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4575Y1 - 유모차 커버 - Google Patents

유모차 커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4575Y1
KR200484575Y1 KR2020160005362U KR20160005362U KR200484575Y1 KR 200484575 Y1 KR200484575 Y1 KR 200484575Y1 KR 2020160005362 U KR2020160005362 U KR 2020160005362U KR 20160005362 U KR20160005362 U KR 20160005362U KR 200484575 Y1 KR200484575 Y1 KR 20048457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pper cover
window
cover portion
baby carriage
fixing mea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6000536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대한
Original Assignee
권대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권대한 filed Critical 권대한
Priority to KR202016000536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457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457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4575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9/00Accessories or details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s carriages or perambulators
    • B62B9/10Perambulator bodies; Equipment therefor
    • B62B9/14Equipment protecting from environmental influences, e.g. Hoods; Weather screens; Cat nets
    • B62B9/142Equipment protecting from environmental influences, e.g. Hoods; Weather screens; Cat nets by flexible canopies, covers or n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80Other vehicles not covered by groups B60Y2200/10 - B60Y2200/60
    • B60Y2200/83Perambulators; Buggies; Stroll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arriages For Children, Sleds, And Other Hand-Operated Vehicles (AREA)

Abstract

유모차 커버가 개시된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유모차 커버는 유모차의 전방을 커버하는 전방 커버부, 상기 전방 커버부에 구비되고 상기 유모차에 탑승한 유아가 외부를 투시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윈도우, 상기 전방 커버부의 상측에 연결되고, 상기 유모차의 상부를 커버하는 상부 커버부 및 상기 상부 커버부의 적어도 일부와 상기 윈도우를 개폐시키는 개폐수단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유모차 커버{COVER FOR BABY CARRIAGE}
본 고안은 유모차 커버에 관한 것이다.
유모차에 탑승한 유아를 자외선 및 외부 환경으로부터 더욱 안정적으로 보호하기 위해, 사용자는 유모차에 유모차 커버를 씌워 사용하고 있다.
하지만, 종래의 유모차 커버는 개폐가 불가한 비닐 재질의 커버가 단순히 유모차에 씌워져서 유모차의 대부분을 감싸도록 형성되는 것이기 때문에, 유모차 내부를 환기시키는 것이 어렵고, 유모차로부터 유아를 탑승 또는 하차시키기 위해서는 유모차 커버를 유모차로부터 분리시켜야 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국내 등록실용신안공보 20-0480277호의 “하부에 개폐부를 갖는 유모차 보호 커버”가 개시된 바 있다. 이러한 유모차 보호 커버는 차양막을 포함하는 유모차의 상부를 덮는 상부커버 및 유모차의 하부를 덮는 하부커버를 구비하고, 하부커버에는 개폐 가능한 개폐부가 마련되어 있다.
한편, 최근에는 지구 온난화와 오존층 파괴로 인해 자외선이 점점 강해지고 있고, 자외선을 보다 양호하게 차단할 수 있도록 유모차에 구비되는 차양막의 크기도 점점 커지는 추세이다. 이처럼 유모차 차양막의 크기가 커지는 것에 대응하여, 유모차 차양막을 커버하는 유모차 커버의 상부커버의 크기도 커지는 실정이다.
그러나, 상부커버가 커지기 때문에 하부커버의 크기는 상대적으로 작아질 수밖에 없고, 하부커버의 크기가 감소함에 따라 하부커버에 구비되는 개폐부의 크기도 작아지게 되어, 유아가 개폐부를 통해 탑승 또는 하차하기 번거롭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유아가 작아진 개폐부를 통해 탑승 또는 하차하다가 상처를 입는 경우도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다.
국내 등록실용신안공보 20-0480277호 (2016.04.28. 등록)
본 고안의 실시예들은 상술한 문제를 해결하고자 고안된 것으로서, 유아가 보다 쉽고 안전하게 유모차에 탑승 또는 하차할 수 있는 유모차 커버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고안의 일 측면에 따르면, 유모차의 전방을 커버하는 전방 커버부, 상기 전방 커버부에 구비되고 상기 유모차에 탑승한 유아가 외부를 투시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윈도우, 상기 전방 커버부의 상측에 연결되고, 상기 유모차의 상부를 커버하는 상부 커버부 및 상기 상부 커버부의 적어도 일부와 상기 윈도우를 개폐시키는 개폐수단을 포함하는 유모차 커버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부 커버부는, 상기 전방 커버부와 연결되는 제 1 상부 커버부 및 상기 제 1 상부 커버부와 연결되어, 상기 제 1 상부 커버부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되는 제 2 상부 커버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개폐수단은 제 1 상부 커버부 일측의 상부로부터, 상기 윈도우의 가장자리를 거쳐 제 1 상부 커버부 타측의 상부까지 연장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윈도우는 메인 창 및 상기 메인 창의 양측에 구비되는 보조 창을 포함하고, 상기 개폐수단은 제 1 상부 커버부 일측의 상부로부터, 상기 메인 창의 가장자리를 거쳐 제 1 상부 커버부 타측의 상부까지 연장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윈도우의 길이는 상기 제 1 상부 커버부의 길이와 동일하게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윈도우의 하측에 형성되는 제 1 고정수단 및 상기 제 1 상부 커버부의 상측에 형성되는 제 2 고정수단을 더 포함하고, 상기 윈도우와 상기 제 1 상부 커버부의 경계에서 상기 윈도우가 상방으로 회동되는 경우, 상기 윈도우는 상기 제 1 고정수단 및 상기 제 2 고정수단이 계합됨으로써 상기 제 1 상부 커버부에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윈도우의 상측에 형성되는 제 3 고정수단 및 상기 제 2 상부 커버부의 상측에 형성되는 제 4 고정수단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 1 상부 커버부와 상기 제 2 상부 커버부의 경계에서 상기 제 1 상부 커버부가 상방으로 회동되는 경우, 상기 제 1 상부 커버부는 상기 제 3 고정수단 및 상기 제 4 고정수단이 계합됨으로써 상기 제 2 상부 커버부에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윈도우를 커버할 수 있는 윈도우 커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고안의 실시예들에 따른 유모차 커버는 유아가 보다 쉽고 안전하게 유모차에 탑승 또는 하차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실시예들에 따른 유모차 커버는 유모차에 씌워진 상태에서도 유모차의 차양막의 차양 각도의 조절이 가능하다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모차 커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을 측면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3은 도 1을 후면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유모차 커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도 1의 윈도우와 제 1 상부 커버부의 경계를 기준으로 윈도우가 상방으로 회동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도 5를 측면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7은 제 1 상부 커버부와 제 2 상부 커버부의 경계를 기준으로 제 1 상부 커버부가 상방으로 회동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도 7을 측면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본 고안의 사상을 구현하기 위한 구체적인 실시예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아울러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고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에서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모차 커버(10)에 대하여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모차 커버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2는 도 1을 측면에서 바라본 도면이며, 도 3은 도 1을 후면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모차 커버(10)는 전방 커버부(100), 윈도우(200), 상부 커버부(300) 및 개폐수단(400)을 포함할 수 있다.
전방 커버부(100)는 유모차(20)의 전방을 커버할 수 있다. 또한, 전방 커버부(100)에는 윈도우(200)가 구비되어 유모차(20)에 탑승한 유아의 시야를 확보하면서도 찬 바람 등의 외부 환경으로부터 유아를 보호할 수 있다.
이러한 윈도우(200)는 메인 창(210) 및 메인 창(210)의 양측에 구비되는 보조 창(220)을 포함할 수 있다.
메인 창(210)은 유모차(20)에 탑승한 유아가 정면을 응시할 수 있도록 전방 커버부(100)에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메인 창(210)은 일 예로 자외선 차단 재질을 갖는 투명 또는 반투명 패널로 형성될 수 있다.
보조 창(220)은 메인 창(210)의 양측에 구비되어 유모차(20)에 탑승한 유아가 측면을 응시할 수 있도록 하고, 외부 환경으로부터 유아를 보호할 수 있다.
이때, 보조 창(220)은 메인 창(210)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재질을 갖는 투명 또는 반투명 패널로 형성될 수 있다. 다만, 본 고안의 사상이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보조 창(220)은 비닐 재질을 갖는 투명 또는 반투명 패널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모차 커버(10)는 유아의 시력 보호가 상대적으로 필요한 부분에는 고가의 소재를 사용하고, 유아의 시력 보호가 상대적으로 필요하지 않은 부분에는 저가의 소재를 사용함에 따라, 윈도우(200)의 품질은 향상시키면서도 제조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한편, 윈도우(200)의 하측 외면에는 제 1 고정수단(201)이 형성될 수 있고, 윈도우(200)의 상측 내면에는 제 3 고정수단(202)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상부 커버부(300)와 함께 후술한다.
상부 커버부(300)는 전방 커버부(100)의 상측에 연결되고, 유모차(20)의 상부를 커버할 수 있다.
이러한 상부 커버부(300)는 전방 커버부(100)와 연결되는 제 1 상부 커버부(310) 및 제 1 상부 커버부(310)와 연결되어 제 1 상부 커버부(310)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되는 제 2 상부 커버부(320)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유모차(20)에 구비되는 차양막(21)은 전방으로 펼쳐져 사용되다가 사용이 필요하지 않을 때에는 후방으로 젖혀져 보관될 수 있는데, 제 1 상부 커버부(310)는 전방으로 펼쳐진 상태의 유모차(20)의 차양막(21)을 커버할 수 있다. 여기서, 전방으로 펼쳐진 차양막(21)의 전방 끝단은 윈도우(200)와 제 1 상부 커버부(310)의 경계(250)의 적어도 일부와 일치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유모차(20)의 차양막(21)이 펼쳐진 상태일 때, 제 1 상부 커버부(310)는 차양막(21)의 전방부를 커버하고, 제 2 상부 커버부(320)는 차양막의 후방부를 커버할 수 있다. 이러한 제 1 상부 커버부(310)와 제 2 상부 커버부(320)는 측면에서 보았을 때 소정의 각도를 형성하며 연결될 수 있으며, 봉제선 등을 통하여 구분될 수 있다.
한편, 제 1 상부 커버부(310)의 상측 외면에는 제 2 고정수단(311)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제 2 고정수단(311)은 윈도우(200)의 하측 외면에 형성된 제 1 고정수단(201)과 계합될 수 있다.
이에, 윈도우(200)와 제 1 상부 커버부(310)의 경계(250)에서 윈도우(200)가 상방으로 회동되는 경우, 서로 계합되는 제 1 고정수단(201) 및 제 2 고정수단(311)에 의해, 윈도우(200)는 상방으로 회동되어 후방으로 젖혀진 상태로 제 1 상부 커버부(310)에 고정될 수 있다. 일 예로, 제 1 고정수단(201)은 암 벨크로 테이프일 수 있으며, 제 2 고정수단(311)은 수 벨크로 테이프일 수 있다. 다만, 본 고안의 사상이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제 1 고정수단(201) 및 제 2 고정수단(311)은 각각 암, 수 스냅 단추일 수도 있다.
이때, 제 1 상부 커버부(310)는 윈도우(200)의 길이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길이를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제 1 상부 커버부(310)의 길이는 제1 상부 커버부(310)의 윈도우(200)측 단부와 제2 상부 커버부(320)측 단부 간의 거리로 정의될 수 있으며, 윈도우(200)의 길이는 메인 윈도우(210)의 하부와 메인 윈도우(210)의 상부 간의 거리로 정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윈도우(200)와 제 1 상부 커버부(310)의 경계(250)에서 윈도우(200)가 상방으로 회동되는 경우, 윈도우(200)의 끝단은 제 1 상부 커버부(310)와 제 2 상부 커버부(320)의 경계(315)와 일치할 수 있다.
한편, 제 2 상부 커버부(320)는 유모차(20)의 차양막(21)이 후방으로 젖혀졌을 때, 젖혀진 차양막(21)을 커버할 수 있다.
또한, 제 2 상부 커버부(320)의 상측 외면에는 제 4 고정수단(321)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 4 고정수단(321)은 윈도우(200)의 상측 내면에 형성된 제 3 고정수단(202)과 계합될 수 있다.
이에, 제 1 상부 커버부(310)와 제 2 상부 커버부(320)의 경계(315)에서 제 1 상부 커버부(310)가 상방으로 회동되는 경우, 서로 계합된 제 3 고정수단(202) 및 제 4 고정수단(321)에 의해, 제 1 상부 커버부(310)는 제 2 상부 커버부(320)에 고정될 수 있다. 일 예로, 제 3 고정수단(202)은 암 벨크로 테이프일 수 있으며, 제 4 고정수단(321)은 수 벨크로 테이프일 수 있다. 다만, 본 고안의 사상이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제 3 고정수단(202) 및 제 4 고정수단(321)은 각각 암, 수 스냅 단추일 수도 있다.
여기서, 제 2 상부 커버부(320)의 길이는 제 1 상부 커버부(310)의 길이와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 여기서, 제2 상부 커버부(320)의 길이는 제2 상부 커버부(320)의 제 1 상부 커버부(310)측 단부와 제2 상부 커버부(320)의 후방측 단부 사이의 거리로 정의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제 1 상부 커버부(310)와 제 2 상부 커버부(320)의 경계(315)에서 제 1 상부 커버부(310)가 상방으로 회동되는 경우, 제 1 상부 커버부(310)의 끝단은 제 2 상부 커버부(320)의 끝단과 일치할 수 있다.
한편, 제 2 상부 커버부(320)의 후방에는 탄성부재(500)가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제 2 상부 커버부(320)의 후방 양측부에는 후크부재(600)가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유모차 커버(10)는 탄성부재(500)에 의해 유모차(20)에 대하여 조여짐에 따라, 안정적인 형태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후크부재(600)를 서로 결합시키거나 유모차(20)에 걸어서 유모차(20)가 주행하는 동안, 유모차 커버(10)가 유모차(20)로부터 분리되지 않도록 한다.
윈도우(200)와 상부 커버부(300)의 적어도 일부는 개폐수단(400)에 의해 개폐될 수 있다. 이를 위해, 개폐수단(400)은 제 1 상부 커버부(310)의 일측의 상부로부터, 윈도우(200)의 메인 창(210)의 가장자리를 거쳐 제 1 상부 커버부(310)의 타측의 상부까지 연장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도면에서는, 제 1 상부 커버부(310)에서 연장되는 개폐수단(400)이 메인 창(210)과 보조창(220)의 사이에 구비되는 것으로 나타내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윈도우(200) 전체의 가장자리를 거치도록 연장되는 것도 가능하다. 다시 말해, 개폐수단(400)은 제 1 상부 커버부(310)의 일측의 상부로부터, 일측에 구비되는 보조창(220)의 일측의 가장자리, 메인창(210)의 하측 가장자리 및 타측에 구비되는 보조창(220)의 타측의 가장자리를 거쳐 제 1 상부 커버부(310)의 타측의 상부까지 연장될 수 있다.
또한, 다른 예로, 이러한 개폐수단(400)은 한 쌍으로 구비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한 쌍의 개폐수단(400) 중 어느 하나는 제 1 상부 커버부(310)의 일측의 상부로부터 윈도우(200)의 가장자리의 적어도 일부 지점까지 연장되고, 한 쌍의 개폐수단(400) 중 나머지 하나는 제 1 상부 커버부(310)의 타측의 상부로부터 윈도우(200)의 가장자리의 적어도 일부 지점까지 연장될 수 있다. 이때, 한 쌍의 개폐수단(400)은 윈도우(200)의 가장자리의 적어도 일부 지점에서 서로 만날 수 있도록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개폐수단(400)이 윈도우(200)와 제 1 상부 커버부(310)의 경계(250)까지 개방되는 경우, 윈도우(200)는 상방으로 회동될 수 있다. 또한, 개폐수단(400)이 제 1 상부 커버부(310)와 제 2 상부 커버부(320)의 경계(315)까지 개방되는 경우, 제 1 상부 커버부(310)가 윈도우(200)와 함께 상방으로 회동될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개폐수단(400)에 의해 윈도우(200)와 상부 커버부(300)의 적어도 일부가 개방되는 경우, 유모차(20)의 내부가 환기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개폐수단(400)에 의해 보다 넓게 개방된 윈도우(200)와 상부 커버부(300)의 적어도 일부를 통해 유아를 용이하게 유모차에 탑승, 하차시킬 수 있으며, 유아에게 간식, 장난감, 젖병 등을 전달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유모차 커버에 대하여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4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유모차 커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유모차 커버(11)는 전방 커버부(100), 윈도우(200), 상부 커버부(300), 개폐수단(400) 및 윈도우 커버(700)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도 4에 도시된 유모차 커버(11)는 윈도우 커버(700)를 제외하면,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 유모차 커버(10)와 동일하므로, 이하에서는, 차이점에 해당되는 윈도우 커버(700)를 중심으로 설명하고, 동일한 부분에 대해서는 상술한 실시예의 설명 및 도면부호를 원용한다.
윈도우 커버(700)는 윈도우(200)를 커버할 수 있다. 이러한 윈도우 커버(700)는 전방 커버부(100) 및 제 1 상부 커버부(310) 중 어느 하나에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윈도우 커버(700)는 윈도우(200)와 제 1 상부 커버부(310)의 경계(250)에 연결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유모차(20)에 지나치게 강한 햇빛이 비치는 경우, 햇빛이 윈도우(200)를 통하여 유모차(20)로 들어오는 것을 차단할 필요가 있다. 이 경우, 사용자는 윈도우 커버(700)를 이용하여 윈도우(200)를 커버할 수 있다.
한편, 윈도우 커버(700)의 하측 외면에는 제 5 고정수단(701)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윈도우 커버(700)의 하측 내면에는 제 6 고정수단(미도시)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제 1 상부 커버부(310)의 하측 외면에 형성된 제 1 고정수단(201)은 윈도우 커버(700)의 하측 내면에 형성된 상기 제 6 고정수단과 계합될 수 있다. 따라서, 윈도우(200)는 윈도우 커버(700)에 의해 덮인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윈도우(200)가 윈도우 커버(700)에 의해 덮인 채로 상방으로 회동하게 되면, 윈도우 커버(700)의 하측 외면에 형성된 제 5 고정수단(701)이 제 1 상부 커버부(310)의 상측 외면에 형성된 제 2 고정수단(311)에 계합될 수 있다. 이러한, 제 5 고정수단(701)은 암 벨크로 테이프 또는 암 스냅 단추일 수 있으며, 상기 제 6 고정수단은 수 벨크로 테이프 또는 수 스냅 단추일 수 있다.
또한, 제 1 고정수단(201)과 제 6 고정수단은 제 2 고정수단(311)과 제 5 고정수단(701) 보다 더 강하게 체결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제 1 고정수단(201)과 제 6 고정수단 간의 체결력은 제 2 고정수단(311)과 제 5 고정수단(701) 간의 체결력보다 크게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윈도우(200)가 윈도우 커버(700)에 의해 덮인 채로 상방으로 회동된 후 윈도우(200)가 다시 하방으로 회동될 때에도, 제 1 고정수단(201)과 제 6 고정수단 간의 체결이 보다 용이하게 유지됨으로써, 윈도우(200)가 윈도우 커버(700)에 의해 덮힌 상태가 보다 용이하게 유지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갖는 유모차 커버(10)의 작용 및 효과에 대하여 도 5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5는 도 1의 윈도우와 제 1 상부 커버부의 경계를 기준으로 윈도우가 상방으로 회동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6은 도 5를 측면에서 바라본 도면이며, 도 7은 제 1 상부 커버부와 제 2 상부 커버부의 경계를 기준으로 제 1 상부 커버부가 상방으로 회동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8은 도 7을 측면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5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먼저, 사용자는 유모차(20)의 브레이크를 이용하여 유모차(20)를 고정시킨 다음, 고정된 유모차(20)에 유모차 커버(10)를 덮어 씌운다.
이어서, 유모차(20)의 차양막(21)의 후방으로 유모차 커버(10)를 당기면, 탄성부재(500)에 의해 유모차 커버(10)가 안정적인 형태를 잡게 된다. 그리고 나서, 한 쌍의 후크부재(600)를 서로 결합시키거나 유모차(20)에 걸어서 유모차 커버(10)의 설치를 완료한다.
한편, 유모차 커버(10)가 설치된 이후, 사용자는 개폐부재(400)를 통하여 윈도우(200)와 상부 커버부(300)의 적어도 일부를 제 1 상부 커버부(310)와 제 2 상부 커버부(320)의 경계(315)까지 개방시킬 수 있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유모차 커버(10)거 설치된 이후에도 유모차(20)의 차양막을 전, 후방으로 용이하게 펼치거나 접을 수 있으며, 유아를 용이하게 탑승, 하차시킬 수 있다.
또한, 제 1 상부 커버부(310)와 제 2 상부 커버부(320)의 경계(315)를 기준으로 제 1 상부 커버부(310)를 상방으로 회동시켜서, 제 1 상부 커버부(310)를 제 2 상부 커버부(320)에 고정시킬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윈도우(200)와 상부 커버부(300)의 적어도 일부가 개방된 상태를 보다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으며, 유아의 탑승, 하차도 보다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고안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당업자는 각 구성요소의 재질, 크기 등을 적용 분야에 따라 변경하거나, 실시형태들을 조합 또는 치환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에 명확하게 개시되지 않은 형태로 실시할 수 있으나, 이 역시 본 고안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으로 한정적인 것으로 이해해서는 안 되며, 이러한 변형된 실시예는 본 고안의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기재된 기술사상에 포함된다고 하여야 할 것이다.
10, 11: 유모차 커버 20: 유모차
21: 차양막 100: 전방 커버부
200: 윈도우 201: 제 1 고정수단
202: 제 3 고정수단 210: 메인 창
220: 보조 창 300: 상부 커버부
310: 제 1 상부 커버부 311: 제 2 고정수단
320: 제 2 상부 커버부 321: 제 4 고정수단
400: 개폐수단 500: 탄성부재
600: 후크부재 700: 윈도우 커버
701: 제 5 고정수단

Claims (8)

  1. 유모차의 전방을 커버하는 전방 커버부;
    상기 전방 커버부에 구비되고 상기 유모차에 탑승한 유아가 외부를 투시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윈도우;
    상기 전방 커버부의 상측에 연결되고, 상기 유모차의 상부를 커버하며, 상기 전방 커버부와 연결되고 상기 윈도우의 길이와 동일한 길이를 갖는 제 1 상부 커버부와, 상기 제 1 상부 커버부와 연결되어 상기 제 1 상부 커버부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되고 상기 제 1 상부 커버부와 동일한 길이를 갖는 제 2 상부 커버부를 포함하는 상부 커버부;
    상기 상부 커버부의 적어도 일부와 상기 윈도우를 개폐시키는 개폐수단;
    상기 윈도우의 외면 하단에 형성되는 제 1 고정수단;
    상기 제 1 상부 커버부의 외면 상단에 형성되는 제 2 고정수단;
    상기 윈도우의 내면 상단에 형성되는 제 3 고정수단; 및
    상기 제 2 상부 커버부의 외면 상단에 형성되는 제 4 고정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윈도우가 상기 윈도우와 상기 제 1 상부 커버부의 경계에서 상방으로 회동되는 경우, 상기 윈도우의 후방측 단부은 상기 제 1 상부 커버부와 상기 제 2 상부 커버부의 경계와 일치하고, 상기 제 1 고정수단 및 상기 제 2 고정수단이 서로 계합되어 상기 윈도우가 상기 제 1 상부 커버부에 고정되며,
    상기 제 1 상부 커버부와 상기 제 2 상부 커버부의 경계에서 상기 제 1 상부 커버부가 상방으로 회동되는 경우, 상기 제 1 상부 커버부의 후방측 단부는 상기 제 2 상부 커버부의 후방측 단부와 일치하고, 상기 제 3 고정수단 및 상기 제 4 고정수단이 서로 계합되어 상기 제 1 상부 커버부가 상기 제 2 상부 커버부에 고정되는 유모차 커버.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수단은 제 1 상부 커버부 일측의 상부로부터, 상기 윈도우의 가장자리를 거쳐 제 1 상부 커버부 타측의 상부까지 연장되는 유모차 커버.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윈도우는 메인 창 및 상기 메인 창의 양측에 구비되는 보조 창을 포함하고,
    상기 개폐수단은 제 1 상부 커버부 일측의 상부로부터, 상기 메인 창의 가장자리를 거쳐 제 1 상부 커버부 타측의 상부까지 연장되는 유모차 커버.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윈도우의 길이는 상기 제 1 상부 커버부의 길이와 동일하게 구비되는 유모차 커버.
  6. 삭제
  7. 삭제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윈도우를 커버할 수 있는 윈도우 커버를 더 포함하는 유모차 커버.
KR2020160005362U 2016-09-12 2016-09-12 유모차 커버 KR20048457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5362U KR200484575Y1 (ko) 2016-09-12 2016-09-12 유모차 커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5362U KR200484575Y1 (ko) 2016-09-12 2016-09-12 유모차 커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84575Y1 true KR200484575Y1 (ko) 2017-09-25

Family

ID=605712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60005362U KR200484575Y1 (ko) 2016-09-12 2016-09-12 유모차 커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4575Y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87306Y1 (ko) * 2002-04-11 2002-08-30 윤석구 유모차 보호 덮개
KR20100136731A (ko) * 2009-06-19 2010-12-29 주식회사 와이케이비앤씨 유모차 커버
KR20110001526U (ko) * 2009-08-06 2011-02-14 김경혜 와이어 프레임에 의해 형체가 지지되는 유모차용 보호덮개
JP2012011830A (ja) * 2010-06-29 2012-01-19 Akanbo Company:Kk ベビーカー用カバー
KR200480277Y1 (ko) 2014-08-14 2016-05-04 서동현 하부에 개폐부를 갖는 유모차 보호 커버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87306Y1 (ko) * 2002-04-11 2002-08-30 윤석구 유모차 보호 덮개
KR20100136731A (ko) * 2009-06-19 2010-12-29 주식회사 와이케이비앤씨 유모차 커버
KR20110001526U (ko) * 2009-08-06 2011-02-14 김경혜 와이어 프레임에 의해 형체가 지지되는 유모차용 보호덮개
JP2012011830A (ja) * 2010-06-29 2012-01-19 Akanbo Company:Kk ベビーカー用カバー
KR200480277Y1 (ko) 2014-08-14 2016-05-04 서동현 하부에 개폐부를 갖는 유모차 보호 커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891732B2 (en) Extendable sunshade for child car seat
KR20060047225A (ko) 차양을 구비한 육아 기구
US20040244301A1 (en) Sunshade attachment for strollers, car seats, carriages and joggers
US20180035814A1 (en) Detachable canopy for baby carrier
KR200484575Y1 (ko) 유모차 커버
EP1702527A1 (en) Shielding device for helmet
KR200453145Y1 (ko) 차양막부가 설치된 유모차 커버
KR20140093087A (ko) 자전거 유아용 안장 구조물
JP2006282040A (ja) 育児器具の幌
JP4361303B2 (ja) 乳母車用幌体
KR101040985B1 (ko) 유모차 커버
KR20140032115A (ko) 유모차 커버
KR200480277Y1 (ko) 하부에 개폐부를 갖는 유모차 보호 커버
KR20120002831U (ko) 탈착 가능한 차양부를 구비한 유모차 보호덮개
KR102478467B1 (ko) 다기능 유모차 커버용 캡, 다기능 유모차 커버 및 다기능 유모차 커버 어셈블리
KR200322465Y1 (ko) 유모차용 보조 차양막
KR200405744Y1 (ko) 바람막이판을 갖는 오토바이 구조
US20240124044A1 (en) Canopy device and child carrier having the same
CN205149956U (zh) 双向童车雨罩
JP2006021737A (ja) 紫外線防止日除け付きベビーカー
KR200478157Y1 (ko) 유모차용 차양장치
KR200284770Y1 (ko) 방충망을 구비한 유아용 카 시트
JP2006271859A (ja) 子守帯
AU2007100513A4 (en) Improved pram/stroller cover
KR200265688Y1 (ko) 유모차용 방풍덮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