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108811A - 필기구 - Google Patents

필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108811A
KR20040108811A KR10-2004-7018341A KR20047018341A KR20040108811A KR 20040108811 A KR20040108811 A KR 20040108811A KR 20047018341 A KR20047018341 A KR 20047018341A KR 20040108811 A KR20040108811 A KR 2004010881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k
guide tube
writing
pen tip
pe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70183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59799B1 (ko
Inventor
다카오 고야마
Original Assignee
미쓰비시 엔피쯔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02138518A external-priority patent/JP2004042263A/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2138517A external-priority patent/JP3474875B6/ja
Application filed by 미쓰비시 엔피쯔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미쓰비시 엔피쯔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401088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10881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597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59799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1/00Inks
    • C09D11/16Writing in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27/00Multiple-point writing implements, e.g. multicolour; Combinations of writing implements
    • B43K27/08Combinations of pe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7/00Ball-point pens
    • B43K7/005Pen barr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7/00Ball-point pens
    • B43K7/02Ink reservoirs; Ink cartridges
    • B43K7/06Reservoirs with ink-level inspection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7/00Ball-point pens
    • B43K7/02Ink reservoirs; Ink cartridges
    • B43K7/08Preventing leaka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7/00Ball-point pens
    • B43K7/10Arrangements for feeding ink to the ball poi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8/00Pens with writing-points other than nibs or balls
    • B43K8/003Pen barr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8/00Pens with writing-points other than nibs or balls
    • B43K8/02Pens with writing-points other than nibs or balls with writing-points comprising fibres, felt, or similar porous or capillary material
    • B43K8/04Arrangements for feeding ink to writing-points

Abstract

축통내의 잉크 흡장체에 함침된 수성 잉크, 유성 잉크 등의 필기구용 잉크를 필기부가 되는 펜 선단에 공급하는 필기구에 있어서, 잉크의 종료 사인을 시각에 의해 간단히, 또한, 확실히 검지할 수 있는 필기구를 제공하기 위해서, 이 필기구로서, 축통 내의 잉크 흡장체에 함침된 잉크를 필기부가 되는 펜 선단에 공급하는 필기구이며, 상기 잉크 흡장체에 함침된 잉크는 시인성을 갖는 잉크 유도관을 거쳐서 펜 선단에 공급되는 동시에, 잉크 흡장체로부터의 잉크 종료 사인을 축통에 형성한 시인부를 거쳐서 상기 잉크 유도 관을 시인하는 것에 의해 검지하는 구성으로 한다.

Description

필기구{WRITING UTENSIL}
종래부터, 잉크의 잔량, 잉크의 종료 사인을 알 수 있는 필기구로서는, 예컨대, 축체 내에 직접 액상 잉크를 수용해서 이루어지는 콜렉터(collector) 구조를 갖는 직액 필기구(free ink type writing instrument), 잉크가 카트리지식의 잉크 수용 관에 수용된 구조의 필기구, 투명한 리필에 볼펜용 잉크가 충전된 타입의 볼펜 등이 알려져 있다.
그런데, 축통내의 잉크 흡장체에 함침된 수성 잉크, 유성 잉크등의 필기구용 잉크를 필기부가 되는 펜 선단에 공급하는 필기구, 소위 안솜(中綿)(sliver)식의 필기구에 있어서는, 지금 까지 잉크 종료 사인을 검지할 수 있는 기구를 구비한 필기구는 없는 것이 현상이다.
그 때문에, 이 구조의 필기구에서는, 필기 중에 잉크가 고갈될 때까지 사용하여 처음으로 잉크의 종료가 판단되고, 그 후, 폐기 또는 잉크를 보충함으로써 재사용될 수 있지만, 고갈은 펜 선단의 건조 등에 의해서도 생기기 때문에, 잉크 흡장체에 함침된 잉크가 충분한데도 불구하고 펜 선단의 건조 등에 의해 고갈된 경우등에는 본래의 잉크의 종료 사인이 아니라, 사용성 등에 과제가 있는 것이다.
한편, 일본 특허 공개 평성 제6-270585호 공보 등에는, 투명한 축통 내에 잉크 흡장체가 되는 안솜이 수납되어, 해당 안솜에 함침된 잉크를 필기부가 되는 펜 선단에 공급하는 동시에, 안솜으로부터 펜 선단까지 필기구의 내용물을 시인 할 수 있는 필기구가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 구조의 필기구 에 있어서는, 안솜에 흡장된 잉크량이 적어지면 흡장되어 있는 잉크 색의 정도에 의해 어느 정도의 잉크 잔량은 확인 할 수 있지만, 확실히 잉크의 종료 사인을 검지할 수 있는 것은 아니고, 이 필기구에 있어서도 사용성 등에 과제가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 종래 기술의 과제 및 현상 등에 비추어, 이것을 해소하고자 하는 것이며, 축통내의 잉크 흡장체에 함침된 수성 잉크, 유성 잉크 등의 필기구용 잉크를 필기부가 되는 펜 선단에 공급하는 필기구에 있어서, 잉크의 종료 사인을 간단히, 또한, 확실히 검지할 수 있는 필기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또한, 잉크 흡장체 중의 잉크 소비율도 더욱 향상 할 수 있는 필기구를 제공 하는 것을 다른 목적으로 한다.
발명의 요약
본 발명자는, 상기 종래 기술의 과제 등에 대해서 예의 검토를 거듭한 결과, 축통 내의 잉크 흡장체에 함침된 잉크를 필기부가 되는 펜 선단에 공급하는 필기구에 있어서의 축통의 구성, 및, 잉크 흡장체로부터 펜 선단에 잉크를 공급하는 기구를 특정한 구성 등으로 함으로써, 상기 목적의 필기구를 얻을 수 있는 것을 찾아내고, 본 발명을 완성하는 것에 이른 것이다.
즉, 본 발명의 필기구는, 이하의 (1)~(20)에 있다.
(1) 축통 내의 잉크 흡장체에 함침된 잉크를 필기부가 되는 펜 선단에 공급하는 필기구에 있어서, 상기 잉크 흡장체에 함침된 잉크는 시인성(visibility)을 갖는 잉크 유도 관을 거쳐서 펜 선단에 공급되는 동시에, 잉크 흡장체로부터의 잉크 종료 사인을 축통에 형성한 시인부를 거쳐서 상기 잉크 유도 관을 시인함으로써 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기구.
(2) 축통 내의 잉크 흡장체에 함침된 잉크를 축통의 양측에 설치한 필기부가 되는 각 펜 선단에 공급하는 트윈 타입의 필기구에 있어서, 어느 한쪽의 펜 선단에 공급되는 잉크는, 시인성을 갖는 잉크 유도 관을 거쳐서 펜 선단에 공급되는 동시에, 잉크 흡장체로부터의 잉크 종료 사인을 축통에 형성한 시인부를 거쳐서 상기 잉크 유도 관을 시인함으로써 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기구.
(3) 상기 (1) 또는 (2)에 기재한 필기구에 있어서, 잉크 흡장체에 함침된 잉크는 중계심(inter-feeder)을 거쳐서 시인성을 갖는 잉크 유도 관에 공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기구.
(4) 중계심은 잉크 흡장체 전장의 5%이상의 길이에서 잉크 흡장체 내부와 접촉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3)에 기재한 필기구.
(5) 중계심의 단면적이, 잉크 흡장체의 단면적의 1~9O%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3) 또는 (4)에 기재한 필기구.
(6) 중계심의 모세관력이 잉크 흡장체의 모세관력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3)~(5) 중 어느 하나에 기재한 필기구.
(7) 중계심의 단면구조가 내층부 및 외층부를 갖는 구조로 되고, 외층부의 모세관력이 내층부의 모세관력 보다도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3)~(6) 중 어느 하나에 기재한 필기구.
(8) 중계심에 의해 시인성을 갖는 잉크 유도 관에 공급된 잉크는, 또한 펜 선단 중계심을 거쳐서 펜 선단에 공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3)~(7) 중 어느 하나에 기재한 필기구.
(9) 중계심이, 섬유 다발 심, 수지입자 다공체 및 슬라이버(sliver) 심의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고, 이들의 중계심이 연속 유로를 갖는 것에 의해 잉크 유도 관의 외관상 단면적(apparent cross sectional area)을 유지한 채 실질적으로 잉크 유도 관을 흐르는 잉크 유로 단면적을 컨트롤할 수 있는 상기(3)~(8) 중 어느 하나에 기재한 필기구.
(10) 시인성을 갖는 잉크 유도 관의 잉크와 접하는 면 또는 잉크 유도 관의 재질 자체의 표면장력이 잉크의 표면장력보다도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1)~(9) 중 어느 하나에 기재한 필기구.
(11) 잉크 흡장체의 모세관력의 분포가, 펜 선단측으로 향할수록 커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1)~(10) 중 어느 하나에 기재한 필기구.
(12) 축통의 내경이 펜 선단측을 향할수록 좁아지는 구조가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1)~(11) 중 어느 하나에 기재한 필기구.
(13) 축통의 펜 선단측 내측에 리브체(rib)를 복수 축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1)~(12) 중 어느 하나에 기재한 필기구.
(14) 시인성을 갖는 잉크 유도 관이 복수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1)~(13)의 어느 하나에 기재한 필기구.
(15) 잉크 흡장체에 함침된 잉크는, 시인성을 갖는 잉크 유도 관의 이외에, 잉크 공급 심에 의해 펜 선단에 공급되는 상기 (1)~(14) 중 어느 하나에 기재한 필기구.
(16) 잉크 시인성을 갖는 잉크 유도관 안에 잉크보다도 표면장력이 작게 잉크와 색이 다른 섬유다발 또는 수지입자 다공체가 충전되어 있는 것에 의해, 잉크 유도 관의 외관상 단면적을 유지한 채, 실질적으로 잉크 유도 관을 흐르는 잉크 유로 단면적과 잉크의 유동 저항을 컨트롤할 수 있는 상기(1)~(15) 중 어느 하나에 기재한 필기구.
(17) 축통의 시인부의 길이가 1mm이상 필기구의 전장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1)~(16)의 어느 하나에 기재한 필기구.
(18) 잉크 유도 관의 잉크 유로 단면적이 8 ×1O-2~8O㎟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1)~(17)의 어느 하나에 기재한 필기구.
(19) 잉크의 표면장력이 25℃하에서 18mN/m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1)~(18)의 어느 하나에 기재한 필기구.
(20) 잉크의 점도계수가 25℃하에서 500mPa·s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1)~(19)의 어느 하나에 기재한 필기구.
본 발명은, 축통(barrel)내의 잉크 흡장체(ink occlusion body)에 함침된 수성 잉크, 유성 잉크 등의 필기구용 잉크를 필기부가 되는 펜 선단(tip)에 공급하는 필기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이 구조의 필기구에 있어서 잉크의 종료 사인을 간단히 검지할 수 있는 필기구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 형태를 도시하는 필기구의 종단면도,
도 2의 (a)~(h)는 잉크 유도 관(30)의 각 형태가 되는 횡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 1실시 형태를 도시하는 필기구의 부분 종단면도,
도 4a는 잉크 흡장체(20)의 변형예를 도시하는 부분 종단면도이며, 4b는 축통(10) 및 잉크 흡장체(20)의 변형예를 도시하는 부분 종단면도이고, 4c는 축통(10)의 변형예를 도시하는 부분 종단면도,
도 5a는, 본 발명의 제2실시 형태를 도시하는 필기구의 부분 종단면도이며, 5b는 그 요부를 도시하는 부분 종단면도,
도 6a는, 본 발명의 제3실시 형태를 도시하는 필기구의 부분 종단면도이고, 6b는 그 요부를 도시하는 부분 종단면도,
도 7a는, 본 발명의 제4실시 형태를 도시하는 필기구의 부분 종단면도이고, 7b는 그 잉크 유도 관을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7c는 다른 실시 형태를 도시하는 잉크 유도 관을 도시하는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5실시 형태를 도시하는 필기구의 부분 종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6실시 형태를 도시하는 필기구의 부분 종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제7실시 형태를 도시하는 트윈 타입의 필기구의 부분 종단면도,
도 11a는, 본 발명의 제8실시 형태를 도시하는 필기구의 종단면도이고, 11b는 그 요부, 즉, 잉크 유도 관, 중계심, 잉크 함침체의 접합 상태를 도시하는 부분 종단면도,
도 12a는, 중계심(25)을 갖는 잉크 흡장체(20)의 변형예를 도시하는 부분종 단면도이며, 12b는 축통(10) 및 중계심(25)을 갖는 잉크 흡장체(20)의 변형예를 도시하는 부분 종단면도이며, 12c는, 축통(10)의 변형예를 게시하는 부분 종단면도,
도 13a는, 본 발명의 제9실시형태를 도시하는 필기구의 부분 종단면도이고, 13b는 그 요부를 도시하는 부분 종단면도,
도 14a는, 본 발명의 제10실시 형태를 도시하는 필기구의 부분 종단면도이며, 14b는 그 요부를 도시하는 부분 종단면도,
도 15a는, 본 발명의 제11실시형태를 도시하는 필기구의 부분 종단면도이며, 15b는 그 잉크 유도 관을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15c는 다른 실시 형태를 도시하는 잉크 유도 관을 도시하는 사시도,
도 16은 본 발명의 제12실시 형태를 도시하는 필기구의 부분 종단면도,
도 17은 본 발명의 제13실시 형태를 도시하는 필기구의 부분 종단면도,
도 18은 본 발명의 제14실시 형태를 도시하는 필기구의 부분 종단면도.
이하에,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필기구는, (1) 축통 내의 잉크 흡장체에 함침된 잉크를 필기부가 되는 펜 선단에 공급하는 필기구에 있어서, 상기 잉크 흡장체에 함침된 잉크는 시인성을 갖는 잉크 유도 관을 거쳐서 펜 선단에 공급되는 동시에, 잉크 흡장체로부터의 잉크 종료 사인을 축통에 형성한 시인부를 거쳐서 상기 잉크 유도 관을 시인 함으로써 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예컨대, 제1도~제9도), (2) 축통 내의 잉크 흡장체에 함침된 잉크를 축통의 양측에 설치한 필기부가 되는 각 펜 선단에 공급하는 트윈 타입의 필기구에 있어서, 어느 한쪽의 펜 선단에 공급되는 잉크는, 시인성을 갖는 잉크 유도 관을 거쳐서 펜 선단에 공급되는 동시에, 잉크 흡장체로부터의 잉크 종료 사인을 축통에 형성한 시인부를 거쳐서 상기 잉크 유도 관을 시인함으로써 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예컨대, 제10도), (3) 및 (4)는, 상기(1) 및 (2)의 필기구에 있어서, 잉크 흡장체에 함침된 잉크는 중계심을 거쳐서 시인성을 갖는 잉크 유도 관에 공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예컨대, 제11도~제18도).
도 1~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 형태를 도시하는 것으로, 사인 펜, 마커, 화이트 보드용 마커 등에 적합하게 적용할 수 있는 것이다.
본 제1실시 형태의 필기구(A)는, 제1도 및 제3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필기구 본체가 되는 축통(10), 잉크 흡장체(20), 잉크 유도 관(30), 펜 선단(40), 뒷마개(50)를 구비하고 있다.
축통(10)은, 예컨대, 합성 수지제로 구성되는 것이며, 선단측이 테이퍼부를 갖는 소직경부(1Oa)와, 대직경부(1Ob)가 일체가 된 것이며, 해당 소직경부(10a) 내에는 펜 선단(20)을 끼우는 끼움부(fitting part)(11)를 갖는 동시에, 대직경부(10b) 내는 필기구용 잉크를 함침한 잉크 흡장체(20), 잉크 유도 관(30)을 수용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
또한, 축통(10)의 대직경부(10b)의 선단측은, 도 1 및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축통 내를 시인할 수 있게 투명체 또는 반투명체로 구성된 시인부(12)를 갖고, 그 이외는 별도의 부재 등에 의해 비시인부로 되어 있다.
또, 축통(10) 전체를 시인성을 갖는 투명 또는 반투명재료로 구성하여, 축통(10) 전체를 시인할 수 있는 것이어도 무방하고, 또한, 축통(10) 전체를 시인성을 갖는 투명 또는 반투명재료로 구성하고, 시인부(12) 이외를 착색부나 장식부로서 비시인부로 하여도 무방하다.
이 시인부(12)의 전장은, 해당 시인부(12)보다, 축통(10) 내에 유지되는 잉크 유도 관(30)을 시인할 수 있는 길이이면 좋고, 바람직하게는, 1mm이상 필기구 본체(본 실시형태에서는 축통)의 전장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5mm이상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시인부(12)의 전장이 1mm 미만이면, 잉크 종료 사인의 검지를 시인하기 어렵고 검지 기능을 달성할 수 없는 것이 된다.
잉크 흡장체(20)는, 수성 잉크, 유성 잉크 등의 필기구용 잉크를 함침한 것이고, 예컨대, 천연섬유, 수모(獸毛) 섬유, 폴리아세탈계 수지, 아크릴계 수지,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폴리아미드계 수지, 폴리우레탄계 수지, 폴리올레핀계 수지, 폴리비닐계 수지,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 폴리에틸계 수지, 폴리 페닐렌계 수지 등의 1종 또는 2종 이상의 조합으로 이루어지는 섬유 다발, 펠트 등의 섬유다발을 가공한 것, 또한, 스폰지, 수지입자, 소결체 등의 다공체를 포함하는 것이며, 축통(10)의 전방부를 밀봉하는 후부 유지체(21)와 뒷 마개(50)에 의해 축통(10) 내에 수용되어 있다.
잉크 유도 관(30)은,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시인성을 갖는 통형상(관상)의 잉크 유로부재가 되는 것이며, 예컨대, 수지, 고무, 또는, 유리제 등의 투명부재 또는 반투명부재의 재질로 구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투명 또는 반투명의 수지로서는,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 환상 폴리올레핀, 폴리(1―메틸―4―펜텐)등의 폴리 올레핀계 수지,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스티렌,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에틸렌 나프탈레이트나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및, 불소수지, 불화비닐리덴 등의 불소 플라스틱 등을 들수 있고, 또한, 투명 또는 반투명의 고무로서는, 불소 고무나 실리콘 고무 등을 들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폴리프로필렌으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수지, 고무, 또는, 유리제 등의 투명부재 또는 반투명부재의 적어도 잉크와 접촉하는 벽면에 잉크의 표면 에너지보다도 저하시키는 표면처리도 실시해도 무방하다. 구체적으로는, 불소 코팅이나 불소수지 코팅, 또는 디메틸 실리콘을 골격으로 하는 실리콘 수지 코팅 처리 등을 들 수 있다.
이 잉크 유도 관(30)의 후단부분(30a)은, 후부 유지체(21)를 관통해서 잉크흡장체(20) 내부에 삽입되는 동시에, 전단부분(30b)은 축통(10)의 소직경부(10a) 내를 밀봉하는 전방부 유지체(22)를 관통해서 펜 선단(40)의 후단부분에 삽입되어 있다. 이로써, 잉크 유도 관(30)은, 축통(10) 내를 밀봉하는 후부 유지체(21)와 전방부 유지체(22)에 의해, 축통(10) 내에 시인 공간부(13)가 형성됨과 동시에, 해당 시인 공간부(13)의 중심부분에 유지되는 것으로 되어 있다. 또, 펜 선단(40)의 대기측에서 잉크 흡장체(20)을 수용하는 축통(10) 내의 전방부에는 공기유통 가능한 공기유통 홈이 축통(1O)의 소직경부(1Oa) 및 대직경부(1Ob)의 전방부의 내벽면에 형성되어, 종래의 안솜식의 필기구와 같이 펜 선단(4O)의 대기측에서 축통(10)내까지는 공기치환할 수 있도록 공기유통 가능하게 되어 있다.
이 구성에 의해, 축통(10)의 시인부(12)를 시인하면 시인부(12)를 거쳐서 잉크 유도 관(30)이 용이하게 시인되는 것이 된다. 또한, 잉크 흡장체(20)에 함침된 잉크는 모세관력에 의해 잉크 유도 관(30)에 유입하고, 해당 잉크 유도 관(30)을 거쳐서 펜 선단(40)에 공급되는 것이 된다.
이 잉크 유도 관(30)의 전장은, 펜 선단(40)의 종류에 의해 적절히 설정되는 것이고, 통상, 잉크 유도 관의 전장은 잉크 흡장체(20)의 모세관력에 의해 잉크 흡장체(20)의 전단으로부터 펜 선단(40)까지의 길이가 규정되므로 그 길이의 범위내에서 규정된다. 또한, 잉크 유도 관(30)의 잉크 유로 단면적은, 잉크 유도 관(30)내에 잉크가 더욱 원활하게 스무스하게 통과시키기 위해서, 8 ×10-2~80㎟, 더욱 바람직하게는, O.5~2O㎟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잉크 유로 단면적이 8xlO-2 미만이면, 잉크 유량이 적어 필기시의 잉크 추종성이 불량하게 된다. 한편, 8O㎟를 초과하면, 잉크 유도 관(30)의 길이를 길게할 수 없고 잉크 종료의 검지 시인이 어려워진다. 또, 80㎟을 초과하는 단면적에서 잉크 유도 관의 길이를 길게 하면, 잉크 종료의 검지 시인은 용이해지지만, 이 경우에는, 펜 선단 하향 필기에 있어서는 펜 선단으로부터 과잉량의 잉크가 유출하는 것이 된다.
또한, 잉크 흡장체(20)로부터 펜 선단(40)까지의 잉크의 공급을 더욱 원활하게, 또한, 스무스하게 실행하기 위해서, 시인성을 갖는 잉크 유도 관(30)의 잉크와 접하는 면 또는 잉크 유도 관(30)의 재질 자체의 표면장력이 잉크의 표면장력보다도 작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잉크 유도 관(30)의 잉크와 접하는 면이 잉크의 표면장력보다도 클 경우에는, 불소처리, 실리콘처리 등을 함으로써, 잉크 유도 관(30)의 잉크와 접하는 면을 잉크의 표면장력보다도 작게 할 수도 있다.
또, 잉크 유도 관(30)의 횡단면 형상으로서는, 예컨대, 도 2(a)~(h)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원형형상[도 2(a)], 혹은, 삼각형상[도 2(b)〕, 사각형상[도 2(c)], 오각형 형상[도 2(d)], 육각형상[도 2(e)], 마름모꼴 형상[도 2(g)]등의 다각형상, 또는, 타원형상[도 2(f)], 별 형상[도 2(h)] 등을 들 수 있고, 잉크 흡장체(20)로부터 펜 선단(4O)까지의 잉크의 공급이 원활하게 행하여지고, 시인성을 방해하는 것이 아니면,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없다. 본 실시형태의 잉크 유도 관(30)은, 횡단면 형상은 원형형상이다.
펜 선단(4O)은, 예컨대, 천연섬유, 수모 섬유, 폴리아세탈계 수지, 아크릴계 수지,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폴리아미드계 수지, 폴리우레탄계 수지, 폴리 올레핀계 수지, 폴리비닐계 수지,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 폴리 에테르계 수지, 폴리 페닐렌계 수지 등의 1종 또는 2종이상의 조합으로 이루어지는 평행 섬유 다발, 펠트 등의 섬유다발을 가공 또는 이들의 섬유다발을 수지 가공한 섬유심, 또는, 각종의 플라스틱 분말 등을 융결한 다공체(porous body) 등으로 이루어지는 펜 선단으로 되는 것이며, 그 형상도 필기구의 형태, 예컨대, 마킹 펜, 사인펜 등에 따라서 각 형상의 것이 선택되는 것이다.
상기 잉크 흡장체(20)에 함침하게 하는 잉크로서는,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각 배합 조성이 되는 수성 잉크, 유성 잉크등의 필기구용 잉크이면, 특히 한정되지 않고, 사인펜용, 마킹 펜용, 볼펜용, 화이트 보드용 등 용도에 따른 수성 또는 유성의 액상 잉크를 들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잉크 유도 관(30)의 종료 사인을 더욱 양호에 검지하기 위해서, 잉크의 표면장력을 25℃하에서18mN/m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20~50mN/m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잉크의 표면장력의 조정은, 잉크 조성에 계면 활성제 등을 필요에 따라서 배합함으로써, 조정할 수 있다.
또한, 잉크 흡장체(20), 잉크 유도 관(30), 펜 선단(40)에의 잉크를 더욱 원활하게, 또한, 스무스한 공급을 하기 위해서, 바람직하게는, 잉크의 점도계수를 25℃하에서 500mPa.s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200mPa.s 이하, 특히 바람직하게는, 1~1OOmPa.s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잉크의 점도계수가 500mPa.s를 초과하면, 잉크의 유동성이 나빠지고, 충분한 잉크 유출량이 방출하지 않기 때문에 유량부족에 의한 묘선 결핍이나 속기를 할 수 없는 경우가 생긴다. 또, 잉크의 점도계수의 조정은, 잉크 조성에 증점제 등을 필요에 따라서 배합함으로써, 조정 할 수 있다.
이렇게 구성되는 본 제1실시 형태의 필기구(A)에서는, 도 1 및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잉크 흡장체(20)에 함침된 잉크는 모세관현상에 의해, 잉크 유도 관(30) 내를 통과하고, 펜 선단(40)에 침투해서 필기가 가능해진다.
이 제1실시 형태의 필기구(A)에서는, 잉크 흡장체(20)에 함침된 잉크는 항상 잉크 유도 관(30) 내를 통과해 펜 선단(40)에 공급되는 구조이므로, 필기에 의해 잉크 흡장체(20)에 함침된 잉크가 감소해서 종료할 경우에는, 잉크 유도 관(30) 내의 잉크의 통과가 없어지는 것에 의해 판별하는 것이 된다.
즉, 본 실시형태의 필기구(A)에서는, 잉크 흡장체(20)로부터의 잉크 종료 사인을 축통(10)에 형성한 시인부(12)를 거쳐서 상기 잉크 유도 관(30)을 시인함으로써 검지할 수 있는 것이 된다. 따라서, 펜 선단(4O)에서의 잉크의 고갈이 펜 선단(4O)에서의 건조에 의한 것인가, 또는, 잉크의 소비에 의한 본래의 종료에 의한 것인가를 시각에 의해 명확히, 또한 간단히 판단할 수 있는 것이 된다.
또, 본 실시형태에서는, 뒷마개(50)를 축통(10)의 후단부에 고착되는 것이지만, 뒷마개(50)를 축통(10)의 후단부에 착탈 가능하게 밀폐할 수 있는 기구로서, 잉크 종료를 잉크 유도 관(30)의 시인에 의해 검지후, 뒷마개(50)를 떼서 보충 잉크를 충전함으로써 재사용해도 무방한 것이다. 또한, 이 필기구(A)가 고온하 등의 분위기에서 사용했을 경우에, 잉크가 잉크 유도 관(30)으로부터 펜 선단(40)에 과잉으로 공급되어, 잉크가 펜 선단(40)으로부터 새어나가는 것 등을 방지하기 위해서, 펜 선단(4O)의 후단부분 외주에 잉크 흡수체를 설치해도 무방한 것이다. 이 잉크 흡수체는, 소직경부(1Oa)내의 펜 선단(40)의 후단부분 외주에 형성되는 공간부(14)에 배치되는 것이 된다.
더욱, 잉크 유도 관(30)과 잉크 흡장체(20)의 접합하고 있는 측의 잉크 흡장체(20) 단면이 외기에 대하여 폐쇄되고 있는 것에 의해, 본 실시형태에서는, 잉크 유도 관(30)과 잉크 흡장체(20)의 접합하고 있는 측의 잉크 흡장체(20) 단면이 전방부 유지체(22)와 뒷마개(50)에 의해 외기에 대하여 폐쇄되어 있으므로, 외기의 유입이 없고, 잉크 유도 관(30) 내로의 공기의 유입을 방지 할 수 있다 것이 된다.
도 4(a)~(c)는, 상기 제1실시 형태의 변형예이다. 도 4(a)는 잉크 흡장체의 모세관력의 분포를 펜 선단측으로 향할수록 크게 하는 형태, 예컨대, 잉크 흡장체(20)를 구성하는 섬유다발간의 간극이 펜 선단측으로 향할수록 좁아지는 구조, 즉, 조밀부(20a)와 세밀부(20b)에 의해 구성한 것이다.
도 4(b)는, 축통(1O)의 내경이 펜 선단측으로 향할수록 좁아지는 구조(끝이 가는 형상)로 한 것이고, 잉크 흡장체(20)도 펜 선단측으로 향할수록 좁아지는 구조이다. 또한, 도 4(c)는, 잉크 흡장체(20)를 수용하는 축통(10)의 내벽부 내측에 리브체(15, 15)를 복수 축방향으로 형성한 구조이다.
이러한 도 4(a)~(c)의 각 구성 또는 이들의 조합을 또 상기 제1실시 형태의 필기구(A)에 채용함으로써, 잉크 흡장체(20)에 함침된 잉크는 더욱 잉크 유도 관(30)내에 양호하게 유입하고, 펜 선단(40)에 양호하게 공급되는 것이 된다.
도 5(a) 및 (b)는, 본 발명의 제2실시 형태를 도시하는 것이다. 본 제2실시형태의 필기구(B)는, 시인성을 갖는 잉크 유도 관(31, 32)을 복수개, 본 실시형태에서는 길이가 상위한 투명부재 또는 반투명부재로 구성된 시인성을 갖는 잉크 유도 관(31, 32)을 2개 설치한 점에서만, 상기 제1실시 형태의 필기구(A)와 다른 것이다. 또, 도 5(a) 및 (b)에 있어서, 상기 제1실시 형태와 같은 구성은 동일부호를 붙여서 그 설명을 생략한다.
본 제2실시 형태에서는, 전장이 긴 잉크 유도 관(31) 및 짧은 잉크 유도 관(32)은, 도 5(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함께 후단 부분(31a, 32a)은, 후방부 유지체(21)를 관통해서 잉크 흡장체(20) 내부에 길이의 차(X)를 두고 삽입됨과 동시에, 전단 부분(31b, 32b)은 축통(10)의 소직경부(10a)내를 밀봉하는 전방부 유지체(22)를 관통해서 펜 선단(40)의 후단부분에 각기 단부를 가지런히 해서 삽입되어 있다. 이로써, 잉크 유도 관(31, 32)은, 해당 시인 공간부(13)의 중심부분에 유지되는 것으로 되어 있다.
이 제2실시 형태의 필기구(B)에서는, 상기 제1실시 형태와 같이, 잉크 흡장체(20)에 함침된 잉크는 잉크 유도 관(31, 32) 내를 통과해 펜 선단(40)에 공급되어서 필기가 가능해진다. 또한, 이 필기구(B)에서는, 잉크 유도 관의 각 단부(31a, 32a)는 X의 길이의 차를 두고 잉크 흡장체(20)에 삽입되어 있으므로, 잉크 흡장체(20)의 잉크의 함침율이 최대로부터 점차로 필기에 의해 소비되면, 긴 잉크 유도 관(31)의 잉크가 흐르지 않고 끊어져서 잉크 흡장체(20)에는 잉크가, 예컨대, 90% 정도 남아 있는 것을 시인부(12)를 거쳐서 검지시켜, 다음에, 추가의 필기에 의해 잉크가 소비되어서, 짧은 잉크 유도 관(32)의 잉크가 흐르지 않고 끊어졌을경우, 즉, 잉크 흡장체(20)에는 잉크가 종료한 것을 시인부(12)를 거쳐서 검지할 수 있는 것이 된다.
따라서, 본 제2실시 형태의 필기구(B)에서는, 잉크 흡장체(20)에 삽입되는 잉크 유도 관의 각 단부(31a, 32a)의 길이를 차를 두고 배치함으로써, 잉크 흡장체(20)의 잉크 잔량 및 종료 사인을 축통(10)에 형성한 시인부(12)를 거쳐서 상기 잉크 유도 관(31, 32)을 시인함으로써 검지할 수 있는 것이 된다.
또, 상기 제2실시 형태에서는, 잉크 유도 관(31, 32)의 길이를 상위한 것을 이용했지만, 동일 길이의 잉크 유도 관이어도 무방하고, 이 경우는, 펜 선단(40)으로의 잉크의 공급을 더욱 원활하게, 스무스하게 할 수 있는 것이 된다.
또한, 상기 제2실시 형태에서는, 잉크 유도 관의 수를 2개로 했지만, 필기구의 용도 등에 의해, 적시, 잉크 유도 관의 길이가 다른 것 또는 동일한 것을 3개 이상 설치해도 무방한 것이다.
또한, 상기 제2실시 형태의 필기구(B)에, 도 4(a)~(c)에 도시하는 변형예를 적용해도 무방한 것이다(이하의 실시형태에 있어서도 동일).
도 6(a) 및 (b)는, 본 발명의 제3실시형태를 도시하는 것이다. 본 제3실시 형태의 필기구(C)에서는, 잉크 흡장체(20)에 함침된 잉크는, 시인성을 갖는 잉크 유도 관(33)의 이외에, 잉크 공급 심(34)에 의해 펜 선단(40)에 공급되는 점에서만, 상기 제1실시 형태의 필기구(A)와 다른 것이다. 또, 도 6(a) 및 (b)에 있어서, 상기 제1실시 형태와 같은 구성은 동일 부호를 붙여서 그 설명을 생략한다.
본 제3실시형태에서는, 잉크 유도 관(33) 및 잉크 공급 심(34)은, 도 6(b)에도시하는 바와 같이, 함께 후방부 유지체(21)를 관통해서 잉크 흡장체(20) 내부에 삽입됨과 동시에, 각기 전단 부분은 축통(10)의 소직경부(10a)내를 밀봉하는 전방부 유지체(22)를 관통해서 펜 선단(40)의 후단부분에 각기 단부를 가지런히 해서 삽입되어 있다. 이로써, 잉크 유도 관(33), 잉크 공급 심(34)은, 시인 공간부(13)의 중심 부분에 유지되는 것으로 되어 있다.
이 제3실시형태의 필기구(C)에서는, 잉크 흡장체(20)에 함침된 잉크는 상기 제1실시 형태와 같은 구성이 되는 시인성을 갖는 잉크 유도 관(33) 및 섬유다발 등으로 이루어지는 잉크 공급 심(34)을 통과해 펜 선단(40)에 공급되어서 필기가 가능해진다. 이 필기구(C)에서는, 잉크 유도 관(33)의 외에, 펜 선단(40)으로의 잉크의 공급을 잉크 공급 심(40)에 의해도 실행할 수 있으므로, 펜 선단(40)으로의 잉크의 공급을 보다 원활하고 스무스하게 할 수 있는 것이 된다. 또, 잉크 종료 사인을 시인부(12)를 거쳐서 잉크 유도 관(34)의 시인에 의해 확실히 검지하기 위해서, 잉크 공급 심(34)의 펜 선단으로의 잉크 공급력을 잉크 유도 관(33)의 잉크 공급력보다도 약하게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7(a)~(c)는, 본 발명의 제4실시형태를 도시하는 것이다. 본 제4실시형태의 필기구(D)에서는, 시인성을 갖는 잉크 유도 관(35) 안에 잉크 흡장체(20)에 함침된 잉크보다도 표면장력이 작고 잉크와 색이 다른 섬유다발 또는 수지입자 다공체, 예컨대, 4불화 폴리에틸렌 등의 섬유다발 또는 수지입자 다공체(36)[도 7(b)]또는 불화 비닐리덴 등의 섬유다발 또는 수지입자 다공체(37)[도 7(c)]를 잉크 유도 관(35)에 충전하여, 잉크 유도 관(35)의 외관상 단면적을 유지한 채 실질적으로잉크 유도 관(35)을 흐르는 잉크 유로 단면적과 잉크의 유동 저항을 컨트롤할 수 있는 점에서만, 상기 제1실시형태의 필기구(A)와 다른 것이다. 또, 도 7(a) 및(b)에 있어서, 상기 제1실시형태와 같은 구성은 동일부호를 붙여서 그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사용하는 상기 섬유다발 또는 수지입자 다공체는, 그 재료 자체의 표면 에너지가 잉크보다도 낮은 것을 이용하거나, 또는, 표면처리를 함으로써 잉크보다도 표면 에너지를 감소시킨 것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제4실시형태의 섬유다발 또는 수지입자 다공체(36 또는 37)의 색상은, 잉크 흡장체(20)에 함침된 잉크의 색과 다른 것, 바람직하게는, 사용하는 잉크 색으로 은폐되는 색이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잉크가 흑색의 경우는 백색, 잉크가 적색의 경우는 청색, 잉크가 황색의 경우는 흑색을 들 수 있지만, 투명 또는 반투명이라도 무방하고, 반드시 착색할 필요는 없다.
본 제4실시 형태의 필기구(D)에서는, 잉크 흡장체(20)에 함침된 잉크는 막대 형상의 섬유다발 또는 수지입자 다공체(36 또는 37)가 잉크 유도 관(35)의 내벽과로 접하는 일 없이 삽입된 시인성을 갖는 잉크 유도 관(35)을 통과해 펜 선단(40)에 공급되어서 필기가 가능해진다. 이 필기구(D)에서는, 잉크보다도 표면장력이 작고, 또한, 잉크와 색이 다른 섬유다발 또는 수지입자 다공체(36 또는 37)를 잉크 유도 관(35)의 내부에 잉크 유도 관(35)의 내벽과 접하는 일 없이, 즉, 잉크 유동가능한 간극을 확보함으로써, 잉크 유도 관(35)을 흐르는 잉크 유로 단면적을 감소시키고, 잉크 유도 관의 외관상 단면적을 그대로 실질적으로 단면적을 감소할 수 있으므로, 잉크 유도 관(35) 내를 흐르는 잉크 용량도 감소시킬 수 있으므로, 잉크종료의 검지 기능과 잉크 종료시의 잉크 유출 과잉의 문제를 동시에 해결할 수 있는 것이 된다.
또한, 본 제4실시형태의 필기구(D)에서는, 상술한 제1~제3실시형태의 필기구에 있어서의 잉크의 종료 사인을 잉크 유도 관에 있어서의 잉크 고갈의 시인에 의해 검지한 것과 상위하고, 잉크가 종료(잉크 고갈)했을 경우에, 잉크 유도 관(35)에는 잉크 색과 다른 섬유다발 또는 수지입자 다공체(36 또는 37)의 색상으로 시인할 수 있으므로, 잉크의 종료 사인을 보다 명확히 시각으로 관찰할 수 있는 것이 된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5실시 형태를 도시하는 것이다. 본 제5실시형태의 필기구(E)는, 펜 선단(40)이 언더라인용으로 되어 있는 점, 펜 선단을 유지하는 선축(41)이 별도의 부재로 되어 축통(10)의 선단에 고착되어 있는 점, 후방부 유지체(21) 및 전방부 유지체(22)를 생략한 점, 후방부 유지체(21)의 대신에 잉크 흡장체(20)를 유지하는 유지 단부(23)를 원주형상으로 설치한 점에서, 상기 제1실시형태의 필기구(A)와 다른 것이며, 필기구(A)와 같이, 잉크의 공급, 잉크 종료 사인을 시인부(12)를 거쳐서 잉크 유도 관(30)을 시인함으로써 검지되는 것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6실시 형태를 도시하는 것이다. 본 제6실시 형태의 필기구(F)는, 펜 선단(40)이 잉크 유도 심을 구비한 볼펜용으로 되어 있는 점, 펜 선단을 유지하는 선축(42)이 별도의 부재로 되어 축통(10)의 선단에 고착되어 있는 점, 전방부 유지체(22)를 생략한 점에서, 상기 제1실시형태의 필기구(A)와 다른 것이며, 필기구(A)와 같이, 잉크의 공급, 잉크 종료 사인을 시인부(12)를 거쳐서 잉크 유도 관(30)을 시인함으로써 검지되는 것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7실시형태를 도시하는 것이며, 축통(10)내의 잉크 흡장체(20)에 함침된 잉크를 축통(10)의 양측에 설치한 필기부가 되는 언더라인용의 펜 선단(40), 및 사인펜용의 펜 선단(45)에 공급하는 트윈 타입의 필기구(G)이다.
잉크 흡장체(20)로부터의 잉크의 공급은, 펜 선단(40)측에서는 도 8의 제5실시형태와 같이, 잉크 흡장체(20)로부터의 잉크가 시인성을 갖는 잉크 유도 관(30)을 거쳐서 공급되는 것이고, 펜 선단(45)측에서는 펜 선단(45)의 후단부분이 잉크 흡장체(20) 내에 삽입하여 접촉하는 것에 의해 잉크 흡장체(20)로부터의 잉크가 직접 공급되는 것으로 되어 있다. 또, 도시 부호46은, 축통(10)에 일체로 형성되는 선축부이다. 또한, 펜 선단(45)의 대기측에서도 선축부(46)의 내벽면에 형성되는 공기유통 홈을 통과하여, 종래의 안솜식의 필기구와 같이, 펜 선단(46)의 대기측으로부터도 축통(10) 내에 공기유통이 가능해지고 있다.
이 트윈 타입의 필기구(G)에서는, 잉크의 소비는 각 펜 선단(40, 45)에서 행하여지고, 제5실시형태와 같이, 잉크 흡장체(20)의 잉크 종료 사인을 시인부(12)를 거쳐서 잉크 유도 관(30)을 시인함으로써 검지하는 것이다.
또, 상기실시 형태와 역으로, 시인부(12), 잉크 유도 관(30) 등을 펜 선단(40)측에 설치했지만, 펜 선단(45)측에 시인부(12), 잉크 유도 관(30) 등을 설치하고, 펜 선단(40)의 후단부분을 잉크 흡장체(20) 내에 삽입하여 접촉시킴으로써 잉크 흡장체(20)로부터의 잉크를 직접 공급해도 좋은 것이다.
도 11~도 18은, 도 1~ 도10도의 각 실시 형태의 필기구(A~G)에 있어서, 잉크흡장체(20)에 함침된 잉크를 중계심(25)을 거쳐서 시인성을 갖는 잉크 유도 관(30)에 공급하는 구조가 되는 각실시 형태를 도시하는 것이다. 또, 도 11~ 도18의 각 실시 형태의 필기구에 있어서, 상기 제1~제7실시형태의 필기구(A~G)와 같은 구성은 동일부호를 붙여서 그 설명을 생략한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8실시형태를 도시하는 것이다. 이 제8실시 형태의 필기구(H)는, 도1~도3의 제1실시 형태의 필기구(A)에 중계심(25)을 거쳐서 잉크 흡장체(20)에 함침된 잉크를 시인성을 갖는 잉크 유도 관(30)에 공급하는 구조가 되는 것이다.
중계심(25)은, 잉크 흡장체(20)와 같이 섬유다발, 펠트 등의 섬유다발을 가공한 섬유다발 심(fiber bundle feed), 또는, 경질 스폰지, 수지입자 소결체 등으 로 이루어지는 수지입자 다공체, 슬라이버 심(sliver feed) 등의 연속 기공(유로)을 갖는 것이며, 잉크 흡장체(20)에 함침된 잉크를 해당 중계심(25)을 거쳐서 시인성을 갖는 잉크 유도 관(30)에 공급할 수 있는 것이면, 특히 그 형상, 구조등은 한정되는 것이 아니지만, 예컨대, 도 11(a) 및 (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중계심(25)의 선단부에는, 잉크 유도 관(30)의 후단부(30a) 내에 삽입되는 삽입부(26)를 갖고, 그 후단부는 예각의 형상이 되는 예각부(27)를 갖는 것을 들 수 있. 또한, 잉크 흡장체(20)의 선단측에는, 상기 중계심(25)의 외층부와 접촉할 수 있는 공동부(20a)가 설치된다. 이 도 11(a) 및 (b)에 도시하는, 삽입부(26) 및 예각부(27)를 갖는 중계심(25)및 공동부(20a)를 갖는 잉크 흡장체(20)의 구조 등에 의해, 잉크 흡장체(20)에 함침된 잉크는 중계심(20)을 거쳐서 시인성을 갖는 잉크 유도 관(30)에 더욱 효율적으로 공급될 수 있는 것이 된다.
더욱, 상기 중계심(25)의 모세관력은 잉크 흡장체(20)의 모세관력보다 크게하는 것, 및 중계심(25)의 단면구조를 내층부 및 외층부를 갖는 구조로 해서 외층부의 모세관력이 내층부의 모세관력보다도 크게 하는 것, 예컨대, 외층부의 섬유다발 밀도를 세밀부로 하고 내층부의 섬유다발 밀도를 조밀부로 함으로써, 잉크 흡장체(20)에 함침된 잉크를 잉크 유도 관(30)에 효율적으로 공급할 수 있는 것이 된다.
여기서, 중계심(25)은 잉크 흡장체(20)의 전장(L)의 5%이상, 바람직하게는, 10% 이상 100%이하의 길이에서 잉크 흡장체(20) 내부와 접촉하고 있는 것, 즉, 중계심(25)의 잉크 흡장체(20) 내부와 접촉하는 길이(L1)는, 잉크 흡장체(20) 의 전장(L)의 5%이상, 바람직하게는 10%이상의 길이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20% 이상 100%이하, 특히 바람직하게는, 50% 이상 100%이하의 길이에서 잉크 흡장체(20) 내부와 접촉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써, 잉크 흡장체(20)에 포함되는 잉크를 더욱 잉크 유도 관(30)에 효율적으로 공급할 수 있는 것이 된다. 도 11(a) 및 (b)에 도시하는 중계심(25)의 길이(L1)는, 잉크 흡장체(20)의 전장(L)의 20%로 설정되어 있다. 또, 잉크 흡장체(20) 내부와 접촉하는 길이가 5%미만이면, 통상의 안솜식 필기구와 동일 레벨의 잉크 소비율이 되어버릴 경우가 있다.
더욱, 중계심25의 단면적(W1)은, 잉크 흡장체(20)의 단면적(W)의 1~90%, 바람직하게는, 5~50%, 더욱 바람직하게는, 10~25%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중계심(25)의 단면적(W1)이 1% 미만이면, 펜 선단(40)의 형태에도 의하지만, 잉크 흡장체(20)로부터의 잉크 공급량이 부족되어 묘선 부족이나 속기 추종성이 악화되는 등의 문제를 발생시키고, 또한, 90%을 초과하면, 잉크 흡장체(20) 중에 삽입하기 어려워질 뿐만 아니라 잉크 흡장체(20)로서의 기능이 작아져 중계심(25)으로 한 종래부터 있는 안솜식의 필기구와 하등 변하지 않는 것이 된다.
상기 중계심(25)의 단면적(W1)을 잉크 흡장체(20)의 단면적(W)의 1~90%로 설정함으로써, 잉크 흡장체(20)에 포함되는 잉크를 더욱 잉크 유도 관(30)에 효율적으로 공급 할 수 있는 것이 된다. 또, 도 11(a) 및 (b)에 도시하는 중계심(25)의 단면적(W1)은, 잉크 흡장체(20)의 단면적W의 60%로 설정되어 있다.
이렇게 구성되는 본 제8실시 형태의 필기구(H)에서는, 제11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잉크 흡장체(20)에 함침된 잉크는 중계심(25)을 거쳐서 잉크 유도 관(30)내를 통과하고, 펜 선단(4O)에 침투해서 필기가 가능해진다. 또, 본 실시형태에서는, 잉크 흡장체(20)에 함침된 잉크는 잉크 유도 관(30)에 모세관력에 의해 직접 도입되는 것이 아니라, 중계심(25)을 거쳐서 잉크 유도 관(30)에 도입되는 것이 되므로, 잉크 흡장체(20)에 함침된 잉크를 효율적으로 스무스하게 잉크 유도 관(30)에 도입되는 것이 된다.
이 제11실시 형태의 필기구(H)에서는, 잉크 흡장체(20)에 함침된 잉크는 중계심(25)을 거쳐서 상시 잉크 유도 관(30)내를 통과해 펜 선단(40)에 공급되는 구조이므로, 필기에 의해 잉크 흡장체(20)에 함침된 잉크가 감소해서 종료할 경우에는, 잉크 유도 관(30) 내의 잉크의 통과가 없어지는 것에 의해 판단하는 것이 된다.
즉, 본 실시형태의 필기구(H)에서는, 잉크 흡장체(20)로부터의 잉크 종료 사인을 축통(l0)에 형성한 시인부(12)를 거쳐서 상기 잉크 유도 관(30)을 시인함으로써 검지할 수 있는 것이 된다. 따라서, 펜 선단(4O)에서의 잉크의 고갈이 펜 선단(4O)에서의 건조에 의한 것인가, 또는, 잉크의 소비에 의한 본래의 종료에 의한 것인가를 시각에 의해 명확히, 또한 간단히 판단할 수 있는 것이 된다.
상기 제8실시 형태의 필기구(H)에 있어서, 중계심(25)이, 섬유다발 심, 수지입자 다공체 및 슬라이브 심의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고, 이들의 중계심(25)이 연속 유로를 가지는 것에 의해 잉크 유도 관의 외관상 단면적을 유지한 채 실질적으로 잉크 유도 관(30)을 흐르는 잉크 유로 단면적을 컨트롤할 수 있다. 즉, 잉크 유로 단면적을 컨트롤함으로써, 필기구가 낙하하는 등의 충격을 받았을 때에 잉크 유도 관(30) 내의 잉크가 관로 저항에 의해 움직이기 어려워져 펜 선단(40)측으로부터의 잉크 드롭을 억제할 수 있는 것이 된다. 더욱, 잉크 유로 단면적을 컨트롤함으로써, 엔드 검지후의 잉크 유출량을 억제할 수 있어 과잉 잉크 유출에 의한 필기 불량을 억제할 수 있는 것이 된다.
도 12(a)~(c)는, 상기 제8실시 형태의 변형예이다. 도 12(a)는 잉크 흡장체의 모세관력의 분포를 펜 선단측으로 향할수록 크게 하는 형태, 예컨대, 잉크 흡장체(20)를 구성하는 섬유다발간의 간극이 펜 선단측으로 향할수록 좁아지는 구조,즉, 조밀부(20b)와 세밀부(20c)로 구성한 것이다.
도 12(b)는, 축통(10)의 내경이 펜 선단측으로 향할수록 좁아지는 구조(끝이 가는 형상)로 한 것이며, 잉크 흡장체(20)도 펜 선단측으로 향할수록 좁아지는 구조이다. 또한, 중계심(25)의 폭(직경)은, 잉크 유도 관(30)의 내경과 대략 동일한 직경으로 한 것이다.
도 12(c)는, 잉크 흡장체(20)를 수용하는 축통(10)의 내벽부 내측에 리브체(15, 15)를 복수 축방향으로 형성한 구조다.
이러한 제12도(a)~(c)의 각 구성 또는 이들의 조합을 더욱 상기 제8실시 형태의 필기구(H)에 채용함으로써, 잉크 흡장체(20)에 함침된 잉크는 중계심(25)을 거쳐서 더욱 잉크 유도 관(30) 내에 양호하게 유입하고, 펜 선단(40)에 양호하게 공급되는 것이 된다.
도 13(a) 및 (b)는, 본 발명의 제9실시형태를 도시하는 것이다. 본 제9실시 형태의 필기구(I)는, 중계심(25)에서 시인성을 갖는 잉크 유도 관(30)에 공급된 잉크는, 더욱 잉크 유도 관(30)의 전단부분(30b)에 삽입되는 펜 선단 중계심(28) 을 거쳐서 펜 선단(40)에 공급되는 구조가 되는 점에서만, 상기 제9실시 형태의 필기구(H)와 다른 것이다.
본 제9실시 형태의 필기구(I)에서는, 상기 제8실시형태와 같이, 잉크 흡장체(20)에 함침된 잉크는 중계심(25)을 거쳐서 잉크 유도 관(30) 내를 통과해 펜 선단중계심(28)을 거쳐서 펜 선단(40)에 원활하게 공급되어서 필기가 가능해진다. 또한, 이 필기구(I)에서는, 잉크 흡장체(20)의 잉크 종료 사인을 축통(10)에 형성한시인부(12)를 거쳐서 상기 잉크 유도 관(30)을 시인함으로써 검지 할 수 있는 것이 된다.
또, 상기 실시형태에 있어서, 펜 선단 중계심(28)을 독립으로 설치했지만, 펜 선단(40)과 펜 선단 중계심(28)을 일체로 한 것, 즉, 펜 선단(40)의 후단부분이 펜 선단 중계심(28)이 되는 일체구조이아도 무방한 것이다.
더욱, 상기 제9실시 형태의 필기구(I)에, 도 12(a)~(c)에 도시하는 변형예를 적용해도 무방한 것이다(이하의 실시형태에 있어서도 동일).
도 14(a) 및 (b)는, 본 발명의 제10실시 형태를 도시하는 것이며, 이 제10실시 형태의 필기구(J)는, 도5의 제2실시 형태의 필기구(B)에 중계심(25b, 25c)을 설치한 구조이다.
본 제10실시 형태의 필기구(J)는, 시인성을 갖는 잉크 유도 관(31, 32)을 복수 라인, 본 실시형태에서는 길이가 상이한 투명부재 또는 반투명부재로 구성된 시인성을 갖는 잉크 유도 관(31, 32)을 2개 설치한 점, 및 잉크 흡장체(20)에 함침된 잉크는 길이가 다른 각 중계심(25b, 25c)을 거쳐서 시인성을 갖는 잉크 유도 관(31, 32)에 공급되는 점, 중계심(25b, 25c)의 폭(직경)은, 잉크 유도 관(31, 32)의 각 내경과 대략 동일한 직경으로 한 점에서만, 상기 제8실시 형태의 필기구(H)와 다른 것이다.
본 제10실시 형태의 필기구(J)에서는, 전장이 긴 잉크 유도 관(31) 및 짧은 잉크 유도 관(32)은, 도 14(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함께 후단부분(31a, 32a)은, 후방부 유지체(21)를 관통해서 잉크 흡장체(20) 내부에 길이의 차(X1)를 두고 삽입되는 동시에, 전단부분(31b, 32b)은 축통(10)의 소직경부(10a)내를 밀봉하는 전방 부 유지체(22)를 관통해서 펜 선단(40)의 후단부분에 각기 단부를 가지런히 해서 삽입되어 있다. 이로써, 잉크 유도 관(31, 32)은, 해당 시인 공간부(13)의 중심부분에 유지되는 것으로 되어 있다.
이 제10실시 형태의 필기구(J)에서는, 상기 제8실시 형태와 같이, 잉크 흡장체(20)에 함침된 잉크는 각기 중계심(25b, 25c)을 거쳐서 잉크 유도 관(31, 32)내를 통과해 펜 선단(40)에 공급되어서 필기가 가능해진다. 또한, 이 필기구(B)에서는, 잉크 유도 관의 각 단부(31a, 32a)는 X1의 길이의 차, 및 중계심(25b, c)의 각단부는 X2의 길이의 차를 두고 잉크 흡장체(20)에 찌르어 삽입되어 있으므로, 잉크 흡장체(20)의 잉크의 함침률이 최대로부터 점차로 필기에 의해 소비되면, 긴 잉크 유도 관(31)의 잉크가 중계심(25b)을 거쳐서도 흐르지 않고 끊어져서 잉크 흡장체(20)에는 잉크가, 예컨대, 80%정도 남아 있는 것을 시인부(12)를 거쳐서 검지시켜, 다음에, 추가의 필기에 의해 잉크가 소비되어서, 짧은 잉크 유도 관(32)의 잉크가 중계심(25c)을 거쳐서 흐르지 않고 끊어졌을 경우, 즉, 잉크 흡장체(20)에는 잉크가 종료한 것을 시인부(12)를 거쳐서 검지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본 제10실시 형태의 필기구(J)에서는, 잉크 유도 관의 각 단부(31a, 32a)는 X1의 길이의 차, 및 각 중계심(25b, c)의 각단부는 X2의 길이의 차를 두고 배치함으로써, 잉크 흡장체(20)의 잉크 잔량 및 종료 사인을 축통(10)에 형성한 시인부(12)를 거쳐서 상기 잉크 유도 관(31, 32)을 시인함으로써 검지할 수 있게 된다.
또, 상기 제10실시형태에서는, 잉크 유도 관(3l, 32)의 길이를 상위한 것을 이용했지만, 동일 길이의 잉크 유도 관이어도, 또 중계심(25b, 25c)의 길이를 상위하게 한 것으로도, 상기와 같이 잉크 잔량 및 종료 사인을 검지 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제10실시 형태에서는, 잉크 유도 관의 수를 2개로 했지만, 필기구의 용도 등에 의해, 적시, 잉크 유도 관의 길이가 다른 것 또는 동일한 것을 3개 이상 설치해도 좋은 것이다.
도 15도(a)~(c)는, 본 발명의 제11실시 형태를 도시하는 것이며, 이 제11실시 형태의 필기구(K)는, 도 7의 제4실시형태의 필기구(D)에 중계심(25d)을 설치한 구조이다.
본 제11실시 형태의 필기구(K)에서는, 시인성을 갖는 잉크 유도 관(35)안에 잉크 흡장체(20)에 함침된 잉크보다도 표면장력이 작고 잉크와 색이 다른 섬유다발 또는 수지입자 다공체, 예컨대, 4불화 폴리에틸렌 등으로 이루어지는 섬유다발 또는 수지입자 다공체(36)[도 15(b)] 또는 불화 비닐리덴 등으로 이루어지는 섬유다발 또는 수지입자 다공체(37)[도 15(c)]를 잉크 유도 관(35)에 충전하여, 잉크 유도 관(35)의 외관상 단면적을 유지한 채 실질적으로 잉크 유도 관을 흐르는 잉크 유로 단면적과 잉크의 유동 저항을 컨트롤하고 있는 점에서만, 상기 제8실시 형태의 필기구(H)와 다른 것이다. 또, 섬유다발 또는 수지입자 다공체(36 또는 37)의 길이는, 중계심(25)의 삽입부가 잉크 유도 관(35)의 후단부분에 삽입되므로, 잉크 유도 관(30)의 길이보다도 짧게 되어있다.
또, 사용하는 상기 섬유다발 또는 수지입자 다공체는, 그 재료 자체의 표면 에너지가 잉크보다도 낮은 것을 이용하거나 또는, 표면처리를 함으로써 잉크보다도 표면 에너지를 감소시킨 것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제11실시 형태의 섬유다발 또는 수지입자 다공체(36 또는 37)의 색상은, 잉크 흡장체(20)에 함침된 잉크의 색과 다른 것, 바람직하게는, 사용하는 잉크 색으로 은폐되는 색이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잉크가 흑색인 경우는 백색, 잉크가 적색인 경우는 청색, 잉크가 황색인 경우는 흑색을 들 수 있지만, 투명 또는 반투명이라도 좋고, 반드시 착색하는 필요는 없다.
본 제11실시 형태의 필기구(K)에서는, 잉크 흡장체(20)에 함침된 잉크는 중계심(25d)을 거쳐서 막대 형상 등의 섬유다발 또는 수지입자 다공체(36 또는 37)가 잉크 유도 관(35)의 내벽에 접하는 일없이 삽입된 시인성을 갖는 잉크 유도 관(35)을 통과해 펜 선단(40)에 공급되어서 필기가 가능해진다. 이 필기구(D)에서는, 잉크보다도 표면장력이 작고, 또한, 잉크와 색이 다른 섬유다발 또는 수지입자 다공체(36 또는 37)를 잉크 유도 관(35)의 내부에 잉크 유도 관(35)의 내벽과 접하는 일없이 구비시킴으로써, 잉크 유도 관(35)을 흐르는 잉크 유로 단면적을 감소시키고, 잉크 유도 관의 외관상 단면적을 그대로 실질적으로 단면적을 감소시킬 수 있으므로, 잉크 유도 관(35)내를 흐르는 잉크 용량도 감소시킬 수 있어, 잉크 종료의 검지 기능과 잉크 종료시의 잉크 유출 과잉의 문제를 동시에 해결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제11실시 형태의 필기구(K)에서는, 상술한 제8~제10실시형태 등의 필기구에 있어서의 잉크의 종료 사인을 잉크 유도 관에 있어서의 잉크 떨어짐의 시인에 의해 검지한 것과 상위하고, 잉크가 종료(잉크 떨어짐)했을 경우에, 잉크 유도 관(35)에는 잉크 색과 다른 섬유다발 또는 수지입자 다공체(36 또는 37)의 색상으로 시인 할 수 있으므로, 잉크의 종료 사인을 보다 명확히 시각으로 관찰할 수 있는 것이 된다.
도 16은, 본 발명의 제12실시 형태를 도시하는 것으로, 이 제12실시 형태의 필기구(M)는, 도8의 제5실시 형태의 필기구(E)에 중계심(25e)를 설치한 구조이다.
본 제12실시 형태의 필기구(M)는, 펜 선단(40)이 언더라인용으로 되어 있는 점, 펜 선단을 유지하는 선축(41)이 별도의 부재로 되어 축통(10)의 선단에 고착되어 있는 점, 후방부 유지체(21) 및 전방부 유지체(22)를 생략한 점, 전방부 유지체(22)의 대신에 유지 단부(23)를 원주 형상으로 설치한 점, 중계심(25e)의 형상, 크기가 다른 점에서, 상기 제8실시 형태의 필기구(H)와 다른 것이며, 필기구(A, H)와 같이, 잉크의 공급, 잉크 종료 사인을 시인부(12)를 거쳐서 잉크 유도 관(30)을 시인함으로써 검지되는 것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제13실시 형태를 도시하는 것이며, 이 제13실시 형태의 필기구(N)는, 도9의 제6실시 형태의 필기구(F)에 중계심(25f)을 설치한 구조이다.
본 제13실시 형태의 필기구(N)는, 펜 선단(40)이 잉크 유도 심을 구비한 볼펜용으로 되어 있는 점, 펜 선단을 유지하는 선축(42)이 별도의 부재로 되어 축통(10)의 선단에 고착되어 있는 점, 전방부 유지체(22)를 생략한 점, 중계심(25f)의 형상, 크기가 다른 점에서, 상기 제8실시 형태의 필기구(H)와 다른 것이며, 필기구(A, H)와 같이, 잉크의 공급, 잉크 종료 사인을 시인부(12)를 거쳐서 잉크 유도 관(30)을 시인함으로써 검지되는 것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제14실시 형태를 도시하는 것으로, 이 제14실시 형태의 필기구(P)는, 도 10의 제7실시 형태의 필기구(G)에 중계심(25g)을 설치한 구조이다. 이 필기구(P)는, 축통(10) 내의 잉크 흡장체(20)에 함침된 잉크를 축통(1O)의 양측에 설치한 필기부가 되는 언더라인용의 펜 선단(40), 및 사인펜용의 펜 선단(45)에 공급하는 트윈 타입의 필기구이다.
잉크 흡장체(20)로부터의 잉크의 공급은, 펜 선단(40)측에서는, 잉크 흡장체(20)로부터의 잉크가 중계심(25g), 시인성을 갖는 잉크 유도 관(30)을 거쳐서 스무스하게 효율적으로 공급되는 것이며, 펜 선단(45)측에서는 펜 선단(45)의 후단부분이 잉크 흡장체(20) 내에 삽입하여 접촉하는 것에 의해 잉크 흡장체(20)로부터의 잉크가 직접 공급되는 것으로 되어 있다. 또, 도시 부호46은, 축통(10)에 일체로 형성되는 선단 축부이다.
이 트윈 타입의 필기구(P)에서는, 잉크의 소비는 각 펜 선단(40, 45)에서 행하여지고, 잉크 흡장체(20)의 잉크 종료 사인을 시인부(12)를 거쳐서 잉크 유도 관(30)을 시인함으로써 검지하는 것이다.
또, 상기 실시 형태와 역으로, 시인부(12), 잉크 유도 관(30) 등을 펜 선단(40)측에 설치했지만, 펜 선단(45)측에 시인부(12), 잉크 유도 관(30) 등을 설치하고, 펜 선단(40)의 후단부분을 잉크 흡장체(20) 내에 삽입해 접촉시킴으로써 잉크 흡장체(20)로부터의 잉크를 직접 공급해도 무방한 것이다.
본 발명의 필기구는, 상기 각 실시 형태 1~14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발명의 요지를 변경하지 않는 범위에서 각종의 형태로 변경할 수 있는 것은 말할 필요도 없다.
예컨대, 상기 제1실시 형태(제4도의 변형 예를 포함함)~제14실시 형태의 각 실시 형태를 바람직하게 조합시키는 것, 예컨대, 제3또는 제4실시 형태를 제5또는 제6실시 형태의 필기구에 적용해도 무방하고, 또한, 제2~제4실시 형태를 각각을 제7실시 형태의 필기구에 적용해도 무방한 것이고, 더욱, 제7실시 형태의 필기구(C)에 중계심을 설치해도 무방하고, 또한, 제1~제7실시 형태의 각 실시 형태의 각 필기구(A~G)에 있어서, 잉크 유도 관(30) 내의 잉크를 효율적으로 펜 선단(40)에 공급하는 펜 선단 중계심을 독립으로 또는 펜 선단과 일체로 더욱 추가해도 무방한 것이다.
더욱 또, 상기 제8실시 형태(제12도의 변형예를 포함하는)~제13실시 형태의 각 실시 형태를 바람직하게 조합시킨 것, 예컨대, 제10또는 제11실시 형태를 제12실시 형태, 제13실시 형태, 제14실시 형태의 필기구에 적용해도 무방하고, 또한, 제10실시 형태로부터 제14실시 형태의 각 필기구(H~P)에 있어서, 잉크 유도 관(30) 내의 잉크를 효율적으로 펜 선단(40)에 공급하는 펜 선단 중계심을 독립으로 또는 펜 선단과 일체로 더욱 추가해도 무방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필기구는, 잉크 흡장체(20)에 함침된 잉크가 시인성을 갖는 잉크 유도 관(30), 또는, 중계심(25) 및 시인성을 갖는 잉크 유도 관(30)을 거쳐서 펜 선단에 공급되는 동시에, 잉크 흡장체(20)로부터의 잉크 종료 사인을 축통(10)에 형성한 시인부(12)를 거쳐서 상기 잉크 유도 관(30)을 시인함으로써 검지할 수있는 구조를 요지로 하므로, 이 요지를 변경하지 않는 구성은 특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각종 공지의 필기 구조가 채용될 수 있고, 또한, 펜 선단, 잉크 종을 볼펜, 사인펜, 마킹 펜, 붓 펜 등의 용도 등에 의해서 변경해서 적합하게 각종 용도의 필기구에 적용할 수 있는 것이다.
더욱, 필기구용 잉크를 수정 액, 도포 액, 화장품 등의 액상 화장품류 등으로 한 도포기에도 적용해도 무방한 것이다.
실시예
다음에,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에 기초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하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 잉크 등의 표면장력의 측정은, 윌헬르미(Wilhelmy) 법(협화계면과학사 제품, CBVP-Z형)에 의해 측정하고, 잉크의 점도계수는, 회전 점도계[토키멕사(Tokimec Inc.)제품, TV-20L]에 의해 측정했다.
[실시예 1, 사인펜]
하기 구성의 축통, 잉크 흡장체, 잉크 유도 관, 펜 선단, 잉크 조성을 사용한 도 1 및 도 3에 준거하는 사인펜을 제작했다.
① 축통
폴리프로필렌 제, 대직경부의 직경 10mm, 시인부의 길이15mm(시인부 이외는 착색층에 의해 비시인부가 됨), 전장120mm
② 잉크 흡장체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제의 안솜으로 구성(기공률 80%), 직경 9mm, 길이 60mm
③ 잉크 유도 관
PFA(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퍼플루오로알킬비닐 에테르 코폴리머)제 내경 3mm, 길이 20mm, 잉크 유로 단면적 약 7㎟, 잉크 유도 관의 재질 자체의 표면장력(25℃)20mN/m, 후단부분이 잉크 흡장체(20)에 삽입하는 길이 3mm
④ 펜 선단
아크릴 섬유의 슬라이버 심으로 구성(기공률 55%), 길이 15mm
⑤ 잉크 조성(전량 100 중량%)
수용성염료(C.I.Direct Black-154) 4.5
수용성염료(C.I.Dlrect Black-19) 1.5
에틸렌 클리콜 10.0
글리세린 10.0
pH 조정제 0.3
방부제(프록셀) 0.5
고착성 수지(스티렌 아크릴산 3.0
수지, 암모니아 중화)
계면 활성제(인젠 P,
다이이치제약공업사 제품) 0.2
정제수 잔부
잉크의 표면장력(25℃)37mN/m, 잉크의 점도계수(25℃)8m Pa·s, 잉크 흡장체로의 함침량 2.5g.
상기 구성에 의해 얻어진 사인펜(A)은, 조립후, 잉크가 잉크 유도 관(30)을 통과하는 것이 시인부(12)를 거쳐서 시인할 수 있고, 다음에 펜 선단(40)에 침투해 가 사인펜으로서 잉크 유출량도 직액식 필기구와 같이 잉크 종료까지 거의 일정하게, 양호한 묘선을 그릴 수 있는 것을 발견했다.
잉크 흡장체(20)에 함침한 잉크가 종료할 때까지 필기를 계속한 바, 잉크 유도 관(30)에 잉크가 없어져 있는 것, 즉, 잉크 흡장체(20)로부터의 잉크 종료 사인을 축통(10)에 형성한 시인부(12)를 거쳐서 상기 잉크 유도 관(30)을 시인함으로써 간단히, 확실하게 검지할 수 있었다.
더욱, 잉크 유도 관(30)에서 종료를 검지한 후, 급격히 잉크의 유출량이 감쇠해서 필기할 수 없게 되었다.
[실시예 2, 사인펜]
하기 구성의 축통, 잉크 흡장체, 잉크 유도 관, 펜 선단, 잉크 조성을 사용한 도 5에 준거하는 사인 펜을 제작했다.
① 축통
폴리프로필렌제, 대직경부의 직경 10mm, 시인부의 길이 15mm (시인부 이외는 착색층에 의해 비시인부가 됨), 전장 120mm
② 잉크 흡장체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제의 안솜으로 구성(기공률 80%), 직경 9mm, 길이 60mm
③ 길이가 상위한 잉크 유도 관 2개
ⅰ) 폴리프로필렌제, 내경 3mm, 길이 20mm, 잉크 유로 단면적 약 7㎟, 잉크 유도 관의 재질 자체의 표면 장력(25℃) 31mN/m, 후단부분이 잉크 흡장체(20)에 삽입하는 길이 3mm
ⅱ) 폴리프로필렌제, 내경3mm, 길이30mm, 잉크 유로 단면적 약 7㎟, 잉크 유도 관의 재질 자체의 표면장력(25℃) 31mN/m, 후단부분이 잉크 흡장체(20)에 삽입하는 길이 3mm
ⅲ) X: 1Omm
④ 펜 선단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섬유의 슬라이버 심으로 구성(기공률 55%), 길이15mm
⑤ 잉크 조성(전량 1OO중량%)
수용성 염료(C.I. Dlrect Black-154) 5.0
시오디에타놀(thiodiethanol) 10.0
글리세린 5.0
요소(urea) 4.0
계면활성제(도바목스 25N, 라이언사
제품) 0.05
정제수 잔부
잉크의 표면장력(25℃) 55mN/m, 잉크의 점도계수(25℃)2m Pa.s, 잉크 흡장체로의 함침량 2.5g
상기 구성에 의해 얻어진 사인 펜(B)은, 조립후, 잉크가 잉크 유도 관(31, 32)을 통과하는 것이 시인부(12)를 거쳐서 시인할 수 있고, 다음에, 펜 선단(40)에 침투해 가 사인 펜으로서 양호한 묘선을 그릴 수 있는 것을 알았다.
잉크 흡장체(20)에 함침한 잉크가 종료할때 까지 필기를 계속한 바, 처음에 잉크 유도 관(31)에 잉크가 없어져 있는 것, 즉, 잉크 흡장체(20)로부터의 잉크의 잔량 사인(본 실시예에서는 90%)을 축통(10)에 형성한 시인부(12)를 거쳐서 상기 잉크 유도 관(30)을 시인함으로써 간단히, 확실히 잔량의 검지를 할 수 있고, 더욱 필기를 계속한 바, 잉크 유도 관(32)에 잉크가 없어져 있는 것, 즉, 잉크 흡장체(20)로부터의 잉크의 종료 사인을 축통(10)에 형성한 시인부(12)를 거쳐서 상기 잉크 유도 관(32)을 시인함으로써 간단히, 확실히 검지할 수 있는 것이 판단되었다.기타는, 실시예 1과 같은 평가를 얻을 수 있었다.
[실시예 3, 사인펜]
하기 구성의 축통, 잉크 흡장체, 잉크 유도 관, 펜 선단, 잉크 조성을 사용한 도 6에 준거하는 사인 펜을 제작했다.
① 축통 폴리프로필렌제, 대직경부의 직경 10mm, 시인부의 길이15mm(시인부 이외는 착색층에 의해 비시인부가 됨), 전장 120mm
② 잉크 흡장체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제의 내면으로 구성(기공률 80%), 직경 9mm, 길이 60mm
③ 잉크 유도 관
폴리프로필렌제, 내경 3mm, 길이 20mm, 잉크 유로 단면적 약 7㎟, 잉크 유도 관의 재질자체의 표면장력(25℃)31mN/m, 후단부분이 잉크 흡장체(20)에 삽입하는 길이 3mm
④ 잉크 공급 심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제의 슬라이버로 구성(기공률 50%), 직경 3mm, 길이 20mm,
⑤ 펜 선단
아크릴 섬유의 슬라이버 심으로 구성(기공률 55%), 길이 15㎜
⑥ 잉크 조성(전량 100중량%)
카본블랙 6.0
시오디메타놀 15.0
글리세린 5.0
요소 5.0
계면활성제(Pluronic PE3100, 0/03
바스프사 제품)
정제수 잔부
잉크의 표면장력(25℃)54mN/m, 잉크의 점도계수(25℃) 25mPa s, 잉크 흡장체로의 함침량 2.5g
상기 구성에 의해 얻어진 사인 펜(C)은, 조립후, 잉크가 잉크 유도 관(33)을 통과하는 것이 시인부(12)를 거쳐서 시인할 수 있고, 다음에, 펜 선단(40)에 침투해가 사인 펜으로서 양호한 묘선을 그릴 수 있는 것이 판단되었다.
잉크 흡장체(20)에 함침한 잉크가 종료할 때 까지 필기를 계속한 바, 잉크 유도 관(33)에 잉크가 없어져 있는 것, 즉, 잉크 흡장체(20)로부터의 잉크 종료 사인을 축통(10)에 형성한 시인부(12)를 거쳐서 상기 잉크 유도 관(33)을 시인함으로써 간단히, 확실히 검지할 수 있었다. 그 외는, 실시예 1과 같은 평가를 얻을 수 있었다.
[실시예 4, 사인펜]
하기 구성의 축통, 잉크 흡장체, 잉크 유도 관, 펜 선단, 잉크 조성을 사용한 도 7에 준거하는 사인펜을 제작했다.
① 축통
폴리프로필렌제, 대직경부의 직경 10mm, 시인부의 길이 15mm(시인부 이외는 착색층에 의해 비시인부가 됨), 전장 120mm
② 잉크 흡장체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제의 안솜으로 구성(기공률 80%), 직경 8mm, 길이 60mm
③ 잉크 유도 관
PFA(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퍼플루오로알킬비닐 에테르 코폴리머)제, 내경 3mm, 길이 20mm, 잉크 유로 단면적 약 7㎟, 잉크 유도 관의 재질자체의 표면장력(25℃) 20mN/m, 후단부분이 잉크 흡장체(20)에 삽입하는 길이 3mm
④ 막대 형상체
테프론(등록상표)제, 직경 1mm, 길이 25mm, 백색
⑤ 펜 선단
아크릴 섬유의 슬라이버 심으로 구성(기공률 50%), 길이 15mm
⑥ 잉크 조성(전량 100중량%)
컬러 안료(C.I. Pigmennt Blue 15:3) 4.0
시오디에타놀 5.0
디에틸렌 글리콜 5.0
이소프로필 알콜 3.0
요소 3.0
계면활성제(P1uronic PE3100, BASF사 제품) 0.03
정제수 잔부
잉크의 표면장력(25℃) 55mN/m, 잉크의 점도계수(25℃) 2m Pa·S, 잉크 흡장체로의 함침량 2.5g
상기 구성에 의해 얻어진 사인펜(D)은, 조립후, 잉크가 잉크 유도 관(35)을 통과하는 것이 시인부(12)를 거쳐서 시인할 수 있고, 다음에, 펜 선단(40)에 침투해 가 사인펜으로서 양호한 묘선을 그릴 수 있는 것이 발견되었다.
잉크 흡장체(20)에 함침한 잉크가 종료할 때까지 필기를 계속한 바, 잉크 유도 관(30)에 잉크가 없어져 있는 것, 즉, 잉크 흡장체(20)로부터의 잉크 종료 사인을 축통(10)에 형성한 시인부(12)를 거쳐서 상기 잉크 유도 관(35)에 삽입된 막대 형상체의 백색을 시인함으로써 간단히, 확실히 검지할 수 있었다. 그 외에는, 실시예 1과 같은 평가를 얻을 수 있었다.
[실시예 5, 볼펜]
하기 구성의 축통, 잉크 흡장체, 잉크 유도 관, 펜 선단, 잉크 조성을 사용한 도 9에 준거하는 볼펜을 제작했다.
① 축통
폴리프로필렌제, 대직경부의 직경 8mm, 시인부의 길이 15mm(시인부 이외는 착색층에 의해 비시인부가 됨), 전장 120mm
② 잉크 흡장체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제의 내면으로 구성(기공률 80%), 직경 6mm, 길이 60mm
③ 잉크 유도 관
폴리프로필렌제, 내경3mm, 길이 20mm, 잉크 유로 단면적 약 7㎟, 잉크 유도 관의 재질 자체의 표면장력(25℃) 31mN/m, 후단부분이 잉크 흡장체(20)에 삽입하는 길이3mm
④ 펜 선단
아크릴 섬유의 슬라이버 심으로 구성(기공률 50%), 길이 15mm, 볼 직경 0.5mm,
⑤ 잉크 조성(전량 100중량%)
수용성 염료(C.I. Direct Black-154) 5.O
시오디에타놀 10.0
글리세린 5.0
요소 4.0
계면활성제(도바녹스 25N, 라이언사 제품) 0.05
정제수 잔부
잉크의 표면장력(25℃) 55mN/m, 잉크의 점도계수(25℃)(2mPa·s, 잉크 흡장체로의 함침량 25g.
상기 구성에 의해 얻어진 볼펜(E)은, 조립후, 잉크가 잉크 유도 관(30)을 통과하는 것이 시인부(12)를 거쳐서 시인할 수 있고, 그 다음에, 펜 선단(40)에 침투해 가 사인펜으로서 양호한 묘선을 그릴 수 있는 것을 알았다.
잉크 흡장체(20)에 함침한 잉크가 종료할 때까지 필기를 계속한 바, 잉크 유도 관(30)에 잉크가 없어져 있는 것, 즉, 잉크 흡장체(20)로부터의 잉크 종료 사인을 축통(10)에 형성한 시인부(12)를 거쳐서 상기 잉크 유도 관(30)을 시인함으로써 간단히, 확실히 검지할 수 있었다. 그 외는, 실시예 1과 같은 평가를 얻을 수 있었다.
[실시예 6, 사인펜]
상기 실시예 1에 있어서, 잉크 흡장체 및 잉크 조성의 2점을 하기 구성의 잉크 흡장체, 잉크 조성(유성 잉크) 대신에 도 1 및 도 3에 준거하는 사인 펜을 제작했다.
(잉크 흡장체)
폴리프로필렌제의 내면으로 구성(기공률 80%), 직경 9mm, 길이 60㎜
[잉크 조성(전량 100중량%)]
n―프로필 알코올 75.0
라로팔(Laropal) A-101(알데히드와 요소의 축합물, BASF사 제품) 7.5
Alresat KM400(말레인산수지, Hoechst사 제품) 10.0
Victria Blue BSA(염료, Zemeca사 제품) 2.5
Rhodamine 6JHSA (염료, Zeneca사 제품) 2.5
Flex YELLOW 105(염료, Zeneca사 제품) 2.5
잉크의 표면장력(25℃) 약 22mN/m, 잉크의 점도계수(25℃) 약 4mPa·s, 잉크 흡장체로의 함침량 2.5g
상기 구성에 의해 얻어진 사인펜(A)은, 조립 후, 잉크가 잉크 유도 관(30)을 통과하는 것이 시인부(12)를 거쳐서 시인할 수 있고, 다음에, 펜 선단(40)에 침투해 가 사인 펜으로서 잉크 유출량도 직액식 필기구와 같이 잉크 종료까지 거의 일정하게, 양호한 묘선을 그릴 수 있는 것을 알았다.
잉크 흡장체(20)에 함침한 유성 잉크가 종료할 때까지 필기를 계속한 바, 잉크 유도 관(30)에 유성 잉크가 없어져 있는 것, 즉, 잉크 흡장체(20)로부터의 잉크 종료 사인을 축통(10)에 형성한 시인부(12)를 거쳐서 상기 잉크 유도 관(30)을 시인함으로써 간단히, 확실히 검지할 수 있었다.
더욱, 잉크 유도 관(30)으로 종료를 검지한 후, 급격히 잉크의 유출량이 감쇠해서 필기할 수 없었다.
〔실시예 7, 사인펜]
하기 구성의 축통, 잉크 흡장체, 잉크 유도 관, 중계심, 펜 선단, 잉크 조성을 사용한 도 11에 준거하는 사인 펜을 제작했다.
① 축통 폴리프로필렌제, 대직경부의 직경 10mm, 시인부의 길이 15mm(시인부이외는 착색층에 의해 비시인부가 됨), 전장 120mm
② 잉크 흡장체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제의 내면으로 구성(기공률 80%), 직경 9mm, 길이 60mm
③ 잉크 유도 관
PFA(테트라플로로에틸렌-퍼풀루오로알킬비닐 에테르 코폴리머)제, 내경3mm, 길이 20mm, 잉크 유로 단면적 약 7㎟, 잉크 유도 관의 재질자체의 표면 장력(25℃) 20mN/m, 후단 부분이 잉크 흡장체(20)에 삽입하는 길이3mm
④ 중계심
아크릴제의 슬라이버로 구성(기공률 55%), 직경 약 3mm, 길이 20mm, 삽입부 형상: 원주형상, 예각부 형상: 원추형
⑤ 펜 선단
아크릴 섬유의 슬라이버 심으로 구성(기공률 50%), 길이 15mm
⑥ 잉크 조성(전량 100중량%)
수용성염료(C.I.Direct Black-154) 4.5
수용성염료(C.I.Direct Black-19) 1.5
에틸렌 글리콜 10.0
글리세린 10.0
pH 조정제 0.3
방부제(프록셀 GXL) 0.5
고착성 수지(스티렌 아크릴산수지, 암모니아중화) 3.0
계면활성제(인젠 P, 다이이치제약공업사 제품) 0.2
정제수 잔부
잉크의 표면장력(25℃) 37mN/m, 잉크의 점도계수(25℃) 8m Pa.S, 잉크 흡장체로의 함침량 25g.
상기 구성에 의해 얻어진 사인 펜은, 조립후, 잉크가 잉크 유도 관(30)을 통과하는 것이 시인부(12)를 거쳐서 시인할 수 있고, 다음에 펜 선단(40)에 침투해 가 사인 펜으로서 잉크 유출량도 직액식 필기구와 같이 잉크 종료까지 거의 일정하게, 양호한 묘선을 그릴 수 있는 것을 알았다.
잉크 흡장체(20)에 함침한 잉크가 종료할 때 까지 필기를 계속한 바, 잉크 유도 관(30)에 잉크가 없어져 있는 것, 즉, 잉크 흡장체(20)로부터의 잉크 종료 사인을 축통(10)에 형성한 시인부(12)를 거쳐서 상기 잉크 유도 관(30)을 시인함으로써 간단히, 확실히 검지할 수 있었다.
더욱, 잉크 유도 관(30)에서 종료를 검지한 후, 급격히 잉크의 유출량이 감쇠해서 필기할 수 없었다.
[실시예 8, 사인펜]
하기 구성의 축통, 잉크 흡장체, 잉크 유도 관, 중계심, 펜 선단 중계심, 펜선단, 잉크 조성을 사용한 도 13에 준거하는 사인 펜을 제작했다.
① 축통
폴리프로필렌제, 대직경부의 직경 10mm, 시인부의 길이 15mm(시인부 이외는 착색층에 의해 비시인부가 됨), 전장 120mm
② 잉크 흡장체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제의 내면으로 구성(기공률 80%), 직경 9mm, 길이60mm
③ 잉크 유도 관
폴리프로필렌제, 내경 3mm, 길이 20mm, 잉크 유로 단면적 약 7㎟, 잉크 유도 관의 재질 자체의 표면장력(25℃) 31mN/m, 후단부분이 잉크 흡장체(20)에 삽입하는 길이 3mm
④ 중계심
아크릴제의 슬라이버로 구성(기공률 55%), 직경 약 3mm, 길이 30 mm, 삽입부 형상: 원주형상, 예각부 형상: 원추형
⑤ 펜 선단 중계심
아크릴제의 슬라이버로 구성(기공률 50%), 직경 약 3mm, 길이 8mm, 삽입부 형상: 원주형상, 예각부 형상: 원추형, 길이 15mm
⑥ 펜 선단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섬유의 슬라이버 심으로 구성(기공률 50%), 길이15mm
⑦ 잉크 조성(전량 100중량%)
수용성염료(C.I. Direct Black-154) 50
시에디에타놀 10.0
글리세린 5.0
요소 4.O
계면활성제(도바녹스 25N, 라이언사 제품) 0.05
정제수 잔부
잉크의 표면장력(25℃) 55mN/m, 잉크의 점도계수(25℃) 2m Pa.s, 잉크 흡장체로의 함침량 25g.
상기 구성에 의해 얻어진 사인 펜은, 조립후, 잉크가 잉크 유도 관(30)을 통과하는 것이 시인부(12)를 거쳐서 시인할 수 있고, 다음에, 펜 선단 중계심(28)을 거쳐서 펜 선단(40)에 침투해 가 사인 펜으로서 잉크 유출량도 직액식 필기구와 같이 잉크 종료까지 거의 일정하게, 양호한 묘선을 그릴 수 있는 것을 알았다.
잉크 흡장체(20)에 함침한 잉크가 종료할 때까지 필기를 계속한 바, 잉크 유도 관(30)에 잉크가 없어져 있는 것, 즉, 잉크 흡장체(20)로부터의 잉크 종료 사인을 축통(10)에 형성한 시인부(12)를 거쳐서 상기 잉크 유도 관(30)을 시인함으로써 간단히, 확실히 검지할 수 있었다.
더욱, 잉크 유도 관(30)에서 종료를 검지한 후, 급격히 잉크의 유출량이 감쇠해서 필기할 수 없게 되었다.
[실시예 9, 사인펜]
하기 구성의 축통, 잉크 흡장체, 잉크 유도 관, 중계심, 펜 선단, 잉크 조성을 사용한 도 14에 준거하는 사인 펜을 제작했다.
① 축통
폴리프로필렌제, 대직경부의 직경 10mm, 시인부의 길이 15mm(시인부 이외는 착색 층에 의해 비시인부가 됨), 전장 120mm
② 잉크 흡장체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제의 내면으로 구성(기공률 80%), 직경 9mm, 길이60mm
③ 잉크 유도 관
ⅰ) 긴 잉크 유도 관: 폴리프로필렌제, 내경 3mm, 길이 35mm, 잉크 유로 단면적 약 7㎟, 잉크 유도 관의 재질자체의 표면장력(25℃) 31m N/m, 후단부분이 잉크 흡장체(20)에 삽입하는 길이 15mm
ⅱ) 짧은 잉크 유도 관: 폴리프로필렌제, 내경 3mm, 길이 25mm, 잉크 유로단면적 약 7㎟, 잉크 유도 관의 재질자체의 표면장력(25℃) 31mN/m, 후단부분이 잉크 흡장체(20)에 삽입하는 길이 5mm
④ 중계심
ⅰ) 긴 중계심: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제의 슬라이버로 구성(기공률 55%), 직경 3mm, 길이 20mm, 형상: 원주형상
ⅱ) 짧은 중계심: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제의 슬라이버로 구성(기공률 55%), 직경 3mm, 길이 10mm, 형상: 원주형상
ⅲ) X1: 10mm, X2: 15mm
⑤ 펜 선단
아크릴 섬유의 슬라이버 심으로 구성(기공률 50%), 길이 15mm
⑥ 잉크 조성(전량 100중량%)
카본블랙 6.0
시오디에타놀 15.0
글리세린 5.0
요소 5.0
계면활성제(P1uronic PE3100, BASF사 제품) 0.03
정제수 잔부
잉크의 표면장력(25℃) 54mN/m, 잉크의 점도계수(25℃) 25mPa.s, 잉크 흡장체로의 함침량 25g.
상기 구성에 의해 얻어진 사인 펜은, 조립 후, 잉크가 잉크 유도 관(31, 32)을 통과하는 것이 시인부(12)를 거쳐서 시인할 수 있고, 다음에, 펜 선단(40)에 침투해 가 사인펜으로서 양호한 묘선을 그릴 수 있는 것을 알았다.
잉크 흡장체(20)에 함침한 잉크가 종료할 때 까지 필기를 계속한 바, 처음에 잉크 유도 관(31)에 잉크가 없어져 있는 것, 즉, 잉크 흡장체(20)로부터의 잉크의 잔량 사인(본 실시예에서는 70%)을 축통(10)에 형성한 시인부(12)를 거쳐서 상기 잉크 유도 관(30)을 시인함으로써 간단히, 확실히 잔량의 검지를 할 수 있고, 더욱필기를 계속한 바, 잉크 유도 관(32)에 잉크가 없어져 있는 것, 즉, 잉크 흡장체(20)로부터의 잉크의 종료 사인을 축통(10)에 형성한 시인부(12)를 거쳐서 상기 잉크 유도 관(32)을 시인함으로써 간단히, 확실히 검지할 수 있는 것이 판단되었다. 그 외는, 실시예 1과 같은 평가를 얻을 수 있었다.
[실시예 10, 사인펜]
하기 구성의 축통, 잉크 흡장체, 잉크 유도 관, 중계심, 펜 선단, 막대 형상체, 잉크 조성을 사용한 도 15에 준거하는 사인펜을 제작했다.
① 축통
폴리프로필렌제, 대직경부의 직경 10mm, 시인부의 길이 15mm(시인부 이외는 착색 층에 의해 비시인부가 됨), 전장 120mm
② 잉크 흡장체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제의 내면으로 구성(기공률 80%), 직경 8mm, 길이 60mm
③ 중계심
아크릴제의 슬라이버로 구성(기공률 55%), 직경 약 3mm, 길이 30 mm, 삽입부 형상: 원주형상, 예각부 형상: 원추형
④ 잉크 유도관
PFA(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퍼플루오로알킬비닐 에테르 코폴리머)제, 내경 3mm, 길이 20mm, 잉크 유로 단면적 약 7㎟, 잉크 유도 관의 재질 자체의 표면장력(25℃) 20mN/m, 후단부분이 잉크 흡장체(20)에 삽입하는 길이 3mm
⑤ 막대 형상체
테프론(등록상표)제, 직경 1mm, 길이 25mm, 백색
⑥ 펜 선단
아크릴 섬유의 슬라이버 심으로 구성(기공률 50%), 길이 15mm
⑦ 잉크 조성(전량 1OO중량%)
칼라 안료(C.I.Pigmennt Blue 15:3) 4.0
시오디에타놀 5.0
디에틸렌 글리콜제 5.0
이소프로필 알콜 3.0
요소 3.0
계면활성제(Pluronic PE3100, BASF사 제품) 0.03
정제수 잔부
잉크의 표면장력(25℃) 55mN/m, 잉크의 점도계수(25℃) 2mPa·s, 잉크 흡장체로의 함침량 25g.
상기 구성에 의해 얻어진 사인펜은, 조립후, 잉크가 잉크 유도 관(35)을 통과 하는 것이 시인부(12)를 거쳐서 시인할 수 있고, 다음에, 펜 선단(40)에 침투해 가 사인펜으로서 양호한 묘선을 그릴 수 있는 것을 알았다.
잉크 흡장체(20)에 함침한 잉크가 종료할 때 까지 필기를 계속한 바, 잉크 유도 관(30)에 잉크가 없어져 있는 것, 즉, 잉크 흡장체(20)로부터의 잉크 종료 사인을 축통(10)에 형성한 시인부(12)를 거쳐서 상기 잉크 유도 관(35)에 삽입된 막대 형상체의 백색을 시인함으로써 간단히, 확실히 검지할 수 있었다. 그 외는, 실시예 1과 같은 평가를 얻을 수 있었다.
[실시예 11, 볼펜]
하기 구성의 축통, 잉크 흡장체, 잉크 유도 관, 중계심, 펜 선단, 잉크 조성을 사용한 도 17에 준거하는 볼펜을 제작했다.
① 축통
폴리프로필렌제, 대직경부의 직경 8mm, 시인부의 길이 15mm(시인부 이외는 착색층에 의해 비시인부가 됨), 전장 120mm
② 잉크 흡장체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제의 내면으로 구성(기공률 80%), 직경 6mm, 길이 60mm
③ 중계심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제의 슬라이버로 구성(기공률 55%), 직경 3mm, 길이 20mm, 삽입부 형상: 원주형상, 예각부 형상: 원추형
④ 잉크 유도 관
폴리프로필렌제, 내경 3mm, 길이 20mm, 잉크 유로 단면적 약 7㎟, 잉크 유도 관의 재질 자체의 표면장력(25℃) 31mN/m, 후단부분이 잉크 흡장체(20)에 삽입하는 길이 3mm
⑤ 펜 선단
스테인리스제, 길이10mm, 볼 직경 0.5mm,
⑥ 잉크 조성(전량 1OO 중량%)
수용성염료(C.I.Direct Black-154) 5.O
시오디에타놀 10.0
글리세린 5.0
요소 4.0
계면활성제(도바녹스 25N, 라이언사 제품) 0.05
정제수 잔부
잉크의 표면장력(25℃) 55mN/m, 잉크의 점도계수(25℃) 2m Pa.s, 잉크 흡장체로의 함침량 25g.
상기 구성에 의해 얻어진 볼펜은, 조립후, 잉크가 잉크 유도 관(30)을 통과 하는 것이 시인부(12)를 거쳐서 시인할 수 있고, 다음에, 펜 선단(40)에 침투해 가 사인펜으로서 양호한 묘선을 그릴 수 있는 것을 알았다.
잉크 흡장체(20)에 함침한 잉크가 종료할 때까지 필기를 계속한 바, 잉크 유도 관(30)에 잉크가 없어져 있는 것, 즉, 잉크 흡장체(20)로부터의 잉크 종료 사인을 축통(10)에 형성한 시인부(12)를 거쳐서 상기 잉크 유도 관(30)을 시인함으로써 간단히, 확실히 검지할 수 있었다. 기타는, 실시예 1과 같은 평가를 얻을 수 있었다.
[실시예 12, 사인펜]
상기 실시예 7에 있어서, 잉크 흡장체 및 잉크 조성의 2점을 하기 구성의 잉크 흡장체, 잉크 조성(유성 잉크) 대신에 도 11에 준거하는 사인펜을 제작했다.
(잉크 흡장체)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제의 내면으로 구성(기공률 80%), 직경 9mm, 길이 60mm
[잉크조성(전량 1OO중량%)]
n―프로필 알코올 75.0
라로팔 A-101(알데히드와 요소의 축합물, BASF사 제품) 7.5
Alresat KM400(말레인산수지, Hoechst사 제품) 10.0
Victoria Blue BSA(염료, Zeneca사 제품) 2.5
Rhodamine 6JHSA(염료, Zeneca사 제품) 2.5
Flex YELLOW 105(염료, Zeneca사 제품) 2.5
잉크의 표면장력(25℃) 약 22 mN/m, 잉크의 점도계수(25℃) 약 4mPa.s, 잉크 흡장체로의 함침량 25g.
상기 구성에 의해 얻어진 사인펜은, 조립후, 유성 잉크가 잉크 유도 관(30)을 통과하는 것이 시인부(l2)를 거쳐서 시인할 수 있고, 다음에, 펜 선단(40)에 침투해 가 사인펜으로서 잉크 유출량도 직액식 필기구와 같이 잉크 종료까지 거의 일정하게, 양호한 묘선을 그릴 수 있는 것을 알았다.
잉크 흡장체(20)에 함침한 유성 잉크가 종료할 때 까지 필기를 계속한 바, 잉크 유도 관(30)에 잉크가 없어져 있는 것, 즉, 잉크 흡장체(20)로부터의 잉크 종료 사인을 축통(10)에 형성한 시인부(12)를 거쳐서 상기 잉크 유도 관(30)을 시인 함으로써 간단히, 확실히 검지할 수 있었다.
더욱, 잉크 유도 관(30)에서 종료를 검지한 후, 급격히 잉크의 유출량이 감쇠해서 필기할 수 없게 되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축통 내의 잉크 흡장체에 함침된 잉크를 필기부가 되는 펜 선단에 공급하는 필기구에서 있어서도, 간단한 구성에 의해, 잉크의 종료 사인을 시각에 의해 간단히, 또한 확실히 검지할 수 있는 동시에, 잉크 유출량도 직액식 필기구와 같이 잉크 종료까지 거의 일정하게, 양호한 묘선을 그릴 수 있는 필기구가 제공되는 것이 된다.
또한, 중계심을 거쳐서 잉크 흡장체에 함침된 잉크를 잉크 유도 관에 공급하는 구조의 필기구에서는, 잉크 흡장체에 함침된 잉크를 더욱 효율적으로, 스무스하게 잉크 유도 관에 도입하게 할 수 있는 필기구가 제공되는 것이 된다.

Claims (20)

  1. 축통 내의 잉크 흡장체에 함침된 잉크를 필기부가 되는 펜 선단에 공급하는 필기구에 있어서,
    상기 잉크 흡장체에 함침된 잉크는 시인성을 갖는 잉크 유도 관을 거쳐서 펜 선단에 공급되는 동시에, 잉크 흡장체로부터의 잉크 종료 사인을 축통에 형성한 시인부를 거쳐서 상기 잉크 유도관을 시인함으로써 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기구.
  2. 축통 내의 잉크 흡장체에 함침된 잉크를 축통의 양측에 설치한 필기부가 되는 각 펜 선단에 공급하는 트윈 타입(twin type)의 필기구에 있어서,
    어느 한쪽의 펜 선단에 공급되는 잉크는, 시인성을 갖는 잉크 유도관을 거쳐서 펜 선단에 공급되는 동시에, 잉크 흡장체로부터의 잉크 종료 사인을 축통에 형성한 시인부를 거쳐서 상기 잉크 유도 관을 시인함으로써 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기구.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잉크 흡장체에 함침된 잉크는 중계심을 거쳐서 시인성을 갖는 잉크 유도 관에 공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기구.
  4. 제 3 항에 있어서,
    중계심은 잉크 흡장체 전장의 5% 이상의 길이에서 잉크 흡장체 내부와 접촉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기구.
  5. 제 3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
    중계심의 단면적이, 잉크 흡장체의 단면적의 1~9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기구.
  6. 제 3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중계심의 모세관력이 잉크 흡장체의 모세관력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기구.
  7. 제 3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중계심의 단면구조가 내층부 및 외층부를 갖는 구조로 되고, 외층부의 모세관력이 내층부의 모세관력 보다도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기구.
  8. 제 3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중계심에 의해 시인성을 갖는 잉크 유도 관에 공급된 잉크는, 또한 펜 선단중계심을 거쳐서 펜 선단에 공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기구.
  9. 제 3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중계심이, 섬유다발 심, 수지입자 다공체 및 슬라이버 심의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고, 이들의 중계심이 연속 유로를 가지는 것에 의해 잉크 유도 관의 외관상 단면적을 유지한 채 실질적으로 잉크 유도 관을 흐르는 잉크 유로 단면적을 컨트롤할 수 있는
    필기구.
  10. 제 1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시인성을 갖는 잉크 유도 관의 잉크와 접하는 면 또는 잉크 유도 관의 재질자체의 표면장력이 잉크의 표면장력보다도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기구.
  11. 제 1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잉크 흡장체의 모세관력의 분포가, 펜 선단측으로 향할수록 커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기구.
  12. 제 1 항 내지 제 1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축통의 내경이 펜 선단측으로 향할수록 좁아지는 구조가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기구.
  13. 제 1 항 내지 제 1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축통의 펜 선단측 내측에 리브체가 복수 축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기구.
  14. 제 1 항 내지 제 1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시인성을 갖는 잉크 유도 관이 복수 라인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기구.
  15. 제 1 항 내지 제 1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잉크 흡장체에 함침된 잉크는, 시인성을 갖는 잉크 유도 관의 이외에, 잉크 공급 심에 의해 펜 선단에 공급되는
    필기구.
  16. 제 1 항 내지 제 1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잉크 시인성을 갖는 잉크 유도 관 내에 잉크보다도 표면장력이 작고 잉크와 색이 다른 섬유다발 또는 수지입자 다공체가 충전되어 있는 것에 의해, 잉크 유도 관의 외관상 단면적을 유지한 채, 실질적으로 잉크 유도 관을 흐르는 잉크 유로 단면적과 잉크의 유동 저항을 컨트롤할 수 있는
    필기구.
  17. 제 1 항 내지 제 1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축통의 시인부의 길이가 1mm이상 필기구의 전장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기구.
  18. 제 1 항 내지 제 1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잉크 유도 관의 잉크 유로 단면적이 8 ×10-2내지 8O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기구.
  19. 제 1 항 내지 제 1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잉크의 표면 장력이 25℃하에서 18mN/m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기구.
  20. 제 1 항 내지 제 1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잉크의 점도계수가 25℃하에서 500mPa·s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기구.
KR1020047018341A 2002-05-14 2003-05-13 필기구 KR10065979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2-00138517 2002-05-14
JPJP-P-2002-00138518 2002-05-14
JP2002138518A JP2004042263A (ja) 2002-05-14 2002-05-14 筆記具
JP2002138517A JP3474875B6 (ja) 2002-05-14 筆記具
PCT/JP2003/005952 WO2003095231A1 (fr) 2002-05-14 2003-05-13 Instrument d'ecritur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108811A true KR20040108811A (ko) 2004-12-24
KR100659799B1 KR100659799B1 (ko) 2006-12-19

Family

ID=294224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7018341A KR100659799B1 (ko) 2002-05-14 2003-05-13 필기구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2) US8684617B2 (ko)
EP (1) EP1504925B1 (ko)
KR (1) KR100659799B1 (ko)
CN (1) CN1652948B (ko)
AU (1) AU2003234799A1 (ko)
WO (1) WO2003095231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79096B1 (ko) * 2010-10-20 2013-06-26 김명자 용액도포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666272B1 (en) * 2003-09-05 2010-10-20 Mitsubishi Pencil Co., Ltd. Applicator
GB2440731A (en) * 2006-08-10 2008-02-13 Letraset International Ltd Double ended felt-tip marking pens for disassembly and reassembly by the user
JP5687529B2 (ja) * 2010-03-26 2015-03-18 株式会社サクラクレパス 塗布具
EP2581234B1 (en) * 2010-06-14 2020-08-12 Mitsubishi Pencil Company, Limited Writing instrument
JP5933934B2 (ja) * 2011-06-10 2016-06-15 三菱鉛筆株式会社 筆記具
US9566818B2 (en) 2010-06-14 2017-02-14 Mitsubishi Pencil Company, Limited Writing instrument
CN103536946A (zh) * 2012-07-13 2014-01-29 明尼苏达矿业制造医用器材(上海)有限公司 灭菌过程指示装置
KR200468556Y1 (ko) * 2013-03-14 2013-08-21 염선영 형광펜을 갖는 2색 볼펜
JP6460624B2 (ja) * 2013-10-16 2019-01-30 テイボー株式会社 ペン先
CN103978806B (zh) * 2014-05-30 2016-01-20 吴碧波 一种水性书写笔
US9682886B1 (en) 2014-06-17 2017-06-20 Amazon Technologies, Inc. Ink coating application system and method
US10889143B2 (en) * 2016-10-28 2021-01-12 Ganesh Ram Jangir Refillable writing instrument
CN107933140A (zh) * 2017-12-01 2018-04-20 岑溪市拓丰科技发展有限公司 防溢板书笔
DE202018000858U1 (de) * 2018-02-19 2019-05-22 Stabilo International Gmbh Gerät zum manuellen Auftragen einer Flüssigkeit
WO2019230702A1 (ja) * 2018-05-28 2019-12-05 株式会社呉竹 ペン及びペン用リフィル
WO2020044737A1 (ja) * 2018-08-29 2020-03-05 三菱鉛筆株式会社 リフィールを備えた筆記具
JP2022501226A (ja) 2018-09-20 2022-01-06 ポレックス テクノロジーズ コーポレーション 不均一繊維流体のリザーバー
US10723166B1 (en) * 2019-11-15 2020-07-28 Napat Thawornsing See-through highlighter
CN114261231B (zh) * 2021-11-25 2022-09-20 南京鸿庆文具有限公司 一种存储墨汁的中性笔墨囊及其安装金属头的操作方法
CN114083923B (zh) * 2021-11-30 2024-02-27 杜昊泽 一种水彩笔、水彩笔剩余墨量检测方法及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618239A (en) * 1945-07-27 1952-11-18 Parker Pen Co Writing instrument
DE1075982B (de) * 1955-05-17 1960-02-18 Faber Castell A W Kugelschreiber mit auswechselbarer Mine
DE1067706B (de) * 1955-11-07 1959-10-22 Pelikan Werke Wagner Guenther Kugelschreibmine mit zur Beobachtung der Minenfuellung im vorderen Teil durchscheinendem Minenrohr
JPS5835508Y2 (ja) * 1975-01-14 1983-08-10 帝帽 (株) 合成樹脂製ペン先
US4065214A (en) * 1976-08-30 1977-12-27 Daum Emill F Portable wax applicator and remover
JPS56128283A (en) 1980-02-14 1981-10-07 Honda Motor Co Ltd Tricycle
JPS56128283U (ko) * 1980-02-28 1981-09-29
JPS576581A (en) 1980-06-13 1982-01-13 Nippon Kogaku Kk <Nikon> Rapid stopping device for servo system
JPS576581U (ko) * 1980-06-14 1982-01-13
DE3302528A1 (de) 1982-02-04 1983-08-04 Scribex S.A., Agno Mine fuer kugelschreiber
JPS58138699A (ja) 1982-02-10 1983-08-17 富樫 泰蔵 ボ−ルペンにおけるインキ誘導装置
JPS5912684A (ja) 1982-07-13 1984-01-23 Hitachi Denshi Ltd テレメ−タ装置の制御方式
JPS5912684U (ja) * 1982-07-16 1984-01-26 ぺんてる株式会社 水性インキボ−ルペン用インキ中継芯
US5013361A (en) 1985-01-23 1991-05-07 The Gillette Company Ball-point writing instrument containing an aqueous ink composition
DE3920773A1 (de) * 1988-12-07 1990-06-13 Pelikan Ag Patronenfuellhalter
JPH06270585A (ja) 1993-03-19 1994-09-27 Niji Japan Kk 透明筆記具
JP3065950B2 (ja) * 1995-10-30 2000-07-17 花王株式会社 水系インク
WO1999056969A1 (fr) * 1998-05-01 1999-11-11 Mitsubishi Pencil Kabushiki Kaisha Instrument d'ecriture
EP1083061B1 (en) * 1998-06-02 2009-10-28 Mitsubishi Pencil Kabushiki Kaisha Writing implement
US6428235B1 (en) * 1999-03-26 2002-08-06 Mitsubishi Pencil Kabushiki Kaisha Liquid applicator having ink color identification
DK1050417T3 (da) * 1999-05-07 2001-08-13 Universal Spa Pen med filtspids eller lignende skriveredskab og fremgangsmåde til fremstilling deraf
US6224284B1 (en) * 1999-10-12 2001-05-01 Dri Mark Products Incorporated Metallic ink composition for wick type writing instruments
CN2396979Y (zh) * 1999-12-02 2000-09-20 黄喜荣 自动吸水宝珠笔/芯
TW534002U (en) 1999-12-16 2003-05-21 Mitsubishi Pencil Co Collector type writing implement
JP2001219693A (ja) 2000-02-09 2001-08-14 Mitsubishi Pencil Co Ltd 両頭式直液筆記具
US6390711B1 (en) * 2000-11-13 2002-05-21 Chartpak, Inc. Liquid ink writing pen
WO2003018329A1 (fr) * 2001-08-31 2003-03-06 Mitsubishi Pencil Kabushikikaisha Outil d'ecritur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79096B1 (ko) * 2010-10-20 2013-06-26 김명자 용액도포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504925A1 (en) 2005-02-09
EP1504925A4 (en) 2006-11-08
KR100659799B1 (ko) 2006-12-19
AU2003234799A1 (en) 2003-11-11
CN1652948B (zh) 2010-10-27
US8684617B2 (en) 2014-04-01
EP1504925B1 (en) 2020-06-17
US20050232685A1 (en) 2005-10-20
CN1652948A (zh) 2005-08-10
WO2003095231A1 (fr) 2003-11-20
US20100074672A1 (en) 2010-03-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59799B1 (ko) 필기구
JP2019214216A (ja) 筆記具
JP4817767B2 (ja) 筆記具
JP2007069426A (ja) 筆記具
JP2018122566A (ja) 筆記具
WO2011158837A1 (ja) 筆記具
JP2023060354A (ja) 筆記具
JP7258954B2 (ja) 筆記具
JP2001219693A (ja) 両頭式直液筆記具
JP7158203B2 (ja) 塗布具
JP2004042263A (ja) 筆記具
JP3732163B2 (ja) 筆記具
JP4070590B2 (ja) 筆記具
CN214873809U (zh) 一种涂写工具
JP3474875B6 (ja) 筆記具
JP2017124544A (ja) 筆記具
JP4550396B2 (ja) ペン先交換式筆記具セット及びそれに用いる交換用ペン先
JP4919756B2 (ja) 筆記具
JP4104455B2 (ja) 筆記板用マーキングペン
JP2004042262A (ja) 筆記具
JP2014037074A (ja) 液体塗布具
JP2004066479A (ja) 筆記具
JP2023105497A (ja) キャップ式筆記具
EP3031613B1 (en) Felt tipped feeding assembly and writing instrument fed from a standard disposable cartridge of aqueous ink
JP2019135093A (ja) ペン先及びこのペン先を備えた筆記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2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1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2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18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