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93014A - 산업차량용 액슬 지지구조 및 이를 채용한 산업차량 - Google Patents

산업차량용 액슬 지지구조 및 이를 채용한 산업차량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93014A
KR20040093014A KR1020040028201A KR20040028201A KR20040093014A KR 20040093014 A KR20040093014 A KR 20040093014A KR 1020040028201 A KR1020040028201 A KR 1020040028201A KR 20040028201 A KR20040028201 A KR 20040028201A KR 20040093014 A KR20040093014 A KR 2004009301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xle support
support member
axle
center pin
insertion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282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미야께다까히또
고바야시히로시
우에마쯔슈오
미우라도모미찌
가따에겐이찌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도요다 지도숏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도요다 지도숏키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도요다 지도숏키
Publication of KR200400930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93014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BVEHICLE WHEELS; CASTORS; AXLES FOR WHEELS OR CASTORS; INCREASING WHEEL ADHESION
    • B60B35/00Axle units; Parts thereof ; Arrangements for lubrication of axles
    • B60B35/12Torque-transmitting axles
    • B60B35/14Torque-transmitting axles composite or split, e.g. half- axles; Couplings between axle parts or sec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9/00Resilient suspensions of a rigid axle or axle housing for two or more wheels
    • B60G9/02Resilient suspensions of a rigid axle or axle housing for two or more wheels the axle or housing being pivotally mounted on the vehicle, e.g. the pivotal axis being parallel to the longitudinal axis of the vehicl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11/00Pivots; Pivotal connections
    • F16C11/04Pivotal connections
    • F16C11/045Pivotal connections with at least a pair of arms pivoting relatively to at least one other arm, all arms being mounted on one p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0/00Indexing codes relating to suspension types
    • B60G2200/30Rigid axle suspensions
    • B60G2200/32Rigid axle suspensions pivoted
    • B60G2200/322Rigid axle suspensions pivoted with a single pivot point and a straight ax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300/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type of vehicle
    • B60G2300/02Trucks; Load vehicles
    • B60G2300/022Fork lift trucks, Clark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Vehicle Body Suspensions (AREA)
  • Forklifts And Lifting Vehicles (AREA)

Abstract

산업차량용 액슬빔을 지지하기 위한 액슬 지지구조는 중심핀과, 한쌍의 액슬 지지부 및 카운터웨이트를 포함한다. 각 액슬 지지부에는 중심핀이 끼워지는 삽입구멍이 형성되어 있다. 액슬 지지부는 상측 액슬 지지부재 및 이 지지부재에 분리가능하게 연결되는 하측 액슬 지지부재를 갖는다. 한쌍의 액슬 지지부는 차량의 주행방향으로 서로 떨어져 있다. 중심핀은 한쌍의 액슬 지지부 사이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된다. 액슬 지지부의 상측 액슬 지지부재는 카운터웨이트에 주조로 형성된다.

Description

산업차량용 액슬 지지구조 및 이를 채용한 산업차량{AXLE SUPPORTING STRUCTURE FOR INDUSTRIAL VEHICLE AND INDUSTRIAL VEHICLE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챠량의 주행방향으로 서로 떨어져 있는 한쌍의 액슬 지지부 사이에서 액슬빔의 중심핀을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산업차량의 액슬 지지구조 및, 이러한 지지구조를 채용한 산업차량에 관한 것이다.
카운터밸런스형 포크리프트 트럭에서, 일반적으로 그의 후방 액슬빔은 차량이 거친 노면을 주행할 때 차량의 안정성을 개선하기 위해 중심핀을 중심으로 회전 또는 요동가능하게 지지된다. 후방 액슬빔의 중심핀은 한쌍의 액슬 지지부에 형성된 구멍을 통해 삽입되어, 한쌍의 액슬 지지부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지지된다. 상기 한쌍의 액슬 지지부는 서로 떨어져 있으며 후방 액슬빔의 전후방측에 배치된다.
액슬 지지부는 차량 프레임의 후부에 수평으로 배치된 후방 프레임으로부터 밑으로 돌출해 있다. 각 액슬 지지부는 상부 및 하부로 분리가능하게 구성되어 있으며, 이들 상부 및 하부는 서로 연결되면 함께 중심핀 삽입구멍을 형성하게 된다. 구체적으로 말하면, 각 액슬 지지부는 중심핀 삽입구멍의 상절반부가 형성된 상측 액슬 지지부재 및 중심핀 삽입구멍의 하절반부가 형성된 하측 액슬 지지부재를 포함한다. 상측 액슬 지지부재는 용접으로 후방 프레임에 연결되며, 하측 액슬 지지부재는 볼트 등에 의해 상측 액슬 지지부재에 분리가능하게 장착된다.
차량 프레임이 후방 액슬빔을 지지할 수 있도록, 먼저, 액슬 지지부의 하측 액슬 지지부재를 상측 액슬 지지부재로부터 분리시킨 상태에서, 후방 액슬빔의 중심핀을 상측 액슬 지지부재의 중심핀 삽입구멍의 상절반부의 반원형 구멍에 배치한다 다음에, 중심핀의 하절반부를 지지하도록 하측 액슬 지지부재를 위치시키고 이 지지부재를 볼트로 상측 액슬 지지부재에 고정시킨다. 액슬 지지부와 중심핀간의 금속접촉을 막기 위해 액슬 지지부의 각 중심핀 삽입구멍에 부싱을 배치된다.
일본특허공개공보 제 2000-16039 호에는 상기 유형의 액슬 지지부가 개시되어 있다(공보의 2쪽과 도 1 을 참조). 그러나 이 참조문헌에서는, 액슬 지지부의 각 상측 액슬 지지부재는 번거롭고 비용이 많이 드는 용접으로 후방 프레임에 연결된다.
또한, 액슬 지지부의 각 상측 액슬 지지부재가 용접으로 후방 프레임에 연결되는 상기 종래기술에서는, 한쌍의 중심핀 삽입구멍의 중심들을 서로 일치시키는 것이 어렵다. 용접된 상측 액슬 지지부재의 중심핀 삽입구멍의 중심 일치를 개선시키기 위해, 고무로 된 부싱이 중심핀 삽입구멍에 배치된다. 그러나, 고무는 비교적 비싸기 때문에 종래기술의 액슬 지지구조의 비용은 커지게 된다.
그리고, 상기 종래기술의 구성에서는 상측 액슬 지지부재와 후방 프레임 사이의 이음부의 강도가 충분하지 않다. 즉, 종래기술의 액슬 지지구조에서는 충분히 높은 강도를 확보하기 어렵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저비용으로 비교적 높은 강도를 얻을 수 있고 또한 한쌍의 액슬 지지부 사이에서 액슬빔의 중심핀을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액슬 지지구조 및, 이러한 액슬 지지구조를 채용한 산업차량을 구현하는 것이다.
도 1 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따른 포크리프트 트럭의 측면도이다.
도 2 는 도 1 에서 일점쇄선 박스안의 부위 Ⅱ 에서 후방 액슬빔의 길이방향 중간부의 단면을 나타내는 부분확대도이다.
도 3 은 도 2 의 한쌍의 액슬 지지부의 서로 연결되어 있는 상측 및 하측 액슬 지지부재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4 는 도 2 의 선 Ⅳ-Ⅳ 을 따라 취한 부분 단면도이다.
도 5 는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따른 포크리프트 트럭의 도 2 에 대응하는 부분확대도이다.
도 6 은 서로 연결될 도 5 의 한쌍의 액슬 지지부의 상측 및 하측 액슬 지지부재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포크리프트 트럭(산업차량) 3 : 후방 액슬빔
5 : 중심핀 21 : 카운터웨이트
22a : 너트(제 1 지지부(22)의 상측 지지부재)
22b : 제 1 지지부의 하측 지지부재
23a : 제 2 지지부(23)의 상측 지지부재
23b : 제 2 지지부의 하측 지지부재
25 : 원형구멍
25a : 상측 반원형 구멍
25b : 하측 반원형 구멍
27 : 볼트
28 : 부싱
본 발명에 따르면, 산업차량용 액슬빔을 지지하기 위한 액슬 지지구조는 중심핀과, 제 1, 2 액슬 지지부 및 카운터웨이트를 포함한다. 중심핀은 액슬빔으로부터 돌출 설치된다. 제 1 액슬 지지부에는 중심핀이 끼워지는 제 1 삽입구멍이 형성되어 있다. 제 1 액슬 지지부는 제 1 상측 액슬 지지부재 및 이 제 1 상측 액슬 지지부재에 분리가능하게 연결되는 제 1 하측 액슬 지지부재를 구비한다. 제 2 액슬 지지부는 차량의 주행방향으로 제 1 액슬 지지부로부터 떨어져 배치된다. 제 2 액슬 지지부에는 중심핀이 끼워지는 제 2 삽입구멍이 형성되어 있다. 이 중심핀은 제 1 액슬 지지부와 제 2 액슬 지지부 사이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된다. 제 2 액슬 지지부는 제 2 상측 액슬 지지부재 및 이 제 2 상측 액슬 지지부재에 분리가능하게 연결되는 제 2 하측 액슬 지지부재를 구비한다. 상기 제 1, 2 상측 액슬 지지부재는 카운터웨이트에 주조로 형성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적 사항 및 이점들은 첨부 도면과 함께 본 발명의 원리를 예시한 이하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잘 알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특징적 사항들은 종속항에 자세히 제시하였다. 본 발명 및 그 목적 및 이점은 첨부 도면과 함께한 이하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대한 이하의 설명으로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따른 산업차량용 액슬 지지구조에 대해 도 1-4 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에 대한 이하의 설명은 산업차량의 일예로서 포크리프트 트럭에 대한 것이다.
도 1 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따른 포크리프트 트럭 (1) 의 측면도이다. 도 1 에서 보듯이, 포크리프트 트럭 (1) 은 차량후부에서 카운터웨이트 (21) 를 포함한다. 이 카운터웨이트 (21) 는 차량의 후부를 형성하는데 적절한 외형을 지닌 캐스팅 블럭으로 되어 있으며, 또한 후륜 (2), 뒤에서 상세히 설명할 후방 액슬빔 (3) 및 액슬 지지부 (도 2, 3) 를 수용하는 리세스가 형성되어 있다. 도 2 는 도 1 에서 일점쇄선 박스안의 부위 Ⅱ 에서 후방 액슬빔의 길이방향 중간부의 단면을 나타내는 부분확대도이다. 도 3 은 도 2 의 한쌍의 액슬지지부의 상측 및 하측 액슬 지지부재 (서로 연결되어 있음) 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4 는 도 2 의 선 Ⅳ-Ⅳ 을 따라 취한 부분 단면도로서, 후방 액슬빔 (3) 및 이 후방 액슬빔의 양단부에 지지되어 있는 한쌍의 후륜 (2) 이 도시되어 있다. 도 2, 4 에서 보듯이, 후방 액슬빔 (3) 은 판상의 상측 액슬빔 부재 (15) 및 판상의 하측 액슬빔 부재 (16) 를 포함한다. 도 4 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측 및 하측 액슬빔 부재 (15, 16) 는 그의 길이방향 중앙부에서 전방 및 후방 수직연결판 (13, 14) 에 의해 서로 연결되며, 길이방향 양단부에서는 수직 연결판 (17) 에 의해 연결되어 있다. 도 2 에서 보듯이, 후방 액슬빔 (3) 의 길이방향 중간부의 단면은 실질적으로 사각 프레임형이다.
도 4 를 참조하면, 사각 프레임형의 후방 액슬빔 (3) 은 스티어링 실린더 (6) 를 내장한다. 후륜 (2) 은 링크기구(도시 안됨)를 통해 스티어링 실린더 (6) 의 피스톤 로드 (6a) 에 연결되어, 킹핀 (7) 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게 되어 있다. 후륜 (2) 은 스티어링 실린더 (6) 의 작동에 따라 원하는 방향으로 조향되며, 스티어링 실린더 (6) 는 스티어링휠 (8)(도 1) 에 의해 구동된다.
도 2 에서 보듯이, 후방 액슬빔 (3) 의 길이방향 중간에서 중심핀 (5) 이 전방 및 후방 연결판 (13, 14) 에 돌출 설치되어 있다. 후방 액슬빔 (3) 이 중심핀 (5) 을 중심으로 요동할 수 있기 때문에, 후륜 (2) 이 지면과 접촉한 상태에서 차체가 측면으로 롤 또는 락운동할 수 있다.
이제, 후방 액슬빔 (3) 의 중심핀 (5) 을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액슬지지부 (22, 23) 에 대해 설명한다. 도 2 에서 보듯이, 액슬지지부 (22, 23) 는 카운터웨이트 (21) 에 형성된 리세스 (31) 안에 배치되며, 후방 액슬빔 (3) 의 폭을 따라, 즉 차량의 주행방향으로 서로 떨어져 있는 제 1 액슬 지지부 (22) 와 제 2 액슬 지지부 (23) 를 포함한 한 쌍으로 제공되어 있다. 도 3 에서 보듯이, 각 액슬 지지부 (22, 23) 는 분할가능하게 되어 있어 상부와 하부로 분리될 수 있다. 바람직한 본 실시형태에서, 제 1 액슬 지지부 (22) 는 후방 액슬빔 (3) 의 후방측에 (도 2, 3 에서 볼 때는 우측에) 설치된다. 제 1 액슬 지지부 (22) 는, 카운터웨이트 (21) 에 주조로 형성된 너트 (22a) 형태의 상측 액슬 지지부재와, 중심핀 (5) 이 삽입되는 원형구멍 (25) 이 뚫린 하측 액슬 지지부재 (22b) 를 구비한다. 도 4 에서 보듯이, 하측 액슬 지지부재 (22b) 는 볼트 (27) 와 너트 (22a) 의 결합으로 상측 액슬 지지부재에 고정연결된다. 한편, 제 2 액슬 지지부 (23) 는 후방 액슬빔 (3) 의 전방측에 (도 2, 3 에서 볼 때는 좌측에) 설치된다. 제 2 액슬 지지부 (23) 는, 하면에 반원형 구멍 (25a) 이 형성된 상측 액슬 지지부재 (23a) 와, 상면에 상보적인 반원형 구멍 (25b) 이 형성된 하측 액슬 지지부재 (23b) 를 구비한다.
제 1 액슬 지지부 (22) 에서, 하측 액슬 지지부재 (22b) 는 실질적으로 "T"형으로 되어 있다. 상기 원형 구멍 (25) 은 하측 액슬 지지부재 (22b) 의 중앙부 보다 약간 낮은 위치에서 하측 지지부재 (22b) 에 형성되어 있어 중심핀 (5) 을 수용하게 된다. 도 3, 4 에서 보듯이, 원형 구멍 (25) 의 양 쪽에는 한 쌍의 볼트구멍 (29) 이 하측 액슬 지지부재 (22b) 의 "T" 형 크로스바아에 수직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다. 볼트 구멍 (29) 하나만이 도 3 에 점선으로 나타나 있다. 도 2 에서는 볼트구멍 (29) 이 도면수직방향으로 하측 액슬 지지부재 (22b) 의 "T" 형 크로스바아에 형성되어 있다. 각 볼트 (27) 는 대응 볼트구멍 (29) 안으로 삽입되어 대응 너트 (22a) 와 결합하여, 하측 액슬 지지부재 (22b) 를 너트 (22a), 즉 상측 액슬 지지부재에 고정시키게 된다.
도 2, 4 에서 보듯이, 대응 볼트 (27) 를 수용하는 너트 (22a) 의 대부분은 카운터웨이트 (21) 에 형성되어 있다. 하측 액슬 지지부재 (22b) 와 대면하는 카운터웨이트 (21) 의 표면에는, 너트 (22a) 의 볼트 삽입 구멍만이 하측 액슬 지지부재 (22b) 에 노출되어 있다. 카운터웨이트 (21) 에 직접 주조로 형성된 너트 (22a) 는 상측 액슬 지지부재로서의 역할을 하게 된다.
후방 액슬빔 (3) 의 전방측에 (도 2, 3 에서 볼 때는 좌측에) 배치된 제 2 액슬 지지부 (23) 에서, 상측 액슬 지지부재 (23a) 와 하측 액슬 지지부재 (23b) 가 함께 결합하면, 상측 반원형 구멍 (25a) 와 하측 반원형 구멍 (25b) 은 함께 하측 액슬 지지부재 (22b) 의 원형 구멍 (25) 와 유사한 완전한 원형 구멍을 형성하게 된다.
상측 액슬 지지부재 (23a) 는 상기 너트 (22a) 와 유사하게 카운터웨이트 (21) 에 직접 주조로 형성된다. 상측 반원형 구멍 (25a) 은 하측 액슬 지지부재 (23b) 와 대면하는 상측 액슬 지지부재 (23a) 의 표면에 중심핀 (5) 의 삽입방향으로 형성된다. 도 2 에서 가장 잘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하측 액슬 지지부재 (23b) 용 볼트 (27) 의 나사단부를 수용하기 위한 너트 (26) 가 반원형 구멍 (25a) 의 양쪽에서 상측 액슬 지지부재 (23a) 의 바닥면에 형성되어 있다. 볼트 (27) 는 하측 액슬 지지부재 (23b) 의 대응 볼트 구멍 (29) 안으로 삽입되어 대응 너트 (26) 에 끼워져서, 하측 액슬 지지부재 (23b) 를 상측 액슬 지지부재 (23a) 에 고정시키게 된다.
하측 반원형 구멍 (25b) 는 상측 액슬 지지부재 (23a) 와 대면하는 하측 액슬 지지부재 (23b) 의 표면에 중심핀 (5) 의 삽입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다. 한쌍의 볼트구멍 (29) 이 하측 반원형 구멍 (25b) 의 양쪽에서 하측 액슬 지지부재 (23b) 에 수직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다. 하나의 볼트 구멍 (29) 만이 도 3 에 점선으로 나타나 있다. 도 2 에서 볼 때, 한쌍의 볼트 구멍 (29) 은 하측 반원형 구멍 (25b) 을 사이에 두고 도면수직방향으로 하측 액슬 지지부재 (23b) 에 형성되어 있다. 도 2 에서, 볼트 구멍 (29) 은 도면수직방향으로 하측 액슬 지지부재 (23b) 에 형성되어 있다. 각 볼트 (27) 는 대응 볼트 구멍 (29) 안으로 삽입되어 대응 너트 (26) 에 결합하여, 하측 액슬 지지부재 (23b) 를 상측 액슬 지지부재 (23a) 에 고정시키게 된댜.
제 2 액슬 지지부 (23) 의 하측 액슬 지지부재 (23b) 를 그의 관련 상측 액슬 지지부재 (23a) 로부터 분리시킨 상태에서 후방 액슬빔 (3) 을 차량 프레임(도시 안됨) 에 장착할 때, 카운터웨이트 (21) 에 주조로 형성된 너트 (22a) 에 볼트 (27) 를 결합하여 원형구멍 (25) 를 갖는 제 1 액슬 지지부 (22) 의 하측 액슬 지지부재 (22b) 를 카운터웨이트 (21) 에 고정시킨다. 이때, 하측 액슬 지지부재 (22b) 는 카운터웨이트 (21) 에 부착되는데, 즉 볼트 (27) 와 너트 (22a) 가 볼트 구멍 (29) 에 위치정렬된다. 이렇게 해서, 하측 액슬 지지부재 (22b) 의 전후방향 위치가 조절될 수 있다. 또한, 하측 액슬 지지부재 (22b) 의 좌우방향 위치도 조절될 수 있다. 그리고, 하측 액슬 지지부재 (22b) 의 위치는, 하측 액슬 지지부재 (22b) 와 카운터웨이트 (21) 사이에 개재되는 적절한 스페이서를 사용하여 수직방향으로 조절할 수 있다.
제 2 액슬 지지부 (23) 의 하측 액슬 지지부재 (23b) 가 상측 액슬 지지부재 (23a) 로부터 분리된 상태에서 너트 (22a) 에 결합한 볼트 (27) 로 제 1 액슬 지지부 (22) 의 하측 액슬 지지부재 (22b) 를 카운터웨이트 (21) 에 고정하는 경우, 후방 액슬빔 (3) 의 중심핀 (5) 중 하나는 제 1 액슬 지지부 (22) 의 하측 액슬 지지부재 (22b) 에 있는 원형 구멍 (25) 에 끼우고, 다른 중심핀 (5) 은 제 2 액슬 지지부 (23) 의 상측 액슬 지지부재 (23a) 에 있는 상측 반원형 구멍 (25a) 에 끼운다. 다음, 하측 액슬 지지부재 (23b) 의 하측 반원형 구멍 (25b) 를 중심핀 (5) 의 하부측과 결합시키고, 볼트 (27) 를 너트 (26) 안으로 결합시킨다. 이렇게 해서, 하측 액슬 지지부재 (23b) 가 상측 액슬 지지부재 (23a) 에 고정되게 된다.
도 2, 4 에서 보듯이, 수지재로 된 원통형 부싱 (28) 이 하측 액슬 지지부재 (22b) 의 원형구멍 (25) 과, 상측 및 하측 액슬 지지부재 (23a, 23b) 의 상측 및 하측 반원형 구멍 (25a, 25b) 으로 이루어진 원형구멍안에 각각 배치된다. 즉, 후방 액슬빔 (3) 의 중심핀 (5) 은 부싱 (28) 을 통해, 원형구멍 (25) 및 상측 및 하측 반원형 구멍 (25a, 25b) 으로 이루어진 원형구멍 안에 각각 삽입된다.
도 4 에서 보듯이, 후방 액슬빔 (3) 의 요동운동을 규제하게 위해, 카운터웨이트 (21) 의 바닥에는 한쌍의 스탑 (21a) 이 후방 액슬빔 (3) 의 길이방향 양측에서 (도 2 에서는 후방 액슬빔 (3) 의 폭방향 중간부에) 밑으로 돌출 형성되어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는 이하와 같은 특징을 갖는다.
상기 설명으로부터 알 수 있듯이, 바람직한 실시형태의 포크리프트 트럭 (1)은 종래의 경우처럼 후방 액슬빔 지지부를 차량 프레임에 용접할 필요가 없고, 대신에, 후방 액슬빔 (3) 용 상측 지지부로서의 너트 (22a) 와 상측 액슬 지지부재 (23a) 를 카운터웨이트 (21) 에 주조로 형성한다. 따라서, 후방 액슬빔 (3) 의 상측 지지부를 차량 프레임에 용접하는 번거러움이 없고, 따라서 액슬 지지부 (22, 23) 을 쉽게 만들 수 있다. 또한, 용접비가 더 이상 필요하지 않기 때문에,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따른 액슬 지지구조의 비용이 감소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의 액슬 지지구조는 강도면에서도 종래기술 보다 우수하다. 종래기술에서는, 액슬 지지부의 상측 액슬 지지부재와 후방 프레임이 용접으로 서로 결합되기 때문에, 특히 액슬 지지부의 상측 액슬 지지부재와 후방 프레임 사이 이음부에서의 강도가 문제되고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서는, 상측 액슬 지지부재로서 역할하는 너트 (22a) 및 상측 액슬 지지부재 (23a) 가 카운터웨이트 (21) 에 직접 주조로 형성되기 때문에, 비교적 큰 강도를 쉽게 얻을 수 있다.
그리고, 제 1, 2 액슬 지지부 (22, 23) 의 너트 (22a) 와 상측 액슬 지지부재 (23a) 모두가 카운터웨이트 (21) 에 직접 주조로 형성되는 바람직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서로 마주하는 한쌍의 중심핀 삽입구멍 (즉, 제 1 액슬 지지부 (22) 의 원형구멍 (25) 과 제 2 액슬 지지부 (23) 의 상측 및 하측 반원형 구멍 (25a, 25b) 의 조합으로 이루어지는 원형 구멍)의 중심을 서로 일치시키는 것이 비교적 쉽게 된다.
바람직한 실시형태에서, 제 1 액슬 지지부 (22) 는 중심핀 (5) 이 삽입되는원형구멍 (25) 이 형성된 분리가능한 하측 액슬 지지부재 (22b) 를 갖는다. 볼트 (27) 가 너트 (22a) 에 결합되는 방식에 따라, 하측 액슬 지지부재 (22b) 의 장착 위치와 원형구멍 (25) 의 위치를 조정할 수 있다. 이러한 조정이 가능하면, 제 1 액슬 지지부 (22) 의 원형구멍 (25) 과, 제 2 액슬 지지부 (23) 의 상측 및 하측 반원형 구멍 (25a, 25b) 의 조합으로 이루어지는 원형 구멍간의 중심 일치가 더욱 쉽게 이루어질 수 있다.
이렇게 한쌍의 원형구멍간의 중심일치가 보장되면, 원형구멍안에 배치되는 부싱 (28) 은 종래기술의 부싱처럼 고무재로 만들어질 필요가 없고, 대신에 고무재 보다 덜 비싼 수지재로 만들 수 있다. 따라서, 바람직한 본 실시형태에 따른 액슬 지지구조의 비용이 줄어든다.
카운터웨이트 (21) 에서 하측 지지부재 (22b) 가 부착되는 지점에는, 연결부재로서 역할하는 볼트 (27) 를 수용하는 너트 (22a) 만이 형성된다. 따라서, 제 1 액슬 지지부 (22) 는 부품수가 적게 되며, 그래서 강재로 채워지는 너트 (26) 를 갖는 상측 액슬 지지부재 (23a) 가 카운터웨이트 (21) 에 형성되는 제 2 액슬 지지부 (23) 에 비해 제조가 용이하다.
본 발명은 상기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청구범위내에서 변형이 가능하다.
상기 바람직한 실시형태에서, 제 1 액슬 지지부 (22) 는 원형구멍 (25) 이 형성된 하측 액슬 지지부재 (22b) 및 이 하측 액슬 지지부재 (22b) 가 연결되는 너트 (22a) 를 가지며, 제 2 액슬 지지부 (23) 는 상측 반원형 구멍 (25a) 이 형성된상측 액슬 지지부재 (23a) 와 하측 반원형 구멍 (25b) 이 형성된 하측 액슬 지지부재 (23b) 가 조합된 구조이다. 도 5, 6 에 도시된 대안 실시형태가 전술한 바람직한 실시형태와 다른 점은, 쌍으로 된 액슬 지지부 (22, 23) 모두가 상측 및 하측 지지부재 (23a, 23b) 의 조합 구조라는 것이다.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대한 다른 대안 실시형태의 경우는, 쌍으로 된 액슬 지지부 (22, 23) 모두가 도 2, 3 에 도시된 바와 같은 너트 (22a) 와 하측 액슬 지지부재 (22b) 의 조합 구조로 된다. 그러나, 액슬 지지부의 강도와 서로 마주하는 한쌍의 원형구멍간의 중심 일치를 동시에 보장하기 위해서는 전술한 바람직한 실시형태가 가장 좋다.
대안 실시형태에서, 카운터웨이트 (21) 에 주조로 형성되는 너트 (22a) 는 유사한 너트가 채워져 있는 강재로 대체된다.
전술한 실시형태에서, 부싱 (28) 은 수지재로 만들어진다. 그러나, 부싱 (28) 은 수지재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고무 또는 금속재로도 만들어질 수 있다. 그러나, 액슬 지지구조의 비용을 줄이기 위해서는 부싱을 수지재로 만드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대안 실시형태에서, 각 부싱 (28) 은 원통형일 필요는 없으며, 각각 반원통형으로 된 2개의 부분으로 분할될 수 있다.
전술한 실시형태에서, 각 액슬 지지부는 개별적인 상측 및 하측 부분으로 분할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각 액슬 지지부는 볼트 (27) 로 함께 고정되는 상측 액슬 지지부재와 하측 액슬 지지부재를 갖는다. 대안 실시형태에서, 상측 액슬 지지부재 및 이에 대응하는 하측 액슬 지지부재는 볼트 (27) 외의 다른 다양한 수단에 의해 서로 고정될 수 있다.
제 1, 2 액슬 지지부 (22, 23) 의 하측 액슬 지지부재 (22b, 23b) 의 형상은 블럭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대안 실시형태에서, 하측 액슬 지지부재 (22b, 23b) 각각은 중심핀 (5) 의 하측에 맞아 이를 지지할 수 있도록 만곡된 금속판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전술한 실시형태에서 후방 액슬빔 (3) 을 위한 액슬 지지구조를 설명하였다. 대안 실시형태에서, 본 발명의 액슬 지지구조는 중심핀 (5) 을 중심으로 롤링면에서 요동이 가능하도록 지지되는 전방 액슬빔에도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액슬 지지구조는 포크리프트 트럭 (1) 에만 적용되는 것은 아니다. 산업차량이 액슬빔이 요동가능하게 지지되는 중심핀형이라면, 본 발명의 액슬 지지구조는 트랙터 셔블 및 셔블 로더와 같은 차량에도 적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와 실시형태는 예시적인 것으로 한정적인 것이 아님을 이해해야 하며, 본 발명은 상술한 내용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내에서 변형이 가능하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저비용으로 비교적 높은 강도를 지니며 또한 한쌍의 액슬 지지부 사이에서 액슬빔의 중심핀을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액슬 지지구조를 얻을 수 있다.

Claims (15)

  1. 산업차량용 액슬빔을 지지하기 위한 액슬 지지구조로서,
    액슬빔으로부터 돌출 설치되는 중심핀과,
    상기 중심핀이 삽입되는 제 1 삽입구멍이 형성되어 있고, 제 1 상측 액슬 지지부재 및 이 제 1 상측 액슬 지지부재에 분리가능하게 연결되는 제 1 하측 액슬 지지부재를 구비하는 제 1 액슬 지지부와,
    차량의 주행방향으로 상기 제 1 액슬 지지부로부터 떨어져 배치되는 제 2 액슬 지지부로서, 상기 중심핀이 삽입되는 제 2 삽입구멍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 중심핀은 제 1 액슬 지지부와 제 2 액슬 지지부 사이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며, 제 2 상측 액슬 지지부재 및 이 제 2 상측 액슬 지지부재에 분리가능하게 연결되는 제 2 하측 액슬 지지부재를 구비하는 제 2 액슬 지지부, 및
    상기 제 1, 2 상측 액슬 지지부재가 주조로 형성되는 카운터웨이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슬 지지구조.
  2. 제 1 항에 있어서, 제 1 삽입구멍은 제 1 하측 액슬 지지부재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슬 지지구조.
  3. 제 2 항에 있어서, 제 1 하측 액슬 지지부재를 제 1 상측 액슬 지지부재에 연결하는 연결부재를 또한 포함하고, 상기 제 1 상측 액슬 지지부재는 연결부재를받아 들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슬 지지구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는 볼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슬 지지구조.
  5. 제 2 항에 있어서, 제 2 상측 액슬 지지부재와 제 2 하측 액슬 지지부재는 함께 제 2 삽입구멍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슬 지지구조.
  6. 제 2 항에 있어서, 제 1 하측 액슬 지지부재는 실질적으로 "T" 형으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슬 지지구조.
  7. 제 1 항에 있어서, 제 1 상측 액슬 지지부재와 제 1 하측 액슬 지지부재는 함께 제 1 삽입구멍을 형성하며, 제 2 상측 액슬 지지부재와 제 2 하측 액슬 지지부재는 함께 제 2 삽입구멍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슬 지지구조.
  8. 제 1 항에 있어서, 수지재로 만들어진 부싱을 또한 포함하며, 이 부싱을 통해 중심핀이 제 1 삽입구멍에 끼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슬 지지구조.
  9. 제 1 항에 있어서, 고무 또는 금속재로 만들어진 부싱을 또한 포함하며, 이 부싱을 통해 중심핀이 제 1 삽입구멍에 끼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슬 지지구조.
  10. 액슬빔과,
    액슬빔으로부터 돌출 설치되는 중심핀과,
    상기 중심핀이 삽입되는 제 1 삽입구멍이 형성되어 있고, 제 1 상측 액슬 지지부재 및 이 제 1 상측 액슬 지지부재에 분리가능하게 연결되는 제 1 하측 액슬 지지부재를 구비하는 제 1 액슬 지지부와,
    차량의 주행방향으로 상기 제 1 액슬 지지부로부터 떨어져 배치되는 제 2 액슬 지지부로서, 상기 중심핀이 삽입되는 제 2 삽입구멍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 중심핀은 제 1 액슬 지지부와 제 2 액슬 지지부 사이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며, 제 2 상측 액슬 지지부재 및 이 제 2 상측 액슬 지지부재에 분리가능하게 연결되는 제 2 하측 액슬 지지부재를 구비하는 제 2 액슬 지지부, 및
    상기 제 1, 2 상측 액슬 지지부재가 주조로 형성되는 카운터웨이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업차량.
  11. 제 10 항에 있어서, 제 1 삽입구멍은 제 1 하측 액슬 지지부재에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업차량.
  12. 제 11 항에 있어서, 제 1 하측 액슬 지지부재를 제 1 상측 액슬 지지부재에 연결하는 연결부재를 또한 포함하고, 상기 제 1 상측 액슬 지지부재는 연결부재를받아 들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업차량.
  13. 제 11 항에 있어서, 제 2 상측 액슬 지지부재와 제 2 하측 액슬 지지부재는 함께 제 2 삽입구멍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업차량.
  14. 제 10 항에 있어서, 액슬빔은 후방 액슬빔인 것을 특징으로 산업차량.
  15. 제 10 항에 있어서, 수지재로 만들어진 부싱을 또한 포함하며, 이 부싱을 통해 중심핀이 제 1 삽입구멍에 끼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업차량.
KR1020040028201A 2003-04-25 2004-04-23 산업차량용 액슬 지지구조 및 이를 채용한 산업차량 KR20040093014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3-00120911 2003-04-25
JP2003120911A JP4161788B2 (ja) 2003-04-25 2003-04-25 産業車両のアクスル支持構造、および、産業車両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93014A true KR20040093014A (ko) 2004-11-04

Family

ID=329596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28201A KR20040093014A (ko) 2003-04-25 2004-04-23 산업차량용 액슬 지지구조 및 이를 채용한 산업차량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7204499B2 (ko)
EP (1) EP1470939B1 (ko)
JP (1) JP4161788B2 (ko)
KR (1) KR20040093014A (ko)
CN (1) CN100404290C (ko)
AU (1) AU2004201660B2 (ko)
CA (1) CA2465089C (ko)
DE (1) DE602004019467D1 (ko)
TW (1) TWI243109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161788B2 (ja) * 2003-04-25 2008-10-08 株式会社豊田自動織機 産業車両のアクスル支持構造、および、産業車両
JP2006264936A (ja) * 2005-03-25 2006-10-05 Toyota Industries Corp 産業車両の牽引装置
DE202007004178U1 (de) * 2007-02-16 2008-06-26 Liebherr-Werk Biberach Gmbh Achsaufhängung für Schwerfahrzeuge
US20120153605A1 (en) * 2010-12-20 2012-06-21 Caterpillar Inc. Counterweight system
JP5966867B2 (ja) * 2012-11-02 2016-08-10 株式会社豊田自動織機 産業車両のアクスル支持構造
JP5892041B2 (ja) * 2012-11-02 2016-03-23 株式会社豊田自動織機 産業車両のアクスル支持構造
JP5807647B2 (ja) 2013-01-23 2015-11-10 株式会社豊田自動織機 軸受
JP6754630B2 (ja) * 2016-06-27 2020-09-16 株式会社クボタ 車軸装置
AU2020289833A1 (en) 2019-12-23 2021-07-15 The Raymond Corporation Systems and methods for a material handling vehicle with an articulating axle
CN113264111A (zh) * 2021-06-22 2021-08-17 黑系智能装备(威海)有限公司 用于自行式越野房车箱体的自平衡装置
US11607910B1 (en) * 2022-03-01 2023-03-21 Caterpillar Inc. Axle oscillation stop for construction machine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42808A (ja) * 1991-08-09 1993-02-23 Toyota Autom Loom Works Ltd リヤアクスル支持構造
JPH0514251U (ja) * 1991-08-07 1993-02-23 日立建機株式会社 アクスル揺動角度規制装置を備えた作業車両
JPH0577617A (ja) * 1991-09-19 1993-03-30 Toyota Autom Loom Works Ltd リヤアクスル懸架装置用のシム
JPH11158918A (ja) * 1997-12-02 1999-06-15 Toyo Umpanki Co Ltd 産業用車両のリヤアクスル配設構造
JP2000006624A (ja) * 1998-06-17 2000-01-11 Toyota Autom Loom Works Ltd 産業車両の車体フレーム及び産業車両
CA2465089A1 (en) * 2003-04-25 2004-10-25 Kabushiki Kaisha Toyota Jidoshokki Axle supporting structure for industrial vehicle and industrial vehicle having the same
JP2004338948A (ja) * 2003-04-25 2004-12-02 Toyota Industries Corp 産業車両のアクスル支持構造、および、産業車両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829455A1 (de) * 1978-07-05 1980-01-17 Kloeckner Humboldt Deutz Ag Vorderachslagerbock
GB2142601B (en) * 1982-11-08 1985-09-18 Towmotor Corp Counterweight and axle mounting arrangement
JP3097568B2 (ja) * 1996-09-05 2000-10-10 株式会社豊田自動織機製作所 産業車両のリヤアクスル取付構造
JPH11115436A (ja) * 1997-10-15 1999-04-27 Toyota Autom Loom Works Ltd 車軸揺動制御用流体圧シリンダの支持構造
JP2000016039A (ja) 1998-07-03 2000-01-18 Toyota Autom Loom Works Ltd 産業車両のアクスル支持構造及び産業車両
JP2003011633A (ja) 2001-07-03 2003-01-15 Nippon Yusoki Co Ltd 産業車両の操舵装置

Patent Citation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4251U (ja) * 1991-08-07 1993-02-23 日立建機株式会社 アクスル揺動角度規制装置を備えた作業車両
JPH0542808A (ja) * 1991-08-09 1993-02-23 Toyota Autom Loom Works Ltd リヤアクスル支持構造
JPH0577617A (ja) * 1991-09-19 1993-03-30 Toyota Autom Loom Works Ltd リヤアクスル懸架装置用のシム
JPH11158918A (ja) * 1997-12-02 1999-06-15 Toyo Umpanki Co Ltd 産業用車両のリヤアクスル配設構造
JP2000006624A (ja) * 1998-06-17 2000-01-11 Toyota Autom Loom Works Ltd 産業車両の車体フレーム及び産業車両
CA2465089A1 (en) * 2003-04-25 2004-10-25 Kabushiki Kaisha Toyota Jidoshokki Axle supporting structure for industrial vehicle and industrial vehicle having the same
EP1470939A2 (en) * 2003-04-25 2004-10-27 Kabushiki Kaisha Toyota Jidoshokki Four-wheeled lift truck with oscillating axle
US20040217571A1 (en) * 2003-04-25 2004-11-04 Takahito Miyake Axle supporting structure for industrial vehicle and industrial vehicle having the same
AU2004201660A1 (en) * 2003-04-25 2004-11-11 Kabushiki Kaisha Toyota Jidoshokki Axle supporting structure for industrial vehicle and industrial vehicle having the same
CN1550363A (zh) * 2003-04-25 2004-12-01 株式会社丰田自动织机 工业车辆的轴支撑结构及具有该结构的工业车辆
JP2004338948A (ja) * 2003-04-25 2004-12-02 Toyota Industries Corp 産業車両のアクスル支持構造、および、産業車両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470939A3 (en) 2005-01-12
JP2004322871A (ja) 2004-11-18
TWI243109B (en) 2005-11-11
EP1470939B1 (en) 2009-02-18
TW200427593A (en) 2004-12-16
US7204499B2 (en) 2007-04-17
CA2465089A1 (en) 2004-10-25
CN100404290C (zh) 2008-07-23
JP4161788B2 (ja) 2008-10-08
DE602004019467D1 (de) 2009-04-02
AU2004201660A1 (en) 2004-11-11
EP1470939A2 (en) 2004-10-27
CA2465089C (en) 2007-01-16
US20040217571A1 (en) 2004-11-04
CN1550363A (zh) 2004-12-01
AU2004201660B2 (en) 2005-09-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048286B2 (en) Rear axle of a passenger vehicle with five individual links
US4427213A (en) Vehicle suspension with rigid torque beam
JP3918162B2 (ja) 車輌用パワーステアリング装置
KR20040093014A (ko) 산업차량용 액슬 지지구조 및 이를 채용한 산업차량
JP3977488B2 (ja) 自動車用サブフレーム
US5816605A (en) Tandem axle suspension with self-steering rear axle
JPS6337215B2 (ko)
US8434779B2 (en) Fifth wheel
US5971425A (en) Suspension system for a load carrying machine
JPH11227602A (ja) 鉄道車両用台車枠
JP3487213B2 (ja) 車両のサブフレーム構造
JPH08198134A (ja) アルミニウム合金製クロスメンバ
US5509688A (en) Vehicle weight transfer subframe
US2901846A (en) Four-wheel drive tractor grader
JP2690544B2 (ja) 車両のサブフレーム構造
JP4665338B2 (ja) 車輌用フロントサブフレーム構造
JPH08164753A (ja) 自動車の車体前部構造
JPH0742817Y2 (ja) 自動車のサスペンシヨン構造
US2654614A (en) Resilient vehicle suspension
JP2004338948A (ja) 産業車両のアクスル支持構造、および、産業車両
KR19980025082A (ko) 물질 취급 차량
JP2535328B2 (ja) 後2輪車両のスイングア−ム
KR20050019687A (ko) 서브 프레임 보강구조
CA1122239A (en) Walking beam suspension assembly
JPS598883Y2 (ja) トラクタのフロントアクスルメンバ−支持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E801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
B601 Maintenance of original decis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060818

Effective date: 200709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