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54590B1 - 휴대용 단말기의 개폐 장치 - Google Patents

휴대용 단말기의 개폐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54590B1
KR100754590B1 KR1020050078291A KR20050078291A KR100754590B1 KR 100754590 B1 KR100754590 B1 KR 100754590B1 KR 1020050078291 A KR1020050078291 A KR 1020050078291A KR 20050078291 A KR20050078291 A KR 20050078291A KR 100754590 B1 KR100754590 B1 KR 10075459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s
sensor
opening
housing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782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23935A (ko
Inventor
김학현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782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54590B1/ko
Publication of KR200700239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2393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545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5459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한 쌍의 하우징들이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한 하우징이 다른 하우징에 대하여 회동함에 따라 개폐되는 휴대용 단말기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하우징들 중 어느 한 하우징에 장착되어 상기 하우징들이 폐쇄된 상태를 감지함과 동시에 폐쇄된 상태의 하우징들의 개방동작의 시작을 감지하는 제1 센서; 상기 한 쌍의 하우징들 중 다른 한 하우징에 장착되어 상기 제1 센서에 상응하는 제1 피감지 수단; 상기 하우징들을 개방시키거나 폐쇄시키는 방향으로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모터; 상기 한 쌍의 하우징들 중 어느 한 하우징에 장착되어 상기 하우징들이 개방된 상태를 감지함과 동시에 개방된 상태의 하우징들의 폐쇄동작의 시작을 감지하는 제2 센서; 상기 한 쌍의 하우징들 중 다른 한 하우징에 장착되어 상기 제2 센서에 상응하는 제2 피감지 수단; 및 상기 제1 또는 제2 센서가 개방 또는 폐쇄동작의 시작을 감지함에 따라 상기 구동모터를 동작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개폐 장치를 개시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휴대용 단말기의 개폐 장치는 사용자의 의도에 따라 개폐 동작이 편리하게 구현되면서, 별도의 작동 키를 설치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설계 및 제작이 용이한 장점이 있다.
단말기, 구동모터, 개폐, 센서

Description

휴대용 단말기의 개폐 장치 {OPENING/CLOSING DEVICE FOR PORTABLE TERMINAL}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 예에 따른 개폐 장치를 구비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개방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휴대용 단말기의 폐쇄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 실시 예에 따른 개폐 장치를 구비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개방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4는 도 3에 도시된 휴대용 단말기의 폐쇄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제2 실시 예에 따른 개폐 장치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본 발명은 휴대용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한 쌍의 하우징이 결합되어 어느 한 하우징이 다른 하우징 상에서 회동 또는 슬라이딩 이동함에 따라 개폐되는 휴대용 단말기의 개폐 장치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휴대용 단말기라 함은 이동통신 기지국 등을 통해 사용자와 사용자 또는 사용자와 서비스 업자 사이에서 무선통신 기능을 제공해주는 기기를 의미하는 것으로서, 음성 통화서비스, 단문 메시지 전송으로부터 모바일 뱅킹(mobile banking), TV 시청, 온라인 게임, 주문형 비디오 등 다양한 형태의 서비스 콘텐츠(contents)가 휴대용 단말기를 통해 사용자에게 제공되고 있다.
상기와 같은 휴대용 단말기는 그 외형에 따라 하나의 하우징에 통신회로, 송화부, 수화부 등의 입출력 장치가 설치된 바형 단말기, 바형 단말기에 플립 커버가 설치된 플립형 단말기, 한 쌍의 하우징이 회전함으로써 개폐되고 입출력 장치가 각각의 하우징에 분산 배치된 폴더형 단말기 등으로 분류된다. 최근에는 슬라이딩형 단말기 등이 등장하여 폴더형 단말기와 더불어 휴대성과 사용의 편리성을 증대시키면서 사용자의 다양한 취향들을 만족시켜 주고 있다.
폴더형 단말기, 슬라이딩형 단말기와 같이 한 쌍의 하우징으로 구성되면서 한 하우징이 다른 한 하우징 상에서 회동 또는 슬라이딩 이동함에 따라 개폐되는 단말기는 입출력 장치 및 통신 회로 등이 한 쌍의 하우징에 분산 배치된 단말기는 휴대시 한 쌍의 하우징을 서로 중첩시킨 상태로 사용하기 때문에 휴대가 간편한 장점이 있다. 이에, 최근 휴대용 단말기 시장에서 폴더형, 슬라이딩형 단말기가 주류를 차지하고 있는 추세이다.
이러한 폴더형, 슬라이딩형 단말기들 중 일부 제품에서는 구동모터를 사용하여 자동 개폐동작을 구현하고 있는데, 자동 개폐동작을 구현하는 개폐장치들은 구 동모터를 동작시키기 위한 작동 키를 별도로 구비하고 있어 키의 배치 등 설계 및 제품 제작이 번거로운 단점이 있다. 또한, 구동모터 동작을 위한 작동 키는 단말기가 폐쇄된 상태에서도 외부로 노출되어야 단말기를 개방시키기 위한 조작이 가능한데, 외부로 항시 노출된 상태를 유지해야 하는 작동 키는 단말기의 외관을 저하시키는 단점이 있다. 더욱이, 작동 키의 오동작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키 입력 시간을 1~3초 이상 유지한 경우 구동모터가 동작하도록 설정되어 사용이 불편한 단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목적은 별도의 작동 키를 설치하지 않고도 자동 개폐동작의 구현이 가능하여 설계 및 제품 제작이 용이한 휴대용 단말기의 개폐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별도의 작동 키가 불필요하므로, 단말기 외관을 저해하지 않고 자동 개폐동작의 구현이 가능한 휴대용 단말기의 개폐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사용자의 의도에 따라 개폐동작이 이루어져 사용이 편리한 휴대용 단말기의 개폐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한 쌍의 하우징들이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한 하우징이 다른 하우징에 대하여 회동함에 따라 개폐되는 휴대용 단말기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하우징들 중 어느 한 하우징에 장착되어 상기 하우징들이 폐쇄된 상태를 감지함과 동시에 폐쇄된 상태의 하우징들의 개방동작의 시작을 감지하는 제1 센서;
상기 한 쌍의 하우징들 중 다른 한 하우징에 장착되어 상기 제1 센서에 상응하는 제1 피감지 수단;
상기 하우징들을 개방시키거나 폐쇄시키는 방향으로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모터;
상기 한 쌍의 하우징들 중 어느 한 하우징에 장착되어 상기 하우징들이 개방된 상태를 감지함과 동시에 개방된 상태의 하우징들의 폐쇄동작의 시작을 감지하는 제2 센서;
상기 한 쌍의 하우징들 중 다른 한 하우징에 장착되어 상기 제2 센서에 상응하는 제2 피감지 수단; 및
상기 제1 또는 제2 센서가 개방 또는 폐쇄동작의 시작을 감지함에 따라 상기 구동모터를 동작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구동모터는 상기 하우징들을 접철시키거나 멀어지는 방향으로 회동시키는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휴대용 단말기의 개폐 장치를 개시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 예에 따른 개폐 장치를 구비하는 휴대용 단말기(100)는 제2 하우징(102)이 제1 하우징(101)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제2 하우징(102)이 상기 제1 하우징(101) 상에서 회동함에 따라 개폐되는 폴더형 단말기이다.
도시되지는 않지만, 상기 제1 하우징(101)에는 키패드, 송화부와 같은 입력장치가, 상기 제2 하우징(102)에는 디스플레이 장치, 수화부와 같은 출력장치가 각각 설치되고, 힌지 암, 힌지 모듈 등으로 구성된 힌지부(H)를 통해 상기 제1 하우 징(101)과 상기 제2 하우징(102)이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제1 하우징(101) 상에는 상기 단말기(100)의 개폐상태를 감지하는 한 쌍의 센서(111, 112)들이 장착되어 있고, 상기 제2 하우징(102) 상에는 상기 센서(111, 112)들에 각각 상응하는 피감지 수단(121, 122)이 장착되어 있다. 상기 센서(111, 112)들 중 하나는 상기 단말기(100)의 폐쇄상태를 감지하는 제1 센서(111)로 구성되고 상기 제2 하우징(102)에는 그에 상응하는 제1 피감지 수단(121)이, 상기 센서(111, 112)들 중 다른 하나는 상기 단말기(100)의 개방상태를 감지하는 제2 센서(112)로 구성되고 그에 상응하는 제2 피감지 수단(122)이 상기 제2 하우징(102)에 각각 설치되는 것이다.
상기 힌지부(H)에는 구동모터(미도시)가 설치되어 상기 제1 또는 제2 센서(111, 112)로부터 감지되는 상기 단말기(100)의 개폐동작에 따라 상기 제2 하우징(102)이 상기 제1 하우징(101)으로부터 멀어지거나 상기 제1 하우징(101)으로 접철되는 구동력을 제공하게 된다.
상기 단말기(100)는 제어부를 구비하여 상기 제1, 제2 센서(111, 112)로부터 감지되는 신호에 따라 상기 구동모터를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작동시키거나, 작동 중인 구동모터를 정지시키기 위한 제어신호를 발생시키게 된다.
즉, 상기 단말기(100)의 개폐 장치는 제1, 제2 센서(111, 112)와 구동모터 사이에 제어부가 설치되며, 상기 센서(111, 112)들로부터 감지되는 상기 제2 하우징(102)의 동작에 따라 상기 제어부가 상기 구동모터의 동작을 제어하게 되는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제2 실시 예에 따른 개폐 장치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10)이다. 이하에서는, 도 5를 더 참조하여 상기 단말기(100)의 개폐동작을 더 상세하게 살펴보기로 한다.
상기 제2 하우징(102)이 제1 지점(①)에 위치된 상태에서 상기 제1 센서(111)는 상기 단말기(100)가 폐쇄된 상태를 감지하고 제어부는 이를 유지시키게 된다. 즉, 상기 단말기(100)가 폐쇄된 때, 상기 제어부는 어떠한 신호도 발생시키지 않거나, 신호를 발생시킨다 하더라도 상기 제2 하우징(102)이 상기 제1 하우징(101)에 접철되는 방향으로 상기 구동모터를 동작시키게 되는 것이다.
사용자가 상기 단말기(100)를 개방시키기 위하여, 상기 제2 하우징(102)을 상기 제1 하우징(101)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시키면 상기 제1 센서(111)는 상기 단말기(100)의 개방동작의 시작을 감지하고 상기 제어부를 통해 상기 구동모터를 동작시키게 된다. 이로써, 상기 제2 하우징(102)이 상기 제1 하우징(101)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회동하게 된다. 한편, 상기 제1 센서(111)가 상기 단말기(100)의 개방동작을 감지하는 시점은 상기 제2 하우징(102)이 제2 지점(②)에 위치되는 때로 설정된다. 즉, 상기 제1 센서(111)는 상기 제2 하우징(102)이 상기 제1 지점(①)과 제2 지점(②) 사이에 위치된 때에는 상기 단말기(100)가 폐쇄된 상태로 인지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상기 제2 하우징(102)은 일정 구간 내에서 회동하더라도 상기 제1 센서(111)의 감도에 따라 상기 단말기(100)는 폐쇄된 상태로 인지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상기 제1 센서(111)가 폐쇄된 상태로부터 개방동작의 시작을 인지하지 못한 상태에서 상기 단말기(100)는 폐쇄상태를 계속유지하게 된다.
상기 제1 센서(111)가 개방동작의 시작을 감지하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 하우징(102)을 제3 지점(③)으로 회동시켜 단말기의 개방이 완료될 때까지 상기 구동모터를 작동시키게 된다. 상기 단말기(100)의 개방이 완료되는 것은 상기 제2 센서(112)에 의해 감지되며, 상기 제2 센서(112)가 상기 단말기(100)의 개방이 완료된 것을 감지하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구동모터를 정지시키게 된다.
상기와 같이, 상기 단말기(100)가 폐쇄된 상태에서는 상기 제1 센서(111)의 감지신호에 따라 상기 구동모터를 구동시켜 개방동작이 시작되고, 상기 제2 피감지 수단(122)이 상기 제2 센서(112)와 대면하면, 상기 제2 센서(112)에 의해 상기 단말기(100) 개방이 완료되었음을 감지하여 구동모터를 정지시키게 된다.
상기 제1 센서(111)와 제1 피감지 수단(121)은 상기 단말기(100) 상의 임의의 위치에 설치되면서, 상기 제1 하우징(101)과 제2 하우징(102)이 접철된 상태를 감지하기 용이한 위치에 설치된다. 반면, 상기 단말기(100)의 개방 완료를 감지하는 제2 센서(112)와 제2 피감지 수단(122)은 상기 힌지부(H) 내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상기 제1 센서(111)와 제1 피감지 수단(121), 제2 센서(112)와 제2 피감지 수단(121)의 설치 위치는 당업자라면 용이하게 설정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상기 제1 센서(111)로부터 상기 단말기(100)가 폐쇄된 상태가 감지되지 않으면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 센서(112)를 통해 상기 단말기(100)가 개 방된 상태임을 인지하고, 상기 단말기(100)의 폐쇄동작을 제어하게 된다. 즉, 상기 제2 센서(112)는 상기 제2 하우징(102)이 상기 제1 하우징(101)으로부터 멀어진 위치로 회동하여 상기 단말기(100)가 개방된 상태를 감지하는 것이다. 사용자가 상기 단말기(100)를 폐쇄시키기 위하여 상기 제2 하우징(102)을 제3 지점(③)으로부터 제4 지점(④)으로 회동시키면 상기 제2 센서(112)는 상기 단말기(100)의 폐쇄동작을 감지하고, 상기 제어부를 상기 제2 센서(112)의 감지에 따라 상기 구동모터를 동작시키게 된다. 상기 구동모터는 상기 제2 하우징(102)을 상기 제1 하우징(101)에 접철시키는 방향으로 구동력을 발생시키게 된다. 상기 제2 하우징(102)이 상기 제3 지점(③)과 제4 지점(④) 사이에 위치된 때, 상기 제2 센서(112)는 상기 단말기(100)가 개방된 상태로 인지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제어부는 어떠한 신호도 발생시키지 않거나, 신호를 발생시킨다 하더라도 상기 제2 하우징(102)이 상기 제1 하우징(101)으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상기 구동모터를 동작시키게 된다. 상기 제2 하우징(102)이 상기 제1 하우징(101) 상에 접철되면 상기 제1 센서(111)는 상기 단말기(100)의 폐쇄동작이 완료되었음을 감지하고 제어부는 상기 구동모터를 정지시키게 된다.
한편, 상기 단말기(100)의 개방동작 중 상기 제2 하우징(102)이 상기 제1 지점(①)과 제2 지점(②) 사이에 위치된 때 상기 제1 센서(111)는 상기 단말기(100)의 폐쇄상태로 인지하면서도, 상기 단말기(100)의 폐쇄동작 중에는 상기 제2 하우징(102)이 상기 제1 하우징(101)에 완전히 접철되는 시점만 감지하게 된다. 마찬가지로, 상기 단말기(100)의 폐쇄동작 중 상기 제2 하우징(102)이 상기 제3 지점(③) 과 제4 지점(④) 사이에 위치된 때 상기 제2 센서(112)는 상기 단말기(100)의 개방상태로 인지하면서도, 상기 단말기(100)의 개방동작 중에는 상기 제2 하우징(102)의 회동이 완료되는 시점만 감지하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센서(111, 112)들의 동작이 그 동작 조건에 따라 달라지는 것은 상기 단말기(100)의 개방 상태 또는 폐쇄 상태에 따라 상기 제1, 제2 센서(111, 112)의 설정이 다르게 규정됨으로써 가능하게 된다.
도 3과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 실시 예에 따른 개폐 장치가 슬라이딩형 단말기(200)에 적용된 예를 나타내고 있다. 도시되지는 않지만, 상기 슬라이딩형 단말기(200)는 일면에 키패드와 송화부가 설치된 제1 하우징(201), 디스플레이 장치와 수화부가 설치된 제2 하우징(201)으로 구성되어 있다. 제품에 따라 상기 제2 하우징(201) 상에 기능성 키패드가 설치되기도 한다. 상기 단말기(200)는 상기 제2 하우징(202)이 상기 제1 하우징(201) 상에서 슬라이딩 이동함에 따라 상기 제1 하우징(201)의 키패드와 송화부가 개폐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상기 단말기(200)의 개폐 여부를 감지하기 위하여, 상기 제1 하우징(201)에는 제1, 제2 센서(211, 212)가, 상기 제2 하우징(202)에는 피감지 수단(221)이 각각 설치되어 있다. 상기 제1 센서(211)는 상기 제2 하우징(202)이 상기 제1 하우징(201)을 폐쇄시킨 때 상기 피감지 수단(221)에 대면하는 위치에 설치되고, 상기 제2 센서(212)는 상기 제2 하우징(202)이 상기 제1 하우징(201)을 개방시킨 때 상기 피감지 수단(221)에 대면하는 위치에 설치된다. 상기 단말기(200)는 랙 기어, 피니 언 기어 등의 조합을 통해 구동모터의 회전운동을 직선운동으로 전환시키게 된다. 상기 제1, 제2 센서(211, 212)의 감지신호를 통해 상기 구동모터를 구동시키는 제어부가 상기 단말기(200) 내에 구성된다.
상기 단말기(200)의 개방 동작에서, 상기 제2 하우징(202)이 상기 제1 하우징(201)을 폐쇄시킨 제1 지점(①)으로부터 제2 지점(②) 사이의 구간에서 상기 제1 센서(211)를 통해 상기 제어부는 상기 단말기(200)가 폐쇄된 상태로 인지하게 된다. 상기 제2 하우징(202)이 상기 제2 지점(②)을 초과하여 이동하게 되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센서(211)를 통해 상기 단말기(200)의 개방동작이 시작되었음을 인지하여 상기 구동모터를 작동시키게 된다. 상기 피감지 수단(221)이 상기 제2 센서(212)에 대면하는 제3 지점(③)까지 상기 제2 하우징(202)이 슬라이딩 이동하면 상기 제2 센서(212)가 상기 피감지 수단(221)을 감지하고, 그에 따라 상기 제어부는 상기 구동모터를 정지시키게 된다. 상기 단말기(200)의 폐쇄동작은 상기 제3 지점(③)으로부터 제4 지점(④)까지 사용자가 상기 제2 하우징(202)을 슬라이딩 이동시킨 때 상기 구동모터가 작동함으로써 가능하게 된다. 상기 슬라이딩형 단말기(200)의 개폐 동작은 선행 실시 예의 폴더형 단말기와 유사하게 구현되며, 다만 선행 실시 예의 단말기(100)는 제2 하우징(102)이 회동함으로써 개폐되는 구성이고, 본 실시 예의 단말기(200)는 제2 하우징(202)이 슬라이딩 이동함으로써 개폐되는 구성에 차이가 있다.
상기 단말기(200)의 개폐 동작에 따른 상기 제1, 제2 센서(211, 212)의 동작과 그 설치 위치, 센서의 감도 등은 선행 실시 예를 통해 더욱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개폐 장치를 구성함에 있어서, 상기 제1, 제2 센서(111, 211, 112, 212)로는 자기력을 감지하는 홀 센서를 활용할 수 있다. 상기 제1, 제2 센서(111, 211, 112, 212)로서 홀 센서가 사용된 경우, 상기 피감지 센서(121. 122, 221)는 고무 자석과 같은 자성체가 이용됨을 당업자라면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폴더형 단말기의 경우 제1 센서(111)는 상기 제1 하우징(101)과 제2 하우징(102)의 물리적 접촉을 인지할 수 있는 컨택트 스위치(contact switch) 등을 이용할 수 있음을 당업자라면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다만, 이러한 물리적 스위치를 센서로 이용하는 경우, 이물질 등의 오염에 의해 그 감도가 저하되거나 오동작이 발생될 수 있음에 유의하여야 할 것이다.
이상,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하다 할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개폐 장치는 한 하우징이 다른 한 하우징 상에서 상대적인 이동을 함에 따라 개폐되는 단말기에 구성되면서, 별도의 작동 키를 설치하지 않고 센서를 이용하여 개폐 동작을 감지하여 구동모터를 동작시킴으로써 제품의 설계와 제작이 용이한 장점이 있다. 즉, 종래의 자 동 개폐동작이 구현된 단말기는 별도의 작동 키를 설치하여 제조 과정이 복잡하고 단말기의 외관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으나, 단말기의 개폐 동작이 센서에 의해 감지되므로 별도의 작동 키를 설치할 필요가 없는 것이다. 또한, 종래의 작동 키를 사용한 경우 오동작 등을 방지하기 위하여 일정 시간 이상 작동 키를 조작시켜야 구동모터의 동작이 시작되었으나, 본 발명에 따른 개폐 장치는 센서에 의해 단말기의 개폐 동작 여부를 감지하게 되므로 사용자의 의도에 충실한 자동 개폐동작을 구현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Claims (5)

  1. 한 쌍의 하우징들이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한 하우징이 다른 하우징에 대하여 회동함에 따라 개폐되는 휴대용 단말기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하우징들 중 어느 한 하우징에 장착되어 상기 하우징들이 폐쇄된 상태를 감지함과 동시에 폐쇄된 상태의 하우징들의 개방동작의 시작을 감지하는 제1 센서;
    상기 한 쌍의 하우징들 중 다른 한 하우징에 장착되어 상기 제1 센서에 상응하는 제1 피감지 수단;
    상기 하우징들을 개방시키거나 폐쇄시키는 방향으로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모터;
    상기 한 쌍의 하우징들 중 어느 한 하우징에 장착되어 상기 하우징들이 개방된 상태를 감지함과 동시에 개방된 상태의 하우징들의 폐쇄동작의 시작을 감지하는 제2 센서;
    상기 한 쌍의 하우징들 중 다른 한 하우징에 장착되어 상기 제2 센서에 상응하는 제2 피감지 수단; 및
    상기 제1 또는 제2 센서가 개방 또는 폐쇄동작의 시작을 감지함에 따라 상기 구동모터를 동작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구동모터는 상기 하우징들을 접철시키거나 멀어지는 방향으로 회동시키는 구동력을 발생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개폐 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제2 센서는 각각 홀 센서로 제작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개폐 장치.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또는 제2 센서로부터 상기 단말기가 완전히 폐쇄된 상태 또는 완전히 개방된 상태를 감지한 때, 상기 제어부는 상기 구동모터를 정지시키는 제어신호를 발생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개폐 장치.
KR1020050078291A 2005-08-25 2005-08-25 휴대용 단말기의 개폐 장치 KR10075459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78291A KR100754590B1 (ko) 2005-08-25 2005-08-25 휴대용 단말기의 개폐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78291A KR100754590B1 (ko) 2005-08-25 2005-08-25 휴대용 단말기의 개폐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23935A KR20070023935A (ko) 2007-03-02
KR100754590B1 true KR100754590B1 (ko) 2007-09-05

Family

ID=380987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78291A KR100754590B1 (ko) 2005-08-25 2005-08-25 휴대용 단말기의 개폐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54590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06932A (ko) * 2003-07-10 2005-01-17 엘지전자 주식회사 슬라이드형 휴대용 단말기의 개폐 장치
KR20050014097A (ko) * 2003-07-30 2005-02-07 에스케이텔레텍주식회사 슬라이드형 이동통신단말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06932A (ko) * 2003-07-10 2005-01-17 엘지전자 주식회사 슬라이드형 휴대용 단말기의 개폐 장치
KR20050014097A (ko) * 2003-07-30 2005-02-07 에스케이텔레텍주식회사 슬라이드형 이동통신단말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23935A (ko) 2007-03-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08726B1 (ko) 양방향 슬라이드형 휴대용 단말기
US6885849B1 (en) Automatically closable mobile telephone
KR100531880B1 (ko) 슬라이드형 휴대용 단말기의 개폐 장치
GB2418808A (en) Foldable mobile telephone with ambient light sensor
JP2001109544A (ja) タッチ・センス・スクリーンを備えるデバイス
KR100703339B1 (ko) 슬라이딩 타입 휴대용 무선 단말기 및 이 무선단말기에서의 슬라이딩 제어 방법
JP2007512726A (ja) 回転式ディスプレイを備えた携帯デバイス
KR100689378B1 (ko) 휴대용 단말기의 힌지 장치
US7398112B2 (en) Folding cell phone and other folding mobile terminal
JP2003169115A (ja) 折り畳み式携帯電話機
JP2004147279A (ja) 折り畳み式電子機器
KR100754590B1 (ko) 휴대용 단말기의 개폐 장치
KR100369653B1 (ko) 자동 및 수동 겸용 접이형 휴대용 무선단말기에서의서브바디 개폐 제어방법 및 장치
KR100641199B1 (ko) 터치스크린 오작동 방지장치를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
KR100780731B1 (ko) 오토폴더형 휴대 단말 및 그 구동방법
KR200367900Y1 (ko) 폴더형 이동통신 단말기의 개폐감지장치
KR200368659Y1 (ko) 360도 회전하는 폴더형 이동 통신 단말기
KR100690839B1 (ko) 카메라를 구비한 휴대 단말기
JP2003319036A (ja) 移動通信装置
KR100572101B1 (ko) 개폐감지용 스위치가 구비된 슬라이드형 이동통신단말기
KR100800766B1 (ko) 슬라이드 타입 휴대단말기의 동작 제어 장치
KR100350467B1 (ko) 자동 및 수동 겸용 접이형 휴대용 무선단말기에서의서브바디 개폐 제어방법 및 장치
KR100513323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착신신호 감지방법
KR20040007886A (ko) 휴대폰의 디스플레이 제어장치
KR20060124084A (ko) 폴더형 단말기의 디스플레이 모드 자동 전환하는 방법 및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3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3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3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3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8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