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54257A - 폼 시트형 세정제품의 제조방법 및 그를 이용한 휴대용 세정제품 - Google Patents

폼 시트형 세정제품의 제조방법 및 그를 이용한 휴대용 세정제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54257A
KR20220054257A KR1020220045602A KR20220045602A KR20220054257A KR 20220054257 A KR20220054257 A KR 20220054257A KR 1020220045602 A KR1020220045602 A KR 1020220045602A KR 20220045602 A KR20220045602 A KR 20220045602A KR 20220054257 A KR20220054257 A KR 2022005425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am sheet
water
weight
cleaning product
shampoo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456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54511B1 (ko
Inventor
홍성훈
한병학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지엠건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지엠건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지엠건모
Priority to KR10202200456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54511B1/ko
Publication of KR202200542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5425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545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54511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17/00Detergent materials or soap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or physical properties
    • C11D17/06Powder; Flakes; Free-flowing mixtures; Shee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216Solid or semisolid for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10Washing or bathing prepar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13/00Making of soap or soap solutions in general; Apparatus therefor
    • C11D13/14Shaping
    • C11D13/16Shaping in mould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3/00Other compounding ingredients of detergent compositions covered in group C11D1/00
    • C11D3/16Organic compounds
    • C11D3/20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C11D3/22Carbohydrates or derivatives thereof
    • C11D3/222Natural or synthetic polysaccharides, e.g. cellulose, starch, gum, alginic acid or cyclodextrin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3/00Other compounding ingredients of detergent compositions covered in group C11D1/00
    • C11D3/16Organic compounds
    • C11D3/37Polym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80Process related aspects concerning the preparation of the cosmetic composition or the storage or application thereof
    • A61K2800/84Products or compounds obtained by lyophilisation, freeze-drying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Epidemiology (AREA)
  • Birds (AREA)
  • Dermatology (AREA)
  • Detergent Compositions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폼 시트형 세정제품의 제조방법 및 그를 이용한 휴대용 세정제품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폼 시트형 세정제품의 제조방법은 폼 시트 형태 유지를 위한 점성 조성물과 액상 세정성분을 균질화하여 미세 기포를 형성한 후 동결 건조함으로써, 열린 셀(open cell) 구조를 가지는 폼 시트형 세정제품을 제공할 수 있으며, 폼 형태로 인해 물과 접촉하는 순간 모세관 현상으로 물이 빠르게 흡수되고, 표면적 확대로 수화가 빨라, 샴푸기능이 보다 빠르게 활성화되어 종래 액상 타입의 샴푸와 별다른 차이점 없이 사용할 수가 있어, 휴대가 간편하고 현장에서 즉시 사용하기 편리한 폼 시트형 샴푸 및 비누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폼 시트형 세정제품의 제조방법 및 그를 이용한 휴대용 세정제품{METHOD FOR MANUFACTURING FOAM SHEET TYPE CLEANING PRODUCT AND PORTABLE CLEANING PRODUCT USING SAME}
본 발명은 폼 시트형 세정제품의 제조방법 및 그를 이용한 휴대용 세정제품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폼 시트 형태 유지를 위한 점성 조성물과 액상 세정성분을 균질화하여 미세 기포를 형성한 후 동결 건조함으로써, 열린 셀(open cell) 구조를 가지는 폼 시트형 세정제품을 제공할 수 있으며 폼 형태로 인해 물과 접촉하는 순간 모세관 현상으로 물이 빠르게 흡수되고, 표면적 확대로 수화가 빨라, 샴푸기능이 보다 빠르게 활성화되어 종래 액상 타입의 샴푸와 별다른 차이점 없이 사용할 수가 있으면서 휴대가 간편하고 현장에서 즉시 사용하기 편리한, 폼 시트형 세정제품의 제조방법 및 그를 이용한 휴대용 세정제품에 관한 것이다.
산업사회에서는 각종 공해로 인한 먼지와 외부 자극에 의해서 모발이나 얼굴의 세정의 필요성이 중요해짐에 따라, 다양한 세정제품들이 출시되고 있다.
특히, 일반적으로 샴푸는 플라스틱용기에 액상으로 보관되어 사용되는데, 샴푸의 성분은 세정 성분과 대부분의 물로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여행 중에 휴대하기가 불편한 점이 많다. 특히, 액상의 샴푸 제품은 항공여행을 할 경우에는 규제가 되므로, 부피와 무게로 원치 않는 비용을 지불할 수도 있다.
이러한 불편함을 해소하기 위하여 용기통을 작게 하여 소량을 나누어 담는 방식의 제품에서부터, 필름, 캡슐, 시트 타입 등의 다양한 형태로 휴대가 간편한 샴푸가 제안되고 있다.
특허문헌 1은 수용성 고분자에 계면활성제, 가소제를 첨가하여 물에 빠르게 용해되는 필름 타입의 비누 또는 세정제를 개시한 바 있으나, 폴리비닐알코올과 같은 수용성 필름의 경우 흡습 성질을 지니고 있어 다습한 조건에서 수분을 흡수하여 필름끼리 서로 달라붙고 연화되어 원래의 필름 모양을 유지하지 못하고 파손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세제 파우치 제품의 경우 특허문헌 2에서는 비수용성이나 수분산성인 시트물질(예를 들면 부직포 직물)로 된 외층 물질과 수용성 필름(예를 들면 폴리 에틸렌 옥사이드)으로 된 제품을 보고하였다. 그러나 상기 제품의 경우 습도가 높은 조건하에서는 끈끈함이 없고 안정적이지만 사용 후 용해되지 않은 외층 물질을 세탁물에서 회수해야 하는 즉 잔존물질이 있어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필름 타입의 비누는 휴대성이 편리하고 심미적으로 고급스러운 제형의 세정제로 사용할 수 있으나 상기한 바와 같은 결점으로 인하여 일상 생활에서 널리 애용되지는 못하는 실정이다.
특허문헌 3은 시트형 샴푸에 관한 발명으로서 내용물을 원상태로 보존하며, 이물질이 침투되지 않도록 하는 파우치에 머리카락이나 신체를 닦을 수 있도록 부직포 또는 펄프로 구성된 시트를 삽입하고, 상기 시트에 머리카락 또는 신체를 세정하는 샴푸조성물을 충진하여 구성함으로써, 물이 별도로 필요하지 않아 머리카락이나 신체를 닦음으로써 세정할 수 있다고 보고하고 있다.
이상의 시트 타입의 샴푸는 제조공정은 간단하나, 최종적으로 인공적으로 합성된 보조 시트가 남아 환경적으로 분해가 곤란한 폐기물로 배출되는 문제가 있다.
이상의 필름형태의 샴푸 또는 비누는 필름의 강도를 유지하기 위하여 샴푸 기능과 별개의 성분이 과도하여 잔여감이 남거나 자기부착으로 인한 뭉침 현상을 개선하기 위하여 용착방지제를 도입하여 개선하고 하였으나 인공으로 합성한 고분자 물질로 환경 분해가 곤란한 성분이 다량 함유가 되어 있다.
반면에 캡슐형태의 샴푸는 캡슐의 용해과정을 거쳐야 샴푸가 수화되어 세정작용을 함으로써 지연된 시간을 필요로 하며, 또한 둘 다 가열건조 공정이 필요하다.
또한, 폼 시트를 제조하는 방법으로는, 발포제를 사용하여 제조하는 방법, 화학반응을 통한 방법 등이 공지되어 있다.
그러나 전자의 방법은 고온을 필요로 하고 있어 샴푸의 변질을 초래할 수가 있고 또한 발포제의 잔여물이 남아 원하지 않는 불순물이 남아 독성을 유발할 수가 있다. 후자의 경우에는 화학반응을 통해 발생되는 가스를 이용해 발포하는 방법이나 수성 타입에서는 적용하기 부적합한 방법이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폼 시트 형태 유지를 위한 성분과 기능성을 가진 샴푸 조성물의 혼합비율과 폼(foam)을 형성시키는 방법을 예의 연구 노력한 결과, 합성되거나 동물로부터 유래된 수용성 고분자 사용을 배제하고, 식물로부터 유래된 수용성 고분자를 함유한 폼 시트 형태 유지를 위한 점성 조성물과 액상 세정성분을 균질화하여 미세 기포를 형성한 후 동결 건조함으로써, 폼 형성이 쉽고 열을 필요로 하지 않고 특히 샴푸에 함유된 성분을 변질되지 않으면서 열린 셀(open cell) 구조를 가지는 폼 시트형 세정제품을 제공하고, 상기 세정제품이 물과 접촉시 우수한 용해성과 세정성을 확인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미국특허 제2005-0003991호 (2005.01.06 공개) 유럽특허 제253566호 (1988.01.20 공개) 대한민국특허 제0958946호 (2010.05.19 공고)
본 발명의 목적은 열린 셀(open cell) 구조를 가지는 폼 시트형 세정품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열린 셀(open cell) 구조를 가지는 폼 시트형태의 샴푸 또는 비누 제품으로 얻어진 휴대용 세정제품을 제공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수용성 고분자 20 내지 50중량% 및 비이온성의 저분자량 물질 50 내지 80중량%로 구성된 원료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정제수 100 중량부를 투입하여 용해시킨 후 수분을 뺀 나머지 성분을 회수하는 단계,
상기 회수된 불휘발분 20 내지 40 중량%를 용기에 투입하고, 액상 세정성분 60 내지 80중량%를 투입하고 균질화하여 미세 기포가 함유된 혼합용액을 수득하는 단계 및
상기 제조된 혼합용액을 성형 틀에 투입하여 성형하고 동결건조하는 단계로 이루어진, 열린 셀(open cell) 구조를 가지는 폼 시트형 세정제품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수용성 고분자는 셀룰로오스계 고분자, 수용성 콜라겐, 가용성 전분, 알긴산 나트륨, 히알루론산나트륨 및 플루란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가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비이온성의 저분자량 물질은 시클로덱스트린, 수크로오스, 솔트, 에리스리톨, L-글루탐산나트륨 및 유기산 염류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를 사용하는 것이다.
상기에서 액상 세정성분은 액상 샴푸 또는 액상 비누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액상 비누는 액상의 세안용, 주방용 또는 세탁용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폼 시트형 세정제품의 제조방법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성형은 상기 성형틀에 1 내지 5㎜ 두께로 투입하여 수행된 것이다.
나아가, 본 발명은 폼 시트형 세정제품의 제조방법으로부터, 열린 셀(open cell) 구조를 가지는 폼 시트형의 휴대용 세정제품을 제공한다.
더욱 구체적으로, 폼 시트형의 샴푸 또는 비누 제품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열린 셀(open cell) 구조를 가지는 폼 시트형 세정제품의 제조방법에 따르면, 종래 액상 세정성분 및 상기 성분과의 혼합에 있어서 상용성이 우수하고, 폼 시트 형태 유지를 위한 점성 조성물을 균질화하여 미세 기포를 형성한 후 동결 건조함으로써, 열을 필요로 하지 않고 샴푸에 함유된 성분을 변질시키지 않으면서 폼 형성을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폼 시트형 세정제품은 폼 형태로 인해 물과 접촉하는 순간 모세관 현상으로 물이 빠르게 흡수되고, 표면적 확대로 수화가 빨라, 샴푸기능이 보다 빠르게 활성화되어 종래 액상 타입의 샴푸와 별다른 차이점 없이 사용할 수가 있어, 휴대가 간편하고 현장에서 즉시 사용하기 편리하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수용성 고분자 20 내지 50중량% 및 비이온성의 저분자량 물질 50 내지 80중량%로 구성된 원료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정제수 100 중량부를 투입하여 용해시킨 후 수분을 뺀 나머지 성분을 회수하는 제1단계,
상기 회수된 불휘발분 20 내지 40중량%를 용기에 투입하고, 액상 세정성분 60 내지 80중량%를 투입하고 균질화하여 미세 기포가 함유된 혼합용액을 수득하는 제2단계 및
상기 제조된 혼합용액을 성형 틀에 투입하여 성형하고 동결건조하는 제3단계로 이루어진, 열린 셀(open cell) 구조를 가지는 폼 시트형 세정제품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폼 시트형 세정제품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제1단계는 폼 시트 형태 유지를 위한 점성 조성물을 제조하는 단계로서, 수용성 고분자 20 내지 50중량% 및 비이온성의 저분자량 물질 50 내지 80중량%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서 폼 시트 형태 유지를 위한 점성 조성물에 사용되는 수용성 고분자는 폴리아크릴산, 폴리비닐알콜, 폴리비닐피롤리돈, 폴리아크릴아미드 등의 공지된 합성 수용성 고분자 성분은 배제한다.
또한, 수용성 고분자군에서 동물로부터 유래된 수용성 고분자는 제조 및 저장 과정에서 쉽게 변질되거나 제조된 샴푸의 장기 보관을 저해하는 요인으로 작용할 수가 있으며 드물게 사람에 따라서 알레르기 반응을 일으킬 수도 있다는 보고에 따라, 본 발명의 수용성 고분자로서 바람직하지 않다.
이에, 본 발명의 수용성 고분자는 셀룰로오스계 고분자, 수용성 콜라겐, 가용성 전분, 알긴산 나트륨, 히알루론산나트륨 및 플루란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를 사용하는 것이다. 즉, 식물로부터 유래되어 가공된 수용성 고분자를 사용함으로써, 자연환경에서 분해가 용이하다.
상기에서 셀룰로오스계 고분자는 메틸셀룰로오스,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히드록시에틸셀룰로오스,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 히드록시부틸셀룰로오스 등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수용성 고분자에 대한 더욱 바람직한 일례로서 가용성 전분 또는 알긴산 나트륨을 사용하여 설명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아니할 것이다.
본 발명의 폼 시트 형태 유지를 위한 점성 조성물의 또 다른 성분인 비이온성의 저분자량 물질은 수용성 고분자와 상용성이 우수하고 물에 쉽게 용해될 수 있어야 하고 상온에서 고체상태인 물질이어야 한다.
이에 바람직한 일례로는 시클로덱스트린, 수크로오스(설탕), 솔트(소금), 에리스리톨, L-글루탐산나트륨 및 유기산 염류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를 사용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비이온성의 저분자량 물질의 더욱 바람직한 일례로서 수크로오스를 사용하여 설명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아니할 것이다.
본 발명의 폼 시트 형태 유지를 위한 점성 조성물은 이상의 수용성 고분자 및 비이온성의 저분자량 물질의 조성비율에 따라 물에 수화되는 정도가 달라진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서 선택된 일례를 근거하여 설명하면, 수용성 고분자인 가용성 전분의 경우, 물이 휘발되고 건조되면 매우 단단한 상태로 고화됨으로써, 다시 수화되고 완전 용해되기까지 너무 오랜 시간이 걸리고 부분적으로 녹지 않을 경우에는 이물감을 줄 수가 있다.
반면에, 저분자량의 수크로오스는 물에 완전 용해되기까지 매우 빠르게 진행됨으로써, 가용성 전분에 수크로오스를 혼합하여 건조 후 고화시키면, 물에 용해가 되는 시간이 가용성 전분 단독에 비하여 상당히 진전된 속도로 수화되고 최종적으로 완전 용해된다.
이에 본 발명의 폼 시트 형태 유지를 위한 점성 조성물은 수용성 고분자 20 내지 50중량% 및 비이온성의 저분자량 물질 50 내지 80중량%로 혼합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수용성 고분자 30 내지 45중량% 및 비이온성의 저분자량 물질 55 내지 75중량%, 가장 바람직하게는 수용성 고분자 35 내지 40중량% 및 비이온성의 저분자량 물질 60 내지 65중량%로 혼합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수용성 고분자가 20중량% 미만이면, 시트 형성은 되나 수크로오스의 함량이 상대적으로 높아져 쉽게 부스러져 휴대성이 급속히 떨어지고, 50중량%를 초과하면, 수화되어 용해되는 시간이 길어져 사용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폼 시트형 세정제품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제2단계에서 상기 폼 시트 형태 유지를 위한 점성 조성물과 혼합되는 액상 세정성분은 폼 시트 형태 유지를 위한 성분과의 혼합에 있어서 상용성에 문제가 없다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시중에 판매되는 제품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폼 시트형 세정제품의 제조방법으로부터, 상기 액상 세정성분이 폼 시트형의 세정제품으로 제공되어 휴대용으로 활용될 수 있기에, 액상 세정성분은 그 필요조건을 충족시키는 것이라면, 액상 샴푸 또는 액상 비누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가 적용될 수 있다. 상기에서 액상 비누는 세안용, 주방용, 세탁용 비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통해 액상 샴푸를 사용하여 폼 시트형의 샴푸를 제조하고, 우수한 용해성과 세정감을 확인할 수 있다.
제2단계은 제1단계에서 회수된 폼 시트 형태 유지를 위한 성분(불휘발분) 20 내지 40중량%를 용기에 투입하고, 액상 세정성분 60 내지 80중량%를 투입하고 균질화하여 미세 기포가 함유된 혼합용액을 수득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폼 시트 형태 유지를 위한 성분(불휘발분) 30 내지 40중량% 및 액상 세정성분 60 내지 70중량%이다. 상기에서 폼 시트 형태 유지를 위한 성분(불휘발분)이 20중량% 미만이면, 상대적으로 샴푸 성분이 높아져 시트로 제조할 수가 없으며, 40중량%를 초과하면 용해성이 떨어지고 사용성이 떨어져 제품화가 곤란하다.
상기 제2단계에서 균일한 폼 형성을 위하여 호모나이저를 사용하여 미세 기포를 형성한다. 이때, 보다 균일한 폼을 형성시킴에 따라, 물의 침투가 빠르고 균일하게 침투하여 폼 시트형 샴푸가 용이하게 용해되도록 한다.
본 발명의 폼 시트형 세정제품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제3단계는 상기 단계에서 호모나이저를 통하여 미세 기포를 형성시킨 후, 성형 틀에 1 내지 5㎜ 두께로 성형한 후 동결시키고 진공 건조함으로써 완성한다.
상기 동결건조 방법은 수용액상 물질을 급속 냉동한 후에 진공으로 물을 승화시켜 건조하는 방법으로서, 특히 열에 약한 생리활성 물질을 제조하는 방법으로 적합하다. 이에, 본 발명의 제조방법은 동결건조 방법을 이용함으로써, 제조공정상 열을 필요로 하지 않고 열에 약한 생리활성 물질의 성능을 유지할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은 상기의 제조방법으로부터, 열린 셀(open cell) 구조를 가지는 폼 시트형태를 가진 휴대용 세정제품을 제공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폼 시트 형태를 가진 세정제품은 폼 시트 형태 유지를 위한 점성 조성물과 액상 세정성분을 균질화하여 미세 기포를 형성한 후 동결 건조한 것으로, 상기 폼 시트 형태 유지를 위한 점성 조성물을 구성하는 수용성 고분자 및 비이온성의 저분자량 물질로 인해, 세정 후 배출된 물질이 분해가 용이하게 용해되므로 환경문제에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폼 시트 형태를 가진 세정제품은 표면적을 최대화시킴으로써, 물과 접촉시 쉽게 수화되어 기존 액상 샴푸 또는 액상 비누와 같이 대등한 세정기능을 활성화시킨다.
또한, 두께 1 내지 5㎜의 폼 시트형으로 휴대가 용이하고, 필요 시 물에 용이하게 용해되므로 사용성이 편리하고, 조성물에 변질이 안 되고 활성성분을 유지하며 불순물 혼입 내지 유독성 성분이 첨가되지 않아 샴푸 중에 함유된 기능성 성분이 변질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폼 시트형의 휴대용 샴푸 및 비누를 제공한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3> 열린 셀(open cell) 구조의 폼 시트형 샴푸 제조
단계 1: 폼 시트 형태 유지를 위한 점성 조성물 제조단계
중탕 용기에, 가용성 전분 36중량%, 수크로오스 64중량%를 혼합한 원료성분 100 중량부에 대하여, 정제수 100 중량부를 투입하여 50∼60℃에서 충분히 교반하며 용해시킨 후 상온으로 식혀 수분을 뺀 나머지 성분인 불휘발분 50중량%를 함유한 폼 시트 형태 유지를 위한 점성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단계 2: 폼 시트형 샴푸 제조용 용액 제조단계
상기 단계 1에서 제조된 점성 조성물을 중량비로 38중량%를 스테인리스 스틸 용기에 투입하고, 하기 표 1에 기재된 액상 샴푸 성분((주)지엠건모 S7 샴푸 제품, 불휘발분 50중량%) 62중량%를 투입하고 호모나이저로 약 10분 정도 교반하여 미세 기포가 함유한 유백색의 점성 용액을 제조하였다. 이때, 미세 기포는 한 동안 방치하여도 소포되지 않고 유지되었다.
단계 3: 성형 및 동결건조 단계
상기 단계 2에서 제조된 용액을 50mm × 40mm 크기의 4각 성형 틀에 1, 2, 3mm 두께로 성형한 후, 동결건조기에 넣고 충분히 건조하였다. 이때, 각 두께는 수축이 거의 없는 성형 그대로의 두께로 성형되었으며, 약간 구부릴 수 있는 정도의 휨성을 가지고 있으며, 열린 셀(open cell) 구조의 폼 시트형 샴푸를 제조하였다. 이때, 극히 일부분은 닫힌(closed) 셀(cell)이 보였으나 무시할 정도였다. 무게는 물이 빠져나간 만큼 거의 일치하였다.
Figure pat00001
<실시예 4> 열린 셀(open cell) 구조의 폼 시트형 샴푸 제조
상기 실시예 1의 단계 1에서 수용성 전분 대신에, 알긴산 나트륨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수행하여 열린 셀(open cell) 구조의 폼 시트형 샴푸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5> 열린 셀(open cell) 구조의 폼 시트형 비누 제조
상기 실시예 1의 단계 1에서 액상 샴푸 성분 대신에, 액상 세안비누 성분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수행하여 열린 셀(open cell) 구조의 폼 시트형 비누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1>
상기 실시예 1의 단계 1의 폼 시트 형태 유지를 위한 점성 조성물 제조단계에서 가용성 전분 51중량%, 수크로오스 49중량%를 혼합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수행하였다.
<비교예 2>
상기 실시예 1의 단계 2에서 폼 시트 형태 유지를 위한 성분(불휘발분) 45중량% 및 액상 세정성분 55중량%를 투입하여 균일화하고 성형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수행하였다.
<실험예 1> 샴푸 성능 평가
상기 실시예 1∼3 및 비교예 1∼2에서 제조된 폼 시트형 샴푸에 대한 용해성 및 세정감을 평가하고 하기 표 2에 기재하였다.
용해성은 손바닥에 폼 시트 샴푸를 올려놓고 물을 적신 후, 손바닥을 비벼 세정을 하면서 이질감이 있는지에 대한 유무를 판단하였다.
세정감은 세정 후 가용성 전분이나 수크로오스가 남아 미끈거림이 있는지에 대한 유무를 판단하였다.
Figure pat00002
상기 표 2의 결과로부터, 용해성은 실시예 1 및 2(두께 1mm, 2mm)에서 제조된 폼 시트형 샴푸는 손바닥에 약간 비벼준 것만으로도 이질감을 느낄 수가 없었다. 반면에, 실시예 3(두께 3mm)에서 제조된 폼 시트형 샴푸는 손바닥을 비빌 경우에 약간 녹지 않은 느낌은 들었으나 세정 중에는 이질감을 느끼지 못하였다. 이는 폼 시트 샴푸가 두꺼울수록 필요로 하는 물의 양이 상대적으로 많아져서 그런 것이라 적신 모발에서는 완전히 용해되어 이질감이 없었다.
또한, 세정감은 폼 시트형 샴푸로 세정한 경우, 실시예 1 내지 3에서 제조된 폼 시트형 샴푸 모두 피부에 미끈거림이 없고 모발도 끈적임이 남지 않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폼 시트형 샴푸는 휴대가능한 제형인 동시에 액상 샴푸와 대등한 세정감을 확인하였다.
반면에, 상기 비교예 1에서 제조된 샴푸는 딱딱하고 부서지는 경향이 있으며, 물을 적신 후 완전히 용해될 때까지 시간이 지나치게 길어져 사용성에 문제가 있고, 비교예 2에서 제조된 샴푸 역시 용해성이 떨어져 휴대용도의 편의성 및 사용성의 장점이 떨어진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기재된 구체예에 대해서만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Claims (6)

  1. 수용성 고분자 20 내지 50중량% 및 비이온성의 저분자량 물질 50 내지 80중량%로 구성된 원료 100 중량부에 대하여, 정제수 100 중량부를 투입하여 용해시킨 후 수분을 뺀 나머지 성분을 회수하는 단계,
    상기 회수된 불휘발분 20 내지 40 중량%를 용기에 투입하고, 액상 세정성분 60 내지 80중량%를 균질화하여 교반하여 미세 기포가 함유된 혼합용액을 수득하는 단계 및
    상기 제조된 혼합용액을 성형 틀에 투입하여 성형하고 동결건조하는 단계로 이루어진, 열린 셀(open cell) 구조를 가지는 폼 시트형 세정제품의 제조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성 고분자가 셀룰로오스계 고분자, 수용성 콜라겐, 가용성 전분, 알긴산 나트륨, 히알루론산나트륨 및 플루란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폼 시트형 세정제품의 제조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비이온성의 저분자량 물질이 시클로덱스트린, 수크로오스, 솔트, 에리스리톨, L-글루탐산나트륨 및 유기산 염류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폼 시트형 세정제품의 제조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액상 세정성분이 액상 샴푸 또는 액상 비누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폼 시트형 세정제품의 제조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성형틀에 1 내지 5㎜ 두께로 투입하여 성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폼 시트형 세정제품의 제조방법.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의 폼 시트형 세정제품의 제조방법으로부터 열린 셀(open cell) 구조를 가지는 폼 시트형의 휴대용 세정제품.
KR1020220045602A 2020-05-20 2022-04-13 폼 시트형 세정제품의 제조방법 및 그를 이용한 휴대용 세정제품 KR10245451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45602A KR102454511B1 (ko) 2020-05-20 2022-04-13 폼 시트형 세정제품의 제조방법 및 그를 이용한 휴대용 세정제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60371A KR20210143508A (ko) 2020-05-20 2020-05-20 폼 시트형 세정제품의 제조방법 및 그를 이용한 휴대용 세정제품
KR1020220045602A KR102454511B1 (ko) 2020-05-20 2022-04-13 폼 시트형 세정제품의 제조방법 및 그를 이용한 휴대용 세정제품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60371A Division KR20210143508A (ko) 2020-05-20 2020-05-20 폼 시트형 세정제품의 제조방법 및 그를 이용한 휴대용 세정제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54257A true KR20220054257A (ko) 2022-05-02
KR102454511B1 KR102454511B1 (ko) 2022-10-14

Family

ID=78697964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60371A KR20210143508A (ko) 2020-05-20 2020-05-20 폼 시트형 세정제품의 제조방법 및 그를 이용한 휴대용 세정제품
KR1020220045602A KR102454511B1 (ko) 2020-05-20 2022-04-13 폼 시트형 세정제품의 제조방법 및 그를 이용한 휴대용 세정제품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60371A KR20210143508A (ko) 2020-05-20 2020-05-20 폼 시트형 세정제품의 제조방법 및 그를 이용한 휴대용 세정제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20210143508A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253566A2 (en) 1986-07-12 1988-01-20 The Procter & Gamble Company Laundry products
KR20050003991A (ko) 2003-07-01 2005-01-12 다케테루 노다 행거
KR20070088572A (ko) * 2007-04-05 2007-08-29 가부시키가이샤 피엔피에프 투명 시트형상 세정제
KR100958946B1 (ko) 2007-10-15 2010-05-19 주식회사 에이지락 시트형 샴푸
KR101366940B1 (ko) * 2011-06-30 2014-02-25 주식회사 코리아나화장품 슬러쉬 제형의 워시오프 팩 제조용 과립 파우더 팩 화장료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슬러쉬 제형의 워시오프 팩
KR101919553B1 (ko) * 2017-09-07 2018-11-19 한국생산기술연구원 계면활성제 기반의 다공성 스폰지 구조체 및 이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253566A2 (en) 1986-07-12 1988-01-20 The Procter & Gamble Company Laundry products
KR20050003991A (ko) 2003-07-01 2005-01-12 다케테루 노다 행거
KR20070088572A (ko) * 2007-04-05 2007-08-29 가부시키가이샤 피엔피에프 투명 시트형상 세정제
KR100958946B1 (ko) 2007-10-15 2010-05-19 주식회사 에이지락 시트형 샴푸
KR101366940B1 (ko) * 2011-06-30 2014-02-25 주식회사 코리아나화장품 슬러쉬 제형의 워시오프 팩 제조용 과립 파우더 팩 화장료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슬러쉬 제형의 워시오프 팩
KR101919553B1 (ko) * 2017-09-07 2018-11-19 한국생산기술연구원 계면활성제 기반의 다공성 스폰지 구조체 및 이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43508A (ko) 2021-11-29
KR102454511B1 (ko) 2022-10-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229480C (zh) 制备泡沫组分的方法
US6346557B1 (en) Porous material, method for making same and applications
JP5815851B2 (ja) 溶解性固体毛髪染色物品
JP4318853B2 (ja) セルロースをベースとするスポンジクロス、及びその製造
JP2003073700A (ja) 紙石鹸
JPH06504811A (ja) 冷水に可溶なフィルム及びフィルム形成組成物
CA2369276A1 (en) Depilatory composition
KR20020003442A (ko) 세정용 시트 조성물
TW201709896A (zh) 洗髮用快速崩解型丸粒組成物
US6129867A (en) Method for manufacturing alveolate cellulosed products
WO2006016712A1 (ja) 粉末状石鹸組成物
KR100745365B1 (ko) 수용성 필름 타입 세정제
KR102454511B1 (ko) 폼 시트형 세정제품의 제조방법 및 그를 이용한 휴대용 세정제품
JP2010501716A (ja) 新規吸水性物質及びその製造方法
JPH10158700A (ja) 洗浄剤
JPS6390507A (ja) キトサンスポンジ
JPH0611810B2 (ja) 多孔性キチン成形体及びその製造方法
US6090763A (en) Hydrogel soap
WO2003074095A1 (en) Perfume gel composition
JP2003119498A (ja) フィルム状の衣類洗濯用洗剤
JP2599130B2 (ja) シート状パツク材
KR101734089B1 (ko) 수화겔 모발 화장품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CN111205932B (zh) 一种存放稳定性高的泡腾型洗涤用品及其制备方法
KR20180107589A (ko) 고강도, 고탄성의 한천을 이용한 하이드로겔 마스크팩 제조방법
JPS62167331A (ja) キトサンスポン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