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86526A - 직기에 있어서의 위단 방지장치 - Google Patents

직기에 있어서의 위단 방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86526A
KR20040086526A KR1020040009486A KR20040009486A KR20040086526A KR 20040086526 A KR20040086526 A KR 20040086526A KR 1020040009486 A KR1020040009486 A KR 1020040009486A KR 20040009486 A KR20040009486 A KR 20040009486A KR 20040086526 A KR20040086526 A KR 2004008652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arget tension
tension
preparation
target
normal oper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094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35741B1 (ko
Inventor
게이이찌 묘기
Original Assignee
쓰다고마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쓰다고마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쓰다고마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400865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8652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357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35741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7/00Arrangements for handling work specially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achine tools, e.g. for conveying, loading, positioning, discharging, sorting
    • B23Q7/14Arrangements for handling work specially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achine tools, e.g. for conveying, loading, positioning, discharging, sorting co-ordinated in production lines
    • B23Q7/1426Arrangements for handling work specially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achine tools, e.g. for conveying, loading, positioning, discharging, sorting co-ordinated in production lines with work holders not rigidly fixed to the transport devices
    • B23Q7/1494Arrangements for handling work specially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achine tools, e.g. for conveying, loading, positioning, discharging, sorting co-ordinated in production lines with work holders not rigidly fixed to the transport devices using gripper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51/00Driving, starting, or stopping arrangements; Automatic stop motions
    • D03D51/002Avoiding starting mar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5/00Driving or feeding mechanisms; Control arrangements therefor
    • B23Q5/22Feeding members carrying tools or work
    • B23Q5/34Feeding other members supporting tools or work, e.g. saddles, tool-slides, through mechanical transmission
    • B23Q5/348Feeding other members supporting tools or work, e.g. saddles, tool-slides, through mechanical transmission by means of clutch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7/00Arrangements for handling work specially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achine tools, e.g. for conveying, loading, positioning, discharging, sorting
    • B23Q7/02Arrangements for handling work specially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achine tools, e.g. for conveying, loading, positioning, discharging, sorting by means of drums or rotating tables or disc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49/00Details or constructional features not specially adapted for looms of a particular type
    • D03D49/04Control of the tension in warp or cloth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51/00Driving, starting, or stopping arrangements; Automatic stop motions
    • D03D51/005Independent drive motor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51/00Driving, starting, or stopping arrangements; Automatic stop motions
    • D03D51/02General arrangements of driving mechanis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oom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직기에 있어서의 위단 방지장치는, 작동준비시의 목표장력의 재설정 누락으로 인한 위단의 발생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위단 방지장치는, 작동준비시의 경사의 목표장력을, 정상운전시의 목표값과 다른 값으로 설정할 수 있는 목표장력 처리기와, 직기의 운전개시에 앞서 입력되는 작동준비신호에 의해, 경사장력을 목표장력 처리기로부터 출력되는 작동준비시에 대응하는 목표장력으로 하도록 경사 빔을 구동시키는 구동회로를 포함한다. 목표장력 처리기에는, 작동준비시의 목표장력을 정상운전시의 목표장력에 의해 결정하기 위한 정보가 미리 설정되어 있고, 목표장력 처리기는, 정상운전시의 목표장력의 설정시에, 정상운전 중의 목표장력과 상기 정보에 기초하여 작동준비시의 목표장력을 결정한다.

Description

직기에 있어서의 위단 방지장치{Weft Bar Preventing Apparatus}
발명의 분야
본 발명은 직기의 작동에 앞서 위단 방지를 위한 작동준비동작을 직기에 실행시키는 위단 방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발명의 배경
직기에 있어서, 정지 중의 경사의 늘어남이나, 정지원인을 해소하는 처리 등으로 인하여 위단이 직물에 발생하기 때문에, 그와 같은 위단의 발생을 방지하기 위한 동작을 직기에 행하고 있다.
직기에 있어서의 위단 방지기술의 하나로서, 직기의 운전개시 전에 경사의 장력을 검출하고, 그 검출 결과에 근거하여 경사 빔을 단독으로 정회전 또는 역회전시켜, 경사장력이 미리 설정된 목표장력과 일치한 상태로 직기의 운전을 개시하는 것이 있다(일본 특개소59-157355호 공보).
그러나, 상기 종래 기술에서는 정상운전 중의 경사장력이 직기의 가동상태의 좋고 나쁨에 의해 빈번하게 변경되기 때문에, 위단 방지를 위한 조정(작동준비시의 경사장력의 조정)도 정상운전 중의 경사장력에 맞추어 변경하지 않으면 안되지만,작업자는 그와 같은 변경작업을 잊을 수가 있다. 그 결과, 변경작업을 잊은 것을 알아차릴 때까지의 긴 기간에 걸쳐서, 정지 때마다 위단이 발생하여, 직물의 품질을 저하시켜 버린다.
본 발명의 목적은 작동준비시에 대응하여, 정상운전 중과는 다른 목표장력이 설정되고, 작동준비신호의 입력에 의해, 경사장력을 대응한 목표장력으로 한 후, 운전을 개시하는 직기에 있어서, 작동준비시의 목표장력의 재설정 누락으로 인한 위단의 발생을 방지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상기의 목적 및 기타의 목적들은 하기 설명되는 본 발명에 의하여 모두 달성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내용을 하기에 상세히 설명한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위단 방지장치를 갖추고 있는 직기의 개략도이다.
도2는 도1에 나타낸 위단 방지장치의 일부를 구성하는 송출제어장치의 블록선도이다.
도3은 도2에 나타낸 송출제어장치에 있어서의 목표장력 연산부의 한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4는 도3에 나타낸 목표장력 연산부에 있어서의 보정계수 및 보정값의 한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5는 도2에 나타낸 송출제어장치에 있어서의 목표장력 연산부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부호에 대한 설명 *
D: 권취직경신호 Tr: 정상운전시의 목표장력
Ts: 작동준비시의 목표장력 V1: 기본 송출속도
V2: 보정 송출속도 V3, V4: 가산신호
S0: 운전신호 S1: 회전속도신호
S2: 주축 회전각도신호 S3: 권취모터 회전속도신호
S4: 작동준비신호 S5: 작동준비 완료신호
S6: 바디치기 밀도 신호 S7: 직기 회전수 신호
S8: 송출속도신호 S9: 송출속도지령
10: 직기 12: 경사
14: 송출 빔 16: 백 롤러
18: 종광틀(harness frame) 20: 바디(reed)
22: 제직전단부 24: 직물
26: 가이드 롤러 28: 권취 롤
30: 프레스 롤 32: 직물권취 빔
34: 송출 모터 36: 송출기구
38: 권취직경 센서 40: 송출제어장치
42: 타코 발생장치 44: 경사장력 센서
46: 주축 48, 50: 운동변환기구
52: 위사 54: 권취 모터
56: 권취기구 58, 60: 인코더
62: 권취제어장치 86, 92: 가산부
98: 드라이버
본 발명에 따른 위단 방지장치는, 작동준비시의 경사의 목표장력을, 정상운전시의 경사의 목표장력과 다른 값으로 결정할 수 있는 목표장력 처리기와, 직기의 운전개시에 앞서 입력되는 작동준비신호에 의해, 경사장력을 상기 목표장력 처리기로부터 출력되는 작동준비시에 대응하는 목표장력으로 하도록 경사 빔을 구동시키는 구동회로를 포함한다. 상기 목표장력 처리기에는, 작동준비시의 목표장력을 정상운전시의 목표장력에 의해 결정하기 위한 정보가 미리 설정되어 있고, 상기 목표장력 처리기는 상기 정상운전시의 목표장력과 상기 정보에 기초하여 작동준비시의목표장력을 결정한다.
정상운전시의 목표장력의 설정(변경)시에는, 설정된 목표장력을 기초로 작동준비시의 목표장력이 자동적으로 결정된다. 이 때문에, 종래에 비해, 정상운전시의 목표장력의 변경 때마다 행해졌던 작동준비시의 목표장력 값의 재설정이 불필요해지고, 작업이 간략화되어, 작동준비시의 목표장력의 설정 누락으로 인한 위단의 발생이 확실하게 방지된다.
상기 정보는 경사의 목표장력을 파라미터로 하는 함수를 포함하고, 상기 목표장력 처리기는 상기 함수를 이용하는 연산을 행하여 상기 작동준비시의 목표장력을 결정하도록 해도 좋다.
상기 정보는 보정계수를 더 포함하고, 상기 함수는 상기 정상운전시의 목표장력과 상기 보정계수를 곱하는 수식을 포함하고, 상기 목표장력 처리기는 상기 정상운전시의 목표장력과 상기 보정계수를 곱하여 상기 작동준비시의 목표장력을 결정하도록 해도 좋다.
상기 정보는 보정값을 더 포함하고, 상기 함수는 상기 정상운전 중의 목표장력과 상기 보정값을 가산하는 수식을 포함하고, 상기 목표장력 처리기는 상기 정상운전 중의 목표장력과 상기 보정값을 더하여 상기 작동준비시의 목표장력을 결정하도록 해도 좋다.
상기 정보는, 상기 정상운전시의 목표장력마다 정해진 상기 작동준비시의 목표장력을 포함하는 데이터군으로, 상기 정상운전시의 목표장력을 이용하여 선출 가능하게 기억된 데이터군을 포함하고, 상기 목표장력 처리기는 상기 정상운전시의목표장력 값에 대응하는 데이터를 상기 데이터군으로부터 선출하여 상기 작동준비시의 목표장력을 결정하도록 해도 좋다.
상기 정보의 최소한 일부가 직기 주축의 회전각도마다 설정되어 있고, 주축의 회전각도를 나타내는 주축 회전각도신호가 상기 목표장력 처리기에 입력되어 있고, 상기 목표장력 처리기는 작동준비신호가 입력되었을 때, 상기 정보, 상기 정상운전시의 목표장력 및 직기의 정지기간 중에 검출된 주축 회전각도신호를 이용하여, 대응하는 작동준비시의 목표장력을 결정하도록 해도 좋다. 이 경우, 주축의 회전각도마다 설정되는 정보는 보정계수, 보정량 또는 데이터군을 포함한다.
상기 목표장력 처리기는 상기 정상운전 중의 목표장력과 상기 정보를 기초로 상기 작동준비시의 목표장력을 결정하고, 결정한 목표장력을 작동준비시에 상기 구동회로에 출력하는 처리부를 갖추고 있어도 좋다.
발명의 실시형태
도1을 참조하면, 직기(10)에 있어서, 경사(12)는 경사가 감겨 있는 경사 빔(송출 빔)(14)에서, 백 롤러(16), 복수의 종광틀(18) 및 바디(20)를 거쳐 제직전단부(22)로 이어져 있다. 제직된 직물(24)은 제직전단부(22)에서 가이드 롤러(26)를 사이에 두고 권취 롤(28)에 도달하고, 권취 롤(28)과 한 쌍의 프레스 롤(30)에 의해 직물권취 빔(32)으로 내보내져 직물권취 빔(32)에 감긴다.
경사 빔(14)은, 송출 모터(34)에 의해 톱니바퀴와 같은 송출기구(36)를 사이에 두고 회전되어 복수의 경사(12)를 시트 형태로 송출한다. 경사 빔(14)에 감겨져있는 경사(12)의 양은, 경사 빔(14)으로부터의 경사(12)의 송출에 따라 점차 감소한다.
이 때문에, 경사 빔(14)의 권취직경은 권취직경 센서(38)에 의해 검출되고, 검출된 권취직경신호(D)는 송출 모터(34)를 제어하는 송출제어장치(40)에 공급된다. 송출 모터(34)의 출력축의 회전속도는 타코 발생장치(42)에 의해 검출되고, 검출된 회전속도신호(S1)는 송출제어장치(40)에 공급된다.
경사(12)에 작용하고 있는 경사장력(실제값)은 백 롤러(16)에 작용하는 하중을 검출하는 경사장력 센서(44)에 의해 검출되고, 검출된 경사장력(T1)은 송출제어장치(40)에 공급된다.
각 종광틀(18)은 주축 모터(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회전되는 주축(46)의 회전운동을 받는 운동변환기구(48)에 의해 상하로 왕복 이동되어, 경사(12)를 상하로 개구시킨다.
바디(20)는 주축(46)의 회전운동을 받는 운동변환기구(50)에 의해 요동되어, 경사(12)의 개구에 위사 삽입된 위사(52)를 제직전단부(22)에 쳐서 넣는다.
권취 롤(28)은 권취 모터(54)의 회전운동을 받는 권취기구(56)에 의해 회전되고, 한 쌍의 프레스 롤(30)과 함께 직물(24)을 직물권취 빔(32)으로 내보낸다. 이 때문에, 권취 롤(28)은 권취하는 역할을 한다.
주축(46) 및 권취 모터(54)의 회전각도는, 각각 인코더(58 및 60)에 의해 검출된다. 검출된 주축 회전각도신호(S2) 및 권취모터 회전각도신호(S3)는 권취 모터(54)를 제어하는 권취제어장치(62)에 공급된다. 또한, 주축 회전각도신호(S2)는 송출제어장치(40)에도 공급해도 좋다.
직물권취 빔(32)은, 직물권취 빔(32)에 감긴 직물(24)의 도는 속도가 직물(24)을 보내는 속도보다 약간 빨라지도록, 주축(46)의 회전운동을 받는 권취토크 조정기구(64)에 의해 미끄러짐 베어링(도시하지 않음)을 사이에 두고 회전되어, 직물(24)의 권취 장력을 일정하게 유지하도록 회전된다.
직기(10)의 작동준비시, 송출제어장치(40)는 경사(12)의 장력을 작동준비시의 목표장력으로 설정하도록 송출 모터(34)를 정회전 또는 역회전시킨다. 권취제어장치(62)는 작동준비시에 경사(12)의 이동방향에 있어서의 제직전단부(22)의 위치를 조정하기 위해 권취 모터(54)를 정회전 또는 역회전시키도록 해도 좋다.
도2를 참조하면, 위단 방지장치의 일부를 구성하는 송출제어장치(40)는, 정상운전시의 경사(12)의 목표장력(Tr)을 설정하는 설정기(70)와, 설정기(70)에 설정된 목표장력(Tr)을 이용하여 직기(10)에 작동준비를 실행시키는 작동준비 제어부(72)와, 직기(10)에 정상운전을 시키는 정상운전 제어부(74)를 포함한다.
설정기(70)에 설정되는 정상운전시의 목표장력(Tr)은 직물의 종류와 같은 제직조건이나 정지회수와 같은 정지상황에 따라 다르다. 이 때문에, 정상운전시의 목표장력(Tr)은 직기(10)의 가동상태에 맞추어 그때그때 재설정(변경)된다.
작동준비 제어부(72)는, 정상운전시의 목표장력(Tr)을 기초로 작동준비시의 경사(12)의 목표장력(역치)(Ts)을 장력 처리기로서 작용하는 목표장력 연산부(76)에서 발생하고, 발생한 목표장력(Ts)을 제1 제어기(78)에 공급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목표장력 처리기는, 주로 목표장력 연산부(76)에 의해구성되어 있고, 구동회로는 후술하는 제1 제어기(78), 가산기(86), 권취직경 보정기(94) 및 드라이버(98)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목표장력 연산부(76)에는, 작동준비시의 목표장력(Ts)을 정상운전시의 목표장력(Tr)에 의해 결정하기 위한 정보가 정상운전시의 목표장력(Tr)마다 미리 설정되어 있다. 목표장력 연산부(76)는 목표장력(Tr)과 설정되어 있는 정보에 기초하여 목표장력(Ts)을 결정한다.
그와 같은 정보는, 정상운전시의 목표장력(Tr) 값(장력값)을 파라미터로 하는 함수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목표장력 연산부(76)는, 정상운전시의 목표장력(Tr)을 이용하여 함수에 의해 규정되는 연산을 행하여 작동준비시의 목표장력(Ts)을 결정한다.
상기 정보는, 함수에 더하여, 정상운전시의 목표장력(Tr)을 보정하기 위한 보정계수를 포함하고, 함수는 정상운전시의 목표장력(Tr)과 보정계수(k)를 곱하는 수식을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목표장력 연산부(76)는 정상운전시의 목표장력(Tr)과 보정계수(k)를 곱함으로써 작동준비시의 목표장력(Ts)을 결정한다.
이 대신에, 상기 정보는 함수에 더하여, 보정값(k)을 포함하고, 함수는 정상운전시의 목표장력 값(Tr)과 보정값(k)을 가산하는 수식을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목표장력 연산부(76)는 정상운전 중의 목표장력 값(Tr)과 보정값(k)을 더하여 작동준비시의 목표장력(Ts)을 결정한다.
상기와 같은 함수 대신에, 정상운전시의 목표장력(Tr)마다 정해지고 작동준비시의 목표장력(Ts)을 포함하는 데이터군으로, 정상운전시의 목표장력(Tr)을 이용하여 선택 가능하게 기억된 데이터군을 정보로 해도 좋다. 이 경우, 목표장력 연산부(76)는 정상운전시의 목표장력(Tr)에 대응하는 데이터를 데이터군으로부터 선출하여 작동준비시의 목표장력(Ts)을 결정한다.
Tr (kg·f) Ts (kg·f)
100∼120 150
120∼140 160
140∼160 170
상기와 같은 함수, 보정계수, 보정값 및 데이터군은, 직기(10) 주축(46)의 회전각도(경사 개구량)마다 설정해도 좋다. 이 경우, 주축 회전각도신호(S2)가 목표장력 연산부(76)에 입력되고, 목표장력 연산부(76)는 작동준비신호(S4)가 입력되었을 때, 설정되어 있는 정보, 정상운전시의 목표장력(Tr) 및 직기(10)의 정지기간 중에 검출된 주축 회전각도신호(S2)를 이용하여 주축(46)의 회전각도에 대응하는 목표장력(Ts)을 결정한다.
목표장력(Ts)의 결정에 이용하는 상기와 같은 정보는, 목표장력 연산부(76)에 직접 설정되어 있어도 좋고, 직기(10)의 주제어장치에 접속되는 설정기를 사이에 두고 받도록 해도 좋다. 또한, 그와 같은 정보는 텐키(ten-key)를 이용하여 설정해도 좋고, 기억매체를 이용하여 설정해도 좋다.
보정계수 및 보정값을 이용하는 경우는, 직기(10)에 있어서, 정상운전시의 목표장력과 같아도 되는 수도 있어, 그와 같은 경우에는 보정 없음으로 설정할(즉,보정계수를 1, 보정값을 0으로 설정한다) 수도 있다.
제1 제어기(78)는, 목표장력 연산부(76)에서 출력되는 목표장력(Ts)과 경사장력 센서(44)로부터 공급되는 경사장력(T1)을 비교기(80)에서 비교하여, 양자가 일치했을 때 작동준비 완료신호(S5)를 비교기(80)로부터 출력한다. 작동준비 완료신호(S5)는 전환기(82)의 한쪽 입력단자에 공급됨과 동시에, 도시하지 않은 주제어장치에 공급된다.
전환기(82)의 다른쪽 입력단자에는, 설정기(84)가 접속되고, 이것에 설정된 속도지령(-VH)이 그 입력단자에 입력되어 있다. 속도지령(-VH)은 작동준비시에 송출 모터(34)를 구동시키기 위한 신호로서 이용되고, 또한 작동준비시에 송출 모터(34)를 역회전시키도록 큰 음의 값으로 되어 있다.
전환기(82)는, 작동준비신호(S4)가 입력된 때부터 작동준비 완료신호(S5)가 입력될 때까지, 설정기(84)에 설정된 속도지령(-VH)을 가산부(86)의 한쪽 입력단자에 출력한다. 그러나, 경사장력(T1)이 목표장력(Ts)에 도달했을 때, 작동준비 완료신호(S5)가 비교기(80)로부터 발생하고, 전환기(82)가 속도지령 출력을 0으로 하고, 그 결과 송출 모터(34)가 바로 정지한다. 이에 의해, 경사장력(T1)은 작동준비동작에 의해 목표장력 연산부(76)에서 발생된 목표장력(Ts)으로 유지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직기(10)의 정지 중에 경사장력이 목표장력 이하로 저하하는 것에 대응하는 것이지만, 반드시 경사장력이 저하되지 않고, 목표장력 이상으로 되어 있는 경우도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직기(10)의 정지시간이 짧아, 경사장력이 그만큼 저하하지않거나, 작동준비시에 있어서의 권취장치쪽에 의한 제직전단부 위치 보정동작에 따라 제직전단부 위치가 앞쪽으로 이동되어, 경사장력이 반대로 상승되는 일도 있다. 그와 같은 경우에는, 하기와 같은 구성을 생각할 수 있다.
비교기(80)는, 실제 경사장력의 작동준비시의 목표장력(Ts)에 대한 대소관계 및 일치를 판별하고, 판별결과에 대응하는 신호를 전환기(82)에 출력시키도록 한다. 전환기(82)에는, 양의 값의 속도지령(VH)이 설정되는 설정기를 접속하고, 비교기(80)에 의한 판별결과에 따라 선택속도지령(VH)을 출력 가능하게 한다.
작동준비시, 실제 경사장력이 작동준비시의 목표장력(Ts)을 웃돌고 있을 때, 비교기(80)가 대응하는 판별신호를 출력하고, 전환기(82)가 양의 값의 속도지령(VH)을 출력함으로써, 송출 모터(34)(즉, 송출 빔)를 정회전시키고, 작동준비시의 목표장력(Ts)에 가까운 방향으로 구동시킬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제1 제어기(78)의 내부 구성 및 기능에 대해서는 상기 이외에도 여러 가지 생각할 수 있고, 도시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정상운전 제어부(74)는, 경사(12)를 송출하는 기본 송출속도(V1)를 발생하는 기본속도 신호발생기(90)와, 경사(12)의 장력편차를 해소하는 보정 송출속도(V2)를 발생하는 제2 제어기(88)와, 양속도(V1 및 V2)를 가산하는 가산부(92)를 갖추고 있다.
직물(24)의 바디치기 밀도를 나타내는 바디치기 밀도 신호(S6)와 직기(10) 주축(46)의 회전수를 나타내는 직기 회전수 신호(S7)는 기본속도 신호발생기(90)에 입력된다. 설정기(70)에 설정된 목표장력(Tr)과 경사장력 센서(44)로부터의 경사장력(T1)은 제2 제어기(88)에 공급된다. 직기(10)의 정상운전을 지령하는 운전신호(S0)는 주제어장치로부터 기본속도 신호발생기(90) 및 제2 제어기(88)에 공급된다.
기본속도 신호발생기(90)는, 온(ON)의 운전신호(S0)가 공급되어 있는 동안, 직기 회전수 신호(S7) 및 바디치기 밀도 신호(S6)를 기초로, 경사(12)의 장력이 제직해야 할 직물(24)의 종류에 따른 값이 되는 경사(12)의 송출속도를 산출하고, 산출한 속도신호를 기본 송출속도(V1)로서 가산부(92)의 한쪽 입력단자에 출력한다.
제2 제어기(88)는 경사장력 센서(44)로부터 공급되는 경사장력(T1)과, 설정기(70)에 미리 설정된 목표장력(Tr)을 기초로, 경사(12)에 작용하고 있는 장력(경사장력)(T1)이 정상운전시의 목표장력(Tr)이 되는 보정 송출속도(V2)를 산출하고, 산출한 보정 송출속도(V2)를 가산부(92)의 다른쪽 입력단자에 출력한다.
가산부(92)는, 양 입력속도(V1 및 V2)를 가산하고, 가산신호(V3)를 가산부(86)의 다른쪽 입력단자에 출력한다. 그러나, 정상운전 제어부(74), 특히 제2 제어기(88) 및 기본속도 신호발생기(90)는 ON의 운전신호(S0)가 입력되어 있을 때에만 작용하기 때문에, 작동준비시에는 가산신호(V3)는 가산부(92)로부터 출력되지 않는다.
이 때문에, 가산부(86)는 작동준비시이면, 작동준비 제어부(72)의 속도지령(-VH)을 권취직경 보정기(94)에 출력하고, 정상운전시이면, 정상운전 제어부(74)의 출력신호(V3)를 권취직경 보정기(94)에 출력한다.
권취직경 보정기(94)는 도1에 나타낸 권취직경 센서(38)로부터의 권취직경신호(D)에 기초하여, 가산부(86)로부터의 가산신호(V4)를 보정하고, 보정한 송출속도신호(S8)를 감산부(96)의 한쪽 입력단자에 출력한다.
감산부(96)는, 권취직경 보정기(94)로부터의 송출속도신호(S8)에서 회전속도신호(S1)를 감산하고, 그 산출결과를 송출속도지령(S9)으로서 드라이버(98)에 출력한다. 드라이버(98)는, 송출속도지령(S9)을 증폭하여, 송출 모터(34)를 구동시키는 증폭회로로써 작용한다.
구체적으로, 드라이버(98)는 송출 모터(34)를 입력하는 송출속도지령(S9)에 따라 회전시키기 위한 전류를 출력하는 증폭회로이고, 감산부(96)로부터의 송출속도지령(S9)이 양이면, 송출 모터(34)를 정회전시키고, 음이면 송출 모터(34)를 역회전시킨다. 이상과 같이 하여, 경사(12)의 장력이 소정의 값으로 유지된다.
이 때문에, 송출제어장치(40)는 회전속도신호(S1) 및 송출속도신호(S8)를 이용하여, 경사 빔(14)으로부터 송출되는 경사(12)의 속도가 송출속도지령(S9)에 따른 회전속도가 되도록, 송출 모터(34)를 제어하는 피드백 회로의 기능을 갖추고 있다.
상기와 같이, 송출제어장치(40)는 정상운전시의 목표장력(Tr)이 설정되면, 설정된 목표장력(Tr)을 기초로 작동준비시의 목표장력(Ts)을 자동적으로 결정한다. 이 때문에, 종래에 비해 정상운전시의 목표장력(Tr)의 변경 때마다 행해졌던 작동준비시의 목표장력(Ts)의 재설정이 불필요해지고, 작업이 간략화되고, 작동준비시의 목표장력(Ts)의 설정 누락으로 인한 위단의 발생이 확실하게 방지된다.
도3을 참조하면, 목표장력 연산부(76)는 정상운전시의 목표장력(Tr) 값(장력값)에 보정계수(k)를 곱함으로써, 또는 보정값(k)을 가산함으로써, 작동준비시의 목표장력(Ts)을 결정하도록 된다. 목표장력 연산부(76)는 연산기(102)와 설정기(100)로 이루어지고, 계수(k) 또는 보정값(k)은 설정기(100)에 설정되어 있다.
함수 발생기로서의 연산기(102)는, 정상운전시의 목표장력(Tr)에 보정계수(k) 또는 보정값(k)을 곱하기 또는 가산하는 수식을 이용하여, 정상운전시의 목표장력(Tr)에 보정계수(k)를 곱하기 또는 가산함으로써, 작동준비시의 목표장력(Ts)을 결정한다. 그와 같은 수식은 미리 연산기(102)에 설정되어 있다.
연산기(102)가 곱셈(乘算)기인 경우, 보정계수(k)는 1을 포함하는 양의 값이고, 위단의 발생상황에 따라 작업자에 의해 직기의 작동에 앞서 설정기(100)에 설정된다. 이 경우, 목표장력(Ts)의 결정에 이용하는 수식은 Ts=k·Tr이다.
이에 대해, 연산기(102)가 가산기인 경우, 보정값(k)은 0을 포함하는 양 또는 음의 값이고, 위단의 발생상황에 따라 작업자에 의해 직기의 작동에 앞서 설정기(100)에 설정된다. 이 경우, 목표장력(Ts)의 결정에 이용하는 수식은 Ts=Tr±k이다.
보정계수(k)의 설정예를 도4(A)에 나타내고, 보정값(k)의 설정예를 도4(B)에 나타내었다. 모두 세로축은 작동준비시의 목표장력(Ts)을 나타내고, 가로축은 정상운전시의 목표장력(Tr)을 나타낸다.
상기 실시예에서는, 작동준비시의 목표장력(Ts)을, 수식을 이용한 연산에 의해 결정하고 있지만, 작동준비시의 목표장력(Ts)의 결정은 그와 같은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상기한 목표장력 연산부(76) 대신에 다음과 같은 목표장력 발생부(110)를 구성할 수 있다.
도5를 참조하면, 목표장력 발생부(110)는, 정상운전시의 목표장력(Tr)마다 정해지고 작동준비시의 목표장력(Ts)을 포함하는 데이터군을 이용한다. 데이터군은 표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정상운전시의 목표장력(Tr)을 이용하여 선택할 수 있게 정상운전시의 목표장력(Tr)마다 정해진 표의 형태로 기억기(104)에 기억되어 있다.
독출(讀出)장치로서의 선택회로(106)는, 정상운전시의 목표장력(Tr)을 이용하여, 그 목표장력(Tr)에 대응하는 목표장력(Ts)을 선택함으로써 작동준비시의 목표장력(Ts)을 결정한다.
직기(10)의 운전을 개시하는 주축 회전각도가 항상 같은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그와 같이 하지 않는(즉, 운전을 개시하는 주축 회전각도에 고르지 못함이 생기는) 직기(10)의 경우에는, 정지 중에 검출된 주축 회전각도신호(S2)에 따라 작동준비시의 목표장력을 결정하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
상기의 경우, 목표장력 연산부(76) 또는 목표장력 발생부(110)에는, 주축 회전각도에 대응하는 수식, 보정계수, 보정값 및 데이터군의 최소한 하나가 상기 정보로서 설정된다. 이에 의해, 목표장력 연산부(76) 또는 목표장력 발생부(110)는, 정상운전시의 목표장력(Tr) 및 직기(10)의 정지기간에 있어서의 주축 회전각도신호(S2)에 기초하여, 작동준비시의 목표장력을 결정할 수 있다.
작동준비시의 목표장력(Ts)의 결정을 위한 주축 회전각도의 검출시기는, 정지 직후, 직공(織工)의 도달 대기시 및 작동준비 전의 어느 한쪽이어도 좋다. 검출시기를 직공의 도달 대기시로 설정하면, 경사(12)의 늘어남에 의한 제직전단부(22) 위치의 변위가 보정 가능해진다. 검출시기를 작동준비시로 설정하면, 작동준비시의 주축(46) 각도의 고르지 못함, 환언하면, 경사 개구량의 고르지 못함에 따른 변동 장력의 영향을 해소할 수 있다.
작동준비시의 목표장력(Ts)은, 정상운전시의 목표장력(Tr)이 변경될 때마다 결정하도록 해도 좋고, 정상운전시의 설정값을 감시하여 항상 출력하도록 해도 좋다. 또한, 작동준비시의 목표장력(Ts)의 결정시기는, 정상운전시의 목표장력(Tr)의 변경시로 한정되지 않고, 최소한 작동준비시의 장력설정동작의 개시 직전까지 결정해 있으면 된다.
작동준비시의 목표장력(Ts)으로서, 최종적인 하나를 설정할 뿐만 아니라, 그 전 단계로서 1 이상의 목표장력을 더 설정하고, 작동준비신호(S4)의 발생 후에 경사장력을 순차 단계적으로 목표장력으로 설정하고, 최종적으로 최종 목표장력(Ts)으로 설정해도 좋다.
상기 실시예에서는, 경사 전체의 장력을 검출하고 있지만, 그 대신에 일부 경사(12)의 장력을 검출해도 좋다. 또한, 경사장력으로서 백 롤러(16)의 비뚤어짐을 검출하는 대신에, 백 롤러(16)의 변위를 검출해도 좋고, 백 롤러(16) 이외의 부재, 예를 들어 경사(12) 또는 직물(24)에 접촉하는 부재의 비뚤어짐이나 변위를 검출해도 좋다.
상기 실시예에서는, 송출 모터(34) 및 권취 모터(54)를 개별 제어장치로 제어하고 있지만, 양자를 단일 제어장치로 제어해도 좋고, 양자의 제어기능을 주제어장치에 의해 제어해도 좋다.
장력설정동작을 실행하는 제어기로서, PID 제어기를 이용해도 좋고, 다른 공지된 제어기를 이용해도 좋고, 보다 더 간략화한 제어기를 이용해도 좋다. 제어기로서, 경사장력을 비교하는 비교기, 및 비교결과에 따라 속도지령의 출력상태를 전환하는 속도지령 출력회로를 이용하는 경우, 목표장력에 도달 후의 타주(惰走) 회전에 의한 장력의 벗어남을 작게 하기 위해, 예를 들어 장력편차를 해소하는 방향으로 고속의 속도지령 값을 출력하고, 목표장력에 가까워진 시점에서 장력편차가 해소하는 방향으로 저속의 속도지령 값으로 전환하여 출력하여, 설정장력에 도달함으로써 그 출력을 정지하도록 해도 좋다.
본 발명은, 변환 직기의 제어에도 적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 종류의 위사를 위사 삽입 픽에 따라 전환하는 직기에 있어서, 위사 밀도마다 정상운전 중의 목표장력을 전환하는 경우, 작동준비 중의 목표장력도 정상운전 중의 목표장력이 전환될 때마다 전환하도록 해도 좋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서는, 작동준비 제어부(72), 정상운전 제어부(74), 가산부(86) 및 권취직경 보정기(94)를 각각 개별 구성의 회로로 하고 있지만, 그들을 단일 회로 구성으로 해도 좋다. 또한, 그들의 기능을 하드웨어 회로로 실행시키는 구성으로 해도 좋지만, 마이크로컴퓨터 및 소프트웨어 처리로 실행시키도록 해도 좋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그 취지를 벗어나지 않는 한, 각종 변경이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른 직기에 있어서의 위단 방지장치는, 작동준비시에 대응하여, 정상운전 중과는 다른 목표장력이 설정되고, 작동준비신호의 입력에 의해, 경사장력을 대응한 목표장력으로 한 후, 운전을 개시하는 직기에 있어서, 작동준비시의 목표장력의 재설정 누락으로 인한 위단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 발명의 효과를 갖는다.
본 발명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용이하게 이용될 수 있으며, 이러한 변형이나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영역에 포함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Claims (7)

  1. 작동준비시의 경사의 목표장력을, 정상운전시의 경사의 목표장력과 다른 값으로 결정할 수 있는 목표장력 처리기와, 직기의 운전개시에 앞서 입력되는 작동준비신호에 의해, 경사장력을 상기 목표장력 처리기로부터 출력되는 작동준비시에 대응하는 목표장력으로 하도록 경사 빔을 구동시키는 구동회로를 포함하고,
    상기 목표장력 처리기에는, 작동준비시의 목표장력을 정상운전시의 목표장력에 의해 결정하기 위한 정보가 미리 설정되어 있고,
    상기 목표장력 처리기는, 상기 정상운전시의 목표장력과 상기 정보에 기초하여 작동준비시의 목표장력을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기에 있어서의 위단 방지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는 경사의 목표장력을 파라미터로 하는 함수를 포함하고, 상기 목표장력 처리기는 상기 함수를 이용하는 연산을 행하여 상기 작동준비시의 목표장력을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기에 있어서의 위단 방지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는 보정계수를 더 포함하고,
    상기 함수는 상기 정상운전시의 경사의 목표장력과 상기 보정계수를 곱하는 수식을 포함하고,
    상기 목표장력 처리기는, 상기 정상운전시의 목표장력과 상기 보정계수를 곱하여 상기 작동준비시의 목표장력을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기에 있어서의 위단 방지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는 보정값을 더 포함하고,
    상기 함수는 상기 정상운전 중의 목표장력과 상기 보정값을 가산하는 수식을 포함하고,
    상기 목표장력 처리기는, 상기 정상운전 중의 목표장력과 상기 보정값을 더하여 상기 작동준비시의 목표장력을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기에 있어서의 위단 방지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는 상기 정상운전시의 목표장력마다 정해진 상기 작동준비시의 경사의 목표장력을 포함하는 데이터군으로, 상기 정상운전시의 목표장력을 이용하여 선출 가능하게 기억된 데이터군을 포함하고,
    상기 목표장력 처리기는, 상기 정상운전시의 목표장력 값에 대응하는 데이터를 상기 데이터군으로부터 선출하여 상기 작동준비시의 목표장력을 결정하는 것을특징으로 하는 직기에 있어서의 위단 방지장치.
  6. 제1항 내지 제5항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의 최소한 일부가 직기 주축의 회전각도마다 설정되어 있고,
    주축의 회전각도를 나타내는 주축 회전각도신호가 상기 목표장력 처리기에 입력되어 있고,
    상기 목표장력 처리기는 작동준비신호가 입력되었을 때, 상기 정보, 상기 정상운전시의 목표장력 및 직기의 정지기간 중에 검출된 주축 회전각도신호를 이용하여, 대응하는 작동준비시의 목표장력을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기에 있어서의 위단 방지장치.
  7. 제1항 내지 제6항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목표장력 처리기는 상기 정상운전 중의 목표장력과 상기 정보를 기초로 상기 작동준비시의 목표장력을 결정하고, 결정한 목표장력을 작동준비시에 상기 구동회로에 출력하는 처리부를 갖춘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기에 있어서의 위단 방지장치.
KR10-2004-0009486A 2003-03-31 2004-02-13 직기에 있어서의 위단 방지장치 KR10053574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3-00094116 2003-03-31
JP2003094116A JP4189249B2 (ja) 2003-03-31 2003-03-31 織機における織段防止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86526A true KR20040086526A (ko) 2004-10-11
KR100535741B1 KR100535741B1 (ko) 2005-12-09

Family

ID=328446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09486A KR100535741B1 (ko) 2003-03-31 2004-02-13 직기에 있어서의 위단 방지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EP (1) EP1464745B1 (ko)
JP (1) JP4189249B2 (ko)
KR (1) KR100535741B1 (ko)
CN (1) CN1306090C (ko)
DE (1) DE602004018055D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909042B2 (ja) * 2011-01-21 2016-04-26 津田駒工業株式会社 織機における経糸送り方法および装置
CN102899779A (zh) * 2011-07-26 2013-01-30 吴江市华士纺织品有限公司 一种便于移动的卷布辊
CN102899780A (zh) * 2011-07-26 2013-01-30 吴江市华士纺织品有限公司 一种织布机卷布装置
CN104762736A (zh) * 2015-04-03 2015-07-08 苏州科明纺织有限公司 一种电子式送经装置
CN111945304A (zh) * 2020-08-13 2020-11-17 广州高梭自动化科技有限公司 一种下摆自适应调节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480665A (en) * 1981-01-21 1984-11-06 Nissan Motor Company, Limited Weft-bar (set mark) prevention system for a loom
JPS59157355A (ja) * 1983-02-28 1984-09-06 株式会社豊田自動織機製作所 織機の運転開始方法
JPS60155757A (ja) * 1984-01-20 1985-08-15 津田駒工業株式会社 織機の電動送り出し・巻取制御方法およびその装置
JPH0418151A (ja) * 1990-05-11 1992-01-22 Tsudakoma Corp たて糸張力制御装置
JP2906716B2 (ja) * 1991-04-01 1999-06-21 株式会社豊田自動織機製作所 織機における織段発生防止装置
JPH06306746A (ja) * 1993-04-17 1994-11-01 Nissan Tekushisu Kk レベリング装置を有するカム式開口装置を備えた織機の織段防止装置
JP3330477B2 (ja) * 1995-10-13 2002-09-30 津田駒工業株式会社 織段防止方法
JP2003003351A (ja) * 2001-06-20 2003-01-08 Tsudakoma Corp 織機における織段防止方法及び装置
JP2003013340A (ja) * 2001-06-28 2003-01-15 Tsudakoma Corp 織機の電動送り出し制御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4300610A (ja) 2004-10-28
EP1464745B1 (en) 2008-12-03
EP1464745A2 (en) 2004-10-06
KR100535741B1 (ko) 2005-12-09
CN1306090C (zh) 2007-03-21
DE602004018055D1 (de) 2009-01-15
JP4189249B2 (ja) 2008-12-03
CN1534122A (zh) 2004-10-06
EP1464745A3 (en) 2005-02-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35741B1 (ko) 직기에 있어서의 위단 방지장치
KR100535720B1 (ko) 직기의 위단 방지방법 및 장치
KR20060049761A (ko) 직기의 날실 장력 제어 방법 및 장치
KR100535728B1 (ko) 경사 제어방법 및 장치
JP2003013340A (ja) 織機の電動送り出し制御方法
EP1331295A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eventing weft bars in a loom
JP4851495B2 (ja) 織機の経糸制御装置
JP2671508B2 (ja) 多色織機における織段発生防止方法
JP4159916B2 (ja) 織機の経糸制御方法
JP4098150B2 (ja) 織機の織段防止装置
EP1101852B1 (en) Method for controlling tension of warp
KR20060049756A (ko) 날실 장력 감시 방법
JPS6221845A (ja) 織機における止段発生防止方法
JP2003221762A (ja) 織機運転制御方法
JP4616368B2 (ja) 織機の織り段防止方法及び装置
JP2623669B2 (ja) 織機における織段発生防止方法
JP2712292B2 (ja) 織機における織段発生防止方法
JP2004323998A (ja) 経糸ビームの駆動方法及び装置
JP3576999B2 (ja) 織機における織段防止方法及び装置
JPH05148743A (ja) 織機における起動方法及び装置
JP4718213B2 (ja) 織機の経糸張力制御方法及び装置
JPH0734356A (ja) 織機の送出し制御装置
JP2004339660A (ja) 織機における織段防止方法及び装置
JP2003193355A (ja) 織機の運転停止時における電動送り出し装置の制御方法
JP2004190180A (ja) 織機の織り段防止方法及び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1118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