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73260B1 - 자동 슬라이드형 이동통신 단말기 - Google Patents

자동 슬라이드형 이동통신 단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73260B1
KR100673260B1 KR1020050037251A KR20050037251A KR100673260B1 KR 100673260 B1 KR100673260 B1 KR 100673260B1 KR 1020050037251 A KR1020050037251 A KR 1020050037251A KR 20050037251 A KR20050037251 A KR 20050037251A KR 100673260 B1 KR100673260 B1 KR 10067326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rew
slide
mobile communication
communication terminal
co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372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114996A (ko
Inventor
최태규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372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73260B1/ko
Priority to CNA2006100729835A priority patent/CN1859450A/zh
Publication of KR200601149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1499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732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7326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35Slidable or telescopic telephones, i.e. with a relative translation movement of the body parts; Telephones using a combination of translation and other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37Sliding mechanism with one degree of freedo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41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using relative motion of the body parts to change the operational status of the telephone set, e.g. switching on/off, answering incoming call
    • H04M1/0245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using relative motion of the body parts to change the operational status of the telephone set, e.g. switching on/off, answering incoming call using open/close dete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49Details of the mechanical connection between the housing parts or relating to the method of assembl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슬라이드형 이동통신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서, 모터 구동 및 이에 의한 이송스크류의 정, 역 회전에 의해 신뢰성 있는 커버의 슬라이딩 개폐를 구현하여, 종래의 반자동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야기되던 커버 개폐시 충격을 제거할 수 있는 자동 슬라이드형 이동통신 단말기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자동 슬라이드형 이동통신 단말기는, 커버에 고정되고 본체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되는 슬라이드패널과, 상기 슬라이드패널에 고정된 스크류블록 및 상기 스크류블록에 나사 이송식으로 맞물리는 본체 상의 이송스크류를 구비한 이송스크류 유닛과, 상기 이송스크류를 정역 회전시켜 상기 슬라이드패널을 앞뒤로 슬라이딩시키는 모터를 포함한다.
모터, 슬라이드패널, 이송스크류, 스크류블록, 가이드, 본체, 커버, 볼스크류

Description

자동 슬라이드형 이동통신 단말기{AUTOMATIC SLIDE TYP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드형 이동통신 단말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이동통신 단말기의 주요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으로서, 커버의 자동 슬라이드 작동을 위한 주요 구성요소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이동통신 단말기의 이송스크류 및 이와 나사 이송식으로 맞물리는 스크류블록을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도 1 및 도 3에 도시된 이동통신 단말기의 모터를 정역 구동시키는 구동회로를 도시한 전기회로도.
도 5는 도 4에 도시된 모터 및 이에 의해 구동되는 이송스크류 유닛의 제어동작 처리흐름을 보여주는 블록구성도.
도 6은 본 발명의 변형예에 따른 슬라이드형 이동통신 단말기를 도시한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2: 본체 3: 커버
6: 모터 10: 슬라이드패널
20: LM가이드 22: 가이드블록
24: 가이드봉 30: 이송스크류 유닛
32: 스크류블록 33: 볼
34: 스크류 60: H-브릿지회로
72: 제어부 76: 감지부
본 발명은, 슬라이드형 이동통신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서, 커버나 본체에 인위적인 힘을 가하지 않고도 커버가 본체 상에서 자동 슬라이드 될 수 있는 자동 슬라이드형 이동통신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널리 알려진 바와 같이, 이동통신 단말기는 그 구조에 따라 바형, 폴더형, 플립형, 슬라이드형으로 분류된다. 그 중에서도, 슬라이드형 이동통신 단말기는, 커버가 본체에 대해 슬라이딩식으로 개폐되도록 구성되어 사용자에 의한 커버 개폐가 용이하고, 또한, 디스플레이창이 커버 외측면에 형성되어 사용자가 보다 확장된 디스플레이창을 이용할 수 있도록 해준다.
근래 개발된 대부분의 슬라이드형 이동통신 단말기는 슬라이딩 영역이 수동 영역과 자동 영역으로 이루어진 반자동형이 그 주류를 이루고 있다. 이러한 반자동의 슬라이드형 이동통신 단말기는 토션스프링을 커버 측과 본체 측에 각각 연결하여 그 토션스프링의 탄성력을 이용하여 반자동 슬라이드를 구현한다.
그러나, 상기한 반자동 슬라이드형 이동통신 단말기는 토션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커버가 개폐되는 순간 본체 상에 큰 충격이 가해지며, 이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수명을 단축시키는 하나의 원인이 되고 있다.
한편, 국내 실용신안등록 제 20-376806호에는 모터와 태엽스프링을 이용하여 커버에 인위적인 힘을 가하지 않고도 그 커버를 본체에 대해 슬라이드 개폐시킬 수 있는 이동통신 단말기가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위와 같은 종래의 이동통신 단말기도, 태엽 스프링의 복원력을 이용하므로, 커버의 슬라이딩 개폐에 따라 본체에 가해지는 충격이 여전히 존재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모터 구동 및 이에 의한 이송스크류의 정, 역 회전에 의해 신뢰성 있는 커버의 슬라이딩 개폐를 구현하여, 종래의 반자동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야기되던 커버 개폐시 충격을 제거할 수 있는 자동 슬라이드형 이동통신 단말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유극(play)이 거의 없는 볼스크류 타입의 이송스크류를 커버의 슬라이드 작동에 이용함으로써, 슬라이드 개폐가 보다 정밀하게 구현될 수 있는 자동 슬라이드형 이동통신 단말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는, 본체와 커버를 갖되, 상기 커버에 고정되고 상기 본체에 대해 슬라이드 가능하게 설치되는 슬라이드패널과, 상기 슬라이드패널에 고정된 스크류블록 및 상기 스크류블록에 나 사 이송식으로 맞물리는 본체 상의 이송스크류를 구비한 이송스크류 유닛과, 상기 이송스크류를 정역 회전시켜 상기 슬라이드패널을 앞뒤로 슬라이딩시키는 모터를 포함한다.
따라서, 모터가 이송스크류를 회전시키면, 이송스크류와 스크류블록과의 상호 나사작용을 통해 스크류블록에 고정된 슬라이딩패널 및 그 위의 커버가 본체에 대해 슬라이드 될 수 있다. 또한, 모터의 구동이 역방향으로 전환되면, 상기 이송스크류가 반대방향으로 회전하여 전술한 커버를 역방향으로 슬라이드 시키게 된다.
한편, 상기 이송스크류는 볼스크류인 바람직하며, 상기 커버의 정역 슬라이드에 이용되는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른 볼스크류는 스크류블록과의 사이에 유극을 거의 갖지 않으므로 보다 정밀한 커버의 슬라이딩 개폐를 구현할 수 있다.
더 나아가, 상기 모터는 H-브릿지 회로에 의해 정역 구동되는 직류모터인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모터는 상기 슬라이드패널의 슬라이딩 위치 검출을 위해 인코더를 포함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상기 슬라이드패널의 슬라이딩 위치가 접촉 또는 비접촉식의 센서에 의해 탐지될 수도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고자 한다.
도 1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 슬라이드형 이동통신 단말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자동 슬라이드형 이동통신 단말기(1; 이하, 이동통신 단말기로 칭함)는 본체(2)와 그 본체(2)에 대해 슬 라이드 되는 커버(3)를 포함한다. 이 때, 본체(2)는 메인 키패드(2a)를 윗면에 구비하며, 인쇄회로기판(미도시됨) 등의 부품을 내측에 구비한다. 그리고, 상기 커버(3)는 이하 구체적으로 설명되는 바와 같이 상기 본체(2) 상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며, LCD창을 갖는 디스플레이부(3b)와 보조 키패드(3a; 예를 들면, 방향키 입력부)를 윗면에 구비한다. 도시의 편의를 위해 도 1의 디스플레이부(3b)는 LCD창이 제거된 채 도시되어 있다.
한편,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1)는 복수의 체결구(12)에 의해 커버(3)의 저면에 고정되는 슬라이드패널(10)을 구비한다. 이 슬라이드패널(10)은 본체(2)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연결되어 그 위의 커버(3)가 본체(2)에 대해 슬라이딩되는 것을 허용한다.
또한, 본 실시예의 이동통신 단말기(1)는, 슬라이드패널(10)의 슬라이드를 구현하기 위한 구성요소로서, LM가이드(linear motion guide; 20)를 포함하며, 상기 LM가이드(20)는 슬라이드패널(10)의 저면 일측에 형성된 가이드블록(22)과 상기 가이드블록(22)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끼워지는 가이드봉(24)으로 구성된다. 상기 가이드봉(24)은 본체(2)의 고정패널(2c)에 설치된 가이드 서포트(26)에 의해 본체(2)와 일체화되도록 지지된다.
또한, 본 실시예의 이동통신 단말기(1)는 본체에 내장된 모터(6)에 의해 구동되어 상기 슬라이드패널(10)을 슬라이딩시키는 이송스크류 유닛(30)을 포함한다. 이 때, 상기 이송스크류 유닛(30)은, 커플러(31)에 의해 모터(6)에 연결된 이송스크류(34)와, 그 이송스크류(34)에 나사 이송식으로 맞물리는 스크류블록(32)을 포 함한다.
상기 이송스크류(34)는 전술한 가이드봉(24)에 나란하게 본체(2) 상의 고정패널(2c) 위쪽에 위치되는 한편 상기 고정패널(2c) 상의 스크류 서포트(36)에 의해 본체(2) 상에서 회전가능하게 지지된다. 그리고, 상기 스크류블록(32)은 전술한 가이드블록(22)에 마주하면서 슬라이드패널(10)의 저면에 고정 설치된다.
전술한 본 실시예의 구성에 따라, 모터(6)가 이송스크류 유닛(30)을 구동시키면 이송스크류 유닛(30)에 연결된 슬라이드패널(10) 및 그 위에 고정된 커버(3)가 본체(2)에 대해 슬라이드 구동되어 이동통신 단말기(1)의 커버(3) 개폐가 이루어지며, 이는 도 2의 구체적인 설명을 통해 보다 명확하게 이해되어질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라이드패널(10)은 LM 가이드(20)에 연결된 채 본체(2; 도 1 참조)의 일부를 이루는 고정패널(2c)의 위쪽에서 전후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배치된다. 그리고, 상기 슬라이드패널(10)은 모터(6)와 상기 모터(6)에 의해 구동되는 이송스크류 유닛(30)에 의해 전후 역방향으로 구동되어질 수 있다.
예컨대, 모터(6)가 도 2의 화살표 방향(R)으로 이송스크류 유닛(30)의 이송스크류(34)를 회전시키면 그 이송스크류(34)와 이에 대응되는 스크류블록(32)의 상호 작용에 의해 슬라이드패널(10)은 닫힘위치(C)로부터 열림위치(O)로 슬라이드 이동된다. 또한, 슬라이드패널(10)이 열림위치(O)에 있을 때, 모터(6)가 이송스크류(34)를 반대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슬라이드패널(10)은 다시 열림위치(O)로부터 닫힘위치(C)로 슬라이드 이동된다. 위와 같은 슬라이드패널(10)의 전, 후 슬라이드 이동은 이동통신 단말기의 커버가 본체에 대해 슬라이드 방식으로 개폐되는 것을 가 능케 한다.
도 3은 전술한 이송스크류 유닛(30)의 일부를 절단하여 도시한 확대사시도로서, 도 3을 참조하면, 이송스크류(34)가 자체의 나사홈(34a)과 스크류블록(32)의 나사홈(32a) 사이에 다수의 볼(33)을 구비한 볼스크류임을 알 수 있다. 상기한 볼(33)들은 이송스크류(34)가 스크류블록(32) 내에서 보다 원활하게 회전될 수 있게끔 해주어, 슬라이드패널(10; 도 2 참조)의 보다 부드러운 슬라이드 구동을 가능케 한다. 또한, 상기한 볼(33)들은 나사홈(32a, 34a)들 사이의 유극을 없애주며, 이는 본체 상에 정지된 커버가 앞, 뒤로 밀리는 현상을 막아 이동통신 단말기의 보다 정밀한 슬라이드 개폐를 가능케 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본 실시예의 모터(6)는 정역 구동을 통해 이송스크류의 정역 양방향 회전을 가능하게 하는데, 상기 모터(6)의 정역 구동을 위한 H-브리지 회로(H-bridge circuit)가 도 4에 잘 도시되어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모터(6)는 배터리와 같은 직류전원(61)으로부터 전류를 인가받는 직류모터로서, 정역 양방향 구동을 위해 H-브릿지 회로(60)의 두 접점(62a, 62b)에 연결된다. 본 실시예의 H-브릿지회로(60)는 네 쌍의 게이트(64a, 64b, 64c, 64d)로부터 게이트신호를 인가받는 네 쌍의 트랜지스터(65a, 65b, 65c, 65d)를 포함하며, 전류의 급격한 흐름을 막는 한 쌍의 커패시터(66a, 66b)가 전류의 두 흐름 방향에 대응되게 마련된다.
위와 같은 H-브릿지회로(60)에서, 제 1 및 제 3 트랜지스터(65a, 65c)가 게이트0(64a) 및 게이트3(64c)을 통해 게이트 신호를 인가받아 턴온(turn on)되는 경 우, 전류는 직류전원(61), 제 1 트랜지스터(65a), 모터(6), 그리고, 제 3 트랜지스터(65c)를 거쳐 접지(67)로 흘러 모터(6)를 정방향으로 회전 구동시킨다. 반대로, 제 2 및 제 4 트랜지스터(65b, 65d)가 게이트1(64b) 및 게이트2(64d)를 통해 게이트 신호를 인가받아 턴온되는 경우, 전류는 직류전원(61), 제 2 트랜지스터(65b), 모터(6), 그리고, 제 4 트랜지스터(65d)를 거쳐 접지(67)로 흘러 모터(6)를 역방향으로 회전 구동시킨다.
위와 같이, 모터(6)의 회전구동방향이 스위칭됨으로써, 모터(6)에 의해 구동되는 이송스크류(34; 도 1 내지 도 3 참조)의 회전방향 또한 스위칭되며, 이러한 스위칭은 슬라이드패널(10) 및 이에 고정된 커버(3)가 본체(2)에 대해 전, 후 양방향으로 슬라이딩되는 것을 가능케 한다(도 1 및 도 2 참조).
도 5는 전술한 모터(6) 및 이에 의해 구동되는 이송스크류 유닛(30)의 제어동작 처리흐름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를 참조로 하여 설명하면, 제어부(72)는 입력부(74)를 통해 커버의 개방신호를 입력받아 모터 구동회로(60)에 정방향 구동신호를 보내고, 이를 통해 모터(6)를 정방향으로 구동시킨다. 이러한 모터의 정방향 구동은 이송스크류 유닛(30)에 의해 슬라이드패널(10)이 전방으로 슬라이딩되게 하여 이동통신 단말기의 커버(3; 도 1 참조)를 개방시켜준다. 이 때, 제어부(72)는 감지부(76)로터 슬라이드패널(10)의 위치정보를 입력받아, 메로리(78)에 저장된 프로그램에 따라 이동통신 단말기의 커버를 정확한 개방위치에서 정지시킨다. 또한, 상기 제어부(72)는 입력부(74)를 통해 커버의 닫음신호를 입력받아 모터 구동회로(60)에 역방향 구동신호를 보내고, 이를 통해, 이동통신 단말기의 커버를 닫아준 다. 이 경우에도, 상기 제어부(72)는 감지부(76)로부터 슬라이드패널(10)의 위치정보를 입력받아 커버를 정확한 닫힘위치에서 정지시킨다.
이 때, 상기 감지부(76)는 모터(6) 내에 내장된 인코더 또는 슬라이드패널(10) 부근에 설치되는 비접촉식 또는 접촉식 센서로 구성될 수 있다. 모터(6) 내에 내장된 인코더는 모터의 회전수 검출이 가능하기 때문에 이 검출된 정보를 이용하여 슬라이드패널(10)의 위치를 예측할 수 있다. 만일, 인코더가 내장되지 않은 모터(6)를 이용하는 경우, 상기한 감지부(76)로는 리미트 스위치와 같은 접촉식 센서 또는 포토커플러(photo coupler)와 같은 비접촉식 센서가 이용될 수 있는데, 특히, 포토커플러는 슬라이드패널(10)의 정확한 위치검출이 가능하여, 전술한 이송스크류의 볼스크류의 구조(도 3 참조)와 함께 커버의 정밀 슬라이딩 제어를 구현하는데 기여한다.
더 나아가, 상기 감지부(76)에서 얻어진 슬라이드패널(10)의 위치 정보는 슬라이드패널(10)의 비정상적인 정지 및 이에 따른 모터의 과부하를 예방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감지부(76)에서 감지된 슬라이드패널(10)의 위치와 슬라이드패널(10)의 이동시간이 불일치하는 경우, 제어부(72)는 슬라이드패널(10)이 비정상적인 정지 상태에 놓인 것으로 판단하여 모터(6)를 정지시키거나, 그 모터(6)를 원래 회전방향의 반대방향으로 급속 회귀시킴으로써 모터의 과부하를 예방할 수 있다.
다시 도 1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이동통신 단말기(1)는 커버(3)의 닫힌 위치에서 본체(2) 상의 키패드(2a)가 커버(3)에 의해 가려짐을 알 수 있다. 이 경 우, 커버(3)의 개폐에 사용되는 입력부(74; 도 5 참조)로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측면에 설치되는 사이드키(2d)가 이용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변형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100)의 사시도이다. 구체적으로 도시되어 있지는 않지만, 본 실시예의 이동통신 단말기(100)는 커버(103)를 자동 슬라이딩시키는 구성 등 거의 모든 기술적 구성이 앞선 실시예와 같다. 다만, 본 실시예의 이동통신 단말기(100)는 커버(103)의 닫힘위치에서 본체(102) 상의 키패드(102b)가 외부로 노출되며, 이는 사용자가 본체(102) 상의 키패드(102b)를 이용하여 커버(103)의 자동 슬라이드 조작을 할 수 있도록 해준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이 특정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하여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취지 및 첨부된 특허청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변경 또는 수정이 당해 기술분야에서 있을 수 있으며, 따라서, 전술한 설명 및 도면은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한정하는 것이 아닌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져야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는, 커버의 자동 슬라이드가 가능하면서도, 커버 슬라이드 개폐시에 본체 또는 커버에 충격을 줄 수 있는 스프링의 필요성을 제거하여 주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간단하고 부피가 적은 이송스크류 유닛으로 이동통신 단말기의 자동 슬라이드 개폐를 구현하여 보다 단순하고 콤팩트한 자동 슬라이드형 이동통신 단말기의 제조를 가능케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커버의 슬라이딩을 정밀하게 제어할 수 있고 또한 정지된 위치에서의 커버를 흔들림 없이 본체 상에서 유지시켜줄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Claims (6)

  1. 본체와 커버를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일부가 되도록 상기 본체에 설치되는 고정패널과;
    상기 커버에 고정 설치되는 슬라이드패널과;
    상기 고정패널의 일측에 설치되되, 상기 고정패널 상에 고정 설치된 가이드 서포트와, 상기 가이드 서포트에 의해 지지된 가이드봉과, 상기 가이드봉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끼워지며 상기 슬라이드패널의 저면에 형성된 가이드블록으로 구성된 LM 가이드와;
    상기 고정패널의 타측에서 상기 LM 가이드와 평행하게 설치되되, 상기 고정패널 상에 고정 설치된 스크류 서포트와, 상기 스크류 서포트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볼스크류로 된 이송스크류와, 상기 이송스크류에 나사 이송식으로 맞물리며 상기 슬라이드패널의 저면에 고정 설치된 스크류 블록으로 구성된 이송스크류 유닛과;
    상기 이송스크류를 정역회전시켜 상기 슬라이드패널을 앞뒤로 슬라이딩시키도록 상기 이송스크류에 연결되며, 상기 슬라이드패널의 슬라이딩 위치 탐지를 위해, 인코더를 포함하는 모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슬라이드형 이동통신 단말기.
  2. 삭제
  3. 삭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모터는 H-브릿지 회로에 의해 정역 구동되는 직류모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슬라이드형 이동통신 단말기.
  5. 삭제
  6. 삭제
KR1020050037251A 2005-05-03 2005-05-03 자동 슬라이드형 이동통신 단말기 KR100673260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37251A KR100673260B1 (ko) 2005-05-03 2005-05-03 자동 슬라이드형 이동통신 단말기
CNA2006100729835A CN1859450A (zh) 2005-05-03 2006-04-07 自动滑盖型移动通信终端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37251A KR100673260B1 (ko) 2005-05-03 2005-05-03 자동 슬라이드형 이동통신 단말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14996A KR20060114996A (ko) 2006-11-08
KR100673260B1 true KR100673260B1 (ko) 2007-01-22

Family

ID=372983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37251A KR100673260B1 (ko) 2005-05-03 2005-05-03 자동 슬라이드형 이동통신 단말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0673260B1 (ko)
CN (1) CN1859450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1426040B (zh) * 2008-07-31 2012-01-18 苏州佳世达电通有限公司 滑盖机构及滑盖方法和应用该滑盖机构的电子装置
CN109889638A (zh) * 2019-04-02 2019-06-14 昆山嘉华电子有限公司 一种滑盖组件及应用该滑盖组件的电子设备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3095255A1 (fr) 2002-05-13 2003-11-20 Societe Europeenne De Brevets Automobiles Plage arriere de vehicule
KR20050013837A (ko) * 2003-07-29 2005-02-05 엘지전자 주식회사 자동 슬라이드 방식 이동통신 단말기
KR20050027654A (ko) * 2003-09-16 2005-03-21 에스케이텔레텍주식회사 슬라이드형 이동통신단말기
KR20050041271A (ko) * 2003-10-30 2005-05-04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자동 슬라이딩 타입 휴대용 전자 단말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3095255A1 (fr) 2002-05-13 2003-11-20 Societe Europeenne De Brevets Automobiles Plage arriere de vehicule
KR20050013837A (ko) * 2003-07-29 2005-02-05 엘지전자 주식회사 자동 슬라이드 방식 이동통신 단말기
KR20050027654A (ko) * 2003-09-16 2005-03-21 에스케이텔레텍주식회사 슬라이드형 이동통신단말기
KR20050041271A (ko) * 2003-10-30 2005-05-04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자동 슬라이딩 타입 휴대용 전자 단말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859450A (zh) 2006-11-08
KR20060114996A (ko) 2006-11-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16544B1 (ko) 슬라이드형 이동통신단말기 및 그 자동구동방법
US5404673A (en) Power window apparatus with safety device
EP1691532B1 (en) Slide type portable communication terminal
EP1517520A2 (en) Slide-typ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KR100664983B1 (ko) 자동/반자동/수동 슬라이드형 이동통신단말기
KR20060084231A (ko) 경사 개폐 방식 이동통신단말기
US7568848B2 (en) Magnetic sliding door structure
KR100689378B1 (ko) 휴대용 단말기의 힌지 장치
JP3759368B2 (ja) 水没検出パワーウインド装置
KR20050006932A (ko) 슬라이드형 휴대용 단말기의 개폐 장치
KR100673260B1 (ko) 자동 슬라이드형 이동통신 단말기
JP6789911B2 (ja) 開閉体制御装置
JP2016062652A (ja) 位置検出装置
JPH09170374A (ja) バックドア閉鎖操作制限装置
JP2854206B2 (ja) 安全装置付パワーウインド装置
KR100572101B1 (ko) 개폐감지용 스위치가 구비된 슬라이드형 이동통신단말기
CN218217142U (zh) 控制组件
JPH01150826A (ja) 過負荷検出機構
KR100754590B1 (ko) 휴대용 단말기의 개폐 장치
KR200176879Y1 (ko) 고주파 카드식 전자개폐기
KR100698650B1 (ko) 폴더형 이동통신 단말기
JPH11159245A (ja) 安全装置付パワーウインド装置
KR20060035498A (ko) 회전형 카메라 모듈을 구비한 통신단말기 및 이에사용되는 회전형 카메라 모듈
KR20060022568A (ko) 개폐감지장치를 갖는 회전형 이동통신 단말기
KR100830402B1 (ko) 개선된 폴더 개폐 각도를 갖는 단말기 폴더의 개폐 방법 및이를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2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2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2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24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