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12719A - 차량용 후방 화물 선반 - Google Patents

차량용 후방 화물 선반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12719A
KR20050012719A KR10-2004-7013514A KR20047013514A KR20050012719A KR 20050012719 A KR20050012719 A KR 20050012719A KR 20047013514 A KR20047013514 A KR 20047013514A KR 20050012719 A KR20050012719 A KR 2005001271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de plate
plate
shelf
center plate
vehi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70135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끄보제라르
끄보뽈
기예장-마르끄
Original Assignee
소시에떼 외로뺀느 드 브르베 오토모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소시에떼 외로뺀느 드 브르베 오토모빌 filed Critical 소시에떼 외로뺀느 드 브르베 오토모빌
Publication of KR200500127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12719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7/00Non-fixed roofs; Roofs with movable panels, e.g. rotary sunroofs
    • B60J7/20Vehicle storage compartments for roof parts or for collapsible flexible to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7/00Non-fixed roofs; Roofs with movable panels, e.g. rotary sunroofs
    • B60J7/20Vehicle storage compartments for roof parts or for collapsible flexible tops
    • B60J7/202Vehicle storage compartments for roof parts or for collapsible flexible tops being characterised by moveable cover parts for closing the gap between boot lid and rearmost seats
    • B60J7/203Vehicle storage compartments for roof parts or for collapsible flexible tops being characterised by moveable cover parts for closing the gap between boot lid and rearmost seats the cover part comprising cover side fla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7/00Non-fixed roofs; Roofs with movable panels, e.g. rotary sunroofs
    • B60J7/20Vehicle storage compartments for roof parts or for collapsible flexible tops
    • B60J7/202Vehicle storage compartments for roof parts or for collapsible flexible tops being characterised by moveable cover parts for closing the gap between boot lid and rearmost sea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Vehicle Step Arrangements And Article Storage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 Automatic Cycles, And Cycles In General (AREA)
  • Transition And Organic Metals Composition Catalysts For Addition Polymeriz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중심 패널(6) 및 양자 모두가 중심 패널(6)에 대하여 움직일 수 있는 두 개의 측방 패널(7)로 구성된 차량 후방 화물 선반(1)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후방 선반(1)은, 전개 위치와 각 측방 패널(7)이 중심 패널(6)의 하부에서 본질적으로 수축되는 수축위치사이에서, 차량의 횡방향(19)을 따른 양 방향으로의 각 측방 패널(7)의 중심 패널(6)에 대한 슬라이딩을 조절하고 안내하기 위하여 설계된 수단(8)을 구비한다.

Description

차량용 후방 화물 선반{Vehicle rear parcel shelf}
차량 승차 공간의 후방 부분과 뒷 트렁크 덮개(lid)의 전단 사이에서 실질적으로 수평으로 위치되는 사용 위치와, 차량 승차 공간의 후방 부분과 뒷 트렁크 덮개의 전단 사이의 공간을 확보할 수 있도록 위치되어 접철되는 덮개가 통과할 수 있게되는 수축 위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하고, 중심판과 상기 중심판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움직일 수 있는 측면판으로 구성된 차량용 뒷자석 선반이 알려져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 각각의 측면판을 간단하고 신뢰성 있는 방법으로 이동시키는데 적절한, 따라서 뒷자석 선반의 동작이 용이해지고, 또한 수축 위치에서는 상기 뒷자석 선반이 차지한 공간이 감소될 수 있는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차량용, 특히, 차량 뒷 트렁크속으로 접힐 수 있는 지붕(roof)이 제공된 차량용 뒷자석 선반에 관한 것이다.
다음의 도면은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도 1은 차량의 후방 부분의 종단면도이다.
도 2는 상기 차량 동일 부분을 상부에서 바라본 절반의 평면도이다.
도 3은 상기 측면판이 전개 위치에 있는 상태에서 본 발명 뒷자석 선반의 측면 부분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뒷자석 선반에서의 선 IV-IV을 따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3과 유사한 도면으로서, 측면판을 중심판에 대하여 슬라이딩 가능하게하는 수단이 판을 투시해서 보이는 것처럼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전술된 형태의 뒷자석 선반은, 펼쳐진 위치(이하 "전개 위치"라 한다)와 각각의 측면판이 중심판 하부에서 실질적으로 수축된 위치(이하 "수축 위치"라 한다) 사이에서 실질적으로 차량의 양 횡방향으로 각 측면판을 중심판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조절 및 안내하기에 적절한 수단을 구비한다.
따라서, 뒷자석 선반에 의해서 차량의 횡방향으로 차지된 공간이 감소될 수 있으며, 그에 의하여, 수축 위치의 뒷자석 선반을 수용하는 적은 공간의 위치를 사용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은 다음의 서술로부터 명확해진다.
차량의 뒷자석 선반(1)은 사용 위치(in-use position)와 수축 위치(retracted position) 사이에서 움직일 수 있다. 도 1과 도 2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사용 위치에서는, 뒷자석 선반(1)은 차량 승차공간(2a)의 후방 부분과 뒷 트렁크 덮개(4)의 전단(3)과의 사이에 실질적으로 수평으로 배치되어 있다. 수축 위치에서는, 뒷자석 선반(1)은 접철되는 차량의 지붕(5)이 통과할 수 있도록 차량 승차공간(2a) 후방 부분과 뒷 트렁크 덮개(4)의 전단(3)과의 사이의 공간을 확보해줄 수 있는 방식으로 배치된다. 하나의 예로서, 상기 부분(2)은 차량내에서 가장 후방에 위치한 시트의 후방에 존재한다.
도 1에서, 접철되는 지붕(5)이 승차공간을 덮도록 배치된 위치에서는 실선으로, 트렁크 안의 접힌 위치에서는 점선으로 표시되어 있다.
수축 위치에서는, 예컨대, 도 1에서 볼 수 있는바와 같이 차량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횡방향으로 배향된 적어도 하나의 피봇축(pivot axis) 둘레로 피봇됨으로써, 뒷자석 선반은 실질적으로 수직으로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수축 위치에서 뒷자석 선반(1)이 다른 형태를 취하는 것도 가능하다.
뒷자석 선반(1)은 중심판(6)과 두 개의 측면판(7)으로 구성되며, 상기 각각의 측면판은 차량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횡방향으로, 상기 중심판(6)과 일치되게 배치되어 있다. 상기 각각의 측면판(7)은 상기 중심판(6)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움직일 수 있다.
도 2에서는 좌측의 측면판(7)만이 도시되었으며, 우측 측면판(미도시)는 좌측 측면판(7)과 대칭을 이룬다.
본 발명에 있어서, 뒷자석 선반(1)은 전개 위치(deployed position)와 각 측면판(7)이 중심판(6)의 하부에서 실질적으로 수축되어지는 수축위치(retracted position) 사이에서 실질적으로 차량의 횡방향(19)으로 각 측면판(7)을 중심판(6)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슬라이딩시켜 안내하고 조절하기 위하여 적합화된 수단(8)을 포함한다. 상기 수단(8)은 각각의 측면판(7)을 전개 위치로부터 수축 위치로, 수축 위치로부터 전개 위치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한다.
도 4와 도 5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측면판(7)을 슬라이딩 가능하게 하도록 적합화된 수단(8)은, 차량의 횡방향(19)으로 연장되면서 중심판(6) 하부에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나사화된 막대(threaded rod:9)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측면판(7)이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적합화된 상기 수단(8)은 스레드 막대(9)를 중심판(6)에 고정시키기 위한 수단(10)과, 나사화된 막대(9)를 그 축(12) 둘레로 회전시키도록 야기하는, 예컨대, 모터로 구성되는 수단(11)을 구비한다.
또한 측면판(7)을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채택된 상기 수단(8)은, 대응하는 측면판(7)에 고정되어 스레드 막대(9)의 회전에 따라 대응하는 상기 측면판(7)을 병진 구동시키도록 채택된 각각의 측면판(7)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너트(nut:13)를 구비한다.
도 3과 도 5에서 특히 분명하게 보여지는 것처럼, 각각의 측면판(7)은 상기 측면판(7)이 전개 위치에 있을 때에 중심판(6)의 하부에 배치되는 구동 영역(drive zone:14)을 포함한다. 각각의 너트(13)는 상기 구동 영역(14)를 통하여 상응하는 측면판(7)에 고정되어 있다.
따라서, 일단 모터(11)가 작동에 들어간 뒤에는, 나사화된 막대(9)는 (도 5에서 화살표 18에 의하여 표시된 바와 같이) 축(12) 둘레로 한쪽 또는 다른 방향으로 회전되도록 야기된다. 나사화된 막대(9)가 중심판(6)에 축방향으로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그 자유도(degree of freedom)는 단지 회전에만 관계되며, 상기 나사화된 막대(9)의 나사산과 너트(13)의 나사산 상호 작용 때문에, 두 개의 측면판(7)은 (도 5에서 화살표 19로 표시된 것과 같이) 한 쪽 또는 다른 방향으로 병진 구동된다.
따라서, 측면판(7)을 슬라이딩 가능하게 하도록 적합화된 수단(8)은, 상기 측면판(7)이 중심판(6)의 하부에서 수축 위치에 있는 경우에는 상기 뒷자석 선반(1)의 횡방향 크기가 감소되도록 한다.
나사화된 막대(9)는 상응하는 너트(13)의 병진 동작 폭에 상응하는 두 부분에서만 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다. 그러한 경우, 스크루(screw:9)의 회전이 너트(13)를 반대 방향으로 슬라이딩시키도록, 두개의 나사산은 상반된 나선 방향을 갖도록 제작될 수 있다. 또한, 나사화된 막대(9)를 중심판(6)에 고정시키기 적합한 상기 수단(10)과 접촉하는 나사화된 막대(9) 부분은 나사산이 형성되지 않는다.
도 4와 도 5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바람직하게는, 상기 나사화된 막대(9)를 중심판(6)에 고정시키기 위하여 채택된 수단(10)은 상기 모터(11)에 근접하여 위치된 두개의 지지대(15), 중심판(6) 측면 모서리(17)의 하나에 각각 근접하여 위치된 두개의 원활 베어링(smooth bearing:16)을 구비한다.
도 4에서 특히 잘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원활 베어링(16)은 대응하는 측면판(7)의 대응하는 횡단 모서리(transverse edge:21)가 통과하기에 적절한 슬롯(slot:20)을 형성할 수 있는 방식으로 중심판(6)으로부터 외팔보 형태로 돌출(cantilevered out)되어 있다.
각각의 원활 베어링(16)이 외팔보 형태로 돌출되는 정도를 제한하기 위하여, 나사화된 막대(9)는 측면판(7)의 횡단 모서리(21)의 하나에 근접하게 위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4와 도 5에 예시된 실시예에서, 각각의 원활 베어링(16)은 중심판(6)의 횡단 모서리(24)를 따라 고정되고 실질적으로 L 자 형을 가지며, 상기 모서리(24)에 고정된 기부(基部:16a), 중심판(6)의 하부에서 실질적으로 상기 중심판과 평행하며 슬롯(20)을 형성할 수 있도록 기부(16a)로부터 멀어지면서 상기 중심판의 내부를 향하도록 연장되는 본체부(16b)를 구비하며, 상기 본체부(16b)는 스크류(9)의 단부(9a)를 수용하며, 원활 베어링을 적절하게 구성하는 공동부(16c)를 포함한다.
더욱이, 병진 이동되는 동안 상기 각각의 측면판(7)을 안내하기 위하여, 중심판(6)은 차량의 횡방향으로 연장되고 중심판(6)의 하부에서 연장되면서(도 4 참조) 내향하는 림(rim:25)에 의해 형성되는 홈(groove:22)을 가진다. 상기 홈(22)은 슬롯(20)을 통하여 통과하는 모서리로부터 반대인 측면판(7) 횡단 모서리(23)를 슬라이딩식으로 수용하도록 채택되어 있으며, 이 경우에는, 후단 모서리를 수용한다.
도 1 내지 도 5의 예에서, 본 발명에 따른 뒷자석 선반(1)을 구성하는 요소는 차량의 종축에 대하여 또한 모터(11)에 대하여 대칭적으로 배치되어 있다.
물론, 본 발명이 도면을 참조하여 기술된 구현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변형이 여기에 적용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중심판에서 각각 차량의 횡방향(19)으로 연장되며 각 측면판(7)의 횡단 모서리를 슬라이딩식으로 수용하도록 하는 두 개의 홈을 제공하여, 결과적으로 원활 베어링(16)을 생략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실질적으로 동일한 축에, 각 측면판(7)에 하나씩 대응하여, 두 개의 스크류(9)를 제공하여,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는 두개의 스크류가 두 개의 각 모터에 의하거나 또는 두개의 동력출구를 가진 기어 박스(gear box)를 구동하는 하나의 모터에 의하여 구동되게 하는 것도 가능하다.

Claims (8)

  1. 차량 승차공간의 후방 부분(2)과 뒷 트렁크 덮개(4)의 전단 모서리(3)와의 사이에서 실질적으로 수평으로 배치되는 사용 위치와, 후방 부분(2)과 상기 덮개(4)의 전단 모서리(3)사이의 공간을 확보하여 접철되는 지붕(5)이 통과할 수 있는 방식으로 배치된 수축 위치 사이에서 움직일 수 있는 차량용 뒷자석 선반(1)으로서,
    후방 선반(1)은 중심판(6) 및 상기 중심판(6)에 대하여 각각 움직일 수 있는 두 개의 측면판(7)을 구비하며,
    전개 위치와 각 측면판(7)이 상기 중심판(8) 하부에서 실질적으로 수축되는 수축 위치 사이에서 실질적으로 차량의 양 횡방향(19)으로 각 측면판(7)을 중심판(6)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조절 및 안내하기에 접절한 수단(8)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뒷자석 선반.
  2. 제1항에 있어서,
    측면판(7)을 슬라이딩 가능하게 하도록 적합화된 상기 수단(8)은,
    중심판(6) 하부에서 차량의 횡단 방향(19)으로 연장되는 적어도 하나의 나사화된 막대(9),
    나사화된 막대(9)를 축(12)을 중심으로 회전시키도록 적합화된 수단(11),
    상기 나사화된 막대(9)를 상기 중심판(6)에, 그리고 각각의 측면판에 대하여고정시키도록 적합화된 수단(10),
    대응하는 측면판(7)에 고정되고, 상기 나사화된 막대(9)의 회전중에 대응하는 측면판(7)을 병진 구동시킬수 있는 방식으로 나사화된 막대와 협동하도록 채택된 너트(13)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뒷자석 선반.
  3. 제 2항에 있어서,
    각각의 측면판(7)은 측면판(7)이 전개 위치에 있을 때 중심판(6)의 하부에서 배치되는 구동 영역(1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뒷자석 선반.
  4. 제 3항에 있어서,
    각각의 너트(13)는 대응하는 측면판(7)의 구동 영역(14)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뒷자석 선반.
  5. 제 2항 내지 제 4항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나사화된 막대(9)의 대응하는 단부(9a)의 지지대(10)를 형성하는 원활 베어링(16)이 중심판(6)의 각각의 측면 모서리(17)에 근접하여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뒷자석 선반.
  6. 제 5항에 있어서,
    각각의 원활 베어링(16)은 측면판(7)의 대응하는 횡단 모서리(21)를 통과시키도록 적합화된 슬롯(20)을 형성하는 방식으로 배열되고 형상화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뒷자석 선반.
  7. 제 6항에 있어서,
    각 원활 베어링(16)은 중심판(6)의 횡단 모서리(24)를 따라 고정되며, 실질적으로 L 자형을 취하며,
    상기 모서리(24)에 고정된 기부(16a),
    슬롯(20)을 형성하도록 기부(16a)로부터 내측을 향하여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중심판(6)의 하부에서 연장되는 본체부(16b)를 구비하며,
    상기 본체부(16b)는, 스크류(9)의 단부(9a)를 수용하며 원활 베어링을 적절하게 구성하는 공동부(16c)를 구비하며 것을 특징으로 하는 뒷자석 선반.
  8. 이전의 어느 항에 있어서,
    상기 중심판(6)은 슬라이딩 방향으로 연장되고 각 측면판(7)의 대응하는 횡단 모서리(23)를 병진으로 수용하도록 적합화된 적어도 하나의 홈(22)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뒷자석 선반.
KR10-2004-7013514A 2002-05-13 2003-05-02 차량용 후방 화물 선반 KR20050012719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R02/05869 2002-05-13
FR0205869A FR2839474B1 (fr) 2002-05-13 2002-05-13 Plage arriere de vehicule
PCT/FR2003/001381 WO2003095255A1 (fr) 2002-05-13 2003-05-02 Plage arriere de vehicul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12719A true KR20050012719A (ko) 2005-02-02

Family

ID=292864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7013514A KR20050012719A (ko) 2002-05-13 2003-05-02 차량용 후방 화물 선반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7032947B2 (ko)
EP (1) EP1503914B1 (ko)
JP (1) JP4249700B2 (ko)
KR (1) KR20050012719A (ko)
AT (1) ATE405442T1 (ko)
AU (1) AU2003251034A1 (ko)
DE (1) DE60323084D1 (ko)
FR (1) FR2839474B1 (ko)
WO (1) WO200309525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851510A1 (fr) * 2003-02-21 2004-08-27 Renault Sa Dispositif de toit escamotable et vehicule equipe d'un tel dispositif
FR2851751B1 (fr) * 2003-02-28 2006-06-23 France Design Systeme de plage arriere de vehicule
FR2853868B1 (fr) * 2003-04-15 2005-06-24 France Design Systeme de plage arriere escamotable pour vehicule decouvrable a toit repliable
FR2856958B1 (fr) * 2003-07-02 2006-03-03 France Design Capot de coffre arriere a verrouillage a appui constant, et vehicule ainsi equipe
FR2856966B1 (fr) * 2003-07-02 2008-07-04 France Design Capot de coffre arriere a articultion doublement verrouillee pour un vehicule decouvrable a toit repliable
DE102004041541B4 (de) * 2004-08-27 2011-09-15 Wilhelm Karmann Gmbh Cabriolet-Fahrzeug mit zumindest einem Verkleidungsteil
DE102004048405B4 (de) * 2004-10-01 2006-06-01 Cts Fahrzeug-Dachsysteme Gmbh Kinematik zum Verstellen einer Seitenklappe einer Abdeckanordnung für Fahrzeuge mit öffnungsfähigem Fahrzeugdach
DE102004054263B4 (de) * 2004-11-09 2007-03-01 Magna Car Top Systems Gmbh Abdeckanordnung für Fahrzeuge mit öffnungsfähigem Fahrzeugdach
DE102004061775A1 (de) * 2004-12-22 2006-07-06 Wilhelm Karmann Gmbh Cabriolet-Fahrzeug mit einer beweglichen Hutablage
KR100673260B1 (ko) 2005-05-03 2007-01-22 엘지전자 주식회사 자동 슬라이드형 이동통신 단말기
US20060255619A1 (en) * 2005-05-16 2006-11-16 Dickie Robert B Retractable hard top for a four door vehicle
DE102005051445A1 (de) * 2005-10-27 2007-05-03 Wilhelm Karmann Gmbh Cabriolet-Fahrzeug mit beweglichen Verkleidungsteilen
DE102005057651B4 (de) * 2005-12-01 2008-02-14 Magna Car Top Systems Gmbh Fahrzeug mit Abdeckanordnung
US7252323B2 (en) * 2005-12-29 2007-08-07 Mitsubishi Jidosha Kogyo Kabushiki Kaisha Vehicle body
GB2436089A (en) * 2006-03-16 2007-09-19 Ford Global Tech Llc A motor vehicle with a folding roof
DE102006035518A1 (de) * 2006-07-31 2008-02-07 Wilhelm Karmann Gmbh Cabriolet-Fahrzeug mit einem Deckelteil für den Dachablageraum
DE102006044036B4 (de) * 2006-09-14 2008-06-26 Edscha Cabrio-Dachsysteme Gmbh Vorrichtung zum Abdecken einer Gestängeaustrittsöffnung
DE102006053878A1 (de) * 2006-11-14 2008-05-15 Wilhelm Karmann Gmbh Cabriolet-Fahrzeug mit Verkleidungsteilen
DE102007056574A1 (de) * 2007-11-23 2009-06-04 Audi Ag Fahrzeug mit einem Klappverdeck
JP5157396B2 (ja) * 2007-11-30 2013-03-06 アイシン精機株式会社 ルーフ収納装置
US7594688B1 (en) * 2008-06-25 2009-09-29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Inc. Clip device for balancing opposing variation in a tripartite trim stackup
DE202008012957U1 (de) * 2008-09-30 2010-02-18 Wilhelm Karmann Gmbh Fahrzeug
DE102009014821B4 (de) * 2009-03-25 2020-02-20 Audi Ag Fahrzeug mit versenkbarem Verdeck
EP3180232A4 (en) 2014-08-12 2018-04-11 Dura Operating, LLC Composite module
KR101936997B1 (ko) * 2016-12-16 2019-01-1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러기지 룸의 화물 적재장치
DE102019100435B4 (de) 2019-01-09 2022-06-02 Webasto SE Gestängeklappenanordnung und Cabriolet-Fahrzeug mit Gestängeklappenanordnung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687247A (en) * 1985-05-13 1987-08-18 Muscat Peter P Powered tonneau cover for convertible automobiles
DE29602762U1 (de) * 1996-02-16 1997-06-26 Karmann Gmbh W Cabriolet-Fahrzeug mit versenkbarem Faltverdeck
DE19613917C2 (de) * 1996-04-06 1998-01-15 Daimler Benz Ag Abdeckanordnung für einen im Heckbereich eines Fahrzeugs angeordneten Verdeckkasten
DE19637005C1 (de) * 1996-09-12 1997-12-18 Daimler Benz Ag Plattenabdeckung für einen vorderen Bereich der Rahmenöffnung eines Verdeckkastens
EP1038710B1 (en) * 1999-03-26 2003-05-21 CTS Fahrzeug-Dachsysteme GmbH Articulated tonneau cover
JP4292354B2 (ja) * 1999-10-19 2009-07-08 アイシン精機株式会社 車両用パッケージトレイ
FR2802477B1 (fr) * 1999-12-20 2002-03-01 France Design Obturateurs lateraux et plage arriere basculants pour passage d'un toit escamotable
DE10050286B4 (de) * 2000-10-10 2004-08-05 Cts Fahrzeug-Dachsysteme Gmbh Mehrteilige Abdeckung für Fahrzeuge
DE10134369C2 (de) * 2001-07-14 2003-05-15 Daimler Chrysler Ag Abdeckvorrichtung für einen Verdeckkasten
DE10146267B4 (de) * 2001-09-20 2005-11-03 Edscha Cabrio-Dachsysteme Gmbh Verdeck für ein Cabriolet-Fahrzeug
DE10153137B4 (de) * 2001-10-27 2005-03-10 Karmann Gmbh W Cabriolet-Fahrzeug mit einem unterhalb einer Ebene eines Deckelteils ablegbaren Dach
DE10157818C1 (de) * 2001-11-27 2003-04-17 Cts Fahrzeug Dachsysteme Gmbh Abdeckanordnung für Fahrzeuge mit öffnungsfähigem Fahrzeugdach
DE10158400B4 (de) * 2001-11-28 2016-09-08 Valmet Automotive Oy Cabriolet-Fahrzeug mit Durchtrittsöffnungen für Gestängeteile
DE10242451B4 (de) * 2002-09-11 2013-11-28 Webasto Ag Hutablage eines Cabriolet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50077750A1 (en) 2005-04-14
EP1503914B1 (fr) 2008-08-20
FR2839474A1 (fr) 2003-11-14
US7032947B2 (en) 2006-04-25
JP2005530646A (ja) 2005-10-13
WO2003095255A1 (fr) 2003-11-20
FR2839474B1 (fr) 2005-01-14
JP4249700B2 (ja) 2009-04-02
AU2003251034A1 (en) 2003-11-11
ATE405442T1 (de) 2008-09-15
DE60323084D1 (de) 2008-10-02
EP1503914A1 (fr) 2005-02-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50012719A (ko) 차량용 후방 화물 선반
KR101784154B1 (ko) 헤드레스트 장치
US10479250B2 (en) Structure of leg-rest
JP2572118B2 (ja) 自動車のサンバイザー装置
KR970015354A (ko) 분할 및 선회할 수 있어 접을 수 있는 단단한 지붕을 갖춘 자동차
JP2007537093A (ja) 車両の電動サンバイザアセンブリ及びその制御方法
JP5408548B2 (ja) サイドミラーユニット
KR20180091346A (ko) 레그레스트의 구조
CN109789821A (zh) 用于车辆座椅的座椅元件的具有螺杆驱动装置的腰部支撑装置或侧垫调节器的调节设备
KR20200119944A (ko) 차량용 러기지박스 장치
US5316361A (en) Expandable visor
JP7371409B2 (ja) 車両のステアリング装置
EP3517359B1 (en) A stowable table assembly for a vehicle
CN109803851A (zh) 用于车辆座椅的座椅元件的具有螺杆驱动装置的调节设备
US7309307B2 (en) Device for folding flaps of box blanks
JP7374406B2 (ja) 車両のステアリング装置
CN114368265A (zh) 用于防止滑动门摇动的结构
EP3661778B1 (en) Open roof construction for a vehicle
KR20180091347A (ko) 슬라이딩장치 및 이를 이용한 시트레일
KR100435342B1 (ko) 버스용 보조 시트
JP2006519134A (ja) 車両用棚アセンブリ
NL8802770A (nl) Elektrisch bedienbare open-dakconstructie voor een voertuig.
CN214776146U (zh) 一种方向盘结构及车辆
SU1194642A1 (ru) Самоцентрирующий люнет
GB2180740A (en) Apparatus for the adjustment of a vehicle sea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