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56657A - 자동 원고 피딩 장치 - Google Patents

자동 원고 피딩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56657A
KR20040056657A KR1020020083181A KR20020083181A KR20040056657A KR 20040056657 A KR20040056657 A KR 20040056657A KR 1020020083181 A KR1020020083181 A KR 1020020083181A KR 20020083181 A KR20020083181 A KR 20020083181A KR 20040056657 A KR20040056657 A KR 2004005665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d holder
roller
feeding roller
feeding
pa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831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53066B1 (ko
Inventor
최동하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2-00831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53066B1/ko
Priority to US10/682,843 priority patent/US7099619B2/en
Priority to CNB2003101235063A priority patent/CN1291849C/zh
Publication of KR200400566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5665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530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53066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60Apparatus which relate to the handling of originals
    • G03G15/602Apparatus which relate to the handling of originals for transporting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heets, Magazines, And Separation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 원고 피딩 장치에 관하여 개시한다. 개시된 자동 원고 피딩 장치는, 복사영역을 덮는 플래튼 커버; 상기 플래튼 커버 상에 마련되며 상기 복사영역으로 공급되는 원고가 적재되는 원고 트레이; 상기 원고 트레이에 적재된 원고를 픽업하여 급지경로를 향해 이송하는 픽업롤러와, 상기 픽업롤러에 의해 픽업된 원고를 이어받아 상기 급지경로로 진입시키는 피딩롤러를 구비하며, 상기 피딩롤러 샤프트의 회전방향에 따라서 상기 픽업롤러를 상기 샤프트를 회동축으로 소정 거리 회동시키는 픽업 어셈블리; 및 상기 트레이에서 상기 피딩롤러에 대응하는 영역에 형성된 패드홀더 홈에 설치되어서 상기 피딩롤러와 접촉되게 설치되는 마찰패드를 지지하는 패드홀더;를 구비한다. 이에 따르면, 원고의 중송을 방지하며, 사용중 수명이 다한 마찰패드를 용이하게 사용자가 교환할 수 있다.

Description

자동 원고 피딩 장치{Automatic document feeder}
본 발명은 자동 원고 피딩 장치(automatic document feeder: ADF)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팩스, 스캐너 및 인쇄기 등의 기능을 수행하는 복합 사무기기에서 원고(document)를 스캐닝하기 위한 영역으로 이송하는 자동 원고 피딩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복사기나 팩스밀리와 같이 복사기능을 가지는 복합기기에는 자동 원고 피딩장치(automatic document feeder: ADF)가 구비되어 있다. ADF를 구비함으로써, 다량의 원고를 복사할 때, 복사영역의 커버를 일일이 개폐하지 않고도 자동적으로 원고를 1매씩 급지하여 연속복사가 가능하므로 복사 시간이 대폭 줄어든다.
도 1은 종래의 자동 원고 피딩 장치가 장착되는 복합 사무기기의 개략적인 일부 사시도이며, 도 2는 도 1에 도시된 ADF의 급지과정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종래의 ADF는 복합기기(10) 내부로 공급될 원고(D)가 적재되는 트레이(11)와, 상기 트레이(11)에 적재된 원고(D)를 복합기기(10) 내부로 한 장씩 진입시키기 위한 픽업롤러(12)를 구비한다. 이러한 ADF는 원고의 급지용으로 채용되는 것이다.
이러한 ADF는 모터(13)의 구동으로 픽업롤러(12)가 회전되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트레이(11)에 적재된 원고 중 상기 픽업롤러(12)와 접촉된 최상단의 원고가 복합기기(10) 안으로 밀려들어가게 된다. 참조부호 14는 픽업롤러(12) 및 원고가 들어가는 복합기기(10)의 입구를 보호하는 커버로, 인쇄 시에는 도 2와 같이 닫혀진 상태가 된다.
한편, 상기 구성에 있어서 원고가 복합기기(10) 안으로 원활하게 급지되도록 하기 위해서는, 원고를 트레이(11)에 적재할 때 그 선단부가 픽업롤러(12) 밑에 잘 끼워지도록 놓아야 한다. 그런데, 원고를 너무 많이 적재하면 그 선단부를 픽업롤러(12) 밑으로 끼워넣기가 어렵기 때문에, 한 번에 적재할 수 있는 최대 원고량이 20매 내외 정도로 극히 제한될 수 밖에 없다. 이것은 인쇄량이 많을 경우, 사용자에게 원고를 몇 번에 나눠서 적재해야 하는 번거로움을 주는 원인이 된다. 또한, 이러한 구성에서는 상기 픽업롤러(12)를 향한 트레이(11)의 기울기를 가능한 한 높게 설치해서 원고가 픽업롤러(12) 밑으로 잘 미끄러져 들어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그렇게 되면 복합기기(10)의 높이가 그만큼 높아지기 때문에, 설치 공간을 많이 차지하는 단점이 생기며, 또한 원고 2장 이상이 한꺼번에 미끄러져 들어가는 중송(重送)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도 3은 한국특허 공개번호 제2001-058632호에 개시된 급지장치의 측단면도이며, 도 4는 도 3의 마찰부재 및 패드 홀더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급지장치는 인쇄기 본체에 마련되는 프레임(51)과, 프레임(51)의 중간 영역에 힌지결합되어 상방으로 탄성 바이어스되는 패드 홀더(60)와, 패드홀더(60)의 상부에 접촉되게 설치되는 픽업롤러(50)와, 프레임(51)에 고정설치되어 용지(P)의 일단이 픽업롤러(50)에 접촉되게 지지해 주는 노크업-플레이트(80)를 구비한다.
상기 패드 홀더(60)는 일측에 힌지결합부(64)가 형성된 몸체(61)와, 마찰부재(63)를 장착하는 새들부(62)를 구비한다. 패드홀더(60)의 몸체(61)에는 삽입공(75), 지지돌기(74) 및 결합공(69)가 형성되어 있으며, 새들부(62)에는 이에 대응하는 삽입돌기(77), 지지홈(76) 및 걸림턱(73a)이 형성된 후크(73)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장공(65)을 통해서 패드홀더(60)의 상면 및 배면을 지지하면서 마찰패드(63) 및 새들부(62)를 몸체(61)에 고정하는 지지플레이트(78)가 배치되어 있다. 또한, 몸체(61)의 배면에는 돌기부(66)가 형성되어 있고, 이 돌기부(66)에 탄성 스프링(71)이 연결됨으로써 패드홀더(60)는 상방으로 탄성바이어스된다.
이러한 구조의 급지장치는 픽업롤러(50)의 회전에 따라서 픽업롤러(50)에 접촉된 원고가 1매씩 급지경로로 픽업 및 피딩되므로 중송이 방지된다.
소모품인 마찰패드(63)의 교환을 위해서는 작업자가 픽업롤러(50)를 제거한 후, 손으로 돌기부(68)를 대략 1.5∼2.0㎜ 정도 들어가도록 누른다. 그러면, 결합공(69)은 도면의 우측방향으로 이동하게 되고, 결합공(69)에 턱(73a)으로 걸려 있는 후크(73)는 그 잠금이 해제된다. 계속해서 돌기부(68)를 눌러주면 새들부(62)의 몸체는 경사지게 형성된 리브(72)의 경사면을 타고 슬라이딩되어 자연스럽게 들어올려진다. 그런 다음, 마찰패드(63)를 클립하고 있는 지지플레이트(78)를 들쳐서 새들부(62)에 안착된 마찰패드(63)를 빼내고 새로운 마찰패드(63)를 새들부(62)에 장착한 후 조립하여 사용한다.
그러나, 상기 구조의 패드홀더(60)는 구성이 복잡하고, 장기 사용으로 지지플레이트(78)가 변형이 되면 마찰패드(63)가 새들부(62)로부터 고정이 잘 되지 않는 문제가 발생될 수 있으며, 일반 사용자가 픽업롤러(50)를 해체하고 마찰패드(63)를 교환하는 작업이 용이하지 않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서, 소모품인 마찰부재를 용이하게 교환할 수 있고, 중송이 방지되는 자동 원고 피딩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자동 원고 피딩 장치가 장착되는 복합 사무기기의 개략적인 일부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ADF의 급지과정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도 3은 한국특허 공개번호 제2001-058632호에 개시된 급지장치의 측단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마찰부재 및 패드 홀더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자동 원고 피딩 장치의 사시도를 나타낸 것다.
도 6은 도 5의 픽업 어셈블리 및 마찰부재가 설치되는 부분의 일부 측단면도이다.
도 7은 도 5의 픽업 어셈블리의 분리사시도이다.
도 8은 도 5의 피딩롤러의 동력 연결수단을 도시한 분리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마찰패드를 포함한 패드 홀더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11은 도 9의 패드 홀더가 삽입되는 홈의 내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1은 도 5의 샤프트가 지지되는 홈의 구조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100: 자동 원고 피딩 장치(ADF) 101: 플래튼 커버
110: 원고 트레이 130: 구동원
140: 메인티넌스 커버 150: 센서
160: 패드홀더 162: 패들부
163: 마찰패드 164: 경사부
165: 텐션부 166: 플라스틱 시트
167,183: 원형 보스 168: 걸림돌기
170: 힌지돌기 172: 탄성스프링
180: 패드홀더 홈 181: 힌지홈
188: 걸림턱 200: 픽업 어셈블리
201: 샤프트 204: 고정부싱
204a: 손잡이 204b: D 커트
206: 지지홈 210: 클러치 수단
211: 구동부재 212: 클러치 스프링
213: 부싱 214: 결합부재
220: 회동부재 230: 피딩롤러
240: 중계기어 250: 픽업롤러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자동 원고 피딩 장치는, 복사영역을 덮는 플래튼 커버;
상기 플래튼 커버 상에 마련되며 상기 복사영역으로 공급되는 원고가 적재되는 원고 트레이;
상기 원고 트레이에 적재된 원고를 픽업하여 급지경로를 향해 이송하는 픽업롤러와, 상기 픽업롤러에 의해 픽업된 원고를 이어받아 상기 급지경로로 진입시키는 피딩롤러를 구비하며, 상기 피딩롤러 샤프트의 회전방향에 따라서 상기 픽업롤러를 상기 샤프트를 회동축으로 소정 거리 회동시키는 픽업 어셈블리; 및
상기 트레이에서 상기 피딩롤러에 대응하는 영역에 형성된 패드홀더 홈에 설치되어서 상기 피딩롤러와 접촉되게 설치되는 마찰패드를 지지하는 패드홀더;를 구비한다.
상기 패드홀더는, 상기 마찰부재가 접촉되는 반대측이 상기 패드홀더 홈에 힌지결합되며, 상기 마찰부재와 접촉되는 면의 이면 및 상기 이면에 대응되는 상기패드홀더 홈에는 탄성스프링이 장착되어 상기 마찰부재를 상기 피딩롤러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한다.
상기 패드 홀더의 선단측에 걸림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걸림돌기는 상기 패드홀더 홈의 대응하는 부분에 형성된 걸림턱에 의해서 상방으로 회동위치가 규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힌지결합은 상기 패드 홀더의 후단측의 양측에 형성된 힌지돌기와, 상기 패드홀더 홈의 대응하는 측면에 형성된 힌지홈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패드 홀더의 양측에 텐션부가 형성되고, 상기 힌지돌기는 상기 텐션부의 양측에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급지경로에서 상기 마찰패드 및 상기 힌지 사이에는 픽업된 원고가 상기 마찰부재 및 상기 피딩롤러 사이로 진입되는 것을 가이드하는 경사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경사부의 표면에는 플라스틱 시트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피딩롤러 샤프트의 적어도 일단 원주에는 고정부싱과, 상기 고정부싱에 고정된 D 커트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샤프트의 일단을 지지하는 지지홈은, 상기 D 커트가 길이방향으로 만 출입할 수 있게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자동 원고 피딩 장치를 상세히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층이나 영역들의 두께는 명세서의 명확성을 위해 과장되게 도시된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자동 원고 피딩 장치의 사시도를 나타낸 것이고, 도 6은 도 5의 픽업 어셈블리 및 마찰부재가 설치되는 부분의 일부 측단면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ADF(100)는 복합 사무기기의 복사영역을 덮는 플래튼 커버(101)와, 원고가 적재되는 원고 트레이(110)와, 구동원(130)에 의해 구동되어 원고(D)를 복합기기 내부의 복사영역으로 진입시키는 픽업 어셈블리(200)를 구비한다. 참조번호 140은 픽업 어셈블리(200)를 포함하는 영역을 덮는 커버를 나타내며, 실제 사용시는 덮힌 상태로 사용되며, 메이티넌스를 위해서 연다. 참조번호 150은 원고가 적재된 것을 검출하는 센서이며, 참조번호 152는 피딩되는 원고의 폭을 규제하는 원고 가이드이다.
픽업 어셈블리(200)는 원고 트레이(110)에 적재된 원고(D)와 선택적으로 접촉하는 픽업롤러(250)와, 픽업되어 원고 공급경로로 이송된 원고를 받아서 복사영역으로 이송하는 피딩롤러(230)를 구비한다. 피딩롤러(230)의 하부에는 마찰패드(163)를 갖춘 패드홀더(160)가 배치된다. 패드홀더(160)는 원고 트레이(110)에 형성된 패드홀더 홈(180)에 힌지결합되며, 하부는 탄성스프링(172)에 연결되어서 상방으로 탄성 바이어스되어 있다. 또한, 패드홀더(160)의 선단부에는 걸림돌기(168)이 형성되어 있으며, 패드홀더 홈(180)에는 이 걸림돌기(168)를 로킹하는 걸림홈(188)이 형성되어서 패드홀더(160)가 탄성력으로 인한 회동력을 규제한다. 한편, 피딩롤러(230) 및 픽업롤러(250)의 일단에는 각각 기어(231,251)가연결되어 있고 이들 기어(231,251) 사이에는 중계기어(240)가 배치되어서 기어들 사이의 동력을 연결해준다.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에에 따른 픽업 어셈블리의 분리사시도이며, 도 8은 도 5의 피딩롤러의 동력 연결수단을 도시한 분리사시도이며, 도 9는 도 7의 픽업 어셈블리의 결합 사시도이다.
상기 픽업 어셈블리(200)는, 구동원(130)과 연결된 샤프트(201)와, 그 동축상에 설치된 피딩롤러(feeding roller;230)와, 상기 샤프트(201)를 회동축으로 하여 회동가능하게 설치된 회동부재(220), 이 회동부재(140)의 자유단부 측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픽업롤러(250) 및, 상기 피딩롤러(230)와 픽업롤러(250)를 연결하는 중계기어(240) 등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회동부재(220)는 일부러 들어올리는 힘이 없으면, 자중에 의해 상기 픽업롤러(250)가 트레이(110) 상의 원고(D)에 접촉되는 방향으로 돌아가게 된다.
참조부호 210은 상기 샤프트(201)의 회전방향에 따라 회동부재(220)를 선택적으로 들어올리기 위한 클러치수단을 나타낸다. 이 클러치수단은, 샤프트(201)가 픽업롤러(250)의 급지방향, 즉 원고(D)를 복합기기 내부의 복사영역으로 진입시키는 방향(B 방향)으로 회전될 때에는 샤프트(201)와 회동부재(220) 사이의 동력 연결을 끊음으로써 회동부재(220)가 자중에 의해 내려가도록 하고, 반대방향(A 방향)으로 회전할 때에는 샤프트(201)와 회동부재(220) 사이의 동력을 연결하여 샤프트(201)의 회전에 따라 회동부재(220)가 들려지도록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클러치수단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회동부재(220)의 회동축 상에 결합되는 결합부재(214)와, 상기 결합부재(214)의 일측 외주면에 끼워지는 부싱(213)과, 일단(212a)은 상기 부싱(213)의 결합홈(213a)에 결합되고 타단(212b)은 상기 결합부재(214)의 결합홈(214a)에 결합되는 클러치스프링(212)과, 고정핀(211a)에 의해 샤프트(201)에 고정되며 상기 클러치스프링(212)의 내주면과 마찰 접촉되는 구동부재(211)를 포함한다. 상기 클러치스프링(212)은 그 내주면이 상기와 같이 구동부재(211)와 접촉되며, 외주면은 상기 부싱(213)의 내주면과 접촉된다. 따라서, 샤프트(201)가 화살표 A방향으로 회전하면 상기 구동부재(211)도 A방향으로 회전하면서 마찰에 의해 상기 클러치스프링(212)를 감기는 방향으로 돌리게 된다. 이렇게 되면, 구동부재(211)와 클러치스프링(212)과 부싱(213)이 마찰에 의해 함께 돌아가게 되며, 클러치스프링(212)의 양단(212a)(212b)으로 부싱(213)과 연결된 결합부재(214)도 회전하게 되어, 결국 회동부재(220)가 회동하게 된다. 따라서, 회동부재(220)는 상기 픽업롤러(250)가 트레이(110)로부터 들려진 상태로 돌아가게 되며, 이 상태에서 샤프트(201)의 회전이 멈추더라도, 상기 구동부재(211)와 클러치스프링(212) 및 부싱(213) 간의 마찰력이 풀리지 않는 한 그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 상태에서 샤프트(201)가 반대방향인 화살표 B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면, 상기 구동부재(211)도 B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는데, 이 방향은 상기 클러치스프링(212)가 풀리는 방향이 된다. 따라서, 상기 회동부재(220)를 들어올리고 있던 상기 구동부재(211)와 클러치스프링(212) 간의 마찰력이 해제되며, 이에 따라 회동부재(220)의 자중에 의해 상기 클러치스프링(212)와, 부싱(213)과, 결합부재(214) 및 회동부재(220)가 모두 원위치로 돌아오게 된다. 따라서, 상기 픽업롤러(250)가 트레이(110) 상의 원고(D)와 접촉하게 되며, 이후 계속해서 샤프트(201)가 B방향으로 회전하면, 상기 피딩롤러(230)와 픽업롤러(230)가 회전하면서 원고(D)를 급지경로로 진입시키게 된다.
도 8은 상기 피딩롤러(230)를 선택적으로 회전시키기 위한 샤프트(201)와의 동력 연결수단을 나타낸 것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픽업롤러(250)와 중계기어(240)를 통해 기어연결되는 기어부(231)에는 고정핀(231a)이 끼워지는 슬롯(231c)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고정핀(213a)은 샤프트(201)에 형성된 결합공(203)에 끼워져서 상기 슬롯(231c)에 끼워진다. 따라서 샤프트(201)가 회전하면 이 기어부(231)도 함께 회전한다. 그리고, 상기 피딩롤러(230)의 일단에는 바람개비와 같은 단차면(230a)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단차면(230a)과 기어부(231) 사이에는 상기 단차면(230a)에 걸리는 톱니부(232a)가 마련된 톱니부재(232)가 설치된다. 이 톱니부재(232)에는 간섭편(232b)이 마련되어 있고, 상기 기어부(231)에는 그와 간섭되는 간섭돌기(231b)가 마련되어 있어서, 기어부(231)의 회전시 상기 간섭돌기(231b)가 간섭편(232b)에 걸려서 톱니부재(232)를 돌리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있어서, 샤프트(201)가 화살표 B방향으로 회전하여 기어부(231)와 톱니부재(232)가 B방향으로 돌아갈 때에는 상기 톱니부(232a)의 수직면이 상기 단차면(230a)의 수직면에 걸리기 때문에, 상기 피딩롤러(230)도 샤프트(201)의 회전방향으로 함께 회전하게 된다. 그러나 반대로 A방향으로 회전할 때에는 상기 톱니부(232a)의 경사면과 상기 단차면(230a)의 경사면이 서로 미끄러지면서 스쳐 지나가기 때문에, 피딩롤러(230)가 회전하지 않게 된다. 따라서, 샤프트(201)가 화살표A방향으로 회전할 때에는 피딩롤러(230)가 정지된 상태로 회동부재(220)가 돌아가게 되며, 반대로 B방향으로 회전할 때에는 회동부재(220)는 원위치로 내려오고 피딩롤러(230)는 급지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한편, 상기 픽업롤러(250)는 피딩롤러(230)에 기어 연결되어서 회전하기 때문에, 이와 같은 구조를 꼭 채용할 필요는 없지만, 회전방향의 보다 안전한 규제를 위해서 상기 픽업롤러(250)에도 상기 피딩롤러(230)와 마찬가지로, 샤프트(201)가 B방향으로 회전할 때에만 회전하도록 상기와 같은 동력 연결수단을 설치할 수 있다.
따라서 샤프트(201)가 화살표 B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면, 클러치수단(210)이 샤프트(201)와 회동부재(220) 간의 동력을 끊게 되므로, 픽업롤러(250)가 트레이(110) 상의 원고(D)에 접촉된다. 그리고, 상기 피딩롤러(230)는 상기 톱니부재(232)가 단차면(230a)에 걸려서 회전함에 따라 B방향으로 회전한다. 따라서 피딩롤러(230)와 중계기어(240)에 의해 연결된 픽업롤러(250)도 B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원고(D)를 복합기기 안으로 진입시키게 된다.
한편, 트레이(110)에 적재된 원고(D)가 다 소모되면, 상기 복합기기에 마련된 센서(150; 도 5)가 그것을 감지하게 되며, 이에 따라 구동원(130)이 샤프트(201)를 화살표 A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이렇게 되면, 상기 클러치수단(210)의 구동부재(211)와 클러치스프링(212)와 부싱(213)이 마찰력에 의해 회전하면서 결합부재(214)와 결합된 회동부재(220)를 회동시킨다. 따라서, 픽업롤러(250)가 트레이(110) 측으로부터 들려지게 되며, 이때 상기 피딩롤러(230)와 픽업롤러(250)는회전하지 않는다. 이후 다시 회동부재(220)를 회동시켜서 급지작업을 계속 진행하면 된다.
도 10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마찰패드를 포함한 패드 홀더의 분해사시도이며, 도 11은 도 10의 패드 홀더가 삽입되는 홈의 내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패드홀더(160)는 상면에 고무패드(163)가 안착된 새들부(162)와, 경사부(164)를 구비하며, 경사부(164)의 양측에는 텐션부(165)가 형성되어 있으며, 각 텐션부(165)의 단에는 힌지돌기(170)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패드홀더 홈(180)에는 상기 힌지돌기(170)가 결합되는 힌지 홈(181)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경사부(164)의 상면에는 플라스틱 시트(166), 예컨대 폴리 카보네이트 시트가 부착되어서 원고의 선단이 고무패드(163)에 직접 걸리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고무패드(163)는 실리콘 고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그 하부는 새들부(162)에 접착제로 강력하게 부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고무패드(163)의 교환을 위해서는 패드홀더(160)를 전체를 교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패드 홀더(160)의 새들부(162)의 저면에는 하방으로 원형 보스(도 6의 167)가 형성되어 있으며, 패드홀더 홈(180)에는 상기 보스(167)에 대응하는 원형 보스(183)가 형성되어 있고 이 보스들(167,183) 사이에는 탄성 스프링(172)이 결합되어서 상기 패드 홀더(160)가 탄성바이어스되게 지지한다.
한편, 피딩롤러(230)의 샤프트(201)의 적어도 일단에는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부싱(204)이 설치되어 있다. 고정부싱(204)에는 손잡이(204a)가 형성되어있으며 일측은 D 커트(D type cut)(204b)되어 있다. 이 D 커트(204b)는 ADF 의 일측에 형성된 지지홈(206)에 길이방향으로 삽입되어서 손잡이(204a)를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지지홈(206)에 의해 이탈이 방지된다.
그런데, 상기 픽업롤러(250)와 피딩롤러(230) 사이에는 원고의 선단이 부딪힌 후 넘어가도록 패드홀더(160)의 경사부(164)가 배치된다. 따라서, 픽업롤러(250)에 의해 픽업된 원고는 그 선단이 일단 경사부(164)에 부딪힌 후 넘어가면서 피딩롤러(230)에 물리기 때문에, 맨 윗장의 원고가 아니면 상기 경사부(164)를 넘어서 피딩롤러(230)에 물리기가 어렵다. 또한, 고무패드(163)는 중송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상기 구조의 ADF는 원고 여러 장이 한꺼번에 들어가는 중송을 방지하는데 효과적인 구조이다.
상기 구조의 ADF에 있어서 패드홀더(160)를 패드홀더 홈(180)에 결합하는 과정을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새들부(162)에 고무패드(163)를 접착하고 경사부(164)에 플라스틱 시트(166)를 부착한 후 패드 홀더(160)의 저면에 형성된 보스(167)에 탄성 스프링(172)을 끼운다. 이어서 패드홀더(160)를 패드홀더 홈(181)에 삽입하기 위해서 텐션부(165)를 서로 대향하는 방향으로 오므리면서 힌지돌기(170)를 힌지 홈(181)에 껴넣는다. 이 때 탄성 스프링(172)의 일단이 패드홀더 홈(181)에 형성된 보스(183)에 삽입되게 한다. 이어서 피딩롤러(230)의 샤프트(201)의 일단을 ADF(100)의 측벽에 형성된 지지홀(미도시)에 삽입후, D 커트(204b)를 지지홈(206)에 삽입하면서 고정부싱(204)의 손잡이(204a)를 시계방향으로 회전시켜서피딩롤러(230)의 샤프트(201)를 ADF(100) 에 고정시킨다. 이어서 메인티넌스 커버(140)를 닫으면 결합공정이 완료된다.
이어서, 사용중 고무패드(163)가 마모된 후 패드홀더(160)를 교환하는 과정을 설명한다. 먼저, 커버(140)를 오픈한 후, 고정부싱(204)의 손잡이(204a)를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켜서 D 커트(204b)가 지지홈(206)으로부터 이탈될 수 있게 한 후 픽업어셈블리(200)를 위로 들면, 픽업어셈블리(200)는 ADF(100)로부터 분리된다. 그리고 텐션부(165)를 서로 대향하는 방향으로 가압하면 힌지돌기(166)가 힌지홈(181)으로부터 이탈된다. 이어서 패드 홀더(160)를 상방으로 올리면 패드 홀더(160)의 분리가 용이하게 완료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자동 원고 피딩 장치는 원고의 중송을 방지하며, 사용중 수명이 다한 마찰패드를 용이하게 사용자가 교환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한해서 정해져야 할 것이다.

Claims (7)

  1. 복사영역을 덮는 플래튼 커버;
    상기 플래튼 커버 상에 마련되며 상기 복사영역으로 공급되는 원고가 적재되는 원고 트레이;
    상기 원고 트레이에 적재된 원고를 픽업하여 급지경로를 향해 이송하는 픽업롤러와, 상기 픽업롤러에 의해 픽업된 원고를 이어받아 상기 급지경로로 진입시키는 피딩롤러를 구비하며, 상기 피딩롤러 샤프트의 회전방향에 따라서 상기 픽업롤러를 상기 샤프트를 회동축으로 소정 거리 회동시키는 픽업 어셈블리; 및
    상기 트레이에서 상기 피딩롤러에 대응하는 영역에 형성된 패드홀더 홈에 설치되어서 상기 피딩롤러와 접촉되게 설치되는 마찰패드를 지지하는 패드홀더;를 구비하며,
    상기 패드홀더는,
    상기 마찰부재가 접촉되는 반대측이 상기 패드홀더 홈에 힌지결합되며,
    상기 마찰부재와 접촉되는 면의 이면 및 상기 이면에 대응되는 상기 패드홀더 홈에는 탄성스프링이 장착되어 상기 마찰부재를 상기 피딩롤러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원고 피딩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패드 홀더의 선단측에 걸림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걸림돌기는 상기 패드홀더 홈의 대응하는 부분에 형성된 걸림턱에 의해서 상방으로 회동위치가 규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원고 피딩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결합은 상기 패드 홀더의 후단측의 양측에 형성된 힌지돌기와,
    상기 패드홀더 홈의 대응하는 측면에 형성된 힌지홈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원고 피딩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패드 홀더의 양측에 텐션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힌지돌기는 상기 텐션부의 양측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원고 피딩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급지경로에서 상기 마찰패드 및 상기 힌지 사이에는 픽업된 원고가 상기 마찰부재 및 상기 피딩롤러 사이로 진입되는 것을 가이드하는 경사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원고 피딩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부의 표면에는 플라스틱 시트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원고 피딩 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피딩롤러 샤프트의 적어도 일단 원주에는 고정부싱과, 상기 고정부싱에 고정된 D 커트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샤프트의 일단을 지지하는 지지홈은, 상기 D 커트가 길이방향으로 만 출입할 수 있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원고 피딩 장치.
KR10-2002-0083181A 2002-12-24 2002-12-24 자동 원고 피딩 장치 KR100453066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83181A KR100453066B1 (ko) 2002-12-24 2002-12-24 자동 원고 피딩 장치
US10/682,843 US7099619B2 (en) 2002-12-24 2003-10-10 Automatic document feeder
CNB2003101235063A CN1291849C (zh) 2002-12-24 2003-12-24 自动供稿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83181A KR100453066B1 (ko) 2002-12-24 2002-12-24 자동 원고 피딩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56657A true KR20040056657A (ko) 2004-07-01
KR100453066B1 KR100453066B1 (ko) 2004-10-15

Family

ID=329064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83181A KR100453066B1 (ko) 2002-12-24 2002-12-24 자동 원고 피딩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7099619B2 (ko)
KR (1) KR100453066B1 (ko)
CN (1) CN1291849C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24078B1 (ko) * 2003-11-18 2005-10-26 삼성전자주식회사 자동원고이송장치
KR100561408B1 (ko) * 2003-12-01 2006-03-16 삼성전자주식회사 스캐닝장치 및 그 기어손상방지방법
JP2005203987A (ja) * 2004-01-14 2005-07-28 Brother Ind Ltd 画像読取装置
KR100561430B1 (ko) * 2004-05-29 2006-03-17 삼성전자주식회사 자동원고급지장치 및 이를 구비한 화상형성장치
TWI371419B (en) * 2007-08-29 2012-09-01 Avision Inc Paper pick-up mechanism and feeder of using the same
TWI339184B (en) * 2007-10-03 2011-03-21 Qisda Corp Feeder and multifunction printer using the same
JP5853565B2 (ja) * 2011-10-05 2016-02-09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自動原稿送り装置
TW201408495A (zh) * 2012-08-31 2014-03-01 Primax Electronics Ltd 自動饋紙裝置
JP6021043B2 (ja) * 2012-12-14 2016-11-02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シート搬送装置
JP2016031453A (ja) * 2014-07-29 2016-03-07 株式会社リコー ベルト定着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KR20170009088A (ko) 2015-07-15 2017-01-25 에스프린팅솔루션 주식회사 급지 장치 및 이를 채용한 화상형성장치
JP7247591B2 (ja) * 2019-01-10 2023-03-29 株式会社リコー 回転体、軸に装着する部材、抜け止め部材、装置
JP7309375B2 (ja) 2019-01-31 2023-07-18 キヤノン株式会社 シート搬送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110038A (en) * 1977-06-13 1978-08-29 Pitney-Bowes, Inc. Document feeder for a copier
US5022639A (en) * 1985-11-22 1991-06-11 Dubois R Clark Document feeder with improved recyclable document control
JPH03147642A (ja) * 1989-10-31 1991-06-24 Brother Ind Ltd 給紙装置
JP3388114B2 (ja) * 1996-11-15 2003-03-17 京セラミタ株式会社 原稿搬送装置
JP3729232B2 (ja) * 1997-07-18 2005-12-21 株式会社リコー 自動原稿搬送装置
US6009302A (en) * 1998-03-12 1999-12-28 Hewlett-Packard Company Automatic document feeder having an input tray paper stop and pick mechanism
JP3907852B2 (ja) * 1998-12-02 2007-04-18 コニカミノルタ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原稿搬送装置
KR100370206B1 (ko) 1999-12-30 2003-01-29 삼성전자 주식회사 인쇄기용 용지픽업장치의 마찰패드 조립체
US6618575B2 (en) * 2000-04-20 2003-09-09 Nisca Corporation Automatic document feeder with a conveying roller and an image reader
JP3574068B2 (ja) * 2000-11-28 2004-10-06 ニスカ株式会社 シート送り装置及び画像読取装置
JP4422929B2 (ja) * 2001-07-31 2010-03-03 キヤノン株式会社 給紙装置及びこれを備えた画像形成装置並びに画像読取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7099619B2 (en) 2006-08-29
US20040170456A1 (en) 2004-09-02
KR100453066B1 (ko) 2004-10-15
CN1509893A (zh) 2004-07-07
CN1291849C (zh) 2006-12-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53066B1 (ko) 자동 원고 피딩 장치
KR100413694B1 (ko) 인쇄기기의 급지장치
US6659450B2 (en) Sheet feeding apparatus and automatic document using the same
US7320462B2 (en) Automatic document transportation device
JP5434307B2 (ja) 画像形成装置
USRE38212E1 (en) Sheet feeding device
US7980549B2 (en) Document feeder and image forming device
US20050030599A1 (en) Paper transportation device
KR19980083323A (ko) 복합기의 자동 급지장치
GB2420339A (en) Automatic document transportation device
EP0555091B1 (en) Paper feeders
KR20150026597A (ko) 인쇄매체공급장치 및 이를 갖는 화상형성장치
US11936824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JP3871881B2 (ja) 自動原稿搬送装置の給紙機構
JP3967037B2 (ja) 自動原稿搬送装置、自動原稿処理システムおよび自動原稿搬送装置の運転操作方法
JPH0739889Y2 (ja) 自動原稿給送装置
KR100268134B1 (ko) 자동 급지장치
KR100414883B1 (ko) 복합기의 수동급지장치
US11509786B2 (en) Document feeder and image forming apparatus
JP3549348B2 (ja) 給紙トレイ
JP3548468B2 (ja) 画像形成装置
KR970003657B1 (ko) 프린터의 연속용지 자동 적재장치
KR100476961B1 (ko) 사무기기의 급지장치
KR100385982B1 (ko) 인쇄기기의 급지장치
KR950000351Y1 (ko) 급지카세트의 저판 이동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27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27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29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25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5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01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01

Year of fee payment: 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