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49779A - 곤로 상판의 장식테 - Google Patents

곤로 상판의 장식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49779A
KR20040049779A KR1020030061808A KR20030061808A KR20040049779A KR 20040049779 A KR20040049779 A KR 20040049779A KR 1020030061808 A KR1020030061808 A KR 1020030061808A KR 20030061808 A KR20030061808 A KR 20030061808A KR 20040049779 A KR20040049779 A KR 2004004977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dge
plate portion
cup
plate
decorative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618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48636B1 (ko
Inventor
미즈타니요시히로
아오키시게타카
Original Assignee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린나이가부시기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린나이가부시기가이샤 filed Critical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0400497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4977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486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48636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10Tops, e.g. hot plates; R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06Ornamental features, e.g. grate fronts or surrounds

Abstract

(과제) 장식테를 구성하는 각 잔(棧)간의 틈이나 위치어긋남 등에 의한 미관의 저하나 더러움의 부착을 방지할 수 있고, 또한 연결상태를 확실히 유지하며 조립이 용이한 빌트 인 식 곤로의 상부 구조를 제공한다.
(해결수단) 상판(2)은 면판(3)의 외주에 장식테(4)를 구비한다. 장식테(4)를 좌우 한쌍의 측잔{側棧(6)}과 전잔{前棧(7)}과 후잔{後棧(8)}에 의해 구성한다. 전잔(7)은 전부(前部) 수평판부(11)와, 전부 수평판부(11)의 외측 가장자리를 따라서 기립하는 전부 수직판부(12)와, 전부 수직판부(12)의 상측 가장자리에서 전방으로 연장되는 전부 가장자리면판부(13)를 구비한다. 측잔(6)은 측부 수평판부(14)와, 측부 수평판부(14)의 외측 가장자리를 따라서 형성된 박판상의 측부 수직판부(15)를 구비한다.

Description

곤로 상판의 장식테{DECORATIVE FRAME FOR TOP PLATE OF COOKING STOVE}
본 발명은 곤로 본체의 상부에 설치된 상판에 구비하는 장식테에 관한 것이다.
시스템 키친에 부착되는 빌트 인 식 곤로에 있어서는, 예를 들면, 하기 특허문헌 1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유리 등에 의해서 평탄하게 형성된 면판과, 상기 면판의 외주에 형성된 장식테로 이루어진 상판을 가지는 것이 알려져 있다.
이러한 종류의 곤로에 구비되는 장식테(32)는 도 1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서로 연결된 4개의 동일한 형상의 잔(33)으로 이루어지고, 면판(34) 외주에 액자형상으로 형성된다. 서로 인접하는 잔(33)은 보기 좋게 모서리부가 형성되도록, 45°의 경사각으로 잘려진 단부 가장자리에 의한 맞닿음부(35)를 형성하고 있다.
그러나, 면판(34)을 장식테(32)로 둘러싸는 것에 있어서는, 장식테(32)가 두드러져서 면판(34)의 면적이 시각적으로 좁게 느껴지는 경우가 있다. 또 상기 맞닿음부(35)에 있어서는, 잔(33)에 변형이 발생되었을 때나, 연결상태의 정밀도가 저하되어 있을 때는, 도 1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맞닿음부(35)에 틈이 발생하거나, 도 16에 나타낸 바와 같이 모서리부의 선단부(36)에 위치어긋남이 발생하여, 장식테(32)의 미관이 저하되는 불편이 있었다. 또한 맞닿음부(35)는 도 14에 나타낸 바와 같이, 평면에서 본 상태로서 노출되어 있고, 조리시에 끓인 국물 등이 장식테의 모서리부상에 넘쳐흘러 떨어진 경우에는, 맞닿음부(35)의 사이에 끓인 국물등의 더러움이 부착되기 쉽고, 더러움을 제거하는 일이 번거로운 불편이 있다.
[특허문헌 1]
일본국 특허공개2002-13739호 공보(도 3, 도 4)
본 발명은 이러한 불편을 해소하여, 장식테에 의한 상판의 미관저하를 방지할 수 있고, 또한 연결상태를 확실히 유지하며 조립이 용이한 장식테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의 곤로의 상판을 나타내는 설명적 평면도
도 2는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장식테의 평면도
도 3은 도 2의 Ⅲ-Ⅲ선 단면도
도 4는 도 2의 Ⅳ-Ⅳ선 단면도
도 5는 도 2의 Ⅴ-Ⅴ선 단면도
도 6은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장식테의 앞부분의 연결부를 나타내는 설명적 사시도
도 7은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장식테의 뒷부분의 연결부를 저면에서 본 상태를 나타내는 설명도
도 8은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장식테의 요부의 설명적 측면도
도 9는 다른 형태에 있어서의 장식테의 요부의 설명적 측면도
도 10은 다른 형태에 있어서의 장식테의 요부의 설명적 측면도
도 11은 다른 형태에 있어서의 장식테의 요부의 설명적 측면도
도 12는 다른 형태에 있어서의 장식테의 요부의 설명적 평면도
도 13은 다른 형태에 있어서의 장식테의 요부의 분해 설명도
도 14는 종래의 곤로의 상판을 나타내는 설명적 평면도
도 15는 종래의 장식테의 모서리부를 나타내는 설명도
도 16은 종래의 장식테의 모서리부를 나타내는 설명도
* 도면 중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곤로1a - 곤로 본체
1b - 상면 개구2 - 상판
3 - 면판4 - 장식테
6 - 측잔 7 - 전잔
8 - 제 1 후잔편9 - 제 2 후잔편
9c - 후부 가장자리면판부11 - 전부 수평판부
12 - 전부 수직판부13 - 전부 가장자리면판부
14 - 측부 수평판부15 - 측부 수직판부
16,9a - 후부 수평판부 17,9b - 후부 수직판부
18,19,22 - 연결부 20 - 걸어맞춤 볼록부
21 - 걸어맞춤 오목부24 - 전단부
24a - 판두께면25,28 - 오목부
26,29 - 돌조부30 - 볼록부
31 - 오목부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곤로 본체의 상면 개구를 덮는 면판의 외주에 형성하고 상기 면판과 함께 곤로의 상판을 구성하는 장식테에 있어서, 면판의 좌우측 가장자리를 따라서 연장되는 좌우 한쌍의 측잔과, 양 측잔의 전단부에 연결되고 면판의 전측(前側) 가장자리를 따라서 연장되는 전잔과, 양 측잔의 후단부에 연결되고 면판의 후측(後側) 가장자리를 따라서 연장되는 후잔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전잔은 면판의 전단부 하면을 따라서 대략 수평으로 연장되는 전부 수평판부와, 상기 전부 수평판부의 외측 가장자리에서 면판의 전단부 가장자리를 따라 대략 수직으로 기립하는 전부 수직판부와, 상기 전부 수직판부의 상부 가장자리에서 전방으로 연장되는 전부 가장자리면판부를 구비하고, 상기 측잔은 면판의 측단부 하면을 따라서 대략 수평으로 연장되는 측부 수평판부와, 상기 측부 수평판부의 외측 가장자리를 따라서 대략 수직으로 형성된 박판상의 측부 수직판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면판의 양측을 따라서 연장되는 측잔이 박판상의 측부 수직판부를 구비함으로써, 측잔이 두드러지지 않아 면판을 넓어 보이게 할 수 있다. 또 전잔과 측잔이 연결되었을 때 측잔의 전단부와 전잔의 상기 전부 가장자리면판부가 맞닿게 되어 장식테의 모서리부를 구성한다. 이 때, 전부 가장자리면판부의 양 단부에 측부 수직판부의 선단부가 맞닿음상태로 되어 있더라도, 그 맞닿음부분의 위치어긋남이나 틈이 비교적 두드러지지 않기 때문에, 상판의 외관을 양호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측부 수직판부의 전단부는 상기 전부 가장자리면판부의 이면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측부 수직판부의 전단부의 판두께면이 상기 전부 가장자리면판부의 이면측에 비노출상태로 맞닿게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측부 수직판부의 판두께면은 전부 가장자리면판부의 이면측에 비노출상태로 맞닿게 된다. 이에 의해 장식테의 모서리부에서의 전잔과 측잔의 맞닿음부분은, 만일 위치어긋남이나 틈이 발생하게 되더라도 전부 가장자리면판부에 의해 덮혀서 감추어지게 되어, 곤로 상부의 미관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조리시에 끓인 국물 등이 장식테의 모서리부에 넘쳐흘러 떨어져도 전잔과 측잔의 맞닿음부분이 전부 가장자리면판부의 이면측에 위치하기 때문에 끓인 국물 등의 더러움의 부착을 적게 할 수 있다.
상기 측잔의 전단부와 상기 전잔의 측단부는 서로 걸어맞춰지는 걸어맞춤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때, 상기 걸어맞춤부의 일태양으로서, 상기 걸어맞춤부는 상기 측잔의 전단부의 일부를 상하방향으로 잘라서 형성된 오목부와, 상기 전잔의 상기 전부 가장자리면판부의 하방으로 돌출되어서 상기 오목부에 걸어맞춰지는 돌조부에 의해 구성되어 있는 것을 들 수 있다. 또한, 상기 걸어맞춤부의 다른 태양으로서, 상기 걸어맞춤부는 상기 측잔의 전단부에서 후방으로 잘라서 형성된 오목부와, 상기 전잔의 상기 전부 가장자리면판부에서 후방으로 돌출되어서 상기 오목부에 걸어맞춰지는 돌조부에 의해 구성되어 있는 것을 들 수 있다. 상기 제 1 및 제 2의 태양에 의해서, 전잔의 전후방향의 위치어긋남이나, 전부 수평판부에 하중이 가해졌을 때의 전부 가장자리면판부의 요동방향의 위치어긋남을 방지할 수 있고, 전잔의 전부 가장자리면판부와 측잔의 전단부 사이에 틈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여 전잔과 측잔의 일체적인 연결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또, 상기 걸어맞춤부의 다른 태양으로서, 상기 걸어맞춤부는 상기 측잔의 전단부의 내면, 또는 상기 전잔의 상기 전부 가장자리면판부의 이면의 어느 일측으로 돌출되는 볼록부와, 타측에 형성되며 상기 볼록부가 걸어맞춰지는 오목부에 의해 구성되어 있는 것을 들 수 있다. 이에 의해서도, 전잔의 전후방향의 위치어긋남이나, 전부 수평판부에 하중이 가해졌을 때의 전부 가장자리면판부의 요동방향의 위치어긋남을 방지할 수 있고, 전잔과 측잔의 일체적인 연결상태를 양호하게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전잔과 상기 측잔은 상기 전부 수평판부와 상기 측부 수평판부에 있어서 서로 연결부를 통해 연결되고, 상기 연결부는 일측의 수평판부의 단부에 수평방향으로 돌출 형성된 걸어맞춤 볼록부가, 상기 볼록부에 대응해서 타측의 수평판부의 단부에 수평방향으로 잘라서 형성된 걸어맞춤 오목부에 압입됨으로써 양 수평판부와 동일한 평면상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서로 인접하는 수평판부가 걸어맞춤 오목부에 걸어맞춤 볼록부를 압입하여 코킹 연결됨으로써, 수평판부에 연결부가 형성되어도 상기 연결부를 양 수평판부와 동일평면상에 평탄하게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걸어맞춤 볼록부와 걸어맞춤 오목부의 연결에 의해 전잔과 측잔의 수평방향의 어긋남을 확실히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각 수평판부는 면판의 하면을 따라서 맞닿게 되므로, 면판에 의해 각 수평판부의 부상이 방지되고, 전잔과 측잔의 연결을 강고히 유지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측잔은 그 전단부와 후단부가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후잔은 상기 전잔과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후잔을 상기 전잔과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함으로써, 후잔과 측잔의 맞닿음부분에 있어서도 보기좋게 형성할 수 있고, 일체적인 연결상태를 양호하게 유지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후잔은 면판의 후단부 하면을 따라서 대략 수평으로 연장되는 후부(後部) 수평판부와, 상기 후부 수평판부의 외측 가장자리를 따라서 대략 수직으로 형성된 박판상의 후부 수직판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해서 상기 후잔에 있어서도, 상기 측잔과 마찬가지로 후잔을 두드러지지 않게 해서 면판을 넓어 보이게 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후잔을 상기 양 측잔의 후부 중간에 연결된 제 1 후잔편과, 상기 제 1 후잔편으로부터 소정의 간격을 두고 상기 양 측잔의 후단부에 연결된 제 2 후잔편에 의해 구성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제 1 후잔편을 면판의 후단부 하면을 따라서 대략 수평으로 연장되는 후부 수평판부와, 상기 후부 수평판부의 외측 가장자리에서 면판의 후단부 가장자리를 따라서 대략 수직으로 기립하는 후부 수직판부를 구비하는 구성으로 함으로써, 상기 측잔과 마찬가지로 제 1 후잔편을 두드러지지 않게 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제 2 후잔편은 대략 수직으로 형성된 박판상의 후부 수직판부를 구비하고 있어도 되고, 또 후방으로 연장되는 후부 가장자리면판부를 구비하고 있어도 된다.
(발명의 실시형태)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를 도면에 의거해서 설명한다. 도 1은 본 실시형태의 곤로의 상판을 나타내는 설명적 평면도, 도 2는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장식테의 평면도, 도 3은 도 2의 Ⅲ-Ⅲ선 단면도, 도 4는 도 2의 Ⅳ-Ⅳ선 단면도, 도 5는 도 2의 Ⅴ-Ⅴ선 단면도, 도 6은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장식테의 앞부분의 연결부를 나타내는 설명적 사시도, 도 7은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장식테의 뒷부분의 연결부를 저면에서 본 상태를 나타내는 설명도, 도 8은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장식테의 요부의 설명적 측면도, 도 9 내지 도 11은 다른 형태에 있어서의 장식테의 요부의 설명적 측면도, 도 12는 다른 형태에 있어서의 장식테의 요부의 설명적 평면도, 도 13은 다른 형태에 있어서의 장식테의 요부의 분해 설명도이다.
본 실시형태의 곤로(1)는 도 1 및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곤로 본체(1a)가 시스템 키친의 카운터 톱(K)에 부착되는 빌트 인 식으로서, 곤로 본체(1a)의 상면 개구(1b)에는, 카운터 톱(K)상에 노출되는 면판(3)과 장식테(4)로 이루어진 상판(2)이 설치되어 있다.
면판(3)은 예를 들면 유리 등에 의해서 평탄하게 형성되어 있고, 버너(도시생략)가 노출되는 버너용 개구(5)가 복수 형성되어 있다. 상기 면판(3)의 외주연을 따라서 그 전체 둘레에는, 상기 장식테(4)가 부착되어 있다.
장식테(4)는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좌우 한쌍의 측잔(6)과, 양 측잔(6)의 전단부에 연결된 전잔(7)을 구비하고 있다. 또, 양 측잔(6)의 후부의 중간부에는, 면판(3)의 후측 가장자리에 접해서 연장되는 제 1 후잔편(8)과, 상기 제 1 후잔편(8)으로부터 소정 간격을 두고 더욱 더 후방의 양 측잔(6)의 후단부에 위치하는 제 2 후잔편(9)이 연결되어 있다. 즉,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제 1 후잔편(8)과 제 2 후잔편(9)에 의해서 후잔이 구성되어 있다. 측잔(6), 전잔(7), 제 1 후잔편(8), 및 제 2 후잔편(9)은, 모두 알루미늄제의 인발재에 의해서 구성되어 있다.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면판(3)은 전잔(7), 양 측잔(6) 및 제 1 후잔편(8)에 의해 둘러싸이도록 해서 부착된다. 제 1 후잔편(8)과 제 2 후잔편(9)의 사이에는 버너의 연소시의 흡기 또는 그릴의 배기를 위한 개구(10)가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 1 후잔편(8)이 개구(10)를 덮는 후드(8a)를 구비하고 있다.
전잔(7)은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면판(3)의 전단부 하면을 따라서 수평으로 연장되는 전부 수평판부(11)와, 상기 전부 수평판부(11)의 외측 가장자리에서 면판(3)의 전단부 가장자리를 따라서 기립하는 전부 수직판부(12)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상기 전부 수직판부(12)의 상부 가장자리에서 전방으로 연장되어 카운터 톱(K)에 접하는 전부 가장자리면판부(13)가 일체로 연설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전부 가장자리면판부(13)는 전부 수직판부(12)의 상부 가장자리로부터 만곡되면서 하방으로 경사진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양 측잔(6)은 서로 좌우대칭으로 형성되고,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일측의 측잔(6)에 대해서는 면판(3)의 측단부 하면을 따라서 수평으로 연장되는 측부 수평판부(14)와, 상기 측부 수평판부(14)의 외측 가장자리를 따른 측부 수직판부(15)를 구비하고 있다. 이 측부 수직판부(15)는 박판형상이며, 상기 전잔(7)의 전부 가장자리면판부(13)의 폭(예를 들면, 본 실시형태에서는 20mm)에 대해서 극히 폭이 좁게(예를 들면, 본 실시형태에서는 1mm) 되어 있다. 또한, 측부 수직판부(15)의 하측부는 강도확보를 위해서 도 4중에 파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내측에 두께를 가지고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측부 수직판부(15)의 상단부(15a)는 전잔(7)의 전부 가장자리면판부(13)의 상단부(13a)(도 3)와 같은 높이로 형성되고, 측부 수직판부(15)의 하단부(15b)는 전부 가장자리면판부(13)의 하단부(13b)(도 3)와 동일한 평면상이 되는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또한, 타측의 측잔(6)에 대해서도 동일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제 1 후잔편(8)은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면판(3)의 후단부 하면을 따라서 수평으로 연장되는 후부 수평판부(16)와, 상기 후부 수평판부(16)의 외측 가장자리에서 면판(3)의 후측단부 가장자리를 따라서 기립하는 후부 수직판부(17)를 구비하고, 후부 수직판부(17)의 상부 가장자리로부터 개구(10)를 덮도록 후드(8a)가 연장되어 있다. 제 2 후잔편(9)은 전잔(7)과 대략 같은 구성이며, 후부 수평판부(9a)와, 후부 수직판부(9b)와, 후부 가장자리면판부(9c)를 구비하고, 측잔(6)의 후단부에 연결되어 있다.
전잔(7)과 측잔(6)은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전부 수평판부(11)와 측부 수평판부(14)의 연결부(18)에 의해 일체적으로 연결된다. 상기 연결부(18)는 일측의 수평판부(14){또는 (11)}에 형성된 걸어맞춤 볼록부(20)가 타측의 수평판부(11){또는 (14)}에 형성된 걸어맞춤 오목부(21)에 압입되어서 소위 코킹 연결됨으로써 형성되어 있다. 이에 의해서, 연결부(18)는 평탄하게 형성되며 양 수평판부(11,14)와 동일한 평면을 구성할 수 있고, 연결부(18)는 면판(3)의 하면에 밀착되기 때문에, 면판(3)에 대한 안정적인 조립상태를 얻을 수 있다.
또 도 7에 저면에서 본 상태를 나타낸 바와 같이, 측잔(6)과 제 1 후잔편(8)은 상기 연결부(18)와 동일하게 구성된 연결부(19)에 의해서 코킹 연결되어 있다. 또한, 측잔(6)과 제 2 후잔편(9)의 연결부(22)는 측잔(6)의 측부 수평판부(14)와 제 2 후잔편(9)의 후부 수평판부(9a)를 대략 L자형상의 연결부재(23)에 의해 연결함으로써 형성되어 있다. 전잔(7), 측잔(6), 및 제 1 후잔편(8)은 면판(3)의 주위에서 면판(3)과의 사이에 코킹재(C)(도 5 참조)가 충전되어 굳혀지기 때문에, 연결부(18,19)의 압입 코킹으로 되지만, 제 2 후잔편(9)은 면판(3)에 대한 코킹이 행하여지지 않기 때문에, 연결부(22)의 연결부재(23)에 의해 측잔(6)에 연결되는 것이바람직하다.
또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측잔(6)의 전단부(24)는 전잔(7)의 전부 가장자리면판부(13)에 대응해서 상부 가장자리가 경사지는 형상으로 되어 있다. 그리고, 측잔(6)의 전단부(24)의 판두께면(24a)은 전부 가장자리면판부(13)의 이면측에 맞닿게 되어 있다. 이에 의해서 측잔(6) 전단부(24)의 판두께면(24a)은 전부 가장자리면판부(13)에 의해 덮혀서 가려지기 때문에 평면에서 본 상태로는 노출되지 않고(도 1 또는 도 2 참조), 측잔(6) 전단부(24)의 판두께면(24a)과 전부 가장자리면판부(13)의 이면과의 맞닿음부분에 약간 위치어긋남이 발생되더라도, 장식테(4)의 미관을 손상시키는 일은 없다. 또한, 이 맞닿음부분은 전부 가장자리면판부(13)의 이면측에 위치하기 때문에 전부 가장자리면판부(13)상에 조리물의 끓인 국물 등이 넘쳐흘러 떨어져도, 맞닿음부분에 대한 더러움의 부착을 적게 할 수 있다.
또 상기 측잔(6)의 전단부(24)와 상기 전잔(7)의 측단부를 후술하는 걸어맞춤부에 의해서 걸어맞춰지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측잔(6)의 전단부(24)의 일부를 상하방향으로 잘라서 오목부(25)를 형성해 두고, 전부 가장자리면판부(13)의 후단부에서 하방으로 돌출되는 돌조부(26)(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전부 수직판부(12)의 일부가 돌조부(26)로서 형성된다)를 형성함으로써, 오목부(25)에 돌조부(26)를 걸어맞춰지게 해서 걸어맞춤부로 하여, 전잔(7)의 전후방향의 위치어긋남이나, 전부 수평판부(11)에 하중이 가해졌을 때의 전부 가장자리면판부(13)의 요동방향의 위치어긋남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돌조부(26)의 선단부에 돌조부(26)와 교차하는 방향의 돌기(27)를 형성하고, 오목부(25)도 이에 맞춘 형상으로 하여, 이 내측 가장자리에 돌기(27)를 걸어맞춰지도록 해도 된다. 이에 의해 오목부(25)에 대한 돌조부(26)의 걸어맞춤을 한층 더 확실히 할 수 있다.
또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측잔(6)의 전단부(24)의 하측 가장자리부를 잘라서 오목부(28)를 형성함과 아울러, 전부 가장자리면판부(13)의 전단부에 후방으로 돌출되는 돌조부(29)를 형성하고, 상기 돌조부(29)를 오목부(28)에 걸어맞춰지게 하여 걸어맞춤부로 함으로써, 전잔(7)의 상방에 대한 위치어긋남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전잔(7)의 전부 가장자리면판부(13)와 측잔(6)의 전단부(24) 사이에 틈이 발생하는 것을 확실히 방지할 수 있다.
또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측잔(6)의 전단부(24)의 판두께면(24a)이 전잔(7)의 전부 가장자리면판부(13)의 이면측에 맞닿게 되어, 측잔(6)의 전단부(24)의 판두께면(24a)이 노출되지 않는 구성의 것을 나타내었으나, 이 이외에,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측잔(6)의 전단부(24)를 전잔(7)의 전부 가장자리면판부(13)의 측부 가장자리에 맞닿게 해도 된다. 이 경우에는, 도 1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측잔(6)의 전단부(24)의 내면에 볼록부(30)를 형성함과 아울러, 전부 가장자리면판부(13)의 전단부를 후방으로 절곡해서 오목부(31)를 형성하고, 상기 볼록부(30)를 오목부(31)에 걸어맞춰지게 하여 걸어맞춤부로 함으로써, 전잔(7)의 상방에 대한 위치어긋남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제 2 후잔편(9)과 측잔(6)의 연결구조 및 걸림구조는, 전잔(7)과 측잔(6)의 상기한 연결구조 및 걸림구조를 적용할 수 있다.
또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후잔을 제 1 후잔편(8)과 제 2 후잔편(9)에 의해서 구성한 것을 들었지만 본 발명에 있어서의 후잔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개구(10)를 형성하지 않은 경우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전잔(7)과 동일한 형상의 단일 후잔을 형성하여 전후에서 대칭으로 구성해도 된다. 이 경우에도, 후잔과 측잔(6)의 연결구조 및 걸림구조는, 전잔(7)과 측잔(6)의 상기한 연결구조 및 걸림구조가 적용된다. 또 후드(8a)가 없는 제 1 후잔편(8) 상당의 후부 수평판부와 후부 수직판부에 의해 구성된 단일 후잔을 형성해도 된다.
또한, 면판(3)으로서는 알루미늄판과 같은 금속판을 적용할 수도 있다. 또 면판(3)을 예를 들면 암적색과 같은 어두운 상태로 했을 때, 측잔(6)도 알루마이트처리 등에 의해서 같은 색으로 하고, 전잔(7), 후잔을 알루마이트처리 등에 의해 밝은 상태로 하면, 좌우의 확대를 한층 더 인상적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관한 장식테에 의하면, 곤로 상판의 미관저하를 방지할 수 있고, 또한 연결상태를 확실히 유지하며 조립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Claims (12)

  1. 곤로 본체의 상면 개구를 덮는 면판의 외주에 형성하고 상기 면판과 함께 곤로의 상판을 구성하는 장식테에 있어서,
    면판의 좌우측 가장자리를 따라서 연장되는 좌우 한쌍의 측잔과, 양 측잔의 전단부에 연결되고 면판의 전측 가장자리를 따라서 연장되는 전잔과, 양 측잔의 후단부에 연결되고 면판의 후측 가장자리를 따라서 연장되는 후잔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전잔은 면판의 전단부 하면을 따라서 대략 수평으로 연장되는 전부 수평판부와, 상기 전부 수평판부의 외측 가장자리에서 면판의 전단부 가장자리를 따라 대략 수직으로 기립하는 전부 수직판부와, 상기 전부 수직판부의 상부 가장자리에서 전방으로 연장되는 전부 가장자리면판부를 구비하고,
    상기 측잔은 면판의 측단부 하면을 따라서 대략 수평으로 연장되는 측부 수평판부와, 상기 측부 수평판부의 외측 가장자리를 따라서 대략 수직으로 형성된 박판상의 측부 수직판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곤로 상판의 장식테.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측부 수직판부의 전단부는 상기 전부 가장자리면판부의 이면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측부 수직판부의 전단부의 판두께면이 상기 전부 가장자리면판부의 이면측에 비노출상태로 맞닿게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곤로 상판의 장식테.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측잔의 전단부와 상기 전잔의 측단부는 서로 걸어맞춰지는 걸어맞춤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곤로 상판의 장식테.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걸어맞춤부는 상기 측잔의 전단부의 일부를 상하방향으로 잘라서 형성된 오목부와, 상기 전잔의 상기 전부 가장자리면판부의 하방으로 돌출되어서 상기 오목부에 걸어맞춰지는 돌조부에 의해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곤로 상판의 장식테.
  5.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걸어맞춤부는 상기 측잔의 전단부에서 후방으로 잘라서 형성된 오목부와, 상기 전잔의 상기 전부 가장자리면판부에서 후방으로 돌출되어서 상기 오목부에 걸어맞춰지는 돌조부에 의해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곤로 상판의 장식테.
  6.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걸어맞춤부는 상기 측잔의 전단부의 내면, 또는 상기 전잔의 상기 전부 가장자리면판부의 이면의 어느 일측으로 돌출되는 볼록부와, 타측에 형성되며 상기 볼록부가 걸어맞춰지는 오목부에 의해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곤로 상판의 장식테.
  7.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6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잔과 상기 측잔은 상기 전부 수평판부와 상기 측부 수평판부에 있어서 서로 연결부를 통해 연결되고, 상기 연결부는 일측의 수평판부의 단부에 수평방향으로 돌출 형성된 걸어맞춤 볼록부가, 상기 볼록부에 대응해서 타측의 수평판부의 단부에 수평방향으로 잘라서 형성된 걸어맞춤 오목부에 압입됨으로써 양 수평판부와 동일한 평면상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곤로 상판의 장식테.
  8.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7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측잔은 그 전단부와 후단부가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후잔은 상기 전잔과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곤로 상판의 장식테.
  9.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7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후잔은 면판의 후단부 하면을 따라서 대략 수평으로 연장되는 후부 수평판부와, 상기 후부 수평판부의 외측 가장자리를 따라서 대략 수직으로 형성된 박판상의 후부 수직판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곤로 상판의 장식테.
  10.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7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후잔은 상기 양 측잔의 후부 중간에 연결된 제 1 후잔편과, 상기 제 1 후잔편으로부터 소정의 간격을 두고 상기 양 측잔의 후단부에 연결된 제 2 후잔편에 의해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 1 후잔편은 면판의 후단부 하면을 따라서 대략 수평으로 연장되는 후부 수평판부와, 상기 후부 수평판부의 외측 가장자리에서 면판의 후단부 가장자리를 따라서 대략 수직으로 기립하는 후부 수직판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곤로 상판의 장식테.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제 2 후잔편은 대략 수직으로 형성된 박판상의 후부 수직판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곤로 상판의 장식테.
  12. 청구항 10 또는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제 2 후잔편은 후방으로 연장되는 후부 가장자리면판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곤로 상판의 장식테.
KR1020030061808A 2002-12-06 2003-09-04 곤로 상판의 장식테 KR10054863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2355068A JP3762361B2 (ja) 2002-12-06 2002-12-06 コンロの天板の飾り枠
JPJP-P-2002-00355068 2002-12-0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49779A true KR20040049779A (ko) 2004-06-12
KR100548636B1 KR100548636B1 (ko) 2006-01-31

Family

ID=327558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61808A KR100548636B1 (ko) 2002-12-06 2003-09-04 곤로 상판의 장식테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JP (1) JP3762361B2 (ko)
KR (1) KR100548636B1 (ko)
CN (1) CN1312440C (ko)
HK (1) HK1068162A1 (ko)
TW (1) TWI227769B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26705B1 (ko) * 2006-12-29 2008-04-30 엘지전자 주식회사 빌트 인 조리기기 및 그의 설치 장치
KR100826707B1 (ko) * 2007-01-09 2008-04-30 엘지전자 주식회사 빌트 인 조리기기
US8875695B2 (en) 2007-01-08 2014-11-04 Lg Electronics Inc. Built-in cooking appliance
US8881717B2 (en) 2007-01-05 2014-11-11 Lg Electronics Inc. Built-in cooking applianc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TVA20040053A1 (it) * 2004-11-23 2005-02-23 V2 Components Srl Procedimento per la produzione di cornici strutturali ed estetiche per i piani di cottura ed apparecchi a fornelli per la cottura dei cibi e cornici ottenute con tale procedimento
JP4896906B2 (ja) * 2008-03-11 2012-03-14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加熱調理器
JP4841593B2 (ja) * 2008-06-27 2011-12-21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加熱調理器
ITTO20100011A1 (it) * 2010-01-12 2011-07-13 Indesit Co Spa Cassettone di un piano cottura di una tipologia ad incasso, metodo di realizzazione di detto cassettone e relativo piano cottura.
JP6137940B2 (ja) * 2013-05-20 2017-05-31 三菱電機株式会社 加熱調理器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65505U (ja) * 1983-10-14 1985-05-09 リンナイ株式会社 調理器
JPH067596Y2 (ja) * 1988-08-16 1994-02-23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加熱調理器
JP3300903B2 (ja) * 1992-03-27 2002-07-08 カール−ツァイス−スティフツング 調理用プレートのための保持枠装置
DE4434821C2 (de) * 1994-09-29 1997-12-11 Schott Glaswerke Anordnung zur Montage und Halterung eines Einbaukochfeldes
JP3445704B2 (ja) * 1996-09-13 2003-09-08 リンナイ株式会社 ドロップインコンロ
JP3842423B2 (ja) * 1998-02-24 2006-11-08 リンナイ株式会社 ドロップインコンロ
KR100669649B1 (ko) * 2000-03-28 2007-01-15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가스기기용 상판 프레임
JP3647725B2 (ja) * 2000-06-16 2005-05-18 リンナイ株式会社 加熱調理器
JP4327997B2 (ja) * 2000-06-28 2009-09-09 株式会社ハーマンプロ ガスコンロの天板とバーナとの間のシール構造
JP3842026B2 (ja) * 2000-09-12 2006-11-08 リンナイ株式会社 ビルトインコンロ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26705B1 (ko) * 2006-12-29 2008-04-30 엘지전자 주식회사 빌트 인 조리기기 및 그의 설치 장치
US8881717B2 (en) 2007-01-05 2014-11-11 Lg Electronics Inc. Built-in cooking appliance
US8875695B2 (en) 2007-01-08 2014-11-04 Lg Electronics Inc. Built-in cooking appliance
KR100826707B1 (ko) * 2007-01-09 2008-04-30 엘지전자 주식회사 빌트 인 조리기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538113A (zh) 2004-10-20
TW200409888A (en) 2004-06-16
JP2004184048A (ja) 2004-07-02
JP3762361B2 (ja) 2006-04-05
TWI227769B (en) 2005-02-11
KR100548636B1 (ko) 2006-01-31
HK1068162A1 (en) 2005-04-22
CN1312440C (zh) 2007-04-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48636B1 (ko) 곤로 상판의 장식테
JP4028481B2 (ja) コンロの天板の飾り枠
CN205524035U (zh) 汽车门板内饰条
KR100570437B1 (ko) 드롭 인 곤로
USD469654S1 (en) Cookie pan
EP0980956A3 (en) Foothold provided with reflectors
JP3272994B2 (ja) ドロップインコンロ
KR100348841B1 (ko) 시스템 키친의 조리 렌지용 상판
KR200196625Y1 (ko) 장식판이 부착된 방화문
JP3308834B2 (ja) 戸 枠
JP4034678B2 (ja) コンロの天板
JP2004036947A (ja) ガラストッププレート付きガステーブルこんろ
JP3763979B2 (ja) 曲り樋継手
CN219249882U (zh) 盖体组件和烹饪器具
JP2533467Y2 (ja) 金属板製の棚パネル
USD1000899S1 (en) Stove burner cover
JPH0848261A (ja) 自動車のフロントサイドフレームのサブフレーム取付部構造
CN212473181U (zh) Isofix固定件及安装结构
CN112459407A (zh) 踢脚线挂件
JPH089537Y2 (ja) 調理器等の扉装置
JP3915316B2 (ja) 建築板の接合構造
JP3415822B2 (ja) 車両ボディーを構成するパネル、モール及びモール取付構造
JPH0714539Y2 (ja) 外装材の接続構造
JPS6011272Y2 (ja) 建具
JP3686746B2 (ja) ドロップインコンロの装着部の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102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