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75448A - 감김가능한 키패드 커버를 구비한 휴대용 전화 핸드셋 장치 - Google Patents

감김가능한 키패드 커버를 구비한 휴대용 전화 핸드셋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75448A
KR20000075448A KR1019990061775A KR19990061775A KR20000075448A KR 20000075448 A KR20000075448 A KR 20000075448A KR 1019990061775 A KR1019990061775 A KR 1019990061775A KR 19990061775 A KR19990061775 A KR 19990061775A KR 20000075448 A KR20000075448 A KR 2000007544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telephone handset
handset
telephone
cover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617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폴에이. 머피
Original Assignee
폴 에이.머피
브이텍 커뮤니케이션스,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폴 에이.머피, 브이텍 커뮤니케이션스, 리미티드 filed Critical 폴 에이.머피
Publication of KR200000754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75448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35Slidable or telescopic telephones, i.e. with a relative translation movement of the body parts; Telephones using a combination of translation and other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37Sliding mechanism with one degree of freedo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Input From Keyboards Or The Like (AREA)

Abstract

폐쇄 위치로부터 개방 위치까지 연절되는 가동 커버를 구비한 전화 핸드셋 장치가 제공된다. 연절가능한 커버는 전화 핸드셋 하우징 내에 포함되어 유지되며 개방 위치에 있을시는 하우징으로부터 연장되지 않아 파손 및 손상을 배제시킨다. 커버가 폐쇄 위치에 있을시는 커버가 입력 키패드 상부에 놓여지고 개방 구성 상태에서 입력 키패드를 노출시킨다.

Description

감김가능한 키패드 커버를 구비한 휴대용 전화 핸드셋 장치{PORTABLE TELEPHONE HANDSET CONSTRUCTION WITH RETRACTABLE KEYPAD COVER}
본 발명은 휴대용 배터리-전원 전화 핸드셋 장치에 관한 것이며, 보다 상세하게는 핸드셋 키패드를 선택적으로 덮고 노출시키는 감김가능한 커버를 포함하는 핸드셋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전화 핸드셋은 통상적으로 사용자가 통화하기를 원하는 상대편 전화번호의 숫자를 입력하도록 하는 숫자 키패드를 그 표면상에 도입한다. 키패드는 통상적으로 각각의 스위치와 관련된, 푸시 버튼 또는 맴브레인 키패드면인 버튼을 실질적으로 가압하는 사용자에 의해 활성화되는 순간접촉 기계 또는 전자 스위치의 매트릭스를 포함한다.
종래의 전화 핸드셋은 전화의 전방면상에 위치되며 이에 따라 전화 핸드셋에 전원이 공급되어 인바운드콜(inbound call)을 수신할 준비가 된 대기 모드상태에 있을시에 노출되는 키패드를 채용한다. 선행 기술 디자인의 한가지 가능한 단점은 전화기 핸드셋이 실예로, 사용자의 주머니, 지갑, 서류가방안에 있거나, 또는 테이블이나 책상위에 놓여 있을때 사물이 키패드와 접촉될 수 있어 이런 접촉이 키패드를 트리거하여 의도되지 않은 명령을 실행할 수 있는 것이다. 실예로, 전화기 핸드셋은 차례로 전화기 핸드셋이 켜지거나 또는 꺼지거나, 바람직하지 않은 번호를 다이얼링하거나, 그렇지 않으면, 불필요하게 배터리 충전량을 방전시키거나 또는 사용자가 전화 핸드셋이 다시 사용될 수 있기 전에 의도되지 않은 작동을 정정하거나 실행하지 않도록 하는 의도되지 않은 작동을 이행할 수 있는 서류가방에 보관될 때 다른 사물에 의해 충돌될 수 있다.
핸드셋 키패드와의 의도되지 않은 접촉을 방지하기 위한 한가지 종래 기술의 해결책은 커버가 핸드셋 키패드를 드러내기 위해 젖혀져 개방될 전화 전방면의 하단부에 통상적으로 힌지 결합된 비교적 얇은 키패드 커버를 제공하는 것이다. 노키아(NOKIA) 8100 셀룰러폰은 변형적으로 끼워넣을 수 있는 방식으로 키패드를 덮거나 노출시키기 위해 전화 전방면의 평면을 따라 슬라이딩되는 키패드 커버를 채용하는 보다 선행의 기술 장치이다. 한가지 이들 디자인의 단점은 이들이 잠재적으로 손상이나 파손을 당할 수 있는 가동 구조 부재를 생성시키는 것이다. 더 선행 기술의 해결책은 사용자가 키의 시퀀스(sequence)를 눌러 핸드셋 키패드를 "잠금"하도록 하는 것이었다. 이런 방식으로, 핸드셋이 다른 키의 시퀀스를 눌러 통상적으로 처음 "잠금해제"될 때까지 하나의 잠금된 핸드셋은 눌려지는 어떤 그 이상의 키도 인지하지 못했다. 이런 디자인의 한가지 단점은 핸드셋이 사용될 수 있기 전에 사용자가 반드시 수동으로 키패드를 잠금해제해야만 하는 것이다. 차량을 운행하는 동안 전화를 걸려할 때 핸드셋을 잠금해제하기 위해 소정 번호의 시퀀스를 입력해야만하는 부가 단계는 잠재적 혼란을 부가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의도되지 않은 작동으로부터 핸드셋 키패드를 보호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개방으로 키패드를 드러낼 때 핸드셋 하우징내에서 유지되어 파손되거나 또는 손상을 입지 않도록 하는 감김가능한 키패드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부가적인 목적은 키패드 커버를 한손 조작하여 핸드셋 키패드를 덮도록 커버를 덮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키패드 커버의 전동화된 작동을 제공하여 핸드셋 키패드를 자동으로 덮고 드러내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이들 및 다른 목적들은 본 발명의 청구범위 및 도면을 포함하는 명세서에 비추어 명백해질 것이다.
본 발명은 그 개념이 실질적으로 어떤 휴대용 전화 핸드셋에도 도입될 수 있지만, 휴대용 셀룰러폰용의 장치에 관한 것이다.
특히, 전화 핸드셋 장치는 커버가 폐쇄 위치에 있을 경우 핸드셋의 사용자 입력 키패드에 커버를 제공하도록 하는 가동 커버, 또는 감김틀(tambour)을 포함한다.
전화 핸드셋 장치의 전자 기능 소자를 실질적으로 포함하는 주 몸체부가 구비되며 이 주 몸체부는 사용자 입력 키패드를 포함한다. 주 몸체부는 종축, 이 종축과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연장되는 전방부 및 후방부, 상단부, 전방부 및 후방부를 실질적으로 연결시키는 하단부 및 두 개의 대향 측면부를 포함한다. 주 몸체부에 대해, 입력 키패드를 덮는 폐쇄 구성에서 입력 키패드를 노출시키는 개방 구성으로 연절(articulable)가능한 커버 부재가 구비된다. 커버 부재가 폐쇄 구성 상태일 경우 후방부를 노출시키면서 전방부를 실질적으로 둘러싸고 덮도록 작동되게 구성된다. 커버 부재는 주 몸체부의 프로파일 외형을 실질적으로 따르는 경로로 연절동안 이동되도록 구성된다.
주 몸체부와 결합되고 연절 동안 커버부재의 이동 경로를 안내하도록 작용하는 하나 이상의 가이드 부재가 구비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 하나 이상의 가이드 휠은 연장된(개방된) 구성에서 감긴(폐쇄된) 구성으로 감김틀의 재감기를 용이하게 하도록, 감김틀과의 작동가능한 구동하는/구동 맞물림부에 위치한다.
본 발명의 더 바람직한 실시예는 전원을 전화기에 공급하는 배터리 셀을 수납하는 주 몸체부의 후방부에 형성되는 배터리 수납실에 있다. 전술한 장치를 통하여, 배터리 수납실 및 차례로 이 수납실에 수납된 배터리 셀은 상기 커버 부재가 폐쇄 구성 상태일 때 수납 및 제거될 수 있다.
도 1은 개방 구성 상태로 도시된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전화 핸드셋 장치의 분해 평면도이다.
도 2는 완전히 조립되고 폐쇄된 구성 상태의 도 1의 실시예의 핸드셋을 도시한다.
도 3 및 도 4는 도 1 및 도 2의 부분 개략적 측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전화 핸드셋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2의 라인 6-6을 따라 취해진 도 1-3의 실시예의 전화 핸드셋의 측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2의 라인 7-7을 따라 취해진 도 1-3의 실시예의 전화 핸드셋의 단면도이다.
도 8은 도 1-7의 실시예에 따라 감김틀 및 장식적인 또는 그리핑 향상을 위해 "톱니"가 외측면상에 있고 횡으로 변동하는 외형을 구비할 수 있는 반전 구성을 가지는 감김틀의 부분의 사시도이다.
본 발명이 많은 다른 형태의 실시예를 허용하지만, 본 명세서가 본 발명 원리의 실시예로서 고려되어야하고 예시된 실시예로 본 발명을 제한하도록 의도되지 않는 것의 이해를 바탕으로 여러 특수한 실시예가 도면으로 도시되고 상세히 본문에 기술될 것이다.
핸드셋(10)은 개방 구성 상태의, 도 1의 분해 평면도로 도시된다. 도 2는 완전 조립되고 폐쇄된 구성 상태의 핸드셋을 도시한다. 핸드셋(10)은 주 몸체부(13), 좌측 폐쇄부(16), 우측 폐쇄부(19), 및 커버 또는 감김틀(22)을 포함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안테나(14)는 주 몸체부(13)의 우측으로부터 연장되지만, 핸드셋이 완전히 조립되는 경우, 안테나(14)가 핸드셋(10)의 좌측(16) 또는 다른 부분으로부터 연장될 수도 있지만, 우측 폐쇄부(19)의 적절한 노치 또는 개구를 통해 돌출될 것이다. 본문 다른 곳에 기술되는 바와 같이, 전화기의 전자부품이 주 몸체부내에 주로 포함될 것이지만, 특정 소자들은 감김틀 및/또는 좌 또는 우측 폐쇄부에 부분적으로 또는 전부 위치될 수 있다. 이것이 도면부호 22a로 예시된 개방 위치일 때, 감김틀(22)은 키패드(30) 또는 변형적으로 터치 스크린(31)을 드러낸다.
감김틀(22)이 폐쇄 위치에 있을 때 사용자에게 정보를 전송하기 위해, 간단한 LED 또는 다중-컬러 LED(충전에 대해 적색에서 녹색으로)에 의해 어드레스될 수 있는 파워 온, 배터리 상태, 페이징(paging) 기능 및 다른 기능들과 같은 특정 디스플레이가 도 1 및 2의 도면 부호 40,41,42로 도시된 것처럼, 측면 폐쇄부 상에 필수적인 표시기(어느 적절한 표시를 동반하는)를 위치시켜 제공될 수 있다. 필요한 전기 접속부는 당업자들에게 알려진 방식으로, LED(40,41,42)와 주 몸체부(13) 사이에 제공된다. 파워 온-오프 버튼(44)은 우측 폐쇄부(19) 상에 배치된 것으로 도시되는 버튼(44)으로 전화기를 켜고 끄기 위해 구비된다.
본 발명의 한가지 실시예에 있어, 종래의 푸시버튼 키패드가 제공되어 사용자가 호출될 상대방의 전화 번호의 숫자를 입력하도록 한다(도 3 및 4). 당 기술 분야에 공지되어 있는 것처럼 다이얼링된 번호 및/또는 다른 관련 정보가 종래의 LED 또는 LCD 디스플레이(미도시)로 사용자에게 제공될 수 있다.
변형적으로, 감김틀의 일부분 이상이 주 몸체부의 전방면 상에 위치된 LED 또는 주요 LCD 디스플레이 등등을 표시하는 배치 상태가 폐쇄 감김틀을 통해 통상적으로 직접 관측되게 할 수 있도록 투명 또는 반투명 물질로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예시된 실시예에 있어, LCD 터치 스크린(31)이 종래의 "푸시 버튼" 키패드 대신에 제공되며, 한 모드에서 사용자가 전화 번호를 입력하여 다이얼링되도록 하거나 또는 다른 전화 기능을 작동하도록 하는 전화기 키패드의 그래픽 디스플레이를 사용자에게 제공하기 위해 주 몸체부(13) 전방상에 위치된 LCD 터치 스크린(31)이 도시된다. 전화 번호를 "다이얼링"하기 위해, 사용자가 디스플레이된 "키"(32)의 위치에 가장 근접한 LCD 터치 스크린(31)의 표면을 단지 터치하거나 또는 가볍게 두드리면 된다. 이런 실시예에 있어, 종래의 디스플레이는 필요한 정보가 LCD 터치 스크린(31)상에서 사용자에게 전송될 수 있기 때문에 생략될 수 있다. 전화 다이얼 키패드를 디스플레이하는데 부가하여, LCD 터치 스크린(31)은 계산기 또는 주소록 같이 전화기에 통합될 수 있는 다른 장치의 번호를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 하도록 작용할 수 있다.
LCD 터치 스크린(31)에 의해 제공된 입력 장치 특징을 보상하기 위해, LCD 터치 스크린(31)의 하부 에지에 근사한 위치의 핸드라이팅 입력면(35)이 도1에 도시된다. "폰 모드"에서, LCD 터치 스크린은 전화 키패드 및 특히, 대부분의 전화 핸드셋 상에 설치된 종래 버튼(32)의 표시를 디스플레이 할 것이다. 소정의 전화 번호를 다이얼링 하기 위해, 사용자는 소정의 번호를 표시하는 스크린면 위치를 손가락 또는 스타일러스로 터치하여 LCD 터치 스크린(35)과 접촉할 것이다. 전화 번호를 입력하기 위해 LCD 터치 스크린(35)을 터치하는 것에 대한 대안으로, 사용자는 핸드라이팅 입력면(35) 상에 손가락 또는 스타일러스로 번호를 "기록(writing)"하여 전화 번호를 한 자리씩 입력할 수 있다. 핸드라이팅 입력면(35)은 전화기의 주 몸체부의 전자부품에 기억된 핸드라이팅 인식 소프트웨어와 조합하여 작동한다. 소프트웨어는 문자, 숫자 또는 심볼을 추적함으로써, 상기 입력을 식별하고 영숫자 문자 같은 소정의 관련 데이터 요소를 입력하며 또는 "재다이얼" 같은 소정의 명령을 실행하는 것과 관련하여 사용자의 스타일러스 또는 손가락의 이동을 번역하는 작용을 한다.
핸드셋(10)의 가동 커버 장치는 도 3-7의 조사를 통해 이해될 수 있다. 이 도면들 중 도 3은 도 5의 핸드셋 실시예의 부분 측면도를 예시하고 감김틀(22)이 개방 정위(orientation)상태인 것으로 도시된다. 도 4는 특히 폐쇄 정위상태의 감김틀을 예시하는 도 5의 핸드셋 실시예의 개략적인 부분 측면도를 예시한다. 따라서, 감김틀(22)이 터치 스크린을 덮도록 하여 그 표면을 보호하고 장치의 오작동을 방지하는 것이 도시된다. 본문에 기술된 것처럼, 감김틀(22)은 구동 휠(28)과 그 내표면이 맞물리는 실질적으로 가요성의 물질이다. 도 4에 도시된 것처럼, 전화기의 주 몸체부(13)는 조립시 이곳을 통해 사용자가 관측할 수 있고 키패드 버튼(30) 또는 변형적으로 터치 스크린(31)을 작동할 수 있는 전방면상에 개구를 제공하는 측면부(19)를 포함하는 외부 하우징내에 포함될 수 있다. 주 몸체부(13)의 상단면 상에 중심 위치되는 키패드 버튼(30) 및 터치 스크린(31)이 각각 예시된다. 예시된 것처럼, 좌측면부(16)는 우측면부(19)에 연결시키는 후방 패널(24)을 포함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이런 변형 실시예에서, 감김틀(22)은 전화 핸드셋의 후방 외부면을 제공하도록 작용하지는 못하지만 대신에 감김틀(22)은 강성 후방 패널(24)에 의해 형성된 최외곽 하우징 내에 지지된다. 비록 도 5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측면(16,19)이 감김틀(22)과 맞물리고 이를 지지하기 위해 필요한 트랙 구조체를 각각 포함하는 것이 예측된다. 이들 변형 실시예의 한가지 특징은 전화 핸드셋에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 셀이 후방면에 피키백(piggy-backed)되거나 또는 협 개구를 통해 하우징의 측면부에 삽입되는 대신에 주 몸체부(13)의 후방면상의 수납실(compartment)에 수납되도록 하는 능력이다. 도 3 및 4에, 주 몸체부(13)내에 위치하는 배터리 셀(50)이 도시된다. 그래서 전화 핸드셋(10)의 후방면 상부에 놓여지지 않기 때문에 감김틀(22)이 폐쇄 위치 상태에 있을 때 사용자는 배터리 셀(50)을 수납 및 제거할 수 있다. 후방면(24) 상에 위치된 도어 또는 그 유사물이 선택적으로 개방 또는 폐쇄될 수 있어 방전된 배터리를 완전 충전된 배터리로 교체하는 것과 관련하여 배터리 셀(50)의 수납 및 제거를 허용함으로써 전화 핸드셋(10)의 연속적인 작동을 허용하는 것이 예측된다.
도 3 및 4는 도 1 및 2의 핸드셋 실시예의 부분 측면도를 예시한다. 도 3에 개방 정위 상태의 감김틀(22)이 도시된다. 감김틀(22)은 일반적으로 가요하며 횡으로 연장되는 톱니/그루브(25)가 존재하여 그렇게 제작된다. 핸드셋(10)의 주 몸체부(13)는 주 몸체부(13)에 대하여 회전 가능한 하나 이상의 가이드 휠(28)을 가진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두 가이드 휠(28)이 주 몸체부(13)의 각 측면상에 하나씩 구비된다.
바람직하게, 각각의 가이드휠은 가요성 감김틀(22)의 일부가 도 6에 도시되는 주 몸체부(13)둘레에 감겨질 때 톱니(29)가 가요성 감김틀(22)의 톱니/그루브(25)와 결합되도록 크기가 결정되고 이격되는 톱니 기어의 형태로 구성된다. 가이드 휠 상의 톱니 및 감김틀의 가요부의 톱니가 정사각형 또는 직사각형으로 도시되며; 그러나, 측면 폐쇄부에 의해 감김틀(22)이 가이드 휠에 대한 위치에 고정될 때에 한해서 다른 형태의 톱니가 채용될 수 있으며 본문에 기술된 것처럼 감김틀과 가이드 휠(28) 사이에 구동하는/구동되는 관계가 있다. 변형 실시예에 있어, 가이드 휠(28) 및 감김틀(22)이 이들 사이에 만족스럽게 마찰 맞물림을 허용할 보상 물질로 제조되는 경우, 감김틀이 측면 폐쇄부에 의해 가이드 휠에 대한 마찰 맞물림으로 유지됨으로써 가이드 휠(28) 및 감김틀(22)에 톱니가 없을 수 있다.
좌측 폐쇄부(16) 및 우측 폐쇄부(19)는 도 7에 예시되는 것처럼, 트림 패널(24,26,27)과 함께 결합될 수 있다. 패널(24)은 장치(10)의 후방 패널을 형성하고 감김틀(22) 및 주 몸체부(13)를 보호하는 강성 표면을 포함한다. 패널(27)은 전화의 하단 패이시어를 형성하는 트림 패널이지만, 패널(26)은 전화의 상단 패이시어를 형성한다. 도 2에 예시된 것처럼, 상단 패널(26)은 감김틀(22)에 의해 차단되지 않도록 하는 방식으로 패널의 내표면 상에 위치될 수 있는 스피커(33)를 포함하며 패널(27)은 마이크로폰(38)을 포함한다.
감김틀이 가이드 휠과 맞물림으로 유지되고 그 이동시 주 몸체부 둘레로 안내되는 방식이 도 6 및 도 7의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라 예시된다.
도 6은 도 2의 라인 6-6을 따라 취해진 도 1-4의 실시예의 전화 핸드셋의 측단면도이다. 도 1로부터 관측될 수 있는 것처럼,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감김틀(22)은 다량의 감김틀(22)이 주 몸체부(13)의 각 측면으로부터 횡방향으로 돌출되도록 주 몸체부(13)의 폭 보다 다소 큰 측면간의 폭을 가진다. 감김틀(22)이 따르도록 트랙을 제공하기 위하여, 좌측 폐쇄부(16)의 일부 외주에는 점(A)으로부터 점(B)까지 시계방향으로 도는 외주 둘레에서 연장되는 측면으로 연장되는 외부 트랙 구조체(17)가 구비될 수 있다. 비록 점(A)과 점(B)에 대한 특정 위치가 도 6에 도시될 지라도, 전체 하우징의 특정 외형이 당업자에 의해 변동될 수 있는 것처럼, 점(A)와 점(B)의 특정 위치도 또한 상응하게 변형될 수 있는것이 이해되어야한다. 적절하게 구성된 좌측 폐쇄부(16)의 결합면이 접착제, 초음파 용접, 고정구등과 같은 어떤 적절한 방법으로든 상응하게 적절히 구성된 주 몸체부(13)의 결합면과 접착될 때, 외부 트랙 구조체(17)의 측면 폭의 일부가 상부에 돌출(또는 하부에 돌출)되며 감김틀(22)의 부분들을 에워싼다.
좌측 폐쇄부(16)는 각각 마찬가지로 벽(21)에서 주 몸체부(13)쪽으로 돌출될 내부 트랙 구조체(18,20)를 또한 구비한다. 주 몸체부(13)의 두께는 좌측 폐쇄부(16)의 구성에 반영된다. 트랙 구조체(16,17,20)가 감김틀(22)의 이동 경로를 한정하기 때문에, 주 몸체부(13)가 트랙 구조체(18,20) 사이로 한정되고 치수화된 공간에 실질적으로 맞춰져야 한다. 우측 폐쇄부(19)는 마찬가지로 우측 폐쇄부(19)의 내표면으로부터 주 몸체부(13)쪽으로 횡으로 돌출되는 상응하게 구성된 내부 트랙 구조체를 또한 구비한다.
커버가 개방되어야 할 때, 감김틀(22)은 핸드셋의 하단으로부터 상방향으로 당겨질 것이다. 도 6과 관련하여, 감김틀(22)이 화살표로 표시되는 것처럼, 우측으로 당겨질 것임을 의미한다. 이런 작동을 발생시키기 위해, 외부트랙 구조체가 감김틀의 강성부를 오버랩하지 않도록 외부 트랙 구조체가 전혀 존재하지 않거나 또는 6에 도시된 것처럼, 점(A,B)과와 이에 대한 우측까지의 사이의 틈 부분보다 덜 횡으로 연장되는 점(A,B)과 이에 대한 좌측까지의 사이에 틈이 존재한다. 이런 경우, 좌측 폐쇄부(16) 및 우측 폐쇄부(19)는 주 몸체부(13)의 상단 상부에 놓여지고 키패드 키가 연장될 수 있으며 시각 디스플레이가 관측될 수 있는 개구를 포함하는 전방 패널 구조체에 의해 함께 결합될 수 있다.
도 7은 도 2의 라인 7-7을 따라 취해지고 핸드셋의 상단으로부터 관측되어 가이드 휠이 보이지 않는 전화 핸드셋(10)의 단면도이다. 도 7은 감김틀이 폐쇄상태의 구성인 펼쳐진 형태로 도시된다. 더욱이, 주 몸체부는 단순한 형태 및 파선으로 예시되며 안테나는 이런 도면의 용이한 예시를 위해 도면으로부터 생략되었다. 상부에 돌출되고 하부에 돌출되는 트랙 구조체(17,18,20)는 펼쳐진 구성 상태에서 주 몸체부(도 7에 도시되는 것처럼, 상부 및 하부)의 전방을 덮는 감김틀(22)의 부분을 측방향으로 오버랩하도록 도시될 수 있다.
감김틀(22)은 한 측면 에지로부터 다른 측면 에지까지 실질적으로 균일한 두께를 가지는 것으로 도 1-7에 예시되고 그러므로 그 외부면이 좌 및 우측 폐쇄부의 인접 주변 에지보다 낮(또는 높)지만, 필요하다면, 감김틀의 외형은 감김틀의 중심(오버랩되지 않은)부의 외표면이 좌 및 우측 폐쇄부의 주변 에지와 높이가 맞추어지도록 선택될 수 있는 것이 이해되어야 한다.
우측 폐쇄부(19)는 도 1에 도시된 것처럼, 주 몸체부(13)의 우측면으로부터 돌출되는 안테나 구조체를 수용하기 위해 그 내부에 제공된 적절한 갭 또는 개구를 가지는 실질적으로 가이드 트랙 구조체의 상응하는 세트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한 바처럼, 가이드 휠은 감김틀(22)과 구동되는/구동하는 관계(감김틀(22)상의 상호-맞물림 톱니(25) 및 가이드 휠(28)상의 톱니(29)를 통해 또는 비교적 평탄한 표면의 마찰 맞물림을 통해)로 있다. 더욱이, 가이드 휠(28)이 전화 핸드셋의 주 몸체부(13)에 대하여 회전가능하다. 가이드 휠(28)이 주 몸체부의 폭을 통해 연장되는 축에 의해 서로 연결될 수 있지만, 그렇지 않으면 기능 전화기의 전자부품 및 다른 요소들로 채워질 수 있는 주 몸체부의 내부 공간을 차지할 것이다. 변형적으로, 가이드 휠은 주 몸체부의 측벽에 부가되거나 또는 이 측벽으로부터 돌출되는 짧게 고정되거나 또는 회전가능한 "데드(dead)" 축상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가이드 휠은 주 몸체부에 대해 자유회전(free-wheeling) 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런 구성이 감김틀(22)의 움직임을 특별히 초래하지는 않을 것이다. 감김틀(22)을 개방 및/또는 폐쇄하기 위해, 한가지 필수적인 것은 오직 소정 방향으로만 감김틀(22)을 슬라이딩시키며 이 때문에 핑거 그립(31)이 제공된다. 감김틀(22)을 폐쇄시, 가이드 트랙 구조체를 따라 당겨지는 감김틀은 가이드 휠(28)만이 회전되도록 할 것이다. 그러나, 주 몸체부(13)로 이것을 이동시켜 감김틀(22)을 개방시 가요성 감김틀(22)이 좌굴(buckling) 또는 바인딩되도록 촉진될 수 있으며 가이드 휠을 신뢰적으로 구동시킬 수 없다.
따라서, 감김틀의 이동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전동 및 비-전동 구동 장치를 하나 또는 모든 가이드 휠에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자동차 및/또는 주택용 창문 차양에 채용되는 래칫 스프링 바이어스(ratcheting spring biasing) 장치 같은 많은 이런 장치들이 공지되어 있다. 차양(또는 본 발명의, 감김틀)을 외부로 당기는 것은 스프링(일반적으로 코일 스프링) 힘의 증가에 대항해 달성된다. 래칫 장치는 일단 당기는 힘이 해제되면, 차양(감김틀)이 감김되는 것을 방지한다. 그러나, 일단 차양(감김틀)이 특정의 소정 거리 이상으로 당겨지면, 래칫은 해제되고 스프링은 가이드 휠을 회전시키거나 또는 감김틀을 당겨 감김틀이 감겨진 또는 집어 넣어진 정위상태로 되도록 한다. 이런 장치는 잘 공지되어 있으며, 따라서, 전화 하우징 디자인의 기능을 완전히 이해하는데 불필요하기 때문에 이런 장치의 상세한 기술 및 예시는 도면으로 부터 생략되어 있다.
변형적으로, 폐쇄된 감김틀을 당기는 것은 스프링의 바이어스에 대항해 와인딩시켜 래칫 장치가 갑작스럽게 리와인딩하여 감김틀을 개방시키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성취될 수 있다. 자동 창문 차양 기술 분야에 잘 공지되어 있는 푸시 버튼형 해제 장치 같은 장치가 감김틀이 재감김될 수 있도록 구비될 수 있다. 푸시 버튼(실예로, 도 5의 실시예, 버튼(23)이 측면 폐쇄부에 장착될 수 있지만, 주 몸체부(13)의 측표면에 위치된 대응부 레버 또는 폴(pawl)(37)과 맞물릴 수 있다. 스프링 바이어스를 가이드 휠(28)상에 가하고 스프링 부하된 폴(37)을 제공하여 가이드 휠(28)이 바람직하지 않은 방식으로 감김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감김틀(22)이 폐쇄될 수 있고 그 위치에 멈춰질 것이다. 해제 버튼(23)을 눌러, 폴(37)이 가이드 휠과의 맞물림을 벗어나 움직일 수 있고 휠은 감김틀(22)을 개방시키기 위해 스프링(미도시)의 힘아래에서 자유롭게 움직일 것이다. 다시, 이런 장치는 잘 공지되어 있으며, 따라서, 이런 장치의 상세한 기술 및 예시는, 전화 하우징 디자인 기능의 완전한 이해를 위해 불필요하기 때문에, 도면으로부터 생략된다.
다른 공지된 저장-에너지(stored-energy) 구동 장치들도 또한 사용될 수 있다. 게다가, 감김틀(22)의 움직임을 초래하는 변형 방법으로 내부공간 및 전원 고려가 허용된다면 가이드 휠에 접속된 서보모터 같은 전원 구동 장치가 감김틀을 연장 및/또는 감도록 채용될 수 있다. 이런 전원 구동 시스템은 실예로, 측면 폐쇄부 상에 위치되어 주 몸체부 유니트의 외측면 상의 대응 접촉부와 맞물리는 측면 폐쇄부 상의 전기 접촉부에 의해 주 몸체부와 접속될 수 있는 버튼인 적절한 제어체에 의해 작동될 수 있다.
도 1-7의 실시예는 감김틀의 외표면이 평탄한 슬라이딩 가능한 커버 또는 감김틀(22)(또한 비교를 위해 도 8에 도시됨)이 도시하지만, 그 내표면은 톱니 가이드 휠과 맞물리도록 톱니 표면이 구비되거나, 또는 선택적으로 평탄한 가이드 휠과 마찰로 맞물리도록 평탄한 표면이 구비된다. 본 발명의 변형 실시예에서, 외표면에는 직물 그리핑 표면을 제공하는데 사용될 수 있는 횡방향 그루브가 구비될 수 있다. 즉, 톱니의 표면이 오목 또는 볼록 외형을 가질 수 있어 일측 에지로부터 타측 에지로 이어진다. 도 8의 실시예에서, 감김틀(22)에는 이런 톱니 외형 외표면이 구비되지만 (가이드 휠과의 마찰 구동 맞물림에 따라) 평탄한 내표면도 구비된다. 평탄화 또는 톱니화의 다른 조합, 또는 널링(knurling)조차도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고 당업자에 의해 감김틀의 내부 및 외부표면 중 하나 또는 둘 모두 상에 채용될 수 있는 것이 이해될 수 있다.
도 1-7의 실시예와 관련하여 기술된 기본 형태를 제외하고, 본 발명의 전화 핸드셋 장치는 다양한 형태를 수용하도록 수정될 수 있다. 실예로, 주 몸체부의 측면으로부터 연장되는 안테나 구조체는 연장 가능한 끼워 넣어지는 안테나일 수 있다. 이런 안테나는 한 쌍의 적절히 위치된 핀치 롤러(pinch roller), 또는 볼 스크류 또는 웜 기어 장치 등등에 의해 구동될 수 있는, 이들 중 어느 것이라도 감김틀이 연장될 때 안테나가 자동으로 연장되도록 하우징의 측면상에 가이드 휠에 대해 기어구동 관계로 용이하게 배치될 수 있는 중심 코어에 의해 연장되거나 감김될 수 있다. 이런 장치들은 일반적으로 잘 공지되어 있으며 이 때문에 이런 장치들의 상세한 예시가 본 발명의 예시를 단순화하기 위해 생략되었다.
도 1-8의 전화 핸드셋 장치가 간결한 예시를 위해 존재하는 안테나와 별개로 비교적 단순하고 정규화된 구성을 가지는 것으로 예시된다. 정면에서 보면 핸드셋은 거의 직사각형을 지닌다. 측면에서 보면 핸드셋은 거의 직선의 전방 및 후방 면, 및 그 상단 및 하단에서는 반원형을 가지는 것으로 예시된다. 이런 외형들이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종래 지니는 전화기 핸드셋 디자인의 당업자에 의해 용이하게 변경될 수 있는 것이 이해되어야 한다. 실예로, 곡선의 측면 상승 외형을 지니는 도 5의 핸드셋 장치가 채용될 수 있다. 이런 외형을 둘러싸기 위해 적절히 안내된 감김틀(22)을 제공하는 문제는 측면 폐쇄부상의 트랙이 핸드셋 외표면의 외형을 실질적으로 따르는 것을 보장하는 문제이다.
본 발명의 핸드셋 디자인에 도입되는 다른 특징은 핸드셋에 전원공급하도록 채용될 수 있는 배터리 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3에 도시된 것처럼, 핸드셋은 배터리 셀에 의해 전원이 공급된다. 배터리 셀(50)은 핸드셋의 몸체내에 삽입되게 수용될 수 있다. 적당한 개구(34)를 후방 패널(24)에 제공하고 로킹 및 해제 구조체(미도시)를 배터리, 측면 폐쇄부 및/또는 주 몸체에 제공하여 운용자가 방전된 배터리를 "외부로 꺼낼" 수 있고 이후에 새 배터리를 "내부에 스냅"할 수 있다.
도면들 중 도 7은 각 측면(16,19)의 각각의 내표면을 따라 트랙에 의해 지지되는 감김틀(22)이 도시되는 도 2에 도시된 것처럼 라인 7-7을 따라 취해진 전화 핸드셋(10)의 단면도이다. 주 몸체부(13)내에 지지된 배터리 셀(50)이 도시되어 있다. 감김틀(22)이 폐쇄 위치에 있을 때 배터리 셀(50)을 수납 및 제거하는 것을 허용하는 후방 패널(24) 상에 위치된 배터리 수납 도어(34)가 도시되어 있다.
전술한 설명 및 도면은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고 예시하며 당업자들이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본문에 수정 및 변형을 만들 수 있기 때문에 본 발명은 첨부된 청구항이 제한되는 범위를 제외하고는 이에 대해 제한되지 않는다.

Claims (6)

  1. 핸드라이팅 입력 표면이 일체로된 휴대용 전화 핸드셋 장치에 있어서,
    사용자 입력 키패드를 포함하는 전화 핸드셋 장치의 전자 기능 요소를 실질적으로 수납하며, 종축, 이 종축과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연장되는 전방부 및 후방부, 상단부, 전방부 및 후방부를 실질적으로 연결하는 하단부, 및 두 대향 측면부를 구비하는 주 몸체부;
    주 몸체부에 대하여, 입력 키패드를 덮는 폐쇄 구성에서 입력 키패드를 노출시키는 개방 구성으로 연절가능한, 연절가능 커버 부재;
    커버 부재가 폐쇄 구성 상태일 때 주 몸체부의 후방부를 노출되게 하면서 주 몸체부의 전방부를 실질적으로 둘러싸서 덮기 위해 작동가능하게 구성되며, 상기 연절 동안 주 몸체부의 윤곽 외형을 실질적으로 따르는 경로로 이동하도록 작동가능하게 구성되는 커버 부재; 및
    상기 연절 중에 연절가능 커버 부재의 이동 경로를 안내하기 위해 주 몸체부와 작동가능하게 결합되는 하나 이상의 가이드 부재
    를 포함하는 휴대용 전화 핸드셋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주 몸체부에 대하여, 작동시 개방 구성 상태로부터 폐쇄 구성 상태로 연절가능한 커버 부재를 이동하도록 제공되는 구동 장치를 더 포함하는 전화 핸드셋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구동 장치가 코일 스프링을 포함하는 전화 핸드셋 장치.
  4. 제 2 항에 있어서, 구동 장치는 전동기를 포함하는 전화 핸드셋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전화기에 전원을 제공하는 배터리 셀을 수납하기 위해, 주 몸체부의 후방부에 형성된 배터리 수납실을 더 포함하여 이 배터리 수납실이 상기 커버 부재가 폐쇄 구성 상태에 있을 때 수납 및 제거될 수 있는 전화 핸드셋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커버 부재가 폐쇄 위치에 있을 때 하부에 있는 주 몸체부를 사용자가 관측하도록 하는 투명부를 포함하는 전화 핸드셋 장치.
KR1019990061775A 1999-05-18 1999-12-24 감김가능한 키패드 커버를 구비한 휴대용 전화 핸드셋 장치 KR20000075448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GB9911579.2 1999-05-18
GB9911579A GB2354665A (en) 1999-05-18 1999-05-18 Articulated sliding cover for a mobile telephone with a handwriting input surfac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75448A true KR20000075448A (ko) 2000-12-15

Family

ID=108536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61775A KR20000075448A (ko) 1999-05-18 1999-12-24 감김가능한 키패드 커버를 구비한 휴대용 전화 핸드셋 장치

Country Status (12)

Country Link
EP (1) EP1054551A3 (ko)
JP (1) JP2000341378A (ko)
KR (1) KR20000075448A (ko)
CN (1) CN1274227A (ko)
AU (1) AU5823799A (ko)
BR (1) BR0000165A (ko)
CA (1) CA2289154A1 (ko)
GB (1) GB2354665A (ko)
ID (1) ID26065A (ko)
NO (1) NO20000244L (ko)
SG (1) SG87057A1 (ko)
TW (1) TW437230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I20000931A (fi) 2000-04-18 2001-10-19 Nokia Mobile Phones Ltd Kannettava elektroninen laite
DE10245117B4 (de) * 2002-09-27 2004-09-23 Siemens Ag Mobilfunkgerät, bestehend aus zwei gegeneinander verschiebbaren Gehäuseteilen
EP1432215B1 (en) * 2002-12-19 2005-10-26 Sony Ericsson Mobile Communications AB Cover for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GB2396769A (en) * 2002-12-24 2004-06-30 Samsung Electronics Co Ltd Mobile communications device with retractable sliding keypad
FR2858102B1 (fr) * 2003-07-25 2007-10-19 Jean Pierre Cailleres Dispositif de masquage d'une ouverture
CN105892567A (zh) * 2015-01-26 2016-08-24 宏碁股份有限公司 电子装置及翻盖模块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89992A (ja) * 1993-04-02 1994-10-18 Citizen Watch Co Ltd 携帯型コンピュータ
US5584054A (en) * 1994-07-18 1996-12-10 Motorola, Inc. Communication device having a movable front cover for exposing a touch sensitive display
JPH0863437A (ja) * 1994-08-23 1996-03-08 Mitsubishi Electric Corp 携帯型情報端末機
US5715524A (en) * 1995-02-06 1998-02-03 Motorola, Inc. Radio communication device with movable housing element control
CA2166928A1 (en) * 1995-02-06 1996-08-07 Shrirang Nilkanth Jambhekar Radio communication device having a moveable housing element and a keypad disposed therein
DE29623336U1 (de) * 1995-07-10 1998-06-18 Peiker Andreas Handfunktelefon
US5640297A (en) * 1995-10-23 1997-06-17 Labaze; Ducarmel Airline seat back computer for providing travel information
JP2959500B2 (ja) * 1996-12-04 1999-10-06 日本電気株式会社 携帯情報機器
GB2337393B (en) * 1998-05-12 2000-04-05 Vtech Communications Ltd Portable telephone handset construc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U5823799A (en) 2000-11-23
SG87057A1 (en) 2002-03-19
NO20000244D0 (no) 2000-01-18
BR0000165A (pt) 2001-01-16
ID26065A (id) 2000-11-23
EP1054551A3 (en) 2001-11-21
TW437230B (en) 2001-05-28
EP1054551A2 (en) 2000-11-22
NO20000244L (no) 2000-11-20
GB9911579D0 (en) 1999-07-21
CN1274227A (zh) 2000-11-22
GB2354665A (en) 2001-03-28
CA2289154A1 (en) 2000-11-18
JP2000341378A (ja) 2000-12-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148692B1 (en) Portable electronic device
EP0414365B1 (en) Portable radio telephone
US6301487B1 (en) Information terminal unit incorporating cellular phone function and on/off-hook method
EP1809006B1 (en) Portable terminal
CN100473077C (zh) 滑动型便携式终端的开启和闭合装置
US6201868B1 (en) Portable telephone handset construction
JP2001007904A (ja) 摺動蓋を有する電子機器
KR20000075448A (ko) 감김가능한 키패드 커버를 구비한 휴대용 전화 핸드셋 장치
EP1435766A1 (en) Portable electronic device housing
KR20000075455A (ko) 핸드라이팅 입력면이 일체로된 휴대용 전화 핸드셋
KR20020014431A (ko) 길이방향으로 신장가능한 셀룰러 폰
MXPA00004775A (en) Portable telephone
WO2003056786A1 (fr) Telephone cellulaire
CN211350009U (zh) 一种挪车号码牌
CN211350008U (zh) 一种挪车号码牌
AU6440499A (en) Portable telephone handset construction
KR200239817Y1 (ko) 휴대용단말기의작동부개폐장치
KR200301235Y1 (ko) 휴대용 단말기의 밧데리
KR100550478B1 (ko) 자동 및 수동 겸용 슬라이드 타입 휴대용 무선단말기
KR100608722B1 (ko) 휴대용 단말기의 슬라이드 개폐장치
KR200308505Y1 (ko) 메인lcd 내장식 이동통신 단말기
KR200179947Y1 (ko) 휴대폰용 안테나
MXPA00004250A (en) Portable telephone
KR20060119575A (ko) 폴더 및 슬라이드 겸용 이동통신 단말기
KR20060100987A (ko) 개인휴대단말기용 스크린커버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