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69378B1 - 안전 자전거 - Google Patents

안전 자전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69378B1
KR101469378B1 KR1020130093974A KR20130093974A KR101469378B1 KR 101469378 B1 KR101469378 B1 KR 101469378B1 KR 1020130093974 A KR1020130093974 A KR 1020130093974A KR 20130093974 A KR20130093974 A KR 20130093974A KR 101469378 B1 KR101469378 B1 KR 10146937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seat
infant
main frame
hand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939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정애
Original Assignee
이정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정애 filed Critical 이정애
Priority to KR10201300939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6937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693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6937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JCYCLE SADDLES OR SEATS; AUXILIARY DEVICE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TO CY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ARTICLE CARRIERS OR CYCLE PROTECTORS
    • B62J27/00Safety equip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JCYCLE SADDLES OR SEATS; AUXILIARY DEVICE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TO CY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ARTICLE CARRIERS OR CYCLE PROTECTORS
    • B62J17/00Weather guards for riders; Fairings or stream-lining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J17/08Hoods protecting the rid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KCYCLES; CYCLE FRAMES; CYCLE STEERING DEVICES; RIDER-OPERATED TERMINAL CONTROL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CYCLE AXLE SUSPENSIONS; CYCLE SIDE-CARS, FORECARS, OR THE LIKE
    • B62K9/00Children's cycles
    • B62K9/02Tricy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arriages For Children, Sleds, And Other Hand-Operated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메인프레임과, 상기 메인프레임의 포크와 후측에 각각 1개와 2개씩 설치되는 전륜 및 후륜과, 상기 전륜의 방향을 전환하도록 상기 포크에 설치되는 핸들과, 상기 포크에 상기 전륜을 회전시키도록 설치되는 페달과, 상기 메인프레임에 유아가 앉도록 마련되는 시트부와, 상기 시트부에 유아 주위로 위치하도록 설치되는 안전바와, 상기 시트부의 상측에 차양막이 설치되도록 하는 차양프레임과, 상기 핸들의 축 또는 상기 포크에 연결로드로 연결되어 상기 메인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보호자핸들을 포함하도록 한 안전 자전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탑승한 유아를 외부 충격이나 환경으로부터 안전하게 보호하도록 하고, 유아를 위한 차양막의 설치 및 해체가 용이하도록 하며, 보호자에 의한 방향 전환의 신뢰성을 높이도록 하고, 유아에게 유익한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안전 자전거{Safety bicycle}
본 발명은 안전 자전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탑승한 유아를 외부 충격이나 환경으로부터 안전하게 보호하도록 하고, 유아에게 유익한 기능을 제공하도록 구성된 안전 자전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전거는 사용자가 앉아서 다리의 힘으로 휠을 돌려서 이동하는 수단으로서, 프레임, 안장, 그리고 2~3개의 휠을 가지며, 휠 중 어느 하나의 방향을 전환시키기 위한 핸들을 가지고 있다.
이와 같은 자전거 중에서 핸들 또는 페달 조작이 미숙한 유아를 위해 세발 자전거와 같은 유아용 자전거가 있는데, 이는 유아가 사용하는 점을 고려하여 안전에 중점을 두고 있다.
종래의 유아용 자전거로는 한국등록실용신안 제20-0451119호의 "유아용 세발 자전거"가 제시되는데, 앞바퀴와 한 쌍의 뒷바퀴를 지지하는 프레임부; 상기 프레임부 상에 구비된 안장; 상기 프레임부에 연결된 페달축과 뒷바퀴축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페달축의 회전력을 뒷바퀴축에 전달하는 구동부; 상기 앞바퀴의 방향을 조종하기 위한 조향축; 및 상기 조향축에 연결된 핸들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유아용 세발자전거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부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되며 그 종단부에 보호자용 손잡이를 구비하여 상기 보호자용 손잡이의 회전방향에 따라 회동하는 작동바; 상기 작동바의 타단부와 상기 조향축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작동바의 회동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상기 조향축을 제어하는 보조 조향장치; 및 상기 프레임부의 소정 부위에 형성되어 상기 보조 조향장치 및 상기 조향축의 회동 구간을 제한하는 스토퍼를 더 포함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유아용 자전거는 유아가 안장에 앉은 상태일 때 유아의 보호에 미흡하고, 유아에게 안락함을 제공하는데 한계를 가지며, 특히 야외에서 사용시 유아를 외부 환경으로부터 제대로 보호하지 못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탑승한 유아를 외부 충격이나 환경으로부터 안전하게 보호하도록 하고, 유아를 위한 차양막의 설치 및 해체가 용이하도록 하며, 보호자에 의한 방향 전환의 신뢰성을 높이도록 하고, 유아에게 유익한 기능을 제공하도록 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들은 이하의 실시예에 대한 설명을 통해 쉽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메인프레임과, 상기 메인프레임의 포크와 후측에 각각 1개와 2개씩 설치되는 전륜 및 후륜과, 상기 전륜의 방향을 전환하도록 상기 포크에 설치되는 핸들과, 상기 포크에 상기 전륜을 회전시키도록 설치되는 페달과, 상기 메인프레임에 유아가 앉도록 마련되는 시트부와, 상기 시트부에 유아 주위로 위치하도록 설치되는 안전바와, 상기 시트부의 상측에 차양막이 설치되도록 하는 차양프레임과, 상기 핸들의 축 또는 상기 포크에 연결로드로 연결되어 상기 메인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보호자핸들을 포함하고, 상기 시트부는 유아가 앉기 위한 장소를 제공하고, 양측 가장자리에 상방으로 이탈방지부가 돌출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이탈방지부 각각의 상단에 고정부가 형성되는 좌판과, 상기 이탈방지부에 연결되도록 상기 고정부에 고정되어 상기 좌판의 후측에서 상방으로 연장됨으로써 유아의 허리를 지지하는 허리지지부와, 상기 허리지지부의 상측에 축소된 폭을 가지도록 마련되고, 양측에 상기 안전바가 장착되는 안전바장착부가 마련되는 연결지지판과, 상기 연결지지판의 상측에 확장된 폭을 가지도록 마련되고, 양측에 프레임장착부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프레임장착부에 볼트체결홀이 형성되는 등판과, 상기 등판의 전면에 ∩자 형태로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등안착가이드부를 포함하고, 상기 차양프레임은 상기 프레임장착부 각각에 양단이 고정되는 ∩자 형태의 베이스프레임과, 상기 베이스프레임의 양측에 양단이 힌지 결합되어 상기 베이스프레임으로부터 전후로 회전하도록 설치되는 다수의 보조프레임과, 상기 베이스프레임과 상기 보조프레임 중 어느 하나의 측부에 일단이 힌지 결합되고, 다른 하나의 측부에 타단이 분리 가능하게 걸리는 일자연결편과, 한 쌍으로 이루어져서 서로 폴딩이 가능하도록 결합되어 각각의 끝단이 상기 보조프레임 각각에 힌지 결합되는 폴딩연결편을 포함하는 안전 자전거가 제공된다.
상기 메인프레임은 상기 전륜의 상측에 위치하는 흙받이를 중심으로 하여 그 양쪽 측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흙받이와 수평을 이루는 발판이 마련되고, 상기 허리지지부, 상기 연결지지판 및 상기 등판은 상기 고정부에 마련된 누름부의 누름에 의해 상기 좌판과의 치결합이 해제되어 상기 좌판으로부터 각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안전바는 중심부로부터 좌우로 연장되도록 쿠션부재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보호자핸들은 ∩자 형상을 가지는 핸들프레임; 상기 핸들프레임의 양쪽 하단이 결합되는 연결모듈; 상기 연결모듈의 하측에 각각 결합됨으로써 상기 연결모듈을 매개로 하여 상기 핸들프레임의 양쪽 하단에 각각 연결됨으로써 서로 이격되도록 나란하게 설치되는 한 쌍의 평행프레임; 및 상기 평행프레임 각각의 하단이 결합되고, 상기 메인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연결로드가 결합되는 축프레임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메인프레임의 전측에 볼트로 조여서 고정되기 위한 조임부가 마련되고, 상방으로 개방되는 내부공간을 개폐시키도록 상기 내부공간의 상단에 힌지커버가 전후로 회전 가능하게 힌지 결합되는 수납용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안전 자전거에 의하면, 탑승한 유아를 외부 충격이나 환경으로부터 안전하게 보호하도록 하고, 유아를 위한 차양막의 설치 및 해체가 용이하도록 하며, 보호자에 의한 방향 전환의 신뢰성을 높이도록 하고, 유아에게 유익한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 자전거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 자전거를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 자전거의 시트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식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하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며,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해 중복되는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 자전거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 자전거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 자전거(100)는 메인프레임(110), 전륜(121) 및 후륜(122), 핸들(130), 페달(140), 시트부(150), 안전바(160), 차양프레임(170), 그리고 보호자핸들(180)을 포함할 수 있다.
메인프레임(110)은 자전거(100)의 골격을 이루는 구조물로로서, 평면 구조가 대략 삼각형태를 이루며, 전륜(121)의 설치를 위하여 전측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포크(114)를 포함한다. 또한 메인프레임(110)은 전륜(121)의 상측에 위치하는 흙받이(111)를 중심으로 하여 그 양쪽 측방향으로 연장되어 흙받이(111)와 수평을 이루는 발판(112)이 마련될 수 있다.
전륜(121)과 후륜(122)은 각각 1개와 2객씩 이루어져서 메인프레임(110)의 전측에 회전 가능하도록 마련되는 포크(114)와 메인프레임(110)의 후측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핸들(130)은 전륜(121)의 방향을 전환하도록 메인프레임(110)의 포크(114)에 설치되어 포크(114)를 회전시킴으로써 방향을 전환하도록 한다. 또한 핸들(130)은 미도시된 누름버튼이 마련됨으로써 누름버튼의 조작에 의해 메인프레임(110)에 회전이 억제되도록 결합될 수 있다.
페달(140)은 메인프레임(110)의 포크(114)에 전륜(121)을 회전시키도록 설치된다.
도 3을 참조하면, 시트부(150)는 좌판(151), 허리지지부(152), 연결지지판(153), 등판(154), 그리고 등안착가이드부(155)를 포함할 수 있다.
좌판(151)은 메인프레임(110)에 유아가 앉도록 마련되는데, 일례로 유아가 앉기 위한 장소를 제공하고, 양측 가장자리에 상방으로 이탈방지부(151a)가 돌출되도록 형성되며, 이탈방지부(151a) 각각의 상단에 고정부(151b)가 형성된다. 여기서 이탈방지부(151a)는 좌판(151)에 안착된 유아가 외측으로 이탈되지 않도록 유아의 엉덩이를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고정부(151b)는 이탈방지부(151a)에 상방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되어, 허리지지부(152)와 볼트 등으로 고정되도록 함으로써 조립성을 높이도록 한다.
허리지지부(152)는 이탈방지부(151a)에 연결되도록 고정부(151b)에 고정되어 좌판(151)의 후측에서 상방으로 연장됨으로써, 유아의 허리를 안정적으로 지지하도록 한다.
연결지지판(153)은 허리지지부(152)의 상측에 축소된 폭을 가지도록 마련되고, 양측에 안전바(160)가 끼움의 방식에 의해 장착되는 안전바장착부(153a)가 마련된다. 또한 연결지지판(153)은 허리지지부(152)에 대하여 축소된 폭을 가짐으로써 안전바(160)의 설치 영역을 확장시켜서 유아를 안전하게 보호하도록 한다. 또한 연결지지판(153)은 허리지지부(152)의 상단에 볼트나 결합구조에 의해 조립될 수 있다.
등판(154)은 연결지지판(153)의 상측에 확장된 폭을 가지도록 마련됨으로써 유아의 등을 안정적으로 지지하도록 하고, 양측에 프레임장착부(154a)가 힌지 결합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프레임장착부(154a)에 볼트체결홀(154b)이 형성된다. 여기서 볼트체결홀(154b)에는 프레임장착부(154a)에 끼워지는 차양프레임(170)의 베이스프레임(171)을 가압하여 고정시키는 볼트(미도시)가 체결될 수 있다. 또한 등판(154)은 통기를 위하여 전후로 관통하는 개구(154c)가 다수로 형성될 수 있다.
허리지지부(152), 연결지지판(153), 그리고 등판(154)은 고정부(151b)에 마련된 누름부(210)의 누름에 의해 좌판(151)과의 치결합이 해제되어 좌판(151)로부터 각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고, 누름부(210)에 가해지는 힘을 해제하면 누름부(210)가 탄성력에 의해 복원되어 좌판(151)에 다시 치결합되어 조절된 각도를 유지하도록 할 수 있다. 예컨대 고정부(151b)에 회전이 억제된 상태에서 폭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누름부(210)의 일측에는 제 1 치들이 곡률 내지 원형으로 배열되도록 형성되고, 허리지지부(152)의 내측에는 제 1 치들과 치결합되는 제 2 치들이 다수로 배열되도록 형성되며, 누름부(210)의 누름에 의해 제 2 치들이 제 1 치들로부터 분리됨으로써 허리지지부(152)의 회전이 가능하도록 하고, 누름부(210)에 가해지는 힘을 해제하면, 고정부(151b) 내측에 설치된 스프링 등의 탄성부재로부터 가해지는 탄성력에 의해 누름부(210)가 복귀함으로써 제 1 치들과 제 2 치들이 서로 치결합되어 허리지지부(152)가 좌판(151)에 각도를 조절한 상태로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누름부(210)는 고정부(151b) 마다 마련될 수 있다.
등안착가이드부(155)는 등판(154)의 전면에 ∩자 형태로 돌출되도록 형성됨으로써 바로 앉기가 곤란한 유아의 등이 바른 자세로 앉을 수 있도록 한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안전바(160)는 시트부(150)에 유아 주위로 위치하도록 설치되는데, 중심부로부터 좌우로 연장되도록 쿠션부재(161)가 설치될 수 있다. 따라서 쿠션부재(161)가 유아와의 충격을 흡수하도록 하여 안전바(160)에 충돌하는 유아의 부상을 방지하도록 한다.
차양프레임(170)은 시트부(150)의 상측에 차양막(176)이 설치되도록 하는데, 이를 위해 일례로, 프레임장착부(154a) 각각에 양단이 끼움방식에 의해 고정되는 ∩자 형태의 베이스프레임(171)과, 베이스프레임(171)의 양측에 양단이 각각 힌지 결합되어 베이스프레임(171)으로부터 전후로 회전하도록 설치되는 다수의 보조프레임(172,173)과, 베이스프레임(171)과 보조프레임(172) 중 어느 하나의 측부에 일단이 힌지 결합되고, 다른 하나의 측부에 타단이 분리 가능하게 걸리는 일자연결편(174)과, 한 쌍으로 이루어져서 서로 폴딩이 가능하도록 결합되어 각각의 끝단이 보조프레임(172,173) 각각에 힌지 결합되는 폴딩연결편(175a,175b)을 포함할 수 있다. 일자연결편(174)은 일례로 타단이 베이스프레임(171)의 돌기에 걸리도록 고리로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일자연결편(174)의 일단을 분리하여 폴딩연결편(175a,175b)이 폴딩되도록 베이스프레임(171)과 보조프레임(172,173)을 서로 접히도록 접게 됨으로써, 차양프레임(170)이 최소 부피가 되도록 함과 동시에, 차양프레임(170)의 펼쳐짐과 접힘에 대한 동작의 신뢰성을 높이도록 한다.
보호자핸들(180)은 핸들(130)의 축(131)이나 포크(114)에 연결로드(181)로 연결됨으로써 메인프레임(110)에 상방으로 연장되어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되고, 보호자가 후방에서 파지하여 회전 조작시 연결로드(181)에 의해 회전력을 핸들(130)에 전달하여 핸들(130)을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시키도록 한다.
보호자핸들(180)은 ∩자 형상을 가지는 핸들프레임(182)과, 핸들프레임(182)의 양쪽 하단이 결합되는 연결모듈(183)과, 연결모듈(183)의 하측에 각각 결합됨으로써 연결모듈(183)을 매개로 하여 핸들프레임(182)의 양쪽 하단에 각각 연결됨으로써 서로 이격되도록 나란하게 설치되는 한 쌍의 평행프레임(184)과, 평행프레임(184) 각각의 하단이 결합되고, 메인프레임(11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연결로드(181)가 결합되는 축프레임(185)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핸들프레임(182)으로부터 하방으로 연결되는 한 쌍의 평행프레임(184)에 의해, 핸들프레임(182)을 회전시 축프레임(185)에 짝힘이 정확하게 작용하도록 하여 축프레임(185)의 회전을 용이하도록 할 뿐만 아니라, 회전을 위해 가해지는 외력에 충분히 견디도록 한다.
메인프레임(110)에는 수납용기(190)가 설치될 수 있는데, 이러한 수납용기(190)는 일례로 메인프레임(110)의 전측에 볼트로 조여서 고정되기 위한 조임부(191)가 마련되고, 상방으로 개방되는 내부공간을 개폐시키도록 내부공간의 상단에 힌지커버(192)가 전후로 회전 가능하게 힌지 결합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안전 자전거에 따르면, 탑승한 유아를 외부 충격이나 환경으로부터 안전하게 보호하도록 하고, 유아를 위한 차양막의 설치 및 해체가 용이하도록 하며, 보호자에 의한 방향 전환의 신뢰성을 높이도록 하고, 유아에게 유익한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어서는 아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러한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10 : 메인프레임 111 : 흙받이
112 : 발판 113 : 짐받이
114 : 포크 121 : 전륜
122 : 후륜 130 : 핸들
131 : 축 140 : 페달
150 : 시트부 151 : 좌판
151a : 이탈방지부 151b : 고정부
152 : 허리지지부 153 : 연결지지판
153a : 안전바장착부 154 : 등판
154a : 프레임장착부 154b : 볼트체결홀
154c : 개구 155 : 등안착가이드부
160 : 안전바 161 : 쿠션부재
170 : 차양프레임 171 : 베이스프레임
172,173 : 보조프레임 174 : 일자연결편
175a,175b : 폴딩연결편 176 : 차양막
180 : 보호자핸들 181 : 연결로드
182 : 핸들프레임 183 : 연결모듈
184 : 평행프레임 185 : 축프레임
190 : 수납용기 191 : 조임부
192 : 힌지커버 210 : 누름부

Claims (4)

  1. 메인프레임과, 상기 메인프레임의 포크와 후측에 각각 1개와 2개씩 설치되는 전륜 및 후륜과, 상기 전륜의 방향을 전환하도록 상기 포크에 설치되는 핸들과, 상기 포크에 상기 전륜을 회전시키도록 설치되는 페달과, 상기 메인프레임에 유아가 앉도록 마련되는 시트부와, 상기 시트부에 유아 주위로 위치하도록 설치되는 안전바와, 상기 시트부의 상측에 차양막이 설치되도록 하는 차양프레임과, 상기 핸들의 축 또는 상기 포크에 연결로드로 연결되어 상기 메인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보호자핸들을 포함하고,
    상기 시트부는 유아가 앉기 위한 장소를 제공하고, 양측 가장자리에 상방으로 이탈방지부가 돌출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이탈방지부 각각의 상단에 고정부가 형성되는 좌판과, 상기 이탈방지부에 연결되도록 상기 고정부에 고정되어 상기 좌판의 후측에서 상방으로 연장됨으로써 유아의 허리를 지지하는 허리지지부와, 상기 허리지지부의 상측에 축소된 폭을 가지도록 마련되고, 양측에 상기 안전바가 장착되는 안전바장착부가 마련되는 연결지지판과, 상기 연결지지판의 상측에 확장된 폭을 가지도록 마련되고, 양측에 프레임장착부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프레임장착부에 볼트체결홀이 형성되는 등판과, 상기 등판의 전면에 ∩자 형태로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등안착가이드부를 포함하고,
    상기 차양프레임은 상기 프레임장착부 각각에 양단이 고정되는 ∩자 형태의 베이스프레임과, 상기 베이스프레임의 양측에 양단이 힌지 결합되어 상기 베이스프레임으로부터 전후로 회전하도록 설치되는 다수의 보조프레임과, 상기 베이스프레임과 상기 보조프레임 중 어느 하나의 측부에 일단이 힌지 결합되고, 다른 하나의 측부에 타단이 분리 가능하게 걸리는 일자연결편과, 한 쌍으로 이루어져서 서로 폴딩이 가능하도록 결합되어 각각의 끝단이 상기 보조프레임 각각에 힌지 결합되는 폴딩연결편을 포함하는 안전 자전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메인프레임은,
    상기 전륜의 상측에 위치하는 흙받이를 중심으로 하여 그 양쪽 측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흙받이와 수평을 이루는 발판이 마련되고,
    상기 허리지지부는,
    상기 고정부에 회전이 억제된 상태에서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누름부를 매개로 하여 상기 좌판에 치결합되어, 상기 누름부의 누름에 의해 상기 좌판과의 치결합이 해제됨으로써, 상기 허리지지부, 상기 연결지지판 및 상기 등판이 상기 좌판으로부터 각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안전바는,
    중심부로부터 좌우로 연장되도록 쿠션부재가 설치되는 안전 자전거.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보호자핸들은,
    ∩자 형상을 가지는 핸들프레임;
    상기 핸들프레임의 양쪽 하단이 결합되는 연결모듈;
    상기 연결모듈의 하측에 각각 결합됨으로써 상기 연결모듈을 매개로 하여 상기 핸들프레임의 양쪽 하단에 각각 연결됨으로써 서로 이격되도록 나란하게 설치되는 한 쌍의 평행프레임; 및
    상기 평행프레임 각각의 하단이 결합되고, 상기 메인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연결로드가 결합되는 축프레임
    을 포함하는 안전 자전거.
  4.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메인프레임의 전측에 볼트로 조여서 고정되기 위한 조임부가 마련되는 수납용기를 더 포함하고,
    상기 수납용기는,
    상방으로 개방되는 내부공간을 개폐시키도록 상기 내부공간의 상단에 힌지커버가 전후로 회전 가능하게 힌지 결합되는 안전 자전거.
KR1020130093974A 2013-08-08 2013-08-08 안전 자전거 KR10146937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93974A KR101469378B1 (ko) 2013-08-08 2013-08-08 안전 자전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93974A KR101469378B1 (ko) 2013-08-08 2013-08-08 안전 자전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69378B1 true KR101469378B1 (ko) 2014-12-04

Family

ID=526777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93974A KR101469378B1 (ko) 2013-08-08 2013-08-08 안전 자전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69378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08236B1 (ko) * 2015-06-25 2017-12-12 유영배 자전거 브레이크 장치
WO2018097342A1 (ko) * 2016-11-22 2018-05-31 유영배 유아동 이송수단용 브레이크 장치
CN113212533A (zh) * 2020-02-03 2021-08-06 纽维尔品牌日本合同会社 孩童用育儿器具的遮阳篷
US20230001975A1 (en) * 2021-05-18 2023-01-05 Id Development Limited Vehicle for An Infa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39830Y1 (ko) * 2003-07-21 2004-01-28 박용선 유모차 기능을 갖는 세발자전거
KR20040058001A (ko) * 2002-12-26 2004-07-02 콤비 가부시키가이샤 유모차의 차양
KR200459090Y1 (ko) * 2011-09-26 2012-03-19 라귀복 유아용 삼륜 자전거
KR101268358B1 (ko) * 2012-08-28 2013-06-04 조용훈 뒤보기가 가능한 자전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58001A (ko) * 2002-12-26 2004-07-02 콤비 가부시키가이샤 유모차의 차양
KR200339830Y1 (ko) * 2003-07-21 2004-01-28 박용선 유모차 기능을 갖는 세발자전거
KR200459090Y1 (ko) * 2011-09-26 2012-03-19 라귀복 유아용 삼륜 자전거
KR101268358B1 (ko) * 2012-08-28 2013-06-04 조용훈 뒤보기가 가능한 자전거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08236B1 (ko) * 2015-06-25 2017-12-12 유영배 자전거 브레이크 장치
WO2018097342A1 (ko) * 2016-11-22 2018-05-31 유영배 유아동 이송수단용 브레이크 장치
CN109963764A (zh) * 2016-11-22 2019-07-02 刘荣培 幼儿移动工具用制动装置
US11110990B2 (en) 2016-11-22 2021-09-07 Young Bae YOU Brake system for baby or child vehicle
CN113212533A (zh) * 2020-02-03 2021-08-06 纽维尔品牌日本合同会社 孩童用育儿器具的遮阳篷
US20230001975A1 (en) * 2021-05-18 2023-01-05 Id Development Limited Vehicle for An Infant
US11891104B2 (en) * 2021-05-18 2024-02-06 Id Development Limited Vehicle for an infant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69378B1 (ko) 안전 자전거
US20070024023A1 (en) Folding bicycle
CA2515962C (en) Rider restraining device for two wheel vehicle
TWI621558B (zh) 防護構件及嬰兒車
KR200459090Y1 (ko) 유아용 삼륜 자전거
US6811172B2 (en) Remote coupled steering linkage for a bicycle or tricycle
KR200459089Y1 (ko) 유아용 삼륜 자전거
US20020005620A1 (en) Scooter for children
KR20140093087A (ko) 자전거 유아용 안장 구조물
JP3790209B2 (ja) 子供用三輪車
CN213384578U (zh) 折叠式的滑板车
KR101205634B1 (ko) 완충장치를 구비한 유모차
KR200428429Y1 (ko) 보조 조향장치를 갖는 세발자전거용 안장
JP5156470B2 (ja) 自転車
KR200231562Y1 (ko) 유아용 다기능 세발자전거
KR20140032865A (ko) 유아용 삼륜차 및 유모차용 의자형 보조 탑승구
CN206265210U (zh) 一种使用方便的自行车
KR200459749Y1 (ko) 유아용 자전거의 보조 기능 구조물 결합 장치구
CN203637912U (zh) 使用状态可转换的婴童载具
CN209112370U (zh) 一种新型可折叠自行车
CN211107820U (zh) 一种童车
CN213384579U (zh) 应用于滑板车的车架
KR200358061Y1 (ko) 보조조향장치가 설치된 접철식 자전거
KR200327708Y1 (ko) 탈부착이 가능한 2인용 삼륜 유모차
KR101806067B1 (ko) 하나의 축으로 접혀지는 유모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1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14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