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91151A - 시트 서스펜션 - Google Patents

시트 서스펜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91151A
KR20040091151A KR10-2004-7014905A KR20047014905A KR20040091151A KR 20040091151 A KR20040091151 A KR 20040091151A KR 20047014905 A KR20047014905 A KR 20047014905A KR 20040091151 A KR20040091151 A KR 2004009115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spension
seat
transmission link
vehicle seat
pivot p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70149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라이안 데릭 잔스차
케빈 얼 힐
딘 다비스-트롤러
브래들레이 에스. 보이엘스
존 쿠차르스키
Original Assignee
밀스코 매뉴팩처링, 어 유니트 오브 제이슨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밀스코 매뉴팩처링, 어 유니트 오브 제이슨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밀스코 매뉴팩처링, 어 유니트 오브 제이슨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0400911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91151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50Seat suspension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50Seat suspension devices
    • B60N2/502Seat suspension devices attached to the base of the sea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50Seat suspension devices
    • B60N2/503Seat suspension devices attached to the backres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50Seat suspension devices
    • B60N2/504Seat suspension devices attached to the base and the backres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50Seat suspension devices
    • B60N2/505Adjustable suspension including height adjust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50Seat suspension devices
    • B60N2/506Seat guided by ro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50Seat suspension devices
    • B60N2/506Seat guided by rods
    • B60N2/508Scissors-like struct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50Seat suspension devices
    • B60N2/509Seat guided by slides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50Seat suspension devices
    • B60N2/54Seat suspension devices using mechanical springs
    • B60N2/544Compression or tension spr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어떠한 점유자에 대해서도 동일한 유효 진동을 제공하기 위해 시트 점유자의 현가된 중량에 비례하여, 서스펜션의 예비하중, 탄성율 및 감쇄율을 변화시키는 시트용 서스펜션을 제공한다. 상기 서스펜션은 제1스프링과 결합되는 작동기구와, 제2스프링과 결합되는 피봇형 전송링크와, 상기 전송링크와 대향하는 시트에 각각 고정가능하게 부착되는 비조정식 비율 감쇄기를 포함한다. 상기 전송링크는 전송링크에 대해 전송링크용 피봇핀의 위치를 조정하도록 작동되는 중량 조정기구와 결합되므로, 서스펜션의 예비하중, 탄성율 및 감쇄율은 시트의 그 어떠한 점유자에 대해서도 유사한 탑승 동력학을 제공하도록 시트 점유자의 중량에 비례하여 조정된다.

Description

시트 서스펜션{SEAT SUSPENSION}
한대의 기계를 효과적으로 제어하는 작업자를 위하여, 작업자에게 기계와의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시트는 연장된 시간주기에 대해서도 작업자를 안락하게 지지할 수 있어야만 한다. 작업자에게 안락한 지지감을 제공하기 위하여, 수십년동안 수많은 시트 서스펜션 디자인이 개발되어 왔다. 이러한 디자인의 대부분에 있어서, 시트 서스펜션은 저항량이나 지지량을 갖도록 구성되었으며, 시트의 수직위치는 다양한 서스펜션 기구나 또는 시트내에 배치된 시스템을 사용하여 작업자의 중량을 수용하도록 조정된다. 이러한 기구들은 전형적으로 시트특성을 조정하여 특정 작업자에 대해 시트를 안락하게 위치시키도록, 스프링, 감쇄기, 링크 또는 기타 다른 장치를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현재 구성되어 있는 대부분의 시트는 안락감, 특히 특정 작업자군에대한 시트의 진동감쇄를 희생시키지 않는 방식으로, 광범위한 작업자에게 제공된 지지량을 조정할 수 없다. 상기 탄성율은 일반적으로 가벼운 작업자를 수용할 수 있도록 낮아야만 하며, 감쇄율은 무거운 작업자의 단부 정지충격을 한정할 수 있도록 충분히 높아야 한다. 일반적으로 저가의 시트 서스펜션에서는 이러한 속성들을 조정할 수 없으며, 질량 조정범위에 대해서는 진동절연과 타협하게 된다. 조정불가능한 탄성율 및 감쇄율 서스펜션은 IS0 7096 등과 같은 시트 진동검사 기준을 통과하기가 어렵다. 가벼운 작업자를 수용하기 위하여, 상기 탄성율 및 감쇄율은 일반적으로 낮다. 낮은 감쇄율은 서스펜션 단부 정지충격을 유발시켜, 설계자로 하여금 가벼운 작업자의 진동절연을 희생시켜 감쇄를 증가시키거나, 또는 SIP( 시트 인덱스 포인트) 높이를 희생시켜 서스펜션 행정을 증가시키게 한다.
그 결과, 경량의 점유자용 시트와 중량의 점유자용 시트에서 필요로 하는 탑승안락감을 달성하기 위하여, 서스펜션의 동작이 조정가능한 차량용 서스펜션을 개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에 참조인용된 미국특허 제5.261.724 및 제5.490.657호에 개시된 실시예처럼, 조정가능한 수많은 서스펜션이 개발되었다. 이러한 특허와 기타 유사하게 설계된 조정가능한 서스펜션에서는 점유자의 중량에 따라 스프링과 서스펜션이 시트 이동에 대해 많거나 적은 저항을 제공하도록, 서스펜션에 사용된 예비하중이 조정될 수 있다. 특히, 이러한 형태의 시트 서스펜션은 스프링에 연결되고 시트상의 피봇핀 주위에 고정된 피봇판을 포함한다. 서스펜션에서 스프링 예비하중에 대해 이루어진 조정은 스프링이 피봇부로부터 작용하는 거리를 변화시키므로써 달성된다. 따라서, 조정과정은 서스펜션 예비하중을 증가시키기 위해 스프링을 피봇부로부터 멀리 재위치시키거나 또는 예비하중을 감소시키기 위하여 피봇부에 더욱 가깝게 재위치시키는 피봇판 이동단계를 포함한다.
왈스에 허여된 미국특허 제6.186.467호도 본 발명에 참조되었다. 이러한 특허에 있어서, 시트 서스펜션의 예비하중은 한쌍의 스프링의 각각의 한쪽 단부가 연결되도록 슬라이드의 위치를 조정하므로써 변화된다. 슬라이드의 이동은 스프링 길이를 증가시키거나 감소시키므로써, 필요에 따라 서스펜션을 위한 예비하중이 특정 점유자에 대해 조정될 수 있다.
이러한 서스펜션은 시트에 의해 제공된 지지를 경량인 점유자 및 중량인 점유자에 대해 조정할 수 있으며, 이러한 서스펜션의 구조는 여러가지 단점을 내포하고 있다. 먼저, 이러한 서스펜션은 의자에 앉아 있는 그 어떤 무게의 점유자에 대해 서스펜션으로부터 동일하게 효과적인 저항을 제공하기 위하여, 서스펜션 질량에 비례하여 서스펜션의 탄성율 및 감쇄율을 변화시키지 않는다. 그 결과, 이러한 개량된 종래 서스펜션은 저중량 시트 점유자 전송능 곡선과는 매우 상이한, 고중량 시트 점유자 전송능 곡선을 갖는다. 이것은 중량 조정중 무거운 작업자가 가벼운 작업자에 비해 절연면에서 장점을 갖기 때문에, 전송능 곡선 사이의 편차가 필요로 하는 서스펜션의 조정에 보다 많은 노력이 요구하게 되므로 바람직스럽지 않다. 서스펜션의 진동 응답을 개선하기 위하여 에너지를 받는다고 가정하면, 그리고 서스펜션은 모든 중량 설정값을 통과할 수 있기 때문에, 부가의 노력을 물거품이 되게 하므로 최소화되어야 한다.
점유자의 중량에 관계없이 동일한 시트 서스펜션을 위한 전송능과 탑승 동력학을 갖기 위하여, 시트 서스펜션의 감쇄율, 탄성율, 스프링 예비하중은 서로에 대해 조정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점유자의 현가된 또는 명백한 중량에 대해 감쇄율과 탄성율 및 서스펜션 예비하중을 비례적으로 변화시키므로써 달성될 수 있는 시트 점유자를 지지하기 위해, 동일한 탑승효과를 제공할 수 있는 시트 서스펜션을 개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은 탄성율과 감쇄율을 명확한 작업자 중량변화에 비례하여 변화시키므로써, 각각의 명확한 작업자 중량의 서스펜션에 대한 전송능 곡선이 일치될 수 있기 때문이다. 탄성율과 감쇄율의 조화는 서스펜션에 대한 중량설정을 변화하는데 필요한 작업을 최소화해야 한다.
시트 서스펜션을 조정할 수 있는 이러한 종래기술의 또 다른 단점은 서스펜션이 시트 아래에 배치되는 시트형상에 있어서, 시트 전체의 높이와 시트 인덱스 포인트(SIP)는 다양한 적용을 위하여 상당히 높다는 점이다. 상기 SIP는 착석하고 있는 점유자의 힙피봇(hip pivot)의 위치를 나타내는, 본 기술분야에 널리 공지된 표준 측정장치를 사용하여 측정된다. 이것은 페달, 조향 제어부 등과 같은 차량내 다른 구조물의 위치에 대한 기준점으로 작용하는 공간상의 한점으로서, 인체공학적 원리를 차량 내부의 설계에 적용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만일 SIP 위치가 점유자를 차량 제어부에 너무 가깝게 위치시킨다면, 점유자는 제어부를 타격하여 제어부를 파손시키고 점유자를 손상시키며 및/또는 차량에 제어불가능한 방식으로 차량을 부주의하게 이동시키지 않고서는, 시트에 들어갈 수 없을 것이다.
또한, 종래기술의 서스펜션은 서스펜션의 예비하중과 광범위한 점유자 중량에 대해 적절한 양을 조정하기 위해 충분한 스프링 변형을 필요로 하는 탄성율이 낮은 스프링을 사용하였다. 이와 같이 긴 스프링 변형은 시트 아래에서 상당한 공간을 필요로 하며, 이에 따라 서스펜션과 상기 서스펜션에 사용된 시트의 크기를 증가시킨다.
스프링 예비하중을 직접적으로 증가시켜 작업자 중량을 수용하기 위하여 서스펜션 예비하중을 조정하는 수많은 시트 서스펜션의 또 다른 단점은 이러한 조정에 노력이 필요하다는 점이다. 상기 조정은 스프링 예비하중이 증가됨에 따라 인가될 토오크도 증가될 것을 요구하는, 수동제어형 노브의 다수 회전을 자주 요구하게 된다. 따라서, 작업자가 조정범위를 통해 충분히 낮은 일정한 힘을 부여할 것을 요구하는 작업자 중량 조정기구를 개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메일러 등에 허여된 특허에 개시되어 있는 시트 등과 같이, 서스펜션 시스템이 시트의 등받이내에 배치되는 시트 형태에 있어서, 너무 높은 SIP를 갖는 문제점이 명확히 제공되지 않는다는 점이다. 그러나, 이러한 형태는 적재용 트럭처럼 연료 저장탱크가 시트 아래에 배치되는 차량에 사용될 수 있는 시트에 대해, 등받이가 전방으로 절첩되거나 경사질 수 있는 능력이 심각하게 제한을 받게 된다는 또 다른 결점을 갖고 있다. 또한, 등받이의 깊이는 시트 서스펜션 조립체의 사용가능한 선미/후미 조정범위를 제한할 수 있다.
따라서, 특정차량의 시트에 대해 필요에 따라 원하는 운동형태 및 운동범위를 제공하도록 시트아래에 배치되거나 등받이에 배치될 수 있는 시트 서스펜션을 개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서스펜션은 서스펜션의 포장용 덮개를 상당히감소시키고 서스펜션 예비하중의 조정에 필요한 노력을 감소시키기 위하여, 서스펜션에서 스프링을 위한 상당히 짧은 변형길이를 필요로 한다. 이러한 감소는 서스펜션의 시트 하방배치를 허용하게 되므로, 시트는 상당히 낮은 SIP로 배치되고, 등받이는 완전히 경사질 수 있으며, 전방 및 후방으로 이동가능하고, 시트에 대해 절첩될 수 있는 특징을 갖는다.
본 발명은 2002년 3월 22일자 출원된 미국 가명세서 제60/366,965호의 장점을 청구한다.
본 발명은 시트를 위한 서스펜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시트 점유자의 중량에 비례하여 서스펜션의 예비하중, 탄성율, 및 감쇄율을 변화시키는 시트 서스펜션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라 구성된 시트 서스펜션이 장착된 차량 시트의 사시도.
도 2는 서스펜션의 제1실시예의 사시도.
도 3은 연장된 위치에서 도 1의 서스펜션에 연결된 서스펜션 베이스와 시트 프레임의 측면도.
도 4는 접혀진 위치에서 도 1의 서스펜션과 서스펜션 베이스와 시트 프레임의 측면도.
도 5는 도 1의 서스펜션으로부터 분리된 시트 프레임의 부분측단면도.
도 6은 도 1의 서스펜션과 부분적으로 결합된 시트 프레임의 부분측단면도.
도 7은 도 1의 서스펜션과 결합된 시트 프레임의 부분측단면도.
도 8은 도 1의 서스펜션과 서스펜션 베이스의 사시도.
도 9는 도 1의 서스펜션과 서스펜션 베이스의 평면도.
도 10은 도 9의 서스펜션의 부분사시도.
도 11은 도 9의 시트 서스펜션의 중량 조정기구의 부분사시도.
도 12는 고중량 점유자 위치의 중량 조정기구를 갖는 도 9의 시트 서스펜션의 부분평면도.
도 13은 저중량 점유자 위치의 중량 조정기구를 갖는 도 9의 시트 서스펜션의 부분평면도.
도 14는 본 발명의 시트 서스펜션의 제2실시예를 포함하는 시트의 사시도.
도 15는 본 발명의 시트 서스펜션의 제2실시예의 사시도.
도 16은 고중량 점유자 위치에서 도 15의 서스펜션의 평면도.
도 17은 변형된 위치에서 도 16의 서스펜션의 평면도.
도 18은 저중량 점유자 위치에서 도 15의 서스펜션의 평면도.
도 19는 변형된 위치에서 도 18의 서스펜션의 평면도.
도 20은 도 19의 선20-20을 따른 단면도.
도 21은 도 16의 선21-21을 따른 부분단면도.
도 22는 도 15의 선22-22를 따른 부분단면도.
도 23은 도 15의 선23-23을 따른 부분단면도.
도 24는 시트 프레임에 고정된 도 15의 선24-24를 따른 부분단면도.
도 25는 수직으로 이동가능한 시트에 고정된 본 발명의 시트 서스펜션의 사시도.
도 26은 도 25의 시트 및 시트 서스펜션의 개략적인 측면도.
도 27은 시트의 등받이에 위치된 본 발명의 시트 서스펜션의 개략적인 사시도.
도 28은 도 27의 등받이 장착 서스펜션의 제1실시예의 개략적인 측면도.
도 29는 도 27의 등받이 장착 서스펜션의 제2실시예의 개략적인 측면도.
본 발명은 특정 점유자의 중량에 관계없이 장치의 진동으로부터 동일한 절연효과를 제공하기 위하여, 현가된 질량에 기초하여 서스펜션의 탄성율과 감쇄율 및 서스펜션 예비하중을 비례적으로 조정하는데 소요되는 노력을 최소화시키는 차량시트용 서스펜션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시트 서스펜션은 전형적으로 오프로드용으로 설계된 기타 다른 차량과 마찬가지로, 지게차 또는 적재용 트럭, 스키드 스티어(skid steer), 농업용 트랙터, 굴착기, 기타 다른 구조물에 사용하기에 매우 적합하다. 상기 서스펜션은 시트에 대해 낮은 SIP를 유지하기 위하여 상당히 짧은 서스펜션 행정을 필요로 하는 차량에 특히 이상적이다. 또한, 서스펜션은 시트에 대해 필요로 하는 운동범위와 운동형태를 제공하기 위해 시트아래 또는 등받이내에 배치될 수 있다.
점유자가 서스펜션 예비하중을 변화시킬 수 있게 하므로써, 본 발명의 서스펜션과 탄성율과 감쇄율은 조정노력을 경감시키면서, 탑승 동력학을 손상시키지 않고서도, 상술한 형태의 시트에 대해 표준화된 검사기준에 부응할 수 있다. 특히, 이러한 시트 서스펜션의 구성에 의해, 무거운 시트 점유자와 가벼운 시트 점유자의탑승 동력학이 매우 일정하며, 다른 하나의 이익을 위해 나머지 하나를 손상시키지 않는다. 이것은 다른 어떤 것보다 점유자와 시트 중량과 이러한 시트의 부착물을 포함하는 서스펜션상에 작용하는 명확한 또는 현가된 중량에 비례하여, 서스펜션에 대한 탄성율과 감쇄율과 서스펜션 예비하중을 변화시키므로써 달성될 수 있다. 특히, 60kg에 대한 서스펜션 감쇄율과 탄성율은 120kg에 대한 서스펜션 감쇄율과 탄성율을 절반으로 낮출 것이다. 다른 방식으로 서술하면, 120kg에 대한 서스펜션의 탄성율은 60kg이 서스펜션에 의해 지지될 때 서스펜션 탄성율의 2배가 된다. 이것은 감쇄율에 대해서도 마찬가지이며, 120kg의 감쇄율은 60kg 감쇄율의 2배가 될 것이다. 또한, 서스펜션 예비하중은 현가된 질량과 일치하여 조정된다.
본 발명의 주요한 특징에 따르면, 스프링 예비하중과 탄성율과 감쇄율에서의 비례조정을 달성하는데 주요한 사항은 스프링의 서스펜션과 전송링크의 배치와, 전송링크와 지면 사이에서의 감쇄기 부착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서스펜션 시스템에 있어서, 지면은 고정된 또는 이동불가능한 시트부분 등과 같은 서스펜션 또는 시트의 고정부분 즉, 시트 프레임이나 후방 프레임 또는 서스펜션 베이스 등으로 구성된다. 제1스프링은 벨크랭크(bellcrank) 등과 같은 작동기구와 지면 사이에 연결되어, 작동기구의 운동에 예비하중을 제공한다. 상기 작동기구는 점유자가 앉을 쿠션과 시트 프레임에 의해 결합된다. 상기 시트 프레임은 상부에 지지되며, 한쌍의 가위 아암(scissor arm) 등과 같은 적절한 링크에 의해 서스펜션에 작동가능하게 연결된다. 상기 작동기구는 전송링크에 연결된 제2스프링으로부터 작동기구의 운동에 가변적인 부가저항량을 공급하도록 작동되는 피봇 전송링크에도 연결된다.
서스펜션에 있어서, 상기 전송링크는 관련의 중량 조정기구를 사용하여 중량 조정위치를 선택하는 각각의 시트 점유자에 의해 위치될 수 있는 가동 피봇조인트 또는 주 전송링크를 포함한다. 전송링크 피봇점은 이동가능하며 이에 따라 제2스프링의 기계적 장점을 변화시키기 때문에, 작동기구에 부여된 서스펜션 예비하중은 증가되거나 감소될 수 있다.
또한, 서스펜션 탄성율은 작동기구의 연결부와 대향하는 제2스프링의 연결부로 인하여 조정된다. 전송링크상에서의 피봇점 운동은 스프링과 피봇점 사이에 존재하는 모멘트아암을 길게 하거나 짧아지게 하여, 제2스프링에 의해 제공된 전송링크와 작동기구의 운동에 저항량을 변화시킨다. 따라서, 전송링크에 대한 피봇점의 운동은 점유자가 피봇점을, 두 스프링에 의해 제공된 서스펜션의 탄성율이 명확한 점유자 중량에 비례하여 변화되는 위치에 효과적으로 위치시킬 수 있게 한다.
또한, 이동가능한 전송링크 피봇점은 조정가능한 감쇄기를 사용하여, 유효 시스템 감쇄율이 점유자 중량에 비례하여 변화될 수 있게 한다. 이것은, 서스펜션이 작동중일 때 감쇄기가 긴 거리로 또는 짧은 거리로 연장될 수 있는 위치로 감쇄기를 이동시키는 전송링크의 피봇점의 위치를 이동시킨 결과에 의해, 감쇄기에 의해 제공된 기계적 장점이 조정된다는 사실에 의한 것이다. 따라서 감쇄기 로드의 속도는, 감쇄기 로드 속도 및 유효 감쇄계수가 감소되는 저중량 위치 보다 고중량 조정위치에서 빨라지게 되어 유효 감쇄계수를 증가시킨다. 그 결과, 서스펜션은 간단하고 저렴하며 양호한 신뢰성의 고정율 감쇄기를 사용하여 달성되는 비례조정된 감쇄율을 갖는다.
전송링크의 피봇점을 이동시키고 서스펜션에 대한 감쇄율과 탄성율 및 스프링 예비하중을 조정하기 위하여, 서스펜션은 중량 조정기구의 일부를 형성하는 중량 조정아암을 포함한다. 상기 중량 조정아암은 전송링크에 대해 이동가능하며, 전송링크가 피봇되는 피봇 조인트를 이송한다. 특히, 이동가능한 피봇핀은 중량 조정아암에 부착되어, 중량 조정아암과 함께 이동하며, 전송링크에 견딜 수 있다. 전송링크에 대해 피봇핀이 견디는 지점은 서스펜션 시스템의 작동중 전송링크가 이동하는 피봇점의 위치이다. 전송링크에 대해 피봇점을 이동하기 위하여, 중량 조정아암은 서스펜션의 베이스나 지면에 고정되어 있으며 이동가능한 전송링크 피봇핀과는 이격된 정지형 피봇부에서 피봇된다. 고정된 피봇핀 주위로 중량 조정아암이 이동하기 때문에, 상기 이동가능한 피봇핀은 전송링크를 따라 이동한다.
상기 이동가능한 피봇핀 또는 주 전송링크 피봇부는 중량 조정아암에 고정되며, 피봇핀이 전송링크에 대해 이동할 때 및 서스펜션 시스템의 조정중 전송링크의 엣지를 올라타는 베어링을 이송한다. 상기 베어링은 이동가능한 링크 피봇핀과 접촉하는 전송링크의 표면과 이동가능한 피봇핀의 마모를 최소화하며, 상기 피봇핀이 전송링크를 따라 부드럽게 이동될 수 있게 한다. 또한, 이동가능한 피봇핀에 의해 결합되는 전송링크의 표면은 그 표면형태가 피봇핀을 위한 아치형 통로와 상보적이도록 굴곡진다. 따라서, 이동가능한 피봇핀이 조정기구를 사용하여 이동될 때, 중량 조정아암의 회전운동은 전송링크 표면을 따라 피봇핀을 이동시키므로, 서스펜션의 전체 운동범위의 상부 1/3에서 중량 조정기구의 운동에 저항이 거의 없게 된다.
상기 전송링크는 작동기구의 상향정지 한정동작에 의해 또한 서스펜션 베이스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되는 포스트처럼, 한쪽 단부가 전송링크에 부착되고 다른쪽 단부가 지면에 부착된 제2스프링에 의해, 이동가능한 피봇핀과 접촉하도록 가압되거나 이에 대해 가압된다. 그 결과, 시트 프레임에 안착되는 점유자에 의해 작동기구가 결합될 때, 상기 전송링크는 이동가능한 피봇핀 주위로 피봇될 때 서스펜션의 작동시 레버아암처럼 많이 이동한다.
서스펜션의 형태에 따라, 상기 전송링크는 이동가능한 피봇핀에 의해 결합된 전송링크 표면을 따라 일반적으로 측방향으로 하나의 부가적인 이동자유도를 갖는다. 이러한 방향으로의 전송링크 이동을 방지하거나 억제하기 위하여, 상기 전송링크는 슬라이드핀을 포함하는데; 이러한 슬라이드핀은 전송링크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되며, 이동가능한 피봇핀 주위로 회전할 때 슬라이드핀 및 전송링크를 안내하는 서스펜션 베이스나 지면에 형성된 굴곡된 슬롯내에 수용된다. 특히, 전송링크의 회전 경로와 일치하도록 형성된 서스펜션 베이스의 굴곡된 슬롯은 서스펜션이 작동될 때 전송링크에 순수한 아치형 운동을 제공하도록, 전송링크에 대해 이동가능한 피봇핀의 그 어떤 위치라도 수용할 것이다. 또한, 슬라이드핀의 부드러운 아치형 운동을 제공하기 위하여, 상기 슬라이드핀은 슬롯에 수용된 베어링을 이송하며, 상기 베어링은 슬라이드핀 및 슬롯에 윤활성과 마모저항성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중량 조정기구는 특정의 상이한 중량을 갖는 점유자에 대응하는 다수의 분리된 위치에서, 점유자가 서스펜션을 설정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조정기구가 설정된 중량을 나타내기 위하여, 상기 서스펜션은현재 서스펜션이 형성되어 있는 점유자의 적절한 중량을 확인하는 표시기를 선택적으로 포함할 수도 있으므로, 점유자는 기구를 적절한 서스펜션 설정값으로 용이하게 조정할 수 있다. 또한, 조정기구의 디자인은 심지어 안착되어 있는 점유자에 대해서도 기구가 용이하게 작동되는 바람직한 결과를 가지며, 분리된 위치 사이에서 중량 조정기구를 이동시키는데 필요한 힘은 매우 적다. 이러한 낮은 에너지 중량 조정기구는 스프링을 상당히 변위시키거나 신장시키지 않고서도, 제2스프링의 기계적 장점을 변화시키므로써 달성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시트 프레임은 시트 프레임을 횡단하여 연장되는 횡단비임의 대향 단부를 수용하여 이와 결합되는, 쌍으로 이루어진 대향 피봇축을 포함하도록 형성된다. 상기 횡단비임은 아치형의 단면을 가지며, 한쪽 엣지를 따라 외측으로 연장되는, 통상적으로 직선형인 립을 포함한다. 상기 직선형 립은 서스펜션을 효과적으로 작동시키기 위하여 작동기구가 견디는 랜드를 형성한다. 상기 피봇축은 피봇핀과 횡단비임 사이에 그 어떤 고정구나 연결부를 사용하지 않고서도 횡단비임에 지지될 수 있다. 특히, 상기 축은 시트 프레임과 결합가능한 서스펜션 시스템의 대향측에 배치된 리테이너에 의해 횡단비임상에 지지된다. 고정구를 사용하지 않고 프레임과 축을 횡단비임과 결합시키므로써, 서스펜션의 조립에 요구되는 시간이 상당히 감소된다.
본 발명의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시트 점유자의 명확한 중량에 따라 예비하중과 탄성율과 감쇄율을 비례적으로 변화시키고, 점유자의 중량에 기초하여 서스펜션의 작동제어에 사용되는 중량 조정기구의 작동용이성을 포함하며, 이동가능한피봇점을 갖는 서스펜션을 위한 부드럽게 작동가능한 전송탱크를 포함하며, 시트 프레임과 서스펜션 사이에 고정구나 기타 다른 연결부를 필요로 하지 않는 서스펜션과 시트 프레임 사이의 연결부를 포함하며, 시트의 전체 높이를 감소시키는 컴팩트한 구조를 가지며, 강하고 단단하며 조립이 용이하고 내구성을 가지며 디자인이 간결하고 사용 및 작동이 용이한 컴팩트한 경제적 구조를 갖는 서스펜션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한 하기의 상세한 설명에 의해 보다 명확하게 이해될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 전에,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것이나 그에 따른 부품의 배치나 구성의 상세한 설명에 한정되지 않음을 인식해야 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방법으로 다른 실시예에도 적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서술된 용어는 단지 설명을 위한 예시적인 것이며, 이에 한정되지 않음을 인식해야 한다.
도 1 및 도 14는 시트 쿠션(54)과 등받이(55)와 서스펜션 베이스(68)를 지지하는 프레임(52)을 포함한다. 상기 시트(50)는 한쌍의 팔걸이(56)와 시트벨트기구(57)(도 14에 도시)를 포함하는 버킷형 시트로 도시되었지만, 상기 시트(50)는 장치나 기계에 사용되는 시트를 위해서는 그 어떤 형태라도 취할 수 있다. 상기 프레임(52)은 도 2에 상세히 도시된 바와 같이 시트 프레임(70)과 등받이 프레임(72) 사이로 연장되어 시트 프레임에 연결되며 한쌍의 덮개판(60)으로 덮이는 피봇기구(59)를 제어하는데 사용되는 제1핸들(58)을 포함한다. 서스펜션 베이스(68)는 본 기술분야에 공지된 바와 같이 시트(50)가 배치된 차량에 대해 시트(50)를 전후로 이동시킬 수 있게 하는 위치 조정기구(도시않음)의 작동에 사용되는 제2핸들(62)을 포함한다. 또한, 서스펜션 베이스(68)는 하기에 상세히 서술되는 바와 같이 서스펜션 베이스(68)의 내부에 배치된 중량 조정기구(214)를 조정하는데 사용되는 제3핸들(64)을 포함한다.
도 2에는 시트(50)의 내부가 상세히 도시되어 있다. 상기 시트(50)는 시트(50)의 프레임(52)을 위한 바닥을 형성하며 저탄소강 등의 금속으로 제조되고 1mm 내지 5mm, 양호하기로는 3mm의 두께를 갖는 서스펜션 베이스(68)에 고정된 시트 서스펜션(66)을 포함한다. 상기 서스펜션(66)은 시트 쿠션(54)이 부착된 단단한 구조체를 제공하는 서스펜션 베이스(68)에 대향하여 시트 프레임(70)에 연결된다. 한쌍의 브래킷(71)은 시트 프레임(70)의 한쪽 단부의 대향측에 고정되며, 각각의 브래킷(71)에 피봇가능하게 고정된 등받이 프레임(72)의 대향측에 배치된다. 상기 브래킷 프레임(72)은 상단부(74)와, 상기 각각의 상단부측에서 하방으로 연장되는 쌍으로 이루어진 아암(76)을 포함한다. 상기 아암(76)은 브레이스(78)에 의해 연결되며, 각각의 아암(76)은 상단부(74)와 대향하는 바아(80)에도 연결된다. 상기 바아(80)는 도 2에 도시된 직립위치와 절첩위치(도시않음) 사이에서 피봇되도록 브래킷(71) 사이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된다. 상기 바아(80)는 피봇기구(59)에도 연결되며, 상기 피봇기구는 양호한 실시예에서 바아(80)의 한쪽 단부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어 로킹부재(84)와 결합되는 로킹판(82)을 포함하며, 상기 로킹판은 인접한 브래킷(71)상에 배치된 한쌍의 스테이(85) 사이에 회전가능하게 배치된다. 상기 로킹부재(84)의 한쪽 단부는 로킹부재(84)를 통해 스테이(84) 사이로 연장되는 로드(86)에 연결되고, 다른쪽 단부는 제1핸들(58)에 연결된다. 따라서, 브래킷(71) 및 스테이(85)에 대해 제1핸들(58)을 회전시키므로써, 로킹부재(84)는로킹판(82)과의 결합이 해제되어 회전할 수 있게 되며, 이에 의해 바아(80)와 브래킷(72)이 브래킷(71) 및 시트 프레임(70)에 대해 회전하게 된다. 또한, 로킹판(82)과 대향하여, 상기 바아(80)는 바아(80) 주위에 배치되고 상기 바아(80) 및 인접의 브래킷(71)과 결합되는 인장 스프링(88)을 지지한다. 상기 로킹부재(84)가 제1핸들(58)에 의해 로킹판(82)과 분리되었을 때, 상기 인장 스프링(88)이 작동하여 등받이 프레임(72)을 시트 프레임(70)을 향해 하방으로 편의시켜 절첩위치로 되게 한다.
도 2 내지 도 4에 있어서, 시트 프레임(70)은 일반적으로 사각형 형상을 취하며; 전방부재(90)와, 상기 전방부재(90)의 대향 단부에 연결된 한쌍의 측부부재(92)를 포함한다. 각각의 측부부재(92)는 일반적으로 U형 채널로 형성되며, 각각의 측부부재(92)의 개방 단부(94)는 시트 프레임(70)을 횡단하여 서로 대면하고 있다. 측부부재(92)를 특정거리로 상호이격된 상태로 지지하기 위하여, 전방부재(90)와 대향하여, 각각의 브래킷(71)이 연결된 측부부재(92)는 바아(80) 및 등받이 프레임(72)에 의해, 또한 각각의 브래킷(71) 사이로 연장되는 위치 조정로드(96)에 의해 상호연결된다.
시트 프레임(70)은 도 3의 연장된 위치와, 도 4의 완전 절첩위치로 도시되어 있는 서스펜션(66)에 의해 서스펜션 베이스(68)에 연결된다. 상기 서스펜션(66)은 시트 구성에 사용된 종래의 링크를 사용하여 서스펜션 베이스(68)를 시트 프레임(70)에 연결할 수 있지만, 서스펜션 베이스(68)의 대향측에 배치된 대향하는 쌍으로 이루어진 가위 링크(100)를 포함하는 가위 링크조립체(98)를 이용하는 것이바람직하다. 각각의 가위 링크(100)는 각각의 내측 아암(102) 및 외측 아암(104)의 중간지점에 배치된 고정구(105)에 의해 서로 피봇가능하게 연결되는 단단한 내측 아암(1402) 및 단단한 외측 아암(104)을 포함한다.
각각의 내측 아암(102)은 서스펜션 베이스(68)에 피봇가능하게 연결된 제1단부(106)와, 상기 제1단부(106)의 평면으로부터 내외측으로 연장되도록 배치된 굴곡부(107)와, 전방부재(90)에 인접하여 각각의 측부부재(92)의 개방 단부(94)내에서 결합가능한 제2단부(108)를 포함한다. 각각의 제1단부(106)는 제1단부(106) 및 서스펜션 베이스(68)의 정렬된 개구를 통해 연장되는 한쌍의 볼트(110)에 의해 서스펜션 베이스(68)에 피봇가능하게 연결된다. 상기 볼트(110)는 볼트(110)와 결합되는 너트(112)에 의해 고정되며, 상기 제1단부(106)는 각각의 내측 아암(102)의 굴곡부(107) 사이에 고정된 판(115)에 의해 서로 정렬된 상태로 유지된다.
내측 아암(102)의 각각의 제2단부(108)는 각각의 제2단부(108)에 인접하여 각각의 내측 아암(102)의 U형 오목부(118)내에 배치된 대향의 단부를 갖는 축(116)과 결합된다. 상기 축(116)의 각각의 단부는 저마찰 물질로 형성되며 각각의 측부부재(92)의 개방 단부의 직경 보다 약간 작은 직경을 갖는 한쌍의 롤러중 하나를 회전가능하게 지지한다. 시트 프레임(70)이 서스펜션(66)에 의해 서스펜션 베이스(68)를 향해 또는 서스펜션 베이스로부터 이동될 때, 상기 롤러(120)가 측부부재(92)의 내부를 따라 전후방으로 이동하여 서스펜션 베이스(68)에 대해 내측 아암(102)을 회전시킬 수 있도록, 상기 롤러(120)는 측부부재(92)의 개방 단부(94)내에 배치된다.
각각의 외측 아암(104)은 제1단부(122)와 제2단부(124)를 포함한다. 각각의 제1단부(122)는 각각의 제1단부(122)에 배치된 개구(127)를 통해 연장되어 이에 고정되는 위치 조정로드(126)를 포함한다. 각각의 제1단부(122)를 통해 연장되는 상기 로드(126)의 일부는, 롤러(120)와 유사하게 형성되고 롤러(128)를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서스펜션 베이스(68)상에 위치된 채널(130)내에 배치되는 한쌍의 롤러(128)중 하나를 회전가능하게 지지한다. 상기 로드(126)는 각각의 롤러(128)를 지지하기 위해, 또한 각각의 제1단부(122)의 정렬을 보장하기 위해, 상기 제1단부(122) 사이로 연장된다. 제2단부(124)는 횡단비임(134)의 한쪽 단부를 수용하고 이와 결합되도록 연장되는 아치형 슬롯(132)을 각각 포함한다. 상기 횡단비임(134)은 일반적으로 아치형 단면을 가지며, 용접 등의 종래방식에 따라 외측 아암(104)의 각각의 제2단부(124)에 고정가능하게 연결되는 상부 립(136)과, 상기 외측 아암(104) 사이로 연장되는 하부 립(138)을 포함한다. 제1실시예에서, 아치형 슬롯(132)을 통해 연장되는 각각의 횡단 비임(134)은 도 3 내지 도 7에 상세히 도시된 바와 같이 축(142)을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리시버 컵(receiver cup)(140)을 형성한다. 상기 컵(140)에 대향하여, 각각의 축(142)은 각각의 축(142)이 한쌍의 시트 프레임(70)을 형성하도록 브래킷(71) 및 측부부재(92)에 고정가능하게 연결된다. 리시버 컵(140)내에서 축(142)의 결합은 프레임 레일(70)이 가압되었을 때 각각의 외측 아암(104)과 제2단부(124)가 축(142) 및 프레임 레일(70)에 대해 피봇되거나 이동할 수 있게 하므로써, 각각의 가위 링크(100)를 가압하게 된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상기 리시버 컵(140)은 도 5에 도시된 바와같이 외측 아암(104)이 시트 프레임(90)에 대해 제1위치로 각도를 이루면서 변위되었을 때, 축(142)과 결합되도록 조립될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방향으로 축(142) 주위에서 외측 아암(104)의 시계방향 회전은 컵(140)과 결합하여 컵을 축(142)과 U형 측부부재(94) 사이에서 전후 수직방향으로 지지한다.
도 22 및 도 23은 수직방향으로 축(142)의 조립을 허용하도록 지향된 리시버 컵(140)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서스펜션(66)상에 시트 프레임(70)을 지지하는 각각의 리시버 컵(140)의 내부로부터 축(142)의 분리를 방지하기 위하여, 횡단비임(134)의 상부 립(136)은 한쌍의 태브(44)를 포함하며, 상기 태브의 양단부에는 상부 립(136)이 고정되어 횡단비임(134)으로부터 외측으로 각각의 측부부재(912) 위로 돌출된다. 선택적으로 또는 태브(144)와 함께, 축(142)은 프레임 레일(70)의 이동중 브래킷(71)의 하부에서 서스펜션 베이스(68)의 대향측에 배치된 한쌍의 리테이너 조립체(146)에 의해 리시버 컵(140)내에 지지될 수 있다. 각각의 리테이너 조립체(146)는 원통형 정지부(148)를 포함하며, 이러한 정지부는 인접한 측부부재(92)를 향해 각각의 브래킷(71)에 고정되어 이로부터 내측으로 연장되는 시트벨트기구(57)를 위한 부착위치로서 작용한다. 케이블(150)은 정지부(148) 주위에서 둥글게 감기며, 한쌍의 대향하는 확장 로킹단부(152)를 포함한다. 로킹 단부(152)는 케이블(150)을 정지부(148) 주위에 지지하기 위하여 브래킷(71) 아래에서 서스펜션 베이스(68)에 배치된 한쌍의 정렬된 키이구멍 슬롯(154)내로 삽입될 수 있다. 따라서, 시트 서스펜션(66)이 완전히 신장된 위치에 있을 때, 케이블(150)의 확장된 단부는 키이구멍 슬롯(154)에 의해결합되어, 각각의 축(142)을 관련의 리시버 컵(140)내에 지지하므로써 정지부(148)와 시트 프레임(70)을 시트 서스펜션(66)상에 지지하게 된다. 또한, 시트 프레임(70)이 시트 서스펜션(66)의 편향력에 대항하여 가압될 때, 케이블(150)은 정지부(148)가 서스펜션 베이스(68)에 대해 하방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굴곡된다. 그러나, 정지부(148) 및 케이블(150)이 상향이동함에 따라, 시트 서스펜션(66)의 안전 특성이 제공된다면, 상기 확장된 단부(152)는 키이구멍 슬롯(154)으로부터 케이블(150)의 부주의한 분리를 방지하고 상기 정지부(148)를 케이블(150) 및 시트 팬(68)에 의해 형성된 루프내에 위치시킬 수 있는 적절한 기구에 의해, 키이구멍 슬롯(154)내에 지지된다.
프레임 레일(70)은 횡단비임(134)과 전방부재(90) 사이에서 각각의 측부부재(92) 사이에 연결되는 지지 브레이스(156)(도 2 내지 도 4 및 도 15)를 부가로 포함한다. 상기 지지 브레이스(156)는 각각의 측부부재(92)에 고정가능하게 부착되어, 시트 프레임(70)의 전체적인 강성 및 안정성을 개선할 뿐만 아니라, 시트 프레임(70)에 대한 시트 쿠션(54)의 여러 부착지점을 제공하는 기능을 실행한다.
도 8 내지 도 13에는 시트 서스펜션(66)의 부품들이 상세하게 도시되어 있다. 서스펜션(66)은 적절한 힘지향기구일 수도 있는 작동기구를 포함하지만, 제3핸들(64)에 대향하는 서스펜션 베이스(68)에 장착된 벨크랭크(158)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벨크랭크(158)는 시트 팬(68)에 고정된 한쌍의 지지체(160)와, 서스펜션 베이스(68)에 대향하는 지지체 사이로 연장되는 벨크랭크 피봇로드(162)를 포함한다. 상기 지지체(160)는 서스펜션 베이스(68)의 일부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으며, 또는 서스펜션 베이스(68)에 고정된 분리된 부재일 수도 있고, 또는 이들이 조합된 상태로 형성될 수도 있으며; 상기 지지체(160)는 벨크랭크(158)의 기능을 강화하기 위하여, 피봇로드(162)에 대향하는 지지체(160)에 고정된 한쌍의 브레이스(161)(도 15)와 서스펜션 베이스(68)상에 형성된다. 도 8 내지 도 10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상기 피봇로드(162)는 로드(162)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되어 그 사이에 벨크랭크 롤러(166)를 지지하는, 양호하기로는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한쌍의 롤러 지지체(164)에 고정가능하게 부착된다. 상기 롤러(166)는 자유롭게 회전하거나, 또는 롤러 지지체(164) 사이에 고정되며, 상기 롤러(166)가 횡단비임(134)의 하부 립(138)과 결합되도록 횡단비임(134) 바로 아래에 위치된다. 상기 롤러 지지체(164)는 지지체(164) 사이로 연장되고 상기 롤러(166) 및 피봇로드(162)로부터 이격된 견인로드(168)에 부착된다. 상기 견인로드(168)의 한쪽 단부는 견인로드(168)로부터 제3핸들(64)을 향해 수직으로 연장되는 제1스프링(170)에 연결된다. 상기 견인로드(168)에 대향하여, 제1스프링(170)은 서스펜션 베이스(68)로부터 상향으로 연장되는 포스트(172)에 고정된다. 상기 제1스프링(170)은 적절한 편의부재일 수 있지만, 스프링(170)이 견인로드(168) 및 포스트(172)에 각각 고정 및 부착될 수 있도록 스프링(170)의 대향 단부상에 한쌍의 후크(174, 176)를 포함하는 코일 스프링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후크(174, 176)는 높이가 낮은 서스펜션(66)을 형성하는데 도움을 주기 위하여, 스프링(170)의 각각의 단부상에 형성된다. 상기 견인로드(168)는 롤러 지지체(64) 사이에서 견인로드(168)와 결합되는 전송로드(178)의 한쪽 단부와도 결합된다.
도 15 내지 도 19에 도시된 벨크랭크(158)의 제2실시예에 있어서, 피봇 로드(162)는 지지체(160) 사이에서 연장되지만, 상기 로드(162)는 단일의 롤러 지지체(164) 대신에, 2쌍의 이격된 롤러 지지체 아암(165)과 상기 롤러 지지체 아암(165)의 쌍 사이에 배치된 한쌍의 견인아암(167)과 연결된다. 각각의 롤러 지지체 아암(165)은 그 사이에 롤러(166)를 지지하며, 이러한 롤러는 횡단비임(134)의 하부 립(138)과 결합되어 그 바로 아래에 배치된다. 상기 견인아암(167)은 지지아암(165)에 대해 각도를 이루면서, 양호하기로는 90°이하의 각도로 피봇로드(162)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되며, 한쪽 견인아암(167)은 제1스프링(170)상에서 후크(174)와 결합하며, 다른쪽 견인아암(167)은 전송로드(178)의 한쪽 단부와 결합된다. 상기 견인아암(167)은 서로에 대해 아암(167)과 후크(174)와 로드(178)의 이동용이성을 강화하고 이러한 부품들에 대한 마모를 감소시키기 위하여, 아암(167)과 후크(174)와 전송로드(178) 사이에 배치된 저마찰 베어링(169)을 포함한다.
실시예에 사용된 벨크랭크(158)와 관계없이, 상기 벨크랭크(158)는 서스펜션(66)에 대한 높이 요구사항에 부응하기 위해 필요에 따라 벨크랭크(158)의 크기를 형성할 수 있는 능력으로 인해 양호하게 사용된다. 이것은 본 발명의 시트 서스펜션(66)의 형태로 인해 시트의 SIP가 중간 탑승지점 또는 중간 서스펜션 이동부에서 차량 바닥 위로 약 250mm, 특히 양호하기로는 약 200mm 로 배치될 수 있기 때문이다. 양호한 실시예에서, 상기 벨크랭크(158)는 벨크랭크 롤러(166)로부터피봇로드(162)까지 약 2½인치의 크기와, 견인아암(167) 또는 견인로드(168)로부터 피봇로드(162)까지 약 2인치의 크기를 갖는다. 이러한 특정 구성에 의해, 서스펜션(66)은 60mm의 최대 서스펜션 행정을 가지며, 이러한 행정은 벨크랭크(158)와 전송아암(180)의 칫수를 변화시키므로써 40mm 내지 80mm의 범위내에서 변화될 수 있다.
벨크랭크(158)의 각각의 실시예에서, 전송 로드(178)는 견인아암(167) 또는 견인로드(168)로부터 서스펜션 베이스(68) 위로 연장되어, 견인아암(157) 또는 견인로드(168)와 대향하는 전송링크 또는 아암(180)과 결합된다. 상기 전송아암(180)은 제2단부(184) 근처에 배치되어 동일한 방식으로 작동되며; 제1단부(182)와, 제2단부(184)와, 신장된 노치(186)(도 9, 도 12, 도 13) 또는 슬롯(187)(도 16 내지 도 19)을 갖는 일반적으로 신장된 단단한 부재이다. 상기 전송아암(180)은 도 16에 상세히 도시된 바와 같이, 신장된 노치(186) 또는 슬롯(187)과 제1단부(182) 사이에 배치된 제1슬롯(188)과, 상기 제1슬롯(188)에 대향하는 신장된 슬롯(187)의 한쪽 단부로 형성될 수도 있는 제2단부(184)에 인접하여 배치된 제2슬롯(190)을 포함한다.
상기 전송아암(180)은 제1슬롯(188)과 신장된 슬롯(186) 사이에서 전송아암(180)의 개구(194)내에 고정된 단단한 미끄럼핀(1952)에 의해 서스펜션 베이스(68)에 이동가능하게 고정된다.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미끄럼핀(192)은 서스펜션 베이스(68)의 상승부(198)에 형성된 골곡된 트랙(196)내로 전송아암(180)으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된다. 상기 미끄럼핀(192)은,미끄럼핀(192)상에 배치되며 트랙(196)의 대향측과 결합된 외주 플랜지(201)를 포함하는 베어링(200)에 의해 트랙(196)내에 양호하게 결합된다. 상기 베어링(200)과 플랜지(201)는 전송아암(180)이 트랙(196)을 따라 이동하기 위해 미끄럼핀(192)이 트랙(196)에 대해 용이하게 미끄러질 수 있도록, 저마찰 물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트랙(196)은 서술한 바와 같은 이유로 인해 제1부분(202)의 곡률반경과는 상이한 곡률반경을 갖는 제1굴곡부(202) 및 제2굴곡부(203)가 구비된 아치형 형상을 취한다.
도 8, 도 9, 도 16 내지 도 19에 있어서, 전송아암(180)을 전송로드(178)에 적절히 연결하기 위하여, 견인로드(168)와 대향하는 전송로드(178)의 단부는 전송아암(180)과 결합되어 있는 전송로드(178)를 지지하도록, 전송아암(180)상에서 제1슬롯(188)을 통해 삽입되는 베어링(204)과 결합된다. 전송로드(178)와 결합되는 상기 베어링(204)은 로드(178)를 아암(180)과 정렬시키고 로드(178)를 아암(180)에 대해 회전시킬 뿐만 아니라, 제1슬롯(188)을 통해 삽입가능하고, 전송아암(180)으로부터 전송로드(178)의 분리를 방지하는 형상을 취한다.
전송로드(178)와 대향하여, 상기 제2슬롯(190)은 제2스프링(208)의 한쪽 단부상에 배치된 후크(206)와 결합한다. 상기 제2스프링(208)은 제1스프링(170)과 유사하게 형성될 수 있으며; 전송아암(180)에서 제2슬롯(190)으로부터 벨크랭크(158)를 향해 연장되며; 대향의 후크(206)에 배치된 다른 후크(210)와의 결합에 의해, 벨크랭크(158)에 인접하여 서스펜션 베이스(68)로부터 상향으로 연장되는 포스트(212)에 고정된다. 상기 후크(206, 210)는 서스펜션(66)의 높이감소에도움을 주기 위하여 제2스프링(208)상에 제공된다. 또한, 상기 제2스프링(208)은 서스펜션(66)의 전체 높이를 더욱 감소시키기 위하여 제1스프링(170)의 수준으로 배치된다.
상기 전송아암(180)은 전송아암(180)과 제3핸들(64) 사이로 연장되는 중량 조정기구(214)에 연결된다. 도 8, 도 9, 도 11 내지 도 13에 상세히 도시된 바와 같이, 중량 조정기구(214)의 제1실시예는 그 한쪽 단부에서는 서스펜션 베이스(68)에 배치되어 이로부터 상향으로 연장되는 피봇부(218)에, 대향 단부에서는 제3핸들(64)에 피봇가능하게 고정되는 핸들링크(216)가 구비된 중량 조정아암(215)을 포함한다. 상기 피봇부(218)는 판조립체(219)의 한쪽단부에 연결되며; 상기 판조립체는 중량 조정아암의 일부와, 핸들링크(216)의 한쪽에서 피봇부(218)에 배치된 상부 중량조정판을 포함한다. 상부판(220)은 피봇부(218)로부터 연장되며, 피봇부(218)와 대향하는 피봇핀 개구(224)를 포함한다. 판(220)에 형성된 개구(224)는 피봇핀(226)이 개구(224) 및 신장된 노치(186)를 통해 삽입될 수 있도록 전송링크(180)의 신장된 노치(186)와 정렬된다. 상기 피봇핀(226)은 신장된 노치(186)내에 핀(226)을 지지하여 서스펜션(66)이 작동될 때 상기 핀(226)이 전송링크(180)를 위한 피봇점으로 작용하도록, 기계적 고정방식, 접착이나 용접 등과 같은 종래의 방식에 의해 고정된다. 따라서, 피봇부(218) 주위로 회전가능한 링크(216) 및 판(220)에 의해 중량 조정아암(215)을 형성하는 핸들링크(216)에 상부판(220)이 고정되기 때문에, 서스펜션 베이스(68) 및 피봇부(218)에 대한 제3핸들의 운동은 신장된 노치(186)를 따라 피봇핀(226)을 이동시킨다. 또한, 상기핀(226)은 전송아암(180)의 대향측에서 상부판(220)과는 대향인 핀(226)에 고정되는 플랜지(222) 또는 기타 다른 적절한 고정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플랜지(222)는 핀(226)이 노치(186)와 정렬된 상태로 유지될 수 있도록, 플랜지(222)와 상부 아암(220) 사이에 전송아암(180) 및 노치(186)를 지지한다. 상기 플랜지(222)는 상부판(220)에 대향하는 링크(216) 아래에서 피봇부(218)에 장착되며, 핀(226)이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는 개구(도시않음)를 포함하는 하부판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양호한 실시예에서, 부재(227)의 개구(224)는 핀(226)을 정지상태로 지지하는 부재(227)에 핀(226)상의 토오크를 보다 효과적으로 전달하는 6각형 핀부분(229)을 수용하기 위하여 6각형으로 형성된다.
선택적으로 도 15 내지 도 19 및 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랜지(222)는 생략될 수도 있으며, 중량 조정아암(215)은 단단한 재료의 일체형 부재(227)로 형성되는 핸들링크(216)와 상부판(220)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핀(226)은 개구(224)와, 상기 개구(224) 주위에서 부재(227)상에 형성된 보스(225)를 통해 삽입된다. 상기 개구(224)는 슬롯(187)과 정렬된 상태로 배치되며; 용접 또는 슬롯(87)과 대향하는 보스(225)위의 핀(226)에 너트(228)를 고정하는 방식 등과 같이, 판(220) 및 플랜지(222)가 제공될 때 사용된 방식과 동일한 방식으로 고정된다.
두 실시예에 있어서, 베어링(200)과 유사하게 형성된 베어링(229)은 신장된 노치(186) 또는 슬롯(187)에 배치될 때 피봇핀(226)이 베어링(229)을 통해 삽입되어 핀(226)이 노치(186) 또는 슬롯(187)에 대해 보다 용이하게 미끄러질 수있도록, 신장된 노치(186) 또는 슬롯(187)내에 배치된다.
중량 조정기구(214)를 작동시키는 핸들(64)의 운동은 핸들(64)과 중량 조정아암(215)을 서스펜션 베이스(68)상의 위치에 배치하기 위해 위치조정 및 로킹기구(230)에 의해 제어되며, 상기 피봇핀(226)은 시트 프레임(70)의 운동에 대해 서스펜션(66)으로부터 필요로 하는 저항량을 제공하기 위해 노치(186) 또는 슬롯(187)내의 지점에 배치된다. 특히, 도 11 내지 도 13에 상세히 도시된 바와 같이 기구(230)의 제1실시예는 피봇부(218)와 대향하는 핸들링크(216)의 단부에 인접하여 서스펜션 베이스(68)에 배치되고 이로부터 상향으로 연장되는 굴곡된 판(231)을 포함한다. 상기 판(231)은 중앙에 신장된 수평채널(232)과, 상기 채널(232)의 대향측상에 배치되고 쌍으로 이루어진 다수의 대향 수직 오목부 또는 노치(233)를 포함한다. 로드(234)는 채널(232)을 통해 링크(216)에 고정되어 이로부터 연장되며, 제3핸들(64)과 결합된다. 핸들(64)을 로드(234)와 결합하기 위하여, 링크(216)에 대향하여, 로드(234)는 핸들(64)을 위해 베이스(235)의 개구를 통해 삽입된다. 상기 베이스(235)는 로드(234)가 삽입되는 베이스(235)와 대향하는 슬롯(도시않음)에 배치되는 코일 스프링(236)을 포함한다. 스프링(236)을 지나, 로드(234)는 베이스(235)와 대향하는 스프링(236)과 결합가능한 와셔(237)에 고정된다. 상기 스프링(236)을 제공하므로써, 판(231)상의 한쌍의 노치(233)로부터 로드(234)의 대향측상에서 베이스(235)에 배치된 한쌍의 정지부(238)와 분리되도록, 핸들(64)은 스프링(236)의 편의에 저항하여 골곡된 판(231)으로부터 외측으로 가압된다. 정지부(238)가 노치(233)로부터 후퇴한 후, 로드(234)와핸들(64)은 정지부(238) 사이에서 로드(234)의 대향측상에 베이스(235)에 배치된 한쌍의 안내부(239)에 의해 채널(232)을 따라 미끄러져 안내된다. 판(231)상에서 노치(233)의 각각의 쌍의 위치는 판(231)의 외측에 디스플레이될 수 있는 시트(50)의 점유자의 특정 중량에 비례하여 서스펜션(66)이 시트 프레임(70)에 지지체를 제공하는 위치에서 슬롯(186)내에 피봇핀(226)의 위치에 대응한다. 일단 필요로 하는 노치(233)의 쌍이 정지부(238)와 정렬되었다면, 핸들(64)이 해제되고, 스프링(236)은 판(231)을 향해 핸들(64)을 가압하여, 정지부(238)를 노치(233)에 결합시킨다.
상기 위치조정 및 로킹 기구(230)는 도 14 내지 도 19에 도시된 형태를 취할 수 있다. 기구(230)에 대한 제2실시예에서, 상기 기구(230)는 아암(215)을 형성하는 단일 부재(227)에 인접하여 서스펜션 베이스(68)상에 배치된 일반적으로 U형인 브래킷(332)을 포함한다. 상기 부재(227)는 상술한 바와 같이 피봇핀(226)이 삽입되어 너트(228)에 의해 고정되는 개구(224)를 포함하는 단일부재로 형성된다. 상기 부재(227)는 피봇핀(226)에 대향하는 피봇부(218)의 측부상에서 부재(227)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되는 신장된 로드(340)로 형성된 표시기(338)를 포함한다. 상기 표시기(338)의 위치는 표시기(338)의 위 또는 아래에서 서스펜션 베이스(68)상에 배치된 표시에 기초하여 서스펜션(66)이 설정된 중량을 점유자에게 알려준다.
피봇부(218)와 개구(224) 사이에서, 부재(227)는 원통형 너트(344)가 구비된 채널(도시않음)이 배치된 신장부(342)를 포함한다. 상기 너트(344)는 너트(344)와 브래킷(332) 사이에서 연장되는 잭스크류(348)의 나선형 단부(346)와 결합된다 상기 잭스크류(348)는 브래킷(332)의 개구(350)를 통해 나선형 단부(346)의 반대쪽으로 연장되며, 나선형 단부(346)와 대향하는 핸들(352)에 연결된다. 핸들(352)과 브래킷(332) 사이에 배치된 부유 베어링(354)은 잭스크류(348)를 브래킷(332)에 고정하지만, 잭스크류(348)가 회전하여 피봇부(218)상에 부재(227)를 피봇시키고 술롯(187)내에 피봇핀(226)의 위치를 조정할 때, 너트(344)와 함께 잭스크류(348)가 각도를 이루면서 및/또는 수직으로 이동할 수 있게 한다.
이러한 두 실시예에서는 기구(230)의 부품형상과 서스펜션(66)의 형상으로 인해 조정기구(230)의 핸들(64 또는 352)을 이동시키는데 매우 작은 힘이 소요된다. 특히, 스프링(208)의 길이를 상당히 증가시키거나 감소시키지 않고 피봇핀(226)을 이동시키므로써 기구(230)가 제2스프링(208)의 기계적 장점을 변화시키기 때문에, 기구(230)와 핀(226)을 이동시키는데는 거의 힘이 필요하지 않게 된다.
도 8, 도 9, 도 12, 도 13, 도 15 내지 도 19에 있어서, 서스펜션(66)은 전송링크(180)의 제1단부(182)와 피봇부(218) 사이에 연결된 감쇄기(240)를 포함한다. 상기 감쇄기(240)는 종래방식이나 적절한 방식에 의해 전송링크(180)의 제1단부(182) 또는 피봇부(218)에 회전가능하게 고정되는 한쌍의 커넥터(242, 244)를 포함한다. 이와 같은 감쇄기(240)의 위치조정에 의해, 감쇄기(240)의 속도는 서술한 바와 같은 방식으로 서스펜션(66)상에 작용하는 서스펜션 질량에 비례하여 변화하게 된다. 또한, 상기 감쇄기(240)는 커넥터(242)가 커넥터(242)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되는 신장된 실린더(246)에 고정되고 커넥터(244)가 실린더(246)내로 연장되는 로드(248)를 포함하는, 또는 이와 반대인 방식으로 형성되는, 종래의 비조정식 감쇄기일 수도 있다. 실린더(246, 248)의 상호운동은 본 기술분야에 공지된 방식에 따라 감쇄기(240)내에 가스나 유체를 제공하므로써 제어될 수 있으므로, 감쇄기(240)는 적절한 고정률로 수축되거나 신장된다. 그러나, 사용된 감쇄기(240)의 감쇄율이 비조정식이지만, 서스펜션(66)에 제안된 디자인과 사용을 수용하는 서스펜션(66)이 감쇄율을 제공하기 위해, 감쇄기(240)의 특정 감쇄율이 선택될 수 있다.
감쇄기(240)에 의해 제공된 감쇄량 또는 감쇄율은 제3핸들(64)의 작동을 통한 중량 조정기구(214)의 운동에 의해 조정된다. 특히, 중량 조정기구(214)가 핸들(64)이나 잭스크류(348)에 의해 도 13, 도 18,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저중량 설정치값으로 이동될 때, 아암(215)은 피봇핀(226)이 전송링크(180)의 제2단부(184)를 향해 이동되도록 피봇된다. 이것은 감쇄기의 유효행정이나 로드속도를 감소시키므로써, 감쇄기(240)의 유효 감쇄율을 감소시킨다. 역으로, 제3핸들(64)이 도 12, 도 16,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중량 위치로 이동될 때, 아암(215)은 피봇핀(226)을 제2단부(184)로부터 멀어지도록 이동시킨다. 이것은 서스펜션(66)이 완전히 절첩되었을 때, 실린더(246)내에 노출된 로드(248)의 길이를 증가시키므로써, 감쇄기(240) 및 그 관련의 감쇄율이 허용 행정 및 로드 속도를 증가시킨다.
다른 방식으로 설명하면, 벨크랭크(158)는 롤러(166)를 횡단비임(134) 및 시트 프레임(70)과 접촉상태로 유지시키고 있기 때문에, 최대 각도로 회전할 수있다. 예를 들어, 서스펜션(66)이 약 60mm의 최대 이동거리를 갖는 본 발명에 있어서, 벨크랭크(158)는 약 54°의 최대 이동각으로 회전할 수 있다. 이것은 전송로드(178)가 항상 설정의 최대 선형이동량만큼 이동하려는 것임을 의미한다. 중량조정중에는 전송링크(180)를 위한 피봇점(226)이 변화되기 때문에, 상기 전송링크(180)는 항상 최대 각도 또는 최대 각도범위로 회전하지 않을 것이다. 서스펜션(66)이 최대 고중량 조정값으로 설정되었을 때는 넓은 최대 회전각도 범위를 가질 것이며, 서스펜션(66)이 최저 중량 조정값으로 설정되었을 때는 좁은 최대 회전각도 범위를 가질 것이다. 특히, 전송링크 피봇핀(226)이 전송로드(178)에 가깝게 배치되었을 때, 전송링크(180)는 넓은 회전각도 범위를 가질 것이다. 피봇핀(226)이 이동하여, 핸들(64)이 저중량 점유자 위치에 있을 때, 전송링크(180)가 회전할 수 있는 최대각도 범위는 감소된다. 이와 같은 관계로 인해, 감쇄기(240)와 제2스프링(208)은 서스펜션(66)이 고중량 조정위치에 비해 저중량 조정위치로 설정될 때, 선형이동이 적어지게 된다. 이러한 특징은 특정한 중량 조정값이 선택됨에 따라 서스펜션(66)에 대해 상이한 탄성율과 상이한 유효 감쇄율을 제공한다. 예를 들어, 서스펜션(66)의 양호한 실시예에 대한 고중량 조정위치에 있어서, 감쇄기(240)는 약 1½인치의 최대 행정을 갖는다. 시트 서스펜션(66)이 저중량 점유자 위치로 설정되었을 때, 감쇄기(240)는 동일시간동안 작은 거리를 이동할 수 있기 때문에, 속도의존성에 의해 감쇄력이 작아지게 되며, 이에 따라 서스펜션(66)이 고중량 점유자 위치에 있을 때에 비해 낮은 유효 감쇄율을 갖게 된다. 지면에 대한 감쇄기(240)의 부착점은 피봇부(218)가 아닌 그 어디에도 위치될 수 있지만, 편리함으로 인해 상기 피봇부(218)에서는 지면에 대해 장착점이 이미 있기 때문에 피봇부가 주로 선택된다. 그 결과, 상기 피봇부(218)는 (1)중량 조정아암(215)을 정착시키고 이를 위한 피봇점을 제공하며, (2)감쇄기(240)를 정착시키고 이를 위한 피봇가능한 부착점을 제공한다는 2가지 기능을 수행한다.
최대 저중량 위치 및 최대 고중량 위치 사이에서 감쇄기(240)가 이동하는 거리편차의 효과성에 대한 주요한 사항은 최대 저중량 조정값과 최대 고중량 조정값 사이에서 감쇄기(240)가 경험하게 되는 선형 이동율이다. 특히, 시트 서스펜션(66)은 저중량 조정위치에서 감쇄기(240)의 최대 행정으로 나눈 고중량 조정위치에서, 감쇄기(240)의 최대 행정비율을 갖도록 구성된다. 전송링크(180)와 중량 조정아암(215) 등과 같은 기타 다른 부품들과 마찬가지로, 서스펜션(66)의 부품길이는 감쇄기(240)의 감쇄율과 그 물리적 최대 행정이나 이동거리를 따라 필요로 하는 비율을 제공하도록 선택된다.
간단히 설명하면, 필요로 하는 비율을 얻기 위하여, 감쇄기(240)의 감쇄율과, 서스펜션이 최대 중량위치로 설정되었을 때 감쇄기(240)가 이동할 수 있는 거리와, 서스펜션이 최소 중량위치로 설정되었을 때 감쇄기(240)가 이동할 수 있는 거리의 비율은 시트 작업자가 경험하는 서스펜션 감쇄율이 서스펜션상에 작동되는 현가된 질량에 따라 비례적으로 변화되는 것을 보장할 수 있도록 선택된다. 이러한 비율은 하기의 식으로 나타낼 수 있다.
R = (1 + 3*r)/(3 + r)
상기 식에서 R은 고중량 점유자와 저중량 점유자 사이의 질량비율을 나타내고, r은 고중량 위치와 저중량 위치에서 최대 감쇄기행정의 비율을 나타낸다. 예를 들어, 서스펜션(56)의 양호한 실시예에서 상술의 식을 사용할 때, 서스펜션(66)에 대한 변수는 통상적으로 60kg의 현가된 질량에 대한 유효 감쇄율이 120kg의 현가된 질량에 대한 감쇄율 보다 절반이상 큰 것을 보장하도록 선택된다. 이러한 변수들은 서스펜션 및 시스템 감쇄율에 작용하는 현가된 질량 사이에 선형적 관계 또는 비례적 관계를 제공하도록 선택된다. 양호한 실시예에서, 상기 변수는 서스펜션상에 작용하는 현가된 질량에 대해 선형적으로 ±15%로 변화되는 서스펜션(66)에 대한 시스템 감쇄율을 제공하도록 선택된다.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에서, 서스펜션(66)은 최대 중량 점유자로서 130kg 점유자를 수용하고, 최소 중량 점유자로서 50kg 점유자를 수용하도록 설계된다. 서스펜션(66)은 130kg 이상이나 50kg 이하의 점유자를 수용할 수 있지만, 이러한 중량은 시트 서스펜션(66)이 점유자에 대해 적절한 진동절연 수준을 제공할 수 있는 최대 중량범위 및 최소 중량범위를 한정한다. 그러나, 서스펜션(66)에 작용하는 현가된 질량과 힘 사이의 비례적 관계를 유지하면서 서스펜션(66)에 인가된 힘의 크기를 변화시켜 서스펜션(66)을 변경시키는 것처럼, 상이한 점유자 중량범위를 수용하도록 서스펜션(66)의 구성을 변경할 수도 있다. 이것은 작동기구나 벨크랭크(158)의 높이, 전송링크(180) 및 중량 조정아암(215)의 길이, 감쇄기(240)의 감쇄율, 및 제1스프링(170)과 제2스프링(208)의 서로에 대한 탄성율 등과 같이, 서스펜션(66)의 다양한 성분특성을 변화시키므로써 달성될 수 있다.
점유자가 시트(50)에 착석하기 전에 서스펜션을 이용하기 위하여, 점유자는제3핸들(64)과 중량 조정아암(215)을 이동시켜, 점유자에게 필요한 중량 조정위치에 대응하는 위치에서 신장된 노치(186) 또는 슬롯(187)내에 피봇핀(226)을 위치시킨다. 이러한 방식에 있어서, 상기 제3핸들(64)은 상술한 바와 같은 방법으로 핸들(64)을 적절한 위치로 미끄러지게 하거나 회전시키므로써 배치된다.
제3핸들(64)이 적절한 곳에 위치된 후, 점유자는 시트(50)의 시트 쿠션(54)에 착석할 수 있다. 점유자가 자신의 중량을 시트 쿠션(54)에 안착시킴에 따라, 도 3 및 도 4에 상세히 도시된 점유자의 중량으로 인해, 시트 프레임(70)과 가위 링크(100)가 하방으로 가압된다. 시트 프레임(70)의 하방 운동은 횡단비임(134)의 하부 립(138)을 벨크랭크 롤러(166)에 가압하여, 점유자의 힘을 벨크랭크(158)로 전달하므로써, 피봇로드(162)에 대해 롤러(166)와 롤러 지지체(164) 또는 롤러 아암(165)을 피봇시킨다. 지지체(164)의 피봇동작은 시트 팬(68)의 후방을 향해 견인아암(167)이나 견인로드(168)를 피봇시킨다. 이러한 방향으로 견인아암(167)이나 견인로드(168)의 운동은 견인아암(167)이나 견인로드(168)에 고정된 제1스프링(170)의 편의력에 저항하여, 서스펜션(66)에 예비하중을 인가한다.
도 12 및 도 13, 도 15 내지 도 19에 있어서, 견인아암(167)이나 견인로드(168)의 운동은 전송로드(178)를 후방으로 이동시키므로써, 전송링크(180)를 피봇핀(226)에 대해 피봇시킨다. 신장된 노치(186) 또는 슬롯(187)의 내부에서 피봇핀(226)의 특정 위치에 따라, 피봇핀(226) 주위에서의 전송링크(180)의 운동은 제2스프링(208)의 편의력을 견인하여, 감쇄기(240)를 특정량만큼 연장시킨다. 예를 들어, 상술한 바와 같이, 피봇핀(226)이 슬롯(186)의 내부에서 저중량 점유자위치에 위치되었을 때, 상기 핀(226)은 제2스프링(208)에 인접하여 배치되므로, 제2스프링(208)에 의해 감소된 탄성율이 공급되며, 감쇄기(240)에 의해 감소된 감쇄량이 제공된다. 선택적으로, 핀(226)이 스프링(208)에 대향하는 노치(186) 또는 슬롯(187)에서 고중량 위치에 위치될 때, 전송링크(180)의 운동은 제2스프링(208)에 의해 공급된 큰 탄성율과, 감쇄기(240)에 의해 제공된 높은 감쇄율로 귀결된다. 특히, 전송링크(180)가 피봇되거나 회전할 수 있는 각도는 핸들(64)의 위치에 의해 결정된 피봇핀(226)의 위치 즉, 서스펜션(66)의 중량 조정값에 의해 한정된다. 상기 전송링크(180)는 현재의 중량 조정값에 대해 적절한 각도로 회전하여 제2스프링(208)에 일반적으로 선형인 운동 즉, 스트레칭을 부여하여, 감쇄기(240)의 로드(248)가 실린더(246)로부터 외측으로 신장될 수 있게 한다. 또한, 굴곡부(202, 203)를 갖는 트랙(196)의 형태에 기초하여, 상기 트랙(196)은 전송링크(180)를 완전히 아치형으로 또는 피봇핀(226) 주위로의 회전방향으로 지향시킬 수 있다. 특히, 핀(226)의 위치에 관계없이, 상기 트랙(196)의 형태는 서스펜션(66)이 작동중일 때, 전송링크(160)가 핀(226) 주위로의 회전에 의해서만 이동될 수 있음을 보장한다. 따라서, 트랙에 대한 이러한 형태는 감쇄기(240) 및 제2스프링(208)상에 발휘된 모든 힘을 벨크랭크(158) 및 시트 프레임(70)의 운동에 저항하도록 지향시킨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1스프링(170)은 서스펜션(66)에 대한 예비하중을 제공한다. 상기 제1스프링(170)은 서스펜션의 기본적인 힘의 크기를 제공한다. 스프링(170)의 특성은 최저 중량 시트 점유자를 지지하는 모든 서스펜션 힘을 제공할 수 있도록 선택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스프링(170)은 시트 점유자가 서스펜션이 시트(50)상에 안착되는 최저 중량 시트와 동일한 중량을 갖거나 이와 거의 동일한 중량을 가질 때, 제2스프링(208)으로부터 그 어떠한 도움을 필요로 하지 않고 모든 서스펜션 힘을 제공할 수 있도록 선택되어야 한다. 따라서, 상기 제2스프링(208)은 시트 서스펜션(66)이 설계된 최저 중량과 동일한 중량을 갖는 시트 점유자에 대해 서스펜션 힘을 제공하지 않는다. 실제로, 제2스프링(208)은 저중량 시트 점유자 또는 작업자에 대해 약간의 서스펜션 힘을 제공한다. 그러나, 이러한 힘의 크기는 피봇핀(226)을 전송링크(180)에 대해 제2스프링(208)의 부착점에 가능한한 가깝게 배치하므로써 최소화된다.
적절한 감쇄율을 제공하도록 감쇄기(240)를 선택하는 것처럼, 스프링(170, 208)에 대한 스프링상수도 필요로 하는 서스펜션 스프링비율을 제공하도록 선택되어야 한다. 서스펜션(66)의 양호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170, 208)은 현가된 적은 질량에 대해 1인치당 30파운드의 서스펜션 탄성율과 현가된 큰 질량에 대해 1인치당 55파운드의 서스펜션 탄성율을 제공하므로써 탄성율이 약 1 내지 1.8-1.9가 되도록 선택되어야 한다. 그러나, 현가된 큰 질량의 탄성율과 현가된 적은 질량의 탄성율은 무거운 점유자에 대한 증가된 기구마찰 등과 같은 이상적인 효과 보다 적게 중첩되기 위하여, 양호한 비율과는 ±30% 정도 상이할 수 있다.
상술한 바의 서스펜션(66)을 채택한 시트(50)의 양호한 실시예와 함께, 본 발명의 범주내에서 시트(50)의 변형예도 가능하다. 예를 들어, 시트(50)를 특정 점유자를 위한 위치에 배치할 수 있도록, 시트(50)와 서스펜션을 차량에 대해 수직으로 이동시키기 위하여 높이 조정기구(도시않음) 등과 같은 특징부나 기구를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서스펜션(66)의 각각의 부품은 특정하게 언급하지 않는한 서스펜션(66)에 필요한 강도와 내구성을 제공하기 위하여 스틸이나 알루미늄과 같은 금속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플라스틱 등과 같은 기타 다른 단단한 재료도 사용될 수 있다.
도 25 및 도 2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스펜션(66)은 시크 쿠션(454) 및 등받이(456)가 구비된 시트(450)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등받이(456)는 수직부(459)내에 이동가능하게 배치되고 브래킷(462)에 의해 등받이(456)에 연결된 제1롤러(460)에 의해 수직부(459)가 구비된 지지체(458)에 이동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시트 쿠션(454)은 피봇가능하게 연결되고 시트 쿠션(454)상의 스테이(466)와 수직부(459) 사이로 연장되는 선회아암(464)에 의해 수직부(459)에 연결되며, 지지체(458)상에 배치된 서스펜션(66) 위에 현가된다. 수직부(459)에 대한 시트(450)의 위치는 시트 쿠션(454)에 인접하여 등받이(456)상에서 브래킷(470)에 고정된 제2롤러(468)와 램프 레버아암(472)과의 결합에 의해 제어된다. 상기 램프 레버아암(472)은 스프링(170)과 전송로드(178)에 연결된 서스펜션(66)의 견인로드(168)와 수직부(459) 사이에 연결된다. 피봇핀(226)의 위치는 중량 조정기구(214)와 위치조정 및 로킹기구(230)를 사용하여, 링크(180)의 슬롯(187)내에서 조정될 수 있다.
시트(450)상에 개개인이 앉았을 때, 점유자의 중량이 수직부(459)를 따라 시트(450)를 이동시키므로써, 제2롤러(468)는 램프 레버아암(472)을 수직부(459)를향해 후방으로 가압한다. 이러한 방향으로의 레버아암(472)의 이동은 견인로드(168)를 후방으로 이동시키므로, 상기 서스펜션(66)은 견인로드(168)의 후방이동과, 제1스프링(170)과 전송로드(178)와 전송링크(180)의 일련의 이동에 의해 작동되어; 시트(450)의 하방이동에 대향하여 제2스프링(208) 및 감쇄기(240)(본 실시예에서는 도시않음)를 작동시킨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서스펜션(66)은 시트(50)의 등받이(56)에 위치될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의 배치가 도 27 내지 도 29에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으며, 상기 서스펜션(66)은 서스펜션(66)의 부품들이 시트(50)를 위해 지지체(458)의 수직부(459)에 고정된다. 견인로드(168)는 수직부(459)에 대해 등받이(456)와 함께 이동하는 브래킷(474)에 의해 등받이(456)에 장착되므로, 수직부(459)에 대한 시트(50)의 하방이동은 제2스프링(208)과 감쇄기(240)(본 실시예에서는 도시않음)를 작동시키는 전송로드(178)와 제1스프링(170)을 견인하므로써 서스펜션(66)을 작동시킨다. 상기 시트(450)와 등받이(456)는 도 28에 도시된 2롤러/선회 아암 안내기구(476) 또는 도 29에 도시된 4롤러 안내기구(478)의 사용 등과 같은, 종래의 방식으로 수직부(459)에 연결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설명과 도면은 본 발명의 하나이상의 실시예에 대해 이루어졌지만, 본 발명은 양호한 실시예를 참조로 서술되었기에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기술분야의 숙련자라면 첨부된 청구범위로부터의 일탈없이 본 발명에 다양한 변형과 수정이 가해질 수 있음을 인식해야 한다.

Claims (40)

  1. 차량용 시트에 있어서,
    등받이 부분과,
    상기 등받이 부분에 연결되며 서스펜션 베이스와 시트 프레임을 갖는 시트 부분과,
    상기 등받이 부분이나 시트 부분중 어느 하나의 내부에 배치되는 서스펜션을 포함하며,
    상기 서스펜션은 시트와 결합되는 작동기구와; 상기 작동기구로부터 이격된 제1앵커와 상기 작동기구 사이에 연결된 제1가력부재와; 상기 작동기구에 연결되는 전송링크와; 상기 전송링크와 제2앵커 사이에 연결되는 제2가력부재와; 상기 작동기구와 제2가력부재 사이에서 전송링크에 이동가능하게 연결되는 조정기구를 포함하며; 상기 조정기구는 전송링크에 대한 피봇핀의 위치를 변화시키기 위하여 상기 전송링크를 따라 이동가능하며 상기 전송링크와 결합되는 피봇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시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서스펜션은 시트 부분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시트.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링크와 조정기구 사이에 연결되는 비조정식 비율감쇄기를 부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시트.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조정기구는 서스펜션에 대한 예비하중과, 탄성율과, 감쇄율을 시트상에 현가된 질량에 비례하여 변화시키도록 이동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시트.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서스펜션은 작동기구와 전송링크 사이에 연결되는 전송로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시트.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링크와 조정기구 사이에 연결된 비조정식 감쇄기를 부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시트.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감쇄기는 제2가력부재로부터 이격된 위치에서 전송링크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시트.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정기구는 시트의 외부에 배치된 핸들과; 상기 핸들과, 상기 핸들로부터 이격된 피봇부와, 상기 핸들과 대향하는 피봇부에 연결된 중량 조정아암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시트.
  9. 제8항에 있어서, 제2가력부재에 대향하는 전송링크와 피봇부에 연결되는 감쇄기를 부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시트.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피봇핀은 전송링크상에서 아치형 표면과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시트.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아치형 표면은 전송링크에 배치된 슬롯에 의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시트.
  12.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링크는 피봇핀 주위로 전송링크의 회전운동을 억제하기 위하여, 피봇핀으로부터 이격되고 상기 시트 부분에 연결된 서스펜션 베이스상에 형성되는 트랙에 미끄럼가능하게 지지되는 안내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시트.
  13.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핸들은 전송링크에 대해 피봇핀을 위치시키기 위하여 서스펜션 베이스상에 배치된 다수의 위치조정 노치쌍과 결합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시트.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핸들은 제3스프링에 의해 한쌍의 노치와의 결합부내로 해제가능하게 편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시트.
  15.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핸들은 중량 조정아암과 결합되는 스크류와, 상기 중량 조정아암과 대향하는 스크류를 지지하는 브래킷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시트.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중량 조정아암은 피봇핀과 대향하는 중량 조정아암에 고정되는 표시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시트.
  1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 부분은 작동기구와 결합되는 횡단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시트.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기구는 벨크랭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시트.
  19.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횡단부재는 시트 부분의 대향측에 배치된 한쌍의 링크조립체 사이에 고정되고, 서스펜션 베이스와 시트 부분의 시트 프레임 사이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시트.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링크조립체는 가위 조립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시트.
  21.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 프레임은 횡단부재의 대향 단부와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한쌍의 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시트.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축은 횡단부재의 대향 단부에 배치되어 시트 프레임과 결합가능한 한쌍의 태브에 의해 상기 횡단부재와의 결합부내에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시트.
  23.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축은 시트 프레임상의 정지부에서 시트 팬에 해제가능하게 고정된 한쌍의 케이블에 의해 상기 횡단부재와의 결합부내에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시트.
  24.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축은 횡단부재의 대향단부에 배치된 리시버 컵에 의해 상기 횡단부재와의 결합부내에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시트.
  2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가력부재와 제2가력부재는 스프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시트.
  2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기구에 연결되고 시트와 결합되는 링크를 부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시트.
  27.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는 링크와 결합되는 롤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시트.
  28.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링크는 램프 레버아암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시트.
  2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링크를 따라 피봇핀의 위치에 관계없이 피봇핀 주위로 전송링크의 운동을 억제하기 위하여, 전송링크와 시트 사이로 연장되며 전송링크의 이동을 억제하는데 사용되는 안내기구를 부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시트.
  30. 제29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기구는 전송링크에 연결된 핀과, 상기 핀과 결합되며 서스펜션 베이스상에 배치되는 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시트.
  31. 제30항에 있어서, 상기 홈은 제1반경을 갖는 제1아치부와, 제2반경을 갖는 제2아치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반경은 제2반경과 상이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시트.
  32. 차량용 시트에 있어서,
    등받이 부분과,
    상기 등받이 부분에 연결되며 서스펜션 베이스와 시트 프레임을 갖는 시트 부분과,
    상기 등받이 부분이나 시트 부분중 어느 하나의 내부에 배치되는 서스펜션을 포함하며,
    상기 서스펜션은 시트 팬에 고정되고 시트 부분의 프레임과 결합되는 작동기구와; 상기 작동기구로부터 이격된 제1앵커와 상기 작동기구 사이에 연결된 제1스프링과; 상기 작동기구에 연결되는 전송링크와; 상기 전송링크와 제2앵커 사이에 연결되는 제2스프링과; 상기 작동기구와 제2스프링 사이에서 전송링크에 이동가능하게 연결되는 조정기구와; 상기 전송링크와 조정기구 사이에 연결되는 비조정식 비율 감쇄기를 포함하며; 상기 조정기구는 전송링크에 대한 피봇핀의 위치를 변화시키기 위하여 상기 전송링크를 따라 이동가능하며; 상기 조정기구는 시트의 외부에 배치되는 핸들과, 상기 핸들에 연결되는 중량 조정아암과, 상기 핸들과 대향하는 피봇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시트.
  33. 제32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링크를 따라 피봇핀의 위치에 관계없이 피봇핀 주위로의 전송링크 운동을 억제하기 위하여, 전송링크와 시트 사이로 연장되며 전송링크의 이동을 억제하는데 사용되는 안내기구를 부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시트.
  34. 제32항에 있어서, 상기 조정기구는 서스펜션에 대한 예비하중과, 탄성율과, 감쇄율을 시트상에 현가된 질량에 비례하여 변화시키도록 이동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시트.
  35. 서스펜션에 대한 예비하중과, 탄성율과, 감쇄율을 시트상에 현가된 질량에 비례하여 변화시킬 수 있는 시트용 서스펜션에 있어서,
    시트의 등받이 부분이나 시트 부분과 결합가능한 작동기구와,
    상기 작동기구와 시트 사이에 연결가능한 제1스프링과,
    한쪽 단부가 상기 작동기구에 연결된 전송링크와,
    상기 작동기구와 대향하여 전송링크 및 시트와 연결가능한 제2스프링과,
    상기 시트와 이동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고 작동기구와 제2스프링 사이에서 전송링크와 결합가능한 조정기구와,
    상기 전송링크에 연결되는 제1단부와, 상기 조정기구에 연결되는 제2단부를 갖는 비조정식 비율 감쇄기를 포함하며,
    상기 조정기구는 전송링크에 대한 피봇핀의 위치를 변화시키기 위하여 상기 전송링크를 따라 이동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용 서스펜션.
  36. 제35항에 있어서, 상기 서스펜션은 시트의 시트 부분에 배치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용 서스펜션.
  37. 제35항에 있어서, 상기 서스펜션은 시트의 등받이 부분에 배치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용 서스펜션.
  38. 제35항에 있어서, 상기 서스펜션은 시트가 수직이동가능한 방식으로 연결되는 지지체상에 배치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용 서스펜션.
  39. 제35항에 있어서, 상기 피봇핀은 전송링크의 굴곡된 표면에 대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용 서스펜션.
  40. 제39항에 있어서, 상기 피봇핀은 골곡된 표면의 한쪽에서 저중량 점유자 위치와 굴곡된 표면의 다른쪽에서 고중량 점유자 위치 사이에서 이동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용 서스펜션.
KR10-2004-7014905A 2002-03-22 2003-03-21 시트 서스펜션 KR20040091151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36696502P 2002-03-22 2002-03-22
US60/366,965 2002-03-22
PCT/US2003/008844 WO2003082627A1 (en) 2002-03-22 2003-03-21 Seat suspension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91151A true KR20040091151A (ko) 2004-10-27

Family

ID=286753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7014905A KR20040091151A (ko) 2002-03-22 2003-03-21 시트 서스펜션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6935693B2 (ko)
EP (1) EP1373014B1 (ko)
JP (1) JP4159477B2 (ko)
KR (1) KR20040091151A (ko)
CN (1) CN100411908C (ko)
AT (1) ATE296216T1 (ko)
DE (1) DE60300702T2 (ko)
ES (1) ES2243899T3 (ko)
WO (1) WO200308262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032874B2 (en) * 2003-11-21 2006-04-25 Seats Incorporated Suspension adjusting handle for a suspension system
US7571886B2 (en) * 2004-05-03 2009-08-11 John W. Carter Bellcrank seat suspension apparatus
JP4761822B2 (ja) * 2005-04-28 2011-08-31 三洋電機株式会社 力検出装置
US7497505B2 (en) * 2005-04-29 2009-03-03 Crown Equipment Corporation Suspended floorboard
US7694946B2 (en) * 2006-06-06 2010-04-13 Deere & Company Suspension system having active compensation for vibration
US7887033B2 (en) * 2006-06-06 2011-02-15 Deere & Company Suspension system having active compensation for vibration
US7810779B2 (en) * 2006-08-10 2010-10-12 Indiana Mills & Manufacturing Inc. Apparatus for preventing actuation of a vehicle seat position adjustment device
DE102006056933A1 (de) * 2006-11-30 2008-06-05 Claas Selbstfahrende Erntemaschinen Gmbh Landwirtschaftliche Erntemaschine mit Überladeeinrichtung
US7506932B2 (en) * 2007-05-31 2009-03-24 H.O. Bostrom Company, Inc. Adjustable jockey seat assembly
DE102008022046B3 (de) * 2008-05-03 2009-07-30 Grammer Ag Einrichtung für eine Fahrzeugsitzbelegungserkennung
US8197004B2 (en) * 2008-12-01 2012-06-12 Milsco Manfacturing Company, A Unit Of Jason Incorporated Adjustable vehicle seat suspension
US8360387B2 (en) 2010-03-26 2013-01-29 Bose Corporation Actuator including mechanism for converting rotary motion to linear motion
US8616603B2 (en) * 2010-04-23 2013-12-31 The Raymond Corporation Operator ride enhancement system
US8016258B1 (en) 2010-04-30 2011-09-13 Seats, Inc. Suspension adjustment mechanism for low suspension seat
DE102010033419A1 (de) 2010-08-04 2012-02-09 Grammer Aktiengesellschaft Horizontfedereinrichtung für Fahrzeugsitze mit Elastomerfederelement mit progressiver Federkennlinie
GB2483718A (en) * 2010-09-20 2012-03-21 Kab Seating Ltd A seat suspension for a vehicle seat
DE102010052619A1 (de) * 2010-11-29 2012-05-31 Grammer Aktiengesellschaft Fahrzeugsitz mit geführten Scherenarmen
DE102010053752A1 (de) 2010-12-08 2012-06-14 Grammer Aktiengesellschaft Fahrzeugschwingungsvorrichtung für Fahrzeugsitze oder Fahrzeugkabinen
DE102011053647B4 (de) 2011-09-15 2022-02-03 Grammer Aktiengesellschaft Fahrzeugsitz mit einer Federungsvorrichtung und Kraftfahrzeug
CN102381220B (zh) * 2011-09-26 2012-12-19 长春富维—江森自控汽车饰件系统有限公司 座椅刚度调节手轮快速装配结构
US9611399B2 (en) 2011-11-15 2017-04-04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Fluorinated coatings with lubricious additive
CA2800592C (en) * 2011-12-22 2019-01-08 Baultar I.D. Inc. Small footprint scissor suspension mechanism
US8690114B2 (en) 2012-04-12 2014-04-08 Seats, Inc. Adjustable suspension system for off-road vehicle
US8561748B1 (en) 2012-04-12 2013-10-22 Seats, Inc. Suspension configuration for a seat
DE102012013208B4 (de) * 2012-05-07 2019-07-25 Adient Luxembourg Holding S.À R.L. Sitzteil eines Fahrzeugsitzes
JP5921767B2 (ja) 2012-05-07 2016-05-24 ジョンソン コントロールズ テクノロジー カンパニーJohnson Controls Technology Company 車両座席の垂直調整用の座席調整装置
US11353084B2 (en) 2013-03-15 2022-06-07 Clearmotion Acquisition I Llc Rotary actuator driven vibration isolation
US9291300B2 (en) * 2013-03-15 2016-03-22 Bose Corporation Rotary actuator driven vibration isolation
FR3006668B1 (fr) * 2013-06-10 2015-06-26 Eurocopter France Siege anti crash et aeronef
US20150115126A1 (en) * 2013-10-31 2015-04-30 Sears Manufacturing Co. Rear Mounted Vehicle Seat Suspension
CN103661027B (zh) * 2013-12-13 2015-10-07 宁波明望汽车饰件有限公司 汽车座椅
DE102014009496B4 (de) * 2014-06-26 2019-09-19 Isringhausen Gmbh & Co. Kg Schwingsystem für einen Fahrzeugsitz
CN104196497A (zh) * 2014-08-27 2014-12-10 桂林市华力重工机械有限责任公司 一种旋转操作台
DE102015113176B4 (de) 2015-08-10 2021-12-30 Grammer Aktiengesellschaft Horizontalschwingungsvorrichtung für einen Fahrzeugsitz
DE102015121526B4 (de) * 2015-12-10 2022-03-24 Grammer Aktiengesellschaft Federungsvorrichtung
US10286818B2 (en) * 2016-03-16 2019-05-14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Dual suspension seating assembly
FR3052409B1 (fr) * 2016-06-09 2018-07-06 Peugeot Citroen Automobiles Sa Systeme de suspension pour assise de siege automobile comprenant un systeme d’attache.
DE102016112106B4 (de) * 2016-07-01 2019-07-04 Grammer Ag Federungsvorrichtung
US10677310B2 (en) * 2017-12-14 2020-06-09 Toyota Motor Engineering & Manufacturing North America, Inc. Vibration isolator mechanism with adjustable force application mechanism
DE102018112036B4 (de) * 2018-05-18 2022-03-10 Grammer Aktiengesellschaft Fahrzeugsitz
DE102018112004B4 (de) * 2018-05-18 2021-08-05 Grammer Aktiengesellschaft Fahrzeugsitz mit einer Federeinrichtung
WO2019241779A1 (en) * 2018-06-15 2019-12-19 Milsco Manufacturing Company, A Unit Of Jason Incorporated Low profile adjustable vehicle seat mount assembly
CN108851688A (zh) * 2018-08-10 2018-11-23 青岛美莱轨道股份有限公司 一种内置式翻转座椅
US11485437B2 (en) 2020-11-19 2022-11-01 Toyota Motor Engineering & Manufacturing North America, Inc. Bicycle saddle with vibration isolators
US11565763B1 (en) 2022-01-10 2023-01-31 Toyota Motor Engineering & Manufacturing North America. Inc. Bicycle saddle with spring-based vibration isolation
US11927236B2 (en) 2020-12-21 2024-03-12 Toyota Motor Engineering & Manufacturing North America, Inc. Vibration isolation for rotating machines
US11603903B2 (en) 2020-12-21 2023-03-14 Toyota Motor Engineering & Manufacturing North America, Inc. Vibration isolation for rotating machines
FR3123270A1 (fr) * 2021-05-26 2022-12-02 Faurecia Sièges d'Automobile Siège suspendu et procédé d’assemblage d’un tel siège
US11628898B1 (en) 2022-01-10 2023-04-18 Toyota Motor Engineering & Manufacturing North America, Inc. Vibration isolation for bicycle saddle using super elastic material members
US11603153B1 (en) 2022-01-10 2023-03-14 Toyota Motor Engineering & Manufacturing North America, Inc. Bicycle saddle with super elastic material member activated vibration isolation
FR3137028A1 (fr) * 2022-06-28 2023-12-29 Faurecia Sièges d'Automobile Siège suspendu
FR3140820A1 (fr) * 2023-10-18 2024-04-19 Faurecia Sièges d'Automobile Siège suspendu et procédé d’assemblage d’un tel siège

Family Cites Families (5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62126A (en) * 1887-05-03 James tyzick
DE470585C (de) 1925-09-29 1929-01-22 Allen Luther Grammer Vorrichtung zum Bespruehen frisch bedruckter Bogen mit fluessigem Wachs oder Paraffin
DE1505314A1 (de) * 1965-06-09 1970-04-23 Nordpatent Ab Federndes Untergestell fuer Fahrzeugsitze
GB1039080A (en) 1965-06-15 1966-08-17 George Grammer Vehicle seat, especially for agricultural vehicles
FR1515555A (fr) 1967-03-23 1968-03-01 Grammer Willibald Siège de véhicule suspendu par ressorts
FR2208353A5 (ko) * 1972-11-28 1974-06-21 Sable Freres Int
DE2306478A1 (de) 1973-02-09 1974-08-15 Grammer Willibald Fa Vorrichtung zum veraendern von hoehenlage und laengsneigung der sitzflaeche von sitzen
US4125242A (en) 1974-09-28 1978-11-14 Messrs. Willibald Grammer Spring mounted seat with height adjustment
DE2736242C3 (de) 1977-08-11 1980-11-27 Fa. Willibald Grammer, 8450 Amberg Fahrzeugsitz
DE7731339U1 (de) 1977-10-11 1978-01-26 Fa. Willibald Grammer, 8450 Amberg Fahrzeugsitz
DE2929428C2 (de) 1979-07-20 1983-10-20 Fa. Willibald Grammer, 8450 Amberg Sitz, insbesondere Bürostuhl
DE3000433A1 (de) 1980-01-08 1981-07-09 Fa. Willibald Grammer, 8450 Amberg Fahrzeugsitz, insbesondere fuer nutzfahrzeuge
DE3042604C2 (de) 1980-11-12 1986-04-30 Fa. Willibald Grammer, 8450 Amberg Gefederter Fahrersitz mit einem Schwinghebelsystem, z.B. Scherengestell
DE3043177C2 (de) 1980-11-15 1985-05-23 Fa. Willibald Grammer, 8450 Amberg Abgefederter Fahrzeugsitz
DE3136756A1 (de) 1981-09-16 1983-07-07 Fa. Willibald Grammer, 8450 Amberg Luftgefederter fahrzeugsitz
US4448386A (en) * 1981-12-01 1984-05-15 Uop Inc. Low profile resilient suspension for vehicle seat
US4520986A (en) * 1983-01-10 1985-06-04 Towmotor Corporation Suspended seat assembly
AU575107B2 (en) * 1985-01-09 1988-07-21 Tachikawa Spring Co. Ltd. Seat suspension
DE3517345A1 (de) 1985-05-14 1986-11-20 Grammer Sitzsysteme GmbH, 8450 Amberg Federungsvorrichtung
DE3517504A1 (de) 1985-05-15 1986-11-20 Grammer Sitzsysteme GmbH, 8450 Amberg Abgefederter fahrzeugsitz
DE3517505A1 (de) 1985-05-15 1986-11-20 Grammer Sitzsysteme GmbH, 8450 Amberg Abgefederter fahrzeugsitz
DE3532608A1 (de) 1985-09-12 1987-03-19 Grammer Sitzsysteme Gmbh Sitz mit einem verstellbaren sitzflaechenelement
US4687250A (en) * 1985-09-30 1987-08-18 Milsco Manufacturing Company Adjustable seat assembly for vehicle
DE3611512C1 (de) 1986-04-05 1987-01-29 Grammer Sitzsysteme Gmbh Sitz,insbesondere Fahrzeugsitz
DE3617539C1 (de) 1986-05-24 1987-07-23 Grammer Sitzsysteme Gmbh Sitz mit verstellbarer Sitzplatte und neigbarer Rueckenlehne
US4714227A (en) * 1986-11-17 1987-12-22 Deere & Company Seat suspension for an off-road vehicle
AU620612B2 (en) 1989-04-13 1992-02-20 Rosdon Engineering & Manufacturing Pty. Ltd. Vehicle seat suspension unit
GB9007853D0 (en) 1990-04-06 1990-06-06 Emhart Ind Push out device
GB2243998A (en) 1990-05-16 1991-11-20 Kab Seating Ltd Seat suspension system
DE4025183C1 (ko) 1990-08-09 1991-11-14 Grammer Ag, 8450 Amberg, De
DE4213206A1 (de) 1991-07-19 1993-01-21 Grammer Ag Abgefedertes sitzgestell fuer einen sitz
DE4127274C2 (de) 1991-08-17 1994-02-17 Grammer Ag Abgefederter Sitz
US5176356A (en) * 1991-11-27 1993-01-05 Milsco Manufacturing Company Seat suspension with quick height adjustment
US5261724A (en) 1992-04-03 1993-11-16 Grammer Ag Sprung seat
DE4211095C2 (de) 1992-04-03 1994-02-17 Grammer Ag Unterbau für einen Sitz, insbes. für einen Fahrzeugsitz
GB2301620B (en) 1992-11-26 1997-07-02 Kab Seating Ltd Seats
DE4314975C1 (de) 1993-05-06 1995-03-16 Grammer Ag Abgefedertes Sitzgestell, insbes. für einen Fahrzeugsitz
DE4335199C1 (de) 1993-10-15 1995-05-11 Grammer Ag Abgefederter Fahrzeugsitz
USD362126S (en) 1994-01-14 1995-09-12 Grammer Ag Vehicle seat
GB2285743B (en) 1994-01-21 1997-06-04 Kab Seating Ltd Seat adjustment mechanisms
DE4402170C2 (de) 1994-01-26 1997-10-02 Grammer Ag Fahrzeugsitz
DE4408481C2 (de) 1994-03-14 1997-01-23 Grammer Ag Sitzplatte, insbesondere für den Fahrersitz eines Nutzfahrzeuges
DE4420626C2 (de) 1994-06-14 1998-12-17 Grammer Ag Leistenförmige Betätigungseinrichtung für einen Fahrzeugsitz
DE19544002C2 (de) 1995-11-25 1998-12-17 Grammer Ag Verstelleinrichtung für ein Polsterteil eines Fahrzeugsitzes
DE19646304C2 (de) 1996-08-03 1998-07-23 Grammer Ag Fahrzeugsitz mit verstellbarer Rückenlehne und gleichzeitig verstellbarer Sitzplatte
CN2283591Y (zh) * 1996-10-02 1998-06-10 成都汇洋平衡椅制造有限公司 车辆座椅悬挂减振装置
DE19701363C1 (de) 1997-01-16 1998-08-20 Grammer Ag Abgefederter Fahrzeugsitz
CN2303744Y (zh) * 1997-10-27 1999-01-13 巢凯年 易于平衡的车辆坐椅减振架
CN1095761C (zh) * 1997-10-29 2002-12-11 株式会社塔捷斯 座椅悬置装置
DE19754241C2 (de) 1997-12-06 2000-08-24 Grammer Ag Fahrzeugsitz mit einem Sicherheitsgurt
TR199800485A3 (tr) 1998-03-17 1999-10-21 Pilot Tasit- Buero Koltuklari Sanayi Ve Ticaret A.S. Sürücü koltuklarinin agirlik ayar mekanizmalarinda yenilik.
DE19902224C1 (de) 1999-01-21 2000-04-06 Grammer Ag Fahrzeugsitz
US6186467B1 (en) * 1999-05-06 2001-02-13 Michigan Seat Company Full seat adjustable suspension
DE10039042C2 (de) 2000-08-10 2002-10-31 Grammer Ag Einrichtung zur Neigungsverstellung einer Rückenlehne
DE10039501A1 (de) 2000-08-12 2002-02-28 Grammer Ag Verstell-Vorrichtung
DE10040696A1 (de) 2000-08-17 2002-03-07 Grammer Ag Polsterteil
DE10040535C1 (de) 2000-08-18 2001-10-18 Grammer Ag Gefederter Fahrzeugsitz
DE10057993C1 (de) 2000-11-23 2001-12-20 Grammer Ag Kopfstütze für einen Fahrzeugsitz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3082627A1 (en) 2003-10-09
ES2243899T3 (es) 2005-12-01
CN1652953A (zh) 2005-08-10
ATE296216T1 (de) 2005-06-15
US20030201660A1 (en) 2003-10-30
JP4159477B2 (ja) 2008-10-01
DE60300702D1 (de) 2005-06-30
CN100411908C (zh) 2008-08-20
DE60300702T2 (de) 2006-03-16
JP2005520739A (ja) 2005-07-14
EP1373014B1 (en) 2005-05-25
US6935693B2 (en) 2005-08-30
EP1373014A1 (en) 2004-01-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0091151A (ko) 시트 서스펜션
JP2005520739A5 (ko)
CA2037945C (en) Seat suspension with cam support member and spring assisted height adjustment
US7712836B2 (en) Vehicle seat comprising a height-adjustable seat frame
US4687250A (en) Adjustable seat assembly for vehicle
US6237889B1 (en) Seat suspension assembly
US3999800A (en) Vehicle seat
US6866236B2 (en) Vehicle seating system with improved vibration isolation
EP1855566B1 (en) Tension adjustment mechanism
US4491365A (en) Thigh support adjusting mechanism for vehicle seat
US5601338A (en) Seat structure with adjustable suspension
US4943037A (en) Suspension device with cam support member
US6000757A (en) Vehicle seat adjuster
EP1631474B1 (en) Low profile seat suspension
US7390062B2 (en) Seat having cushion height and recline adjustment mechanisms
ES2247764T3 (es) Suspension ajustable de todo el asiento.
CN1375252A (zh) 座椅家具
US20130220168A1 (en) Height-Adjustable Pedestal for a Vehicle
US5634688A (en) Reclining chair
US3853296A (en) Vehicle seat with suspension device
JPH06502368A (ja) シート組立体及びシート着座者の怪我を減少させる方法
CA2515781C (en) Vehicle seating system with improved vibration isolation
JPH0729877Y2 (ja) 椅子における背もたれのロッキング装置
MXPA05008723A (es) Sistema de asiento de vehiculo con aislamiento mejorado de vibracion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