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26707B1 - 빌트 인 조리기기 - Google Patents

빌트 인 조리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26707B1
KR100826707B1 KR1020070002569A KR20070002569A KR100826707B1 KR 100826707 B1 KR100826707 B1 KR 100826707B1 KR 1020070002569 A KR1020070002569 A KR 1020070002569A KR 20070002569 A KR20070002569 A KR 20070002569A KR 100826707 B1 KR100826707 B1 KR 1008267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p plate
cabinet
main body
supporter
buil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025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수철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025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26707B1/ko
Priority to AU2007342776A priority patent/AU2007342776B2/en
Priority to CN200780049483.2A priority patent/CN101600907B/zh
Priority to MX2009007361A priority patent/MX2009007361A/es
Priority to PCT/KR2007/005756 priority patent/WO2008084918A1/en
Priority to US12/448,779 priority patent/US8875695B2/en
Priority to EP07834062.7A priority patent/EP2102554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267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2670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10Tops, e.g. hot plates; Rings
    • F24C15/101Tops, e.g. hot plates; Rings provisions for circulation of ai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006Arrangements for circulation of cooling ai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08Foundations or supports plates; Legs or pillars; Casings; Whee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10Tops, e.g. hot plates; Rings
    • F24C15/108Mounting of hot plate on worktop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20Removing cooking fumes
    • F24C15/2007Removing cooking fumes from oven caviti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30Arrangements for mounting stoves or ranges in particular lo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2/00Use of energy recovery systems in air conditioning, ventilation or screening
    • F24F12/001Use of energy recovery systems in air conditioning, ventilation or screening with heat-exchange between supplied and exhausted air
    • F24F12/006Use of energy recovery systems in air conditioning, ventilation or screening with heat-exchange between supplied and exhausted air using an air-to-air heat exchanger

Abstract

본 발명은 빌트 인 타입 조리기기에 관한 것으로, 내부 열기가 원활히 배기되도록 탑 플레이트가 지지되는 서포터에 개구부가 형성되는 빌트 인 타입 조리기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빌트 인 조리기기는, 탑 플레이트; 상기 탑 플레이트의 하측에 위치하여, 내부에 가열원이 놓이는 본체; 상기 본체가 수용되는 캐비넷; 및 상기 탑 플레이트와 상기 캐비넷 사이에 위치하여, 일측은 상기 탑 플레이트의 하면 및 측면에 밀착되며, 타측은 상기 캐비넷과 체결되는 서포터가 포함되고, 상기 본체에는 내부 유체가 본체의 외부로 배기되는 제1개구부가 형성되고, 상기 서포터에는 상기 제1개구부를 통해 배기되는 유체가 조리기기의 외부로 배기되는 제2개구부가 형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빌트 인 조리기기에 의하면, 내부의 열기가 원활히 배기되며, 사용자의 심미감이 향상되는 이점이 있다.
빌트 인, 조리기기, 캐비넷, 탑 플레이트, 서포터, 제1개구부, 제2개구부

Description

빌트 인 조리기기 {Built-in cooking appliance}
도 1 은 본 발명에 의한 빌트 인 조리기기가 설치되는 상태를 보인 설치도.
도 2 는 본 발명에 의한 빌트 인 조리기기의 내부 구성을 나타낸 개략적인 분해사시도.
도 3 은 본 발명에 의한 빌트 인 조리기기의 부분 절결사시도.
도 4 는 도 3의 A-A'를 나타낸 측단면도.
도 5 는 본 발명에 의한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부분 측단면도.
도 6 은 본 발명에 의한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부분 측단면도.
도 7 은 본 발명에 의한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부분 평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캐비넷 200. 탑 플레이트
210. 탑 프레임 220. 조작부
300. 본체 310. 히터
320. 팬 400. 서포터
410. 하면지지부 420. 후면지지부
430. 체결부 510. 제1개구부
520. 제2개구부
본 발명은 빌트 인 타입 조리기기에 관한 것으로, 내부 열기가 원활히 배기되도록 탑 플레이트가 지지되는 서포터에 개구부가 형성되는 빌트 인 타입 조리기기에 관한 것이다.
빌트 인(Built-in) 타입의 제품은 주방 공간의 다양한 활용을 고려하여, 주방 가구와 어울리도록 배치되면서 설치되는 주방 가구에 수납되어 주방 공간을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게 되어 근래에 들어 빌트 인 타입의 제품이 인기를 끌고 있다.
따라서, 빌트 인 타입의 제품은 주방 공간에 미리 설치되어 있는 주방 가구인 장(이하에서는 '캐비넷'이라 칭한다)에 수납된 상태에서 사용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제품을 의미한다. 이러한 빌트 인 타입의 제품은 사용자가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고, 주방 공간을 아름답게 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조리기기는 음식물을 가열하여 익힘으로써 사람이 섭취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주방기기의 하나이다. 이러한 조리기기는 전기를 이용하여 음식물을 가열하기 위한 열을 발생시키는 전기가열방법과, 가스를 연소시킴으로써 음식물을 가열하기 위한 열을 발생시키는 가스가열방법으로 크게 나누어진다.
그리고, 하측에서 발생되는 복사열을 이용하여 음식물이 담긴 용기를 가열하는 방법은 화염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아 화재의 위험이 적고, 청소가 쉬워 점차 그 사용이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이처럼, 상면 외관을 형성하는 탑 플레이트를 매개로 하여 음식물로 열이 전달되도록 함으로써 음식물의 요리가 수행되는 조리기기는 근래에 많은 연구 개발이 진행되고 있으며, 그 관심만큼이나 홉(hob), 호브, 레인지(range), 핫 플레이트(hot plate) 등 다양한 명칭으로 불리고 있다.
이하에서 조리기기라고 명칭하는 경우 이와 같은 형태의 조리기기를 일컫는다.
종래 기술에 의한 조리기기는 내부에 장착되는 다수의 부품을 냉각시켜주기 위하여 내부의 공기가 외부로 유동 가능한 구조를 가지게 되며, 이러한 사유로 인해 상기 탑 플레이트가 캐비넷의 상면으로부터 일정 높이 이상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고, 탑 플레이트의 하측에는 다수의 부품이 장착되는 본체가 캐비넷의 내부로 수용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종래 기술에 의한 조리기기에서는 상기 탑 플레이트가 캐비넷의 상면으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되도록 구성되어 사용자가 조리기기의 외관에 대한 불만을 가지게 되며, 탑 플레이트의 주변 청소가 어려운 문제점을 발생시키게 되고, 조리기기의 인접부에서 사용되는 물이 공기의 유동을 위한 공간을 통해 본체의 내부 공간으로 유입되는 문제점을 야기하게 된다.
그리고, 본체의 내부 공간으로 유입되는 물에 의해 본체 내부에 장착되는 다수 부품들이 손상을 입는 문제점을 발생시키게 되고, 이러한 문제에 의해 본체 내부 공간 또는 캐비넷의 내부가 다습해지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나아가 본체 또는 캐비넷의 내부에 형성되는 습기에 의해 세균의 번식 또는 위생상의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더구나, 종래 기술에 의한 조리기기는 상기 캐비넷에 장착될 때, 설치되어 있는 캐비넷에 따라 조리기기의 크기가 제한되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즉, 장착되는 조리기기의 높낮이가 고정되어 사용자에 의한 선택의 여지가 없어지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제안된 것으로, 탑 플레이트가 지지되는 서포터에 더운 공기의 배기를 위한 개구부가 형성되는 빌트 인 조리기기가 제안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물이 본체의 내부로 유입되지 않는 빌트 인 조리기기가 제안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높낮이의 조절이 가능한 빌트 인 조리기기가 제안된다.
상기와 같이 제안되는 본 발명에 의한 빌트 인 조리기기는, 탑 플레이트; 상기 탑 플레이트의 하측에 위치하여, 내부에 가열원이 놓이는 본체; 상기 본체가 수용되는 캐비넷; 및 상기 탑 플레이트와 상기 캐비넷 사이에 위치하여, 일측은 상기 탑 플레이트의 하면 및 측면에 밀착되며, 타측은 상기 캐비넷과 체결되는 서포터가 포함되고, 상기 본체에는 내부 유체가 본체의 외부로 배기되는 제1개구부가 형성되고, 상기 서포터에는 상기 제1개구부를 통해 배기되는 유체가 조리기기의 외부로 배기되는 제2개구부가 형성된다.
상기 서포터에 의해 상기 탑 플레이트와 상기 캐비넷의 수평 방향 간격을 일정 간격으로 유지하게 된다.
상기 서포터는 높낮이의 조절이 가능하다.
상기 서포터는, 상기 탑 플레이트를 하측에서 지지하는 하면지지부; 상기 탑 플레이트의 후측에서 탑 플레이트를 지지하는 후면지지부; 및 상기 캐비넷에 체결되어 고정되는 체결부가 포함된다.
다른 측면에서 본 발명에 의한 빌트 인 조리기기는, 탑 플레이트; 상기 탑 플레이트의 하측에 위치하고, 내부에 가열원이 놓이는 본체; 상기 본체가 수용되도록 주방에 구비되는 캐비넷; 상기 캐비넷과 상기 탑 플레이트의 수평 방향 사이에 위치하여 일부는 캐비넷에 체결되고, 다른 일부는 상기 탑 플레이트의 적어도 두 면을 지지하는 서포터; 상기 본체에 형성되어, 본체 내부의 유체가 상기 캐비넷 방향으로 배기되는 통로를 제공하는 제1개구부; 상기 제1개구부를 통해 이동되는 유체가 외부 공간으로 배기되는 통로를 제공하는 제2배기구; 가 포함된다.
상기 제2개구부는 상기 서포터에 형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빌트 인 조리기기에 의하면, 배기가 원활해지며 안전성이 향상되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한 바와 같이 탑 플레이트에 의해 상면이 형성되면서, 탑 플레이트를 매개로 하여 음식물에 열이 전달되도록 함으로써 음식물의 요리가 수행 되는 조리기기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하며, 이와 같은 형태의 조리기기가 다양한 이름으로 불리더라도 그 이름과는 상관없이 본 발명의 대상이 된다고 할 것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빌트 인 조리기기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들어 살펴보기로 한다.
도 1에는 본 발명에 의한 빌트 인 조리기기의 설치 상태를 보인 설치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빌트 인 조리기기가 설치되는 상태를 살펴보면, 주방 공간에는 다른 주방 가구와 조화롭게 배치할 수 있는 캐비넷(100)이 구비되고, 이러한 캐비넷(100)은 주방 공간의 다른 가구들과 조화롭게 배치되어 주방 공간을 아름답게 장식할 수 있도록 설치된다.
상기 캐비넷(100)에는 내부 공간을 형성하면서 상면 일부가 절제되어 조리기기가 수용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수용부(120)가 형성되며, 조리기기는 상기 수용부(120)에 상방에서부터 수용부(120)에 적어도 일부가 수용되면서 장착된다. 이러한, 조리기기는 캐비넷(100)의 전방에서 절제되는 캐비넷(100)의 전면을 통해 오븐과 함께 수용되기도 한다.
상기 캐비넷(100)의 상방으로부터 캐비넷(100)에 적어도 일부가 수용되는 조리기기는 캐비넷(100)과 소정의 간격을 가지면서 수용되며, 이는 조리기기가 캐비넷(100)에 수용되면서 설치될 때 설치성을 향상시키기 위함이다.
또한, 상기 수용부(120)에는 테두리를 따라 일정부분 파이면서 조리기기의 상단부 상세하게는, 조리기기의 상단부에 제공되는 고온의 탑 플레이트(200)의 테두리 부분이 안착되는 안착부가 형성되기도 한다. 상기 안착부는 수용부(120)의 상 단부 테두리를 따라 단이 지는 형태로 제공되어 탑 플레이트(200)의 하면 테두리 부분을 지지하도록 형성된다.
즉, 상기 안착부는 상기 수용부(120)의 테두리 부분에서 외측으로 일정 부분 파이면서 형성되고, 파이는 깊이는 조리기기가 설치되는 방법에 따라 달라지게 된다. 상기 탑 플레이트(200)가 상기 캐비넷(100)의 상면보다 상방으로 돌출되도록 설치되면, 안착부는 형성되지 않거나 형성되더라도 파이는 깊이가 거의 없게 형성되며, 탑 플레이트(200)가 캐비넷(100)의 상면보다 하방으로 함몰되도록 설치되면, 안착부는 탑 플레이트(200)의 두께보다 더 깊이 파이면서 형성된다.
상기 안착부에 상기 탑 플레이트(200)가 안착되면, 안착부에 의해 탑 플레이트(200)의 전방과 양 측방 테두리 부분이 지지되고, 탑 플레이트(200)의 후방 테두리 부분은 지지되지 않도록 설치된다. 이는 탑 플레이트(200)의 후방 테두리 부분에는 조리기기의 내부 공간에서 발생하게 되는 더운 공기를 외부 공간으로 배기하기 위해 일정 정도의 간격을 형성하기 위함이다.
상기 수용부(120)의 하측은 막혀서 제공되며, 비록 막혀있다고 하더라도 상기 캐비넷(100)의 여타 틈새를 통하여 외부 공기가 수용부(120)의 내부로 유입될 수 있고, 유입된 공기는 조리기기의 내부 공간으로 유입되거나, 외부를 따라 유동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수용부(120)의 하측에는 조리기기의 내부로 물이 유동하게 될 때 물을 배수하기 위한 배수구가 형성되기도 하며, 이러한 배수구는 물이 유입되는 경로의 직근 하측에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수용부(120)의 바닥면이 경사지는 형 태로 제공되는 경우에는 경사지는 바닥면의 가장 낮은 높이를 가지는 부분에 형성될 수도 있다.
도 2에는 본 발명에 따른 빌트 인 조리기기의 내부 구성을 나타낸 개략적인 분해사시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3에는 본 발명에 따른 빌트 인 조리기기의 부분 절결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빌트 인 조리기기의 내부 구성을 살펴보도록 한다.
조리기기의 상단부에는 상면 외관을 형성하면서 음식물이 담긴 용기를 직/간접적으로 지지하는 탑 플레이트(200)가 구비되고, 상기 탑 플레이트(200)의 하측에 위치하여 내부 공간에 다수의 부품이 장착되는 본체(300)가 형성된다. 탑 플레이트(200)의 후측에는 적어도 하나의 면이 탑 플레이트(200)를 하측에서 지지하는 서포터(400)가 포함되어 구성된다.
상기 탑 플레이트(200)는 소정의 두께를 가지는 사각판재 형상으로 형성되며, 세라믹 소재의 열 강화유리로 형성되어 열에 강한 성질을 가지게 된다. 이는 상기 본체(300)의 내부 공간에 장착되어 음식물을 요리하기 위한 열원에서 발생하게 되는 열을 견딜 수 있게 하기 위함이다.
상기 탑 플레이트(200)는 상기 수용부(120)의 테두리 부분에 형성되는 상기 안착부에 안착되고, 상기 안착부는 상기 캐비넷(100)의 상면에서 하방으로 일정부분까지 함몰 형성되어 탑 플레이트(200)가 안착되면, 탑 플레이트(200)의 상면은 캐비넷(100)의 상면보다 상측에 놓이게 된다.
상기 탑 플레이트(200)의 테두리와 상기 캐비넷(100)의 상면 사이 간격에는 탑 프레임(210)이 장착된다. 상기 탑 프레임(210)에 의해 탑 플레이트(200)의 테두리와 캐비넷(100)의 상면 사이 간격부는 덮혀지게 된다.
상기 탑 프레임(210)은 상기 탑 플레이트(200)의 상면 테두리 부분을 따라 일부분이 위치하게 되고, 다른 일 부분은 상기 수용부(120)의 테두리를 따라 위치하게 된다. 이러한 탑 프레임(210)은 탑 플레이트(200)의 상면에 고정되며, 고정은 접착, 걸림 고정 등과 같은 다양한 방식에 의해 수행될 수 있는데, 바람직하게는 접착 방식이 좋다.
상기 탑 프레임(210)에 의해 상기 탑 플레이트(200)의 상면에 놓이는 음식물이 담긴 용기가 습기 등에 의해 움직이게 될 때 탑 플레이트(200)의 외부로 떨어지지 않게 된다. 그러므로, 사용자의 안전성이 개선되는 이점이 있다. 뿐만아니라, 용기를 탑 플레이트(200)에 놓을 때 탑 플레이트(200)의 안쪽에 용기가 제대로 놓여있는 지를 명확하게 인식할 수 있기 때문에, 조리기기의 가열 효율이 개선되고, 사용자의 편의성이 개선된다.
또한, 상기 탑 프레임(210)은 조리기기 내부의 열기가 배출되는 부분 다시 말해, 상기 탑 플레이트(200)의 후측과 상기 캐비넷(100)의 사이에는 설치되지 않거나, 설치되더라도 자체적으로 일정 정도의 개구부가 형성되어 공기 또는 물이 유동할 수 있게 된다. 이처럼, 탑 프레임(210)에 의해 유체가 유동할 수 있는 경로가 제공됨으로써 원활한 유체의 유동이 가능해지는 장점이 있다.
상기 탑 플레이트(200)의 상면 전단부에는 사용자가 음식물이 담기는 용기를 정확한 위치에 놓을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음식 용기가 놓이는 위치가 도시되어 있으며, 탑 플레이트(200)의 상면 전단부에는 사용자가 조리기기를 직접 조작할 수 있도록 하는 조작부(220)가 구비된다.
상기 조작부(220)는 소정의 면적을 가지도록 형성되며, 다수의 조작버튼이 터치스크린 방식을 작동되도록 구비된다. 상기 조작버튼을 사용자가 조작함으로써 조리기기를 사용하여 음식물을 요리하게 된다. 즉, 사용자가 조작버튼을 터치함으로써 음식물을 요리하기 위한 열을 제공하는 열원을 선택적으로 사용하여 음식물을 가열하는 온도 및 시간 등을 조절할 수 있게 되고, 열원의 전원을 온/오프 제어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조작부(220)는 다양한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버튼의 형상이 아닌 노브(knob)의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며, 스위치의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탑 플레이트(200)의 상면 전단부가 아닌 상기 본체(300)의 전면에 위치하게 되거나, 상기 캐비넷(100)에 위치하게 되거나, 동시에 설치되는 오븐의 전면에 위치하게 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탑 플레이트(200)의 상면은 상기 캐비넷(100)의 상면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면을 형성하도록 위치하게 되며, 이처럼, 탑 플레이트(200)의 상면과 캐비넷(100)의 상면이 실질적으로 동일한 면을 이루게 되면, 사용자가 조리기기의 외관에 대하여 가지는 불만을 해소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본체(300)의 내부 공간에는 음식물을 요리하기 위한 열원을 제공하는 적어도 하나의 히터(310)와, 본체(300) 내부 공간의 열이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는 팬(320)이 장착된다. 상기 히터(310)는 직접 가열방식 또는 간접 가열방식 등 어떠한 형태의 히터(310)도 가능하며, 두 형태의 히터(310)가 동시에 장착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히터(310)의 형태 중 직접 가열방식은 히터(310)에서 발산되는 복사열이 상기 탑 플레이트(200)를 투과하여 음식물이 담긴 용기를 가열함으로써 음식물을 요리하게 되며, 간접 가열방식은 히터(310)에서 발산되는 유도열에 의해 음식물이 담긴 용기를 가열함으로써 용기에서 전달되는 전도열에 의해 음식물을 요리하게 된다.
상기 팬(320)은 가로 방향으로 긴 회전 축을 가지면서 축 방향으로 공기를 흡입하여 축과 교차되는 방향으로 공기를 토출하는 횡류팬이 사용되며, 이러한 횡류팬 대신 축류팬이 사용되는 것도 가능하다. 본 실시예에서는 횡류팬이 사용되는 것을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팬(320)은 회전 운동에 의해 상기 히터(310)에서 발산되는 열기를 상기 본체(300)의 외부 공간으로 배기시키는 역할을 수행하게 되며, 이러한 팬(320)의 회전 운동에 의해 본체(300)의 내부 공간은 일정 온도 이상 상승하지 않게 된다. 또한, 일정 온도 이상 상승하지 않게 됨에 따라 다음에 설명할 조작부(220)에 열 손상이 방지되며, 본체(300)의 외부로 열이 전도되어 사용자가 조리기기를 사용하게 될 때 인체에 상해를 입게 되는 것을 방지하여 안전성을 확보하게 된다.
상기 팬(320)은 상기 본체(300)의 내부 공간 전단부에 장착되어 회전 운동함으로써 외부의 공기를 축 방향에서 흡입하여 후방으로 유동시키게 된다. 이처럼, 후방으로 유동하게 되는 더운 공기는 본체(300)의 외부 공간으로 배기된다.
한편, 상기 탑 플레이트(200)의 상측에 놓이는 음식물이 담긴 용기는 상기 히터(310)에서 발생하게 되는 복사열 및 유도열 등에 의해 가열되어 음식물이 요리된다. 따라서, 탑 플레이트(200)는 음식물이 담긴 용기가 가열되는 면적만큼 상기 본체(300)의 내부 공간에서 발생하게 되는 복사열 및 유도열이 투과될 수 있도록 형성되며, 그 외의 부분에는 복사열 및 유도열이 투과되지 못하도록 하여 사용자가 조리기기를 사용하게 될 때, 안전성을 확보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탑 플레이트(200)의 상면에는 사용자가 음식물이 담긴 용기를 정확한 위치에 놓을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음식 용기가 놓이는 위치가 도시되기도 하며, 탑 플레이트(200)의 상면 전단부에는 사용자가 조리기기를 직접 조작할 수 있도록 하는 조작부(220)가 구비된다.
상기 본체(300)는 상기 탑 플레이트(200)의 하측에 위치하여 소정의 내부 공간을 형성하게 되며, 본체(300)는 소정의 두께를 가지면서 상면이 개구되는 사각상자 형상으로 형성된다. 이러한 본체(300)에 의해 조리기기의 하부 외관이 형성된다. 즉, 조리기기는 탑 플레이트(200)에 의해 상면이 정의되고, 본체(300)에 의해 측면과 하면이 정의된다.
또한, 사용자가 위치하게 되는 방향을 전방이라 가정하면, 상기 본체(300)의 상측에 위치하게 되는 상기 탑 플레이트(200)의 후단부는 상기 수용부(120)의 후면보다 전방에 위치하게 된다. 즉, 탑 플레이트(200)의 전후 방향 길이가 수용부(120)의 전후 방향 길이보다 짧게 형성되어 탑 플레이트(200)의 후면과 수용 부(120)의 후단부 사이에는 소정의 공간을 형성하게 된다.
한편, 조리기기의 전방과 양측방의 세 면은 상기 캐비넷(100)의 상기 수용부(120)에 올려져 있는 상태에서 지지된다. 그리고, 조리기기의 후방은 별도의 서포터(400)에 의해 지지된다.
도 4에는 본 발명에 의한 빌트 인 조리기기 후단부의 부분 측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4를 참조하여 조리기기의 후단부를 살펴보기로 한다.
상기 탑 플레이트(200)의 후단부와 상기 캐비넷(100)의 사이는 일정 간격을 가지게 되며, 이러한 간격에는 상기 서포터(400)가 위치하게 된다. 이러한 서포터(400)는 상기 탑 플레이트(200)의 하면 후단부와 후면을 지지하도록 형성되고, 탑 플레이트(200)의 하면과 후면은 서포터(400)와 접착 방식으로 고정될 수 있고, 서포터(400)의 자체 탄성에 의해 지지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캐비넷(100)과 서포터(400)는 나사가 체결되는 방식으로 고정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본체(300)는 본체(300)를 이루는 프레임의 상단부가 절곡되어 탑 플레이트(200)의 연장 방향으로 연장되는 형태로 제공되거나, 반대 방향으로 연장되는 형태로 제공된다. 이러한 절곡된 부위가 서포터(400)에 접하는 방식으로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서포터(400)는 상기 탑 플레이트(200)의 후면과, 상기 수용부(120)의 후면 사이 간격에 구비되며, 탑 플레이트(200)의 하면 후단부와 후면을 지지하도록 형성된다.
상기 서포터(400)는 소정의 두께를 가지는 사각판재 형상으로 형성되면서 다 수 벤딩되어 탑 플레이트(200)를 지지하게 된다. 서포터(400)는 일단부가 탑 플레이트(200)의 하측에 위치하여 탑 플레이트(200)를 하방에서 지지하게 되고, 다른 단부는 상기 캐비넷(100)에 체결되어 고정된다.
상기 서포터(400)는 상기 탑 플레이트(200)의 하면 후단부를 지지하는 하면지지부(410)와, 탑 플레이트(200)의 후면을 지지하는 후면지지부(420), 상기 후면지지부(420)의 상단부에서 후방으로 벤딩되어 일정 부분 후방으로 연장된 다음 다시 하방으로 벤딩되는 체결부(4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하면지지부(410)는 소정의 두께를 가지는 사각판재 형상의 가로 방향으로 긴 직사각형의 형상으로 형성된다. 이러한 하면지지부(410)가 상기 탑 플레이트(200)의 하면 후단부에 위치하게 되며, 하면지지부(410)의 상면과 탑 플레이트(200)의 하면 사이에 상기 본체(300)의 후면 상단부를 따라 후방으로 벤딩되는 플랜지(flange) 부분이 위치하게 되어, 하면지지부(410)는 탑 플레이트(200)의 하면 후단부를 지지하게 된다.
또한, 상기 본체(300)의 플랜지는 상기 탑 플레이트(200)의 하면 후단부와 상기 하면지지부(410)의 사이에 위치하게 되는 것도 가능하며, 탑 플레이트(200)의 하면 후단부에 하면지지부(410)의 상면이 접하면서 탑 플레이트(200)를 하방에서 지지하고, 그 하측에 본체(300)의 플랜지가 위치하게 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처럼, 상기 하면지지부(410)의 상면이 상기 탑 플레이트(200)의 하면 후단부 하측에 위치하여 탑 플레이트(200)의 하면 후단부를 지지하게 되면, 탑 플레이트(200)가 하방으로 이탈되는 것이 방지된다.
상기 하면지지부(410)의 후단부에는 상방으로 벤딩되어 상기 탑 플레이트(200)의 후면을 지지하게 되는 후면지지부(420)가 형성된다. 상기 후면지지부(420)는 소정의 두께를 가지면서 가로 반향으로 긴 세워진 직사각형의 형상으로 형성되며, 이러한 후면지지부(420)의 전면에 탑 플레이트(200)의 후면이 접하면서 탑 플레이트(200)가 후방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이때, 상기 후면지지부(420)의 전면과 상기 탑 플레이트(200)의 후면이 접하면서 지지하는 것도 가능하며, 후면지지부(420)의 전면과 탑 플레이트(200)의 후면이 접하지 않고도 지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후면지지부(420)의 상단부에서 후방으로 일정 정도 연장된 다음 하방으로 벤딩되도록 형성되는 상기 체결부(430)는 후면이 상기 캐비넷(100)에 체결되어 고정된다. 후면지지부(420)의 상단부에서 후방으로 일정 정도 연장되는 체결부(430)에 의해 상기 탑 플레이트(200)의 후면과 캐비넷(100)의 사이 간격이 일정하게 유지된다.
상기 체결부(430)의 후면과 상기 캐비넷(100)의 전면은 체결되어 고정되며, 이러한 고정은 스크류 등의 체결부재에 의한 체결 고정되는 것도 가능하며, 걸림부재에 의한 걸림 고정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접착제에 의한 접착 고정되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체결부재의 하나인 스크류에 의해 체결되는 것을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체결부(430)의 후면이 상기 캐비넷(100)에 스크류에 의해 체결되면서 고정되면, 상기 서포터(400)에 의해 상기 탑 플레이트(200)가 지지되어, 탑 플레이 트(200)가 하측 및 후측으로 이탈되는 것이 방지된다.
상기 하면지지부(410)와 후면지지부(420)를 측방에서 보면, 대략 "┛"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탑 플레이트(200)의 후단부 하면과 후면을 지지하게 되고, 상기 체결부(430)는 측방에서 보면, 대략 "┓" 형상으로 형성되어 탑 플레이트(200)의 후면과 상기 캐비넷(100) 사이 간격을 일정 간격으로 유지하게 되며, 후면이 캐비넷(100)과 체결되어 고정된다.
상기 체결부(430)에는 상기 서포터(400)의 하측에 위치하게 되는 더운 공기가 상기 캐비넷(100)의 외부 공간으로 배기하기 위하여 제2개구부(520)가 형성된다. 상기 제2개구부(520)는 공기가 유동할 수 있는 홀 형상으로 형성되며, 이러한 홀은 어떠한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제2개구부(520)는 상기 체결부(430)의 가로면 또는 세로면 어느 면에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며, 가로면에 형성되는 경우에는 상기 서포터(400)의 하측에 위치하게 되는 더운 공기가 상방으로 유동하여 상기 캐비넷(100)의 외부 공간으로 배기되며, 세로면에 형성되는 경우에는 조리기기의 후방으로 배기되어 캐비넷(100)의 외부 공간으로 배기된다.
상기 서포터(400)는 소정 크기로 형성되어 상기 탑 플레이트(200)의 후단부와 상기 캐비넷(100) 사이에 소정 간격을 두고 다수 장착되어 탑 플레이트(200)를 지지하게 되거나, 전체적으로 길게 하나로 형성되어 탑 플레이트를 지지하게 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서포터(400)가 상기 캐비넷(100)에 체결 고정되면서, 상기 탑 플레이 트(200)를 지지하게 되면, 탑 플레이트(200)가 캐비넷(100)에 형성되는 상기 수용부(120)의 하방으로 이탈되는 것이 방지되며, 후방으로 이탈되는 것도 동시에 방지하게 된다.
상기 서포터(400)는 상기 탑 플레이트(200)의 이탈이 방지될 수 있도록 지지할 수 있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어떠한 부재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며, 따라서, 탑 플레이트(200)를 지지할 수 있는 어떠한 부재로 사용되는 것도 본 발명의 범주에 속하게 될 것이다.
한편, 상기 본체(300)의 후면에는 본체(300) 내부 공간의 더운 공기가 본체(300)의 외부 공간으로 배기되는 제1개구부(510)가 형성된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제1개구부(510)가 가로 방향으로 긴 직사각형의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예를 들어 설명하고자 한다. 이러한 제1개구부(510)는 가로 방향으로 긴 직사각형의 형상이 아닌 다수의 홀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며, 세로 방향으로 긴 형상의 홀이 다수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제1개구부(510)는 조리기기의 사양 및 발열량에 따라 그 크기가 달라질 수 있으며, 상기 히터(310)의 발열량에 따라 그 크기가 달라질 수 있다. 즉, 조리기기의 사양 및 발열량이 크게 되면, 상기 본체(300) 내부 공간의 온도가 고온으로 상승하게 되어 많은 배기가 요구됨으로 상기 제1개구부(510)는 다소 큰 크기를 가지도록 형성되어야 한다.
또한, 조리기기의 사양이 크더라도 발열량이 작으면 상기 본체(300) 내부 공간의 온도가 급작스럽게 상승하지 않게 되어 많은 배기가 요구되지 않게 되어 상기 제1개구부(510)는 다소 작은 크기를 가지더라도 조리기기의 기능에 영향을 미치지는 않게 된다.
상기 제1개구부(510)를 통해 배기되는 상기 본체(300) 내부의 더운 공기는 본체(300)와 상기 캐비넷(100)의 사이 공간으로 유동하게 되고, 본체(300)와 캐비넷(100)의 사이 공간으로 유동하게 되는 더운 공기는 상방으로 유동하게 되어 상기 서포터(400)로 향하게 된다.
상기 제1개구부(510)를 통해 배기되는 상기 본체(300) 내부의 더운 공기가 다른 공간으로 향하지 않고 상기 서포터(400)로 향하도록 하기 위하여 본체(300)의 후면에 별도의 배기가이드가 더 형성되기도 한다. 상기 배기가이드는 다수의 제1개구부(510)별로 각각 제공되는 것도 가능하며, 하나의 큰 배기가이드가 본체(300)의 하측에서 서포터(400)를 향하여 연장되는 형태로 제공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하에서는 도 5를 참조하여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조리기기의 내부 공간에서 발생하게 되는 공기의 유동을 살펴보기로 한다. 도 5에는 본 발명에 의한 빌트 인 조리기기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부분 측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사용자가 음식물을 요리하기 위하여 조리기기를 작동시키게 되면, 상기 히터(310)에서 음식물을 요리하기 위한 열이 발산된다. 히터(310)에서 발산되는 열에 의해 상기 본체(300)의 내부 공간 온도는 고온으로 상승하게 된다. 이처럼 상승하게 되는 본체(300)의 내부 공간 온도를 낮추기 위하여 본체(300)의 내부 공간 전단부에 장착되는 팬(320)이 동작하게 된다.
상기 팬(320)이 동작하게 되면, 상기 본체(300)의 내부 공간으로 외부의 공 기가 유입된다. 외부의 공기는 상기 캐비넷(100)과 본체(300)의 사이 공간으로 유동하여, 본체(300)의 내부 공간으로 유입하게 되며, 이러한 외부 공기의 유입을 위해 본체(300)에 유입구가 형성된다. 상기 유입구는 본체(300)의 하면에 형성되는 것을 예를 들고자 하나 본체(300)의 어디에 형성되어도 무방하다.
상기 팬(320)이 동작하게 되면, 상기 유입구를 통해 외부의 공기가 유입되어 상기 본체(300)의 후방으로 유동하게 되며, 후방으로 유동하게 되는 공기는 상기 히터(310)의 하측 공간으로 유동하여 본체(300)의 후면으로 유동하게 된다.
상기 본체(300)의 후면으로 유동하게 되는 더운 공기는 본체(300)의 후면에 형성되는 상기 제1개구부(510)를 통해 본체(300)의 외부 공간으로 배기된다. 본체(300)의 외부 공간으로 배기되는 더운 공기는 상기 캐비넷(100)과 본체(300)의 사이 공간에 위치하게 되며, 이는 본체(300)의 후면에 부가적으로 형성되는 배기가이드에 의해 안내되거나, 대류 형상에 의해 자체적으로 상방 유동하게 된다.
상기 제1개구부(510)를 통해 배기된 더운 공기는 상방으로 유동하게 되면서, 상기 서포터(400)의 하측으로 유동하며, 서포터(400)의 하측에 위치하게 되는 더운 공기는 서포터(400)의 상기 체결부(430)에 형성되는 상기 제2개구부(520)를 통해 상기 캐비넷(100)의 외부 공간으로 배기된다.
상기 제2개구부(520)는 상기 서포터(400)에 형성되기도 하며, 서포터(400)가 소정의 크기로 형성되고, 이러한 서포터(400)가 일정 간격을 가지면서 장착되어, 서포터(400)와 서포터(400) 사이 공간이 제2개구부(520)로서의 기능을 수행하는 것도 가능하게 된다.
상기 제2개구부(520)는 상기 서포터(400)의 상기 체결부(430)에 형성되며, 체결부(430)의 어느 면이나 가능하나 바람직하게는 체결부(430)의 세로 방향 면에 형성된다. 이는 상기 본체(300) 내부 공간에서 발생하게 되는 더운 공기를 상기 탑 플레이트(200)와 반대 방향으로 배기하게 됨으로써 사용자가 배기되는 더운 공기에 의해 감성불만을 가지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며, 사용자가 볼 때 제2개구부(520)가 노출되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한편, 상기 탑 플레이트(200)의 후단부와 상기 캐비넷(100)의 상면 사이를 커버하는 상기 탑 프레임(210)이 상기 서포터(400)의 상측에 위치하게 되면, 탑 프레임(210)은 상기 제2개구부(520)를 통해 배기되는 상기 본체(300) 내부 공간의 더운 공기가 외부 공간으로 배기되도록 소정의 배기구가 형성된다.
상기 탑 프레임(210)에 형성되는 상기 배기구는 일정 형상으로 절제되거나, 상기 제2개구부(520)와 대응되는 위치에 대응되는 크기로 형성되기도 한다. 상기 서포터(400)는 상하 방향으로 유동하는 것이 가능하게 형성된다. 이는 서포터(400)의 상기 체결부(430) 세로면에 세로 방향으로 긴 타원 형상의 체결홀에 체결부재가 체결됨으로써 상하 방향으로 유동하게 되는 것이 가능하게 되며, 다른 어떤 걸림부재 등이 상하 방향으로 다수 층으로 형성되어 상하 방향으로 유동되는 것도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서포터(400)가 상하 방향으로 유동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상기 탑 플레이트(200)의 수평을 일정 범위 내에서 상황에 맞도록 조절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며, 조리기기의 설치 상황에 따라 서포터(400)의 높낮이를 조절하여 조 리기기의 설치를 가장 적절하게 할 수 있게 되는 장점이 있다.
이하에서는 조리기기의 인접부에 있는 유체와 본 발명과의 관계에 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먼저, 조리기기는 주방의 싱크대와 인접되어 있는 상기 캐비넷(100)에 장착됨에 따라 물의 사용이 잦은 장소에 설치된다. 물의 사용이 잦은 장소에 설치되더라도 상기 본체(300)의 내부 공간으로 물이 유입되지 않아야 한다. 이를 위해 상기 탑 플레이트(200)의 전방 및 양 측방에서는, 탑 플레이트(200)의 하면과 상기 수용부(120)에 탑 플레이트(200)가 안착되는 상기 안착부의 접촉면이 소정의 실링부재에 의해 실링되는 방식으로 서로 접하게 된다.
그러므로, 외부 공간의 유체가 상기 본체(300)의 내부 공간으로 유입되지 않게 되고, 외부 공간의 유체로 인한 문제는 상기 탑 플레이트(200)의 후방 테두리 부분에 의해 발생하게 된다.
상세하게는 상기 캐비넷(100)의 상면 상측에 위치하게 되는 상기 탑 프레임(210)의 하단부와 캐비넷(100)의 상면 사이 공간에 의해 발생하게 된다.
상기 탑 프레임(210)에 형성되는 배기구 즉, 상기 본체(300)의 내부 공간에서 발생하게 되는 더운 공기가 상기 제2개구부(520)를 통해 배기된 다음 외부 공간으로 배기되기 위하여 형성되는 탑 프레임(210)의 배기구는 상기 캐비넷(100)의 상면보다 일정 수준 높은 위치에 제공됨에 따라 상기 배기구를 통해 본체(300)의 내부 공간으로 유입되는 물은 원천적으로 차단된다.
이러한 여건에서도 상기 배기부를 통해 과도한 물이 유입되거나, 상기 탑 프 레임(210)이 물의 유로 상에 위치하지 않게 되는 경우 물은 상기 본체(300)와 상기 캐비넷(100)의 사이 공간에 위치하게 되는 상기 제2개구부(520)를 통해 하측으로 유동하게 된다. 하측으로 유동하게 되는 물은 본체(300)와 캐비넷(100)의 사이 공간으로 낙하하게 된다.
상기 본체(300)와 상기 캐비넷(100)의 사이 공간으로 낙하되는 물은 상기 수용부(120)의 하측에 위치하게 되는 캐비넷(100)의 내부 공간에 형성되는 배수구를 통해 캐비넷(100)의 외부 공간으로 배출된다.
따라서, 상기 제2개구부(520)를 통해 하방으로 낙하하게 되는 물이 상기 본체(300)의 내부 공간으로 유입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 제2개구부(520)는 상기 배기가이드의 상단부에 비하여 일정 수준 후방에 놓이는 것이 바람직하다.
나아가, 상기 서포터(400)에 형성되는 상기 제2개구부(520)를 통하여 하방으로 낙하하는 물이 상기 배수구를 향하여 원활하게 유동하도록 하기 위해 제2개구부(520)의 전단부에는 하방으로 연장되는 소정 길이의 스커트를 형성할 수도 있다. 이 경우에는 상기 스커트를 따라서 물이 안내되어 낙하하기 때문에 물이 상기 본체(300)의 내부 공간으로 유입되는 가능성을 원천적으로 제거할 수 있게 된다.
도 5 내지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러한 도면을 참조하여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사상에 포함되는 다른 실시예들을 살펴보기로 한다.
먼저, 상기 수용부(120)에는 연속적인 양상으로 상기 캐비넷(100) 자체가 단이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 설명되어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고, 별도의 물품이 캐 비넷(100)에 결합되어 있을 수도 있고, 서로 이격되는 다수의 설치기구가 캐비넷(100)에 일정한 간격으로 고정되어 있을 수도 있다.
상기 배수구는 상기 수용부(120)의 하면이 막혀있는 경우 수용부(120)의 하면에 고인 물이 집수되어 외부 공간으로 유출되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다른 경우로서, 상기 수용부(120)의 하면이 막혀있지 않고, 열려있는 경우 수용부(120)의 하측 소정의 위치에 집수장치를 제공하여 조리기기의 상측에서 하측으로 낙하하는 물을 집수하여 외부 공간으로 배출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탑 프레임(210)은 상기 탑 플레이트(200)의 상면 테두리를 따라 놓이는 것으로 설명되어 있으나, 이와 같은 설치 상태로 제한되지 않고, 탑 플레이트(200)의 전방 테두리 부분과, 양 측방 테두리 부분에 설치되는 것도 가능하며, 각각의 테두리에 각각의 탑 프레임(210)이 놓이면서 설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나아가, 상기 탑 플레이트(200)의 후방 테두리 부분에 위치하게 되는 상기 탑 프레임(210)은 상기 본체(300) 내부 공간의 고온의 공기가 토출되도록 배기구가 형성되도록 설명되어 있으나, 공기의 유동과 관계없이 탑 플레이트(200)와 상기 캐비넷(100) 사이의 간격을 덮는 장식적인 기능만을 가지는 어떠한 형태로 제공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러한 경우에는 상기 탑 프레임(210)이 공기의 유동에 방해를 주지 않는 범위에서 설치 가능하며, 공기가 별도의 유로를 통해 형성되는 경우에도 설치 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실시예에서는 상기 서포터(400)가 상기 탑 플레이트(200)의 후 반부에 설치되는 것으로 설명하고 있으나, 서포터(400)가 상기 본체(300)의 사면에 모두 설치되거나, 소정 크기의 서포터(400)가 일정 간격을 유지하면서, 탑 플레이트(200)의 테두리를 따라 설치되어 지는 것도 가능하다.
이러한 경우에는 조리기기의 설치과정이 복잡해지기 때문에 바람직하지는 않지만, 상기 캐비넷(100)에 별도로 상기 탑 플레이트(200)가 지지되는 부분을 형성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캐비넷(100)의 제작이 편리해지고, 작업이 편리해지는 장점을 얻을 수는 있다.
더욱이, 상기한 실시예에서는 상기 서포터(400)는 상기 본체(300)와 별개의 물품으로 제공되는 것으로 설명되어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예를 들어, 본체(300)의 상단부에서 절곡되는 플랜지 부분을 하방으로 절곡하여 본체(300)의 상단부 상면이 상기 탑 플레이트(200)의 하면과 접하고, 하방으로 절곡된 부분이 상기 캐비넷(100)과 체결되어 고정되도록 함으로써 본체(300)가 서포터(400)의 기능을 동시에 수행하는 것도 가능하다 할 것이다.
상기되는 본 발명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사상이 구현될 수 있는 하나의 일 실시 예에 지나지 않고,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다른 실시예를 구성 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에 의하여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 발명의 사상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또한, 어느 한 실시예에 포함되어 있는 구성은 다른 실시예에 포함되는 것에 의해서 또 다른 실시예를 제안할 수 있으나, 이 또한 본 발명의 사상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빌트 인 조리기기에 의하면, 조리기기의 내부에서 발생하게 되는 더운 공기가 원활하게 배기되며, 상기 서포터의 높낮이 조절로 인해 상기 탑 플레이트의 높낮이 조절이 가능해지는 구조를 형성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탑 플레이트가 상기 캐비넷의 상방으로 눈에 띄게 돌출되지 않게 되어 사용자의 미감이 향상되는 장점을 가지게 된다.
또한, 조리기기의 내부 공간에서 공기의 원활한 배기가 가능하게 됨으로써 조리기기의 냉각이 양호해지는 장점이 있으며, 이러한 조리기기의 원활한 냉각에 의해 사용자의 안전성이 확보되는 효과가 있으며, 전장 부품의 열 손상이 방지되어 제품에 대한 신뢰성이 향상되는 효과를 발휘하게 된다.
나아가, 상기 탑 플레이트를 지지하게 되는 서포터의 높낮이 조절로 탑 플레이트의 설치성이 향상되는 장점을 가지게 되며, 본체의 내부 공간으로 물이 유입되지 않게 됨으로써 본체의 손상이 방지되는 장점을 가지게 된다.
그리고, 상기 본체 내부의 열기가 원활하게 배기됨으로써 전장 부품에 대한 열 손상이 방지됨으로써 제품의 오작동이 예방되며, 제품의 서비스 비용이 절감되는 장점이 있다.
뿐만아니라, 상기 본체의 내부 공간으로 물의 유입이 방지됨에 따라 제품의 손상이 방지됨으로써 제품의 수명이 향상되는 장점이 있으며, 제품의 유지 비용이 절감되는 효과를 창출하게 된다.

Claims (6)

  1. 탑 플레이트;
    상기 탑 플레이트의 하측에 위치하여, 내부에 가열원이 놓이는 본체;
    상기 본체가 수용되는 캐비넷; 및
    상기 탑 플레이트와 상기 캐비넷 사이에 위치하여, 일측은 상기 탑 플레이트의 하면 및 측면에 밀착되며, 타측은 상기 캐비넷과 체결되는 서포터가 포함되고,
    상기 본체에는 내부 유체가 본체의 외부로 배기되는 제1개구부가 형성되고, 상기 서포터에는 상기 제1개구부를 통해 배기되는 유체가 조리기기의 외부로 배기되는 제2개구부가 형성되는 빌트 인 조리기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서포터에 의해 상기 탑 플레이트와 상기 캐비넷의 수평 방향 간격을 일정 간격으로 유지하게 되는 빌트 인 조리기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서포터는 높낮이의 조절이 가능한 빌트 인 조리기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서포터는, 상기 탑 플레이트를 하측에서 지지하는 하면지지부;
    상기 탑 플레이트의 후측에서 탑 플레이트를 지지하는 후면지지부; 및
    상기 캐비넷에 체결되어 고정되는 체결부가 포함되는 빌트 인 조리기기.
  5. 탑 플레이트;
    상기 탑 플레이트의 하측에 위치하고, 내부에 가열원이 놓이는 본체;
    상기 본체가 수용되도록 주방에 구비되는 캐비넷;
    상기 캐비넷과 상기 탑 플레이트의 수평 방향 사이에 위치하여 일부는 캐비넷에 체결되고, 다른 일부는 상기 탑 플레이트의 적어도 두 면을 지지하는 서포터;
    상기 본체에 형성되어, 본체 내부의 유체가 상기 캐비넷 방향으로 배기되는 통로를 제공하는 제1개구부;
    상기 제1개구부를 통해 이동되는 유체가 외부 공간으로 배기되는 통로를 제공하는 제2배기구; 가 포함되는 빌트 인 조리기기.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2개구부는 상기 서포터에 형성되는 빌트 인 조리기기.
KR1020070002569A 2007-01-08 2007-01-09 빌트 인 조리기기 KR100826707B1 (ko)

Priority Applications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02569A KR100826707B1 (ko) 2007-01-09 2007-01-09 빌트 인 조리기기
AU2007342776A AU2007342776B2 (en) 2007-01-08 2007-11-15 Built-in cooking appliance
CN200780049483.2A CN101600907B (zh) 2007-01-08 2007-11-15 嵌入式烹饪器具
MX2009007361A MX2009007361A (es) 2007-01-08 2007-11-15 Electrodomestico para cocinar integrado.
PCT/KR2007/005756 WO2008084918A1 (en) 2007-01-08 2007-11-15 Built-in cooking appliance
US12/448,779 US8875695B2 (en) 2007-01-08 2007-11-15 Built-in cooking appliance
EP07834062.7A EP2102554B1 (en) 2007-01-08 2007-11-15 Built-in cooking applian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02569A KR100826707B1 (ko) 2007-01-09 2007-01-09 빌트 인 조리기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26707B1 true KR100826707B1 (ko) 2008-04-30

Family

ID=395730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02569A KR100826707B1 (ko) 2007-01-08 2007-01-09 빌트 인 조리기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2670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14756A (ko) 2015-03-24 2016-10-06 조동기 전기 레인지의 설치 공간 활용이 가능한 싱크대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7145296U (ko) 1981-03-10 1982-09-11
JPS57182014U (ko) 1981-05-14 1982-11-18
JPH05121155A (ja) * 1991-10-28 1993-05-18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電磁誘導加熱調理器
JPH11354263A (ja) 1998-06-08 1999-12-24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組込み式誘導加熱式調理器
KR100286739B1 (ko) 1997-06-27 2001-04-16 나이토 스스무 드롭핑곤로
KR20040049779A (ko) * 2002-12-06 2004-06-12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곤로 상판의 장식테
JP2005265209A (ja) * 2004-03-16 2005-09-29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組み込み式加熱調理器
KR100540560B1 (ko) 2002-10-01 2006-01-11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드롭 인 곤로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7145296U (ko) 1981-03-10 1982-09-11
JPS57182014U (ko) 1981-05-14 1982-11-18
JPH05121155A (ja) * 1991-10-28 1993-05-18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電磁誘導加熱調理器
KR100286739B1 (ko) 1997-06-27 2001-04-16 나이토 스스무 드롭핑곤로
JPH11354263A (ja) 1998-06-08 1999-12-24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組込み式誘導加熱式調理器
KR100540560B1 (ko) 2002-10-01 2006-01-11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드롭 인 곤로
KR20040049779A (ko) * 2002-12-06 2004-06-12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곤로 상판의 장식테
JP2005265209A (ja) * 2004-03-16 2005-09-29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組み込み式加熱調理器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14756A (ko) 2015-03-24 2016-10-06 조동기 전기 레인지의 설치 공간 활용이 가능한 싱크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443858B2 (en) Cooking appliance
KR100889132B1 (ko) 오븐
JP5100440B2 (ja) 加熱調理器
KR100826707B1 (ko) 빌트 인 조리기기
EP2102557B1 (en) Built-in cooking appliance
US5643481A (en) Double bowl electric cooktop cooling
JP2004349041A (ja) 誘導加熱調理器
KR100829622B1 (ko) 빌트 인 조리기기
KR100826706B1 (ko) 빌트 인 조리기기
KR100688663B1 (ko) 전기오븐레인지의 버너스프링
KR100826705B1 (ko) 빌트 인 조리기기 및 그의 설치 장치
KR100646881B1 (ko) 전기오븐레인지의 하부히터 차폐구조
KR20080065431A (ko) 빌트 인 조리기기
KR20080064382A (ko) 빌트 인 조리기기 및 그의 설치기구
US11713886B2 (en) Cooking grate for a gas burner cooktop
JP6987193B2 (ja) 誘導加熱調理器
KR100829621B1 (ko) 빌트 인 조리기기 및 그의 설치기구
JPS6231764Y2 (ko)
KR100826709B1 (ko) 빌트 인 조리기기 및 그의 설치기구
KR100707426B1 (ko) 용기 가열용 히터가 구비된 전기오븐
KR20100096971A (ko) 조리기기
KR100829623B1 (ko) 빌트 인 조리기기 및 그의 설치 장치
EP2102559B1 (en) Built-in cooking appliance
KR100885554B1 (ko) 빌트 인 조리기기 및 그의 설치 장치
KR100863838B1 (ko) 조리기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2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1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2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14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14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14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