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58001A - 유모차의 차양 - Google Patents

유모차의 차양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58001A
KR20040058001A KR1020030096089A KR20030096089A KR20040058001A KR 20040058001 A KR20040058001 A KR 20040058001A KR 1020030096089 A KR1020030096089 A KR 1020030096089A KR 20030096089 A KR20030096089 A KR 20030096089A KR 20040058001 A KR20040058001 A KR 2004005800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nshade
ribs
rib
awning
canop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960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75107B1 (ko
Inventor
다쿠보세이지
구로스히로코
모리구치겐타로
Original Assignee
콤비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32815090&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20040058001(A)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콤비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콤비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400580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5800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751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75107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9/00Accessories or details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s carriages or perambulators
    • B62B9/10Perambulator bodies; Equipment therefor
    • B62B9/14Equipment protecting from environmental influences, e.g. Hoods; Weather screens; Cat nets
    • B62B9/142Equipment protecting from environmental influences, e.g. Hoods; Weather screens; Cat nets by flexible canopies, covers or ne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arriages For Children, Sleds, And Other Hand-Operated Vehicles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 Buck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완전한 전개 상태가 아니라, 개방 형태가 좁은 전개 상태로 사용될 때에도, 차양 천 중 외부로부터 보이는 부분이 긴장 상태로 유지되도록 한 유모차의 차양을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유모차 본체에 장착되어 이용되는 차양(21)은 역(逆)U자 형상으로 굴곡된 적어도 3개의 차양 리브(22a, 22b, 22c)를 갖고 있으며, 이들 차양 리브(22a, 22b, 22c)의 외면에 차양 천(23)이 장설(張設)되어 있다. 차양 리브(22a, 22b, 22c)는 그들 사이의 개방 각도가 변화되도록 그들의 개방측 선단부가 서로 피벗 장착되어 있다. 차양(21)의 양측부에는 차양 천(23)의 개방 형태를 조정하기 위한 차양 개방 각도 조정 부재(24)가 설치되고, 각 차양 리브(22a, 22b, 22c) 사이의 개방 각도를 소정의 각도로 유지하여 차양 천(23)의 개방 형태를 조정할 수 있다. 차양 천(23) 중 수동 레버(15)(파이프(19))에 근접한 차양 리브(22c) 및 중간 위치의 차양 리브(22b)의 부착 부위에 근접한 부분에는 버클(25, 26)이 고착되어 있어, 양자가 서로 결합되었을 때에, 차양 리브(22b, 22c)를 서로 근접한 상태로 유지한다.

Description

유모차의 차양{CANOPY OF BABY STROLLER}
본 발명은 유모차 본체에 장착되어 이용되는 차양에 관한 것이며, 특히 차양 리브(rib) 사이의 개방 각도를 변화시킴으로써 차양 천의 개방 형태를 바꿀 수 있는 차양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영유아를 산책이나 쇼핑 등을 위해 옥외(屋外)로 데리고 나갈경우에 사용되는 유모차에서는, 유모차 본체에 대하여 착탈(着脫) 가능하게 차양이 장착되어 있어, 필요에 따라 영유아로의 햇살을 차단하도록 하는 것이 실행되고 있다.
도 4는 종래의 차양을 구비한 유모차의 개략 구성을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종래의 유모차(1')는 전륜(前輪)(11)을 갖는 좌우 한 쌍의 전각(前脚)(12)과, 후륜(後輪)(13)을 갖는 좌우 한 쌍의 후각(後脚)(14)과, 대략 역(逆)U자 형상으로 굴곡된 수동(手動) 레버(15)와, 좌우 한 쌍의 팔걸이(16)와, 각 팔걸이(16, 16) 사이에 걸쳐진 착탈 가능한 가드 암(guard arm)(17)을 갖고, 이들 각 부재에 의해 유모차 본체가 구성되어 있다. 또한, 이렇게 하여 구성된 유모차 본체에는 영유아를 태우기 위한 시트(seat)(18)가 부착되어 있다. 또한, 유모차 본체의 수동 레버(15)를 구성하는 좌우 파이프(19)의 외측부에는, 차양(21)이 장착되는 파이프 형상의 차양 장착 도구(20)가 설치되어 있다.
이 중에서 차양(21)은 역U자 형상으로 굴곡된 복수(도 4에서는 3개)의 차양 리브(22a, 22b, 22c)를 갖고 있으며, 이들 차양 리브(22a, 22b, 22c)의 외면(外面)에 차양 천(23)이 장설(張設)되어 있다. 또한, 이들 각 차양 리브(22a, 22b, 22c)의 개방측 선단부는 서로 피벗(pivot) 장착 연결되어 있으며, 그 피벗 장착점을 중심으로 하여 전후로 요동(搖動)함으로써 각 차양 리브(22a, 22b, 22c) 사이의 개방 각도가 변화되고, 이것에 의해 차양 천(23)의 개방 형태를 바꿀 수 있게 되어 있다.
여기서, 각 차양 리브(22a, 22b, 22c)의 피벗 장착 연결부에는 부착레버(21a)가 돌출 설치되어 있고, 이 부착 레버(21a)가 차양 장착 도구(20)에 삽입됨으로써, 차양(21)이 유모차 본체에 장착되게 되어 있다.
또한, 차양(21)의 후부(後部)에는 아래로 늘어진 후부 덮개(21b)가 설치되어 있고, 이 후부 덮개(21b)의 양측부가 좌우 파이프(19)를 덮도록 감아 장착되어 있다.
또한, 차양(21)의 양측부에는 차양 천(23)의 개방 형태를 조정하기 위한 차양 개방 각도 조정 부재(24)가 설치되어 있고, 각 차양 리브(22a, 22b, 22c) 사이의 개방 각도를 소정의 각도로 유지하여 차양 천(23)의 개방 형태를 조정함으로써, 차양(21)을 소정의 전개 상태(완전히 전개한 상태, 완전히 전개되지 않아 개방 형태가 좁은 상태, 또는 접어 겹친 상태)로 할 수 있게 되어 있다.
그리하여, 차양(21)의 사용 시에는, 차양 리브(22a)를 차양 리브(22b)와 함께 전방(前方) 측으로 요동시켜, 각 차양 리브(22a, 22b, 22c) 사이의 개방 각도를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최대로 하고, 또한, 차양 개방 각도 조정 부재(24)에 의해 그 상태를 유지한다. 이것에 의해, 차양(21)이 최대로 확장된 상태(완전히 전개된 상태)로 된다.
한편, 차양(21)의 비(非)사용 시에는, 상술한 것과 반대로, 차양 리브(22a)를 차양 리브(22b)와 함께 후방(後方)의 차양 리브(22c) 측으로 요동시켜, 각 차양 리브(22a, 22b, 22c) 사이의 개방 각도를 최소로 한다. 이것에 의해, 차양(21)이 접어 겹쳐진 상태로 된다.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은 차양(21)에 있어서, 차양 리브(22a, 22b, 22c)의외면에 장설된 차양 천(23)은 차양(21)이 최대로 확장된 상태에 맞추어 장력(張力)을 갖도록 조정되고 있기 때문에, 각 차양 리브(22a, 22b, 22c) 사이의 개방 각도가 최대 개방 각도 이하의 임의의 각도로 되는 상태로 사용하면,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차양 천(23)의 외관이 느슨해진 상태로 되어, 보기에 나쁘다는 등의 문제가 생기게 된다.
본 발명은 이러한 점을 고려하여 안출된 것이며, 유모차 본체에 장착되어 이용되는 차양으로서, 완전한 전개 상태가 아니라, 개방 형태가 좁은 전개 상태(각 차양 리브 사이의 개방 각도가 최대 개방 각도 이하의 임의의 각도로 되는 상태)로 사용될 때에도, 차양 천 중 외부로부터 보이는 부분이 긴장(緊張) 상태로 유지되도록 한 유모차의 차양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양을 구비한 유모차에서의 차양이 완전히 전개(展開)된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2는 도 1에 나타낸 유모차의 차양에 부착된 연결 도구의 연결 상태를 나타내는 상면(上面) 사시도.
도 3은 도 1에 나타낸 유모차에 있어서, 차양이 완전히 전개되지 않아 개방 형태가 좁은 상태(차양의 일부가 부분적으로 닫힌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4는 종래의 차양을 구비한 유모차에서의 차양이 완전히 전개된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5는 도 4에 나타낸 유모차에 있어서, 차양이 완전히 전개되지 않아 개방 형태가 좁은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유모차
11 : 전륜
12 : 전각
13 : 후륜
14 : 후각
15 : 수동 레버
16 : 팔걸이
17 : 가드 암
18 : 시트
19 : 파이프
20 : 차양 장착 도구
21 : 차양
21a : 부착 레버
21b : 후부 덮개
22a, 22b, 22c : 차양 리브
23 : 차양 천
24 : 각도 조정 부재
25, 26 : 버클
본 발명은 유모차 본체에 장착되어 이용되는 차양에 있어서, 역U자 형상으로 굴곡된 적어도 3개의 차양 리브로서, 상기 차양 리브 사이의 개방 각도가 변화되도록 그들의 개방측 선단부가 서로 피벗 장착된 복수의 차양 리브와, 상기 각 차양 리브가 확장된 상태에 맞추어 상기 각 차양 리브에 장설된 차양 천과, 상기 복수의 차양 리브 중 적어도 2개의 차양 리브를 서로 근접한 상태로 유지하는 연결 도구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모차의 차양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차양 리브는 상기 유모차 본체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이동하지 않는 제 1 차양 리브와, 이 제 1 차양 리브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근접 또는 이간(離間)하는 제 2 차양 리브와, 이 제 2 차양 리브와 상기 제 1 차양 리브 사이에 위치하는 중간 위치의 차양 리브를 갖고, 상기 연결 도구는 상기 제 1 차양 리브와 상기 중간 위치의 차양 리브를 서로 근접한 상태로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연결 도구는 상기 차양 천 중 상기 2개의 차양 리브의 부착 부위에 근접한 부분끼리를 서로 끌어당김으로써 상기 2개의 차양 리브를 서로 근접한 상태로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연결 도구는 상기 차양 천에 부착된 버클, 면(面) 파스너(fastener) 또는 끈 등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의하면, 개방 각도가 변화되도록 그것의 개방측 선단부가 서로 피벗 장착된 복수의 차양 리브 중 적어도 2개의 차양 리브를 연결 도구에 의해 서로 근접한 상태로 유지할 수 있기 때문에, 차양이 완전히 전개되지 않아 개방 형태가 좁은 전개 상태(각 차양 리브 사이의 개방 각도가 최대 개방 각도 이하의 임의의 각도로 되는 상태)로 사용될 경우에도, 차양 천 중 서로 근접한 상태의 2개의 차양 리브 사이에 위치하는 부분을 폐쇄한 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차양 천 중 외부로부터 보이는 부분(폐쇄한 부분 이외의 부분)을 용이하게 긴장 상태로 유지할 수 있고, 차양 천의 외관이 느슨해진 상태로 되는 것을 방지하여, 보기 좋게 할 수 있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양을 구비한 유모차의 개략 구성을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유모차(1)는 전륜(11)을 갖는 좌우 한 쌍의 전각(12)과, 후륜(13)을 갖는 좌우 한 쌍의 후각(14)과, 대략 역U자 형상으로 굴곡된 수동 레버(15)와, 좌우 한 쌍의 팔걸이(16)와, 각 팔걸이(16, 16) 사이에 걸쳐진 착탈 가능한 가드 암(17)을 갖고, 이들 각 부재에 의해 유모차 본체가 구성되어 있다. 또한, 이렇게 하여 구성된 유모차 본체에는 영유아를 태우기 위한 시트(18)가 부착되어 있다. 또한, 유모차 본체의 수동 레버(15)를 구성하는 좌우 파이프(19)의 외측부에는, 차양(21)이 장착되는 파이프 형상의 차양 장착 도구(20)가 설치되어 있다.
이 중에서 차양(21)은 역U자 형상으로 굴곡된 복수(여기서는 3개)의 차양 리브(22a, 22b, 22c)를 갖고 있으며, 이들 차양 리브(22a, 22b, 22c)의 외면에 차양 천(23)이 장설되어 있다. 또한, 차양 리브(22a, 22b, 22c)의 외면에 장설된 차양 천(23)은 차양(21)이 최대로 확장된 상태에 맞추어 장력을 갖도록 조정되고 있다. 또한, 각 차양 리브(22a, 22b, 22c)의 개방측 선단부는 서로 피벗 장착 연결되어 있으며, 그 피벗 장착점을 중심으로 하여 전후로 요동함으로써 각 차양 리브(22a, 22b, 22c) 사이의 개방 각도가 변화되고, 이것에 의해 차양 천(23)의 개방 형태를 바꿀 수 있게 되어 있다. 또한, 차양 리브(22c)는 유모차 본체의 수동 레버(15)(파이프(19))에 근접하여 설치된 제 1 차양 리브(유모차 본체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이동하지 않는 차양 리브)이고, 차양 리브(22a)는 유모차 본체의 수동 레버(15)(파이프(19))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근접 또는 이간하는 제 2 차양 리브이며, 차양 리브(22b)는 이 제 2 차양 리브(22a)와 제 1 차양 리브(22c) 사이에 위치하는 중간 위치의 차양 리브이다.
여기서, 각 차양 리브(22a, 22b, 22c)의 피벗 장착 연결부에는 부착 레버(21a)가 돌출 설치되어 있고, 이 부착 레버(21a)가 차양 장착 도구(20)에 삽입됨으로써, 차양(21)이 유모차 본체에 장착되게 되어 있다.
또한, 차양(21)의 후부에는 아래로 늘어진 후부 덮개(21b)가 설치되어 있고, 후부 덮개(21b)의 양측부가 좌우 파이프(19)를 덮도록 감아 장착되어 있다.
또한, 차양(21)의 양측부에는 차양 천(23)의 개방 형태를 조정하기 위한 차양 개방 각도 조정 부재(24)가 설치되어 있고, 각 차양 리브(22a, 22b, 22c) 사이의 개방 각도를 소정의 각도로 유지하여 차양 천(23)의 개방 형태를 조정함으로써, 차양(21)을 소정의 전개 상태(완전히 전개한 상태, 완전히 전개되지 않아 개방 형태가 좁은 상태, 또는 완전히 접어 겹친 상태)로 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또한, 차양 리브(22a, 22b, 22c)의 외면에 장설된 차양 천(23)의 정상면(頂上面) 중 수동 레버(15)(파이프(19))에 근접한 제 1 차양 리브(22c)에 대응하는 부분(차양 리브(22c)의 부착 부위에 근접한 차양 천(23)의 부분)에 한쪽 버클(연결 도구)(25)이 고착(固着)되어 있다. 또한, 차양 천(23)의 정상면 중 중간 위치의 차양 리브(22b)에 대응하는 부분(차양 리브(22b)의 부착 부위에 근접한 차양 천(23)의 부분)에는, 버클(25)에 결합시킬 수 있는 다른쪽 버클(연결 도구)(26)이 고착되어 있다. 그리고, 이들 버클(25, 26)은 양자가 서로 결합되었을 때에, 도 2 및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차양 천(23) 중 차양 리브(22b, 22c)의 부착 부위에근접한 부분끼리를 서로 끌어당길 수 있게 되어 있고, 이것에 의해 차양 리브(22b, 22c)를 서로 근접한 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
그리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유모차(1)에서는,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차양(21)의 차양 천(23)에 고착된 버클(25, 26)을 서로 해방(解放)하고, 이어서, 차양 리브(22a)를 차양 리브(22b)와 함께 전방 측으로 요동시켜, 각 차양 리브(22a, 22b, 22c) 사이의 개방 각도를 최대로 한 후, 차양 개방 각도 조정 부재(24)에 의해 그 상태를 유지하면, 차양(21)이 최대로 확장된 상태(완전히 전개된 상태)로 된다.
한편, 상술한 것과 반대로, 차양 리브(22a)를 차양 리브(22b)와 함께 후방의 차양 리브(22c) 측으로 요동시켜, 각 차양 리브(22a, 22b, 22c) 사이의 개방 각도를 최소로 하면, 차양(21)이 접어 겹쳐진 상태로 된다.
여기서, 본 실시예에 따른 유모차(1)에서는, 차양(21)을 완전히 전개하지 않아 개방 형태가 좁은 전개 상태로 사용할 수도 있으며, 이 경우에는, 도 2 및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차양 천(23)에 고착된 버클(25, 26)을 서로 결합시키고, 차양 천(23) 중 차양 리브(22b, 22c)의 부착 부위에 근접한 부분끼리를 서로 끌어당김으로써, 차양 리브(22b, 22c)를 서로 근접한 상태로 유지한다. 이것에 의해, 차양 리브(22a)와 차양 리브(22b) 사이에 위치하는 차양 천(23)의 부분이 폐쇄된 상태로 유지되기 때문에, 차양(21)이 완전히 전개되지 않아 개방 형태가 좁은 전개 상태로 사용될 경우에도, 차양 리브(22a)와 차양 리브(22b) 사이에 위치하는 차양 천(23)의 부분만을 확장하면 되고, 차양 천(23) 중 외부로부터 보이는 부분의 전개면적이 전체에 비하여 작아지기 때문에, 그 부분에서의 긴장 상태를 용이하게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이 경우에는, 차양 리브(22b)와 차양 리브(22c) 사이에 위치하는 차양 천(23)의 부분은 차양 리브(22b, 22c)의 내측에 수납하여 외부로부터 보이지 않게 유지된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의하면, 차양 천(23)에 부착된 버클(25, 26)을 서로 결합시킴으로써, 제 1 차양 리브(22c) 및 중간 위치의 차양 리브(22b)를 서로 근접한 상태로 유지할 수 있기 때문에, 차양(21)이 완전히 전개되지 않아 개방 형태가 좁은 전개 상태(각 차양 리브(22a, 22b, 22c) 사이의 개방 각도가 최대 개방 각도 이하의 임의의 각도로 되는 상태)로 사용될 경우에도, 차양 천(23) 중 차양 리브(22a)와 차양 리브(22b) 사이에 위치하는 부분을 폐쇄한 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차양 천(23) 중 외부로부터 보이는 부분(폐쇄한 부분 이외의 부분)을 용이하게 긴장 상태로 유지할 수 있고, 차양 천(23)의 외관이 느슨해진 상태로 되는 것을 방지하여, 보기 좋게 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차양 리브(22b, 22c)의 부착 부위에 근접한 차양 천(23)의 부분에 버클(25, 26)을 고착하고 있지만, 중간 위치의 차양 리브(22b)에 대응하는 버클(26)의 부착 부위에 관해서는, 차양 리브(22b)의 부착 부위에 반드시 근접하고 있을 필요는 없으며, 차양 리브(22b)로부터 보아 차양 천(23) 전후의 적절한 위치에 설치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차양(21)이 3개의 차양 리브(22a, 22b, 22c)를 갖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4개 이상의 임의의 차양 리브를 가질 경우에도 동일하게 하여 적용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버클(26)의 부착 부위는 중간 위치에 배치되어 있는 2개 이상의 차양 리브 중 어느 하나에 대응한 것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차양 리브(22b, 22c)를 서로 근접한 상태로 유지하기 위한 연결 도구로서, 차양 천(23)에 부착된 버클(25, 26)을 이용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면 파스너나 끈, 훅(hook) 등의 다른 임의의 연결 도구를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각 차양 리브(22a, 22b, 22c) 사이의 개방 각도를 소정의 각도로 유지하기 위한 기구로서 차양 개방 각도 조정 부재(24)를 이용하고 있지만, 각 차양 리브(22a, 22b, 22c) 사이의 슬라이딩 마찰 등에 의해 각 차양 리브(22a, 22b, 22c)의 상대적인 요동 상태를 규제할 수 있는 것이라면, 특별한 기구로서의 차양 개방 각도 조정 부재(24)가 반드시 필요하지는 않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연결 도구에 의해 복수의 차양 리브 중 적어도 2개의 차양 리브를 서로 근접한 상태로 유지할 수 있기 때문에, 개방 형태가 좁은 전개 상태의 차양을 완전히 전개하지 않은 상태로 사용하는 경우에도 차양 천 중 서로 근접한 상태의 2개의 차양 리브 사이에 위치하는 부분을 폐쇄한 상태로 유지할 수 있게 되므로, 차양 천 중 외부로부터 보이는 부분이 긴장된 상태로 유지되어 차양 천의 외관이 느슨해지지 않아 보기 좋게 된다.

Claims (6)

  1. 유모차 본체에 장착되어 이용되고, 그 개방 형태를 바꿀 수 있는 차양에 있어서,
    역(逆)U자 형상으로 굴곡된 적어도 3개의 차양 리브(rib)로서, 상기 차양 리브 사이의 개방 각도가 변화되도록 그들의 개방측 선단부가 서로 피벗(pivot) 장착된 복수의 차양 리브와,
    상기 각 차양 리브가 확장된 상태에 맞추어 상기 각 차양 리브에 장설(張設)된 차양 천과,
    상기 복수의 차양 리브 중 적어도 2개의 차양 리브를 서로 근접한 상태로 유지하는 연결 도구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모차의 차양.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차양 리브는 상기 유모차 본체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이동하지 않는 제 1 차양 리브와, 상기 제 1 차양 리브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근접 또는 이간(離間)하는 제 2 차양 리브와, 상기 제 2 차양 리브와 상기 제 1 차양 리브 사이에 위치하는 중간 위치의 차양 리브를 갖고,
    상기 연결 도구는 상기 제 1 차양 리브와 상기 중간 위치의 차양 리브를 서로 근접한 상태로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모차의 차양.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도구는 상기 차양 천 중 상기 2개의 차양 리브의 부착 부위에 근접한 부분끼리를 서로 끌어당김으로써 상기 2개의 차양 리브를 서로 근접한 상태로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모차의 차양.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도구는 상기 차양 천에 부착된 버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모차의 차양.
  5.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도구는 상기 차양 천에 부착된 면(面) 파스너(fastener)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모차의 차양.
  6.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도구는 상기 차양 천에 부착된 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모차의 차양.
KR1020030096089A 2002-12-26 2003-12-24 유모차의 차양 및 이를 구비한 유모차 KR10107510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2-00378120 2002-12-26
JP2002378120A JP4184071B2 (ja) 2002-12-26 2002-12-26 ベビーカーの幌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58001A true KR20040058001A (ko) 2004-07-02
KR101075107B1 KR101075107B1 (ko) 2011-10-21

Family

ID=328150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96089A KR101075107B1 (ko) 2002-12-26 2003-12-24 유모차의 차양 및 이를 구비한 유모차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4184071B2 (ko)
KR (1) KR101075107B1 (ko)
CN (2) CN102120464A (ko)
TW (2) TWI372697B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56086B1 (ko) * 2007-02-07 2008-09-02 유영숙 차양 및 상기 차양이 장착되는 유모차
KR101469378B1 (ko) * 2013-08-08 2014-12-04 이정애 안전 자전거
KR20160111128A (ko) * 2015-03-16 2016-09-26 강의수 반려동물 드라이 룸
CN115317272A (zh) * 2022-10-11 2022-11-11 吉林大学 一种基于护理床用术后辅助患者排尿装置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184071B2 (ja) * 2002-12-26 2008-11-19 コンビ株式会社 ベビーカーの幌
JP5631784B2 (ja) * 2011-03-15 2014-11-26 株式会社リッチェル ベビーカーの幌、該幌が取り付けられたベビーカー
JP6771859B2 (ja) * 2015-02-17 2020-10-21 コンビ株式会社 幌、育児器具、乳母車、チャイルドシート及びペット用カート
DE202016105193U1 (de) * 2016-09-16 2016-11-15 Mima International Limited Sonnendach für einen Kinderwagen
JP1596722S (ko) 2017-08-23 2018-02-05
JP7365255B2 (ja) * 2020-02-03 2023-10-19 ニューウェルブランズ・ジャパン合同会社 子供用育児器具の幌
CN113353139A (zh) * 2020-03-02 2021-09-07 明门瑞士股份有限公司 童车及其顶篷装置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139555A (ja) * 1984-12-12 1986-06-26 アップリカ葛西株式会社 乳母車用幌
JPH0719948Y2 (ja) * 1988-08-09 1995-05-10 コンビ株式会社 幼児用家具類における幌の折り畳み及び展開機構
JP2538413B2 (ja) * 1990-11-13 1996-09-25 三洋電機株式会社 低温庫
KR960001974Y1 (ko) * 1994-02-05 1996-03-06 주식회사 한국아프리카 유모차의 차양장치
JP4722334B2 (ja) * 2001-07-09 2011-07-13 コンビ株式会社 ベビーカーの幌装置
JP4184071B2 (ja) * 2002-12-26 2008-11-19 コンビ株式会社 ベビーカーの幌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56086B1 (ko) * 2007-02-07 2008-09-02 유영숙 차양 및 상기 차양이 장착되는 유모차
KR101469378B1 (ko) * 2013-08-08 2014-12-04 이정애 안전 자전거
KR20160111128A (ko) * 2015-03-16 2016-09-26 강의수 반려동물 드라이 룸
CN115317272A (zh) * 2022-10-11 2022-11-11 吉林大学 一种基于护理床用术后辅助患者排尿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2120464A (zh) 2011-07-13
TW200418666A (en) 2004-10-01
JP4184071B2 (ja) 2008-11-19
TW201213180A (en) 2012-04-01
TWI372697B (en) 2012-09-21
CN1511745A (zh) 2004-07-14
KR101075107B1 (ko) 2011-10-21
TWI408072B (zh) 2013-09-11
JP2004203354A (ja) 2004-07-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75107B1 (ko) 유모차의 차양 및 이를 구비한 유모차
TWI611965B (zh) 可折疊之嬰兒車
US20120062001A1 (en) Versatile Canopy for a Child Seating Device
TWI734025B (zh) 篷和推車
KR102400850B1 (ko) 차양, 육아 기구, 유모차, 차일드 시트 및 애완동물용 카트
CN1944149B (zh) 婴儿车的手推杆
KR101877557B1 (ko) 접이식 왜건
TWI753322B (zh) 罩、嬰兒車用之帶收納袋的罩及嬰兒車
JP4739839B2 (ja) 乳母車用カバー
WO2018074079A1 (ja) 蚊帳付き日除け、ベビーカー
KR101923732B1 (ko) 접이식 왜건
JP2004291930A (ja) 乳母車用幌体
JP2008105509A (ja) 日除け具
KR200460032Y1 (ko) 와이어 프레임에 의해 형체가 지지되는 유모차용 보호덮개
JP2021004027A (ja) 幼児座席カバー用サンシェード
JP2006015883A5 (ko)
JP3189517U (ja) 乳母車用シェード
CN209833740U (zh) 一种蓬架调节组件,及具有该蓬架调节组件的车篷、婴儿车
JP2022064319A (ja) 日よけ隠蔵式ベビーカー
CA3201177A1 (en) Joining structure and child safety seat including the same
JP6189204B2 (ja) 手押し車用の幌及び乳母車
JP3107811U (ja) ベビーカー用折り畳み式日除け
JPH0715516Y2 (ja) プリーツ・カーテン
JPH0649260U (ja) ベビーカー用日除け装置
KR20090073769A (ko) 유모차덮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0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11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