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86951A - 자동 및 수동 겸용 슬라이드 타입 휴대용 무선단말기 - Google Patents

자동 및 수동 겸용 슬라이드 타입 휴대용 무선단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86951A
KR20040086951A KR1020030021144A KR20030021144A KR20040086951A KR 20040086951 A KR20040086951 A KR 20040086951A KR 1020030021144 A KR1020030021144 A KR 1020030021144A KR 20030021144 A KR20030021144 A KR 20030021144A KR 20040086951 A KR20040086951 A KR 2004008695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main body
slide
gear
drive mo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211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50478B1 (ko
Inventor
전병기
김영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유엠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유엠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유엠텍
Priority to KR10200300211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50478B1/ko
Publication of KR200400869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8695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504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50478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Abstract

본 발명은 슬라이드 타입으로 개폐되는 휴대용 무선단말기에 관한 것으로서, 메인 바디와, 상기 메인 바디상에서 단말기의 길이 방향으로 일정 길이만큼 슬라이딩 동작을 수행하도록 설치되는 슬라이드 바디와, 상기 메인 바디 또는 슬라이드 바디 중 어느 한 곳에 단말기의 길이 방향으로 구비되는 랙 기어와, 상기 메인 바디 또는 슬라이드 바디 중 나머지 바디에 설치하되, 동작할 때에만 상기 랙 기어와 선택적으로 치합하도록 설치되는 적어도 두 개의 종속 기어를 갖는 구동 장치와, 상기 구동 장치가 동작하지 않을 경우, 상기 구동 장치와 상기 랙 기어를 일정 간격으로 이격시키도록 설치되는 지지 수단과, 상기 슬라이드 바디와 메인 바디 사이에서 상기 단말기의 일정 슬라이딩 위치를 기준으로 개방되는 방향 또는 폐쇄되는 방향으로 가압력의 방향을 변화시키도록 설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탄성 수단과, 상기 단말기의 최대 개방 및 폐쇄 위치를 검출하기 위한 검출 수단 및 상기 검출 수단의 출력을 분석하여 상기 구동 모터의 회전을 정지시키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단말기상에 구비된 버튼의 동작에 의해 자동으로 슬라이딩 동작을 수행하도록 하여 사용자의 다양한 기호에 부응하고 있으며, 단말기의 개방 및 폐쇄 동작중에 그 반대 방향으로 유동되므로써 발생되는 오동작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고, 구동 장치에 전원이 공급되지 않더라도 사용자가 직접 수동으로 개폐가 가능하다.

Description

자동 및 수동 겸용 슬라이드 타입 휴대용 무선단말기{SLIDE TYPE PORTABLE HANDHELD RADIOTELEPHONE BEING AUTOMATICALLY/MANUALLY SLIDED}
본 발명은 휴대용 무선단말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메인 바디를 기준으로 서브 바디가 단말기의 길이 방향으로 원활히 슬라이딩 동작을 하되,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자동 및 수동 겸용으로 슬라이딩 동작하도록 구성되는 자동 및 수동 겸용 슬라이드 타입 휴대용 무선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최근들어, 거의 생활의 필수품으로 보급되어가고 있는 휴대용 무선단말기는 사용자의 욕구에 부응하기 위한 좀더 향상된 다양한 기능과 심미적 기능까지 갖춘 다양한 디자인의 단말기가 출시되고 있다. 상기 단말기들은 일반 바 타입(bar type) 단말기에서부터 플립 타입(flip type) 단말기, 플립 업 타입(flip-up type) 단말기, 폴더 타입(folder type) 단말기등으로 발전해 오고 있으며, 최근들어, 상기 폴더 타입 단말기가 주류를 이루고 있다. 이는 폴더 타입 단말기가 디스플레이장치로 와이드 엘씨디 모듈을 채택할 만큼 공간적인 여유가 충분하며, 반으로 접어서 휴대하기 때문에 휴대성 또한 타 단말기보다 우수하기 때문이다.
한편, 상술한 폴더 타입 단말기와 유사한 크기의 와이드 엘씨디 모듈을 구비한 디스플레이 장치를 가질 수 있으며, 이와 동시에 단말기의 소형화에 이바지 할 수 있는 타입의 단말기가 등장하고 있다. 이는 소정의 메인 바디상에서 서브 바디(이하 '슬라디드 바디'라 함)가 단말기의 길이 방향으로 일정 길이 만큼 슬라이딩되어 개방되는 형태의 슬라이딩 타입 단말기로써, 기존의 폴더 타입 단말기에 비해 사용자의 변해가는 다양한 기호에 부응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상기 슬라이딩 타입 단말기는 메인 바디를 기준으로 볼 때, 슬라이딩 바디가 상기 메인 바디 길이의 1/2정도까지 하측 또는 상측으로 슬라이딩 되어 개방되는 상태로 구성될 수 있으며(이는 단말기의 동작 안정성을 위하여 1/2로 제한되나 이에 국한되지는 않는다), 일반적으로 슬라이드 바디에 3×4 키패드 어셈블리가 설치될 수 있으며, 메인 바디 전면상에 디스플레이 장치를 설치할 수 있다.
상술한 슬라이드 바디는 메인 바디상에서 소정의 가이드 수단에 의해 가이드될 수 있은데, 일반적으로 슬라이드 바디 또는 메인 바디상에 가이드 리브를 형성시키고, 상기 슬라이드 바디 또는 메인 바디의 나머지 부분의 상기 가이드 리브와 상응하는 부분에 가이드 슬릿을 형성시켜, 슬라이딩 동작을 도모하고 있다. 또한, 상기 슬라이드 바디가 슬라이딩 되어 완전히 개방되거나, 완전히 폐쇄되는 부분에 소정의 스토퍼 수단을 설치 또는 형성하여 상기 메인 바디상에서 슬라이드 바디가 임의로 유동하는 현상을 방지하고 있다.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은 가이드 수단이나 스토퍼 수단을 구비한 슬라이딩 타입 단말기는 슬라이드 바디가 메인 바디상에서 완전히 개방되거나 폐쇄되어야만 그 위치가 고정될 수 있으며, 그 중간 동작 단계에서는 임의로 유동되는 단점을 수반하므로써, 단말기의 오동작을 유발하는 문제점이 발생된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원 출원인이 2003년 01월 03일에 출원한 특허출원번호 제2003-0000284호(명칭: 슬라이딩 타입 휴대용 무선단말기)에는 상술한 단점을 극복하기 위한 구성이 기술되어 있다.
즉, 슬라이드 바디가 메인 바디상에서 일정량 만큼 개방되거나 폐쇄되면 소정의 탄성 수단에 의해 최대 개방 위치 또는 최대 폐쇄 위치까지 일정 가압력을 가하게 하여 별도의 스토퍼 수단을 구비하지 않아도 그 위치가 유지되는 구성을 갖는다.
그러나 상술한 슬라이딩 타입 단말기는 사용자가 메인 바디 또는 슬라이드 바디를 기준으로 슬라이드 바디 또는 메인 바디를 직접 손으로 밀어야하는 불편한 문제점이 존재하게 되었으며, 또한, 개방시키거나 폐쇄시키는 동작중에 손을 놓치게 되면 단말기가 개방 또는 폐쇄시켜야 하는 방향과 반대방향으로 복원되어 통화가 끊기거나 단말기가 오동작하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되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써 본 발명은 단말기상에 구비된 버튼의 동작에 의해 자동으로 슬라이딩 동작을 수행하도록 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편리성을 도모하도록 구성되는 자동 및 수동 겸용 슬라이드 타입 단말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단말기의 개방 및 폐쇄 동작중에 그 반대 방향으로 유동되므로써 발생되는 오동작을 미연에 방지하도록 구성되는 자동 및 수동 겸용 슬라이드 타입 휴대용 무선단말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별도의 모드 변환을 하지 않더라도 자동 및 수동으로 전환이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자동 및 수동 겸용 슬라이드 타입 휴대용 무선단말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구동 장치에 전원이 공급되지 않더라도 사용자가 직접 수동으로 단말기를 개폐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자동 및 수동 겸용 슬라이드 타입 휴대용 무선단말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드 타입 단말기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드 타입 단말기가 개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인 바디와 슬라이드 바디의 자동 및 수동 겸용 동작을 위한 플레이트들의 분리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 3의 플레이트들의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자동으로 단말기를 슬라이딩 시키기 위한 구동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도 5의 구동 장치를 단말기상에 수납시킨 상태를 도시한 측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도 5의 구동 장치에 의해 단말기가 개방될 때의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및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도 5의 구동 장치에 의해 단말기가 폐쇄될 때의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호에 대한 설명>
10: 메인 플레이트 20: 슬라이드 플레이트
30: 토션 스프링 40, 51: 구동 모터
50: 구동 장치 53, 54: 종속기어
110: 메인 바디 120: 슬라이드 바디
상술한 목적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은 휴대용 무선단말기에 있어서, 메인 바디와, 상기 메인 바디상에서 단말기의 길이 방향으로 일정 길이만큼 슬라이딩 동작을 수행하도록 설치되는 슬라이드 바디와, 상기 메인 바디 또는 슬라이드 바디중 어느 한 곳에 설치되는 피니언 기어를 구비한 구동 모터와, 상기 구동 모터가 설치되는 메인 바디 또는 슬라이드 바디 이외의 나머지 부분 적소에 상기 피니언 기어와 치합되도록 단말기의 길이 방향으로 구비되는 랙 기어와, 상기 단말기의 최대 개방 및 폐쇄 위치를 검출하기 위한 검출 수단 및 상기 검출수단의 출력을 분석하여 상기 구동 모터의 회전을 정지시키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랙 기어와 치합된 피니언 기어의 회전에 의해 슬라이드 바디가 일정 길이 만큼 개방될 수 있으며, 상기 피니언 기어는 회전하지 않을 경우, 즉 구동 모터가 동작하지 않을 경우에는 단말기를 수동으로 조작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휴대용 무선단말기에 있어서, 메인 바디와, 상기 메인 바디상에서 단말기의 길이 방향으로 일정 길이만큼 슬라이딩 동작을 수행하도록 설치되는 슬라이드 바디와, 상기 메인 바디 또는 슬라이드 바디 중 어느 한 곳에 설치되는 피니언 기어를 구비한 구동 모터와, 상기 구동 모터가 설치되는 메인 바디 또는 슬라이드 바디 이외의 나머지 부분 적소에 상기 피니언 기어와 치합되도록 단말기의 길이 방향으로 구비되는 랙 기어와, 상기 슬라이드 바디와 메인 바디 사이에서 상기 단말기의 일정 슬라이딩 위치를 기준으로 개방되는 방향 또는 폐쇄되는 방향으로 가압력의 방향을 변화시키도록 설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탄성 수단과 상기 단말기의 최대 개방 및 폐쇄 위치를 검출하기 위한 검출 수단 및 상기 검출 수단의 출력을 분석하여 상기 구동 모터의 회전을 정지시키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탄성 수단으로는 슬라이드 바디와 메인 바디에 각각 일단과 타단이 고정되는 토션스프링을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한 단말기는 수동으로 조작할 경우, 단말기의 최대 개방 위치 및 최대 폐쇄 위치에서 상기 토션 스프링의 탄성력을 받아 유동되지 않고 그 위치가 유지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휴대용 무선단말기에 있어서, 메인 바디와, 상기 메인 바디상에서 단말기의 길이 방향으로 일정 길이만큼 슬라이딩 동작을 수행하도록 설치되는 슬라이드 바디와, 상기 메인 바디 또는 슬라이드 바디 중 어느 한 곳에 단말기의 길이 방향으로 구비되는 랙 기어와, 상기 메인 바디 또는 슬라이드 바디 중 나머지 바디에 설치하되, 동작할 때에만 상기 랙 기어와 선택적으로 치합하도록 설치되는 적어도 두 개의 종속 기어를 갖는 구동 장치와, 상기 구동 장치가 동작하지 않을 경우, 상기 구동 장치와 상기 랙 기어를 일정 간격으로 이격시키도록 설치되는 지지 수단과, 상기 슬라이드 바디와 메인 바디 사이에서 상기 단말기의 일정 슬라이딩 위치를 기준으로 개방되는 방향 또는 폐쇄되는 방향으로 가압력의 방향을 변화시키도록 설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탄성 수단과, 상기 단말기의 최대 개방 및 폐쇄 위치를 검출하기 위한 검출 수단 및 상기 검출 수단의 출력을 분석하여 상기 구동 모터의 회전을 정지시키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구동 장치는, 구동 모터와, 상기 구동 모터의 회전축에 설치되는 피니언 기어와, 상기 피니언 기어의 양측에서 각각 치합되는 제1, 제2 종속 기어 및 상기 피니언 기어, 제1종속기어, 제2종속기어의 회전축을 연결하는 링크로 구성되며, 상기 링크는 피니언 기어의 회전축에 대하여 아이들 회전하도록 설치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종속 기어와 제2종속기어가 선택적으로 상기 랙 기어에 치합된다. 즉, 구동 모터의 회전 방향에 따라 제1종속기어가 랙기어와 치합되면 슬라이드 바디는 개방되는 방향으로 동작하고, 제2종속기어가 랙기어와 치합되면 상기 슬라이드 바디는 폐쇄되는 방향으로 동작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국한되지는않는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슬라이드 바디와 메인 바디가 상호 슬라이딩 동작할 때, 단말기의 최대 개방 위치와 최대 폐쇄 위치를 검출할 수 있는 검출 수단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검출 수단은 단말기의 최대 개방 또는 최대 폐쇄 위치에서 구동 모터의 동작을 정지 시키기 위함이며, 이는 구동모터에 걸리는 부하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드 타입 단말기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드 타입 단말기가 개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로써, 단말기(100)는 메인 바디(110)와 상기 메인 바디(110)상에서 전후로 일정 길이 만큼 유동가능한 슬라이드 바디(120)로 구성된다. 상기 슬라이드 바디(120)는 상기 메인 바디(110)의 하측에 설치되며,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완전히 겹쳐진 상태에서 휴대할 수 있으며,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메인 바디(110)에서 슬라이드 바디(120)가 하측으로 일정 길이 만큼 슬라이딩 되어 돌출된 상태에서 통화 동작등 단말기의 기능을 사용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국한되지 않으며, 도 1의 상태에서 역시 단말기(100)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메인 바디(110)상에는 전면에 걸쳐 디스플레이 장치(111)가 설치된다.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111)는 컬러 와이드 엘씨디 모듈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터치스크린 패널일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111)의 상부에는 상대방의 음성을 수신할 수 있는 스피커폰 장치(112)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111)의 하측으로는 적어도 하나의 키패드 어셈블리(113)가 설치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키패드 어셈블리(113)는 네이게이션 키버튼을 설치할 수 있다.
상기 슬라이드 바디(120)의 메인 바디(110)상에서 개방되었을 때 보이는 면상에는 다수의 키버튼을 구비한 다른 키패드 어셈블리(122)가 설치될 수 있는데, 바람직하게는 숫자 키 버튼(3×4 키버튼)이 설치될 수 있다. 상기 키패드 어셈블리(122)의 하측으로는 상대방에게 사용자의 음성을 전달할 수 있는 마이크로폰 장치(123)가 설치된다. 상기 슬라이드 바디(120)의 일측면상에는 상기 메인 바디(110)를 자동으로 개방시키기 위한 키 버튼(115)이 설치된다. 이때, 상기 키 버튼(115)을 한번 누르면 상기 메인 바디(110)가 개방되고, 다시 한번 누르면 원래의 위치로 폐쇄되는 동작을 수행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키 버튼(115) 없이도 상기 키패드 어셈블(113, 123)의 모드 변환에 의한 동작만으로 단말기의 슬라이딩 동작이 가능하다.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은 메인 바디와 슬라이드 바디의 동작은 서로 상대적인 것일뿐, 그 구성 요소가 바뀌어도 무방하다. 즉, 메인 바디(110)을 중심으로 슬라이드 바디(120)가 동작하는 것이나, 이와 반대로, 슬라이드 바디(120)을 중심으로 메인 바디(110)가 동작하는 것과 별반 차이가 없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인 바디와 슬라이드 바디의 자동 및 수동 겸용 동작을 위한 플레이트들의 분리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 3의 플레이트들의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로써, 상기 플레이트들(10, 20) 중 하나(10)는 상기 메인 바디의 슬라이드 바디와 마주보는 면상에 고정 설치되며, 나머지 하나(20)는 상기 메인 바디에 설치되는 플레이트와 접하도록 상기 슬라이드 바디상에 고정 설치된다. 전자는 메인 플레이트(10)라 하고, 후자는 슬라이드 플레이트(20)라 하겠다. 따라서, 상기 메인 바디상에서 슬라이드 바디가 전후 유동하는 것은 메인 바디의 메인 플레이트(10)상에서 슬라이드 바디의 슬라이드 플레이트(20)가 유동하는 것과 같다.
또한, 상기 메인 플레이트(10)와 슬라이드 플레이트(20)에는 소정의 가이드 수단이 설치된다. 상기 가이드 수단으로는 메인 플레이트의 양단이 긴밀히 삽입되어 길이 방향으로 가이드 될 수 있도록 슬라이드 플레이트상에 길이 방향으로 설치되는 소정의 가이드 슬릿으로 구성된다.
한편, 상기 메인 플레이트(10)와 슬라이드 플레이트(20) 사이에는 적어도 하나의 탄성수단(30)이 개제된다. 상기 탄성수단은 메인 플레이트(10)상에서 슬라이드 플레이트(20)를 완전히 개방된 방향이나 또는 완전히 폐쇄되는 방향으로 가압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탄성수단(30)은 상기 슬라이드 플레이트(20)가 상기 메인 플레이트(10)상에서 유동되는 1/2지점에서 가압력의 방향이 바뀌도록 설치한다.
따라서, 상기 탄성수단(30)은 상기 메인 플레이트(10)와 슬라이드 플레이트(20) 사이에 개제되면서, 일단은 상기 메인 플레이트(10)의 적소에 형성된 고정구멍(12)에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슬라이드 플레이트(20)의 적소에 형성된 고정구멍(22)에 고정되는 토션스프링(30)을 사용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국한 되지않는다. 예컨데, 슬라이드 플레이트(20)를 개방시키거나 폐쇄시킬 경우 일정 위치에서 가압력의 방향을 바꿀 수 있는 여타 탄성수단을 사용하여도 무방하다.
상술한 탄성 수단은 단말기를 사용자로 하여금 수동으로 조작 가능하게 할 수 있는 구성이다.
이와 동시에, 사용자가 단말기상의 버튼 조작 만으로 단말기가 자동으로 개방 및 폐쇄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를 살펴 보면, 도 3 및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메인 플레이트(10)의 후면상에는 길이 방향으로 랙 기어(13)를 구비한다. 이때, 상기 랙 기어(13)는 상기 메인 플레이트(10)상에 별도의 부품으로 설치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메인 플레이트(10)는 사출시, 랙 기어의 치형을 함께 사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후, 상기 랙 기어(13)와 치합될 수 있는 피니언 기어(41)를 갖는 구동 모터(40)를 슬라이드 바디(도 1의 120)의 상에 고정 설치한다. 따라서, 상기 슬라이드 바디상에 고정되어 있는 구동 모터(40)가 회전하게 되면(축 A를 중심으로 회전하게 되면), 상기 구동 모터(40)의 피니언 기어(41)와 치합되어 있는 메인 플레이트(10)의 랙 기어(13)와 맞물려 결과적으로, 상기 메인 플레이트(10)는 피니언 기어(41)의 회전 방향에 상응하도록 유동되는 것이다. 이는 결국, 메인 바디(도 1의 110)가 유동하는 것과 같다. 그러나, 단말기의 설치 공간이 허용하는 범위내에서 메인 바디에 구동 모터가 설치되고, 슬라이드 바디에 랙 기어를 구비하여도 무방하다.
이때, 상기 구동 모터(40)의 피니언 기어(41)는 작동하지 않을 경우에는 아이들(idle) 회전하도록 구성하여, 단말기를 수동으로 조작시, 슬라이딩 동작이 원활히 수행되도록 하였다.
미도시 되었으나, 상기 슬라이드 바디와 메인 바디의 적소에는 소정의 검출 수단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검출 수단은 단말기의 최대 개방 위치 및 최대 폐쇄 위치를 검출하여 이를 단말기의 제어부에 출력해줌으로써 상기 제어부는 상기 구동 모터의 회전을 적시에 정지시킬 수 있는 것이다. 이때, 단말기의 최대 개방 및 폐쇄 위치에서는 상기 토션 스프링의 토션력이 적용되므로, 그위치에서 임의로 유동되지 않는다. 따라서, 상기 구동 모터의 회전력은 상기 토션 스프링의 토션력을 극복하는 세기로 동작하도록 설치된다.
이는 소정의 감속 모듈에 의해 가능하다. 미도시 되었으나, 상기 감속 모듈은 다수의 기어링 조합으로 구동 모터의 회전수를 줄여주고, 이와 동시에 회전력을 증가시켜주는 역할을 한다.
미도시 되었으나, 상기 검출 수단으로는 발광부와 수광부를 갖는 포토 센서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마그네트의 자력을 감지하여 동작하는 홀 센서를 사용하여도 무방하다. 또한, 구동 모터의 회전축에 설치되어, 회전수를 검출하는 엔코더를 사용하여도 무방하며, 여타 다른 공지된 검출 수단을 사용하여도 무방하다.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구동 모터가 동작하지 않을 때 아이들 동작하는 피니언 기어가 랙 기어와 항상 치합되는 구성을 도시하였다.
다음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랙 기어와 치합되는 구동 수단이 동작하지 않을 경우 상기 랙 기어와 일정하게 이격되는 구성을 갖는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자동으로 단말기를 슬라이딩 시키기 위한 구동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로써, 수동으로 동작하기 위한 구성 및 수단은 상술한 일 실시예와 같으며, 단말기의 최대 개방 위치 및 최대 폐쇄 위치를 검출하기 위한 검출 수단 역시 상술한 바와 같기 때문에 명확한 본 발명의 설명을 위하여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구동 장치(50)는 구동 모터(51)와, 상기 구동 모터(51)의 회전축에 설치되는 피니언 기어(52)와, 상기 피니언 기어(52)의 양측에 각각 치합되는 제1종속기어(53)와 제2종속기어(54) 및 상기 피니언 기어(52), 제1종속기어(53) 및 제2종속기어(54)의 회전축을 연결하는 링크(55) 및 상기 링크(55)를 지지하는 지지 수단으로 구성된다.
상기 구동 장치(50)는 슬라이드 바디(도 1의 120)상에 설치되며, 메인 바디(1의 110)상의 메인 플레이트(10)에 구비된 랙 기어(13)에 선택적으로 치합되어 동작을 수행하게 된다. 상기 구동 모터(51)의 피니언 기어(52)와 양측에서 각각 치합되는 제1, 제2종속기어(53, 54)는 역시 피니언 기어로 설치될 수 있다. 상기 피니언 기어(52)와 제1, 제2종속기어(53, 54)의 치형이나 직경은 단말기의 슬라이딩 되는 속도에 따라 다르게 형성시킬 수 있다.
상기 링크(55)는 상기 피니언 기어(52)의 회전 방향에 따라 함께 아이들 회전하도록 설치되며, 이에 따라 상기 제1종속기어(53)와 제2종속기어(54)는 상기 피니언 기어(52)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상기 링크(55)와 함께 회전된다. 따라서, 상기 피니언 기어(52)가 회전하게 되면, 상기 피니언 기어(52)의 축을 중심으로링크(55)가 회전되며, 상기 링크(55)내에서 상기 제1종속기어(53)와 제2종속기어(54)는 상기 피니언 기어(52)와 반대 방향으로 회전되는 것이다.
상기 링크(55)는 소정의 지지 수단에 의해 지지 받는다. 상기 지지 수단으로는 인장 코일 스프링(56, 57)을 사용한다. 상기 인장 코일 스프링(56, 57)은 상기 링크(55)의 양단에 각각 설치될 수 있다. 구동 모터(51)가 회전할 경우, 상기 피니언 기어(52)의 회전 방향에 따라 링크(55)가 회전하여 제1종속기어(53) 또는 제2종속기어(54)가 선택적으로 상기 랙 기어(13)에 치합되어 동작을 수행하는데, 그후, 상기 구동 모터(51)의 동작을 멈추게 되면, 상기 인장 코일 스프링(56, 57)은 상기 링크(55)를 원래의 위치로 랙 기어(13)와 평행한 상태를 유지시키면서 이격시키는 역할을 하게 된다. 상기 지지 수단으로는 인장 코일 스프링(56, 57)을 사용하나, 링크(55)의 반대 방향에 설치될 경우 압축 코일 스프링이 사용될 수도 있으며, 여타 다른 탄성 수단을 사용하여도 무방하다.
한편, 상기 구동 장치 및 랙 기어는 메인 바디와 슬라이드 바디의 공간이 허용하는 범위내에서 그 위치가 상호 바뀌어도 무방하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도 5의 구동 장치를 단말기상에 수납시킨 상태를 도시한 측단면도로써, 구동 모터(51)가 동작하지 않을 경우, 링크(55)의 양단에 설치된 인장 코일 스프링(56, 57)에 의해서 상기 링크(55)를 랙 기어(13)와 수평을 이루면서 일정 간격으로 이격된 상태를 유지시키게 한다. 이 경우, 사용자는 단말기를 수동으로 조작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는 예를 들어, 단말기의 전원이 거의 소진되어 구동모터(51)를 동작시킬 수 없는 경우 수동 조작을 가능하게 하는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도 5의 구동 장치에 의해 단말기가 개방될 때의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로써, 구동 모터(51)의 피니언 기어(52)가 도 7의 ①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면, 이와 함께 링크(55)가 ②방향으로 상승하게 된다. 이와 동시에 제1종속기어(53)는 인장 코일 스프링(56)의 인장력을 받으면서 랙 기어(13)와 치합된다. 이때, 상기 제1종속기어(53)는 상기 피니언 기어(52)와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며, 메인 바디(110)는 개방되는 방향(도 7의 ③방향)으로 유동되는 것이다. 이때, 인장 코일 스프링(56)의 인장력 보다 링크(55)를 회전시키는 구동 모터(51)의 회전력이 좀더 강해야 함을 알 수 있다. 상기 구동 모터(51)가 회전하는 동안은 계속 상기 제1종속기어(53)가 상기 랙 기어(13)와 치합되어 동작한다.
그후, 상기 메인 바디(110)가 소정의 검출 수단(미도시 됨)에 의해 단말기의 최대 개방 위치를 검출하게 되면, 제어부(예를 들면, 서보 제어부)는 구동 모터(51)의 회전을 정지시켜 과부하를 방지하도록 한다. 이와 동시에 피니언 기어(52)의 링크(55)를 회전시키려는 회전력이 없어지며, 인장 코일 스프링(56)의 복원력에 의해 상기 링크(55)는 도 6의 상태로 복원된다. 즉, 랙 기어(13)와 제1종속기어(53)는 이격된 상태가 된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도 5의 구동 장치에 의해 단말기가 폐쇄될 때의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로써, 구동 모터(51)의 피니언 기어(52)가 도 8의 ④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면, 이와 함께 링크(55)가 ②방향으로 상승하게 된다. 이와 동시에 제2종속기어(54)는 인장 코일 스프링(57)의 인장력을 받으면서 랙 기어(13)와 치합된다. 이때, 상기 제2종속기어(54)는 상기 피니언 기어(52)와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며, 메인 바디(110)는 폐쇄되는 방향(도 8의 ⑤방향)으로 유동되는 것이다. 이때, 인장 코일 스프링(57)의 인장력 보다 링크(55)를 회전시키는 구동 모터(51)의 회전력이 좀더 강해야 함을 역시 알 수 있다. 상기 구동 모터(51)가 회전하는 동안은 계속 상기 제2종속기어(54)가 상기 랙 기어(13)와 치합되어 동작한다.
그후, 상기 메인 바디(110)가 소정의 검출 수단(미도시 됨)에 의해 단말기의 최대 폐쇄 위치를 검출하게 되면, 제어부는 구동 모터의 회전을 정지시켜 과부하를 방지하도록 한다. 이와 동시에 피니언 기어(52)의 링크(55)를 회전시키려는 회전력이 없어지며, 인장 코일 스프링(57)의 복원력에 의해 상기 링크(55)는 도 6의 상태로 복원된다. 즉, 랙 기어(13)와 제2종속기어(54)는 이격된 상태가 되는 것이다.
한편, 사용자는 상기 단말기를 자동으로 개방시키거나 폐쇄시킨 상태에서 수동으로 다시 폐쇄시키거나 개방시킬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동작의 편의성을 위하여 메인 플레이트와 슬라이드 플레이트를 사용하였는데, 가이드 수단을 메인 바디와 슬라이드 바디에 형성하여 상기 플레이트 없이도 설치 가능하다. 예컨데, 자동 동작을 위하여 슬라이드 바디 또는 메인 바디 중 어느 한곳에 길이 방향을 렉기어를 설치하고, 나머지 하나의 바디에 구동장치를 설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메인 바디와 슬라이드 바디 사이에 수동 동작을 위한 탄성 수단을 개제시킬 수 있는 것이다.
분명히, 청구항들의 범위내에 있으면서 이러한 실시예들을 변형할 수 있는 많은 방식들이 있다. 다시 말하면, 이하 청구항들의 범위를 벗어남 없이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는 많은 다른 방식들이 있을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드 타입 단말기는 단말기상에 구비된 버튼의 동작에 의해 자동으로 슬라이딩 동작을 수행하도록 하여 사용자의 다양한 기호에 부응하고 있으며, 단말기의 개방 및 폐쇄 동작중에 그 반대 방향으로 유동되므로써 발생되는 오동작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고, 구동 장치에 전원이 공급되지 않더라도 사용자가 직접 수동으로 개폐가 가능한 편리한 효과가 있다.

Claims (26)

  1. 휴대용 무선단말기에 있어서,
    메인 바디;
    상기 메인 바디상에서 단말기의 길이 방향으로 일정 길이만큼 슬라이딩 동작을 수행하도록 설치되는 슬라이드 바디;
    상기 메인 바디 또는 슬라이드 바디중 어느 한 곳에 설치되는 피니언 기어를 구비한 구동 모터;
    상기 구동 모터가 설치되는 메인 바디 또는 슬라이드 바디 이외의 나머지 부분 적소에 상기 피니언 기어와 치합되도록 단말기의 길이 방향으로 구비되는 랙 기어;
    상기 단말기의 최대 개방 및 폐쇄 위치를 검출하기 위한 검출 수단; 및
    상기 검출 수단의 출력을 분석하여 상기 구동 모터의 회전을 정지시키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및 수동 겸용 슬라이드 타입 휴대용 무선단말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 수단은 발광부와 수광부를 갖는 포토 센서, 자력을 검출하는 홀 센서, 구동 모터의 회전축에 설치되어 회전수를 검지하는 엔코더 중 어느 하나임을특징으로 하는 자동 및 수동 겸용 슬라이드 타입 휴대용 무선단말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랙 기어와 치합되는 피니언 기어는 상기 구동 모터가 동작하지 않을 경우 아이들 회전하도록 구성되므로써, 단말기를 수동으로 원활히 동작시키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및 수동 겸용 슬라이드 타입 휴대용 무선단말기.
  4. 휴대용 무선단말기에 있어서,
    메인 바디;
    상기 메인 바디상에서 단말기의 길이 방향으로 일정 길이만큼 슬라이딩 동작을 수행하도록 설치되는 슬라이드 바디;
    상기 메인 바디 또는 슬라이드 바디 중 어느 한 곳에 설치되는 피니언 기어를 구비한 구동 모터;
    상기 구동 모터가 설치되는 메인 바디 또는 슬라이드 바디 이외의 나머지 부분 적소에 상기 피니언 기어와 치합되도록 단말기의 길이 방향으로 구비되는 랙 기어;
    상기 슬라이드 바디와 메인 바디 사이에서 상기 단말기의 일정 슬라이딩 위치를 기준으로 개방되는 방향 또는 폐쇄되는 방향으로 가압력의 방향을 변화시키도록 설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탄성 수단;
    상기 단말기의 최대 개방 및 폐쇄 위치를 검출하기 위한 검출 수단; 및
    상기 검출 수단의 출력을 분석하여 상기 구동 모터의 회전을 정지시키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및 수동 겸용 슬라이드 타입 휴대용 무선단말기.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랙 기어와 치합되는 피니언 기어는 상기 구동 모터가 동작하지 않을 경우 아이들 회전하도록 구성되므로써, 단말기를 수동으로 원활히 동작시키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및 수동 겸용 슬라이드 타입 휴대용 무선단말기.
  6.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 수단은 발광부와 수광부를 갖는 포토 센서, 자력을 검출하는 홀 센서, 구동 모터의 회전축에 설치되어 회전수를 검지하는 엔코더 중 어느 하나임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및 수동 겸용 슬라이드 타입 휴대용 무선단말기
  7.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수단으로는 일단이 상기 메인 바디의 적소에 고정되며, 타단이 상기 슬라이드 바디의 적소에 고정되는 토션스프링임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및 수동 겸용 슬라이드 타입 휴대용 무선단말기.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토션스프링은 상기 슬라이드 바디가 상기 메인 바디상에서 1/2의 위치만큼 개방되거나 폐쇄되는 지점에서 가압력의 방향이 변화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및 수동 겸용 슬라이드 타입 휴대용 무선단말기.
  9. 휴대용 무선단말기에 있어서,
    메인 바디;
    상기 메인 바디상에서 단말기의 길이 방향으로 일정 길이만큼 슬라이딩 동작을 수행하도록 설치되는 슬라이드 바디;
    상기 메인 바디 또는 슬라이드 바디 중 어느 한 곳에 단말기의 길이 방향으로 구비되는 랙 기어;
    상기 메인 바디 또는 슬라이드 바디 중 나머지 바디에 설치하되, 동작할 때에만 상기 랙 기어와 선택적으로 치합하도록 설치되는 적어도 두 개의 종속 기어를 갖는 구동 장치;
    상기 구동 장치가 동작하지 않을 경우, 상기 구동 장치와 상기 랙 기어를 일정 간격으로 이격시키도록 설치되는 지지 수단;
    상기 단말기의 최대 개방 및 폐쇄 위치를 검출하기 위한 검출 수단; 및
    상기 검출 수단의 출력을 분석하여 상기 구동 모터의 회전을 정지시키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및 수동 겸용 슬라이드 타입 휴대용 무선단말기.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장치는,
    구동 모터;
    상기 구동 모터의 회전축에 설치되는 피니언 기어;
    상기 피니언 기어의 양측에서 각각 치합되는 제1, 제2 종속 기어; 및
    상기 피니언 기어, 제1종속기어, 제2종속기어의 회전축을 연결하는 링크로 구성되며, 상기 링크는 피니언 기어의 회전축에 대하여 아이들 회전하도록 설치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및 수동 겸용 슬라이드 타입 휴대용 무선단말기.
  11. 제 9항 또는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수단은 상기 링크의 양단에 고정되며, 구동 모터의 회전에 의해아이들 회전하여 랙 기어와 선택적으로 치합되는 링크를 상기 구동 모터 정지시, 원래의 상태로 복원 시켜서 상기 랙 기어와 이격시켜주는 인장 코일 스프링임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및 수동 겸용 슬라이드 타입 휴대용 무선단말기.
  12.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종속 기어는 상기 랙 기어와 치합되는 피니언 기어임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및 수동 겸용 슬라이드 타입 휴대용 무선단말기.
  13.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 수단은 발광부와 수광부를 갖는 포토 센서, 자력을 검출하는 홀 센서, 구동 장치의 회전축에 설치되어 회전수를 검지하는 엔코더 중 어느 하나임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및 수동 겸용 슬라이드 타입 휴대용 무선단말기
  14. 휴대용 무선단말기에 있어서,
    메인 바디;
    상기 메인 바디상에서 단말기의 길이 방향으로 일정 길이만큼 슬라이딩 동작을 수행하도록 설치되는 슬라이드 바디;
    상기 메인 바디 또는 슬라이드 바디 중 어느 한 곳에 단말기의 길이 방향으로 구비되는 랙 기어;
    상기 메인 바디 또는 슬라이드 바디 중 나머지 바디에 설치하되, 동작할 때에만 상기 랙 기어와 선택적으로 치합하도록 설치되는 적어도 두 개의 종속 기어를 갖는 구동 장치;
    상기 구동 장치가 동작하지 않을 경우, 상기 구동 장치와 상기 랙 기어를 일정 간격으로 이격시키도록 설치되는 지지 수단;
    상기 슬라이드 바디와 메인 바디 사이에서 상기 단말기의 일정 슬라이딩 위치를 기준으로 개방되는 방향 또는 폐쇄되는 방향으로 가압력의 방향을 변화시키도록 설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탄성 수단;
    상기 단말기의 최대 개방 및 폐쇄 위치를 검출하기 위한 검출 수단; 및
    상기 검출 수단의 출력을 분석하여 상기 구동 모터의 회전을 정지시키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및 수동 겸용 슬라이드 타입 휴대용 무선단말기.
  15.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장치는,
    구동 모터;
    상기 구동 모터의 회전축에 설치되는 피니언 기어;
    상기 피니언 기어의 양측에서 각각 치합되는 제1, 제2 종속 기어; 및
    상기 피니언 기어, 제1종속기어, 제2종속기어의 회전축을 연결하는 링크로 구성되며, 상기 링크는 피니언 기어의 회전축에 대하여 아이들 회전하도록 설치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및 수동 겸용 슬라이드 타입 휴대용 무선단말기.
  16. 제 14항 또는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수단은 상기 링크의 양단에 고정되며, 구동 모터의 회전에 의해 아이들 회전하여 랙 기어와 선택적으로 치합되는 링크를 상기 구동 모터 정지시, 원래의 상태로 복원 시켜서 상기 랙 기어와 이격시켜주는 인장 코일 스프링임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및 수동 겸용 슬라이드 타입 휴대용 무선단말기.
  17.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종속 기어는 상기 랙 기어와 치합되는 피니언 기어임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및 수동 겸용 슬라이드 타입 휴대용 무선단말기.
  18.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 수단은 발광부와 수광부를 갖는 포토 센서, 자력을 검출하는 홀센서, 구동 장치의 회전축에 설치되어 회전수를 검지하는 엔코더 중 어느 하나임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및 수동 겸용 슬라이드 타입 휴대용 무선단말기
  19.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수단으로는 일단이 상기 메인 바디의 적소에 고정되며, 타단이 상기 슬라이드 바디의 적소에 고정되는 토션스프링임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및 수동 겸용 슬라이드 타입 휴대용 무선단말기.
  20. 제 19항에 있어서,
    상기 토션스프링은 상기 슬라이드 바디가 상기 메인 바디상에서 1/2의 위치만큼 개방되거나 폐쇄되는 지점에서 가압력의 방향이 변화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및 수동 겸용 슬라이드 타입 휴대용 무선단말기.
  21. 제 15항 또는 제 19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모터의 회전력이 상기 토션 스프링의 토션력보다 크도록 하여 단말기의 원활한 자동 슬라이딩 동작을 수행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및 수동 겸용 슬라이드 타입 휴대용 무선단말기.
  22. 휴대용 무선단말기에 있어서,
    메인 바디;
    상기 메인 바디상에서 단말기의 길이 방향으로 일정 길이만큼 슬라이딩 동작을 수행하도록 설치되는 슬라이드 바디;
    상기 메인 바디의 슬라이드 바디와 접하는 면상에 설치되는 메인 플레이트;
    상기 메인 플레이트와 마주보도록 상기 슬라이드 바디상에 설치되는 슬라이드 플레이트;
    상기 메인 플레이트 또는 슬라이드 플레이트 중 어느 한 곳에 단말기의 길이 방향으로 구비되는 랙 기어;
    상기 메인 바디 또는 슬라이드 바디 중 나머지 바디에 설치하되, 동작할 때에만 상기 랙 기어와 선택적으로 치합하도록 설치되는 적어도 두 개의 종속 기어를 갖는 구동 장치;
    상기 구동 장치가 동작하지 않을 경우, 상기 구동 장치와 상기 랙 기어를 일정 간격으로 이격시키도록 설치되는 지지 수단;
    상기 슬라이드 바디와 메인 바디 사이에서 상기 단말기의 일정 슬라이딩 위치를 기준으로 개방되는 방향 또는 폐쇄되는 방향으로 가압력의 방향을 변화시키도록 설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토션 스프링;
    상기 단말기의 최대 개방 및 폐쇄 위치를 검출하기 위한 검출 수단; 및
    상기 검출 수단의 출력을 분석하여 상기 구동 모터의 회전을 정지시키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및 수동 겸용 슬라이드 타입 휴대용 무선단말기.
  23. 제 22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장치는,
    구동 모터;
    상기 구동 모터의 회전축에 설치되는 피니언 기어;
    상기 피니언 기어의 양측에서 각각 치합되는 제1, 제2 종속 기어; 및
    상기 피니언 기어, 제1종속기어, 제2종속기어의 회전축을 연결하는 링크로 구성되며, 상기 링크는 피니언 기어의 회전축에 대하여 아이들 회전하도록 설치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및 수동 겸용 슬라이드 타입 휴대용 무선단말기.
  24. 제 22항 또는 제 23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수단은 상기 링크의 양단에 고정되며, 구동 모터의 회전에 의해 아이들 회전하여 랙 기어와 선택적으로 치합되는 링크를 상기 구동 모터 정지시, 원래의 상태로 복원 시켜서 상기 랙 기어와 이격시켜주는 인장 코일 스프링임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및 수동 겸용 슬라이드 타입 휴대용 무선단말기.
  25. 제 22항 또는 제 23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모터의 회전력이 상기 토션 스프링의 토션력보다 크도록 하여 단말기의 원활한 자동 슬라이딩 동작을 수행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및 수동 겸용 슬라이드 타입 휴대용 무선단말기.
  26. 제 22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 수단은 발광부와 수광부를 갖는 포토 센서, 자력을 검출하는 홀 센서, 구동 장치의 회전축에 설치되어 회전수를 검지하는 엔코더 중 어느 하나임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및 수동 겸용 슬라이드 타입 휴대용 무선단말기
KR1020030021144A 2003-04-03 2003-04-03 자동 및 수동 겸용 슬라이드 타입 휴대용 무선단말기 KR10055047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21144A KR100550478B1 (ko) 2003-04-03 2003-04-03 자동 및 수동 겸용 슬라이드 타입 휴대용 무선단말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21144A KR100550478B1 (ko) 2003-04-03 2003-04-03 자동 및 수동 겸용 슬라이드 타입 휴대용 무선단말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86951A true KR20040086951A (ko) 2004-10-13
KR100550478B1 KR100550478B1 (ko) 2006-02-14

Family

ID=373691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21144A KR100550478B1 (ko) 2003-04-03 2003-04-03 자동 및 수동 겸용 슬라이드 타입 휴대용 무선단말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5047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41271A (ko) * 2003-10-30 2005-05-04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자동 슬라이딩 타입 휴대용 전자 단말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41271A (ko) * 2003-10-30 2005-05-04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자동 슬라이딩 타입 휴대용 전자 단말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50478B1 (ko) 2006-02-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542435B1 (en) Slide type portable communication terminal
EP1148692B1 (en) Portable electronic device
JP2004312982A (ja) スライド型携帯電話機及び、該携帯電話機の滑動方法
US6885849B1 (en) Automatically closable mobile telephone
KR20050006932A (ko) 슬라이드형 휴대용 단말기의 개폐 장치
KR100469361B1 (ko) 휴대전화기의 폴더 구동장치
KR100518168B1 (ko) 슬라이딩 타입 휴대용 무선단말기
KR100550478B1 (ko) 자동 및 수동 겸용 슬라이드 타입 휴대용 무선단말기
KR200319967Y1 (ko) 슬라이드 타입 휴대용 무선단말기
US20070139877A1 (en) Slide mechanism for a portable device and a portable device comprising the same
KR20010073959A (ko) 드로어 타입 휴대전화기
JP2005341126A5 (ko)
KR101157568B1 (ko) 슬라이드 방식의 휴대 단말기용 힌지장치
KR100570071B1 (ko) 폴더형 휴대폰
KR20000075448A (ko) 감김가능한 키패드 커버를 구비한 휴대용 전화 핸드셋 장치
KR20040038304A (ko) 폴더형 휴대폰 힌지장치
KR200374460Y1 (ko) 휴대전화기 및 휴대전화기용 슬라이딩 조립체
KR100616624B1 (ko) 개선된 축 이동식 카메라 모듈을 갖는 휴대폰및 이에사용되어지는 카메라 모듈
KR100359077B1 (ko) 휴대전화기의 폴더 개폐장치
KR100521333B1 (ko) 듀얼-샤프트 힌지구조를 갖는 개인휴대단말기
KR100519699B1 (ko) 슬라이드형 휴대전화기
KR200330195Y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하우징 구조
KR100688084B1 (ko) 폴더형 휴대폰의 자동 개폐 모듈
KR100504425B1 (ko) 자동 및 수동 겸용 절첩식 휴대용 무선단말기
KR100410945B1 (ko) 휴대전화기 및 휴대 전화기용 자동 개폐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203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