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72461A - 자동 이륜차의 시트 구조 - Google Patents

자동 이륜차의 시트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72461A
KR20040072461A KR1020040007840A KR20040007840A KR20040072461A KR 20040072461 A KR20040072461 A KR 20040072461A KR 1020040007840 A KR1020040007840 A KR 1020040007840A KR 20040007840 A KR20040007840 A KR 20040007840A KR 20040072461 A KR20040072461 A KR 2004007246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t
bottom plate
tandem
hinge
she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078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34679B1 (ko
Inventor
다나카데츠지
요시다다케시
나카무라도시노리
Original Assignee
혼다 기켄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혼다 기켄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혼다 기켄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400724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7246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346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34679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JCYCLE SADDLES OR SEATS; AUXILIARY DEVICE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TO CY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ARTICLE CARRIERS OR CYCLE PROTECTORS
    • B62J1/00Saddles or other seats for cycles; Arrangement thereof; Component parts
    • B62J1/12Box-shaped seats; Bench-type seats, e.g. dual or twin sea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2/00Coffee mills; Spice mills
    • A47J42/02Coffee mills; Spice mills having grinding cones
    • A47J42/04Coffee mills; Spice mills having grinding cones hand driven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77/00Vehicle locks characterised by special functions or purposes
    • E05B77/14Specially controlled locking actions in case of open doors or in case of doors moved from an open to a closed position, e.g. lock-out prevention or self-cancell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KCYCLES; CYCLE FRAMES; CYCLE STEERING DEVICES; RIDER-OPERATED TERMINAL CONTROL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CYCLE AXLE SUSPENSIONS; CYCLE SIDE-CARS, FORECARS, OR THE LIKE
    • B62K19/00Cycle frames
    • B62K19/46Luggage carriers forming part of fram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3/00Implements for preparing or holding food,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7J43/04Machines for domestic use not covered elsewhere, e.g. for grinding, mixing, stirring, kneading, emulsifying, whipping or beating foodstuffs, e.g. power-driven
    • A47J43/07Parts or details, e.g. mixing tools, whipping too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KCYCLES; CYCLE FRAMES; CYCLE STEERING DEVICES; RIDER-OPERATED TERMINAL CONTROL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CYCLE AXLE SUSPENSIONS; CYCLE SIDE-CARS, FORECARS, OR THE LIKE
    • B62K2202/00Motorised scoot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Vehicle Step Arrangements And Article Storage (AREA)
  • Automatic Cycles, And Cycles In General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Abstract

운전자용 시트(23A)와 동승자용 시트(23B)를 전후에 연결한 탠덤 시트(23)의 바닥판(54)에 발포 성형재를 이용한 자동 이륜차에 있어서, 운전자용 시트(23A)측의 바닥판 전부(54A)의 전부 상면 세로 립(244) 및 전부 상면 가로 립(245)보다 동승자용 시트(23B)측의 바닥판 후부(54C)의 후부 상면 세로 립(251)을 기밀하게 배치하였다.
동승자용 시트의 강성 향상에 의해 동승자용 시트 측의 바닥판의 강성을 크게 할 수 있기 때문에 동승자용 시트를 무리하게 여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서 도난 방지 효과를 높일 수 있고, 종래와 같은 시트 자물쇠 채움 기구를 시트 후부에 설치할 필요가 없으며, 본 발명에서는 시트 자물쇠 채움 기구를 하나로 할 수 있다. 또한, 운전자용 시트는 바닥판의 립이 적기 때문에, 착석감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는 동시에 중량 증가를 억제할 수 있다.

Description

자동 이륜차의 시트 구조{SEAT STRUCTURE OF MOTORCYCLE}
본 발명은 시트의 바닥판에 발포 성형재를 이용한 자동 이륜차의 시트 구조에 관한 것이다.
자동 이륜차의 시트 구조로서는 다수의 시트 자물쇠 채움 기구를 구비하는 것(예를 들면, 특허 문헌 1 참조), 시트의 바닥판에 발포 성형재를 이용한 것(예를 들면, 특허 문헌 2 참조)이 알려져 있다.
(특허 문헌 1)
일본국 특개 2001-239970 공보(제3페이지, 도 2)
(특허 문헌 2)
일본국 특개 2001-114147 공보(제3-5페이지, 도 2, 도 3, 도 13)
특허 문헌 1의 도 2를 이하의 도 26에서 설명한다. 또한, 부호는 다시 붙였다.
도 26은 종래의 자동 이륜차의 시트 구조를 도시하는 분해 사시도(종래예 1)로, 러기지 박스(301)의 전부에 시트 힌지(302)를 통해서 시트(303)를 개폐 가능하게 부착하고, 이 시트(303)의 저면에 제1 コ자 핏팅(304) 및 제2 コ자 핏팅(305)을 부착하고, 제1 コ자 핏팅(304)을 받치기 위해서 러기지 박스(301)의 측부에 제1 시트 자물쇠 채움 기구(306)를 배치하고, 제2 コ자 핏팅(305)을 받치기 위해서 러기지 박스(301)의 후부에 제2 시트 자물쇠 채움(施錠) 기구(307)를 배치한 시트 개폐 구조가 기재되어 있다.
특허 문헌 2의 도 2를 이하의 도 27에서 설명하고, 도 3을 이하의 도 28에서 설명하며, 도 13을 이하의 도 29에서 설명한다.
도 27은 종래의 자동 이륜차의 시트 구조를 도시하는 단면도(종래예 2)로, 바닥판(311)에 쿠션재(312)를 올려놓고, 이 쿠션재(312)를 표피재(313)로 덮은 시트(314)를 도시한다.
바닥판(311)은 내층(311a)을 발포층, 외층(311b, 311b)을 발포 부분을 거의 포함하지 않는 가늘고 기밀한 층으로 한 샌드위치 구조를 이루는 것으로, 운전자가 착석하는 개소에 대응시킨 전부(316)와, 전부(316)의 후방에 경사지게 설치한 중간부(317)와, 이 중간부(317)의 후방에 동승자가 착석하는 개소에 대응시켜서 설치한 후부(318)로 이루어진다.
도 28은 종래의 시트를 도시하는 저면도(종래예 2)로, 시트(314)의 하면(321)의 거의 전체에 격자 형상으로 다수의 립(322)을 형성한 것을 도시한다.
도 29는 종래의 시트의 다른 실시 형태(종래예 2)를 도시하는 저면도로, 시트(324)의 바닥판(325)을 발포층을 내층에 갖는 샌드위치 구조로 하는 동시에, 두께를 두껍게 함으로써 하면(326)으로부터 보강용의 립을 폐지한 것을 도시한다.또한, 328은 차체측에 개폐 가능하게 부착한 시트(324)를 차체측에 걸어서 고정하는 걸림 부재이다.
도 26에서는 러기지 박스(301)에 시트(303)를 개폐 가능하게 부착하기 위해서, 제1 시트 자물쇠 채움 기구(306) 및 제2 시트 자물쇠 채움 기구(307)를 이용하여, 대형 시트(303)의 도난 방지 효과를 도모하고 있지만, 도난 방지 효과를 발휘하면서 시트 자물쇠 채움 기구를 하나로 할 수 있으면, 부품수가 줄어서 비용이 저하하게 된다.
또, 도 27 및 도 28에서는 하면(321)의 거의 전체에 립(232)을 형성하여 시트(314)의 전체적인 강성 상승을 도모하고, 도 29에서는 바닥판(325)의 하면(326)에 보강용의 립을 설치하지 않고, 바닥판(325)의 두께를 두껍게 함으로써 시트(324)의 강성을 높인다. 이것에 의해, 시트(314, 324)의 도난 방지 효과를 높일 수 있지만, 중량 상승 및 비용 상승이 된다.
또한, 예를 들면, 시트(314, 324)의 바닥판(311, 325)의 강성을 부분적으로 변화시킬 수 있으면, 착석감을 만족시키면서 도난 방지 효과를 발휘할 수 있는 구조로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그래서, 본 발명의 목적은 자동 이륜차의 시트 구조를 개량함으로써, 시트의 도난 방지 효과를 높여서, 비용 저감, 중량 저감 및 착석감 향상을 도모하는 데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청구항 1은 운전자용 시트와 동승자용 시트를전후에 연결한 탠덤 시트의 바닥판에 발포 성형재를 이용한 자동 이륜차에 있어서, 운전자용 시트측의 바닥판의 립보다 동승자용 시트측의 바닥판의 립을 기밀하게 배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닥판을 발포 성형하였기 때문에 경량화할 수 있고, 또, 운전자용 시트측의 립보다 동승자용 시트측의 립을 기밀하게 배치함으로써, 동승자용 시트측의 바닥판의 강성을 크게 할 수 있기 때문에 동승자용 시트를 무리하게 여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서 도난 방지 효과를 높일 수 있다.
또한, 운전자용 시트는 립이 적기 때문에, 착석감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는 동시에 중량 증가를 억제할 수 있다.
동승자용 시트의 도난 방지 효과가 높아지면, 종래와 같은 시트 자물쇠 채움 기구를 시트 후부에 설치할 필요가 없고, 본 발명에서는 시트 자물쇠 채움 기구를 하나로 할 수 있어서, 비용 다운을 도모할 수 있다.
청구항 2는 탠덤 시트 아래쪽에 배치한 수납 박스에 탠덤 시트를 개폐 가능하게 부착하기 위한 시트 힌지를 바닥판의 좌우 일측에 설치하고, 수납 박스측에 구비하는 시트 캐치에 맞물리는 시트 훅을 바닥판의 좌우 타측에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시트 힌지와 시트 캐치 및 시트 훅을 1세트만 탠덤 시트의 전체 길이의 거의 중앙에 배치해도, 동승자용 시트의 강성이 높기 때문에, 탠덤 시트의 후부를 무리하게 여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서, 도난 방지 효과를 높일 수 있다.
청구항 3은 탠덤 시트를 닫은 상태에서는 수납 박스에 설치한 오목부에 맞물리게 함으로써 탠덤 시트를 여는 것을 방지하는 스토퍼부를 바닥판의 전부에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닥판의 전부에 스토퍼부를 구비함으로써, 탠덤 시트의 후부에 더하여, 탠덤 시트의 전부의 도난 방지 효과를 높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관한 자동 이륜차의 측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관한 자동 이륜차의 후부를 도시하는 요부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관한 자동 이륜차의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관한 시트 힌지의 부착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관한 시트 힌지의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관한 시트 힌지의 요부를 도시하는 요부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관한 시트 힌지의 힌지축의 경사를 도시하는 설명도,
도 8은 본 발명에 관한 시트 캐치의 부착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에 관한 시트 캐치의 설명도,
도 10은 본 발명에 관한 시트 힌지의 힌지 커버를 설명하는 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에 관한 차체 커버의 절결부를 도시하는 설명도,
도 12는 본 발명에 관한 힌지 커버의 개방 동작을 설명하는 작용도,
도 13은 본 발명에 관한 러기지 박스의 사시도,
도 14는 본 발명에 관한 탠덤 시트의 저면을 도시하는 저면도,
도 15는 본 발명에 관한 러기지 박스와 탠덤 시트의 맞물림을 설명하는 단면도,
도 16은 본 발명에 관한 탠덤 시트의 단면도,
도 17은 본 발명에 관한 탠덤 시트의 저면도,
도 18은 본 발명에 관한 바닥판의 평면도,
도 19는 본 발명에 관한 시트의 단면도,
도 20은 도 17의 20-20선 단면도,
도 21은 도 17의 21-21선 단면도,
도 22는 본 발명에 관한 바닥판의 단면도,
도 23은 본 발명에 관한 바닥판의 주변 가장자리부를 도시하는 단면도,
도 24는 본 발명에 관한 바닥판을 관통시킨 고정용 바늘의 단면도,
도 25는 본 발명에 관한 바닥판의 작용을 도시하는 단면도,
도 26은 종래의 자동 이륜차의 시트 구조를 도시하는 분해 사시도(종래예 1)
도 27은 종래의 자동 이륜차의 시트 구조를 도시하는 단면도(종래예 2)
도 28은 종래의 시트를 도시하는 저면도(종래예 2)
도 29는 종래의 시트의 다른 실시 형태를 도시하는 저면도(종래예 2)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자동 이륜차 22 : 러기지 박스
23 : 탠덤 시트 23A : 운전자용 시트
23B : 동승차용 시트 51 : 시트 힌지
52 : 시트 캐치 53 : 시트 훅
54 : 바닥판 184 : 오목부
186 : 스토퍼부(볼록부)
244, 245 : 운전자용 시트측의 바닥판의 립(전부 상면 세로 립, 전부 상면 가로 립)
251 : 동승자용 시트측의 바닥판의 립(후부 상면 세로 립)
본 발명의 실시 형태를 첨부 도면에 기초하여 이하에 설명한다. 또한, 도면은 부호의 방향으로 보는 것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관한 자동 이륜차의 측면도로, 자동 이륜차(10)는 헤드 파이프(11)를 전단(前端)에 부착한 차체 프레임(12)과, 헤드 파이프(11)에 회전 가능하게 부착한 핸들 축(13)과, 이 핸들 축(13)의 하부에 부착한 프론트 포크(14)와, 이 프론트 포크(14)의 하단에 부착한 전륜(16)과, 이 전륜(16)을 조타하기 위해서 핸들 축(13)의 상부에 부착한 핸들(17)과, 핸들 축(13), 헤드 파이프(11) 및 프론트 포크(14)의 전부를 덮는 프론트 커버(18)와, 이 프론트 커버(18)의 후부에 부착한 프론트 인너 커버(21)와, 전술한 차체 프레임(12)의 후부 상부에 부착한 수납 박스로서의 러기지 박스(22)와, 이 러기지 박스(22)의 윗쪽에 개폐 가능하게 배치한 탠덤 시트(23)와, 차체 프레임(12)의 후부 하부에 부착한 파워 유닛(24)과, 이 파워 유닛(24)의 후단부에 부착한 후륜(26)으로 이루어진다.
여기에서, 31은 전륜(16)의 윗쪽을 덮는 프론트 펜더, 32는 핸들(17)의 전방을 덮는 핸들 커버, 33은 핸들 커버(32)에 부착한 윈드 스크린, 34는 핸들 커버(32)의 후부에 부착한 핸들 인너 커버, 36은 백미러, 37, 37(앞쪽의 부호 37만도시)은 플로어 스텝, 38, 38(앞쪽의 부호 38만 도시)은 플로어 스텝(37, 37)을 지지하는 스텝 지지 프레임, 41, 42는 파워 유닛(24)을 구성하는 엔진 및 동력 전달 기구, 43은 스탠드, 44는 파워 유닛(24)의 후단과 차체 프레임(12)의 후단에 걸쳐진 리어 쿠션 유닛, 46은 차체 커버, 47은 후륜(26)의 윗쪽을 덮는 리어 펜더이다.
자동 이륜차(10)는 탠덤 시트(23)의 바닥판의 형상에 특징이 있고, 이 형상에 의해서, 탠덤 시트(23)의 강성 상승을 도모하여, 도난 방지 효과를 높이고, 또한, 탠덤 시트(23)의 착석감을 향상시킨다.
도 2는 본 발명에 관한 자동 이륜차의 후부를 도시하는 요부 측면도이고, 차체 커버를 제거하는 동시에 탠덤 시트(23)를 단면으로 나타내었다.
러기지 박스(22)의 윗쪽에 개폐 가능하게 탠덤 시트(23)를 배치하기 위한 시트 힌지(51)는 차체 프레임(12)의 후부를 구성하는 리어 프레임(12A)에 부착하는 동시에, 러기지 박스(22)의 차체 오른쪽(도면에서는 러기지 박스(22)의 안쪽)에 배치한 것으로, 탠덤 시트(23)를 닫았을 때에 탠덤 시트(23)의 자물쇠를 채우는 동시에 탠덤 시트(23)측과 맞물리는 시트 캐치(52)는 리어 프레임(12A)에 부착하는 동시에, 러기지 박스(22)의 차체 왼쪽(도면에서는 러기지 박스(22)의 앞쪽)에 배치한 것이다.
시트 캐치(52)에 맞물리는 시트 훅(53)은 탠덤 시트(22)의 바닥에 설치한 바닥판(54)에 부착한 부재이다.
탠덤 시트(23)는 운전자가 걸터앉는 운전자용 시트(23A)와, 이 운전자용 시트(23A)에 대해서 한층 높게 형성된 동승자가 걸터앉는 동승자용 시트(23B)로 이루어진다.
도 3은 본 발명에 관한 자동 이륜차의 평면도로, 리어 프레임(12A)을 좌우 한 쌍의 좌측 프레임(67) 및 우측 프레임(68)으로 구성하고, 좌측 프레임(67)에 시트 캐치(52)를 부착하고, 우측 프레임(68)에 시트 힌지(51)를 부착한 것을 도시한다. 또한, 71은 좌측 프레임(67) 및 우측 프레임(68)의 각 후단에 걸쳐진 크로스 파이프, 72, 72는 동승자가 발을 올려놓기 위해서 스텝 지지 프레임(38, 38)(도 1 참조)에 접어놓을 수 있게 설치한 동승자용 스텝(도면에서 접힌 상태로 있다)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관한 시트 힌지의 부착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도면 중의 화살표는 차체 전방을 나타낸다. 이하 동일)로, 리어 프레임(12A)의 우측 프레임(68)에 힌지 브래킷(74)를 통해서 시트 힌지(51)를 부착한 것을 도시한다.
시트 힌지(51)는 힌지 브래킷(74)에 설치한 차체측 힌지(76)와, 이 차체측 힌지(76)에 힌지 축(77)을 통해서 스윙 가능하게 부착한 시트측 힌지(78)로 이루어지고, 탠덤 시트(23)(도 2 참조)를 닫은 상태에서는 파이프로 구성한 시트측 힌지(78)를 세우고, 이 시트측 힌지(78)의 상단에 탠덤 시트(23)를 설치한다. 또한, 81, 82는 시트측 힌지(78)를 통과시키기 위해서 러기지 박스(22)의 플랜지부(83)에 형성한 절결부, 84는 후술하는 힌지 커버(도시하지 않음)를 설치하기 위해서 시트측 힌지(78)에 부착한 스테이(stay)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관한 시트 힌지의 사시도로, 가상선으로 도시한 시트측 힌지(78)는 탠덤 시트(23)(도 2 참조)를 닫았을 때의 상태, 실선으로 도시한 시트측 힌지(78)는 탠덤 시트를 열었을 때의 상태를 도시한다.
시트 힌지(51)는 탠덤 시트를 열었을 때에 시트 위치를 고정하기 위한 스토퍼가 되는 스토퍼 핀(85)을 차체측 힌지(76)에 이동 가능하게 부착하고, 스토퍼 핀(85)에 맞물리는 맞물림 편(86)을 시트측 힌지(78)에 일체로 부착한 것이다. 또한, 87은 맞물림 편(86)의 선단부에 형성한 오목부이고, 이 오목부(87)에 스토퍼 핀(85)측이 끼워진다.
시트측 힌지(78)는 힌지 축(77)측으로부터 J자 형상으로 연장된 한 쌍의 J프레임(91, 91)과, 이들 J프레임(91, 91)의 각 선단에 부착한 시트 부착 파이프(92)와, 이 시트 부착 파이프(92)의 거의 중앙에 설치한 시트 부착편(93)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94는 J프레임(91, 91) 사이에 걸쳐진 파이프, 96, 96은 보강 부재이다.
시트 부착 파이프(92)는 양단부에 탠덤 시트의 바닥판(54)(도 2 참조)에 접촉시키는 부착 단부(98, 98)와, 바닥판(54)에 볼트로 부착하기 위해서 부착 단부(98, 98)로 개방한 부착 구멍(101, 101)을 구비한다.
시트 부착편(93)은 바닥판(54)에 접촉하는 부분이고, 바닥판(54)에 볼트로 부착하기 위한 부착 구멍(102)을 구비한다.
도 6은 본 발명에 관한 시트 힌지의 요부를 도시하는 요부 사시도이고, 시트 힌지(51)에서의 차체측 힌지(76)의 측벽(104, 105)에 각각 긴 구멍(106)을 개방하고, 이들 긴 구멍(106, 106)에 스토퍼 핀(85)을 통과시켜서, 이 스토퍼 핀(85)과 힌지 축(77)에 인장 코일 스프링(107)을 걸친 것을 도시한다.
이 인장 코일 스프링(107)에 의해, 스토퍼 핀(85)이, 칼라(108)를 통해서 맞물림 편(86)의 오목부(87)에 끼워졌을 때에, 스토퍼 핀(85)이 오목부(87)에 인장코일 스프링(107)의 탄성력에 의해서 가압되고, 오목부(87)로부터 스토퍼 핀(85)이 떨어지기 어렵게 하는 즉, 개방된 탠덤 시트(23)(도 2 참조)를 닫기 어렵게 한다.
111은 탠덤 시트를 열 때의 조작력을 경감하기 위해서 개방 방향으로 탄성력을 발생시키는 감기 스프링이고, 힌지 축(77)으로 감겨지는 동시에 중앙부(112)를 시트측 힌지(78)의 파이프(94)의 하부에 접촉시키는 동시에, 양단부(113, 113)를 차체측 힌지(76)의 바닥판(114)에 접촉시킨 것이다.
도 2로 되돌아가서, 시트 힌지(51)의 시트측 힌지(78), 특히 시트측 힌지(78)의 시트 부착 파이프(92)를 운전자용 시트(23A)와 동승자용 시트(23B)에 걸치도록 바닥판(54)에 부착한 것을 도시한다. 탠덤 시트(23)의 운전자용 시트(23A)와 동승자용 시트(23B)의 연결부는 바닥판(54)이 굴곡되어 있기 때문에 탠덤 시트(23)에서는 가장 강성이 작아지는 부분이고, 상기한 시트 부착 파이프(92)에 의해서 탠덤 시트(23)를 보강할 수 있다.
도 7(a), 도 7(b)는 본 발명에 관한 시트 힌지의 힌지축의 경사를 도시하는 설명도이고, 도 7(a)는 측면도, 도 7(b)는 평면도이다.
도 7(a)에서, 힌지 축(77)은 이 연장선(116)을 예를 들면, 시트측 힌지(78)의 부착 단부(98, 98)를 통과하는 직선(117)보다도 앞쪽으로 하강하는 것으로 하고, 연장선(116)과 직선(117)이 이루는 각도를 각도(θ1)로 한 것이다.
도 7(b)에서, 힌지 축(77)은 연장선(116)을 전부가 후부보다도 차체 내측에 위치하도록 차체 전후 방향으로 연장하는 직선(118)에 대해서 각도(θ2)만큼 경사시킨 것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관한 시트 캐치의 부착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리어 프레임의 좌측 프레임(67)에 캐치 브래킷(121, 122)을 통해서 시트 캐치(52)를 부착하고, 러기지 박스(22)의 측면(123)에 오목하게 홈을 내어, 시트 캐치(52)의 상부를 러기지 박스(22)의 플랜지부(83)의 아래쪽에 배치한 것을 도시한다. 또한, 124는 시트 캐치(52)에 시트 훅(53)이 맞물릴 때에, 시트 훅(53)을 통과시키기 위해서 플랜지부(83)로 개방한 통과구멍이다.
시트 훅(53)은 두께가 얇은 판 형상 부재로 이루어지고, 통과구멍(124)은 플랜지부(83)의 길이 방향을 따라서 긴 구멍 형상으로 개구하고 있다. 이 때문에, 러기지 박스(22)의 내부에 시트 훅(53)이 돌출되지 않고, 러기지 박스(22)의 용적을 크게 할 수 있다.
도 9(a), 도 9(b)는 본 발명에 관한 시트 캐치의 설명도로, 도 9(a)는 시트 훅(53)이 맞물린 상태를 도시하는 측면도, 도 9(b)는 시트 훅(53)의 맞물림이 해제된 상태를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 9(a)에서, 시트 캐치(52)는 편평한 거의 박스 형상의 하우징(127)과, 이 하우징(127)에 핀(128)으로 회전 가능하게 부착한 자물쇠 채움 클로(claw)(131)와, 이 자물쇠 채움 클로(131)의 회전을 규제하기 위해서 하우징(127)에 핀(132)으로 회전 가능하게 부착한 스토퍼 부재(133)와, 이들 자물쇠 채움 클로(131) 및 스토퍼 부재(133)의 각각에 걸쳐진 인장 코일 스프링(134)으로 이루어진다.
하우징(127)은 자물쇠 채움 클로(131)의 시계 방향의 회전을 규제하는 스토퍼편(136)을 설치한 부재이다.
자물쇠 채움 클로(131)는 시트 훅(53)에 맞물리는 상부 클로(138)와, 이 상부 클로(138)로부터 떼어내어 배치한 하부 클로(141)와, 하우징(127)의 스토퍼편(136)에 선단을 접촉시키도록 한 L자 아암(142)과, 인장 코일 스프링(134)의 일단을 부착하는 스프링 부착 아암(143)을 구비한다.
스토퍼 부재(133)는 선단을 자물쇠 채움 클로(131)의 단부(145)에 접촉시킴으로써 자물쇠 채움 클로(131)의 회전을 멈추게 하는 측방 돌출부(146)와, 인장 코일 스프링(134)의 타단을 부착하는 동시에 와이어(47)의 선단을 부착한 하부 아암(148)으로 이루어진다.
와이어(47)는 탠덤 시트의 자물쇠 채움을 해제하기 위한 실린더 자물쇠(도시하지 않음)에 연결한 것이다.
이상에 서술한 시트 캐치(52)의 작용을 다음에 설명한다.
도 9(a)에서, 탠덤 시트가 닫혀지고, 자물쇠 채움 클로(131)의 상부 클로(138)에 시트 훅(53)이 맞물린 상태에서, 먼저, 와이어(47)에 연결한 실린더 자물쇠를 키로 돌려서, 도 9(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와이어(47)를 화살표 ①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빼낸다.
이 결과, 스토퍼 부재(133)는 핀(132)을 중심으로 화살표 ②와 같이 회전하여, 스토퍼 부재(133)의 측방 돌출부(146)가 자물쇠 채움 클로(131)의 단부(145)로부터 떨어진다. 따라서, 자물쇠 채움 클로(131)는 회전을 구속하지 않게 되고, 인장 코일 스프링(134)의 탄성력에 의해서 화살표 ③과 같이 회전하여, 상부 클로(138)가 시트 훅(53)으로부터 떨어져서 상부 클로(138)와 시트 훅(53)의 맞물림이 해제된다.
탠덤 시트는 시트 힌지에 의해서 열리는 방향으로 힘을 부여한 것이기 때문에, 상부 클로(138)와 시트 훅(53)의 맞물림이 해제되면, 탠덤 시트가 조금 열림(팝업)에 따라서, 시트 훅(53)은 화살표 ④와 같이 상승한다.
또, 탠덤 시트를 닫는 경우에는 먼저, 도 9(b)에서, 탠덤 시트를 아래로 가압하여 시트 훅(53)을 화살표 ④와는 반대의 방향으로 하강시키면, 시트 훅(53)은 자물쇠 채움 클로(131)의 하부 클로(141)에 접촉하여 하부 클로를 아래로 가압한다. 이 결과, 자물쇠 채움 클로(131)는 화살표 ③과는 반대의 방향으로 회전하고, 인장 코일 스프링(134)의 탄성력으로 화살표 ②와는 반대의 방향으로 회전력을 부여한 스토퍼 부재(133)의 측방 돌출부(146)의 선단이, 도 9(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자물쇠 채움 클로(131)의 단부(145)에 걸린다. 따라서, 자물쇠 채움 클로(131)의 시계 방향의 회전이 규제되기 때문에, 자물쇠 채움 클로(131)와 시트 훅(53)은 맞물림 상태를 유지한다.
도 10(a), 도 10(b)는 본 발명에 관한 시트 힌지의 힌지 커버를 설명하는 단면도로, 도 10(a)는 러기지 박스, 시트 힌지, 탠덤 시트, 차체 커버 및 힌지 커버의 단면도, 도 10(b)는 도 10(a)의 b-b선 단면도이다.
도 10(a)에서는 시트 힌지(51)에 힌지 커버(153)를 부착하고, 이 힌지 커버(153)로 시트 힌지(51)의 측방, 상세하게는 차체 커버(46)에 설치한 절결부(154)를 덮은 것을 도시한다. 또한, 156, 157은 힌지 브래킷(74)에 러기지 박스(22)의 바닥을 부착하는 볼트 및 너트, 158, 161은 리어 프레임(12A)에 설치한브래킷(162)에 러기지 박스(22)의 바닥을 부착하는 볼트 및 너트, 163, 164는 힌지 브래킷(74)에 시트 힌지(51)를 부착하는 볼트 및 너트, 166은 러기지 박스(22)와 탠덤 시트(23)의 간극을 막는 시일 러버이다.
절결부(154)는 탠덤 시트(23)를 열 때에, 시트 힌지(51)의 시트측 힌지(78)가 차체측 쪽으로 크게 요동하는 것을 허용하기 위해서 설치한 것으로, 시트 힌지(51)의 힌지 축(77)을 러기지 박스(22)의 개구부(168)보다도 외측에서 아래쪽에 설치한 것, 및 시트 힌지(51)의 측방의 차체 커버(46)에 절결부(154)를 설치함으로써, 탠덤 시트(23)를 크게 열 수 있고, 러기지 박스(22)에 대한 물건의 출납을 편하게 행할 수 있다. 또, 개구부(168)의 전체 면을 러기지 박스(22)로서 이용할 수 있고, 폭이 넓은 물건이나, 보다 많은 물건을 동시에 수납 가능하게 된다.
(b)에서는 러기지 박스(22)의 플랜지부(83)에 절결부(81, 82)를 설치하고, 이들 절결부(81, 82)에 각각 스펀지 러버(169)를 부착하여, 탠덤 시트를 닫았을 때에, 절결부(81, 82)에 스펀지 러버(169)를 통해서 시트 힌지의 J프레임(91, 91)을 접촉시킨 것을 도시한다.
도 11(a), 도 11(b)는 본 발명에 관한 차체 커버의 절결부를 도시하는 설명도로, 도 11(a)는 사시도, 도 11(b)는 도 11(a)의 B-B선 단면도이다.
도 11(a)에서, 차체 커버(46)의 절결부(154)는 가장자리의 전체에 단부(154a)를 설치한 부분이고, 특히, 단부(154a) 중, 앞쪽 단부(154c) 및 뒤쪽 단부(154d)에 힌지 커버(153)(도 10(a) 참조)의 내면을 접촉시킨다.
도 11(b)에서, 앞쪽 단부(154c) 및 뒤쪽 단부(154d)는 각각을 V자 단면으로하여 중앙을 오목하게 홈을 낸 부분이고, 이들 앞쪽 단부(154c) 및 뒤쪽 단부(154d)에, 상세하게는 차체 커버(46)의 내면으로부터 돌출시킨 상부 돌출부(172, 172)(도 13에서 상술한다) 및 하부 돌출부(173, 173)(도시하지 않음. 도 13에서 상술한다)를 접촉시킴으로써, 힌지 커버(153)(도 10(a) 참조)의 센터링을 행한다. 또한, 앞쪽 단부(154c) 및 뒤쪽 단부(154d)의 단면 형상으로서는 V자 형상에 한정되지 않고, U자 형상으로 해도 된다.
이와 같이, 절결부(154)의 가장자리에 앞쪽 단부(154c) 및 뒤쪽 단부(154d)를 설치함으로써, 힌지 커버(153)의 차체 전후 방향의 센터링을 행할 수 있고, 힌지 커버(153)를 차체 커버(46)에 맞출 때의 위치 결정 정밀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이상에 서술한 시트 힌지(51) 및 힌지 커버(153)의 작용을 다음에 설명한다.
도 12(a) 내지 도 12(c)는 본 발명에 관한 힌지 커버의 개방 동작을 설명하는 작용도이고, 도 12(a)는 힌지 커버(153)가 닫힌 상태를 도시하는 단면도, 도 12(b)는 힌지 커버(153)가 조금 열린 상태를 도시하는 단면도, 도 12(c)는 힌지 커버(153)가 크게 열린 상태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12(a)에서, 힌지 커버(153)는 시트측 힌지(78)의 스테이(84)에 거의 U자형으로 한 탄성재로서의 U자 스프링(171)을 통해서 부착한 부재이고, 내면 상부에 설치한 한 쌍의 상부 돌출부(172, 172)(한쪽의 상부 돌출부(172)만 도시)와, 내면 하부에 설치한 한 쌍의 하부 돌출부(173, 173)(한쪽의 하부 돌출부(173)만 도시)와, U자 스프링(171)을 부착하기 위해서 상부 돌출부(172, 172)와 하부 돌출부(173, 173)의 사이로부터 옆쪽으로 연장된 측방 연장부(174)를 구비한다.또한, 176, 177은 U자 스프링(171)을 스테이(84)에 설치하는 비스 및 너트, d는 힌지 커버(153)와 차체 커버(46)의 간극이다.
도 12(a)에서는 힌지 커버(153)의 상부 돌출부(172, 172) 및 하부 돌출부(173, 173)는 차체 커버(46)의 절결부(154)의 가장자리, 상세하게는 앞쪽 단부(154c)(도 11(a) 참조) 및 뒤쪽 단부(154d)(도 11(a) 참조)에 접촉시킨 상태에 있다. 이 때, U자 스프링(171)은 U자의 2개의 단부를 열어서 휘어지게 한 상태에 있고, 이 휘어짐에 의해 발생하는 탄성력으로 절결부(154)의 가장자리에 힌지 커버(153)를 가압한다.
도 12(b)에서, 힌지 커버(153)와 차체 커버(46)의 간극(d)(도 12(a) 참조)은 상부보다 하부 쪽이 크게 설정되어 있기 때문에, 탠덤 시트(23)를 열기 시작하여, 시트 힌지(51)의 시트측 힌지(78)가 가상선의 위치로부터 실선의 위치로 화살표와 같이 조금 요동하면, U자 스프링(171)의 휘어짐이 작아져서, 탄성력이 작아지고, 힌지 커버(153)의 상부 돌출부(172, 172)는 절결부(154)의 가장자리에 가압된 채로, 절결부(154)의 가장자리와 상부 돌출부(172, 172)의 접촉부를 중심으로 하여 힌지 커버(153)의 하부가 화살표와 같이 조금 열려서, 하부 돌출부(173, 173)는 절결부(154)의 가장자리로부터 떨어진다.
도 12(c)에서, 시트측 힌지(78)가 더욱 요동하면, U자 스프링(171)의 휘어짐은 거의 없어지고, 힌지 커버(153)는 시트측 힌지(78)와 함께 요동하기 때문에, 상부 돌출부(172, 172) 및 하부 돌출부(173, 173)는 모두 절결부(154)의 가장자리로부터 떨어진다.
이와 같이, 힌지 커버(153)와 차체 커버(46)의 간극은 상부보다 하부 쪽이 크게 설정되어, 힌지 커버(153)를 절결부(154)의 가장자리로부터 하부 돌출부(173, 173)측을 먼저 떨어지도록 함으로써, 차체 커버(46)와 힌지 커버(153)의 각각의 표면을 연속시키기 때문에 차체 커버(46)에 설치한 커버 단부(181)에, 힌지 커버(153)의 하부가 간섭하지 않고 힌지 커버(153)를 이동시킬 수 있다.
도 13은 본 발명에 관한 러기지 박스의 사시도로, 러기지 박스(22)의 플랜지부(83)의 전부에 오목부(184)를 일체로 성형한 것을 도시한다.
오목부(184)는 후술하는 탠덤 시트측의 볼록부와 맞물리게 하여 탠덤 시트, 상세하게는 탠덤 시트의 전부의 무리한 개폐를 방지하는 부분이다.
도 14는 본 발명에 관한 탠덤 시트의 바닥면을 도시하는 저면도로, 탠덤 시트(23)의 바닥판(54)의 전부에, 차폭 방향 내측으로 돌출하는 스토퍼부로서의 볼록부(186)를 일체로 성형한 것을 도시한다. 또한, 187, 188은 시트 힌지(51)를 부착하기 위해서 시트 힌지(51)의 부착 단부(98, 98)(도 5 참조)를 접촉시키는 시트측 부착부, 191은 시트 힌지(51)를 부착하기 위해서 시트 힌지(51)의 시트 부착편(93)(도 5 참조)을 접촉시키는 시트측 부착부, 193…(…은 다수개를 나타낸다. 이하 동일)은 탠덤 시트(23)를 시트 힌지(51)에 부착하기 위한 부착 볼트, 194는 시트 훅(53)을 부착하는 훅 부착부, 196, 196은 탠덤 시트(23)에 시트 훅(53)을 부착하기 위한 부착 볼트이다. 도면에서는 바닥판(54)의 하면(54a)에 형성한 립을 생략하였지만, 도 17에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5(a), 도 15(b)는 본 발명에 관한 러기지 박스와 탠덤 시트의 맞물림을설명하는 단면도로, 도 15(a)는 맞물림 상태를 도시하는 단면도, 도 15(b)는 탠덤 시트를 닫을 때의 작용을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15(a)에서, 러기지 박스(22)의 오목부(184)는 탠덤 시트(23)의 볼록부(186)를 받치는 경사면(184A)을 구비한다.
탠덤 시트(23)의 볼록부(186)는 러기지 박스(22)의 경사면(184A)의 아래로 들어가는 원호 형상의 맞물림 면(186A)을 구비한다.
도면 중의 200은 상기의 맞물림 면(186A)의 원호의 중심이고 맞물림 면(186A)의 회전 중심이기도 한 회전 중심점이다. 이 회전 중심점(200)은 러기지 박스(22)의 오목부(184)와 탠덤 시트(23)의 볼록부(186)의 맞물림 부분을 맞물림부(201)로 하면, 이 맞물림부(201)를 통과하는 종이면에 평행한 평면에 도 7(a), 도 7(b)에 도시한 힌지 축(77)의 연장선(116)이 교차하는 점이다.
도 7(a), 도 7(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시트 힌지(51)의 힌지 축(77)을 측면에서 보았을 때 앞쪽으로 하강하게 하는 동시에, 평면에서 보았을 때 힌지축(77)의 전부가 후부보다도 차체 내측에 위치하도록 경사시킴으로써, 도 15(a)에서, 회전 중심점(200)을 맞물림부(201)에 대해서 아래쪽으로 배치하도록 하였다.
이상에 서술한 러기지 박스(22)의 오목부(184)와 탠덤 시트(23)의 볼록부(186)의 맞물림의 작용을 다음에 설명한다.
도 15(b)에서, 탠덤 시트(23)를 연 상태로부터, 차례로 닫아 가면, 탠덤 시트(23)는 회전 중심점(200)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하고, 이것에 따라서 볼록부(186)의 맞물림 면(186A)이 러기지 박스(22)의 오목부(184)의 경사면(184A)으로 들어가서, 도 15(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오목부(184)에 볼록부(186)가 맞물리게 된다. 이 상태로, 예를 들면, 탠덤 시트(23)의 전부를 무리하게 열려고 해도, 맞물림부(201)에 의해서 저지할 수 있다.
도 15(a)로 되돌아가서, 예를 들면, 볼록부(186)의 회전 중심점을 200A로 하고, 맞물림부(201)의 바로 아래에 배치하면, 탠덤 시트(23)의 전부를 무리하게 열려고 하여 윗쪽으로 힘을 작용시켰을 때에 회전 중심점(200A)의 주위에 탠덤 시트(23)를 회전시키는 모멘트가 발생하지 않는다. 회전 중심점(200)은 상기의 회전 중심점(200A)에 의해 가까워진 점이기 때문에, 탠덤 시트(23)를 회전시키는 모멘트를 보다 작게 할 수 있고, 맞물림부(201)에서 오목부(184)에 볼록부(186)를 강고하게 맞물리게 할 수 있다.
도면 중의 200B는 힌지 축을 앞쪽으로 하강시키지 않고, 힌지축의 전부가 후부보다도 차체 내측에 위치하도록 경사시키지 않고, 정면에서 봤을 때 러기지 박스(22)의 개구부(168)의 옆쪽에 배치한 회전 중심점을 나타낸다.
이 회전 중심점(200B)을 중심으로 하여 탠덤 시트(23)를 닫아도, 탠덤 시트(23)측에 설치한 볼록부는 거의 상하 방향으로 이동할 뿐, 러기지 박스측에 설치한 오목부 내에 맞물리게 할 수는 없다.
도 13에서는 러기지 박스(22)의 플랜지부(83)의 전부에 오목부(184)를 성형하였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러기지 박스(22)의 측부의 플랜지부(83)에 오목부를 설치하고, 탠덤 시트(23)측에 설치한 볼록부와 맞물리게 해도 된다. 또, 탠덤 시트(23)측에 오목부를 설치하고, 러기지 박스(22)측에 볼록부를 설치해도 된다.
도 16은 본 발명에 관한 탠덤 시트의 단면도로, 탠덤 시트(23)의 바닥판(54)은 운전자용 시트(23A) 및 동승자용 시트(23B)의 양쪽의 하부를 덮도록 설치한 부재이고, 운전자용 시트(23A)의 바닥인 바닥판 전부(54A)와, 이 바닥판 전부(54A)로부터 후방 경사진 위쪽으로 연장된 바닥판 중간부(54B)와, 이 바닥판 중간부(54B)로부터 후방으로 동승자용 시트(23B)의 바닥으로서 연장된 바닥판 후부(54C)로 이루어지며(바닥판 전부(54A), 바닥판 중간부(54B), 바닥판 후부(54C)의 경계의 기준으로서 도 17에 곡선(C1, C2)을 도시한다), 바닥판(54)의 립의 밀도를 앞쪽보다 뒤쪽을 크게 함으로써, 경량화와 뒤쪽 시트인 동승자용 시트(23B)의 강성을 향상시켰다. 또, 바닥판(54)의 앞쪽은 립의 밀도가 뒤쪽보다 작고, 울퉁불퉁한 느낌이 없는 착석감을 얻을 수 있다.
도 17은 본 발명에 관한 탠덤 시트의 저면도로, 바닥판(54)의 하면(54a)을 바닥판 전부(54A)의 하면인 전부 하면(54b)과, 바닥판 중간부(54B)의 하면인 중간부 하면(54c)과, 바닥판 후부(54C)의 하면인 후부 하면(54d)으로 구성하고, 중간부 하면(54c)의 후단으로부터 후부 하면(54d)에 걸쳐서 전후로 연장되도록 하면 세로 립(235…)(굵은 선으로 나타내었다)을 형성하고, 전부 하면(54b)의 후단으로부터 중간부 하면(54c), 후부 하면(54d)에 걸쳐서 전후로 나열되도록 홈부(236…)를 형성한 것을 도시한다(홈부(236…)의 각각에는 크기가 다른 것이 포함되지만 동일 부호로 하였다). 또한, 237, 237, 238은 정비 요령서를 고정시켜 두기 위한 훅,241, 241은 정비 요령서의 가로 편차를 방지하는 가로 편차 방지용 돌기, 242, 243는 바닥판(54)의 주변 가장자리 근방에 거의 고리 형상으로 설치한 외주 립이다.
하면 세로 립(235)은 주로 바닥판(54)의 후부 하면(54d)의 전후 방향의 굴곡 강성을 높이기 위한 부분으로, 이 하면 세로 립(235…)에 의해, 동승자용 시트(23B)의 강성을 높일 수 있다.
도 18은 본 발명에 관한 바닥판의 평면도로, 바닥판(54)의 상면(54e)을 바닥판 전부(54A)의 상면인 전부 상면(54f)과, 바닥판 중간부(54B)의 상면인 중간부 상면(54g)과, 바닥판 후부(54C)의 상면인 후부 상면(54h)으로 구성하고, 전부 상면(54f)에 격자 형상으로 전부 상면 세로 립(244…) 및 전부 상면 가로 립(245…)를 형성하며, 중간부 상면(54g)에 후방으로 볼록하게 만곡한 만곡 전 립(246) 및 만곡 후 립(247)을 형성하고, 후부 상면(54h)에 후부 상면 세로 립(251…), 격자 형상의 후부 상면 서브 세로 립(252…) 및 후부 상면 서브 가로 립(253…)을 형성한 것을 도시한다.
이와 같이, 바닥판(54)의 상면(54e)에서는 전부 상면(54f)에 전부 상면 세로 립(244…) 및 전부 상면 가로 립(245…), 후부 상면(54h)에 후부 상면 세로 립(251…), 격자 형상의 후부 상면 서브 세로 립(252…) 및 후부 상면 서브 가로 립(253…)을 형성하고, 또한 전부 상면 세로 립(244…) 및 전부 상면 가로 립(245…)보다 후부 상면 세로 립(251…), 격자 형상의 후부 상면 서브 세로 립(252…) 및 후부 상면 서브 가로 립(253…)을 간격을 기밀하게 함으로써, 바닥판 후부(54C)의 강성을 크게 하고, 또, 운전자용 시트(23A)에 착석하였을 때의 착석감을 양호하게 하여, 아울러 중량 증가, 비용 증가를 억제할 수 있다.
또, 바닥판 후부(54C)에서는 하면(54a)(도 17 참조)의 하면 세로 립(235…)(도 17 참조)에 더하여, 후부 상면 세로 립(251…), 격자 형상의 후부 상면 서브 세로 립(252…) 및 후부 상면 서브 가로 립(253…)을 형성함으로써, 동승자용 시트(23B)의 강성을 보다 한층 높였다.
도 19(a), 도 19(b)는 본 발명에 관한 시트의 단면도로, 도 19(a)는 도 16의 a-a선 단면도, 도 19(b)는 도 16의 b-b선 단면도이다.
도 19(a)에서, 바닥판 전부(54A)는 전부 상면(54f)에 전부 상면 세로 립(244…)을 구비한다.
전부 상면 세로 립을 설명의 형편 상, 전부 상면 세로 립(244A) 및 전부 상면 세로 립(244B)과 구별하면, 차폭 방향(도면의 좌우 방향)의 중앙측의 전부 상면 세로 립(244A)은 그 높이(H1)를 차폭 방향의 단부측의 전부 상면 세로 립(244B)의 높이(H2)보다도 낮게 한 부분이고, 전부 바닥판(54A)의 중앙부의 강성을 단부측보다도 작게 하여, 중앙부에서 단부측으로 점차로 강성을 높이도록 하였다.
여기에서, 256은 탠덤 시트(23)를 닫았을 때에 러기지 박스(22)의 플랜지부(83)와 바닥판(54)의 간극을 막기 위해서 바닥판(54)의 가장자리부 내측에 설치한 시일 러버이다.
도 19(b)에서, 바닥판 후부(54C)는 후부 하면(54d)에 하면 세로 립(235…)을 구비하고, 후부 상면(54h)에 후부 상면 세로 립(251…)을 구비하며, 하면 세로 립(235…)의 각각과, 후부 상면 세로 립(251…)의 각각은 차폭 방향으로 오프셋시킨 것으로, 후부 상면 세로 립(251)의 하나를 후부 상면 세로 립(251A), 그 높이를 H3로 하고, 하면 세로 립(235)의 하나를 하면 세로 립(235A), 그 높이를 H4로 하였을 때에, 높이(H3)를 높이(H4)보다도 낮게 함으로써, 동승자용 시트(23B)에 착석하였을 때의 착석감, 소위, 울퉁불퉁한 느낌을 억제할 수 있다.
도 20은 도 17의 20-20선 단면도로, 바닥판(54)의 전부 하면(54b)의 후단부, 중간부 하면(54c) 및 후부 하면(54d)에 홈부(236…)를 설치한 것을 도시한다. 여기에서, 설명의 형편 상, 홈부를 전부 하면(54b)에서 후부 하면(54d)으로 순차적으로, 홈부(236A, 236B, 236C, 236D, 236E, 236F, 236G)로 하면, 중간부 하면(54c)에서는 형틀에 의한 바닥판(54)의 형성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 홈부(236C)를 전후로 길게 형성하고, 후부 하면(54d)에서는 동승자용 시트(23B)의 전후 방향(도면의 좌우 방향)의 강성을 일정하게 하기 위해서 홈부(236D 내지 236G)의 길이를 동일하게 하였다.
홈부(236A 내지 236G)는 바닥판(54)의 강성의 저하를 크게 억제하면서 바닥판(54)의 경량화를 도모하는 것이다.
도 21은 도 17의 21-21선 단면도로, 바닥판(54)에 시트 힌지 부착용의 부착 볼트(193)를 고정한 상태를 도시한다.
부착 볼트(193)는 탠덤 시트를 조립하기 전에, 바닥판(54)의 상면(54e)측으로부터 부착 구멍(193a)에 압입하여 넣고 또한 회전을 멈추게 한 것이다. 도 14에 도시한 부착 볼트(196)에 대해서도 동일하게 바닥판(54)에 고정한다.
도 22는 본 발명에 관한 바닥판의 단면도로, 바닥판(54)은 발포 성형재, 즉,발포성 수지 재료를 사출 성형에 의해 성형한 부재이고, 표층(261, 261)과, 이들 표층(261, 261)의 내측에 형성한 중심층(262)으로 이루어진다(도 21 이전의 단면도에서는 중심층(262)을 생략하였다)
표층(261)은 기포를 거의 포함하지 않고, 중심층(262)은 기포를 많이 포함한다.
바닥판(54)의 성형은 사출 성형 형틀의 캐비티 내에 발포성 수지 재료를 고압 사출하고, 이 발포성 수지 재료의 표면부가 응고하고 내부가 응고하지 않은 상태에서, 캐비티 내의 압력을 낮추거나, 또는 가동 형틀을 이동시켜서 캐비티의 용량을 늘림으로써, 발포성 수지 재료의 내부의 미응고부를 발포시켜서 행한다.
발포성 수지 재료는 열 가소성 수지(예를 들면, 폴리프로필렌)에 발포제(예를 들면, 탄산수소나트륨)를 더한 것이다.
이와 같이, 바닥판(54)을 발포성 수지 재료로 성형함으로써, 바닥판(54)의 판 두께를 크게 할 수 있고, 바닥판(54)의 강성 향상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으며, 또한 경량으로 할 수 있다.
도 23은 본 발명에 관한 바닥판의 주변 가장자리부를 도시하는 단면도로, 탠덤 시트(23)를 바닥판(54)과, 바닥판(54)에 올려놓은 쿠션재(265)와, 이 쿠션재(265)의 외측을 덮는 표피재(266)로 구성하고, 표피재(266)의 가장자리부(266a)를 바닥판(54)의 주변 가장자리부(54k)에 설치한 두께부(54m)의 하면(54a)에 고정용 바늘(267…)로 고정한 것을 도시한다.
두께부(54m)는 바닥판(54)의 다른 부분보다도 판 두께를 적어도 1.4배로 한부분이다. 즉, 두께부(54m)의 판 두께를 T1, 바닥판(54)의 다른 부분의 판 두께를 T2로 하면, T1≥1.4×T2가 된다.
도 24는 본 발명에 관한 바닥판을 박아 넣은 고정용 바늘의 단면도(도 23의 A-A선에서의 단면에 상당)로, 단면 コ자 형상의 고정용 바늘(267)을 두께부(54m)에 박아 넣고, 두께부(54m)에 표피재(266)를 고정한 것을 도시한다.
이와 같이, 바닥판(54)의 주변 가장자리부(54k)를 두껍게 함으로써, 고정용 바늘(267)이 빠지기 어렵게 할 수 있어서, 탠덤 시트(23)의 품질을 높일 수 있다.
이상에 서술한 바닥판(54)의 작용을 다음에 설명한다.
도 25는 본 발명에 관한 바닥판의 작용을 도시하는 단면도로, 바닥판(54)은 운전자용 시트(23A)측의 상면의 립을 동승자용 시트(23B)측의 상면의 립보다도 간격을 넓게 배치하여, 동승자용 시트(23B)측의 하면에도 립을 설치하고, 러기지 박스(22)와 탠덤 시트(23)를 전단부(오목부(184)와 볼록부(186)) 및 중앙부(자물쇠 채움 클로(131)와 시트 훅(53))로 연결하며, 또한, 시트측 힌지(78)의 시트 부착 파이프(92)를 운전자용 시트(23A)와 동승자용 시트(23B)에 걸치도록 바닥판(54)에 부착하였다.
이 결과, 동승자용 시트(23B)는 바닥판 전부(54A)보다 바닥판 후부(54C)의 립을 기밀하게 배치함으로써, 경량화 및 강성 향상을 도모할 수 있고, 운전자용 시트(23A)는 앞쪽의 립이 적기 때문에 착석감 향상을 도모할 수 있는 동시에, 운전자용 시트(23A)의 전후를 러기지 박스(22)와 연결시켜서 도난 방지 효과를 높일 수 있으며, 동승자용 시트(23B)는 후부 바닥판(54C)의 강성을 크게 하여, 예를 들면,동승자용 시트(23B)의 후단부(23c)에 손을 대어 화살표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윗쪽으로 무리하게 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러기지 박스(22) 내의 수납물의 도난 방지 효과를 높일 수 있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운전자용 시트(23A)와 동승자용 시트(23B)의 연결부에 대응하는 바닥판 중간부(54B)는 시트 부착 파이프(92)로 보강할 수 있다.
이상의 도 2 및 도 18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첫번째로, 운전자용 시트(23A)와 동승자용 시트(23B)를 전후에 연결한 탠덤 시트(23)의 바닥판(54)에 발포 성형재, 즉, 발포성 수지 재료를 이용한 자동 이륜차(10)(도 1 참조)에서, 운전자용 시트(23A)측의 바닥판 전부(54A)의 전부 상면 세로 립(244) 및 전부 상면 가로 립(245)보다 동승자용 시트(23B)측의 바닥판 후부(54C)의 후부 상면 세로 립(251)을 기밀하게 배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닥판(54)을 발포 성형하였기 때문에 경량화할 수 있고, 또, 운전자용 시트(23A)측의 바닥판 전부(54A)의 전부 상면 세로 립(244) 및 전부 상면 가로 립(245)보다 동승자용 시트(23B)측의 바닥판 후부(54C)의 후부 상면 세로 립(251)을 기밀하게 배치함으로써, 동승자용 시트(23B)측의 바닥판 후부(54C)의 강성을 크게 할 수 있기 때문에 동승자용 시트(23B)를 무리하게 여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서 도난 방지 효과를 높일 수 있다.
또한, 운전자용 시트(23A)는 전부 상면 세로 립(244) 및 전부 상면 가로 립(245)이 적기 때문에, 착석감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는 동시에 중량 증가를 억제할 수 있다.
동승자용 시트(23B)의 도난 방지 효과가 높아지면, 종래와 같은 시트 자물쇠 채움 기구를 시트 후부에 설치할 필요가 없고, 본 발명에서는 시트 자물쇠 채움 기구로서의 시트 캐치(52) 및 시트 훅(53)을 1세트로 할 수 있어서, 비용 저감을 도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두번째로, 탠덤 시트(23) 아래쪽에 배치한 러기지 박스(22)에 탠덤 시트(23)를 개폐 가능하게 부착하기 위한 시트 힌지(51)를 바닥판(54)의 좌우 일측에 설치하고, 러기지 박스(22)측에 구비하는 시트 캐치(52)에 맞물리는 시트 훅(53)을 바닥판(54)의 좌우 타측에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시트 힌지(51)와 시트 캐치(52) 및 시트 훅(53)을 1세트만 탠덤 시트(23)의 전체 길이의 거의 중앙에 배치해도, 동승자용 시트(23B)의 강성이 높기 때문에, 탠덤 시트(23)의 후부를 무리하게 여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서, 도난 방지 효과를 높일 수 있다.
본 발명은 세번째로, 탠덤 시트(23)를 닫은 상태에서는 러기지 박스(22)에 설치한 오목부(184)에 맞물리게 함으로써 탠덤 시트(23)를 여는 것을 방지하는 볼록부(186)를 바닥판(54)의 전부에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닥판(54)의 전부에 볼록부(186)를 구비함으로써, 탠덤 시트(23)의 후부에 더하여, 탠덤 시트(23)의 전부의 도난 방지 효과를 높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바닥판에 형성한 립은 그 높이, 전체 길이, 이웃끼리의 간격을 적당히 변경해도 지장이 생기지 않는다. 또, 립은 직선 형상으로 하였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곡선 형상으로 형성해도 된다.
본 발명은 상기 구성에 의해 다음 효과를 발휘한다.
청구항 1의 자동 이륜차의 시트 구조는 운전자용 시트측의 바닥판의 립보다 동승자용 시트측의 바닥판의 립을 기밀하게 배치하였기 때문에, 바닥판의 발포 성형에 의한 경량화에 더하여, 동승자용 시트측의 바닥판의 강성을 크게 할 수 있기 때문에 동승자용 시트를 무리하게 여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서 도난 방지 효과를 높일 수 있다.
또한, 운전자용 시트는 립이 적기 때문에, 착석감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는 동시에 탠덤 시트의 중량 증가를 억제할 수 있다.
동승자용 시트의 도난 방지 효과가 높아지면, 종래와 같은 시트 자물쇠 채움 기구를 시트 후부에 설치할 필요가 없고, 본 발명에서는 시트 자물쇠 채움 기구를 하나로 할 수 있어서, 비용 저감을 도모할 수 있다.
청구항 2의 자동 이륜차의 시트 구조는 탠덤 시트 아래쪽으로 배치한 수납 박스에 탠덤 시트를 개폐 가능하게 부착하기 위한 시트 힌지를 바닥판의 좌우 일측에 설치하고, 수납 박스측에 구비하는 시트 캐치에 맞물리는 시트 훅을 바닥판의 좌우 타측에 설치하였기 때문에, 시트 힌지와 시트 캐치 및 시트 훅을 1세트만 탠덤 시트의 전체 길이의 거의 중앙에 배치해도, 동승자용 시트의 강성이 높기 때문에, 탠덤 시트의 후부를 무리하게 여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서, 도난 방지 효과를 높일 수 있다.
청구항 3의 자동 이륜차의 시트 구조는 탠덤 시트를 닫은 상태에서는 수납박스에 설치한 오목부에 맞물리게 함으로써 탠덤 시트를 여는 것을 방지하는 스토퍼부를 바닥판의 전부에 구비하기 때문에, 탠덤 시트의 후부에 더하여, 탠덤 시트의 전부의 도난 방지 효과를 높일 수 있다.

Claims (3)

  1. 운전자용 시트와 동승자용 시트를 전후에 연결한 탠덤 시트의 바닥판에 발포 성형재를 이용한 자동 이륜차에 있어서,
    상기 운전자용 시트측의 바닥판의 립(rib)보다 상기 동승자용 시트측의 바닥판의 립을 기밀하게 배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이륜차의 시트 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판은 상기 탠덤 시트 아래쪽으로 배치한 수납 박스에 탠덤 시트를 개폐 가능하게 부착하기 위한 시트 힌지를 좌우 일측에 설치하고, 수납 박스측에 구비하는 시트 캐치에 맞물리게 하는 시트 훅을 좌우 타측에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이륜차의 시트 구조.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판은 상기 탠덤 시트를 닫은 상태에서는 상기 수납 박스에 설치한 오목부에 맞물리게 함으로써 탠덤 시트가 열리는 것을 방지하는 스토퍼부를 전부(前部)에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이륜차의 시트 구조.
KR10-2004-0007840A 2003-02-07 2004-02-06 자동 이륜차의 시트 구조 KR10053467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3031718A JP4383064B2 (ja) 2003-02-07 2003-02-07 自動二輪車のシート構造
JPJP-P-2003-00031718 2003-02-0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72461A true KR20040072461A (ko) 2004-08-18
KR100534679B1 KR100534679B1 (ko) 2005-12-07

Family

ID=326530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07840A KR100534679B1 (ko) 2003-02-07 2004-02-06 자동 이륜차의 시트 구조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EP (1) EP1445181B1 (ko)
JP (1) JP4383064B2 (ko)
KR (1) KR100534679B1 (ko)
CN (1) CN1265993C (ko)
BR (1) BRPI0400183B1 (ko)
ES (1) ES2312924T3 (ko)
MX (1) MXPA04001093A (ko)
TW (1) TWI248402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847905B2 (ja) * 2007-03-27 2011-12-28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自動二輪車の燃料タンク
JP5451060B2 (ja) * 2007-12-25 2014-03-26 テイ・エス テック株式会社 二三輪車用シート及びその製造方法
CN101508321B (zh) * 2008-02-15 2010-10-06 张向阳 一种三轮车或四轮车的后轴连接装置
CN101734314B (zh) * 2009-12-30 2011-12-14 力帆实业(集团)股份有限公司 摩托车座垫底板
JP5974471B2 (ja) * 2011-12-12 2016-08-23 スズキ株式会社 小型車両のシート構造
TWI464087B (zh) * 2012-12-21 2014-12-11 Yamaha Motor Co Ltd Locomotive cushion structure
JP6249726B2 (ja) * 2013-11-11 2017-12-20 テイ・エス テック株式会社 乗り物用シート
CN109750924B (zh) * 2018-12-14 2023-06-13 力帆实业(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座垫铰链装置
JP7411613B2 (ja) 2021-08-20 2024-01-11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シート補強構造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382489B2 (ja) * 1997-01-21 2003-03-04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スクータ型車両のシート取付け構造
JP4421712B2 (ja) * 1999-10-15 2010-02-24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自動二輪車等の小型車両用シート構造
JP3816290B2 (ja) * 2000-02-29 2006-08-30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スクータ型車両のシート取付け構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BRPI0400183B1 (pt) 2015-01-13
EP1445181B1 (en) 2008-09-10
KR100534679B1 (ko) 2005-12-07
EP1445181A3 (en) 2007-08-22
CN1265993C (zh) 2006-07-26
CN1519162A (zh) 2004-08-11
ES2312924T3 (es) 2009-03-01
TW200500253A (en) 2005-01-01
BRPI0400183A (pt) 2004-11-03
JP4383064B2 (ja) 2009-12-16
EP1445181A2 (en) 2004-08-11
JP2004237936A (ja) 2004-08-26
TWI248402B (en) 2006-02-01
MXPA04001093A (es) 2005-02-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H02169380A (ja) 自動二輪車
KR100534679B1 (ko) 자동 이륜차의 시트 구조
JP4549916B2 (ja) 自動二輪車の車体構造
JP3620311B2 (ja) 自動二輪車の収納装置
JP4027045B2 (ja) 自動二輪車のシート構造
JP5579000B2 (ja) 鞍乗型車両
EP1092616B1 (en) Seat structure for motorcycles
EP3381783B1 (en) Seat catch mounting structure of straddle type vehicle
JP3814066B2 (ja) 自動2輪車のシートロック装置
JP3751072B2 (ja) スクータ型車両におけるリヤカバー取付構造
JP3838592B2 (ja) 自動二輪車のボディカバー支持構造
JP3591675B2 (ja) 自動二輪車のシート構造
JP5661539B2 (ja) 鞍乗型車両のシート構造
JPH09216589A (ja) スクータ型車両におけるステップフロア構造
JP3464748B2 (ja) シート開閉式車両における防塵構造
JP5062491B2 (ja) 鞍乗型車両
JPH11334667A (ja) 車両用シート配設部構造
JP3812295B2 (ja) 自動二輪車のシート構造
JP3956641B2 (ja) スクータ型自動二輪車
EP3971069B1 (en) Straddled vehicle and manufacturing method for manufacturing straddled vehicle
JP3686076B2 (ja) スクータ型自動二輪車
JPH107056A (ja) スクータ型車両
JP2914304B2 (ja) スクータ型車両
JPH107063A (ja) スクータ型車両における車体フレーム
JP3344250B2 (ja) 自動二輪車の燃料タンク取付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0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01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