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60032Y1 - 와이어 프레임에 의해 형체가 지지되는 유모차용 보호덮개 - Google Patents

와이어 프레임에 의해 형체가 지지되는 유모차용 보호덮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60032Y1
KR200460032Y1 KR2020090010277U KR20090010277U KR200460032Y1 KR 200460032 Y1 KR200460032 Y1 KR 200460032Y1 KR 2020090010277 U KR2020090010277 U KR 2020090010277U KR 20090010277 U KR20090010277 U KR 20090010277U KR 200460032 Y1 KR200460032 Y1 KR 20046003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 frame
protective cover
baby carriage
distal end
sha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9001027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01526U (ko
Inventor
김경혜
Original Assignee
김경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경혜 filed Critical 김경혜
Priority to KR202009001027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60032Y1/ko
Publication of KR2011000152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01526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6003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60032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9/00Accessories or details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s carriages or perambulators
    • B62B9/10Perambulator bodies; Equipment therefor
    • B62B9/14Equipment protecting from environmental influences, e.g. Hoods; Weather screens; Cat nets
    • B62B9/142Equipment protecting from environmental influences, e.g. Hoods; Weather screens; Cat nets by flexible canopies, covers or n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9/00Accessories or details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s carriages or perambulators
    • B62B9/10Perambulator bodies; Equipment therefor
    • B62B9/12Perambulator bodies; Equipment therefor involving parts that are adjustable, attachable or detach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2501/00Manufacturing; Constructional features
    • B62B2501/06Materials used
    • B62B2501/067Wires

Abstract

본 고안에 의해 제공된 와이어 프레임에 의해 형체가 지지되는 유모차용 보호덮개는, 유모차(10)에 씌워질 수 있는 면적을 제공하도록 재봉된 원단부; 상기 원단부의 일부 면적 부분에 선(線) 형태로 마련된 와이어 프레임 삽입지지부(101); 및 상기 와이어 프레임 삽입지지부(101)에 끼워져 상기 원단부에 대해 탄력성 있는 뼈대 역할을 함으로써 보호덮개의 형체를 제공하는 가요성 와이어 프레임(170);을 포함한다. 본 고안은 와이어를 이용해 보호덮개의 형체를 탄력적으로 지지함과 아울러 보호덮개 안의 공간을 최대한 넓게 확보할 수 있어 유아에게 보다 편안한 환경을 제공하고 수납 및 정리가 간편한 장점이 있다.
유모차, 보호덮개, 커버, 투시창, 방충망, 와이어, 프레임, 탄력성, 폴(pole)

Description

와이어 프레임에 의해 형체가 지지되는 유모차용 보호덮개{Protective cover for baby carriage which is maintained in form by wire frame}
본 고안은 와이어 프레임에 의해 형체가 지지되는 유모차용 보호덮개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유모차용 보호덮개의 일부 면적에 가요성(可腰性, flexible) 와이어 프레임을 설치하여 보호덮개의 형체를 탄력적으로 지지함과 아울러 와이어 프레임에 의해 보호덮개의 내부공간을 최대한 넓게 확보할 수 있어 유아에게 보다 편안한 환경을 제공하고 와이어 프레임을 접어서 간편하게 수납할 수 있는 새로운 타입의 유모차용 보호덮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보호자가 유아와 함께 외출하거나 목적지까지 이동하는데는 유아배낭(baby back carrier)나 유모차(baby carriage)등을 사용하게 된다.
유아배낭은 주로 알루미늄 재질로 된 프레임으로서 그 내부에 유아를 앉힐 수 있도록 되어 있어 평지는 물론 계단이나 전철 또는 버스를 타고 내릴 때 편리하고 저가인 장점이 있으나, 목적지까지 이동하기 위해 유아는 지면으로부터 일정 높이로 매달려 고정된 상태로 있어야 하기 때문에 시간이 지남에 따라 유아가 사타구니나 허벅지에 통증을 호소하는 등 불편한 단점이 있다.
한편, 유모차는 상기 유아배낭에 비해 고가이지만, 차양이나 바람막이 등이 설치되어 있고 본체에 좌석과 발판이 있어 유아에게는 최대한 안락한 상태로 이동할 수 있는 장점이 있어 널리 사용되고 있다.
보호자가 이러한 유모차에 유아를 태워서 밀거나 끌면서 외출을 하는데 있어서는 외부의 햇볕, 바람, 비 등의 기상적인 요인과 매연, 파리, 모기 등의 벌레에 의한 공격 등 장애요인들에 최대한 대처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유모차에 보호커버를 씌워 유아가 비, 바람을 피하도록 하고, 또한 매연이나 벌레 등으로 인한 불편을 막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기존의 유모차용 보호커버는 초기에는 단지 비닐로 된 커버를 씌우는 정도였지만, 이제는 유아가 비닐 재질을 통해 밖을 내다볼 때 빛의 굴절로 인한 시력손상이 일어나지 않도록 유아의 눈길이 주로 닿는 전방부분은 광투과율이 높고 빛 굴절율이 낮은 경질의 유리 혹은 합성수지 재질의 투시창을 만들어 부착한 형태가 개발되었으며, 또한 보호커버의 일부를 열어서 유아에게 음료수, 음식 등을 쉽게 공급할 수 있도록 한 구조도 개발되었다.
도1 및 도2는 종래의 유모차용 보호커버(1)를 도시한다. 도1을 참고하면, 종래의 유모차용 보호커버(1)는 비닐 혹은 투명한 합성수지 재질로 만들어지며, 전면부(2)의 일부 면적은 개구되어 전면 투시창(2a)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전면 투시창(2a)을 통해서 보호자가 그 안의 유아를 돌보거나 유아에게 음식물, 음료수 등을 공급할 수 있다. 도1에서 도면부호 2b는 전면 투시창(2a)을 전면부(2)에 마련하는 연결부를 가리킨다. 도1에서 상기 전면 투시창(2a)은 그대로 열린 채로 놔둘 수도 있고, 이곳에 경질의 투명한 합성수지 재질의 패널을 끼울 수도 있다.
도2는 도1의 종래의 유모차용 보호커버(1)를 유모차(10)에 장착한 상태를 도시한다.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모차용 보호커버(1)를 유모차(10)에 씌우면 핸들(11)과 바퀴 부분들을 제외하고는 모두 보호커버(1)에 의해서 가려지게 된다.
도2에서 도면부호 12는 유모차(10)의 전각(前脚)을 가리키고, 도면부호 12a는 전륜(前輪)을 가리키며, 도면부호 13과 13a는 각각 후각(後脚)과 후륜(後輪)을 가리킨다.
도1 및 도2에 도시된 종래의 유모차용 보호커버(1)는 유아가 비, 바람을 피하도록 할 수는 있었지만, 비닐 혹은 합성수지로 된 보호커버 자체의 내부 공간이 협소해서 유모차에 탑승한 유아가 쾌적하게 앉아 있기가 불편한 단점이 있었다. 특히 보호커버(1)는 유모차에 안전하게 결합되기 위해서는 너무 헐거워서는 안되므로 주로 유모차의 폭에 꼭 맞도록 제작되는 경향이 있어서, 유아의 무릎과 발 부분이 보호커버(1)에 걸려서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대부분의 보호커버(1)는 전방 윗 부분 (즉 유아의 머리 앞쪽 공간 부분)이 매우 협소해서, 실제로 유모차에 앉은 유아의 입장에서 보면 머리 바로 앞에 보호커버가 맞닿은 상태로 되어 유모차 위에서 머리를 움직이는 것이 불편할 수 밖에 없었다.
이러한 이유에서, 기존의 유모차용 보호커버에 비해 내부 공간을 넓게 확보하여 유아가 보다 넓은 공간에서 자유롭고 편안하게 활용할 수 있게끔 구조를 개량한 새로운 타입의 유모차용 보호덮개를 개발할 필요가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유모차용 보호덮개의 일부 면적에 가요성(可腰性, flexible) 와이어 프레임을 설치함으로써 보호덮개의 형체를 탄력적으로 지지할 수 있도록 하고, 아울러 와이어 프레임에 의해 보호덮개의 내부공간을 최대한 넓게 확보할 수 있어 유아에게 보다 편안한 환경을 제공하며, 와이어 프레임을 접어서 간편하게 수납할 수 있도록 한 새로운 타입의 유모차용 보호덮개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의해 제공된 와이어 프레임에 의해 형체가 지지되는 유모차용 보호덮개는, 유모차(10)에 씌워질 수 있는 면적을 제공하도록 재봉된 원단부; 상기 원단부의 일부 면적 부분에 선(線) 형태로 마련된 와이어 프레임 삽입지지부(101); 및 상기 와이어 프레임 삽입지지부(101)에 끼워져 상기 원단부에 대해 탄력성 있는 뼈대 역할을 함으로써 보호덮개의 형체를 제공하는 가요성 와이어 프레임(17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른 와이어 프레임에 의해 형체가 지지되는 유모차용 보호덮개는 가요성 와이어 프레임을 이용해 보호덮개의 형체를 탄력적으로 지지하기 때문에 보호덮개의 내부 공간을 최대한 넓게 확보할 수 있으며, 특히 보호덮개(100)의 좌우측 양쪽에 있는 고정끈 부재(105)를 유모차에 묶으면 가요성 와이어 프레임(170)의 좌우측 폭이 좁아지면서 앞 부분이 더 돌출되어 나오게 되어 유아의 머리와 무릎쪽 공간이 대폭적으로 넓게 확보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유모차용 보호덮개는 탄성력을 유지하면서 쉽게 구부러질 수 있는 가요성 와이어 프레임을 내장하고 있으므로, 가요성 와이어 프레임을 구부러뜨려 작은 형태로 쉽게 접을 수 있고, 그 결과 작은 부피로 수납 정리하기에 용이한 장점이 있다.
그리고 본 고안의 유모차용 보호덮개는 가요성 와이어 프레임이 설치된 면적 안에 투명한 투시창과 방충망을 설치함으로써 넓은 전면 및 측면 면적을 통해 유아가 외부환경 및 외부공기와 접할 수 있어 최대한 자연스러운 환경에서 유모차를 탑승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고안에 따른 와이어 프레임에 의해 형체가 지지되는 유모차용 보호덮개의 구성 및 작용효과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3 내지 도5는 본 고안에 따른 와이어 프레임에 의해 형체가 지지되는 유모차용 보호덮개(100)가 유모차(10)에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다.
우선 도3은 본 고안에 따른 와이어 프레임에 의해 형체가 지지되는 유모차용 보호덮개(100)가 기존의 유모차(10)에 장착되는 상태를 관계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본 고안의 유모차용 보호덮개(100)는 유모차(10)에 씌워질 수 있는 면적을 제공하도록 재봉된 원단부(102,103)와 상기 원단부(102,103)의 중간에 형성된 투시창들(111,112), 및 상기 투시창들(111,112)의 주변을 따라 형성된 와이어 프레임 삽입지지부(101)안에 끼워져 보호덮개의 형체를 탄력적으로 지지하는 가요성(可腰性, flexible) 와이어 프레임(170, 도6 및 도12 참조)을 포함한다.
상기 유모차용 보호덮개(100)의 앞 부분에는 전방 투시창(111)이 설치되고, 상기 전방 투시창의 좌우측에는 측면 투시창들(112)이 각각 설치된다. 상기 전방투시창(111)과 측면투시창(112)은 서로 지퍼(zipper) 수단에 의해서 연결된다. 이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전방투시창(111)과 측면투시창(112)은 제2지퍼수단(142)에 의해서 서로 분리가능하게 결합되어 있고, 상기 측면투시창(112)은 제1지퍼수단(141)에 의해서 원단부(102,103)와 서로 분리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본 고안에서는 편의상 제1지퍼수단(141)이 측면투시창들(112)과 원단부(102,103)를 서로 연결하는 것으로 구성하고, 상기 제1지퍼수단(141)의 안쪽 면적에서 제2지퍼수단(142)이 전방투시창(111)과 측면투시장(112)을 서로 연결하는 것으로 구성하였다. 따라서 상기 제2지퍼수단(142)을 개방하면 상기 전방투시창(111)이 측면투시창(112)으로부터 분리될 수 있으며(도13 참조), 상기 제1지퍼수단(141)을 개방하면 상기 전방투시창(111)과 측면투시창(112)이 모두 보호덮개의 원단부(102,103)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도14 참조).
도3을 참고하면, 상기 전방투시창(111)은 상부 및 배면 영역 원단부(102)에 연결된 투시창 연결부분(111a)과 결합되어 있다. 이때 상기 투시창 연결부분(111a)은 상기 원단부(102,103)와 동일한 재질의 원단으로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전방투시창(111)을 원단 재질로 된 투시창 연결부분(111a)을 거쳐 상부 및 배면 영역 원단부(102)에 연결함으로써, 상기 제2지퍼수단(142)을 열어 상기 전방투시창(111)을 측면투시창들(112)로부터 분리했을 때, 전방투시창(111)이 쉽고 자 연스럽게 유모차 보호덮개(100)의 상부면으로 올려져 얹혀질 수 있다(도13 참조).
도3에서 도면부호 121은 상부 및 배면 영역 원단부(102)가 재봉된 상태에서 구멍을 형성한 핸들 끼움 구멍부로서, 이 핸들끼움 구멍부(121)를 통하여 유모차(10)의 핸들(11)이 보호덮개(100)의 밖으로 나오게 된다(도4 참조).
또한 도3에서 미설명부호 106은 상부 및 배면 영역 원단부(102)와 하부 영역 원단부(103)가 서로 만나는 부분을 재봉하고, 그 위로 원단 소재의 강도를 보강하기 위하여 형성한 연결재봉부를 가리킨다. 상기 연결재봉부(106)를 따라 제1지퍼수단(141)의 일부 경로를 설치함으로써 상기 제1지퍼수단(141)의 형체와 강도를 유지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다.
도3에 도시된 유모차(10)의 구조에 대해 부연 설명하면, 유모차(10)는 유아가 앉는 의자 부분의 위쪽으로 햇볕과 비를 가리기 위한 차양(14)을 구비하며, 유아가 앉는 부분에는 유아가 떨어지지 않도록 보호하기 위한 앞가이드 부재(15a)와 그 양 옆의 난간부재들(15b)이 마련되어 있다. 그리고 유아가 앉는 부분 아래에는 유아의 다리를 받칠 수 있는 다리받이(16)가 형성되어 있다. 한편, 도3에서 도면부호 12b는 유모차(10)의 좌우측 전각들(12)을 서로 횡으로 연결하여 유모차의 강도를 보강하기 위한 전면 연결프레임(12b)을 가리킨다.
도4 및 도5는 유모차(10) 위에 본 고안에 따른 와이어 프레임에 의해 형체가 지지되는 유모차용 보호덮개(100)가 씌워져 장착된 상태를 도시한다. 도4는 본 고안의 유모차용 보호덮개(100)를 유모차(10) 위에 씌운 초기 상태를 도시하며, 도5는 유모차용 보호덮개(100)의 좌우측 양단에 설치된 고정끈 부재(105)를 유모 차(10)의 다리 혹은 몸체의 적당한 부분에 묶어서 가요성 와이어 프레임(170)의 좌우측 양단을 잡아당김으로써 보호덮개(100)의 앞 부분(161,162)이 최대한 전방으로 돌출되어 나온 상태를 도시한다. 도6에서 도면부호 161은 와이어 프레임(170)의 전방 상단부를 가리키고, 도면부호 162는 와이어 프레임(170)의 전방 하단부를 가리킨다.
도5와 같이 상기 고정끈 부재(105)를 묶어서 가요성 와이어 프레임(170)의 좌우측 양단을 중심쪽으로 잡아당기면 전체적으로 항상 동일한 길이를 유지하여야 하는 와이어 프레임(170)의 특성상 자연스럽게 그 앞쪽 부분(도5에서 도면부호 161, 162)이 최대한 앞쪽으로 돌출되어 나오게 된다. 그 결과 유모차(10)에 탑승한 유아의 입장에서 보면, 기존의 유모차 보호커버(도1 및 도2 참조)에 비해 유아의 머리 앞쪽과 위쪽 부분 및 무릎 앞쪽 부분의 공간이 대폭적으로 확장된 효과를 체감할 수 있다. 따라서 본 고안에 따른 유모차용 보호덮개(100)를 사용한 경우에는 유모차에 탑승한 유아가 머리와 다리를 보다 편하게 움직일 수 있고, 보호덮개에 부딪치는 일이 없으므로 쾌적한 환경에서 유모차를 사용한 외출을 즐길 수 있게 된다.
도6은 본 고안에 따른 유모차용 보호덮개(100)의 정면도이고, 도7은 본 고안에 따른 유모차용 보호덮개(100)의 측면도이다.
도6을 참고하면, 본 고안에 따른 유모차용 보호덮개(100)는 앞에서 바라보았을 때 가요성 와이어 프레임(170)이 둘러싸는 면적 자체가 상당히 크므로, 거의 상기 가요성 와이어 프레임(170)에 의해 커버되는 면적만이 보이게 된다.
도6에서 하부 영역 원단부(103)에 형성된 하부구멍부(131)를 통해 유모차가 끼워지게 된다. 본고안에서 채택한 제1 및 제2지퍼수단(141,142)의 구조에 대해서 부연설명하면, 제2지퍼수단(142)의 경우 지퍼 이(齒)라인(142b)에 제2지퍼(142a)가 설치되고, 제2지퍼(142a)에 지퍼 손잡이(142c)가 설치된 구성을 갖는다. 제1지퍼수단(141) 역시 제2지퍼수단(142)과 완전히 동일한 구조를 가지므로, 별도의 설명은 생략한다.
도6에서 도면부호 111b는 상기 전면투시창(111)이 투시창 연결부분(111a)과 연결되는 재봉라인을 가리킨다.
한편, 도6의 우측에 도시된 확대도를 참고하면, 본 고안의 유모차용 보호덮개(100)에서 형체를 지지하는 가요성 와이어 프레임(170)은, 보호덮개(100)의 일부 면적을 둘러싸도록 선(線)형태로 마련된 와이어 프레임 삽입지지부(101)안의 공간에 끼워지며, 여기서 상기 가요성 와이어 프레임(170)은 합성수지 재질로 된 관형(管形) 커버(171)안에 와이어(172)가 삽입된 구조를 갖는다. 그리고 상기 가요성 와이어 프레임(170)을 구성하는 와이어(172)는 가능한 한 일방향으로만 휘어질 수 있도록 그 단면이 일자(一字) 형태로 납작한 구조를 갖는다.
도7의 측면도를 참고하면, 상기 와이어 프레임 삽입지지부(101)안에 끼워진 가요성 와이어 프레임(170)은 그 좌우측 양단에서 부드러운 곡선 형태로 굴곡된다.
도8 및 도9는 본 고안에 따른 유모차용 보호덮개(100)를 재단하기 위해 원단을 전개한 상태를 도시하는데, 도8은 상부 및 배면 영역 원단부(102)와 하부 영역 원단부(103)가 서로 분리된 상태를 도시하고, 도9는 상부 및 배면 영역 원단 부(102)와 하부 영역 원단부(103)가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다.
도8을 참고하면, 상부 및 배면 영역 원단부(102)는 나중에 재봉되었을 때에 그 위쪽에 핸들끼움 구멍부(121)를 형성할 수 있는 공간이 마련되고, 아래쪽으로는 제2연결라인(102b)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부 및 배면 영역 원단부(102)의 가장 위쪽 가장자리에 있는 제1연결라인들(102a)은 서로 연결됨으로써 유모차를 덮어씌울 수 있는 보호덮개의 몸체공간을 확보하게 된다. 상기 핸들끼움 구멍부(121)의 가장자리 라인에는 고무줄 혹은 이와 유사한 탄력밴드가 결합됨으로써 제1탄력밴드 삽입부(122)를 형성한다.
한편, 하부 영역 원단부(103)는 그 위쪽으로는 제3연결라인(103a)이 형성되고, 그 아래쪽으로는 나중에 상부 및 배면 영역 원단부(102)와 서로 연결되어 재봉되었을 때에 하부구멍부(131)를 형성하는 라인이 마련된다. 상기 상부 및 배면 영역 원단부(102)의 제2연결라인(102b)과 상기 하부 영역 원단부(103)의 제3연결라인(103a)은 서로 재봉됨으로써 하나로 연결되며, 상기 상부 및 배면 영역 원단부(102)의 외측 가장자리 라인과 하부 영역 원단부(103)의 외측 가장자리 라인에는 고무줄 혹은 이와 유사한 탄력밴드가 결합됨으로써 제2탄력밴드 삽입부(132)를 형성한다.
상기 핸들끼움 구멍부(121)와 상기 하부구멍부(131)에 각각 형성된 제1 및 제2탄력밴드 삽입부(122,132)는 본 고안의 유모차용 보호덮개(100)의 외형이 늘어지는 것을 막을 수 있고, 유모차에 장착되었을 때 핸들 부분과 다리 부분을 적당히 조여서 보호덮개의 역할을 충실히 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역할을 한다.
도8에서 점선으로 표시된 도면부호 101d는 와이어 프레임 삽입지지부(101)가 형성될 위치로서, 도8에서 별도로 도시된 와이어 프레임 삽입지지부 재단부재(101c)가 상기 와이어 프레임 삽입부 형성위치(101d)에 재봉 혹은 접합되면 와이어 프레임 삽입지지부(101)가 완성되게 된다.
도9는 도8에 도시된 상부 및 배면 영역 원단부(102) 및 하부 영역 원단부(103)를 서로 재봉하여 연결하고, 와이어 프레임 삽입지지부 재단부재(101c)를 와이어 프레임 삽입부 형성위치(101d)에 결합하여 와이어 프레임 삽입지지부(101)를 완성한 상태를 도시한다.
도10은 도9에서 A-A′ 선을 따라 절단한 부분의 단면도이고, 도11은 도9에서 B-B′선을 따라 절단한 부분의 단면도이다.
도10을 참고하여 전방투시창(111)과 방충망(116)이 상부 및 배면 영역 원단부(102)에 연결된 구조를 설명한다. 전방투시창(111)은 상부 및 배면 영역 원단부(102)와 동일한 재질로 된 투시창 연결부분(111a)과 재봉에 의해 결합되며, 망사 형태의 방충망(116)은 재봉라인(101b)에 의해 상기 상부 및 배면 영역 원단부(102)와 결합된다. 상부 및 배면 영역 원단부(102)에 함께 재봉된 와이어 프레임 삽입지지부(101)는 그 내부에 긴 포켓 형태의 와이어 프레임 삽입공간(101e)을 갖고 있으므로, 이 삽입공간(101e) 안에 가요성 와이어 프레임(170)을 삽입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11을 참고하여 측면투시창(112)과 방충망(116)이 상부 및 배면 영역 원단부(102)에 연결된 구조를 설명한다. 상기 상부 및 배면 영역 원단부(102)와 지퍼 천(141e)은 연결재봉부재(106a)와 함께 재봉라인(106b)으로 재봉되어 결합 됨으로써 연결재봉부(106)를 형성한다. 그리고 제1지퍼수단(141)은 지퍼 이(齒)라인(141b)과 그 양쪽의 지퍼 천들(141e)로 구성된다. 상기 제1지퍼수단(141)의 한 쪽 지퍼 천(141e)에 측면투시창(112)과 방충망(116)이 재봉라인(112a)에 의해 결합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서, 제1지퍼수단(141)을 열면 측면투시창(112)와 방충망(116)이 상부 및 배면 영역 원단부(102)로부터 분리될 수 있는 것이다.
도12는 본 고안에 따른 유모차용 보호덮개(100)의 와이어 프레임 삽입지지부(101)안에 가요성 와이어 프레임(170)을 끼워 넣는 과정을 도시한다.
본 고안에 따른 유모차용 보호덮개(100)의 형체를 탄력적으로 지지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뼈대로서의 가요성 와이어 프레임(170)은 관형의 커버(171)안에 일자형으로 납작한 단면을 가진 와이어(172)가 삽입된 구조를 갖는다. 상기 가요성 와이어 프레임(170)을 상기 보호덮개(100)에 형성된 와이어 프레임 삽입지지부(101)의 전체 길이에 대응하는 만큼의 길이로 절단한 다음 상기 와이어 프레임 삽입지지부(101)의 틈새로 계속적으로 밀어넣으면 가요성 와이어 프레임(170)을 완전히 삽입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른 유모차용 보호덮개(100)는 와이어 프레임(170)을 넣지 않은 상태에서는 천 조각을 재봉한 흐물흐물한 상태에 불과하지만, 와이어 프레임(170)을 삽입하면 그 탄성력에 의해서 도3 내지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은 소정의 형태를 유지하게 된다.
본 고안에서 채용된 가요성 와이어 프레임(170)은 일반적으로 폴(pole) 타입의 텐트에서 채용된 와이어 봉 부재와 유사한 방식으로 작동함으로써, 부러지지 않으며 일정한 탄성력을 발휘하면서 자유롭게 구부러질 수 있다. 따라서 별도의 외력 을 가하지 않는 한 도3 내지 도5에 도시된 대로의 형체를 유지하므로, 유모차에 씌웠을 때 내부 공간을 최대한 넓게 확보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한편, 본 고안의 유모차용 보호덮개에서 사용되는 가요성 와이어 프레임(170)은 전체적으로 하나의 와이어 프레임 부재로 형성할 수도 있고(도12에 도시된 바와 같음), 이와 달리 일반적인 폴 타입의 텐트에서처럼 복수개의 분리가능한 와이어 프레임 조각들을 조립해서 결합하는 구조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유모차용 보호덮개의 작업성에 있어서는 일체형의 가요성 와이어 프레임을 사용하는 것이 유리할 것으로 예상되고, 복수 개의 조립식 와이어 프레임 부재들을 이용하면 유모차용 보호덮개를 쓰지 않을 때 보다 컴팩트한 크기로 정리하고 수납하는 것이 가능할 것으로 예상된다.
도13은 본 고안에 따른 유모차용 보호덮개(100)의 전방투시창(111)을 지퍼로 분리하여 위로 걷어올린 상태를 도시하고, 도14는 방충망(116)까지 지퍼로 분리하여 위로 걷어올린 상태를 도시한다.
도13과 같이 제2지퍼수단(142)를 해제하여 전방투시창(111)을 측면투시창들(112)로부터 분리한 후에는 상기 전방투시창(111)을 유모차 보호덮개(100)의 위쪽으로 넘겨서 보관할 수 있고, 이때 유모차(10)안의 유아는 망사형태의 방충망(116)을 통해서 외부를 바라 볼 수 있으므로, 모기, 파리 등의 해충에 의한 공격을 차단하면서 외부 공기를 그대로 즐길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도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지퍼수단(141)을 해제하면 전방투시창(111) 뿐만 아니라 측면투시창(112)과 방충망(116)까지 원단부(102,103)로부터 분리된다.
도15는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와이어 프레임에 의해 형체가 지지되는 유모차용 보호덮개(100)를 도시한 것으로서, 전방투시창(111)과 측면투시창(112)이 각각 분리되어 방충망(116)만이 남은 상태를 도시한다.
도3 내지 도14에 도시된 제1실시예에서는 전방투시창(111)만이 측면투시창들(112)로부터 분리되는 것으로 구성하였지만, 도15에 도시된 제2실시예와 같이 방충망(116)은 그대로 원단부(102,103)에 결합시킨 상태에서 측면투시창들(112)을 추가적으로 더 분리할 수 있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15를 참고하면, 전방투시창(111)과 측면투시창들(112)의 사이에 제3지퍼수단(143) 더 설치됨으로써, 측면투시창들(112)만을 따로 분리하는 것도 가능하게 된다.
도16 내지 도19는 본 고안에 따른 유모차용 보호덮개(100)를 접어 수납하기 위한 과정을 도시한다.
우선 도16은 방충망(116)과 전방투시창(111) 및 측면투시창(112)을 보호덮개의 원단부로부터 분리하여 와이어 프레임(170)의 안쪽 공간으로 늘어뜨린 상태를 도시하는데, 본 고안에서 전방투시창(111)과 측면투시창(112)이 투명한 경질의 합성수지 재질로 제작되므로, 전방투시창(111)과 측면투시창(112)이 그대로 결합된 상태에서는 이들 투시창들(111,112)을 구부려뜨려 접는 것이 힘들다. 이러한 이유에서 본 고안에 따른 유모차용 보호덮개(100)를 접어서 정리할 때에는 일단 상기 전방투시창(111) 및 측면투시창들(112)을 방충망(116)과 함께 분리하여 와이어 프레임(170)의 안쪽 공간으로 늘어뜨려 넣을 필요가 있다.
도17은 와이어 프레임(170)의 상하부분들을 서로 맞닿도록 접은 상태를 도시한다. 상기 와이어 프레임(170)은 매우 유연한 재질로서 쉽게 구부러지지만 부러지지는 않으므로, 보호덮개 전방상단부(161)와 전방하단부(162) 부분을 서로 맞닿도록 힘을 가하면 도17에 도시된 바와 같은 형태로 구부러진다.
다음으로, 도18은 도17에 도시된 상태의 와이어 프레임(170)을 좌우측(163,164)에서 서로 구부러뜨려 접은 상태를 도시하고, 도19는 접혀진 유모차용 보호덮개(100)를 접은 상태 그대로 포장가방(200)에 넣어 수납하는 상태를 도시한다.
본 고안에 따른 유모차용 보호덮개는 도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은 부피로 접혀진 상태로 가방에 넣어서 보관할 수 있으며, 다시 사용할 때에는 가방에서 꺼내서 놓은 것만으로도 가요성 와이어 프레임(170)의 탄력성에 의해 원래의 형태(도3 내지 도5 참조)로 복원된다. 따라서 본 고안에 따른 유모차용 보호덮개는 쉽게 펼쳐서 사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정리할 때에도 간편하게 구부려 접어서 수납하므로 사용상 편리한 장점이 있다.
결론적으로, 본 고안에 따른 와이어 프레임에 의해 형체가 지지되는 유모차용 보호덮개는 가요성 와이어 프레임을 이용해 보호덮개의 형체를 탄력적으로 지지하기 때문에 보호덮개의 내부 공간을 최대한 넓게 확보할 수 있으며, 특히 보호덮개(100)의 좌우측 양쪽에 있는 고정끈 부재(105)를 유모차에 묶었을 때 가요성 와이어 프레임(170)의 좌우측 폭이 좁아지면서 앞 부분이 더 돌출되어 나오게 되므로 유아의 머리와 무릎쪽 공간이 대폭적으로 넓게 확보되어 유아가 최대한 편안하고 자유스러운 환경에서 유모차를 탑승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장점이 있다.
도1 및 도2는 종래의 유모차용 보호덮개(1)를 도시한다.
도3 내지 도5는 본 고안에 따른 와이어 프레임에 의해 형체가 지지되는 유모차용 보호덮개(100)가 유모차(10)에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다.
도6은 본 고안에 따른 유모차용 보호덮개(100)의 전면도이고, 도7은 본 고안에 따른 유모차용 보호덮개(100)의 측면도이다.
도8 및 도9는 본 고안에 따른 유모차용 보호덮개(100)를 재단하기 위해 원단을 전개한 상태를 도시하는데, 도8은 상부 및 배면 영역 원단부(102)와 하부 영역 원단부(103)가 서로 분리된 상태를 도시하고, 도9는 상부 및 배면 영역 원단부(102)와 하부 영역 원단부(103)가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다.
도10은 도9에서 A-A′ 선을 따라 절단한 부분의 단면도이고, 도11은 도9에서 B-B′선을 따라 절단한 부분의 단면도이다.
도12는 본 고안에 따른 유모차용 보호덮개(100)의 와이어 프레임 삽입지지부(101)안에 가요성 와이어 프레임(170)을 끼워 넣는 과정을 도시한다.
도13은 본 고안에 따른 유모차용 보호덮개(100)의 전방투시창(111)을 지퍼로 분리하여 위로 걷어올린 상태를 도시하고, 도14는 방충망(116)까지 지퍼로 분리하여 위로 걷어올린 상태를 도시한다.
도15는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와이어 프레임에 의해 형체가 지지되는 유모차용 보호덮개(100)를 도시한 것으로서, 전방투시창(111)과 측면투시창(112)이 각각 분리되어 방충망(116)만이 남은 상태를 도시한다.
도16 내지 도19는 본 고안에 따른 유모차용 보호덮개(100)를 접어 수납하기 위한 과정을 도시한 것으로서, 우선 도16은 방충망(116)과 전방투시창(111) 및 측면투시창(112)을 보호덮개의 원단부로부터 분리하여 와이어 프레임(170)의 안쪽 공간으로 늘어뜨린 상태를 도시하고, 도17은 와이어 프레임(170)의 상하부분들을 서로 맞닿도록 접은 상태를 도시하며, 도18은 도17의 상태의 와이어 프레임(170)을 좌우측을 서로 구부러뜨려 접은 상태를 도시하고, 도19는 접혀진 유모차용 보호덮개(100)를 접은 상태 그대로 포장가방(200)에 넣어 수납하는 상태를 도시한다.
*도면 중 주요부분에 관한 부호의 설명*
1: 유모차용 보호덮개 2: 전면부
2a: 전면 투시창 2b: 연결부
10: 유모차 11: 유모차 핸들
12: 전각 12a: 전륜
12b: 전면 연결 프레임 13: 후각
13a: 후륜 14: 차양
15a: 앞가이드 부재 15b: 난간부재
16: 다리받이 100, 100a: 유모차용 보호덮개
101: 와이어 프레임 삽입지지부 101a: 와이어프레임 끼움구멍
101b: 재봉라인
101c: 와이어프레임 삽입지지부 재단부재
101d: 와이어프레임 삽입부 형성위치 101e: 와이어프레임 삽입공간
102: 상부 및 배면 영역 원단부 102a: 제1연결라인
102b: 제2연결라인 103: 하부영역 원단부
103a: 제3연결라인 105: 고정끈 부재
106: 연결재봉부 106a: 연결재봉부재
106b: 재봉라인 111: 전방투시창
111a: 투시창 연결부분 111b: 투시창 재봉부
112: 측면투시창 112a: 재봉라인
116: 방충망 121: 핸들끼움 구멍부
122: 제1탄력밴드 삽입부 131: 하부구멍부
132: 제2탄력밴드 삽입부 141: 제1지퍼수단
141a: 제1지퍼 141b: 지퍼 이(齒) 라인
141e: 지퍼천 142: 제2지퍼수단
142a: 제2지퍼 142b: 지퍼 이(齒)라인
142c: 지퍼 손잡이 143: 제3지퍼수단
161: 보호덮개 전방상단부 162: 보호덮개 전방하단부
163: 좌측단부 164: 우측단부
170: 가요성 와이어 프레임 171: 관형 커버
172: 와이어(wire) 200: 포장가방

Claims (10)

  1. 유모차(10)에 씌워질 수 있는 면적을 제공하도록 재봉된 원단부;
    상기 원단부의 일부 면적 부분에 선(線) 형태로 마련된 와이어 프레임 삽입지지부(101); 및
    상기 와이어 프레임 삽입지지부(101)에 끼워져 상기 원단부에 대해 탄력성 있는 뼈대 역할을 함으로써 보호덮개의 형체를 제공하는 가요성 와이어 프레임(170);을 포함하며,
    상기 가요성 와이어 프레임(170)은, 합성수지 재질로 된 관형(管形) 커버(171)안에 와이어(172)가 삽입된 구조를 가지고, 상기 가요성 와이어 프레임(170)안에 내장된 와이어(172)는 그 단면이 일자(一字) 형태로 납작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 프레임에 의해 형체가 지지되는 유모차용 보호덮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원단부의 일부가 개구되어 투시창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 프레임에 의해 형체가 지지되는 유모차용 보호덮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 프레임 삽입지지부(101)는 상기 투시창이 형성된 면적을 둘러싸는 형태로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 프레임에 의해 형체가 지지되는 유모차용 보호덮개.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투시창은 투명한 합성수지 재질로 제작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 프레임에 의해 형체가 지지되는 유모차용 보호덮개.
  5. 삭제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원단부는 상부 및 배면 영역 원단부(102)와 하부영역 원단부(103)가 결합되어 재봉된 형태로 만들어지며, 상기 상부 및 배면 영역 원단부(102)에는 유모차의 핸들(11)을 끼울 수 있는 핸들끼움 구멍부(121)가 형성되고, 상기 하부영역 원단부(103)에는 유모차를 끼워 넣을 수 있는 하부구멍부(131)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 프레임에 의해 형체가 지지되는 유모차용 보호덮개.
  8.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투시창이 형성된 개구 부분에는 방충망(116)이 원단부에 대해 분리가능한 방식으로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 프레임에 의해 형체가 지지되는 유모차용 보호덮개.
  9.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투시창은,
    상기 원단부의 개구된 부분 중에서 유모차의 전방을 향하여 형성된 전방투시창(111); 및
    상기 전방투시창(111)의 좌우측에 각각 별도로 형성된 측면투시창들(112);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 프레임에 의해 형체가 지지되는 유모차용 보호덮개.
  10. 유모차(10)에 씌워질 수 있는 면적을 제공하도록 재봉된 원단부;
    상기 원단부의 일부 면적 부분에 선(線) 형태로 마련된 와이어 프레임 삽입지지부(101); 및
    상기 와이어 프레임 삽입지지부(101)에 끼워져 상기 원단부에 대해 탄력성 있는 뼈대 역할을 함으로써 보호덮개의 형체를 제공하는 가요성 와이어 프레임(170);을 포함하며,
    상기 가요성 와이어 프레임(170)은 그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 개의 분리가능한 부분들이 조립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 프레임에 의해 형체가 지지되는 유모차용 보호덮개.
KR2020090010277U 2009-08-06 2009-08-06 와이어 프레임에 의해 형체가 지지되는 유모차용 보호덮개 KR20046003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10277U KR200460032Y1 (ko) 2009-08-06 2009-08-06 와이어 프레임에 의해 형체가 지지되는 유모차용 보호덮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10277U KR200460032Y1 (ko) 2009-08-06 2009-08-06 와이어 프레임에 의해 형체가 지지되는 유모차용 보호덮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1526U KR20110001526U (ko) 2011-02-14
KR200460032Y1 true KR200460032Y1 (ko) 2012-04-27

Family

ID=442066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90010277U KR200460032Y1 (ko) 2009-08-06 2009-08-06 와이어 프레임에 의해 형체가 지지되는 유모차용 보호덮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60032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4575Y1 (ko) * 2016-09-12 2017-09-25 권대한 유모차 커버
KR20190112387A (ko) 2018-03-26 2019-10-07 김영민 페인트 통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64886Y1 (ko) * 2004-07-07 2004-10-19 안정식 유모차용 커버
KR20080073932A (ko) * 2007-02-07 2008-08-12 유영숙 차양 및 상기 차양이 장착되는 유모차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64886Y1 (ko) * 2004-07-07 2004-10-19 안정식 유모차용 커버
KR20080073932A (ko) * 2007-02-07 2008-08-12 유영숙 차양 및 상기 차양이 장착되는 유모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1526U (ko) 2011-02-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76740B1 (ko) 휴대용 의자
US5074616A (en) Weather shield for infant's seat
JP4673441B1 (ja) 自転車チャイルドシート用カバー
EP1768519A1 (en) Collapsible cover for seating unit
JP2000142421A (ja) ベビ―カ―用ウィンドスクリ―ンアセンブリ、その折畳み方法及びこれを備えたベビ―カ―
US6402225B1 (en) Canopy windshield of stroller
TWI809891B (zh) 嬰兒床
US20180228301A1 (en) Multipurpose cover for shielding a child from environmental elements and method of using same
KR200460032Y1 (ko) 와이어 프레임에 의해 형체가 지지되는 유모차용 보호덮개
US20060284456A1 (en) Sun cover for an infants
KR200453145Y1 (ko) 차양막부가 설치된 유모차 커버
KR20100124585A (ko) 유모차 덮개
JP2000236995A (ja) 乳幼児用マット
KR20140032115A (ko) 유모차 커버
TWI826916B (zh) 頂篷裝置及其兒童載具
JP3193849U (ja) 日よけ
JP2011024948A (ja) 折り畳み笠
TW202408860A (zh) 兒童載具及其轉換兒童載具之頂篷裝置之方法
CN217672797U (zh) 一种儿童推车
CN212243528U (zh) 一种儿童推车
JP2009262595A (ja) ベビーカー用補助カバー
KR920003105Y1 (ko) 낚시용 텐트
JP3107811U (ja) ベビーカー用折り畳み式日除け
US10271656B2 (en) Folding sofa with wrap-around skirt
KR100953983B1 (ko) 유모차덮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16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