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64623A - 편물 공구 및 이 편물 공구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편물 공구 및 이 편물 공구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64623A
KR20040064623A KR1020040001072A KR20040001072A KR20040064623A KR 20040064623 A KR20040064623 A KR 20040064623A KR 1020040001072 A KR1020040001072 A KR 1020040001072A KR 20040001072 A KR20040001072 A KR 20040001072A KR 20040064623 A KR20040064623 A KR 2004006462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ank
legs
knitting tool
knitting
sl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010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56056B1 (ko
Inventor
에릭 유르겐스
우베 스틴겔
Original Assignee
그로츠-베케르트 카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그로츠-베케르트 카게 filed Critical 그로츠-베케르트 카게
Publication of KR200400646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6462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560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56056B1/ko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35/00Details of, or auxiliary devices incorporated in, knitting mach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4B35/02Knitting tools or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 D04B15/00 or D04B27/00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9/00Bed-covers; Counterpanes; Travelling rugs; Sleeping rugs; Sleeping bags; Pillows
    • A47G9/02Bed linen; Blankets; Counterpanes
    • A47G9/0207Blankets; Duvets
    • A47G9/0223Blanket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27/00Woven pile fabrics
    • D03D27/02Woven pile fabrics wherein the pile is formed by warp or weft
    • D03D27/04Weft pile fabric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Knitting Machines (AREA)

Abstract

특히, 고속 기계용 편물 공구(1)는 톱니부(33,34)를 갖는 생크(2)를 구비한다. 상기 톱니부(33,34)들을 구체화하기 위하여, 생크(2)는 서로로부터 이격된 두 레그(29,31)를 생성하는 슬릿(25)을 구비한다. 상기 두 레그(29,31)들은 플랭크 (27,28)에 원하는 톱니부들이 생성되도록, 서로를 향하여 굽혀진다. 톱니부들은 마찰을 감소시키고 오일을 유지하는 작용을 한다.

Description

편물 공구 및 이 편물 공구의 제조 방법{Knitting tool and method for producing it}
본 발명은 편물 공구, 특히 고속 기계를 위한 편물 공구 및 이러한 편물 공구를 제조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이다.
독일 특허 제 196 04 954 C1호에서, 넓은측의 니들 채널에서 윤활유를 분배하기 위한 리세스를 가지는, 예를 들어, 후크 또는 래치 니들(latch needle) 형식의 스탬프형 편물 공구가 기재되어 있다. 니들은 과도하게 과열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니들 채널에서 윤활되어야 한다. 한편, 윤활유는 적절하게 사용되어야 하고; 그렇지 않으면, 니들 채널에서 이탈하여 제품 위로 흘러서 제품을 고형화시킨다. 상술한 특허의 편물 공구에서, 상기 조건들은 충족된다. 윤활유 분배 수단으로 작용하는 생크의 챔버 또는 리세스는 윤활유에 대한 저장 챔버를 형성한다. 한편, 리세스를 형성하는 공정은 상대적으로 큰 수고 및 비용을 수반한다. 마지막으로, 리세스가 오염물로 막혀서 그 효율성을 상실하는 것을 배제할 수 없다.
독일 특허 제 197 40 985 C2호에서, 오목한 개방 공간들이 생크 상에 제공되기 때문에, 생크들이 가변 두께를 가지는 편물 공구들이 이미 공지되어 있다.
이러한 편물 공구들은 기대 사항들을 충족시키지만, 제조 비용은 이전과 같이 무시할 수 없다.
이러한 관점에서, 본 발명의 목적은 가이드 채널에서 마찰 저항이 적고 제조하기 단순한 편물 공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 목적은 청구항 1의 편물 공구 및 청구항 10의 그 제조 방법으로 달성된다.
본 발명의 편물 공구는 편물 기계의 가이드 채널 안으로 삽입되어서 채널의 종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안내되는 생크를 가진다. 이 생크는 가변 두께를 가진다. 감소된 두께의 영역은 예를 들어, 오일 유지 영역으로 작용할 수 있다. 이들 각 영역은 슬릿에 의해서 서로로부터 분리된 레그들에 의해서 형성되고 서로를 향하여 굴곡된다. 측면에서 볼 때, 레그들은 그에 따라 오목한 톱니부(indentation)들을 가지며 관찰자에서 생크의 중심을 향하여 굴곡된다.
이러한 편물 공구들은 정확하고 경제적으로 제조될 수 있을 뿐 아니라 양호한 작동 특성을 가지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서로를 향하여 굴곡된 레그들에 의해서 한정되는 생크의 플랭크 상의 톱니부들은 편물 공구가 가이드 채널의 가이드면상에 놓여지는 표면적을 감소시킨다. 또한, 윤활유 챔버가 생성된다. 추가로, 톱니부들에는 예리한 에지들이 없으며, 이것은 오염물들이 그 위에 침착되는 것을 방지한다. 마지막으로, 오일을 유지하도록 작용할 수 있는 어떤 자유 공간이 레그들 사이에 존재한다.
추가로, 편물 공구의 동적 부하 유지 능력이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서로를 향하여 굽혀진 레그들은 그 강도 및 부하 유지 능력을 감소시키지 않고 편물 공구의 가요성을 증가시킨다.
본 발명의 편물 공구의 다른 장점은 그 대칭성에 있다. 두 톱니부들이 편물 공구의 두 대향 플랭크들 상의 동일 장소에 배치되고 양호하게는 모두 동일 크기를 가진다. 이것은 편물 공구를 반듯하게 배치하는데 유익하다. 또한, 편물 공구의 플랭크 상의 톱니부들은 특히 니들의 상단 및 하단 상에 버르(burr)없이 구현될 수 있다.
서로를 향하여 굴곡된 생크의 두 레그들은 양호하게는, 서로 만나거나 또는 서로로부터 간격을 유지하는 중심면을 향하여 굴곡된다.
그에 따라 레그들 사이에 형성된 슬릿은 중심부에 최소 두께를 가지거나 또는 두 레그들이 접촉하는 접촉 지점에 의해서 차단된다. 레그들은 필요한 지점에서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이것은 재료 접착에 의해서 또는 포지티브 결합에 의해서 필요할 때 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그곳을 점용접(spot weld)할 수 있다. 또한, 레그들을 서로 쐐기로 고정하거나 또는 리벳으로 고정할 수 있다.
또한, 양호한 실시예의 상세한 설명은 도면, 상세한 설명 및 종속항에서 명백해질 것이다.
도 1 내지 도 4는 여러 실시예에서 플랭크 상의 생크 톱니부를 갖는 래치 니들을 각각 부분 단면으로 도시한 도면.
도 5는 라인 A-A에 따른 단면에서 도 1 내지 도 4의 래치 니들의 각 생크를 상세하게 도시한 도면.
도 6은 플랭크 상의 생크 톱니부를 갖는 편물 공구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부분 사시도.
도 7은 생크 상의 톱니부를 제조할 때의 중간 단계에 있는 도 6의 편물 공구를 도시한 도면.
도 8은 생크에 형성되는 톱니부의 영역에서 도 7의 편물 공구의 생크를 도시한 횡단면도.
도 9는 도 6의 편물 공구를 생크의 방위를 횡단하여 단면으로 도시한 도면.
도 10 및 도 11은 톱니부가 제조되기 이전 및 이후에 있는 편물 공구의 변형 실시예를 횡단면으로 도시한 도면.
도 12 및 도 13은 톱니부가 제조되기 이전 및 이후에 있는 생크의 톱니부를갖는 편물 공구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편물 공구 2: 생크
4: 채널 25: 슬릿
29,31: 슬릿
도 1에서, 래치 니들(1)은 적당한 가이드 채널에서 전후로 이동가능하게 지지되는 모든 긴 편물 공구들을 나타내도록 도시된다. 래치 니들(1)은 가이드 섹션으로서 후방부(3)가 편물 기계의 가이드 채널(4)(도 5)에 착석된다. 가이드 채널(4)은 양호하게는, 평면으로 구현되는 두 가이드면(5,6)에 의해서 한정된다. 역시 도 1에 도시된 후방부(3)는 양호하게는, 래치 니들(1)을 구동하도록 작동하는 버트(butt;7)를 구비한다. 후방부(3)에서, 생크(2)는 후크(8) 또는 다른 종류의 작용 영역까지 연장된다.
후방부(3)에서, 생크(2)는 니들 후방(9)에서 니들 상단(11)으로 측정하고 후크(8)를 향하여 연장되는 전방 영역 보다 큰 높이를 가진다. 후방부(3)에서, 생크(2)는 리세스(12,13,14,15)를 가지므로, 니들의 상단측(11)을 향하여, 각 좁은 브릿지(16,17,18,19)가 형성된다. 각 좁은 브릿지(16,17,18,19) 사이에는, 생크(2)가 그 전체 높이까지 연속적으로 구현되는 각 중간부(21,22,23,24)가 형성된다. 그러나, 중간부(22,23,24)는 감소한 두께를 가진다. 이것은 라인 또는 단면 A-A에 따른 단면으로 중간부(23)를 도시하는 도 5에서 명확해진다. 중간부(23)에서, 니들의 상단측(11)으로부터 니들 후방부(9)로 연장되고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접 좁은 브릿지(18,19)로 연장될 수 있는 슬릿(25)이 형성된다. 슬릿(25)은 양호하게는, 도 1에서 단면과 부합되고 도 5에서 도면의 평면에 수직하는 중심면(26)과 대칭으로 구현된다. 중심면(26)은 생크(2)의 플랭크(27,28) 사이에서 중심에 위치한다. 슬릿(25)의 폭은 예를 들어, 생크(2)의 거의 1/3 전체 두께를 구성할 수 있다. 슬릿(25)은 두 레그(29,31)를 서로부터 분할하고; 각 두 단부 상의 양 레그들은 충분한 비슬릿 생크(2)로 연속된다. 두 레그(29,31)들은 서로를 향하여 굽혀지고;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릿(25)이 차단되는 접촉 지점(32)에서 접촉할 수 있다. 접촉 지점(32)은 니들 후방부(9)에서 니들의 상단측(11)으로 생크(2)의 전체 높이에 걸쳐 연장될 수 있다.
두 레그(29,31)는 숄더 또는 계단없이 연속 굴곡으로 굽혀지므로, 생크(2)의 외부 플랭크(27,28) 상에는 예리한 에지가 없다. 대신에, 플랭크(27)는 오목 아크를 형성하는 톱니부(33)와 완만한 곡률을 거쳐 만난다. 레그(31)의 굽힘 또는 곡률의 결과로 오목한 톱니부(34)를 한정하는 플랭크(28)에 대해서도 상응하게 적용된다. 톱니부(33,34)는 플랭크(27,28)가 각 톱니부(33,34)의 영역에서 가이드면(5,6)으로부터 공간을 유지하는 것을 보장하며; 상기 공간은 가이드 채널에서 래치 니들(1)의 마찰을 감소시킨다. 또한, 톱니부(33,34)는 윤활유가 수집되어 유지될 수 있는 챔버들을 형성한다.
도 2, 도 3 및 도 4는 버트(7)의 위치에서 본질적으로 서로 상이한, 도 1의 래치 니들의 변형 실시예들을 도시한다. 다르게는, 부호가 동일한 곳에서는 그에 따라 상기 설명이 적용된다. 모든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버트(7)를 유지하는 중간부(21)가 슬릿 및 어떤 측방향 톱니부없이 구현된다는 것도 사실이다. 그러나, 필요하다면, 톱니부들은 역시 그곳에 제공될 수 있다.
이제는,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편물 공구의 일 실시예의 생크의 부분을 보기로 들어서, 톱니부(33,34)의 실시예에 대하여 기술한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생크(2)는 먼저 슬릿(25)을 구비한다. 이 슬릿(25)은 플랭크(27,28)가 바람직한 톱니부들을 갖게 측방향에 제공되는 생크(2)의 영역에서 제조된다. 슬릿(25)은 플랭크(27,28) 사이에서 플랭크(27,28)에 거의 평행하게 생크(2)을 통하여 연장된다. 플랭크(28)에 직각인 면에서, 슬릿(25)은 측방향으로 톱니 형태가 형성되는 플랭크(28)의 영역 아래에 있다. 플랭크(27)에 수직하는 관점에서도 동일한 것이 적용된다.
다음, 플랭크(27,28)에 대하여 거의 직각으로, 슬릿(25)의 영역에서 각 플랭크(27,28)에 힘이 작용한다. 두 레그(29,31)는 그에 따라서 서로를 향하여 변형되어서, 톱니부(33,34)를 형성한다.
도 8 및 도 9는 도 6 및 도 7의 래치 니들을 차후 접촉 지점(32)의 영역에서 단면으로 도시한다. 두 레그(29,31)는 서로 연결되지 않는다. 이것은 래치 니들에 특수한 가요성을 부여한다.
도 10 및 도 11은 슬릿(25)이 두 개의 부분 슬릿(25a,25b)으로 보조분할되는 변형 실시예를 도시한다. 부분 슬릿(25a)은 니들의 상단측(11)에서 생크(2)로 연장된다. 부분 슬릿(25b)은 반대로 니들 후방부(9)에서 시작된다. 부분 슬릿(25a,25b) 사이에는, 상기 부분 슬릿(25a,25b)을 서로로부터 분리시키는 좁은 브릿지(35)가 형성된다(도 10). 따라서, 두 레그(29,31)는 서로 연결된다. 압축될 때, 좁은 브릿지(35)는 가소성으로 변형된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과적으로, 접촉 지점(32)의 영역에서, 재료 결합에 의해서 두 레그(29,31)를 고정하는 연결 지점(36)이 형성된다.
도 12 및 도 13은 레그들이 변형된 이후에, 두 레그(29,31)들이 재료 접착되는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를 도시한다. 슬릿(25)(도 12)에 의해서 서로로부터 완전히 분리된 상기 두 레그(29,31)들은 변형된 이후에 레이저 점 용접(37)으로 서로 연결되고 그에 따라서 서로에 대해서 유지된다. 다른 방안으로, 레이저 점 용접은 니들 후방부(9) 및/또는 니들의 상단측(11) 상에서 실행될 수 있다.
특히, 고속 편물 기계에 대한 편물 공구(1)는 톱니부(33,34)를 구비한 생크(2)를 가진다. 이들 톱니부들을 구현하기 위하여, 생크(2)는 두 레그(29,31)를 서로부터 이격시키는 슬릿(25)을 구비한다. 상기 레그들은 원하는 톱니부들이 플랭크(27,28)에서 생성되도록 서로를 향하여 굽혀진다. 톱니부들은 마찰을 감소시키고 오일을 유지하도록 작용한다.
본 발명에 따른 편물 공구는 가이드 채널에서 마찰 저항이 적고 제조하기 단순한 장점을 가진다.

Claims (11)

  1. 고속 기계용 편물 공구에 있어서,
    편물 기계의 가이드 채널(4) 안으로 삽입되어 상기 가이드 채널(4)에서 안내되고 가변 두께를 가지는 생크(2)를 구비하고,
    감소된 두께의 영역(22,23,24)들에서, 생크(2)가 서로를 향하여 굽혀지는 두 레그(29,31)들에 의해서 둘러싸이는 영역에 대하여 적어도 하나의 슬릿(25)을 가지는 편물 공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생크(2)는 감소된 두께의 영역(22,23,24)들을 형성하는 오목하게 굴곡된 톱니부들을 한정하는 플랭크(27,28)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물 공구.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슬릿(25)은 생크(2)의 중심면(26)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물 공구.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두 레그(29,31)들은 상기 중심면(26)을 향하여 굽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물 공구.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두 레그(29,31)들 사이에 공간이 존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물 공구.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두 레그(29,31)들은 서로 접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물 공구.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두 레그(29,31)들은 서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물 공구.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두 레그(29,31)들은 점 용접(37)의 수단에 의해서 서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물 공구.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슬릿(25)은 그 전체 높이에 걸쳐 생크(2)를 관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물 공구.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슬릿(25)은 부분적인 슬릿(25a,25b)들로 분할되고, 좁은 브릿지(35)은 상기 부분적인 슬릿(25a,25b)들 사이에서 구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물 공구.
  11. 초기 직선-플랭크 영역(initially straight-flanked region)이 오목해지는 플랭크에 본질적으로 평행하게 리세스를 제조함으로써, 적어도 하나의 톱니부를 구비하며,
    편물 공구에서, 상기 리세스는 본질적으로 플랭크에 평행하게 연장되고, 플랭크를 리세스 안으로 내향으로 가압하는 편물 공구의 제조 방법.
KR1020040001072A 2003-01-10 2004-01-08 편물 공구 및 이 편물 공구의 제조 방법 KR10055605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300830.6 2003-01-10
DE10300830A DE10300830B3 (de) 2003-01-10 2003-01-10 Strickwerkzeug und Herstellungsverfahren für diese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64623A true KR20040064623A (ko) 2004-07-19
KR100556056B1 KR100556056B1 (ko) 2006-03-03

Family

ID=324782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01072A KR100556056B1 (ko) 2003-01-10 2004-01-08 편물 공구 및 이 편물 공구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6860121B2 (ko)
EP (1) EP1437434B1 (ko)
JP (1) JP3977813B2 (ko)
KR (1) KR100556056B1 (ko)
CN (1) CN1306094C (ko)
DE (1) DE10300830B3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690223B2 (en) * 2004-12-07 2010-04-06 Fukuhara Needle Co., Ltd. Part for circular knitting machine
CN100402225C (zh) * 2005-12-05 2008-07-16 秦策 钢丝横机针后缺免铣加工方法
EP2172584B1 (de) 2008-10-02 2013-01-09 Groz-Beckert KG Strickmaschinennadel mit geschlitztem Mäanderbogen
PT2540889T (pt) * 2010-07-06 2016-09-19 Groz Beckert Kg Sistema de tricotagem com canais de guiamento achatados
DE102011119335B3 (de) * 2011-11-25 2013-04-04 Thomas Liebers Anordnung eines Strickelements in einem Führungskanal einer Strickmaschine sowie Strickelement
CN102943343A (zh) * 2012-11-20 2013-02-27 东莞市飞宇机械设备科技有限公司 一种电脑横编机起底板钩针及其制造方法
DE102014103261B4 (de) * 2014-03-11 2017-02-23 Hugo Kern Und Liebers Gmbh & Co. Kg Platinen- Und Federnfabrik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fadenberührenden Elements und fadenberührendes Element, insbesondere für Strick- oder Wirkmaschinen
EP2927360B1 (de) * 2014-04-03 2017-03-08 Groz-Beckert KG Strickwerkzeug für Strickmaschinen
DE102015014722B3 (de) * 2015-10-28 2016-12-15 Thomas Liebers Strickmaschine mit einem Führungskanal und einem darin geführten Strickelement
CN105937091A (zh) * 2016-06-21 2016-09-14 大津编物(无锡)有限公司 防起毛钩针
CN105937092A (zh) * 2016-06-21 2016-09-14 大津编物(无锡)有限公司 防静电钩针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441591A (en) 1918-08-28 1923-01-09 Pope Machine Company Knitting machine and needle therefor
FR688926A (fr) 1930-01-27 1930-08-30 Lebocey Freres Ets Aiguille pour métier à bonneterie
US3949572A (en) * 1969-12-29 1976-04-13 Vyzkumny A Vyvojovy Ustav Zavodu Vseobecneho Strojirenstvi High impact knitting needle
DE2123971A1 (de) * 1970-05-20 1971-12-02 Vyzkumny ustav pletarzsky, Brunn (Tschechoslowakei) Arbeitselement einer Strickmaschine mit mindestens einem Nadelfuß
DE2932207C2 (de) * 1979-08-08 1981-11-19 Universal-Maschinenfabrik Dr. Rudolf Schieber Gmbh & Co Kg, 7081 Westhausen Doppelkopfnadel
DE2944300C2 (de) 1979-11-02 1983-01-27 Universal-Maschinenfabrik Dr. Rudolf Schieber Gmbh & Co Kg, 7081 Westhausen Doppelkopfnadel
JPS61239065A (ja) * 1985-04-12 1986-10-24 福原ニ−ドル株式会社 丸編機用のメリヤス板針およびその製造方法
DE19604954C1 (de) * 1996-02-10 1997-02-27 Groz & Soehne Theodor Gestanztes Strickwerkzeug
DE19740985C2 (de) * 1997-09-18 1999-09-30 Groz Beckert Kg Gestanztes Strickwerkzeug
JP2000073263A (ja) * 1998-08-24 2000-03-07 Fukuhara Needle Kk 編機械用打ち抜き部品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4218187A (ja) 2004-08-05
CN1306094C (zh) 2007-03-21
DE10300830B3 (de) 2004-08-05
CN1521295A (zh) 2004-08-18
KR100556056B1 (ko) 2006-03-03
EP1437434A1 (de) 2004-07-14
JP3977813B2 (ja) 2007-09-19
US20040172983A1 (en) 2004-09-09
EP1437434B1 (de) 2015-12-02
US6860121B2 (en) 2005-03-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0064623A (ko) 편물 공구 및 이 편물 공구의 제조 방법
KR100703145B1 (ko) 톱날
KR960000658B1 (ko) 톱날
JP3720362B2 (ja) 鋸刃の歯形及びそのための方法
CN101512166B (zh) 组件及其制造方法
JPH11147201A (ja) 鋸刃及びその製造方法
JPWO2005019684A1 (ja) 金属ベルト及びそれに使用する押しゴマ
EP1375721B1 (de) Nadel mit Umhängefeder
JP2001219316A (ja) 本体と目打ちしていない歯を備えた鋸刃
DE69818902T2 (de) Kette, mit Zähnen aufweisenden, geformten Hülsen
CN202824862U (zh) 带锯刀
EP1318221B1 (de) Strick- oder Wirkmaschine
US5392725A (en) Sewing machine needl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EP2794165B1 (de) Stich- bzw. säbelsägeblatt für eine werkzeugmaschine
US4831847A (en) Knitting machine parts
KR20160108345A (ko) 이중 꼬임 그루브를 구비한 재봉 바늘
JPH09310255A (ja) 打ち抜き成形された編み工具
JP2002001449A (ja) 鋼板製スプロケット及びその製造方法
KR102318474B1 (ko) 펠트 바늘 및 적어도 하나의 펠트 바늘을 제조하는 방법
CN105945350A (zh) 具有仿生学结构的拉刀
NL1023667C2 (nl) Metalen drijfriem.
JP4370742B2 (ja) ブッシングプレートの製造方法
KR101050972B1 (ko) 좁은 크랭크 모양 종광
JP5003184B2 (ja) 動力伝達チェーン用ピン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H09217796A (ja) サイレントチェーンのプレー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15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13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13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19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19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01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29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29

Year of fee payment: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