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76879Y1 - 고주파 카드식 전자개폐기 - Google Patents

고주파 카드식 전자개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76879Y1
KR200176879Y1 KR2019990022917U KR19990022917U KR200176879Y1 KR 200176879 Y1 KR200176879 Y1 KR 200176879Y1 KR 2019990022917 U KR2019990022917 U KR 2019990022917U KR 19990022917 U KR19990022917 U KR 19990022917U KR 200176879 Y1 KR200176879 Y1 KR 20017687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cking pin
door
plunger
lever
high frequenc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9002291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현중
Original Assignee
윤현중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현중 filed Critical 윤현중
Priority to KR201999002291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7687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7687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76879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63/00Locks or fastenings with special structural characteristic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7/00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ush-Button Switch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고주파 카드(Radio Frequency Card)를 이용하여 도어를 개방시키는 고주파 카드식 전자개폐기에 관한 것으로, 록킹핀을 밀어주는 플런저를 도어 프레임내에 직각방향으로 길게 설치하여 도어의 잠금시 록킹핀을 보다 큰 힘으로 밀어 주어 도어의 잠김상태를 보다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를 위해, 도어 프레임(1)내에 설치되는 하우징(2)에 록킹핀(4)이 스프링(3)으로 탄력 설치되고 상기 록킹핀의 상측으로는 도어의 닫힘상태를 감지하는 볼(9) 및 개폐상태 검출 스위치(10)가 구비된 전자개폐기에 있어서, 하우징(2)내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어 록킹핀(4)을 밀어주는 'ㄱ'형상의 레버(16)와, 상기 레버의 직하방에 록킹핀과 직교되게 설치되어 승강운동하는 플런저(18)와, 상기 플런저의 외주면에 위치되어 인가되는 전류에 의해 기전력을 발생시키는 코일(20)로 구성된 것이다.

Description

고주파 카드식 전자개폐기{.}
본 고안은 외부의 신호로부터 도어를 자동으로 잠그거나, 개방시키는 전자개폐기에 관한 것으로서, 좀 더 구체적으로는 고주파 카드(Radio Frequency Card)를 이용하여 도어를 개방시키는 고주파 카드식 전자개폐기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전자개폐기를 나타낸 개략도이고 도 2는 종래 전자개폐기의 구동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회로도로서, 그 구조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어 프레임(1)에 수평방향으로 설치되는 하우징(2)과, 상기 하우징내에 수평 이동가능하게 스프링(3)으로 탄력 설치된 록킹핀(4)과, 상기 록킹핀의 후방에 설치되어 코일(5)에 유기되는 전류에 의해 진퇴운동하면서 록킹핀을 밀어주는 플런저(6)와, 문틀(7)의 도어 접속면에 고정되어 상기 록킹핀(4)이 구멍(8a)에 끼워짐에 따라 도어의 잠김상태를 유지하는 록킹편(8)과, 상기 하우징의 상측에 위치되어 도어의 닫힘에 따라 이를 감지하는 볼(9) 및 개폐상태 검출 스위치(10)와, 도어에 설치되어 사용자의 고주파 카드(11)에 입력된 정보를 읽어 들이는 감지부(12)와, 상기 감지부에 의해 읽은 정보를 판단하거나, 도어의 닫힘을 판단하여 코일(5)에 인가되는 전류의 흐름을 제어하는 콘트롤부(13)와, 상기 코일(5)에 전원을 인가하는 전원장치(14) 및 충전 밧데리(15)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조를 갖는 전자개폐기는 화재 또는 정전 등으로 코일(5)에 인가되던 전원의 공급이 차단될 경우에는 록킹핀(4)의 걸림상태가 해제되도록 설계된다.
따라서 도어가 열린 상태에서는 볼(9)이 최대한 밖으로 튀어나와 개폐상태 검출 스위치(10)의 접점이 오프(off)되어 있으므로 전원장치(14) 또는 충전 밧데리(15)의 전원이 코일(5)에 인가되지 않고, 이에 따라 하우징(2)내의 록킹핀(4)은 스프링(3)의 복원력에 의해 하우징(2)내에 수용되어 있다.
이러한 상태에서 사용자가 도어를 닫으면 밖으로 최대한 튀어 나와있던 볼(9)이 문틀(7)에 접속되어 후방으로 밀리면서 개폐상태 검출 스위치(10)의 접점을 온(on)시키게 되므로 콘트롤부(13)가 전원장치(14) 또는 충전 밧데리(15)의 전원을 코일(5)에 인가하게 된다.
이와 같이 코일(5)에 전류가 흐르면 상기 코일에 유기된 전류에 의해 플런저(6)가 도면상 좌측으로 신속하게 이동하면서 록킹핀(4)을 밀어주게 되므로 상기 록킹핀이 스프링(3)을 압축시키면서 록킹편(8)에 형성된 구멍(8a)내에 끼워지게 되므로 도어의 잠김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한편, 잠겨져 있던 도어를 개방하기 위해서 사용자가 고주파 카드(11)를 감지부(12)에 대면 상기 감지부가 고주파 카드에 입력된 정보를 읽어 콘트롤부(13)를 구동시키게 되므로 상기 콘트롤부내의 릴레이(도시는 생략함)가 설정된 시간동안 오프되어 코일(5)내에 흐르던 전류의 공급을 차단시키게 된다.
이에 따라, 록킹편(8)의 구멍(8a)내에 걸려 있던 록킹핀(4)이 스프링(3)의 복원력에 의해 후방(도면상 우측)으로 밀려 도어의 잠김상태를 해제시키게 되므로 도어를 수동으로 개방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전자개폐기는 록킹핀(4)과 플런저(6)가 인라인(수평)방향으로 배열되어 폭이 한정된 도어 프레임(1)내에 설치되므로 인해 코일(5)의 길이를 짧게 구성할 수 밖에 없었고, 이에 따라 도어의 잠금시 록킹핀(4)을 밀어주는 힘이 약하여 도어의 잠김상태가 불안정한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코일(5)의 길이가 짧아 도어의 잠금상태시 코일에 인가되는 전원이 불안정하여 록킹핀(4)이 일정범위내에서 반복적으로 진퇴운동하므로 소음이 발생되는 문제점도 있었다.
본 고안은 종래의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록킹핀을 밀어주는 플런저를 도어 프레임내에 직각방향으로 길게 설치하여 도어의 잠금시 록킹핀을 보다 큰 힘으로 밀어 주어 도어의 잠김상태를 보다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전자개폐기를 나타낸 개략도
도 2는 종래 전자개폐기의 구동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회로도
도 3은 본 고안의 전자개폐기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4a 및 도 4b는 도 3의 결합상태 종단면도로서,
도 4a는 도어가 개방된 상태도
도 4b는 도어가 닫힌 상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도어 프레임 2 : 하우징
4 : 록킹핀 16 : 레버
16a : 곡면 18 : 플런저
19 : 볼 20 : 코일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형태에 따르면, 도어 프레임내에 설치되는 하우징에 록킹핀이 스프링으로 탄력 설치되고 상기 록킹핀의 상측으로는 도어의 닫힘상태를 감지하는 볼 및 개폐상태 검출 스위치가 구비된 전자개폐기에 있어서, 하우징내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어 록킹핀을 밀어주는 'ㄱ'형상의 레버와, 상기 레버의 직하방에 록킹핀과 직교되게 설치되어 승강운동하는 플런저와, 상기 플런저의 외주면에 위치되어 인가되는 전류에 의해 기전력을 발생시키는 코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주파 카드식 전자개폐기가 제공된다.
이하, 본 고안을 일 실시예로 도시한 도 3 및 도 4를 참고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고안의 전자개폐기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고 도 4a 및 도 4b는 도 3의 결합상태 종단면도로서, 본 고안의 구성중 종래의 구성과 동일한 부분은 그 설명을 생략하고 동일부호를 부여하기로 한다.
본 고안은 하우징(2)내에 록킹핀(4)이 수평 이동가능하게 스프링(3)으로 탄력 설치되어 있고 상기 록킹핀의 후방에는 록킹핀(4)을 밀어주는 'ㄱ'형상의 레버(16)가 핀(17)을 중심으로 회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레버의 직하방에는 승강운동하는 플런저(18)가 록킹핀(4)과 직교되게 설치되어 있다.
상기 레버(16)는 플런저(18)의 수직운동을 록킹핀(4)의 수평운동으로 절환시키는 역할을 하게 된다.
이 때, 상기 레버(16)의 일면과 플런저(18)의 상면이 직접 접속되도록 설치하여도 전자개폐기의 동작이 가능하지만,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서는 레버(16)의 보다 원활한 회동운동이 이루어지도록 레버(16)의 일면에 만곡된 곡면(16a)이 구비되어 있고, 플런저(18)의 상면에는 플런저의 승강운동시 만곡된 곡면(16a)에 접속되게 볼(19)이 위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플런저(18)의 외주면에는 도어의 개폐시 인가되는 전류에 의해 기전력을 발생시키는 코일(20)이 위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4a와 같이 도어가 열린 상태에서는 볼(9)이 최대한 밖으로 튀어나와 개폐상태 검출 스위치(10)가 오프되어 있으므로 전원장치(14) 또는 충전 밧데리(15)의 전원이 코일(20)에 인가되지 않고, 이에 따라 하우징(2)내의 록킹핀(4)이 스프링(3)의 복원력에 의해 하우징(2)내에 수용되어 있어 핀(17)을 중심으로 회동운동하는 레버(16)가 시계방향으로 완전히 회동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므로 플런저(18)가 하사점에 위치하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도어가 개방된 상태에서는 플런저(18)와 레버(16)의 곡면(16a)사이에 위치하는 볼(19)은 플런저(18)의 상면에 얹혀져 있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사용자가 문을 닫으면 밖으로 최대한 튀어 나와있던 볼(19)이 문틀(7)에 접속되어 후방으로 밀리면서 종래의 전자개폐기와 마찬가지로 개폐상태 검출스위치(10)의 접점을 온시키게 되므로 콘트롤부(13)가 전원장치(14) 또는 충전 밧데리(15)의 전원을 코일(20)에 인가하게 된다.
이와 같이 코일(20)에 전류가 흐르면 상기 코일에 유기된 전류에 의해 플런저(18)가 상승하면서 볼(19)을 상측으로 밀어 올리게 되므로 시계방향으로 회동되어 있던 레버(16)가 핀(17)을 중심으로 하여 반시계방향으로 회동하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레버(16)가 록킹핀(4)을 좌측으로 밀어주게 되므로 상기 록킹핀이 스프링(3)을 압축시키면서 도 4b와 같이 록킹편(8)에 형성된 구멍(8a)내에 끼워져 도어의 잠김상태를 유지하게 되는데, 이 때 상기 레버(16)의 곡면(16a)상에 위치하는 볼(19)은 플런저(18)의 측면과 접속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한편, 잠겨져 있던 도어를 개방하기 위해서 사용자가 고주파 카드(11)를 감지부(12)에 대면 상기 감지부가 고주파 카드에 입력된 정보를 읽어 콘트롤부(13)를 구동시키게 되므로 상기 콘트롤부내의 릴레이가 오프되어 코일(20)내에 흐르던 전류를 설정된 시간동안 차단시키게 된다.
이에 따라, 록킹편(8)의 구멍(8a)내에 걸려 있던 록킹핀(4)이 스프링(3)의 복원력에 의해 후방(도면상 우측)으로 밀리면서 록킹편(8)의 구멍(8a)으로부터 빠져 나와 도어의 잠김상태를 해제시키게 되므로 도어를 수동으로 개방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은 동작시 록킹핀(4)이 회동되어 있던 레버(16)를 초기상태인 도 4a와 같이 시계방향으로 회동시키게 되므로 상사점에 위치되어 있던 플런저(18)가 하사점까지 하강하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은 플런저(18)의 수직운동을 레버(16)에 의해 수평 운동으로 절환하여 록킹핀(4)을 진퇴운동시키게 되므로 도어 프레임(1)의 폭을 최소화하고도 보다 큰 힘을 갖는 전자개페기의 설치가 가능해지게 되고, 이에 따라 도어의 보안장치인 전자개폐기의 신뢰성을 보다 향상시키게 되는 효과를 얻게 된다.

Claims (2)

  1. 도어 프레임내에 설치되는 하우징에 록킹핀이 스프링으로 탄력 설치되고 상기 록킹핀의 상측으로는 도어의 닫힘상태를 감지하는 볼 및 개폐상태 검출 스위치가 구비된 전자개폐기에 있어서, 하우징내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어 록킹핀을 밀어주는 'ㄱ'형상의 레버와, 상기 레버의 직하방에 록킹핀과 직교되게 설치되어 승강운동하는 플런저와, 상기 플런저의 외주면에 위치되어 인가되는 전류에 의해 기전력을 발생시키는 코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주파 카드식 전자개폐기.
  2. 제 1 항에 있어서,
    레버의 일면에 만곡된 곡면이 구비되고, 플런저의 상면에는 볼이 위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주파 카드식 전자개폐기.
KR2019990022917U 1999-10-22 1999-10-22 고주파 카드식 전자개폐기 KR20017687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22917U KR200176879Y1 (ko) 1999-10-22 1999-10-22 고주파 카드식 전자개폐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22917U KR200176879Y1 (ko) 1999-10-22 1999-10-22 고주파 카드식 전자개폐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76879Y1 true KR200176879Y1 (ko) 2000-04-15

Family

ID=195933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22917U KR200176879Y1 (ko) 1999-10-22 1999-10-22 고주파 카드식 전자개폐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76879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32739B1 (ko) * 2020-02-27 2021-03-25 강용순 고전압 수배전반 도어락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32739B1 (ko) * 2020-02-27 2021-03-25 강용순 고전압 수배전반 도어락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307658A (en) Key cylinder device
US6138916A (en) Landing contact mechanism and card latch for smart card reader/writer
GB2429032A (en) Electromagnetic lock actuator and mechanism
JP2004267744A (ja) シートベルトバックル装置
EP0373232A1 (en) Motor driven lock control
EP1672150B1 (en) Compact, symmetrical electric door-opener
US6951473B2 (en) IC card reader
KR100747983B1 (ko) 데드볼트식 전자석도어록
CN110011131B (zh) 一种安全插座
KR200176879Y1 (ko) 고주파 카드식 전자개폐기
KR102481001B1 (ko) 특히 가전기기를 위한 도어 잠금 장치
US6501646B2 (en) Docking apparatus for note-type personal computer having improved releasing function
CN206801257U (zh) 电子锁
KR200176880Y1 (ko) 고주파 카드식 전자개폐기의 소비전력 절감장치
KR20030019544A (ko) 디지털 오토 도어록 장치
KR100488665B1 (ko) 도어 파손을 방지하는 도어 체커
JPH09170374A (ja) バックドア閉鎖操作制限装置
KR200367501Y1 (ko) 2단 슬라이드 방식의 커버 장치를 구비한 디지털 도어락
JP2001252440A (ja) 可変入賞装置の防犯機構
GB2327152A (en) Device for automatically locking a power button in a computer
CN111663856A (zh) 智能插芯锁锁体
KR100662023B1 (ko) 건축물 도어의 재래식 잠금장치
KR101958314B1 (ko) 패닉 기능을 구비한 출입문 제어 장치
JPH0326592Y2 (ko)
JP2001057132A (ja) 蓋開閉検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