조성물
KR101366940B1 (ko) 슬러쉬 제형의 워시오프 팩 제조용 과립 파우더 팩 화장료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슬러쉬 제형의 워시오프 팩
KR101803271B1 (ko) 피부 보습용 또는 탄력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1731023B1 (ko) 천연 소재의 건식 화장료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천연 소재 화장팩
KR20080046983A (ko) 백련초 추출물, 자작나무 수액, 엑스트라 버진 올리브 오일및 폴리올을 함유하는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JP6424356B2 (ja) 発泡性皮膚外用剤
KR101748185B1 (ko) 기능성 분말을 함유하는 석고미용시트를 활용한 석고미용팩의 제조방법 및 그 석고미용팩
Mulani et al. Formulation and evaluation of dry herbal powder shampoo
CN105640836B (zh) 一种含有荷花活性成分的护肤水及其制备方法
JP2814230B2 (ja) 化粧品組成物
TW201345559A (zh) 沐浴用劑組合物
KR100563442B1 (ko) 피부 보습 및 자극 완화 효과를 가지는 유기농 천연추출물및 이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926783B1 (ko) 곤약 뿌리 추출물, 골든베리 열매 추출물 및 월하미인 꽃 추출물의 혼합물을 함유하는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KR20080088735A (ko) 보습 복합물을 함유한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JP2814229B2 (ja) 化粧品組成物
CN106619319A (zh) 一种含抗菌肽的止痒沐浴露及其制备方法
KR20130104261A (ko) 유자씨 추출물, 미역 추출물 및 아마씨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보습 화장료 조성물
CN103330672B (zh) 一种含黄春菊提取物、可可果/海藻复合提取物和水解珍珠的化妆水组合物
KR102128906B1 (ko) 천연 화장료 조성물
CN103340810B (zh) 一种含可可果/海藻复合提取物、人参根提取物和水解珍珠的化妆水组合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26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