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41271A - 자동 슬라이딩 타입 휴대용 전자 단말기 - Google Patents

자동 슬라이딩 타입 휴대용 전자 단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41271A
KR20050041271A KR1020030076391A KR20030076391A KR20050041271A KR 20050041271 A KR20050041271 A KR 20050041271A KR 1020030076391 A KR1020030076391 A KR 1020030076391A KR 20030076391 A KR20030076391 A KR 20030076391A KR 20050041271 A KR20050041271 A KR 2005004127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cover
screw shaft
main body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763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병곤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Priority to KR10200300763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50041271A/ko
Publication of KR200500412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41271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커버가 본체에 대하여 미끄럼 운동하도록 된 슬라이딩 타입 휴대용 전자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커버와 본체가 모터에 의해 자동으로 미끄럼운동 되도록 함으로써 단말기의 사용을 편리하게 한 자동 슬라이딩 타입 휴대용 전자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본체(10)와 커버(20)를 가지는 휴대폰, PDA 단말기, 전자 수첩 등의 휴대용 전자 단말기에 있어서, 상기 본체(10) 또는 커버(20)중 어느 하나에 고정되는 제1플레이트(100); 상기 본체(10) 또는 커버(20)중 나머지 하나에 고정되며, 상기 제1플레이트(100)에 길이방향으로 미끄럼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플레이트(200); 상기 제1플레이트(100)에 그의 회전축(302)이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회전축(302)상에 구동기어(304)가 구비되는 양방향 모터(300); 및 상기 제1플레이트(100)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됨과 동시에 상기 제2플레이트(200)에 나사결합되며, 상기 양방향 모터(300)의 구동기어(304)에 피동기어(404)로써 전동연결되어, 상기 양방향 모터(300)에 의해 회전되어 상기 제2플레이트(200)를 승강시키는 나사축(40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슬라이딩 타입 휴대용 전자 단말기가 제공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상기 양방향 모터(300)의 구동에 의해 상기 나사축(400)이 회전하고, 나사축(400)의 회전으로써 상기 제1플레이트(100)에 대해 제2플레이트(200)가 승강되려는 힘을 받게 되므로, 제1,2 플레이트(100,200)에 연결된 본체(10) 또는 커버(20) 중 하나를 파지하고 있으면, 나머지 하나가 자동적으로 승강 개폐되는 편리함이 있다.

Description

자동 슬라이딩 타입 휴대용 전자 단말기{Automatic sliding type electronic portable terminal}
본 발명은, 커버가 본체에 대하여 미끄럼 운동하도록 된 슬라이딩 타입 휴대용 전자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커버와 본체가 모터에 의해 자동으로 미끄럼운동 되도록 함으로써 단말기의 사용을 편리하게 한 자동 슬라이딩 타입 휴대용 전자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휴대폰, PDA 단말기, 전자수첩 등의 휴대용 전자 단말기에 있어서, 슬라이딩 타입 단말기는, 커버를 본체에 대해 회동가능하게 힌지하여 커버를 회동개폐시키던 종래의 폴더 타입 전자 단말기와는 달리, 본체에 대해 커버를 미끄럼 운동시킴으로써 커버의 개폐가 구현되도록 한 형태이다.
이러한 슬라이딩 타입 전자 단말기를 일반적인 휴대폰의 경우를 예로 들면, 휴대폰의 본체측에는 입력키 버튼을 구비하고, 커버의 표면에는 대형 엘씨디 화면을 구비하고 있어, 커버를 닫은 상태에서도 대형 엘씨디 화면을 활용할 수 있음과 아울러, 기존에 주류를 이루는 회동 개폐식 단말기에 비하여 색다른 개폐 방식과 미감을 제시하고 있다.
종래에 제시된 슬라이딩 타입 전자 단말기는, 통상적으로 본체를 손으로 파지한 다음 커버를 엄지손가락 등을 이용하여 밀어 올려서 열고, 열려진 커버 단부를 검지손가락 등을 이용하여 눌러 내려서 닫도록 되어 있었다.
그러나, 휴대폰과 같은 전자 단말기는, 커버의 표면에 네비게이션키와 각종의 입력키가 구비됨과 동시에 엘씨디 화면이 구비되어 있다.
따라서, 손가락을 이용하여 밀어 올리는 동작이 사용자에게 불편함을 주는 것에 더하여, 커버의 표면을 누르면서 밀어 올릴 때 커버 표면에 배치된 각종의 입력키나 엘씨디 화면이 눌려질 수 밖에 없어 단말기가 뜻하지 않게 작동되는 문제가 있었다.
종래에는 이와 같은 휴대폰의 오작동을 방지하기 위하여 사용자가 커버 표면의 입력키가 눌려지더라도 휴대폰이 동작되지 않도록 하는 기능을 부여한 것이 제공되고 있으나, 그렇다고 하더라도 오작동을 방지하기 위해 입력을 차단하는 모드와 입력을 받아들이는 모드로 사용자가 일일이, 그리고 빈번히 설정해 주어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또한, 커버의 표면이 통상적으로 매우 매끄럽게 되어 있어 손가락이 커버 표면에서 미끄러짐으로써 커버의 개폐가 불편함과 아울러 커버의 표면이 지저분해 지는 단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개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커버와 본체가 모터에 의해 자동으로 미끄럼운동 되도록 함으로써 단말기의 사용이 편리해지도록 하는데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본체와 커버를 가지는 휴대폰, PDA 단말기, 전자 수첩 등의 휴대용 전자 단말기에 있어서, 상기 본체 또는 커버중 어느 하나에 고정되는 제1플레이트; 상기 본체 또는 커버중 나머지 하나에 고정되며, 상기 제1플레이트에 길이방향으로 미끄럼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플레이트; 상기 제1플레이트에 그의 회전축이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회전축상에 구동기어가 구비되는 양방향 모터; 및 상기 제1플레이트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됨과 동시에 상기 제2플레이트에 나사결합되며, 상기 양방향 모터의 구동기어에 피동기어로써 전동연결되어 회전함으로써 상기 제2플레이트를 승강시키는 나사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슬라이딩 타입 휴대용 전자 단말기가 제공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상기 양방향 모터의 구동에 의해 상기 나사축이 회전하고, 나사축의 회전으로써 상기 제1플레이트에 대해 제2플레이트가 승강되려는 힘을 받게 되므로, 제1,2 플레이트에 연결된 본체 또는 커버 중 하나를 파지하고 있으면, 나머지 하나가 자동적으로 승강 개폐된다.
여기서, 상기 나사축은, 제1나사축과 제2나사축으로 이루어져 상기 제1나사축과 제2나사축이 각각 상기 제1플레이트의 양측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제1나사축과 제2나사축의 각 피동기어가 상기 양방향 모터의 구동기어에 전동연결되며, 상기 제1플레이트의 양측에는 길이방향으로 안내 장공이 형성되고, 상기 제2플레이트에는 상기 안내 장공을 미끄럼이동 가능하게 통과하여 상기 제1나사축과 제2나사축에 각각 나사결합되는 승강 연결편이 형성되는 구성으로 할 수 있다.
또한, 단말기 사용자가 상기 양방향 모터를 구동시켜 상기 제1플레이트와 제2플레이트를 이동시켜 개폐하기 위한 구동 스위치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자동 슬라이딩 타입 휴대용 전자 단말기를 나타내는 것으로서, 도 1에는 분리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2에는 자동 슬라이드 기구에 대한 사시도가 상세하게 도시되어 있으며, 도 3에는 도 2에서 제1플레이트와 제2플레이트가 이동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4에는 도 2의 자동 슬라이드 기구를 상세하게 나타내는 분리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5에는 자동 슬라이드 기구가 조립된 상태에서의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휴대용 전자 단말기는 여러 가지 전자 단말기중 휴대폰이 일례로 도시되어 있다. 하지만, 이는 하나의 예시에 불과한 것이지 본 발명이 도시된 휴대폰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PDA 단말기, 전자 수첩 등 다른 여타의 휴대용 전자 단말기에 동일 내지 균등한 방법으로 적용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5에 하나의 예로서 도시된 휴대용 전자 단말기는, 입력키(12)와 송화구(14)가 구비된 본체(10)와, 엘씨디 화면(22), 기능키(24) 및 수화구(26)가 구비된 커버(20)로 이루어지며, 상기 본체(10)와 커버(20)는 연결선(16)으로써 전기,신호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이 본체(10)와 커버(20)를 가지는 휴대용 전자 단말기에 있어서, 상기 본체(10)에 대해 커버(20)를 슬라이딩시키기 위하여, 제1플레이트(100), 제2플레이트(200), 양방향 모터(300), 그리고 나사축(400)을 구비한다.
상기 제1플레이트(100)는, 상기 본체(10) 또는 커버(20)중 어느 하나에 고정되고, 상기 제2플레이트(200)는 상기 본체(10) 또는 커버(20)중 나머지 하나에 고정된다. 도시된 예에서는 상기 제1플레이트(100)는 커버(20)에 고정되고, 제2플레이트(200)는 본체(10)에 고정되는데, 이를 위하여 상기 제1플레이트(100)와 제2플레이트(200)의 상하 양측에는 고정용 구멍(102)(202)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제1플레이트(100)와 제2플레이트(200)는 서로 길이방향으로 미끄럼운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이를 위하여 도시된 실시예에 있어서는, 상기 제1플레이트(100)의 양측에 길이방향으로 안내 장공(104)이 형성되고, 상기 제2플레이트(200)에는 상기 안내장공(104)을 미끄럼이동 가능하게 통과하는 승강 연결편(204)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양방향 모터(300)는, 회전축(302) 및 상기 회전축(302)상에 형성되는 구동기어(304)를 가져 상기 제1플레이트(100)에 설치되며, 상기 회전축(302)은 상기 제1플레이트(100)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양방향 모터(300)는 상기 제1플레이트(100)의 지지 플랜지(106)에 설치되며, 그의 회전축(302)은 상기 제1플레이트(100)의 플랜지부(108)에 형성된 구멍(110)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나사축(400)은, 상기 제1플레이트(100) 회전가능하게 설치됨과 동시에 상기 제2플레이트(200)에 나사결합되어, 상기 양방향 모터(300)에 의해 회전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나사축(400)은 상기 제2플레이트(200)의 승강 연결편(204)에 나사결합된다. 그리고, 그의 양단에는 연장축(402)이 형성되어 상기 제1플레이트(100)의 상,하 플랜지부(108)(108a)의 구멍(110)(110a)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일측의 연장축(402)에는 피동기어(404)가 형성되어 있어 상기 양방향모터(300)의 구동기어(304)에 전동연결된다. 상기 상,하 플랜지(108)(108a)중 하나(도면에서는 하측 플랜지(108a))는 상기 나사축(400)의 조립을 위하여 상기 제1플레이트(100)와는 별도로 마련되어, 조립 후 용접등의 방법으로 제1플레이트(100)에 고정된다.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나사축(400)은, 제1나사축(420) 및 제2나사축(440)으로 이루어져 상기 제1플레이트(100)의 양측에 배치되어 상기 제2플레이트(200)의 양측 승강 연결편(204)에 나사결합된다.
상기 제1,2나사축(420)(440)은 각각 연장축(422)(442)을 가지며, 이 연장축(422)(442)에 각각 피동기어(424)(444)가 형성되어, 상기 양방향 모터(300)의 구동기어(304)에 전동연결된다.
상기 제1나사축(420)과 상기 제2나사축(440)이 직접 상기 양방향 모터(300)의 구동기어(304)와 치합하는 경우에는, 제1나사축(420)과 상기 제2나사축(440)은 회전방향이 반대가 되므로 각각의 나선방향도 서로 반대(하나는 오른나사, 나머지 하나는 왼나사)로 이루어진다.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2나사축(420)(440)의 피동기어(422)(442)는 각각 아이들기어(500)를 매개로 상기 구동기어(304)와 동력연결된다. 이 경우에는 상기 아이들기어(500)의 개입에 따라 제1,2나사축(420)(440)의 회전방향이 동일하게 되므로 나선방향도 서로 동일하게 하여야 한다.
첨부도면 도 6에는 본 발명에 자동 슬라이드 기구 제어 수단을 나타내는 블록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단말기의 본체(10) 또는 커버(20)에 상기 양방향 모터(300)의 구동을 위한 구동스위치(600)가 구비된다. 상기 구동스위치(600)는 사용자가 커버(20)를 슬라이드 시키고자 할 때 조작하도록 한다.
만일, 사용자가 상기 구동스위치(600)를, 예를들어 업(Up) 방향으로 조작하면 제어부(610)는 배터리(620)의 전원을 양방향 모터(300)에 연결함과 동시에 양방향 모터(300)를 커버(20) 개방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상기 구동스위치(600)를 다운(Down) 방향으로 조작하면 상기 양방향 모터(300)는 커버(20)가 닫히는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에 있어서, 커버(20)를 개폐시키는 과정을 설명한다. 여기서, 상기 제1플레이트(100)가 커버(20)에 고정되고, 제2플레이트(200)가 본체(10)에 고정된 것을 예로들어 설명한다.
상기 커버(20)의 개폐과정은, 도 2 및 도 3을 통하여 잘 알 수 있는데, 도 2 및 도 3에서는 본 발명의 동작을 명확하게 이해하기 위하여 본체(10)와 커버(20)에 대한 도시가 생략되었다. 상기 본체(10)는 제2플레이트(200)와 연결되고, 커버(20)는 제1플레이트(100)와 연결되므로, 상기 제1플레이트(100)의 이동을 상기 커버(20)의 이동으로 생각하면 된다.
본 발명은 손을 사용하여 커버(20)를 직접 개폐시키는 종래의 기술과는 달리, 양방향 모터(300)를 구동시킴으로써 커버(20)의 개폐가 이루어지도록 하고 있다.
먼저, 사용자가 커버(20)를 개방시키기 위하여 구동스위치(600)를 업(Up) 방향으로 조작하면, 양방향 모터(300)가 일측(개방방향)으로 회전하며, 양방향 모터(300)에 아이들 기어(500)를 매개로 전동연결된 제1,2나사축(420)(440)의 피동기어(424)(444)가 회전된다.
상기와 같이 제1,2나사축(420)(440)의 피동기어(424)(444)가 회전함에 따라 제1,2나사축(420)(440)이 회전하므로, 상기 제1,2나사축(420)(440)에 나사결합된 승강 연결편(204)이 일측방향 즉, 도 2 및 도 3에서 아래방향으로 이동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승강 연결편(204)은 상기 제1플레이트(100)의 안내 장공(104)을 이동가능한 상태로 통과하고 있으므로 승강 연결편(204)은 상기 안내 장공(104)을 따라 이동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승강 연결편(204)이 아래방향으로 이동되려고 하면, 이 승강 연결편(204)이 형성된 제2플레이트(200), 그리고 제2플레이트(200)가 고정된 본체(100)가 하강하려고 한다.
그런데, 사용자는 통상 본체(10)를 파지한 상태에서 커버(20)를 열려고 하기 때문에, 본체(10)에 연결된 제2플레이트(200)는 하강하지 못하고, 반대로 제1플레이트(100)가 상승하므로, 제1플레이트(100)가 설치된 커버(20)가 상승하여 개방된다(도 3참조).
상기와 같이 커버(20)를 개방시켜 단말기를 사용한 후, 커버(20)를 다시 닫고자 하면, 구동 스위치(600)를 상기와 반대방향(다운 방향)으로 조작하면, 상기 양방향 모터(300)가 전술한 개방방향과 반대방향으로 회전하고, 그에 따라 제1,2나사축(420)(440)도 전술한 개방방향과 반대방향으로 회전함에 따라 커버(20)가 하강하여 닫히게 된다.
이상에서는 첨부 도면에 도시된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가 상세하게 설명되었으나, 이는 하나의 예시에 불과한 것이며,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해 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가 가능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는 본 발명의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이상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커버와 본체를 양방향 모터와 나사축으로 연결한 구성에 의해, 커버의 개폐가 양방향 모터에 의해 자동적으로 구현됨으로써, 단말기의 사용이 매우 편리하게 된다.
종래의 단말기는, 사용자가 손가락을 이용하여 직접 커버를 밀어 개폐시키는 구성으로 되어 있었으므로, 커버를 밀어 올릴 때 커버 표면에 배치된 각종의 입력키나 엘씨디 화면이 눌려질 수 밖에 없어 단말기가 뜻하지 않게 작동되는 문제가 있었고, 손가락이 커버 표면에서 미끄러짐으로써 커버의 개폐가 불편한 단점이 있었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는 구동 스위치의 조작하면, 양방향 모터에 의해 커버가 자동적으로 개폐되므로,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가 해소되며, 그에 따라 한층 편리하고 고급화된 단말기를 제공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자동 슬라이딩 타입 단말기를 나타내는 분리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자동 슬라이드 기구만을 상세하게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도 2에서 제1플레이트와 제2플레이트가 이동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4는 도 2의 자동 슬라이드 기구를 상세하게 나타내는 분리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 슬라이드 기구가 조립된 상태에서의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자동 슬라이드 기구 제어 수단을 나타내는 블록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본체 20 : 커버
100 : 제1플레이트 102 : 고정용 구멍
104 : 안내 장공 106 :지지 플랜지
108,108a : 플랜지부 110 : 구멍
200 : 제2플레이트 202 : 고정용 구멍
204 : 승강 연결편 300 : 양방향 모터
302 : 회전축 304 : 구동기어
400 : 나사축 402,422,442 : 연장축
404,424,444 : 피동기어 420 : 제1나사축
440 : 제2나사축 500 : 아이들 기어
600 : 구동스위치

Claims (3)

  1. 본체(10)와 커버(20)를 가지는 휴대용 전자 단말기에 있어서,
    상기 본체(10) 또는 커버(20)중 어느 하나에 고정되는 제1플레이트(100);
    상기 본체(10) 또는 커버(20)중 나머지 하나에 고정되며, 상기 제1플레이트(100)에 길이방향으로 미끄럼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플레이트(200);
    상기 제1플레이트(100)에 그의 회전축(302)이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회전축(302)상에 구동기어(304)가 구비되는 양방향 모터(300); 및
    상기 제1플레이트(100)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됨과 동시에 상기 제2플레이트(200)에 나사결합되며, 상기 양방향 모터(300)의 구동기어(304)에 피동기어(404)로써 전동연결되어 회전함에 따라 상기 제2플레이트(200)를 승강시키는 나사축(40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슬라이딩 타입 휴대용 전자 단말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나사축(400)은, 제1나사축(420)과 제2나사축(440)으로 이루어져 제1나사축(420)과 제2나사축(440)이 각각 상기 제1플레이트(100)의 양측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제1나사축(420)과 제2나사축(440)의 각 피동기어(424)(444)가 상기 양방향 모터(300)의 구동기어(304)에 전동연결되며, 상기 제1플레이트(100)의 양측에는 길이방향으로 안내 장공(104)이 형성되고, 상기 제2플레이트(200)에는 상기 안내 장공(104)을 미끄럼이동 가능하게 통과하여 상기 제1나사축(100)과 제2나사축(200)에 각각 나사결합되는 승강 연결편(204)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슬라이딩 타입 휴대용 전자 단말기.
  3. 제1항에 있어서,
    단말기 사용자가 상기 양방향 모터(300)를 구동시켜 상기 제1플레이트(100)와 제2플레이트(200)를 이동시켜 개폐하기 위한 구동 스위치(600)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슬라이딩 타입 휴대용 전자 단말기.
KR1020030076391A 2003-10-30 2003-10-30 자동 슬라이딩 타입 휴대용 전자 단말기 KR2005004127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76391A KR20050041271A (ko) 2003-10-30 2003-10-30 자동 슬라이딩 타입 휴대용 전자 단말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76391A KR20050041271A (ko) 2003-10-30 2003-10-30 자동 슬라이딩 타입 휴대용 전자 단말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41271A true KR20050041271A (ko) 2005-05-04

Family

ID=372427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76391A KR20050041271A (ko) 2003-10-30 2003-10-30 자동 슬라이딩 타입 휴대용 전자 단말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50041271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133276A (ko) * 2005-06-20 2006-12-26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용 단말기의 슬라이딩 모듈
KR100673260B1 (ko) * 2005-05-03 2007-01-22 엘지전자 주식회사 자동 슬라이드형 이동통신 단말기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11187A (ko) * 2000-08-01 2002-02-08 윤종용 원터치 슬라이딩 타입 단말기
KR20040086951A (ko) * 2003-04-03 2004-10-13 주식회사 유엠텍 자동 및 수동 겸용 슬라이드 타입 휴대용 무선단말기
KR20050013750A (ko) * 2003-07-29 2005-02-05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용 단말기의 개폐장치
KR20050027654A (ko) * 2003-09-16 2005-03-21 에스케이텔레텍주식회사 슬라이드형 이동통신단말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11187A (ko) * 2000-08-01 2002-02-08 윤종용 원터치 슬라이딩 타입 단말기
KR20040086951A (ko) * 2003-04-03 2004-10-13 주식회사 유엠텍 자동 및 수동 겸용 슬라이드 타입 휴대용 무선단말기
KR20050013750A (ko) * 2003-07-29 2005-02-05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용 단말기의 개폐장치
KR20050027654A (ko) * 2003-09-16 2005-03-21 에스케이텔레텍주식회사 슬라이드형 이동통신단말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73260B1 (ko) * 2005-05-03 2007-01-22 엘지전자 주식회사 자동 슬라이드형 이동통신 단말기
KR20060133276A (ko) * 2005-06-20 2006-12-26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용 단말기의 슬라이딩 모듈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286862B2 (en) Automatic/manual slide type communication terminal
KR100531880B1 (ko) 슬라이드형 휴대용 단말기의 개폐 장치
KR100403370B1 (ko) 피디에이 겸용 무선 단말기의 사용자 인터페이싱 장치
KR20050056025A (ko) 양방향 슬라이드형 휴대용 단말기
CN1784644A (zh) 通过滑动屏而显现的键盘
KR200308165Y1 (ko) 슬라이딩 타입 휴대용 무선단말기
KR100693641B1 (ko) 본체와 슬라이드 커버가 수평하게 펼쳐지는 슬라이드형이동 통신 단말기
KR20050041271A (ko) 자동 슬라이딩 타입 휴대용 전자 단말기
KR20060081875A (ko) 키패드가 슬라이드 커버에 대해 수평하게 상승되는슬라이드형 이동 통신 단말기
KR20020014431A (ko) 길이방향으로 신장가능한 셀룰러 폰
CA2287008A1 (en) Portable telephone handset construction with integrated handwriting input surface
GB2417851A (en) Mobile phone with sliding and rotating hinge
KR101086721B1 (ko) 모바일 기기
KR100690866B1 (ko) 슬라이드 모듈 및 그 슬라이드 모듈을 갖는 휴대 단말기
CN1332589C (zh) 便携式终端的滑动开闭装置
KR100608722B1 (ko) 휴대용 단말기의 슬라이드 개폐장치
JP2000341378A (ja) 格納式キーパッド・カバー付きの携帯電話送受話器構造
KR100549604B1 (ko) 자동 슬라이드 방식 이동통신 단말기
KR200345390Y1 (ko) 휴대용 단말기의 슬라이드 개폐장치
JP4667622B2 (ja) 移送機構および表示装置
KR20050118006A (ko) 휴대용 단말기의 반자동 슬라이드 개폐장치
CN101222529A (zh) 电子装置
KR200400650Y1 (ko) 이동통신 단말기용 슬라이딩 모듈
KR200408327Y1 (ko) 슬라이드와 폴더 타입을 겸용한 휴대폰 단말기
KR20040103191A (ko) 슬라이드형 휴대 단말기의 개폐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