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63838B1 - 조리기기 - Google Patents

조리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63838B1
KR100863838B1 KR1020070007741A KR20070007741A KR100863838B1 KR 100863838 B1 KR100863838 B1 KR 100863838B1 KR 1020070007741 A KR1020070007741 A KR 1020070007741A KR 20070007741 A KR20070007741 A KR 20070007741A KR 100863838 B1 KR100863838 B1 KR 10086383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p plate
heating unit
unit
parallel
driv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077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방석진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077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6383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638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6383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10Tops, e.g. hot plates; Rings
    • F24C15/102Tops, e.g. hot plates; Rings electrically heated
    • F24C15/103Tops, e.g. hot plates; Rings electrically heated being movable or rotatabl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10Tops, e.g. hot plates; Rings
    • F24C15/108Mounting of hot plate on worktop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7/00Stoves or ranges heated by electric energy
    • F24C7/06Arrangement or mounting of electric heating elements
    • F24C7/067Arrangement or mounting of electric heating elements on rang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7/00Stoves or ranges heated by electric energy
    • F24C7/08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24C7/082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on ranges, e.g. control panels, illumination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00Ohmic-resistance heating
    • H05B3/68Heat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cooking plates or analogous hot-plates
    • H05B3/74Non-metallic plates, e.g. vitroceramic, ceramic or glassceramic hobs, also including power or control circuits
    • H05B3/748Resistive heating elements, i.e. heating elements exposed to the air, e.g. coil wire heat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Baking, Grill, Roast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조리기기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가열범위의 변경이 가능한 조리기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조리기기는, 상면 외관을 형성하는 탑 플레이트; 상기 탑 플레이트의 하측에 놓이는 가열유닛; 상기 가열유닛이 수용되는 본체; 및 상기 본체의 내부 공간에 위치하여, 상기 가열유닛을 이동시키는 이동장치; 가 포함되고, 상기 이동장치는, 상기 가열유닛을 상기 탑 플레이트의 하면과 이격 또는 접하는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교차구동부; 및 상기 가열유닛을 상기 탑 플레이트의 하면과 평행한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평행구동부; 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다른 측면에서는, 음식물이 수용된 용기가 지지되는 탑 플레이트; 상기 탑 플레이트의 하측에서 공간을 제공하는 본체; 상기 본체의 내부에서 삼차원적으로 이동 가능한 가열유닛; 이 포함되고, 상기 가열유닛은, 상기 탑 플레이트의 하면과 이격되도록 이동되는 단계와, 상기 탑 플레이트의 하면과 평행하게 이동되는 단계 그리고, 상기 탑 플레이트와 접하도록 이동되는 단계; 순으로 제어된다. 이러한 조리기기에 의하면, 사용의 편의성이 극대화되고, 에너지 소비 효율이 향상되는 이점이 있다.
조리기기, 가열유닛, 이동장치, 평행구동부, 교차구동부

Description

조리기기 {Cooking appliance}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조리기기가 장착되는 상태를 나타낸 설치도.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조리기기의 구성을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조리기기 이동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조리기기 이동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5 는 본 발명에 따른 조리기기 이동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캐비넷 120. 수용부
200. 탑 플레이트 220. 조작부
300. 본체 310. 가열유닛
320. 팬 400. 이동장치
410. 유닛지지부 412. 가열유닛안착부
420. 평행구동부 430. 평행구동기어
440. 안내부재 450. 교차구동부
460. 교차구동기어 470. 이동부재
480. 회전구동부 490. 구동부지지부재
본 발명은 조리기기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가열범위의 변경이 가능한 조리기기에 관한 것이다.
조리기기는 음식물을 가열하여 익힘으로써 사람이 섭취할 수 있도록 요리하게 되는 주방기기의 하나로, 가스를 이용하는 조리기기와 전기를 이용하는 조리기기로 크게 구분되며, 근래에는 주변의 주방가구와 조화롭게 설치되는 캐비넷에 조리기기가 수용되거나 안착되어 설치됨으로써 캐비넷 및 다른 주방가구와 조화를 이루게 된다.
이처럼, 조리기기가 주방가구에 수용되거나 안착됨으로써 설치되는 형태를 빌트 인(Built- in) 타입이라 하며, 빌트 인 타입은 주방 가구와 어울리도록 배치되면서, 주방 공간을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장점으로 인해 근래에 들어 인기를 끌고 있다.
또한, 최근에는 조리기기의 상면 외관을 형성하는 탑 플레이트를 매개로 하여 복사열이 음식물로 전달되도록 함으로써, 복사열로 인해 음식물이 담긴 용기를 가열하는 조리기기의 연구 개발과 출시가 많이 이루어지고 있으며, 이는 화염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아 화재의 위험이 적고, 청소가 쉬운 장점을 가짐으로써 이와 같은 조리기기의 사용이 증가하고 있기 때문이다.
그리고, 그 관심만큼이나 홉(hob), 호브, 레인지(range), 핫 플레이트(hot plate) 등 다양한 명칭으로 불리고 있다.
이하에서 조리기기라고 명칭하는 경우 이와 같은 형태의 조리기기를 일컫는다.
종래 기술에 의한 조리기기는 상면 외관을 형성하는 탑 플레이트가 구비되고, 상기 탑 플레이트의 하측에 본체가 구비되며, 상기 본체의 내부에 음식물을 가열하기 위한 열원이 위치하게 되는 구조를 가지게 된다.
따라서, 상기 탑 플레이트의 상측에 음식물이 담긴 용기가 놓이게 되고, 이러한 용기는 상기 본체의 내부 공간에 장착되는 열원에서 발산되는 복사열에 의해 가열된다. 즉, 열원에서 가열되는 열기가 탑 플레이트를 투과하여 음식물이 담긴 용기를 가열하게 되고, 용기를 투과하는 복사열에 의해 음식물이 가열되어 익게 된다.
그리고, 열원에서 발산되는 열기에 의해 용기가 가열됨으로써 용기에서 내부의 음식물로 전달되는 전도열에 의해 음식물이 가열되어 익게 된다.
이러한 종래 기술에 의한 조리기기에서는, 음식물을 가열하여 요리하기 위한 열원의 크기와 형태 및 위치가 한정되어 있는 문제점이 있다.
다시 말해, 음식물을 가열하여 요리하기 위한 열원이 상기 탑 플레이트의 상측으로 열을 발산하게 될 때 열이 발산되는 범위는 소정의 지름을 가지는 원형으로 발산되도록 형성되며, 그 위치는 고정되어 있다.
이와 같이, 열원에서 발산되는 형태가 고정됨으로써 열원이 발산되는 형태의 하면을 가지는 용기만을 사용하여 음식물을 요리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되며, 열원에서 열이 발산되는 범위가 고정됨에 따라 그 범위와 일치되는 하면의 면 적을 가지는 용기만을 사용하여 음식물을 요리해야되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만약, 음식물이 담긴 용기의 하면 면적이 열이 발산되는 범위와 다르게 되면, 열원에서 발산되는 열이 음식물이 담긴 용기를 전체적으로 가열하지 못하게 되거나, 음식물이 담긴 용기가 위치하지 않은 부분을 가열하게 되어 에너지 사용의 효율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또한, 열원에서 발산되는 열기가 전달되는 위치는 고정되도록 형성됨으로써 열기가 전달되는 위치에 사용자가 음식물이 담긴 용기를 정확히 위치시켜야만 되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정확한 위치에 놓이지 않게 되면, 열기가 전달되는 위치에 놓이는 부분은 가열되고, 그 외 부분은 가열되지 않게 되어 에너지가 낭비되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제안된 것으로, 가열 범위의 변경이 가능한 열원이 구비되는 조리기기를 제안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제안으로는 이동이 가능한 열원이 구비되는 조리기기가 제안된다.
상기와 같이 제안되는 본 발명에 따른 조리기기는, 상면 외관을 형성하는 탑 플레이트; 상기 탑 플레이트의 하측에 놓이는 가열유닛; 상기 가열유닛이 수용되는 본체; 및 상기 본체의 내부 공간에 위치하여, 상기 가열유닛을 이동시키는 이동장치; 가 포함되고, 상기 이동장치는, 상기 가열유닛을 상기 탑 플레이트의 하면과 이격 또는 접하는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교차구동부; 및 상기 가열유닛을 상기 탑 플레이트의 하면과 평행한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평행구동부; 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삭제
삭제
삭제
다른 측면에서 본 발명에 의한 조리기기는, 음식물이 수용된 용기가 지지되는 탑 플레이트; 상기 탑 플레이트의 하측에서 공간을 제공하는 본체; 상기 본체의 내부에서 삼차원적으로 이동 가능한 가열유닛; 이 포함되고, 상기 가열유닛은, 상기 탑 플레이트의 하면과 이격되도록 이동되는 단계와, 상기 탑 플레이트의 하면과 평행하게 이동되는 단계 그리고, 상기 탑 플레이트와 접하도록 이동되는 단계; 순으로 제어된다.
또 다른 측면에서 본 발명에 의한 조리기기는, 상면 외관을 형성하는 탑 플레이트; 상기 탑 플레이트의 하측에 위치하여 내부 공간이 형성되는 본체; 및 상기 본체의 내부 공간에 구비되어 음식물을 가열하기 위한 가열유닛; 상기 가열유닛을 회전 운동시키기 위한 동력을 제공하는 평행구동부; 및 상기 가열유닛을 병진 운동시키기 위한 동력을 제공하는 교차구동부가 포함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조리기기에 의하면, 사용의 편의성이 극대화되고, 에너지 소비 효율이 향상되는 이점이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조리기기를 상세히 살펴보도록 한다.
도 1에는 본 발명에 따른 조리기기가 설치되는 상태를 나타낸 설치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조리기기가 설치되는 상태를 살펴보면, 주방 공간에는 다른 주방 가구와 조화롭게 배치되는 캐비넷(100)-설치장이라고도 한다-이 설치되고, 상기 캐비넷(100)의 내부에는 일정 정도의 공간이 형성된다.
상기 캐비넷(100)의 내부 공간 상부에는 일정 정도 하방으로 함몰되면서, 조리기기의 적어도 일부가 수용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수용부(120)가 형성된다. 상기 수용부(120)에 상방으로부터 하방으로 조리기기가 수용되면서 안착된다.
또한, 조리기기는 상기 캐비넷(100)의 전면 일부분이 절제되어 캐비넷(100)의 전방으로부터 오븐과 함께 수용되기도 한다.
조리기기가 상기 수용부(120)에 적어도 일부가 수용되면서, 안착되면 조리기기의 상면 외관을 형성하는 탑 플레이트(200)의 테두리 부분 하면이 상기 캐비넷(100)의 상면 테두리 부분에 지지되기도 하고, 수용부(120)에 조리기기 전체가 수용되기도 한다.
상기 수용부(120)에는 상기 탑 플레이트(200)가 안착되는 안착부가 형성되기도 한다. 상기 안착부는 수용부(120)의 상단부 테두리 부분에서 외측으로 단이 지는 형태로 제공되어 탑 플레이트(200)의 하면 테두리 부분을 지지하도록 형성된다. 안착부는 수용부(120)의 테두리 부분에서 외측으로 일정 부분 파이면서 형성되고, 파이는 깊이는 조리기기가 설치되는 방법에 따라 달라지게 된다.
즉, 상기 탑 플레이트(200)가 상기 캐비넷(100)의 상면보다 상방으로 돌출되도록 설치되면, 상기 안착부가 형성되지 않거나, 형성되더라도 그 깊이가 거의 없 게 되도록 형성되며, 탑 플레이트(200)가 캐비넷(100)의 상면보다 하방으로 함몰되도록 설치되면, 안착부가 탑 플레이트(200)의 두께보다 그 깊이가 깊게 형성된다.
상기 탑 플레이트(200)가 상기 캐비넷(100)의 상면에 의해 지지되도록 설치되면, 탑 플레이트(200)의 전방과 양 측방의 테두리 부분이 캐비넷(100)의 상면에 의해 지지되고, 탑 플레이트(200)의 후방 테두리 부분은 캐비넷(100)의 상면에 의해 지지되지 않도록 탑 플레이트(200)의 전후방향 길이가 상기 수용부(120)의 전후방향 길이보다 짧게 형성된다.
이는 상기 탑 플레이트(200)의 후방 테두리 부분에는 조리기기의 내부 공간에서 발생하게 되는 더운 공기가 외부 공간으로 배기되도록 일정 정도의 간격을 형성하기 위함이다.
상기 수용부(120)의 하측은 막혀서 제공되거나, 일정 부분 홀이 형성되면서 제공되며, 하측이 막혀서 제공되더라도, 상기 캐비넷(100)의 여타 틈새를 통하여 외부 공기가 수용부(120)의 내부로 유입될 수 있고, 유입된 공기는 조리기기의 내부 공간으로 유입되거나, 외부를 따라 유동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수용부(120)의 하측에는 조리기기의 내부로 물이 유동하게 될 때 물을 배수하기 위한 배수구가 형성되기도 하며, 이러한 배수구는 물이 유입되는 경로의 수직 하측에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수용부(120)의 바닥면이 경사지는 형태로 제공되는 경우에는 경사지는 바닥면의 가장 낮은 높이를 가지는 부분에 형성될 수도 있다.
도 2에는 본 발명에 따른 조리기기의 구성을 나타낸 개략적인 분해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조리기기의 구성을 살펴보면, 조조리기기의 상면에는 상면 외관을 형성하면서 음식물이 담긴 용기를 직/간접적으로 지지하는 탑 플레이트(200)가 구비되고, 상기 탑 플레이트(200)의 하측에는 소정의 내부 공간을 형성하면서 내부 공간에 다수의 부품이 장착되는 본체(300)가 위치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탑 플레이트(200)와 상기 본체(300)에 의해 조리기기의 외관이 이루어진다.
상기 탑 플레이트(200)는 소정의 두께를 가지는 사각판재 형상으로 형성되며, 내열 강화유리로 형성되어 고온의 열에도 견딜 수 있도록 특수 제작된다. 이러한 내열 강화유리를 사용하는 것은 상기 본체(300)의 내부 공간에 장착되어 음식물을 가열하기 위한 열원에서 발생하게 되는 열을 견딜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탑 플레이트(200)는 상기 수용부(120)의 테두리 부분이 파이면서 형성되는 부분인 안착부에 안착되거나, 상기 캐비넷(100)의 상면에 안착되어 지지된다. 상기 안착부에 탑 플레이트(200)가 안착되면, 탑 플레이트(200)의 상면은 캐비넷(100)의 상면보다 상측에 놓이게 된다.
상기 탑 플레이트(200)의 테두리와 상기 캐비넷(100)의 상면 사이에는 탑 프레임(210)이 장착된다. 상기 탑 프레임(210)에 의해 탑 플레이트(200)의 테두리와 캐비넷(100)의 상면 사이는 덮혀지게 된다. 이때, 탑 플레이트(200)의 테두리와 캐비넷(100)의 상면 사이가 일정 부분 간격을 가지거나 간격이 형성되지 않게 되더라도, 탑 플레이트(200)의 상면과 캐비넷(100)의 상면을 구분하기 위하여 탑 프레 임(210)이 장착된다.
상기 탑 프레임(210)은 상기 탑 플레이트(200)의 상면 테두리 부분을 따라 일부분이 위치하게 되고, 다른 일 부분은 상기 캐비넷(100)의 상면을 따라 위치하게 된다. 이러한 탑 프레임(210)은 탑 플레이트(200)의 상면에 고정되며, 탑 프레임(210)이 탑 플레이트(200)의 상면에 고정되는 것은 접착, 걸림 고정 등과 같은 다양한 방식에 의해 수행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접착 방식이 사용된다.
상기 탑 프레임(210)에 의해 상기 탑 플레이트(200)의 상면에 놓이는 음식물이 담긴 용기가 습기 등에 의해 움직이게 될 때 탑 플레이트(200)의 외부로 떨어지지 않게 된다. 그러므로, 사용자의 안전성이 개선되는 이점이 있다.
뿐만 아니라, 용기를 탑 플레이트(200)에 놓을 때 탑 플레이트(200)의 안쪽에 용기가 제대로 놓여있는 지를 명확하게 인식할 수 있기 때문에, 조리기기의 가열 효율이 개선되고, 사용자의 편의성이 개선된다.
또한, 상기 탑 프레임(210)은 조리기기 내부의 열기가 배출되는 부분 다시 말해, 상기 탑 플레이트(200)의 후측과 상기 캐비넷(100)의 사이에도 설치된다. 이때, 탑 플레이트(200)의 후측과 캐비넷(100)의 사이에 설치되는 탑 프레임(210)의 하측에는 상기 본체(300)와 캐비넷(100)이 일정 간격 떨어지도록 장착된다. 이러한 간격에 의해 공기 또는 물이 유동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탑 프레임(210)에는 자체적으로 일정 정도의 개구부가 형성되어 유체가 유동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탑 프레임(210)에 의해 유체가 유동할 수 있는 경로가 제공됨으로써 원활한 유체의 유동이 가능해지는 장점이 있다.
상기 탑 플레이트(200)의 상면에는 사용자가 음식물이 담긴 용기를 정확한 위치에 놓을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음식 용기가 놓이는 위치가 도시되어 있으며,적어도 하나의 위치에는 소정의 지름을 가지는 원형이 아닌 가로 방향으로 긴 타원형으로 도시되거나, 소정의 지름을 가지는 원 형상이 점차적으로 좌측(도 2에서 볼 때)으로 이동하도록 도시된다.
상세하게는 상기 탑 플레이트(200)의 상면 후단부 우측단에 도시되는 가열범위를 나타내도록 소정의 지름을 가지는 원형상으로 도시된 부분의 중심이 일정 간격을 가지면서 좌측(도 2에서 볼 때)으로 점차 이동하도록 다수의 원형으로 도시되거나, 가로 방향으로 긴 타원 형상으로 도시된다.
이는 상기 본체(300)의 내부에 장착되는 음식물을 가열하기 위한 열원이 이동하게 되면, 그 가열범위를 도시해주는 부분도 이동하여야 함에 따라 열원이 이동할 수 있는 위치에 가상으로 열원과 대응되는 지름을 가지는 원을 도시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열원이 이동하게 되는 위치에 도시되는 가열 범위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그 범위가 도시되도록 형성되거나, 열원의 위치에 따라 범위가 대응되도록 도시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 탑 플레이트(200)의 상면 전단부에는 사용자가 조리기기를 직접 조작할 수 있도록 하는 조작부(220)가 구비된다. 상기 조작부(220)는 소정의 면적을 가지도록 형성되며, 이러한 조작부(220)는 터치스크린 방식으로 작동되도록 구비된다. 조작부(220)를 사용자가 조작함으로써 조리기기를 사용하여 음식물을 요리하게 된다.
즉, 사용자가 상기 조작부(220)를 터치함으로써 음식물을 요리하기 위한 열을 제공하는 열원을 선택적으로 사용하여 음식물을 가열하는 온도 및 시간 등을 조절할 수 있게 되며, 열원의 전원 온/오프를 제어하여 음식물을 요리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조작부(220)에는 상기 열원의 이동을 조작할 수 있도록 열원의 이동 버튼이 더 구비되어 사용자가 열원의 위치를 조작할 수 있게 되며, 열원의 이동에 따라 도시되는 가열범위가 이동하게 된다.
상기 조작부(220)는 다양한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버튼의 형상이 아닌 노브(knob)의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며, 스위치의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탑 플레이트(200)의 상면 전단부가 아닌 상기 본체(300)의 전면에 위치하게 되거나, 상기 캐비넷(100)에 위치하게 되는 것도 가능하며, 동시에 설치되는 오븐의 전면에 위치하게 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탑 플레이트(200)의 하측에 위치하게 되는 상기 본체(300)의 내부 공간에는 음식물을 가열하기 위한 열원을 제공하는 적어도 하나의 가열유닛(310)과, 본체(300) 내부 공간의 더운 공기를 본체(300)의 외부 공간으로 강제 배기시키는 팬(320)이 장착된다.
상기 가열유닛(310)은 음식물이 담긴 용기를 가열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되며, 이러한 역할을 수행할 수 있는 유닛은 어떠한 유닛으로 형성되더라도 무방하다 할 것이다. 또한, 직접 가열방식 및 간접 가열방식 등 어떠한 가열 방식을 사용하더라도 무방하다 할 것이다.
상기 팬(320)은 가로 방향으로 긴 회전축에 다수의 팬 날개가 구비되어 회전축이 회전 운동하게 됨에 따라 다수의 팬 날개가 회전하면서 축 방향으로 공기를 흡입하여 축과 교차되는 방향으로 공기를 토출하는 횡류팬이 사용되며, 이러한 횡류팬이 아닌 축류팬이 사용되는 것도 가능하고, 실시예에서는 횡류팬이 사용되는 것을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팬(320)은 회전 운동에 의해 상기 가열유닛(310)에서 발산되는 열기를 상기 본체(300)의 외부 공간으로 배기시키는 역할을 수행하게 되며, 이러한 팬(320)의 회전 운동에 의해 본체(300)의 내부 공간은 일정 온도 이상 상승하지 않게 된다. 또한, 일정 온도 이상으로 상승하지 않게 됨에 따라 상기 조작부(220)에 열 손상이 방지되며, 본체(300)의 외부로 열이 전도되어 사용자가 조리기기를 사용하게 될 때, 사용자의 인체가 상해를 입는 것이 방지되어 안전성을 확보하게 된다.
상기 팬(320)은 상기 본체(300)의 내부 공간 전단부에 장착되어 회전 운동함으로써 본체(300) 외부의 공기를 축 방향으로 흡입하여 본체(300)의 내부 공간 후방으로 유동시키게 된다. 이처럼, 후방으로 유동하게 되는 더운 공기는 본체(300)의 외부 공간으로 배기된다.
한편, 상기 탑 플레이트(200)의 상측에 놓이는 음식물이 담긴 용기는 상기 가열유닛(310)에서 발생하게 되는 복사열에 의해 가열되어 음식물이 요리된다. 따라서, 탑 플레이트(200)는 음식물이 담긴 용기가 가열되는 면적만큼 상기 본체(300)의 내부 공간에서 발생하게 되는 복사열이 투과될 수 있도록 형성하게 되며, 그 외의 부분에는 복사열이 투과되지 못하도록 하여 사용자가 조리기기를 사용 하게 될 때, 안전성을 확보하게 된다.
상기 본체(300)는 상기 탑 플레이트(200)의 하측에 위치하여 소정의 내부 공간을 형성하게 되며, 본체(300)는 소정의 두께를 가지면서 상면이 개구되는 사각상자 형상으로 형성된다. 이러한 본체(300)에 의해 조리기기의 하부 외관이 형성된다. 따라서, 조리기기는 탑 플레이트(200)에 의해 상면이 정의되고, 본체(300)에 의해 측면과 하면이 정의된다.
또한, 사용자가 위치하게 되는 방향을 전방이라 가정하면, 상기 본체(300)의 상측에 위치하게 되는 상기 탑 플레이트(200)의 후단부는 상기 수용부(120)의 후면보다 전방에 위치하게 된다. 즉, 탑 플레이트(200)의 전후 방향 길이가 수용부(120)의 전후 방향 길이보다 짧게 형성되어 탑 플레이트(200)의 후면과 수용부(120)의 후단부 사이에는 소정의 공간을 형성하게 된다.
상기 탑 플레이트(200)의 후단부와 상기 수용부(120)의 후단부 사이에 형성되는 일정 공간의 상측에 상기 탑 프레임(210)이 장착되어 탑 플레이트(200)와 상기 캐비넷(100) 사이 간격을 커버하게 된다.
한편, 상기 본체(300)의 내부 공간에는 상기 가열유닛(310)을 이동시키게 되는 이동장치(400)가 구비된다. 상기 이동장치(400)는 가열유닛(310)을 사용자가 원하는 위치에 위치할 수 있게 되도록 가열유닛(310)을 이동시키게 된다.
이하에서는 상기 이동장치에 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도 3에는 본 발명에 따른 조리기기의 이동장치를 나타낸 분해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도면을 참조하여 이동장치를 살펴보기로 한다.
상기 가열유닛(310)의 하측에는 가열유닛(310)을 2차원의 경로를 따라 이동시키게 되는 상기 이동장치(400)가 구비되며, 이러한 이동장치(400)에 의해 가열유닛(310)은 상기 탑 플레이트(200)의 상면과 평행한 방향 또는 교차되는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된다.
상기 이동장치(400)는 상기 가열유닛(310)을 하측에서 지지하는 유닛지지부(410)와, 상기 유닛지지부(410)의 하측에는 유닛지지부(410)가 상기 탑 플레이트(200)의 상면과 평행한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거나, 탑 플레이트(200)의 상면과 교차되는 방향으로 이동하게 될 때 이동을 안내하는 안내부재(440)와, 유닛지지부(410)를 탑 플레이트(200)의 상면과 평행한 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평행구동부(420)와, 상기 안내부재(440)를 탑 플레이트(200)의 상면과 교차되는 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교차구동부(450)가 포함되어 구성된다.
또한, 상기 평행구동부(420)와 교차구동부(450)에는 외부에서 인가되는 전원에 의해 구동력인 회전 동력을 발생시키게 되는 구동모터와, 상기 구동모터에서 발생하게 되는 회전 동력을 평행구동부(420)와 교차구동부(450)로 전달하게 되는 동력전달체가 포함되어 구성된다.
상기 유닛지지부(410)는 소정의 두께를 가지는 사각판재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면에는 상기 가열유닛(310)이 안착되는 가열유닛안착부(412)가 가열유닛(310)의 하면 면적과 대응되는 면적을 가지고 하방으로 함몰 형성되거나, 유닛지지부(410)의 상면에 가열유닛(310)의 테두리와 대응되는 면적으로 일정 높이로 돌출 형성되어 내부 공간에 가열유닛(310)이 수용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유닛지지부(410)의 하면에는 치형이 형성되며, 이러한 치형은 다음에 설명할 평행구동기어(430)의 둘레면에 형성되는 치형과 서로 맞물리도록 형성된다.
상기 유닛지지부(410)의 하측에는 유닛지지부(410)를 상기 탑 플레이트(200)의 상면과 평행한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평행구동부(420)가 위치하게 된다. 상기 평행구동부(420)에는 평행구동기어(430)가 장착되고, 상기 평행구동기어(430)는 유닛지지부(410)의 하측에 위치하게 된다.
상기 평행구동기어(430)는 소정의 지름을 가지면서 전후(도 2에서 볼 때) 방향으로 누운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된다. 이러한 평행구동기어(430)는 둘레면을 따라 치형이 형성되고, 이러한 치형이 상기 유닛지지부(410)의 하면에 형성되는 치형과 서로 맞물리도록 장착된다.
즉, 상기 유닛지지부(410)의 하면에 형성되는 치형과 상기 평행구동기어(430)의 외면에 형성되는 치형이 서로 맞물리면서 평행구동기어(430)의 회전 운동에 의해 유닛지지부(410)는 이동하게 된다.
상기 평행구동기어(430)의 하측에는 안내부재(440)가 구비된다. 상기 안내부재(440)는 상면과 하면이 소정의 면적을 가지면서, 일정 정도의 두께를 가지도록 가로 방향으로 긴 직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된다. 안내부재(440)의 상면에는 치형이 형성되어 상측에 위치하게 되는 상기 평행구동기어(430)의 외면에 형성되는 치형과 맞물리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평행구동기어(430)의 상측에는 상기 유닛지지부(410)가 위치하게 되고 하측에는 상기 안내부재(440)가 위치하게 된다. 그리고, 평행구동기 어(430)의 외면에 형성되는 치형은 유닛지지부(410)의 하면에 형성되는 치형과 맞물리게 됨과 동시에 안내부재(440)의 상면에 형성되는 치형과도 맞물리게 된다.
즉, 상기 유닛지지부(410)의 하면에 형성되는 치형과 상기 안내부재(440)의 상면에 형성되는 치형은 서로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평행구동기어(430)의 외면에 형성되는 치형과 서로 맞물리도록 형성된다.
상기 안내부재(440)의 상면에 형성되는 치형은 상기 유닛지지부(410)의 하면과 맞물리도록 장착되는 상기 평행구동기어(430)의 회전 운동에 의해 유닛지지부(410)가 상기 탑 플레이트(200)의 상면과 평행한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안내하는 역할을 담당하게 된다.
상기 평행구동기어(430)는 상기 안내부재(440)의 상면에 의해 안내되면서 상기 탑 플레이트(200)의 상면과 평행한 방향으로 상기 유닛지지부(410)가 이동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유닛지지부(410)가 탑 플레이트(200)의 상면과 평행한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면, 평행구동기어(430)의 이동에 따라 유닛지지부(410)의 상측에 위치하게 되는 상기 가열유닛(310)이 탑 플레이트(200)의 상면과 평행한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안내부재(440)의 상면이 상기 유닛지지부(410)의 이동을 안내하는 역할을 담당하게 되어 안내부가 되며, 안내부재(440)의 상면에 의해 안내되면서, 유닛지지부(410)가 상기 탑 플레이트(200)의 상면과 평행한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하는 상기 평행구동기어(430)가 평행이동부가 된다.
상기 평행이동부는 상기 유닛지지부(410)가 상기 탑 플레이트(200)의 상면과 평행한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되며, 이러한 역할을 수행할 수 있는 다양한 형태의 실시예가 가능하게 될 것이다. 다시 말해, 유닛지지부(410)가 탑 플레이트(200)의 상면과 평행한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벨트, 와이어 등 어떠한 형태도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안내부재(440)의 우측면에는 치형이 형성된다. 치형이 형성되는 안내부재(440)의 우측면 우측에는 상기 탑 플레이트(200)의 상면과 교차되는 방향으로 안내부재(440)가 이동되도록 하는 교차구동부(450)가 구비된다.
상기 교차구동부(450)에는 상기 안내부재(440)의 우측면에 형성되는 치형과 맞물리도록 장착되는 교차구동기어(460)가 장착되며, 상기 교차구동기어(460)는 소정의 지름을 가지면서 전후(도 3에서 볼 때) 방향으로 누운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교차구동기어(460)의 둘레면에는 치형이 형성되고 이러한 치형은 상기 안내부재(440)의 우측면에 형성되는 치형과 대응되는 치형으로 형성되어 서로 맞물리도록 장착된다.
상기 교차구동기어(460)의 둘레면을 따라 형성되는 치형과, 상기 안내부재(440)의 우측면에 형성되는 치형이 서로 맞물리게 되면, 교차구동기어(460)의 회전 운동에 의해 안내부재(440)는 상기 탑 플레이트(200)의 상면과 교차되는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 교차구동기어(460)의 후측에는 교차구동기어(460)가 상기 탑 플레이트(200)의 상면과 교차되는 방향으로 이동하게 될 때 교차구동기어(460)의 이동을 안내하기 위한 고정부재가 더 구비되기도 한다.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본체(300)의 내측 벽면에 장착되거나, 본체(300)의 내부 공간에 구비되어 교차구동기어(460)가 회전 운동하게 될 때, 상기 안내부재(440)의 이동을 안내하는 역할을 담당하게 되며, 이러한 고정부재는 어떠한 형태로 형성되더라도 교차구동기어(460)의 이동을 안내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으면 어떠한 부재도 가능하게 된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서는 상기 고정부재에 치형이 형성되어 상기 교차구동기어(460)의 둘레면에 형성되는 치형과 맞물리면서 교차구동기어(460)의 이동을 안내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것으로 설명되고 있으나, 와이어, 벨트, 슬라이딩 레일 등에 의해 안내되는 것도 가능하다 할 것이다.
한편, 상기 평행구동부(420)와 상기 교차구동부(450)는 인가되는 외부의 전원에 의해 구동력인 회전 동력을 발생시키는 구동모터와, 상기 구동모터에 결합되는 동력전달체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구동모터는 외부의 전원이 인가되면, 인가되는 전원에 의해 구동력인 회전 동력을 발생시키게 되고, 구동모터와 결합되는 상기 동력전달체에 의해 구동모터에서 발생하게 되는 회전 동력이 각각의 구동기어로 전달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구동부가 각각의 구동기어에 장착되는 것을 예를 들고 있으나, 하나의 구동부에서 각각의 구동기어를 구동시키는 것도 가능하며, 구동모터와 동력전달체가 아닌 다른 다양한 방법에 의해 구동력을 제공하는 것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다음으로 상기 이동장치에 의해 상기 가열유닛이 이동하게 되는 것을 살펴보 도록 한다.
먼저, 사용자가 상기 가열유닛(310)의 이동이 필요하게 될 경우 외부의 전원을 상기 교차구동부(450)에 인가하게 된다. 교차구동부(450)에 외부의 전원이 인가되면, 상기 구동모터가 구동력인 회전 동력을 발생시키게 되고, 이러한 회전 동력은 상기 동력전달체에 의해 교차구동기어(460)에 전달된다.
상기 교차구동기어(460)에 구동력이 전달되면, 전달된 구동력에 의해 교차구동기어(460)는 회전 운동하게 된다. 교차구동기어(460)가 회전 운동하게 되면, 회전 운동하게 되는 교차구동기어(460)에 의해 상기 안내부재(440)가 상방 또는 하방(도 3에서 볼 때)으로 이동하게 된다.
상기 안내부재(440)가 상방 또는 하방으로 이동하게 되면, 안내부재(440)의 상측에 위치하게 되는 평행구동부(420)와 상기 평행구동부(420)와 체결되는 상기 평행구동기어(430) 및 평행구동기어(430)의 상측에 위치하게 되는 상기 유닛지지부(410)가 상방 또는 하방으로 이동하게 된다. 유닛지지부(410)가 상방 또는 하방으로 이동하게 되면, 유닛지지부(410)의 상측에 위치하게 되는 상기 가열유닛(310)이 상방 또는 하방으로 이동하게 된다.
상세히 살펴보면, 외부에서 인가되는 전원에 의해 상기 구동모터가 구동력을 발생하게 되고, 이러한 구동력은 상기 동력전달체에 의해 상기 교차구동기어(460)에 전달되고, 전달되는 구동력에 의해 교차구동기어(460)는 반 시계 방향으로 회전 운동하게 된다. 교차구동기어(460)가 반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면, 교차구동기어(460)의 회전 운동에 의해 안내부재(440)가 하방으로 이동하게 된다.
상기 안내부재(440)가 하방으로 이동하게 되면, 안내부재(440)의 상측에 위치하게 되는 상기 평행구동부(420)와 평행구동기어(430)가 하방으로 이동하게 되고, 평행구동기어(430)의 상측에 위치하게 되는 상기 가열유닛(310)이 하방으로 이동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가열유닛(310)이 상기 탑 플레이트(200)의 상면과 교차되는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며, 가열유닛(310)이 하방으로 이동하게 됨으로써 가열유닛(310)의 상단부와 상기 탑 플레이트(200)의 하면은 상기 안내부재(440)가 하방으로 이동한 거리만큼 이격된다.
상기 가열유닛(310)의 상단부가 상기 탑 플레이트(200)의 하면으로부터 일정 정도 이격되면, 가열유닛(310)이 탑 플레이트(200)의 상면과 평행한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즉, 좌우(도 3에서 볼 때)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 안내부재(440)가 하방으로 이동하게 되면, 안내부재(440)의 상측에 위치하게 되는 상기 평행구동부(420)에 외부의 전원이 인가되며, 인가되는 외부의 전원에 의해 상기 구동모터가 회전 동력을 발생시키게 되고, 이러한 구동모터의 회전 동력에 의해 동력전달체는 회전 운동하게 된다.
상기 동력전달체의 회전 운동에 의해 상기 구동모터의 회전 동력은 상기 평행구동기어(430)에 전달되며, 이러한 회전 동력에 의해 평행구동기어(430)는 회전 운동하게 된다.
상기 평행구동기어(430)가 회전 운동하게 되면, 평행구동기어(430)의 상측에 위치하게 되는 상기 유닛지지부(410)가 좌우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유닛지지부(410)의 좌우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면서, 상기 탑 플레이트(200)의 상면과 평행한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 가열유닛(310)이 원하는 위치에 위치하게 되면, 상기 평행구동부(420)에 인가되는 전원이 차단되며, 평행구동부(420)에 인가되는 전원이 차단되면, 상기 평행구동기어(430)에 구동력을 제공하는 상기 구동모터가 동작하지 않게 되며, 구동모터가 동작하지 않게 됨으로써 평행구동기어(430)로 구동력이 제공되지 않게 되어 평행구동기어(430)는 정지하게 된다.
상기 평행구동기어(430)가 정지되면, 상기 교차구동기어(460)에 구동력을 제공하는 상기 교차구동부(450)에 전원이 인가된다. 교차구동기어(460)에 구동력을 제공하는 교차구동부(450)에 전원이 인가되면, 구동모터가 회전 동력을 발생시키게 되고, 이러한 회전 동력에 의해 교차구동기어(460)는 회전 운동하게 된다.
이때, 상기 교차구동기어(460)는 시계 방향으로 회전 운동하게 되면서 교차구동기어(460)의 둘레면에 형성되는 치형과 상기 안내부재(440)의 우측면에 형성되는 치형이 서로 맞물려 안내부재(440)가 상방 즉, 상기 탑 플레이트(200)의 상면과 교차되는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상기 안내부재(440)가 상방으로 이동하게 되면, 안내부재(440)의 상측에 위치하게 되는 상기 평행구동부(420)와 상기 유닛지지부(410)가 상방으로 이동하게 된다. 유닛지지부(410)가 상방으로 이동하게 되면, 유닛지지부(410)에 의해 지지되는 상기 가열유닛(310)이 상방으로 이동하게 되어 가열유닛(310)의 상단부가 상기 탑 플레이트(200)의 하면과 접하게 된다.
상기 가열유닛(310)의 상단부가 상기 탑 플레이트(200)의 하면에 접하게 되면, 상기 교차구동기어(460)에 구동력을 제공하는 상기 교차구동부(450)에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하게 된다. 교차구동부(450)에 전원이 차단되면, 교차구동기어(460)에 회전 동력이 제공되지 않게 되어 교차구동기어(460)의 회전 운동은 멈추게 된다.
도 4에는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조리기기가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살펴보면, 조리기기에는 음식물이 수용되는 음식용기가 지지되는 탑 플레이트(200)가 구비되고, 상기 탑 플레이트(200)의 하측에는 다수의 부품이 내부 공간에 장착되는 본체(300)가 구비된다.
상기 본체(300)의 내부에는 이차원의 경로를 따라 이동 가능하면서, 상기 탑 플레이트(200)의 상측에 놓이는 음식용기를 가열하기 위한 가열유닛(310)이 구비되고, 상기 가열유닛(310)의 이동을 위한 이동장치(400)와, 상기 이동장치(400)에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부가 구비된다.
상기 이동장치(400)는 상기 탑 플레이트(200)의 상면과 평행한 방향 및 교차되는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는 이동부재(470)와, 상기 이동부재(470)의 내부 공간에서 이동부재(470)를 탑 플레이트(200)의 상면과 평행한 방향으로 이동시키게 되는 평행구동부(420)와 이동부재(470)를 탑 플레이트(200)의 상면과 교차되는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교차구동부(4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이동부재(470)는 전방에서 볼 때 전면이 대략 "ㄷ"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부에 형성되는 상부부재와 하부에 형성되는 하부부재는 소정의 두께를 가지는 사각판재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상부부재와 하부부재의 좌측단부는 서로 연결되어 일체로 형성된다.
이때, 상기 상부부재의 상면에는 상기 가열유닛(310)이 안착되는 가열유닛안착부(412)가 형성되며, 상기 가열유닛안착부(412)는 가열유닛(310)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면서 상방으로 돌출 형성되어 가열유닛(310)의 적어도 일부가 가열유닛안착부(412)의 내부 공간에 수용되도록 형성된다.
즉, 상기 가열유닛안착부(412)는 일정 정도의 내부 공간이 형성되며, 그 내부 공간에 상기 가열유닛(310)의 적어도 일부가 수용되도록 형성된다. 이러한 가열유닛안착부(412)는 하방으로 함몰 형성되어 가열유닛(310)의 적어도 일부가 수용되는 것도 가능하다.
따라서, 상기 상부부재는 상기 가열유닛(310)을 지지하게 되는 유닛지지부(410)의 역할을 담당하게 된다.
상기 상부부재와 하부부재의 사이 공간에는 상기 이동부재(470)를 상기 탑 플레이트(200)의 상면과 평행한 방향으로 이동시키고자 하는 안내부재(440)가 구비된다. 상기 안내부재(440)는 소정의 두께를 가지는 사각판재 형상으로 형성되며, 일측 단부가 별도의 지지부재 또는 상기 본체(300)의 내측 벽면에 의해 지지된다.
또한, 상기 상부부재와 하부부재의 사이 공간에는 상기 탑 플레이트(200)의 상면과 평행한 방향으로 상기 이동부재(470)를 이동시키는 구동력을 제공하는 상기 평행구동부(420)가 구비된다. 상기 평행구동부(420)는 실린더와 피스톤을 포함하여 형성되며, 실린더의 내부 공간에 주입되는 유체에 의해 이동부재(470)를 측방(도 4에서 볼 때 좌측)으로 이동시키게 된다.
상기 평행구동부(420)는 상기 안내부재(440)의 좌측면에 장착된다. 평행구동부(420)가 안내부재(440)의 좌측면에 장착되면, 상기 실린더의 내부 공간으로 유체가 주입되어, 실린더의 내부 공간에서 좌측방으로 돌출되는 피스톤이 상기 상부부재와 하부부재의 좌측단에 형성되는 연결면의 내측 벽면을 좌측으로 밀게 될 때, 피스톤이 미는 힘에 의해 상기 이동부재(470)는 전체적으로 좌측(도 4에서 볼 때)으로 이동하게 된다.
상세하게는 상기 실린더의 내부 공간에 유체를 주입하게 되면, 주입되는 유체에 의해 실린더의 내부 공간에서 직선 왕복 운동하게 되는 피스톤이 상기 이동부재(470)를 좌측으로 이동시키게 된다. 이때, 이동부재(470)의 측면은 상기 피스톤으로부터 동력을 전달받게 되고, 그 측면의 반대 방향에 위치하게 되는 측면은 상기 본체(300)의 내측 벽면 또는 지지부재에 의해 지지되어 피스톤이 미는 힘은 이동부재(470)를 좌측으로 이동시키게 된다.
상기 안내부재(440)의 상면에는 이동부재(470)의 이동을 안내하는 안내부가 형성되며, 상기 안내부는 돌기와 홈으로 형성되어 돌기가 홈을 따라 이동하면서 이동부재(470)의 이동을 안내하게 된다. 이러한 안내부는 안내부재(440)의 상면이 아닌 하면에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며, 상, 하면에 모두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상기 안내부는 상기 이동부재(470)의 이동을 안내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되는 어떠한 부재가 사용되어도 무관하며, 어떠한 형상으로 형성되어도 무관하 다.
상기 이동부재(470)의 하면에는 이동부재(470)를 상기 탑 플레이트(200)의 상면과 교차되는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교차구동부(450)가 구비된다. 상기 교차구동부(450)는 실린더와 피스톤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하면은 상기 본체(300)의 내측 하면에 지지된다.
상기 실린더의 내부 공간으로 유체를 주입하게 되면, 상기 피스톤이 상기 이동부재(470)를 상방(도 4에서 볼 때)으로 밀게 된다. 피스톤이 이동부재(470)를 상방으로 밀게 되면, 이동부재(470)는 상방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동부재(470)가 상방으로 이동하게 되면, 이동부재(470)의 상면에 위치하게 되는 상기 가열유닛(310)의 상단부가 상기 탑 플레이트(200)의 하면에 접하게 된다.
상기 가열유닛(310)의 상단부가 상기 탑 플레이트(200)의 하면과 접하게 되면, 상기 교차구동부(450)에 유체의 주입이 중단되면서 상기 이동부재(470)의 이동이 정지된다.
한편, 도 5에는 본 발명에 따른 조리기기의 다른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도 5에 도시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조리기기의 다른 실시예를 살펴보면, 상기 본체(300)의 내부 공간에는 상기 가열유닛(310)을 하측에서 지지하게 되는 유닛지지부(410)가 구비된다.
상기 유닛지지부(410)는 소정의 두께를 가지는 사각판재 형상으로 형성되면서, 상기 가열유닛(310)을 지지하게 되고, 유닛지지부(410)의 하측에는 유닛지지부(410)를 상기 탑 플레이트(200)의 상면과 평행한 방향으로 회전 운동시키기 위한 회전 동력을 제공하는 회전구동부(480)가 위치하게 된다.
상기 회전구동부(480)는 외부의 전원이 인가되면, 인가되는 전원에 의해 구동력인 회전 동력을 발생시키는 구동모터와, 상기 구동모터에서 발생하게 되는 회전 동력을 유닛지지부(410)로 전달하는 동력전달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구동모터에 외부의 전원이 인가되면, 구동모터는 인가되는 외부의 전원에 의해 회전 동력을 발생시키게 되고, 발생되는 회전 동력은 상기 동력전달부재에 전달된다. 회전 동력을 전달받은 동력전달부재는 회전 운동하게 되며, 동력전달부재와 체결되는 상기 유닛지지부(410)에 회전 동력을 전달하게 된다.
상기 유닛지지부(410)에 상기 동력전달부재가 회전 동력을 전달하게 되면, 유닛지지부(410)는 전달받은 회전 동력에 의해 회전 운동하게 된다. 따라서, 유닛지지부(410)에 의해 지지되는 상기 가열유닛(310)이 회전 운동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회전구동부(480)는 상기 탑 플레이트(200)의 상면과 평행한 방향으로 상기 가열유닛(310)이 회전 운동하도록 동력을 제공함으로써 평행구동부의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상기 가열유닛(310)이 회전 운동하게 되면, 상기 탑 플레이트(200)의 상면에 도시된 가열 범위는 가열유닛(310)이 회전하여 가열하게 되는 범위에 따라 다르게 도시된다.
한편, 상기 회전구동부(480)의 하측에는 회전구동부(480)를 지지하는 구동부지지부재(490)가 구비되며, 상기 구동부지지부재(490)의 하측에는 구동부지지부재(490)를 상기 탑 플레이트(200)의 상면과 교차되는 방향으로 이동시키게 되는 교 차구동부(450)가 구비된다.
상기 교차구동부(450)는 유체가 주입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실린더와 상기 실린더의 내부 공간으로 주입되는 유체에 의해 직선 왕복운동 하게 되는 피스톤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실린더의 내부 공간으로 유체가 주입되면, 주입되는 유체에 의해 상기 피스톤은 상방(도 5에서 볼 때)으로 미는 힘을 발생시키게 되고, 피스톤에서 발생되는 상방으로 미는 힘에 의해 피스톤의 상측에 위치하게 되는 상기 구동부지지부재(490)가 상방으로 이동하게 된다.
상기 구동부지지부재(490)가 상방으로 이동하게 되면, 구동부지지부재(490)의 상측에 위치하게 되는 상기 회전구동부(480)가 상방으로 이동하게 된다. 회전 구동부(480)가 상방으로 이동하게 되면서 회전구동부(480)의 상측에 위치하게 되는 상기 유닛지지부(410)가 상방으로 이동하게 된다.
상기 유닛지지부(410)가 상방으로 이동하게 되면, 유닛지지부(410)의 상측에 위치하게 되는 상기 가열유닛(310)이 상방으로 이동하게 된다. 가열유닛(310)이 상방으로 이동하게 되면, 가열유닛(310)의 상단부와 상기 탑 플레이트(200)의 하면이 서로 밀착된다.
상기 가열유닛(310)의 상단부가 상기 탑 플레이트(200)의 하면에 밀착되면, 상기 교차구동부(450)에 주입되는 유체가 더 이상 주입되지 않게 되어 가열유닛(310)의 상방 이동이 정지된다.
상기되는 본 발명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사상이 구현될 수 있는 일 예에 지나지 않고,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 포함되 는 다른 실시예를 구성 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에 의하여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 발명의 사상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또한, 어느 한 실시예에 포함되어 있는 구성은 다른 실시예에 포함되는 것에 의해서 또 다른 실시예를 제안할 수 있으나, 이 또한 본 발명의 사상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의한 조리기기에서는 상기 가열유닛의 이동 및 회전이 가능하게 됨으로써 사용자가 조리기기를 사용하는데 편의성이 극대화되는 효과가 있다.
다시 말해, 다양한 형태의 음식 용기를 사용하여 음식물을 요리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조리기기를 사용하는데 있어서, 사용자의 편의성이 극대화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가열유닛의 이동이 가능해짐에 따라 사용자가 원하는 위치에서 음식물이 담긴 용기를 위치시키고 조리기기를 작동시켜, 음식물을 요리하는 것이 가능해지는 장점이 있다.
나아가, 음식물이 담긴 용기가 위치하는 부분에 상기 가열유닛이 위치하여 가열해주게 됨으로써 용기가 위치하지 않게 되는 부분을 가열하지 않게 되어 에너지의 소비가 감소하게 되는 효과가 있으며, 에너지 사용의 효율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뿐만 아니라, 에너지 사용의 효율성이 향상됨에 따라 사용자가 조리기기를 사용하는데 필요한 유지 비용이 절감되는 효과도 있다.

Claims (6)

  1. 상면 외관을 형성하는 탑 플레이트;
    상기 탑 플레이트의 하측에 놓이는 가열유닛;
    상기 가열유닛이 수용되는 본체; 및
    상기 본체의 내부 공간에 위치하여, 상기 가열유닛을 이동시키는 이동장치; 가 포함되고,
    상기 이동장치는,
    상기 가열유닛을 상기 탑 플레이트의 하면과 이격 또는 접하는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교차구동부; 및
    상기 가열유닛을 상기 탑 플레이트의 하면과 평행한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평행구동부;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조리기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교차구동부가 상기 평행구동부보다 먼저 동작되는 조리기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교차구동부는,
    상기 가열유닛의 이동을 위한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모터; 및
    상기 구동모터에서 제공되는 구동력에 의해 상기 가열유닛을 상기 탑 플레이트의 하면과 이격 또는 접하는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동력전달체; 가 포함되는 조리기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평행구동부는,
    상기 가열유닛의 이동을 위한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모터; 및
    상기 구동모터에서 제공되는 구동력에 의해 상기 가열유닛을 상기 탑 플레이트의 하면과 평행한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동력전달체; 가 포함되는 조리기기.
  5. 음식물이 수용된 용기가 지지되는 탑 플레이트;
    상기 탑 플레이트의 하측에서 공간을 제공하는 본체;
    상기 본체의 내부에서 삼차원적으로 이동 가능한 가열유닛; 이 포함되고,
    상기 가열유닛은,
    상기 탑 플레이트의 하면과 이격되도록 이동되는 단계와, 상기 탑 플레이트의 하면과 평행하게 이동되는 단계 그리고, 상기 탑 플레이트와 접하도록 이동되는 단계; 순으로 제어되는 조리기기.
  6. 상면 외관을 형성하는 탑 플레이트;
    상기 탑 플레이트의 하측에 위치하여 내부 공간이 형성되는 본체;
    상기 본체의 내부 공간에 구비되어 음식물을 가열하기 위한 가열유닛;
    상기 가열유닛을 회전 운동시키기 위한 동력을 제공하는 평행구동부; 및
    상기 가열유닛을 병진 운동시키기 위한 동력을 제공하는 교차구동부가 포함되는 조리기기.
KR1020070007741A 2007-01-25 2007-01-25 조리기기 KR10086383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07741A KR100863838B1 (ko) 2007-01-25 2007-01-25 조리기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07741A KR100863838B1 (ko) 2007-01-25 2007-01-25 조리기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63838B1 true KR100863838B1 (ko) 2008-10-15

Family

ID=401534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07741A KR100863838B1 (ko) 2007-01-25 2007-01-25 조리기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63838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26601A (ko) * 2003-09-09 2005-03-15 삼성전자주식회사 가열조리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26601A (ko) * 2003-09-09 2005-03-15 삼성전자주식회사 가열조리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454401B2 (en) Cooking appliance
US11408612B2 (en) Cooking appliance
KR20150013401A (ko) 양방향 가열 조리기
KR20120126215A (ko) 전기오븐의 도어
US20230300956A1 (en) Cooking appliance
KR100863838B1 (ko) 조리기기
US20220087473A1 (en) Cooking appliance
KR100688663B1 (ko) 전기오븐레인지의 버너스프링
KR101101487B1 (ko) 스팀조리기기
EP3973828B1 (en) Cooking appliance
KR100826706B1 (ko) 빌트 인 조리기기
KR20110063928A (ko) 조리기기
KR100829622B1 (ko) 빌트 인 조리기기
KR100826707B1 (ko) 빌트 인 조리기기
KR200390573Y1 (ko) 전기오븐의 하부히터챔버 고정구조
KR20080065431A (ko) 빌트 인 조리기기
KR200377058Y1 (ko) 전기오븐의 오븐랙 장착구조
EP3910242A1 (en) Cooking device
KR20100096971A (ko) 조리기기
KR20060082249A (ko) 전기오븐의 오븐부 구조
KR200367151Y1 (ko) 전기오븐레인지의 오븐랙 구조
JP2016050737A (ja) 加熱調理器
KR100676530B1 (ko) 전기오븐의 오븐부 구조
KR101121917B1 (ko) 전기오븐의 탑버너부
KR200380333Y1 (ko) 전기오븐의 탑버너부 유동방지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2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2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2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24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