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60001974Y1 - 유모차의 차양장치 - Google Patents

유모차의 차양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60001974Y1
KR960001974Y1 KR2019940002467U KR19940002467U KR960001974Y1 KR 960001974 Y1 KR960001974 Y1 KR 960001974Y1 KR 2019940002467 U KR2019940002467 U KR 2019940002467U KR 19940002467 U KR19940002467 U KR 19940002467U KR 960001974 Y1 KR960001974 Y1 KR 96000197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trusion
support
hole
piece
faste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4000246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24877U (ko
Inventor
허인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한국아프리카
허인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한국아프리카, 허인석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한국아프리카
Priority to KR2019940002467U priority Critical patent/KR960001974Y1/ko
Publication of KR95002487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24877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6000197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01974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9/00Accessories or details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s carriages or perambulators
    • B62B9/10Perambulator bodies; Equipment therefor
    • B62B9/14Equipment protecting from environmental influences, e.g. Hoods; Weather screens; Cat nets
    • B62B9/147Attachments or holders for umbrellas, parasols or sunshade pane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arriages For Children, Sleds, And Other Hand-Operated Vehicl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유모차의 차양장치
제1도는 본 고안의 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의 분리사시도
제3도는 본 고안의 요부단면도
제4도 (a)(b)(c)는 본 고안의 작동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지지체 1A : 돌출판
101 : 구멍 102 : 홈
103 : 탄력편 2 : 차양판지기간
3 : 차양판지지간 3A : 돌부
301 : 돌출관 302 : 돌편
4 : 스프링 5 : 볼트
6 : 너트 7 : 작동구
701 : 구멍 702 : 돌기
8 : 손잡이지지봉 9 : 고정구
9A : 끼움부 901 : 탄력편
902 : 돌기 903 : 구멍
본 고안은 유모차의 포지로 된 차양판을 접었다 펼쳤다하여 차양판을 임의의 각도로 조절하는 유모차의 차양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한쌍의 차양판지지간이 유착되어 각도조절편으로 연결하여서 된 지지체를 몸체의 구멍에 끼워 고정시키게 된 것이므로 어린애 앉히는 안장의 활용상 불편이 따르게 될 뿐만 아니라, 또한 지지체의 돌출판에 차양판지지간을 밀착시키기 위하여 탄력시킨 스프링이 외부에 노출되었으므로 외관미가 양호하지 못하면서 절첩작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못하게 되는 결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결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손잡이 지지봉에다 고정구를 고정하고, 상기의 고정구에다 차양판지지간을 유착한 지지체를 고정구에 끼워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하여 몸체의 좌,우에 거추장스러운 물체를 없이함으로써, 안장에 어린애를 용이하게 앉히고 들어낼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지지체의 돌출판에 차양판지지간을 유착하는 유착구조를 매우 합리적인 구조로 구성하여 외간미가 양호하면서 작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지게 한 유모차의 차양장치를 안출하게 된 것인데, 이를 첨부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지지체(1)에 구멍(101)과 여러개의 홈(102)을 형성한 돌출판(1A)에 차양판지지간(2)(3)을 스프링(4)으로 탄력되게 접촉시켜 볼트(5) 및 너트(6)로 고정시켜서 된 공지의 것에 있어서,
차양판지지간(3)에는 돌부(3A)를 형성하여 상기의 돌부(3A)내에는 돌편(302)이 형성된 돌출관(301)을 돌출하여 스프링(4)을 끼우고, 작동구(7)에 뚫은 ""형의 구멍(701)은 돌출관(301)에 끼워 작동구(7)를 탄력되게 하여 작동구(7)의 돌기(702)는 홈(102)에 끼워 걸려지게 하고,
중공부로 형성한 지지체(1)에는 탄력편(103)을 약간상으로 형성하고, 손잡이지지봉(8)에는 끼움부(9A)에 약간 경사상으로 돌기(902)가 돌출된 탄력편(901)을 형성한 고정구(9)을 끼워 나사못(10)으로 고정하여,
상기의 고정구(9)의 끼움부 지지체(1)를 끼울시 탄력편(103)이 고정구(9)의 탄력편(901)의 구멍(903)면에 걸려 고정되게 한것이다.
미설명부호 11은 몸체이고.
12은 각도조절편이다.
이와 같이 된 본 고안은 차양판지지간(3)을 임의의 각도로 회전시 스프링(4)으로 탄발된 작동구(7)도 따라 회전되면서 작동구(7)의 돌기(702)는 돌출판(1A)의 홈(102)에 끼워 걸려져 회전시킨 임의의 절첩각도로 유지되는 것이며,
또한 지지체(1)와 고정구(9)가 분리된 제4도 (a)의 상태에서 지지체(1)를 고정구(9)의 끼움부(9A)에 끼우게 되면, 약간 경사상으로 형성된 탄력편(103)은 제4도(b)와 같이 탄력편(901)의 구멍(903)면에 걸려져 견고하게 고정되어 빠지 않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지지체(1)를 고정구(9)의 끼움부(9A)에서 분리시키고자 할때는 제4도(c)의 화살표방향으로 탄력편(901)의 돌기(902)부분을 위로 밀게되면 상향이동되는 탄력편(901)에 의하여 지지체(1)의 탄력편(103)도 상승되어 탄력편(103)은 탄력편(901)의 구멍(903)면에서 벗어나게 되고,
이에 따라 지지체(1)를 고정구(9)의 끼움부(9A)에서 용이하게 외부로 뺄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은 차양판지지간(3)에 돌부(3A)를 형성하여 상기의 돌부(3A)내에 스프링(4)을 끼우고 작동구(7)를 탄력시켜서 된 것이므로 스프링(4)이 외부에 노출되지않아 외관미가 양호하면서 작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지게 되고,
또한 손잡이지지봉(8)에다 고정구(9)를 고정하여 지지체(1)를 고정시키게 된것이므로 몸체(10)의 좌우양측이 지지체(1)에 의하여 가리워지지않아 어린애를 안장에 용이하게 앉히고, 들어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지지체(1)에 구멍(101)과 여러개의 홈(102)을 형성한 돌출관(1A)에 차양판지지간(2)(3)을 스프링(4)으로 탄력되게 접촉시켜 볼트(5) 및 너트(6)로 고정시켜서 된공지의 것에 있어서,
    차양판지지간(3)에는 돌부(3A)를 형성하여 상기의 돌부(3A)내에는 돌편(302)이 형성된 돌출관(301)을 돌출하여 스프링(4)을 끼우고 작동구(7)에 뚫은 ""형의 구멍(701)은 돌출관(301)에 끼워 작동구
    (7)를 탄력되게 하여 작동구(7)의 돌기(702)는 홈(102)에 끼워 걸려지게 하고,
    중공부로 형성한 지지체(1)에는 탄력편(103)을 약간상으로 형성하고, 손잡이지지봉(8)에는 끼움부(9A)에 약간 경사상으로 돌기(902)가 돌출된 탄력편(901)을 형성한 고정구(9)를 끼워 나사못(10)으로 고정하여,
    상기의 고정구(9)의 끼움부 지지체(1)를 끼울시 탄력편(103)이 고정구(9)의 탄력편(901)의 구멍(903)면에 걸려 고정되게 한 유모차의 차양장치.
KR2019940002467U 1994-02-05 1994-02-05 유모차의 차양장치 KR96000197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40002467U KR960001974Y1 (ko) 1994-02-05 1994-02-05 유모차의 차양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40002467U KR960001974Y1 (ko) 1994-02-05 1994-02-05 유모차의 차양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24877U KR950024877U (ko) 1995-09-15
KR960001974Y1 true KR960001974Y1 (ko) 1996-03-06

Family

ID=193770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40002467U KR960001974Y1 (ko) 1994-02-05 1994-02-05 유모차의 차양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60001974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184071B2 (ja) * 2002-12-26 2008-11-19 コンビ株式会社 ベビーカーの幌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24877U (ko) 1995-09-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161903A3 (en) Armrest for chair, armchair or similar, a chair using said armrest
US6193367B1 (en) Quick release glasses lens
KR960001974Y1 (ko) 유모차의 차양장치
KR200484672Y1 (ko) 길이조정이 가능한 테이프클리너
KR200189721Y1 (ko) 의자 등받이용 지지구
KR200209374Y1 (ko) 승용차의 뒷좌석용 보조좌대의 고정장치
JPS6214908Y2 (ko)
KR200302692Y1 (ko) 의자의 등받이
KR930002931Y1 (ko) 씽크대용 가림판 체결구
KR970002191Y1 (ko) 길이조절 가능한 승객용 손잡이
KR860001864Y1 (ko) 모니터의 회전 받침대
KR19980016714U (ko) 전선 고정구
KR870001599Y1 (ko) 낚시용 받침대
JPH0139464Y2 (ko)
KR830002320Y1 (ko) 주방기구의 화장판(化粧板)취부장치
USD418744S (en) Valance clip for architectural coverings
JPS625360Y2 (ko)
JPS61143415U (ko)
KR890001804Y1 (ko) 책상의 상판 각도 조절장치
KR940000789Y1 (ko) 치솔
DK1155651T3 (da) Fastgörelsesarrangement for toiletsædebuffer- og stödpude
JPH0316438U (ko)
JPH03126697U (ko)
KR960005496Y1 (ko) 손톱깎이
JPH01178984U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