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88735A - 보습 복합물을 함유한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보습 복합물을 함유한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88735A
KR20080088735A KR1020070031389A KR20070031389A KR20080088735A KR 20080088735 A KR20080088735 A KR 20080088735A KR 1020070031389 A KR1020070031389 A KR 1020070031389A KR 20070031389 A KR20070031389 A KR 20070031389A KR 20080088735 A KR20080088735 A KR 2008008873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isturizing
skin
cosmetic composition
water
pow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313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59947B1 (ko
Inventor
김찬호
김진우
Original Assignee
(주)아모레퍼시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아모레퍼시픽 filed Critical (주)아모레퍼시픽
Priority to KR10200700313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59947B1/ko
Publication of KR200800887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8873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599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5994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94Liliopsida [mono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4Alcoho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Epidemiology (AREA)
  • Birds (AREA)
  • Dermat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요구르트 파우더; 과일 추출물 또는 곡물 추출물; 및 폴리올로 구성된 보습 복합물을 함유하여 보습 효과가 우수한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보습 복합물은 단백질을 비롯해서 각종 비타민과 미네랄 성분이 풍부하여 피부에 보습 효과를 부여하는 요구르트 파우더와 피부의 영양 공급 및 수분 공급에 도움을 주는 과일 추출물 또는 곡물 추출물을 함유하고, 피부 보습에 우수한 효과를 보이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요구르트 파우더, 과일 추출물, 곡물 추출물, 폴리올, 보습

Description

보습 복합물을 함유한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Cosmetic composition containing moisturizing complex for moisturizing the skin}
도 1은 실시예 1~2 및 비교예 1~4를 도포한 경우 인체에서의 시간의 경과에 따른 TEWL 변화값(수분 증발량)을 그래프로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실시예 1 및 실시예 2를 도포한 경우와 무처치의 경우의 시간에 따른 피부 수분량을 그래프로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은 보습 복합물(Moisturizing complex)을 함유하고 있는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요구르트 파우더; 과일 추출물 또는 곡물 추출물; 및 폴리올(polyol)을 함유하여 우수한 피부 보습효과를 나타내는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피부는 외부에서부터 순서대로 표피, 진피, 피하지방 조직의 3개 층으로 크게 구분되며, 인체를 외부 환경으로부터의 물리적, 화학적인 자극으로부터 보호해 주는 기능을 한다. 특히 피부는 인체가 갖고 있는 약 65~70%의 수분, 즉 인체에 필요한 각종 생리 활성 물질을 운반하며, 피부가 부드럽고 촉촉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이러한 수분이 체외로 증발되는 것을 조절해 주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 또한, 표피는 외부로부터 각질층, 과립층, 유극층, 기저층의 순서로 구분되는데, 각질층의 세포들은 벽돌과 같은 역할을 하고, 각질세포 사이의 세포간 지질들은 모르타르와 같은 역할로 작용하여 피부 장벽을 구성한다(J. Invest. Dermatol. 80(Suppl.), 44-49. 1983). 표피의 각질층은 약 10~20%의 수분을 함유하며 인체의 최외각에 존재함으로써 체외로의 수분 증발을 억제하는 한편 외부로부터의 물질 과잉 침투를 차단한다. 이들 각질층 표면은 피지선에서 나온 피지와 땀샘에서 나온 땀으로 만들어진 얇은 천연 보호막으로 감싸져 있어서 수분의 증발을 예방할 수 있다. 부연 설명하자면, 물을 머금고 있는 스폰지(각질층)를 물이 통과하지 않는 비닐 랩(천연 보호막)으로 감싸고 있는 형태로 생각하면 된다. 이러한 각질층을 구성하고 있는 세포에는 수용성 성분인 고농도의 자연보습인자(Natural Moisturizing Factor, NMF)가 존재하여 피부가 유연성을 나타내도록 작용함은 물론 적절한 수분을 유지할 수 있도록 돕는데, 예를 들면 아미노산과 같은 물질은 수용성일 뿐만 아니라 효과적으로 수분과 결합하여 피부에서 수분이 건조되는 것을 억제한다(J. Invest. Dermatol. 54, 24-31, 1970). 그러나, 환경의 변화 혹은 생활 패턴의 변화에 따른 냉/난방의 인위적인 온도 조절, 사회 생활에서 발생되는 각종 스트레스와 환경 오염으로 인한 피부 스트레스, 화장 습관에 따른 잦은 세안 및 연령 증가에 따른 자연적인 피부 노화 등의 여러 가지 원인으로 인하여 각질층의 수 분이 감소하여 피부가 건조해지고 표면이 거칠게 되며 피부가 윤기를 잃어 칙칙하게 보이는 등의 현상이 발생하기 때문에 피부 보습제의 필요가 증가하고 있다.
종래에는 이를 위해 보습제로서 수분을 흡수하는 성질이 있는 휴멕턴트(humectant)나 수분 증발을 방지하는 폐쇄 보습제(occlusive moisturizer)를 사용하여, 결국 각질층에서의 수분 보유를 증가시키는 방식이 가장 널리 사용되었다. 휴멕턴트는 거의 대부분이 폴리올류로써 글리세린, 프로필렌글리콜, 1,3-부틸렌글리콜, 폴리에틸렌글리콜 등의 물질이 있다. 그러나 이들은 피부에 도포 시 폴리올의 고유 점성과 물성으로 인하여 끈적임이 심하거나 눅진한 느낌이 드는 단점이 있다. 폐쇄 보습제로는 세라마이드 등의 지질 성분이나 필수지방산 및 지질 복합체 등이 사용되었으나(J. Invest. Dermatol. (5), 731-740, 1994) 유화 제형에서 유화 계면 막의 구조를 교란하여 안정도를 저해하는 난점이 있고, 투명한 젤상의 제품을 제조하는 데에는 부적합한 단점이 있다. 또한 최근까지 많은 연구가 진행되고 있는 라멜라 액정을 함유한 제형들은 피부 각질 구조와 유사한 장점으로 수분 보습력이 우수한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 원료들의 특정 조성에서만 제조가 가능하여 보편적으로 사용하기에는 문제점들이 있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화장료 조성물로서 각질층에서 수분을 다량 함유시키면서 수분 증발은 감소시키는 물질을 찾고자 연구한 결과, 요구르트 파우더가 수분 보유력이 우수하여 수분을 다량 함유하고 수분 증발을 감소시키면서, 생체가 환경 의 변화 즉, 온도변화, 습도저하, 바람 등에 의하여 각질층 내 수분 부족 현상이 발생함으로 인하여 생기는 피부의 투명성 감소, 피부의 거칠어짐, 피부 윤기 저하, 잔주름이 두드러지게 보이는 현상 등의 원인을 방지할 수 있게 만들어 주며, 또한 각종 미네랄을 풍부하게 함유하고 있어 피부 보습 효과가 뛰어남을 알 수 있었다. 아울러 요구르트 파우더를 비타민이나 각종 영양 성분을 풍부하게 함유하고 있는 과일 추출물이나 곡물 추출물과 함께 사용할 경우에 피부 보습 효과가 매우 뛰어남을 발견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피부 각질층에서 수분을 다량 함유할 수 있도록 하고 수분 증발을 감소시킴으로써, 수분 부족으로 인한 피부의 제반 증상들을 방지하고 개선시킬 수 있는, 피부 보습력이 우수하고 안전하며 유효한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화장료 조성물은 유효성분으로 요구르트 파우더; 과일 추출물 또는 곡물 추출물; 및 폴리올(polyol)이 포함된 보습 복합물을 함유한다.
이하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보습 복합물(moisturizing complex)에 대해 상세히 살펴 보면, 천연에 존재하는 수분 담지 및 보유 능력이 뛰어나고 각종 미네랄을 풍부하게 함유하고 있는 요구르트 파우더, 각종 비타민과 미네랄을 풍부하게 함유하고 있는 과일 추출물 또는 곡물 추출물 및 폴리올(polyol)로 구성되어 있다.
요구르트 파우더는 각종 비타민과 미네랄, 양질의 단백질을 함유하고 있어 피부 보습 및 유연 효과를 제공하며, 상기 요구르트 파우더는 공지의 방법으로 제조된 다양한 요구르트 파우더를 사용할 수 있다.
과일 추출물과 곡물 추출물에는 우리 몸의 신진대사를 활발히 촉진할 수 있는 건강에 필수 불가결한 비타민, 미네랄, 섬유질 등이 풍부하게 들어있어, 피부의 노화를 예방하고, 피부에 영양을 공급해 주며, 피부의 보습 효과를 증진시켜 주고, 또한 피부내 노폐물 축적을 예방해 주는 기능이 있다. 과일 추출물로는 사과, 바나나, 오렌지, 살구, 석류, 복숭아, 레몬, 포도 등의 추출물을 사용할 수 있으며, 곡물 추출물로는 녹두, 밀, 콩, 보리, 쌀겨, 율무 등의 추출물을 사용할 수 있다.
폴리올(polyol)은 수분을 흡수하는 효과가 뛰어난 휴멕턴트로서 화장품 제형에 보습제로서 흔히 쓰이는 것이며, 글리세린(glycerin), 디프로필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1,3-부틸렌글리콜, 폴리에틸렌글리콜 등을 포함한다. 보습 복합물에 사용되는 요구르트 파우더, 과일 또는 곡물 추출물 및 폴리올은 각각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1중량%~10중량%를 함유하며, 바람직하게는 3중량%~ 7중량%를 함유한다. 또한, 총 보습 복합물의 함량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3중량%~30중량%가 바람직하며, 바람직하게는 9~21중량%를 함유한다. 보습 복합물의 함량이 0.3중량% 미만의 경우는 보습 효과가 미미하며 30중량% 초과의 경우는 미끌거리는 등 사용감이 그렇게 좋지 않다.
본 발명에 의한 보습 복합물은 피부에 대한 과학적인 기초자료에 근거한 조합으로 요구르트 파우더, 과일 추출물 또는 곡물 추출물, 폴리올을 혼합하여 사용할 경우, 이를 통해 피부 보습 측면에서 그 장기적인 효능을 실질적으로 구현할 수 있다.
이를 이용한 화장료 조성물은 피부 보습용 화장품에 사용될 수 있으며, 그 제형에 있어서는 특별히 한정되는 바가 없고, 유액, 크림, 화장수, 에센스, 팩, 젤, 파우더, 립스틱, 메이크업 베이스, 파운데이션, 로션, 연고, 겔, 패치, 미용액, 클렌징폼, 클렌징크림, 클렌징워터, 분무제, 샴푸, 린스, 트리트먼트, 바디 클렌져, 비누 또는 기타 세안제의 제형으로 사용할 수 있고 용액, 유화물, 점성형 혼합물 등의 형상을 취할 수 있다.
이하, 실시예 및 시험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지만, 본 발명의 범위가 반드시 이들 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참고예 1] 요구르트 파우더의 조제
요구르트 파우더는 일반 우유에 Streptococcus thermophilus, Lactobacillus bulgaricus의 미생물을 첨가해서 발효시킨 후 고운 파우더 형태로 나올 때까지 건조시킨 다음, 감마선 처리하여 최종 생산물을 얻을 수 있으며, 본 발명에서는 Cosmetochem 사의 Yoghurt protein GBU를 사용하였다.
[참고예 2] 과일 추출물 또는 곡물 추출물의 조제
과일 또는 곡물 1kg을 초순수물 5kg을 사용하여 25℃에서 24시간 동안 추출 시킨 후 0~4℃에서 48시간 동안 침전시킨 다음, 원심분리와 여과과정을 거쳐 과일 추출물 또는 곡물 추출물을 수득하여 하기 실험에 사용하였다.
[실시예 1~2 및 비교예 1~4]
보습 복합물의 보습 효과를 알아 보기 위하여, 요구르트 파우더, 과일 추출물(대표적으로 바나나 추출물 사용) 또는 곡물 추출물(대표적으로 쌀겨 추출물 사용), 폴리올의 비율을 1 : 1 : 1 로 한 보습 복합물 실시예 1~2 및 비교예 1~4를 하기 표 1의 조성으로 제조하였다. 그러나 각 성분의 사용 가능한 범위가 이 비율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하기의 제형들은 O/W제형이며, 단위는 중량%이다.
구분 원료명 실시 예 1 실시 예 2 비교 예 1 비교 예 2 비교 예 3 비교 예 4
유상 성분 스테아릭액시드 1.0 1.0 1.0 1.0 1.0 1.0
세테아릴알코올 0.2 0.2 0.2 0.2 0.2 0.2
하이드로제네이티드 오일 0.7 0.7 0.7 0.7 0.7 0.7
친유형글리세릴스테아레이트 0.5 0.5 0.5 0.5 0.5 0.5
하이드로제네이티드레시틴/C12-16알코올/팔미틱액시드 1.0 1.0 1.0 1.0 1.0 1.0
방부제 0.3 0.3 0.3 0.3 0.3 0.3
폴리데센 4.0 4.0 4.0 4.0 4.0 4.0
메도우폼시드오일 1.0 1.0 1.0 1.0 1.0 1.0
펜타에리스리틸테트라이소스테아레이트 3.0 3.0 3.0 3.0 3.0 3.0
디메치콘 0.5 0.5 0.5 0.5 0.5 0.5
세틸옥타노에이트 2.0 2.0 2.0 2.0 2.0 2.0
데실코코에이트 1.0 1.0 1.0 1.0 1.0 1.0
사이클로메치콘 3.0 3.0 3.0 3.0 3.0 3.0
토코페릴아세테이트 0.1 0.1 0.1 0.1 0.1 0.1
수상 성분 정제수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부틸렌글리콜 5.0 5.0 5.0 5.0 5.0 5.0
디소듐이디티에이 0.02 0.02 0.02 0.02 0.02 0.02
티이에이 0.15 0.15 0.15 0.15 0.15 0.15
방부제 0.2 0.2 0.2 0.2 0.2 0.2
요구르트 파우더 - - 5.0 - - -
바나나 추출물 - - - 5.0 - -
쌀겨 추출물 - - - - 5.0 -
글리세린 - - - - - 5.0
보습 복합물 I (요구르트 파우더 : 바나나 추출물 : 글리세린 = 1 : 1 : 1) 5.0 - - - - -
보습 복합물 II (요구르트 파우더 : 쌀겨 추출물 : 글리세린 = 1 : 1 : 1) - 5.0 - - - -
<실시예 1~2 및 비교예 1~4의 제조방법>
(1) 유상성분을 가열(70~75℃)하여 균일하게 혼합하였다.
(2) 수상성분 1을 가열(70~75℃)하여 균일하게 용해 및 혼합하였다.
(3) 상기 (2)에 상기 (1)을 교반하에 온도(70~75℃)를 유지한 상태에서 투입하여 에멀젼을 만들고 28~30℃까지 냉각하였다.
[실험예 1] 보습 복합물의 보습 효과 실험
상기 표 1에서 제조한 화장료 조성물의 피부 보습력 효과를 측정하기 위하여, 건조를 호소하거나, 건성피부라 생각되는 성인 남, 녀 50명(30 ~ 40대 남자 20명, 여자 30명) 모두에게 실시예 1~2 및 비교예 1~4의 화장료 조성물을 매일 2회씩 4주간 하박 내측에 도포하였다. 도포 개시 전과, 도포 후 1주, 2주, 4주 경과한 시점에서 항온, 항습 조건(24℃, 상대습도 40%)에서 경표피 수분 손실량(Trans Epidermal Water Loss, TEWL)을 측정하여 보습력을 비교하였으며, 결과는 도 1에 나타내었다.
< 경표피 수분 손실량(Trans Epidermal Water Loss, TEWL) 측정 방법>
피부에서 증발하는 수분의 양을 면적과 시간에 따라 계산하여 증발하는 수분량을 온도와 보습 전자센서로 읽고 수치화하여 피부의 보습력을 측정하였다.
1. 환경조건: 온도, 습도가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하였으며, 측정자와 피검자외에 최소한의 인원만 남기어 가급적 공기의 흐름을 차단하였다.
2. 경표피 수분 손실량(TEWL) 프로브(probe)를 피검자의 측정부위에 올려놓았다.
3. 프로브(probe)를 측정부위에 무리한 힘을 가하지 말고, 피부에 자국이 남지 않도록 가볍게 올려놓으며 지면과 90도의 각도를 이루도록 하였다.
4. 시간이 지날수록 피부의 TEWL수치가 일정해지는 값을 측정하였다(보통 1~3분 소요).
5. 프로브(probe)의 손잡이는 가급적 멀리 잡아서 측정자의 체온이 전해지지 않도록 주의하였다.
6. 면적당 시간당 증발하는 수분량(g/m2/h)을 계산하였다.
도 1를 보면 요구르트 파우더, 바나나 추출물 또는 쌀겨 추출물, 폴리올의 비율을 1 : 1 : 1로 한 보습 복합물 I, II를 함유한 제형이 시간의 경과에 따라 TEWL 변화값(수분 증발량)이 작아지는 경향을 나타내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실시예 1~2가 비교예 1~4에 비해서 상대적으로 보습효과가 더 큼을 알 수가 있다.
[실험예 2] 1회 도포시 보습지속력 측정
1회 도포 시 보습지속력을 알아보기 위하여 실시예 1 및 2를 도포한 후 6시간 동안 코니오미터로 피부수분량을 측정하였으며, 그 결과는 무처치군의 경우와 함께 도 2에 나타내었다.
< 코니오미터(corneometer) 측정 방법>
피부의 표피내에 존재하는 수분의 양을 센서를 이용하여 수분의 이온정도를 측정, 이를 수치화하여 수분의 양을 계산함으로써 보습력을 측정하였다.
1. 측정하고자 하는 피부 부위에 코니오미터의 프로브(probe)를 올려놓았다.
2. 프로브(probe)를 피부에 누르면 센서를 통하여 피부의 전기 전도도(capacitance)가 수치화되어 화면에 표시되었다.
3. 측정부위를 달리 하여, 측정을 반복하였다.
4. 한번 측정 후에는 킴와이프 같은 휴지로 센서를 닦고 기기를 사용하였다.
도 2를 보면 요구르트 파우더, 바나나 추출물 또는 쌀겨 추출물, 폴리올의 비율을 1 : 1 : 1로 한 보습 복합물 I, II를 함유한 제형을 1회 도포할 경우 그 보습력 효과가 뛰어남을 확인할 수 있다.
[실험예 3] 피부 건조증 개선 효과에 대한 주관적인 효능 평가
상기 실험예 1~2의 시험을 종료한 시점에 시험 대상자들로 하여금 설문지를 작성하게 하여 피부 건조증 개선효과에 대한 주관적인 효능 평가를 실시하였다. 설문 조사 결과는 표 2에 나타내었다.
도포군 응답자수
매우양호 양호 보통 미흡
실시예1 23 22 5 0
실시예2 22 23 3 2
비교예1 5 10 26 9
비교예2 5 11 24 10
비교예3 8 18 19 5
비교예4 6 13 25 6
위의 표 2의 결과를 보면 실시예 1~2를 바른 사람은 비교예 1~4를 바른 사람보다 상대적으로 보습효과가 더 있다고 느끼는 것으로 조사 결과가 나왔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해 제공되는 화장료 조성물은 요구르트 파우더, 과일 추출물 또는 곡물 추출물, 폴리올로 구성된 보습 복합물을 함유하는 것으로서, 보습 효과가 각각의 구성성분을 따로 사용하는 것에 비해 훨씬 우수하므로 본 발명을 통해 피부 보습 효과가 우수한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Claims (5)

  1. 유효성분으로 요구르트 파우더; 과일 또는 곡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1종의 추출물; 및 폴리올;이 포함된 보습 복합물을 함유하는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2. 제 1항에 있어서, 폴리올은 글리세린, 디프로필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1,3-부틸렌글리콜 및 폴리에틸렌글리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유효성분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요구르트 파우더는 0.1~10중량%, 과일 또는 곡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1종의 추출물은 0.1~10중량%, 폴리올은 0.1~10중량%로 함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보습 복합물은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3~30중량%로 함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5. 제 1항 또는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유액, 크림, 화장수, 에센스, 팩, 젤, 파우더, 립스틱, 메이크업 베이스, 파운데이션, 로션, 연고, 겔, 패치, 미용액, 클렌징폼, 클렌징크림, 클렌징워터, 분무제, 샴푸, 린스, 트리트먼트, 바디 클렌져 또는 비누의 제형임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KR1020070031389A 2007-03-30 2007-03-30 보습 복합물을 함유한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KR10135994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31389A KR101359947B1 (ko) 2007-03-30 2007-03-30 보습 복합물을 함유한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31389A KR101359947B1 (ko) 2007-03-30 2007-03-30 보습 복합물을 함유한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88735A true KR20080088735A (ko) 2008-10-06
KR101359947B1 KR101359947B1 (ko) 2014-02-10

Family

ID=401507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31389A KR101359947B1 (ko) 2007-03-30 2007-03-30 보습 복합물을 함유한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59947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81827A (ko) 2014-01-07 2015-07-15 코스맥스 주식회사 수염틸란드시아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보습용, 피부 각질형성세포 분화 촉진용, 피부 장벽기능 회복용 화장료 조성물
CN111658597A (zh) * 2020-08-03 2020-09-15 北京三元食品股份有限公司 一种含有酸奶的保湿组合物及其制剂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03752A (ko) 2018-02-28 2019-09-05 (주)아모레퍼시픽 고상 요구르트의 질감을 갖는 화장료 조성물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737526B2 (ja) * 1994-03-08 2006-01-18 株式会社創研 米糠からの化粧品
DE10042576B4 (de) 2000-08-15 2004-08-12 Coty B.V. Kosmetischer Basiskomplex und dessen Verwendung
KR100560407B1 (ko) * 2004-03-11 2006-03-13 주식회사 태평양 호상 요구르트의 질감을 갖는 화장료 조성물
KR100593525B1 (ko) * 2004-11-29 2006-06-28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호상 요구르트 외관 및 질감을 갖는 팩 화장료 조성물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81827A (ko) 2014-01-07 2015-07-15 코스맥스 주식회사 수염틸란드시아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보습용, 피부 각질형성세포 분화 촉진용, 피부 장벽기능 회복용 화장료 조성물
CN111658597A (zh) * 2020-08-03 2020-09-15 北京三元食品股份有限公司 一种含有酸奶的保湿组合物及其制剂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59947B1 (ko) 2014-02-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37558B1 (ko) 이중으로 안정된 세라마이드 나노 캡슐 포함 에멀젼조성물, 그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피부 화장료 조성물
CN103237555B (zh) 外用皮肤护理制剂
KR101838642B1 (ko) 피부 보습력이 우수한 화장료 조성물
EA023290B1 (ru) Косметический способ и топическая композиция для омоложения, регенерации и упрочнения кожи во время сна
KR102227355B1 (ko) 비자극성 약산성 각질제거 및 상피세포 영양 공급을 위한 복합 화장료 조성물
KR101125878B1 (ko) 피부 보습 및 피부 탄력 증진용 화장료 조성물
KR20090017336A (ko) 액정 형성 복합체를 함유하는 피부 보습 증진용 또는 각질감소용 화장료 조성물
KR100904200B1 (ko) 꿀풀잎 추출물 및 알로에 베라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KR101189991B1 (ko) 백련초 추출물, 자작나무 수액, 엑스트라 버진 올리브 오일및 폴리올을 함유하는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KR20090054777A (ko) 피부의 pΗ 조절용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품
KR101096277B1 (ko)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KR101141802B1 (ko) 남성 피부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1803271B1 (ko) 피부 보습용 또는 탄력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0795877B1 (ko) 꿀 추출물 및 호박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보습용 화장료조성물
KR101359947B1 (ko) 보습 복합물을 함유한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KR101155807B1 (ko) 피부 보습 및 탄력 개선 화장료 조성물
KR100787784B1 (ko) 과립을 함유하는 입술 보호용 화장료 조성물
KR101502027B1 (ko) 바오밥 나무 열매 추출물과 콜라겐 펩타이드를 함유하는 피부 보습 및 탄력 개선 화장료 조성물
KR102036141B1 (ko) 이중캡슐공정을 이용한 콜레스테릭 액정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648466B1 (ko) 피부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2162377B1 (ko) 천연물 유래 추출물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0738434B1 (ko) 피롤리디닐 디아미노피리미딘 옥사이드를 함유하는 화장료조성물
KR102286078B1 (ko)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KR100563442B1 (ko) 피부 보습 및 자극 완화 효과를 가지는 유기농 천연추출물및 이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213809B1 (ko) 불가사리 콜라겐 및 덜꿩나무 열매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보습 및 탄력 개선 화장품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2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